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657B1 -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657B1
KR102537657B1 KR1020210014696A KR20210014696A KR102537657B1 KR 102537657 B1 KR102537657 B1 KR 102537657B1 KR 1020210014696 A KR1020210014696 A KR 1020210014696A KR 20210014696 A KR20210014696 A KR 20210014696A KR 102537657 B1 KR102537657 B1 KR 102537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sposed
seat
vertical direction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2073A (ko
Inventor
줌페이 와타나베
야스히로 하라
노리마사 고레이시
히로타카 이시오카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10102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1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the inflatable member formed as a belt or harness or combined with a belt or harness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26Rigid partitions inside vehicles, e.g. between passengers and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60R2022/263Front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시트 (70) 의 차량 후방측에, 차실 (14) 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구분하는 파티션부 (76) 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파티션부 (76) 에는, 구속 장치 (74) 의 일부가 장착되어 있고, 구속 장치 (74) 의 웨빙 (110) 은, 파티션부 (76) 측으로부터 인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VEHICLE OCCUPANT RESTRAINT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172040호에는, 탑승자 구속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이 탑승자 구속 장치는, 차량의 제동시나 차량에 대한 충돌 하중 입력시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고 있는 탑승자를 구속하여,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에서는, 차체의 측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센터 필러로부터 웨빙이 인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용 시트를 차체의 측부의 근방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상기 선행 기술에서는, 차량용 시트의 배치 위치의 자유도를 확보한다는 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배치 위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고 있는 탑승자를 구속할 수 있는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는, 차실 내에 배치된 차량용 시트와, 상기 차량용 시트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차실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구분하는 구분부와, 일부가 상기 구분부에 장착됨과 함께, 당해 구분부측으로부터 웨빙을 인출 가능하게 되고, 상기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자를 구속 가능하게 된 구속 장치를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차실 내에 차량용 시트가 배치되어 있고, 당해 차량용 시트에 탑승자가 착석한다. 그리고,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자는, 구속 장치에 의해 구속된다.
그런데, 차체의 측부측으로부터 구속 장치의 웨빙이 인출되는 구성에서는, 차량용 시트를 차체의 측부의 근방에 배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차량용 시트의 배치 위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양태에서는, 차량용 시트의 차량 후방측에, 차실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구분하는 구분부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분부에는, 구속 장치의 일부가 장착되어 있고, 당해 구속 장치의 웨빙은, 당해 구분부측으로부터 인출된다.
이 때문에, 차량용 시트가 차체의 측부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구속 장치의 웨빙에 의해 차량용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를 구속할 수 있다.
상기 구분부는, 상기 차실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패널과 당해 차실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 사이에 차량 상하 방향으로 걸쳐 놓여지고, 상기 구분부의 차량 폭 방향의 제 1 측에 배치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필러부와, 상기 구분부의 차량 폭 방향의 제 2 측에 배치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필러부와, 상기 제 1 필러부 및 상기 제 2 필러부에 직접 또는 부재를 통하여 연결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루프 패널을 보강하는 어퍼 크로스부와, 상기 제 1 필러부 및 상기 제 2 필러부에 직접 또는 부재를 통하여 연결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로어 패널을 보강하는 로어 크로스부를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의 배치 위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고 있는 탑승자를 구속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분부가, 차실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패널과 당해 차실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 사이에 차량 상하 방향으로 걸쳐 놓여져 있다. 이 때문에, 차량용 시트측으로부터 구속 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하중은, 구분부를 통하여 루프 패널 및 플로어 패널에 전달된다.
또, 구분부의 차량 폭 방향의 제 1 측에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필러부가 배치되어 있고, 당해 구분부의 차량 폭 방향의 제 2 측에는,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필러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루프 패널이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퍼 크로스부로 보강되어 있고, 당해 어퍼 크로스부는, 제 1 필러부 및 제 2 필러부에 직접 또는 제 1 부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한편, 플로어 패널은,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어 크로스부로 보강되어 있고, 당해 로어 크로스부는, 제 1 필러부 및 제 2 필러부에 직접 또는 제 2 부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실에는, 차량 전후 방향에서 봤을 때에 환상으로 된 환상 구조부가 구성되게 된다.
여기서, 구분부와 상기 서술한 환상 구조부가 연속되어 있어, 탑승자에게 발생하는 관성력이, 구속 장치 및 구분부를 통하여 당해 환상 구조부에 전달되어 지지된다.
이와 같이,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자를, 구속 장치에 의해 안정적인 상태로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시트는, 상기 차실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용 시트를 상기 구분부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구속 장치는, 상기 구분부에 장착됨과 함께 상기 웨빙을 인출 가능하게 된 리트랙터와, 상기 웨빙에 형성된 텅 플레이트를 걸어맞춤 가능하게 됨과 함께, 상기 차량용 시트 또는 상기 지지부에 장착된 버클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차량용 시트가 차실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차량용 시트는, 지지부에 의해 구분부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 구속 장치는, 웨빙을 인출 가능하게 된 리트랙터와, 당해 웨빙에 형성된 텅 플레이트를 걸어맞춤 가능하게 된 버클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리트랙터는 구분부에 장착되어 있고, 버클은 차량용 시트 또는 지지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량용 시트를 차실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배치해도, 구속 장치의 리트랙터 및 버클을 당해 차량용 시트의 근방에 배치하여, 구속 장치의 웨빙에 의해 차량용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를 안정적인 상태로 구속할 수 있다.
상기 구분부는, 차량 폭 방향 및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됨과 함께 상기 차실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패널과 당해 차실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 사이에 차량 상하 방향으로 걸쳐 놓여진 파티션 패널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파티션 패널에는, 상기 구속 장치의 일부가 장착되고, 상기 파티션 패널은, 상기 차실을 상기 차량용 시트가 배치된 운전실과 객실로 구분하고 있어도 된다.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는, 상기 파티션 패널을 보강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파티션 패널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폐단면 구조부를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파티션 패널은, 1 쌍이고 또한 서로에 대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차량용 시트가 차실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배치되는 구성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고 있는 탑승자를 구속 장치에 의해 안정적인 상태로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특징들, 장점들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되고,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차실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에 있어서의 필러부 주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6 의 2-2 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에 있어서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6 의 3-3 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에 있어서의 필러부 주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 단면도 (도 6 의 4-4 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에 있어서의 파티션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 의 5-5 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 도 6 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적절히 나타내는 화살표 FR 은 차량 전방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UP 는 차량 상방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LH 는 차량 폭 방향 좌측을 나타내고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가 적용된 「차량 (10)」은, 강제의 차체 (12) 와, 차체 (12) 를 지지하는 강제의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고, 소위 프레임 구조로 되어 있다.
차체 (12) 는, 외형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방체상으로 된 박스상으로 됨과 함께, 기본적으로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 (CL) (도 5 참조) 에 대하여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고, 「차실 (14)」의 주된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차실 (14)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구분부로서의 「파티션부 (76)」로 차량 전후 방향으로 구분되어 있고, 차실 (14) 에 있어서의 파티션부 (76) 보다 차량 전방측의 부분은, 운전실 (16) 로 되어 있고, 차실 (14) 에 있어서의 파티션부 (76) 보다 차량 후방측의 부분은, 객실 (18) 로 되어 있다.
차체 (12) 는, 차실 (14) 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부 (20), 차실 (14) 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플로어부 (22), 루프부 (20) 와 플로어부 (22) 를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 필러부 (24)」 및 「제 2 필러부 (2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루프부 (20) 는, 도 3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면을 구성하는 「루프 패널 (28)」, 그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1 쌍의 루프 사이드 레일 (30), 루프 패널 (28) 을 보강하는 「어퍼 크로스부 (32)」 및 보강 패널 (34)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 에서는, 루프 사이드 레일 (30) 등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루프 패널 (28) 을 도시하고 있지 않다.
루프 패널 (28) 은, 판두께 방향이 차량 상하 방향으로 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에서 봤을 때에 차량 전후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된 사각형의 판상으로 되어 있고, 차량 전후 방향에서 봤을 때에 차량 상방측으로 볼록하게 되어 만곡되어 있다.
루프 사이드 레일 (30) 은, 루프 패널 (28) 의 차량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그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사이드 레일 어퍼 (36) 와, 그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사이드 레일 로어 (38)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루프 사이드 레일 (30) 은, 그 외형이, 차량 폭 방향의 치수가 차량 상하 방향의 치수보다 긴 치수로 설정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방체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루프 사이드 레일 어퍼 (36) 에는, 루프 패널 (28)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가,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루프 사이드 레일 (30) 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12) 의 측부 (40) 에 형성된 도어 개구부 (42) 의 상측 가장자리부 (42A) 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루프 사이드 레일 (30) 의 차량 하방측에는, 도어 개구부 (42) 를 개폐하는 도시되지 않은 슬라이드 도어를 배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어퍼 크로스부 (32)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프 패널 (28) 의 차량 하방측에 루프 패널 (28) 을 따라 배치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어퍼 크로스부 (32) 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차량 상방측으로 개방된 해트상으로 되어 있고, 그 플랜지부 (32A) 가 루프 패널 (28)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어퍼 크로스부 (32) 는, 루프 패널 (28) 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퍼 크로스부 (32)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는, 장착편부 (32B)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편부 (32B) 는,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루프 사이드 레일 어퍼 (36) 에 접합되어 있다.
보강 패널 (34) 은, 도 6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프 사이드 레일 어퍼 (36) 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상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보강 패널 (34) 에는,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면과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면의 각각에,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34A) 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 패널 (34) 의 차량 상방측의 단부는 루프 패널 (28) 에, 보강 패널 (34) 의 차량 하방측의 단부는 루프 사이드 레일 어퍼 (36) 에, 각각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플로어부 (2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실 (16) 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프론트 플로어부 (22A) 와, 객실 (18) 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센터 플로어부 (22B)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플로어부 (22A) 는, 프론트 플로어 패널 (44) 과, 크로스 멤버 (46)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플로어 패널 (44) 은, 그 차량 전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프론트 패널부 (44A) 와, 그 차량 후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리어 패널부 (44B)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패널부 (44A) 는, 차량 상하 방향에서 봤을 때에 차량 전후 방향 및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되어 있고, 리어 패널부 (44B) 는, 프론트 패널부 (44A) 의 차량 후방측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차량 하방측이고 또한 차량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크로스 멤버 (46) 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차량 하방측으로 개방된 해트상으로 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크로스 멤버 (46) 는, 프론트 패널부 (44A) 의 차량 후방측의 부분에 있어서의 차량 상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그 플랜지부 (46A) 가 프론트 패널부 (44A)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이로써, 크로스 멤버 (46) 는, 프론트 패널부 (44A) 와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센터 플로어부 (22B) 는, 도 1, 6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 패널로서의 「센터 플로어 패널 (48)」과, 1 쌍의 로커 (50) 와, 「로어 크로스부 (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센터 플로어 패널 (48) 은, 차량 전후 방향 및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되어 있고, 객실 (18) 측의 플로어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 센터 플로어 패널 (48) 은, 그 차량 전방측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리어 패널부 (44B) 의 차량 후방측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로커 (50) 는, 센터 플로어 패널 (48)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로커 (50) 는, 도 4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로커 아우터 (54) 와, 그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로커 이너 (56) 를 포함하고,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로커 이너 (56) 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면에는, 센터 플로어 패널 (48)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가,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로어 크로스부 (52) 는, 도 1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 플로어 패널 (48) 의 차량 하방측에, 센터 플로어 패널 (48) 의 차량 전방측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또한, 차량 상하 방향에서 봤을 때에 어퍼 크로스부 (32) 와 중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로어 크로스부 (52) 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차량 상방측으로 개방된 해트상으로 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로어 크로스부 (52) 는, 그 차량 전후 방향 양측에 형성된 1 쌍의 플랜지부 (52A) 가 센터 플로어 패널 (48)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됨으로써, 센터 플로어 패널 (48) 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필러부 (24)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폭 방향 일방측 (차량 폭 방향 좌측) 의 측부 (40) 의 일부를 구성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봤을 때에 운전실 (16) 과 객실 (18) 의 경계부에 위치하고 있고,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 1 필러부 (24) 는, 도 2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필러 아우터 (58) 와, 그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필러 이너 (60) 를 포함하고,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러 아우터 (58) 의 차량 상방측의 단부는 루프 사이드 레일 로어 (38) 에, 필러 아우터 (58) 의 차량 하방측의 단부는 로커 아우터 (54) 에, 각각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또, 필러 이너 (60) 의 차량 상방측의 단부는, 어퍼 크로스부 (32)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고, 필러 이너 (60) 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은, 로커 이너 (56) 와 일체로 되어 있다. 또, 필러 이너 (60) 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에는, 로어 크로스부 (52)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가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서는, 루프 사이드 레일 (30) 등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필러 이너 (60) 를 이점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 로 되돌아와, 제 1 필러부 (24) 의 하부 (24A) 에 있어서의 차량 후방측의 부분은, 측부 (40) 의 객실 (18) 측의 부분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제 1 측부 아우터 패널 (62) 에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여져 있다. 그리고, 제 1 측부 아우터 패널 (62) 은, 필러 아우터 (58)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하부 (24A) 에 있어서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은, 측부 (40) 의 운전실 (16) 측의 부분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제 2 측부 아우터 패널 (64) 에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여져 있다. 그리고, 제 2 측부 아우터 패널 (64) 은, 필러 아우터 (58)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6 에서는, 제 1 필러부 (24) 등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제 1 측부 아우터 패널 (62) 및 제 2 측부 아우터 패널 (64) 을 도시하고 있지 않다.
제 2 필러부 (26) 는, 차량 폭 방향 타방측 (차량 폭 방향 우측) 의 측부 (41) 의 일부를 구성함과 함께, 기본적으로 제 1 필러부 (24) 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제 2 필러부 (26) 에는, 제 1 필러부 (24) 와 동일하게, 어퍼 크로스부 (32) 및 로어 크로스부 (52) 가 접합되어 있다. 이로써, 운전실 (16) 과 객실 (18) 의 경계부에는, 도 1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필러부 (24), 제 2 필러부 (26), 어퍼 크로스부 (32) 및 로어 크로스부 (52) 를 포함하고, 차량 전후 방향에서 봤을 때에 환상으로 된 환상 구조부 (66) 가 구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에서는, 운전실 (16) 내의 구성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운전실 (16) 내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실 (16) 의 내측에는, 운전자 (탑승자) (68) 가 착석 가능한「차량용 시트 (70) (이하, 시트 (70) 라고 칭한다)」와, 지지부로서의 「시트 지지부 (72)」와, 운전자 (68) 를 구속 가능한 「구속 장치 (74)」가 배치되어 있고, 운전실 (16) 의 차량 후방측에는, 파티션부 (76) 가 배치되어 있다.
파티션부 (76) 는, 도 1, 5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전후 방향에서 봤을 때에 제 1 필러부 (24) 와 제 2 필러부 (26)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1 쌍의 파티션 패널 (78), 1 쌍의 보강 부재 (80), 복수의 상측 지지 브래킷 (82) 및 복수의 하측 지지 브래킷 (88)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파티션 패널 (78) 은, 차량 전후 방향에서 봤을 때에 차량 폭 방향 및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됨과 함께, 서로에 대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차량 전방측의 파티션 패널 (78) 은, 어퍼 크로스부 (32) 및 로어 크로스부 (52) 의 차량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보강 부재 (80) 는,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차량 전방측으로 개방된 해트상으로 되어 있다. 보강 부재 (80) 는, 차량 전후 방향에서 봤을 때에 서로에 대하여 중심선 (CL) 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함께, 1 쌍의 파티션 패널 (78) 에 협지된 상태로, 파티션 패널 (78)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상측 지지 브래킷 (82) 은, 차량 전방측의 파티션 패널 (78) 의 차량 상방측의 단부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고, 접합편부 (82A) 와 장착편부 (82B) 를 포함하여 차량 폭 방향에서 봤을 때에 L 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접합편부 (82A) 는, 파티션 패널 (78) 을 따라 배치됨과 함께, 파티션 패널 (78)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장착편부 (82B) 는, 어퍼 크로스부 (32) 의 바닥벽부 (32C) 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편부 (82B) 는, 바닥벽부 (32C) 의 차량 상방측의 면에 형성된 웰드 너트 (84) 및 웰드 너트 (84) 에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체결된 볼트 (86) 에 의해, 어퍼 크로스부 (32) 에 장착되어 있다.
하측 지지 브래킷 (88) 은, 차량 전방측의 파티션 패널 (78) 의 차량 하방측의 단부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고, 접합편부 (88A) 와 장착편부 (88B) 를 포함하여 차량 폭 방향에서 봤을 때에 L 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접합편부 (88A) 는, 파티션 패널 (78) 을 따라 배치됨과 함께, 파티션 패널 (78)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장착편부 (88B) 는, 센터 플로어 패널 (48) 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편부 (88B) 는, 로어 크로스부 (52) 의 차량 후방측의 플랜지부 (52A) 의 차량 하방측의 면에 형성된 웰드 너트 (90) 및 웰드 너트 (90) 에 차량 상방측으로부터 체결된 볼트 (92) 에 의해, 센터 플로어 패널 (48) 및 로어 크로스부 (52) 에 장착되어 있다.
요컨대, 파티션부 (76) 는, 차량 상방측에 있어서 어퍼 크로스부 (32) 를 개재하고 있기는 하지만, 루프 패널 (28) 과 센터 플로어 패널 (48) 사이에 차량 상하 방향으로 걸쳐 놓여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 파티션부 (76) 는, 루프 패널 (28) 과 센터 플로어 패널 (48) 을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고 간주할 수도 있다.
한편, 시트 (7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쿠션 (94), 시트 백 (96), 헤드레스트 (98) 및 시트 쿠션 (94) 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는 1 쌍의 시트 레일 (100) 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시트 (70) 는, 프론트 플로어부 (22A) 의 차량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실 (14) 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70) 는, 차량 상하 방향에서 봤을 때에 그 차량 폭 방향의 중심이 중심선 (CL) 상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시트 (70) 는, 시트 지지부 (72) 에 의해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시트 지지부 (72) 는, 1 쌍의 전측 지지부 (102) 와 1 쌍의 후측 지지부 (104) 를 구비하고 있다. 전측 지지부 (102) 는, 홈형 강으로 구성됨과 함께, 크로스 멤버 (46) 로부터 차량 상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전측 지지부 (102) 의 차량 하방측의 단부는, 크로스 멤버 (46) 의 상벽부 (46B) 에 도시되지 않은 고정 부재로 고정되어 있고, 전측 지지부 (102) 의 차량 상방측의 단부에는, 시트 레일 (100) 의 차량 전방측의 단부가 도시되지 않은 고정 부재로 고정되어 있다.
후측 지지부 (104) 는, 판두께 방향이 차량 상하 방향으로 된 상벽부 (104A) 와, 판두께 방향이 차량 폭 방향으로 된 1 쌍의 측벽부 (104B) 와, 판두께 방향이 차량 전후 방향으로 된 후벽부 (104C) 를 포함하고, 차량 전방측 및 차량 하방측이 개방된 박스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후벽부 (104C) 는, 차량 전방측의 파티션 패널 (78) 의 차량 후방측의 면에 형성된 웰드 너트 (106) 및 웰드 너트 (106) 에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체결된 볼트 (108) 에 의해 파티션부 (76) 에 고정되어 있다. 또, 상벽부 (104A) 에는, 시트 레일 (100) 의 차량 후방측의 단부가 도시되지 않은 고정 부재로 고정되어 있다.
구속 장치 (74) 는, 소위 3 점식 시트 벨트 장치로 되어 있고, 「웨빙 (110)」, 「리트랙터 (112)」, 「텅 플레이트 (114)」, 「버클 (116)」, 로어 앵커 (118) 및 숄더 앵커 (120) 를 구비하고 있다.
웨빙 (110) 은, 비사용시에 있어서 리트랙터 (112) 에 귄취되어 있고, 사용시에 있어서는, 리트랙터 (112) 로부터 인출되어 운전자 (68) 를 구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리트랙터 (112) 는, 시트 (70) 의 차량 폭 방향 좌측에 배치됨과 함께, 파티션부 (76) 에 도시되지 않은 고정 부재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웨빙 (110) 을 인출 가능하게 권취하여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차량 (10) 에 대한 충돌 하중의 입력시에 있어서, 리트랙터 (112) 는, 웨빙 (110) 의 인출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텅 플레이트 (114) 는, 웨빙 (110) 이 삽입 통과됨으로써 웨빙 (110) 에 장착됨과 함께, 버클 (116) 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버클 (116) 은, 차량 폭 방향 우측의 후측 지지부 (104) 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우측의 측벽부 (104B) 에 장착되어 있고, 텅 플레이트 (114) 를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어 앵커 (118) 는, 웨빙 (110) 의 단부에 형성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 좌측의 후측 지지부 (104) 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좌측의 측벽부 (104B) 에 장착되어 있다.
숄더 앵커 (120) 는, 리트랙터 (112) 의 차량 상방측이고 또한 헤드레스트 (98) 의 차량 폭 방향 좌측에 배치됨과 함께, 파티션부 (76) 에 도시되지 않은 고정 부재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숄더 앵커 (120) 에는, 리트랙터 (112) 로부터 인출된 웨빙 (110) 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티션부 (76) 측으로부터 웨빙 (110) 을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속 장치 (74) 에서는, 차량 (10) 에 대한 충돌 하중의 입력시에 있어서, 운전자 (68) 로부터 웨빙 (110) 에 작용하는 하중이 파티션부 (76) 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실 (14) 내에 시트 (70) 가 배치되어 있고, 시트 (70) 에 운전자 (68) 가 착석한다. 그리고, 시트 (70) 에 착석하는 운전자 (68) 는, 구속 장치 (74) 에 의해 구속된다.
그런데, 차체 (12) 의 측부 (40) 측으로부터 구속 장치 (74) 의 웨빙 (110) 이 인출되는 구성에서는, 시트 (70) 를 차체 (12) 의 측부 (40) 의 근방에 배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시트 (70) 의 배치 위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70) 의 차량 후방측에, 차실 (14) 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구분하는 파티션부 (76) 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파티션부 (76) 에는, 구속 장치 (74) 의 일부가 장착되어 있고, 구속 장치 (74) 의 웨빙 (110) 은, 파티션부 (76) 측으로부터 인출된다.
이 때문에, 시트 (70) 가 차체 (12) 의 측부 (40) 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구속 장치 (74) 의 웨빙 (110) 에 의해 시트 (70) 에 착석한 운전자 (68) 를 구속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70) 의 배치 위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시트 (70) 에 착석하고 있는 운전자 (68) 를 구속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티션부 (76) 가, 차실 (14) 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패널 (28) 과, 차실 (14) 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센터 플로어 패널 (48) 사이에 차량 상하 방향으로 걸쳐 놓여져 있다. 이 때문에, 시트 (70) 측으로부터 구속 장치 (74) 를 통하여 입력되는 하중은, 파티션부 (76) 를 통하여 루프 패널 (28) 및 센터 플로어 패널 (48) 에 전달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티션부 (76) 의 차량 폭 방향 일방측에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필러부 (24) 가 배치되어 있고, 파티션부 (76) 의 차량 폭 방향 타방측에는,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필러부 (26) 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프 패널 (28) 이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퍼 크로스부 (32) 로 보강되어 있고, 어퍼 크로스부 (32) 는, 제 1 필러부 (24) 및 제 2 필러부 (26) 에 직접 또는 부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4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 플로어 패널 (48) 은,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어 크로스부 (52) 로 보강되어 있고, 로어 크로스부 (52) 는, 제 1 필러부 (24) 및 제 2 필러부 (26) 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실 (14) 에는, 차량 전후 방향에서 봤을 때에 환상으로 된 환상 구조부 (66) 가 구성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티션부 (76) 와 상기 서술한 환상 구조부 (66) 가 연속되어 있어, 운전자 (68) 에게 발생하는 관성력이, 구속 장치 (74) 및 파티션부 (76) 를 통하여 환상 구조부 (66) 에 전달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70) 에 착석하는 운전자 (68) 를, 구속 장치 (74) 에 의해 안정적인 상태로 구속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70) 가 차실 (14) 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고, 시트 (70) 는, 시트 지지부 (72) 에 의해 파티션부 (76) 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 구속 장치 (74) 는, 웨빙 (110) 을 인출 가능하게 된 리트랙터 (112) 와, 웨빙 (110) 에 형성된 텅 플레이트 (114) 를 걸어맞춤 가능하게 된 버클 (116) 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리트랙터 (112) 는 파티션부 (76) 에 장착되어 있고, 버클 (116) 은 시트 지지부 (72) 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70) 를 차실 (14) 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배치해도, 구속 장치 (74) 의 리트랙터 (112) 및 버클 (116) 을 시트 (70) 의 근방에 배치하여, 구속 장치 (74) 의 웨빙 (110) 에 의해 차량용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를 안정적인 상태로 구속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용 시트가 차실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배치되는 구성에 있어서, 시트 (70) 에 착석하고 있는 운전자 (68) 를 구속 장치 (74) 에 의해 안정적인 상태로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보충 설명>
(1)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리트랙터 (112) 가 파티션부 (76) 에 장착되어 있었지만, 리트랙터 (112) 의 배치 지점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리트랙터 (112) 를 시트 (70) 의 시트 백 (96) 에 내장하는 구성으로 하여, 차체 (12) 에 대하여 장착하는 부품의 부품 점수의 저감을 도모해도 된다.
(2)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버클 (116) 이 시트 지지부 (72) 의 후측 지지부 (104) 에 장착되어 있었지만, 버클 (116) 의 배치 지점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차량 (10) 의 사양이나 차체 (12) 의 구성 등에 따라, 시트 (70) 에 버클 (116) 을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3)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70) 가 부재를 통하여 파티션부 (76) 에 연결되어 있었지만, 시트 (70) 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차량 (10) 의 사양이나 차체 (12) 의 구성 등에 따라, 시트 (70) 를 파티션부 (76) 에 직접 연결하여, 부품 점수의 저감을 도모해도 된다.
(4)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파티션부 (76) 가 어퍼 크로스부 (32) 를 통하여 루프 패널 (28) 와 연결되어 있었지만, 파티션부 (76) 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차량 (10) 의 사양 등에 따라, 파티션부 (76) 를 루프 패널 (28) 에 직접 연결하여, 파티션부 (76) 와 루프 패널 (28)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하중의 전달이 실시되도록 해도 된다.
(5) 추가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70) 가 차실 (14) 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시트 (70) 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차량 (10) 의 사양 등에 따라, 시트 (70) 의 위치는, 시트 폭 방향의 중심이 차체 (12) 의 측부 (40, 41) 보다 중심선 (CL) 에 가까운 범위에 있어서, 임의의 위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8)

  1. 차실 (14) 내에 배치된 차량용 시트 (70) 와,
    상기 차량용 시트 (70) 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차실 (14) 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구분하는 구분부 (76) 와,
    일부가 상기 구분부 (76) 에 장착됨과 함께, 당해 구분부 (76) 측으로부터 웨빙을 인출 가능하게 되고, 상기 차량용 시트 (70) 에 착석하는 탑승자를 구속 가능하게 된 구속 장치 (74) 를 갖고,
    상기 구분부 (76) 는, 차량 폭 방향 및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됨과 함께 상기 차실 (14) 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패널 (28) 과 당해 차실 (14) 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 사이에 차량 상하 방향으로 걸쳐 놓여진 파티션 패널 (78) 을 구비하고,
    상기 파티션 패널 (78) 에는, 상기 구속 장치 (74) 의 일부가 장착되고,
    상기 파티션 패널 (78) 은, 상기 차실 (14) 을 상기 차량용 시트가 배치된 운전실 (16) 과 객실 (18) 로 구분하고 있는,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
  2. 차실 (14) 내에 배치된 차량용 시트 (70) 와,
    상기 차량용 시트 (70) 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차실 (14) 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구분하는 구분부 (76) 와,
    일부가 상기 구분부 (76) 에 장착됨과 함께, 당해 구분부 (76) 측으로부터 웨빙을 인출 가능하게 되고, 상기 차량용 시트 (70) 에 착석하는 탑승자를 구속 가능하게 된 구속 장치 (74) 를 갖고,
    상기 구분부 (76) 는, 차량 폭 방향 및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됨과 함께 상기 차실 (14) 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패널 (28) 과 당해 차실 (14) 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 사이에 차량 상하 방향으로 걸쳐 놓여진 파티션 패널 (78) 을 구비하고,
    상기 파티션 패널 (78) 을 보강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부재 (80) 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보강 부재 (80) 는, 상기 파티션 패널 (78) 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폐단면 구조부를 구성하고 있는,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
  3. 차실 (14) 내에 배치된 차량용 시트 (70) 와,
    상기 차량용 시트 (70) 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차실 (14) 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구분하는 구분부 (76) 와,
    일부가 상기 구분부 (76) 에 장착됨과 함께, 당해 구분부 (76) 측으로부터 웨빙을 인출 가능하게 되고, 상기 차량용 시트 (70) 에 착석하는 탑승자를 구속 가능하게 된 구속 장치 (74) 를 갖고,
    상기 구분부 (76) 는, 차량 폭 방향 및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됨과 함께 상기 차실 (14) 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패널 (28) 과 당해 차실 (14) 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 사이에 차량 상하 방향으로 걸쳐 놓여진 파티션 패널 (78) 을 구비하고,
    상기 파티션 패널 (78) 은, 1 쌍이고 또한 서로에 대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부 (76) 의 차량 폭 방향의 제 1 측에 배치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필러부 (24) 와,
    상기 구분부 (76) 의 차량 폭 방향의 제 2 측에 배치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필러부 (26) 와,
    상기 제 1 필러부 (24) 및 상기 제 2 필러부 (26) 에 직접 또는 제 1 부재를 통하여 연결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루프 패널을 보강하는 어퍼 크로스부 (32) 와,
    상기 제 1 필러부 (24) 및 상기 제 2 필러부 (26) 에 직접 또는 제 2 부재를 통하여 연결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로어 패널을 보강하는 로어 크로스부 (52) 를 추가로 갖는,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시트 (70) 는, 상기 차실 (14) 의 차량 폭 방향 중앙측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용 시트 (70) 를 상기 구분부 (76) 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구속 장치 (74) 는, 상기 구분부 (76) 에 장착됨과 함께 상기 웨빙을 인출 가능하게 된 리트랙터 (112) 와, 상기 웨빙에 형성된 텅 플레이트를 걸어맞춤 가능하게 됨과 함께, 상기 차량용 시트 (70) 또는 상기 지지부에 장착된 버클 (116) 을 구비하고 있는,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패널 (78) 을 보강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부재 (80) 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보강 부재 (80) 는, 상기 파티션 패널 (78) 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폐단면 구조부를 구성하고 있는,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패널 (78) 은, 1 쌍이고 또한 서로에 대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
  8. 삭제
KR1020210014696A 2020-02-10 2021-02-02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 KR102537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20949 2020-02-10
JP2020020949A JP6856150B1 (ja) 2020-02-10 2020-02-10 車両用乗員拘束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073A KR20210102073A (ko) 2021-08-19
KR102537657B1 true KR102537657B1 (ko) 2023-05-26

Family

ID=7455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696A KR102537657B1 (ko) 2020-02-10 2021-02-02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40500B2 (ko)
EP (1) EP3862253A1 (ko)
JP (2) JP6856150B1 (ko)
KR (1) KR102537657B1 (ko)
CN (1) CN1132469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42837B2 (ja) * 2020-10-22 2023-09-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構造
JP2023002334A (ja) * 2021-06-22 2023-0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支持構造
JP7452498B2 (ja) * 2021-06-22 2024-03-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1148A1 (en) 2009-02-09 2010-08-12 Ron Storer Adjustable security partition for a vehicle
JP2013511437A (ja) * 2009-11-23 2013-04-04 ピアジオ アンド コンパニア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四輪自動車
JP2016068840A (ja) * 2014-09-30 2016-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6088157A (ja) 2014-10-30 2016-05-23 スズキ株式会社 パーティショントリムのシートベルトのロック防止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868U (ja) * 1993-10-01 1995-04-25 西日本鉄道株式会社 バスのシートベルト装置
DE4438234C2 (de) 1993-11-05 2002-03-21 Volkswagen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sassen
JPH11165659A (ja) * 1997-11-30 1999-06-22 Isuzu Motors Ltd キャブにおけるシートベルト取付構造
DE19813670C1 (de) * 1998-03-27 1999-07-08 Daimler Chrysler Ag Kraftfahrzeug mit einer den Rücksitzbereich vom Vordersitzbereich abtrennenden Trennwand
US6669259B2 (en) * 2001-11-09 2003-12-30 Pro-Gard Industries, L.P. Vehicle partition
GB2384464B (en) * 2002-01-25 2004-11-10 Primera Consultancy And Design A bulkhead for a van
EP1574390B1 (en) 2004-03-12 2009-02-11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Vehicle, in particular a commercial vehicle, with a collapsible front passenger seat
US7303209B2 (en) * 2005-03-29 2007-12-04 Ming Yat Kwok Transportation riders web restrain system
US7909379B2 (en) * 2008-09-18 2011-03-22 Global Ip Holdings, Llc Kit and bulkhead assembly for cargo vehicles
CN102218996A (zh) * 2011-05-16 2011-10-19 镇江富士野营特装车有限公司 房车座椅及安全带装置布置结构
US8651525B2 (en) * 2011-10-07 2014-02-18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Utility vehicle
JP6011711B2 (ja) * 2013-02-19 2016-10-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室内構造
US8998283B1 (en) * 2013-12-24 2015-04-07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Utility vehicle
DE102016009145A1 (de) * 2016-07-28 2018-02-01 Man Truck & Bus Ag Stütze mit zumindest einer Sicherheitsgurt-Montagevorrichtung
US10239425B2 (en) * 2017-06-16 2019-03-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ovable partition system for a vehicle with stowable jumpseat
FR3074751B1 (fr) 2017-12-11 2020-06-05 Renault S.A.S Cloison de vehicule automobile
JP2019151196A (ja) 2018-03-02 2019-09-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構造
JP2019172040A (ja) 2018-03-28 2019-10-10 株式会社Subaru 乗員拘束装置
JP6795109B1 (ja) * 2020-02-10 2020-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室構造
US11679732B2 (en) * 2020-06-04 2023-06-20 Mark Matijevich Driver barrier
JP7342837B2 (ja) * 2020-10-22 2023-09-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1148A1 (en) 2009-02-09 2010-08-12 Ron Storer Adjustable security partition for a vehicle
JP2013511437A (ja) * 2009-11-23 2013-04-04 ピアジオ アンド コンパニア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四輪自動車
JP2016068840A (ja) * 2014-09-30 2016-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6088157A (ja) 2014-10-30 2016-05-23 スズキ株式会社 パーティショントリムのシートベルトのロック防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46905A (zh) 2021-08-13
US20210245702A1 (en) 2021-08-12
US11440500B2 (en) 2022-09-13
EP3862253A1 (en) 2021-08-11
JP2021126918A (ja) 2021-09-02
JP2021127105A (ja) 2021-09-02
CN113246905B (zh) 2023-05-02
KR20210102073A (ko) 2021-08-19
JP6856150B1 (ja) 2021-04-07
JP7131601B2 (ja)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7657B1 (ko) 차량용 탑승자 구속 구조
KR102503915B1 (ko) 차실 구조
US10308288B2 (en) Side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US10315704B2 (en) Side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EP3786031B1 (en) Rear structure for vehicle, vehicle body structure, and vehicle
US20220126773A1 (en) Vehicle body structure
JP5002624B2 (ja) スライドドア付き車体構造
JP4332722B2 (ja) 車体後部構造
JP5965278B2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装置取付構造
JP4314991B2 (ja) 車体後部構造
JP4271055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支持構造
JP6350463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6281547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3911818B2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JP3489160B2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アンカ配設構造
JP5965279B2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装置取付構造
JP7525034B1 (ja) 車両
JP4455729B2 (ja) 自動車の後部中央席3点式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取付構造
JP2020050019A (ja) 車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