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552B1 -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552B1
KR102341552B1 KR1020170060077A KR20170060077A KR102341552B1 KR 102341552 B1 KR102341552 B1 KR 102341552B1 KR 1020170060077 A KR1020170060077 A KR 1020170060077A KR 20170060077 A KR20170060077 A KR 20170060077A KR 102341552 B1 KR102341552 B1 KR 102341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late
bolt
fixing bracke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622A (ko
Inventor
아키히코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주)진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진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129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using panel fasteners, i.e. permanent attachments allowing for quick assemb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바닥 부재를 빔 부재에 고정하는 브라켓이 바닥 부재의 상면으로 돌출하지 않는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디딤판(10)의 장공(11)의 가장자리로부터 디딤판(10)의 뒤쪽으로 삽입공(13a, 13b)을 구비한 리브(12a, 12b)가 돌출되는 바닥 부재(1)가 고정 브래킷(3)에 의해 빔 부재(2)에 고정되는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로서, 상기 고정 브라켓(3)은, 상부 브라켓(30)과 하부 브라켓(40)과 이들을 연결하는 볼트(50)를 구비하고, 장공(11)에 삽입 가능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브라켓(30)은 삽입판(31)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브라켓(40)은 상변부(41)와 하변부(42)가 측면에서 볼 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변부(42)에 나사 구멍(43a, 43b)을 가지고 있다. 디딤판(10)의 뒤쪽에 배치된 고정 브라켓(3)을 회전시킴으로써, 상부 브라켓(30)의 삽입판(31)의 양단이 삽입공(13a, 13b)에 삽입됨과 동시에 하부 브라켓(40)의 상변부(41)와 하변부(42) 사이에 빔 부재(2)가 끼워지며, 볼트(50)의 체결에 의해 바닥 부재(1)가 빔 부재(2)에 고정된다.

Description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Fixing structure of flooring member}
본 발명은 그레이팅(grating) 층 등의 바닥 부재(床材)를 빔 부재(梁材)에 고정하는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 및 그 관련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바닥 부재를 빔 부재에 고정하고, 상기 바닥 부재의 상면에 재치되는 상부 브라켓과, 측면에서 볼 때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 부재의 개구부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 하부 브라켓과, 상부 브라켓의 상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을 연결하는 볼트를 구비하고, 볼트를 체결하여 상부 브라켓 및 빔 부재의 플랜지부를 끼워넣도록 배치한 하부 브라켓의 거리를 근접시킴으로써, 하부 브라켓의 각도 자세를 변화시켜 빔 부재를 고정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제2011-184862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고정 브라켓은 상부 브라켓을 바닥 부재의 상면(上面)에 재치하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바닥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브라켓의 두께 부분이 돌출되어 바닥 부재의 평탄성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부 브라켓을 바닥 부재의 상면에 재치할 때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방해가 될 수 있어, 상부 브라켓은 돌기에 간섭하지 않는 형상으로 설계되어야 하는 등의 제약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 기술을 감안하여, 바닥 부재를 빔 부재에 고정하는 브라켓이 바닥 부재의 상면으로 돌출하지 않는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와 이 고정 구조에 사용되는 고정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 ~ [12]에 기재된 구성을 갖는다.
[1] 디딤판에 장공이 형성되고, 그 장공의 2개의 장변의 가장자리로부터 디딤판의 뒤쪽으로 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리브에 장공의 장변을 따라 연장된 슬릿 형상의 삽입공을 갖는 바닥 부재가 고정 브라켓에 의해 빔 부재에 고정되는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로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바닥 부재에 결합되는 상부 브라켓과, 상기 빔 부재에 결합되는 하부 브라켓과, 상기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을 연결하는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브라켓은, 길이방향의 양단이 상기 디딤판의 삽입공에 삽입되고, 중앙에 볼트 삽입공이 형성된 삽입판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판은 길이방향의 치수가 상기 디딤판의 장공의 길이방향의 개구 치수보다 작고 또한 상기 장공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보다 크고, 폭방향의 치수가 상기 디딤판의 장공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브라켓은, 상기 빔 부재를 끼우는 상변부와 하변부가 기단 측에서 결합하여 측면에서 볼 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변부에 나사 구멍이 구비되고, 상면에서 볼 때 길이방향의 치수 및 폭방향의 치수가 각각 상기 디딤판의 장공의 길이방향의 개구 치수 및 폭방향의 개구 치수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의 삽입판의 볼트 삽입공에 삽입된 볼트를 상기 하부 브라켓의 나사 구멍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이 볼트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바닥 부재의 디딤판의 뒤쪽에 배치된 고정 브라켓을 디딤판과 평행한 평면 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상부 브라켓의 삽입판의 양단이 디딤판의 삽입공에 삽입됨과 동시에, 하부 브라켓의 상변부와 하변부 사이에 빔 부재가 끼워지고, 볼트의 체결에 의해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이 근접하고, 상부 브라켓의 삽입판이 삽입공 내에 구속되는 것과 동시에, 하부 브라켓의 하변부가 빔 부재에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
[2] 디딤판에 장공이 형성되고, 그 장공의 2개의 장변의 가장자리로부터 디딤판의 뒤쪽으로 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리브에 장공의 장변을 따라 연장된 슬릿 형상의 삽입공을 갖는 바닥 부재를, 빔 부재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으로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바닥 부재에 결합하는 상부 브라켓과, 상기 빔 부재에 결합하는 하부 브라켓과, 상기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을 연결하는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브라켓은, 길이방향의 양단이 상기 디딤판의 삽입공에 삽입되고, 중앙에 볼트 삽입공이 형성된 삽입판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판은 길이방향의 치수가 상기 디딤판의 장공의 길이방향의 개구 치수보다 작고 또한 상기 장공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보다 크고, 폭방향의 치수가 상기 디딤판의 장공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브라켓은, 상기 빔 부재를 끼우는 상변부와 하변부가 기단 측에서 결합하여 측면에서 볼 때 ㄷ자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변부에 나사 구멍이 구비되고, 상면에서 볼 때 길이방향의 치수 및 폭방향의 치수가 각각 상기 디딤판의 장공의 길이방향의 개구 치수 및 폭방향의 개구 치수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의 삽입판의 볼트 삽입공에 삽입된 볼트를 상기 하부 브라켓의 나사 구멍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이 볼트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브라켓.
[3] 상기 상부 브라켓은, 삽입판의 일측의 장변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브라켓의 측면을 따라 빔 부재 측으로 연장되어 빔 부재의 상면에 접촉하는 규제판을 구비한 전항 [2]에 기재된 고정 브라켓.
[4] 상기 규제판의 하단에 톱니 형상의 새김자국이 형성되어 있는 전항 [3]에 기재된 고정 브라켓.
[5] 상기 규제판은, 하부 브라켓 측으로 돌출되어 하부 브라켓의 상한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전항 [3] 또는 [4]에 기재된 고정 브라켓.
[6] 상기 규제판은 하단에, 하부 브라켓 측으로 돌출되어 빔 부재의 상면에 접촉하는 접촉판을 구비한 전항 [3]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정 브라켓.
[7] 상기 하부 브라켓에서, 상변부는 폭방향의 양단에 하변부 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구비하고, 하변부는 폭방향의 양단에 상변부로 돌출된 플랜지를 구비하는 전항 [2]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정 브라켓.
[8] 상기 하변부의 플랜지는 상변부 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구비하는 전항 [7]에 기재된 고정 브라켓.
[9] 상기 볼트의, 상부 브라켓의 삽입판과 하부 브라켓 사이에 스프링이 장착된 전항 [2]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정 브라켓.
[10] 전항 [2]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정 브라켓에 장착되는 리테이너로서, 바닥 부재의 장공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보다 큰 베이스 플레이트에, 해당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개방 단부를 갖는 볼트 삽입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브라켓용 리테이너.
[11] 상기 홈의 폐색단을 끼우는 위치에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돌출하는 방식으로 삽입판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전항 [10]에 기재된 고정 브라켓용 리테이너.
[12] 디딤판에 장공이 형성되고, 그 장공의 2개의 장변의 가장자리로부터 디딤판의 뒤쪽으로 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리브에 장공의 장변을 따라 연장된 슬릿 형상의 삽입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부재.
상기 [1]에 기재된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에 따르면, 고정 브라켓은 상부 브라켓, 하부 브라켓 및 볼트를 연결한 상태에서 바닥 부재의 디딤판에 형성된 장공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을 바닥 부재 및 빔 부재에 결합하는 작업은, 고정 브라켓을 디딤판의 장공에 삽입하는 작업과, 고정 브라켓을 회전시켜 상부 브라켓의 삽입판을 디딤판의 리브의 삽입공에 삽입함과 동시에 하부 브라켓의 상변부와 하변부 사이에 빔 부재를 삽입하는 작업과, 볼트를 체결하여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을 근접시킴으로써 상부 브라켓과 바닥 부재를 강하게 결합시킴과 동시에 하부 브라켓과 빔 부재를 강하게 결합시키는 작업이다. 이러한 작업은 디딤판의 상면 측으로부터 할 수 있는 작업이며, 작업성이 양호하다.
또한, 고정 브라켓은 바닥 부재의 디딤판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고정 브라켓이 디딤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아서, 디딤판의 평탄성이 유지된다. 또한, 디딤판의 상면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고정 브라켓과의 간섭이 없기 때문에, 돌기에 맞게 고정 브라켓을 설계할 필요가 없어, 고정 브라켓의 범용성이 높다.
상기 [2]에 기재된 고정 브라켓에 따르면, 디딤판의 장공의 리브에 삽입공이 형성된 바닥 부재를 빔 부재에 고정하는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에 있어서,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3]에 기재된 고정 브라켓에 따르면, 규제판의 하단이 빔 부재에 접촉하여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의 거리가 규제되므로, 볼트의 과도한 체결에 의한 삽입공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4]에 기재된 고정 장치에 따르면, 규제판의 새김자국이 빔 부재에 침투하여 강한 결합력이 얻어진다.
상기 [5]에 기재된 고정 브라켓에 따르면, 스토퍼에 의해 하부 브라켓의 경사가 규제되므로, 볼트 체결시 하부 브라켓이 과도하게 기울어져 빔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6]에 기재된 고정 브라켓에 따르면, 규제판은 접촉판에서 빔 부재에 접촉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강하게 빔 부재를 끼워 넣을 수 있다.
상기 [7]에 기재된 고정 브라켓에 따르면, 플랜지에 의해 하부 브라켓의 강도가 증가된다.
상기 [8]에 기재된 고정 브라켓에 따르면, 하부 브라켓의 돌기에 의해 빔 부재에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9]에 기재된 고정 브라켓에 따르면,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볼트로 연결한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의 평행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 사이에 빔 부재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이 느슨하게 구속되므로, 볼트의 헤드를 잡고 고정 브라켓을 회전시키면 삽입판이 공회전하지 않고 하부 브라켓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삽입판을 리브의 삽입공에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다.
상기 [10]에 기재된 고정 브라켓용 리테이너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의 홈에 고정 브라켓의 볼트의 축을 삽입하여 고정 브라켓을 매달 수 있다. 이처럼 고정 브래킷을 매단 상태에서 바닥 부재의 장공에 고정 브라켓을 삽입하면 베이스 플레이트가 장공에 가로 놓이고, 고정 브라켓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해 디딤판에 지지되므로 낙하가 방지된다.
상기 [11]에 기재된 고정 브라켓용 리테이너에 따르면, 볼트를 베이스 플레이트로 지지하고 삽입판을 지지부에 지지하여, 볼트와 삽입판의 각도 자세를 유지하고, 나아가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의 평행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삽입판과 하부 브라켓과의 평행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을 회전시킴으로써, 삽입판의 디딤판의 리브의 삽입공에의 삽입과, 하부 브라켓의 상변부와 하변부 사이에의 빔 부재의 삽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12]에 기재된 바닥 부재는 상기 고정 구조의 바닥 부재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에 사용되는 고정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바닥 부재 고정 구조에서 바닥 부재를 빔 부재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4A-4A선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의 4B-4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 브라켓의 다른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 브라켓의 또 다른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고정 브라켓에 장착하는 리테이너 및 장착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7B-7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리테이너를 장착한 고정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리테이너를 장착한 고정 브래킷을 바닥 부재의 장공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
도 1 내지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의 일 실시예로서, 빔 부재 상에 빔 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바닥 부재를 가로질러 빈틈없이 나란하게 빔 부재에 고정된 기구 구조를 설명한다. 또한, 도 1과 도 3은 1개의 바닥 부재와 1개의 빔 부재만을 도시하고 있다.
각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는, 바닥 부재(1), 빔 부재(2) 및 고정 브라켓(3)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 부재(1)는 디딤판(10)의 폭방향의 양쪽에 립부(15)를 갖는 플랜지를 구비한 금속 C형 채널 재료로 구성되고, 디딤판(10)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장공(11)이 길이방향을 따라 횡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공(11)의 두 장변의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디딤판(10)의 뒤쪽으로 돌출된 리브(12a, 12b)가 대면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리브(12a, 12b)에는, 고정 브라켓(3)을 결합하는 3개의 슬릿 형상의 삽입공(13a, 13b)이 장공(11)의 장변을 따라 종렬로 배치되어 있다. 대면하는 위치의 삽입공(13a, 13b)은 1개의 세트를 이루고, 3개의 세트의 각각의 삽입공(13a, 13b)에 고정 브라켓(3)을 결합할 수 있다. 즉, 1개의 장공(11)은 3곳 중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브라켓(3)을 결합할 수 있다. 모든 삽입공(13a, 13b)은 동일 치수이며 디딤판(10) 윗면으로부터의 거리도 동일하지만, 각 세트의 삽입공(13a, 13b)은 서로 장공(11)의 장변방향을 따라 멀어지는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어긋난 방향은 장공(11) 내로부터 리브(12a, 12b)를 봤을 때 왼쪽에 있다.
상기 장공(11)의 길이, 즉 장공(11)의 길이방향의 구멍 치수는 P1이며, 장공(11)의 폭, 즉 폭방향의 개구 치수는 P2이다. 또한, 상기 삽입공(13a, 13b)의 폭, 즉 삽입공(13a, 13b)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는 P3이다.
빔 부재(2)는 웹(20)의 양단에 플랜지(21)를 갖는 H형 강재로 구성되고, 플랜지(21) 상에 상기 빔 부재(1)가 놓여 있다.
고정 브라켓(3)은 상기 바닥 부재(1)에 결합하는 상부 브라켓(30)과, 상기 빔 부재(2)에 결합하는 하부 브라켓(40)과, 상기 상부 브라켓(30)과 하부 브라켓(40)을 연결하는 볼트(5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트(50)에 장착되는 스프링(51)이 추가되어 있다.
상기 상부 브라켓(30)은 양단부가 바닥 부재(1)의 삽입공(13a, 13b)에 삽입되는 타원형의 삽입판(31)과, 하부 브라켓(40)의 측면에 접하여 상부 브라켓(30)에 대한 하부 브라켓(40)의 자세를 규제하는 동시에 하단이 빔 부재(2)에 맞닿아 삽입판(31)과 하부 브라켓(40)의 간격을 규제하는 규제판(32)을 구비하고, 삽입판(31)과 규제판(32)이 목부(36)를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판(31)의 중앙에 볼트(50)의 헤드와 나사 체결되는 원형의 오목부(33)가 하프 펀치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이 원형의 오목부(33)의 중심에 볼트 삽입공(34a)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판(31)의 양단의 원호 부분에는 윗면에서 볼 때 오른쪽 영역에 압착 가공에 의해 판 두께가 감소된 얇은 살 부분(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규제판(32)은 측면에서 볼 때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며, 삽입판(31)의 직선 부분의 가장자리로부터 직각으로 굴곡된 목부(36)를 통해 삽입판(3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규제판(32)은 상단의 목부(36)의 양옆 부분이 하부 브라켓(40) 측으로 절곡되어 하부 브라켓(40)의 상한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37)가 형성되고, 하단의 중앙부가 상기 스토퍼(37)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접촉판(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판(38)의 규제판(32)으로부터의 돌출된 치수는 바닥 부재(1)의 장공(11)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P2)를 초과하지 않고, 또한 삽입판(31)의 볼트 삽입공(34a)의 연장 선상에 볼트 삽입공(34b)을 형성할 수 있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규제판(32)은 접촉판(38) 측의 하단이 분할 절개되어 톱니 형상의 새김자국(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규제판(32)의 새김자국(39)의 선단은 접촉판(38)의 하면과 거의 같은 높이이며, 규제판(32)의 새김자국(39)이 없는 쪽은 하부가 분할 절개되어 있지 않다.
상기 상부 브라켓(30)의 윗면에서 볼 때, 상기 삽입판(31)은 길이방향의 치수가 Q1이며, 폭방향의 치수가 Q2이다. 상기 규제판(32)의 길이방향의 치수는 Q3이며, 삽입판((31) 길이방향 치수 Q1보다 크다. 또한, 상기 규제판(32)은 삽입판(31)의 폭방향으로부터의 두께 분이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상부 브라켓(30)의 폭방향의 치수 Q4는 삽입판(31)의 폭방향의 치수 Q2보다 크다. 또한, 상기 접촉판(38)의 돌출 치수는 삽입판(31)의 폭방향의 치수 Q2와 같은 치수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 브라켓(30)의 상면 치수는 길이방향 Q3 × 폭방향 Q4이다.
상기 상부 브라켓(30)은 두께 Q5의 금속판을 소정의 윤곽으로 잘라내고, 삽입판(31), 스토퍼(37) 및 접촉판(38)을 절곡 가공하여 제작된 것이며, 삽입판(31)의 얇은 살 부분(35)의 판 두께는 판 두께 Q5보다 얇다.
상기 하부 브라켓(40)은 평행하게 배치된 상변부(41)와 상부(41)보다 짧은 하변부(42)의 기단 측에서 결합되고, 측면에서 볼 때, 'ㄷ'자 형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상변부(41)와 하변부(42) 사이에 빔 부재(2)의 플랜지(21)가 삽입되는 삽입용 공간(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변부(4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볼트(50)에 나사 체결되는 2개의 나사 구멍(43a, 43b)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나사 구멍(43a, 43b) 중 하나(43b)는 상변부(41)의 길이방향의 거의 중앙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43a)는 기단 측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브라켓(40)은, 웹(44)의 양단으로부터 플랜지(45)가 일어서는 단면이 U 자형인 금속 채널 부재를, 웹(44)이 외측에 위치하고 플랜지(45)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구부려 제작한 것이며, 2개의 나사 구멍(43a, 43b)은 채널 부재의 웹(44)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변부(42)의 선단부의 플랜지(45)에 상변부(41)를 향해 뾰족한 톱니 형상의 새김자국(4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새김자국(47)은 본 발명의 하변부의 돌기에 대응한다.
상기 하부 브라켓(40)의 상면에서 볼 때 길이방향의 치수는 R1이며, 폭방향의 치수는 R2이다. 상변부(41)는 하변부(42)보다 길기 때문에 상변부(41)의 길이방향의 치수는 하부 브라켓(40)의 길이방향 치수와 동일한 R1이다.
상기 고정 브라켓(3)은, 상부 브라켓(30)의 삽입판(31)의 볼트 삽입공(34a)에 삽입된 볼트(50)에 스프링(51)을 장착하고, 스토퍼(37)와 접촉판(38)사이에 하부 브라켓(40)의 상변부(41)를 배치하여 규제판(32)에 하부 브라켓(40)의 측면을 맞닿게 한 상태로 설치하고, 볼트(50)를 하부 브라켓(40)의 나사 구멍(43a, 43b)의 어느 하나에 나사 체결하고, 또한 접촉판(38)의 볼트 삽입공(34b)에 삽입하여 조립하고, 상기 상부 브라켓(30)의 접촉판(38)은 하부 브라켓(40)의 상변부(41)의 아래에 들어가 있다. 또한, 나사 체결되는 하부 브라켓(40)의 나사 구멍(43a, 43b)은, 하부 브라켓(40)이 빔 부재(2)의 플랜지(21)를 끼울 수 있도록 디딤판(10)의 장공(11)과 플랜지(21)의 위치관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이 조립 상태에서 상기 상부 브라켓(30)과 하부 브라켓(40)은 스프링(5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부 브라켓(30)의 삽입판(31)과 하부 브라켓(40)이 평행하게 조립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조립된 고정 브라켓(3)의 윗면에서 볼 때, 길이방향의 치수는 하부 브라켓(40)의 길이방향의 R1이며, 폭방향의 치수는 상부 브라켓(30)의 폭방향의 Q4이다.
[각부의 치수 관계]
상기 고정 브라켓(3)의 각부의 치수는, 바닥 부재(1) 및 빔 부재(2)의 각부의 치수에 대하여 이하의 대소 관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3)의 길이방향의 치수 R1은, 상기 바닥 부재(1)의 디딤판(10)의 장공(11)의 길이방향의 개구 치수 P1보다 작고 폭방향의 개구 치수 P2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3)의 폭방향의 치수 Q4는 상기 장공(11)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 P2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3)의 삽입판(31)의 길이방향의 치수 Q1은 상기 장공(11)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 P2보다 크게 설정되어, 삽입판(31)의 판 두께 Q5는 리브(12a, 12b)의 삽입공(13a, 13b)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 P3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브라켓(30)의 높이는, 바닥 부재(1)의 삽입공(13a, 13b)으로부터 바닥 부재(1)의 저면까지의 수직 거리에 대응하도록 규제판(32)의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3)은, 상부 브라켓(30)의 접촉판(38)이 하부 브라켓(40)의 상변부(41) 아래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접촉부(38)의 하면으로부터 하변부(42)의 새김자국(47)의 선단까지의 수직 거리 R3은 빔 부재(2)의 플랜지(21)를 삽입할 수 있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의 구축 방법]
상기 바닥 부재 가구(架構) 구조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바닥 부재를 빔 부재에 고정하여 구축된다.
(1) 준비 작업
빔 부재(2)의 길이방향과 바닥 부재(1)의 길이방향이 교차 방식으로, 빔 부재(2) 위에 바닥 부재(1)를 가로질러 적재한다. 고정 브라켓(3)은 상부 브라켓(30), 하부 브라켓(40), 볼트(50) 및 스프링(51)을 조립해 둔다. 이때, 볼트(50)를 적절히 조여 상부 브라켓(30)의 삽입판(31)으로부터 하부 브라켓(40)의 삽입용 공간(48)까지의 거리가 바닥 부재(1)의 삽입공(13a, 13b)으로부터 빔 부재(2)의 플랜지(21)까지의 거리와 거의 같아지게 한다.
(2) 고정 브라켓의 삽입
도 1을 참조하면, 고정 브라켓(3)의 길이방향을 바닥 부재(1)의 디딤판(10)의 장공(11)의 길이방향에 맞추고, 고정 브라켓(3)을 디딤판(10)의 윗면으로부터 장공(11)에 삽입한다. 고정 브라켓(3)의 평면 치수 Q3 × Q4는 장공(11)의 개구 치수 P1 × P2보다 작기 때문에, 고정 브라켓(3) 전체를 장공(11)에 삽입할 수 있다.
(3) 고정 브라켓의 회전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삽입한 고정 브라켓(3)을 디딤판(10)과 평행한 평면 내에서 우측으로 90° 회전시킨다. 회전방향은 삽입판(31)의 얇은 살 부분(35)으로부터 리브(12a, 12b)의 삽입공(13a, 13b)에 접근하는 방향이다. 상기 고정 브라켓(3)의 회전에 의해 장공(11)의 길이방향과 고정 브라켓(3)의 길이방향이 직교하고, 상부 브라켓(30)의 삽입판(31)의 양단부가 대향하는 리브(12a, 12b)의 삽입공(13a, 13b)에 삽입되고 하부 브라켓(40)의 삽입용 공간(48)에 빔 부재(2)의 플랜지(21)가 삽입되고, 플랜지(21)가 규제판(32) 및 하부 브라켓의 상변부(41)와 하부 브라켓(40)의 하변부(42)에 끼워진다. 상기 상부 브라켓(30)과 하부 브라켓(40)은 스프링(51)에 의해 평행 자세가 유지되기 때문에, 플랜지(21)를 삽입용 공간(48)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때, 하부 브라켓(40)의 선단측을 약간 위로 기울여서 플랜지(21)를 삽입해도 좋다. 이 단계에서는 상기 볼트(50)를 조이지 않고, 삽입판(31)은 삽입공(13a, 13b)에 느슨하게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하부 브라켓(40)을 기울일 수 있다. 단, 하부 브라켓(40)의 경사 각도는 스토퍼(37)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대향하는 삽입공(13a, 13b)은 고정 브라켓(3)의 회전 방향에 맞게 위치를 이동하여 설치되고, 또한 삽입판(31)은 얇은 살 부분(35)으로부터 삽입공(13a, 13b)에 삽입되므로 삽입판(31)은 원활하게 삽입된다. 상기 삽입판(31)의 길이방향의 치수 Q1은 장공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 P2, 즉 대향하는 리브(12a, 12b) 사이의 거리보다 크기 때문에 삽입판(31)의 양단부는 삽입공(13a, 13b)을 관통한 상태로 삽입된다. 또한, 고정 브라켓(3)을 90° 회전시키면 삽입판(31)이 삽입공(13a, 13b)의 단부에 맞닿아 90°를 초과하는 회전이 저지된다.
또한, 상부 브라켓(30)의 높이는 바닥 부재(1)의 삽입공(13a, 13b)으로부터 바닥 부재(1)의 저면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 브라켓(3)의 회전에 따라 규제판(32)의 새김자국(39)이 빔 부재(2)의 플랜지(21) 위에 놓여서 규제판(32)은 빔 부재(2)와 간섭하지 않는다.
(4) 볼트의 체결
상기 볼트(50)를 조여 상부 브라켓(30)과 하부 브라켓(40)을 근접시킨다. 상부 브라켓(30)의 삽입판(31)의 양단부는 삽입공(13a, 13b)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 브라켓(40)이 들어올려져 하변부(42)의 새김자국(47)이 빔 부재(2)의 플랜지(21)의 뒷면에 침투하고, 플랜지(21)는 규제판(32)과 하변부(42)에 끼워진다. 이때, 상부 브라켓(30)의 규제판(32)의 새김자국(39)이 빔 부재(2)에 맞닿아 상부 브라켓(30)과 하부 브라켓(40)의 거리가 규제되기 때문에, 볼트(50)의 과도한 조임에 의한 삽입공(13a, 13b)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규제판(32)의 하단 일부분에 설치된 새김자국(39)이 플랜지(21)에 침투하여 강하게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 부재(1)는 삽입공(13a, 13b)에서 고정 브라켓(3)의 상부 브라켓(30)의 삽입판(31)과 강하게 맞물리고, 빔 부재(2)는 플랜지(21)에서 하부 브라켓(40)과 강하게 맞물려, 바닥 부재(1)는 빔 부재(2) 위에 고정된다.
또한, 도시된 예의 고정 구조는 고정 브라켓(3)과 빔 부재(2)의 치수의 관계에 따라 접촉판(38)이 플랜지(21)에 도달하지 않지만, 고정 브라켓(3)의 각부의 치수와 빔 부재(2)의 치수 관계에 따라 접촉판(38)이 플랜지(21)에 적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규제판(32)의 하단의 새김자국(39)을 접촉판(38)의 하면으로부터 약간 돌출시킴으로써, 새김자국(39)에 의한 결합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브라켓(40)은 선단 측에서 빔 부재(2)를 끼워, 중앙 또는 기단 측의 나사 구멍(43a, 43b)에 볼트(50)가 나사 체결되기 때문에, 볼트(50)의 체결시에 하부 브라켓(40)이 기울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변부(41)가 스토퍼(37)에 접촉하여 경사 각도가 제한되므로, 과도한 경사에 의해 하부 브라켓(40)이 빔 부재(2)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고정 구조에서, 고정 브라켓(3)이 디딤판(10)의 장공(11)에 삽입될 수 있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으며, 고정 브라켓(3) 전체를 디딤판(10)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하고 바닥 부재(1)에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딤판(10)의 상면으로부터 고정 브라켓(3)이 돌출하지 않고 디딤판(10)의 평탄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디딤판(10)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돌기에 맞게 고정 브라켓을 설계할 필요가 없어, 고정 브라켓의 범용성이 높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3)을 바닥 부재(1) 및 빔 부재(2)에 결합하는 작업은, 고정 브라켓(3)을 디딤판(10)의 장공(11)에 삽입하는 작업과, 고정 브라켓(3)을 회전시키는 작업과, 볼트(50)를 체결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작업은 디딤판(10)의 상면 측으로부터 할 수 있는 작업이며, 작업성이 좋다.
상기 구축 방법에서는 고정 브라켓을 디딤판 표면으로부터 삽입했지만, 바닥 부재의 측면 아래쪽에 작업 공간이 있는 경우, 바닥 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디딤판의 뒷면으로 고정 브라켓을 삽입하고, 장공의 아래쪽에 배치한 고정 브라켓을 회전시켜 고정 브라켓을 바닥 부재와 빔 부재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복수의 바닥 부재를 전면에 까는 경우에도, 바닥 부재의 재치와 고정을 교대로 실시하면, 고정 브라켓을 디딤판의 상면으로부터 삽입하지 않고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바닥 부재의 뒷면에 작업 공간이 있으면 뒷면으로부터의 고정 작업도 가능하다.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의 다른 예]
본 발명의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는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 부호를 붙인 부재는 동일물 또는 등가물을 나타내며,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고정 브라켓)
고정 브라켓에서 필수의 부재는, 상부 브라켓의 삽입판, 측면에서 볼 때 모양이 ㄷ자 형인 하부 브라켓 및 볼트이다.
상부 브라켓에서 규제판의 유무는 선택 사항이며, 각각 장점이 있다. 상술 한 바와 같이, 상부 브라켓(30)이 규제판(32)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규제판(32)이 빔 부재(2)에 접촉함으로써 볼트(50)의 과도한 조임을 막고, 삽입공(13a, 13b)에 삽입된 삽입판(31)의 접촉 부분으로 하중 부담을 경감하고, 리브(12a, 12b)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예의 바닥 부재(1)는 금속판에 장공(11)을 형성할 때 장공(11) 내에 돌출하는 방식으로 리브(12a, 12b)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리브(12a, 12b)의 높이는 최대 장공(11)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 P2의 1/2로 제한된다. 또한, 디딤판(10)의 기능상 장공(11)의 개구 치수에도 제한이 있다. 이러한 장공(11) 내에 설치된 리브(12a, 12b)에 삽입공(13a, 13b)을 형성하기 때문에, 삽입공(13a, 13b)의 상하 부분은 가늘어지고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삽입공(13a, 13b)의 주위에 접촉판을 두는 등의 방법으로 리브(12a, 12b)를 보강할 수도 있지만, 규제판(32)으로 볼트(50)의 과도한 조임을 방지하는 방법으로도 리브(12a, 12b)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상부 브라켓이 규제판을 갖지 않고 삽입판 만으로 구성되는 경우는 삽입판과 하부 브라켓을 별도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장공의 길이방향과 빔 부재가 직교하지 않는 경우에도 빔 부재에 대하여 하부 브라켓을 최적 각도로 회전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스토퍼(37)의 유무도 선택적이다.
또한 삽입판(31)에 원형 오목부(33)를 설치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원형 오목부(33)는 디딤판(10)의 상면으로부터 볼트(50)가 돌출하지 않도록 볼트(50)의 위치를 낮추도록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원형 오목부(33)는 삽입공(13a, 13b)의 위치와 볼트(50) 헤드의 높이나 삽입판(31)의 판 두께 등에 따라 유무가 설정된다.
또한, 규제판의 하단의 접촉판의 유무 및 새김자국의 유무 역시 선택적이다.
도 5에 도시된 고정 브라켓(4)의 상부 브라켓(60)은 규제판(61)의 하단에 접촉판과 새김자국을 갖지 않는다. 접촉판을 가지지 않는 상부 브라켓(60)을 이용한 고정 브라켓(4)에는, 하부 브라켓(70)의 상변부(41) 또는 규제판(61)의 하단면과 하변 부(42)에서 빔 부재(2)를 끼워 넣는다. 볼트(50)의 체결에 의해 하부 브라켓(70)이 올라오면 상변부(41)가 빔 부재(2)에서 벗어나서 빔 부재(2)에 대한 결합력이 저하된다. 이러한 경우, 하부 브라켓(70)의 상변부(41)의 선단에 돌기(46)를 형성하고, 하부 브라켓(70)을 약간 기울이고, 볼트(50)를 조여, 상변부(41)의 돌기(46)를 빔 부재(2)의 플랜지(21)의 상면에 가압함과 동시에 하변부(42)의 새김자국(47)을 플랜지(21)의 뒷면에 가압하여 플랜지(21)를 강하게 끼워 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브라켓(70)은 상변부(41)의 돌기(46)의 선단으로부터 하변부(42)의 새김자국(47) 선단까지의 수직 거리 R4보다 두꺼운 플랜지 및 얇은 플랜지에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수직 거리 R4보다 두꺼운 플랜지에 대해서는 하부 브라켓(70)의 기단 측을 낮추도록 기울임으로써 상변부(41)의 돌기(46)와 하변부(42)의 새김자국(47)에 플랜지를 끼워 넣을 수 있다. 상기 수직 거리 R4보다 얇은 플랜지에 대해서는 하부 브라켓(70)의 선단 측을 낮추도록 기울임으로써 상변부(41)의 돌기(46)와 하변부(42)의 새김자국(47)에 플랜지를 끼워 넣을 수 있다. 접촉판을 가지지 않는 상부 브라켓(60)을 조합하면, 접촉판을 갖는 상부 브라켓보다 하부 브라켓(70)의 각도에 융통성을 발휘하기 쉽기 때문에, 두께가 다른 빔 부재에도 대응할 수 있다. 단, 하부 브라켓(70)의 자세는 상부 브라켓(30)의 스토퍼(37)에 의해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변부(41)가 스토퍼(37)에 접하는 각도가 설정 가능한 최대 경사각이다.
도 6에 도시된 고정 브라켓(5)의 상부 브라켓(80)은, 접촉판(81)이 하부 브라켓(40)의 상변부(41)와 하변부(42)의 기단 측 연결부에 간섭 부분을 피하고, 규제판(82)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로부터 한쪽의 단부까지의 영역에 설치되어, 삽입판(31)의 볼트 삽입공(34a)의 연장 선상에 볼트 삽입공(34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규제판(82)은 접촉판(81)이 없는 영역은 하부가 절개되어 있지 않다. 상기 규제판(82)은 하단에 새김자국이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접촉판(81)에 의해 빔 부재와의 접촉 면적이 확대되므로, 규제판(82)의 판 두께에 선형으로 접촉하는 것보다 결합력이 높아질 수 있다.
하부 브라켓은, 빔 부재를 상변부와 하변부의 사이에 두기 위해 측면에서 볼 때 형상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변부와 하변부의 길이는 빔 부재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상변부와 하변부의 길이는 동일 치수이어도 좋고, 다른 치수이어도 좋다. 도시된 예의 하부 브라켓(40, 70)은 H형 강재로 이루어진 빔 부재(2)의 플랜지(21)를 사이에 두기 위해 웹(20)에 으해 간섭되는 하변부(42)가 상변부(41)보다 짧게 설계되어 있다. 또한 상변부(41)와 하변부(42)의 플랜지(45)의 유무는 선택적이지만, 플랜지(45)를 갖는 하부 브라켓(40, 70)은 강도가 높다. 또한, 플랜지(45)에 의해 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되어 볼트(50)의 선단부의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돌기(46) 및 새김자국(47)의 형성도 용이하다. 또한, 플랜지(45)의 돌기(46) 및 새김자국(47)의 유무도 선택적이지만, 돌기(46) 및 새김자국(47)을 형성함으로써 끼워 넣는 힘을 집중시켜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스프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과의 평행 자세를 유지하고, 고정 브라켓의 회전에 의한 삽입용 공간에 플랜지 삽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밖에,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이 느슨하게 구속되므로, 볼트의 헤드를 잡고 고정 브라켓을 회전시키면 삽입판이 헛돌지 않고 하부 브라켓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삽입판을 리브의 삽입공에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다. 도시된 예의 상부 브라켓(30, 60, 80)은 규제판(32, 61, 82)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볼트(50)의 헤드를 회전시키면 하부 브라켓(40, 70)이 규제판(32, 61, 82)을 누르기 때문에 삽입판(31)의 공회전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규제판을 갖지 않는 상부 브라켓에는 삽입판의 공회전 방지에 스프링이 도움이 된다.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과의 평행 자세 유지 수단은 고정 브라켓에 내장된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부 브라켓과 볼트는 나사 체결되어 있으므로, 고정 브라켓의 조립에 의해 볼트와 하부 브라켓의 각도 자세는 스스로 유지된다. 따라서, 볼트 및 삽입판의 각도 자세를 유지하면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과의 평행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스프링이 포함되지 않은 고정 브라켓에 장착하고 볼트(50)와 삽입판(31)의 각도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리테이너(100)가 도시된다. 도시된 예의 고정 브라켓은 도 6에 나타낸 고정 브라켓(5)이며, 스프링을 추가로 부착하지 않고 조립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100)는 수지 플레이트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테이너(100)는 직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한쪽 단변에 개방 단부(102a)를 가지고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홈(102)이 형성되며, 2개의 장변의 상기 홈(102)의 폐색단(102b)를 끼우는 위치에 지지부(103)가 베이스 플레이트(101)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장변은 바닥 부재(1)의 장공(11)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 P2보다 충분히 크고, 후술하는 고정 브라켓(5)의 삽입시 장공(11)에 가로놓일 수 있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도 9 참조). 상기 홈(102)의 폭은 볼트(50)의 나사 홈에 끼워지는 치수로 설정되어 홈(102)의 깊이, 즉 개방 단부(102a)로부터 폐색단(102b)까지의 거리는 장공(11)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 P2의 1/2보다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03)는 단면이 U자형이며, 베이스 플레이트(101)로부터 연장된 밴드 플레이트가 원호 형상으로 굴곡되어 선단부(103a)가 내향하게 이루어져, 선단부(103a)는 베이스 플레이트 101)와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지지부(103)의 단부(단면이 U자형인 저부)로부터 다른 지지부(103)의 단부까지 삽입판(31)이 길이방향에 맞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홈(102)이 없는 영역이 조작부 (104)로 이루어지고 있다.
도 7a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5)은 볼트(50)의 헤드가 삽입부(31)로부터 길게 돌출되도록 볼트(50)를 조절해 둔다.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홈(102)의 개방 단부(102a)로부터 볼트(50)의 축을 끼워서 헤드를 베이스 플레이트(101) 위로 돌출시켜, 고정 브라켓(5)을 폐색단(102b)까지 밀어 삽입판(31)의 양단을 양쪽의 지지부(103)에 삽입함으로써, 고정 정 브라켓(5)에 리테이너(100)를 장착한다. 이 장착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5)의 삽입판(31)의 길이방향과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장변과 직교하고 볼트(50)는 베이스 플레이트(101)에 대해 직각으로 지지되어 삽입판(31)은 지지부(103)의 선단 부(103a)에 아래쪽으로부터 유지된다. 상기 리테이너(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01)와 지지부(103)의 선단부(103a)는 평행하기 때문에, 볼트(50)와 삽입판(31)은 직각의 각도 자세가 유지된다. 상기 볼트(50)와 하부 브라켓(40)은 볼트(50)의 나사 체결에 의해 각도 자세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브라켓(30)의 삽입판(31)과 하부 브라켓(40)의 평행 자세가 유지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100)를 장착한 고정 브라켓(5)의 볼트(50)의 헤드를 잡고 바닥 부재(1)의 장공(11)으로부터 삽입한다. 상기 리테이너(100)에 의한 고정 브라켓(5)의 지지 자세에 의해 장공(11)의 길이방향과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길이방향이 직교하고, 장공(11)에 베이스 플레이트(101)가 가로놓여 베이스 플레이트(101)가 디딤판(10)에 지지되고, 상기 리테이너(100)에 지지된 고정 브라켓(5)이 장공(11) 내에 매달려 있다. 볼트(50)의 헤드는 베이스 플레이트(101) 상에 있어 디딤판(10)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지만, 삽입판(31)은 바닥 부재(1)의 리브(12a, 12b)의 삽입공(13a, 13b)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볼트(50)가 조절되어 있으며, 고정 브라켓(5)의 볼트(50)의 헤드를 잡고 90° 회전시키면, 리테이너(100)의 지지부(103)로부터 빠져나온 삽입판(31)이 바닥 부재(1)의 리브(12a, 12b)의 삽입공(13a, 13b)에 삽입되어 하부 브라켓(40)의 삽입 공간에 빔 부재(2)의 플랜지(21)가 삽입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1)가 장공(11)에 가로놓여서 홈(102)의 개방 단부(102a)가 디딤판(10)에 닫혀있는 한 볼트(50)가 홈(102)으로부터 빠지지 않고 회전 중에 고정 브라켓(5)이 떨어질 우려도 없다. 고정 브라켓(5)의 삽입판(31)이 삽입공(13a, 13b)에 삽입되면, 고정 브라켓(5)이 떨어질 우려가 없어지므로 고정 브라켓(5)으로부터 리테이너(100)를 제거한다. 고정 브라켓(5)을 90° 회전시키면, 삽입판(31)이 지지부(103)로부터 완전히 벗어나 리테이너(100)에 맞물려 있는 것은 볼트(50)뿐이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조작부(104)를 잡아당겨 올리면 홈(102)의 개방 단부(102a)로부터 볼트(50)가 빠져 리테이너(100)가 고정 브라켓(5)으로부터 분리된다.
고정 브라켓(5)으로부터 리테이너(100)를 제거한 후에는, 스프링이 장착된 고정 브라켓을 이용한 경우와 같이, 볼트(50)를 조여 바닥 부재(1), 고정 브래킷(5), 빔 부재(2)의 3개를 강하게 결합시킨다.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의 평행 자세의 유지를 필요로 하는 것은, 바닥 부재의 장공으로부터 삽입한 고정 브라켓을 회전시킬 때이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51)은 고정 브라켓의 조립시에 내부에 내장되므로 바닥 부재의 고정이 완료된 후에도 고정 구조로부터 꺼낼 수 없지만, 상기 리테이너(100)는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빼낼 수 있기 때문에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100)와 결합하는 것은 삽입판(31) 및 볼트(50)이기 때문에, 규제판의 유무나 규제판의 형상에 관계없이 고정 브라켓에 장착하여 삽입판과 하부 브라켓의 평행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100)는 도 2의 고정 브라켓(3) 및 도 5의 고정 브래킷(4)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브라켓에 스프링을 장착하면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의 평행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스프링이 부착된 고정 브라켓에 장착하는 리테이너는 낙하 방지 기능을 갖추고 있으면 충분하다. 따라서, 리테이너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을 가지고 있으면 충분하고, 지지부가 없는 리테이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스프링이 부착된 고정 브라켓에 지지부가 부착된 리테이너를 장착해도 지장없이 고정 브라켓을 바닥 부재 및 빔 부재에 결합시킬 수 있다.
(바닥 부재)
바닥 부재의 디딤판의 장공은, 고정 브라켓을 빔 부재에 결합시키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으면 충분하고, 결합 위치 이외의 장공의 유무나 형성 위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브라켓은 디딤판의 하방에서 자유자재로 회전 가능하며, 규제판을 가지지 않는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은 다른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빔 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장공의 길이방향이 직교하는 것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장공이 종렬로 배치된 바닥 부재, 장공이 비스듬히 배치된 바닥 부재, 디딤판의 상면 전역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되고, 빔 부재의 설치 위치에만 고정 브라켓 삽입용 장공이 형성된 바닥 부재 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고정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바닥 부재의 삽입공은 대향하는 리브에 한 쌍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면 충분하지만, 도시된 예의 바닥 부재(1)와 같이 복수 쌍의 삽입공(13a, 13b)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복수 쌍의 삽입공을 설치함으로써, 바닥 부재와 빔 부재와의 위치 관계에 대응하여 최적 위치의 삽입공을 선택할 수 있어, 바닥 부재와 빔 부재와의 위치 관계의 제한이 완화된다.
또한, 바닥 부재와 빔 부재 사이에 고정 브라켓을 배치할 공간이 필요하지만, 도시된 예와 같이 바닥 부재(1)로서 C형 채널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고정 브라켓 배치 공간을 형성하는 것 외에, 디딤판과 빔 부재 사이에 스페이서를 설치함으로써 고정 브라켓 배치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 브라켓에 결합하지 않는 삽입공은 배관이나 조명기구의 설치에 사용할 수 있다.
(빔 부재)
빔 부재는, 고정 브라켓의 하부 브라켓의 결합 부분에 하부 브라켓에 삽입할 수 있는 두께의 판상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이면 좋고, 도시된 예의 H형 강재 외에 I형 강재, 채널 부재 등이어도 좋다. 또한, 빔 부재의 결합 부분의 하방에 하부 브라켓의 하부가 들어갈 공간이 있으면 고정 브라켓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정형 형재 이외의 사용도 가능하다.
(기타)
또한, 본 발명의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는 빔 부재를 기둥 부재로 변경함과 동시에 바닥 부재를 벽면 부재로 변경하여 벽면의 구축에도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는 그레이팅 층 등의 구축에 이용할 수 있다.
1 바닥 부재
2 빔 부재
3, 4, 5 고정 브라켓
10 디딤판
11 장공
12a, 12b 리브
13a, 13b 삽입공
30, 60, 80 상부 브라켓
31 삽입판
32, 61, 82 규제판
34a, 34b 볼트 삽입공
37 스토퍼
38, 81 접촉판
39 톱니형상의 새김자국
40 하부 브라켓
41 상변부
42 하변부
43a, 43b 나사 구멍
45 플랜지
47 새김자국(돌기)
48 삽입용 공간
50 볼트
51 스프링
100 리테이너
102 홈
103 지지부

Claims (12)

  1. 디딤판에 장공이 형성되고, 그 장공의 2개의 장변의 가장자리로부터 디딤판의 뒤쪽으로 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리브에 장공의 장변을 따라 연장된 슬릿 형상의 삽입공을 갖는 바닥 부재가 고정 브라켓에 의해 빔 부재에 고정되는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로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바닥 부재에 결합되는 상부 브라켓과, 상기 빔 부재에 결합되는 하부 브라켓과, 상기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을 연결하는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브라켓은 길이방향의 양단이 상기 디딤판의 삽입공에 삽입되고, 중앙에 볼트 삽입공이 형성된 삽입판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판은 길이방향의 치수가 상기 디딤판의 장공의 길이방향의 개구 치수보다 작고 또한 상기 장공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보다 크고, 폭방향의 치수가 상기 디딤판의 장공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브라켓은, 상기 빔 부재를 끼우는 상변부와 하변부가 기단 측에서 결합하여 측면에서 볼 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변부에 나사 구멍이 있고 상면에서 볼 때 길이방향 치수 및 폭방향의 치수가 각각 상기 디딤판의 장공의 길이방향의 개구 치수 및 폭방향의 개구 치수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의 삽입판의 볼트 삽입공에 삽입된 볼트를 상기 하부 브라켓의 나사 구멍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이 볼트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바닥 부재의 디딤판의 뒷면에 배치된 고정 브라켓을 디딤판과 평행한 평면 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상부 브라켓의 삽입판의 양단이 디딤판의 삽입공에 삽입됨과 동시에, 하부 브라켓의 상변부와 하변부 사이에 빔 부재가 끼워지고, 볼트의 체결에 의해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이 근접하고, 상부 브라켓의 삽입판이 삽입공 내에 구속됨과 동시에, 하부 브라켓의 하변부가 빔 부재에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
  2. 디딤판에 장공이 형성되고, 그 장공의 2개의 장변의 가장자리로부터 디딤판의 뒤쪽으로 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리브에 장공의 장변을 따라 연장된 슬릿 형상의 삽입공을 갖는 바닥 부재를 빔 부재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으로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바닥 부재에 결합하는 상부 브라켓과, 상기 빔 부재에 결합하는 하부 브라켓과, 상기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을 연결하는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브라켓은, 길이방향의 양단이 상기 디딤판의 삽입공에 삽입되고, 중앙에 볼트 삽입공이 형성된 삽입판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판은 길이방향의 치수가 상기 디딤판의 장공의 길이방향의 개구 치수보다 작고 또한 상기 장공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보다 크고, 폭방향의 치수가 상기 디딤판의 장공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브라켓은, 상기 빔 부재를 끼우는 상변부와 하변부가 기단 측에서 결합하여 측면에서 볼 때 ㄷ자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변부에 나사 구멍이 구비되고, 상면에서 볼 때 길이방향의 치수 및 폭방향의 치수가 각각 상기 디딤판의 장공의 길이방향의 개구 치수 및 폭방향의 개구 치수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의 삽입판의 볼트 삽입공에 삽입된 볼트를 상기 하부 브라켓의 나사 구멍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이 볼트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은, 삽입판의 일측 장변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브라켓의 측면을 따라 빔 부재 측으로 연장되어 빔 부재의 상면에 접촉하는 규제판을 구비한 고정 브라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판의 하단에 톱니 형상의 새김자국이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판은, 하부 브라켓 측으로 돌출되어 하부 브라켓의 상한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고정 브라켓.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판은 하단에, 하부 브라켓 측으로 돌출되어 빔 부재의 상면에 접촉하는 접촉판을 구비한 고정 브라켓.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라켓에서, 상변부는 폭방향의 양단에 하변부 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구비하고, 하변부는 폭방향의 양단에 상변부로 돌출된 플랜지를 구비하는 고정 브라켓.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변부의 플랜지는 상변부 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구비하는 고정 브라켓.
  9.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상부 브라켓의 삽입판과 하부 브라켓 사이에 스프링이 장착된 고정 브라켓.
  10.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 브라켓에 장착되는 리테이너로서,
    바닥 부재의 장공의 폭방향의 개구 치수보다 큰 베이스 플레이트에, 해당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개방 단부를 갖는 볼트 삽입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브라켓용 리테이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폐색단을 끼우는 위치에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돌출하는 방식으로 삽입판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용 리테이너.
  12. 삭제
KR1020170060077A 2016-05-17 2017-05-15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 KR102341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98407A JP6427139B2 (ja) 2016-05-17 2016-05-17 床材の固定構造
JPJP-P-2016-098407 2016-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622A KR20170129622A (ko) 2017-11-27
KR102341552B1 true KR102341552B1 (ko) 2021-12-22

Family

ID=6041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077A KR102341552B1 (ko) 2016-05-17 2017-05-15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427139B2 (ko)
KR (1) KR1023415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2952B2 (ja) * 2018-02-23 2022-03-09 株式会社ニッケンビルド パネル固定金具及びナット保持部材並びに金属製床パネルと梁材との固定方法及び固定構造
CN109826077B (zh) * 2019-01-29 2023-10-24 湖州新峰木塑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装拆方便的可调坡度支撑器
JP7499509B2 (ja) 2020-10-21 2024-06-14 三進金属工業株式会社 床材および床構造
JP7499510B2 (ja) 2020-10-21 2024-06-14 三進金属工業株式会社 床材および床構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4862A (ja) * 2010-03-04 2011-09-22 Sanshin Kinzoku Kogyo Kk 止め金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8042A (en) * 1977-12-16 1980-04-15 Olson George E Paddle tennis court and deck construction
JPS5828006Y2 (ja) * 1978-11-27 1983-06-18 清一 豊口 水平支保工吊下用部材
JPS58172602U (ja) * 1982-05-13 1983-11-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固定金具
US4798029A (en) * 1987-11-30 1989-01-17 Fibergrate Corporation Hold-down clamp
JP3072392B2 (ja) * 1991-05-15 2000-07-31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Alc床版固定金物
JPH07259232A (ja) * 1994-02-01 1995-10-09 Minoru Obika 床材パネル
JP3831073B2 (ja) * 1997-06-26 2006-10-11 日立機材株式会社 フロアパネルの浮き上り防止用固定金具及び固定方法
JP4129316B2 (ja) * 1998-07-21 2008-08-06 株式会社ヴァルベクトル 床パネル固定具及びこれを用いた床パネル固定方法
JP2007070799A (ja) * 2005-09-02 2007-03-22 Soufuku Koki Kk クリーンルーム用の床パネル及び該床パネルの製造方法
JP5426818B2 (ja) * 2007-06-25 2014-02-26 小林 智 フロアパネル固定金具
KR20140040814A (ko) * 2011-06-15 2014-04-03 오글랜드 시스템 테크놀로지 에이에스 그레이팅 클램프 및 지지체에 그레이팅을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4862A (ja) * 2010-03-04 2011-09-22 Sanshin Kinzoku Kogyo Kk 止め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206833A (ja) 2017-11-24
KR20170129622A (ko) 2017-11-27
JP6427139B2 (ja)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1552B1 (ko) 바닥 부재의 고정 구조
US6796006B2 (en) Rib clip
US5904023A (en) Steel stud stabilizing clip
US7789606B2 (en) Push-in nut
US20120110944A1 (en) Fastener for building materials
US20070012852A1 (en) Grid-holding element
US11105100B2 (en) Step clip fastening system and method
US20230399854A1 (en) Step clip fastening system and method
US7401681B2 (en) Mounting support device for ceiling embedded speaker system
KR20210115689A (ko) 조립식 앵글
JP2007218036A (ja) デッキ材の固定構造
JP2007077604A (ja) 屋根板取付け金具
KR20170118455A (ko) 데크 조립장치
JP6360334B2 (ja) ボード取付金物
US20050175407A1 (en) Joining element for releasable joining of partially overlapping parts, as well as a housing having such a joining element, and a method for releasable joining of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parts
JP6627070B1 (ja) 固定金具及び屋根板取り付け金具
JP2628470B2 (ja) シートの保持装置
US20190249445A1 (en) Base profile of a floor profile arrangement
JP7446758B2 (ja) パネル材の振れ止め構造
JP7499510B2 (ja) 床材および床構造
JP7499509B2 (ja) 床材および床構造
KR102034843B1 (ko) 목재 데크용 결속구와 목재 데크 및 목재 데크의 시공방법
JPH0417685Y2 (ko)
JP2003147915A (ja) 屋根板取り付け金具および屋根構造
JP2023116853A (ja) 床材の固定構造および固定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