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517B1 -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단편을 포함하는 단백질 결합체의 액상 제제 - Google Patents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단편을 포함하는 단백질 결합체의 액상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517B1
KR102311517B1 KR1020130134412A KR20130134412A KR102311517B1 KR 102311517 B1 KR102311517 B1 KR 102311517B1 KR 1020130134412 A KR1020130134412 A KR 1020130134412A KR 20130134412 A KR20130134412 A KR 20130134412A KR 102311517 B1 KR102311517 B1 KR 102311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ntomodulin
long
liquid formulation
acting
conju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8387A (ko
Inventor
김현욱
임형규
장명현
김상윤
배성민
권세창
Original Assignee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약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58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387A/ko
Priority to KR1020210129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6Glucag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0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sulfur, e.g. dimethyl sulfoxide [DMSO], docusate, sodium lauryl sulfate or aminosulfon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01Drug-antibody or immunoglobulin conjugates defined by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80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 A61K47/6811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the drug being a protein or peptide, e.g. transferrin or bleomy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 A61K47/68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determinant of a tumour ce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C07K14/605Glucag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30Non-immunoglobulin-derived peptide or protein having an immunoglobulin constant or Fc region, or a fragment thereof, attached theret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docri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Biophysics (AREA)
  • Toxic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ell 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신토모듈린의 유도체, 변이체, 전구물질, 또는 단편 등을 포함하는 옥신토모듈린 펩타이드와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결합되어 천연형에 비해 생리활성 지속기간이 증가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유도체 결합체가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알부민-비함유 액상 제제 및 상기 제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액상 제제는 완충용액, 당알코올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고 인간 혈청 알부민 및 인체에 잠재적으로 유해한 인자를 포함하지 않아서 바이러스 감염의 우려가 없으며,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천연형에 비해 분자량이 크고 생리활성 지속 기간이 증대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에 대해 우수한 저장 안정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단편을 포함하는 단백질 결합체의 액상 제제 {Liquid formulation of protein conjugate comprising the oxyntomodulin and an immunoglobulin fragment}
본 발명은 옥신토모듈린의 유도체, 변이체, 전구물질, 또는 단편 등을 포함하는 옥신토모듈린 펩타이드와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결합되어 천연형에 비해 생리활성 지속기간이 증가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유도체 결합체가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알부민-비함유 액상 제제 및 상기 제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만이란 비정상적 또는 과잉의 지방이 축적되어 건강에 위협이 되는 상태로 정의되며 에너지 섭취가 에너지 소비보다 많은 에너지 불균형의 결과이다. 과거에 비만은 건강에 있어 중요한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경제적으로 풍요로워지면서 비만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고, 비만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여러 질환들도 늘어나고 있다. 국제 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15억 명 이상의 성인이 과체중이고 그 중 5억명 이상이 비만이며, 1980년에서 2008년 사이에 비만인구는 두 배 가량 증가 하였다 (World Health Organisation, Fact sheet on obesity and overweight, 2011). 높은 수입을 가진 국가뿐만 아니라 현재는 적은 수입을 가진 나라에서도 비만 인구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과체중 및 비만은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증가시켜 각종 질환의 발병 또는 악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어린이나 청소년들에서는 비만의 문제가 더 심각하며, 당뇨나 심장질환, 고혈압, 고지혈증의 발병률을 증가시키고 사망이나 장애를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
이처럼 비만은 전세계적인 질병이자 사회적 문제이지만, 개인의 노력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고 믿어져 과거에는 치료에 큰 비중을 두지 않았다. 그러나 비만은 식욕조절 및 에너지 대사의 작용기작과 관련된 복잡한 질환이기 때문에 의외로 치료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환자 자신의 노력뿐만 아니라 식욕조절 및 에너지 대사와 관련된 비정상적인 작용기작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동시에 수행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한 의약품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 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서, Rimonabant(Sanofi-Aventis), Sibutramine(Abbott), Contrave(Takeda), Orlistat(Roche) 등의 의약이 개발되었으나, 이들은 치명적인 부작용을 나타내거나 비만치료 효과가 미비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Rimonabant(Sanofi-Aventis)는 중추신경장애 부작용을 나타냈고, Sibutramine(Abbott)과 Contrave(Takeda)는 심혈관 부작용을 나타냈으며, Orlistat(Roche)은 1년 복용 시 약 4kg의 체중감소 효력을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현재 비만 환자에게 안전하게 처방될 수 있는 비만 치료제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최근에는 글루카곤 유도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글루카곤은 약물 치료 또는 질병, 호르몬이나 효소 결핍 등의 원인으로 혈당이 떨어지기 시작하면 췌장에서 생산된다. 글루카곤은 간세포로 하여금 저장해 둔 글리코겐을 글루코오스로 분해해서 혈액으로 분비하게 하고, 혈당을 정상 수준까지 높이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글루카곤은 혈당 상승 효과 이외에 식욕억제 및 지방세포의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hormone sensitive lipase)를 활성화시켜서 지방 분해를 촉진하여 항비만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글루카곤 유도체 중의 하나인 글루카곤-유사 펩타이드-1(glucagon-like peptide-1, GLP-1)은 당뇨 환자의 고혈당증을 감소시키는 치료제로 개발 중인 물질로서, 인슐린 합성과 분비 촉진, 글루카곤의 분비 저해, 위공복 억제, 글루코오스 사용 증진과 더불어 음식물 섭취를 저해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마뱀 독액(lizard venom)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엑센딘-4(exendin-4)는 GLP-1과 대략 50%의 아미노산 상동성을 가지며 GLP-1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당뇨 환자의 고혈당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GLP-1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용 의약은 구토와 메스꺼움의 부작용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상기 GLP-1의 대안으로서, GLP-1과 글루카곤의 두 가지 펩타이드 수용체에 모두 결합할 수 있는 옥신토모듈린(oxyntomodulin)이 각광받고 있다. 상기 옥신토모듈린은 글루카곤의 전구체인 프리-글루카곤(pre-glucagon)으로부터 만들어지는 펩타이드로서, GLP-1의 음식물 섭취 저해, 포만감 증진 효력과 글루카곤의 지방분해 기능을 보여 항-비만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옥신토모듈린 펩타이드의 이중 기능성(dual function)에 기반하여 비만 치료 목적의 의약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예를 들어, 특허등록 제925017호에는 인간의 과체중을 치료하기 위한, 경구, 비경구, 점막(mucosal), 직장, 피하 또는 경피성 투여용 약학적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는데, 유효성분으로써 옥신토모듈린을 포함한다. 그러나 옥신토모듈린을 포함하는 비만치료제는 생체 내 반감기가 짧고, 하루에 세 번씩 고용량을 투여하여도 비만 치료 효과 또한 낮은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옥신토모듈린을 변형시켜서 생체 내 반감기를 증대시키거나 비만 치료 효과를 증대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듀얼 아고니스트 옥신토모듈린(Merck사)은 옥신토모듈린의 2번째 아미노산 L-세린을 D-세린으로 치환하여 디펩티딜 펩티다아제 Ⅳ(dipeptidyl peptidase-Ⅳ, DPP-Ⅳ)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동시에 C-말단에 콜레스테롤 moiety를 붙여 혈중 반감기를 증가시킨 것이다. ZP2929(Zealand)는 옥신토모듈린의 2번째 아미노산 L-세린을 D-세린으로 치환하여 DPP-Ⅳ 저항성을 높이고, 17번째 아미노산인 아르기닌을 알라닌으로 치환하여 프로테아제에 대한 저항성을 높였으며, 27번째 아미노산인 메티오닌을 리신으로 치환하여 산화적 안정성을 증가시켰고, 20번째와 24번째 아미노산인 글루타민과 28번째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을 각각 아스파르트산, 알라닌 및 세린으로 치환하여 탈아미드화에 대한 안정성(deamidation stability)을 증가시킨 것이다. 그러나, 반감기를 증가시킨 듀얼 아고니스트 옥신토모듈린 (Merck 사)의 경우에도 천연형 옥신토모듈린의 반감기인 8~12분보다 길어지긴 했지만 여전히 1.7시간으로 생체 내 반감기가 매우 짧은 편이며 약물의 투여 용량 또한 수 mg/kg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따라서, 옥신토모듈린 또는 그의 유도체는 여전히 짧은 반감기와 낮은 약효로 인해 매일 투여해야 되고 과량의 약물을 투여해야 되는 두 가지 커다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생체 내에서 옥신토모듈린의 활성을 유지하면서도, 그의 혈중 반감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여,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앞서 가진 기술을 이용해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를 상기 옥신토모듈린 유도체에 캐리어를 결합시켜서 제조하였고 이 단백질 결합체가 생체 내에서 활성을 유지하면서도, 그의 혈중 반감기를 증가시켜서, 보다 우수한 항 비만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여 단백질 결합체를 발명하였다.
일반적으로, 단백질 및 펩타이드는 반감기가 많이 짧으며 적당하지 않은 온도, 물-공기 계면에의 노출, 고압, 물리적/기계적 스트레스, 유기용매, 미생물에 의한 오염 등에 노출 시 단량체의 응집에 의한 침전 및 용기 표면에의 흡착 등의 변성 현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변성 현상은 비가역적이기 때문에 변성된 단백질 및 펩타이드는 원래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생리활성 효과를 소실하게 된다. 그리고, 불안정하고 온도, 습도, 산소 및 자외선 등의 외부 요소에 쉽게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어서 응집, 중합 및 산화를 포함하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변화를 거쳐 활성이 크게 손실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89726).
또한, 흡착된 단백질 및 펩타이드는 변성 과정에 의하여 쉽게 응집되며 이렇게 응집된 변성 단백질 및 펩타이드는 인체에 투여 시, 인체 내에서 항체 형성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단백질 및 펩타이드가 충분히 안정한 상태가 되도록 투여하여야 한다. 따라서 용액 상태의 단백질 및 펩타이드 변성을 막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다(John Geigert, J.Parenteral Sci. Tech., 43, No5, 220-224, 1989; David Wong, Pharm.Tech. October, 34-48, 1997; Wei Wang., Int.J.Pharm.,185, 129-188, 1999; Willem Norde, Adv.Colloid Interface Sci., 25, 267-340, 1986; Michelle et al., Int.J.Pharm. 120, 179-188, 1995).
일부 단백질 및 펩타이드 약품은 동결 건조방법으로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나 동결 건조 제품은 사용할 때 다시 주사용수에 녹여야 하는 불편이 있고, 동결 건조과정이 생산 공정에 포함되어 있어서 대용량의 동결 건조기를 사용해야만 하는 등 대규모의 투자가 필요하다. 분무 건조기를 사용하여 분말화 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는데, 이 경우 낮은 수율로 인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고온에 노출되기 때문에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용액 상태인 단백질 및 펩타이드에 안정화제를 첨가하여 약물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억제하면서 장기간 저장을 하는 경우에도 약물의 생체 내 효력을 유지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단백질의 일종인 인간 혈청 알부민은 여러 단백질 약물의 안정화제로서 폭 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성능을 입증 받아왔다(Edward Tarelli et al., Biologicals (1998) 26, 331-346).
그러나 인간 혈청 알부민은 정제 과정에서 미코플라스마, 프리온,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등의 생물학적 오염물에 대한 불활성 공정과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오염물 또는 병원체에 대한 생물학적 물질을 스크린 하거나 검사하는 방법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들이 완전히 제거 또는 불활성 되지 않은 채 환자에게 노출될 위험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스크린 공정은 혈액 기증자의 인간 혈액에서 특정 바이러스에 대한 검사를 포함하지만, 이러한 공정이 항상 신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특히 매우 적은 수로 존재하는 특정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없다.
상이한 단백질들은 화학적 차이로 인해, 저장하는 동안 상이한 비율 및 상이한 조건하에서 점진적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즉, 안정화를 위해 사용되는 물질에 의한 저장기간 연장 효과는 상이한 단백질에 대해서 동등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저장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정화제는 목적 단백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적합한 비율, 농도 및 종류가 더욱 다양하다. 안정화제들을 병용할 경우 상호 간의 경쟁 작용 및 부작용으로 인하여 목적한 바와 다른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저장하는 동안 저장 단백질의 본질이 변화하거나 농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상이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용액 중의 단백질을 안정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옥신토모듈린의 면역글로불린 Fc 결합체의 경우, 생리활성 펩타이드인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Fc영역이 결합된 형태이므로 분자량 및 부피가 일반적인 옥신토모듈린과 확연하게 다르므로 단백질을 안정화하기 위한 특별한 조성이 요구된다.
또한, 생리활성 펩타이드인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Fc영역은 각각 물리 화학적 특성이 다른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이므로, 생리활성 펩타이드인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Fc영역을 동시에 안정화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이한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들은 그들의 물리 화학적 차이점으로 인해 저장하는 동안 상이한 비율 및 상이한 조건하에서 점진적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고, 각각의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에 적합한 안정화제들을 병용하는 경우 상호 간의 경쟁 작용 및 부작용으로 인하여 목적한 바와 다른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경우 생리활성 펩타이드인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Fc영역을 동시에 안정화하는 안정화제의 조성을 찾는 것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를 바이러스 오염의 우려 없이 장기간 동안 보관할 수 있는 안정한 액상 제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완충용액, 당 알코올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등장화제나 아미노산 등의 첨가제(additive)와 반복 사용을 위한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는 안정화제를 이용하여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경제적이고 안정한 액상 제제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생리활성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결합된 약리학적 유효량의 옥신토모듈린 유도체 결합체 및 알부민-비함유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 액상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생리활성 펩타이드인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결합된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 액상 제제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생리활성 펩타이드인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결합된 약리학적 유효량의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및 알부민-비함유 안정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안정화제는 완충용액, 당 알코올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액상 제제"는 의약품의 형태를 액상으로 제제화한 가공한 약물을 의미하며, 이는 액상의 내용 제제 및 외용 제제를 모두 포함한다. 기존에는 본 발명의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결합된 약리학적 유효량의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에 적합한 액상 제제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의 액상 제제는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결합된 약리학적 유효량의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및 알부민-비함유 안정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안정화제는 완충용액, 당 알코올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상 제제는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정화제는 등장화제, 당류, 다가알코올 및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당 알코올은 만니톨, 소르비톨 및 글리세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당 알코올의 농도가 전체 용액 대비 2 내지 15%(w/v)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용액이 구연산, 아세트산, 히스티딘 및 인산 완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의 pH는 범위가 pH 4.5 내지 pH 7.0일 수 있다. 상기 등장화제는 염화나트륨일 수 있으며,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솔베이트 또는 폴록사머일 수 있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0.001 내지 0.1%(w/v)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은 메티오닌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액상 제제는 안정화제로 pH 4.8 내지 pH 6.0 범위의 완충용액, 만니톨 및 소르비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당 알코올, 및 폴리솔베이트2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상 제제는 m-크레졸, 페놀, 벤질알코올로 구성되는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액상 제제는 전체 용액 대비 0.001 내지 1% (w/v)의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액상 제제는 약리학적 유효량의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5 mM 내지 50 mM 히스티딘, 2 내지 15%(w/v) 만니톨, 0.01 내지 1 mg/mL 메티오닌 및 0.001 내지 0.1%(w/v) 폴리솔베이트2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0.001 내지 1% (w/v)의 m-cresol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안정화제"란 제제에서 유효성분 등의 구성 성분을 일정 기간 동안 안정하게 유지시키는 물질로, 본 발명에서는 특히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가 안정하게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와 같은 단백질에 있어서, 저장 안정성은 정확한 투여량을 보장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옥신토모듈린 유도체 결합체에 대한 항원성 물질의 잠재적인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본 발명의 상기 안정화제는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에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완충용액, 당 알코올,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장화제, 당류, 다가알코올 및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완충용액은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가 안정해지도록 액상 제제의 pH가 급격히 변화하지 않게 용액의 pH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완충용액은 알칼리 염(인산나트륨, 인산칼륨 또는 이들의 수소 또는 이수소 염), 구연산 나트륨/구연산, 아세트산나트륨/아세트산, 히스티딘을 비롯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제약 상 허용 가능한 pH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완충제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완충용액은 바람직하게는 구연산 또는 히스티딘 완충용액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히스티딘 완충용액이다. 완충 용액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100 mM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50 mM이다. 완충용액의 pH는 바람직하게는 pH 4.0 내지 pH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4.5 내지 pH 7.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pH 5.0 내지 pH 6.0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상 제제를 구성하는 완충용액 pH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완충용액의 pH를 다양하게 하여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를 25℃에서 0 내지 4주 동안 보관 후, 잔존량을 분석한 결과, pH 5.6, pH 5.8 및 pH 6.0에서 더욱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실시예 3 및 표 2 내지 5, 실시예 7 및 표 18 내지 21, 실시예 8 및 표 22 내지 25).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가장 안정적인 완충용액의 pH 범위는 pH 5.0 내지 pH 6.0 범위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상 제제를 구성하는 완충용액 종류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0.02% 폴리솔베이트 20과 0.1mg/mL 메티오닌 및 5% 만니톨을 기준으로 하여, 25℃에서 0 내지 4주 동안 보관 후 잔존량을 분석하였다. SE-HPLC 결과 동일 pH 조건에서 완충용액 종류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다. IE-HPLC 또는 RP-HPLC 결과 동일 pH 조건에서 Histidine이 가장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실시예 8 및 표 22 내지 25).
당알코올은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에서 당 알코올은 만니톨, 소르비톨 및 글리세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만니톨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당 알코올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용액 대비 1 내지 20%(w/v),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w/v)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화제로서 당 알코올의 종류가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pH 5.6의 구연산 완충용액을 기준으로 하여, 25 ℃에서 0 내지 4주 동안 보관 후 IE-HPLC, SE-HPLC, RP-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이 글리세롤에 비해 같은 농도에서 안정하였다. RP-HPLC 결과 만니톨이 소르비톨에 비해 근소하게 안정하였다(실시예 4 및 표 6 내지 9). 즉,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을 첨가했을 경우에 안정성이 우수하였으나, 만니톨이 가장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화제로서 당 알코올의 농도가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25 ℃에서 0 내지 4주 동안 보관 후 IE-HPLC, SE-HPLC, RP-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 만니톨 또는 15% 만니톨의 경우 단백질 침전이 생성되었고, 5% 만니톨 또는 10% 만니톨이 안정하였다(실시예 5 및 표 10 내지 13, 실시예 7 및 표 18 내지 21).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단백질 용액의 표면장력을 낮추어 소수성 표면에 단백질이 흡착되거나 응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솔베이트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폴록사머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액상 제제에 고농도로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한데, 본 발명의 용액 제형에는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는 0.2%(w/v) 이하의 농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w/v)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안정화제는 메티오닌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메티오닌은 단백질의 산화 반응 등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불순물 생성을 억제시켜서 단백질을 더욱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화제로서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농도와 아미노산의 유무가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pH 5.6의 구연산 완충용액 및 10% 만니톨을 기준으로 하여, 25 ℃에서 0 내지 4주 동안 보관 후 IE-HPLC, SE-HPLC, RP-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0.02% 폴리솔베이트 20에 0.1mg/mL 메티오닌을 첨가한 것이 가장 안정하였다(실시예 6 및 표 14 내지 17).
등장화제는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를 용액 상에서 체내에 투여할 때 삼투압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를 용액 상에서 더욱 안정화시키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등장화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수용성 무기염으로서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구연산나트륨을 들 수 있다. 등장화제의 농도는 바람직하게 0 내지 200 mM 이며, 적절한 함량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안정화제는 알부민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백질의 안정화제로 이용될 수 있는 인간 혈청 알부민은 인체의 혈액으로부터 제조되어서 인간 유래의 병원성 바이러스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존재하고, 젤라틴이나 소 혈청 알부민은 질환을 야기하거나 일부 환자에게 알러지 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알부민-비함유 안정화제는 인간이나 동물 유래의 혈청 알부민 또는 정제된 젤라틴 등의 이종 단백질을 함유하지 않아서 바이러스 감염의 우려가 없다.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저장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당류 및 다가 알코올 중 당류의 바람직한 예로는 만노오스, 글루코오스, 푸코오스 및 크실로오스 등의 단당류와 락토오스,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라피노오스 및 덱스트란 등의 다당류 등을 들 수 있고, 다가 알코올의 바람직한 예로는 프로필렌글리콜 및 저분자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저분자량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상 제제에는 상기 설명한 완충용액, 등장화제, 당 알코올, 아미노산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기타의 성분 내지 물질들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액상 제제는 생리활성 펩타이드인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결합된 약리학적 유효량의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및 알부민-비함유 안정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안정화제는 pH 4.8 내지 pH 7.0 범위의 완충용액, 만니톨 및 소르비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당 알코올, 및 폴리솔베이트2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더 구체적으로 상기 안정화제는 pH 5.0 내지 pH 6.0 범위의 완충용액, 만니톨 및 폴리솔베이트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정화제는 등장화제, 당류, 다가알코올 및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에 안정성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알부민-비함유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고농도 액상 제제는 바이러스 감염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제형으로 우수한 저장 안정성을 나타내어 다른 안정화제나 동결 건조 제제에 비해 경제적인 제공이 가능한 제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액상 제제는 천연형에 비해 생리활성 지속 기간이 증대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통상적인 옥신토모듈린 제제에 비해 인체 내에서 단백질 활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약물 제제로 이용할 수 있으며, 고농도의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에 대해서도 우수한 안정성을 제공하는 제제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옥신토모듈린"이란 글루카곤의 전구체인 프리-글루카곤(pre-glucagon)으로부터 만들어지는 펩타이드를 의미하며, 천연형 옥신토모듈린, 전구물질 (precursor), 유도체 (derivatives), 단편 (fragments) 및 변이체 (variants)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HSQGTFTSDYSKYLDSRRAQDFVQWLMNTKRNRNNIA의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1)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란 상기 옥신토모듈린의 일부 아미노산을 부가, 결실 또는 치환의 형태로 변형시켜서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를 모두 활성화시킬 수 있고, 원래의 옥신토모듈린에 비하여 상기 각 수용체를 높은 수준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펩타이드, 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펩타이드 모방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는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 내지 34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서열번호 23 또는 2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서열번호 25의 아미노산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옥신토모듈린 단편"은 옥신토모듈린의 아미노말단 또는 카르복실말단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이 추가 또는 삭제된 형태를 의미하며 추가된 아미노산은 천연에 존재하지 않는 아미노산(예; D형 아미노산)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옥신토모듈린 단편은 체내에서 혈당조절 기능을 보유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옥신토모듈린 변이체"는, 옥신토모듈린과 아미노산 서열이 하나 이상 다른 펩타이드로서, GLP-1과 글루카곤 수용체 활성화 기능을 보유한 펩타이드를 의미하며, 천연형 옥신토모듈린에서 일부 아미노산이 치환(substitution), 추가(addition), 제거(deletion) 및 수식(modification) 중에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이들 방법의 조합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옥신토모듈린 유도체, 단편, 변이체에서 각각 사용된 제조방법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조합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아미노산 서열이 하나 이상 다르고, N-말단 아미노산 잔기에 탈아미노화 (deamination)된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 모두에 대한 활성화 기능을 보유한 펩타이드도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아미노산은 IUPAC-IUB 명명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약어로 기재하였다.
알라닌 A 아르기닌 R
아스파라긴 N 아스파르트산D
시스테인 C 글루탐산 E
글루타민 Q 글리신 G
히스티딘 H 이소류신 I
류신 L 리신 K
메티오닌 M 페닐알라닌 F
프롤린 P 세린 S
트레오닌 T 트립토판 W
티로신 Y 발린 V
본 발명에서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는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아미노산의 치환, 부가 결실 또는 번역후 변형(예를 들어, 메틸화, 아실화, 유비퀴틴화, 분자내 공유결합)되어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를 동시에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임의의 펩타이드를 포괄한다. 상기 아미노산의 치환 또는 부가 시에는 인간 단백질에서 통상적으로 관찰되는 20개의 아미노산 뿐만 아니라 비정형 또는 비자연적 발생 아미노산을 사용할 수 있다. 비정형 아미노산의 상업적 출처에는 Sigma-Aldrich, ChemPep과 Genzyme pharmaceuticals가 포함된다. 이러한 아미노산이 포함된 펩타이드와 정형적인 펩타이드 서열은 상업화된 펩타이드 합성 회사, 예를 들어 미국의 American peptide company나 Bachem, 또는 한국의 Anygen을 통해 합성 및 구매 가능하다.
구체적인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신규한 펩타이드이다.
R1-X1-X2-GTFTSD-X3-X4-X5-X6-X7-X8-X9-X10-X11-X12-X13-X14-X15-X16-X17-X18-X19-X20-X21-X22-X23-X24-R2(일반식 1)
상기 식에서,
R1은 히스티딘, 데스아미노-히스티딜 (desamino-histidyl), 디메틸-히스티딜 (N-dimethyl-histidyl), 베타-히드록시 이미다조프로피오닐 (beta-hydroxyimidazopropionyl), 4-이미다조아세틸(4-imidazoacetyl), 베타-카르복시 이미다조프로피오닐 (beta-carboxy imidazopropionyl) 또는 티로신이며;
X1은 Aib(aminoisobutyric acid), d-알라닌, 글리신, Sar(N-methylglycine), 세린 또는 d-세린이고;
X2는 글루탐산 또는 글루타민이며;
X3은 류신 또는 티로신이고;
X4는 세린 또는 알라닌이며;
X5는 리신 또는 아르기닌이며;
X6는 글루타민 또는 티로신이고;
X7은 류신 또는 메티오닌이며;
X8은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고;
X9은 글루탐산, 세린, 알파-메틸-글루탐산 또는 결실된 서열이며;
X10는 글루타민, 글루탐산, 리신, 아르기닌, 세린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11은 알라닌, 아르기닌, 발린 또는 결실된 서열이며;
X12은 알라닌, 아르기닌, 세린, 발린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13는 리신, 글루타민, 아르기닌, 알파-메틸-글루탐산 또는 결실된 서열이며;
X14은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류신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15는 페닐알라닌 또는 결실된 서열이며;
X16는 이소류신, 발린 또는 결실된 서열이며;
X17는 알라닌, 시스테인, 글루탐산, 리신, 글루타민, 알파-메틸-글루탐산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18는 트립토판 또는 결실된 서열이며;
X19은 알라닌, 이소류신, 류신, 세린, 발린 또는 결실된 서열이며;
X20는 알라닌, 리신, 메티오닌, 글루타민, 아르기닌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21은 아스파라긴 또는 결실된 서열이며;
X22은 알라닌, 글리신, 트레오닌 또는 결실된 서열이며;
X23는 시스테인, 리신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24은 알라닌, 글리신 및 세린의 조합으로 구성된 2 내지 10개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펩타이드 또는 결실된 서열이며;
R2는 KRNRNNIA(서열번호 35), GPSSGAPPPS(서열번호 36), GPSSGAPPPSK(서열번호 37), HSQGTFTSDYSKYLD(서열번호 38), HSQGTFTSDYSRYLDK(서열번호 39), HGEGTFTSDLSKQMEEEAVK(서열번호 40) 또는 결실된 서열이다(단, 상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1과 동일한 경우는 제외한다).
본 발명의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는 야생형의 옥신토모듈린의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에 대한 활성을 높이기 위해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1번 아미노산인 히스티딘의 알파 카본을 결실시킨 4-이미다조아세틸(4-imidazoacetyl), N-말단 아미노기를 결실시킨 데스아미노-히스티딜 (desamino-histidyl), N-말단 아미노기를 2개의 메틸그룹으로 수식한 디메틸-히스티딜 (N-dimethyl-histidyl), N-말단 아미노기를 하이드록실 그룹으로 치환한 베타-히드록시 이미다조프로피오닐 (beta-hydroxyimidazopropionyl), 또는 N-말단 아미노기를 카르복실 그룹으로 치환한 베타-카르복시 이미다조프로피오닐 (beta-carboxy imidazopropionyl)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GLP-1 수용체와 결합하는 부위를 소수성 결합과 이온 결합을 강화시키는 아미노산으로 치환시키거나 또는 이들을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옥신토모듈린 서열의 일부 서열을 GLP-1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Exendin-4의 아미노산 서열로 치환하여 GLP-1 수용체의 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옥신토모듈린 서열의 일부 서열을 알파 헬릭스를 강화시키는 서열로 치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의 10, 14, 16, 20, 24 및 28번 아미노산이 알파 헬릭스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Tyr(4-Me), Phe, Phe(4-Me), Phe(4-Cl), Phe(4-CN), Phe(4-NO2), Phe(4-NH2), Phg, Pal, Nal, Ala(2-thienyl) 또는 Ala(benzothienyl)로 구성되는 아미노산 혹은 아미노산 유도체로 치환될 수 있으며, 삽입될 수 있는 알파 헬릭스에 도움을 주는 아미노산 혹은 아미노산 유도체의 종류 및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10과 14번, 12와 16번, 16과 20번, 20과 24번 및 24와 28번은 각각 글루탐산 또는 리신으로 치환하여 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삽입되는 링의 개수 역시 제한되지 않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일반식 2 내지 6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옥신토모듈린 유도체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는 옥신토모듈린의 아미노산 서열에 엑센딘-4(Exendin-4) 또는 GLP-1의 서열로 치환한 하기 일반식 2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신규한 펩타이드이다.
R1-A-R3(일반식 2)
다른 구체적인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는 옥신토모듈린의 아미노산 서열 일부와 엑센딘-4(Exendin-4) 또는 GLP-1의 서열 일부를 적당한 아미노산 링커로 연결한 하기 일반식 3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신규한 펩타이드이다.
R1-B-C-R4(일반식 3)
다른 구체적인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는 옥신토모듈린의 아미노산 서열의 일부를 GLP-1 수용체와의 소수성 결합력을 높이는 아미노산으로 치환, 예컨대 26번째 Leu이 소수성을 증가시키는 아미노산인 Ile 혹은 Val으로 치환된 하기 일반식 4를 포함하는 신규한 펩타이드이다.
R1-SQGTFTSDYSKYLD-D1-D2-D3-D4-D5-LFVQW-D6-D7-N-D8-R3(일반식 4)
다른 구체적인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는 고유 옥신토모듈린의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의 활성을 높이기 위해 아미노산 서열 일부를 삭제 또는 삽입하거나 아미노산 일부를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한 하기 일반식 5를 포함하는 신규한 펩타이드이다.
R1-E1-QGTFTSDYSKYLD-E2-E3-RA-E4-E5-FV-E6-WLMNT-E7-R5(일반식 5)
상기 일반식 2 내지 5에 있어서,
R1은 상기 일반식 1에서 설명된 구성과 동일하고;
A는 SQGTFTSDYSKYLDSRRAQDFVQWLMNT(서열번호 41), SQGTFTSDYSKYLDEEAVRLFIEWLMNT(서열번호 42), SQGTFTSDYSKYLDERRAQDFVAWLKNT(서열번호 43), GQGTFTSDYSRYLEEEAVRLFIEWLKNG(서열번호 44), GQGTFTSDYSRQMEEEAVRLFIEWLKNG(서열번호 45), GEGTFTSDLSRQMEEEAVRLFIEWAA(서열번호 46) 및 SQGTFTSDYSRQMEEEAVRLFIEWLMNG(서열번호 47)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B는 SQGTFTSDYSKYLDSRRAQDFVQWLMNT(서열번호 41), SQGTFTSDYSKYLDEEAVRLFIEWLMNT(서열번호 42), SQGTFTSDYSKYLDERRAQDFVAWLKNT(서열번호 43), GQGTFTSDYSRYLEEEAVRLFIEWLKNG(서열번호 44), GQGTFTSDYSRQMEEEAVRLFIEWLKNG(서열번호 45), GEGTFTSDLSRQMEEEAVRLFIEWAA(서열번호 46), SQGTFTSDYSRQMEEEAVRLFIEWLMNG(서열번호 47), GEGTFTSDLSRQMEEEAVRLFIEW(서열번호 48) 및 SQGTFTSDYSRYLD(서열번호 49)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C는 알라닌, 글리신 및 세린의 조합으로 구성된 2 내지 10개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펩타이드이고;
D1은 세린, 글루탐산 또는 아르기닌이며;
D2는 아르기닌, 글루탐산 또는 세린이고;
D3은 아르기닌, 알라닌 또는 발린이며;
D4는 아르기닌, 발린 또는 세린이고;
D5는 글루타민, 아르기닌 또는 리신이며;
D6은 이소류신, 발린 또는 세린이고;
D7은 메티오닌, 아르기닌 또는 글루타민이며;
D8은 트레오닌, 글리신 또는 알라닌이고;
E1은 세린, Aib, Sar, d-알라닌 또는 d-세린이며;
E2는 세린 또는 글루탐산이고;
E3은 아르기닌 또는 리신이며;
E4는 글루타민 또는 리신이고;
E5는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며;
E6는 글루타민, 시스테인 또는 리신이고;
E7은 시스테인, 리신 또는 결실된 서열이며;
R3은 KRNRNNIA(서열번호 35), GPSSGAPPPS(서열번호 36) 또는 GPSSGAPPPSK(서열번호 37)이며;
R4는 HSQGTFTSDYSKYLD(서열번호 38), HSQGTFTSDYSRYLDK(서열번호 39) 또는 HGEGTFTSDLSKQMEEEAVK(서열번호 40)이고;
R5는 KRNRNNIA(서열번호 35), GPSSGAPPPS(서열번호 36), GPSSGAPPPSK(서열번호 37) 또는 결실된 서열이다(단, 상기 일반식 2 내지 5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1과 동일한 경우는 제외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 6의 신규한 펩타이드일 수 있다.
R1-X1-X2-GTFTSD-X3-X4-X5-X6-X7-X8-X9-X10-X11-X12-X13-X14-X15-X16-X17-X18-X19-X20-X21-X22-X23-X24-R2(일반식 6)
상기 일반식 6에 있어서,
R1은 히스티딘, 데스아미노-히스티딜 (desamino-histidyl), 4-이미다조아세틸(4-imidazoacetyl) 또는 티로신이며;
X1은 Aib(aminoisobutyric acid), 글리신, 세린 또는 d-세린이고;
X2는 글루탐산 또는 글루타민이며;
X3은 류신 또는 티로신이고;
X4는 세린 또는 알라닌이며;
X5는 리신 또는 아르기닌이며;
X6는 글루타민 또는 티로신이고;
X7은 류신 또는 메티오닌이며;
X8은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고;
X9은 글루탐산, 알파-메틸-글루탐산 또는 결실된 서열이며;
X10는 글루타민, 글루탐산, 리신, 아르기닌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11은 알라닌, 아르기닌 또는 결실된 서열이며;
X12은 알라닌, 발린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13는 리신, 글루타민, 아르기닌, 알파-메틸-글루탐산 또는 결실된 서열이며;
X14은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류신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15는 페닐알라닌 또는 결실된 서열이며;
X16는 이소류신, 발린 또는 결실된 서열이며;
X17는 알라닌, 시스테인, 글루탐산, 글루타민, 알파-메틸-글루탐산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18는 트립토판 또는 결실된 서열이며;
X19은 알라닌, 이소류신, 류신, 발린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20는 알라닌, 리신, 메티오닌, 아르기닌 또는 결실된 서열이며;
X21은 아스파라긴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22은 트레오닌 또는 결실된 서열이며;
X23는 시스테인, 리신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24은 글리신으로 구성된 2 내지 10개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펩타이드 또는 결실된 서열이며;
R2는 KRNRNNIA(서열번호 35), GPSSGAPPPS(서열번호 36), GPSSGAPPPSK(서열번호 37), HSQGTFTSDYSKYLD(서열번호 38), HSQGTFTSDYSRYLDK(서열번호 39), HGEGTFTSDLSKQMEEEAVK(서열번호 40) 또는 결실된 서열이다(단, 상기 일반식 6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1과 동일한 경우는 제외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는 서열번호 2 내지 34의 펩타이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실시예 1의 표 1에 기재된 옥신토모듈린 유도체일 수 있다.
옥신토모듈린은 GLP-1과 글루카곤 두 개의 펩타이드 활성을 가지고 있는데, GLP-1은 인슐린 분비에 의한 혈당 강하 효력이 있으나 글루카곤은 혈당 증가 효력이 있고, GLP-1은 음식물 섭취 억제와 위 배출 지연, 글루카곤은 지방 분해 및 에너지 대사량 증가에 의한 체중 감소 효력 등 서로 다른 생물학적 효능이 있다. 따라서 하나의 펩타이드에 상기 두 펩타이드가 존재할 경우 어느 한 쪽의 효력이 클 경우 원치 않는 효력, 예를 들어 글루카곤의 효력이 GLP-1의 효력보다 클 경우 혈당이 올라갈 수 있으며, GLP-1의 효력이 클 경우 메스꺼움과 구토와 같은 부작용이 클 수도 있다. 또한 두 펩타이드의 활성 비율에 따라 전체 효력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옥신토모듈린 유도체 및 이의 결합체는 무조건적인 활성의 증가를 위한 유도체만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옥신토모듈린 결합체"는 옥신토모듈린과 다른 요소를 포함하는 결합체를 의미한다. 상기 다른 요소는 혈중 반감기를 증가시키거나 신장 배출을 줄이는 등 유리한 기능을 갖는 어떤 물질도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체는 옥신토모듈린에 공유결합하거나 마이크로스피어(microsphere)를 형성하여 혈중 안전성을 증가, 신장으로의 배출 지연, 수용체와의 결합력 변화 등을 유도할 수 있다. 옥신토모듈린을 포함하는 단백질 결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캐리어는 결합 후 혈중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알부민, 트랜스페린, 항체, 항체 단편, 엘라스틴, 헤파린, chitin과 같은 polysaccharide, fibronectin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면역글로불린 Fc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Fc, 그와 밀접하게 관련된 유사체의 서열을 갖는 것, 소, 염소, 돼지, 마우스, 래빗, 햄스터, 랫트, 기니아 픽 등의 동물 기원일 수 있다. 또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IgG, IgA, IgD, IgE, IgM 유래 또는 이들의 조합(combination) 또는 이들의 혼성화 (hybridization)에 의한 Fc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각각의 도메인이 IgG, IgA, IgD, IgE, Ig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면역글로불린에서 유래된 상이한 기원을 가진 도메인의 하이브리드일 수도 있으며, 동일한 기원의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단쇄 면역글로불린으로 구성된 이량체 또는 다량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간 혈액에 가장 풍부한 IgG 또는 IgM 유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리간드 결합 단백질의 반감기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공지된 IgG 유래이다. 면역글로불린 Fc는 천연 IgG를 특정 단백질 분해 효소로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형질 전환된 세포로부터 제조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장균에서 제조한 재조합 인간 면역글로불린 Fc 이다.
한편, IgG 역시 IgG1, IgG2, IgG3 및 IgG4의 서브클래스로 나눌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조합 또는 이들의 혼성화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IgG2 및 IgG4 서브클래스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보체의존세포독성(CDC, Complement dependent cytotoxicity)과 같은 이펙터 기능(effector function)이 거의 없는 IgG4의 Fc 영역이다. 즉, 가장 바람직한 본 발명의 약물 캐리어인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인간 IgG4 유래의 비당쇄화된 Fc 영역이다. 인간 체내에서 항원으로 작용하여 이에 대한 새로운 항체를 생성하는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비인간 유래의 Fc 영역에 비해 인간 유래의 Fc 영역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옥신토모듈린 결합체는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를 이용하여 결합되거나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체는 옥신토모듈린 및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를 통해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는 각각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Fc영역에 공유결합하여 연결시킬 수 있다.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의 양 말단은 각각 면역글로불린 Fc 영역 및 옥신토모듈린 유도체의 아민그룹 또는 티올 그룹(Thiol group)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옥신토모듈린 결합체는 효력의 지속성이 천연형 옥신토모듈린에 비해 증가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지속형 결합체는 천연형 옥신토모듈린의 아미노산이 수식, 치환, 추가 또는 제거된 형태가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과 같은 생분해성 중합체에 연결된 결합체, 알부민이나 면역글로불린과 같은 지속성이 뛰어난 단백질이 옥신토모듈린에 연결된 결합체, 생체 내 알부민과 결합력을 갖는 지방산이 옥신토모듈린에 연결된 결합체 또는 생분해성 나노파티클에 봉입된 형태의 옥신토모듈린을 포함할 수 있으나, 지속형 결합체의 종류는 본 발명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는 반복 단위가 2개 이상 결합된 생체 적합성 중합체를 의미하며, 상기 반복 단위들은 펩타이드 결합이 아닌 임의의 공유결합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는 비펩타이드성 링커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기존 인프레임 퓨전(inframe fusion) 방법으로 제조된 융합단백질에서 사용된 펩타이드성 링커의 단점은 생체 내에서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쉽게 절단되어서 캐리어에 의한 활성 약물의 혈중 반감기 증가 효과를 기대만큼 얻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단백질 분해효소에 저항성 있는 중합체를 사용하여 캐리어와 유사하게 펩타이드의 혈중 반감기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는 상기와 같은 역할, 즉 생체 내 단백질 분해효소에 저항성 있는 중합체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의 분자량은 1 내지 100 kDa 범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kDa 범위이다. 또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과 결합되는 본 발명의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는 한 종류의 중합체 뿐만 아니라 상이한 종류의 중합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는 면역글로불린 Fc 영역 및 단백질약물과 결합될 수 있는 반응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비 펩타이드성 중합체의 양 말단 반응기는 알데히드 그룹, 프로피온 알데히드 그룹, 부틸 알데히드 그룹, 말레이미드(maleimide) 그룹 및 석시니미드(succinimide)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시니미드 유도체로는 석시니미딜 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 석시니미딜, 석시니미딜 카르복시메틸 또는 석시니미딜 카보네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비펩타이드성 중합체가 양 말단에 알데히드 그룹의 반응기를 갖는 경우, 비특이적 반응을 최소화하고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의 양 말단에 생리활성 폴리펩타이드와 면역글로불린이 각각 결합하는 데 효과적이다. 알데히드 결합에 의한 환원성 알킬화로 생성된 최종 산물은 아미드 결합으로 연결된 것보다 훨씬 안정적이다. 알데히드 반응기는 낮은 pH에서 N-말단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며, 높은 pH, 예를 들어 pH 9.0 조건에서는 리신 잔기와 공유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의 양 말단 반응기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쪽 말단에는 말레이미드 그룹을, 다른 쪽 말단에는 알데히드 그룹, 프로피온 알데히드 그룹, 또는 부틸 알데히드 그룹을 가질 수 있다. 양쪽 말단에 히드록시 반응기를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지의 화학반응에 의해 상기 히드록시기를 상기 다양한 반응기로 활성화하거나,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변형된 반응기를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지속형 단백질 결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체는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의 양 말단이 각각 면역글로불린 Fc 영역과 옥신토모듈린 유도체의 아민 그룹 또는 티올 그룹(Thiol group)에 결합하는 것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는 양쪽 말단에 면역글로불린 Fc 영역과 단백질 약물이 결합될 수 있는 반응기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기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알데히드 그룹, 프로피온 알데히드 그룹, 부틸 알데히드 그룹, 말레이미드(maleimide) 그룹, 석시니미드(succinimide) 유도체(석시니미딜 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 석시니미딜, 석시니미딜 카르복시메틸 또는 석시니미딜 카보네이트)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의 양 말단 반응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의 한쪽 말단에는 반응기로서 말레이미드 그룹을 포함하고, 다른 쪽 말단에는 알데히드 그룹, 프로피온 알데히드 그룹 또는 부틸 알데히드 그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의 한쪽 말단이 알데히드 그룹의 반응기를 포함하고, 다른 한쪽 말단이 말레이미드 그룹의 반응기를 포함하는 경우, 비특이적 반응을 최소화하고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의 양 말단에 생리활성 폴리펩타이드와 면역글로불린이 각각 결합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과 프로필렌글리콜의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화폴리올, 폴리비닐알콜,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란, 폴리비닐에틸에테르, PLA(폴리락트산, polylactic acid) 및 PLGA(폴리락틱-글리콜산, polylactic-glycolic acid)와 같은 생분해성 고분자, 지질 중합체, 키틴류, 히알루론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다. 당해 분야에 이미 알려진 이들의 유도체 및 당해 분야의 기술 수준에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유도체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피온 알데히드를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말레이미드 그룹과 알데히드 그룹을 동시에 포함하는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인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사용하여, 옥신토모듈린 또는 그의 유도체와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을 공유결합으로 연결하여, 결합체를 합성하였다.
본 발명의 결합체는 천연형 옥신토모듈린에 비하여 GLP-1 수용체 및 글루카곤 수용체에 우수한 활성을 가지며, Fc 영역을 결합시킴에 따라 체내에서 혈중 반감기를 증가시켜서 오랜 시간 생체 내에서 활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보존제"는 미생물 오염으로 인한 이상반응 또는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액상제제는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존제는 미생물의 오염이 가장 염려되는 다회 투여용 제제에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결건조 제제나 1회용 제제에도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상 제제는 m-크레졸, 페놀, 벤질알코올로 구성되는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보존제의 농도는 전체 용액 대비 0.001 내지 1% (w/v)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액상 제제에 추가적으로 포함된 보존제는 m-크레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상 제제는 다회 투여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액상 제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a)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를 완충용액, 당 알코올,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안정화제와 혼합하는 단계를 통하여 안정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a)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를 완충용액, 당 알코올 및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통하여 안정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에서 안정화제는 등장화제, 당류, 다가알코올 및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액상 제제를 포함하는 비만이나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목적하는 질환의 발명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예방"이란 본 발명의 결합체를 투여함에 따라 혈당 이상이나 인슐린 분비량 조절 이상 등의 당뇨병 증상, 또는 체중 증가나 체지방 비율의 증가 등의 비만 증상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란 발생된 질병의 증상을 경감, 개선 또는 완화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치료"란 본 발명의 결합체를 투여함에 따라 상기 당뇨병 증상이나 비만 증상이 경감, 개선 또는 완화되어 혈당 정상화, 인슐린 분비 정상화, 체중 감소, 또는 체지방 비율 감소 등의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로, 신체비만지수(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가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정의된다. 비만은 오랜 기간에 걸쳐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영양소를 과다하게 섭취해서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유발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비만은 신체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대사질환으로 당뇨병 및 고지혈증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지고, 성기능 장애, 관절염,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이 커지며 일부의 경우 암의 발생과도 연관이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을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게 되는 질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이란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양과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질환의 종류,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경로, 투여 방법, 투여횟수, 치료 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 등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액상 제제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이나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액상 제제, 비만 및 당뇨병은 상기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개체는 비만 또는 당뇨병이 의심되는 개체로서 상기 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 또는 쥐, 가축 등을 포함하는 포유 동물을 의미하지만, 본 발명의 액상 제제로 치료 가능한 개체는 제한 없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액상 제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약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 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액상 제제는 완충용액, 당 알코올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고 인간 혈청 알부민 및 인체에 잠재적으로 유해한 인자를 포함하지 않아서 바이러스 감염의 우려가 없으며,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천연형에 비해 분자량이 크고 생리활성 지속 기간이 증대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에 대해 우수한 저장 안정성을 제공한다.
도 1a는 SOURCE S 정제컬럼을 통해 모노-페길화된 옥신토모듈린 유도체(서열번호 25)를 정제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b는 SOURCE 15Q 정제컬럼을 통해 옥신토모듈린 유도체(서열번호 25)와 면역글로불린 Fc를 포함하는 결합체를 정제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c는 Source ISO 정제컬럼을 통해 옥신토모듈린 유도체(서열번호 25)와 면역글로불린 Fc를 포함하는 결합체를 정제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a는 하기 실시예 3의 pH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2주 보관했을 때 IE-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2b는 하기 실시예 3의 pH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2주 보관했을 때 SE-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2c는 하기 실시예 3의 pH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2주 보관했을 때 RP-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3a는 하기 실시예 4의 당 알코올의 종류 및 등장화제의 유무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보관했을 때 IE-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3b는 하기 실시예 4의 당 알코올의 종류 및 등장화제의 유무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보관했을 때 SE-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3c는 하기 실시예 4의 당 알코올의 종류 및 등장화제의 유무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보관했을 때 RP-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4a는 하기 실시예 5의 당 알코올의 농도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보관했을 때 IE-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4b는 하기 실시예 5의 당 알코올의 농도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보관했을 때 SE-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4c는 하기 실시예 5의 당 알코올의 농도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보관했을 때 RP-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5a는 하기 실시예 6의 계면활성제의 농도 및 아미노산의 유무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보관했을 때 IE-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5b는 하기 실시예 6의 계면활성제의 농도 및 아미노산의 유무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보관했을 때 SE-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5c는 하기 실시예 6의 계면활성제의 농도 및 아미노산의 유무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보관했을 때 RP-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6a는 하기 실시예 7의 pH 및 당 알코올의 농도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보관했을 때 IE-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6b는 하기 실시예 7의 pH 및 당 알코올의 농도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보관했을 때 SE-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6c는 하기 실시예 7의 pH 및 당 알코올의 농도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보관했을 때 RP-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7a는 하기 실시예 8의 pH 및 완충용액의 종류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보관했을 때 IE-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7b는 하기 실시예 8의 pH 및 완충용액의 종류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보관했을 때 SE-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7c는 하기 실시예 8의 pH 및 완충용액의 종류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보관했을 때 RP-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8a는 하기 실시예 9의 보존제의 유무 및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농도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보관했을 때 IE-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8b는 하기 실시예 9의 보존제의 유무 및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농도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보관했을 때 SE-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8c는 하기 실시예 9의 보존제의 유무 및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농도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보관했을 때 RP-HPLC 방법으로 평가한 그래프이며, 각 그래프는 초기 결과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옥신토모듈린 옥신토모듈린 유도체 합성
본 발명 액상 제제에서 옥신토모듈린 및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들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들을 합성하였다(표 1).
옥신토모듈린 및 옥신토모듈린 유도체
서열번호 서열
서열번호1 HSQGTFTSDYSKYLDSRRAQDFVQWLMNTKRNRNNIA
서열번호2 CA-SQGTFTSDYSKYLDEEAVRLFIEWLMNTKRNRNNIA
서열번호3 CA-SQGTFTSDYSKYLDERRAQDFVAWLKNTGPSSGAPPPS
서열번호4 CA-GQGTFTSDYSRYLEEEAVRLFIEWLKNGGPSSGAPPPS
서열번호5 CA-GQGTFTSDYSRQMEEEAVRLFIEWLKNGGPSSGAPPPS
서열번호6 CA-GEGTFTSDLSRQMEEEAVRLFIEWAAHSQGTFTSDYSKYLD
서열번호7 CA-SQGTFTSDYSRYLDEEAVRLFIEWLMNTK
서열번호8 CA-SQGTFTSDLSRQLEEEAVRLFIEWLMNK
서열번호9 CA-GQGTFTSDYSRYLDEEAVXLFIEWLMNTKRNRNNIA
서열번호10 CA-SQGTFTSDYSRQMEEEAVRLFIEWLMNGGPSSGAPPPSK
서열번호11 CA-GEGTFTSDLSRQMEEEAVRLFIEWAAHSQGTFTSDYSRYLDK
서열번호12 CA-SQGTFTSDYSRYLDGGGHGEGTFTSDLSKQMEEEAVK
서열번호13 CA-SQGTFTSDYSRYLDXEAVXLFIEWLMNTK
서열번호14 CA-GQGTFTSDYSRYLDEEAVXLFIXWLMNTKRNRNNIA
서열번호15 CA-GQGTFTSDYSRYLDEEAVRLFIXWLMNTKRNRNNIA
서열번호16 CA-SQGTFTSDLSRQLEGGGHSQGTFTSDLSRQLEK
서열번호17 CA-SQGTFTSDYSRYLDEEAVRLFIEWIRNTKRNRNNIA
서열번호18 CA-SQGTFTSDYSRYLDEEAVRLFIEWIRNGGPSSGAPPPSK
서열번호19 CA-SQGTFTSDYSRYLD E EAV K LFIEWIRNTKRNRNNIA
서열번호20 CA-SQGTFTSDYSRYLD E EAV K LFIEWIRNGGPSSGAPPPSK
서열번호21 CA-SQGTFTSDYSRQLEEEAVRLFIEWVRNTKRNRNNIA
서열번호22 DA-SQGTFTSDYSKYLD E KRA K EFVQWLMNTK
서열번호23 HAibQGTFTSDYSKYLDEKRAKEFVCWLMNT
서열번호24 HAibQGTFTSDY SKYLDEKRAK EFVQWLMNTC
서열번호25 HAibQGTFTSDYSKYLD E KRA K EFVQWLMNTC
서열번호26 HAibQGTFTSDYS K YLD E KRAKEFVQWLMNTC
서열번호27 HAibQGTFTSDYSKYLD E QAA K EFICWLMNT
서열번호28 HAibQGTFTSDY SKYLDEKRAK EFVQWLMNT
서열번호29 H(d)SQGTFTSDYSKYLDSRRAQDFVQWLMNTKRNRNNIA
서열번호30 CA-SQGTFTSDYSKYLDSRRAQDFVQWLMNTKRNRNNIA
서열번호31 CA-(d)SQGTFTSDYSKYLDSRRAQDFVQWLMNTKRNRNNIA
서열번호32 CA-AibQGTFTSDYSKYLDEKRAKEFVQWLMNTC
서열번호33 HAibQGTFTSDYAKYLDEKRAKEFVQWLMNTC
서열번호34 YAibQGTFTSDYSKYLDEKRAKEFVQWLMNTC
상기 표 1에서 볼드체로 표시된 아미노산들은 링형성을 의미하며 X로 표기된 아미노산은 비천연형 아미노산인 알파-메틸-글루탐산을 의미한다. 또한, CA는 4-이미다조아세틸(4-imidazoacetyl)을, DA는 데스아미노-히스티딜(desamino-histidyl)을, (d)S는 d-serine을 의미한다.
실시예 2. 옥신토모듈린 유도체(서열번호 25)와 면역글로불린 Fc 를 포함하는 결합체의 제조(면역글로불린 Fc 영역 결합 옥신토모듈린 유도체 25)
우선, MAL-10K-ALD PEG를 옥신토모듈린 유도체(서열번호 25)의 아미노산 서열 30번 시스테인 잔기에 페길화시키기 위하여, 옥신토모듈린 유도체(서열번호 25)와 MAL-10K-ALD PEG의 몰비를 1:3, 단백질의 농도를 3㎎/㎖로 하여 상온에서 3 시간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반응은 50mM Tris 완충액(pH 8.0)에 1M 구아니딘이 첨가된 환경하에서 수행되었다. 반응이 종료된 후, 상기 반응액을 SOURCE S에 적용하여 시스테인에 모노-페길화된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를 정제하였다(Column : SOURCE S, 유속 : 2.0㎖/분, 구배 : A 0 →100% 50분 B(A: 20mM Na-citrate, pH 3.0 + 45% 에탄올, B: A + 1M KCl))(도 1a). 도 1a는 SOURCE S 정제컬럼을 통해 모노-페길화된 옥신토모듈린 유도체(서열번호 25)를 정제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정제된 모노-페길화된 옥신토모듈린 유도체(서열번호 25)와 면역글로불린 Fc를 몰비가 1:5, 단백질의 농도를 20㎎/㎖로 하여 4℃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은 100mM 인산칼륨 완충액(pH6.0)에 환원제인 20mM SCB가 첨가된 환경하에서 수행되었다. 반응이 종료된 후, 상기 반응액을 SOURCE 15Q 정제컬럼(Column : SOURCE 15Q, 유속 : 2.0㎖/분, 구배 : A 0 → 4% 1분 B → 20% 80분 B(A: 20mM Tris-HCl, pH 7.5, B: A + 1M NaCl))(도 1b)과 Source ISO 정제컬럼(Column : SOURCE ISO, 유속 : 2.0㎖/분, 구배 : B 0 → 100% 100분 A,(A: 20mM Tris-HCl, pH 7.5, B: A + 1.1M AS))(도 1c)에 적용하여, 옥신토모듈린 유도체(서열번호 25)와 면역글로불린 Fc를 포함하는 결합체를 정제하였다. 도 1b는 SOURCE 15Q 정제컬럼을 통해 옥신토모듈린 유도체(서열번호 25)와 면역글로불린 Fc를 포함하는 결합체를 정제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c는 Source ISO 정제컬럼을 통해 옥신토모듈린 유도체(서열번호 25)와 면역글로불린 Fc를 포함하는 결합체를 정제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는 혈중 반감기 증가를 위해 개발된 것으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 비펩타이드성 중합체 및 옥신토모듈린이 공유결합에 의해 부위 선택적으로 상호 연결된 옥신토모듈린 결합체로서 혈중 반감기를 획기적으로 증가시켜 준다.
실시예 3. pH 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 평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액상 제제에서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의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25℃에서 0 내지 2주 동안 보관 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법(Ion Exchange -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E-HPLC),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법(Size Exclusion -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E-HPLC),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법(Reverse Phase -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P-HPLC)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완충용액으로는 구연산 완충용액, 당 알코올로는 만니톨,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솔베이트 20을 사용하였다. 표 3, 4, 5에서는 IE-HPLC(%), SE-HPLC(%)와 RP-HPLC(%)는 (Area %/Start Area %)로서, 초기 결과 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표 3은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IE-HPLC 잔존율, 표 4는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SE-HPLC 잔존율, 표 5는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RP-HPLC 잔존율을 각각 나타낸다.
pH 완충용액 등장화제 당알코올 계면활성제 그 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1 4.8 20mM
Na-Citrate
- 10% Mannitol 0.005%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2 5.2 20mM
Na-Citrate
- 10% Mannitol 0.005%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3 5.6 20mM
Na-Citrate
- 10% Mannitol 0.005%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4 6.0 20mM
Na-Citrate
- 10% Mannitol 0.005%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5 6.4 20mM
Na-Citrate
- 10% Mannitol 0.005%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IE-HPLC (%)
#1 #2 #3 #4 #5
0 week 100.0 100.0 100.0 100.0 100.0
2 week 97.6 97.2 96.8 94.0 85.2

SE-HPLC (%)
#1 #2 #3 #4 #5
0 week 100.0 100.0 100.0 100.0 100.0
2 week 99.7 99.8 99.8 99.3 99.4

RP-HPLC (%)
#1 #2 #3 #4 #5
0 week 100.0 100.0 100.0 100.0 100.0
2 week 83.0 84.4 86.7 65.5 74.0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보면, IE-HPLC(%) 결과 pH가 낮을수록 안정하였고, SE-HPLC 결과 pH 5.2에서, RP-HPLC 결과 pH 5.6에서 가장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시험 방법마다 안정한 pH는 달랐지만, RP-HPLC 시험방법에서 pH간 잔존율의 격차가 가장 컸다. 따라서 pH 5.6이 가장 안정한 pH로 나타났다.
실시예 4. 당 알코올 종류 및 등장화제의 유무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 평가
본 발명에서 안정화제로서 당 알코올의 종류 및 등장화제로서의 염화나트륨의 유무가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기존의 실시예를 통해 선택한 pH 5.6의 구연산 완충용액을 기준으로 하여, 하기 표 6과 같은 조성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동안 보관 후 IE-HPLC, SE-HPLC, RP-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7, 8, 9에서 IE-HPLC(%), SE-HPLC(%)와 RP-HPLC(%)는 (Area %/Start Area %)로서, 초기 결과 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표 7은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IE-HPLC 잔존율, 표 8은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SE-HPLC 잔존율, 표 9는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RP-HPLC 잔존율을 각각 나타낸다.
pH 완충용액 등장화제 당알코올 계면활성제 그 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1 5.6 20mM
Na-Citrate
- 10% Mannitol 0.005%
Polysorbate 20
- 10mg/mL
#2 5.6 20mM
Na-Citrate
- 10% Sorbitol 0.005%
Polysorbate 20
- 10mg/mL
#3 5.6 20mM
Na-Citrate
- 10% Glycerol 0.005%
Polysorbate 20
- 10mg/mL
#4 5.6 20mM
Na-Citrate
150mM
NaCl
10% Mannitol 0.005%
Polysorbate 20
- 10mg/mL

IE-HPLC (%)
#1 #2 #3 #4
0 week 100.0 100.0 100.0 100.0
1 week 98.8 98.8 88.3 98.3
2 week 97.2 96.9 79.0 95.0
3 week 94.4 94.5 63.0 93.8
4 week 91.6 91.8 55.8 91.6

SE-HPLC (%)
#1 #2 #3 #4
0 week 100.0 100.0 100.0 100.0
1 week 99.9 100.0 92.0 100.0
2 week 99.7 99.8 84.7 99.9
3 week 99.2 99.4 79.2 99.5
4 week 98.4 98.6 76.0 98.8

RP-HPLC (%)
#1 #2 #3 #4
0 week 100.0 100.0 100.0 100.0
1 week 98.9 98.7 90.0 98.4
2 week 96.0 95.6 80.6 95.0
3 week 94.0 93.6 75.2 92.9
4 week 92.6 91.1 70.0 90.1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이 글리세롤에 비해 같은 농도에서 안정하였다. RP-HPLC 결과 만니톨이 소르비톨에 비해 근소하게 안정하였다. 등장화제로서의 염화나트륨의 유무는 큰 차이가 없었다.
실시예 5. 당 알코올 농도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 평가
본 발명에서 안정화제로서 당 알코올의 농도가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기존의 실시예를 통해 선택한 pH 5.6의 구연산 완충용액 및 만니톨을 기준으로 하여, 하기 표 10과 같은 조성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동안 보관 후 IE-HPLC, SE-HPLC, RP-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11, 12, 13에서 IE-HPLC(%), SE-HPLC(%)와 RP-HPLC(%)는 (Area %/Start Area %)로서, 초기 결과 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표 11은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IE-HPLC 잔존율, 표 12는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SE-HPLC 잔존율, 표 13은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RP-HPLC 잔존율을 각각 나타낸다.
pH 완충용액 등장화제 당알코올 계면활성제 그 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1 5.6 20mM
Na-Citrate
- 2% Mannitol 0.005%
Polysorbate 20
- 10mg/mL
#2 5.6 20mM
Na-Citrate
- 5% Mannitol 0.005%
Polysorbate 20
- 10mg/mL
#3 5.6 20mM
Na-Citrate
- 10% Mannitol 0.005%
Polysorbate 20
- 10mg/mL
#4 5.6 20mM
Na-Citrate
- 15% Mannitol 0.005%
Polysorbate 20
- 10mg/mL

IE-HPLC (%)
#1 #2 #3 #4
0 week 100.0 100.0 100.0 100.0
1 week 79.7 98.7 98.8 79.0
2 week 57.6 97.6 97.9 61.0
3 week 39.8 97.1 97.2 49.2
4 week 34.9 95.5 95.5 43.4

SE-HPLC (%)
#1 #2 #3 #4
0 week 100.0 100.0 100.0 100.0
1 week 97.3 99.4 100.0 99.5
2 week 89.0 99.4 99.8 95.4
3 week 79.4 99.3 99.4 90.5
4 week 74.7 98.4 99.1 83.5

RP-HPLC (%)
#1 #2 #3 #4
0 week 100.0 100.0 100.0 100.0
1 week 89.8 93.2 98.2 95.2
2 week 80.3 85.3 94.7 90.9
3 week 71.9 78.5 91.1 84.1
4 week 66.0 71.0 89.1 76.5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5% 만니톨 또는 10% 만니톨을 첨가한 경우 안정하였다. 반면, 2% 만니톨 또는 15% 만니톨을 첨가한 경우 단백질 침전이 생성되었다. IE-HPLC 또는 SE-HPLC 결과 10% 만니톨과 5% 만니톨을 첨가한 경우 유사한 안정성을 보였다. RP-HPLC 결과는 10% 만니톨이 5% 만니톨에 비해 안정하였다.
실시예 6. 계면활성제의 농도 및 아미노산의 유무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 평가
본 발명에서 안정화제로서 계면활성제의 농도 및 아미노산의 유무가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기존의 실시예를 통해 선택한 pH 5.6의 구연산 완충용액 및 10% 만니톨을 기준으로 하여, 하기 표 14와 같은 조성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동안 보관 후 IE-HPLC, SE-HPLC, RP-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15, 16, 17에서 IE-HPLC(%), SE-HPLC(%)와 RP-HPLC(%)는 (Area %/Start Area %)로서, 초기 결과 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표 15는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IE-HPLC 잔존율, 표 16은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SE-HPLC 잔존율, 표 17은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RP-HPLC 잔존율을 각각 나타낸다.
pH 완충용액 등장화제 당알코올 계면활성제 그 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1 5.6 20mM
Na-Citrate
- 10% Mannitol 0.005%
Polysorbate 20
- 10mg/mL
#2 5.6 20mM
Na-Citrate
- 10% Mannitol 0.02%
Polysorbate 20
- 10mg/mL
#3 5.6 20mM
Na-Citrate
- 10% Mannitol 0.05%
Polysorbate 20
- 10mg/mL
#4 5.6 20mM
Na-Citrate
- 10% Mannitol 0.02%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IE-HPLC (%)
#1 #2 #3 #4
0 week 100.0 100.0 100.0 100.0
1 week 96.0 96.5 96.4 96.2
2 week 95.1 94.7 95.1 95.3
3 week 92.7 92.0 92.2 92.7
4 week 89.7 89.1 89.2 89.7

SE-HPLC (%)
#1 #2 #3 #4
0 week 100.0 100.0 100.0 100.0
1 week 99.4 99.7 99.7 99.6
2 week 99.3 99.5 99.2 99.3
3 week 98.3 98.1 98.3 99.1
4 week 97.3 97.1 97.3 97.9

RP-HPLC (%)
#1 #2 #3 #4
0 week 100.0 100.0 100.0 100.0
1 week 97.3 97.8 98.1 97.4
2 week 79.2 79.2 77.5 79.7
3 week 71.5 71.6 69.5 73.3
4 week 65.1 65.0 65.0 67.8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0.02% Polysorbate 20에 0.1mg/mL Methionine을 첨가한 것이 가장 안정하였다.
실시예 7. pH 및 당 알코올 농도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 평가
본 발명에서 안정화제로서 pH 및 당 알코올의 농도가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기존의 실시예를 통해 선택한 0.02% Polysorbate 20 및 0.1mg/mL Methionine을 기준으로 하여, 하기 표 18과 같은 조성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동안 보관 후 IE-HPLC, SE-HPLC, RP-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19, 20, 21에서 IE-HPLC(%), SE-HPLC(%)와 RP-HPLC(%)는 (Area %/Start Area %)로서, 초기 결과 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표 19는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IE-HPLC 잔존율, 표 20은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SE-HPLC 잔존율, 표 21은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RP-HPLC 잔존율을 각각 나타낸다.
pH 완충용액 등장화제 당알코올 계면활성제 그 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1 5.2 20mM
Na-Citrate
- 5% Mannitol 0.02%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2 5.2 20mM
Na-Citrate
- 10% Mannitol 0.02%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3 5.2 20mM
Na-Citrate
- 15% Mannitol 0.02%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4 5.6 20mM
Na-Citrate
- 5% Mannitol 0.02%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5 5.6 20mM
Na-Citrate
- 10% Mannitol 0.02%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6 5.6 20mM
Na-Citrate
- 15% Mannitol 0.02%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7 6.0 20mM
Na-Citrate
- 5% Mannitol 0.02%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8 6.0 20mM
Na-Citrate
- 10% Mannitol 0.02%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9 6.0 20mM
Na-Citrate
- 15% Mannitol 0.02%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IE-HPLC (%)
#1 #2 #3 #4 #5 #6 #7 #8 #9
0 week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 week 99.4 99.6 97.1 97.2 97.6 98.0 90.6 92.9 93.4
2 week 97.5 97.8 90.5 93.8 94.1 93.2 81.5 83.6 85.6
3 week 93.0 93.6 82.6 86.0 86.9 87.1 71.2 74.6 77.0
4 week 90.0 90.5 71.1 85.0 85.6 85.7 62.7 66.3 68.9

SE-HPLC (%)
#1 #2 #3 #4 #5 #6 #7 #8 #9
0 week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 week 98.8 99.5 98.8 99.5 99.3 98.5 99.6 100.0 100.7
2 week 98.8 99.1 91.1 98.4 97.1 96.9 97.3 98.3 97.9
3 week 97.7 98.3 96.4 98.1 98.4 98.2 98.1 99.1 100.8
4 week 98.0 98.5 94.9 97.9 98.3 98.3 97.6 98.2 99.0

RP-HPLC (%)
#1 #2 #3 #4 #5 #6 #7 #8 #9
0 week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 week 78.2 78.2 42.1 88.2 90.7 89.4 99.9 99.1 100.7
2 week 60.7 58.6 - 80.4 80.2 80.6 96.8 93.4 92.0
3 week 47.5 41.9 - 79.4 77.3 69.8 97.6 92.8 93.6
4 week 34.8 28.0 - 72.8 65.0 62.6 96.9 91.1 88.9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IE-HPLC 결과 pH 5.2, pH 5.6, pH 6.0 순으로 안정하였고, RP-HPLC 결과 pH 6.0, pH 5.6, pH 5.2 순으로 안정하였다. SE-HPLC 결과 pH 5.2, pH 5.6, pH 6.0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즉, IE-HPLC, RP-HPLC, SE-HPLC 결과 모두에서 안정한 것은 pH 5.6이었다.
pH 5.6일 때 IE-HPLC 또는 SE-HPLC 결과 만니톨의 농도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 pH 5.6일 때 RP-HPLC 결과 10% 만니톨 또는 15% 만니톨에 비해 5% 만니톨이 가장 안정하였다.
실시예 8. pH 및 완충용액의 종류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 평가
본 발명에서 안정화제로서 pH 및 완충용액의 종류가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기존의 실시예를 통해 선택한 0.02% Polysorbate 20과 0.1mg/mL Methionine 및 5% 만니톨을 기준으로 하여, 하기 표 22와 같은 조성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동안 보관 후 IE-HPLC, SE-HPLC, RP-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23, 24, 25에서 IE-HPLC(%), SE-HPLC(%)와 RP-HPLC(%)는 (Area %/Start Area %)로서, 초기 결과 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표 23은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IE-HPLC 잔존율, 표 24는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SE-HPLC 잔존율, 표 25는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RP-HPLC 잔존율을 각각 나타낸다.
pH 완충용액 등장화제 당알코올 계면활성제 그 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1 5.6 20mM
Na-Citrate
- 5% Mannitol 0.02%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2 5.8 20mM
Na-Citrate
- 5% Mannitol 0.02%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3 5.8 20mM
Na-Acetate
- 5% Mannitol 0.02%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4 5.8 10mM
Histidine
- 5% Mannitol 0.02%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5 5.8 10mM
Na-Phosphate
- 5% Mannitol 0.02%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IE-HPLC (%)
#1 #2 #3 #4 #5
0 week 100.0 100.0 100.0 100.0 100.0
1 week 97.6 96.8 96.5 97.2 96.1
2 week 93.9 91.4 90.6 92.6 89.6
3 week 90.4 88.1 86.9 89.2 84.4
4 week 90.1 87.0 84.8 87.4 81.7

SE-HPLC (%)
#1 #2 #3 #4 #5
0 week 100.0 100.0 100.0 100.0 100.0
1 week 99.4 99.8 99.8 99.7 99.7
2 week 100.5 100.2 100.0 100.0 99.3
3 week 100.4 100.2 99.1 99.6 98.2
4 week 100.1 99.2 99.0 98.8 97.7

RP-HPLC (%)
#1 #2 #3 #4 #5
0 week 100.0 100.0 100.0 100.0 100.0
1 week 99.1 97.2 99.4 99.5 99.0
2 week 97.6 97.7 99.4 99.8 99.3
3 week 96.1 98.7 97.2 98.9 97.4
4 week 98.0 96.6 97.6 98.3 98.1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SE-HPLC 또는 RP-HPLC 결과 pH 5.6, pH 5.8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IE-HPLC 결과 pH 5.8에 비해 pH 5.6이 안정하였다. SE-HPLC 결과 동일 pH 조건에서 완충용액 종류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다. IE-HPLC 또는 RP-HPLC 결과 동일 pH 조건에서 Histidine이 가장 안정하였다.
실시예 9. 보존제의 유무 및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농도에 따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안정성 평가
본 발명에서 안정화제로서 보존제의 유무 및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농도가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기존의 실시예를 통해 선택한 pH 5.6의 Histidine 완충용액, 0.02% Polysorbate 20과 0.1mg/mL Methionine 및 5% 만니톨을 기준으로 하여, 하기 표 26과 같은 조성으로 25℃에서 0 내지 4주 동안 보관 후 IE-HPLC, SE-HPLC, RP-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27, 28, 29에서 IE-HPLC(%), SE-HPLC(%)와 RP-HPLC(%)는 (Area %/Start Area %)로서, 초기 결과 값에 대비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의 잔존율을 나타낸다. 표 27은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IE-HPLC 잔존율, 표 28은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SE-HPLC 잔존율, 표 29는 보관 후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RP-HPLC 잔존율을 각각 나타낸다.
pH 완충용액 등장화제 당알코올 계면활성제 그 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1 5.6 10mM
Histidine
- 5% Mannitol 0.02%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10mg/mL
#2 5.6 10mM
Histidine
- 5% Mannitol 0.02%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0.27% m-cresol
10mg/mL
#3 5.6 10mM
Histidine
- 5% Mannitol 0.02%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40mg/mL
#4 5.6 10mM
Histidine
- 5% Mannitol 0.02%
Polysorbate 20
0.1mg/mL
Methionine
0.27% m-cresol
40mg/mL

IE-HPLC (%)
#1 #2 #3 #4
0 week 100.0 100.0 100.0 100.0
1 week 97.9 98.2 97.7 97.1
2 week 95.3 95.7 95.1 94.3
3 week 93.6 92.9 93.4 91.8
4 week 91.3 90.4 90.2 88.4

SE-HPLC (%)
#1 #2 #3 #4
0 week 100.0 100.0 100.0 100.0
1 week 99.7 99.6 99.5 99.4
2 week 99.3 99.1 99.0 97.9
3 week 99.1 98.9 98.7 97.0
4 week 98.8 98.0 98.0 95.4

RP-HPLC (%)
#1 #2 #3 #4
0 week 100.0 100.0 100.0 100.0
1 week 100.1 100.0 99.8 99.7
2 week 99.4 99.5 99.2 99.1
3 week 98.3 98.3 98.8 98.5
4 week 98.8 97.9 97.7 97.4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IE-HPLC 또는 SE-HPLC 또는 RP-HPLC 결과 보존제를 첨가하더라도 안정성에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지속형 옥신토모듈린의 농도에 따라서도 유의할 안정성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HANMI PHARM. CO., LTD. <120> Liquid formulation of protein conjugate comprising the oxyntomodulin and an immunoglobulin fragment <130> PA130895KR <150> 10-2012-0124725 <151> 2012-11-06 <160> 49 <170> KopatentIn 2.0 <210> 1 <211> 3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His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Ser 1 5 10 15 Arg Arg Ala Gln Asp Phe Val Gln Trp Leu Met Asn Thr Lys Arg Asn 20 25 30 Arg Asn Asn Ile Ala 35 <210> 2 <211> 3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400> 2 Xaa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Glu Ala Val Arg Leu Phe Ile Glu Trp Leu Met Asn Thr Lys Arg Asn 20 25 30 Arg Asn Asn Ile Ala 35 <210> 3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400> 3 Xaa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Arg Arg Ala Gln Asp Phe Val Ala Trp Leu Lys Asn Thr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35 <210> 4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400> 4 Xaa Gly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Arg Tyr Leu Glu Glu 1 5 10 15 Glu Ala Val Arg Leu Phe Ile Glu Trp Leu Lys Asn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35 <210> 5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400> 5 Xaa Gly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Arg Gln Met Glu Glu 1 5 10 15 Glu Ala Val Arg Leu Phe Ile Glu Trp Leu Lys Asn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35 <210> 6 <211> 4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400> 6 Xaa Gly Glu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Arg Gln Met Glu Glu 1 5 10 15 Glu Ala Val Arg Leu Phe Ile Glu Trp Ala Ala His Ser Gln Gly Thr 20 25 30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35 40 <210> 7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400> 7 Xaa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Arg Tyr Leu Asp Glu 1 5 10 15 Glu Ala Val Arg Leu Phe Ile Glu Trp Leu Met Asn Thr Lys 20 25 30 <210> 8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400> 8 Xaa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Arg Gln Leu Glu Glu 1 5 10 15 Glu Ala Val Arg Leu Phe Ile Glu Trp Leu Met Asn Lys 20 25 <210> 9 <211> 3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220> <221> VARIANT <222> (20) <223> Xaa = alpha-methyl-glutamic acid <400> 9 Xaa Gly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Arg Tyr Leu Asp Glu 1 5 10 15 Glu Ala Val Xaa Leu Phe Ile Glu Trp Leu Met Asn Thr Lys Arg Asn 20 25 30 Arg Asn Asn Ile Ala 35 <210> 10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400> 10 Xaa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Arg Gln Met Glu Glu 1 5 10 15 Glu Ala Val Arg Leu Phe Ile Glu Trp Leu Met Asn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Lys 35 40 <210> 11 <211> 4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400> 11 Xaa Gly Glu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Arg Gln Met Glu Glu 1 5 10 15 Glu Ala Val Arg Leu Phe Ile Glu Trp Ala Ala His Ser Gln Gly Thr 20 25 30 Phe Thr Ser Asp Tyr Ser Arg Tyr Leu Asp Lys 35 40 <210> 12 <211> 3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400> 12 Xaa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Arg Tyr Leu Asp Gly 1 5 10 15 Gly Gly His Gly Glu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Lys Gln Met 20 25 30 Glu Glu Glu Ala Val Lys 35 <210> 13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220> <221> VARIANT <222> (16) <223> Xaa = alpha-methyl-glutamic acid <220> <221> VARIANT <222> (20) <223> Xaa = alpha-methyl-glutamic acid <400> 13 Xaa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Arg Tyr Leu Asp Xaa 1 5 10 15 Glu Ala Val Xaa Leu Phe Ile Glu Trp Leu Met Asn Thr Lys 20 25 30 <210> 14 <211> 3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220> <221> VARIANT <222> (20) <223> Xaa = alpha-methyl-glutamic acid <220> <221> VARIANT <222> (24) <223> Xaa = alpha-methyl-glutamic acid <400> 14 Xaa Gly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Arg Tyr Leu Asp Glu 1 5 10 15 Glu Ala Val Xaa Leu Phe Ile Xaa Trp Leu Met Asn Thr Lys Arg Asn 20 25 30 Arg Asn Asn Ile Ala 35 <210> 15 <211> 3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220> <221> VARIANT <222> (24) <223> Xaa = alpha-methyl-glutamic acid <400> 15 Xaa Gly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Arg Tyr Leu Asp Glu 1 5 10 15 Glu Ala Val Arg Leu Phe Ile Xaa Trp Leu Met Asn Thr Lys Arg Asn 20 25 30 Arg Asn Asn Ile Ala 35 <210> 16 <211> 3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400> 16 Xaa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Arg Gln Leu Glu Gly 1 5 10 15 Gly Gly His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Arg Gln Leu 20 25 30 Glu Lys <210> 17 <211> 3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400> 17 Xaa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Arg Tyr Leu Asp Glu 1 5 10 15 Glu Ala Val Arg Leu Phe Ile Glu Trp Ile Arg Asn Thr Lys Arg Asn 20 25 30 Arg Asn Asn Ile Ala 35 <210> 18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400> 18 Xaa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Arg Tyr Leu Asp Glu 1 5 10 15 Glu Ala Val Arg Leu Phe Ile Glu Trp Ile Arg Asn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Lys 35 40 <210> 19 <211> 3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220> <221> VARIANT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 16 and position 20 form a ring <400> 19 Xaa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Arg Tyr Leu Asp Glu 1 5 10 15 Glu Ala Val Lys Leu Phe Ile Glu Trp Ile Arg Asn Thr Lys Arg Asn 20 25 30 Arg Asn Asn Ile Ala 35 <210> 20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220> <221> VARIANT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 16 and position 20 form a ring <400> 20 Xaa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Arg Tyr Leu Asp Glu 1 5 10 15 Glu Ala Val Lys Leu Phe Ile Glu Trp Ile Arg Asn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Lys 35 40 <210> 21 <211> 3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400> 21 Xaa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Arg Gln Leu Glu Glu 1 5 10 15 Glu Ala Val Arg Leu Phe Ile Glu Trp Val Arg Asn Thr Lys Arg Asn 20 25 30 Arg Asn Asn Ile Ala 35 <210> 22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desamino-histidyl <220> <221> VARIANT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 16 and position 20 form a ring <400> 22 Xaa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Met Asn Thr Lys 20 25 30 <210> 23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aminoisobutyric acid <400> 23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Glu Phe Val Cys Trp Leu Met Asn Thr 20 25 <210> 24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aminoisobutyric acid <400> 24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Met Asn Thr Cys 20 25 30 <210> 25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aminoisobutyric acid <220> <221> VARIANT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 16 and position 20 form a ring <400> 25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Met Asn Thr Cys 20 25 30 <210> 26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aminoisobutyric acid <220> <221> VARIANT <222> (12)..(16) <223> amino acids at position 12 and position 16 form a ring <400> 26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Met Asn Thr Cys 20 25 30 <210> 27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aminoisobutyric acid <400> 27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Gln Ala Ala Lys Glu Phe Ile Cys Trp Leu Met Asn Thr 20 25 <210> 28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aminoisobutyric acid <400> 28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Met Asn Thr 20 25 <210> 29 <211> 3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serine <400> 29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Ser 1 5 10 15 Arg Arg Ala Gln Asp Phe Val Gln Trp Leu Met Asn Thr Lys Arg Asn 20 25 30 Arg Asn Asn Ile Ala 35 <210> 30 <211> 3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400> 30 Xaa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Ser 1 5 10 15 Arg Arg Ala Gln Asp Phe Val Gln Trp Leu Met Asn Thr Lys Arg Asn 20 25 30 Arg Asn Asn Ile Ala 35 <210> 31 <211> 3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d-serine <400> 31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Ser 1 5 10 15 Arg Arg Ala Gln Asp Phe Val Gln Trp Leu Met Asn Thr Lys Arg Asn 20 25 30 Arg Asn Asn Ile Ala 35 <210> 32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1) <223> Xaa = 4-imidazoacetyl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aminoisobutyric acid <220> <221> VARIANT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 16 and position 20 form a ring <400> 32 Xaa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Met Asn Thr Cys 20 25 30 <210> 33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aminoisobutyric acid <220> <221> VARIANT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 16 and position 20 form a ring <400> 33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Ala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Met Asn Thr Cys 20 25 30 <210> 34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xyntomoduli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 aminoisobutyric acid <220> <221> VARIANT <222> (16)..(20) <223> amino acids at position 16 and position 20 form a ring <400> 34 Tyr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Met Asn Thr Cys 20 25 30 <210> 35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oup R2 <400> 35 Lys Arg Asn Arg Asn Asn Ile Ala 1 5 <210> 36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oup R2 <400> 36 Gly Pro Ser Ser Gly Ala Pro Pro Pro Ser 1 5 10 <210> 37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oup R2 <400> 37 Gly Pro Ser Ser Gly Ala Pro Pro Pro Ser Lys 1 5 10 <210> 38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oup R2 <400> 38 His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1 5 10 15 <210> 39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oup R2 <400> 39 His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Arg Tyr Leu Asp Lys 1 5 10 15 <210> 40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oup R2 <400> 40 His Gly Glu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Lys Gln Met Glu Glu 1 5 10 15 Glu Ala Val Lys 20 <210> 41 <211> 2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oup A or B <400> 41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Ser Arg 1 5 10 15 Arg Ala Gln Asp Phe Val Gln Trp Leu Met Asn Thr 20 25 <210> 42 <211> 2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oup A or B <400> 42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Glu 1 5 10 15 Ala Val Arg Leu Phe Ile Glu Trp Leu Met Asn Thr 20 25 <210> 43 <211> 2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oup A or B <400> 43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Arg 1 5 10 15 Arg Ala Gln Asp Phe Val Ala Trp Leu Lys Asn Thr 20 25 <210> 44 <211> 2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oup A or B <400> 44 Gly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Arg Tyr Leu Glu Glu Glu 1 5 10 15 Ala Val Arg Leu Phe Ile Glu Trp Leu Lys Asn Gly 20 25 <210> 45 <211> 2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oup A or B <400> 45 Gly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Arg Gln Met Glu Glu Glu 1 5 10 15 Ala Val Arg Leu Phe Ile Glu Trp Leu Lys Asn Gly 20 25 <210> 46 <211> 2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oup A or B <400> 46 Gly Glu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Arg Gln Met Glu Glu Glu 1 5 10 15 Ala Val Arg Leu Phe Ile Glu Trp Ala Ala 20 25 <210> 47 <211> 2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oup A or B <400> 47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Arg Gln Met Glu Glu Glu 1 5 10 15 Ala Val Arg Leu Phe Ile Glu Trp Leu Met Asn Gly 20 25 <210> 48 <211> 2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oup B <400> 48 Gly Glu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Arg Gln Met Glu Glu Glu 1 5 10 15 Ala Val Arg Leu Phe Ile Glu Trp 20 <210> 49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oup B <400> 49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Arg Tyr Leu Asp 1 5 10

Claims (32)

  1. 생리활성 펩타이드인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를 이용하여 결합된 약리학적 유효량의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및 알부민-비함유 안정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안정화제는 완충용액, 당 알코올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로서, 상기 옥신토모듈린은 서열번호 24, 25 및 26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것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로서,
    상기 완충용액의 pH 범위가 5.2 내지 6.0이고;
    상기 완충용액은 구연산 완충용액, 아세트산 완충용액, 히스티딘 완충용액 또는 인산 완충용액이며;
    상기 당 알코올은 만니톨, 소르비톨 또는 글리세롤이고; 및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솔베이트20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등장화제, 당류, 다가알코올 및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신토모듈린은 서열번호 2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것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IgG, IgA, IgD, IgE 또는 IgM에서 유래된 Fc 영역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각각의 도메인이 IgG, IgA, IgD, IgE, Ig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면역글로불린에서 유래된 상이한 기원을 가진 도메인의 하이브리드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동일한 기원의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단쇄 면역글로불린으로 구성된 이량체 또는 다량체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IgG4 Fc 영역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인간 비당쇄화 IgG4 Fc 영역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액은 히스티딘 완충용액이고, 상기 당 알코올은 만니톨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타이드성 중합체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과 프로필렌 글리콜의 공중합체, 폴리옥시 에틸화 폴리올, 폴리비닐 알콜,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란, 폴리비닐 에틸에테르, PLA(폴리락트산, polylactic acid) 및 PLGA(폴리락틱글리콜산, polylactic-glycolic acid)와 같은 생분해성 고분자, 지질 중합체, 키틴류, 히알루론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타이드성 중합체가 폴리에틸렌 글리콜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 알코올이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당 알코올의 농도가 전체 용액 대비 2 내지 15%(w/v) 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액이 히스티딘 완충용액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액의 pH 범위가 5.2 내지 6.0이고;
    상기 옥신토모듈린은 서열번호 2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상기 완충용액은 히스티딘 완충용액이고;
    상기 당 알코올은 만니톨이며; 및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솔베이트20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장화제는 염화나트륨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19. 삭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0.001 내지 0.1%(w/v)인 것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은 메티오닌인 것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히스티딘 완충용액, 만니톨 및 소르비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당 알코올 및 폴리솔베이트20을 포함하는 것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23. 제1항에 있어서, m-크레졸, 페놀, 벤질알코올로 구성되는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제의 농도가 전체 용액 대비 0.001 내지 1% (w/v)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제가 m-크레졸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26. 제23항에 있어서, 다회 투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27. 생리활성 펩타이드인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를 이용하여 결합된 약리학적 유효량의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와 pH 5.2 내지 pH 6.0 범위의 5 mM 내지 50 mM 히스티딘, 2 내지 15%(w/v) 만니톨, 0.01 내지 1 mg/mL 메티오닌 및 0.001 내지 0.1%(w/v) 폴리솔베이트20를 함유하는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로서, 상기 옥신토모듈린은 서열번호 24 내지 26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것인,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
  28. 제27항에 있어서, 0.001 내지 1% (w/v)의 m-cresol을 추가로 포함하는 액상 제제.
  29. a) 생리활성 펩타이드인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을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a) 단계에서 제조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를 완충용액, 당 알코올 및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안정화제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18항, 제20항 내지 제22항 및 제27항 중 어느 한 항의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의 제조 방법.
  30. a) 생리활성 펩타이드인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을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a) 단계에서 제조된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를 완충용액, 당 알코올 및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23항 내지 제26항 및 제28항 중 어느 한 항의 지속형 옥신토모듈린 결합체 액상 제제의 제조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등장화제, 당류, 다가알코올 및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등장화제, 당류, 다가알코올 및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KR1020130134412A 2012-11-06 2013-11-06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단편을 포함하는 단백질 결합체의 액상 제제 KR102311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977A KR102434280B1 (ko) 2012-11-06 2021-09-30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단편을 포함하는 단백질 결합체의 액상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725 2012-11-06
KR20120124725 2012-11-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977A Division KR102434280B1 (ko) 2012-11-06 2021-09-30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단편을 포함하는 단백질 결합체의 액상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387A KR20140058387A (ko) 2014-05-14
KR102311517B1 true KR102311517B1 (ko) 2021-10-14

Family

ID=506848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412A KR102311517B1 (ko) 2012-11-06 2013-11-06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단편을 포함하는 단백질 결합체의 액상 제제
KR1020210129977A KR102434280B1 (ko) 2012-11-06 2021-09-30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단편을 포함하는 단백질 결합체의 액상 제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977A KR102434280B1 (ko) 2012-11-06 2021-09-30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단편을 포함하는 단백질 결합체의 액상 제제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3) US9724420B2 (ko)
EP (2) EP2916819B1 (ko)
JP (2) JP6363612B2 (ko)
KR (2) KR102311517B1 (ko)
CN (1) CN104884045B (ko)
AR (2) AR093387A1 (ko)
AU (3) AU2013342321B2 (ko)
BR (1) BR112015010235B1 (ko)
CA (1) CA2890324C (ko)
CL (1) CL2015001206A1 (ko)
DK (1) DK2916819T3 (ko)
EA (3) EA034499B1 (ko)
ES (1) ES2748158T3 (ko)
HK (1) HK1210044A1 (ko)
IL (2) IL238626B (ko)
MX (2) MX2015005698A (ko)
MY (2) MY168536A (ko)
NZ (3) NZ708103A (ko)
PE (1) PE20151421A1 (ko)
PH (2) PH12018501454A1 (ko)
PL (1) PL2916819T3 (ko)
PT (1) PT2916819T (ko)
SG (2) SG11201503370WA (ko)
TW (3) TWI602583B (ko)
UA (2) UA126651C2 (ko)
WO (1) WO2014073842A1 (ko)
ZA (1) ZA2015039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718318T3 (en) 2011-06-10 2018-11-05 Hanmi Science Co Ltd New oxyntomodulin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comprising these
WO2012173422A1 (en) 2011-06-17 2012-12-20 Hanmi Science Co., Ltd. A conjugate comprising oxyntomodulin and an immunoglobulin fragment, and use thereof
KR20130049671A (ko) 2011-11-04 2013-05-14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생리활성 폴리펩타이드 결합체 제조 방법
AR090281A1 (es) 2012-03-08 2014-10-29 Hanmi Science Co Ltd Proceso mejorado para la preparacion de un complejo polipeptidico fisiologicamente activo
KR101968344B1 (ko) 2012-07-25 2019-04-12 한미약품 주식회사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용 조성물
UA116217C2 (uk) 2012-10-09 2018-02-26 Санофі Пептидна сполука як подвійний агоніст рецепторів glp1-1 та глюкагону
KR101993393B1 (ko) * 2012-11-06 2019-10-01 한미약품 주식회사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성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EA034499B1 (ru) 2012-11-06 2020-02-13 Ханми Фарм. Ко., Лтд. Жидкая композиция белкового конъюгата, содержащего оксинтомодулин и фрагмент иммуноглобулина
KR20150096433A (ko) 2012-12-21 2015-08-24 사노피 이중 glp1/gip 또는 삼중 glp1/gip/글루카곤 효능제
EP3080152A1 (en) 2013-12-13 2016-10-19 Sanofi Non-acylated exendin-4 peptide analogues
EP3080149A1 (en) 2013-12-13 2016-10-19 Sanofi Dual glp-1/glucagon receptor agonists
EP3080154B1 (en) 2013-12-13 2018-02-07 Sanofi Dual glp-1/gip receptor agonists
EP3080150B1 (en) 2013-12-13 2018-08-01 Sanofi Exendin-4 peptide analogues as dual glp-1/gip receptor agonists
MA43289B1 (fr) 2014-01-20 2019-12-31 Hanmi Pharm Ind Co Ltd Insuline à action prolongée et utilisation associée
AU2015242657B2 (en) * 2014-03-31 2020-05-21 Hanmi Pharm. Co., Ltd. Method for improving solubility of protein and peptide by using immunoglobulin Fc fragment linkage
TW201625668A (zh) 2014-04-07 2016-07-16 賽諾菲公司 作為胜肽性雙重glp-1/昇糖素受體激動劑之艾塞那肽-4衍生物
TW201625670A (zh) 2014-04-07 2016-07-16 賽諾菲公司 衍生自exendin-4之雙重glp-1/升糖素受體促效劑
TW201625669A (zh) 2014-04-07 2016-07-16 賽諾菲公司 衍生自艾塞那肽-4(Exendin-4)之肽類雙重GLP-1/升糖素受體促效劑
AR100639A1 (es) 2014-05-29 2016-10-19 Hanmi Pharm Ind Co Ltd Composición para tratar diabetes que comprende conjugados de análogos de insulina de acción prolongada y conjugados de péptidos insulinotrópicos de acción prolongada
AR100695A1 (es) 2014-05-30 2016-10-26 Hanmi Pharm Ind Co Ltd Composición para el tratamiento de diabetes mellitus que comprende insulina y un agonista dual glp-1 / glucagón
US9932381B2 (en) 2014-06-18 2018-04-03 Sanofi Exendin-4 derivatives as selective glucagon receptor agonists
TWI802396B (zh) 2014-09-16 2023-05-11 南韓商韓美藥品股份有限公司 長效glp-1/高血糖素受體雙促效劑治療非酒精性脂肝疾病之用途
CN105435221B (zh) * 2014-09-22 2021-09-28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针对血管内皮生长因子的人源化抗体的药物组合物
KR102418477B1 (ko) 2014-12-30 2022-07-08 한미약품 주식회사 글루카곤 유도체
WO2016108586A1 (ko) 2014-12-30 2016-07-07 한미약품 주식회사 안정성이 증가된 글루카곤 유도체
AR105319A1 (es) 2015-06-05 2017-09-27 Sanofi Sa Profármacos que comprenden un conjugado agonista dual de glp-1 / glucagón conector ácido hialurónico
PE20240215A1 (es) 2015-06-30 2024-02-16 Hanmi Pharmaceutical Co Ltd Derivado de glucagon y una composicion que comprende un conjugado de accion prolongada del mismo
AR105284A1 (es) 2015-07-10 2017-09-20 Sanofi Sa Derivados de exendina-4 como agonistas peptídicos duales específicos de los receptores de glp-1 / glucagón
UY36870A (es) 2015-08-28 2017-03-31 Hanmi Pharm Ind Co Ltd Análogos de insulina novedosos
US10702606B2 (en) * 2015-12-10 2020-07-07 Menicon Co., Ltd. Peptide composition
TN2018000231A1 (en) 2015-12-31 2019-10-04 Hanmi Pharm Ind Co Ltd Long-acting conjugate of triple glucagon/glp-1/gip receptor agonist
EP3479841A4 (en) * 2016-06-29 2020-03-04 Hanmi Pharm. Co., Ltd. GLUCAGON DERIVATIVE, CONJUGATE THEREOF,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ND THERAPEUTIC USE THEREOF
WO2018056764A1 (ko) 2016-09-23 2018-03-29 한미약품 주식회사 인슐린 수용체와의 결합력이 감소된, 인슐린 아날로그 및 이의 용도
JOP20190097A1 (ar) * 2016-10-27 2019-04-28 Janssen Pharmaceutica Nv الجلوبولينات المناعية واستخداماتها
CN108299553B (zh) * 2017-01-13 2021-07-16 博瑞生物医药(苏州)股份有限公司 胃泌酸调节素修饰物
TWI798209B (zh) 2017-03-23 2023-04-11 南韓商韓美藥品股份有限公司 對胰島素受體有降低親和性之胰島素類似物之接合物及其用途
CN112912095A (zh) 2018-07-19 2021-06-04 D&D制药技术股份有限公司 包括多肽的药物组合物
US20200262887A1 (en) * 2018-11-30 2020-08-20 Opko Ireland Global Holdings, Ltd. Oxyntomodulin peptide analog formulations
EP3939990A4 (en) * 2019-02-15 2023-05-24 Hanmi Fine Chemical Co., Ltd. NEW INTERMEDIATE USED FOR A BIOLOGICALLY ACTIVE POLYPEPTIDE AND METHOD FOR PREPARING IT
WO2021235915A1 (ko) 2020-05-22 2021-11-25 한미약품 주식회사 액상 제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3816A (ja) 2005-06-13 2008-12-04 インペリアル イノベーションズ リミテッド 新規化合物および該化合物が摂食行動に及ぼす効果
CN102010473A (zh) * 2010-11-10 2011-04-13 曹鹏 重组胃泌酸调节素融合蛋白及其制备和应用
WO2012057525A2 (en) * 2010-10-26 2012-05-03 Hanmi Holdings Co., Ltd. Liquid formulations of long acting interferon alpha conjugate

Family Cites Families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6871A (en) 1995-04-14 2000-08-01 Genentech, Inc. Polypeptides altered to contain an epitope from the Fc region of an IgG molecule for increased half-life
DE69731289D1 (de) 1996-03-18 2004-11-25 Univ Texas Immunglobulinähnliche domäne mit erhöhten halbwertszeiten
WO1999044630A1 (fr) 1998-03-06 1999-09-10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Preparations exemptes de proteines
US6660843B1 (en) 1998-10-23 2003-12-09 Amgen Inc. Modified peptides as therapeutic agents
US6677136B2 (en) 2000-05-03 2004-01-13 Amgen Inc. Glucagon antagonists
GB0121709D0 (en) 2001-09-07 2001-10-31 Imp College Innovations Ltd Food inhibition agent
US7217845B2 (en) 2002-11-25 2007-05-15 Sun Bio, Inc. Bifunctional polyethylene glycol derivatives
GB0300571D0 (en) 2003-01-10 2003-02-12 Imp College Innovations Ltd Modification of feeding behaviour
EP1594530A4 (en) 2003-01-22 2006-10-11 Human Genome Sciences Inc HYBRID PROTEINS OF ALBUMIN
US7772188B2 (en) 2003-01-28 2010-08-10 Ironwood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US20050176108A1 (en) 2003-03-13 2005-08-11 Young-Min Kim Physiologically active polypeptide conjugate having prolonged in vivo half-life
WO2005035761A1 (en) 2003-10-16 2005-04-21 Compugen Ltd. Splice variants of preproglucagon, glucagon-like peptide-1 and oxyntomodulin
KR101135244B1 (ko) 2007-11-29 2012-04-24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인슐린 분비 펩타이드 결합체를 포함하는 비만 관련질환 치료용 조성물
US8263084B2 (en) * 2003-11-13 2012-09-11 Hanmi Science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besity-related disease comprising insulinotropic peptide conjugate
US20090238838A1 (en) 2003-11-13 2009-09-24 Hanmi Pharm. Ind. Co. Ltd. Insulinotropic peptide conjugate using an immunoglobulin fc
ES2372495T3 (es) 2003-11-13 2012-01-20 Hanmi Holdings Co., Ltd Método para la producción en masa de la región constante de inmunoglobulina.
JP5185624B2 (ja) 2004-12-02 2013-04-17 ドマンティス リミテッド 血清アルブミンおよびglp−1またはpyyを標的とする二重特異性抗体
BRPI0606992A2 (pt) 2005-02-11 2009-07-28 Amylin Pharmaceuticals Inc análogo e polipeptìdeos hìbridos de gip com propriedades selecionáveis
KR100754667B1 (ko) 2005-04-08 2007-09-03 한미약품 주식회사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로 개질된 면역글로불린 Fc 단편 및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GB0511986D0 (en) 2005-06-13 2005-07-20 Imp College Innovations Ltd Novel compounds and their effects on feeding behaviour
EP2330124B1 (en) 2005-08-11 2015-02-25 Amylin Pharmaceuticals, LLC Hybrid polypeptides with selectable properties
US20090297496A1 (en) 2005-09-08 2009-12-03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Lysosomal Acid Lipase Therapy for NAFLD and Related Diseases
CN101389648B (zh) 2006-02-22 2013-07-17 默沙东公司 肽胃泌酸调节素衍生物
CA2654055A1 (en) 2006-06-07 2007-12-21 Human Genome Sciences, Inc. Albumin fusion proteins
GB0624868D0 (en) 2006-12-13 2007-01-24 Imp Innovations Ltd Novel compounds and their effects on feeding behaviour
TWI428346B (zh) 2006-12-13 2014-03-01 Imp Innovations Ltd 新穎化合物及其等對進食行為影響
US20090098130A1 (en) 2007-01-05 2009-04-16 Bradshaw Curt W Glucagon-like protein-1 receptor (glp-1r) agonist compounds
JP2008169195A (ja) * 2007-01-05 2008-07-24 Hanmi Pharmaceutical Co Ltd キャリア物質を用いたインスリン分泌ペプチド薬物結合体
EP2111414B1 (en) 2007-02-15 2014-07-02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Glucagon/glp-1 receptor co-agonists
CN101730523A (zh) * 2007-07-10 2010-06-09 伊莱利利公司 GLP-1-Fc融合蛋白质制剂
CN106106497B (zh) 2007-07-27 2022-02-22 拜耳知识产权有限责任公司 三元活性化合物结合物
KR20100058550A (ko) 2007-09-11 2010-06-03 몬도바이오테크 래보래토리즈 아게 녹농균 감염 치료시 치료제로서의 밴드 3 단백질 (824-829) 및/또는 멜라닌세포-자극 호르몬 방출-저해 인자의 용도
MX2010004298A (es) 2007-10-30 2010-05-03 Univ Indiana Res & Tech Corp Compuestos que exhiben actividad antagonista de glucagon y agonista de glp-1.
US20090181037A1 (en) 2007-11-02 2009-07-16 George Heavner Semi-Synthetic GLP-1 Peptide-FC Fusion Constructs, Methods and Uses
WO2009099763A1 (en) 2008-01-30 2009-08-13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Ester-based peptide prodrugs
MX2010012695A (es) 2008-06-17 2011-03-15 Univ Indiana Res & Tech Corp Analogos de glucagon que exhiben solubilidad y estabilidad aumentadas en soluciones reguladoras de ph fisiologico.
PA8830501A1 (es) 2008-06-17 2010-07-27 Univ Indiana Res & Tech Corp Co-agonistas del receptor de glucagon/glp-1
WO2010013012A2 (en) 2008-08-01 2010-02-04 Lund University Bioscience Ab Novel polypeptides and uses thereof
EP2350118B1 (en) 2008-09-19 2016-03-30 Nektar Therapeutics Carbohydrate-based drug delivery polymers and conjugates thereof
US20110171312A1 (en) 2008-09-19 2011-07-14 Nektar Therapeutics Modified therapeutic peptides, methods of their preparation and use
BRPI0823379A2 (pt) 2008-12-15 2015-07-14 Zealand Pharma As Análogos de glucagon
RU2550696C2 (ru) 2008-12-19 2015-05-10 Индиана Юниверсити Рисерч Энд Текнолоджи Корпорейшн Основанные на амидах пролекарства пептидов глюкагонового надсемейства
WO2010096052A1 (en) 2009-02-19 2010-08-26 Merck Sharp & Dohme Corp. Oxyntomodulin analogs
RU2495881C2 (ru) 2009-03-20 2013-10-20 Ханми Холдингс Ко., Лтд.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условий для сайт-специфического связывания полипептида и непептидильного полимера
MX347295B (es) * 2009-03-20 2017-04-20 Amgen Inc Inmunoglobulinas portadoras y usos de las mismas.
WO2010148089A1 (en) 2009-06-16 2010-12-23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Gip receptor-active glucagon compounds
JP6054742B2 (ja) 2009-07-13 2016-12-27 ジーランド ファーマ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アシル化グルカゴン類似体
WO2011056713A2 (en) 2009-11-03 2011-05-12 Amylin Pharmaceuticals, Inc. Glp-1 receptor agonist compounds for obstructive sleep apnea
US20120269830A1 (en) 2009-12-07 2012-10-25 Lawrence Horowitz Conjugates with improved pharmacokinetic properties
WO2011075393A2 (en) 2009-12-18 2011-06-23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Glucagon/glp-1 receptor co-agonists
AR079344A1 (es) 2009-12-22 2012-01-18 Lilly Co Eli Analogo peptidico de oxintomodulina,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lo comprende y uso para preparar un medicamento util para tratar diabetes no insulinodependiente y/u obesidad
JO2976B1 (en) 2009-12-22 2016-03-15 ايلي ليلي اند كومباني Axentomodulin polypeptide
KR20120123443A (ko) 2010-01-27 2012-11-08 인디애나 유니버시티 리서치 앤드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대사 장애 및 비만 치료용 글루카곤 길항제-gip 항진제 콘쥬게이트
JP6054861B2 (ja) 2010-03-26 2016-12-27 ノヴォ ノルディスク アー/エス 新規のグルカゴン類似体
AR081066A1 (es) 2010-04-02 2012-06-06 Hanmi Holdings Co Ltd Conjugado de insulina donde se usa un fragmento de inmunoglobulina
EP2568993A4 (en) 2010-05-13 2014-02-19 Univ Indiana Res & Tech Corp GLUCAGON SUPERFAMILY PEPTIDES EXPRESSING G PROTEIN-COUPLED RECEPTOR ACTIVITY
CN103179979A (zh) 2010-06-24 2013-06-26 印第安纳大学研究及科技有限公司 基于酰胺的胰高血糖素超家族肽前药
KR101314865B1 (ko) * 2010-07-06 2013-10-04 김덕중 모바일 환경에서 tv 화면과 연동하는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부가 서비스 서버 및 방송 시스템
KR101337797B1 (ko) * 2010-07-14 2013-12-06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지속형 인간 성장 호르몬 결합체 액상 제제
KR101382593B1 (ko) * 2010-07-21 2014-04-10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신규한 지속형 글루카곤 결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5282146B2 (ja) 2010-09-06 2013-09-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1974077A (zh) 2010-09-15 2011-02-16 南京瑞年天平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新颖的多肽化合物
KR101767570B1 (ko) * 2010-10-26 2017-08-14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항 비만 펩타이드의 지속형 결합체
WO2012088379A2 (en) 2010-12-22 2012-06-28 Marcadia Biotech, Inc. Methods for treating metabolic disorders and obesity with gip and glp-1 receptor-active glucagon-based peptides
JP6118500B2 (ja) 2011-02-28 2017-04-19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エレクトロニック マテリアルズ エルエルシー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フォトレジスト組成物、およびフォトリソグラフィパターンを形成する方法
KR101161526B1 (ko) 2011-05-16 2012-07-0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을 위한 코어/쉘 구조의 나노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
DK2718318T3 (en) 2011-06-10 2018-11-05 Hanmi Science Co Ltd New oxyntomodulin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comprising these
WO2012173422A1 (en) 2011-06-17 2012-12-20 Hanmi Science Co., Ltd. A conjugate comprising oxyntomodulin and an immunoglobulin fragment, and use thereof
RU2014101697A (ru) * 2011-06-22 2015-07-27 Индиана Юниверсити Рисерч Энд Текнолоджи Корпорейшн Коагонисты рецепторов глюкагона/glp-1
KR101665009B1 (ko) 2012-03-09 2016-10-11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3157002A1 (en) 2012-04-19 2013-10-24 Prolor Biotech Inc. Long-acting oxyntomodulin variant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AR091477A1 (es) 2012-06-21 2015-02-04 Univ Indiana Res & Tech Corp Analogos de glucagon que presentan actividad de receptor de gip
KR101373563B1 (ko) 2012-07-25 2014-03-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Tof-mra를 이용한 혈류특성 및 mr-신호강도구배(전단율) 유도방법
KR101968344B1 (ko) 2012-07-25 2019-04-12 한미약품 주식회사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용 조성물
AR092873A1 (es) 2012-09-26 2015-05-06 Cadila Healthcare Ltd Peptidos como agonistas triples de los receptores de gip, glp-1 y glugagon
KR101993393B1 (ko) 2012-11-06 2019-10-01 한미약품 주식회사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성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EA034499B1 (ru) 2012-11-06 2020-02-13 Ханми Фарм. Ко., Лтд. Жидкая композиция белкового конъюгата, содержащего оксинтомодулин и фрагмент иммуноглобулина
JP6137046B2 (ja) 2014-05-09 2017-05-3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単量体、高分子化合物、レジスト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TWI802396B (zh) 2014-09-16 2023-05-11 南韓商韓美藥品股份有限公司 長效glp-1/高血糖素受體雙促效劑治療非酒精性脂肝疾病之用途
WO2019171352A2 (en) 2018-03-08 2019-09-12 Janssen Pharmaceutica Nv Methods of treating severe non-diabetic obesi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3816A (ja) 2005-06-13 2008-12-04 インペリアル イノベーションズ リミテッド 新規化合物および該化合物が摂食行動に及ぼす効果
WO2012057525A2 (en) * 2010-10-26 2012-05-03 Hanmi Holdings Co., Ltd. Liquid formulations of long acting interferon alpha conjugate
CN102010473A (zh) * 2010-11-10 2011-04-13 曹鹏 重组胃泌酸调节素融合蛋白及其制备和应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3208호(2012.05.04.)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69779A1 (en) 2019-09-05
CA2890324A1 (en) 2014-05-15
EP3610856B1 (en) 2021-08-18
EA201791143A1 (ru) 2017-11-30
JP2018162299A (ja) 2018-10-18
EP2916819B1 (en) 2019-07-10
EA031852B1 (ru) 2019-03-29
CN104884045B (zh) 2018-06-15
PT2916819T (pt) 2019-10-28
EP3610856A1 (en) 2020-02-19
IL264360A (en) 2019-02-28
KR20210125453A (ko) 2021-10-18
PH12015501008A1 (en) 2015-07-27
MX2020004114A (es) 2020-07-24
TW201740924A (zh) 2017-12-01
JP2015536942A (ja) 2015-12-24
US9724420B2 (en) 2017-08-08
CA2890324C (en) 2021-02-23
AU2013342321A1 (en) 2015-05-28
TWI602583B (zh) 2017-10-21
JP6363612B2 (ja) 2018-07-25
IL238626A0 (en) 2015-06-30
EP2916819A4 (en) 2016-08-17
UA126651C2 (uk) 2023-01-11
CN104884045A (zh) 2015-09-02
EP2916819A1 (en) 2015-09-16
TWI652071B (zh) 2019-03-01
US10279041B2 (en) 2019-05-07
UA116364C2 (uk) 2018-03-12
MX2015005698A (es) 2015-08-20
TW201919585A (zh) 2019-06-01
ZA201503998B (en) 2016-09-28
EA201992760A2 (ru) 2020-03-31
NZ739063A (en) 2019-11-29
EA034499B1 (ru) 2020-02-13
SG11201503370WA (en) 2015-05-28
PH12018501454A1 (en) 2020-02-17
AU2017279583A1 (en) 2018-01-18
BR112015010235A2 (pt) 2017-08-22
US20170360939A1 (en) 2017-12-21
US11071785B2 (en) 2021-07-27
MY168536A (en) 2018-11-12
BR112015010235B1 (pt) 2021-05-18
AU2020200626A1 (en) 2020-02-20
AU2020200626B2 (en) 2022-02-10
AU2013342321B2 (en) 2017-09-28
IL238626B (en) 2019-02-28
AR093387A1 (es) 2015-06-03
ES2748158T3 (es) 2020-03-13
MY197849A (en) 2023-07-20
JP6694013B2 (ja) 2020-05-13
WO2014073842A1 (en) 2014-05-15
AU2017279583B2 (en) 2019-11-21
KR20140058387A (ko) 2014-05-14
PH12015501008B1 (en) 2015-07-27
SG10201602801YA (en) 2016-05-30
PE20151421A1 (es) 2015-09-24
NZ708103A (en) 2018-07-27
EA201992760A3 (ru) 2020-06-30
NZ731658A (en) 2020-05-29
TW201427716A (zh) 2014-07-16
KR102434280B1 (ko) 2022-08-23
EA201590758A1 (ru) 2015-10-30
US20150290324A1 (en) 2015-10-15
TWI816739B (zh) 2023-10-01
IL264360B (en) 2019-11-28
EA039082B1 (ru) 2021-12-01
AR121939A2 (es) 2022-07-27
HK1210044A1 (en) 2016-04-15
CL2015001206A1 (es) 2015-07-03
PL2916819T3 (pl) 2020-01-31
DK2916819T3 (da)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280B1 (ko) 옥신토모듈린과 면역글로불린 단편을 포함하는 단백질 결합체의 액상 제제
EP3502129B1 (en) A conjugate comprising oxyntomodulin and an immunoglobulin fragment, and use thereof
US20170128589A1 (en) Method for improving solubility of protein and peptide by using immunoglogulin fc fragment linkage
EP4154868A1 (en) Liquid formulation of long-acting conjugate of glucagon derivative
NZ742400B2 (en) A conjugate comprising oxyntomodulin and an immunoglobulin fragment,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