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685B1 - 차량 도어 록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685B1
KR102015685B1 KR1020147025850A KR20147025850A KR102015685B1 KR 102015685 B1 KR102015685 B1 KR 102015685B1 KR 1020147025850 A KR1020147025850 A KR 1020147025850A KR 20147025850 A KR20147025850 A KR 20147025850A KR 102015685 B1 KR102015685 B1 KR 102015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ocking
electric drive
vehicle door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0175A (ko
Inventor
크리스티안 바름쉐이트
알렉산더 그로스만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130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록킹 메커니즘, 적어도 하나의 록킹 레버(3) 및 록킹 메커니즘을 위한 전기 구동부(5, 6, 7)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 록에 관한 것이다. 정상 작동에서, 전기적 열림을 위하여 전기 구동부(5, 6, 7)는 록킹 메커니즘을 작동시킨다. 부가적으로, 전기 구동부(5, 6, 7)는 적어도 비상 작동을 위하여 록킹 메커니즘이 기계적으로 열리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록킹 레버(3)는 또한 전기적으로 열린 때에도 정상 위치, "록킹" 위치를 유지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 록{Motor-vehicle door lock}
본 발명은 록킹 메커니즘, 적어도 하나의 록킹 레버 및 록킹 메커니즘을 위한 전기 구동부를 포함하여 전기적 열림을 위한 정상적인 작동 동안에 전기 구동부가 록킹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고 적어도 비상 작동 동안에 록킹 메커니즘의 기계적인 열림을 제공하는 차량 도어 록에 관한 것이다.
EP 1 320 652 B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설명된 디자인의 차량 도어 록에서, 전기 구동부는 록킹 메커니즘의 전기적 열림만을 제공하지 않는다. 대신 전기 구동부는 예를 들어 비상 작동 동안(이는 비상 열림의 경우를 의미함) 외부 작동 레버가 록킹 메커니즘의 요소로서의 포올 및/또는 로터리 래치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전기 구동부에 의하여 제어 가능한 중간 레버가 제공된다. 비상 열림 동안 또는 비상 작동 동안, 중간 레버는 (관통 저널의 도움으로 외부 작동 레버에 의하여 작동하는) 트리거 레버를 포올에 결합시킨다. 그 결과, 비상 열림 동안 또는 비상 작동 동안, 외부 작동 레버는 포올을 직접적으로 기계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는 간단하고 비용면에서 효과적인 설계를 이용하는 반면에 전반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기능 작용을 보장한다.
차량 도어를 전기적으로 열 때, 외부 및 /또는 내부 작동 레버와 같은 핸들은 일반적으로 록킹 메커니즘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대신에 정상 작동 동안, 각 핸들에 의하여 센서가 작동하며, 이는 수동적인 것보다는 모터의 도움으로 록킹 메커니즘을 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기 구동부가 동력을 공급받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요구되는 작동력을 줄이며 록킹 메커니즘의 신뢰할 수 있는 열림을 보장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어 왔다.
표준 작동을 제외하고, 이 방법은 또한 비상 작동 또는 소위 비상 열림을 다룬다. 예를 들어 전기 구동부가 더 이상 확실하게 가동하지 않을 때 또는 차량 배터리 내의 전압 강하로 인하여 작동을 중지할 때 이러한 비상 작동은 발생한다. 전기 구동부의 우발적인 고장이 예상될 수 있거나 예상된 직후에 비상 작동은 또한 일반적으로 발생한다. 이 상황에서, 비상 작동은 록킹 메커니즘이 기계적으로 열릴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적어도 비상 작동 동안에 핸들과 록킹 메커니즘 사이에 기계적인 연결이 제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EP 1 225 290 B1에 개시된 다른 선행 기술은 포올 구동부를 갖는 차량 도어 록에 관한 것이다. 로터리 래치를 해제하기 위하여 포올 구동부는 종동 풀리를 이용하여 돌출부를 작동시킨다. .
마지막으로, DE 695 11 357 T3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록을 개시하며, 이 록 내에서 중앙 록킹 기능 및 전기적 열림 기능이 공통적인 구동부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EP 1 320 652 B1에 개시된 일반적인 선행 기술에서, 비상 열림의 부분으로서 외부 작동 레버, 내부 작동 레버 그리고 록킹 메커니즘 간의 기계적인 연결이 주로 제공된다. 이렇게 하여, 비상 열림의 부분으로써 공통적인 "일시적인 중복(temporary redundancy)"이 구현된다. 이러한 비상 열림이 흔히 사고 또는 충돌과 관련되거나 또는 사고 또는 충돌의 결과로써 발생함에 따라 이는 또한 본 산업 분야에서 소위 "TCR" 또는 "일시적인 충돌 중복"으로 언급된다. 이 장치는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어 왔으나, 안전면에 있어서 아직 더 개선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전기 구동부에 의하여 제어 가능한 중간 레버에 의하여 기계적인 결합이 실제로 제공된다. 이 중간 레버는 포올과 상호 작용하는 트리거 레버와 외부 작동 레버 사이에 제공된다. 부가적인 록킹 기능 또는 보통 말하는 록킹 레버는 사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이러한 차량 도어 록의 기능적 신뢰성을 더욱 증가시키도록 이러한 차량 도어를 더 개발하는 기술적 문제를 기초로 한다.
이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포괄적인 차량 도어 록은 정상 작동 동안에 -또한 전기적 열림 동안에- 록킹 레버가 그 "록킹" 위치에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먼저 적어도 하나의 록킹 레버를 이용한다. 중간 레버가 궁극적으로 외부 작동 레버와 내부 작동 레버를 트리거 레버에 결합시키고 따라서 결합 레버 형태와 같이 작동함으로써 이 록킹 레버는 EP 1 320 652 B1에 개시된 중간 레버와 다르다.
반대로, 일반적인 기능에 뒤이은 그의 록킹 위치가 핸들의 기계적인 작동이 효과가 없다는 것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록킹 레버는 가동한다. 내부 작동의 경우에 핸들이 두 번 당겨질 때에만, 소위 "이중 스트로크"가 수행되며 그리고 록킹 레버가 "록킹"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의무적인 것이 아니며, 전기적으로 열린 차량 도어 록의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기계적인 중복(mechanical redundancy) 때문이다.
결국, 핸들 상의 충격(impingingn upon)은 일반적으로 관련된 신호 발생기가 작동되는 것을 보장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열림"의 의미에서 전기 구동부의 제어를 시작하게 한다. 이는 -적어도 정상 작동 동안에- 핸들이 록킹 메커니즘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신, 핸들에 배치된 신호 발생기 상의 충격은 록킹 메커니즘이 전기적으로 열리는 것을 보장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전기 구동부는 트리거 레버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며, 결과적으로 로터리 래치의 포올 또는 다수의 포올 중 하나를 들어올린다.
록킹 메커니즘의 열림은 보통 록킹 레버가 그의 "록킹" 위치를 미리 점유하고 있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정상적인 작동 동안에 또한 전기적 열림 동안에 록킹 레버는 "록킹"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않는다. 이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도 록킹 레버가 아직 그의 "록킹"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그 결과, 어떠한 의도하지 않은 도어의 열림은 어떠한 경우에도 방지된다. 발생된 힘의 결과로서 핸들이 의도적이지 않게 작동할지라도, 정상 작동 동안 "록킹" 위치에 위치된 또는 록킹 위치에 유지하고 있는 록킹 레버가 핸들에서부터 록킹 메커니즘까지의 작동 레버 체인의 필요로 하는 기계적인 중단을 보장함에 따라 록킹 메커니즘은 열 수 없다.
정상 작동에서 비상 작동으로 전환된 후에만, 록킹 레버는 전기 구동부에 의하여 "언록킹" 위치로 이동된다. 그후 핸들은 록킹 메커니즘을 기계적으로 열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고 또는 충돌 직후에 일시적인 기계적 중복(temporary mechanical redundancy)이 제공되고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예를 들어 에어백 센서의 트리거 이후에 그리고 시간 지연 이후에 정상 작동에서 비상 작동으로의 변화가 일반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이는 안전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정상 작동에서 비상 작동으로의 변화 동안에, 전기 구동부는 록킹 레버가 "언록킹" 위치를 취하는 것을 보장한다. 그러나, 이는 단지 어떠한 안전 관련 센서가 트리거된 후에 발생하여 예를 들어, 측면 에어백, 스티어링 휠 에어백, 탑승자 에어백, 잠재적인 벨트 조임 장치(potential belt tightener), 충돌 센서 등을 작동시킨다.
이는 모든 안전 관련 시스템이 작동될 때 정상 작동에서 비상 작동으로의 이행이 단지 전기 구동부의 도움으로 자동적으로 수행되고 최적의 탑승자 보호를 보장하고 그리고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구동부의 전기 공급이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 경우에 그리고 록킹 레버를 "언록킹"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부가 정상 작동에서 비상 작동으로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없는 경우에, 언록킹 및 후속 수동 열림 작동이 아직 가능하다. 도착한 비상 구조대는 차량 도어 록을 내부로부터 언록킹한 후 차량 도어 록을 기계적으로 열 수 있다. "이중 스트로크 작동"을 이용하여, 차량 내의 탑승자는 제 1 스트로크 동안에 록을 언록킹할 수 있으며, 제 2 스트로크 동안에 록과 도어를 열 수 있다. 이들은 가장 중요한 이점이다.
세부적으로 이를 이루기 위하여, 전기 구동부는 규칙적으로 안전 록을 포함한다. 안전 록은 특히 전기적 열림 동안에 록킹 레버가 그의 "록킹"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정상 작동 동안에 열림 신호가 내부 작동 레버를 통하여 발생될 때 메커니즘이 언록킹되지 않는 것을 안전록이 보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기적 열림"과 "록킹" 기능이 동일한 회전 방향을 공유함에 따라 전기적 열림 동안에 록킹 레버가 그의 "록킹" 위치를 취하는 것을 보장한다.
세부적으로 이를 이루기 위하여, 안전 록은 록킹 레버 상의 돌기부와 협력하는 블록킹 윤곽부로써 설계된다. 안전 록 또는 블록킹 윤곽부는 일반적으로 전기 구동부의 종동 풀리 상에 위치한다.
보통 일반적으로 전기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모터, 구동 워웜 기어 및 워엄 기어와 치합하는 종동 풀리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여 전기 구동부는 정상 작동과 대응하는 제 1 구동 방향 그리고 비상 작동과 관련된 제 2 구동 방향을 한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1 구동 방향은 종동 풀리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대응하는 반면에, 제 2 구동 방향은 종동 풀리의 시계 방향 회전에 대응한다. 그러나 위의 구동 방향들은 그 반대일 수 있다.
전기 구동부는 또한 전형적으로 전기적 열림 동안에 록킹 메커니즘에 충격을 가하는 트리거 레버와 협동하는 열림 윤곽부(opening contour)를 포함한다. 이 열림 윤곽부는 열림 캠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전기 구동부는 또한 복귀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 복귀 스프링은 센터/제로(centre/zero) 스프링일 수 있으며 유리하게는 종동 풀리 내에 일체화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은 충격이 가해준 후 전기 구동부가 제 1 및 제 2 구동 방향으로 중립 위치를 취하는 그리고 취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더욱이, 블록킹 레버가 제공되어 전기 구동부와 선택적으로 협력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전기 구동부는 또한 종동 풀리 내에 유리하게 위치한 -열림 윤곽부(opening contour)와 같은- 요부(recess)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신호 발생기는 블록킹 레버에 배치된다. 신호 발생기는 핸들과 상호 작용하는 신호 발생기일 수 있으며, 블록킹 레버는 핸들의 도움으로 규칙적으로 작동되고 방향을 바꾼다. 핸들이 충격을 받자마자, 신호 발생기가 작동할 뿐만 아니라 블록킹 레버는 전기 구동부로부터 떨어져 선회한다. 그 결과, 블록킹 레버는 전기 구동부의 어떠한 부정확한 동력 공급을 흡수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부정확한 동력 공급은 핸들이 충격을 받지 않게 한다. 이 경우, 블록킹 레버는 또한 충격을 받지 않으며, 따라서 전기 구동부를 차단할 수 있어 록킹 메커니즘이 의도하지 않게 열리지 않는다.
핸들과의 블록킹 레버의 기계적 결합의 결과로서, 이미 시작된 전기적 개방 과정 동안에 핸들 그리고 이에 따라 블록킹 레버가 충격을 받는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더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또는 이러한 상황에서 또는 핸들 그리고 블록킹 레버뿐만 아니라 신호 발생기에 충격을 주는 것을 반복하기 위하여, 위의 요부가 전기 구동부 또는 각 종동 풀리 상에 제공된다. 이 상황에서 블록킹 레버의 블록킹 돌출부는 실제로 요부로 들어가며, 따라서 제 1 작동 동안에 이미 시작된 전기적 개방 과정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신호 발생기는 작동 중이 아니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멈춤부는 전기 구동부 및/또는 록킹 레버에 배치된다. 이 멈춤부는 전기 구동부 그리고 록킹 레버와의 상호 협력을 위하여 설계된, 조합된 멈춤부 또는 관련된 멈춤 윤곽부일 수 있다. 멈춤부 또는 멈춤 윤곽부는 전형적으로 (플라스틱) 도어 록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PUR(폴리우레탄)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단지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도어 록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대상물의 배면도.
도 3은 종동 풀리 및 록킹 레버의 상세도.
도면은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은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 록을 도시한다. 실제로, 록킹 메커니즘은 종전과 같이 로터리 래치 그리고 포올을 포함한다. 포올은 트리거 레버(1)에 의하여 작동하며, 트리거 레버는 록 하우징 또는 록 케이스 내에 축(2)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트리거 레버(1)가 그 축(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회전 운동을 수행 또는 수행할 수 있자마자, 도 1에서 지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 레버(1)는 로터리 래치의 포올을 들어올릴 수 있다. 이 기능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EP 1 320 652 B1에 상세하게 개시된 기능과 유사하다.
도면은 또한 축(4)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록킹 레버(3)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도면에서, 록킹 레버(3)는 "록킹" 위치(VR)를 취한다. 도 1은 또한 록킹 레버(3)의 "언록킹" 위치(ER)를 도시한다.
기본적인 장치는 또한 전기 구동부(5, 6, 7)를 포함한다. 전기 구동부(5, 6, 7)는 전기 모터(5), 전기 모터(5)에 충격을 주는 워엄 기어(6)뿐만 아니라 워엄 기어(6)와 치합된 종동 풀리(7)를 포함한다. 종동 풀리(7)는 그 축(A)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으며, 그리고 도 1과 관련하여 제 1 구동 방향의 반시계 방향으로 그리고 제 2 구동 방향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다.
정상적인 작동에서, 신호 발생기(10)와 함께 핸들(9)은 핸들(9) 상에서의 열림 운동이 신호 발생기(10)에 의하여 기록되고 제어 유니트(8)로 전달되는 것을 보장한다. 관련된 차량 도어가 열려지는 방식으로 제어 유니트(8)는 신호 발생기(10) 상에서의 각 충격을 해석한다. 따라서 제어 유니트(8)는 전기 모터(5)가 동력을 공급받고 종동 풀리(7)가 도 1의 화살표에 의하여 지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보장한다. 전기 구동부(5, 6, 7)의 도움으로 전기적 열림 동안에 록킹 메커니즘의 정상적인 작동에서의 이 반시계 방향으로의 운동은 트리거 레버(1)에 충격을 주고 트리거 레버를 그 회전축(2)을 중심으로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열림 윤곽부(11) 또는 열림 캠(11)에 대응한다. 그 결과, 트리거 레버(1)는 포올이 로터리 래치에서 들어 올려지는 것을 보장한다. 여기서, 로터리 래치는 결국 스프링의 도움으로 열린다 (도 1 및 도 2 참조).
열림 윤곽부(11) 또는 열림 캠(11)은 전기 구동부(5, 6, 7)에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열림 윤곽부 또는 열림 캠(11)은 종동 풀리(7) 상에 위치한다. 전기 구동부(5, 6, 7)에 배치된 부가적인 복귀 스프링(12)은 전기 구동부(5, 6, 7)가 트리거 레버(1)에 의하여 충격을 받은 후에 중립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복귀 스프링(12)은 본 실시예에서 중심/제로 스프링(centre/zero spring)으로 설계되며 종동 풀리(17) 내에 일체로 된다.
설명된 열림 작동 동안에 블록킹 윤곽부(13)가 각 록킹 레버(3) 상에서 돌출부(14)와 상호 협력함에 따라, 설명된 전기적 열림 동안에 종동 풀리(7) 상의 블록킹 윤곽부(13)는 록킹 레버(3)가 도시된 "록킹" 위치(VR)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도 1에서 록킹 위치를 취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렇게 하여, 전기 구동부(5, 6, 7) 또는 종동 풀리(7)는, 록킹 레버(3)의 전기적 열림 동안에 설명한 바와 같이 록킹 레버가 "록킹" 위치(VR)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는 안전 록을 갖추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안전 록 또는 블록킹 윤곽부(13)는 전기 구동부(5, 6, 7)의 부재로써의 종동 풀리(7)에 제공된다.
핸들(9)은 신호 발생기(10)에 충격을 가할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도시된 블록킹 레버(15)에 충격을 가한다. 이 블록킹 레버(15)는 공통 축(2) 주변에서 트리거 레버(1)와 동일 축 상에 장착된다. 열림 감지 상태에서 조작자에 의하여 핸들(9)이 충격을 받자마자, 블록킹 레버(15)는 축(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선회한다. 그 결과, 블로킹 레버(15) 상의 블록킹 돌출부(16)는 전기 구동부(5, 6, 7) 또는 종동 풀리(7)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핸들(9) 그리고 블록킹 레버(15)가 작동하지 않으면, 블록킹 돌출부(16)는 전기 구동부(5, 6, 7)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그리고 전기 구동부(5, 6, 7)의 부정확한 동력 공급의 경우에 이 과정 동안에 멈춤부(17)는 블록킹 돌출부(16)에 맞서 이동함에 따라 수행된 반시계 방향 운동이 멈추어지는 것을 보장한다. 그때까지 종동 풀리에 의하여 수행된 선회 운동은 이러한 부정확한 동력 공급이 록킹 메커니즘이 열리는 것을 야기하지 않고 그리고 야기시킬 수 없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또한 블록킹 레버(15) 상의 블록킹 돌출부(16)와 관련하여 멈춤부(17)는 언록킹 위치에서 록킹 위치로 록킹 레버(3)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기 구동부(5, 6, 7)의 선회 운동이 제한되는 것을 보장한다.
만일 록킹 레버(3)가 예를 들어, "언록킹" 위치(ER)에 있다면, 도 1의 파선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의 전기 구동부(5, 6, 7)에 또는 그 종동 풀리(7) 상의 충격은 종동 풀리(7) 상의 록킹 윤곽부(18)가 (축(4)을 중심으로 "언록킹" 위치(ER)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록킹" 위치(VR)로 선회하는) 록킹 레버(3)의 블록킹 돌출부(14)와 맞물리는 것을 보장한다. 반시계 방향으로의 종동 풀리(7)의 각 선회 운동은 블록킹 레버(15)의 블록킹 돌출부(16)에 맞서 이동하는 종동 풀리(7) 상의 블록킹 멈춤부(17)에 의하여 제한된다.
정상 작동에서 비상 작동으로 전환될 때, 이 비상 작동은 종동 풀리(7)가 제어 유니트(8) 그리고 전기 모터(5)를 통하여 반시계 방향 (제 1 구동 방향) 이동을 수행하지 않으나 대신 시계 방향으로 충격을 받는 것을 즉시 보장한다. 그 결과, 록킹 레버(3)가 "록킹" 위치(VR)에 있음에 따라 종동 풀리(7) 상의 록킹 또는 언록킹 윤곽부(18)는 록킹 레버(3) 상의 언록킹 돌출부(19)와 맞물린다. 이 과정 동안에 종동 풀리(7)가 그 축(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언록킹/록킹 돌출부(19)와 언록킹 윤곽부(18) 간의 상호 작용은 록킹 레버(3)가 그 축(4)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 과정 동안에, 록키 레버(3)는 멈춤부(20)를 떠나 멈춤부(21)에 맞서 이동한다. 동시에, 록킹 레버(3)는 "록킹" 위치(VR)에서 "언록킹" 위치(ER)로 이동한다.
양 멈춤부(20, 21)는 멈춤 윤곽부(23)의 부분이며, 또한 멈춤 윤곽부는 멈춤부(22)를 포함한다. 전기적 열림 동안에 전기 구동부(5, 6, 7)의 멈춤부(17)가 이에 맞서 이동하자마자 이 멈춤부(22)는 사용된다. 전기적 열림 동안에 블록킹 레버(15)가 핸들(9)의 도움으로 떨어져 선회하여 멈춤부(17)가 종동 풀리(7) 상에서 블록킹 레버(15)를 지나 이동할 수 있음으로써 이는 가능하다.
종동 풀리(7)가 요부(24)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 또한 명백하다. 이 요부(24)는 이미 시작된 열림 과정 동안에 핸들(9)의 반복 작동 또는 블록킹 레버(15)에 배치된 신호 발생기(10)에 의한 핸들(9) 상의 해제 또는 반복적인 충격이 처리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멈춤 윤곽부(23)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차량 도어 록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Claims (15)

  1. 록킹 메커니즘,
    록킹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한 트리거 레버(1),
    록킹 위치(VR)와 언록킹 위치(ER)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록킹 레버(3),
    록킹 메커니즘을 위한 전기 구동부(5, 6, 7)로서, 정상적인 작동 동안에 전기 구동부(5, 6, 7)는 전기적 열림을 위해 트리거 레버(1)에 작용하며 록킹 레버(3)는 항상 록킹 위치(VR)를 유지하고, 비상 작동 시에 전기 구동부(5, 6, 7)는 록킹 레버(3)에 작용하여 록킹 레버(3)를 록킹 위치(VR)에서 언록킹 위치(ER)로 이동시키는 전기 구동부(5, 6, 7) 및
    전기 구동부(5, 6, 7)와 선택적으로 상호 협력하며 핸들(9)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블록킹 레버(15)로서, 핸들(9)이 작동하지 않으면 블록킹 레버(15)는 전기 구동부(5, 6, 7)에 결합되어 있어 록킹 메커니즘이 열리는 것을 야기하는 전기 구동부(5, 6, 7)의 운동을 방지하고, 핸들(9)이 충격을 가하면 블록킹 레버(15)가 전기 구동부(5, 6, 7)로부터 분리되어 록킹 메커니즘이 열리는 것을 야기하는 전기 구동부(5, 6, 7)의 운동을 허용하는 블록킹 레버(15)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 록.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구동부(5, 6, 7)는 안전 록(13)을 포함하며, 록킹 레버(3)의 전기적 열림 동안에 "록킹" 위치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3. 제2항에 있어서, 안전 록(13)은 록킹 레버(3) 상에서 돌출부(14)와 상호 협력하는 블록킹 윤곽부(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안전 록(13)은 전기 구동부(5, 6, 7)의 종동 풀리(7) 상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5. 제1항에 있어서, 전기 구동부(5, 6, 7)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모터(5), 모터에 의하여 구동하는 워엄 기어(6) 및 워엄 기어(6)와 치합된 종동 풀리(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6. 제1항에 있어서, 전기 구동부(5, 6, 7)는 정상 작동에 대응하는 제 1 구동 방향 및 비상 작동에 대응하는 제 2 구동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7. 제6항에 있어서, 제 1 구동 방향은 종동 풀리(7)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대응하고 제 2 구동 방향은 종동 풀리(7)의 시계 방향 회전에 대응하거나, 또는 그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8. 제1항에 있어서, 전기 구동부(5, 6, 7)는 트리거 레버(1)와 상호 협력하는 열림 윤곽부(11)를 포함하되, 트리거 레버는 회전 열림 동안에 록킹 메커니즘에 의하여 충격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9. 제8항에 있어서, 열림 윤곽부(11)는 종동 풀리(7) 상에 제공된 열림 캠(11)으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0. 제1항에 있어서, 전기 구동부(5, 6, 7)는 종동 풀리(7) 내에 장착된 복귀 스프링(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신호 발생기(10)는 블록킹 레버(15)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멈춤 윤곽부(23)는 전기 구동부(5, 6, 7) 및/또는 록킹 레버(3)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5. 제14항에 있어서, 멈춤 윤곽부(23)는 전기 구동부(5, 6, 7)를 위한 멈춤부(22) 그리고 록킹 레버(3)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멈춤부(20, 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KR1020147025850A 2012-02-28 2013-02-26 차량 도어 록 KR102015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210003743 DE102012003743A1 (de) 2012-02-28 2012-02-28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2003743.0 2012-02-28
PCT/DE2013/000103 WO2013127382A2 (de) 2012-02-28 2013-02-26 Kraftfahrzeugtürverschlu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175A KR20140130175A (ko) 2014-11-07
KR102015685B1 true KR102015685B1 (ko) 2019-08-28

Family

ID=48236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850A KR102015685B1 (ko) 2012-02-28 2013-02-26 차량 도어 록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551172B2 (ko)
EP (1) EP2820216B1 (ko)
JP (1) JP6213927B2 (ko)
KR (1) KR102015685B1 (ko)
CN (1) CN104285022B (ko)
CA (1) CA2865673A1 (ko)
DE (1) DE102012003743A1 (ko)
IN (1) IN2014DN07227A (ko)
MX (1) MX2014010286A (ko)
RU (1) RU2014137970A (ko)
WO (1) WO201312738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12656A1 (de) * 2011-02-28 2012-08-30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2003743A1 (de) * 2012-02-28 2013-08-29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US9518406B1 (en) * 2013-04-01 2016-12-13 Sandia Corporation Electromechanical latch
DE102013217377A1 (de) 2013-08-30 2015-03-05 Kiekert Ag Elektrisches Kraftfahrzeugschloss mit Notentriegelung
US20150059424A1 (en) * 2013-09-04 2015-03-05 Kiekert Aktiengesellschaft Motor vehicle door
DE102013112122A1 (de) * 2013-11-04 2015-05-07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CN106489014B (zh) 2014-05-12 2019-07-19 开开特股份公司 机动车锁
DE102015108739A1 (de) 2015-06-02 2016-12-08 Kiekert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Kraftfahrzeugtürverschlusses
DE102015108738A1 (de) 2015-06-02 2016-12-08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202016100521U1 (de) * 2016-02-02 2016-02-29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Schlosslogikanordnung
DE102016111251A1 (de) * 2016-06-20 2017-12-21 Kiekert Ag Kraftfahrzeugschließsystem
DE102016112260A1 (de) 2016-07-05 2018-01-11 Kiekert Ag Elektrisch betätigbares kraftfahrzeugschloss
US11072950B2 (en) 2017-06-07 2021-07-27 Magna Closures Inc. Closure latch assembly with a power release mechanism and an inside handle release mechanism
DE102017116665A1 (de) * 2017-07-24 2019-01-24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DE102017124520A1 (de) * 2017-10-20 2019-04-25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7124521A1 (de) * 2017-10-20 2019-04-25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7124529A1 (de) 2017-10-20 2019-04-25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7124517A1 (de) 2017-10-20 2019-04-25 Kiekert Ag Kraftfahrzeugschließsystem mit elektrischer Öffnungseinrichtung
US11280121B2 (en) 2018-03-05 2022-03-22 Magna Closures Inc. Crash unlock for side door latch
WO2019184827A1 (zh) * 2018-03-30 2019-10-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门锁装置以及具有其的车辆
JP6777679B2 (ja) 2018-04-18 2020-10-28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ドアラッチ装置
DE102018109477A1 (de) * 2018-04-20 2019-10-24 Kiekert Ag Kraftfahrzeug-Antriebsanordnung
DE102018110700A1 (de) * 2018-05-04 2019-11-07 Kiekert Ag Elektrisch betätigbares Kraftfahrzeugschloss
DE102018113562A1 (de) 2018-06-07 2019-12-12 Kiekert Ag Elektrisch betätigbares Kraftfahrzeugschloss
JP7052173B2 (ja) 2018-10-01 2022-04-1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ドアラッチ装置
JP7044079B2 (ja) * 2019-01-10 2022-03-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6989076B2 (ja) 2019-03-04 2022-01-05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WO2021019856A1 (ja) 2019-07-31 2021-02-04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ラッチ装置
DE102019126596A1 (de) 2019-10-02 2021-04-08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JP7290098B2 (ja) 2019-10-02 2023-06-13 株式会社アイシン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7385435B2 (ja) * 2019-11-12 2023-11-2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ラッチ装置
JP7327124B2 (ja) 2019-11-29 2023-08-16 株式会社アイシン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DE102019133654A1 (de) 2019-12-10 2021-06-10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KR102122714B1 (ko) * 2019-12-26 2020-06-15 주식회사 우보테크 비상 해제 가능한 차량용 전동식 도어래치
KR20210090451A (ko) * 2020-01-10 2021-07-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
US11680435B2 (en) * 2020-11-17 2023-06-2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Single drive system for driving multiple driven assemblies
DE102020133259A1 (de) * 2020-12-14 2022-06-15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schloss
FR3122894A1 (fr) * 2021-05-14 2022-11-18 Inteva Products, Llc. Serrure de portière de véhicule
DE102021126589A1 (de) 2021-10-14 2023-04-20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schlos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35087A1 (fr) 2002-02-12 2003-08-13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tems-France Serrure de véhicule automobile
US20050093685A1 (en) * 2003-10-22 2005-05-05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Actuator device and safety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US20060005591A1 (en) 2004-06-18 2006-01-12 Jean-Marc Belmond Electrically-releasable lock
US20080224482A1 (en) * 2007-02-15 2008-09-18 Cumbo Francesco Electrical Door Latch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68616B1 (it) 1994-10-04 1997-03-06 Roltra Morse Spa Serratura ad azionamento elettrico per una portiera di un autoveicolo.
DE4436617C1 (de) * 1994-10-13 1996-05-23 Ymos Ag Ind Produkte Ent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türverschluß
EP0808977B1 (de) * 1996-05-21 2000-08-1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s elektrisch betätigten Kraftfahrzeug-Türschlosses od. dgl.
DE19631869A1 (de) * 1996-08-07 1998-02-12 Bosch Gmbh Robert Kraftfahrzeug-Türschloß oder dergleichen
EP1317596B1 (de) * 2000-09-07 2006-11-22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türschloss mit kombiniertem zentralverriegelungs- und öffnungsantrieb
DE10048709A1 (de) 2000-09-30 2002-04-18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164829B4 (de) * 2001-01-02 2006-07-13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Türschloss, ausgeführt als Elektroschloss
US6557911B2 (en) 2001-01-23 2003-05-06 Kiekert Ag Power-open motor-vehicle door latch
PL1786999T3 (pl) * 2004-08-10 2015-01-30 Magna Closures Inc Blokowany podwójnie zatrzask zwalniany elektrycznie
CN2813793Y (zh) * 2005-07-12 2006-09-06 吴远彪 可以多种方式控制的车用闭锁器
DE202008003845U1 (de) * 2008-03-19 2009-08-13 Kiekert Ag Türverschluss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8023490A1 (de) * 2008-05-14 2009-11-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Schloss einer Hauber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2003743A1 (de) * 2012-02-28 2013-08-29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35087A1 (fr) 2002-02-12 2003-08-13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tems-France Serrure de véhicule automobile
US20050093685A1 (en) * 2003-10-22 2005-05-05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Actuator device and safety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US20060005591A1 (en) 2004-06-18 2006-01-12 Jean-Marc Belmond Electrically-releasable lock
US20080224482A1 (en) * 2007-02-15 2008-09-18 Cumbo Francesco Electrical Door La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4010286A (es) 2015-02-10
US20150021934A1 (en) 2015-01-22
IN2014DN07227A (ko) 2015-04-24
US9551172B2 (en) 2017-01-24
WO2013127382A2 (de) 2013-09-06
KR20140130175A (ko) 2014-11-07
DE102012003743A1 (de) 2013-08-29
CA2865673A1 (en) 2013-09-06
CN104285022A (zh) 2015-01-14
EP2820216B1 (de) 2018-04-04
JP6213927B2 (ja) 2017-10-18
EP2820216A2 (de) 2015-01-07
CN104285022B (zh) 2017-05-17
WO2013127382A3 (de) 2014-10-23
JP2015513624A (ja) 2015-05-14
RU2014137970A (ru)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685B1 (ko) 차량 도어 록
JP6255631B2 (ja) 自動車ドアの閉鎖装置
CN108222713B (zh) 调平的开启控制装置
US20150284977A1 (en) Motor vehicle door lock
KR102097056B1 (ko)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RU2413825C2 (ru) Автомобиль и дверной замок для двери автомобиля
JP6236678B2 (ja) 自動車ドアロック
US8757682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6883839B2 (en) Automobile vehicle lock
KR101801399B1 (ko) 자동차 문짝용 핸들
KR102087878B1 (ko) 차량 도어 록
KR20140010123A (ko) 차량 도어 록킹 장치
KR20220005078A (ko) 자동차 도어 락
US2018013533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otor vehicle door lock
CN114687617A (zh) 带撞击保护的动力闩锁组件
US11519198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more particularly hood lock
CN110857606B (zh) 针对车辆的发动机罩的锁
JP2020519524A (ja) ロック装置、特に自動車用のロック装置
JP5923784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CN108193956B (zh) 机动车门锁
JP2005146739A (ja) ドア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