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724B1 -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유용한 피롤로[1,2-f][1,2,4]트리아진 - Google Patents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유용한 피롤로[1,2-f][1,2,4]트리아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724B1
KR102243724B1 KR1020207013948A KR20207013948A KR102243724B1 KR 102243724 B1 KR102243724 B1 KR 102243724B1 KR 1020207013948 A KR1020207013948 A KR 1020207013948A KR 20207013948 A KR20207013948 A KR 20207013948A KR 102243724 B1 KR102243724 B1 KR 102243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n
mmol
added
colum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7103A (ko
Inventor
마이클 오네일 한라한 클라크
에드워드 되르플러
리차드 엘. 마크만
더스틴 시겔
Original Assignee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003049&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4372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17011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8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7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o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e.g. ketorolac, physostig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hree nitrogen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e.g. chlorazanil, mel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System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61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systems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or ring system, with or without other non-condensed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7/00Compounds containing non-saccharide radicals linked to saccharide radicals by a carbon-to-carbon bond
    • C07H7/06Heterocyclic radicals

Abstract

본원에는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을 비롯한 뉴모비리나에(Pneumovirinae)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제제, 방법 및 하기 화학식 I의 치환된 테트라히드로푸라닐-피롤로[1,2-f][1,2,4]트리아진-4-아민 화합물뿐 아니라, 테트라히드로푸라닐-피롤로[1,2-f][1,2,4]트리아진-4-아민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방법 및 중간체가 제공된다.
<화학식 I>

Description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유용한 피롤로[1,2-f][1,2,4]트리아진{PYRROLO[1,2,F][1,2,4]TRIAZINES USEFUL FOR TREATING RESPIRATORY SYNCITIAL VIRUS INFECTIONS}
분야
본원에는 치환된 테트라히드로푸라닐-피롤로[1,2-f][1,2,4]트리아진-4-아민 화합물,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을 비롯한 뉴모비리나에(Pneumovirinae)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제약 제제뿐 아니라, 화합물의 생성에 유용한 방법 및 중간체가 제공된다.
배경
뉴모비리나에 바이러스는 다수의 주요한 인간 및 동물 질환의 원인이 되는 음성-센스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이다. 바이러스의 뉴모비리나에 아과는 파라마이소비리다에(Paramyxoviridae) 과의 일부분이며, 인간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HRSV)를 포함한다. 거의 대부분의 어린이는 두번째 생일까지 HRSV 감염을 가질 것이다. HRSV는 유아기 및 아동기에서 하기도 감염의 주요 원인이 되며, 감염자의 0.5% 내지 2%는 입원을 필요로 한다. 만성 심장, 폐 질환을 갖는 고령자 및 성인 또는 면역억제되는 인간은 또한 중증 HRSV 질환이 발생할 고 위험을 갖는다 (http://www.cdc.gov/rsv/index.html). HRSV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은 현재 이용가능하지 않다. 모노클로날 항체 팔리비주맙은 면역학적 예방을 위하여 이용 가능하지만, 그의 사용은 고 위험의 유아, 예를 들면 조산아 또는 선천성 심장 또는 폐 질환을 갖는 자에 한정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사용을 위한 가격은 종종 엄두도 못낼 정도이다. 게다가, 뉴클레오시드 유사체 리바비린이 HRSV 감염을 치료하는 유일한 항바이러스제로 승인되었으나, 제한된 효능을 갖는다. 그러므로, 항-뉴모비리나에 치료제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피롤로[2,3-d]피리미딘 화합물의 예는 U.S. 2012/0009147 A1 (Cho et al.), U.S. 2012/0020921 A1 (Cho et al.), WO 2008/089105 A2 (Babu et al.), WO 2008/141079 A1 (Babu et al.), WO 2009/132135 A1 (Butler et al.), WO 2010/002877 A2 (Francom), WO 2011/035231 A1 (Cho et al.), WO 2011/035250 A1 (Butler et al.), WO 2011/150288 A1 (Cho et al.), WO 2012/012465 (Cho et al.), WO 2012/012776 A1 (Mackman et al.), WO 2012/037038 (Clarke et al.), WO 2012/087596 A1 (Delaney et al.) 및 WO 2012/142075 A1 (Girijavallabhan et al.)에 기재되어 있다.
효과적이며, 허용되는 독성 프로파일을 갖는 HRSV 감염과 같은 뉴모비리나에 바이러스 감염을 비롯한 파라마이소비리다에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신규한 항바이러스제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존재한다.
개요
본원은 인간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에 의하여 야기되는 감염의 치료를 비롯한 뉴모비리나에 바이러스 과에 의하여 야기된 감염의 치료를 위한 화합물, 방법 및 제약 제제가 제공된다.
본원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20049088375-pa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H 또는 F이며;
R2는 H 또는 F이며;
R3은 OH 또는 F이며;
R4는 CN, C1-C4 알킬, C2-C4 알케닐, C2-C4 알키닐, C3-C4 시클로알킬, 아지도, 할로겐 또는 C1-C2 할로알킬이며;
R6은 OH이며;
R5는 H 및
Figure 112020049088375-pat00002
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n'는 1, 2, 3 및 4로부터 선택되며;
R8은 C1-C8 알킬, -O-C1-C8 알킬, 벤질, -O-벤질, -CH2-C3-C6 시클로알킬, -O-CH2-C3-C6 시클로알킬 및 CF3으로부터 선택되며;
R9는 페닐, 1-나프틸, 2-나프틸,
Figure 112020049088375-pat00003
로부터 선택되며;
R10은 H 및 CH3로부터 선택되며;
R11은 H 또는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2는 H, C1-C8 알킬, 벤질, C3-C6 시클로알킬 및 -CH2-C3-C6 시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됨).
상세한 설명
본원의 실시양태는 R1이 H이며,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및 n'를 비롯한 모든 기타 변수가 화학식 I에 대하여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또 다른 실시양태는 R2가 H이며, R1,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및 n'를 비롯한 모든 기타 변수는 화학식 I에 대하여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본원의 추가의 실시양태는 R1 및 R2가 모두 H이며,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및 n'를 비롯한 모든 기타 변수는 화학식 I에 대하여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본원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R1, R2 및 R5가 모두 H이며, R3, R4, R6, R7, R8, R9, R10, R11, R12 및 n'를 비롯한 모든 기타 변수는 화학식 I에 대하여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본원의 또 다른 별도의 실시양태는 R1 및 R2가 모두 H이며, R3은 OH이며,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및 n'를 비롯한 모든 기타 변수는 화학식 I에 대하여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본원의 또 다른 별도의 실시양태는 R1 및 R2가 모두 H이며, R3은 F이며,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및 n'를 비롯한 모든 기타 변수는 화학식 I에 대하여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본원에 제공된 또 다른 실시양태는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II>
Figure 112020049088375-pat00004
(상기 식에서,
R3은 OH 또는 F이며;
R4는 CN, C1-C4 알킬, C2-C4 알케닐, C2-C4 알키닐, C3-C4 시클로알킬, 아지도, 할로겐 또는 C1-C2 할로알킬이며;
R5는 H 및
Figure 112020049088375-pat00005
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n'는 1, 2, 3 및 4로부터 선택되며;
R8은 C1-C8 알킬, -O-C1-C8 알킬, 벤질, -O-벤질, -CH2-C3-C6 시클로알킬, -O-CH2-C3-C6 시클로알킬 및 CF3으로부터 선택되며;
R9는 페닐이며;
R10은 H 및 CH3으로부터 선택되며;
R11은 H 또는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2는 H, C1-C8 알킬, 벤질, C3-C6 시클로알킬 및 -CH2-C3-C6 시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됨).
추가의 실시양태는
R3은 OH 또는 F이며;
R4는 CN, 메틸, 에틸, 에테닐, 에티닐, 아지도, F, Cl, -CH2Cl, -CH2F, -CHF2 또는 -CF3이며;
R5 및 모든 기타 기는 화학식 II에 대하여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또한, R3이 F인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실시양태가 제공된다.
또한, R3이 OH인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실시양태가 제공된다.
또한, R3이 F이고, R4는 CN인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실시양태가 제공된다.
또한, R3이 OH이고, R4는 CN인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실시양태가 제공된다.
또한, R1 및 R2가 모두 H이며, R3은 F이며, R4는 메틸, 에틸, 비닐 또는 에티닐인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실시양태가 제공된다.
또한, R3이 OH이고, R4는 메틸, 에틸, 비닐 또는 에티닐인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실시양태가 제공된다.
또한, R3이 F이고, R4는 할로메틸인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실시양태가 제공된다.
또한, R3이 OH이고, R4는 할로메틸인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실시양태가 제공된다.
또한, R5가 H인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실시양태가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R5는 H이고, R3은 OH이며, R4는 메틸, 에틸, 비닐 또는 에티닐인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실시양태가 제공된다.
또한, R5가 H이고, R3은 F이며, R4는 할로메틸인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실시양태가 제공된다.
또한, R5가 H이고, R3은 OH이며, R4는 할로메틸인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실시양태가 제공된다.
R5가 H를 제외한 것일 수 있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상기 기재된 각각의 실시양태에서, 모든 기타 변수는 실시양태에 대하여 기재된 바와 같고, R5
Figure 112020049088375-pat00006
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8은 C1-C8 알킬, -O-C1-C8 알킬, 벤질 및 -CH2-C3-C6 시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12는 C1-C8 알킬, 벤질, C3-C6 시클로알킬 및 -CH2-C3-C6 시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실시양태가 존재한다.
바로 위에 기재된 각각의 실시양태에서, R8 및 R9가 각각 C1-C8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제외하고, 모든 기타 변수가 바로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추가의 실시양태가 존재한다. 마지막 문장에 기재된 각각의 실시양태에서, R8 및 R9가 각각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제외한 모든 기타 변수가 바로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추가의 실시양태가 존재한다. 마지막 문장에 기재된 각각의 실시양태에서, R8 및 R9가 각각 C1-C5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제외한 모든 기타 변수가 바로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추가의 실시양태가 존재한다. 마지막 문장에 기재된 각각의 실시양태에서, R8 및 R9가 각각 C1-C4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제외한 모든 기타 변수가 바로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추가의 실시양태가 존재한다.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원에 기재된 각각의 실시양태에서, 모든 변수가 특정한 실시양태에 대하여 정의된 바와 같으며, 단 R3이 F인 경우 R4는 메틸이 아니라는 조건을 추가로 포함하는, 추가의 실시양태가 존재한다.
정의
용어 할로 및 할로겐은 F, Cl, Br 및 I로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자를 지칭한다.
"아지도"는 아지드 기, 즉 기 -N3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비와 같은 용어 "n"은 정수, 예컨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및 20, 즉 2 내지 20 또는 2-20으로부터 선택된 정수를 지칭한다. 일부 경우에서, "n"은 1 내지 3, 1 내지 4, 1 내지 6, 1 내지 8, 2 내지 4, 2 내지 6, 2 내지 8 등의 정수의 군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할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할로 치환기에 의하여 각각 치환된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C1-C6)할로알킬은 수소 원자 중 하나 이상이 할로 치환기에 의하여 치환된 (C1-C6)알킬이다. 상기 범위는 알킬 기의 할로겐화를 완료하기 위하여 알킬 기에서 1개의 할로 치환기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C1-n)할로알킬" (여기서 n은 정수임)은 단독으로 또는 또 다른 라디칼과 조합하여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1 내지 n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1개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할로 치환기에 의하여 각각 치환되는 알킬 라디칼을 의미하고자 한다. (C1-n)할로알킬 (여기서 n은 2임)의 예로는 클로로메틸, 클로로에틸, 디클로로에틸, 브로모메틸, 브로모에틸, 디브로모에틸, 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플루오로에틸 및 디플루오로에틸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C1-n)알킬" (여기서 n은 정수임)은 단독으로 또는 또 다른 라디칼과 조합하여 1 내지 n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비고리형,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을 의미하고자 한다. "(C1- 4)알킬"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n-프로필), 부틸 (n-부틸), 1-메틸에틸 (이소-프로필), 1-메틸프로필 (sec-부틸), 2-메틸프로필 (이소-부틸) 및 1,1-디메틸에틸 (tert-부틸 또는 t-부틸)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약어 Me는 메틸 기를 나타내며; Et는 에틸 기를 나타내며, Pr은 프로필 기를 나타내며, iPr은 1-메틸에틸 기를 나타내며, Bu는 부틸 기를 나타내며, tBu는 1,1-디메틸에틸 기를 나타낸다.
용어 "알킬"은 노말, 2급 또는 3급 원자를 함유하는 탄화수소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알킬 기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 (즉, (C1-C4)알킬),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 (즉, (C1-C3)알킬) 또는 1 또는 2개의 탄소 원자 (즉, (C1-C2)알킬)를 가질 수 있다. 적절한 알킬 기의 예로는 메틸 (Me, -CH3), 에틸 (Et, -CH2CH3), 1-프로필 (n-Pr, n-프로필, -CH2CH2CH3), 2-프로필 (i-Pr, i-프로필, -CH(CH3)2), 1-부틸 (n-Bu, n-부틸, -CH2CH2CH2CH3), 2-메틸-1-프로필 (i-Bu, i-부틸, -CH2CH(CH3)2), 2-부틸 (s-Bu, s-부틸, -CH(CH3)CH2CH3) 및 2-메틸-2-프로필 (t-Bu, t-부틸, -C(CH3)3)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알킬"은 또한 모 알칸의 동일하거나 또는 2개의 상이한 탄소 원자로부터 2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유래하는 2개의 1가 라디칼 중심을 갖는 포화, 분지쇄 또는 직쇄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통상의 알킬 라디칼로는 메틸렌 (-CH2-), 1,1-에틸 (-CH(CH3)-), 1,2-에틸 (-CH2CH2-), 1,1-프로필 (-CH(CH2CH3)-), 1,2-프로필 (-CH2CH(CH3)-), 1,3-프로필 (-CH2CH2CH2-), 1,4-부틸 (-CH2CH2CH2CH2-)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알케닐"은 불포화의 하나 이상의 부위, 즉 탄소-탄소, sp2 이중 결합을 갖는 노말, 2급 또는 3급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이다. 예로서, 알케닐 기는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 (즉, C2-C4 알케닐) 또는 2 내지 3개의 탄소 원자 (즉, C2-C3 알케닐)를 가질 수 있다. 적절한 알케닐 기의 예로는 에틸렌 또는 비닐 (-CH=CH2) 및 알릴 (-CH2CH=CH2)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C2-n)알케닐" (여기서 n은 정수임)은 단독으로 또는 또 다른 라디칼과 조합하여 2 내지 n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며, 그중 2개 이상은 이중 결합에 의하여 서로에 결합되는 불포화, 비고리형 직쇄형 또는 분지형 라디칼을 의미하고자 한다. 상기 라디칼의 예로는 에테닐 (비닐), 1-프로페닐, 2-프로페닐 및 1-부테닐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의미로 명시하지 않는다면, 용어 "(C2-n)알케닐"은 가능한 경우 (E) 및 (Z) 이성질체 및 그의 혼합물을 비롯한 (이에 한정되지 않음) 개개의 입체이성질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C2-n)알케닐 기가 치환될 경우, 다른 의미로 명시하지 않는다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인지하는 바와 같이 치환이 화학적으로 안정한 화합물을 생성하도록 수소 원자를 지니는 그의 임의의 탄소 원자 위에서 치환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알키닐"은 불포화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갖는 노말, 2급 또는 3급 탄소 원자, 즉 탄소-탄소, sp 삼중 결합을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이다. 예를 들면, 알키닐 기는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 (즉, C2-C4 알키닐) 또는 2 내지 3개의 탄소 원자 (즉, C2-C3 알킨)를 가질 수 있다. 적절한 알키닐 기의 예로는 아세틸렌 (-C≡CH), 프로파르길 (-CH2C≡CH)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C2-n)알키닐" (여기서 n은 정수임)은 단독으로 또는 또 다른 라디칼과 조합하여 2 내지 n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며, 그중 2개 이상은 삼중 결합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불포화, 비고리형 직쇄형 또는 분지형 라디칼을 의미하고자 한다. n이 4인 상기 라디칼의 예로는 에티닐, 1-프로피닐, 2-프로피닐 및 1-부티닐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C2-n)알키닐 기가 치환될 경우, 다른 의미로 명시하지 않는다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인지하는 바와 같이 치환이 화학적으로 안정한 화합물을 생성하도록 수소 원자를 지니는 그의 임의의 탄소 원자 위에서 치환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용어 시클로알킬은 시클릭 지방족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시클로알킬 기는 그의 고리에서 탄소 원자의 개수에 의하여 언급될 수 있으며, 예컨대 "C3-C4 시클로알킬"은 3 또는 4개의 탄소 고리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 고리를 지칭하거나 또는 "C3-C6 시클로알킬"은 3, 4, 5 또는 6개의 탄소 고리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 고리를 나타내며, 즉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또는 시클로헥실 고리를 들 수 있다.
용어 "카르보사이클" 또는 "카르보시클릴"은 모노시클릭 고리계로서 명시된 탄소 원자의 개수, 예컨대 3 내지 4개의 탄소 원자 또는 3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즉, 시클로알킬) 또는 부분 불포화 (예, 시클로알케닐, 시클로알카디에닐 등) 고리를 지칭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카르보사이클은 3-6개의 고리 탄소를 포함하는 모노사이클 (즉 (C3-C6)카르보사이클)이다. 모노시클릭 카르보사이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1-시클로펜트-1-에닐, 1-시클로펜트-2-에닐, 1-시클로펜트-3-에닐, 시클로헥실, 1-시클로헥스-1-에닐, 1-시클로헥스-2-에닐, 1-시클로헥스-3-에닐 및 시클로헥사-1,3-디에닐 고리를 들 수 있다.
각각의 카르보시클릴 기는 할로겐, -OH, -CN, -NO2, -NH2, -NH(C1-C6 알킬), -N(C1-C6 알킬)2, C1-C6 알킬, C1-C6 알콕시 및 -CF3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0, 1, 2 또는 3개의 치환기에 의하여 치환될 수 있다.
제약 제제
또한, 본원에는 제약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제제가 제공된다. 또한, 제약상 유효량의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본원의 실시예의 특정 화합물 중 하나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각각 포함하는 별도의 제약 제제를 제공한다.
본원의 화합물은 통상의 프랙티스에 따라 선택될 통상의 담체 및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제화된다. 정제는 부형제, 활택제, 충전제, 결합제 등을 함유할 것이다. 수성 제제는 무균 형태로 생성되며, 경구 투여를 제외한 전달을 의도할 경우 일반적으로 등장성일 것이다. 모든 제제는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1986))에 명시된 것을 비롯한 부형제를 임의로 함유할 것이다. 부형제는 아스코르브산 및 기타 산화방지제, 킬레이트화제, 예컨대 EDTA, 탄수화물, 예컨대, 덱스트란, 히드록시알킬셀룰로스, 히드록시알킬메틸셀룰로스,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한다. 제제의 pH는 약 3 내지 약 11이지만, 통상적으로는 약 7 내지 10이다.
활성 성분을 단독으로 투여할 수 있기는 하나, 이를 제약 제제로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수의학적 및 인간 용도 모두를 위한 제제는 1종 이상의 허용되는 담체 및 임의로 기타 치료 성분, 특히 본원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추가의 치료 성분과 함께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1종 이상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담체(들)는 제제의 기타 성분과의 적합성 및 그의 수용체에 대하여 생리학적으로 무해하다는 의미에서 "허용되는"이어야 한다.
제제는 상기 투여 경로에 적절한 것을 포함한다. 제제는 단위 투여 형태로 간편하게 제시될 수 있으며, 약학 분야에 널리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기술 및 제제는 일반적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 Easton, PA.))에서 찾아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1종 이상의 부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담체와 활성 성분을 결합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제는 활성 성분을 액체 담체 또는 미분 고체 담체 또는 둘다와 균일하게 및 치밀하게 결합되도록 한 후, 필요할 경우 생성물을 성형하여 생성된다.
경구 투여에 적절한 제제는 별개의 단위, 예컨대 각각 미리 결정된 양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 카세제 또는 정제로서; 분말 또는 과립으로서; 수성 또는 비-수성 액체 중의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또는 수중유 액체 에멀젼 또는 유중수 액체 에멀젼으로서 제시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은 또한 볼루스, 연질약 또는 페이스트로서 투여될 수 있다.
정제는 임의로 1종 이상의 부속 성분과 함께 압축 또는 성형에 의하여 생성된다. 압축된 정제는 결합제, 윤활제, 불활성 희석제, 방부제, 표면 활성제 또는 분산제와 임의로 혼합된 분말 또는 과립과 같은 자유-유동 형태로 활성 성분을 적절한 기기에서 압축시켜 생성될 수 있다. 성형된 정제는 불활성 액체 희석제로 습윤화된 분말 활성 성분의 혼합물을 적절한 기기내에서 성형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정제는 임의로 코팅 또는 스코어링될 수 있으며, 임의로 그로부터 활성 성분의 느린 또는 제어된 방출을 제공하도록 임의로 제제화된다.
눈 또는 기타 외부 조직, 예를 들면 입 및 피부의 감염의 경우, 제제는 활성 성분(들)을 예를 들면 0.075 내지 20% w/w (0.1% w/w, 예컨대 0.6% w/w, 0.7% w/w 등의 증분으로 0.1% 및 20% 사이의 범위내,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 w/w,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w/w로 활성 성분(들)을 포함함)의 양으로 함유하는 국소 연고 또는 크림으로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고로 제제화될 경우, 활성 성분은 파라핀성 또는 수혼화성 연고 베이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활성 성분은 수중유 크림 베이스를 사용하여 크림 중에 제제화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크림 베이스의 수성상은 예를 들면 30% w/w 이상의 다가 알콜, 즉 2개 이상의 히드록실 기를 갖는 알콜,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 1,3-디올, 만니톨, 소르비톨,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400 포함)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국소 제제는 활성 성분이 피부 또는 기타 환부를 통한 흡수 또는 투과를 향상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 침투 향상제의 예로는 디메틸 술폭시드 및 관련 유사체를 포함한다.
에멀젼의 유성상은 공지된 성분으로부터 공지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상은 단지 유화제 (그렇지 않다면 에멀전트(emulgent)로서 공지됨)를 포함할 수 있기는 하나, 1종 이상의 유화제와 지방 또는 오일 또는 지방과 오일 둘다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유화제는 안정화제로서 작용하는 친유성 유화제와 함께 포함된다. 또한, 오일 및 지방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께, 안정화제(들)와 함께 또는 없이 유화제(들)는 이른바 유화 왁스를 형성하며, 오일 및 지방과 함께 왁스는 크림 제제의 오일 분산된 상을 형성하는 이른바 유화 연고를 구성한다.
제제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에멀전트 및 유화 안정화제로는 트윈(Tween)® 60, 스팬(Span)® 80, 세토스테아릴 알콜, 벤질 알콜, 미리스틸 알콜,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를 들 수 있다.
제제에 적절한 오일 또는 지방의 선택은 원하는 화장품 성질의 달성을 기준으로 한다. 크림은 바람직하게는 튜브 또는 기타 용기로부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점조도를 갖는 비-유지성, 비-오염 및 세정 가능한 제품이어야만 한다. 직쇄형 또는 분지형, 단일- 또는 이중상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디-이소아디페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코코넛 지방산의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스테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또는, 크로다몰(Crodamol) CAP로서 공지된 분지쇄형 에스테르의 블렌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최종 3종이 바람직한 에스테르이다. 이들은 요구되는 성질에 의존하여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고 융점 지질, 예컨대 백색 소프트 파라핀 및/또는 액체 파라핀 또는 기타 미네랄 오일을 사용한다.
본원의 제약 제제는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 및 임의로 기타 치료제와의 조합을 포함한다.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제약 제제는 의도하는 투여 방법에 적절한 임의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경구용으로 사용시, 예를 들면 정제, 트로키, 로젠지, 수성 또는 오일 현탁액, 분산성 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경질 또는 연질 캡슐, 액제, 시럽 또는 엘릭시르를 생성할 수 있다. 경구 사용을 위한 조성물은 제약 조성물의 제조를 위하여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그러한 조성물은 입에 맞는 제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감미제, 향미제, 착색제 및 방부제를 비롯한 1종 이상의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정제의 제조에 적절한 비-독성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와 혼합되어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정제는 허용된다. 이러한 부형제는 예를 들면 불활성 희석제, 예컨대 탄산칼슘 또는 탄산나트륨, 락토스, 인산칼슘 또는 인산나트륨; 겔화제 및 붕해제, 예컨대 옥수수 전분 또는 알긴산; 결합제, 예컨대 전분, 젤라틴 또는 아카시아; 및 윤활제, 예컨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또는 탈크일 수 있다. 정제는 피복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위장관에서 붕해 및 흡착을 지연시켜 장시간에 걸쳐 지연된 작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캡슐화를 비롯한 공지의 기법에 의하여 피복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간 지연 물질, 예컨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왁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경구용 제제는 또한 활성 성분이 불활성 고체 희석제, 예를 들면 인산칼슘 또는 카올린과 혼합되는 경질 젤라틴 캡슐로서 또는 활성 성분이 물 또는 오일 매체, 예컨대 땅콩유, 액체 파라핀 또는 올리브유와 혼합된 연질 젤라틴 캡슐로서 제시될 수 있다.
수성 현탁액은 수성 현탁액의 제조에 적절한 부형제와 혼합된 활성 물질을 함유한다. 상기 부형제로는 현탁제, 예컨대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알긴산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껌 트라가칸트 및 껌 아카시아 및 분산제 또는 습윤제, 예컨대 천연 포스파티드 (예, 레시틴), 알킬렌 옥시드와 지방산의 축합물 (예,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에틸렌 옥시드와 장쇄 지방족 알콜의 축합물 (예, 헵타데카에틸렌옥시세타놀),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래하는 부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시드의 축합물 (예,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을 들 수 있다. 수성 현탁액은 또한 1종 이상의 방부제, 예컨대 에틸 또는 n-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1종 이상의 착색제, 1종 이상의 향미제 및 1종 이상의 감미제, 예컨대 수크로스 또는 사카린을 함유할 수 있다.
오일 현탁액은 활성 성분을 식물성 오일, 예컨대 땅콩 오일, 올리브 오일, 참기름 또는 코코넛 오일 중에서 또는 미네랄 오일, 예컨대 액체 파라핀 중에 현탁시켜 제제화될 수 있다. 경구 현탁액은 증점제, 예컨대 밀납, 경질 파라핀 또는 세틸 알콜을 함유할 수 있다. 감미제, 예컨대 상기 명시된 것 및 향미제를 첨가하여 입에 맞는 경구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의 첨가에 의하여 보존될 수 있다.
물의 첨가에 의하여 수성 현탁액의 제조에 적절한 분산성 분말 및 과립은 분산제 또는 습윤제, 현탁제 및 1종 이상의 방부제와 혼합된 활성 성분을 제공한다. 적절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는 상기 개시된 것에 의하여 예시된다. 추가의 부형제, 예를 들면 감미제, 향미제 및 착색제도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또한 수중유 에멀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오일 상은 식물성 오일, 예컨대 올리브 오일, 땅콩 오일, 미네랄 오일, 예컨대 액체 파라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절한 유화제로는 천연 껌, 예컨대 껌 아카시아 및 껌 트라가칸트, 천연 포스파티드, 예컨대 대두 레시틴,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래한 에스테르 또는 부분 에스테르, 예컨대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및, 이들 부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시드의 축합물,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를 들 수 있다. 에멀젼은 또한 감미제 및 향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시럽 및 엘릭시르는 감미제, 예컨대 글리세롤, 소르비톨 또는 수크로스와 함께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또한 완화제, 방부제, 향미제 또는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무균 주사 또는 정맥내 제제의 형태, 예컨대 무균 주사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현탁액은 전술한 적절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를 사용하여 관련 기술분야에 따라 제제화될 수 있다. 무균 주사 또는 정맥내 제제는 비-독성 비경구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무균 주사 액제 또는 현탁액, 예컨대 1,3-부탄-디올 중의 액제일 수 있거나 또는 동결건조된 분말로서 제조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허용되는 비히클 및 용매 중에서 물, 링거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게다가, 무균 고정유는 용매 또는 현탁 매체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리드를 비롯한 임의의 무자극 고정유가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은 마찬가지로 주사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단일 투여 형태를 생성하기 위하여 담체 물질과 조합될 수 있는 활성 성분의 양은 처치되는 숙주 및 투여의 특정 방식에 의존하여 변경될 것이다. 예를 들면, 인간에게 경구 투여하고자 하는 경시적 방출 제제는 총 조성물의 약 5 내지 약 95% (중량:중량)로 변경될 수 있는 적절한 및 편리한 양의 담체 물질과 배합된 활성 물질 약 1 내지 1,000 ㎎을 함유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투여를 위한 용이하게 측정 가능한 양을 제공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맥내 주입하고자 하는 수성 액제는 약 30 ㎖/hr의 속도에서 적절한 부피의 주입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하여 액제 1 ㎖당 활성 성분 약 3 내지 500 ㎍을 함유할 수 있다.
눈에 국소 투여에 적절한 제제는 또한 활성 성분이 적절한 담체, 특히 활성 성분을 위한 수성 용매 중에 용해 또는 현탁된 점안액을 포함한다. 활성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이롭게는 0.5 내지 10%, 특히 약 1.5% w/w의 농도로 상기 제제 중에 존재한다.
구강내의 국소 투여에 적절한 제제로는 풍미 기재, 일반적으로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 또는 트라가칸트 중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로젠지; 불활성 기재, 예컨대 젤라틴 및 글리세린 또는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 중에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향정; 및 활성 성분을 적절한 액체 담체 중에 포함하는 구강세정제를 들 수 있다.
직장 투여를 위한 제제는 예를 들면 코코아 버터 또는 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적절한 기재와 함께 좌제로서 제시될 수 있다.
폐내 또는 비강 투여에 적절한 제제는 폐포 낭에 도달하도록 비강을 통한 신속한 흡입에 의하여 또는 구강을 통한 흡입에 의하여 투여되는, 예를 들면 0.1 내지 500 미크론, 예컨대 0.5, 1, 30, 35 등의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적절한 제제는 활성 성분의 수성 또는 유성 용액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또는 건조 분말 투여에 적절한 제제는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거나 또는 하기 기재되는 바와 같이 기타 치료제, 예컨대 뉴모비리나에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에 지금까지 사용된 화합물과 함께 전달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는 뉴모비리나에 감염 및 잠재적으로 관련된 세기관지염의 치료에 적절한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신규하고, 효능이 있으며, 안전하며, 무자극성 및 생리학적 적합한 흡입 가능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제약상 허용되는 염으로는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황산염 또는 인산염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더 적은 폐 자극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흡입 가능한 제제는 약 1 및 약 5 ㎛ 사이의 질량 중앙 공기역학 직경 (MMAD)을 갖는 입자를 포함하는 에어로졸로 기관지내 공간에 전달된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분무기, 가압 계량 투여 흡입기 (pMDI) 또는 건조 분말 흡입기 (DPI)를 사용한 에어로졸 전달을 위하여 제제화된다.
분무기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분무, 제트, 초음파, 가압, 진동 다공판 또는, 적응 에어로졸 전달 기법을 사용한 분무기를 비롯한 등가의 분무기를 들 수 있다 (Denyer, J. Aerosol medicine Pulmonary Drug Delivery 2010, 23 Supp 1, S1-S10). 제트 분무기는 액체 용액을 에어로졸 액적으로 분해하기 위하여 공기압을 사용한다. 초음파 분무기는 전단력에 의하여 액체를 작은 에어로졸 액적으로 만드는 압전 결정체에 의하여 작용한다. 가압 분무 시스템은 가압하에 용액을 작은 공극을 통하여 가하여 에어로졸 액적을 생성한다. 진동 다공판 장치는 전단력에 의하여 액체 흐름을 적절한 액적 크기로 만들기 위하여 빠른 진동을 사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분무를 위한 제제는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제제를 요구되는 MMAD의 입자로 에어로졸화시킬 수 있는 분무기를 사용하여 주로 약 1 ㎛ 및 약 5 ㎛ 사이의 MMAD를 갖는 입자를 포함하는 에어로졸로 기관지내 공간으로 전달된다. 최적으로 치료적으로 유효하며, 상기도 및 전신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에어로졸화된 입자는 약 5 ㎛ 초과의 MMAD를 갖지 않아야 한다. 에어로졸이 5 ㎛보다 큰 MMAD를 갖는 대다수의 입자를 함유할 경우, 입자는 상기도에 부착되어 하기도에서의 염증 및 기관지수축의 부위로 전달되는 약물의 양을 감소시킨다. 에어로졸의 MMAD가 약 1 ㎛보다 작을 경우, 입자는 흡입된 공기 중에 떠 있게 되어 날숨 중에 내쉬어버리게 되는 경향을 갖는다.
본원의 방법에 의하여 제제화 및 전달될 때, 분무를 위한 에어로졸 제제는 뉴모비리나에 감염의 부위에 뉴모비리나에 감염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치료적 유효 투여량의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전달한다. 투여된 약물의 양은 치료적 유효 투여량의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전달의 효율성을 반영하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수성 에어로졸 제제와 분무, 제트, 가압, 진동 다공판 또는 초음파 분무기의 조합은 분무기에 의존하여 기도로의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투여된 투여량의 대략 적어도 20 내지 약 90%, 통상적으로 약 70%의 전달을 허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활성 화합물의 적어도 약 30 내지 약 50%가 전달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활성 화합물의 약 70 내지 약 90%가 전달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건조 흡입 가능한 분말로서 전달된다. 화합물은 건조 분말 또는 계측된 투여 흡입기를 사용하여 화합물의 미세한 입자를 기관지내 공간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건조 분말 제제로서 기관지내 투여된다. DPI에 의한 투여의 경우,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제분 분무 건조, 임계 유체 가공 또는 용액으로부터의 침전에 의하여 주로 약 1 ㎛ 및 약 5 ㎛ 사이의 MMAD를 갖는 입자로 가공된다. 약 1 ㎛ 및 약 5 ㎛ 사이의 MMAD를 갖는 입자 크기를 생성할 수 있는 매체 제분, 제트 제분 및 분무-건조 장치 및 절차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요구되는 크기의 입자로의 가공 전 부형제를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에 첨가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예를 들면 부형제로서 락토스를 사용하여 약물 입자의 분산을 돕기 위하여 요구되는 크기의 입자와 부형제를 블렌딩시킨다.
입자 크기 측정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된다. 예를 들면 다단계 앤더슨(Anderson) 캐스케이드 충격기 또는 기타 적절한 방법, 예컨대 계측된 투여 및 건조 분말 흡입기내에서 에어로졸을 위한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미국 약전(US Pharmacopoeia) 제601장에 구체적으로 언급된 것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장치, 예컨대 건조 분말 흡입기 또는 기타 건조 분말 분산 장치를 사용하여 건조 분말로서 전달된다. 건조 분말 흡입기 및 장치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미국 특허 제5,458,135호, 미국 특허 제5,740,794호, 미국 특허 제5,775,320호, 미국 특허 제5,785,049호, 미국 특허 제3,906,950호, 미국 특허 제4,013,075호, 미국 특허 제4,069,819호, 미국 특허 제4,995,385호, 미국 특허 제5,522,385호, 미국 특허 제4,668,218호, 미국 특허 제4,667,668호, 미국 특허 제4,805,811 및 미국 특허 제5,388,572호에 개시된 것을 들 수 있다. 건조 분말 흡입기의 2종의 주요 설계가 존재한다. 한 설계는 약물을 위한 저장소가 장치내의 적소에 있는 계측 장치이며, 환자는 흡입 챔버에 투여량의 약물을 추가한다. 두번째 설계는 각각 개별적 투여량을 별도의 용기내에서 제조하는 팩토리-계측된 장치이다. 이들 시스템 모두 약물을 1 ㎛ 내지 약 5 ㎛의 MMAD의 작은 입자로 제제화시키는 것에 의존하며, 종종 락토스와 같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 더 큰 부형제 입자와의 동시-제제화를 포함한다. 약물 분말은 (장치 계측에 의하여 또는 팩토리-계측된 투여의 분해에 의하여) 흡입 챔버에 배치되며, 환자의 흡기 흐름은 장치로부터 분말을 구강내로 촉진시킨다. 분말 경로의 비-층류 특징은 부형제-약물 응집물을 분해시키며, 커다란 부형제 입자의 덩어리는 목의 뒤에 밀착되지만, 더 작은 약물 입자는 폐에 깊숙히 부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두 유형의 건조 분말 흡입기를 사용하여 건조 분말로서 전달되며, 여기서, 임의의 부형제를 배제한 건조 분말의 MMAD는 주로 1 ㎛ 내지 약 5 ㎛ 범위내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계측된 투여량 흡입기를 사용하여 건조 분말로서 전달된다. 계측된 투여량 흡입기 및 장치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미국 특허 제5,261,538호, 미국 특허 제5,544,647호, 미국 특허 제5,622,163호, 미국 특허 제4,955,371호, 미국 특허 제3,565,070호, 미국 특허 제3,361,306 및 미국 특허 제6,116,234호에 개시된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계측된 투여량 흡입기를 사용하여 건조 분말로서 전달되며, 여기서 임의의 부형제를 배제한 건조 분말의 MMAD는 주로 약 1-5 ㎛ 범위내이다.
질 투여에 적절한 제제는 활성 성분 이외에 관련 기술분야에서 적절한 것으로 공지된 담체를 함유하는 페사리, 탐폰, 크림, 겔, 페이스트, 포옴 또는 분무 제제로서 제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 적절한 제제는 제제가 의도하는 수용체의 혈액과 등장성이 되도록 하는 항산화제, 완충제, 세균발육저지제 및 용질을 함유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무균 주사 액제; 및 현탁제 및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무균 현탁액을 들 수 있다.
제제는 단위 투여량 또는 복수-투여량 용기, 예를 들면 밀폐된 앰풀 및 바이알로 제시되며, 무균 액체 담체, 예를 들면 사용 직전에 주사용수의 첨가만을 요구하는 동결-건조된(동결건조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임시 주사액 및 현탁액은 상기 기재된 유형의 무균 분말, 과립 및 정제로부터 생성된다. 바람직한 단위 투여 제제는 본원의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활성 성분의 1일 투여 또는 1일 단위 하위-용량 또는 그의 적절한 분획을 함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언급된 성분 이외에, 제제는 해당 제제의 유형을 갖는 관련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기타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경구 투여에 적절한 것은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추가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활성 성분 1종 이상을 이를 위한 수의학적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도 제공된다.
수의학적 담체는 조성물의 투여를 위하여 유용한 물질이며, 그렇지 않으면 수의학적 기술분야에서 불활성이거나 또는 허용되며, 활성 성분과 적합성을 갖는 고체, 액체 또는 기체 물질일 수 있다. 이들 수의학적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또는 임의의 기타 의도한 경로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원의 화합물은 더 적은 빈도의 투여를 허용하거나 또는 주어진 활성 성분의 약동학 또는 독성 프로파일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활성 성분의 방출이 제어 또는 조절되는 화합물 중 1종 이상을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조절 방출 제약 제제 ("조절 방출 제제")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활성 성분의 유효 투여량은 적어도 처치되는 병태의 성질, 독성, 화합물이 예방적으로 (더 낮은 투여량) 또는 활성 바이러스 감염에 대하여 사용되는지의 여부, 전달 방법 및 제약 제제에 의존하며, 임상의에 의하여 통상의 투여량 확대 실험을 사용하여 결정될 것이다. 이는 1일 약 0.0001 내지 약 100 ㎎/㎏ 체중; 통상적으로 1일 약 0.01 내지 약 10 ㎎/㎏ 체중; 보다 통상적으로 1일 약 0.01 내지 약 5 ㎎/㎏ 체중; 가장 통상적으로 1일 약 0.05 내지 약 0.5 ㎎/㎏ 체중인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략 70 ㎏ 체중의 성인의 경우 1일 후보 투여량은 1 ㎎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5 ㎎ 및 500 ㎎ 사이의 범위일 것이며, 단일 또는 복수 투여의 형태를 취할 것이다.
투여 경로
화합물 (본원에서 활성 성분으로서 지칭함) 중 1종 이상은 처치되는 병태에 적절한 임의의 경로에 의하여 투여된다. 적절한 경로로는 경구, 직장, 비강, 폐, 국소 (협측 및 설하 포함), 질내 및 비경구 (피하, 근육내, 정맥내, 피내, 경막내 및 경막외 포함)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경로는 예를 들면 수용체의 병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원의 화합물의 잇점은 이들이 경구 생체이용 가능하며, 경구 투여될 수 있다는 점이다.
조합 요법
조성물은 또한 기타 활성 성분과의 조합에 사용된다. 뉴모비리나에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기타 활성 치료제는 뉴모비리나에 바이러스 감염, 특히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에 대하여 유효하다. 이들 기타 활성 치료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리바비린, 팔리비주맙, 모타비주맙, RSV-IGIV (레스피감(RespiGam)®), MEDI-557, A-60444 (또한 RSV604로 공지됨), MDT-637, BMS-433771, ALN-RSV0, ALX-0171 및 그의 혼합물이다.
뉴모비리나에 바이러스의 다수의 감염은 호흡기 감염이다. 그러므로, 호흡기 계통 및 감염의 후유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된 추가의 활성 치료제는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치료제는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되거나 또는 직접 흡입에 의하여 투여된다. 예를 들면, 바이러스성 호흡기 감염의 치료를 위한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과 조합된 기타 바람직한 추가의 치료제로는 기관지확장제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950년대 (Carryer, Journal of Allergy, 21, 282-287, 1950) 천식 치료로서 최초로 소개되었던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그의 작용 기전이 여전히 완전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질환에 대하여 가장 유효하며, 지속적으로 유효한 요법으로 남아 있다 (Morris, J. Allergy Clin . Immunol ., 75 (1 Pt) 1-13, 1985). 불행하게도, 경구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요법은 예컨대 중심성 비만, 고혈압, 녹내장, 포도당 불내성, 백내장 형성의 가속, 골 무기질 손실 및 심리적 영향과 같은 심각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는 장시간 치료제로서의 그의 용도를 제한한다 (Goodman and Gilman, 10th edition, 2001). 전신 부작용에 대한 해결책은 스테로이드 약물을 염증 부위에 직접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다. 흡입성 코르티코스테로이드 (ICS)는 경구 스테로이드의 심각한 부작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비제한적인 예는 덱사메타손, 덱사메타손 인산나트륨, 플루오로메톨론, 플루오로메톨론 아세테이트, 로테프레드놀, 로테프레드놀 에타보네이트, 히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솔론, 플루드로코르티손, 트리암시놀론,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베타메타손,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메틸프레드니솔론, 플루오시놀론, 플루오시놀론 아세토니드, 플루니솔리드, 플루오코르틴-21-부틸레이트, 플루메타손, 플루메타손 피발레이트, 부데소니드, 할로베타솔 프로피오네이트, 모메타손 푸로에이트,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시클레소니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항염증성 다단계 기전을 통하여 작용하는 기타 항염증제는 또한 바이러스성 호흡기 감염의 치료를 위한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과 조합된 추가의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 (예, PDE-4, PDE-5 또는 PDE-7 특이성)와 같은 "항염증성 신호 신호전달 조정제" (본문에서는 (AISTM으로서 지칭됨), 전사 인자 억제제 (예, IKK 억제를 통한 NFκB 차단) 또는 키나제 억제제 (예, P38 MAP, JNK, PI3K, EGFR 또는 Syk 차단)의 적용은 염증을 스위칭 오프시키는 타당한 접근법이 되는데, 이들 작은 분자가 제한된 수의 공통의 세포내 경로를 표적화하며, 신호 전달 경로는 항염증성 치료적 인터벤션에 대한 임계점이 되기 때문이다 (P. J. Barnes, 2006에 의한 검토 참조). 이들 비제한적인 추가의 치료제로는 5-(2,4-디플루오로-펜옥시)-1-이소부틸-1H-인다졸-6-카르복실산 (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P38 맵(Map) 키나제 억제제 ARRY-797); 3-시클로프로필메톡시-N-(3,5-디클로로-피리딘-4-일)-4-디플루오로메톡시-벤즈아미드 (PDE-4 억제제 로플루밀라스트(Roflumilast)); 4-[2-(3-시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2-페닐-에틸]-피리딘 (PDE-4 억제제 CDP-840); N-(3,5-디클로로-4-피리디닐)-4-(디플루오로메톡시)-8-[(메틸술포닐)아미노]-1-디벤조푸란카르복스아미드 (PDE-4 억제제 오글레밀라스트(Oglemilast)); N-(3,5-디클로로-피리딘-4-일)-2-[1-(4-플루오로벤질)-5-히드록시-1H-인돌-3-일]-2-옥소-아세트아미드 (PDE-4 억제제 AWD 12-281); 8-메톡시-2-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5-카르복실산 (3,5-디클로로-1-옥시-피리딘-4-일)-아미드 (PDE-4 억제제 Sch 351591); 4-[5-(4-플루오로페닐)-2-(4-메탄술피닐-페닐)-1H-이미다졸-4-일]-피리딘 (P38 억제제 SB-203850); 4-[4-(4-플루오로-페닐)-1-(3-페닐-프로필)-5-피리딘-4-일-1H-이미다졸-2-일]-부트-3-인-1-올 (P38 억제제 RWJ-67657); 4-시아노-4-(3-시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2-디에틸아미노-에틸 에스테르 (실로밀라스트(Cilomilast)의 2-디에틸-에틸 에스테르 전구약물, PDE-4 억제제); (3-클로로-4-플루오로페닐)-[7-메톡시-6-(3-모르폴린-4-일-프로폭시)-퀴나졸린-4-일]-아민 (게피티닙(Gefitinib), EGFR 억제제); 및 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N-[4-메틸-3-(4-피리딘-3-일-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벤즈아미드 (이마티닙, EGFR 억제제)를 들 수 있다.
흡입성 β2-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 기관지확장제, 예컨대 포르모테롤, 알부테롤 또는 살메테롤과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합이 또한 적절하며,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유용한 조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흡입성 β2-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 기관지확장제, 예컨대 포르모테롤 또는 살메테롤과 ICS의 조합은 또한 기관지수축 및 염증 모두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각각 심비코르트(Symbicort)® 및 아드바이르(Advair)®).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과 함께 이들 ICS 및 β2-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 조합을 포함하는 조합도 또한 적절하며,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유용한 조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폐 기관지-수축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하여, 항콜린작용제는 잠재적 용도를 가지며, 그러므로 바이러스성 호흡기 감염의 치료를 위한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과 조합된 추가의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이들 항콜린작용제로는 COPD에서 콜린성 긴장의 조절을 위하여 남성에서 치료적 효능을 나타내는 무스카린 수용체의 (특히 M3 서브타입의) 길항제 (Witek, 1999); 1-{4-히드록시-1-[3,3,3-트리스-(4-플루오로-페닐)-프로피오닐]-피롤리딘-2-카르보닐}-피롤리딘-2-카르복실산 (1-메틸-피페리딘-4-일메틸)-아미드; 3-[3-(2-디에틸아미노-아세톡시)-2-페닐-프로피오닐옥시]-8-이소프로필-8-메틸-8-아조니아-비시클로[3.2.1]옥탄 (이프라트로퓸-N,N-디에틸글리시네이트); 1-시클로헥실-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카르복실산 1-아자-비시클로[2.2.2]옥트-3-일 에스테르 (솔리페나신(Solifenacin)); 2-히드록시메틸-4-메탄술피닐-2-페닐-부티르산 1-아자-비시클로[2.2.2]옥트-3-일 에스테르 (레바트로페이트(Revatropate)); 2-{1-[2-(2,3-디히드로-벤조푸란-5-일)-에틸]-피롤리딘-3-일}-2,2-디페닐-아세트아미드 (다리페나신(Darifenacin)); 4-아제판-1-일-2,2-디페닐-부티르아미드 (부제피드(Buzepide)); 7-[3-(2-디에틸아미노-아세톡시)-2-페닐-프로피오닐옥시]-9-에틸-9-메틸-3-옥사-9-아조니아-트리시클로[3.3.1.02,4]노난 (옥시트로퓸(Oxitropium)-N,N-디에틸글리시네이트); 7-[2-(2-디에틸아미노-아세톡시)-2,2-디-티오펜-2-일-아세톡시]-9,9-디메틸-3-옥사-9-아조니아-트리시클로[3.3.1.02,4]노난 (티오트로퓸(Tiotropium)-N,N-디에틸글리시네이트); 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2-(3-디이소프로필아미노-1-페닐-프로필)-4-메틸-페닐 에스테르 (톨테로딘(Tolterodine)-N,N-디메틸글리시네이트); 3-[4,4-비스-(4-플루오로-페닐)-2-옥소-이미다졸리딘-1-일]-1-메틸-1-(2-옥소-2-피리딘-2-일-에틸)-피롤리디늄; 1-[1-(3-플루오로-벤질)-피페리딘-4-일]-4,4-비스-(4-플루오로-페닐)-이미다졸리딘-2-온; 1-시클로옥틸-3-(3-메톡시-1-아자-비시클로[2.2.2]옥트-3-일)-1-페닐-프로프-2-인-1-올; 3-[2-(2-디에틸아미노-아세톡시)-2,2-디-티오펜-2-일-아세톡시]-1-(3-펜옥시-프로필)-1-아조니아-비시클로[2.2.2]옥탄 (아클리디늄(Aclidinium)-N,N-디에틸글리시네이트); 또는 (2-디에틸아미노-아세톡시)-디티오펜-2-일-아세트산 1-메틸-1-(2-펜옥시-에틸)-피페리딘-4-일 에스테르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또한 감염 및 호흡기 감염 증상 모두를 치료하기 위하여 점액용해제와 조합될 수 있다. 점액용해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암브록솔이 있다. 유사하게,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감염 및 호흡기 감염의 증상 모두를 치료하기 위하여 거담제와 조합될 수 있다. 거담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구아이페네신이 있다.
분무된 고장성 염수는 폐 질환을 갖는 환자에서의 소기도의 즉각적 및 장시간 청소율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된다 (Kuzik, J. Pediatrics 2007, 266).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또한 특히 뉴모비리나에 바이러스 감염이 세기관지염으로 악화될 경우 분무된 고장성 염수와 조합될 수 있다.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과 고장성 염수의 조합은 또한 상기 논의된 임의의 추가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분무된 약 3% 고장성 염수를 사용한다.
또한, 환자에게 동시 또는 순차 투여를 위한 단일의 투여 형태로 임의의 화합물을 1종 이상의 추가의 활성 치료제와 조합할 수 있다. 조합 요법은 동시 또는 순차 섭생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순차 투여시, 조합은 2종 이상의 투여로 투여될 수 있다.
본원의 화합물과 1종 이상의 기타 활성 치료제의 공-투여는 일반적으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기타 활성 치료제가 환자의 체내에 모두 존재하도록 하는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기타 활성 치료제의 동시 또는 순차 투여를 지칭한다.
공-투여는 1종 이상의 기타 활성 치료제의 단위 투여량의 투여, 예를 들면 1종 이상의 기타 활성 치료제 투여의 수초, 수분 또는 수시간 이내에 화합물의 투여 전 또는 후에 화합물의 단위 투여량의 투여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단위 투여량의 화합물을 우선 투여한 후, 수초 또는 수분 이내에 단위 투여량의 1종 이상의 기타 활성 치료제를 투여할 수 있다. 대안으로, 단위 투여량의 1종 이상의 기타 치료제를 우선 투여한 후, 단위 투여량의 화합물을 수초 또는 수분 이내에 투여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단위 투여량의 화합물을 우선 투여한 후, 수시간 (예, 1-12 시간) 후 단위 투여량의 1종 이상의 기타 활성 치료제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기타 경우에서, 단위 투여량의 1종 이상의 기타 활성 치료제를 우선 투여한 후, 수시간 (예, 1-12 시간) 이내에 단위 투여량의 본원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조합 요법은 "상승작용" 및 "상승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즉 활성 성분이 함께 사용될 때 달성되는 효과가 화합물을 개별적으로 사용하여 발생하는 효과의 총합보다 크다. 활성 성분이 (1) 동시-제제화되고, 조합된 제제 중에서 동시에 투여 또는 전달되며; (2) 별도의 제제로서 교대로 또는 동시에 전달되거나; 또는 (3) 일부 기타 섭생에 의한 경우 달성될 수 있다. 교대 요법으로 전달시, 화합물이 순차적으로, 예를 들면 별도의 정제, 환제 또는 캡슐로 투여 또는 전달될 경우 상승적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교대 요법 중에 유효 투여량의 각각의 활성 성분은 순차적으로, 즉 연속적으로 투여되는 반면, 조합 요법에서는 유효 투여량의 2종 이상의 활성 성분이 함께 투여된다. 상승적 항바이러스 효과는 조합의 개개의 화합물의 예측되는 순수한 상가적 효과보다 더 큰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원은 인간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에서의 뉴모비리나에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인간에게 치료적 유효 제약상 유효량의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본원의 실시예의 특정 화합물 중 1종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투여하는 것을 각각 포함하는, 인간에서의 뉴모비리나에 바이러스 감염의 별도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인간에게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에스테르의 라세메이트,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다형태, 유사다형태, 무정형 형태,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여 인간에서의 뉴모비리나에 감염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로, 뉴모비리나에 감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에게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본원의 실시예의 특정한 화합물 중 1종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의 라세메이트,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다형태, 유사다형태, 무정형 형태,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각각 포함하는, 상기 인간에서의 뉴모비리나에 감염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원은 인간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에서 인간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원은 인간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 및 1종 이상의 추가의 활성 치료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에서의 인간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로, 인간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본원의 실시예의 특정한 화합물 중 1종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를 투여하는 것을 각각 포함하는, 상기 인간에서 인간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별도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인간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본원의 실시예의 특정한 화합물 중 1종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 및 1종 이상의 추가의 활성 치료제를 투여하는 것을 각각 포함하는, 상기 인간에서 인간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별도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인간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며, 또한 세기관지염을 경험하고 있는 인간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본원의 실시예의 특정한 화합물 중 1종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를 투여하는 것을 각각 포함하는, 상기 인간에서 인간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별도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인간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며, 폐렴을 경험하고 있는 인간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본원의 실시예의 특정한 화합물 중 1종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를 투여하는 것을 각각 포함하는, 상기 인간에서 인간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별도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인간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을 경험하고 있는 인간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본원의 실시예의 특정한 화합물 중 1종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를 투여하는 것을 각각 포함하는 상기 인간에서의 호흡기 계통을 향상시키는 별도의 방법을 제공한다.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을 경험하고 있는 인간에서의 호흡기 계통은 막히거나 또는 흐르는 콧물, 기침, 천명, 재채기, 빠른 호흡 또는 호흡 곤란, 무호흡, 세기관지염 및 폐렴을 들 수 있다.
또한, 뉴모비리나에 바이러스 감염 또는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의 용도를 포함하는 실시양태를 제공한다.
또한, 뉴모비리나에 바이러스 감염 또는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본원의 실시예의 특정한 화합물 중 1종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의 용도를 포함하는 실시양태를 제공한다.
또한, 제약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제제를 제공한다. 추가로, 제약상 유효량의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본원의 실시예의 특정한 화합물 중 1종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제약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 및 제약상 유효량의 1종 이상의 추가의 활성 치료제를 포함하는 제약 제제를 제공한다. 추가로, 제약상 유효량의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본원의 실시예의 특정한 화합물 중 1종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 및 제약상 유효량의 1종 이상의 추가의 활성 치료제를 포함하는 제약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인간에서 뉴모비리나에 바이러스 감염 또는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본원의 실시예의 특정한 화합물 중 1종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별도의 실시양태를 제공한다.
또한,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본원의 실시예의 특정한 화합물 중 1종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별도의 실시양태를 제공한다.
또한,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본원의 실시예의 특정한 화합물 중 1종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에서 뉴모비리나에 바이러스 감염 또는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 방법을 포함하는 별도의 실시양태를 제공한다.
또한, 인간에서 뉴모비리나에 바이러스 감염 또는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를 제공한다.
또한, 인간에서 뉴모비리나에 바이러스 감염 또는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를 위한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본원의 실시예의 특정한 화합물 중 1종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용매화물 및/또는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별도의 실시양태를 제공한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화합물의 대사산물
또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생체내 대사 생성물이 관련 기술분야에 비하여 신규하며, 비자명한 정도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생체내 대사 생성물은 본원의 범주내에 포함된다. 상기 생성물은 주로 효소 과정으로 인하여 투여된 화합물의 예를 들면 산화, 환원, 가수분해, 아미드화, 에스테르화 등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화합물의 대사 생성물을 산출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화합물을 포유동물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과정에 의하여 생성된 신규하며 비자명한 화합물이 포함된다. 상기 생성물은 통상적으로 방사선표지된 (예, 14C 또는 3H) 화합물을 준비하고, 검출 가능한 용량 (예, 약 0.5 ㎎/㎏ 초과)으로 동물, 예컨대 래트, 마우스, 기니 피그, 원숭이 또는 인간에게 비경구 투여하고, 대사에 충분한 시간이 발생하도록 하고 (통상적으로 약 30 초 내지 30 시간), 소변, 혈액 또는 기타 생물학적 샘플로부터 그의 전환 생성물을 분리하여 확인된다. 이러한 생성물은 표지되므로 용이하게 분리된다 (기타는 대사산물 중에 살아 있는 에피토프를 결합시킬 수 있는 항체의 사용에 의하여 분리된다). 대사산물 구조는 통상의 방식, 예를 들면 MS 또는 NMR 분석으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대사산물의 분석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통상의 약물 대사 실험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된다. 전환 생성물이 생체내에서 달리 발견되지 않는다면, 이 생성물은 그 자체로 HSV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지 않더라도 화합물의 치료적 투여를 위한 진단 검정에서 유용하다.
대리의 위장관 분비물 중의 화합물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한 레시피 및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화합물은 본원에서 1 시간 동안 37℃에서 배양시 대리 장관 또는 위액 중에서 보호된 기의 약 50 몰% 미만이 탈보호되는 경우에 위장관에서 안정한 것으로 정의된다. 단순히 화합물이 위장관액에 대하여 안정하다는 이유만으로 이들이 생체내에서 가수분해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전구약물은 통상적으로 소화계에서는 안정할 것이지만, 일반적으로 소화 루멘, 간, 폐 또는 기타 대사 기관에서 또는 세포내에서 모 약물로 실질적으로 가수분해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전구약물은 경구 전달에 대한 생물학적 장벽을 극복한 후 모 약물을 효율적으로 방출하도록 화학적으로 설계된 화합물인 것으로 이해한다.
약어
특정 약어 및 두문자어를 실험 세부사항의 설명에 사용한다. 이들 대부분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이해될지라도, 하기 표 1은 다수의 이들 약어 및 두문자어의 목록을 포함한다.
<표 1> 약어 및 두문자어의 목록
Figure 112020049088375-pat00007
Figure 112020049088375-pat00008
Figure 112020049088375-pat00009
일반적인 반응식
<반응식 1>
Figure 112020049088375-pat00010
반응식 1은 핵염기 S1b를 생성하기 위하여 아이오딘화 반응 (예, NIS)을 개시하는 중간체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반응식 2>
Figure 112020049088375-pat00011
반응식 2는 중간체 S2b를 얻기 위하여 WO2012037038A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불소화 반응 (예, HBF4, NaNO2)으로 개시되는 중간체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그 후, 중간체 S2b를 아이오딘화 (예, NIS)시켜 핵염기 S2c를 얻을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112020049088375-pat00012
반응식 3은 적절한 핵염기 S3b를 사용한 리튬-할로겐 교환 (예, n-BuLi, [-CH2SiMe2Cl]2) 반응에 이어서 락톤 S3a로의 첨가로 개시되는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루이스 산 조건 (예, BF3·Et2O, Et3SiH) 하에서 펜던트 1' 히드록실 기의 환원은 중간체 S3c를 생성한다. 중간체 S3c는 우선 질소 작용기에서 보호 (예, BzCl, Pyr; NH4OH)시킬 수 있으며, 그 후, 벤질 기는 환원 조건 (예, HCO2H, Pd/C, BCl3, BBr3) 하에서 제거하여 중간체 S3d를 얻을 수 있다. 우선 선택적 5' 히드록실 보호 (예, DMTrCl)에 이어서 2' 및 3' 히드록실 보호 (예, TBSCl), 그 후 산성 조건 (예, TsOH) 하에서 5' 히드록실 보호기의 선택적 제거를 포함하는 시퀀스는 중간체 S3e를 공급한다. 그 후, 5' 히드록실 기는 해당 아이오다이드 (예, (PhO)3PMeI)로 전환된 후, 이를 염기성 조건 (즉 KOtBu)에 노출시켜 제거 반응을 실시하여 중간체 S3f를 생성할 수 있다. 올레핀 S3f의 산화 (예, DMDO)에 이어서 루이스 산 조건 (예, InBr3) 하에서의 적절한 친핵체 (예, TMSCN)를 사용한 처리 및 히드록실 보호기의 제거 (예, CsF)에 의하여 중간체 S3g를 얻는다. 질소 보호기의 제거 (예, NH2Me)에 의하여 타입 S3h의 최종 화합물을 얻는다.
<반응식 4>
Figure 112020049088375-pat00013
반응식 4는 (J. Med . Chem. 2007, 50, 5463-5470)에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올레핀 S3f의 산화 (예, DMDO)에 이어서 루이스 산 조건 (예, InBr3) 하에서 적절한 친핵체 (예, TMSN3)를 사용한 처리로 개시되는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그 후, 히드록실 보호기의 제거 (예, CsF)는 중간체 S4a를 얻었다. 질소 보호기의 제거 (예, NH2Me)는 타입 S4b의 최종 화합물이 수득되었다.
<반응식 5>
Figure 112020049088375-pat00014
반응식 5는 적절한 알콜 HORa의 존재하에서 올레핀 S3f의 산화 (예, DMDO)에 이어서 히드록실 보호기의 제거 (예, CsF)로 개시하여 중간체 S5a를 얻는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질소 보호기의 제거 (예, NH2Me)는 타입 S5b의 최종 화합물이 수득된다.
<반응식 6>
Figure 112020049088375-pat00015
반응식 6은 (Nucleosides, Nucleotides and Nucleic Acids 2005, 24, 343-347)에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올레핀 S3f의 산화 (예, DMDO)에 이어서 적절한 친핵체 (예, (HC≡C)3Al)를 사용한 처리에 의하여 개시되는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그 후, 히드록실 보호기의 제거 (예, CsF)는 중간체 S6a를 산출하였다. 질소 보호기의 제거 (예, NH2Me)는 타입 S6b의 최종 화합물이 수득된다. 수소화 조건 (예, H2, Pd/C 또는 린들러(Lindlar) 조건)을 통한 최종 화합물의 합성은 타입 S6c 및 S6d의 최종 화합물 각각을 선택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시클로프로판화 조건 (예, CH2N2)을 통한 최종 화합물 S6d의 합성은 타입 S6e의 최종 화합물을 산출할 수 있다.
<반응식 7>
Figure 112020049088375-pat00016
반응식 7은 WO2012037038A1에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합성된 중간체 S7a의 질소를 보호하기 위한 합성 시퀀스 (예, TMSCl, Pyr; BzCl, Pyr; NH4OH)로 개시되는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그 후, 5' 히드록실 기의 선택적 보호 (예, DMTrCl)는 중간체 S7b를 생성한다. 2' 히드록실 기의 보호 (예, TBSCl)에 이어서 산성 조건 (예, TsOH) 하에서 5' 히드록실 기의 제거는 중간체 S7e를 제공한다. 산화 조건 (예, EDCl·HCl, Pyr, TFA, DMSO) 하에서 5' 히드록실 기를 알데히드로 전환시킨 후, 해당 에놀레이트를 포름알데히드로 축합시키고, 환원 (예, NaBH4)시켜 중간체 S7f를 생성한다. 히드록실 모이어티를 오르토고날(orthogonal) 보호기로 순차적 선택적 보호 (예, DMTrCl 및 TBSCl)한 후, 산성 조건 (예, TsOH) 하에서 더 불안정한 보호기를 제거하여 중간체 S7g를 얻는다. 산화 조건 (예, EDCl·HCl, Pyr, TFA, DMSO) 하에서 히드록실 기를 알데히드로 전환시켜 중간체 S7h를 생성한다. 알데히드 S7h를 할로-올레핀 중간체 S7i로의 합성은 위티그(Wittig) 올레핀화 조건 (예, [Ph3PCH2Br]+Br-, KOtBu) 하에서 실시할 수 있다. 염기성 조건 (예, KOtBu) 하에서의 제거 반응은 알킨을 생성하며, 히드록실 보호기의 제거 (예, TBAF) 및 질소 보호기의 제거 (예, NH4OH)는 타입 S7j의 최종 화합물이 수득된다.
<반응식 8>
Figure 112020049088375-pat00017
반응식 8은 옥심 형성 (예, NH2OH·HCl)에 이어서 옥심을 니트릴 기로의 전환 (예, CDI)을 개시하여 화합물의 일반적 합성을 나타낸다. 그 후, 질소 보호기의 제거 (예, NH4OH) 및 히드록실 보호기의 제거 (예, HF·Pyr)는 타입 S8a의 최종 화합물이 수득된다.
<반응식 9>
Figure 112020049088375-pat00018
반응식 9는 위티그 올레핀화 조건 (예, [Ph3PCH3]+Br-, KOtBu)을 사용한 알데히드 S7h의 올레핀으로의 합성으로 개시되는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히드록실 보호기의 제거 (예, TBAF) 및 질소 보호기의 제거 (예, NH4OH)는 타입 S9a의 최종 화합물이 수득된다. 그 후, 환원 조건 (예, H2, Pd/C)은 타입 S9b의 최종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시클로프로판화 조건 (예, CH2N2)은 타입 S9c의 최종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다
<반응식 10>
Figure 112020049088375-pat00019
반응식 10은 히드록실 기를 클로라이드로 전환시키는 아펠(Appel) 반응 (예, Ph3P, CCl4)으로 개시되는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히드록실 보호기의 제거 (예, TBAF) 및 질소 보호기의 제거 (예, NH4OH)는 타입 S10a의 최종 화합물이 수득된다.
<반응식 11>
Figure 112020049088375-pat00020
반응식 11은 불안정 보호기를 사용한 중간체 S7g의 유리 히드록실 기의 보호 (예, PMBCl, K2CO3)를 개시되는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2' 및 5' 실릴옥시 보호기의 선택적 제거 (예, TBAF)에 이어서 강력한 보호기를 사용한 재보호 (예, BnBr, NaH) 및 산성 조건 (예, AcOH) 하에서 불안정 히드록실 보호기의 제거로 중간체 S11a를 얻는다. 히드록실 기를 불소로의 전환 (예, DAST)에 이어서 히드록실 보호기의 제거 (예, BBr3) 및 질소 보호기의 제거 (예, NH4OH)는 타입 S11b의 최종 화합물이 수득된다.
<화학식 12>
Figure 112020049088375-pat00021
반응식 12는 5' 히드록실 기의 해당 아이오다이드로의 전환 (예, (PhO)3PMeI)에 이어서 염기성 조건 (즉 KOtBu)으로 처리하여 제거 반응을 실시하여 중간체 S12a를 생성하는 것으로 개시되는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올레핀 S12a의 산화 (예, DMDO)에 이어서 (J. Med . Chem. 2007, 50, 5463-5470)에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루이스 산 조건 (예, SnCl4) 하에서 적절한 친핵체 (예, TMSN3)를 사용한 처리 및 히드록실 보호기의 제거 (예, CsF) 및 질소 보호기의 제거 (예, NH4OH)로 타입 S12b의 최종 화합물을 얻는다.
<반응식 13>
Figure 112020049088375-pat00022
반응식 13은 적절한 알콜 HORa의 존재하에서 올레핀 S12a의 산화 (예, DMDO) 및 히드록실 보호기의 제거 (예, CsF)로 개시되는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질소 보호기의 제거 (예, NH2Me)로 타입 S13a의 최종 화합물이 수득된다.
<반응식 14>
Figure 112020049088375-pat00023
반응식 14는 크산탄 형성 (예, PhOC(S)Cl, DMAP)에 이어서 바톤-맥콤비(Barton-McCombie) 탈산화 반응 (예, (TMS)3SiH, AIBN)으로 중간체 S14a를 생성하는 것으로 개시되는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히드록실 보호기의 제거 (예, TBAF) 및 질소 보호기의 제거 (예, NH4OH)는 타입 S14b의 최종 화합물이 수득된다.
<반응식 15>
Figure 112020049088375-pat00024
반응식 15는 (Biosci . Biotech. Biochem. 1993, 57, 1433-1438)에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생성된 중간체 S15a로 개시되는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가수분해 조건 (예, K2CO3, MeOH)을 사용한 아세테이트 보호기의 제거에 이어서, 화학적선택적 산화 조건 (예, NIS, Bu4NI) 및 2' 히드록실 기의 보호 (예, BnBr, Ag2O)는 중간체 S15b를 생성한다. 적절한 핵염기 S3b를 사용한 리튬-할로겐 교환 (예, n-BuLi, [-CH2SiMe2Cl]2) 및 락톤 S15b로의 첨가에 이어서, 루이스 산 조건 (예, BF3·Et2O, Et3SiH) 하에서 1' 히드록실 기의 환원 및 탈보호 (예, H2, Pd 블랙)는 타입 S15c의 최종 화합물을 생성한다,
<반응식 16>
Figure 112020049088375-pat00025
반응식 16은 산화 조건 (예, EDCl·HCl, Pyr, TFA, DMSO) 하에서 5' 히드록실 기의 알데히드로의 전환에 이어서 포름알데히드를 사용한 해당 에놀레이트의 축합 및 환원 (예, NaBH4)으로 중간체 S16a를 산출하는 것으로 개시되는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오르토고날 보호기를 사용한 히드록실 모이어티의 순차적 선택적 보호 (예, DMTrCl 및 TBSCl)에 이어서 산성 조건 (예, TsOH) 하에서 더 불안정한 보호기의 제거로 중간체 S16b를 얻는다. 그 후, 아펠 반응 (예, Ph3P, CCl4)은 히드록실 기를 클로라이드로 전환시키고, 히드록실 보호기의 제거 (예, TBAF) 및 질소 보호기의 제거 (예, NH4OH)는 타입 S16c의 최종 화합물이 수득된다.
<반응식 17>
Figure 112020049088375-pat00026
반응식 17은 불안정 보호기를 사용한 중간체 S16b의 유리 히드록실 기의 보호 (예, PMBCl, K2CO3)로 개시되는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2', 3' 및 5' 실릴옥시 보호기의 선택적 제거 (예, TBAF)에 이어서 강력한 보호기를 사용한 재보호 (예, BnBr, NaH) 및 산성 조건 (예, AcOH) 하에서 불안정 히드록실 보호기의 제거로 중간체 S17a를 얻는다. 히드록실 기의 불소로의 전환 (예, DAST)에 이어서 히드록실 보호기의 제거 (예, BBr3) 및 질소 보호기의 제거 (예, NH4OH)는 타입 S17b의 최종 화합물을 얻는다.
<반응식 18>
Figure 112020049088375-pat00027
반응식 18은 중간체 S18a의 적절한 친전자성 할로겐화 반응에 의하여 타입 S18b (예, NCS), S18c (예, NIS) 및 S18d (예, 셀렉트플루오르(Selectfluor))의 최종 화합물을 얻는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반응식 19>
Figure 112020049088375-pat00028
반응식 19는 교차-커플링 반응 (예, Zn(CN)2, Pd(PtBu)3)에 의하여 타입 S19a의 최종 화합물을 얻는 것으로 개시되는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그 후, 화합물 S19a는 니트릴의 가수분해 반응 (예, H2O2, NH4OH, H2O)에 의하여 타입 S19b의 화합물을 얻어서 합성될 수 있다.
<반응식 20>
Figure 112020049088375-pat00029
반응식 20은 소노가시라(Sonogashira) 반응 (예, CuI, PdCl2(PPh3)2)으로 타입 S20a의 최종 화합물을 산출하는 것으로 개시되는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반응식 21>
Figure 112020049088375-pat00030
반응식 21은 교차-커플링 반응 (예, Pd(dppf)Cl2, Cs2CO3)으로 타입 S21a의 최종 화합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개시되는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반응식 22>
Figure 112020049088375-pat00031
반응식 22는 타입 S22b의 포스포릴화 유사체의 합성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반응식 23>
Figure 112020049088375-pat00032
반응식 23은 타입 S23b의 포스포릴화 유사체의 합성을 포함한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반응식 24>
Figure 112020049088375-pat00033
반응식 24는 타입 S24b의 포스포릴화 유사체의 합성을 포함한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을 나타낸다.
실험
Figure 112020049088375-pat00034
중간체 1b
DMF (1 ㎖) 중의 중간체 1a (50 ㎎, 373 mmol)의 용액에 N-아이오도숙신이미드 (84 ㎎, 373 mmol)를 고체로서 실온에서 가하였다. 1.5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1M NaOH 용액 (10 ㎖) 중에 희석하고, 생성된 슬러리를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1 시간 후,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하여 수집하고, 감압 하에서 건조시켜 중간체 1b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89 (s, 1H), 7.78 (br-s, 1H), 6.98 (d, J=4.4 Hz, 1H), 6.82 (d, J=4.4 Hz, 1H), 3.30 (br-s, 1H).
LC/MS: tR=1.21 min, MS m/z=261.02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Thermo Accela)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Thermo) LCQ 플리트(Fleet); 컬럼: 키네텍스(Kinetex)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HPLC: tr=1.536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Agilent)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Gemini)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35
중간체 1d - ( 2S,3R,4R,5R )-2-(4- 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 -7-일)-3,4-비스(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올
n-부틸리튬 (헥산 중의 2.5M, 34.4 ㎖, 86.0 mmol)을 THF (200 ㎖) 중의 7-아이오도피롤로[1,2-f][1,2,4]트리아진-4-아민 1b (6.84 g, 26.3 mmol) 및 1,2-비스(클로로디메틸실릴)에탄 (5.66 g, 26.3 mmol)의 현탁액에 -78℃에서 아르곤 대기 하에서 신속하게 첨가하였다. 첨가 중에 반응 혼합물의 내부 온도가 -40.5℃로 상승하였으며, 반응 혼합물은 맑은 갈색 용액이 되었다. 15 분 후, -78℃로 사전냉각시킨 테트라히드로푸란 (40 ㎖) 중의 (3R,4R,5R)-3,4-비스(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디히드로푸란-2(3H)-온 (1c, 카르보신쓰(Carbosynth)로부터 구입함, 10 g, 23.9 mmol)의 용액을 카뉼라를 통하여 신속하게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 (15 ㎖)으로 켄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800 ㎖)로 희석하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500 ㎖) 및 염수 (500 ㎖)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220 g SiO2 콤비플래쉬 HP 골드 컬럼(Combiflash HP Gold Column), 0-10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d를 얻었다.
LC/MS: tR=1.50 min, MS m/z=553.34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5 min 2-100% ACN, 1.5 min-2.2 min 100% ACN, 2.2 min-2.4 min 100%-2% ACN, 2.4 min-2.5 min 2% ACN.
HPLC: tr=3.442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TLC: 용리제: 에틸 아세테이트, Rf=0.5 (UV)
Figure 112020049088375-pat00036
중간체 1e - 7- ((2S,3S,4R,5R)-3,4-비스 ( 벤질옥시 )-5-( 벤질옥시메틸 )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아민
DCM (43 ㎖) 중의 중간체 1d (4.74 g, 8.58 mmol) 및 트리에틸실란 (3.56 ㎖, 22.3 mmol)의 용액에 삼불소화붕소 디에틸 에테레이트 (1.59 ㎖, 12.9 mmol)를 주사기에 의하여 서서히 0℃에서 아르곤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2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100 ㎖)으로 서서히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150 ㎖)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24 g SiO2 콤비플래쉬 HP 골드 컬럼, 0-10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e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8 (s, 1H), 7.37-7.22 (m, 15H), 6.73 (d, J=4.6 Hz, 1H), 6.71 (d, J=4.6 Hz, 1H), 5.66 (d, J=4.2 Hz, 1H), 4.71 (s, 2H), 4.60 (d, J=12.0 Hz, 1H), 4.54 (s, 2H), 4.45 (d, J=11.9 Hz, 1H), 4.39 (dt, J=7.1, 3.6 Hz, 1H), 4.25 (t, J=4.6 Hz, 1H), 4.14-4.10 (m, 1H), 3.78 (dd, J=10.7, 3.4 Hz, 1H), 3.65 (dd, J=10.7, 4.0 Hz, 1H).
LC/MS: tR=2.01 min, MS m/z=537.41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1.5 min 2-100% ACN, 1.5 min-2.2 min 100% ACN, 2.2 min-2.4 min 100%-2% ACN, 2.4 min-2.5 min 2% ACN.
HPLC: tR=3.596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TLC: 용리제: 에틸 아세테이트, Rf=0.3 (UV)
Figure 112020049088375-pat00037
중간체 1f - N-(7- ((2S,3S,4R,5R)-3,4-비스 ( 벤질옥시 )-5-( 벤질옥시메틸 )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피리딘 (36.7 ㎖) 중의 중간체 1e (3.94 g, 7.34 mmol)의 용액에 벤조일 클로라이드 (1.69 ㎖, 14.68 mmol)를 서서히 실온에서 아르곤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추가의 벤조일 클로라이드 (1.69 ㎖, 14.68 mmol)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19 시간 후, 물 (20 ㎖)을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은 약간 뿌옇게 되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이 pH=10에서 염기성이 될 때까지 수산화암모늄 (~10 ㎖)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물 (150 ㎖)을 첨가 깔때기를 통하여 적가하고, 백색 고체가 첨가 동안 서서히 반응 혼합물로부터 침강되기 시작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4 시간 동안 교반하고, 백색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하여 수집하고, 톨루엔으로부터 공비 건조시켜 중간체 1f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23 (br s, 1H), 7.62 (t, J=7.8 Hz, 1H), 7.53 (t, J=7.6 Hz, 2H), 7.38-7.21 (m, 18H), 7.17 (d, J=7.6 Hz, 1H), 5.69 (d, J=4.1 Hz, 1H), 4.71 (s, 2H), 4.63-4.44 (m, 4H), 4.43-4.39 (m, 1H), 4.22 (t, J=4.5 Hz, 1H), 4.15-4.10 (m, 1H), 3.79 (dd, J=10.8, 3.2 Hz, 1H), 3.65 (dd, J=10.7, 3.7 Hz, 1H).
LC/MS: tR=1.91 min, MS m/z=641.18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1.5 min 2-100% ACN, 1.5 min-2.2 min 100% ACN, 2.2 min-2.4 min 100%-2% ACN, 2.4 min-2.5 min 2% ACN.
TLC: 용리제: 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 Rf=0.6 (UV)
Figure 112020049088375-pat00038
중간체 1g - N-(7- ((2S,3R,4S,5R) -3,4-디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에탄올 (68.5 ㎖) 및 포름산 (51.7 ㎖, 1.37 mol)을 중간체 1f (4.39 g, 6.85 mmol) 및 탄소상 팔라듐 (10 중량%, 2.2 g)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아르곤 대기 하에서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3 일 후,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톨루엔 (3×20 ㎖)와 함께 공비시켜 중간체 1g를 얻고, 이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그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15 (s, 1H), 7.67-7.40 (m, 5H), 7.23 (d, J=4.7 Hz, 1H), 7.00 (d, J=4.7 Hz, 1H), 5.40 (d, J=6.0 Hz, 1H), 4.44 (t, J=5.7 Hz, 1H), 4.17 (t, J=5.1 Hz, 1H), 4.03 (q, J=4.3 Hz, 1H), 3.81 (dd, J=12.1, 3.5 Hz, 1H), 3.71 (dd, J=12.0, 4.5 Hz, 1H).
LC/MS: tR=1.04 min, MS m/z=371.15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1.5 min 2-100% ACN, 1.5 min-2.2 min 100% ACN, 2.2 min-2.4 min 100%-2% ACN, 2.4 min-2.5 min 2% ACN;
HPLC: tR=2.055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39
중간체 1h - N-(7-((2S,3R,4S,5R)-5-((비스(4-메톡시페닐)(페닐)메톡시)메틸)-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4,4'-디메톡시트리틸 클로라이드 (2.23 g, 6.59 mmol)를 고체로서 한번에 피리딘 (32.5 ㎖) 중의 중간체 1g (2.44 g, 6.59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5.5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00 ㎖)로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염수 (3×200 ㎖)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미정제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80 g SiO2 콤비플래쉬 HP 골드 컬럼, 0-10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h를 얻었다.
LC/MS: tR=1.68 min, MS m/z=673.22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m;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1.5 min 2-100% ACN, 1.5 min-2.2 min 100% ACN, 2.2 min-2.4 min 100%-2% ACN, 2.4 min-2.5 min 2% ACN.
HPLC: tR=4.270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TLC: 용리제: 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 Rf=0.15 (UV)
Figure 112020049088375-pat00040
중간체 1i - N-(7-((2S,3S,4R,5R)-5-((비스(4-메톡시페닐)(페닐)메톡시)메틸)-3,4-비스(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2.47 g, 16.4 mmol)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 (28.2 ㎖) 중의 중간체 1h (1.84 g, 2.74 mmol) 및 이미다졸 (2.23 g, 32.8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17 시간 후,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500 ㎖)을 서서히 반응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0 ㎖)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염수 (2×400 ㎖)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80 g SiO2 콤비플래쉬 HP 골드 컬럼, 0-10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i를 얻었다.
LC/MS: tR=3.43 min, MS m/z=901.37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55 min 100% ACN, 3.55 min-4.2 min 100%-2% ACN.
HPLC: tR=5.724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TLC: 용리제: 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 Rf=0.75 (UV)
Figure 112020049088375-pat00041
중간체 1j - N-(7- ((2S,3S,4R,5R)-3,4-비스 ( tert - 부틸디메틸실릴옥시 )-5-( 히드록시메틸 )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메탄올 (3.7 ㎖) 중의 p-톨루엔술폰산 일수화물 (509 ㎎, 2.67 mmol)의 용액에 디클로로메탄 (22.3 ㎖) 중의 중간체 1i (2.41 g, 2.67 mmol)의 용액에 0℃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1.5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중탄산염 수용액 (100 ㎖)으로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2×100 ㎖)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20 g SiO2 콤비플래쉬 HP 골드 컬럼, 0-10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j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72 (br-s, 1H), 8.16 (br-t, J=7.1 Hz, 2H), 8.07 (br-t, J=7.7 Hz, 3H), 7.49-7.43 (m, 1H), 5.75 (d, J=8.2 Hz, 1H), 5.28 (dd, J=8.1, 4.7 Hz, 1H), 4.81 (d, J=5.0 Hz, 1H), 4.70-4.63 (m, 1H), 4.44 (d, J=12.3 Hz, 1H), 4.24 (d, J=12.4 Hz, 1H), 1.48 (s, 9H), 1.30 (s, 9H), 0.65 (s, 3H), 0.64 (s, 3H), 0.41 (s, 3H), 0.00 (s, 3H).
LC/MS: tR=2.66 min, MS m/z=599.19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HPLC: tR=5.622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TLC: 용리제: 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 Rf=0.55 (UV)
Figure 112020049088375-pat00042
중간체 1k - N-(7- ((2S,3S,4R,5S)-3,4-비스 ( tert - 부틸디메틸실릴옥시 )-5-( 아이오도메틸 )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중간체 1j (1.19 g, 1.99 mmol)를 DMF (9.9 ㎖) 중의 메틸트리펜옥시포스포늄 아이오다이드 (0.99 g, 2.19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3 시간 후, 메틸트리펜옥시포스포늄 아이오다이드 (0.99 g, 2.19 mmol)의 추가 부분을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00 ㎖)로 희석하고, 염수 (3×100 ㎖)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80 g SiO2 콤비플래쉬 HP 골드 컬럼, 0-10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k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21 (br s, 1H), 7.61 (br t, J=7.2 Hz, 1H), 7.53 (br t, J=7.5 Hz, 3H), 7.05 (br s, 1H), 5.44 (d, J=4.5 Hz, 1H), 4.52 (t, J=4.3 Hz, 1H), 4.08-3.99 (m, 2H), 3.55 (dd, J=10.7, 5.2 Hz, 1H), 3.38 (dd, J=10.7, 5.0 Hz, 1H), 0.93 (s, 9H), 0.85 (s, 9H), 0.16 (s, 3H), 0.11 (s, 3H), -0.01 (s, 3H), -0.11 (s, 1H).
LC/MS: tR=3.06 min, MS m/z=709.16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HPLC: tR=5.837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TLC: 용리제: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 Rf=0.45 (UV)
Figure 112020049088375-pat00043
중간체 1l - N-(7- ((2S,3S,4S)-3,4-비스 ( tert - 부틸디메틸실릴옥시 )-5- 메틸렌테트라히드로푸란 -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포타슘 t-부톡시드 (700 ㎎, 6.24 mmol)를 피리딘 (25 ㎖) 중의 중간체 1k (1.77 g, 2.5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2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25 ㎖) 및 염수 (200 ㎖)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00 ㎖)로 추출하였다. 그 후, 유기층을 염수 (200 ㎖)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40 g SiO2 콤비플래쉬 HP 골드 컬럼, 0-10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l을 얻었다.
LC/MS: tR=2.87 min, MS m/z=581.37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HPLC: tR=5.750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TLC: 용리제: 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 Rf=0.20 (UV)
Figure 112020049088375-pat00044
중간체 1m - N-(7-((2S,3S,4S)-3,4-비스(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5-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DMDO (아세톤 중의 0.07M 용액, 13.8 ㎖, 0.964 mmol)를 아세톤 (4.82 ㎖) 중의 중간체 1l (560 ㎎, 0.964 mmol)의 용액에 0℃에서 첨가하였다. 10 분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톨루엔 (2×1 ㎖)과 함께 공비 증류시켜 1m을 얻고, 이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그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LC/MS: tR=2.57 min, MS m/z=615.14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45
중간체 1n - N-(7-((2S,3S,4S)-3,4-비스(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5-시아노-5-((트리메틸실릴옥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디클로로메탄 (19.2 ㎖) 중의 미정제 중간체 1m (~592 ㎎, ~0.964 mmol) 및 트리메틸실릴 시아니드 (640 ㎕, 4.80 mmol)의 용액에 브롬화인듐 (III) (681 ㎎, 1.92 mmol)을 0℃에서 아르곤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4.5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6 ㎖)으로 켄칭시키고,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20 ㎖) 및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20 ㎖) 사이에 분배시켰다. 상이 분할되고, 수성층을 디클로로메탄 (20 ㎖)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중간체 1n (1:1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710 ㎎)을 얻고, 이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그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LC/MS: 1차 용출 이성질체 tr=2.91 min, MS m/z=696.28 [M+1], 2차 용출 이성질체 tR=3.02 min, MS m/z=696.19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46
중간체 1o - N-(7- ((2S,3R,4S) -5- 시아노 -3,4-디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DMF (9.6 ㎖) 중의 미정제 중간체 1n (668.23 ㎎, 0.96 mmol)의 용액에 불소화세슘 (729 ㎎, 4.8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5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염수 (100 ㎖)로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3×100 ㎖)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중간체 1o (1:1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를 얻고, 이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그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LC/MS: 1차 용출 이성질체 tR=1.31 min, MS m/z=396.19 [M+1], 2차 용출 이성질체 tR=1.32 min, MS m/z=396.19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47
실시예 1 - ( 2R,3S,4R,5S )-5-(4- 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 -7-일)-3,4-디히드록시-2-(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카르보니트릴
메틸아민 (물 중의 40%, 0.3 ㎖)을 메탄올 (1 ㎖) 중의 미정제 중간체 1o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2.5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분취용 HPLC (페노미넥스 루나(Phenominex Luna) 5u C18 100Å 100×30 ㎜ 컬럼, 5-15% 아세토니트릴/물 구배, 25 min)에 의하여 직접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 및 4' 아노머를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그 후, 4' 아노머를 분취용 HPLC (페노미넥스 루나 5u C18 100Å 100×30 ㎜ 컬럼, 5-15% 아세토니트릴/물 구배, 25 min)에 의하여 분리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동결건조시켜 실시예 1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 δ 7.79 (s, 1H), 6.85 (d, J=4.5 Hz, 1H), 6.76 (d, J=4.5 Hz, 1H), 5.45 (d, J=5.9 Hz, 1H), 4.59 (t, J=5.7 Hz, 1H), 4.40 (d, J=5.6 Hz, 1H), 3.88 (d, J=12.0 Hz, 1H), 3.80 (d, J=12.0 Hz, 1H).
LC/MS: tR=0.29 min, MS m/z=292.16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1.5 min 2-100% ACN, 1.5 min-2.2 min 100% ACN, 2.2 min-2.4 min 100%-2% ACN, 2.4 min-2.5 min 2% ACN.
HPLC: tR=0.377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HPLC: tR=6.643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루나(Luna) 5μ C18(2) 110A, 250×4.6 ㎜; 용매: 아세토니트릴, 물; 구배: 2 ㎖/min으로 10 분에 걸쳐 5-15%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48
중간체 2b - N-(7- ((2S,3R,4R,5R) -3- 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N2 퍼징된 플라스크에 중간체 2a, (2R,3R,4R,5S)-5-(4-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7-일)-4-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올 (WO2012037038A1에 의하여 생성됨, 1.20 g, 4.01 mmol) (피리딘을 사용한 3회 동시 증류에 의하여 건조시킴)을 첨가한 후, 피리딘 (18 ㎖) 중에 용해시켰다. 클로로트리메틸실란 (1.54 ㎖, 13.13 mmol)을 한번에 0℃에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N2 대기 하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벤조일 클로라이드 (675 ㎕, 5.82 mmol)를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벤조일 클로라이드의 추가의 부분 (100 ㎕)을 첨가하여 잔존하는 출발 물질을 소비하였다. 모노- 및 비스-Bz 보호된 생성물의 혼합물을 관찰하였다. 반응을 H2O (5 ㎖)로 켄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진한 NH4OH(aq) (8 ㎖)를 한번에 첨가하고, 15 분 동안 교반하고, 이 시점에서 비스-Bz 생성물이 원하는 생성물로 전환되었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한 후, 잔류물을 CH3OH와 함께 동시증발시켰다. 헥산 중의 50%-100% EtOAc의 용리제 램프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후 중간체 2b를 분리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6-7.91 (m, 2H), 7.88-7.79 (m, 1H), 7.61 (t, J=7.5 Hz, 1H), 7.56-7.36 (m, 2H), 7.37-7.24 (m, 1H), 7.10 (d, J=4.6 Hz, 1H), 7.01 (s, 1H), 5.53 (d, J=23.4 Hz, 1H), 5.45 (d, J=6.5 Hz, 1H), 5.16-4.91 (m, 1H), 4.86 (t, J=5.6 Hz, 1H), 4.21-4.04 (m, 1H), 3.82 (dd, J=8.0, 3.9 Hz, 1H), 3.71 (ddd, J=12.3, 5.6, 2.6 Hz, 1H), 3.52 (ddd, J=12.2, 5.7, 4.5 Hz, 1H).
19F NMR (376 MHz, DMSO-d6) δ -196.33 (dt, J=55.1, 22.5 Hz).
LC/MS: tR=0.77 min, MS m/z=373.14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49
중간체 2c - N-(7-((2S,3R,4R,5R)-5-((비스(4-메톡시페닐)(페닐)메톡시)메틸)-3-플루오로-4-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중간체 2b (1.3 g, 3.49 mmol)를 피리딘과 함께 동시증발에 의하여 건조시켰다. 그 후, 건조된 물질을 피리딘 (15 ㎖) 중에 N2 대기 하에서 용해시켰다. 4,4'-디메톡시트리틸 클로라이드 (1.71 g, 5.0 mmol)를 한번에 실온에서 첨가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탄올 (2 ㎖)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0%-100% EtOAc의 용리제 램프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2c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8-8.02 (m, 2H), 7.61 (t, J=7.5 Hz, 1H), 7.51 (t, J=7.6 Hz, 2H), 7.36 (ddt, J=6.0, 4.7, 2.0 Hz, 2H), 7.31-7.04 (m, 7H), 6.90-6.73 (m, 4H), 5.62 (d, J=24.4 Hz, 1H), 5.49 (d, J=7.0 Hz, 1H), 5.27-5.01 (m, 1H), 4.32-4.13 (m, 1H), 4.06-3.95 (m, 1H), 3.69 (s, 4H), 3.28 (s, 3H), 3.12 (dd, J=10.4, 5.2 Hz, 1H).
19F NMR (376 MHz, DMSO-d6) δ -195.58 (dt, J=52.1, 24.7 Hz).
LC/MS: tR=1.37 min, MS m/z=675.29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50
중간체 2d - N-(7-((2S,3S,4R,5R)-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3-플루오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N2 대기 하에서 제조된 DMF (8 ㎖) 중의 중간체 2c (1.47 g, 2.18 mmol)의 용액에 이미다졸 (251 ㎎, 3.70 mmol)을 첨가한 후, tert-부틸클로로디메틸실란 (492 ㎎, 3.27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H2O (5 ㎖)로 희석한 후,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EtOAc 및 H2O 사이에 분배시켰다. 층을 분리한 후, 유기상을 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상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이를 여과에 의하여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그 다음 단계에서 그 상태로 사용하였다.
미정제 물질을 CHCl3 (15 ㎖)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CH3OH (6 ㎖) 중에 용해된 p-톨루엔술폰산 수화물 (414 ㎎, 2.18 mmol)을 혼합물에 적가하고,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포화 NaHCO3(aq)로 켄칭하였다. 유기물을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0%-50% EtOAc의 용리제 램프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2d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1-7.98 (m, 2H), 7.51 (dt, J=39.9, 7.5 Hz, 3H), 7.12-6.86 (m, 2H), 5.48 (d, J=21.9 Hz, 1H), 5.07 (dt, J=54.6, 3.8 Hz, 1H), 4.86 (t, J=5.5 Hz, 1H), 4.28 (ddd, J=17.8, 7.1, 4.4 Hz, 1H), 3.83-3.72 (m, 1H), 3.63 (ddd, J=12.1, 5.2, 3.0 Hz, 1H), 3.43 (ddd, J=12.1, 6.0, 4.2 Hz, 1H), 0.80 (s, 9H), 0.01 (s, 3H), 0.00 (s, 3H).
19F NMR (376 MHz, DMSO-d6) δ -198.05 (dt, J=54.2, 19.8 Hz).
LC/MS: tR=1.35 min, MS m/z=487.24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51
중간체 2e - N-(7-((2S,3S,4R)-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3-플루오로-5,5-비스(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N2 대기 하에서 생성된 톨루엔 (4 ㎖) 및 DMSO (6 ㎖) 중의 중간체 2d (856 ㎎, 1.75 mmol)의 용액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 (EDCl) (504 ㎎, 2.63 mmol)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에 피리딘 (150 ㎕) 및 TFA (70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EDCl (100 ㎎) 및 피리딘 (10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추가의 45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H2O (10 ㎖) 및 CH2Cl2 (10 ㎖)로 켄칭시켰다. 유기물을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여 미정제 알데히드를 얻고, 이를 그 다음 단계에서 그 상태로 사용하였다.
미정제 알데히드를 디옥산 (5 ㎖) 중에 용해시키고, 37% 포름알데히드(aq) (925 ㎕)에 이어서 2N NaOH(aq) (925 ㎕)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을 AcOH로 켄칭시키고, EtOAc로 희석하고, H2O로 세정하였다. 유기물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여 미정제 알돌 생성물을 얻고, 이를 그 다음 단계에서 그 상태로 정방향으로 실시하였다.
미정제 알돌 생성물을 N2 대기 하에서 EtOH (9 ㎖)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NaBH4 (80 ㎎, 2.1 mmol)를 한번에 첨가하고, 반응을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AcOH로 켄칭시키고, CH2Cl2로 희석하고, 물 및 포화 NaHCO3(aq)의 1:1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유기 상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0%-100% EtOAc의 용리제 램프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2e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0-7.99 (m, 2H), 7.51 (dt, J=39.5, 7.5 Hz, 3H), 7.15-6.93 (m, 2H), 5.50 (d, J=14.1 Hz, 1H), 5.24 (dt, J=54.2, 5.4 Hz, 1H), 4.78 (t, J=5.6 Hz, 1H), 4.48 (dd, J=10.7, 4.8 Hz, 1H), 4.34 (dd, J=6.7, 4.9 Hz, 1H), 3.62 (dd, J=11.9, 4.9 Hz, 1H), 3.55-3.35 (m, 3H), 0.82 (s, 9H), 0.07 (s, 3H), -0.09 (s, 3H).
19F NMR (376 MHz, DMSO-d6) δ -200.37 (d, J=51.1 Hz).
LC/MS: tR=1.25 min, MS m/z=517.21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52
중간체 2f - N-(7-((2S,3S,4R,5R)-5-((비스(4-메톡시페닐)(페닐)메톡시)메틸)-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5-((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3-플루오로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중간체 2e (370 ㎎, 0.717 mmol)를 N2 대기 하에서 CH2Cl2 (10 ㎖) 및 TEA (200 ㎕) 중에 용해시킨 후, 0℃로 냉각시켰다. 4,4'-디메톡시트리틸 클로라이드 (0.364 g, 1.07 mmol)를 한번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0 분 동안 교반시켰다. CH3OH (2 ㎖)를 첨가하고, 용액을 CH2Cl2 및 포화 NaHCO3(aq)로 희석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5%-100% EtOAc의 용리제 램프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여 비스-DMTr 및 4'β 생성물의 혼합물로서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이러한 혼합물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정방향으로 실시하였다.
DMF (3 ㎖) 중의 미정제 생성물 (574 ㎎, 혼합물)에 N2 대기 하에서 이미다졸 (143 ㎎, 2.10 mmol)에 이어서 tert-부틸클로로디메틸실란 (158 ㎎, 1.05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CH3OH (1 ㎖) 및 EtOAc로 희석하였다. 유기층을 H2O에 이어서 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0%-50% EtOAc의 용리제 램프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여 일부 비스-DMTr 물질을 함유하는 중간체 2f를 얻었다.
LC/MS: tR=2.25 min, MS m/z=933.52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5 min 2-100% ACN, 1.5 min-2.8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53
중간체 2g - N-(7-((2S,3S,4R,5R)-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5-((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3-플루오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중간체 2f를 CHCl3 (5 ㎖)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CH3OH (4 ㎖) 중에 용해된 p-톨루엔술폰산 수화물 (90 ㎎, 0.474 mmol)을 혼합물에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aq)로 켄칭하였다. 유기물을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0%-40% EtOAc의 용리제 램프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2g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9-7.88 (m, 2H), 7.48 (dt, J=35.4, 7.4 Hz, 3H), 7.30 (d, J=4.6 Hz, 1H), 6.88 (s, 1H), 5.69 (dd, J=18.8, 4.2 Hz, 1H), 5.05 (dt, J=54.6, 4.7 Hz, 1H), 4.62 (dd, J=14.9, 5.1 Hz, 1H), 3.91-3.64 (m, 3H), 0.92-0.70 (m, 18H), 0.13-0.04 (m, 6H), 0.01 (m, 6H).
19F NMR (376 MHz, CDCl3) δ -196 (m)
LC/MS: tR=2.61 min, MS m/z=631.43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5 min 2-100% ACN, 1.5 min-2.8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54
중간체 2h - N-(7-((2S,3S,4R,5R)-5-((E)-2-브로모비닐)-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5-((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3-플루오로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톨루엔 (0.75 ㎖) 및 DMSO (0.15 ㎖) 중의 중간체 2g (228 ㎎, 0.361 mmol)의 용액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 (EDCl) (208 ㎎, 1.08 mmol)을 N2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에 피리딘 (30 ㎕) 및 TFA (15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EtOAc로 희석하고, H2O에 이어서 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물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여 미정제 알데히드를 얻었다. 이 물질을 그 다음 단계에 그 상태로 사용하였다.
THF (4 ㎖) 중의 브로모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314 ㎎, 0.72 mmol)의 현탁액에 -40℃에서 KOtBu (THF 중의 1.0M, 1.08 ㎖, 1.0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N2 대기 하에서 교반하였다. 미정제 알데히드를 THF (4 ㎖) 중에 용해시키고,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저온 배쓰로부터 꺼내고, 10℃로 1 시간에 걸쳐 가온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0℃로 재냉각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NH4Cl(aq)로 켄칭시켰다. 층이 분리되고, 유기층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0%-50% EtOAc의 용리제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2h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8-7.85 (m, 2H), 7.62-7.36 (m, 2H), 7.34-7.01 (m, 3H), 6.92 (s, 1H), 6.60-6.45 (m, 1H), 6.35 (d, J=8.2 Hz, 1H), 5.61 (d, J=25.1 Hz, 1H), 4.82 (dd, J=56.3, 4.9 Hz, 1H), 4.69-4.46 (m, 1H), 3.97 (d, J=11.4 Hz, 1H), 3.53 (d, J=11.4 Hz, 1H), 0.84 (d, J=3.9 Hz, 18H), 0.13 - -0.10 (m, 12H).
19F NMR (376 MHz, CDCl3) δ -190.60 (m).
LC/MS: tR=2.10 min, MS m/z=705.54/707.29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5 min 2-100% ACN, 1.5 min-2.8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55
중간체 2i - N-(7-((2S,3S,4R,5R)-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5-((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에티닐-3-플루오로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중간체 2h (204 ㎎, 0.289 mmol)를 THF (8 ㎖) 중에 N2 대기 하에서 용해시키고, -40℃로 냉각시켰다. KOtBu (THF 중의 1.0M, 1.08 ㎖, 1.08 mmol)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을 20 분 동안 교반되도록 하고, 포화 NH4Cl(aq)로 켄칭시켰다. 용액을 EtOAc로 희석하고, 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물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0%-50% EtOAc의 용리제 램프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2i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2-7.88 (m, 2H), 7.51 (dt, J=36.5, 7.5 Hz, 2H), 7.32 (d, J=4.6 Hz, 1H), 6.88 (s, 1H), 5.79 (d, J=22.1 Hz, 1H), 5.02 (ddd, J=55.3, 5.1, 3.2 Hz, 1H), 4.56 (dd, J=18.1, 5.1 Hz, 1H), 3.91 (d, J=11.3 Hz, 1H), 3.83-3.62 (m, 1H), 2.55 (m, 1H), 0.90 (dd, J=25.3, 1.6 Hz, 18H), 0.20 - -0.08 (m, 12H).
19F NMR (376 MHz, CDCl3) δ -193.10 (broad-s).
LC/MS: tR=1.88 min, MS m/z=625.24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5 min 2-100% ACN, 1.5 min-2.8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56
중간체 2j - N-(7- ((2S,3R,4R,5R)-5-에티닐 -3- 플루오로 -4-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THF (3.5 ㎖) 중의 중간체 2i (152 ㎎, 0.243 mmol)의 용액에 N2 대기 하에서 TBAF (THF 중의 1.0M, 700 ㎕, 0.700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30 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40%-100% EtOAc의 용리제 램프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2j를 얻었다.
LC/MS: tR=0.88 min, MS m/z=397.16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5 min 2-100% ACN, 1.5 min-2.8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57
실시예 2 - ( 2R,3R,4R,5S )-5-(4- 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 -7-일)-2-에티닐-4-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올
CH3OH (2 ㎖) 중의 중간체 2j (71 ㎎, 0.179 mmol)의 용액에 진한 NH4OH(aq) (0.7 ㎖)를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CH2Cl2 중의 0%-20% CH3OH의 용리제 램프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이어서 H2O 중의 0%-20% ACN의 용리제 램프를 사용하는 역상 HPLC에 의하여 정제하여 실시예 2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 δ 7.77 (s, 1H), 6.90-6.70 (m, 2H), 5.62 (dd, J=25.5, 2.6 Hz, 1H), 5.18 (ddd, J=56.0, 5.4, 2.7 Hz, 1H), 4.57 (dd, J=20.5, 5.4 Hz, 1H), 3.93-3.59 (m, 2H), 3.02 (d, J=0.7 Hz, 1H).
19F NMR (376 MHz, CD3OD) δ -193.76 (ddd, J=56.0, 25.5, 20.4 Hz).
LC/MS: tR=0.45 min, MS m/z=293.13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HPLC: tR=3.112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페노메넥스 키네텍스(Phenomenex Kinetex) C18 2.6 ㎛ 100A, 4.6×100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1.5 ㎖/min으로 0 min-8.0 min 2-98%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58
중간체 3a - N-(7-((2S,3S,4R,5R)-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5-((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3-플루오로-5-포르밀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N2 대기 하에서 생성된 DMSO (1 ㎖) 및 톨루엔 (10 ㎖) 중의 중간체 2g (1.13 g, 1.79 mmol)의 용액에 EDCl·HCl (1.02 g, 5.36 mmol) 및 피리딘 (149 ㎕, 1.92 mmol)을 첨가하였다. TFA (74 ㎕, 0.97 mmol)를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반응을 LC/MS에 의하여 체크하였다. 1개의 피크가 관찰되었으며, 체류 시간은 출발 물질과 유사하기는 하나, 생성물에 대하여 예상되는 것에 해당하는 M+1 피크를 갖는다. 또 다른 50 ㎕의 피리딘을 첨가하고, 반응을 또 다른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LC/MS에 의하면 변화가 없다. 반응을 EtOAc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 (aq.) 및 H2O의 1:1 혼합물로 켄칭시켰다. 혼합물을 EtOAc 및 더 많은 H2O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이 분리되고, H2O, 염수로 세정한 후, Na2SO4 위에서 건조시켰다. 건조제를 진공 여과에 의하여 제거하고, 여과액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CH2Cl2 중에서 취하고, 농축시키고, 생성된 물질을 고 진공 하에서 1 시간 동안 두었다. 생성물인 중간체 3a를 그 다음 반응에서 그 상태로 사용하였다.
LC/MS: tR=1.90 min, MS m/z=629.46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5 min 2-100% ACN, 1.5 min-2.8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59
중간체 3b - N-(7-((2S,3S,4R,5R)-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5-((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3-플루오로-5-((E)-(히드록시이미노)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N2 대기 하에서 생성된 피리딘 (11 ㎖) 중의 중간체 3a (이전의 단계로부터의 미정제 물질, 1.79 mmol로 추정함)의 용액에 HONH2·HCl을 한번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을 LC/MS에 의하여 5 분 후 체크하고, 출발 물질이 소비되었다. 반응을 다시 25 분 후 체크하였다. 제1의 시점으로부터의 변화는 없었다. 반응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EtOAc 및 H2O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CH2Cl2 중에서 취하고, 다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고 진공 하에 두었다. 생성물인 중간체 3b는 그 다음 반응에서 그 상태로 사용하였다.
LC/MS: tR=1.83 min, MS m/z=644.55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5 min 2-100% ACN, 1.5 min-2.8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60
중간체 3c - N-(7-((2S,3S,4R,5R)-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5-((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시아노-3-플루오로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ACN (16 ㎖) 중의 중간체 3b (이전의 단계로부터의 미정제 물질, 1.79 mmol로 추정함)의 용액에 CDI (436 ㎎, 2.69 mmol)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반응을 N2 대기 하에서 실시하였다. 반응을 LC/MS에 의하여 20 분 후 체크하였다. 출발 물질 및 생성물 대부분의 피크는 거의 시간 분해되지 않았다. 반응을 1.5 시간 후 체크하였다. 출발 물질에 해당하는 UV 피크는 거의 없어졌으며, 대부분의 피크의 강도는 사라졌다. 반응을 CH2Cl2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 (aq.) 및 H2O의 1:1 혼합물로 켄칭시켰다. 층이 분리되었으며, 수성층을 CH2Cl2로 역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염수 및 H2O의 1:1 혼합물로 추출하고,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하기 용매 램프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중간체 3c를 분리하였다: 헥산 중의 0% EtOAc로부터 헥산 중의 20% EtOAc로 상승되고, 헥산 중의 20% EtOAc에서 중지한 후, 헥산 중의 40% EtOAc로 상승되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1 (s, 1H), 8.07 (s, 1H), 7.65 (t, J=8 Hz, 1H), 7.54 (t, J=8 Hz, 1H), 7.15 (d, 4 Hz, 1H), 7.02 (s, 1H), 5.82 (d, J=24 Hz, 1H), 5.51 (ddd, J=52, 4.8, 2.8 Hz, 1H), 4.70 (dd, J=18.4, 4.4 Hz, 1H), 3.94 (dd, J=53.2, 11.2 Hz, 2H), 0.93 (s, 9H,), 0.84 (s, 9H), 0.17 (s, 3H), 0.16 (s, 3H), 0.05 (s, 3H), 0.01 (s, 3H).
19F NMR (376 MHz, DMSO-d6) δ -194.658 (dt, J=53, 21.4 Hz).
LC/MS: tR=1.84 min, MS m/z=626.60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5 min 2-100% ACN, 1.5 min-2.8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61
중간체 3d - (2R,3R,4S,5S)-5-(4-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7-일)-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4-플루오로테트라히드로푸란-2-카르보니트릴
빙수 배쓰내에서 냉각시킨 MeOH (11.2 ㎖) 중의 중간체 3c (770 ㎎, 1.23 mmol)의 용액에 진한 NH4OH(aq) (3.74 ㎖)를 첨가하였다. 저온 배쓰를 제거하고, 생성된 불균질 용액을 밤새 교반하였다. 그 다음날 반응은 LC/MS에 의하여 측정시 불완전하였다. 추가의 진한 NH4OH(aq) (4 ㎖) 및 2-MeTHF (12 ㎖)를 첨가하였다. 반응은 불균질하게 되었으나, 20 분 후, 추가의 반응 진행은 없었다. 반응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THF (15 ㎖) 중에 용해시켰다. 이 혼합물에 진한 NH4OH(aq) (5 ㎖) 및 충분한 MeOH (1.9 ㎖)를 첨가하여 용액이 균질하게 되었으며, 1상이 되었다. 반응을 실온에서 2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거의 완료되었다 (출발 물질의 약 5%가 잔존함). 반응을 CH2Cl2 및 H2O로 희석하였다. 층이 분리되고, 수성층을 포화 NaHCO3(aq)로 희석하고, CH2Cl2로 추출하였다. 수성층을 2N HCl로 중화시킨 후, CH2Cl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이를 여과에 의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중간체 3d를 잔류물로부터 하기 용매 램프를 사용한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리하였다: 헥산 중의 0% EtOAc로부터 헥산 중의 50% EtOAc로 상승하고, 헥산 중의 50% EtOAc에서 중지한 후, 헥산 중의 100% EtOAc로 상승하였다.
LC/MS: tR=1.59 min, MS m/z=522.47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62
실시예 3
( 2R,3R,4R,5S )-5-(4- 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 -7-일)-4- 플루오로 -3-히드록시-2-(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카르보니트릴
폴리프로필렌 시험관내에서 THF (2 ㎖) 중의 중간체 3d (100 ㎎, 0.191 mmol)의 용액에 0℃에서, N2 대기 하에서 피리딘 중의 70% HF·피리딘 (60 ㎕, 0.47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20 분 후 체크하고; 반응이 없었으며, 그래서, 피리딘 중의 추가의 70% HF·피리딘 (150 ㎕)을 첨가하고, 저온 배쓰를 제거하였다. 1 시간 50 분 후, 피리딘 중의 추가의 70% HF·피리딘 (150 ㎕)을 첨가하였다. 또 다른 2 시간 후, 피리딘 중의 추가의 70% HF·피리딘 (300 ㎕)을 첨가하였다. 또 다른 2 시간 15 분 후, 피리딘 중의 추가의 70% HF·피리딘 (1 ㎖)을 첨가하였다. 반응은 피리딘 중의 70% HF·피리딘의 최종 첨가시 맑고 균질하게 되었다. 반응을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은 그 다음날 완료되었다. 반응을 얼음 배쓰 내에서 냉각시키고, H2O 및 소량의 포화 NaHCO3(aq)로 켄칭시켰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DMSO 중에서 취하였다. 잔존하는 불용성 물질을 여과에 의하여 제거하고, 여과액을 HPLC에 의하여 반정제하였다. 분리된 물질을 DMF 중에 용해시키고, HPLC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실시예 3을 TFA 염으로서 0.5%로 분리하였다.
1H NMR (400 MHz, DMF-d7) δ 7.92 (s, 1H), 6.99 (d, J=4.4 Hz, 1H), 6.89 (d, J=4.9 Hz, 1H), 6.64 (d, J=6 Hz, 1H), 5.92 (t, J=6.4 Hz, 1H), 5.83 (dd, J=25.2, 2 Hz, 1H), 5.40 (ddd, J=54.8, 4.8, 2.4 Hz, 1H), 4.75 (dt, J=22, 5.2 Hz, 1H), 4.02 (dd, J=12, 6.4 Hz, 1H), 3.87 (dd, J=12, 6.4 Hz, 1H).
19F NMR (376 MHz, DMF-d7) δ -74.92 (s), -193.726 (dt, J=54.5, 23.3 Hz).
LC/MS: tR=0.56 min, MS m/z=294.10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HPLC: tR=3.220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페노메넥스 키네텍스 C18 2.6 ㎛ 100A, 4.6×100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1.5 ㎖/min으로 0 min-8.0 min 2-98%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63
중간체 4b - ( 3aR,5R,6aS )-5-((R)-2,2-디메틸-1,3- 디옥솔란 -4-일)-2,2- 디메틸디히드로푸로[3,2-d][1,3]디옥솔 -6(3aH)-온
10 ℓ 4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디클로로메탄/물 (2.7 ℓ/2.3 ℓ) 중의 중간체 4a, (3aR,5S,6S,6aR)-5-((R)-2,2-디메틸-1,3-디옥솔란-4-일-2,2-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3,2-d][1,3]디옥솔-6-올 (500 g, 1.90 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넣었다. 이에 탄산나트륨 (290 g, 3.42 mol)을 첨가하였다. 탄산칼륨 (451 g, 3.24 mol)을 첨가하였다. 이에 이어서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디노옥시 (TEMPO, 15.2 g, 96.31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에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31 g, 95.20 mmol)를 첨가하였다. 이에 N-브로모숙신이미드 (514 g, 2.86 mol)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35℃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하도록 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1 ℓ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1.5 ℓ의 물로 세정하였다. 혼합물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이는 (미정제) 중간체 4b를 생성하였다.
Figure 112020049088375-pat00064
중간체 4c - ( 3aR,5S,6R,6aR )-5-((R)-2,2-디메틸-1,3- 디옥솔란 -4-일)-2,2- 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3,2-d][1,3]디옥솔 -6-올
2 ℓ 4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메탄올 (1,300 ㎖) 중의 중간체 4b (370 g, 1.29 mol)의 용액을 넣었다. 이에 붕수소화나트륨 (26.4 g, 706.38 mmol)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하도록 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그 후, 반응을 1,000 ㎖의 5%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첨가하여 켄칭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3×500 ㎖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300 ㎖의 물로 세정하였다. 혼합물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석유 에테르로부터의 재결정화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이는 중간체 4c를 생성하였다.
Figure 112020049088375-pat00065
중간체 4d
5,000-㎖ 4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디클로로메탄 (700 ㎖) 중의 중간체 4c (350 g, 1.34 mol)의 용액을 넣었다. 이에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476.8 g, 1.48 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에 50% 수산화나트륨/물 (700 g)을 첨가하였다. 이에 2-(브로모메틸) 나프탈렌 (340 g, 1.54 mol)을 여러 배취로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4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하도록 하였다. 그 후, 반응을 1,800 ㎖의 디클로로메탄/물 (1:1)을 첨가하여 켄칭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2×1 ℓ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1,000 ㎖의 물로 세정하였다. 잔류물을 1,000/1,000 ㎖의 석유 에테르/물 중에 용해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석유 에테르로부터 재결정시켜 정제하였다. 이는 중간체 4d를 생성하였다.
Figure 112020049088375-pat00066
중간체 4e - (R)-1-(( 3aR,5R,6R,6aR )-2,2-디메틸-6- (나프탈렌-2-일메톡시)테트라히드로푸로 [3,2-d][1,3]디옥솔-5-일)에탄-1,2-디올
5 ℓ 4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중간체 4d (500 g, 1.25 mol)를 넣었다. 이에 아세트산 (1.8 ℓ)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에 물 (600 ㎖)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하도록 하였다. 고체를 여과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3×1 ℓ의 석유 에테르로 추출하고, 수성층을 합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 ℓ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2 ℓ의 염화나트륨(aq)으로 세정하였다. 용액의 pH값은 탄산나트륨 (50%)을 사용하여 8로 조절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1 ℓ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이는 중간체 4e를 생성하였다.
Figure 112020049088375-pat00067
중간체 4f - ( 3aR,5S,6R,6aR )-2,2-디메틸-6- (나프탈렌-2-일메톡시)테트라히드로푸로 [3,2-d][1,3]디옥솔-5-카르브알데히드
10 ℓ 4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1,4-디옥산 (2,100 ㎖) 중의 중간체 4e (300 g, 833.33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넣었다. 이에 이어서 물 (4,000 ㎖) 중의 과아이오드산나트륨 (250 g)의 용액을 실온에서 0.5 시간 이내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0.5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하도록 하였다. 고체를 여과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3×1,000 ㎖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1,000 ㎖의 염화나트륨(aq)으로 세정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이는 중간체 4f를 생성하였다.
Figure 112020049088375-pat00068
중간체 4g - (( 3aR,6S,6aR )-2,2-디메틸-6- (나프탈렌-2-일메톡시)테트라히드로푸로 [3,2-d][1,3]디옥솔-5,5-디일)디메탄올
10 ℓ 4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물/테트라히드로푸란 (1,250/1,250 ㎖) 중의 중간체 4f (250 g, 761.36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넣었다. 이에 0-15℃에서 교반하면서 2N 수산화나트륨(aq) (1,500 ㎖)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에 포름알데히드 (620 ㎖)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하도록 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2,000 ㎖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2,000 ㎖의 염화나트륨(aq)으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에 석유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 (2/1)와 함께 가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로부터 1 g/(1 ㎖:1 ㎖)의 비로 재결정시켰다. 이는 중간체 4g를 생성하였다.
Figure 112020049088375-pat00069
중간체 4h - (( 3aR,5R,6S,6aR )-5-(( tert - 부틸디페닐실릴옥시 ) 메틸 )-2,2-디메틸-6-(나프탈렌-2-일메톡시)테트라히드로푸로[3,2-d][1,3]디옥솔-5-일)메탄올
불활성 질소 대기로 퍼징 및 유지되는 5 ℓ 4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디클로로메탄 (2,500 ㎖) 중의 중간체 4 g (125 g, 346.84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넣었다. 혼합물에 트리에틸아민 (157.5 ㎖)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에 tert-부틸디페닐실릴 클로라이드 (157.5 ㎖)를 0-10℃에서 교반하면서 적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하도록 하였다. 그 후, 반응을 37.5 ㎖의 메탄올을 첨가하여 켄칭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2×500 ㎖의 5% 염화수소(aq) 및 2×500 ㎖의 중탄산나트륨(aq)으로 세정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500 ㎖의 1N 수산화나트륨(aq)으로 세정하였다. 혼합물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이는 중간체 4h를 생성하였다.
Figure 112020049088375-pat00070
중간체 4i - tert -부틸( 3aR,5R,6S,6aR )-5-( 아이오도메틸 )-2,2-디메틸-6- (나프탈렌-2-일메톡시)테트라히드로푸로 [3,2-d][1,3]디옥솔-5-일)메톡시)디페닐실란
불활성 질소 대기로 퍼징 및 유지된 1,000-㎖ 3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톨루엔 (320 ㎖) 중의 중간체 4h (20 g, 31.73 mmol), 트리페닐포스핀 (35 g, 132.11 mmol), 이미다졸 (8.96 g, 132.26 mmol)의 용액을 넣었다. 이어서 아이오딘 (16.95 g, 66.8 mmol)를 여러 배취로 60℃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밤새 80℃에서 오일 배쓰 내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얼음 배쓰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1,000 ㎖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300 ㎖의 티오황산나트륨(aq)으로 세정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300 ㎖의 염화나트륨(aq)으로 세정하였다. 혼합물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위에서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1:10)와 함께 가하였다. 이는 중간체 4i를 생성하였다.
Figure 112020049088375-pat00071
중간체 4j - tert - 부틸디페닐(((3aR,5R,6S,6aR) -2,2,5- 트리메틸 -6- (나프탈렌-2-일메톡시)테트라히드로푸로 [3,2-d][1,3]디옥솔-5-일)메톡시)실란
불활성 질소 대기로 퍼징 및 유지된 2,000-㎖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에탄올/에틸 아세테이트 (600/600 ㎖) 중의 중간체 4i (66 g, 88.47 mmol), 트리에틸아민 (20.7 g, 202.52 mmol), 탄소상 팔라듐 (10 중량%, 24.8 g, 23.30 mmol)의 용액을 넣었다. 생성된 용액을 3 시간 동안 40℃에서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1,500 ㎖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500 ㎖의 염화나트륨(aq)으로 세정하였다. 혼합물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이는 중간체 4j를 생성하였다.
Figure 112020049088375-pat00072
중간체 4k - ( 3aR,5R,6S,6aR )-5-(( tert - 부틸디페닐실릴옥시 ) 메틸 )-2,2,5-트리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3,2-d][1,3]디옥솔-6-올
500-㎖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디클로로메탄 (15 ㎖) 중의 중간체 4j (1.0 g, 1.63 mmol), 물 (1.25 ㎖) 및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 (DDQ, 780 ㎎, 3.40 mmol)의 용액을 넣었다. 생성된 용액을 1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50 ㎖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30 ㎖의 물 및 2×30 ㎖의 중탄산나트륨(aq)으로 세정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30 ㎖의 염화나트륨(aq)으로 세정하였다. 혼합물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위에서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1:20-1:10)와 함께 가하였다. 이는 중간체 4k를 생성하였다.
Figure 112020049088375-pat00073
중간체 4l - ( 3aR,5R,6S,6aR )-5-( 히드록시메틸 )-2,2,5-트리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3,2-d][1,3]디옥솔-6-올
50-㎖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테트라히드로푸란 (9 ㎖) 중의 중간체 4k (520 ㎎, 1.12 mmol),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369 ㎎, 1.40 mmol)의 용액을 넣었다. 생성된 용액을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위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100:1)과 함께 가하였다. 이는 중간체 4l을 생성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5.64 (d, J=3.9 Hz, 1H), 4.96 (d, J=6.6 Hz, 1H), 4.67 (m, 1H), 4.55 (m, 1H), 4.05 (m, 1H), 3.24-3.30 (m, 1H), 3.11-3.18 (m, 1H), 1.50 (s, 3H), 1.27 (s, 3H), 1.16 (s, 1H).
Figure 112020049088375-pat00074
중간체 4m - ( 3aR,5R,6S,6aR )-6-( 벤질옥시 )-5-( 벤질옥시메틸 )-2,2,5-트리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3,2-d][1,3]디옥솔
불활성 질소 대기로 퍼징 및 유지된 50-㎖ 3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테트라히드로푸란 (4 ㎖) 중의 중간체 4l (180 ㎎, 0.84 mmol)의 용액을 넣었다. 이어서 수소화나트륨 (60 중량%, 140 ㎎, 3.50 mmol)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0℃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30 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추가의 30 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하도록 하였다. 이에 0℃에서 교반하면서 벤질 브로마이드 (452 ㎎, 2.62 mmol)를 적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추가의 3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하도록 하였다. 그 후, 반응은 30 ㎖의 염화암모늄(aq)을 첨가하여 켄칭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50 ㎖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위에서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1:30-1:20)와 함께 가하였다. 이는 중간체 4m을 생성하였다.
Figure 112020049088375-pat00075
중간체 4n - ( 2R,3R,4S,5R )-4-( 벤질옥시 )-5-( 벤질옥시메틸 )-5- 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2,3-디일 디아세테이트
1,000-㎖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중간체 4m (또한, (Biosci . Biotech. Biochem. 1993, 57, 1433-1438)에 의하여 생성됨, 45 g, 111.19 mmol), 아세트산 (270 ㎖), 아세트산 무수물 (90 ㎖), 황산 (45 d)을 넣었다. 생성된 용액을 30 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1,000 ㎖의 물/얼음을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3,000 ㎖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1,000 ㎖의 물 및 4×1,000 ㎖의 중탄산나트륨(aq)으로 세정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1,000 ㎖의 염화나트륨(aq)으로 세정하였다. 혼합물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위에서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1:30-1:20)와 함께 가하였다. 이는 중간체 4n을 생성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7.28-7.38 (m, 10H), 6.13 (s, 1H), 5.37 (d, J=4.8 Hz, 1H), 4.44-4.68 (m, 4H), 4.33 (d, J=5.1 Hz, 1H), 3.33-3.45 (m, 2H), 2.15 (s, 3H), 1.88 (s, 3H), 1.35 (s, 3H).
MS m/z=451 [M+Na]
Figure 112020049088375-pat00076
중간체 4o - ( 3R,4S,5R )-4-( 벤질옥시 )-5-( 벤질옥시메틸 )-3-히드록시-5- 메틸디히드로푸란 -2(3H)-온
중간체 4n (1.3 g, 3 mmol)을 무수 MeOH (15 ㎖) 중에 용해시켰다. 탄산칼륨 분말 (456 ㎎, 3.3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고,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하고, 아세토니트릴로 세정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물질을 무수 DCM (20 ㎖) 중에 용해시켰다. 테트라부틸암모늄 아이오딘 (1.66 g, 4.5 mmol) 및 N-아이오도-숙신이미드 (NIS, 1.69 g, 2.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암실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더 많은 NIS (0.85 g, 1.25 mmol)를 첨가하고,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더 많은 NIS (0.85 g, 1.25 mmol)를 첨가하고, 2 일 동안 암실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EtOAc로 희석하고, 티오황산나트륨 수용액으로 2회 세정한 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새정하였다. 유기 부분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컬럼 (헥산 중의 0-30% EtOAc)으로 정제하여 중간체 4o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35-7.22 (m, 10H), 4.82 (bs, 1H), 4.75-4.66 (m, 2H), 4.55-4.44 (m, 2H), 4.13 (d, J=8 Hz, 1H), 3.70-3.45 (m, 2H), 1.38 (s, 3H).
LC/MS: tR=2.58 min, MS m/z=342.9 [M+1], 360.0 [M+H2O]; LC/MS 시스템: 써모 LCQ 어드밴티지(Advantage); 페노메넥스 제미니(Phenomenex Gemini), C18, 5u, 110A, 30×4.6 ㎜; 완충액 A: 물 중의 0.1% 아세트산; 완충액 B: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아세트산
2.5 분 이내에 5-100% 완충액 B, 그 후 0.9 분 동안 2 ㎖/min으로 100%
HPLC: tR=3.78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페노메넥스 제미니, C18, 5u, 110A, 50×4.6 ㎜; 완충액 A: 물 중의 0.05% TFA; 완충액 B: 아세토니트릴 중의 0.05% TFA; 5 분 이내에 2 ㎖/min으로 2-98% 완충액 B.
Figure 112020049088375-pat00077
중간체 4p - ( 3R,4S,5R )-3,4- 비스 ( 벤질옥시 )-5-( 벤질옥시메틸 )-5- 메틸디히드로푸란 -2(3H)-온
중간체 4o (955 ㎎, 2.79 mmol)를 EtOAc (10 ㎖) 중에 용해시켰다. 벤질 브로마이드 (400 ㎕, 3.35 mmol) 및 산화은(I) (712 ㎎, 3.07 mmol)을 첨가하였다. 60℃에서 N2(g) 하에서 암실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더 많은 벤질 브로마이드 (400 ㎕, 3.35 mmol)를 첨가하고, 60℃에서 N2(g) 하에서 암실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더 많은 산화은(I) (350 ㎎, 1.5 mmol)을 첨가하고, 60℃에서 N2(g) 하에서 암실에서 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고체를 여과하고, EtOAc로 세정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오일을 얻었다. 헥산을 첨가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고체를 얻었다. 고체를 수집하고, 헥산으로 세정하였다. 고체를 고 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중간체 4p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35-7.16 (m, 15H), 5.03 (d, J=12 Hz, 1H), 4.79-4.71 (m, 2H), 4.52-4.40 (m, 4H), 4.06 (d, J=6 Hz, 1H), 3.49-3.39 (m, 2H), 1.38 (s, 3H).
LC/MS: tR=2.91 min, MS m/z=433.1 [M+1], 450.1 [M+H2O]; LC/MS 시스템: 써모 LCQ 어드밴티지; 페노메넥스 제미니, C18, 5u, 110A, 30×4.6 ㎜; 완충액 A: 물 중의 0.1% 아세트산; 완충액 B: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아세트산; 2.5 분 이내에 5-100% 완충액 B에 이어서 0.9 분 동안 2 ㎖/min으로 100%.
HPLC: tR=4.54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페노메넥스 제미니, C18, 5u, 110A, 50×4.6 ㎜; 완충액 A: 물 중의 0.05% TFA; 완충액 B: 아세토니트릴 중의 0.05% TFA
5 분 이내에 2 ㎖/min으로 2-98% 완충액 B.
Figure 112020049088375-pat00078
중간체 4q - ( 3R,4S,5R )-2-(4- 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 -7-일)-3,4-비스(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올
중간체 1b (148 ㎎, 0.570 mmol) 및 1,2-비스(클로로디메틸실릴)에탄 (123 ㎎, 0.570 mmol)을 무수 THF (20 ㎖) 중에 용해시키고, Ar(g) 하에서 -70℃에서 교반하였다. 내부 온도를 -65℃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n-부틸리튬 (헥산 중의 2.5M 용액, 684 ㎕, 1.71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반응이 -40℃로 가온되도록 하고, 15 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 후, -70℃로 사전냉각된 THF (10 ㎖) 중의 중간체 4p (224 ㎎, 0.518 mmol)의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Ar(g) 하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 시간 동안 -40℃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EtOAc 및 구연산(aq)의 교반 중인 혼합물에 부었다.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포화 NaCl(aq)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중간체 4q를 얻었다.
LC/MS: tR=2.60 min, MS m/z=567.3 [M+1], 565.1 [M-1]; LC/MS 시스템: 써모 LCQ 어드밴티지; 페노메넥스 제미니, C18, 5u, 110A, 30×4.6 ㎜; 완충액 A: 물 중의 0.1% 아세트산; 완충액 B: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아세트산; 2.5 분 이내에 5-100% 완충액 B에 이어서 0.9 분 동안 2 ㎖/min으로 100%.
HPLC: tR=3.22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페노메넥스 제미니, C18, 5u, 110A, 50×4.6 ㎜; 완충액 A: 물 중의 0.05% TFA; 완충액 B: 아세토니트릴 중의 0.05% TFA; 5 분 이내에 2 ㎖/min으로 2-98% 완충액 B.
Figure 112020049088375-pat00079
중간체 4r - 7- ((2S,3S,4S,5R)-3,4-비스 ( 벤질옥시 )-5-( 벤질옥시메틸 )-5- 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아민
중간체 4q (81 ㎎, 0.143 mmol)를 무수 DCM (15 ㎖) 중에 용해시키고, N2(g) 하에서 얼음 배쓰 내에서 교반하였다. 트리에틸실란 (114 ㎕, 0.715 mmol)을 한번에 첨가하였다. 삼불소화붕소 디에틸 에테레이트 (27 ㎕, 0.215 mmol)를 적가하였다. 15 분 동안 교반한 후, 얼음 배쓰를 제거하였다. 60 분 동안 교반하였다. 트리에틸아민 (100 ㎕, 0.715 mmol)을 첨가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EtOAc 중에 용해시키고, 포화 NaHCO3 (aq) (2×)로 세정한 후, NaCl(aq)로 포화시켰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컬럼 (헥산 중의 0-80% EtOAc)으로 정제하여 중간체 4r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1 (s, 1H), 7.35-7.10 (m, 16H), 6.82-6.78 (m, 1H), 5.57 (d, J=4.4 Hz, 1H), 4.70-4.45 (m, 6H), 4.25-4.15 (m, 2H), 3.55-3.40 (m, 2H), 1.42 (s, 3H).
LC/MS: tR=2.75 min, MS m/z=551.4 [M+1]; LC/MS 시스템: 써모 LCQ 어드밴티지
페노메넥스 제미니, C18, 5u, 110A, 30×4.6 ㎜; 완충액 A: 물 중의 0.1% 아세트산; 완충액 B: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아세트산; 2.5 분 이내에 5-100% 완충액 B에 이어서 0.9 분 동안 2 ㎖/min으로 100%.
HPLC: tR=3.57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페노메넥스 제미니, C18, 5u, 110A, 50×4.6 ㎜; 완충액 A: 물 중의 0.05% TFA; 완충액 B: 아세토니트릴 중의 0.05% TFA; 5 분 이내에 2 ㎖/min으로 2-98% 완충액 B.
Figure 112020049088375-pat00080
실시예 4
( 2R,3S,4R,5S )-5-(4- 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 -7-일)-2-( 히드록시메틸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4-디올
중간체 4r (23 ㎎, 0.042 mmol)을 포름산/MeOH 용액 (1:9, 10 ㎖) 중에 용해시켰다. 팔라듐 블랙을 첨가하고, 60℃에서 9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셀라이트(Celite)를 통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분취용 HPLC로 정제하였다.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NaHCO3(aq) 중에 용해시키고, HPLC로 중성 조건 하에서 정제하여 실시예 4를 얻었다.
분취용 HPLC 시스템: 길슨(Gilson) 215 분주기; 페노메넥스 제미니, C18 4u, 100×30.0 ㎜
완충액 A: 물 중의 0.1% TFA; 완충액 B: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TFA; 13 분 이내에 20 ㎖/min으로 5-100% 완충액 B.
1H NMR (400 MHz, CDCl3): δ 8.01 (s, 1H), 7.41 (d, J=4.8 Hz, 1H), 7.02 (d, J=4.8 Hz, 1H), 5.33 (d, J=8 Hz, 1H), 4.53-4.49 (m, 1H), 4.15 (d, J=5.6 Hz, 1H), 3.50 (m, 2H), 1.27 (s, 3H).
LC/MS: tR=0.30 min, MS m/z=281.3 [M+1], 279.0 [M-1]; LC/MS 시스템: 써모 LCQ 어드밴티지; 페노메넥스 제미니, C18, 5u, 110A, 30×4.6 ㎜; 완충액 A: 물 중의 0.1% 아세트산; 완충액 B: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아세트산; 2.5 분 이내에 5-100% 완충액 B에 이어서 0.9 분 동안 2 ㎖/min으로 100%.
HPLC: tR=0.42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페노메넥스 제미니, C18, 5u, 110A, 50×4.6 ㎜; 완충액 A: 물 중의 0.05% TFA; 완충액 B: 아세토니트릴 중의 0.05% TFA; 5 분 이내에 2 ㎖/min으로 2-98% 완충액 B.
Figure 112020049088375-pat00081
중간체 5a - N-(7-((2S,3S,4S,5R)-5-아지도-3,4-비스(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5-((트리메틸실릴옥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디클로로메탄 (1.5 ㎖) 중의 미정제 중간체 1m, N-(7-((2S,3S,4S)-3,4-비스(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5-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110 ㎎, ~0.18 mmol) 및 아지도트리메틸실란 (242 ㎕, 1.84 mmol)의 용액에 브롬화인듐 (III) (130 ㎎, 0.369 mmol)을 실온에서 아르곤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1 ㎖)으로 켄칭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20 ㎖) 및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20 ㎖) 사이에 분배시켰다. 상이 분할되고, 수성층을 디클로로메탄 (20 ㎖)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중간체 5a를 얻고, 이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그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LC/MS: tR=3.52 min, MS m/z=712.16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55 min 100% ACN, 3.55 min-4.2 min 100%-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82
중간체 5b - N-(7- ((2S,3R,4S,5R) -5- 아지도 -3,4-디히드록시-5-( 히드록시메틸 )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DMF (5 ㎖) 중의 미정제 중간체 5a (~120 ㎎, ~0.168 mmol)의 용액에 불소화세슘 (256 ㎎, 1.68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25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염수 (100 ㎖)로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100 ㎖)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중간체 5b를 얻고, 이를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그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LC/MS: tR=1.40 min, MS m/z=412.17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HPLC: tR=2.46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83
실시예 5
( 2R,3S,4R,5S )-5-(4- 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 -7-일)-2- 아지도 -2-(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4-디올
진한 수산화암모늄 (1 ㎖)을 메탄올 (1 ㎖) 중의 미정제 중간체 5b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2 일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분취용 HPLC (페노미넥스 시너지(Phenominex Synergi) 4u 히드로(Hydro)-RR 80Å 150×30 ㎜ 컬럼, 5-100% 아세토니트릴/물 구배)에 의하여 직접 정제하였다. 원하는 물질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4 g SiO2 콤비플래쉬 HP 골드 컬럼, 0-20% 메탄올/디클로로메탄)에 의하여 재정제하여 실시예 5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 δ 7.79 (s, 1H), 6.86 (d, J=4.5 Hz, 1H), 6.77 (d, J=4.5 Hz, 1H), 5.51 (d, J=6.0 Hz, 1H), 4.63 (t, J=5.8 Hz, 1H), 4.37 (d, J=5.7 Hz, 1H), 3.69 (d, J=12.0 Hz, 1H), 3.59 (d, J=12.0 Hz, 1H).
LC/MS: tR=0.76 min, MS m/z=308.08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1.5 min 2-100% ACN, 1.5 min-2.2 min 100% ACN, 2.2 min-2.4 min 100%-2% ACN, 2.4 min-2.5 min 2% ACN.
HPLC: tR=1.287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TLC: 용리제: 디클로로메탄 중의 20% 메탄올, Rf=0.4 (UV)
Figure 112020049088375-pat00084
실시예 6 ( 또한 TP -1로서 지칭함) - ((2R,3R,4R,5S)-5-(4-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7-일)-2-시아노-4-플루오로-3-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테트라히드로겐 트리포스페이트
실시예 3 (15.0 ㎎, 0.05 mmol)을 플라스크 내에서 진공 하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5 ㎖) 및 1,8-비스(디메틸아미노)나프탈렌 (25 ㎎, 0.12 mmol)을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용액을 얼음/물 배쓰에 의하여 냉각된 N2 하에서 교반하였다. 증류된 옥시염화인 (10 ㎕, 0.11 mmol)을 첨가하고, 반응을 냉각하면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트리부틸아민 (0.1 ㎖, 0.42 mmol) 및 트리부틸암모늄 피로포스페이트 (DMF 중의 0.5 M 용액 0.8 ㎖, 0.4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냉각하면서 추가의 45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트리에틸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 (0.5 M, 5 ㎖)로 켄칭시켰다. 용매를 회전 증발에 의하여 제거하고, 잔존하는 미정제 혼합물을 2 ㎖의 물 중에 용해시켰다. 생성물을 세파덱스(Sephadex) DEAE A-25 컬럼을 사용하여 0-1 M 트리에틸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의 선형 구배로 정제하였다. 생성물 함유 분획을 푸울링시키고, 농축시켜 실시예 6 (TP1)을 얻고, 이를 1 ㎖의 물 중에 용해시켜 10 mM 용액을 얻었다.
MS m/z=532.0 [M-1]
이온 교환 HPLC 체류 시간: 12.015 min; 컬럼: DNAPac PA-100 4×250 ㎜ SN
용매 A: 밀리큐(milliQ) 물; 용매 B: 0.5 M 테트라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 용매 구배 프로그램: 100% A를 사용하여 10 분 동안 평형화시킨 후, 14 분에 걸쳐 램프 0-80% B; 유속: 1 ㎖/mi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85
실시예 7 ( 또한 TP2 ) - (( 2R,3R,4R,5S )-5-(4- 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 -7-일)-2-에티닐-4-플루오로-3-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테트라히드로겐 트리포스페이트
실시예 2 (16.0 ㎎, 0.055 mmol)를 플라스크 내에서 진공 하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5 ㎖) 및 1,8-비스(디메틸아미노)나프탈렌 (28 ㎎, 0.13 mmol)을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용액을 얼음/물 배쓰에 의하여 냉각된 N2 하에서 교반하였다. 증류된 옥시염화인 (11 ㎕, 0.12 mmol)을 첨가하고, 반응을 4 시간 동안 냉각하면서 교반하였다. 트리부틸아민 (0.11 ㎖, 0.42 mmol) 및 트리부틸암모늄 피로포스페이트 (DMF 중의 0.5 M 용액 0.9 ㎖, 0.45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냉각하면서 추가의 45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트리에틸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 (0.5 M, 5 ㎖)로 켄칭시켰다. 용매를 회전 증발에 의하여 제거하고, 잔존하는 미정제 혼합물을 2 ㎖의 물 중에 용해시켰다. 생성물을 0-1 M 트리에틸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의 선형 구배를 갖는 세파덱스 DEAE A-25 컬럼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생성물 함유 분획을 푸울링시키고, 농축시켜 실시예 7 (TP2)을 얻은 후, 이를 1.4 ㎖의 물 중에 용해시켜 10 mM 용액을 얻었다.
MS m/z=531.0 [M-1]
이온 교환 HPLC 체류 시간: 19.829 min; 컬럼: DNAPac PA-100 4×250 ㎜ SN
용매 A: 밀리큐 물; 용매 B: 0.5 M 테트라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 용매 구배 프로그램: 100% A를 사용하여 10 분 동안 평형화시킨 후, 14 분에 걸쳐 0-80% B로 상승시켰다; 유속: 1 ㎖/mi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86
실시예 8 (TP3) - (( 2R,3S,4R,5S )-5-(4- 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 -7-일)-2-시아노-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테트라히드로겐 트리포스페이트
PO(OMe)3 (0.6 ㎖) 중의 실시예 1 (5.0 ㎎, 0.017 mmol)의 용액에 0℃에서 POCl3 (45 ㎎, 0.2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0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 때 이온-교환 HPLC는 대략 50% 전환율을 나타냈다. ACN (0.6 ㎖) 중의 피로포스페이트 트리부틸아민 염 (250 ㎎)의 용액을 첨가한 후, 트리부틸아민 (110 ㎎, 0.5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0.5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온-교환 HPLC는 반응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냈다. 반응을 트리에틸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 완충액 (1 M, 5 ㎖)으로 켄칭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0.5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농축시키고, 물과 함께 2회 동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H2O (5 ㎖) 중에 용해시키고, H2O에 이어서 5-35% 트리에틸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 완충액 (1 M)-H2O로 용출시키는 이온-교환 컬럼에 부었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농축시키고, H2O와 함께 동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이온-교환 컬럼에 의하여 다시 정제하여 미정제 물질을 얻었다. 31P NMR은 이러한 물질이 불순물을 함유하였으며, 그래서 이 물질은 0.05% TEA를 함유하는 0-15% ACN-H2O로 용출시키는 C-18 컬럼으로 재정제하고, 생성물 함유 분획을 합하고, 농축시켜 1H NMR 분석에 의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1.5 당량의 TEA만을 함유하는 3.6 ㎎ 물질을 얻었다는 것을 나타냈다. 물질을 H2O (1 ㎖) 중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 완충액 (1 M, 0.1 ㎖)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H2O와 함께 감압 하에서 2회 동시 증발시켜 실시예 8 (TP3)을 테트라-TEA 염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7.78 (s, 1H), 6.85 (d, J=2.4 Hz, 1H), 6.82 (d, J=2.4 Hz, 1H), 5.51 (d, J=3.0 Hz, 1H), 4.65-4.55 (m, 2H), 4.20-4.08 (m, 2H), 3.15-3.00 (m, 24H), 1.18-1.08 (m, 36H).
31P NMR (162 MHz, D2O): δ -6.25 (d, J=52 Hz), -12.21 (d, J=52 Hz), -22.32 (t, J=52 Hz).
MS m/z=530.2 [M-1], 532.1 [M+1]
Figure 112020049088375-pat00087
실시예 9 (TP4) - (( 2R,3S,4R,5S )-5-(4- 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2-아지도-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테트라히드로겐 트리포스페이트
PO(OMe)3 (0.6 ㎖) 중의 실시예 5 (6.0 ㎎, 0.019 mmol)의 용액에 0℃에서 POCl3 (45 ㎎, 0.2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0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때 이온-교환 HPLC는 약 50% 전환율을 나타냈다. ACN (0.6 ㎖) 중의 피로포스페이트 트리부틸아민 염 (250 ㎎)의 용액에 이어서 트리부틸아민 (110 ㎎, 0.5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트리에틸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 완충액 (1 M, 5 ㎖)으로 켄칭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0.5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농축시키고, 물과 함께 2회 동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H2O (5 ㎖) 중에 용해시키고, 이온-교환 컬럼에 붓고, H2O에 이어서 5-35% 트리에틸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 완충액 (1 M)-H2O로 용출시켰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농축시키고, H2O와 함께 동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이온-교환 컬럼에 의하여 다시 정제하여 미정제 물질을 얻었다. 31P NMR은 이러한 물질이 불순물을 함유하였으며, 그래서 물질이 이온-교환 컬럼으로 다시 재정제하여 미정제 물질을 얻었다는 것을 나타냈다. 물질을 NaHCO3 (10 ㎎)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고체 잔류물을 0.5 ㎖의 H2O 중에 용해시키고, 40 ㎕의 NaOH (1N)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H2O로 용출시키는 C-18 컬럼으로 정제하고, 생성물 함유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실시예 9 (TP4)를 테트라-나트륨 염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7.76 (s, 1H), 6.88 (d, J=4.3 Hz, 1H), 6.81 (d, J=4.6 Hz, 1H), 5.59 (d, J=5.5 Hz, 1H), 4.60 (t, J=5.6 Hz, 1H), 4.55 (d, J=5.8 Hz, 1H), 3.99 (qd, J=11.2, 5.5 Hz, 3H).
31P NMR (162 MHz, D2O): δ -8.13 (d, J=19.8 Hz), -14.04 (d, J=18.9 Hz), -24.00 (t, J=19.3 Hz).
MS m/z=546.1 [M-1], 547.9 [M+1]
Figure 112020049088375-pat00088
중간체 PD1a - S-2- 히드록시에틸 2,2- 디메틸프로판티오에이트
-78℃로 냉각시킨 CH2Cl2 중의 2-티오에탄올 (3.50 ㎖, 50.0 mmol) 및 트리에틸아민 (7.02 ㎖, 50.0 mmol)의 용액에 피발로일 클로라이드 (6.15 ㎖, 50.0 mmol)를 30 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을 서서히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고, 진행을 TLC에 의하여 모니터하였다. 30 분 후, 반응은 완료된 것으로 결정되었으며, 물로 켄칭시켰다. 층이 분리되고, 수성상을 CH2Cl2로 세정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켰다. 고체를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미정제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0-50% EtOAc/헥산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PD1a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4.89 (t, J=5.5 Hz, 1H), 3.49-3.36 (m, 2H), 2.86 (t, J=6.7 Hz, 2H), 1.14 (s, 9H).
Figure 112020049088375-pat00089
옥시염화인 (281 ㎕, 3.08 mmol)을 CH2Cl2 (5 ㎖) 중에서 취하고,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티오에스테르 PD1a (1.00 g, 6.17 mmol)를 CH2Cl2 (5 ㎖) 중에서 취하고, POCl3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그 다음, TEA (891 ㎕, 6.16 mmol)를 적가하고, 30 분 동안 저온 상태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p-니트로페놀 (428 ㎎, 3.08 mmol)을 한번에 첨가한 후, TEA (449 ㎕, 3.08 mmol)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TLC (70:30 헥산/EtOAC)는 단 하나의 스폿을 나타냈으나, LC/MS는 2개의 피크 (생성물 및 비스-p-니트로페놀레이트)를 가졌다. 용액을 에테르로 희석하고,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제거하고, 버렸다. 모액을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여 생성물 및 비스-p-니트로페놀레이트의 혼합물을 얻었다. 그 후, 혼합물을 HPLC에 의하여 재정제하여 중간체 PD1b, S,S'-2,2'-((4-니트로펜옥시)포스포릴)비스(옥시)비스(에탄-2,1-디일)비스(2,2-디메틸프로판티오에이트)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29-8.21 (m, 2H), 7.46-7.36 (m, 2H), 4.23 (br q, J=7.7 Hz, 4H), 3.16 (br t, J=6.7 Hz, 4H), 1.23 (s, 18H).
31P NMR (162 MHz, CDCl3) δ -7.72 (s).
Figure 112020049088375-pat00090
실시예 10 ( 또한 PD1로 지칭됨) - S,S'-2,2'-((((2R,3S,4R,5S)-5-(4-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7-일)-2-시아노-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톡시)포스포릴)비스(옥시)비스(에탄-2,1-디일)비스(2,2-디메틸프로판티오에이트)
실시예 1 (6.0 ㎎, 0.02 mmol)을 NMP (0.1 ㎖) 중에 용해시키고, THF (0.2 ㎖)를 첨가하였다. 그 후, tert-부틸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THF 중의 1.0 M 용액, 0.031 ㎖, 0.031 mmol)를 실온에서 아르곤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10 분 후, THF (0.1 ㎖) 중의 중간체 PD1b (15.7 ㎎, 0.031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50℃로 가온시켰다. 5 시간 후, 생성된 잔류물을 분취용 HPLC (페노미넥스 시너지 4u 히드로-RR 80Å 150×30 ㎜ 컬럼, 40-100% 아세토니트릴/물 구배)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동결건조시켜 실시예 10 (PD1)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2 (s, 1H), 6.69 (d, J=4.5 Hz, 1H), 6.64 (d, J=4.5 Hz, 1H), 5.56 (d, J=3.4 Hz, 1H), 4.61 (br s, 2H), 4.45-4.32 (m, 2H), 4.22-4.06 (m, 4H), 3.13 (dt, J=11.7, 6.7 Hz, 4H), 1.23 (s, 9H), 1.21 (s, 9H).
31P NMR (162 MHz, CDCl3) δ -2.34 (s).
LC/MS: tR=1.70 min, MS m/z=660.02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HPLC: tR=3.204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91
실시예 11 (PD2) - S,S'-2,2'-((((2R,3R,4R,5S)-5-(4-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7-일)-2-시아노-4-플루오로-3-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톡시)포스포릴)비스(옥시)비스(에탄-2,1-디일)비스(2,2-디메틸프로판티오에이트)
실시예 3 (10.5 ㎎, 0.036 mmol)을 NMP (0.1 ㎖) 중에 용해시키고, THF (0.1 ㎖)를 첨가하였다. 그 후, tert-부틸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THF 중의 1.0 M 용액, 0.054 ㎖, 0.054 mmol)를 실온에서 아르곤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10 분 후, THF (0.1 ㎖) 중의 중간체 PD1b (27.3 ㎎, 0.054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50℃로 가온시켰다. 24 시간 후, 생성된 잔류물을 분취용 HPLC (페노미넥스 시너지 4u 히드로-RR 80Å 150×30 ㎜ 컬럼, 40-100% 아세토니트릴/물 구배)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동결건조시켜 실시예 11 (PD2)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94 (s, 1H), 6.75 (d, J=4.5 Hz, 1H), 6.67 (d, J=4.5 Hz, 1H), 5.77 (dd, J=27.8, 1.4 Hz, 1H), 5.43 (ddd, J=55.2, 4.9, 1.3 Hz, 1H), 4.93 (dd, J=21.2, 4.9 Hz, 1H), 4.49 (dd, J=11.3, 7.8 Hz, 1H), 4.40 (dd, J=11.3, 7.8 Hz, 1H), 4.10 (ddt, J=15.9, 8.0, 6.7 Hz, 4H), 3.16-3.04 (m, 4H), 1.23 (s, 9H), 1.21 (s, 9H).
31P NMR (162 MHz, CDCl3) δ -2.10 (s).
19F NMR (376 MHz, CDCl3) δ -191.64 (ddd, J=55.0, 27.8, 21.3 Hz).
LC/MS: tR=1.85 min, MS m/z=662.03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HPLC: tR=3.385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92
중간체 PD3c - (2S)-2- 에틸부틸 2-((4- 니트로펜옥시 )( 펜옥시 ) 포스포릴아미노 )프로파노에이트
페닐 디클로로포스페이트 PD3a (1.5 ㎖, 10 mmol)를 30 ㎖ 무수 DCM 중에 용해시키고, N2(g) 하에서 얼음 배쓰 내에서 교반하였다. 아미노 에스테르 HCl 염 PD3b, (S)-2-에틸부틸 2-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 염산염 (Eur . J. Med . Chem . 2009, 44, 3765-3770에 의하여 생성됨, 2.1 g, 10 mmol)을 한번에 첨가하였다. TEA (3 ㎖, 22 mmol)를 적가하였다. 1 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p-니트로페놀 (1.4 g, 10 mmol)을 한번에 및 TEA (1.5 ㎖, 11 mmol)를 첨가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CM으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aq)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컬럼 (헥산 중의 0-15% EtOAc)으로 정제하여 중간체 PD3c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23 (d, J=8.8 Hz, 2H), 7.41-7.30 (m, 4H), 7.25-7.19 (m, 3H), 4.10-4.00 (m, 3H), 3.90-3.83 (m, 1H), 1.55-1.45 (m, 1H), 1.42-1.31 (m, 7H), 0.87 (t, J=7.2 Hz, 6H).
31P NMR (162 MHz, CDCl3) δ -3.04 (s), -3.10 (s).
LC/MS: tR=2.87 min, MS m/z=451.1 [M+1], 449.0 [M-1]; LC/MS 시스템: 써모 LCQ 어드밴티지; 페노메넥스 제미니, C18, 5u, 110A, 30×4.6 ㎜; 완충액 A: 물 중의 0.1% 아세트산; 완충액 B: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아세트산; 2 ㎖/min으로 2.5 분 이내에 5-100% 완충액 B에 이어서 0.9 분 동안 100%.
HPLC: tR=4.40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페노메넥스 제미니, C18, 5u, 110A, 50×4.6 ㎜; 완충액 A: 물 중의 0.05% TFA; 완충액 B: 아세토니트릴 중의 0.05% TFA; 5 분 이내에 2 ㎖/min으로 2-98% 완충액 B.
Figure 112020049088375-pat00093
실시예 12 (PD3) - (2S)-2- 에틸부틸 2-((((2R,3R,4R,5S)-5-(4-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7-일)-2-시아노-4-플루오로-3-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톡시)(펜옥시)포스포릴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
실시예 3 (15 ㎎, 0.051 mmol)을 무수 DMF (1 ㎖) 중에 용해시키고, N2(g) 하에 교반하였다. p-니트로페닐포스포아미데이트 PD3c (35 ㎎, 0.077 mmol)를 무수 DMF (0.5 ㎖) 중에 용해시키고, 반응 혼합물에 한번에 첨가한다. THF 중의 tBuMgCl (THF 중의 1M, 77 ㎕, 0.077 mmol)을 적가하였다.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더 많은 p-니트로페닐포스포아미데이트 (0.5 ㎖ 무수 DMF 중의 35 ㎎) 및 더 많은 tBuMgCl (THF 중의 1 M, 50 ㎕, 0.050 mmol)을 첨가하였다.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더 많은 p-니트로페닐포스포아미데이트 (0.5 ㎖ 무수 DMF 중의 35 ㎎) 및 더 많은 tBuMgCl 용액 (THF 중의 1 M, 50 ㎕, 0.050 mmol)을 첨가하였다.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EtOAc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aq)로 세정하였다 (3×). 포화 NaCl(aq)로 세정하고, 유기층을 무수 Na2SO4 위에서 건조시켰다.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컬럼 (DCM 중의 0-5% MeOH)으로 정제하였다.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변형제로서 TFA를 사용하는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실시예 12 (PD3)를 얻었다.
분취용 HPLC 시스템: 길슨 215 분주기; 페노메넥스 제미니, C18 4u, 100×30.0 ㎜
완충액 A: 물 중의 0.1% TFA; 완충액 B: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TFA; 13 분 이내에 20 ㎖/min으로 5-100% 완충액 B.
1H NMR (400 MHz, CDCl3) δ 7.89 (s, 1H), 7.31-7.13 (m, 6H), 6.80-6.75 (m, 1H), 5.80-5.70 (m, 1H), 5.35-5.20 (m, 1H), 4.80-4.62 (m, 1H), 4.60-4.45 (m, 2H), 4.35-4.10 (m, 1H), 4.06-3.96 (m, 3H), 1.49-1.28 (m, 8H), 0.90-0.82 (m, 6H).
31P NMR (162 MHz, CDCl3) δ 2.36 (s), 2.22 (s).
HPLC: tR=3.00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페노메넥스 제미니, C18, 5u, 110A, 50×4.6 ㎜; 완충액 A: 물 중의 0.05% TFA; 완충액 B: 아세토니트릴 중의 0.05% TFA; 5 분 이내에 2 ㎖/min으로 2-98% 완충액 B.
LC/MS: tR=2.39 min, MS m/z=605.1 [M+1], 603.0 [M-1]; LC/MS 시스템: 써모 LCQ 어드밴티지; 페노메넥스 제미니, C18, 5u, 110A, 30×4.6 ㎜; 완충액 A: 물 중의 0.1% 아세트산; 완충액 B: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아세트산; 2.5 분 이내에 5-100% 완충액 B에 이어서 0.9 분 동안 2 ㎖/min으로 100%.
Figure 112020049088375-pat00094
중간체 6a - N-(7-((2S,3S,4R,5R)-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5-((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3-플루오로-5-비닐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중간체 2g, N-(7-((2S,3S,4R,5R)-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5-((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3-플루오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1,2-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220 ㎎, 0.35 mmol)를 5 ㎖의 무수 DMSO 중에 용해시키고, N2(g) 하에서 교반하였다. EDCl (100 ㎎, 0.52 mmol)에 이어서 TFA-피리딘 (34 ㎎, 0.18 mmol)을 첨가하였다.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더 많은 EDCl (100 ㎎, 0.52 mmol)을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에 의한 모니터링은 출발 물질 알콜이 잔존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더 많은 EDCl (100 ㎎, 0.52 mmol)을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에 의한 모니터링은 반응이 완전 전환에 도달하였다는 것을 나타냈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aq)로 세정하고 (2×), 그 후 포화 NaCl(aq)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컬럼 (헥산 중의 0-20% EtOAc)으로 정제하였다.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알데히드를 고체로서 얻었다. 메틸 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500 ㎎, 1.40 mmol)를 10 ㎖ 무수 THF 중에 현탁시키고, -78℃에서 Ar(g) 하에서 교반하였다. 헥산 중의 2.5 M n-부틸리튬 용액 (560 ㎕, 1.40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 배쓰 내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황색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 생성된 알데히드를 5 ㎖의 무수 THF 중에 용해시키고, 반응에 적가하였다. 얼음 배쓰를 제거하고, 반응이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3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포화 NH4Cl 수용액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포화 NaHCO3(aq)로 세정한 후, 포화 NaCl(aq)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컬럼 (헥산 중의 0-20% EtOAc)으로 정제하여 중간체 6a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2 (br s, 1H), 8.03 (br s, 2H), 7.58 (dt, J=40.4, 7.4 Hz, 3H), 7.12 (d, J=4.7 Hz, 1H), 6.97 (s, 1H), 6.01 (dd, J=17.5, 10.9 Hz, 1H), 5.58 (d, J=22.8 Hz, 1H), 5.46 (dd, J=17.5, 2.1 Hz, 1H), 5.25 (dd, J=11.0, 2.0 Hz, 1H), 5.14 (ddd, J=55.4, 4.9, 2.7 Hz, 1H), 4.61 (dd, J=20.8, 4.8 Hz, 1H), 3.63-3.40 (m, 2H), 0.89 (s, 9H), 0.84 (s, 9H), 0.09 (d, J=8.4 Hz, 6H), 0.00 (d, J=14.1 Hz, 6H).
19F NMR (376 MHz, DMSO-d6) δ -191.86 (d, J=56.8 Hz).
MS m/z=627.3 [M+1].
Figure 112020049088375-pat00095
실시예 13 - ( 2R,3R,4R,5S )-5-(4- 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 -7-일)-4-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2-비닐테트라히드로푸란-3-올
중간체 6a (146 ㎎, 0.23 mmol)를 THF (10 ㎖) 중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얼음 배쓰 내에서 교반하였다. 1M TBAF 용액을 THF (700 ㎕, 0.70 mmol) 중에 용해시키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EtOAc로 희석하고, 포화 NaCl(aq)로 세정하였다 (5×). 유기층을 무수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7 M 암모니아를 MeOH (7 ㎖) 중에 용해시키고,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변형제로서 TFA를 사용하여 C18 분취용 HPLC로 정제하였다.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NaHCO3(aq) 중에 용해시키고, 분취용 HPLC로 중성 조건 하에서 재정제시켰다. 분획을 합하고, 동결-건조시켜 실시예 13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7.54 (s, 1H), 6.62-6.49 (m, 2H), 5.98-5.79 (m, 1H), 5.55-5.36 (m, 2H), 5.31 (d, J=11.1 Hz, 1H), 5.11 (ddd, J=54.8, 5.2, 2.9 Hz, 1H), 4.42 (dd, J=20.6, 4.8 Hz, 1H), 3.62-3.43 (m, 2H).
19F NMR (376 MHz, D2O) δ -193.23 (dd, J=54.7, 44.2 Hz).
MS m/z=295.2 [M+1]
Figure 112020049088375-pat00096
실시예 14 - ( 2R,3R,4R,5S )-5-(4- 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 -7-일)-2-에틸-4-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올
실시예 13 (5 ㎎, 0.017 mmol)을 메탄올 (2 ㎖) 중에 용해시켰다. 그 후, 10% Pd/C 데구싸(Degussa) 촉매 (2 ㎎)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수소 기체의 대기 하에서 교반하였다. 40 분 후,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Pd/C를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물 중에 용해시키고, 동결건조시켜 실시예 14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7.67 (s, 1H), 6.79-6.55 (m, 2H), 5.54-5.12 (m, 2H), 4.46 (dd, J=15.1, 5.5 Hz, 1H), 3.65-3.44 (m, 2H), 1.89-1.44 (m, 2H), 0.84 (t, J=7.6 Hz, 3H).
19F NMR (376 MHz, D2O) δ -197.62 (ddd, J=54.5, 20.6, 15.0 Hz).
MS m/z=297.3 [M+1].
Figure 112020049088375-pat00097
실시예 15 (PD4) - S,S'-2,2'-((((2R,3R,4R,5S)-5-(4-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7-일)-4-플루오로-3-히드록시-2-비닐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톡시)포스포릴)비스(옥시)비스(에탄-2,1-디일)비스(2,2-디메틸프로판티오에이트)
실시예 13 (5 ㎎, 0.017 mmol)을 무수 DMF (0.5 ㎖)에 용해시켰다. p-니트로-페노네이트 (13 ㎎, 0.026 mmol)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THF 중의 1M t-부틸마그네슘 클로라이드 (25 ㎕, 0.026 mmol)를 적가하였다.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50℃로 가온시키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더 많은 p-니트로-페노네이트 (13 ㎎, 0.026 mmol)를 첨가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HF 중의 더 많은 1M t-부틸마그네슘 클로라이드 (25 ㎕, 0.026 mmol)를 첨가하고, 16 시간 동안 50℃에서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물 중의 선형 구배 0-100% ACN으로 용출시키는 분취용 HPLC의 컬럼에 의하여 직접 정제하여 실시예 15 (PD4)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 δ 7.84 (s, 1H), 6.92 (d, J=4.5 Hz, 1H), 6.80 (d, J=4.5 Hz, 1H), 6.10 (dd, J=17.4, 10.9 Hz, 1H), 5.67 (dd, J=5.8, 1.9 Hz, 1H), 5.61 (s, 1H), 5.45-5.35 (m, 1H), 5.15 (ddd, J=55.6, 5.0, 2.2 Hz, 1H), 4.65 (dd, J=22.5, 5.1 Hz, 1H), 4.13 (dd, J=11.1, 5.2 Hz, 1H), 4.08-3.95 (m, 5H), 3.06 (dd, J=7.0, 6.1 Hz, 4H), 1.21 (s, 9H), 1.18 (s, 9H).
19F NMR (376 MHz, CD3OD) δ 192.99 (td, J=55.7, 23.6 Hz).
MS m/z=663.0 [M+1].
Figure 112020049088375-pat00098
실시예 16 (PD5) - (2S)-2- 에틸부틸 2-(((((2R,3S,4R,5S)-5-(4-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7-일)-2-아지도-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톡시)(펜옥시)포스포릴)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
실시예 5 (5 ㎎, 0.016 mmol)를 무수 N-메틸-2-피롤리돈 (0.2 ㎖) 중에 용해시키고, THF (0.1 ㎖)를 아르곤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그 후, tert-부틸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THF 중의 1 M, 24 ㎕, 0.024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백색 고체가 침전되었다. 5 분 후, THF (0.1 ㎖) 중의 p-니트로페닐포스포아미데이트 PD3c (15 ㎎, 0.032 mmol)의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한번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50℃로 가열하였다. 3.5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고,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p-니트로페닐포스포아미데이트 PD3c (50 ㎎, 0.111 mmol) 및 tert-부틸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THF 중의 1 M, 24 ㎕, 0.024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5 일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생성된 잔류물을 분취용 HPLC (페노미넥스 시너지 4u 히드로-RR 80Å 150×30 ㎜ 컬럼, 40-100% 아세토니트릴/물 구배)에 의하여 직접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동결건조시켜 실시예 16 (PD5) (2:1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8 (br s, 1H), 7.33-7.22 (br m, 2H), 7.22-7.10 (br m, 3H), 6.69 (br d, J=4.4 Hz, 1H), 6.61 (br d, J=4.5 Hz, 1H), 5.64-5.56 (m, 1H), 4.54 (d, J=6.3 Hz, 1H), 4.50-4.20 (m, 3H), 4.11-3.94 (m, 3H), 3.90-3.76 (m, 1H), 1.49 (s, J=6.2 Hz, 1H), 1.40-1.24 (m, 7H), 0.86 (t, J=7.4 Hz, 6H).
31P NMR (162 MHz, CDCl3) δ 2.68 (s), 2.56 (s).
LC/MS: tR=1.70 min, MS m/z=619.09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HPLC: tR=3.010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099
실시예 17 (TP5) - (( 2R,3R,4R,5S )-5-(4- 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4-플루오로-3-히드록시-2-비닐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테트라히드로겐 트리포스페이트
PO(OMe)3 (0.6 ㎖) 중의 실시예 13 (6.0 ㎎, 0.020 mmol)의 용액에 0℃에서 POCl3 (50 ㎎, 0.3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 때 이온-교환 HPLC는 약 90% 전환율을 나타냈다. ACN (0.6 ㎖) 중의 피로포스페이트 트리부틸아민 염 (250 ㎎)의 용액에 이어서 트리부틸아민 (110 ㎎, 0.5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트리에틸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 완충액 (1 M, 5 ㎖)으로 켄칭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0.5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농축시키고, 물과 함께 2회 동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H2O (5 ㎖) 중에 용해시키고, H2O에 이어서 5-35% 트리에틸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 완충액 (1 M)-H2O로 용출시키는 이온-교환 컬럼에 가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농축시키고, H2O와 함께 동시 증발시켰다. 고체 잔류물을 3 ㎖의 H2O 중에 용해시키고, 100 ㎕의 NaOH (1 N)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H2O로 용출시키는 C-18 컬럼으로 정제하고, 생성물 함유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실시예 17 (TP5)을 테트라-나트륨 염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7.74 (s, 1H), 6.89 (d, J=4.4 Hz, 1H), 6.81 (d, J=4.6 Hz, 1H), 6.00 (dd, J=17.4, 11.1 Hz, 1H), 5.72 (d, J=23.3 Hz, 1H), 5.49 (d, J=16.9 Hz, 1H), 5.32 (d, J=11.1 Hz, 1H), 5.14 (dd, J=54.0, 4.6 Hz, 1H), 4.72 (dd, J=23.7, 4.5 Hz, 1H), 4.09 (dd, J=11.3, 5.8 Hz, 1H), 3.79 (dd, J=11.6, 3.8 Hz, 1H).
31P NMR (162 MHz, D2O): δ -8.38 (d, J=20.5 Hz), -13.67 (d, J=19.3 Hz), -24.20 (t, J=19.9 Hz).
19F NMR (376 MHz, CDCl3) δ -194.58 (dt, J=55.0, 23.8 Hz).
MS m/z=533.0[M-1], 535.0 [M+1].
Figure 112020049088375-pat00100
실시예 18 (TP6) - (( 2R,3R,4R,5S )-5-(4- 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2-에틸-4-플루오로-3-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테트라히드로겐 트리포스페이트
PO(OMe)3 (0.6 ㎖) 중의 실시예 14 (5.0 ㎎, 0.017 mmol)의 용액에 0℃에서 POCl3 (45 ㎎, 0.3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 때 이온-교환 HPLC는 약 90% 전환율을 나타냈다. ACN (0.6 ㎖) 중의 피로포스페이트 트리부틸아민 염 (250 ㎎)의 용액에 이어서 트리부틸아민 (110 ㎎, 0.5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트리에틸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 완충액 (1 M, 5 ㎖)으로 켄칭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0.5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농축시키고, 물과 함께 2회 동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H2O (5 ㎖) 중에 용해시키고, H2O에 이어서 5-35% 트리에틸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 완충액 (1 M)-H2O으로 용출시키는 이온-교환 컬럼에 가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농축시키고, H2O와 함께 동시 증발시켰다. 고체 잔류물을 3 ㎖의 H2O 중에 용해시키고, 100 ㎕의 NaOH (1 N)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H2O로 용출시키는 C-18 컬럼으로 정제하고, 생성물 함유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18 (TP6)을 테트라-나트륨 염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7.73 (s, 1H), 6.86 (d, J=4.6 Hz, 1H), 6.80 (d, J=4.6 Hz, 1H), 5.60 (dd, J=21.9, 3.5 Hz, 1H), 5.23 (dt, J=55.2, 4.2 Hz, 1H), 4.65 (dd, J=20.6, 5.3 Hz, 1H), 4.08-3.84 (m, 3H), 1.83 (dq, J=14.4, 7.4, 6.9 Hz, 1H), 1.62 (dq, J=15.0, 7.5 Hz, 1H), 0.87 (t, J=7.5 Hz, 3H).
31P NMR (162 MHz, D2O): -5.72 (d, J=20.2 Hz), -10.81 (d, J=19.3 Hz), -21.60 (t, J=19.8 Hz).
19F NMR (376 MHz, CDCl3) δ -194.77 (dt, J=55.2, 21.2 Hz).
MS m/z=535.1[M-1], 536.9.0 [M+1].
Figure 112020049088375-pat00101
중간체 8a - N-(7- ((2S,3R,4R,5S) -3- 플루오로 -4-히드록시-5-( 아이오도메틸 )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2,1-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아르곤 퍼징된 플라스크에 DMF (2 ㎖) 중의 2b (68 ㎎, 0.183 mmol)에 이어서 메틸트리펜옥시포스포늄 아이오다이드 (124 ㎎, 0.27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5 분 동안 교반하고, 여기서 LCMS에 의하여 생성물로의 완전 전환이 관찰되었다. 반응을 메탄올로 켄칭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미정제 물질을 EtOAc 및 H2O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물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정하였다. 생성된 물질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20-100% EtOAc/헥산)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8a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17 (m, 3H), 7.63 (t, J=7.4 Hz, 1H), 7.53 (t, J=7.6 Hz, 2H), 7.17-6.96 (m, 2H), 5.74 (s, 1H), 5.60 (d, J=24.9 Hz, 1H), 5.19 (ddd, J=54.6, 4.5, 2.1 Hz, 1H), 4.09-3.92 (m, 1H), 3.72 (t, J=6.4 Hz, 1H), 3.63 (dd, J=11.0, 3.4 Hz, 1H), 3.44 (dd, J=11.0, 5.9 Hz, 1H).
19F NMR (376 MHz, DMSO-d6) δ -194.23 (m).
LC/MS: tR=1.13 min, MS m/z=483.23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02
중간체 8b - ( 3R,4R,5S )-5-(4- 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4-플루오로-2-메틸렌테트라히드로푸란-3-올
중간체 8a (80 ㎎, 0.166 mmol)를 THF 중에 용해시켰다. DBU (0.074 ㎖, 0.498 mmol)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그 후, 반응을 60℃로 오일 배쓰 내에서 16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0-70% EtOAc/Hex)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8b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4-8.05 (m, 3H), 7.63 (t, J=7.4 Hz, 1H), 7.53 (t, J=7.6 Hz, 2H), 7.13 (d, J=4.7 Hz, 1H), 6.85 (d, J=4.4 Hz, 1H), 5.97-5.82 (m, 2H), 5.39-5.13 (m, 1H), 4.89-4.69 (m, 1H), 4.38 (d, J=2.1 Hz, 1H), 4.16 (t, J=1.8 Hz, 1H).
19F NMR (376 MHz, DMSO-d6) δ -198.14 (ddd, J=53.9, 24.7, 20.9 Hz).
LC/MS: tR=1.05 min, MS m/z=355.15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03
중간체 8c - ( 2S,3R,4R,5S )-5-(4- 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2-아지도-4-플루오로-2-(아이오도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올
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55 ㎎, 0.296 mmol) 및 소듐 아지드 (19.3 ㎎, 0.296 mmol)를 ACN (1 ㎖) 중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 여과하고, 주사기에 의하여 THF (1 ㎖) 중의 중간체 8b (50 ㎎, 0.14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그 후, N-메틸모르폴린 (0.078 ㎖, 0.706 mmol)을 첨가한 후, THF (1 ㎖) 중의 아이오딘 (65 ㎎, 0.25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15 분 후, 기체 발생이 더 이상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N-아세틸 시스테인을 첨가하였다. 그 후, 용액이 담황색이 될 때까지 포화 수성 티오황산나트륨을 첨가하였다. 미정제 혼합물을 EtOAc 및 H2O 사이에 분배시켰다. 상이 분할되고, 유기층을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0-60% EtOAc/Hex)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8c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1-8.05 (m, 3H), 7.63 (t, J=7.5 Hz, 1H), 7.53 (t, J=7.6 Hz, 2H), 7.14 (d, J=4.6 Hz, 1H), 7.04 (s, 1H), 6.34 (d, J=6.9 Hz, 1H), 5.80 (d, J=23.7 Hz, 1H), 5.55-5.31 (m, 1H), 4.62 (dt, J=21.9, 5.9 Hz, 1H), 3.78-3.56 (m, 2H).
19F NMR (376 MHz, DMSO-d6) δ -194.44 (dt, J=54.7, 22.8 Hz).
LC/MS: tR=1.19 min, MS m/z=524.09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04
중간체 8d - ( 2S,3R,4S,5S )-5-(4- 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2-아지도-4-플루오로-2-(아이오도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일 아세테이트
THF (1 ㎖) 중의 중간체 8c (40 ㎎, 0.076 mmol)의 용액에 아세트산 무수물 (0.009 ㎖, 0.092 mmol)에 이어서 DMAP (10 ㎎, 0.082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15 분 후, 반응 혼합물을 메탄올로 켄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0-50% EtOAc/Hex)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8d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5-8.02 (m, 3H), 7.62 (t, J=7.3 Hz, 1H), 7.53 (t, J=7.6 Hz, 2H), 7.44 (d, J=4.6 Hz, 1H), 7.00 (d, J=4.6 Hz, 1H), 5.95-5.80 (m, 1H), 5.70-5.43 (m, 2H), 3.71 (d, J=11.3 Hz, 1H), 3.60 (d, J=11.3 Hz, 1H), 2.25 (s, 3H).
19F NMR (376 MHz, CDCl3) δ -192.78 (ddd, J=55.7, 24.6, 18.5 Hz).
LC/MS: tR=1.35 min, MS m/z=566.14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05
중간체 8e - (( 2R,3R,4S,5S )-3- 아세톡시 -2- 아지도 -5-(4- 벤즈아미도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4-플루오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벤조에이트
DMF (2 ㎖) 중의 중간체 8d (30 ㎎s, 0.053 mmol)의 용액에 15-크라운-5 (0.105 ㎖, 0.531 mmol) 및 벤조산나트륨 (77 ㎎, 0.531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그 후, 반응을 105℃로 가열하였다. 30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이 실온이 되게 하고, 5% LiCl(aq) 및 EtOAc 사이에 분배시켰다. 상이 분할되고, 수성상을 EtOAc로 세정하였다 (2×).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0-60% EtOAc/Hex)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8e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25-7.97 (m, 4H), 7.69-7.40 (m, 6H), 7.36 (d, J=4.7 Hz, 1H), 6.95-6.80 (m, 1H), 5.90 (d, J=25.0 Hz, 1H), 5.65 (d, J=1.9 Hz, 1H), 5.62-5.48 (m, 1H), 4.69 (dd, J=79.3, 12.0 Hz, 2H), 2.20 (s, 3H).
19F NMR (376 MHz, CDCl3) δ -192.57 (ddd, J=53.9, 25.1, 22.0 Hz).
LC/MS: tR=1.45 min, MS m/z=560.14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06
실시예 19 - ( 2R,3R,4R,5S )-5-(4- 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2-아지도-4-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올
중간체 8e (24 ㎎, 0.043 mmol)에 CH3OH (2 ㎖) 중의 7N NH3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16 시간 후, 생성된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산 변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역상 HPLC에 의하여 정제하여 실시예 19를 얻었다.
1H NMR (400 MHz, 메탄올-d4) δ 7.81 (s, 1H), 6.85 (d, J=4.5 Hz, 1H), 6.80 (d, J=4.5 Hz, 1H), 5.80 (dd, J=24.7, 1.9 Hz, 1H), 5.22 (ddd, J=55.6, 5.1, 1.9 Hz, 1H), 4.63 (dd, J=22.9, 5.1 Hz, 1H), 3.81 (d, J=12.1 Hz, 1H), 3.70 (d, J=12.2 Hz, 1H).
19F NMR (376 MHz, 메탄올-d4) δ -195.30 (ddd, J=55.5, 24.6, 22.9 Hz).
LC/MS: tR=0.61 min, MS m/z=310.02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07
중간체 9b - (( 3aR,5R,6S,6aR )-6-( 벤질옥시 )-5-(( 벤질옥시 ) 메틸 )-2,2- 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2,3-d][1,3]디옥솔 -5-일)메탄올
((3aR,6S,6aR)-6-(벤질옥시)-2,2-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2,3-d][1,3]디옥솔-5,5-디일)디메탄올 (9a, 카르보신쓰로부터 구입함, 10.0 g, 32.2 mmol)을 THF (100 ㎖) 중의 수소화나트륨 (60 중량%, 1.55 g, 38.7 mmol)의 용액에 0℃에서 아르곤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10 분 후, 벤질 브로마이드 (4.54 ㎖, 38.6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2 시간 후, 반응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500 ㎖)으로 켄칭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0 ㎖)로 추출하였다. 그 후, 유기 상을 염수 (400 ㎖)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무색 오일을 얻었다. 미정제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220 g SiO2 콤비플래쉬 HP 골드 컬럼, 0-10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9a (9.49 g, 73%)를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38-7.19 (m, 10H), 5.68 (app t, J=3.6 Hz, 1H), 4.73 (q, J=4.4 Hz, 1H), 4.63 (d, J=12.1 Hz, 1H), 4.49-4.36 (m, 3H), 4.24 (br s, 1H), 4.20-4.13 (m, 1H), 3.81 (d, J=11.9 Hz, 1H), 3.56 (d, J=11.9 Hz, 1H), 3.46 (q, J=10.3 Hz, 2H), 1.47 (s, 3H), 1.25 (s, 3H).
LC/MS: tR=1.88 min, MS m/z=423.31 [M+Na];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HPLC: tR=3.79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TLC: 용리제: 헥산 중의 40% 에틸 아세테이트, Rf=0.4 (UV)
Figure 112020049088375-pat00108
중간체 9c - ( 3aR,5R,6S,6aR )-6-( 벤질옥시 )-5-(( 벤질옥시 ) 메틸 )-2,2- 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2,3-d][1,3]디옥솔 -5-카르브알데히드
데스-마틴 퍼아이오디난(Dess-Martin Periodinane) (3.1 g, 7.3 mmol)을 디클로로메탄 (24.5 ㎖) 중의 중간체 9b (1.95 g, 4.87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1.5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80 g SiO2 콤비플래쉬 HP 골드 컬럼, 0-10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9c (1.94 g, 100%)를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9.91 (s, 1H), 7.36-7.11 (m, 10H), 5.84 (d, J=3.4 Hz, 1H), 4.71 (d, J=12.1 Hz, 1H), 4.59 (d, J=12.2 Hz, 1H), 4.59-4.58 (m, 1H), 4.52 (d, J=12.0 Hz, 1H), 4.46 (d, J=12.0 Hz, 1H), 4.37 (d, J=4.4 Hz, 1H), 3.68 (d, J=11.0 Hz, 1H), 3.61 (d, J=11.0 Hz, 1H), 1.60 (s, 3H), 1.35 (s, 3H).
LC/MS: tR=1.99 min, MS m/z=421.25 [M+Na];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HPLC: tR=4.09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TLC: 용리제: 헥산 중의 40% 에틸 아세테이트, Rf=0.6 (UV)
Figure 112020049088375-pat00109
중간체 9d - ( 3aR,5R,6S,6aR )-6-( 벤질옥시 )-5-(( 벤질옥시 ) 메틸 )-2,2-디메틸-5-비닐테트라히드로푸로[2,3-d][1,3]디옥솔
2.5M n-부틸리튬 (6.02 ㎖)을 테트라히드로푸란 (20 ㎖) 중의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5.38 g, 15.1 mmol)의 용액에 -78℃에서 첨가하였다. 반응을 0℃로 가온시키고, 테트라히드로푸란 (5 ㎖) 중의 중간체 9c (2.00 g, 5.02 mmol)의 용액을 주사기에 의하여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10 ㎖)으로 켄칭시키고, 물 (200 ㎖) 및 에틸 아세테이트 (200 ㎖) 사이에 분배시켰다. 층이 분할되고, 유기층을 염수 (200 ㎖)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20 g SiO2 콤비플래쉬 HP 골드 컬럼, 0-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9d (1.01 g, 51%)를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2-7.17 (m, 10H), 6.19 (dd, J=17.6, 11.0 Hz, 1H), 5.76 (d, J=3.9 Hz, 1H), 5.52 (dd, J=17.5, 1.9 Hz, 1H), 5.25 (dd, J=11.1, 1.8 Hz, 1H), 4.76 (d, J=12.3 Hz, 1H), 4.62-4.55 (m, 2H), 4.52 (d, J=12.1 Hz, 1H), 4.41 (d, J=12.1 Hz, 1H), 4.25 (d, J=4.9 Hz, 1H), 3.32 (d, J=1.5 Hz, 2H), 1.52 (s, 3H), 1.29 (s, 3H)
LC/MS: tR=2.13 min, MS m/z=419.24 [M+Na];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HPLC: tR=4.37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TLC: 용리제: 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 Rf=0.55 (UV)
Figure 112020049088375-pat00110
중간체 9e - ( 3R,4S,5R )-4-( 벤질옥시 )-5-(( 벤질옥시 ) 메틸 )-2- 메톡시 -5- 비닐테트라히드로푸란 -3-올
디옥산 중의 4M HCl (320 ㎕)을 메탄올 (12.5 ㎖) 중의 중간체 9d (1.01 g, 2.55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1.25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 및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100 ㎖) 사이에 분배시켰다. 상이 분할되고, 유기 상을 염수 (100 ㎖)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미정제 중간체 9e (1.05 g, 1' 아노머의 ~2.5:1 혼합물)를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LC/MS: 주요 아노머 tR=2.00 min, MS m/z=393.22 [M+Na], 소수의 아노머 tR=1.98 min, MS m/z=393.22 [M+Na];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HPLC: 주요 아노머 tR=4.01 min, 소수의 아노머 tR=3.955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TLC: 용리제: 헥산 중의 25% 에틸 아세테이트, 주요 아노머 Rf=0.30 (UV), 소수의 아노머 Rf=0.25 (UV)
Figure 112020049088375-pat00111
중간체 9f - ( 2R,3S,4R )-3,4- 비스 ( 벤질옥시 )-2-(( 벤질옥시 ) 메틸 )-5- 메톡시 -2-비닐테트라히드로푸란
NaH (60 중량%, 130 ㎎, 3.2 mmol)를 고체로서 THF (13.5 ㎖) 중의 중간체 9e (1.0 g, 2.7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아르곤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15 분 후, 벤질 브로마이드 (0.38 ㎖, 3.2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5 ㎖)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100 ㎖) 및 염수 (100 ㎖) 사이에 분배시켰다. 상이 분할되고,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미정제 중간체 9f (1.57 g, 1' 아노머의 ~2:1 혼합물)를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LC/MS: 주요 아노머 tR=1.88 min, MS m/z=483.36 [M+Na], 소수의 아노머 tR=1.83 min, MS m/z=483.36 [M+Na];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1.5 min 2-100% ACN, 1.5 min-2.2 min 100% ACN, 2.2 min-2.4 min 100%-2% ACN, 2.4 min-2.5 min 2% ACN.
HPLC: 주요 아노머 tR=4.83 min, 소수의 아노머 tR=4.62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12
중간체 9g - ( 3R,4S,5R )-3,4- 비스 ( 벤질옥시 )-5-(( 벤질옥시 ) 메틸 )-5- 비닐테트라히드로푸란 -2-올
TFA (16 ㎖) 및 물 (1.6 ㎖)의 용액을 중간체 9f (1.5 g, 3.2 mmol)에 0℃에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9 시간 후, 물 (1 ㎖)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1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00 ㎖) 중에 용해시키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2×150 ㎖) 및 염수 (150 ㎖)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24 g SiO2 콤비플래쉬 HP 골드 컬럼, 0-10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여 중간체 9g (580 ㎎)를 기타 불순물과의 혼합물인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혼합물을 하기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LC/MS: tR=3.13 min, MS m/z=463.88 [M+O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HPLC: tR=4.34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13
중간체 9h - ( 3R,4S,5R )-3,4- 비스 ( 벤질옥시 )-5-(( 벤질옥시 ) 메틸 )-5- 비닐디히드로푸란 -2(3H)-온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퍼루테네이트 (45.7 ㎎, 130 ㎛ol) 및 4-메틸모르폴린 N-옥시드 (457 ㎎, 3.89 mmol)를 DCM (6.45 ㎖) 중의 중간체 9g (580 ㎎, 1.30 mmol) 및 4Å MS (100 ㎎)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실리카 겔 (~500 ㎎)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슬러리를 실리카 겔 (~1 g)의 플러그를 통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2 g SiO2 콤비플래쉬 HP 골드 컬럼, 0-10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9h (254 ㎎, 2단계에 대하여 18%)를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38-7.23 (m, 13H), 7.20-7.13 (m, 2H), 5.91 (dd, J=17.5, 11.2 Hz, 1H), 5.49 (dd, J=17.5, 0.9 Hz, 1H), 5.33 (dd, J=11.2, 0.9 Hz, 1H), 4.96 (d, J=12.0 Hz, 1H). 4.74-4.68 (m, 2H), 4.55-4.47 (m, 3H), 4.39 (d, J=11.9 Hz, 1H), 4.20 (d, J=6.0 Hz, 1H), 3.55 (d, J=10.8 Hz, 1H), 3.46 (d, J=10.8 Hz, 1H)
LC/MS: tR=2.19 min, MS m/z=444.78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HPLC: tR=4.53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TLC: 용리제: 헥산 중의 25% 에틸 아세테이트, Rf=0.45 (UV)
Figure 112020049088375-pat00114
중간체 9i - ( 3R,4S,5R )-2-(4- 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3,4-비스(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비닐테트라히드로푸란-2-올
n-부틸리튬 (헥산 중의 2.5M, 1.0 ㎖, 2.5 mmol)을 THF (4 ㎖) 중의 중간체 1b (0.21 g, 0.81 mmol) 및 1,2-비스(클로로디메틸실릴)에탄 (0.17 g, 0.81 mmol)의 현탁액에 -78℃에서 아르곤 대기 하에서 신속하게 첨가하였다. 그 후, 생성된 혼합물을 카뉼라를 통하여 THF (1 ㎖) 중의 9h (0.18 g, 0.41 mmol)의 용액에 -78℃에서 아르곤 대기 하에서 옮겼다. 20 분 후, 반응 혼합물을 0℃로 가온시키고,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1 ㎖)으로 켄칭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로 희석하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100 ㎖) 및 염수 (100 ㎖)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2 g SiO2 콤비플래쉬 HP 골드 컬럼, 0-10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9i (11.1 ㎎, 5%, 이성질체의 혼합물)를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LC/MS: tR=1.97 min, MS m/z=579.27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HPLC: tR=3.37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TLC: 용리제: 에틸 아세테이트, Rf=0.3 (UV)
Figure 112020049088375-pat00115
중간체 9j - 7- ((2S,3S,4S,5R)-3,4-비스 ( 벤질옥시 )-5-(( 벤질옥시 ) 메틸 )-5- 비닐테트라히드로푸란 -2-일)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DCM (1 ㎖) 중의 중간체 9i (11.0 ㎎, 19.0 ㎛ol) 및 트리에틸실란 (0.5 ㎖)의 용액에 삼불소화붕소 디에틸 에테레이트 (0.1 ㎖)를 서서히 0℃에서 아르곤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10 ㎖)으로 서서히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10 ㎖)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4 g SiO2 콤비플래쉬 HP 골드 컬럼, 0-10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9j (7.7 ㎎, 72%)를 무색 필름으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7 (s, 1H), 7.37-7.17 (m, 15H), 6.73 (d, J=4.5 Hz, 1H), 6.51 (d, J=4.5 Hz, 1H), 6.23 (dd, J=17.5, 10.9 Hz, 1H), 5.70 (d, J=3.9 Hz, 1H), 5.59 (dd, J=17.5, 1.8 Hz, 1H), 5.32 (dd, J=10.9, 1.7 Hz, 1H), 4.72-4.56 (m, 4H), 4.49 (d, J=11.9 Hz, 2H), 4.43 (d, J=5.6 Hz, 1H), 4.25 (dd, J=5.6, 4.0 Hz, 1H), 3.56 (s, 2H).
LC/MS: tR=2.32 min, MS m/z=563.33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HPLC: tR=3.51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TLC: 용리제: 에틸 아세테이트, Rf=0.40 (UV)
Figure 112020049088375-pat00116
실시예 20 - ( 2R,3S,4R,5S )-5-(4- 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2-(히드록시메틸)-2-비닐테트라히드로푸란-3,4-디올
삼브롬화붕소 (1 M, 0.06 ㎖, 60 ㎛ol)를 디클로로메탄 (1 ㎖) 중의 중간체 9j (7.7 ㎎, 13.7 ㎛ol)의 용액에 -78℃에서 아르곤 대기 하에서 적가하였다. 1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0℃로 가온되도록 하고, 추가의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78℃로 냉각시키고, 2:1 메탄올/피리딘 용액 (1.5 ㎖)으로 켄칭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분취용 HPLC (페노미넥스 시너지 4u 히드로-RR 80Å 150×30 ㎜ 컬럼, 0-100% 아세토니트릴/물 구배)에 의하여 정제하여 실시예 20 (0.5 ㎎, 13%)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 δ 7.78 (s, 1H), 6.88 (d, J=4.5 Hz, 1H), 6.76 (d, J=4.5 Hz, 1H), 6.02 (dd, J=17.4, 11.0 Hz, 1H), 5.47 (dd, J=17.4, 2.0 Hz, 1H), 5.23 (dd, J=10.9, 2.1 Hz, 1H), 5.15 (d, J=8.3 Hz, 1H), 4.72 (dd, J=8.2, 5.7 Hz, 1H), 4.34 (d, J=5.7 Hz, 1H), 3.60 (d, J=11.8 Hz, 1H), 3.49 (d, J=11.8 Hz, 1H)
LC/MS: tR=0.84 min, MS m/z=293.19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1.5 min 2-100% ACN, 1.5 min-2.2 min 100% ACN, 2.2 min-2.4 min 100%-2% ACN, 2.4 min-2.5 min 2% ACN.
HPLC: tR=2.181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17
실시예 21
( 2R,3R,4R,5S )-5-(4-아미노-5- 플루오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2-아지도-4-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올
실시예 19 (237 ㎎, 0.766 mmol) 및 셀렉트플루오르 (407 ㎎, 1.15 mmol)를 아세토니트릴 (5 ㎖) 중에 현탁시키고, AcOH (0.2 ㎖)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한 후,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키고, 여과하여 고체를 제거하였다.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분취용 HPLC (물 중의 아세토니트릴 0 내지 30%)에 의하여 정제하여 실시예 21 (27 ㎎, 11%)을 회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 δ 7.73 (s, 1H), 6.63 (s, 1H), 5.80 (dd, J=23.9, 1.7 Hz, 1H), 5.16 (ddd, J=55.3, 5.0, 1.7 Hz, 1H), 4.56 (dd, J=23.5, 5.0 Hz, 1H), 3.94-3.60 (m, 2H)
19F NMR (376 MHz, CD3OD) δ -161.76 (s), -195.42 (d, J=55.4 Hz)
MS m/z=328 [M+H].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Figure 112020049088375-pat00118
중간체 11b - 2- 플루오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 -4- 아민
중간체 11a (2.0 g, 13.4 mmol)를 폴리튜브(polyTube) 용기에 가하였다. 그 후, 반응 용기를 얼음 배쓰에 넣고, 70% HF/Pyr (18 ㎖) 및 피리딘 (9 ㎖) 모두를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피리딘의 첨가 직후, tBuNO2 (2.07 ㎖, 17.43 mmol)를 20 분에 걸쳐 서서히 첨가하였다. 용액은 발열과 함께 황갈색으로부터 흑색이 되었으며, 기체가 방출되었다. 그 후, 반응을 추가의 20 분 동안 교반하고,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세정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염수로 세정하였다. 미정제물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미정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50-100% EtOAc/Hex)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1b (1.68 g, 82%)를 황갈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9-8.09 (m, 2H), 7.58 (t, J=2.0 Hz, 1H), 6.95 (d, J=4.5, 1H), 6.59 (d, J=4.5, 1H).
19F NMR (376 MHz, DMSO-d6) δ -73.42 (s).
LC/MS: tR=1.03 min, MS m/z=153.08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19
중간체 11c - 7- 브로모 -2- 플루오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 -4- 아민
DMF (50 ㎖) 중의 11b (3.36 g, 22.1 mmol)의 용액을 0℃로 얼음 배쓰 내에서 냉각시켰다. DMF (50 ㎖) 중의 1,3-디브로모-5,5-디메틸히단토인 (3.16 g, 11.0 mmol)의 용액을 첨가 깔때기에 의하여 40 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1 시간 후, 반응을 포화 Na2S2O3(aq)로 켄칭시키고, 미정제물을 EtOAc 및 5% LiCl(aq)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물을 5% LiCl(aq) (4×)에 이어서 염수로 추출하였다. 유기물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CH2Cl2로 음파 처리하고,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수집하고,고 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중간체 11c (3.93 g, 77%)를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9-8.44 (m, 2H), 7.08 (d, J=4.6 Hz, 1H), 6.76 (d, J=4.6 Hz, 1H).
19F NMR (376 MHz, DMSO-d6) δ -71.45 (s).
LC/MS: tR=1.22 min, MS m/z=232.98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20
중간체 11e - ( 3R,4R,5R )-2-(4-아미노-2- 플루오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3-플루오로테트라히드로푸란-2-올
THF (30 ㎖) 중의 11c (2.09 g, 9.08 mmol)의 용액에 1,2-비스(클로로디메틸실릴)에탄 (STABASE, 1.96 g, 9.08 mmol)을 한번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을 메탄올과 함께 드라이 아이스 배쓰를 사용하여 -78℃로 냉각시켰다. nBuLi (헥산 중의 2.5M, 10.9 ㎖, 27.2 mmol)를 -65℃의 내부 온도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첨가하였다. 그 후, THF (25 ㎖) 중의 중간체 11d (WO2012012776에 의하여 생성됨, 2.5 g, 7.5 mmol)의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1 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5 분 후,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으로 켄칭시키고, 상온이 되게 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취하였다. 유기물을 물에 이어서 염수로 세정하였다. 층이 분리되고, 유기물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미정제물 11e를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얻었으며, 이를 그 다음 단계에서 그 상태로 사용하였다.
LC/MS: tR=1.32 및 1.40 min, MS m/z=483.15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21
중간체 11f - 7-(( 2S,3S,4R,5R )-4-( 벤질옥시 )-5-(( 벤질옥시 ) 메틸 )-3- 플루오로테트라히드로푸란 -2-일)-2-플루오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중간체 11e (1.99 g, 3.72 mmol)를 CH2Cl2 (80 ㎖) 중에 용해시키고, TES (4.75 ㎖, 29.7 mmol)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BF3·Et2O (1.07 ㎖, 4.09 mmol)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15 분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aq)로 켄칭시키고, 층이 분리되었다. 수성층을 CH2Cl2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포화 NaHCO3(aq)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0-60% EtOAc/Hex)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1f (1.12 g, 64%, 1' 아노머의 2:1 혼합물)를 얻었다.
LC/MS: tR=1.55 min, MS m/z=467.47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22
중간체 11g - ( 2R,3R,4R,5S )-5-(4-아미노-2- 플루오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4-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올
중간체 11f (0.82 g, 1.76 mmol)를 아세트산 (25 ㎖)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용기를 아르곤으로 퍼징시키고, 10% Pd/C (468 ㎎, 0.439 mmol)를 첨가하였다. 용기를 비우고, H2(g)로 역충전하였다 (3×). 1 시간 후, 반응 용기를 질소로 퍼징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하여 여과하고, 필터 케이트를 CH3OH로 세정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에 이어서 헥산으로 동시 증발시켜 중간체 11g (503 ㎎, 98%, 1' 아노머의 2:1 혼합물)를 얻었다.
LC/MS: tR=0.81 min, MS m/z=286.97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23
중간체 11h - ( 2S,3R,4R,5S )-5-(4-아미노-2- 플루오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4-플루오로-2-(아이오도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올
아르곤 퍼징된 플라스크에 DMF (10 ㎖) 중의 11g (283 ㎎, 0.989 mmol)의 용액에 이어서 4 ㎖ DMF 중의 메틸 트리펜옥시포스포늄 아이오다이드 (0.536 g, 1.19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0 분 동안 교반한 후, 상온으로 가온시켰다. 30 분 후, 반응을 포화 Na2S2O3(aq)로 켄칭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EtOAc 및 5% LiCl(aq) 사이에 분포시켰다. 유기물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물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ACN 중에서 취하고, 산 변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HPLC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1h (201 ㎎, 52%, 1' 아노머의 2:1 혼합물)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LC/MS: tR=1.08 min, MS m/z=397.12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24
중간체 11i - ( 3R,4R,5S )-5-(4-아미노-2- 플루오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4-플루오로-2-메틸렌테트라히드로푸란-3-올
THF (8 ㎖) 중의 11h (356 ㎎, 0.899 mmol)의 용액에 DBU (0.403 ㎖, 2.70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60℃로 가열하였다. 3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40-100% EtOAc/Hex)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1i (201 ㎎, 83%, 1' 아노머의 2:1 혼합물)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LC/MS: tR=1.04 min, MS m/z=269.14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25
중간체 11j - ( 2S,3R,4R,5S )-5-(4-아미노-2- 플루오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2-아지도-4-플루오로-2-(아이오도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올
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292 ㎎, 1.57 mmol) 및 소듐 아지드 (102 ㎎, 1.57 mmol)를 ACN (4 ㎖) 중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THF (4 ㎖) 중의 11i (0.201 g, 0.74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NMM (0.412 ㎖, 3.75 mmol)을 첨가한 후, THF (4 ㎖) 중의 아이오딘 (0.342 g, 1.35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15 분 후, 기체 발생이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N-아세틸 시스테인을 일부분씩 나누어 첨가하였다. 용액이 담황색이 될 때까지 포화 Na2S2O3(aq)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물 및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에 분배시켰다. 층이 분리되고, 유기층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20-100% EtOAc/Hex)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1j (183 ㎎, 56%)를 단일 이성질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4 (d, J=28.6 Hz, 2H), 6.98 (d, J=4.6 Hz, 1H), 6.79 (d, J=4.6 Hz, 1H), 6.32 (d, J=6.9 Hz, 1H), 5.60 (dd, J=23.8, 2.5 Hz, 1H), 5.36 (ddd, J=54.9, 5.0, 2.6 Hz, 1H), 4.60 (ddd, J=21.5, 6.9, 5.0 Hz, 1H), 3.63 (ABq, Δδ=0.09 ppm, J=8 Hz, 2H).
19F NMR (376 MHz, DMSO-d6) δ -71.74 (s), -194.57 (ddd, J=54.9, 24.0, 21.7 Hz)
LC/MS: tR=1.71 min, MS m/z=437.93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2.4 min 2-100% ACN, 2.4 min-2.80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0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26
중간체 11k - ( 2S,3R,4S,5S )-5-(4-아미노-2- 플루오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2-아지도-4-플루오로-2-(아이오도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일 이소부티레이트
THF (10 ㎖) 중의 11j (0.183 g, 0.419 mmol)의 용액에 이소부티르산 무수물 (0.083 ㎖, 0.502 mmol), TEA (0.118 ㎖, 0.837 mmol) 및 DMAP (10 ㎎, 0.08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을 상온에서 15 분 동안 교반하고, 반응을 CH3OH로 켄칭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미정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0-50% EtOAc/Hex)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1k (0.198 g, 93%)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8 (d, J=30.7 Hz, 2H), 6.99 (d, J=4.6 Hz, 1H), 6.84 (d, J=4.6 Hz, 1H), 5.77-5.47 (m, 3H), 3.69 (ABq, Δδ=0.05 ppm, J=12 Hz, 2H), 2.70 (p, J=7.0 Hz, 1H), 1.24-1.05 (d, J=7.0 Hz, 6H).
19F NMR (376 MHz, DMSO-d6) δ -71.58 (s), -194.89 (ddd, J=55.0, 24.3, 16.8 Hz).
LC/MS: tR=1.56 min, MS m/z=508.13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2.4 min 2-100% ACN, 2.4 min-2.80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0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27
중간체 11l - ((2R,3R,4S,5S)-5-(4-아미노-2-플루오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7-일)-2-아지도-4-플루오로-3-(이소부티릴옥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3- 클로로벤조에이트
중간체 11k (0.153 g, 0.302 mmol)를 CH2Cl2 (10 ㎖) 및 H2O (6 ㎖) 중에 용해시켰다. 2염기성 인산칼륨 (0.138 g, 0.603 mmol), 테트라부틸암모늄 바이술페이트 (0.210 g, 0.618 mmol) 및 3-클로로벤조산 (0.097 g, 0.618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0℃로 냉각하고, MCPBA (0.203 g, 0.90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가온시키고,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2S2O3(aq)로 켄칭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수성 잔류물을 ACN으로 희석하고, 산 변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분취용 HPLC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1l (20 ㎎, 13%)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6 (d, J=26.4 Hz, 2H), 7.96-7.81 (m, 2H), 7.81-7.66 (m, 1H), 7.62-7.46 (m, 1H), 6.94 (d, J=4.5 Hz, 1H), 6.80 (d, J=4.5 Hz, 1H), 5.73 (s, 3H), 4.60 (ABq, Δδ=0.08 ppm, J=12 Hz, 2H), 2.66 (p, J=7.0 Hz, 1H), 1.20-1.01 (m, 6H).
19F NMR (376 MHz, DMSO-d6) δ=-71.45 (s), -193.41 (ddd, J=54.4, 25.4, 21.2 Hz).
LC/MS: tR=2.22 min, MS m/z=536.17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2.4 min 2-100% ACN, 2.4 min-2.80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0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28
실시예 22 - ( 2R,3R,4R,5S )-5-(4-아미노-2- 플루오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2-아지도-4-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올
CH3OH (1 ㎖) 중의 중간체 11l (22 ㎎, 0.041 mmol)의 용액에 진한 NH4OH (1 ㎖)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30 분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최소 H2O로 희석하고, 변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분취용 HPLC에 의하여 정제하여 실시예 22 (10 ㎎, 77%)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40 (d, J=30.9 Hz, 2H), 6.95 (d, J=4.5 Hz, 1H), 6.78 (d, J=4.5 Hz, 1H), 5.89 (d, J=7.5 Hz, 1H), 5.61 (dd, J=23.8, 2.1 Hz, 1H), 5.44 (t, J=6.1 Hz, 1H), 5.18 (ddd, J=55.3, 5.1, 2.2 Hz, 1H), 4.44 (ddd, J=23.7, 7.5, 5.0 Hz, 1H), 3.59 (ddd, J=48.5, 12.0, 6.1 Hz, 2H).
19F NMR (376 MHz, DMSO-d6) δ -71.18 (s), -193.48 (dt, J=55.3, 23.8 Hz).
LC/MS: tR=1.13 min, MS m/z=327.86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2.4 min 2-100% ACN, 2.4 min-2.80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0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29
중간체 12a - (2R,3R,4S,5S)-5-(4-아미노-5-플루오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7-일)-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4-플루오로테트라히드로푸란-2-카르보니트릴
ACN (3 ㎖) 중의 중간체 3d (57 ㎎, 0.109 mmol)의 용액에 셀렉트플루오르 II (52 ㎎, 0.164 mmol)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1.5 시간 후, 반응을 포화 NaHCO3(aq)을 첨가하여 켄칭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 (4 ㎖)를 첨가하고, 2상 혼합물을 5 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반응을 EtOAc, 포화 NaHCO3(aq)로 추가로 희석하였다. 층이 분리되고, 유기 상을 물에 이어서 염수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켰다. 건조제를 진공 여과에 의하여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중간체 12a (11 ㎎, 18.7%)를 하기 용매 램프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농축된 미정제 물질로부터 분리하였다: 헥산 중의 0% EtOAc로부터 헥산 중의 70% EtOAc로 상승시키고, 출발 물질이 컬럼으로부터 용출되자마자 100% EtOAc로 신속하게 상승시켰다.
1H NMR (400 MHz, CD3OD) δ 7.72 (s, 1H), 7.55 (s, 1H), 5.65 (dd, J=24.8, 2.4 Hz, 1H), 5.38 (dq, J=54.4, 2 Hz, 1H), 4.88 (dd, J=19.2, 4.4 Hz, 1H), 3.96 (ABq, ΔδAB=0.141 ppm, J=11 Hz, 2H), 0.99 (s, 9H), 0.86 (s, 9H), 0.21 (s, 6H), 0.07 (s, 3H), -0.02 (s, 3H).
19F NMR (376 MHz, CD3OD) δ -161.795 (s), -194.806 (ddd, J=54.5, 19.2, 18.8 Hz).
LC/MS: RT=2.06 min, MS m/z=540.64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2.4 min 2-100% ACN, 2.4 min-2.8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30
실시예 23 - (2R,3R,4R,5S)-5-(4-아미노-5-플루오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7-일)-4-플루오로-3-히드록시-2-(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카르보니트릴
폴리프로필렌 시험관내의 THF (2 ㎖) 중의 중간체 12a (29 ㎎, 0.054 mmol)의 용액에 피리딘 중의 70% HF·피리딘 (51 ㎕, 1.97 mmol)을 0℃에서 N2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1.5 시간 후, 반응을 얼음 배쓰로부터 제거하였다. 피리딘 중의 3 시간 (150 ㎕), 5 시간 45 분 (200 ㎕) 및 21 시간 15 분 (0.7 ㎖) 후 추가의 70% HF·피리딘을 첨가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또 다른 24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 때 반응 혼합물을 얼음 배쓰 내에서 냉각시키며, 그 후, 물 및 포화 NaHCO3(aq)로 켄칭시켰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DMF 중에서 취하였다. 생성된 용액/현탁액을 주사기 필터 (홧맨(Whatman) 0.45 ㎛ PTFE w/GMF)에 의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HPLC에 주입하고, 반-정제된 생성물을 하기 용매 램프를 사용한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추가로 정제하였다: DCM 중의 0% MeOH로부터 DCM 중의 20% MeOH로 상승시킴. 생성물 함유 분획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동결건조시켜 실시예 23 (5 ㎎, 30%)을 백색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F-d7) δ 7.74 (s, 1H), 6.61 (s, 1H), 5.75 (dd, J=25.2, 1.6 Hz, 1H), 5.23 (ddd, J=54.8, 4.8, 1.6 Hz, 1H), 4.64 (dd, J=22, 4.4 Hz, 1H), 3.90 (ABq, ΔδAB=0.151 ppm, J=12 Hz, 2H).
19F NMR (376 MHz, DMF-d7) δ -161.727 (s), -193.726 (ddd, J=54.5, 22.9, 21.8 Hz).
LC/MS: RT=0.81 min, MS m/z=312.13 [M+1]; LC: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0 min-2.4 min 2-100% ACN, 2.4 min-2.8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31
중간체 13a - N-(7-((2S,3S,4R,5R)-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5-(((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3-플루오로-5-(아이오도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2,1-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THF (5 ㎖) 중의 트리페닐포스핀 (973 ㎎, 3.71 mmol) 및 이미다졸 (252 ㎎, 3.71 mmol)의 용액에 아이오딘 (253 ㎎, 1.86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아이오딘이 완전히 용해되자마자, THF (5 ㎖) 중의 화합물 2g (650 ㎎, 0.93 mmol)의 용액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80℃에서 3 일 동안 교반한 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중의 0 내지 50% EtOAc)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3a (230 ㎎, 33%)를 오일로서 얻었다.
MS m/z=742 [M+H].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Figure 112020049088375-pat00132
중간체 13b - N-(7-((2S,3S,4R,5R)-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5-(((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3-플루오로-5-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일)피롤로[2,1-f][1,2,4]트리아진-4-일)벤즈아미드
중간체 13a (200 ㎎, 0.243 mmol)를 메탄올 (10 ㎖) 중에 용해시키고, 질소 대기 하에서 10% Pd/C (100 ㎎, 0.094 mmol) 및 TEA (0.035 ㎖, 0.243 mmol)를 첨가하였다. 그 후, 생성된 혼합물을 H2 대기 (풍선) 하에서 실온에서 4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중의 0 내지 40% EtOAc)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3b (145 ㎎, 72%)를 75% 순도의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MS m/z=616 [M+H].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Figure 112020049088375-pat00133
실시예 24 - ( 2R,3R,4R,5S )-5-(4- 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4-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올
중간체 13b (145 ㎎, 75% 순도, 0.177 mmol)를 THF (10 ㎖) 중에 용해시키고, TBAF (THF 중의 1 M, 0.53 ㎖, 0.531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메탄올성 암모니아 (7N, 10 ㎖)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4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분취용 HPLC (물 중의 0 내지 35% 아세토니트릴, 20 분 이내)에 의하여 정제하여 실시예 24 (30 ㎎, 60%)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 δ 7.78 (s, 1H), 6.84 (d, J=4.5 Hz, 1H), 6.76 (d, J=4.5 Hz, 1H), 5.53 (dd, J=21.5, 4.0 Hz, 1H), 5.25 (ddd, J=55.5, 5.3, 4.1 Hz, 1H), 4.44 (dd, J=17.2, 5.2 Hz, 1H), 3.65-3.43 (m, 2H), 1.27 (s, 3H)
19F NMR (376 MHz, CD3OD) δ -197.08 (ddd, J=55.4, 21.5, 17.1 Hz)
MS m/z=282 [M+H].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Figure 112020049088375-pat00134
중간체 14a - ( 2S,3R,4S,5R )-2-(4- 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4-디올
중간체 1e (2.64 g, 4.91 mmol)를 아세트산 (50 ㎖) 중에 용해시켰다. 플라스크를 아르곤으로 퍼징시키고, 10% Pd/C (1.05 g, 0.982 mmol)를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비우고, H2(g)로 3회 역충전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2(g)의 대기 하에서 교반하였다. 1 시간 후, 플라스크를 질소로 퍼징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CH3OH 세정과 함께 셀라이트 패드를 통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킨 후, EtOAc에 이어서 헥산으로 동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고 진공 하에 두어 중간체 14a (1.31 g, 99%)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80 (s, 1H), 7.66 (s, 2H), 6.82 (d, J=4.4 Hz, 1H), 6.66 (d, J=4.4 Hz, 1H), 5.09 (d, J=6.5 Hz, 1H), 5.06-4.56 (m, 3H), 4.21 (t, J=5.9 Hz, 1H), 3.93 (t, J=4.9 Hz, 1H), 3.77 (q, J=4.5 Hz, 1H), 3.48 (ddd, J=38.9, 11.8, 4.4 Hz, 2H).
LC/MS: tR=0.47 min, MS m/z=267.13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2.4 min 2-100% ACN, 2.4 min-2.80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0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35
중간체 14b - (( 3aR,4R,6S,6aS )-6-(4- 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2,2-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3,4-d][1,3]디옥솔-4-일)메탄올
중간체 14a (3.13 g, 11.7 mmol)를 아세톤 (80 ㎖) 중에 용해시키고, TsOH (6.00 g, 31.5 mmol)를 첨가하였다. 트리에틸오르토포르메이트 (6.0 ㎖, 36.1 mmol)를 10 분에 걸쳐 서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pH=8이 될 때까지 포화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EtOAc 및 염수 사이에 분배시켰다. 상이 분할되고, 유기물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60-100% EtOAc/Hex-20% MeOH/EtOAc)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4b (2.55 g, 71%)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83 (s, 1H), 7.71 (s, 2H), 6.83 (d, J=4.4 Hz, 1H), 6.73 (d, J=4.5 Hz, 1H), 5.21 (d, J=4.9 Hz, 1H), 5.01 (dd, J=6.6, 4.9 Hz, 1H), 4.84 (t, J=5.7 Hz, 1H), 4.71 (dd, J=6.7, 3.7 Hz, 1H), 3.99-3.85 (m, 1H), 3.46 (t, J=5.5 Hz, 2H), 1.48 (s, 3H), 1.29 (s, 3H).
LC/MS: tR=0.87 min, MS m/z=307.21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36
중간체 14c - 7-((3aS,4S,6R,6aR)-6-(((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3,4-d][1,3]디옥솔-4-일)피롤로[2,1-f][1,2,4]트리아진-4-아민
중간체 14b (2.55 g, 8.32 mmol)를 DCM (50 ㎖) 중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켰다. 이미다졸 (1.70 g, 24.9 mmol)에 이어서 TBSCl (1.88 g, 12.5 mmol)을 첨가하였다. 16 시간 후, 반응을 메탄올로 켄칭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미정제 잔류물을 물 및 EtOAc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물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50-100% EtOAc/Hex)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4c (2.60 g, 74%)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83 (s, 1H), 7.74 (s, 2H), 6.82 (d, J=4.4 Hz, 1H), 6.68 (d, J=4.4 Hz, 1H), 5.26 (d, J=4.4 Hz, 1H), 5.00 (dd, J=6.5, 4.5 Hz, 1H), 4.71 (dd, J=6.5, 3.7 Hz, 1H), 3.97 (td, J=5.1, 3.6 Hz, 1H), 3.64 (d, J=5.2 Hz, 2H), 1.48 (s, 3H), 1.28 (s, 3H), 0.83 (s, 9H), -0.02 (s, 6H).
LC/MS: tR=1.91 min, MS m/z=421.60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2.4 min 2-100% ACN, 2.4 min-2.80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0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37
중간체 14d - tert -부틸 (7-((3aS,4S,6R,6aR)-6-(((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3,4-d][1,3]디옥솔-4-일)피롤로[2,1-f][1,2,4]트리아진-4-일)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4c (2.59 g, 6.16 mmol)를 THF (60 ㎖) 중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0℃로 냉각시켰다. 그 후, Boc2O (2.69 g, 12.3 mmol) 및 DMAP (0.3 g, 2.46 mmol)를 첨가하였다. TEA (2.56 ㎖, 18.3 mmol)를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3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MeOH (10 ㎖)에 이어서 진한 NH4OH(aq)(50 ㎖)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미정제 잔류물을 EtOAc 및 물 사이에 분배시켰다. 층이 분리되고, 유기층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0-100% EtOAc/Hex)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4d (2.82 g, 88%)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0.46 (s, 1H), 8.20 (s, 1H), 7.19 (d, J=4.6 Hz, 1H), 6.90 (d, J=4.6 Hz, 1H), 5.33 (d, J=4.2 Hz, 1H), 5.02 (dd, J=6.5, 4.3 Hz, 1H), 4.72 (dd, J=6.5, 3.6 Hz, 1H), 4.01 (q, J=5.0 Hz, 1H), 3.64 (d, J=5.1 Hz, 2H), 1.49 (s, 9H), 1.32 (d, J=22.7 Hz, 6H), 0.82 (s, 9H), -0.03 (s, 6H).
LC/MS: tR=1.89 min, MS m/z=521.27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2.4 min 2-100% ACN, 2.4 min-2.80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0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38
중간체 14e - tert -부틸 (7-((3aS,4S,6R,6aR)-6-(히드록시메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3,4-d][1,3]디옥솔-4-일)피롤로[2,1-f][1,2,4]트리아진-4-일)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4d (2.8 g, 5.4 mmol)를 THF (50 ㎖) 중에 용해시키고, TBAF (THF 중의 1.0M, 5.92 ㎖, 5.92 mmol)를 첨가하였다. 30 분 후, 추가의 TBAF (THF 중의 1.0M, 5.92 ㎖, 5.92 mmol)를 첨가하였다. 또 다른 30 분 후, 반응 혼합물을 물로 켄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2×).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10-100% EtOAc/Hex)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4e (2.19 g, 86%)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0.46 (s, 1H), 8.22 (s, 1H), 7.20 (s, 1H), 6.95 (s, 1H), 5.29 (d, J=4.6 Hz, 1H), 5.03 (dd, J=6.6, 4.7 Hz, 1H), 4.85 (t, J=5.7 Hz, 1H), 4.72 (dd, J=6.6, 3.6 Hz, 1H), 4.05-3.90 (m, 1H), 3.46 (t, J=5.6 Hz, 2H), 1.50 (s, 12H), 1.29 (s, 3H).
LC/MS: tR=1.52 min, MS m/z=407.05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2.4 min 2-100% ACN, 2.4 min-2.80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0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39
중간체 14f - tert -부틸 (7-((3aS,4S,6aS)-6,6-비스(히드록시메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3,4-d][1,3]디옥솔-4-일)피롤로[2,1-f][1,2,4]트리아진-4-일)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4e (1.78 g, 4.38 mmol)를 DMSO (20 ㎖) 및 톨루엔 (15 ㎖) 중에 용해시켰다. 피리딘 (0.35 ㎖, 4.38 mmol) 및 EDCl (1.26 g, 6.56 mmol)에 이어서 TFA (0.178 ㎖, 2.39 mmol)를 첨가하였다. 90 분 후, 추가의 피리딘 (0.35 ㎖, 4.38 mmol) 및 EDCl (1.26 g, 6.5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로 켄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CH2Cl2로 추출하였다. 수성층을 CH2Cl2로 역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물을 고 진공 하에서 15 분 동안 둔 후, 그 다음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미정제 잔류물을 디옥산 (15 ㎖) 중에 용해시키고, 포름알데히드 (물 중의 37%, 5.0 ㎖, 37.2 mmol) 및 2N NaOH (5.34 ㎖, 10.7 mmo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10 분 후, 반응을 AcOH로 켄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포화 NaHCO3 (aq) 및 CH2Cl2 사이에 분배시켰다. 수성층을 CH2Cl2로 역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물을 고 진공 하에서 15 분 동안 둔 후, 그 다음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미정제 잔류물을 EtOH (50 ㎖) 중에 용해시키고, NaBH4 (0.324 g, 8.76 mmol)를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20 분 후, 반응 혼합물을 AcOH로 켄칭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EtOAc 및 포화 NaHCO3 (aq)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이 분할되고,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50-100% EtOAc/Hex)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4f (1.91 g, 68%)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0.45 (s, 1H), 8.20 (s, 1H), 7.19 (d, J=4.3 Hz, 1H), 6.95 (d, J=4.7 Hz, 1H), 5.35 (d, J=5.2 Hz, 1H), 5.06 (t, J=5.7 Hz, 1H), 4.79-4.74 (m, 2H), 4.45 (t, J=5.8 Hz, 1H), 3.73-3.46 (m, 3H), 3.40-3.30 (m, 1H), 1.50 (s, 12H), 1.27 (s, 3H).
LC/MS: tR=1.45 min, MS m/z=437.09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2.4 min 2-100% ACN, 2.4 min-2.80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0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40
중간체 14g - tert -부틸 (7-((3aS,4S,6S,6aS)-6-((비스(4-메톡시페닐)(페닐)메톡시)메틸)-6-(히드록시메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3,4-d][1,3]디옥솔-4-일)피롤로[2,1-f][1,2,4]트리아진-4-일)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4f (1.15 g, 2.63 mmol)를 CH2Cl2 (50 ㎖) 중에 용해시키고, TEA (0.73 ㎖, 5.27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DMTrCl (1.35 g, 3.95 mmol)을 첨가하였다. 10 분 후, 반응 혼합물을 CH3OH로 켄칭시킨 후, CH2Cl2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포화 NaHCO3 (aq) 및 염수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0-100% EtOAc/Hex)에 의하여 정제하여 14g (1.95 g, 79%)를 회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0.46 (s, 1H), 8.23 (s, 1H), 7.56-7.07 (m, 10H), 7.07-6.70 (m, 5H), 5.24 (d, J=5.2 Hz, 1H), 5.04 (t, J=5.9 Hz, 1H), 4.93-4.71 (m, 2H), 3.80-3.59 (m, 7H), 3.52 (dd, J=10.9, 4.8 Hz, 1H), 3.25 (d, J=9.9 Hz, 1H), 3.09 (d, J=9.9 Hz, 1H), 1.50 (s, 9H), 1.25 (s, 3H), 1.21 (s, 3H).
LC/MS: tR=2.54 min, MS m/z=739.28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2.4 min 2-100% ACN, 2.4 min-2.80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0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41
중간체 14h - tert -부틸 (7-((3aS,4S,6R,6aS)-6-((비스(4-메톡시페닐)(페닐)메톡시)메틸)-6-(((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3,4-d][1,3]-디옥솔-4-일)피롤로[2,1-f][1,2,4]트리아진-4-일)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4g (1.53 g, 2.08 mmol)를 DMF (10 ㎖) 중에 용해시키고, 이미다졸 (0.42 g, 6.23 mmol)에 이어서 TBSCl (0.47 g, 3.11 mmol)을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반응을 메탄올로 켄칭시키고, EtOAc 및 5% LiCl(aq) 사이에 분배시켰다. 상이 분할되고, 유기층을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0-50% EtOAc/Hex)에 의하여 정제하여 14h (1.77 g, 78%)를 회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0.47 (s, 1H), 8.23 (s, 1H), 7.56-6.66 (m, 15H), 5.31 (d, J=4.9 Hz, 1H), 5.14 (dd, J=6.5, 4.9 Hz, 1H), 4.73 (d, J=6.5 Hz, 1H), 3.87 (d, J=9.7 Hz, 1H), 3.72 (s, 6H), 3.53 (d, J=9.7 Hz, 1H), 3.31 (m, 1H), 3.08 (d, J=9.8 Hz, 1H), 1.50 (s, 9H), 1.25 (s, 3H), 1.22 (s, 3H), 0.75 (s, 9H), -0.04 (s, 3H), -0.08 (s, 3H).
LC/MS: tR=2.34 min, MS m/z=853.50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1.0 min 2-100% ACN, 1.0 min-2.80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0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42
중간체 14i - tert -부틸 (7-((3aS,4S,6R,6aS)-6-(((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6-(히드록시메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3,4-d][1,3]디옥솔-4-일)피롤로[2,1-f][1,2,4]트리아진-4-일)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4h (1.38 g, 1.62 mmol)를 클로로포름 (20 ㎖) 중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0℃로 냉각시켰다. 그 후, CH3OH (16 ㎖) 중의 TsOH (0.34 g, 1.78 mmol)의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30 분 후, 반응을 포화 NaHCO3(aq)로 켄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 및 염수 사이에 분배시켰다. 층이 분할되고, 유기층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0-100% EtOAc/Hex)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4i (0.84 g, 94%)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0.42 (s, 1H), 8.20 (s, 1H), 7.19 (s, 1H), 6.89 (s, 1H), 5.37 (d, J=4.8 Hz, 1H), 5.05 (dd, J=6.2, 4.8 Hz, 1H), 4.71 (d, J=6.2 Hz, 1H), 4.51 (t, J=5.5 Hz, 1H), 3.70 (d, J=10.2 Hz, 1H), 3.59 (d, J=5.5 Hz, 2H), 3.49 (d, J=10.2 Hz, 1H), 1.49 (s, 12H), 1.28 (s, 3H), 0.82 (s, 9H), -0.01 (s, 3H), -0.02 (s, 3H).
LC/MS: tR=1.88 min, MS m/z=551.25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1.0 min 2-100% ACN, 1.0 min-2.80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0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43
중간체 14j - tert -부틸 (7-((3aS,4S,6R,6aS)-6-(((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6-시아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3,4-d][1,3]디옥솔-4-일)피롤로[2,1-f][1,2,4]트리아진-4-일)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4i (0.838 g, 1.52 mmol)를 DMSO (5 ㎖) 및 톨루엔 (3 ㎖) 중에 용해시켰다. 피리딘 (0.14 ㎖, 1.67 mmol) 및 EDCl (0.438 g, 2.28 mmol)에 이어서 TFA (0.057 ㎖, 0.761 mmol)를 첨가하였다. 30 분 후, 추가의 피리딘 (0.14 ㎖, 1.67 mmol) 및 EDCl (0.438 g, 2.28 mmol)을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추가의 피리딘 (0.14 ㎖, 1.67 mmol) 및 EDCl (0.438 g, 2.28 mmol)을 첨가하였다. 2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1/2 포화 NaHCO3(aq)로 켄칭시키고, EtOAc 및 1/2 포화 NaHCO3 (aq) 사이에 분배시켰다. 층이 분리되고, 유기층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CH2Cl2 중에 용해시키고, 고 진공 하에서 1 시간 동안 농축시켜 잔류물을 얻고, 이를 그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잔류물을 피리딘 (8 ㎖) 중에 용해시키고, 히드록실아민 염산염 (0.159 g, 2.28 mmol)을 한번에 첨가하였다. 15 분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EtOAc 및 물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고 진공 하에서 30 분 동안 두고, 제3의 단계에 그 상태로 사용하였다.
미정제 잔류물을 ACN (8 ㎖) 중에 용해시켰다. CDI (0.37 g, 2.28 mmol)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45 분 후, 추가의 CDI (0.37 g, 2.28 mmol)를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반응을 1/2 포화 NaHCO3(aq)로 켄칭시켰다. 미정제물을 EtOAc 및 1/2 포화 NaHCO3(aq) 사이에 분배시켰다. 층이 분리되고, 유기층을 Na2SO4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0-50% EtOAc/Hex)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4j (0.72 g, 87%)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0.53 (s, 1H), 8.25 (s, 1H), 7.21 (s, 1H), 7.00 (d, J=4.6 Hz, 1H), 5.62 (d, J=3.6 Hz, 1H), 5.28 (dd, J=6.6, 3.7 Hz, 1H), 4.93 (d, J=6.6 Hz, 1H), 3.83 (s, 2H), 1.62 (s, 3H), 1.50 (s, 9H), 1.33 (s, 3H), 0.83 (s, 9H), 0.00 (s, 6H).
LC/MS: tR=2.50 min, MS m/z=546.15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2.4 min 2-100% ACN, 2.4 min-2.80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0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44
중간체 14k - (3aS,4R,6S,6aS)-6-(4-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7-일)-4-(((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3,4-d][1,3]디옥솔-4-카르보니트릴
중간체 14j (0.688 g, 1.26 mmol)를 CH2Cl2 (15 ㎖) 중에 용해시켰다. 브롬화아연 (0.567 g, 2.52 mmol)을 한번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3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 로드 카트리지에 첨가하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40-100% EtOAc/Hex)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4k (0.56 g, 99%)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86 (s, 1H), 7.80 (s, 2H), 6.85 (d, J=4.5 Hz, 1H), 6.79 (d, J=4.5 Hz, 1H), 5.55 (d, J=3.7 Hz, 1H), 5.25 (dd, J=6.6, 3.8 Hz, 1H), 4.92 (d, J=6.6 Hz, 1H), 3.82 (s, 2H), 1.61 (s, 3H), 1.33 (s, 3H), 0.83 (s, 9H), -0.13 (s, 6H).
LC/MS: tR=2.27 min, MS m/z=446.68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2.4 min 2-100% ACN, 2.4 min-2.80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0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45
중간체 14l - N-(7-((3aS,4S,6R,6aS)-6-(((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6-시아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3,4-d][1,3]디옥솔-4-일)피롤로[2,1-f][1,2,4]-트리아진-4-일)아세트아미드
중간체 14k (0.20 g, 0.449 mmol)를 피리딘 (2 ㎖) 중에 용해시킨 후, 아세트산 무수물 (0.21 ㎖, 2.24 mmol)을 첨가하고, 반응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30 분 후, 반응 혼합물을 메탄올로 켄칭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0-100% EtOAc/Hex)에 의하여 직접 정제하여 중간체 14l (0.185 g, 85%)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0.87 (s, 1H), 8.31 (s, 1H), 7.24 (d, J=4.7 Hz, 1H), 7.05 (d, J=4.7 Hz, 1H), 5.65 (d, J=3.6 Hz, 1H), 5.29 (dd, J=6.6, 3.6 Hz, 1H), 4.93 (d, J=6.6 Hz, 1H), 3.84 (s, 2H), 2.36 (s, 3H), 1.62 (s, 3H), 1.33 (s, 3H), 0.83 (s, 9H), 0.00 (s, 3H), -0.01 (s, 3H).
LC/MS: tR=1.14 min, MS m/z=488.38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46
중간체 14m - N-(5-브로모-7-((3aS,4S,6R,6aS)-6-(((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6-시아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3,4-d][1,3]디옥솔-4-일)피롤로[2,1-f][1,2,4]트리아진-4-일)아세트아미드
중간체 14l (80 ㎎, 0.164 mmol)을 DMF (2 ㎖) 중에 용해시키고, NBS (29 ㎎, 0.164 mmol)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45 분 후, 반응을 메탄올로 희석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미정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0-50% EtOAc/Hex)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4m (50 ㎎, 54%)을 회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0.13 (s, 1H), 8.42 (s, 1H), 7.29 (s, 1H), 5.65 (d, J=3.2 Hz, 1H), 5.29 (dd, J=6.6, 3.2 Hz, 1H), 4.91 (d, J=6.5 Hz, 1H), 3.84 (d, J=1.6 Hz, 2H), 2.27 (s, 3H), 1.62 (s, 3H), 1.33 (s, 3H), 0.83 (s, 9H), 0.02 (s, 3H), 0.00 (s, 3H).
LC/MS: tR=1.79 min, MS m/z=566.40 [M+1];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47
중간체 14n - N-(7-((3aS,4S,6R,6aS)-6-(((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6-시아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3,4-d][1,3]디옥솔-4-일)-5-플루오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4-일)아세트아미드
중간체 14m (50 ㎎, 0.088 mmol)을 THF (2 ㎖) 중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78℃로 냉각하였다. nBuLi (헥산 중의 2.5M, 0.071 ㎖, 0.18 mmol)를 첨가하였다. 5 분 후, N-플루오로벤젠술폰이미드 (NSFI, 33.4 ㎎, 0.106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을 AcOH로 켄칭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미정제 잔류물을 역상 HPLC에 의하여 정제하여 중간체 14n (10 ㎎, 22%)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메탄올-d4) δ 8.13 (s, 1H), 6.80 (s, 1H), 5.65 (d, J=3.5 Hz, 1H), 5.23 (dd, J=6.7, 3.6 Hz, 1H), 4.97 (d, J=6.7 Hz, 1H), 3.92 (d, J=1.7 Hz, 2H), 2.37 (s, 3H), 1.70 (s, 3H), 1.38 (s, 3H), 0.90 (s, 9H), 0.08 (s, 6H).
19F NMR (376 MHz, 메탄올-d4) δ -156.43 (s).
LC/MS: tR=1.65 min, MS m/z=506.18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2.4 min 2-100% ACN, 2.4 min-2.80 min 100% ACN, 2.8 min-2.85 min 100%-2% ACN, 2.85 min-3.0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48
실시예 25 - ( 2R,3S,4R,5S )-5-(4-아미노-5- 플루오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3,4-디히드록시-2-(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카르보니트릴
중간체 14n (11 ㎎, 0.022 mmol)을 물 중의 50% TFA의 용액에 상온에서 취하였다. 2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고체 Na2CO3로 켄칭시켜 pH=8로 만들었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미정제 잔류물을 역상 HPLC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실시예 25를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방치하고, N6-아실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N6-아실 중간체 잔류물을 진한 NH4OH(aq) (1 ㎖) 중에서 취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30 분 후, 생성된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미정제 잔류물을 HPLC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실시예 25를 함유하는 분획을 미리 방치한 실시예 25를 함유하는 분획과 합하여 실시예 25 (4 ㎎, 58%)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메탄올-d6) δ 7.71 (s, 1H), 6.56 (s, 1H), 5.44 (d, J=5.6 Hz, 1H), 4.48 (t, J=5.6 Hz, 1H), 4.36 (d, J=5.5 Hz, 1H), 3.83 ((ABq, Δδ=0.05 ppm, J=12 Hz, 2H).
19F NMR (376 MHz, 메탄올-d4) δ -161.81 (s)
LC/MS: tR=0.47 min, MS m/z=310.13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3.00 ㎜; 용매: 0.1% 포름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을 갖는 물; 구배: 1.8 ㎖/min으로 0 min-1.4 min 2-100% ACN, 1.4 min-1.80 min 100% ACN, 1.8 min-1.85 min 100%-2% ACN, 1.85 min-2 min 2%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49
중간체 15a - tert -부틸 (7-((3aS,4S,6R,6aS)-6-(((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6-(클로로메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로[3,4-d][1,3]디옥솔-4-일)피롤로[2,1-f][1,2,4]트리아진-4-일)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4i (100 ㎎, 0.18 mmol)를 무수 피리딘 (5 ㎖) 중에 용해시켰다.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23 ㎕, 0.22 mmol)를 한번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5 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추가의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100 ㎕)를 첨가하였다. 30 분 후, 추가의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100 ㎕)를 첨가하였다. 추가의 30 분 후, 더 많은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100 ㎕)를 첨가하고, 반응을 30 분 동안 교반하고, 이 때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무수 DMF (5 ㎖) 중에 용해시키고, 염화리튬 (153 ㎎, 3.6 mmol)을 한번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로 희석하고,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 (3×20 ㎖)으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중의 0-20% 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중간체 15a를 얻었다.
MS m/z=569.0 [M+H]. MS 시스템: 써모 LCQ 어드밴티지
Figure 112020049088375-pat00150
실시예 26 - ( 2R,3S,4R,5S )-5-(4- 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2-(클로로메틸)-2-(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4-디올
중간체 15a를 TFA 및 물의 용액 (1:1, 5 ㎖) 중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잔류물을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및 아세토니트릴 중에 용해시키고, 분취용 HPLC에 의하여 정제하여 실시예 26 (19 ㎎, 34%)을 백색 분말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D2O) δ 7.61 (s, 1H), 6.72-6.64 (m, 2H), 5.19 (d, J=9.1 Hz, 1H), 4.73-4.66 (m, 1H), 4.28 (d, J=5.2 Hz, 1H), 3.78 (s, 2H), 3.72-3.57 (m, 2H).
MS m/z=315.3 [M+H]. MS 시스템: 써모 LCQ 어드밴티지
Figure 112020049088375-pat00151
실시예 27 ( 또한 TP7 ) - (( 2R,3R,4R,5S )-5-(4- 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2-아지도-4-플루오로-3-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테트라히드로겐 트리포스페이트
실시예 27은 실시예 19를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TP4에 대하여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테트라-나트륨 염으로서 생성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7.76 (s, 1H), 6.83 (d, J=4.4 Hz, 1H), 6.80 (d, J=4.8 Hz, 1H), 5.94 (d, J=25.2 Hz, 1H), 5.24 (dd, J=55.2, 5.2 Hz, 1H), 4.78 (dd, J=26.8, 5.2 Hz, 1H), 4.08-4.18 (m, 2H).
19F NMR (376 MHz, D2O) δ -193.74 - -194.02 (m).
31P NMR (162 MHz, D2O) δ -4.60 (d, J=53.2 Hz, 1P), -10.25 (d, J=48.4 Hz, 1P), -20.28 (t, J=48.4 Hz, 1P).
Figure 112020049088375-pat00152
실시예 28 - (( 2R,3R,4R,5S )-5-(4-아미노-5- 플루오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2-아지도-4-플루오로-3-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테트라히드로겐 트리포스페이트
실시예 28은 실시예 21을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TP4에 대하여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테트라-나트륨 염으로서 생성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7.64 (s, 1H), 6.60 (s, 1H), 5.90 (d, J=24.4 Hz, 1H), 5.20 (dd, J=54.8, 4.8 Hz, 1H), 4.72 (dd, J=27.2, 4.8 Hz, 1H), 4.05-4.18 (m, 2H).
19F NMR (376 MHz, D2O) δ -161.00 (s), -196.39 - -196.69 (m).
31P NMR (162 MHz, D2O) δ -8.24 (d, J=50.4 Hz), -14.20 (d, J=46.0 Hz), -24.08 (t, J=48.4 Hz).
MS m/z=567.87 [M+1]. MS 시스템: 써모 LCQ 어드밴티지
Figure 112020049088375-pat00153
실시예 29 - (( 2R,3R,4R,5S )-5-(4-아미노-2- 플루오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2-아지도-4-플루오로-3-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테트라히드로겐 트리포스페이트
실시예 29는 실시예 22를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TP4에 대하여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테트라-나트륨 염으로서 생성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6.81 (d, J=4.4 Hz, 1H), 6.75 (d, J=4.8 Hz, 1H), 5.81 (d, J=24.4 Hz, 1H), 5.16 (dd, J=54.4, 4.8 Hz, 1H), 4.70 (dd, J=26.8, 4.4 Hz, 1H), 4.02-4.12 (m, 2H).
19F NMR (376 MHz, D2O) δ -75.95 (s), -196.51 - -196.80 (m).
31P NMR (162 MHz, D2O) δ -8.29 (d, J=53.2 Hz), -14.22 (d, J=48.4 Hz), -24.09 (t, J=48.4 Hz).
MS m/z=567.59 [M+1]. MS 시스템: 써모 LCQ 어드밴티지
Figure 112020049088375-pat00154
실시예 30 - (( 2R,3R,4R,5S )-5-(4-아미노-5- 플루오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2-시아노-4-플루오로-3-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테트라히드로겐 트리포스페이트
실시예 30은 실시예 23을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TP4에 대하여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테트라-나트륨 염으로서 생성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7.64 (s, 1H), 6.57 (s, 1H), 5.87 (d, J=24.8 Hz, 1H), 5.26 (dd, J=53.6, 4.0 Hz, 1H), 4.82 (dd, J=25.2, 4.4 Hz, 1H), 4.26-4.35 (m, 2H).
19F NMR (376 MHz, D2O) δ -161.05 (s), -194.92 - -195.19 (m).
31P NMR (162 MHz, D2O) δ -8.22 (d, J=50.8 Hz), -14.48 (d, J=48.4 Hz), -24.01 (t, J=48.4 Hz).
MS m/z=551.91 [M+1]. MS 시스템: 써모 LCQ 어드밴티지
Figure 112020049088375-pat00155
실시예 31 ( 또한 TP11 ) - (( 2R,3R,4R,5S )-5-(4- 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4-플루오로-3-히드록시-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테트라히드로겐 트리포스페이트
실시예 31은 실시예 24를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TP4에 대하여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테트라-나트륨 염으로서 생성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7.66 (s, 1H), 6.78 (d, J=4.8 Hz, 1H), 6.72 (d, J=4.4 Hz, 1H), 5.58 (dd, J=23.6, 2.4 Hz, 1H), 5.16 (ddd, J=55.2, 5.2, 2.8 Hz, 1H), 4.51 (dd, J=23.2, 5.2 Hz, 1H), 3.88 (dd, J=11.6, 6.0 Hz, 1H), 3.78 (dd, J=10.8, 4.0 Hz, 1H), 1.2 (s, 3H).
19F NMR (376 MHz, D2O) δ -195.74 - -196.01 (m).
31P NMR (162 MHz, D2O) δ -8.24 (d, J=50.4 Hz), -13.54 (d, J=45.6 Hz), -24.11 (t, J=48.0 Hz).
Figure 112020049088375-pat00156
실시예 32 ( 또한 TP12 ) - ((2R,3S,4R,5S)-5-(4-아미노-5-플루오로피롤로[2,1-f][1,2,4]트리아진-7-일)-2-시아노-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테트라히드로겐 트리포스페이트
실시예 32는 실시예 25를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TP4에 대하여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테트라-나트륨 염으로서 생성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7.59 (s, 1H), 6.57 (s, 1H), 5.44 (d, J=6.0 Hz, 1H), 4.56 (d, J=5.2 Hz, 1H), 4.48 (dd, J=5.6 Hz, 1H), 4.16 (dd, J=11.6, 6.0 Hz, 1H), 4.08 (dd, J=11.2, 5.2 Hz, 1H).
19F NMR (376 MHz, D2O) δ -161.25 (s).
31P NMR (162 MHz, D2O) δ -8.29 (d, J=48.4 Hz), -14.49 (d, J=53.2 Hz), -24.15 (t, J=48.4 Hz).
MS m/z=549.90 [M+1]. MS 시스템: 써모 LCQ 어드밴티지
Figure 112020049088375-pat00157
실시예 33 ( 또한 TP13 ) - (( 2R,3S,4R,5S )-5-(4- 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 -7-일)-2-(클로로메틸)-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테트라히드로겐 트리포스페이트
실시예 33은 실시예 26을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TP3에 대하여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테트라-나트륨 염으로서 생성하였다.
1H NMR (400 MHz, D2O) δ 7.76 (s, 1H), 6.92 (br s, 1H), 6.85 (br s, 1H), 5.32 (d, J=9.6 Hz, 1H), 4.78 (dd, J=8, 6.4 Hz, 1H), 4.53 (d, J=5.6 Hz, 1H), 4.08 (dd, J=10.0, 4.0 Hz, 1H), 3.83-3.95 (m, 3H), 3.07 (q, J=7.6 Hz, 24H), 1.16 (t, J=7.6 Hz, 36H).
31P NMR (162 MHz, D2O) δ -9.44 (d, J=45.6 Hz), -11.51 (d, J=48.8 Hz), -22.95 (t, J=48.4 Hz).
MS m/z=555.06 [M+1]. MS 시스템: 써모 LCQ 어드밴티지
Figure 112020049088375-pat00158
실시예 34 ( 또한 PD6 ) - (2S)-2- 에틸부틸 2-(((((2R,3R,4R,5S)-5-(4-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7-일)-2-시아노-4-플루오로-3-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톡시)(펜옥시)포스포릴)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
실시예 1 (3.8 ㎎, 0.013 mmol)을 무수 N-메틸-2-피롤리돈 (0.2 ㎖) 중에 용해시키고, THF (0.1 ㎖)를 아르곤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그 후, tert-부틸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THF 중의 1 M, 20 ㎕, 0.024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백색 고체가 침전되었다. 5 분 후, THF (0.1 ㎖) 중의 p-니트로페닐포스포르아미데이트 PD3c (12 ㎎, 0.026 mmol)의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한번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50℃로 가열하였다. 20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한 후, 분취용 HPLC (페노미넥스 시너지 4u 히드로-RR 80Å 150×30 ㎜ 컬럼, 40-100% 아세토니트릴/물 구배)에 의하여 직접 정제하였다. 원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동결건조시켜 실시예 34 (2.9 ㎎, 37%, 3:2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 δ 7.80 (s, 0.3H), 7.78 (s, 0.6H), 7.38-7.10 (m, 5H), 6.85 (br dd, J=4.7, 2.2 Hz, 1H), 6.75-6.71 (m, 1H), 5.54-5.46 (m, 1H), 4.65-4.58 (m, 1H), 4.53-4.31 (m, 3H), 4.07-3.84 (m, 3H), 1.54-1.39 (m, 1H), 1.38-1.19 (m, 7H), 0.92-0.81 (m, 6H) 29H
31P NMR (162 MHz, CD3OD) δ 3.25 (br s).
LC/MS: tR=1.55 min, MS m/z=603.19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HPLC: tR=2.98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Figure 112020049088375-pat00159
실시예 35 ( 또한 PD7 ) - (2S)-에틸 2-(((((2R,3S,4R,5S)-5-(4-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7-일)-2-시아노-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톡시)(펜옥시)포스포릴)아미노) 프로파노에이트
실시예 1 (19 ㎎, 65.3 ㎛ol)을 NMP (0.2 ㎖) 중에 용해시켰다. THF (0.1 ㎖)에 이어서 tert-부틸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1.0M 용액, 0.098 ㎖)를 실온에서 아르곤 대기 하에서 첨가하였다. 5 분 후, THF (0.1 ㎖) 중의 중간체 PD7a (US20120009147A1에 의하여 생성됨, 51.4 ㎎, 130 ㎛ol)의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50℃로 가온시켰다. 1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고, 분취용 HPLC (페노미넥스 시너지 4u 히드로-RR 80Å 150×30 ㎜ 컬럼, 5-100% 아세토니트릴/물 구배)에 의하여 직접 정제하였다. 생성물 함유 분획을 합하고,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분취용 HPLC (페노미넥스 루나 5u C18 100×30 ㎜ 컬럼, 5-100% 아세토니트릴/물 구배)에 의하여 재정제하여 실시예 35 (12 ㎎, 34%, 부분입체이성질체의 3:2 혼합물)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 δ 7.80 (d, J=2.3 Hz, 0.4H), 7.78 (d, J=2.3 Hz, 0.6H), 7.36-7.12 (m, 5H), 6.88-6.81 (m, 1H), 6.76-6.70 (m, 1H), 5.53-5.46 (m, 1H), 4.66-4.60 (m, 1H), 4.55-4.30 (m, 3H), 4.15-3.98 (m, 2H), 3.93-3.79 (m, 1H), 1.30-1.12 (m, 6H).
31P NMR (162 MHz, CD3OD) δ 3.27 (br s).
LC/MS: 주요 부분입체이성질체 tR=1.28 min, MS m/z=547.14 [M+H], 소수의 부분입체이성질체 tR=1.30 min, MS m/z=547.04 [M+H]; LC 시스템: 써모 아셀라 1250 UHPLC; MS 시스템: 써모 LCQ 플리트; 컬럼: 키네텍스 2.6μ XB-C18 100A, 50×4.6 mm; 용매: 0.1% 아세트산을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아세트산을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2.0 min 2-100% ACN, 2.0 min-3.05 min 100% ACN, 3.05 min-3.2 min 100%-2% ACN, 3.2 min-3.5 min 2% ACN
HPLC: 주요 부분입체이성질체 tR=2.44 min, 소수의 부분입체이성질체 tR=2.46 min; HPLC 시스템: 아질런트 1100 시리즈; 컬럼: 제미니 5μ C18 110A, 50×4.6 ㎜; 용매: 0.1% TFA를 갖는 아세토니트릴, 0.1% TFA를 갖는 물; 구배: 2 ㎖/min으로 0 min-5.0 min 2-98% ACN, 5.0 min-6.0 min 98% ACN.
또한, 하기 화학식 (A), 화학식 (B), 화학식 (C), 화학식 (D) 및 화학식 (E)의 화합물을 각각 포함하는 별도의 실시양태가 제공된다:
Figure 112020049088375-pat00160
(상기 식에서, 각각의 경우에서 X1은 산소 보호기를 나타내며, X2는 아민 보호기를 나타냄).
유용한 산소 보호기로는 실릴 에테르 보호기 또는, 메톡시벤질 기를 비롯한 벤질-타입 보호기를 들 수 있다.
유용한 실릴 에테르 보호기로는 트리메틸실릴 (TMS), 트리에틸실릴 (TES), 디메틸이소프로필실릴 (IPDMS), 디에틸이소프로필실릴 (DEIPS), 디메틸헥실실릴 (TDS), t-부틸디메틸실릴 (TBS 또는 TBDMS), t-부틸디페닐실릴 (TBDPS), 트리벤질실릴, 트리-p-크실릴실릴, 트리이소프로필실릴 (TIPS), 디페닐메틸실릴 (DPMS), 디-t-부틸메틸실릴 (DTBMS), 트리페닐실릴 (TPS), 메틸디페닐실릴 (MDPS), t-부틸메톡시페닐실릴, 트리스(트리메틸실릴)실릴 (시실), (2-히드록시스티릴)디메틸실릴 (HSDMS), (2-히드록시스티릴)디이소프로필실릴(HSDIS). t-부틸메톡시페닐실릴 (TBMPS) 및 t-부톡시디페닐실릴 (DPTBOS) 보호기를 들 수 있다.
유용한 벤질-타입 보호기로는 벤질, 할로겐화 벤질, p-메톡시벤질, 벤질옥시메틸, 2,4-디메톡시벤질, 3,4-디메톡시벤질, 2,6-디메톡시벤질, p-CF3-벤질, p-메틸벤질, p-메톡실벤질, 3,5-디메틸벤질, p-tert-부틸벤질, o-니트로벤질, p-니트로벤질, p-Br-벤질을 비롯한 p-할로벤질, 2,6-디클로로벤질, p-시아노벤질, p-페닐벤질, 2,6-디플루오로벤질, p-아실아미노벤질 (PAB), p-아지도벤질 (Azb), 4-아지도-3-클로로벤질, 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 p-(메틸술피닐)벤질, 2-피콜릴, 4-피콜릴, 3-메틸-2-피콜릴 N-옥시도, 2-퀴놀리닐메틸, 디페닐메틸 (DPM), p,p'-디니트로벤즈히드릴, 트리페닐메틸, α-나프틸디페닐메틸, p-메톡시페닐디페닐메틸, 디(p-메톡시페닐)페닐메틸, 트리(p-메톡시페닐)메틸, 4,4',4"-트리스(벤조일옥시페닐)메틸 및 2-나프틸메틸 보호기를 들 수 있다.
유용한 아민 보호기로는 p-메톡시벤질 카르보닐 (Moz 또는 MeOZ), 아세틸 (Ac), 벤조일 (Bz), p-메톡시벤질 (PMB), 3,4-디메톡시벤질 (DMPM), p-메톡시페닐 (PMP), 토실 (Ts 또는 Tos),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및 트리틸 보호기를 들 수 있다. 유용한 아민 보호기로는 또한 카르바메이트 및 아미드 보호기를 들 수 있다. 카르바메이트 보호기의 예로는 메틸 및 에틸 카르바메이트, 예컨대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 (FMOC), 9-(2-술포)플루오레닐메틸, 9-(2,7-디브로모)플루오레닐메틸, 17-테트라벤조[a,c,g,i]플루오레닐메틸 (Tbfmoc), 2-클로로-3-인데닐메틸 (Climoc), 벤즈[f]인덴-3-일메틸 (Bimoc), 2,7-디-t-부틸[9-(10,10-디옥소-10,10,10,10-테트라히드로티옥사닐)]메틸 (DBD-Tmoc), [2-(1,3-디티아닐)메틸 (Dmoc) 및 1,1-디옥소벤조[b]티오펜-2-일메틸 (Bsmoc) 카르바메이트를 들 수 있다.
유용한 치환된 에틸 카르바메이트의 예로는 1,1-디메틸-2-시아노에틸, 2-포스포니오에틸 (Peoc), 2-메틸티오에틸, 2-(p-톨루엔술포닐)에틸, 2,2,2,-트리클로로에틸 (Troc), 2-(트리메틸실릴)에틸 (Teoc), 2-페닐에틸 (hZ), 1-(1-아다만틸)-1-메틸에틸 (Adpoc), 1,1-디메틸-2-브로모에틸, 1,1-디메틸-2-클로로에틸, 1,1-디메틸-2,2-디브로모에틸 (DB-t-BOC), 1,1-디메틸-2,2,2-트리클로로에틸 (TCBOC), 1-메틸-1-(4-비페닐릴)에틸 (Bpoc), 1-(3,5-디-t-부틸페닐)-1-메틸에틸 (t-Bumeoc), 2-(2'피리딜)에틸, 2-(4'피리딜)에틸, 2,2-비스(4'-니트로페닐)에틸 (Bnpeoc), N-(2-피발로일아미노)-1,1,디메틸에틸, 2-[(2-니트로페닐)디티오]-1-페닐에틸 (NpSSPeoc), 2-(N,N-디시클로헥실카르복스아미도)에틸, t-부틸 (Boc 또는 BOC), 1-아다만틸 (1-Adoc), 2-아다만틸 (2-Adoc), 비닐 (Voc), 알릴 (Aloc 또는 alloc), 1-이소프로필알릴 (Ipaoc), 신나밀 (Coc), 4-니트로신나밀 (Noc), 3-(3'-피리딜)프로프-2-에닐 (Paloc), 8-퀴놀릴 및 N-히드록시피페리디닐, 카르바메이트뿐 아니라, 메틸디티오, 에틸디티오, 이소프로필디티오, t-부틸디티오 및 페닐디티오 카르바메이트를 비롯한 알킬디티오 카르바메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아릴-함유 및 치환된 아릴-함유 카르바메이트, 예컨대 벤질, p-메톡시벤질, p-니트로벤질, p-브로모벤질, p-클로로벤질, 2,4-디클로로벤질, 4-메틸술피닐벤질 (Msz), 9-안트릴메틸, 4-메틸티오페닐 (Mtpc), 1-메틸-1-(트리페닐포스포니오)에틸 (2-트리페닐포스포니오이소프로필) (Ppoc), 2-단실에틸 (Dnseoc), 2-(4-니트로페닐)에틸 (Npeoc), 4-페닐아세톡시벤질 (PhAcOZ), 4-아지도벤질 (ACBZ), 4-아지도메톡시벤질, m-클로로-p-아실옥시벤질, p-(디히드록시보릴)벤질, 카르보벤질옥시 (Cbz), 4-벤즈이속사졸릴메틸 (Bic), 2-(트리플루오로메틸)-6-크로모닐메틸 (Tcroc), 페닐 및 디페닐메틸 카르바메이트가 유용하다. 추가의 카르바메이트로는 부티닐,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프로필메틸, 1-메틸시클로부틸, 1-메틸시클로헥실, 1,1-디메틸프로피닐 및 1-메틸-1-시클로프로필메틸 카르바메이트를 들 수 있다.
아민의 경우 유용한 아미드 보호기로는 N-포르밀, N-아세틸, N-클로로아세틸, N-트리클로로아세틸, N-트리플루오로아세틸 (TFA), N-페닐아세틸, N-3-페닐프로피오닐, N-4-펜테노일, N-피콜리노일, N-3-피리딜카르복스아미도, N-벤조일페닐알라닐, N-벤조일 및 N-p-페닐벤조일 아미드를 들 수 있다.
항바이러스성 활성
또 다른 실시양태는 바이러스 감염의 억제를 필요로 할 것으로 의심되는 대상체 또는 샘플을 본원의 조성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의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는 바이러스를 함유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샘플이 천연 또는 인조 물질, 예컨대 살아있는 유기체; 조직 또는 세포 배양물; 생물학적 샘플, 예컨대 생물학적 물질 샘플 (혈액, 혈청, 소변, 뇌척수액, 눈물, 가래, 타액, 조직 샘플 등); 실험실 샘플; 음식, 물 또는 공기 샘플; 바이오생성물 샘플, 예컨대 원하는 당단백질을 합성하는 세포, 특히 재조합 세포의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통상적으로 샘플은 바이러스 감염을 유도하는 유기체, 종종 병원성 유기체, 예컨대 종양 바이러스를 함유하는 것으로 의심될 것이다. 샘플은 물 및 유기 용매/물 혼합물을 포함하는 임의의 매체 중에 함유될 수 있다. 샘플은 살아있는 유기체, 예컨대 인간 및 인조 물질, 예컨대 세포 배양물을 포함한다.
필요할 경우, 조성물의 적용후 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은 상기 활성을 측정하는 직접 및 간접 방법을 비롯한 임의의 방법에 의하여 관찰될 수 있다. 상기 활성을 측정하는 정량적, 정성적 및 반정량적 방법도 모두 고려한다. 통상적으로 그러나 상기 기재된 스크리닝 방법 중 하나는 임의의 기타 방법, 예컨대 살아있는 유기체의 생리학적 성질의 관찰도 또한 적용 가능하다.
화합물의 항바이러스성 활성은 공지되어 있는 표준 스크리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합물의 항바이러스성 활성은 하기 일반적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 RSV ) 항바이러스성 활성 및 세포독성 검정
항- RSV 활성
RSV에 대한 항바이러스성 활성은 HEp-2 세포에서 전염성 세포병변 세포 보호 검정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이러한 검정에서, 바이러스 감염 및/또는 복제를 억제하는 화합물은 세포 생육성 시약 (cell viability reagent)을 사용하여 정량화될 수 있는, 바이러스-유도된 세포 사멸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를 생성한다. 여기서 사용된 기법은 공개된 문헌에 기재된 방법의 신규한 변형이다 (Chapman et al.,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07, 51(9):3346-53).
HEp-2 세포를 ATCC (미국 버지니아주 머내서스 소재)로부터 입수하고, 10% 태아 소 혈청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보충된 MEM 매체 중에서 유지하였다. 세포를 주당 2회 계대접종하고, 전면생장률 미만(subconfluent) 단계에서 유지하였다. HEp-2 세포에서의 바람직한 세포병변 효과를 생성하는 바이러스 스톡의 적절한 희석률을 결정하기 위하여 화합물을 테스트하기 이전에 RSV 균주 A2 (어드밴스드 바이오테크놀로지즈(Advanced Biotechnologies), 미국 매릴랜드 컬럼비아 소재)의 시판 스톡을 적정하였다.
항바이러스성 테스트의 경우, HEp-2 세포를 커다란 세포 배양 플라스크 내에서 완전하지는 않지만 거의 전면생장률까지 성장시킨다. 테스트하는 화합물을 DMSO 중에서 384-웰 화합물 희석 플레이트 내에서 플레이트 표준화된 용량 반응 포맷당 8 또는 40개의 샘플 중에서 사전희석한다. 각각의 테스트 화합물의 3-배 연속 희석 증분을 플레이트 내에서 제조하고, 테스트 샘플을 웰당 100 nl에서 음향 전달 장치 (에코(Echo), 랩사이트(Labcyte))에 의하여 세포 배양 검정 384-웰 플레이트로 전달하였다. 각각의 화합물 희석물은 단일 또는 4개의 샘플로 건조 검정 플레이트로 옮기고, 이를 검정이 진행될 준비가 될 때까지 보관한다. 양성 및 음성 대조군은 수직 블록으로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반대편에 두었다 (1 컬럼).
그 후, 전염성 혼합물은 세포를 사용한 적정에 의하여 미리 결정한 바이러스 스톡의 적절한 희석물을 사용하여 50,000/㎖의 밀도로 제조하고, 20 ㎕/웰을 자동화 (유플로우(uFlow), 바이오텍(Biotek))에 의하여 테스트 플레이트 w/화합물에 첨가한다. 각각의 플레이트는 0% 및 100% 바이러스 억제 표준물질 각각을 생성하는 음성 및 양성 대조군을 포함한다 (각각 16개 반복물). RSV를 사용한 감염 후, 테스트 플레이트를 4 일 동안 37℃ 세포 배양물 배양기 내에서 배양한다. 배양 후, 세포 생육성 시약인 셀 타이터글로(Cell TiterGlo) (프로메가(Promega), 미국 위스컨신 매디슨 소재)를 검정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간단히 배양하고, 검정 플레이트 모두에서 발광 판독을 측정한다 (인비젼(Envision), 퍼킨 엘머(Perkin Elmer)). RSV-유도된 세포병변 효과인 억제율은 잔류 세포 생육성의 레벨로부터 결정된다. 이들 수치는 0% 및 100% 억제 대조군에 대하여 각각 테스트한 농도에 대하여 계산하고, 각각의 화합물에 대한 EC50 값은 RSV-유도된 세포병변 효과를 50% 억제하는 농도로서 비선형 회귀에 의하여 측정한다. 다양한 유효 항-RSV 도구 화합물을 항바이러스성 활성에 대한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한다.
HEp -2 세포에서의 세포독성 검정
테스트한 화합물의 세포독성은, 기타 세포 유형에 대하여 상기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세포 생육성 시약을 사용하여 항바이러스성 활성과 동시에 감염되지 않은 HEp-2 세포에서 측정한다 (Cihlar et al.,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08, 52(2):655-65). 세포를 RSV로 감염시키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화합물 세포독성의 측정에 항바이러스성 활성의 측정에 대하여서와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그 대신, 동일한 밀도의 감염되지 않은 세포 혼합물을 또한 100 nl/샘플에서 사전희석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플레이트에 20 ㎕/웰에서 첨가하였다. 그 후, 검정 플레이트를 4 일 동안 배양한 후, 동일한 셀타이터 글로 시약 첨가 및 발광 판독의 측정을 사용하여 세포 생육성을 테스트한다. 무처치 세포 및, 2 μM 푸로마이신 (시그마(Sigma),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으로 처치한 세포가 100% 및 0% 세포 생육성 대조군 각각으로서 사용된다. 세포 생육성의 비율은 0% 및 100% 대조군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테스트한 화합물 농도에 대하여 계산하고, CC50 값은 세포 생육성을 50% 감소시키는 화합물의 농도로서 비-선형 회귀에 의하여 측정한다.
MT-4 세포에서의 세포독성 검정
MT-4 세포주는 NIH AIDS 리서치 앤 레퍼런스 리에이전트 프로그램(Research and Reference Reagent Program) (미국 매릴랜드주 제르맨타운)으로부터 입수하고, 10% FBS, 100 단위/㎖ 페니실린, 100 단위/㎖ 스트렙토마이신 및 2 mM L-글루타민이 보충된 RPMI-1640 배지 (어빈 사이언티픽(Irvine Scientific),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 아나 소재, Cat #9160) 내에서 배양한다. MT-4 세포를 주당 2회 계대접종하여 0.6×106 세포/㎖ 미만의 세포 농도를 유지하였다. 26 nM 내지 530 μM 범위내의 3-배 연속 희석된 100배 농도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완전 RPMI-1640 배지를 블랙 384-웰 플레이트로 4회 스탬핑 처리하였다. 화합물 첨가후, 마이크로플로(MicroFlo) 액체 분배기 (바이오텍(BioTek), 미국 버몬트주 위누스키 소재)를 사용하여 각각의 웰에 2×103 MT-4 세포를 첨가하고, 세포를 5 일 동안 37℃에서 5% CO2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가 25℃에서 평형을 이루도록 하고, 25 ㎕의 셀-타이터 글로 생육성 시약을 첨가하여 세포 생육성을 측정하였다. 혼합물을 10 분 동안 25℃에서 인큐베이션하고, 발광 신호를 빅터(Victor) 발광 플레이트 판독기에서 정량화하였다. CC50 값은 셀-타이터 글로 신호에 의하여 결정시 세포 생육성이 50% 감소되는 화합물의 농도로서 정의된다. 데이터는 파이프라인 파일럿 플레이트 데이타 분석 수집 소프트웨어 (버젼 7.0, 액셀리스(Accelrys),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 디에고 소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CC50 값은 하기 4-파라미터 S자형 용량-반응 방정식을 사용하여 비선형 회귀 분석으로부터 계산하였다: Y=하부+(상부-하부)/(1+10^[(Log CC50-X)*힐슬로프(HillSlope)]) (여기서 상부(top) 및 하부(bottom)는 각각 100% 및 0% 세포 생육성에서 고정됨). CC50 값은 3회 독립 실험의 평균±표준 편차로서 계산하였다.
Figure 112020049088375-pat00161
Figure 112020049088375-pat00162
또 다른 잇점은 MT-4 세포독성에 관하여 R4 치환이 없는 화합물 (즉 R4=H인 것)에 비하여 R4 치환을 갖는 화합물이 제공하는 잇점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 (2S,3R,4S,5R)-2-(4-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7-일)-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4-디올 (Patil, S. A.; Otter, R. A.; Klein, R. S. Tetrahedron Lett . 1994, 35, 5339-5342)은 MT-4 CC50=0.007 μM을 나타내는 반면:
Figure 112020049088375-pat00163
실시예 1, 4, 5, 20 및 26 모두는 MT-4 CC50>53 μM을 나타낸다. 게다가,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 (2R,3R,4R,5S)-5-(4-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7-일)-4-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올 (WO2012037038A1)은 MT-4 CC50=30 μM을 나타내는 반면:
Figure 112020049088375-pat00164
실시예 2, 3, 13 및 14 모두는 MT-4 CC50>106 μM을 나타낸다.
또 다른 잇점은 HEp-2 항-RSV 활성에 관하여 R4 치환이 없는 화합물 (즉 R4=H인 것)에 비하여 R4 치환을 갖는 R3=F 화합물이 제공하는 잇점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 (2R,3R,4R,5S)-5-(4-아미노피롤로[1,2-f][1,2,4]트리아진-7-일)-4-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올 (WO2012037038A1)은 HEp-2 EC50=>100 μM을 갖는 반면; 실시예 2, 3, 13, 14, 19, 21, 22, 23 및 24 모두는 EC50=<100 μM을 나타낸다.
RSV RNP 제조
RSV 리보핵산단백질 (RNP) 복합체는 문헌 [Mason et al. (1)]로부터 변형된 방법으로부터 제조하였다. HEp-2 세포를 MEM+10% 태아 소 혈청 (FBS) 중의 7.1×104 세포/㎠의 밀도로 플레이팅시키고, 밤새 37℃에서 (5% CO2) 부착되도록 하였다. 부착 후, 세포를 35 ㎖ MEM+2% FBS 중의 RSV A2 (MOI=5)로 감염시켰다. 감염후 20 시간에, 배지를 2 ㎍/㎖ 악티노마이신 D가 보충된 MEM+2% FBS로 대체하고, 1 시간 동안 37℃가 되게 하였다. 그 후, 세포를 PBS로 1회 세정하고, 35 ㎖의 PBS+250 ㎍/㎖ 리소-레시틴으로 1 분 동안 처리한 후, 모든 액체를 흡입시켰다. 세포를 1.2 ㎖의 완충액 A [50 mM TRIS 아세테이트 (pH 8.0), 100 mM 아세트산칼륨, 1 mM DTT 및 2 ㎍/㎖ 악티노마이신 D]로 스크레이핑시켜 수거하고, 18 게이지 니들을 통하여 반복된 통과에 의하여 용해시켰다 (10회). 세포 용해물을 얼음에서 10 분 동안 둔 후, 2,400g에서 10 분 동안 4℃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 (S1)을 제거하고, 펠릿 (P1)을 18 게이지 니들을 통한 반복된 통과에 의하여 1% 트리톤(Triton) X-100이 보충된 600 ㎕의 완충액 B [10 mM TRIS 아세테이트 (pH 8.0), 10 mM 아세트산칼륨 및 1.5 mM MgCl2] 중에서 파괴시켰다 (10회). 재현탁된 펠릿을 얼음에 10 분 동안 둔 후, 2,400g에서 10 분 동안 4℃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 (S2)을 제거하고, 펠릿 (P2)을 0.5% 데옥시콜레이트 및 0.1% 트윈 40이 보충된 600 ㎕의 완충액 B 중에서 파괴시켰다. 재현탁된 펠릿을 얼음에서 10 분 동안 둔 후, 2,400g에서 10 분 동안 4℃에서 원심분리하였다. 농축된 RSV RNP 복합체를 함유하는 상청액 (S3) 분획을 수집하고, 단백질 농도를 280 ㎚에서의 UV 흡광도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분취된 RSV RNP S3 분획을 -80℃에서 저장하였다.
RSV RNP 검정
전사 반응물은 30 ㎕의 반응 완충액 [50 mM TRIS-아세테이트 (pH 8.0), 120 mM 아세트산칼륨, 5% 글리세롤, 4.5 mM MgCl2, 3 mM DTT, 2 mM 에틸렌글리콜-비스(2-아미노에틸에테르)-테트라아세트산 (EGTA), 50 ㎍/㎖ BSA, 2.5 U RNasin (프로메가), ATP, GTP, UTP, CTP 및 1.5 μCi [α-32P] NTP (3,000 Ci/mmol)] 중의 25 ㎍의 미정제 RSV RNP 복합체를 함유하였다. 전사 검정에 사용된 방사선표지된 뉴클레오티드는 RSV RNP 전사의 억제에 대해 평가되는 뉴클레오티드 유사체와 매치되도록 선택하였다. 저온의 경쟁적 NTP를 그의 Km (ATP=20 μM, GTP=12.5 μM, UTP=6 μM 및 CTP=2 μM)의 절반의 최종 농도로 첨가하였다. 3개의 잔존하는 뉴클레오티드를 100 μM의 최종 농도로 첨가하였다.
뉴클레오티드 유사체가 RSV RNP 전사를 억제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5-배 증분으로 6 단계 연속 희석을 사용하여 화합물을 첨가하였다. 30℃에서 90 분 인큐베이션 후, 350 ㎕의 키아겐(Qiagen) RLT 용해 완충액을 사용하여 RNP 반응을 중지시키고, 키아겐 RNeasy 96 키트를 사용하여 RNA를 정제하였다. 정제된 RNA를 RNA 샘플 로딩 완충액 (시그마) 중에서 65℃에서 10 분 동안 변성시키고, 2M 포름알데히드를 함유하는 1.2% 아가로스/MOPS 겔 위에서 전개시켰다. 아가로스 겔을 건조시키고, 스톰(Storm) 포스포르이미저 스크린(phosphorimager screen)에 노출시키고, 스톰 포스포르이미저 (GE 헬쓰케어(GE Healthcare))를 사용하여 현상하였다. 전체 방사선표지된 전사물을 50% 감소시키는 화합물의 농도 (IC50)는 2회 반복물의 비-선형 회귀 분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문헌
Mason, S., Lawetz, C., Gaudette, Y., Do, F., Scouten, E., Lagace, L., Simoneau, B. and Liuzzi, M. (2004) Polyadenylation-dependent screening assay for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NA transcriptase activity and identification of an inhibitor. Nucleic Acids Research, 32, 4758-4767.
Figure 112020049088375-pat00165
추가의 고려사항은 예시된 화합물이 2'CMe 치환을 갖는 화합물에 비하여 RSV RNP 전사의 유효한 억제를 나타낸다는 잇점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하기 구조를 갖는 ((2R,3R,4R,5S)-5-(4-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7-일)-3,4-디히드록시-4-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테트라히드로겐 트리포스페이트 (WO2008089105A2 및 WO2010002877A2)는 IC50=8.5 μM을 나타내는 반면:
Figure 112020049088375-pat00166
실시예 TP3은 IC50=0.025 μM을 나타낸다. 게다가,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 ((2R,3R,4R,5S)-5-(4-아미노피롤로[2,1-f][1,2,4]트리아진-7-일)-4-플루오로-3-히드록시-4-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테트라히드로겐 트리포스페이트 (WO 2011035231 A1)는 IC50=>100 μM을 나타내는 반면:
Figure 112020049088375-pat00167
실시예 TP1는 IC50=0.086 μM을 나타내며, TP2는 IC50=1 μM을 나타낸다.

Claims (2)

  1. 하기 화학식 (A), 화학식 (B), 화학식 (C), 화학식 (D) 및 화학식 (E)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Figure 112020096237058-pat00170

    상기 식에서,
    R1은 H 또는 F이고,
    X1은 산소 보호기로서,
    트리메틸실릴 (TMS), 트리에틸실릴 (TES), 디메틸이소프로필실릴 (IPDMS), 디에틸이소프로필실릴 (DEIPS), 디메틸헥실실릴 (TDS), t-부틸디메틸실릴 (TBS 또는 TBDMS), t-부틸디페닐실릴 (TBDPS), 트리벤질실릴, 트리-p-크실릴실릴, 트리이소프로필실릴 (TIPS), 디페닐메틸실릴 (DPMS), 디-t-부틸메틸실릴 (DTBMS), 트리페닐실릴 (TPS), 메틸디페닐실릴 (MDPS), t-부틸메톡시페닐실릴, 트리스(트리메틸실릴)실릴 (시실), (2-히드록시스티릴)디메틸실릴 (HSDMS), (2-히드록시스티릴)디이소프로필실릴(HSDIS), t-부틸메톡시페닐실릴 (TBMPS) 및 t-부톡시디페닐실릴 (DPTBOS)로부터 선택된 실릴 에테르 보호기; 또는
    벤질, 할로겐화 벤질, p-메톡시벤질, 벤질옥시메틸, 2,4-디메톡시벤질, 3,4-디메톡시벤질, 2,6-디메톡시벤질, p-CF3-벤질, p-메틸벤질, p-메톡실벤질, 3,5-디메틸벤질, p-tert-부틸벤질, o-니트로벤질, p-니트로벤질, p-Br-벤질을 비롯한 p-할로벤질, 2,6-디클로로벤질, p-시아노벤질, p-페닐벤질, 2,6-디플루오로벤질, p-아실아미노벤질 (PAB), p-아지도벤질 (Azb), 4-아지도-3-클로로벤질, 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 p-(메틸술피닐)벤질, 2-피콜릴, 4-피콜릴, 3-메틸-2-피콜릴 N-옥시도, 2-퀴놀리닐메틸, 디페닐메틸 (DPM), p,p'-디니트로벤즈히드릴, 트리페닐메틸, α-나프틸디페닐메틸, p-메톡시페닐디페닐메틸, 디(p-메톡시페닐)페닐메틸, 트리(p-메톡시페닐)메틸, 4,4',4"-트리스(벤조일옥시페닐)메틸 및 2-나프틸메틸로부터 선택된 벤질-타입 보호기이고;
    X2는 아민 보호기로서,
    p-메톡시벤질 카르보닐 (Moz 또는 MeOZ), 아세틸 (Ac), 벤조일 (Bz), p-메톡시벤질 (PMB), 3,4-디메톡시벤질 (DMPM), p-메톡시페닐 (PMP), 토실 (Ts 또는 Tos),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및 트리틸 보호기로부터 선택되거나;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 (FMOC), 9-(2-술포)플루오레닐메틸, 9-(2,7-디브로모)플루오레닐메틸, 17-테트라벤조[a,c,g,i]플루오레닐메틸 (Tbfmoc), 2-클로로-3-인데닐메틸 (Climoc), 벤즈[f]인덴-3-일메틸 (Bimoc), 2,7-디-t-부틸[9-(10,10-디옥소-10,10,10,10-테트라히드로티옥사닐)]메틸 (DBD-Tmoc), [2-(1,3-디티아닐)메틸 (Dmoc), 1,1-디옥소벤조[b]티오펜-2-일메틸 (Bsmoc), 1,1-디메틸-2-시아노에틸, 2-포스포니오에틸 (Peoc), 2-메틸티오에틸, 2-(p-톨루엔술포닐)에틸, 2,2,2,-트리클로로에틸 (Troc), 2-(트리메틸실릴)에틸 (Teoc), 2-페닐에틸 (hZ), 1-(1-아다만틸)-1-메틸에틸 (Adpoc), 1,1-디메틸-2-브로모에틸, 1,1-디메틸-2-클로로에틸, 1,1-디메틸-2,2-디브로모에틸 (DB-t-BOC), 1,1-디메틸-2,2,2-트리클로로에틸 (TCBOC), 1-메틸-1-(4-비페닐릴)에틸 (Bpoc), 1-(3,5-디-t-부틸페닐)-1-메틸에틸 (t-Bumeoc), 2-(2'피리딜)에틸, 2-(4'피리딜)에틸, 2,2-비스(4'-니트로페닐)에틸 (Bnpeoc), N-(2-피발로일아미노)-1,1,디메틸에틸, 2-[(2-니트로페닐)디티오]-1-페닐에틸 (NpSSPeoc), 2-(N,N-디시클로헥실카르복스아미도)에틸, t-부틸 (Boc 또는 BOC), 1-아다만틸 (1-Adoc), 2-아다만틸 (2-Adoc), 비닐 (Voc), 알릴 (Aloc 또는 alloc), 1-이소프로필알릴 (Ipaoc), 신나밀 (Coc), 4-니트로신나밀 (Noc), 3-(3'-피리딜)프로프-2-에닐 (Paloc), 8-퀴놀릴, N-히드록시피페리디닐, 메틸디티오, 에틸디티오, 이소프로필디티오, t-부틸디티오, 페닐디티오, 벤질, p-메톡시벤질, p-니트로벤질, p-브로모벤질, p-클로로벤질, 2,4-디클로로벤질, 4-메틸술피닐벤질 (Msz), 9-안트릴메틸, 4-메틸티오페닐 (Mtpc), 1-메틸-1-(트리페닐포스포니오)에틸 (2-트리페닐포스포니오이소프로필) (Ppoc), 2-단실에틸 (Dnseoc), 2-(4-니트로페닐)에틸 (Npeoc), 4-페닐아세톡시벤질 (PhAcOZ), 4-아지도벤질 (ACBZ), 4-아지도메톡시벤질, m-클로로-p-아실옥시벤질, p-(디히드록시보릴)벤질, 카르보벤질옥시 (Cbz), 4-벤즈이속사졸릴메틸 (Bic), 2-(트리플루오로메틸)-6-크로모닐메틸 (Tcroc), 페닐, 디페닐메틸, 부티닐,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프로필메틸, 1-메틸시클로부틸, 1-메틸시클로헥실, 1,1-디메틸프로피닐 및 1-메틸-1-시클로프로필메틸 카르바메이트로부터 선택된 카르바메이트 보호기; 또는
    N-포르밀, N-아세틸, N-클로로아세틸, N-트리클로로아세틸, N-트리플루오로아세틸 (TFA), N-페닐아세틸, N-3-페닐프로피오닐, N-4-펜테노일, N-피콜리노일, N-3-피리딜카르복스아미도, N-벤조일페닐알라닐, N-벤조일 및 N-p-페닐벤조일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아민을 위한 아미드 보호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Figure 112020096237058-pat00171
KR1020207013948A 2013-11-11 2014-11-06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유용한 피롤로[1,2-f][1,2,4]트리아진 KR102243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11476A KR102355881B1 (ko) 2013-11-11 2014-11-06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유용한 피롤로[1,2-f][1,2,4]트리아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902544P 2013-11-11 2013-11-11
US61/902,544 2013-11-11
PCT/US2014/064412 WO2015069939A1 (en) 2013-11-11 2014-11-06 Pyrrolo [1,2,f] [1,2,4] triazines useful for treating respiratory syncitial virus infection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999A Division KR102113705B1 (ko) 2013-11-11 2014-11-06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유용한 피롤로[1,2-f][1,2,4]트리아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476A Division KR102355881B1 (ko) 2013-11-11 2014-11-06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유용한 피롤로[1,2-f][1,2,4]트리아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103A KR20200057103A (ko) 2020-05-25
KR102243724B1 true KR102243724B1 (ko) 2021-04-23

Family

ID=5200304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999A KR102113705B1 (ko) 2013-11-11 2014-11-06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유용한 피롤로[1,2-f][1,2,4]트리아진
KR1020167015220A KR101864973B1 (ko) 2013-11-11 2014-11-06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유용한 피롤로[1,2-f][1,2,4]트리아진
KR1020207013948A KR102243724B1 (ko) 2013-11-11 2014-11-06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유용한 피롤로[1,2-f][1,2,4]트리아진
KR1020217011476A KR102355881B1 (ko) 2013-11-11 2014-11-06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유용한 피롤로[1,2-f][1,2,4]트리아진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999A KR102113705B1 (ko) 2013-11-11 2014-11-06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유용한 피롤로[1,2-f][1,2,4]트리아진
KR1020167015220A KR101864973B1 (ko) 2013-11-11 2014-11-06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유용한 피롤로[1,2-f][1,2,4]트리아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476A KR102355881B1 (ko) 2013-11-11 2014-11-06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 유용한 피롤로[1,2-f][1,2,4]트리아진

Country Status (36)

Country Link
US (4) US9388208B2 (ko)
EP (3) EP3068405B1 (ko)
JP (7) JP6234571B2 (ko)
KR (4) KR102113705B1 (ko)
CN (3) CN105899216B (ko)
AP (1) AP2016009186A0 (ko)
AU (5) AU2014346665A1 (ko)
BR (1) BR112016010261B1 (ko)
CA (1) CA2928674C (ko)
CL (1) CL2016001120A1 (ko)
CR (1) CR20160220A (ko)
CU (1) CU20160065A7 (ko)
CY (1) CY1121948T1 (ko)
DK (2) DK3505173T3 (ko)
DO (1) DOP2016000107A (ko)
EA (2) EA029712B1 (ko)
ES (2) ES2743619T3 (ko)
GT (1) GT201600086A (ko)
HR (2) HRP20220920T1 (ko)
HU (2) HUE059683T2 (ko)
IL (1) IL245324B (ko)
LT (2) LT3068405T (ko)
MD (1) MD4596C1 (ko)
MX (2) MX2016006066A (ko)
MY (2) MY197933A (ko)
NZ (1) NZ719592A (ko)
PE (1) PE20160670A1 (ko)
PH (1) PH12016500867A1 (ko)
PL (2) PL3505173T3 (ko)
PT (2) PT3505173T (ko)
SG (1) SG11201603427XA (ko)
SI (2) SI3068405T1 (ko)
TR (1) TR201910961T4 (ko)
UA (1) UA119050C2 (ko)
WO (1) WO2015069939A1 (ko)
ZA (1) ZA2016031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480559T3 (da) 2009-09-21 2013-08-05 Gilead Sciences Inc Fremgangsmåder og mellemprodukter til fremstillingen af 1'-cyano-carbanukleosid-analoger
CR20170278A (es) 2010-07-22 2017-09-29 Gilead Sciences Inc Métodos y compuestos para tratar infecciones virales por paramyxoviridae
UA119050C2 (uk) * 2013-11-11 2019-04-25 Ґілеад Саєнсиз, Інк. ПІРОЛО[1.2-f][1.2.4]ТРИАЗИНИ, ЯКІ ВИКОРИСТОВУЮТЬСЯ ДЛЯ ЛІКУВАННЯ РЕСПІРАТОРНО-СИНЦИТІАЛЬНИХ ВІРУСНИХ ІНФЕКЦІЙ
WO2015143712A1 (en) 2014-03-28 2015-10-01 Merck Sharp & Dohme Corp. 4'-substituted 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s
TWI678369B (zh) * 2014-07-28 2019-12-01 美商基利科學股份有限公司 用於治療呼吸道合胞病毒感染之噻吩並[3,2-d]嘧啶、呋喃並[3,2-d]嘧啶及吡咯並[3,2-d]嘧啶化合物類
SG10201810361TA (en) 2014-09-26 2018-12-28 Riboscience Llc 4'-vinyl substituted nucleosid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na replication
TWI740546B (zh) 2014-10-29 2021-09-21 美商基利科學股份有限公司 製備核糖苷的方法
SG11201705069YA (en) 2014-12-26 2017-07-28 Univ Emory N4-hydroxycytidine and derivatives and anti-viral uses related thereto
SG10202001878WA (en) 2015-09-16 2020-04-29 Gilead Sciences Inc Methods for treating arenaviridae and coronaviridae virus infections
CN108289931B (zh) * 2015-09-23 2022-10-11 默沙东公司 4’-取代的核苷逆转录酶抑制剂及其制备
TWI740910B (zh) 2016-03-09 2021-10-01 美商艾洛斯生物製藥公司 非環抗病毒劑
KR102460968B1 (ko) * 2017-03-14 2022-11-01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방법
WO2018204198A1 (en) 2017-05-01 2018-11-08 Gilead Sciences, Inc. Crystalline forms of (s) 2 ethylbutyl 2 (((s) (((2r,3s,4r,5r) 5 (4 aminopyrrolo[2,1-f] [1,2,4]triazin-7-yl)-5-cyano-3,4-dihydroxytetrahydrofuran-2 yl)methoxy)(phenoxy) phosphoryl)amino)propanoate
CA3077489A1 (en) 2017-07-11 2019-01-17 Gilead Science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an rna polymerase inhibitor and cyclodextrin for treating viral infections
CR20200126A (es) 2017-09-18 2020-07-11 Janssen Biopharma Inc Nucleósidos sustituidos, nucleótidos y análogos de estos
CN109748921B (zh) * 2017-11-03 2022-03-22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N-叔丁氧羰基保护的杂环类化合物、其制备方法及其用于制备c-核苷类似物的方法
EP3706762A4 (en) 2017-12-07 2021-09-01 Emory University N4-HYDROXYCYTIDINE AND DERIVATIVES AND ANTIVIRAL USES IN RELATION TO IT
US11040975B2 (en) 2017-12-08 2021-06-22 Merck Sharp & Dohme Corp. Carbocyclic 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s
CN108787177B (zh) * 2018-08-07 2024-03-15 中南大学 淤浆法制备黄原酸盐的方法及***
WO2020232194A1 (en) * 2019-05-14 2020-11-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thods for glycosylation
CA3163424A1 (en) 2020-01-27 2021-08-05 Gilead Sciences, Inc. Methods for treating sars cov-2 infections
TWI791193B (zh) 2020-02-18 2023-02-01 美商基利科學股份有限公司 抗病毒化合物
TWI775313B (zh) * 2020-02-18 2022-08-21 美商基利科學股份有限公司 抗病毒化合物
TWI794742B (zh) 2020-02-18 2023-03-01 美商基利科學股份有限公司 抗病毒化合物
US20210292348A1 (en) 2020-02-18 2021-09-23 Gilead Sciences, Inc. Antiviral compounds
CN111187269A (zh) * 2020-02-27 2020-05-22 江苏阿尔法药业有限公司 一种瑞德西韦中间体的合成方法
CN113336758B (zh) * 2020-03-03 2022-08-19 北京桦冠医药科技有限公司 化合物7-碘吡咯并[2,1-f][1,2,4]三嗪-4-胺的一种新合成方法
CN111233870A (zh) * 2020-03-11 2020-06-05 中国科学技术大学 用于快速制备瑞德西韦药物中间体的方法
JP2023516087A (ja) 2020-03-12 2023-04-17 ギリアード サイエン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1’-シアノヌクレオシドを調製する方法
KR20220164784A (ko) 2020-04-06 2022-12-13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1'-시아노 치환된 카르바뉴클레오시드 유사체의 흡입 제형
CN112778310A (zh) 2020-04-20 2021-05-11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核苷类似物或含有核苷类似物的组合制剂在抗病毒中的应用
CN113527303B (zh) * 2020-04-21 2022-06-10 浙江工业大学 一种瑞德西韦母核中间体的制备工艺
CN111440176B (zh) * 2020-04-28 2022-04-26 江苏大学 金属配合物促进的瑞德西韦中间体的合成方法
TW202203941A (zh) 2020-05-29 2022-02-01 美商基利科學股份有限公司 瑞德西韋之治療方法
CN111620903A (zh) * 2020-06-17 2020-09-04 安徽贝克联合制药有限公司 C-核苷类似物以及用于合成瑞德西韦合成的含腈c-核苷类化合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CR20220675A (es) 2020-06-24 2023-02-15 Gilead Sciences Inc Análogos de nucleósido de 1´- ciano y usos de los mismos
CN111732618A (zh) * 2020-07-03 2020-10-02 镇江巨杰新材料技术研发中心(有限合伙) 瑞德西韦关键片段的合成方法
CN111793101B (zh) * 2020-07-17 2022-09-30 四川大学 C-核苷化合物的合成方法
WO2022029704A1 (en) 2020-08-06 2022-02-10 Richter Gedeon Nyrt. Remdesivir intermediates
KR20230057411A (ko) 2020-08-27 2023-04-28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바이러스 감염 치료를 위한 화합물 및 방법
CN112500417B (zh) * 2020-12-31 2022-01-21 山东诚汇双达药业有限公司 一种4-氨基吡咯并[2,1-f][1,2,4]三嗪的制备方法
WO2022221514A1 (en) * 2021-04-16 2022-10-20 Gilead Sciences, Inc. Methods of preparing carbanucleosides using amides
AU2022328698A1 (en) 2021-08-18 2024-02-01 Gilead Sciences, Inc. Phospholipid compoun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240050362A (ko) 2021-08-20 2024-04-18 시오노기 앤드 컴파니, 리미티드 바이러스 증식 억제 작용을 갖는 뉴클레오사이드 유도체 및 그들의 프로드러그
TW202400185A (zh) 2022-03-02 2024-01-01 美商基利科學股份有限公司 用於治療病毒感染的化合物及方法
US20230382940A1 (en) 2022-03-03 2023-11-30 Gilead Sciences, Inc. Antiviral compoun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23168194A1 (en) 2022-03-03 2023-09-07 Gilead Sciences, Inc. Antiviral compoun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7038A1 (en) * 2010-09-13 2012-03-22 Gilead Sciences, Inc. 2' -fluoro substituted carba-nucleoside analogs for antiviral treatment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1306A (en) 1966-03-31 1968-01-02 Merck & Co Inc Aerosol unit dispensing uniform amounts of a medically active ingredient
US3565070A (en) 1969-02-28 1971-02-23 Riker Laboratories Inc Inhalation actuable aerosol dispenser
FR2224175B1 (ko) 1973-04-04 1978-04-14 Isf Spa
US4069819A (en) 1973-04-13 1978-01-24 Societa Farmaceutici S.P.A. Inhalation device
IT1017153B (it) 1974-07-15 1977-07-20 Isf Spa Apparecchio per inalazioni
SE438261B (sv) 1981-07-08 1985-04-15 Draco Ab Anvendning i dosinhalator av ett perforerat membran
US4805811A (en) 1985-03-29 1989-02-21 Aktiebolaget Draco Dosage device
SE448277B (sv) 1985-04-12 1987-02-09 Draco Ab Indikeringsanordning vid en doseringsanordning for lekemedel
IT1228459B (it) 1989-02-23 1991-06-19 Phidea S R L Inalatore con svuotamento regolare e completo della capsula.
US4955371A (en) 1989-05-08 1990-09-11 Transtech Scientific, Inc. Disposable inhalation activated, aerosol device for pulmonary medicine
ES2141108T3 (es) 1991-07-02 2000-03-16 Inhale Inc Metodo y dispositivo para proporcionar medicamentos en aerosol.
US5261538A (en) 1992-04-21 1993-11-16 Glaxo Inc. Aerosol testing method
US5785049A (en) 1994-09-21 1998-07-28 Inhale Therapeutic Systems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rsion of dry powder medicaments
US5388572A (en) 1993-10-26 1995-02-14 Tenax Corporation (A Connecticut Corp.) Dry powder medicament inhalator having an inhalation-activated piston to aerosolize dose and deliver same
US5522385A (en) 1994-09-27 1996-06-04 Aradigm Corporation Dynamic particle size control for aerosolized drug delivery
US5622163A (en) 1994-11-29 1997-04-22 Iep Group, Inc. Counter for fluid dispensers
US5544647A (en) 1994-11-29 1996-08-13 Iep Group, Inc. Metered dose inhalator
US6116234A (en) 1999-02-01 2000-09-12 Iep Pharmaceutical Devices Inc. Metered dose inhaler agitator
BR0114837A (pt) * 2000-10-18 2006-05-09 Pharmasset Ltd nucleosìdeos modificados para tratamento de infecções viróticas e proliferação celular anormal
GB0114286D0 (en) 2001-06-12 2001-08-01 Hoffmann La Roche Nucleoside Derivatives
JP2005504087A (ja) 2001-09-28 2005-02-10 イデニクス(ケイマン)リミテツド 4’が修飾されたヌクレオシドを使用するc型肝炎ウイルス治療の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WO2005020885A2 (en) 2003-05-21 2005-03-10 Isis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AR046959A1 (es) * 2003-12-18 2006-01-04 Tibotec Pharm Ltd Morfolinilo que contiene bencimidazoles como inhibidores de la replicacion del virus sincitial respiratorio
MX2009007333A (es) * 2007-01-12 2009-08-31 Biocryst Pharm Inc Analogos de nucleosidos antivirales.
DK2155758T3 (da) 2007-05-10 2012-11-05 Biocryst Pharm Inc Tetrahydrofuro[3,4-d]dioxolanforbindelser til anvendelse i behandlingen af virusinfektioner og cancer
ATE515861T1 (de) 2007-07-25 2011-07-15 Nokia Siemens Networks Oy Verfahren zur adressierung von ethernetströmen mit strukturierter gpon-gem-port-id
WO2009132135A1 (en) * 2008-04-23 2009-10-29 Gilead Sciences, Inc. 1' -substituted carba-nucleoside analogs for antiviral treatment
EP2313102A2 (en) 2008-07-03 2011-04-27 Biota Scientific Management Bycyclic nucleosides and nucleotides as therapeutic agents
NZ599402A (en) * 2009-09-21 2014-02-28 Gilead Sciences Inc 2’ -fluoro substituted carba-nucleoside analogs for antiviral treatment
DK2480559T3 (da) 2009-09-21 2013-08-05 Gilead Sciences Inc Fremgangsmåder og mellemprodukter til fremstillingen af 1'-cyano-carbanukleosid-analoger
US8455451B2 (en) 2009-09-21 2013-06-04 Gilead Sciences, Inc. 2'-fluoro substituted carba-nucleoside analogs for antiviral treatment
TW201201815A (en) 2010-05-28 2012-01-16 Gilead Sciences Inc 1'-substituted-carba-nucleoside prodrugs for antiviral treatment
BR112013001267A2 (pt) 2010-07-19 2016-05-17 Gilead Sciences Inc métodos para a preparação de pró-fármacos de fosforamidato diasteromericamente puro
CR20170278A (es) * 2010-07-22 2017-09-29 Gilead Sciences Inc Métodos y compuestos para tratar infecciones virales por paramyxoviridae
KR101879887B1 (ko) * 2010-09-20 2018-07-18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항바이러스 치료용 2'-플루오로 치환된 카바-누클레오시드 유사체
CA2822037A1 (en) 2010-12-20 2012-06-28 Gilead Sciences, Inc. Methods for treating hcv
US9156872B2 (en) 2011-04-13 2015-10-13 Merck Sharp & Dohme Corp. 2′-azido substituted nucleoside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viral diseases
US20130143835A1 (en) * 2011-12-05 2013-06-06 Medivir Ab HCV Polymerase Inhibitors
SG10201610936RA (en) * 2011-12-22 2017-02-27 Alios Biopharma Inc Substituted nucleosides, nucleotides and analogs thereof
EP3351552B1 (en) * 2012-03-13 2021-05-19 Gilead Sciences, Inc. 2'-substituted carba-nucleoside analogs for antiviral treatment
ES2674980T3 (es) 2012-10-08 2018-07-05 Idenix Pharmaceuticals Llc Análogos de 2'-cloro nucleósidos para infección por VHC
AR094537A1 (es) 2013-11-07 2015-08-12 Bristol Myers Squibb Co COMPUESTOS DE PIRIDILO SUSTITUIDOS CON ALQUILAMIDA ÚTILES COMO MODULADORES DE LAS RESPUESTAS DE IL-12, IL-23 Y/O IFNa
UA119050C2 (uk) * 2013-11-11 2019-04-25 Ґілеад Саєнсиз, Інк. ПІРОЛО[1.2-f][1.2.4]ТРИАЗИНИ, ЯКІ ВИКОРИСТОВУЮТЬСЯ ДЛЯ ЛІКУВАННЯ РЕСПІРАТОРНО-СИНЦИТІАЛЬНИХ ВІРУСНИХ ІНФЕКЦІ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7038A1 (en) * 2010-09-13 2012-03-22 Gilead Sciences, Inc. 2' -fluoro substituted carba-nucleoside analogs for antiviral trea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I3505173T1 (sl) 2022-09-30
LT3068405T (lt) 2019-08-12
BR112016010261B1 (pt) 2022-02-08
AU2017232039A1 (en) 2017-10-12
MD4596C1 (ro) 2019-05-31
AU2021201554B2 (en) 2023-02-02
HUE059683T2 (hu) 2022-12-28
CN110003215B (zh) 2021-12-17
US20180016280A1 (en) 2018-01-18
US20190055253A1 (en) 2019-02-21
PT3505173T (pt) 2022-11-18
EA201792639A1 (ru) 2018-09-28
WO2015069939A1 (en) 2015-05-14
AP2016009186A0 (en) 2016-04-30
SI3068405T1 (sl) 2019-08-30
EP3505173A1 (en) 2019-07-03
JP2024041986A (ja) 2024-03-27
JP2018021051A (ja) 2018-02-08
PL3068405T3 (pl) 2019-10-31
CU20160065A7 (es) 2016-09-30
US9388208B2 (en) 2016-07-12
EA201690978A1 (ru) 2016-09-30
US20170008897A1 (en) 2017-01-12
US20150133395A1 (en) 2015-05-14
AU2019204381A1 (en) 2019-07-11
PH12016500867A1 (en) 2016-06-20
HRP20191303T1 (hr) 2019-10-18
PE20160670A1 (es) 2016-07-10
KR101864973B1 (ko) 2018-06-05
CL2016001120A1 (es) 2017-05-05
MX2016006066A (es) 2016-08-12
JP2018070658A (ja) 2018-05-10
PL3505173T3 (pl) 2022-10-17
EA039734B1 (ru) 2022-03-04
TR201910961T4 (tr) 2019-08-21
JP7247155B2 (ja) 2023-03-28
AU2017232039C1 (en) 2019-07-25
DK3505173T3 (da) 2022-08-22
JP2017502925A (ja) 2017-01-26
AU2023202506A1 (en) 2023-05-11
JP2021046413A (ja) 2021-03-25
LT3505173T (lt) 2022-10-10
HUE044960T2 (hu) 2019-12-30
ES2743619T3 (es) 2020-02-20
KR20200057103A (ko) 2020-05-25
CN114085243A (zh) 2022-02-25
MX2020010628A (es) 2020-10-22
CN110003215A (zh) 2019-07-12
AU2017232039B2 (en) 2019-03-28
IL245324A0 (en) 2016-06-30
IL245324B (en) 2018-08-30
MY197933A (en) 2023-07-25
KR102113705B1 (ko) 2020-05-21
CN114085243B (zh) 2024-04-26
MD20160063A2 (ro) 2016-11-30
KR102355881B1 (ko) 2022-01-25
CR20160220A (es) 2016-07-22
HRP20220920T1 (hr) 2022-10-28
US9701682B2 (en) 2017-07-11
AU2019204381B2 (en) 2021-04-01
ZA201603123B (en) 2019-08-28
JP6234571B2 (ja) 2017-11-22
AU2021201554A1 (en) 2021-04-01
MY182986A (en) 2021-02-05
KR20210046833A (ko) 2021-04-28
EP3068405A1 (en) 2016-09-21
EA029712B1 (ru) 2018-05-31
BR112016010261A2 (ko) 2017-08-08
SG11201603427XA (en) 2016-05-30
CN105899216B (zh) 2019-03-05
DOP2016000107A (es) 2016-06-15
PT3068405T (pt) 2019-08-05
US10377761B2 (en) 2019-08-13
US10059716B2 (en) 2018-08-28
GT201600086A (es) 2018-01-17
MD4596B1 (ro) 2018-10-31
KR20180059958A (ko) 2018-06-05
AU2014346665A1 (en) 2016-05-19
JP7054394B2 (ja) 2022-04-13
CY1121948T1 (el) 2020-10-14
JP6393380B2 (ja) 2018-09-19
CA2928674A1 (en) 2015-05-14
CN105899216A (zh) 2016-08-24
EP4122932A1 (en) 2023-01-25
DK3068405T3 (da) 2019-07-29
EP3505173B1 (en) 2022-07-06
CA2928674C (en) 2018-10-02
KR20160074011A (ko) 2016-06-27
UA119050C2 (uk) 2019-04-25
EP3068405B1 (en) 2019-05-01
JP2022088661A (ja) 2022-06-14
JP2020055855A (ja) 2020-04-09
NZ719592A (en) 2017-12-22
ES2926155T3 (es)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7155B2 (ja) 呼吸器合胞体ウイルス感染を処置するのに有用なピロロ[1,2-f][1,2,4]トリアジン
EA045066B1 (ru) ПИРРОЛО[1.2-f][1.2.4]ТРИАЗИНЫ, ИСПОЛЬЗУЕМЫЕ ДЛЯ ЛЕЧЕНИЯ РЕСПИРАТОРНО-СИНЦИТИАЛЬНЫХ ВИРУСНЫХ ИНФЕКЦ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