KR102590260B1 - 내화학성 플루오린화 다중블록 중합체 구조체, 제조 방법 및 사용 - Google Patents

내화학성 플루오린화 다중블록 중합체 구조체, 제조 방법 및 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260B1
KR102590260B1 KR1020197036684A KR20197036684A KR102590260B1 KR 102590260 B1 KR102590260 B1 KR 102590260B1 KR 1020197036684 A KR1020197036684 A KR 1020197036684A KR 20197036684 A KR20197036684 A KR 20197036684A KR 102590260 B1 KR102590260 B1 KR 102590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inated
polymer
isophoric
multiblock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1566A (ko
Inventor
스펜서 더블유. 로빈스
레이첼 엠. 도린
Original Assignee
테라포어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라포어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테라포어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3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2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76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08 - B01D71/74
    • B01D71/80Block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18Introducing halogen atoms or halogen-containing groups
    • C08F8/24Haloalky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091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by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1Casting solutions therefor
    • B01D67/00113Pretreatment of the casting solutions, e.g. thermal treatment or ag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8Polymers of vinyl aromatic compounds
    • B01D71/283Polyvinylpyrid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CTREATMENT OR 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S
    • C08C19/00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
    • C08C19/12Incorporating halogen atoms into the 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44Preparation of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liqu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drying of coagul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24Use of template or surface directing agents [SD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52Use of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1Pore shapes
    • B01D2325/0212Symmetric or isoporous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3Por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3Pore size
    • B01D2325/02831Pore size less than 1 n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3Pore size
    • B01D2325/028321-10 n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3Pore size
    • B01D2325/02833Pore size more than 10 and up to 100 n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3Pore size
    • B01D2325/02834Pore size more than 0.1 and up to 1 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30Chemical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1Casting solutio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3Chemical mo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6Polyalk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28Polymers of vinyl aromat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10Polymer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8J2300/102Polymer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halo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ether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기존 분리막 기술의 대체 또는 대안을 위한, 높은 분리 특이성, 내화학성 및 방오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비수성 및/또는 유독한(harsh) 화학 매질용 다중블록 이소포러스 구조체, 제조 방법 및 사용.

Description

내화학성 플루오린화 다중블록 중합체 구조체, 제조 방법 및 사용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5월 1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05,589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문헌의 전문은 본원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기존 분리막 기술에 대한 대체 또는 대안으로서, 높은 유량(flux), 높은 분리 특이성, 내화학성 및 방오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비(非)수성 및/또는 유독한(harsh) 화학 매질에 대한 저항성이 있는 다중블록 이소포러스(isoporous) 구조체, 제조 방법 및 사용에 관한 것이다.
막(membrane)은 플루오린 함유 단량체, 예를 들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를 반응시켜 친수성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를 생성시키거나, 친수성 플루오린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화학물질, 열 및 방사선에 대한 저항성을 갖도록 제조되어 왔다. 이러한 플루오린 함유 중합체는 이소포러스가 아니고, 자가 조립에 의해 생성되지 않으며, 자가 조립되지 않는다. 플루오린화된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는 액체/액체 분리를 위해 또는 가스/가스 분리에서 조밀한 이온 전도성 막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유사하게, 이러한 플루오린화 블록 공중합체는 비(非)이소포러스이며, 자가 조립된 중합체와 관련된 기공 조정 특성 및 유동 특성이 결여되어 있다.
플루오로중합체 막은 미국 특허 제5,130,024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여기서 PTFE 막은 기공 상에서 친수성 플루오린 함유 공중합체로 코팅된다. 표면 개질된 막의 다른 예들은, 미국 특허 제5,928,792호(여기서 다공성 막 표면은 퍼플루오로카본 공중합체로 개질됨), 및 미국 특허 제6,354,443호(여기서 막 표면은 친수성의 플루오린화 공중합체로 코팅됨)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공중합체, 및 지지체와 상기 공중합체의 복합 막으로 본질적으로 구성된 플루오린-함유 그래프트(graft) 공중합체 및 접착제는, 미국 특허 제4,666,991호에 교시되어 있다. 상기 제4,666,991호 특허에서, 플루오린화 중합체는 또 다른 중합체에 그래프팅된다. 반면, 다른 선행 기술들은 플루오린화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존 막에 물리적으로, 예를 들어 딥 코팅, 스핀 코팅 등에 의해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1),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또는 폴리옥시메틸렌으로부터 형성된 층들을 갖는 중공 섬유 다공성 막은, 미국 특허 제6,379,79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다공성 층들 사이에 균질한 얇은 필름 층들이 삽입된다. 상기 균질한 필름은 2가지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재료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중합체 블렌드이다.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경질 세그먼트가 스티렌 중합체를 포함하고, 연질 세그먼트가 부타디엔, 에틸렌-부틸렌 이소프렌 및 에틸렌-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에서 유도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 및 부타디엔, 에틸렌-부틸렌, 이소프렌 및 에틸렌-프로필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형성된 2종 이상의 구성 단위로 구성된 랜덤 공중합체"인 경우, 이들 중 어느 것도 플루오린화된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제2 재료는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5-디플루오로-1,3-디옥솔) 및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공중합체이며, 블록 공중합체는 아니다.
플루오린화된 폴리디엔 및 술폰화된 폴리스티렌의 공중합체는 미국 특허 제7,619,036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술폰화된 폴리스티렌 블록 A와 함께 플루오린화된 블록 B를 포함하며, 일반적인 이중블록 구조 AB 및 삼중블록 구조 ABA를 갖는다.
블록 공중합체 성분을 포함하는 기존 플루오린화 다공성 막은 플루오린-함유 중합체/공중합체의 코팅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의 일부 화학물질들은 공급물 스트림의 성분과의 바람직하지 않은 오염 특성(예를 들어 바람직하지 않은 물리적 및 화학적 상호작용)을 갖는다.
하지만, 기재된 바와 같이, 표면 개질에 대한 주된 기술은 플루오린-함유 재료의 코팅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코팅된 생성물은 코팅 내 핀홀(pin-hole)과 같은 결함을 가질 수 있거나, 분리 또는 박리되기 쉽다. 또한, 이소포러스 블록 공중합체 막은 통상적으로 다수의 유기 용매에서 가용성이거나 불안정한 비닐 유래 중합체로부터 형성된다. 이러한 특징들은 통상적으로 비닐 유래 중합체의 수용액에의 사용을 제한하며, 따라서 이들의 전반적인 유용성을 제한한다. 따라서, 기존 중합체 막의 단점 및 제한 없이(예를 들어, 코팅을 필요로 하지 않는 내화학성), 유독한 화학 물질(예를 들어, 유기 물질, 무기 및 유기 산 및 염기)에 대한 내화학성이 있는 내화학성 이소포러스 구조체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며, 유기 물질, 무기 및 유기 산 및 염기를 포함하는 분리 공정에 적합한 기공 조정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자가 조립되는 구조체를 제공한다.
도 1a는, 재료의 이소포러스 부분(10)의 개략도이다.
도 1b는, 플루오린화 공중합체로부터 직접적으로 형성된, 재료의 이소포러스 부분(20)의 플루오린화된 부분(20)의 개략도이다.
도 1c는, 화학 반응(30)을 통해 이소포러스 재료를 플루오린화하여, 플루오린화된(20) 재료를 생성하는, 재료의 이소포러스 부분(10)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다중블록 공중합체는 내용매성과 동시에 높은 유량을 허용하는 자가 조립된 이소포러스 구조체를 달성한다. 상기 재료는 상기 이소포러스 재료의 다기능성을 가능하게 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은 유의한 내화학성(예를 들어, 플루오린화된 경우)을 부여할 수 있고, 다른 블록들은 다른 기능성, 예를 들어 기계적 일체성(integrity)을 제공한다. 이러한 재료는 분리를 위한 내화학성 및 방오 막으로서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이소포러스는 실질적으로 좁은 기공 직경 분포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메조 기공(mesopore)은 약 1 nm 내지 약 200 nm의 직경을 갖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소 기공(isopore)은 또한 메조 다공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화학적으로 개질되어, 유기, 산성 또는 염기성 재료로부터의 유독한 용매 조건에 대한 방오 및/또는 내화학성 특성을 부여하고, 다른 블록들이 구조에 기계적 일체성을 제공하여, 다양한 환경을 위한 적합성을 강화시키는, 이소포러스 플루오린화 블록 공중합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 접근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은 다른 블록과의 중합 전에 플루오린화된다. 대안적인 접근법에서, 다중블록 중합체는 다중블록 중합체의 형성 후에 화학적으로 개질된다.
다중블록 이소포러스 구조체는 기존 분리막 기술에 대한 대체 또는 대안으로서, 높은 분리 특이성, 내화학성 및 방오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비수성 및/또는 유독한 화학 매질을 포함하는 스톡(stock)에 특히 사용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화학적으로 플루오린화되어, 유기, 산성 또는 염기성 재료들부터의 유독한 용매 조건에 대한 내화학성을 부여하는 블록 공중합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중합체 블록을 갖는 플루오린화 중합체 재료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은 거대(macro), 메조(meso) 또는 미세(micro) 기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소포러스이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블록의 적어도 일부는 플루오린화된다. 상기 메조 기공의 크기는 약 1 내지 200 nm이고, 상기 거대 기공의 크기는 적어도 200 nm 이상이다. 상기 재료는 비대칭 또는 대칭이다. 상기 재료는 거대 다공성 도메인 및 메조 다공성 도메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이소포러스 재료 형성 전 또는 후에 플루오린화된 부분, 또는 이소포러스 재료 형성 전 또는 후의 플루오린화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중블록 공중합체의 이소포러스 구조체를 형성한 후, 적어도 하나의 비(非)플루오린화된 블록의 적어도 일부를 후기능화 반응으로 플루오린화함으로써,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중합체 블록을 갖는 플루오린화 중합체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이소포러스 재료가, 적어도 하나의 화학 용매에 중합체를 용해시키는 단계; 기판 또는 몰드 상에, 또는 다이(die) 또는 템플릿(template)을 통해 중합체 용액을 투입(dispensing)하는 단계;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가 자가 조립되는 동안 화학 용매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자가 조립된 재료를 상기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침전시키는 비(非)용매에 노출시키는 단계; 및 선택적으로, 처리된 재료를 세척하는 단계에 의해 형성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플루오로화학 모이어티(moiety)로 화학적으로 개질시킨 후, 이소포러스 다중블록 중합체 구조체를 형성함으로써, 이소포러스 블록 중합체 구조체의 일체성을 유지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막이 균일한 다공성을 갖고, 관심 분석물을 포함하는 비수성 액체를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중합체 블록을 갖는 이소포러스 플루오린화 블록 중합체 구조체와 접촉시킴으로써, 높은 투과성 및 탁월한 선택성으로 관심 분석물을 분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중합체 블록, 또는 전체 중합체 또는 중합체들은, 블록 공중합체가 자가 조립되어 이소포러스 재료를 생성하는 한, 복합 중합체 아키텍쳐(architectur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복합(complex)" 블록 구조 또는 중합체 아키텍쳐(architecture)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내 또는 블록들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단량체, 화학물질, 배열 또는 구조를 의미한다. 상이한 블록 공중합체 출발 재료들의 조합은 또 다른 복합 아키텍쳐(architecture)이다.
본 발명은 또한, 유기, 산성 또는 염기성 액체에 의해 생성된 유독한 화학적 혼합물 및 관심 분석물로부터, 상기 혼합물을 이소포러스 플루오린화 블록 중합체 구조체와 접촉시킴으로써, 높은 투과성 및 탁월한 선택성으로 관심 분석물을 분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적어도 일부가 플루오린 원자를 포함하는 ("플루오린화된(fluorinated)"), 적어도 하나의 다중블록 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소포러스 구조체, 예를 들어 막(membrane), 필름, 직물, 모놀리스(monolith)이다. 플루오린 원자의 혼입(incorporation)은 이소포러스 블록 공중합체 구조체에 내화학성 및 방오 특성을 부여한다. 자가 조립에 의해 생성된, 다중블록 공중합체(예를 들어 A-B, A-B-C, A-B-C-D 또는 A-B-C-D-E) 구조에서 플루오린화 중합체 블록의 이러한 조합은, 비수성 액체 매질, 예를 들어 유기 또는 유독한 액체 매질에서의 분리를 위한 높은 투과성 및 높은 선택성의 이소포러스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플루오린화는 상기 재료에 방오 거동을 부가한다.
하기 표 1은 블록 공중합체 아키텍쳐(architecture)의 비제한적인 예들을 제공한다. 상이한 문자는 상이한 화학물질을 나타내며, 여기서 A, B, C, D 및 E는, 각각 동일한 단량체로부터 형성된 중합체 블록이고, -co- 는 특정 블록에서의 화학물질들의 혼합물을 나타낸다. 화학물질들의 혼합물의 분포는 주기적 (순서화된), 랜덤/통계적 또는 블록 내에서 단계적일 수 있다.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중합체 블록이 존재한다. 적어도 하나의 블록은 거대, 메조 또는 미세 기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소포러스이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블록의 적어도 일부는 플루오린화된 것이다.
메조 기공은 약 1 nm 내지 약 200 nm의 범위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메조 기공은 1 nm 내지 200 nm의 범위이다. 일 구현예에서, 메조 기공은 3 nm 내지 200 nm의 범위이다. 일 구현예에서, 메조 기공은 5 nm 내지 200 nm의 범위이다. 일 구현예에서, 메조 기공은 5 nm 내지 100 nm의 범위이다. 일 구현예에서, 메조 기공은 10 nm 내지 100 nm의 범위이다.
상기 플루오린화 이소포러스 구조체는 비대칭, 대칭, 부분적 대칭 또는 부분적 비대칭이다.
상기 플루오린화 이소포러스 구조체는 다공성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거나, 지지되지 않는다. 상기 플루오린화 이소포러스 구조체는 2차원(예를 들어 필름, 평평한 시트) 또는 3차원(예를 들어 모놀리스, 비드, 중공 섬유, 튜브형) 구조의 형태이다.
상기 플루오린화 이소포러스 구조체는 분리 매질 및/또는 바람직한 보호 특성을 갖는 직물(예를 들어 의복, 붕대)로서 적합하다. 액체 기반 분리 적용에서, 플루오린화 이소포러스 구조체에 노출되는 액체는 순수한 수용액에 제한되지 않는다. 플루오린화로부터 플루오린화 이소포러스 구조체에 부여된 화학적 안정성은, 막과 접촉하고 있는 용액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비수성 액체뿐 아니라, 다르게는 비(非)플루오린화된 구조체를 분해(degrade), 분해(decompose) 또는 용해시킬 수 있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플루오린화 이소포러스 구조체가 사용될 수 있는 유독한 매질에는, 예를 들어 강한 산성 용액, 강한 염기성 용액, 석유화학 제품, 유기 용매 및 다른 유기 소분자가 포함된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플루오린화는 또한 상기 막에 내열성을 추가로 부여하여, 승온에서의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플루오린화 이소포러스 구조체는 몇 가지 상이한 접근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접근법에서, 이소포러스 재료의 적어도 일부는 이소포러스 구조체의 형성 전에 플루오린화된다. 일부 접근법에서, 이소포러스 재료의 적어도 일부는 이소포러스 구조체의 형성 후에 플루오린화된다. 하나의 접근법에서, 상기 구조체는 단량체 공급물의 적어도 일부로서 플루오린화된 단량체를 혼입하는 단계, 다중블록 플루오린화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단량체를 중합하는 단계, 이후 이소포러스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또 다른 접근법에서, 상기 구조체는 단량체 공급물의 적어도 일부로서 플루오린화된 단량체를 혼입하는 단계, 다중블록 플루오린화 공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단량체를 중합하는 단계, 이 후 이소포러스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이어서 비플루오린화된 블록의 적어도 일부를 후기능화 반응으로 플루오린화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또 다른 접근법에서, 상기 구조체는 다중블록 공중합체로부터 이소포러스 구조체를 형성한 후, 적어도 하나의 비플루오린화된 블록의 적어도 일부를 후기능화 반응으로 플루오린화함으로써 달성된다. 또 다른 접근법에서, 상기 구조체는 블록 공중합체의 적어도 하나의 비플루오린화된 블록의 적어도 일부를 플루오린화한 후, 이소포러스 구조체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일 접근법에서, 단량체를 먼저 플루오린화한 후, 플루오린화된 블록을 다른 중합체 블록과 중합함으로써, 상기 구조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공중합체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적어도 일부에 플루오린 원자가 혼입된다. 또 다른 접근법은, 플루오린화하고자 하는 다중블록 중합체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적어도 일부를 개질시킨 후, 이소포러스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 다른 접근법은, 막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적어도 일부에 플루오린 원자를 혼입시키기 위해, 이미 제조된 이소포러스 구조체를 개질시키는 것이다.
상기 다중블록 중합체는, 상기 다중블록 중합체 및 용매 시스템을 포함하는 증착 용액으로부터 처리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가 조립되어야 한다. 상기 처리 동안, 상기 용매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고, 이어서 상기 재료가 상 분리 용매 시스템에 노출되어, 상기 중합체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침전된다.
플루오린화 및 비플루오린화 중합체 블록의 적합한 비제한적인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관심 분석물을 수득 또는 검출하기 위해 유기 재료 및 분석물 함유 유체를 다중블록 플루오린화 이소포러스 중합체 구조체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관심 분석물을 분리 및/또는 검출 및/또는 단리(isolating)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중블록 중합체 구조체는 이소포러스 구조체 형성 전 또는 후에, 플루오린화된 단량체의 직접 중합 및/또는 후-중합 화학적 기능화를 통해 플루오린 원자를 혼입한다. 적합한 플루오린화된 단량체/블록 화학 물질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퍼플루오린화된 C3-C6 선형 및 고리형 화합물, 플루오린화된 화합물, 예를 들어,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옥타플루오로프로판 (퍼플루오로프로판), 데카플루오로부탄 (퍼플루오로부탄), 도데카플루오로펜탄 (퍼플루오로펜탄), 테트라데카플루오로헥산 (퍼플루오로헥산), 도데카플루오로시클로헥산 (퍼플루오로시클로헥산); 플루오린화된 C6-C9 방향족 화합물; 플루오린화된 아크릴계 화합물, 예를 들어,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2,2,3,3,4,4,5,5,6,6,7,7-도데카플루오로헵틸 아크릴레이트, 3,3,4,4,5,5,6,6,7,7,8,8,9,9,10,10,11,11,12,12,12-헤네이코사플루오로도데실 아크릴레이트, 3,3,4,4,5,5,6,6,7,7,8,8,9,9,10,10,10-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 메타크릴레이트, 2,2,3,3,4,4,4-헵타플루오로부틸 아크릴레이트, 2,2,3,3,4,4,4-헵타플루오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2,3,4,4,4-헥사플루오로부틸 아크릴레이트, 2,2,3,4,4,4-헥사플루오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2,3,3,4,4,5,5-옥타플루오로펜틸 아크릴레이트, 2,2,3,3,4,4,5,5-옥타플루오로펜틸 메타크릴레이트,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1H,1H,2H,2H-퍼플루오로데실 아크릴레이트,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3,3,4,4,5,5,6,6,7,7,8,8,8-트리데카플루오로옥틸 아크릴레이트, 3,3,4,4,5,5,6,6,7,7,8,8,8-트리데카플루오로옥틸 메타크릴레이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1,1-트리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2-히드록시-4-메틸-5-펜틸 메타크릴레이트, 2-[(1',1',1'-트리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2'-히드록시)프로필]-3-노르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 플루오로스티렌, 예를 들어,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2-플루오로스티렌, 3-플루오로스티렌, 4-플루오로스티렌, 2,3,4,5,6-펜타플루오로스티렌; 기타 플루오린 함유 단량체, 예를 들어,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에피플루오로히드린, 글리시딜 2,2,3,3,4,4,5,5-옥타플루오로펜틸 에테르, 글리시딜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 에테르, 퍼플루오로헥실에틸렌, 3,3,4,4,5,5,6,6,6-노나플루오로-1-헥센, 3,3,4,4,5,5,6,6,7,7,8,8,9,9,10,10,10-헵타데카플루오로-1-데센, 및 (2,2,3,3,4,4,5,5,6,6,7,7,8,8,9,9,9-헵타데카플루오로노닐)옥시란을 포함한다.
단일 블록 내 화학물질의 혼합물은 "-co-" 로 표시되며, 2개의 구조체가 상기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단일 세트의 대괄호로 묶여있다. 블록 내 혼합된 화학물질들의 분포는 주기적(순서화된), 랜덤/통계적 또는 블록 내에서 단계적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재료는 주름진 팩, 횡단류 카세트(crossflow cassette)에서의 평평한 시트, 나선형 권취 모듈, 중공 섬유, 중공 섬유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또는 센서로서 패키징된다. 일 구현예에서, 장치는 하나 초과의 상이한 이소포러스 플루오린화 재료를 활용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재료 또는 상기 재료를 포함하는 장치는 자극/자극들에 대하여 검출 가능한 반응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재료 또는 상기 재료를 포함하는 장치는, 관심 분석물이 상기 재료 또는 장치와 접촉하고 있는 관심 분석물을 포함하는 매질에서 분리되는 공정에 사용된다. 하나의 이러한 공정에서, 상기 관심 분석물은 결합 및 용리에 의해 분리된다. 또 다른 이러한 공정에서, 용질 또는 현탁된 입자는 여과에 의해 분리된다. 또 다른 이러한 공정에서, 결합 및 용리와 여과에 의한 분리 메카니즘이 모두 통합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재료 또는 상기 재료를 포함하는 장치는, 관심 분석물이 상기 재료 또는 장치와 접촉하고 있는 관심 분석물을 포함하는 매질에서 검출되는 공정에 사용된다. 하나의 이러한 공정에서, 상기 관심 분석물은 상기 관심 분석물의 존재에 대한 재료/장치의 반응에 의해 검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재료가 키트로서 함께 패키징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재료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장치가 키트로서 함께 패키징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재료는 지지체 또는 텍스타일(textile)에 고정되거나 이와 포함된다.
본 발명을 달성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화학 용매에 블록 공중합체를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중합체 용액을 기판 또는 몰드 상에, 또는 다이 또는 템플릿을 통해 투입하는 단계; 화학 용매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침전시키는 비용매에 노출시키는 단계, 및 선택적으로, 세척 단계를 포함한다.
중합 후 중합체 블록의 플루오린화의 비제한적인 예가 하기에 제공된다.
상기 제시된 바와 같이, 단계 "A)"는, 1,1,1,2,2,3,3-헵타플루오로-5-요오도펜탄을 이용한 폴리(4-비닐피리딘)의 플루오린화이며, 여기서 가열 시, 1,1,1,2,2,3,3-헵타플루오로-5-요오도펜탄 상의 요오드는 폴리(4-비닐피리딘) 상의 질소에의 부착을 위한 이탈기로, 4차화된 피리딘 및 플루오린화된 폴리(4-비닐피리딘) 블록을 생성한다. 단계 "B)"는, 시스-1,4 폴리(이소프렌)의 플루오린화이며, 여기서 가열 시, 2,2,3-트리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옥시란이 반응하여 폴리(이소프렌)의 이중 결합을 플루오린화한다. 단계 "C)"는, 2단계의 3,4-폴리(이소프렌)의 플루오린화로서, 먼저 폴리(이소프렌) 이중 결합을 끊어 히드록실기를 도입하기 위한 수소화붕소첨가(hydroboration)/산화 반응, 이어서 헵타플루오로부타노일 클로라이드와의 에스테르화 반응이며, 여기서 헵타플루오로부타노일 클로라이드 상의 클로라이드는 이탈기이고, 그 결과 플루오린화된 폴리(이소프렌)을 생성한다.
이소포러스 구조체를 생성하기 위한 첫 번째 접근법은, 플루오린화된 단량체 단위를 블록 공중합체로 직접 중합하는 것이다. 이는 중합체 블록(들)에서 직접 중합된 플루오린-함유 단량체 단위의 부분적 또는 완전한 분획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접근법은 화학 결합을 통해 플루오린화된 원자를 중합체에 직접 혼입시키고, 후속적으로 이소포러스 재료로 가공된다. 또 다른 유사한 접근법은, 플루오린화된 분자 또는 거대분자와의 중합을 개시 또는 종결시켜, 단일 단위로 공중합체를 플루오린화하는 것이다.
또 다른 접근법은,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플루오린 원자를 포함시키기 위해 플루오린화된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블록 공중합체를 화학적으로 개질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플루오린-개질된(플루오린화된) 공중합체는 후속적으로 플루오린화 이소포러스 재료로 가공된다. 플루오린화된 단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플루오린-함유 화합물과 같은 화합물과의 다중블록 중합체에 대한 반응에 의해 도입되며, 여기서 상기 화합물은 브롬, 염소 또는 요오드와 같은 또 다른 할라이드를 포함하고, 중합체 (예를 들어 1,1,1,2,2,3,3-헵타플루오로-5-요오도펜탄, 1,1,1,2,2,3,3,4,4,5,5,6,6,7,7,8,8-헵타데카플루오로-10-이소도데칸 퍼플루오로프로필요오다이드, 헵타플루오로부타노일 클로라이드); 플루오린;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옥시드; 설퍼 테트라플루오라이드; 디플루오로카르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 및 디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에 부착을 위한 이탈기로서 작용한다.
상기 이소포러스 재료의 제조를 위한 또 다른 접근법은, 플루오린 원자를 혼입시키기 위해 이소포러스 블록 공중합체 재료를 후-개질(post-modifying)시키는 것이다. 하나의 이러한 접근법은 플루오린 원자를 포함시키기 위해 이소포러스 재료를 화학적으로 개질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기공 표면을 포함하는 중합체 블록의 표면이 개질되도록, 이소포러스 재료를 직접 화학적으로 개질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화합물 또한 이러한 접근법에 적합하다.
이러한 접근법들의 조합이 또한 상기 이소포러스 재료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플루오린화된 단량체를 중합시켜 공중합체의 하나의 블록을 플루오린화한 후, 또 다른 비플루오린화된 블록을 후-플루오린화(post-fluorinated)하는 것이다.
플루오린화 및 플루오린화된 재료의 화학물질의 양은 조절 가능하다. 이는 중합 또는 후기능화 동안 비플루오린화된 재료에 대한 플루오린화된 시약의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된다.
하나의 변형은 구성성분 공중합체의 하나 초과의 블록의 단위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플루오린화하는 것이다. 상기 플루오린화되는 블록(들)은 상기 구조체의 주요 표면을 포함하는 블록에 제한되지 않는다. 플루오린화된 화합물과의 가교는 가교 및 플루오린화의 조합을 통해 막에 내화학성을 부여하는 또 다른 접근법이다.
상기 막의 이소포러스 영역의 기공 크기 또한 조절 가능하다. 상기 기공 크기는 ~1 내지 200 nm로 변화될 수 있다.
이소포러스 블록 공중합체 막은 블록 공중합체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적어도 일부 내/상에 플루오린화를 혼입한다. 이는 막에 내화학성 및 방오 특성을 부여한다.
상기 중합체는, 중합체가 상기 기술된 방법을 통해 자가 조립되고 이소포러스 재료를 형성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어느 방법으로도 합성될 수 있다.
도 1a 내지 1c에서 식별된 특징들의 표
10 재료의 이소포러스 부분
20 재료의 플루오린화된 부분
30 재료에 플루오린화를 도입하는 반응

Claims (17)

  1. 화학식 I 내지 VII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블록 플루오린화 중합체 재료이며,

    여기서, A, B, C, D 및 E는, 각각 동일한 단량체로부터 형성된 중합체 블록이고, 상기 -co- 는 특정 블록에서의 화학물질들의 혼합물을 나타내며, 상기 다중블록 중합체 재료는 메조(meso) 기공들을 포함하고 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소포러스(isoporous)이며, 상기 중합체 블록의 적어도 일부는 아래 화학식에 따른 구조를 갖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플루오린화 블록이고,
    [화학식 1]

    상기 재료는,
    a) 3,4-폴리(이소프렌) 블록을 포함하는 다중블록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3,4-폴리(이소프렌) 블록의 이중 결합 상에 히드록실기의 도입을 통해 상기 3,4-폴리(이소프렌) 블록을 플루오린화한 후, 헵타플루오로부타노일 클로라이드와 에스테르화시켜 다중블록 플루오린화 중합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인,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대칭인, 재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조 기공들은 1 내지 200 nm의 크기를 갖는 것인, 재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승온에서 디그레이드(degrade), 디컴포우즈(decompose) 또는 용해되지 않는 것인, 재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강한 산성 용액, 강한 염기성 용액, 석유화학 제품, 유기 용매 또는 다른 유기 소분자에 노출되었을 때 디그레이드(degrade), 디컴포우즈(decompose) 또는 용해되지 않는 것인, 재료.
  6. 제1항의 재료의 제조 방법으로, a 내지 d 단계 또는 a 내지 e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적어도 하나의 화학 용매에 중합체를 용해시키는 단계;
    b. 기판 또는 몰드 상에, 또는 다이(die) 또는 템플릿(template)을 통해 중합체 용액을 투입하는 단계;
    c. 상기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가 자가 조립되는 동안 화학 용매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자가 조립된 재료를 상기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침전시키는 비(非)용매에 노출시키는 단계; 및
    e. 세척 단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소포러스 구조의 형성 후 플루오린화되는 것인, 방법.
  8. 유기 매질로부터 관심 분석물의 분리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관심 분석물을 포함하는 유기 매질을 제1항의 이소포러스 다중블록 플루오린화 중합체 재료와 접촉시켜 상기 유기 매질로부터 관심 분석물을 얻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포러스 다중블록 플루오린화 중합체 재료는 분리 장치의 구성요소인, 방법.
  10. 유기 매질로부터 관심 분석물의 검출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관심 분석물을 포함하는 유기 매질을 제1항의 이소포러스 다중블록 플루오린화 중합체 재료와 접촉시켜 상기 유기 매질로부터 관심 분석물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포러스 다중블록 플루오린화 중합체 재료는 검출 장치의 구성요소인,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97036684A 2017-05-12 2018-05-10 내화학성 플루오린화 다중블록 중합체 구조체, 제조 방법 및 사용 KR102590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05589P 2017-05-12 2017-05-12
US62/505,589 2017-05-12
PCT/US2018/032118 WO2018209121A1 (en) 2017-05-12 2018-05-10 Chemically resistant fluorinated multiblock polymer structures,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566A KR20200031566A (ko) 2020-03-24
KR102590260B1 true KR102590260B1 (ko) 2023-10-18

Family

ID=6224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684A KR102590260B1 (ko) 2017-05-12 2018-05-10 내화학성 플루오린화 다중블록 중합체 구조체, 제조 방법 및 사용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572424B2 (ko)
EP (1) EP3621722A1 (ko)
JP (1) JP2020519734A (ko)
KR (1) KR102590260B1 (ko)
CN (1) CN110621394A (ko)
CA (1) CA3062637A1 (ko)
MX (1) MX2019013534A (ko)
WO (1) WO201820912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3299A (ja) * 2013-09-20 2015-04-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高分子多孔質膜及び高分子多孔質膜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3272A (en) 1970-04-06 1972-06-27 Gen Electric Block copolymers of silicones with vinyl pyridine
US4014798A (en) 1974-04-04 1977-03-29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Insoluble polyelectrolyte and ion-exchange hollow fiber impregnated therewith
JPS54145766A (en) 1978-05-09 1979-11-14 Toyo Soda Mfg Co Ltd Modification of porous synthetic resin membrane
JPS5656202A (en) 1979-10-15 1981-05-18 Asahi Chem Ind Co Ltd Hollow porous membrane yarn made of polyvinylidene fluoride type resin
DE3149976A1 (de) 1981-12-17 1983-06-30 Hoechst Ag, 6230 Frankfurt Makroporoese asymmetrische hydrophile membran aus synthetischem polymerisat
US4666991A (en) 1984-11-05 1987-05-19 Sagami Chemical Research Center Fluorine-containing graft copolymer and adhesive and composite membrane made thereof
DE3782120T2 (de) 1986-08-15 1993-02-11 Permea Inc Asymmetrische gastrennungsmembranen, deren haut einen dichtegradienten aufweisen.
US5114585A (en) 1988-03-01 1992-05-19 Gelman Sciences, Inc. Charged porous filter
US5158721A (en) 1989-11-30 1992-10-27 Millipore Corporation Porous membrane formed from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having hydrophilic surface
JP2845571B2 (ja) 1990-05-17 1999-01-13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極微多孔膜および極微多孔膜用組成物並びに極微多孔膜の製造方法
DE69017197T2 (de) 1990-05-18 1995-09-14 Japan Gore Tex Inc Hydrophile poröse Membrane aus Fluoropolymer.
US5238474A (en) 1990-10-19 1993-08-24 Donaldson Company, Inc. Filtration arrangement
US6033370A (en) 1992-07-01 2000-03-07 Preventive Medical Technologies, Inc. Capacitative sensor
JP2606156B2 (ja) 1994-10-14 1997-04-30 栗田工業株式会社 研磨剤粒子の回収方法
US6241886B1 (en) 1995-06-09 2001-06-05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Plasma separation filter
US5700902A (en) 1995-07-27 1997-12-23 Circe Biomedical, Inc. Block copolymers
JP3522398B2 (ja) 1995-08-08 2004-04-26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陽イオン交換膜
US5805425A (en) 1996-09-24 1998-09-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icroelectronic assemblies including Z-axis conductive films
US6045899A (en) 1996-12-12 2000-04-04 Usf Filtration & Separations Group, Inc. Highly assymetric, hydrophilic, microfiltration membranes having large pore diameters
US5907017A (en) * 1997-01-31 1999-05-25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Semifluorinated side chain-containing polymers
US5928792A (en) 1997-05-01 1999-07-27 Millipore Corporation Process for making surface modified porous membrane with perfluorocarbon copolymer
US6354443B1 (en) * 1997-05-01 2002-03-12 Millipore Corporation Surface modified porous membrane and process
DE19738913B4 (de) 1997-09-05 2004-03-18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Blockcopolymerphasen als Template für strukturierte organisch-anorganische Hybridmaterialien
JP4139456B2 (ja) 1997-10-02 2008-08-27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脱気膜
DE69826148T2 (de) 1997-12-09 2005-09-22 SBA Materials, Inc., Santa Barbara Blockcopolymerverarbeitung für mesostrukturierte anorganische oxidmaterialien
WO2000049058A1 (en) 1999-02-18 2000-08-24 Novartis Ag New biomaterials
US6849185B1 (en) 1999-05-14 2005-02-01 Pall Corp Charged membrane
DE10022258A1 (de) 2000-05-08 2001-11-15 Bayer Ag Reinigung von Proteineinschlusskörpern durch Querstrom-Mikrofiltration
AUPR216100A0 (en) 2000-12-19 2001-01-25 Unisearch Limited Porous polymers
ITMI20010384A1 (it) * 2001-02-26 2002-08-26 Ausimont Spa Membrane idrofiliche porose
WO2002081372A2 (en) 2001-04-06 2002-10-17 Carnegie Mellon University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anostructured materials
GB2377447B (en) 2001-04-18 2003-06-25 Amersham Biosciences Ab Isolation of dna molecules
US6663584B2 (en) 2001-08-27 2003-12-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 bandage
EP1446432B1 (de) * 2001-10-16 2006-05-10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Fluorhaltige copolymer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7151120B2 (en) 2001-10-17 2006-12-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Degradable porous materials with high surface areas
JP3878452B2 (ja) 2001-10-31 2007-02-07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US6841079B2 (en) * 2002-05-31 2005-01-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orochemical treatment for silicon articles
AU2003303941A1 (en) 2002-09-07 2004-10-11 Arizona Board Of Regents Integ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liquids
KR101005970B1 (ko) 2002-11-19 2011-01-05 가부시키가이샤 아이 디자인 혈장 또는 혈청 분리막, 및 혈장 또는 혈청 분리막을이용한 필터 장치
US7312167B2 (en) 2002-12-23 2007-12-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thable multilayer films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EP1623227A4 (en) 2003-05-09 2009-03-04 Univ Maryland PROTEINS, SENSORS AND METHODS FOR CHARACTERIZING SUBSTANCES TO BE ANALYZED USING THESE PROTEINS AND THESE SENSORS
WO2005014149A1 (ja) 2003-08-07 2005-02-17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複合多孔膜とその製造方法
US20080219130A1 (en) 2003-08-14 2008-09-11 Mempile Inc. C/O Phs Corporate Servic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atting and Tracking Information for Three-Dimensional Storage Medium
US20060085062A1 (en) 2003-11-28 2006-04-20 Medlogics Device Corporation Implantable stent with endothelialization factor
US8025960B2 (en) 2004-02-02 2011-09-27 Nanosys, Inc. Porous substrates, articles, system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nanofibers and methods of their use and production
DE102004008219B3 (de) 2004-02-19 2005-10-27 Membrana Gmbh Integral asymmetrische Membra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7619036B2 (en) 2004-03-19 2009-11-17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Copolymers of fluorinated polydienes and sulfonated polystyrene
US20080193818A1 (en) 2004-03-19 2008-08-14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Copolymers of fluorinated polydienes and sulfonated polystyrene
WO2005091755A2 (en) * 2004-03-26 2005-10-06 Florid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Hydrophobic fluorinated polyelectrolyte complex films and associated methods
ES2403156T3 (es) 2004-05-31 2013-05-14 Nippon Soda Co., Ltd. Polímero de estrella acrílico
FR2876587B1 (fr) 2004-10-14 2007-04-20 Oreal Produit destine a etre impregne d'un liquide et kit comportant un tel produit
KR100721430B1 (ko) 2005-10-12 2007-05-23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나노다공성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DE102006025121A1 (de) 2006-05-30 2007-12-06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Darstellung von Mikro- und Nanoporen-Massenanordnungen durch Selbstorganisation von Nanopartikeln und Sublimationstechnik
EP1862188B1 (en) 2006-06-02 2018-02-28 Eidgenö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Zürich Porous membrane comprising a biocompatible block-copolymer
DE102006045282C5 (de) 2006-09-22 2012-11-22 Helmholtz-Zentrum Geesthacht Zentrum für Material-und Küstenforschung GmbH Isoporöse Membra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GB2443608B (en) 2006-09-25 2008-11-12 Michael Pritchard A water purifying device
US20080097271A1 (en) 2006-10-20 2008-04-24 Z-Medica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the delivery of hemostatic agents to bleeding wounds
WO2008140649A2 (en) 2007-03-07 2008-11-20 Carbolex, Inc. Boron-doped single-walled nanotubes (swcnt)
US8294139B2 (en) 2007-06-21 2012-10-23 Micron Technology, Inc. Multilayer antireflection coatings, structures and device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2010540215A (ja) 2007-09-21 2010-12-24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ナノ複合膜ならびにその作製および使用方法
WO2009097184A2 (en) 2008-01-14 2009-08-06 Cornell University Ordered porous mesostructured materials from nanoparticle-block copolymer self-assembly
KR100964504B1 (ko) 2008-02-14 2010-06-2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다공성 멤브레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서방성 약물 전달 장치
JP2009256592A (ja) 2008-03-18 2009-11-05 Fujifilm Corp 多孔質膜
CN201211329Y (zh) 2008-06-27 2009-03-25 洪亮 一种药盒
WO2010003141A1 (en) 2008-07-03 2010-01-07 Dxv Water Technologies, Llc Water treatment systems and methods
EP2160946A1 (en) 2008-09-09 2010-03-10 Polymers CRC Limit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antimicrobial article
CN102196849B (zh) 2008-10-28 2014-12-31 阿科玛股份有限公司 水通性聚合物薄膜
US20100108599A1 (en) 2008-11-03 2010-05-06 Kristof Vizvardi Filtration membrane with tubular support
EP2184292A1 (en) 2008-11-10 2010-05-12 Ulrich Kunzendorf Anti-Apoptotic Fusion Proteins
WO2010078194A1 (en) 2008-12-30 2010-07-08 Streck, Inc. Method for screening blood using a preservative that may be in a substantially solid state form
WO2010081114A2 (en) 2009-01-12 2010-07-15 20/20 Genesystems, Inc. Oligonucleotide-coated affinity membranes and uses thereof
WO2010085337A1 (en) 2009-01-21 2010-07-29 Creatv Microtech, Inc. Method of fabrication of micro and nanofilters
US8377015B2 (en) 2009-04-24 2013-02-19 Alcare Co., Ltd. Wound dressing and method for producing it
US20140046023A1 (en) 2009-07-28 2014-02-13 Instraction Gmbh Specific sorbent for binding proteins and peptides, and separation method using the same
WO2011055532A1 (ja) 2009-11-06 2011-05-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超音波流量計
WO2011060229A1 (en) 2009-11-12 2011-05-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orous thin films
JP2011131208A (ja) 2009-11-25 2011-07-07 Fujifilm Corp 結晶性ポリマー微孔性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濾過用フィルタ
KR20120124412A (ko) 2009-12-17 2012-11-13 인스트랙션 게엠베하 단백질과 펩티드 결합용 특이적인 흡착제 및 이를 이용한 분리 방법
US8206601B2 (en) 2009-12-18 2012-06-26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Supporting membranes on nanometer-scale self-assembled films
EP2533884A1 (en) 2010-02-11 2012-12-19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lf-assembled block copolymer membrane
EP2545986B1 (en) 2010-03-09 2020-12-09 Toyobo Co., Ltd.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for treatment of protein-containing liquid
JP2011189229A (ja) 2010-03-12 2011-09-29 Jx Nippon Oil & Energy Corp 排ガス処理システム
US8939294B2 (en) 2010-03-31 2015-01-27 General Electric Company Block copolymer membranes and associate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8709536B2 (en) 2010-09-01 2014-04-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osite filtration membranes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US20130344375A1 (en) 2011-01-11 2013-12-26 Toray Battery Separator Film Co., Ltd. Multilayer microporous film,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film, and use of the film
SG194779A1 (en) * 2011-05-04 2013-12-30 Univ Cornell Multiblock copolymer films, methods of making same, and uses thereof
JP2012246162A (ja) 2011-05-26 2012-12-13 Canon Inc ナノ多孔質薄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493960B (en) 2011-08-25 2013-09-18 Brightwake Ltd Non-adherent wound dressing
KR101852924B1 (ko) 2011-11-04 2018-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혼성 다공성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분리막 및 혼성 다공성 구조체의 제조 방법
WO2013102009A1 (en) 2011-12-28 2013-07-04 Hollister Incorporated Sound absorbing non-woven material, sound absorbing multilayer film, and laminates made thereof
US9005496B2 (en) 2012-02-01 2015-04-14 Pall Corporation Asymmetric membranes
CN104159657B (zh) 2012-02-21 2017-05-10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复合膜
DE102012207338A1 (de) 2012-05-03 2013-11-07 Helmholtz-Zentrum Geesthacht Zentrum für Material- und Küstenforschung GmbH Membran mit isoporöser trennaktiver Schich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mbran
EP2695669B1 (de) * 2012-08-09 2016-10-12 Helmholtz-Zentrum Geesthacht Zentrum für Material- und Küstenforschung GmbH Membran mit isoporöser trennaktiver Schich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mbran
GR20120100450A (el) 2012-08-30 2014-03-17 Αριστοτελειο Πανεπιστημιο Θεσσαλονικης-Ειδικος Λογαριασμος Κονδυλιων Ερευνας, Μεθοδος παρασκευης πολυστρωματικων, βιοαποικοδομησιμων πολυμερικων επικαλυψεων με νανοπορους και τα προϊοντα της
RU2651125C2 (ru) 2012-11-15 2018-04-18 Колопласт А/С Повязка на рану
DE102012221378A1 (de) 2012-11-22 2014-05-22 Helmholtz-Zentrum Geesthacht Zentrum für Material- und Küstenforschung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integral-asymmetrischen Hohlfaden-Polymermembran, integral-asymmetrische Hohlfaden-Polymermembran, Filtrationsmodul und Verwendung
KR20160020404A (ko) 2013-03-11 2016-02-23 유니버시티 오브 노트르 담 디락 다중블록 공중합체 및 사용 방법
ES2727636T3 (es) 2013-06-03 2019-10-17 Basf Se Membranas mejoradas
WO2015048244A1 (en) 2013-09-25 2015-04-02 Cornell University Multiblock copolymer films with inorganic nanoparticles, methods of making same, and uses thereof
FR3014876B1 (fr) 2013-12-13 2017-03-31 Arkema France Procede de realisation d'un film de copolymere a blocs sur un substrat
JP2015167914A (ja) 2014-03-07 2015-09-28 東レ株式会社 乾式複合分離膜および乾式複合分離膜エレメント
CN106255709A (zh) 2014-05-01 2016-12-21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有限公司 两亲嵌段共聚物,其组合物、膜和分离组件及其制备方法
US9469733B2 (en) 2014-05-30 2016-10-18 Pall Corporation Self-assembled structure and membrane comprising block co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by spin coating (IVa)
US9441078B2 (en) 2014-05-30 2016-09-13 Pall Corporation Self-assembling polymers—I
US9162189B1 (en) 2014-05-30 2015-10-20 Pall Corporation Membrane comprising self-assembled block co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by spin coating (Ia)
US9193835B1 (en) 2014-05-30 2015-11-24 Pall Corporation Self-assembling polymers—IV
US9592476B2 (en) 2014-05-30 2017-03-14 Pall Corporation Membrane comprising self-assembled block co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by hybrid casting (IIb)
US9169361B1 (en) 2014-05-30 2015-10-27 Pall Corporation Self-assembling polymers—VI
US9604181B2 (en) 2014-05-30 2017-03-28 Pall Corporation Membrane comprising self-assembled block co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by spray coating (IIc)
US9616395B2 (en) 2014-05-30 2017-04-11 Pall Corportaion Membrane comprising self-assembled block co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by spray coating (Ic)
US20170105877A1 (en) 2014-06-10 2017-04-20 M4 Medical Pty Ltd Wound dressing
DE102014213027A1 (de) 2014-07-04 2016-01-07 Helmholtz-Zentrum Geesthacht Zentrum für Material- und Küstenforschung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mbran mit isoporöser trennaktiver Schicht mit einstellbarer Porengröße, Membran, Filtrationsmodul und Verwendung
ES2808114T3 (es) 2014-08-12 2021-02-25 Dupont Safety & Construction Inc Proceso de fabricación de membranas
RU2657059C1 (ru) 2014-08-25 2018-06-08 Асахи Касеи Медикал Ко., Лтд. Пористая мембрана
CN107075110A (zh) 2014-10-31 2017-08-18 巴斯夫欧洲公司 制备膜的共聚物
DK3056260T3 (da) 2015-02-16 2020-04-27 Helmholtz Zentrum Geesthacht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n separeringsmembran og en separeringsmembran der kan fremstilles ved nævnte fremgangsmåde
US9643130B2 (en) 2015-03-31 2017-05-09 Pall Corporation Hydrophilically modified fluorinated membrane (IV)
FR3037071B1 (fr) 2015-06-02 2019-06-21 Arkema France Procede de reduction de la defectivite d'un film de copolymere a blocs
US9724649B2 (en) 2015-06-25 2017-08-08 Pall Corporation Self-wetting porous membranes (I)
CN105037667B (zh) * 2015-08-27 2017-12-19 济南大学 一种两亲性聚偏氟乙烯基嵌段共聚物及其应用
JP6667321B2 (ja) 2016-02-29 2020-03-18 フクダ電子株式会社 パルスオキシメータプローブ
CN105536580B (zh) 2016-03-14 2017-11-10 南京工业大学 一种均孔膜的制备方法
SG11201809515VA (en) 2016-04-28 2018-11-29 Terapore Tech Inc Charged isoporous materials for electrostatic separations
US10584215B2 (en) 2016-05-13 2020-03-10 Cornell University Films derived from two or more chemically distinct block copolymers, methods of making same, and uses thereof
US10576431B2 (en) 2016-08-15 2020-03-03 Pall Corporation Fluoropolymers and membranes comprising fluoropolymers (II)
CN106344539B (zh) 2016-08-25 2019-01-29 湖北大学 一种多功能靶向纳米胶囊抗癌药物的制备方法
KR102400741B1 (ko) 2016-08-31 2022-05-23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의료용 재료, 의료용 분리막, 및 혈액 정화기
JP6819175B2 (ja) 2016-09-20 2021-01-27 栗田工業株式会社 希釈薬液製造装置及び希釈薬液製造方法
KR102596197B1 (ko) 2016-11-17 2023-11-02 테라포어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고 분자량 친수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이소포러스 자기-조립 블록 공중합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EP3544720A4 (en) 2016-11-22 2020-07-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ROUS MEMBRANES COMPRISING PENTA-BLOCK COPOLYMER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KR102640611B1 (ko) * 2017-07-25 2024-02-27 테라포어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복합적인 블록 코폴리머 아키텍처의 다공성 재료
US20180043656A1 (en) 2017-09-18 2018-02-15 LiSo Plastics, L.L.C. Oriented Multilayer Porous Film
CN111971115A (zh) 2018-03-12 2020-11-20 特拉波雷技术有限公司 具有大孔隙的均孔介孔不对称嵌段共聚物材料及其制造方法
CN111971114A (zh) 2018-03-12 2020-11-20 特拉波雷技术有限公司 自支撑可打褶的嵌段共聚物材料以及制备其的方法
SG11202009658WA (en) 2018-04-04 2020-10-29 Terapore Tech Inc Encapsulating particle fractionation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their u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3299A (ja) * 2013-09-20 2015-04-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高分子多孔質膜及び高分子多孔質膜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566A (ko) 2020-03-24
US20200199264A1 (en) 2020-06-25
EP3621722A1 (en) 2020-03-18
WO2018209121A1 (en) 2018-11-15
CA3062637A1 (en) 2018-11-15
JP2020519734A (ja) 2020-07-02
MX2019013534A (es) 2020-02-10
CN110621394A (zh) 2019-12-27
US11572424B2 (en)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03144B2 (ja) 表面改質基板
JP4677230B2 (ja) 耐腐食性かつ低い蛋白質結合性表面を有する多孔質膜基体
Cheng et al. Development of smart poly (vinylidene fluoride)-graft-poly (acrylic acid) tree-like nanofiber membrane for pH-responsive oil/water separation
Mulvenna et al. Tunable nanoporous membranes with chemically-tailored pore walls from triblock polymer templates
CN101678279A (zh) 改性的多孔膜、将膜孔改性的方法及其使用方法
US20070272607A1 (en) Membrane surface modification by radiation-induced polymerization
EP1968792A1 (en) Functionalized substrates
TW201041955A (en) Non-dewetting porous membranes
Shen et al. Improved protein fouling resistance of PVDF membrane grafted with the polyampholyte layers
CN111971115A (zh) 具有大孔隙的均孔介孔不对称嵌段共聚物材料及其制造方法
He et al. Conferring pH-sensitivity on poly (vinylidene fluoride) membrane by poly (acrylic acid-co-butyl acrylate) microgels
Chen et al. Forming mechanism study of unique pillar-like and defect-free PVDF ultrafiltration membranes with high flux
Purkait et al. pH-responsive membranes
JP6464866B2 (ja) 表面修飾基材、ポリマー被覆基材、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111107924B (zh) 耐化学品的均孔交联嵌段共聚物结构
KR102590260B1 (ko) 내화학성 플루오린화 다중블록 중합체 구조체, 제조 방법 및 사용
Shevate Isoporous Block Copolymer Membranes: Novel Modification Routes and Selected Applications
WO2020075713A1 (ja) 微多孔膜を親水性にするための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親水性の微多孔膜
Bengani-Lutz Zwitterionic Copolymer Self-assembly for Fouling Resistant, High Flux Membranes with Small Molecule Selectivity
JP5152856B2 (ja) ポリマー成形体の同一ポリマーによる表面改質方法及び該方法により改質されたポリマー成形体
JPS61220705A (ja) 複合機能膜
JPH01215306A (ja) 荷電型分離膜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