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761B1 - 오토 레벨러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오토 레벨러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761B1
KR102105761B1 KR1020180092573A KR20180092573A KR102105761B1 KR 102105761 B1 KR102105761 B1 KR 102105761B1 KR 1020180092573 A KR1020180092573 A KR 1020180092573A KR 20180092573 A KR20180092573 A KR 20180092573A KR 102105761 B1 KR102105761 B1 KR 102105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auto
unit
sensing unit
leve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235A (ko
Inventor
조승상
이만우
양광호
이병관
황종익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에이지이(주)
주식회사 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에이지이(주), 주식회사 트라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80092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761B1/ko
Priority to DE112019003971.7T priority patent/DE112019003971B4/de
Priority to ES202190005A priority patent/ES2836648B2/es
Priority to PCT/KR2019/009939 priority patent/WO2020032606A1/ko
Publication of KR20200017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0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탑승교에 구비되어 접현된 항공기의 높이변화를 측정하여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하는 오토 레벨러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오토 레벨러는 항공기에 접촉하여 항공기의 높이변화에 따라 회전되는 제1디스크 및 제2디스크, 제1디스크의 회전양을 측정하는 제1감지부, 제2디스크의 회전양을 측정하는 제2감지부 및 제1감지부 또는 제2감지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정값에 대응하여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토 레벨러 및 그 제어방법{AUTO LEVE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이하의 설명은 오토 레벨러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항에서 승객들이 항공기에 탑승하거나 내릴 때 탑승교를 이용하게 된다. 이 때, 승객들의 승·하기로 인한 하중의 변화에 의해 항공기의 높이가 변하게 되는데, 오토 레벨러(auto leveller)(또는 자동수평조절장치)는 탑승교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탑승교와 항공기 문턱의 수평을 유지시켜 탑승교와 항공기, 사람의 안전을 보호한다.
하지만, 오토 레벨러의 고장이나 결함으로 인해 오토 레벨러가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이 경우, 탑승교는 오토 레벨러의 오작동으로 인해 항공기의 높이변화와 관계없이 이동하거나, 이동하지 않게 되어 결국 항공기 도어 또는 탑승교의 각종 구조물과 접촉되어 손상을 일으킬 수 있었다.
종래에는 오토 레벨러의 고장이나 결함으로 인한 오토 레벨러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2차 안전장치로 한국 공개특허 제1305308호" 안전슈 정위치 확인 장치"(2013.09.02)가 개시되어 있다. 안전슈는 탑승교 캐빈에 위치하되, 오픈(open)된 상태의 항공기 도어의 하부에 놓여짐으로써, 항공기 도어가 캐빈과 접촉할 때 터치(touch)되어 탑승교를 일정거리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는, 탑승교 등의 점검 시 탑승교 운용자, 항공기 정비사의 부주의, 또는 승객들의 무지에 따른 호기심에 의해, 안전슈가 접촉되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여 항공기 도어 또는 탑승교의 각종 구조물과 접촉되어 손상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로 인해, 정비기간 동안의 비운항에 따른 비용손해와 고가의 항공기 수리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전슈의 오작동으로 인해, 항공기 바닥면과 탑승교 캐빈 바닥면의 단차가 심하게 발생하여, 승객의 승·하기 시 인지부족에 따른 골절사고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시 예의 목적은, 디스크를 이중으로 구비하여서 오토 레벨러의 정상 작동 여부를 이중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오토 레벨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오토 레벨러의 오작동 시 탑승교 운전자에게 오토 레벨러의 오작동을 인지시켜 항공기와 탑승교 사이의 충돌 및 이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오토 레벨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오토 레벨러가 이중으로 항공기의 높이 변화를 감지할 수 있어서 다른 안전 장치없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토 레벨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오토 레벨러가 항공기와 접촉하지 않을 경우의 오작동을 인식할 수 있는 오토 레벨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탑승교에 구비되어 접현된 항공기의 높이변화를 측정하여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하는 오토 레벨러에 대해 설명한다.
오토 레벨러는 상기 항공기에 접촉하여 상기 항공기의 높이변화에 따라 회전되는 제1디스크 및 제2디스크, 상기 제1디스크의 회전양을 측정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디스크의 회전양을 측정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제1감지부 또는 상기 제2감지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정값에 대응하여 상기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의 측정값이 서로 다른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부의 측정값에 대응하여, 상기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제1감지부보다 최소감지 회전양이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에서 측정값이 생성되면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알람 신호 생성 시, 상기 제2감지부의 측정값에 대응하여 상기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일단에 상기 제1디스크 및 상기 제2디스크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탑승교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동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디스크 및 상기 제2디스크는 상기 구동암의 일단에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지고 결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구동암은 상기 제1디스크 및 상기 제2디스크의 회전 중심을 관통 결합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구동암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암의 최초 위치 및 최대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회전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위치 감지부에서 최대 회전위치가 감지되면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위치 감지부에서 최대 회전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구동암을 최초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회전위치 감지부는 상기 구동암의 타단의 회전 중심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감지핀 및 상기 한 쌍의 감지핀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감지핀 중 일 감지핀은 상기 구동암이 최초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센서에서 감지되도록 구비되고, 타 감지핀은 상기 구동암이 최대회전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센서에서 감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회전위치 감지부는 상기 구동암의 타단의 회전 중심축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감지핀 및 상기 감지핀을 감지하는 한 쌍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센서 중 일 센서는 상기 구동암이 최초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감지핀을 감지하도록 구비되고, 타 센서는 상기 구동암이 최대 회전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감지핀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교에 구비되어 접현된 항공기의 높이변화를 측정하여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하는 오토 레벨러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오토 레벨러의 제어방법은 제1디스크 및 제2디스크를 구비하는 상기 오토 레벨러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오토 레벨러의 제1감지부가 제1디스크의 회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오토 레벨러의 제2감지부가 제2디스크의 회전을 측정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제1감지부 및 상기 제2감지부의 측정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감지부 및 상기 제2감지부의 측정값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측정값을 비교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감지부 및 상기 제2감지부의 측정값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오토 레벨러를 구동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오토 레벨러의 구동암이 최대로 회전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 상기 구동암이 최대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암을 최초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탑승교에 구비되어 접현된 항공기의 높이변화를 측정하여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하는 오토 레벨러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오토 레벨러의 제어방법은 제1디스크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의 최소감지 회전양이 제2디스크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의 최소감지 회전양보다 작게 설정된 오토 레벨러를 구동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제2감지부에서 측정값이 생성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감지부에서 측정값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감지부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감지부에서 측정값이 생성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감지부에서 측정값이 생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제1감지부에서 측정값이 생성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감지부에서 측정값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감지부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오토 레벨러를 구동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오토 레벨러의 구동암이 최대로 회전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 상기 구동암이 최대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암을 최초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를 이중으로 구비하여서 오토 레벨러의 정상 작동 여부를 이중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오토 레벨러의 오작동 시 탑승교 운전자에게 오토 레벨러의 오작동을 인지시켜 항공기와 탑승교 사이의 충돌 및 이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토 레벨러가 이중으로 항공기의 높이 변화를 감지할 수 있어서 다른 안전 장치없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토 레벨러가 항공기와 접촉하지 않을 경우의 오작동을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이중디스크 오토 레벨러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교의 접현 시, 오토 레벨러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벨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벨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위치 감지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위치 감지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벨러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벨러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도 1을 기준으로 탑승교(10) 쪽 방향이 후방을 의미하고, 항공기(A) 쪽 방향이 전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방향을 한정하였을 뿐 이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교의 접현 시, 오토 레벨러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탑승교(10)는 최초 접현 시, 항공기(A)의 내부 바닥 면(A1) 또는 출입문(A2)과 캐빈(11)의 바닥면이 소정간격의 높이차를 형성하고 접현하게 된다. 탑승교(10)가 항공기(A)에 접현한 후, 승객 또는 화물이 항공기(A)에 탑승 또는 하기함에 따라 그 무게로 인해 항공기(A)가 하강 또는 상승하여 캐빈(11)의 바닥면과 높이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의 변화에 따라 탑승교(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오토 레벨러(100)를 운영한다. 오토 레벨러(100)는 디스크(110, 120)를 항공기(A)의 동체에 접촉시켜 디스크(110, 120)의 회전양을 측정하여 항공기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고, 최초 접현 시에 항공기(A)의 내부 바닥 면(A1) 또는 출입문(A2)과 캐빈(11)의 바닥면의 높이차를 유지하도록 탑승교(10)의 리프트 칼럼(미도시)을 제어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벨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벨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오토 레벨러(100)는 제1디스크(110), 제2디스크(120), 제1감지부(130), 제2감지부(140), 구동암(150), 구동부(160), 받침대(170), 제어부(180) 및 회전위치 감지부(190)를 포함한다.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는 항공기(A)에 접촉하여 항공기(A)의 높이 변화에 따라 회전된다. 예를 들어,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는 원반 형상으로 구비되어서 항공기(A)의 동체에 외주면이 접촉하여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는 항공기(A) 동체에 동일한 접촉면을 형성하기 위해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는 동심이 동일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의 외주면에는 고무 등의 마찰부재(111, 121)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찰부재(111, 121)는 항공기(A) 동체에서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찰부재(111, 121)는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가 항공기(A)와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감지부(130)는 제1디스크(110)의 회전 량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제1감지부(130)는 제1디스크(110)와 인접하여 배치되어서 회전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감지부(130)는 제1디스크(110)의 평면 또는 외주면에 접촉하여 회전거리를 측정하여 회전양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1감지부(130)는 리미트 스위치 또는 엔코더 등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제2감지부(140)는 제2디스크(120)의 회전양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제2감지부(140)는 제1감지부(130)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감지부(130) 및 제2감지부(140)는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와 각각 연결되어 각 디스크(110, 120)의 회전양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디지털 신호로 생성한다. 제1감지부(130) 및 제2감지부(140)는 측정값을 후술하는 제어부(180)로 송신할 수 있다.
구동암(150)은 일단에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가 결합되고, 타단이 탑승교(1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동암(150)은 몸체(151), 제1브라켓(152), 보호커버(153), 힌지축(154), 제2브라켓(155)을 포함한다.
몸체(151)는 일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는 바(bar) 형상으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몸체(151)는 원형의 단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몸체(151)는 일단부터 타단 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51)는 일단에 제1브라켓(152)이 높이를 조절하며 나사 결합되고, 타단에 힌지축(154)이 결합된다.
제1브라켓(15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브라켓(152)은 "U"자형상의 하부에 몸체(151)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브라켓(152)은 "U"자 형상의 내부에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가 상호 이격되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는 제1브라켓(152)의 "U"형상의 내부 양쪽 측벽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감지부(130) 및 제2감지부(140)는 제1브라켓(152)에 결합되어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 각각의 회전양을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는 제1브라켓(152)의 "U"형상의 외부 양쪽 측벽에 각각 결합되는 형상도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브라켓(152)은 "U"형상의 내부에 양 측벽을 연결하는 회전축(미도시)이 구비되고 회전축에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가 상호 이격되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1브라켓(152)을 "U"자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가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는 적절한 형상이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보호커버(153)는 제1디스크(110), 제2디스크(120), 제1감지부(130) 및 제2감지부(140)를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커버(153)는 제1브라켓(152)의 "U"자 형상의 외부 측면에 결합되는 원반 형상일 수 있다. 보호커버(153)는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보다 작은 크기를 가져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커버(153)의 형상은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를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회전을 간섭하지 않는 형상 및 크기로 적절히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힌지축(154)은 몸체(151)의 타단에 구비된다. 여기서, 힌지축(154)의 길이방향은 몸체(151)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힌지축(154)은 받침대(170)에 결합되는 제1힌지 결합부(17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브라켓(155)은 몸체(151)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제2브라켓(155)은 몸체(151)의 외주면에 구비되되 후방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제2브라켓(155)은 후술하는 구동부(16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다.
구동부(160)는 일단이 제2브라켓(155)과 결합되고, 타단이 받침대(170)에 결합되는 제2힌지 결합부(172)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구동부(160)는 실린더 형태를 가지는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구동부(160)는 실린더 로드가 신축 구동하면, 몸체(151)를 힌지축(154)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160)는 부하를 측정하는 부하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서 항공기(A)에 디스크(110, 120)가 접촉하면 몸체(151)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의 부하는 디스크(110, 120)가 항공기 동체와 접촉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회전할 정도의 일정한 힘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부(160)는 소정 부하를 지속적으로 부가하여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가 항공기(A)에 지속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받침대(170)는 오토 레벨러(100)를 캐빈에 결합하되 소정높이를 가지도록 지지한다. 실시 예에서 받침대(170)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받침대(170)는 제1힌지 결합부(171) 및 제2힌지 결합부(172)가 캐빈(11)에 직접 결합될 때 생략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탑승교(10)의 캐빈(11)의 바닥면과 항공기(A)의 내부 바닥면(A1)의 높이차는 10cm 이내의 높이를 가지도록 접현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수동조작 또는 항공기 접현완료 신호에 따라 오토 레벨러(100)의 구동부(160)를 작동시켜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가 항공기(A)에 접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항공기(A)는 수하물 및 승객의 탑승 및 하기에 따라 높이변화가 생기는데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는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회전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제1감지부(130) 또는 제2감지부(14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정값에 대응하여 탑승교(10)의 높이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1디스크(110) 또는 제2디스크(120)의 회전양이 측정되면 항공기(A)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탑승교(10)의 리프트 칼럼을 제어하여 탑승교(10)의 높이를 조절한다.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는 탑승교(10)의 높이조절로 인해 다시 회전하여 최초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탑승교(10)와 항공기(A)의 높이차를 최초 접현 시의 높이차로 조절하게 된다.
제어부(180)는 이중으로 구비되는 디스크(110, 120)의 회전양을 통해 오토 레벨러(100)의 이상을 검출하고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감지부(130) 또는 제2감지부(140)의 최소감지 회전양(rotational threshold)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감지부(130) 및 제2감지부(140)의 최소감지 회전양은 항공기(A)의 높이가 0.5 내지 1.5 cm 더 바람직하게는 1cm 이동될 때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의 회전양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감지부(130) 및 제2감지부(140)의 측정값이 서로 다른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80)는 제1감지부(130) 및 제2감지부(140)에서 한 개의 디스크만 회전 측정값이 검출되거나 디스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오토 레벨러(100)가 오작동을 일으키고 있다고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1감지부(130) 및 제2감지부(140)에서 서로 다른 신호를 전달받아 알람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80)는 알람 신호를 탑승교(10)의 조작반 또는 경광등 등에 전달하여 소리 또는 시각적으로 탑승교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1감지부(130) 및 제2감지부(140)의 최소감지 회전양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감지부(140)는 제1감지부(130)보다 최소감지 회전양이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제1감지부(130)의 측정값에 대응하여 탑승교(10)의 높이를 제어한다. 제1디스크(110) 및 제1감지부(130)가 정상작동을 하는 경우에는 탑승교(10)의 높이가 항공기(A) 높이에 따라 조절되기 때문에 제2감지부(140)는 제2디스크(120)의 회전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생성하지 않는다.
반면, 제1디스크(110) 및 제1감지부(130)가 오작동되는 경우에는 제2감지부(140)에서 측정값이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디스크 및 제1감지부가 오작동 되는 경우 항공기 동체의 높이변화를 감지하지 못하다가, 제2감지부(140)의 최소감지 회전양에 도달하면 제2감지부(140)에서 측정값이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80)는 알람신호를 생성한다. 이 후, 제어부(180)는 제2감지부(140)의 측정값에 대응하여 탑승교(10)의 높이를 제어하여 연속적인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감지부(130)의 최소감지 회전양은 항공기(A)의 높이가 0.5 내지 1.5 cm 더 바람직하게는 1cm 이동될 때의 제1디스크(110)의 회전양일 수 있다. 또한, 제2감지부(140)의 최소감지 회전양은 제1감지부(130)의 최소감지 회전양의 1.2배 내지 10배일 수 있다. 제2감지부(140)의 최소감지 회전양이 제1감지부(130)의 최소감지 회전양의 1.2배 미만인 경우에는 오작동에 우려가 있으며, 10배 이상인 경우에는 탑승교(10)와 항공기(A)의 높이차가 너무 크게 발생하여 승객이 단차로 인해 부상을 당할 우려가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1디스크(110) 및 제1감지부(130)는 항공기(A)의 높이변화를 측정하는 주 기능의 역할을 수행하며, 제2디스크(120) 및 제2감지부(140)는 제1디스크(110) 및 제1감지부(130)를 보조하는 백업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는 반대로 제2디스크(120) 및 제2감지부(140)가 주기능을 수행하고, 제1디스크(110) 및 제1감지부(130)가 백업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오토 레벨러의 구동암이 최대 회전을 하는 경우, 오토 레벨러가 항공기에 접촉하였다고 판단하여 오토 레벨러가 항공기의 높이를 측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벨러(100)는 회전위치 감지부(190)가 구비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위치 감지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위치 감지부(190)는 구동암(150)의 타단에 구비되고, 구동암(150)의 최초 위치 및 최대 회전위치를 감지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회전위치 감지부(190)에서 구동암(150)의 최대 회전위치가 감지되면 알람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회전위치 감지부(190)에서 최대 회전위치가 감지되면 구동암(150)을 최초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구동암(150)의 최대 회전위치는 탑승교(10)가 항공기(A)에 접현하였을 때 탑승교(10)와 항공기(A) 사이의 최대 허용거리에서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가 항공기(A)에 접촉하는 회전 위치를 의미한다.
회전위치 감지부(190)는 한 쌍의 감지핀(191) 및 핀 감지센서(192)를 포함한다.
감지핀(191)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구동암(150)의 타단의 회전 중심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된다. 예를 들어, 감지핀(191)은 힌지축(154)의 평면에 결합된다. 감지핀(191)은 힌지축(154)의 평면에서 힌지축(154)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감지핀(191)은 힌지축(154)과 동심인 가상원상에 소정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감지핀 중 제1감지핀(191a)은 구동암(150)이 최초위치에 위치될 때 후술하는 핀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도록 구비되고, 제2감지핀(191b)은 구동암(150)이 최대회전 위치에 위치될 때 핀 감지센서(192)에서 감지되도록 구비된다.
핀 감지센서(192)는 감지핀(191)을 감지한다. 핀 감지센서(192)는 구동암(150)의 최초위치에서 제1감지핀(191a)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된다. 핀 감지센서(192)는 적외선, 레이저 등의 비접촉방식으로 감지핀(191)을 감지할 수 있는 비접촉 센서일 수 있다. 핀 감지센서(192)는 구동암(150)이 최대 회전되었을 때, 제2감지핀(191b)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핀 감지센서(192)가 제1감지핀(191a)을 감지하였을 때, 구동암(150)이 최초위치에 위치했음을 판단하고, 핀 감지센서(192)가 제2감지핀(191b)을 감지하였을 때 구동암이 최대 회전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핀 감지센서(192)가 제2감지핀(191b)을 감지하는 경우, 알람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핀 감지센서(192)가 제2감지핀(191b)을 감지하는 구동암(150)을 최초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구동암(150)이 최대 회전되는 경우에는 탑승교와 항공기 사이의 거리가 멀어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가 항공기(A) 동체에 접촉하지 못할 수 있다. 제어부(180)가 알람신호를 생성하고, 구동암(150)을 최초위치로 복귀시켜 탑승교(10)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위치 감지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의 실시예와는 반대로 회전위치 감지부(390)는 감지핀(391) 및 한 쌍의 핀 감지센서(392)를 포함한다. 감지핀(391)은 구동암(150)의 타단의 회전 중심축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한 쌍의 핀 감지센서(392)는 감지핀(391)을 감지한다. 여기서, 한 쌍의 핀 감지센서 중 제1핀 감지센서(392a)는 구동암(150)이 최초위치에 위치될 때 감지핀(391)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2핀 감지센서(392b)는 구동암(150)이 최대 회전될 때 감지핀(391)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1핀 감지센서(392a)가 감지핀(391)을 감지하였을 때, 구동암(150)이 최초위치에 도달했음을 판단하고, 제2핀 감지센서(392b)가 감지핀(391)을 감지하였을 때 구동암(150)이 최대 회전 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핀 감지센서(392b)에서 감지핀(191)을 감지하는 경우, 알람신호를 생성하고, 구동암(150)을 최초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레벨러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벨러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오토 레벨러(100)의 제어방법은 오토 레벨러(100)를 구동하는 단계(S401), 구동암(150)이 최대로 회전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S402), 제1디스크(110)의 회전양을 측정하는 단계(S403), 제2디스크(120)의 회전양을 측정하는 단계(S404), 측정값을 비교하는 단계(S405), 탑승교(10)의 높이를 제어하는 단계(S406), 구동암(150)을 최초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S407) 및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408)를 포함할 수 있다.
탑승교(10)와 항공기(A)의 접현 후, 제어부(180)가 수동 구동 또는 접현 완료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암(150)을 회전시킨다. 구동암(150)은 힌지축(154)을 기준으로 회전되어서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를 항공기(A) 동체에 접촉시킨다.(S401)
다음으로 제어부(180)가 구동암(150)이 최대로 회전되었는지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회전위치 감지부(190)에서 센서의 신호에 따라 구동암(150)이 최대로 회전되었는지를 판별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구동암(150)이 최대로 회전되지 않았다고 판별하는 경우, 항공기(A)에 디스크(110, 120)가 접촉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S402)
이 후, 제1디스크(110)의 회전양을 측정하는 단계(S403) 및 제2디스크(120)의 회전양을 측정하는 단계(S404)에서는 구동암(150)이 최대로 회전되지 않은 경우, 제1감지부(130) 및 제2감지부(140)가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의 회전양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제어부(180)에 송신한다.
제어부(180)는 송신된 제1감지부(130) 및 제2감지부(140)의 측정값을 비교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측정값에서 제1디스크(110) 및 제2디스크(120)의 회전 방향 및 회전양을 비교할 수 있다.(S405)
제1감지부(130)와 제2감지부(140)에서 측정값이 동일한 경우 제어부(180)는 오토 레벨러(100)가 정상 작동하는 것으로 판별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1감지부(130) 또는 제2감지부(14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정값에 따라 탑승교(10)의 높이를 제어한다. 여기서, 오토 레벨러(100)는 수하물 및 승객의 탑승 및 하기가 완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S406)
수하물 및 승객의 탑승 및 하기가 완료된 후, 탑승교 조작반(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구동암(150)을 최초 위치로 복귀하여 오토 레벨러(100)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S407)
한편,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408)는 제어부(180)가 알람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구동암(150)이 최대로 회전되었다고 판별하는 경우에 알람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1감지부(130)와 제2감지부(140)의 측정값이 서로 다른 경우 알람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408) 이 후 제어부(180)는 생성된 알람 신호를 탑승교조작반 또는 경광등 등에 전달하여 소리 또는 시각적으로 탑승교 운전자를 인지시킨다.
또한, 제어부(180)는 알람신호를 생성한 후 또는 동시에 구동암(150)을 최초 위치로 복귀시킨다. (S407) 이 후, 탑승교 운전자 또는 정비사는 오토 레벨러(100)의 이상작동 또는 탑승교(10)의 접현 이상을 체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토 레벨러의 제어방법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벨러의 제어방법과 비교하여 제1감지부(130) 및 제2감지부(140)의 최소감지 회전양을 다르게 설정하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벨러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오토 레벨러(100)를 구동하는 단계(S501), 구동암(150)이 최대로 회전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S502), 제2감지부(140)에서 측정값이 생성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S503), 제1감지부(130)에서 측정값이 생성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S504), 제1감지부(130)의 측정값으로 탑승교(10)의 높이를 제어하는 단계(S505), 구동암(150)을 최초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S506),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507) 및 제2감지부(140)의 측정값으로 탑승교(10)의 높이를 제어하는 단계(S508)를 포함한다.
먼저 제1감지부(130)의 최소감지 회전양을 제2감지부(140)의 최소감지 회전양보다 작게 설정된다. 여기서, 제1감지부(130)는 탑승교의 높이 조절의 주 기능을 수행하고 제2감지부(140)는 백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최소감지 회전양()은 1회 설정이 데이터 베이스 등의 저장수단(미도시)에 저장되어서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각 감지부(130, 140)의 최소감지 회전양이 다르게 설정된 오토 레벨러(100)의 구동암(150)을 작동시켜 항공기(A)에 각각의 디스크(110, 120)를 접촉시킨다.(S501)
여기서, 제어부(180)는 회전위치 감지부(190)의 신호로 구동암(150)이 최대로 회전되었는지 판별한다.(S502) 구동암(150)이 최대로 회전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제2감지부(140)에서 측정값이 생성되었는지를 판별한다.(S503) 이와는 반대로 구동암(150)이 최대로 회전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탑승교 운전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S507) 또한, 제어부(180)는 구동암(150)을 최초위치로 복귀시킨다.(S506)
제어부(180)는 제2감지부(140)에서 측정값이 생성되지 않으면 제1감지부(130)에서 측정값이 생성되었는지를 판별한다.(S504) 제1감지부(130)에서 측정값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2감지부(140)에서 측정값이 생성되었는지를 다시 판별한다.(S503) 그리고, 제1감지부(130)에서 측정값이 생성된 경우에는 제1감지부(130)의 측정값으로 탑승교(10)의 높이를 제어한다.(S505) 여기서, 오토 레벨러(100)는 수하물 및 승객의 탑승 및 하기가 완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탑승교(10)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제2감지부(140)에서 측정값이 생성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알람신호를 생성한다.(S507) 이후, 제어부(180)는 제2감지부(140)의 측정값으로 탑승교(10)의 높이를 제어한다.(S508) 제어부(180)는 오토 레벨러(100)는 수하물 및 승객의 탑승 및 하기가 완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탑승교(10)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제2감지부(140)는 제1감지부(130)보다 최소감지 회전양이 크게 설정되어 제1감지부(130)에서 회전양이 측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디스크(110) 또는 제1감지부(130)의 오작동일 수 있다. 따라서, 오토 레벨러(100)는 제1감지부(130) 또는 제1디스크(110)의 오작동 시에 제2감지부(140)의 측정값으로 제어부(180)가 항공기(A)의 높이 변화에 따라 탑승교(10)의 높이를 변화시켜 캐빈(11)의 바닥면과 항공기(A) 내부 바닥면(A1)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이 후, 수하물 및 승객의 탑승 및 하기가 완료된 후, 탑승교 조작반(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구동암(150)을 최초 위치로 복귀하여 오토 레벨러(100)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S506)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를 이중으로 구비하여서 오토 레벨러의 정상 작동 여부를 이중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오토 레벨러의 오작동 시 탑승교 운전자에게 오토 레벨러의 오작동을 인지시켜 항공기와 탑승교 사이의 충돌 및 이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토 레벨러가 이중으로 항공기의 높이 변화를 감지할 수 있어서 다른 안전 장치없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토 레벨러가 항공기와 접촉하지 않을 경우의 오작동을 인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 탑승교 100: 오토 레벨러
11: 캐빈 110: 제1디스크
20: 제2디스크 130: 제1감지부
140: 제2감지부 150: 구동암
160: 구동부 170: 받침대
180: 제어부 190, 390: 회전위치 감지부
A: 항공기 A1: 바닥면
A2: 출입문

Claims (20)

  1. 탑승교에 구비되어 접현된 항공기의 높이변화를 측정하여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하는 오토 레벨러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에 접촉하여 상기 항공기의 높이변화에 따라 회전되는 제1디스크 및 제2디스크;
    상기 제1디스크의 회전양을 측정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디스크의 회전양을 측정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제1감지부 또는 상기 제2감지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정값에 대응하여 상기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의 측정값이 서로 다른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오토 레벨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부의 측정값에 대응하여, 상기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하는 오토 레벨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제1감지부보다 최소감지 회전양이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에서 측정값이 생성되면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오토 레벨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알람 신호 생성 시, 상기 제2감지부의 측정값에 대응하여 상기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하는 오토 레벨러.
  6. 제1항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제1디스크 및 상기 제2디스크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탑승교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동암;
    을 더 포함하는 오토 레벨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크 및 상기 제2디스크는,
    상기 구동암의 일단에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지고 결합되는 오토 레벨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은,
    상기 제1디스크 및 상기 제2디스크의 회전 중심을 관통 결합하는 회전축;
    을 더 포함하는 오토 레벨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암의 최초 위치 및 최대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회전위치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오토 레벨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위치 감지부에서 최대 회전위치가 감지되면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오토 레벨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위치 감지부에서 최대 회전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구동암을 최초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오토 레벨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위치 감지부는,
    상기 구동암의 타단의 회전 중심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감지핀; 및
    상기 한 쌍의 감지핀을 감지하는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감지핀 중 일 감지핀은 상기 구동암이 최초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센서에서 감지되도록 구비되고, 타 감지핀은 상기 구동암이 최대회전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센서에서 감지되도록 구비되는 오토 레벨러.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위치 감지부는,
    상기 구동암의 타단의 회전 중심축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감지핀; 및
    상기 감지핀을 감지하는 한 쌍의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센서 중 일 센서는 상기 구동암이 최초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감지핀을 감지하도록 구비되고, 타 센서는 상기 구동암이 최대 회전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감지핀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오토 레벨러.
  14. 탑승교에 구비되어 접현된 항공기의 높이변화를 측정하여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하는 오토 레벨러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디스크 및 제2디스크를 구비하는 상기 오토 레벨러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오토 레벨러의 제1감지부가 제1디스크의 회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오토 레벨러의 제2감지부가 제2디스크의 회전을 측정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제1감지부 및 상기 제2감지부의 측정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감지부 및 상기 제2감지부의 측정값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오토 레벨러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값을 비교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감지부 및 상기 제2감지부의 측정값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오토 레벨러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레벨러를 구동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오토 레벨러의 구동암이 최대로 회전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
    상기 구동암이 최대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암을 최초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오토 레벨러의 제어방법.
  17. 탑승교에 구비되어 접현된 항공기의 높이변화를 측정하여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하는 오토 레벨러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디스크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의 최소감지 회전양이 제2디스크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의 최소감지 회전양보다 작게 설정된 오토 레벨러를 구동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제2감지부에서 측정값이 생성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감지부에서 측정값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오토 레벨러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감지부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오토 레벨러의 제어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부에서 측정값이 생성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감지부에서 측정값이 생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제1감지부에서 측정값이 생성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감지부에서 측정값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감지부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오토 레벨러의 제어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레벨러를 구동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오토 레벨러의 구동암이 최대로 회전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
    상기 구동암이 최대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암을 최초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오토 레벨러의 제어방법.
KR1020180092573A 2018-08-08 2018-08-08 오토 레벨러 및 그 제어방법 KR102105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573A KR102105761B1 (ko) 2018-08-08 2018-08-08 오토 레벨러 및 그 제어방법
DE112019003971.7T DE112019003971B4 (de) 2018-08-08 2019-08-08 Automatischer nivellierer und steuerverfahren davon
ES202190005A ES2836648B2 (es) 2018-08-08 2019-08-08 Nivelador automatico y metodo de control
PCT/KR2019/009939 WO2020032606A1 (ko) 2018-08-08 2019-08-08 오토 레벨러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573A KR102105761B1 (ko) 2018-08-08 2018-08-08 오토 레벨러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235A KR20200017235A (ko) 2020-02-18
KR102105761B1 true KR102105761B1 (ko) 2020-04-29

Family

ID=69413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573A KR102105761B1 (ko) 2018-08-08 2018-08-08 오토 레벨러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105761B1 (ko)
DE (1) DE112019003971B4 (ko)
ES (1) ES2836648B2 (ko)
WO (1) WO202003260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371B1 (ko) * 2016-12-20 2018-05-11 한국공항공사 비접촉식 높이측정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탑승교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99272A (en) 1964-04-29 1968-01-17 Wollard Aircraft Service Equip Passenger gangway with levelling system
FR2573723B1 (fr) 1984-11-28 1987-01-09 Titan Engineering Procede et dispositif permettant a une structure mobile de suivre les deplacements d'une autre structure.
JPS61275098A (ja) * 1985-05-29 1986-12-0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航空機旅客搭乗橋のオ−トレベラ−
JP2747906B2 (ja) * 1988-04-13 1998-05-06 新明和工業株式会社 搭乗橋のオートレベラー
JPH07165194A (ja) * 1993-12-17 1995-06-27 Shin Meiwa Ind Co Ltd 航空機用搭乗橋の自動追従装置
KR960031307U (ko) * 1995-03-24 1996-10-22 탑승교의 좌우편차 검출 및 제어장치
DE20015971U1 (de) 2000-09-15 2001-02-08 Huebner Gmbh Kontaktschuh
DE20115011U1 (de) 2001-09-11 2001-12-13 Elan Schaltelemente Gmbh & Co Anordnung zur Überwachung und Steuerung einer Hubbewegung
DE20202197U1 (de) 2002-02-14 2002-06-13 Huebner Gmbh Kontaktschuh
US7564367B2 (en) 2004-04-29 2009-07-21 Airport Mechanical Services, Inc. Aircraft door detector/warning device
JP4444055B2 (ja) * 2004-09-30 2010-03-31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システム
CN201777391U (zh) * 2010-08-18 2011-03-30 蒂森克虏伯机场***(中山)有限公司 一种登机桥的接机口的自动调平机构
CN201961534U (zh) * 2010-11-05 2011-09-07 蒂森克虏伯机场***(中山)有限公司 一种用于登机桥的自动调平探测装置
KR101305308B1 (ko) 2011-11-08 2013-09-06 김덕중 안전슈 정위치 확인 장치
KR101445244B1 (ko) * 2013-07-03 2014-09-29 한국공항공사 자동 경사로 조절 장치
WO2018023712A1 (zh) 2016-08-05 2018-02-08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登机桥调平机构及登机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371B1 (ko) * 2016-12-20 2018-05-11 한국공항공사 비접촉식 높이측정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탑승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9003971T5 (de) 2021-04-15
ES2836648B2 (es) 2022-10-11
ES2836648R1 (es) 2021-07-02
KR20200017235A (ko) 2020-02-18
WO2020032606A1 (ko) 2020-02-13
DE112019003971B4 (de) 2024-03-07
ES2836648A2 (es)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6296B2 (en) Vehicle hoist
JP5658628B2 (ja) 存在検出システムを備える建設用機械
US20090119854A1 (en) Aircraft door detector/warning device
EP3313761B1 (en) Safety device for use in a dock leveller, dock leveller having such a safety device, method of operating a dock leveller and method of testing the safety device
EP2899124B1 (en) Vehicle cargo compartment, system, and vehicle
KR20130030687A (ko) 스크린도어 안전장치
US10807851B2 (en) Crane mechanism and work platform with load detection means and integrated inclination sensor
KR102105761B1 (ko) 오토 레벨러 및 그 제어방법
US20160318629A1 (en) Method for positioning an access or loading assembly against the fuselage of an aircraft
KR101695723B1 (ko) 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및 상기 고소작업장치의 동작방법
KR101305308B1 (ko) 안전슈 정위치 확인 장치
US20210347605A1 (en) Failure detection device for an elevator
KR101329092B1 (ko) 탑승교 제어장치 및 이의 탑승교 제어방법
US201601162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Lift Elevation Induced Deviations In Vehicle Measurements
US20230026478A1 (en) Scissor lift platfor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ability of such a platform
EP2993000B1 (en) Evaluation of dynamic brake torque in a robot
US20130098169A1 (en) Food machine, in particular machine for processing and producing sausag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3495224B1 (en) Train platform safety device including passenger and obstacle detection function
KR101683431B1 (ko)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
JP4878767B2 (ja) 高所作業車
KR20180101065A (ko) 전도 모우멘트를 활용한 고소작업대의 하중 감지장치
JP3958510B2 (ja) 作業用車両の安全装置
JPH0439560Y2 (ko)
JP2006327757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370934Y1 (ko) 트레일러의 보호 장치 및 그를 갖는 크레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