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814B1 - 승차인 구속 장치 - Google Patents

승차인 구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814B1
KR102556814B1 KR1020217002795A KR20217002795A KR102556814B1 KR 102556814 B1 KR102556814 B1 KR 102556814B1 KR 1020217002795 A KR1020217002795 A KR 1020217002795A KR 20217002795 A KR20217002795 A KR 20217002795A KR 102556814 B1 KR102556814 B1 KR 102556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fabric
seat cushion
seat
fabric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2752A (ko
Inventor
테쯔야 마쯔시따
히로유끼 사이또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10022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002/5808Seat coverings comprising opening zones for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좌석 측부로 전개하는 장력포를 구비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에 있어서 승차인 구속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을 도모한다.
본 발명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의 구성은 한 쌍의 에어백과, 시트백 내부터 좌석의 시트 쿠션 내에 걸쳐 수용되고, 에어백 각각의 외측 표면에 접하여 전개하는 좌측 장력포 및 우측 장력포와, 시트 쿠션의 내부에서 좌측 장력포 및 우측 장력포의 전단들을 접속하는 하부 장력포를 구비하고, 하부 장력포는 시트 쿠션의 좌우 방향의 중앙, 시트 쿠션의 전후 방향 중앙보다 전방측에 위치하고, 좌측 장력포 및 우측 장력포는 시트 쿠션의 내부에 있어서 각각 하부 장력포의 좌우 양단에서 후방을 향함에 따라 좌우로 멀어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에어백이 팽창 전개하면 시트백과 시트 쿠션 사이에 건너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차인 구속 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에어백 장치가 거의 표준으로 장비되어 있다. 에어백 장치는 차량 충돌 등의 긴급 시에 작동하는 안전 장치로서, 가스압으로 팽창 전개하여 승차인을 받아내어 보호한다. 에어백 장치에는 설치 장소나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승차인 구속 장치에는 좌석의 양측 측부에 승차인의 바로 옆구리로 팽창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특허문헌 1의 승차인 구속 장치에서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장력이 부여되어 에어백과 시트 쿠션의 양측면과의 사이로 펼치는 장력포(張力布)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장력포에 의한 에어백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에 의한 승차인 구속 성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허문헌1 : 국제특허공개 제2016/039160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승차인 구속 장치에 의하면 승차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에어백의 이동을 장력포에 의해 알맞게 규제할 수 있어, 에어백에 의한 승차인 구속 성능이 비약적으로 높아졌다. 그러나 승차인 구속 장치에는 승차인 구속 성능의 향상을 언제나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승차인 구속 성능이 한층 더 향상한 승차인 구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로서,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좌석의 좌우 양측 내부에 각각 수용되어 승차인의 좌우로 각각 팽창 전개하는 한 쌍의 에어백과, 좌석의 시트백 내로 부터 좌석의 시트 쿠션 내에 걸쳐 수용되고, 한 쌍의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에어백 각각의 외측 표면에 접하여 전개하는 좌측 장력포 및 우측 장력포와, 시트 쿠션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여 좌측 장력포 및 우측 장력포의 전단들을 접속하고 있는 하부 장력포를 구비하며, 하부 장력포는 시트 쿠션의 좌우 방향의 적어도 중앙 근방에 위치하고, 나아가 시트 쿠션의 전후 방향의 중앙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며, 좌측 장력포 및 우측 장력포는 시트 쿠션의 내부에 있어서 하부 장력포의 좌우 양단부 각각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좌우 양측 방향으로 멀어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에어백이 팽창 전개하면 좌측 장력포 및 우측 장력포가 좌석의 측부로 전개하고, 시트백과 시트 쿠션 사이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시트 쿠션 내부에 있어서 좌측 장력포, 우측 장력포 및 하부 장력포(이하, 이들을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장력포로 총칭함)는 시트 쿠션을 상방에서 관찰할 때에 아랫변을 제거한 사다리꼴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대략 사각 형상의 시트 쿠션의 외주를 따라 장력포를 배치한 경우(장력포가 긴 경우)에 비하여 장력포의 길이가 짧아진다. 따라서, 장력포의 장력을 높일 수 있고, 에어백을 승차인측으로 가압하는 힘이 강해진다. 이 때문에 승차인 구속 장치의 승차인 구속 성능의 한층 더 높은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에어백은 좌석의 시트백의 좌우 양측 내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상술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좌측 장력포 및 우측 장력포에 의해 시트 쿠션의 표피가 개열(開裂)하는 장소는 시트 쿠션의 전후 방향 중앙보다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좌측 장력포 및 우측 장력포의 시트 쿠션의 표피를 개열하는 장소(이하, 개열 장소라고 칭함)를 시트 쿠션의 전후 방향 중앙보다 전방측에 배치한 경우에 비하여 장력포의 길이를 더욱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좌측 장력포 및 우측 장력포는 좌석의 측부로 전개할 때에 시트백과 시트 쿠션 사이에서 승차인의 대퇴부(大腿部) 측방(側方)을 통과하면 된다. 이에 의해 좌석의 측부로 전개한 좌측 장력포 및 우측 장력포에 의해 승차인의 대퇴부를 구속할 수 있다. 따라서, 승차인 구속 성능의 한층 더 높은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장력포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승차인의 좌우 양 다리부가 시트 쿠션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었을 때, 착석시의 승차인을 전방에서 보았을 때의 허리 부분의 폭보다도 좁으면 된다. 이에 의해 하부 장력포에 접속되는 좌측 장력포 및 우측 장력포의 전단(前端)은 승차인의 허리 부분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좌측 장력포 및 우측 장력포가 더욱 확실하고 신속하게 승차인의 허리부를 구속할 수 있고, 상술한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차인 구속 성능이 더욱 향상한 승차인 구속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좌석에 승차인이 착석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시트 쿠션 내부에 있어서의 장력포의 배치를 예시하는 도이다.
아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알맞은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기타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특별히 지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본 발명에 직접 관련이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승차인이 정규 자세로 좌석에 착석했을 때에 승차인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전방(前方), 그 반대 방향을 후방(後方)으로 칭한다. 또한 승차인이 정규 자세로 좌석에 착석했을 때에 승차인의 우측을 우측 방향, 승차인의 좌측을 좌측 방향으로 칭한다. 나아가 승차인이 정규 자세로 착석했을 때에 승차인의 머리부 방향을 상부 방향, 승차인의 허리부 방향을 하부 방향으로 칭한다. 그리고 아래의 설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도면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상술한 승차인을 기준으로 한 전, 후, 좌, 우, 상, 하, 방향을 Fr, Rr, L, R, UP, Down으로 나타낸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승차인 구속 장치(100)를 예시하는 도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1에서는 좌석(11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부재(후술하는 에어백 및 장력포)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에어백이 비팽창 전개시의 좌석을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100)는 좌석(110)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100)는 차량(전체는 도시하지 않음)의 좌석(110), 좌측 에어백(120a)과 우측 에어백(120b) 및 좌측 장력포(130a)와 우측 장력포(130b), 하부 장력포(132)를 구비한다.
좌석(110)은 승차인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시트백(112)을 구비한다. 시트백(112)의 하방에는 승차인이 착석하는 시트 쿠션(114)이 설치되어 있다. 시트백의 상방에는 승차인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1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쿠션(114)이란 좌석면 하부의 쿠션 부분 및 쿠션 부분의 하방에 배치되는 시트팬(seat pan)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에어백(120a, 120b)(사이드 에어백)은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좌석(110)의 시트백(112)의 좌우 양측 내부에 각각 수납되고, 커버(118)에 의해 덮여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우 양측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은 차량의 충돌 등 때에 좌석(110)에 착석한 승차인의 양측방으로 팽창 전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에어백(120a, 120b)이 좌석(110)의 시트백(112)에 수납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어백(120a, 120b)이 좌석(110)의 시트 쿠션(114)에 수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는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 각각에 대하여 설치된다. 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는 수납되어 있는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의 승차인의 반대측을 각각 지나서 좌석(110)의 시트백(112) 내로 부터 시트 쿠션(114) 내에 걸쳐 수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좌석(110)에 승차인(P)이 착석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좌석(110)을 전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2(b)는 도 1의 좌석(110)을 측방에서 관찰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2(a) 및 2(b)에서는 에어백(120a, 120b)이 팽창 전개한 상태를 예시하고, 승차인(P)으로서는 전면 충돌 시험용 인체 더미 성인 남성/성인 여성(Hybrid-III50th Percentile Male Dummy/Hybrid-III5th Percentile Female Dummy)을 상정하고 있다. 전면 충돌 시험용 인체 더미 성인 남성/성인 여성은 미국 고속도로 교통 안전 협회(NHTSA :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의 규격 [49 CFR Part572 Subpart E 및 0]에서 규정된 전명 충돌 시험용 인체 더미이며, 전부 국내 동일 법규 [신형 자동차 시험 방법](TRIAS : Traffic Safety and nuisance Research Institute's Automobile type Approval test Standard )에 준거하고 있다.
도 2(a) 및 도 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충돌 등 때에는 에어백(120a, 120b)이 각각 승차인의 좌우로 팽창 전개한다.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는 에어백(120a, 120b)의 팽창 전개에 의해 좌석(110)의 표피를 개열 함으로써 에어백(120a, 120b)의 승차인(P)의 반대측의 표면 즉,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 각각의 외측 표면에 접하여 좌석(110)의 측부로 각각 전개한다. 도 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개한 좌측 장력포(130a)는 시트백(112)의 상면의 좌우 방향에서 승차인(P)의 어깨부보다 내측 근방부터 시트 쿠션(114)까지 건너지른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서는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가 시트 쿠션(114)의 상면에서 좌석(110)의 외부로 전개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가 시트 쿠션(114)의 측면이나, 측면과 상면 사이의 경계 근방에서 좌석(110)의 외부로 전개하는 구성으로 해도 동일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1의 시트 쿠션(114) 내부에 있어서의 장력포의 배치를 예시하는 도이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서는 종래에 있어서의 장력포의 배치를 이점쇄선에 의해 예시하고 있다.
도 3(a) 및3(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하부 장력포(132)는 시트 쿠션(114)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고,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의 전단들을 접속하고 있다.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부 장력포(132)는 그 전체에 걸쳐 시트 쿠션(11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장력포(132)가 그 전체에 걸쳐 시트 쿠션(114)에 고정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장력포(132)는 적어도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와의 접속 장소가 시트 쿠션(114)에 고정되어 있으면 된다.
도 3(a)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하부 장력포(132)는 시트 쿠션(114)의 좌우 방향(폭(W1))의 중앙(W1C)에 위치하고, 시트 쿠션(114)의 전후 방향(폭(W2))의 중앙(W2C)보다 전방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하부 장력포(132)에 접속된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는 시트 쿠션(114)의 내부에 있어서 각각 하부 장력포(132)의 좌우 양단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좌우로 멀어지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도 3(a)에 이점쇄선에 의해 예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하부 장력포(32)는 시트 쿠션(114)의 좌우 방향의 폭(W2)과 거의 동일한 가로폭을 가지고, 그 전체 폭에 걸쳐 배치되어 있었다. 그리고 하부 장력포(32)의 좌우 양단에 접속된 좌측 장력포(30a) 및 우측 장력포(30b)는 시트 쿠션(114)의 측연(側緣)(114b)을 따라 배치된다.
즉, 도 3(a) 및3(b)에 이점쇄선에 의해 예시하는 종래의 배치를 채용한 경우, 하부 장력포(32)는 시트 쿠션(114)의 전연(前緣)(114a)을 따라 배치되고, 좌측 장력포(30a) 및 우측 장력포(30b)는 각각 시트 쿠션(114)의 양 측연(114b)을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시트 쿠션(114)의 내부에 있어서 좌측 장력포(30a), 우측 장력포(30b) 및 하부 장력포(32)는 시트 쿠션(114)의 거의 외주에 걸쳐지도록 배치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승차인 구속 장치(100)에서는 도 3(a)에 실선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하부 장력포(132)는 시트 쿠션(114)의 좌우 방향의 폭(W2)보다 짧다. 그리고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는 그 양단에서 후방을 향함에 따라 시트 쿠션(114)의 좌우 방향 중앙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시트 쿠션(114) 내부에 있어서 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 및 하부 장력포(132)는 시트 쿠션(114)을 상방에서 관찰했을 때에 아랫변을 제거한 사다리꼴 형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배치에 의하면 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 및 하부 장력포(132)의 전체 길이는 대략 사각 형상의 시트 쿠션(114)의 외주를 따라 장력포를 배치한 경우 즉, 종래의 배치에 비하여 짧아진다. 이에 의해 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 및 하부 장력포(132)의 장력을 높일 수 있고, 에어백(120a, 120b)을 승차인측으로 가압하는 힘이 강해진다. 이 때문에 승차인 구속 장치(100)의 승차인 구속 성능의 더욱 높은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는 시트 쿠션(114)의 내부에 있어서 각각 하부 장력포(132)의 좌우 양단부에서 후방을 향함에 따라 좌우 양측 방향으로 멀어지도록 배치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가 시트 쿠션(114) 내에서 좌우 방향 중앙에서 멀어짐에 따라 펼쳐지도록 배치되는 구성에 있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의 시트 쿠션(114)에 있어서의 개열 장소(P1)를, 시트 쿠션(114)의 전후 방향 중앙(W1C)보다 후방측에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의 시트 쿠션(114)의 개열 장소를 시트 쿠션(114)의 전후 방향 중앙(W1C)보다 전방측에 배치한 경우에 비하여 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 및 하부 장력포(132)의 전체 길이가 더욱 짧아진다. 따라서, 상술한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도 3(a)에서는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의 시트 쿠션의 개열 장소(P1)를, 시트 쿠션(114)의 전후 방향 중앙(W1C)보다 후방 영역 중, 특히 시트 쿠션(114)의 후단(後端)부 근방에 배치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도 3(b)에서는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의 시트 쿠션(114)의 개열 장소(P2)를, 시트 쿠션(114)의 전후 방향 중앙(W1C) 근방에 배치하고 있다. 도 3(b)에 예시하는 배치에 있어서도 종래와 같이 시트 쿠션(114)의 외주를 따라 장력포를 배치하는 경우보다도 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 및 하부 장력포(132)의 전체 길이가 짧아진다. 따라서,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 도 3(b)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도 3(a)의 개열 장소(P1)와 비교하여 중앙(W1C)의 더욱 근방에 배치된 개열 장소(P2)를 채용하면 개열 장소(P2)보다도 후방 영역에서는,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는 시트 쿠션(114)의 측연(114b)을 따라 더욱 길게 배치되게 된다. 이 때문에 도 3(b)에 예시하는 배치에서는 좌측 장력포(130a), 우측 장력포(130b) 및 하부 장력포(132) 전체 길이는 이점쇄선으로 예시하는 종래 배치보다는 짧아지지만, 도 3(a)에 예시하는 배치보다는 길어진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도 3(a)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개열 장소(P1)를 쿠션(114) 후단에 가깝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좌측 장력포(130a)는 좌석(110)의 측부로 전개했을 때에 시트백(112)과 시트 쿠션(114) 사이에서 승차인(P)의 대퇴부(P1) 측방을 통과한다. 도 2(b)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우측 장력포(130b)도 마찬가지로 승차인(P)의 대퇴부(P1)의 측방을 통과한다. 이에 의해 좌석(110)의 측부로 전개한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에 의해 승차인(P)의 대퇴부(P1)가 구속된다. 따라서, 승차인 구속 성능의 더욱 높은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부 장력포(132)의 좌우 방향의 길이(L)는 승차인(P)의 좌우 양 다리부가 시트 쿠션(114)의 좌우 방향 중앙부(W2C)에 배치되었을 때의 좌우 양 다리부의 폭보다도 좁으면 된다. 상세하게는 도 2(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승차인(P)의 다리부(P1)의 폭이 (P1W)일 때, 하부 장력포(132)의 좌우 방향의 길이(L)는 [P1W×2]보다도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하부 장력포(132)의 좌우 방향의 길이(L)는 승차인(P)의 좌우 양 다리부가 시트 쿠션(114)의 좌우 방향 중앙부(W2C)에 배치되었을 때, 착석시의 승차인(P)을 전방에서 보았을 때(도 2(a) 참조)의 허리 부분의 폭보다도 좁으면 된다. 이에 의해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가 더욱 확실하면서 신속하게 승차인의 허리부를 구속할 수 있고, 더욱 높은 승차인 구속 성능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하부 장력포(132)에 접속되는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30b)의 전단은 승차인(P)의 좌우 양 다리부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가 더욱 확실하면서 신속하게 승차인(P)의 대퇴부(P1)를 구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승차인 구속 장치(100)의 승차인 구속 성능의 더욱 높은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한 쌍의 에어백(120a, 120b)에 대하여 장력포(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가 하나씩 설치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하나의 에어백에 대하여 두 개 이상 장력포가 설치되는 구성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가 에어백(120a, 120b)의 팽창 전개에 의해 좌석(110)의 표피를 개열 함으로써 좌석(110)의 측부로 각각 전개하는 구성을 예시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가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로 좌석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좌측 장력포(130a) 및 우측 장력포(130b)가 케이스로부터 나온 후에 시트 쿠션을 개열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알맞은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이상에서 서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알맞은 예로서 이것 이외의 실시형태도 각종 방법으로 실시 또는 수행 가능하다. 특별히 본원 명세서 중에 한정되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 발명은 첨부 도면에 나타낸 상세한 부품의 형상, 크기 및 구성 배치 등에 제약받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 명세서 중에 사용된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특별히 한정된다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변형예 또는 수정예로 상정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P1…대퇴부
30a…좌측 장력포
30b…우측 장력포
32…하부 장력포
100…승차인 구속 장치
110…좌석
112…시트백
114…시트 쿠션
114a…전연
114b…측연
116…헤드레스트
120a…에어백
120b…에어백
130a…좌측 장력포
130b…우측 장력포
132…하부 장력포
P…승차인

Claims (5)

  1.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을 구속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로서,
    상기 승차인 구속 장치는,
    상기 좌석의 좌우 양측 내부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승차인의 좌우로 각각 팽창 전개하는 한 쌍의 에어백과,
    상기 좌석의 시트백 내부터 상기 좌석의 시트 쿠션 내에 걸쳐 수용되고, 상기 한 쌍의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상기 에어백 각각의 외측 표면에 접하여 전개하는 좌측 장력포 및 우측 장력포와,
    상기 시트 쿠션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좌측 장력포 및 상기 우측 장력포의 전단들을 접속하고 있는 하부 장력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장력포는 상기 시트 쿠션의 좌우 방향의 적어도 중앙 근방에 위치하고, 나아가 상기 시트 쿠션의 전후 방향 중앙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며,
    상기 좌측 장력포 및 상기 우측 장력포는 상기 시트 쿠션의 내부에 있어서 각각 상기 하부 장력포의 좌우 양단에서 후방을 향함에 따라 좌우 양측 방향으로 멀어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백이 팽창 전개하면 상기 좌측 장력포 및 상기 우측 장력포가 상기 좌석의 측부로 전개하고, 상기 시트백과 상기 시트 쿠션 사이를 건너지르며,
    상기 하부 장력포는 상기 시트 쿠션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짧게 마련되고,
    상기 시트 쿠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좌측 장력포, 우측 장력포 및 하부 장력포는 상기 좌측 장력포, 우측 장력포 및 하부 장력포의 장력을 높여서 승차인의 구속 성능을 높이도록, 상기 시트 쿠션을 상방에서 관찰했을 때에 아랫변을 제거한 사다리꼴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좌측 장력포 및 우측 장력포에 의해 시트 쿠션이 개열(開裂)하는 장소는 시트 쿠션의 전후 방향 중앙보다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장력포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상기 좌측 장력포 및 우측 장력포가 상기 승차인의 대퇴부를 구속하도록, 상기 승차인의 좌우 양 다리부가 상기 시트 쿠션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었을 때, 착석시 상기 승차인의 좌우 양 다리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에어백은 상기 좌석의 시트백의 좌우 양측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장력포 및 상기 우측 장력포는 상기 좌석의 측부로 전개했을 때에 상기 시트백과 상기 시트 쿠션 사이에서 상기 승차인의 대퇴부 측방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인 구속 장치.
  5. 삭제
KR1020217002795A 2018-07-19 2019-06-28 승차인 구속 장치 KR102556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35888 2018-07-19
JP2018135888 2018-07-19
PCT/JP2019/025942 WO2020017281A1 (ja) 2018-07-19 2019-06-28 乗員拘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752A KR20210022752A (ko) 2021-03-03
KR102556814B1 true KR102556814B1 (ko) 2023-07-18

Family

ID=69163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795A KR102556814B1 (ko) 2018-07-19 2019-06-28 승차인 구속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94684B2 (ko)
EP (1) EP3825188B1 (ko)
JP (1) JP7026233B2 (ko)
KR (1) KR102556814B1 (ko)
CN (1) CN112424032B (ko)
WO (1) WO20200172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68662A (zh) 2020-07-28 2023-03-07 奥托立夫开发公司 乘员约束装置
US11590920B2 (en) * 2020-09-23 2023-02-28 Autoliv Asp, Inc. Seat-centric airbag system with pelvis restraint chamber
US11220234B1 (en) 2020-10-14 2022-01-11 Autoliv Asp,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seat including adaptive venting
US11247633B1 (en) 2020-10-26 2022-02-15 Autoliv Asp,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seat including an inflatable tensioning member for an airbag
US11590922B2 (en) 2020-11-11 2023-02-28 Autoliv Asp,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seat including external tether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8473A1 (ja) 2012-01-17 2013-07-2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JP2013220714A (ja) 2012-04-16 2013-10-28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シート
JP2014012475A (ja) 2012-07-04 2014-01-23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9993A (en) * 1997-10-06 2000-02-29 Inova Gmbh Technische Entwicklungen Side airbag device,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and vehicle seat therewith
JP2000108835A (ja) * 1998-10-08 2000-04-18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20080116669A1 (en) * 2006-11-14 2008-05-22 Toyoda Gosei Co., Ltd. Knee-protecting airbag device
CN104039603B (zh) * 2011-12-28 2017-02-15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座椅
JP5594327B2 (ja) * 2012-07-10 2014-09-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776648B2 (ja) * 2012-08-10 2015-09-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EP2889189B1 (en) * 2012-08-27 2018-07-1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ide air bag device
JP6434524B2 (ja) * 2014-09-08 2018-12-0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乗員拘束装置
KR101636900B1 (ko) 2015-09-03 2016-07-20 안웅권 음료용기 살균장치
KR101621960B1 (ko) 2016-01-29 2016-06-01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회전범위를 갖는 원단고정지그를 적용한 자동차 도어트림 암레스트의 스티치 라인 정렬 장치
DE102017218338A1 (de) * 2017-10-13 2019-04-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irbag-anordnung für einen fahrzeugsitz eines kraftfahrzeugs
JP6762328B2 (ja) * 2018-02-14 2020-09-3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乗員拘束装置
JP6670510B2 (ja) * 2018-03-30 2020-03-25 株式会社Subaru 車両の乗員保護装置
CN113165593B (zh) * 2018-10-19 2023-10-13 奥托立夫开发公司 车辆安全气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8473A1 (ja) 2012-01-17 2013-07-2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JP2013220714A (ja) 2012-04-16 2013-10-28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シート
JP2014012475A (ja) 2012-07-04 2014-01-23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24032B (zh) 2023-03-07
JP7026233B2 (ja) 2022-02-25
EP3825188A4 (en) 2021-12-29
KR20210022752A (ko) 2021-03-03
EP3825188B1 (en) 2023-03-15
US20210316695A1 (en) 2021-10-14
JPWO2020017281A1 (ja) 2021-05-13
WO2020017281A1 (ja) 2020-01-23
US11794684B2 (en) 2023-10-24
CN112424032A (zh) 2021-02-26
EP3825188A1 (en)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6814B1 (ko) 승차인 구속 장치
CN109421650B (zh) 用于车辆的气囊和相关的车辆
CN111448106B (zh) 乘员约束装置
CN114340945B (zh) 安全气囊装置及车辆座椅
US11498512B2 (en) Airbag assembly for a vehicle seat of a motor vehicle
JP4552840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2546111A1 (en) Head Airbag
US20230012314A1 (en) Occupant restraint device
JPWO2013094027A1 (ja) 車両用シート
US11167714B2 (en) Occupant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US20220355756A1 (en) Side airbag device
KR20220075368A (ko) 에어백 장치 및 차량용 시트
US11858448B2 (en) Airbag device and vehicle seat
KR20230082657A (ko) 에어백 장치
WO2020017282A1 (ja) 乗員拘束装置
KR102408036B1 (ko) 에어백 장치
JP2019108041A (ja) 後席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20062923A (ja) 乗員拘束装置
JP7441961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20230415695A1 (en) Safety restraint system for lower extremities in automated driving
KR101697920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2017114456A (ja) センターエアバッグ装置
JP5659137B2 (ja) エアバッグ
JP4513719B2 (ja) 車両用エア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