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149B1 - 신선 공기 시스템의 흡입 모듈 - Google Patents

신선 공기 시스템의 흡입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149B1
KR101879149B1 KR1020177025592A KR20177025592A KR101879149B1 KR 101879149 B1 KR101879149 B1 KR 101879149B1 KR 1020177025592 A KR1020177025592 A KR 1020177025592A KR 20177025592 A KR20177025592 A KR 20177025592A KR 101879149 B1 KR101879149 B1 KR 101879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positioning
bearing bracket
positioning block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6919A (ko
Inventor
마르코 데팅거
마티아스 앤드레스
볼프강 괴트
Original Assignee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126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9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having two or more flaps
    • F02D9/1095Rotating on a common axis, e.g. having a common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35Details of the valve housing
    • F02D9/106Sealing of the valve shaft in the housing, e.g. details of the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65Mechanical control linkage between an actuator and the flap, e.g. including levers, gears, springs, clutches, limit stops of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7Manufacturing or mounting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26Plenum chambers
    • F02M35/10039Intake ducts situated partly within or on the plenum chamber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78Connections of intake systems to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55Arrangements of valves; Multi-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4Details of bearings for the axis of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1)을 위한 신선 공기 시스템(5)의 흡입 모듈(7)에 관한 것으로, 신선 공기를 위한 유입 개구(16) 및 신선 공기를 위한 복수의 배출 개구(17)를 가진 플랜지 섹션(19)을 구비한 하우징(14) 및 흐름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17)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20)를 포함하되, 제어 디바이스(20)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샤프트(21) 및 각각의 배출 개구(17)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제어 샤프트(21)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22)를 구비하고, 제어 샤프트(21)는 회전 축(24)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브래킷(23)에 의해 하우징(14) 상에 장착되고, 하우징(14)은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23)을 수용하며 플랜지 섹션(19)의 접속 면(26) 상에 삽입 개구(27)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수용부(25)를 포함하고,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23)은 삽입방향(28)으로 각각의 삽입 개구(27)를 통해 연관된 베어링 수용부(25) 내로 삽입된다. 향상된 제어 디바이스 기능은 베어링 브래킷(23)이 가로방향(30)에 대해 서로 마주하지 않으며 각각이 그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블록(31)을 포함하는 두 개의 외부 표면(29)을 포함할 때 획득되고, 이러한 베어링 수용부(25)는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31)에 대해, 길이방향(34) 및 가로방향(30)으로 베어링 브래킷(23)을 정렬하기 위한 가이드 윤곽(3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선 공기 시스템의 흡입 모듈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성들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 내의 내연기관을 위한 신선 공기 시스템의 흡입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흡입 모듈은 전형적으로 하우징을 내연기관에 고정 또는 접속하기 위한 신선 공기를 위한 유입 개구 및 플랜지 섹션이 각각 장착된 하우징을 구비한다. 플랜지 섹션 내에는 신선 공기를 위한 복수의 배출 개구가 제공된다. 동작 중에 유입 개구를 통해서 내연기관에 공급된 신선한 공기를 배출 개구로 배분하는 배분 챔버는 전형적으로 하우징 내에 구현된다. 그에 따라 각 연소 챔버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배출 개구가 제공된다. 이러한 흡입 모듈은 충전 내연기관의 충전된 내연기관의 경우뿐 아니라 비충전된 내연기관의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흐름이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의 단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를 이러한 흡입 모듈에 장착하는 것 또한 일반적이다.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제어 가능한 배출 개구는 그에 따라 각 연소 챔버에 할당된다. 할당될 내연기관의 각 연소 챔버에 대해 두 개의 배출 개구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두 개의 배출 개구 중 하나는 각각의 경우에 제어되어 그에 따라 흐름이 통과할 수 있는 자신의 단면과 관련하여 변경될 수 있는 반면, 각각의 다른 배출 개구는 제어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영구적으로 완전히 개방된다. 신선 공기 공급은 내연기관의 현재 동작 상태의 함수로서 이러한 제어 디바이스의 도움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디바이스에는 제어 샤프트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것은 개별 배출 개구에 대해 제어 샤프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를 구비한다. 그에 따라 개별 배출 개구는 개별 제어 밸브의 도움으로 흐름이 통과할 수 있는 자신의 단면과 관련하여 제어될 수 있다. 개별 배출 개구는 특히 상응하는 제어 밸브의 도움으로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이론적으로, 임의의 중간 위치가 가능하다. 제어 밸브의 기능에 따라서, 제어 밸브는 텀블 밸브 또는 스로틀 밸브로도 식별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 모듈이 가능한 한 비용 효율적으로 대량 생산된다는 사실로 인해서, 제어 샤프트를 하우징 상에 장착할 때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전형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는 하우징은 생산 프로세스의 결과로서 틀어질 수 있으며, 이것은 가능한 한 작은 마찰을 갖는 제어 샤프트의 장착을 손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제어 샤프트의 기능적 신뢰 가능성의 손상 위험을 발생시킨다. 하우징 상의 기능적으로 신뢰 가능한 제어 샤프트의 장착을 구현하기 위한 노력은 따라서 상당히 높다. 예를 들어 하우징 내로의 제어 샤프트의 후속하는 설치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설치가 하우징을 내연기관에 접속하기 위해 제공된 플랜지 섹션의 접속 측 상에서 발생하는 경우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우징의 틀어짐은 상당히 큰 생산 오차를 발생시키며, 이것은 제어 샤프트의 기능적으로 신뢰 가능한 조립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는 제어 가능한 배출 개구를 포함하는 흡입 모듈의 경우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제어 가능한 개구가 제공된 하우징 내의 또는 하우징 상의 모든 흡입 모듈의 경우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어 가능한 배출 개구를 포함하는 흡입 모듈로 제한되지 않으며, 제어 가능한 개구를 구비하거나 포함하는 모든 흡입 모듈과 관련된다. 따라서 이것은 흡입 파이프 길이를 전환하기 위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는 우회 개구를 자신의 내부에 구비하는 흡입 모듈과도 관련된다. 흐름이 통과할 수 있는 이러한 우회 개구의 단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가 또한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신선 공기를 위한 복수의 배출 개구를 포함하는 플랜지 섹션 및 신선 공기를 위한 유입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이 장착된 흡입 모듈이 DE 44 99 626 T1로부터 알려졌다. 알려진 흡입 모듈은 우회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함으로써 전환되는 효율적인 전환 가능한 흡입 파이프 길이를 가진다. 이를 위해서, 흡입 모듈에는 추가로 흐름이 통과할 수 있는 이러한 우회 개구의 단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가 장착된다. 제어 디바이스는 제어 샤프트 및 제어 샤프트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배치된 우회 개구에 대한 복수의 제어 밸브를 구비한다. 그에 따라 제어 샤프트는 회전축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브래킷에 의해 하우징 상에 장착된다. 하우징은 삽입 개구를 구비하는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수용부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은 회전축에 직교하게 배향된 삽입방향에서 각각의 삽입 개구를 통해 각각의 베어링 수용부 내로 삽입된다. 자신의 바깥 측 상에서,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은 두 개의 외부 표면을 가지며, 이들은 회전축에 직교하고 삽입방향에 직교하게 이어지는 가로방향에 대해 서로 마주하지 않는다.
알려진 흡입 모듈의 경우에서, 각 경우에서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의 외부 표면은 삽입방향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길이방향 홈을 가진다. 추가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 곡선 웹(web)을 위해서, 삽입방향으로 이어지는 베어링 브래킷의 정면 단부 상에 공급된다. 길이방향 홈 및 곡선 웹에 상보적으로, 직선으로 돌출하는 두 개의 직선 웹 및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곡선 홈에 대해 상응하는 베어링 브래킷의 상응하는 경계 벽이 공급된다. 베어링 브래킷이 베어링 수용부 내로 삽입될 때, 각각의 경우에 샤프트의 회전축에 평행한 베어링 수용부 내의 베어링 브래킷의 포지셔닝을 획득하도록 넛-그루브 가이드(nut-groove guide)방식으로, 한 편으로는 직선 웹이 길이방향 홈과 결합하며 다른 한 편으로는 곡선 웹이 곡선 홈과 결합한다. 회전축에 직각인 베어링 브래킷의 포지셔닝은 베어링 브래킷의 외부 표면과 베어링 수용부의 상응하는 내부 표면 사이의 평평한 접촉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정확하게 생산되어야만 한다.
청구범위 제1항의 서두의 특성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흡입 모듈이 JP 2014-101800 A로부터 알려졌다. 각각의 두 외부 표면 상에, 서로 이격된 두 개의 포지셔닝 블록이 구현된다. 모든 포지셔닝 블록은 제어 샤프트로부터 이격된 베어링 브래킷에 그리고 그 단부에 추가로 배치된다.
이러한 유형의 다른 흡입 모듈이 JP H07-158458 A로부터 알려졌으며, 이 경우에서는 오직 하나의 포지셔닝 블록만이 각각의 경우에 두 외부 표면들 상에 각각 제공된다. 베어링 브래킷은 추가로 분할되며, 그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일체형 힌지를 통해 서로에 대해 장착된 두 베어링 부분을 구비한다.
베어링 브래킷을 포함하는 다른 흡입 모듈이 JP 2010-168995 A, JP 2014-1719 A 및 DE 10 2011 087 234 A1로부터 알려졌다.
본 발명은 특히 생산 노력의 감소로 특징지어지는 전술된 유형의 흡입 모듈에 대해 개선된 실시예를 명시하는 문제를 다룬다. 제어 샤프트의 개선된 장착 및/또는 제어 디바이스의 향상된 기능적 신뢰가능성이 추가로 요구된다.
본 발명은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서로 결합될 수도 있는, 서로 독립적인 두 개의 기본적인 양태와 관련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일 양태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실시예들과 임의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기초한 문제는 독립 청구항의 주제사항에 의해서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을 따른다.
본 발명은 하우징에 대해 그리고 제어 샤프트에 대해 별개인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브래킷을 제공하며, 제어 샤프트를 장착하기 위해 제어 샤프트에 동심으로 이어지는 회전축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 샤프트가 장착되는 일반적인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하우징은 베어링 브래킷을 수용하기 위한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에 대한 베어링 수용부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베어링 수용부는 플랜지 섹션의 접속 면 상에서 개방되고, 그에 따라 베어링 브래킷은 접속 면 상에 제공된 삽입 개구를 통해 각각의 베어링 수용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은 삽입방향에서 각각의 삽입 개구를 통해서 연관된 베어링 수용부 내로 삽입되며, 이때 이러한 삽입방향은 실질적으로 회전축에 직교하게 정렬된다. 이러한 별개의 베어링 브래킷을 사용함으로써, 장착 기능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베어링 브래킷은 특히 비교적 큰 하우징보다 뚜렷하게 더 좁은 생산 오차를 가지고 생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샤프트의 장착은 이러한 별개의 베어링 브래킷의 도움으로 개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베어링 브래킷, 따라서 둘 이상의 베어링 브래킷이 사용되며, 이들은 각각의 경우에 자신의 베어링 수용부 내로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제어 샤프트는 예로서 금속성 바(bar)에 의해 형성된 연속적인 한 조각의 샤프트 바디를 구비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제어 밸브가 그 위에 더해질 수 있다. 유사하게, 복수의 바 형태의 섹션으로부터 조립된 제어 샤프트에 대해 여러 조각의 샤프트 바디를 제공하는 것이 고안될 수 있다. 개별적인 샤프트 바디 섹션은 예로서 더해진 제어 밸브에 의해 서로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 가이드 윤곽과 상호작용하고, 서로에 대해 상보적이며, 베어링 브래킷이 베어링 수용부 내에 삽입될 때 베어링 브래킷을 정렬하기 위해 상응하는 베어링 수용부 내에 구현되는 적어도 두 개의 포지셔닝 블록이 장착되는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샤프트에 대해 최적으로 정렬되는 장착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제어 샤프트에 대해 낮은 마찰을 갖는 장착 및 그에 따라 제어 샤프트에 대해 상당히 높은 기능적 신뢰 가능성이 특히 구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의 외부에 회전 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삽입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이어지는 가로방향에 대해 서로 마주하지 않는 두 개의 외부 표면을 장착하며, 각각의 경우에 자신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블록을 구비하는 것이 제안된다. 자신의 내부 상에, 각각의 베어링 수용부는 회전 축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길이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베어링 브래킷을 정렬하기 위한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에 대해, 베어링 수용부에 상보적인 가이드 윤곽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에 의해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이 베어링 브래킷에 일체형으로 몰딩되며, 따라서 동일한 재료로부터 제작된다.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이 자신의 외부 표면 상에서 이러한 포지셔닝 블록을 통해서만 하우징과 접촉하는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적으로, 특히 길이방향 및/또는 가로방향 및/또는 삽입방향에서, 이러한 포지셔닝 블록을 통해서만 하우징과 접촉하도록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이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길이방향 및/또는 가로방향에서 하우징에 대한 베어링 브래킷의 포지셔닝이 오로지 이러한 포지셔닝 블록을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포지셔닝 블록이 전체 베어링 브래킷에 비교하여 비교적 작은 치수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서, 비교적 작은 뒤틀림이 해당 위치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포지셔닝 블록의 영역 내에서의 사출 성형에 응답하여 상당히 작은 오차가 수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베어링 브래킷이 사출 성형에 의해 비용이 낮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고 해도 높은 품질의 포지셔닝이 획득될 수 있다. 만약 외부 표면의 영역에서의 접촉이 오직 포지셔닝 블록을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의 외부 표면과 상응하는 베어링 수용부의 내부 사이에서 가로방향 및/또는 세로방향으로 위치결정 블록의 외부에 공간 또는 간격이 구현된다.
일반적으로 포지셔닝 블록 상에서만 하우징과 직접 접촉하도록 길이방향 및/또는 가로방향 및/또는 삽입방향에서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베어링 브래킷의 외부와 베어링 수용부의 내부 사이의 공간은 바람직하게는 위치결정 블록의 외부에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측정되며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측정된 베어링 브래킷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포지셔닝 블록은 최대로 베어링 브래킷 길이의 1/2이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적으로,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은 삽입방향에 평행하게 측정되며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측정된 베어링 브래킷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특히, 포지셔닝 블록은 최대로 베어링 브래킷 높이의 1/2이다.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은 또한 선택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길이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베어링 브래킷의 두 길이방향 단부로부터 이격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적으로,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은 각각의 경우에 삽입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베어링 브래킷의 두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베어링 브래킷을 베어링 수용부 내에 삽입할 때, 이들 단부 중 하나는 삽입방향으로 이어지고 베어링 브래킷의 정면 단부를 형성하는 한편, 다른 단부는 삽입방향에서 끌려오며 베어링 브래킷의 후방 단부를 형성한다.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을 베어링 브래킷의 각각의 단부들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포지셔닝 블록이 상당히 더 작은 치수를 가지게 될 수 있으며, 이는 해당 위치에서의 더 좁은 오차를 수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은 바람직하게는 큐브 형태로 설계되며,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평평한 적어도 4개의 외부의 가이드 표면, 즉 가로방향에 수직으로 이어지며 베어링 브래킷을 마주하지 않는 하나의 가이드 표면, 삽입방향에 수직으로 이어지며 삽입방향으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표면 및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이어지며 서로 마주하지 않는 두 개의 가이드 표면을 가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은 길이방향에서 서로 마주하지 않으며 서로 평행하고 길이방향에 직교하게 연장하는 두 개의 평평한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자신의 내부에서, 상응하는 베어링 수용부는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며 서로 평행하고 길이방향에 직교하게 연장하며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의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 중 하나가 각각의 경우에 평평한 방식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평평한 길이방향 가이드 표면을 구비한다. 이러한 방법은 길이방향에서 각각의 배열이 브래킷의 특히 효율적이고 신뢰 가능한 정렬을 발생시킨다. 다시 말하면,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에서 정의된 회전축은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 및 길이방향 가이드 표면의 도움으로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서,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은 가로방향에 직교하게 연장하는 평평한 가로방향 포지셔닝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자신의 내부에서, 상응하는 베어링 수용부가 그 결과 바람직하게는 가로방향에 직교하게 연장하고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의 가로방향 포지셔닝 표면이 평평한 방식으로 인접하는,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을 위한 평평한 가로방향 가이드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가로방향에 대한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의 최적화된 정렬을 발생시킨다. 다시 말하면,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에 의해 정의된 회전축은 가로방향 가이드 표면과 상호작용하는 가로방향 포지셔닝 표면에 의해 중심화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은, 자신의 각각의 두 외부 표면상에서 삽입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포지셔닝 블록을 구비할 수 있다. 이것은 각각의 베어링 수용부 내의 베어링 브래킷의 특히 효율적인 정렬을 발생시킨다.
추가의 발전에 따라, 각각의 외부 표면상에서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포지셔닝 블록이 삽입방향에서 서로 정렬되게 배치되는 추가의 개선이 발생한다. 그에 따라 베어링 수용부 내의 상응하는 가이드 윤곽의 설계가 단순화된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삽입방향으로 이어지는 포지셔닝 블록은 삽입방향으로 따라가는 포지셔닝 블록보다 작도록 치수가 정해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포지셔닝 블록은 그에 따라 베어링 브래킷의 신뢰 가능한 정렬을 향상시키는 상응하는 가이드 윤곽과 별개로 상호작용한다.
각각 더 작게 치수가 정해지는 선단 또는 선행 포지셔닝 블록의 경우에서, 특히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측정된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의 거리는, 더 크도록 치수가 정해진 후단 포지셔닝 블록의 경우에서보다 더 작도록 제공될 수 있다. 추가로 더 작게 치수가 정해진 선단 포지셔닝 블록의 경우에서 베어링 브래킷의 각각의 외부로부터 가로방향에 평행하게 측정된 가로방향 포지셔닝 표면의 거리는, 더 크게 치수가 정해진 후단 포지셔닝 블록의 경우에서보다 더 작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포지셔닝 블록은 삽입방향에서 제어 샤프트와 다른 포지셔닝 블록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의 도움으로, 제어 샤프트는 그에 따라 플랜지 섹션 내에 비교적 깊숙이 삽입될 수 있다. 특히 더 큰 제어 밸브가 그에 따라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에서,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서 삽입방향에 대해 두 개의 포지셔닝 블록들 사이에 제어 샤프트를 배치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특히 제어 샤프트의 신뢰 가능한 정렬이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서, 양쪽 외부 표면상의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은 길이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포지셔닝 블록을 구비할 수 있다. 베어링 브래킷 전체가 오직 하나의 포지셔닝 블록의 경우에 길이방향에서 각각 비교적 작거나 조밀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포지셔닝 블록의 공급은 길이방향에 기초하여 각각 비교적 넓거나 크도록 구성되는 베어링 브래킷을 제공한다. 길이방향에서 베어링 브래킷의 구조가 더 클수록, 베어링 샤프트의 정렬은 더욱 효율적이다. 넓은 베어링 브래킷 내에서 더욱 큰 장착 힘이 추가로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외부 표면상의 두 개의 포지셔닝 블록이 길이방향에서 서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포지셔닝 블록은, 각 외부 표면에서 삽입방향으로 이어지고 삽입방향에 직교하게 연장하며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의 내부 윤곽 상에 구현되는 평평한 대응 정지 표면에 대해 편평하게 인접하는 평평한 정지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베어링 브래킷의 삽입 깊이는 각각의 정지 표면과 각각 상응하는 대응 정지 표면의 상호작용에 의해 각각 사전결정된 삽입 깊이로 정의 또는 제한된다. 베어링 브래킷은 그에 따라 삽입방향에 대해 정렬된다. 다시 말하면, 베어링 브래킷의 도움으로 정의되는 회전축은 정지 표면 및 대응 정지 표면의 상호작용에 의해 삽입방향에 대해서 중심화된다.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은 제2 양태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베어링 부분으로 분할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베어링 브래킷이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은 따라서 제1 베어링 부분 및 제2 베어링 부분을 가진다. 베어링 브래킷은 바람직하게는 오직 두 개의 베어링 부분만을 가지며, 그에 따라 두 조각으로 설계된다. 분할된 베어링 브래킷의 적어도 두 개의 베어링 부분은 이것에 의해 별개의 구성요소들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예를 들어 통합 힌지(hinge)를 통해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서로에 접속될 수도 있다. 분할된 베어링 브래킷의 베어링 부분들은 특히 이들이 동일한 재료로부터 접속되도록 공통의 사출 성형 도구에서 한 조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적어도 서로에 대한 베어링 브래킷의 조립을 위해서 제1 베어링 부분이 제2 베어링 부분에 대해 이동될 수 있음이 중요하다.
제2 양태는 두 개의 베어링 부분이 평평한 포지셔닝 표면에서 서로에 대해 평평하게 지지하며 이것에 의해 서로에 대한 두 베어링 부분의 사전결정된 정렬이 비교적 정확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일반적인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베어링 브래킷 내부의 제어 샤프트는 따라서 이것이 신뢰 가능한 방식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적절하게 정렬되지 않은 베어링 부분들의 경우에서 쉽게 발생할 수 있는, 베어링 브래킷 내의 제어 샤프트의 용인할 수 없게 높은 방사상 압축이 특히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 양태는 또한 단순화된 설치 및 특히 더 높은 기능적 신뢰 가능성을 갖는 향상된 샤프트 베어링으로 이어진다.
상세하게, 제2 양태는 제1 원주 섹션을 정의하고 제어 샤프트가 평평한 방식으로 인접하는 제1 베어링 섹션을 제1 베어링 부분에 장착하는 것을 제안하는 한편, 제2 베어링 부분은 제1 원주 섹션에 대향하게 위치되고 제어 샤프트가 평평한 방식으로 인접하는 제2 원주 섹션을 정의하며 제1 베어링 섹션에 대향하게 위치되는 제2 베어링 섹션을 가진다. 두 개의 베어링 부분은, 제1 양태에 관련하여 전술되었으며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삽입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이어지는 가로방향에 대해 서로 마주하며 각각의 경우에서 가로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포지션이 표면을 갖는 내부 표면을 추가로 각각 구비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베어링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포지셔닝 표면은 제2 베어링 부분의 적어도 한의 이러한 포지셔닝 표면에 대해 평평하게 인접한다.
삭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포지셔닝 표면은 각각의 내부 표면에 대해 상승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가로방향에서 그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마주하는 내부 표면의 영역에서 두 개의 베어링 부분이 오직 포지셔닝 표면에서만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두 개의 베어링 부분이 예를 들어 일체형 힌지를 통해 서로에 접속되고/되거나 이론적으로 베어링 섹션들의 영역 내에서 서로 인접할 수 있는 것이 배제되지 않는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서로에 대한 두 베어링 부분들의 최적의 정렬을 개선하는,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포지셔닝 표면이 각각의 내부 표면상의 두 베어링 부분 상에서 각각의 경우에 구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베어링 부분의 두 개의 포지셔닝 표면은 삽입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두 개의 포지셔닝 표면을 각각의 내부 표면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제공하는 것이 고안될 수 있다. 유사하게 두 개보다 많은, 예를 들어 세 개 또는 네 개 이상의 이러한 포지셔닝 표면이 각각의 내부 표면상에 제공되는 것이 고안될 수 있으며, 특히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포지셔닝 표면이 삽입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제공되며 두 개의 이러한 포지셔닝 표면이 길이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길이방향에서의 간격은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이 길이방향에서 비교적 크거나 넓게 구성될 때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 제1 베어링 부분은 자신의 내부 표면 상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을 가질 수 있는 반면 제2 베어링 부분은 자신의 내부 표면 상에서 가로방향으로 배향되고 상응하는 가이드 핀에 상보적이며 상응하는 가이드 핀이 가로방향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개구를 구비한다. 서로에 대한 두 개의 베어링 부분의 사전결정된 정렬은 또한 각각의 가이드 개구와 상호작용하는 가이드 핀에 의해 획득된다. 가이드 핀 및 가이드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스 피트(press fit)인 상응하는 핏의 경우에서 서로에 대한 두 베어링 부분의 충분한 고정을 또한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핀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베어링 부분 상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한 추가의 발전에 따르면, 각각의 가이드 핀은 각각의 포지셔닝 표면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각각의 가이드 핀은 각각의 베어링 부분으로부터 포지셔닝 표면 내로 돌출한다. 각각의 가이드 개구는 각각의 포지셔닝 표면에 의해 유사하게 둘러싸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포지셔닝 표면 내의 가이드 개구는 각각의 베어링 부분 내로 도입된다. 이것은 베어링 브래킷에 대해 특히 조밀한 구성을 발생시킨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서, 제1 베어링 부분은 삽입방향 및/또는 길이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가이드 핀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핀에 상보적으로, 제2 베어링 부분은 역시 삽입방향 및/또는 길이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가이드 개구를 구비한다. 이러한 방법은 역시 서로에 대한 두 개의 베어링 부분의 정렬의 개선으로 이어진다. 큰 구성의 베어링 브래킷 또한 그에 따라 길이방향에서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추가로 제1 베어링 부분 상에 구현된 가이드 개구 내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을 또한 갖도록 제2 베어링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핀은 바람직하게는 제1 베어링 부분 상에만 구현되는 반면 가이드 개구는 제2 베어링 부분 상에만 구현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원주 섹션 또는 제2 원주 섹션이 180°보다 넓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응하는 베어링 섹션으로 삽입된 베어링 샤프트가 그 안에서 클램프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베어링 부분 상에 구현된 제1 베어링 섹션은 제1 원주 섹션이 180°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더 넓은 원주 섹션은 예를 들어 최대 240°에 걸쳐 연장하며 예를 들어 대략 200°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각각의 경우에 제1 베어링 섹션과 제2 베어링 섹션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제공되는 경우를 따른다. 서로에 대한 두 베어링 섹션의 정렬은 따라서 서로에 대한 포지셔닝 표면들의 접촉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베어링 부분들이 베어링 섹션의 영역 내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서의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서로에 대한 베어링 섹션들의 최적의 정렬은 그에 따라 인접하는 포지셔닝 표면의 상호작용에 의해 가능하다. 포지셔닝 표면이 베어링 섹션을 서로에 대해 정렬시키는 한편 베어링 섹션들은 제어 샤프트의 장착을 실현하기 때문에, 이것을 통해 베어링 브래킷 내의 기능적 분리가 또한 획득된다.
다른 실시예는 동일하지 않은 크기를 가진 두 개의 베어링 섹션을 제공하고, 따라서 서로 다른 크기의 원주 섹션을 정의한다. 자신의 내부 표면상에서 횡방향으로, 더욱 큰 베어링 섹션을 포함하는 베어링 부분은 원주방향에서 베어링 섹션을 확장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자신의 내부 표면상에서 횡방향으로, 더 작은 베어링 섹션을 포함하는 베어링 부분은 원주방향에서 베어링 섹션을 감소시키며 돌출부와 결합하는 리세스를 구비한다. 이것은 특히 조밀한 구성을 발생시킨다.
바람직한 추가의 발전에 따르면, 두 베어링 부분이 리세스 및 돌출부의 영역 내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또한 포지셔닝 표면이 서로에 대해 기댈 때 서로에 대한 두 베어링 섹션의 정렬을 단순화한다.
회전축이 위치되는 포지셔닝 평면 내에서 포지셔닝 표면들이 서로 인접하는 경우의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회전축은 그에 따라 인접하는 포지셔닝 표면의 도움으로 중심화될 수 있다.
전술된 제1 양태의 특성 및 이것의 실시예와 임의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술된 제2 양태의 특성 및 이것의 실시예와 임의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상응하는 추가의 발전을 가진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기술될 것이다.
추가의 실시예는, 자신의 접속 면 상에서 플랜지 섹션에 하우징이 내연기관에 접속될 때 실(seal)을 형성하도록 내연기관에 인접하는 실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홈이 장착됨을 가정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베어링 수용부는 밀봉 홈을 이러한 밀봉 수용부의 영역 내에 홈 브레이크를 갖는 방식으로 밀봉 홈의 섹션 내에 배치하는 것이 제안된다.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베어링 브래킷이 전술된 밀봉 홈의 영역 내에 홈 브레이크의 영역 내의 밀봉 홈을 완성하는 홈 섹션을 갖는 것이 추가로 제안된다.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 상에 구현된 홈 섹션은 인접한 밀봉 홈을 말하자면 방해가 없고 바람직하게는 이렇게 수평을 이루는 방식으로 공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삽입된 밀봉은 조립된 상태에서 방해가 없는 방식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길이방향으로 특히 인접한 배출 개구 사이에서 거리가 특히 작게 선택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제어 샤프트는 특히 이러한 베어링 수용부에 의해 밀봉의 영역 내에도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추가의 장점은 베어링 수용부 내로 삽입되는 베어링 브래킷이 홈 섹션을 통해 가이드되는 실의 도움으로, 즉 밀봉 섹션을 통해 플랜지 섹션 상에 고정된다는 점에서 보여진다. 따라서 흡입 모듈은 내연기관으로의 조립을 단순화하는 조립체로서 매우 완성도 있게 준비될 수 있다. 설치된 상태에서, 실의 압축은 또한 하우징에 대해 베어링 브래킷의 신뢰 가능한 포지셔닝을 지지하는 베어링 수용부 내로 삽입방향에서 베어링 브래킷을 구동하는 프리스트레스 힘을 발생시킨다.
바람직한 추가의 발전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포지셔닝 블록은 제어 샤프트를 마주하지 않으며 홈 섹션의 홈 베이스에 수평을 이루는 방식으로 인접하는 홀딩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자신의 홀딩 표면을 이용하여,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은 이러한 방식으로 밀봉 홈의 홈 베이스의 섹션을 또한 형성하며, 이것은 각각 플랜지 섹션 내의 베어링 브래킷의 단순화된 조립체 또는 향상된 포지셔닝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베어링 브래킷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사출 성형 도구로부터 완성된 플라스틱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공통의 드래프트 각도가 일반적으로 포지셔닝에 대해서 제공되지 않은 외부 표면상에 배치된다. 각각 흡입 모듈 내의 또는 두 개의 베어링 부분 상의 베어링 브래킷의 포지셔닝을 위해 요구되는 포지셔닝 표면 또는 가이드 핀 상에는 드래프트 각도가 제공되지 않는다. 이러한 표면은 따라서 매우 정확한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으며, 따라서 또한 매우 정확한 장착을 제공할 수 있다. 포지셔닝 표면의 백분율은 전체 구성요소 표면의 20% 미만이고, 특히 10% 미만이다. 총 표면에 대한 작은 백분율로 인해서, 도구로부터 주입된 베어링 브래킷을 제거하는 것은 어떠한 문제 없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전술된 양태들에 대해서 하우징은 신선 공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입 개구 및 해당 위치에서의 신선 공기를 위한 배출 개구를 형성하는 제어 가능한 개구를 가진 플랜지 섹션을 구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적으로, 베어링 수용부는 내연기관으로의 하우징의 접속을 위해 제공된 플랜지 섹션의 접속 면 상에 구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중요한 특성 및 장점은 종속 청구항, 도면 및 상응하는 도면의 부분들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나타날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특성 및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될 특성은 각각 명시된 조합으로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조합으로 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분명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었고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또는 기능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한다.
각각의 도면이 다음과 같이 도시되었다:
도 1은 흡입 모듈을 구비한 신선 공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매우 단순화된 회로도와 같은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아래로부터의 흡입 모듈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5는 각각 서로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에서, 개방된 상태에 있는 베어링 브래킷의 등축도,
도 6 및 7은 각각 도 4 및 5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경우에서, 접힌 상태에 있는 베어링 브래킷의 등축도,
도 8은 흡입 모듈의 하우징이 단면으로 도시되고 베어링 브래킷은 측면에서 복사된 베어링 브래킷의 영역에서의 흡입 모듈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에 따르면, 내연기관(1)은 내연기관(1)의 연소 챔버(4)가 각각의 경우에 포함되는 복수의 실린더(3)를 구비하는 엔진 블록(2)을 포함한다. 네 개의 실린더는 여기에서 단지 예시적인 방식으로 그리고 보편성을 제한하지 않고 도시되었다. 피스톤 엔진으로 구현된 내연기관(1)의 경우에서,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은 피스톤은 스트로크 조정 가능한 방식으로 각 실린더(3) 내에 배치된다. 신선 공기는 신선 공기 시스템(5)을 통해 연소 챔버(4)로 공급된다. 상응하는 신선 공기 흐름(6)은 화살표에 의해 제안되었다. 신선 공기 시스템(5)은 각각 내연기관(1) 또는 엔진 블록(2)에 접속되거나, 또는 각각 흡입 모듈(7)을 통해서 그에 고정된다. 추가로 연소 배기가스가 연소 챔버(4)로부터 방출될 수 있는 배기 시스템(8)이 제공된다. 상응하는 배기가스 흐름(9)은 화살표에 의해 제안되었다.
도 1의 도시된 예에서, 내연기관(1)에 예로서 아래에서 참조번호(10)로도 식별될 수 있는 배기가스 터보차저(turbocharger)인 충전 스테이션(10)이 장착되기 때문에, 내연기관(1)은 충전식 내연기관(1)이다. 배기가스 터보차저(10)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신선 공기 시스템(5) 내에 설치된 압축기(11) 뿐 아니라, 배기가스 시스템(8) 내에 설치된 터빈(12)을 구비한다. 압축기(11) 및 터빈(12)은 예로서 공통의 드라이브 샤프트(13)에 의해 서로에 드라이브-접속된다. 대안에서, 내연기관(1)은 비충전식 내연기관(1)으로서, 그에 따라 흡입 모터로서 또한 설계될 수 있다.
도 1 및 2에 따르면, 흡입 모듈(7)은 분배 챔버(15)를 둘러싸는 하우징(14)을 구비한다. 하우징(2)은 유입 개구(16)와 함께 복수의 배출 개구(17)를 구비한다. 신선 공기 흐름(6)은 유입 개구(16)를 통해서 분배 챔버(15) 내로 진입할 수 있다. 신선 공기 흐름(6)은 배출 개구(17)를 통해 분배 챔버(15)로부터 나갈 수 있으며 엔진 블록(2) 내에 형성된 상응하는 신선 공기 덕트(18)를 통해 각각의 연소 챔버(4) 내로 흐를 수 있다. 기체 교환 프로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기체 교환 밸브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았다.
하우징(14)은 플랜지 섹션(19)을 구비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하우징(14) 또는 흡입 모듈(7)이 각각 엔진 블록(2)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 내연기관(1)으로 접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랜지 섹션(19)이 하우징(14) 상에 일체형으로 몰딩되며, 그에 따라 동일한 재료로 제작된다.
도 2에 따르면, 흡입 모듈(7)에는 추가로 제어 디바이스(20)가 장착되고, 이것의 도움으로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17)의 흐름이 통과할 수 있는 단면이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서, 흐름이 통과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개구의 단면이 제어 디바이스(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음이 명백하며, 따라서 아래의 설명이 다른 제어 가능한 개구를 포함하는 흡입 모듈(7)에 대해 상응하게 판독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두 개의 배출 개구(17)는 각각의 실린더(3) 또는 각각의 연소 챔버(4)로 각각 할당되고, 이러한 두 개의 배출 개구(17) 중 오직 하나만이 각각의 경우에서 제어 디바이스(20)의 도움으로 제어될 수 있는 반면, 각각의 다른 배출 개구(17)는 제어되지 않고, 그에 따라 영구적으로 개방된다. 제어되지 않는 배출 개구(17)는 또한 도 2에서 참조번호(17a)로 식별된다. 제어 디바이스(20)의 도움으로 제어될 수 있거나 또는 제어되는 배출 개구(17)는 또한 도 2에서 참조번호(17b)로 식별된다. 제어 디바이스(20)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된 배출 개구(17b)에 대한 제어 밸브(22)를 지지하며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제어 샤프트(21)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샤프트(21)를 구비한다. 회전 방식으로 제어 샤프트(21)를 구동하기 위해서, 상응하는 액추에이터(68)가 제공된다. 도 2의 예에서, 모든 제어 가능한 배출 개구(17b)에는 각각의 경우에 모든 제어 가능한 배출 개구(17b)에 대해 지지 밸브(22)를 지지하는 단일의 공통 제어 샤프트(21)가 제공된다. 제어 샤프트(21)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을 제조되는 반면, 제어 밸브(22)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이때 제어 밸브(22)는 제어 샤프트(21)에 대해 직접 주입될 수 있다.
제어 샤프트(21)는 회전 축(24)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14) 상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샤프트(21)는 직선으로 구현되고, 그에 따라 회전 축(24)은 제어 샤프트(21)에 대해 동심으로 연장한다.
도 8은 회전 축(24)에 대해 직교하는 플랜지 섹션(19)의 영역, 즉 이러한 베어링 브래킷(23)의 영역 내에서 하우징(14)을 통한 흡입 모듈(7)의 단순화된 단면을 반영하며, 베어링 브래킷(23) 자신은 단면이 아닌 회전 축(24)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방향으로 바라본 측면으로 도시되었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4)은 플랜지 섹션(19)의 접속 면(26) 상의 플랜지 섹션(19)의 영역 내에서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23)에 대해 상응하는 베어링 수용부(25)를 구비하고, 각각의 베어링 수용부(25)는 각각의 베어링 수용부(25)가 접속 면(26) 상에 개방되도록 삽입 개구(27)를 구비한다. 접속 면(26)은 내연기관(1) 또는 그의 엔진 블록(2)에 각각 하우징(14)을 접속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때 접속 면(26)은 각각 하우징(14)을 마주하지 않는 접속 플랜지(19)의 면 상에 배치된다.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23)은 삽입 개구(27)를 통해서 화살표에 의해 제안되는 삽입방향(28)으로 베어링 수용부(25) 내에 삽입된다. 삽입방향(28)은 그에 따라 회전 축(24)에 직교하게 배향된다.
도 6 내지 8에 따르면,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23)은 자신의 외부 상에 두 개의 외부 표면(29)을 가지며, 이들은 도 6 내지 8에서 이중 화살표에 의해 제안된 가로방향(30)에 대해 서로를 마주하지 않는다. 가로방향(30)은 회전축(24)에 직교하고 삽입방향(28)에 직교하게 이어진다. 이러한 두 외부 표면(29)의 각각에서, 각각의 경우에 베어링 브래킷(23)은 각각의 외부 표면(29)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블록(31)을 구비한다. 포지셔닝 블록(31)에 상보적으로, 베어링 수용부(25)는 자신의 내부(32) 상에서 가로방향(30)에 대해 그리고 길이방향(34)에 대해 베어링 브래킷(23)을 정렬시키기 위한 가이드 윤곽(33)을 구비하며, 이것은 각각의 경우에 도 6 및 7에서 이중 화살표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회전 축(24)에 평행하게 이어진다.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31)은 두 개의 평평한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35)을 구비하고, 이것은 길이방향(34)에 대해 서로 마주하지 않으며 길이방향(34)에 직교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관찰자를 마주하는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35)만이 그에 따라 도 6 내지 8의 경우에서 보여질 수 있다. 관찰자를 마주하지 않는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35)은 도 7의 점선 기준선으로 제안된다.
내부 상에(32), 베어링 수용부(25) 또는 각각의 가이드 윤곽(33)이 각각 도 2에서만 볼 수 있는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31)에 대한 두 개의 평평한 길이방향 가이드 표면(36)을 구비한다. 길이방향 가이드 표면(36)은 길이방향(34)에 대해 서로 마주하며 길이방향(34)에 직교할 뿐 아니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설치 상태에서,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31)의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35)은 평평한 방식으로 각각의 길이방향 가이드 표면(36)에 대해 평평하게 인접한다.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31)에는 여기에서 평평한 가로방향 포지셔닝 표면(37)이 추가로 장착되며, 이것은 가로방향(30)에 대해 직교하게 연장하고 그에 따라 가로방향(30)에 대해 남아있는 베어링 브래킷(23)을 마주하지 않는다. 가로방향 포지션이 표면(37)에 대해 상보적으로, 베어링 수용부(25)는 자신의 내부(32) 또는 자신의 가이드 윤곽(33) 상에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31)에 대해서 각각 평평한 가로방향 가이드 표면(38)을 구비하며, 이것은 가로방향(30)에 직교하게 연장하고 평평한 방식으로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31)의 각각의 가로방향 포지셔닝 표면(38)에 대해 인접한다. 전술된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35)이 길이방향(34)에 대한 베어링 브래킷(23)의 길이방향 가이드 표면(36)과의 정렬을 실행하는 한편, 가로방향 포지셔닝 표면(37)은 가로방향 가이드 표면(38)과 관련하여 가로방향(30)에 대한 베어링 브래킷(23)의 정렬을 실행한다.
본 명세서에 나타내어진 예에서,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23)은 자신의 두 외부 표면(29) 상에서, 삽입방향(28)에서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포지셔닝 블록(31)을 구비한다. 두 개의 포지셔닝 블록(31)을 차별화하기 위해서, 베어링 수용부(25) 내로의 베어링 브래킷(23)의 삽입에 응답하여 선행하는 포지셔닝 블록(31)은 아래에서 선단 또는 선행 포지셔닝 블록(31a)으로 식별될 수 있는 반면, 삽입에 응답하여 끌려가는 포지셔닝 블록(31)은 아래에서 후단 포지셔닝 블록(31b)으로서 식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포지셔닝 블록(31a, 31b)은 삽입방향(28)으로 각각의 외부 표면(29) 상에서 서로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선단 포지셔닝 블록(31a)은 그에 따라 후단 포지셔닝 블록(31b)보다 더 작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더 작은 선단 포지셔닝 블록(31a)은 길이방향(34) 및 가로방향(30) 모두에서 더 큰 후단 포지셔닝 블록(31b)보다 더 작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도 6에 따르면, 예를 들어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31)의 두 개의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35)이 서로로부터 갖는 길이방향 거리(39)는 후단 포지셔닝 블록(31b)의 경우에서보다 선단 포지셔닝 블록(31a)의 경우에서 더 작다. 가로방향(30)에 평행하게 측정된,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31)이 돌출하는 상응하는 외부 표면(29)으로부터의 각각의 가로방향 포지셔닝 표면(37)의 가로방향 거리(40)는 후단 포지셔닝 블록(31b)의 경우에서보다 선단 포지셔닝 블록(31a)의 경우에서 더 작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서, 선단 포지셔닝 블록(31a)은 삽입방향(28)에 대해 제어 샤프트(21)와 후단 포지셔닝 블록(31b) 사이에 배치되며, 이것에 의해 제어 샤프트(21)는 큰 침투 깊이와 일치하는 접속 면(26)으로부터의 특히 큰 거리에 도달할 수 있다. 이것은 비교적 큰 제어 밸브(22)를 구현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베어링 브래킷(23)의 실시예가 각 외측면(29) 상에 오직 두 개의 포지셔닝 블록(31)만을 구비하는 반면, 네 개의 이러한 포지셔닝 블록(31)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서 각 외측면(29) 상에 제공된다.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포지셔닝 블록(31)은 따라서 각각의 외부 표면(29)에서 길이방향(34)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상세하게, 길이방향(34)에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더 작은 선단 포지셔닝 블록(31a) 및 더 큰 후단 포지셔닝 블록(31b)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도입된 베어링 브래킷(23)의 경우에서, 적어도 포지셔닝 블록(31) 중 하나의 경우에서, 즉 각각의 선단 포지셔닝 블록(31a)의 경우에서, 삽입방향(28)으로 이어지고 삽입방향(28)에 직교하게 연장하는 평평한 정지 표면(41)이 구현되도록 추가로 제공된다. 이것에 상보적으로,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31)에 대해, 여기서는 각각의 선단 포지셔닝 블록(31a)에 대해 자신의 내측면(32) 상에 베어링 수용부(25)가 평평한 대응 정지 표면(42)을 구비하며, 베어링 브래킷(23)이 베어링 수용부(25) 내의 사전결정된 삽입 깊이에 도달하자마자 정지 표면(41)이 평평한 방식으로 이러한 평평한 대응 정지 표면(42)에 인접한다.
또한 도 6 내지 8로부터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23)이 자신의 외부 표면(29) 상에서 포지셔닝 블록(31)을 통해 오직 하우징(14)과 접촉한다는 점이 수집될 수 있다. 이것을 통해서 길이방향(34) 및 가로방향(30)에서 하우징(14)에 대한 베어링 브래킷(23)의 포지셔닝이 오직 이러한 포지션이 블록(31)을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포지셔닝 블록(31)은 총 베어링 브래킷(23)에 비교하여 비교적 작게 치수가 정해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외부 표면(29)의 영역에서의 접촉이 오직 간접적으로, 즉 포지셔닝 블록(31)을 통해서만 이루어진다면,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23)의 외부 표면(29)과 상응하는 베어링 수용부(25)의 내측면(32) 사이에서 가로방향(30) 및/또는 길이방향(34)으로 포지셔닝 블록(31)의 외측에 공간 또는 간격이 구현된다. 참조번호(69)로 식별된 이러한 공간은 도 8에서 가로방향(30)으로 포지셔닝 블록(31)의 외측의 베어링 브래킷(23)의 양 외부 면 상에 존재한다. 추가로 포지셔닝 블록(31)의 외측의 베어링 브래킷(23)이 선단 정면 단부와 베어링 브래킷(25)을 정의하는 하우징(14)의 대향하는 벽 사이에서 삽입방향(28)으로 하우징(14)에 직접 접촉하지 않음을 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공간(70) 또한 이 장소에 위치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도 3 내지 8의 예의 경우에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31)이 길이방향(34)에 평행하게 측정된, 베어링 브래킷(23)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방향(34)에 평행하게 측정된 길이를 갖도록 제공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34)에서의 포지션이 블록(31)은 최대 베어링 브래킷(23)의 1/2만큼 길다. 여기에서 추가로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31)은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측정된, 베어링 브래킷(23)의 높이보다 작은 삽입방향(28)에 평행하게 측정된 높이를 갖도록 제공된다. 포지셔닝 블록(31)은 특히 베어링 브래킷(23)의 최대 1/2의 높이를 가진다.
추가로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31)은 또한 블록(31)은 각각의 경우에서 길이방향(23)에서 서로 이격된 베어링 브래킷(23)의 두 길이방향 단부들로부터 이격되도록 제공된다. 추가로 여기에서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31)은 삽입방향(28)에서 서로 이격된 베어링 브래킷(23)의 두 개의 단부들로부터 이격되도록 제공된다. 베어링 브래킷(23)을 베어링 수용부(25) 내에 삽입할 때, 이들 단부 중 하나는 삽입방향(28)에서 선행하며 베어링 브래킷(23)의 정면 단부를 형성하는 한편, 다른 단부는 삽입방향(28)에서 끌려가며 베어링 브래킷(23)의 후방 단부를 형성한다. 베어링 브래킷(23)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31)을 이격시킴으로써, 포지셔닝 블록(31)에 대해 뚜렷하게 더 작은 포지셔닝이 발생하며, 이것은 해당 위치에서 더 좁은 오차를 수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31)은 바람직하게는 정육면체의 형태로 설계되고,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개의 평평한 외부 가이드 표면, 즉 가로방향(30)에 수직으로 이어지며 베어링 브래킷(23)을 마주하지 않는 하나의 가이드 표면(37), 삽입방향(28)에 수직으로 이어지며 삽입방향(28)으로 선행하는 가이드 표면(41) 및 길이방향(34)에 수직으로 이어지며 서로 마주하지 않는 두 개의 가이드 표면(35)을 구비한다.
전술된 특성들에 더하여 또는 대안적으로,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23)은 두 개의 베어링 부분, 즉 제1 베어링 부분(43) 및 제2 베어링 부분(44)을 구비한다. 제1 베어링 부분(43)은 제어 샤프트(21)가 제1 원주 섹션(46)과 인접하는 제1 베어링 섹션(45)을 구비한다. 제2 베어링 부분(44)은 제1 베어링 섹션(45)에 대향하게 위치되며 제어 샤프트(21)가 제1 원주 섹션(46)에 대향하게 위치된 제2 원주 섹션(48)에 인접하는 제2 베어링 섹션(47)을 구비한다. 각각의 베어링 섹션(45, 47)에 횡방향으로 인접하여, 두 베어링 부분(43, 44)은 각각의 경우에 가로방향(30)에 대해 서로 마주하는 내부 표면(49)을 가진다. 각각의 내부 표면(49) 상에서, 각각의 경우에 가로방향(30)에 직교하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포지셔닝 표면(50)이 각각의 경우에 구현된다. 도 6 내지 8의 접힌 상태 또는 도 8의 설치된 상태 각각에서, 제1 베어링 부분(43)의 각각의 포지셔닝 표면(50)은 제2 베어링 부분(44)의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표면(50)에 평평하게 인접한다. 두 개의 베어링 부분(43, 44)은 그에 따라 가로방향(30)에 대해서 서로 최적으로 정렬된다.
두 베어링 부분(43, 44)의 포지셔닝 표면(50)은 포지셔닝 평면(58) 내에서 서로 인접한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에 의해 포지셔닝 표면(50)은 베어링 브래킷(43)에 의해 정의된 회전 축(24)이 포지셔닝 평면(58) 내에 위치되도록 베어링 부분(43, 44) 상에 배치된다.
도 3 내지 5에 따르면, 제1 베어링 부분(43)은 자신의 내부 표면(49) 상에서 가로방향(30) 내에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51)을 구비한다. 도 6 내지 8의 접힌 상태에서, 이러한 가이드 핀(51)을 볼 수 없다. 도 3 내지 5에 따르면, 각각의 제2 베어링 부분(43)은 자신의 내부 표면(49) 상에서 상응하는 가이드 핀(51)에 상보적으로 형성되고 가로방향(30)으로 배향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개구(52)를 구비한다. 도 6 내지 8의 접힌 상태에서, 각각의 가이드 핀(51)은 가로방향(30)에서 상응하는 가이드 개구(52) 내로 삽입된다. 가이드 개구(52) 또한 도 6 내지 8에서 볼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가이드 핀(51)이 각각의 포지셔닝 표면(50)에 의해 둘러싸이고 특히 그에 대해 중심화되도록 각각의 내부 표면(49) 상에 체계적으로 위치된다. 제2 베어링 부분(44) 상의 포지셔닝 개구(52) 또한 각각의 포지셔닝 표면(50)에 의해 상응하게 둘러싸이며 특히 그에 대해 중심화된다. 도 3 내지 5 및 8로부터 수집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포지셔닝 표면(50)은 상응하는 내부 표면(49)으로부터 상승됨에 따라 가로방향(30)에서 그로부터 이격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서, 삽입방향(28) 및/또는 길이방향(34)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포지셔닝 표면(50)이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내부 표면(49) 상의 두 베어링 부분(43, 44) 상에 구현된다. 도 3은 각각의 베어링 부분(43, 44)이 길이방향(34)에서 서로 이격되며 또한 길이방향(34)에 대해 서로 정렬되도록 배치된 정확히 두 개의 포지셔닝 표면(50)을 갖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서, 각각의 경우에 두 베어링 부분(43, 44) 상에는 오직 두 포지셔닝 표면(50)만이 제공되지만, 이 경우에 이들은 삽입방향(28)에서 서로 이격되고 또한 삽입방향(28)에서 서로에 대해 정렬되어 배치된다. 반면에, 도 5는 각각의 베어링 부분(43, 44)이 각각의 경우에 4개의 포지셔닝 표면(50)을 갖는 예를 도시하며, 이들 중 두 개는 각각의 경우에 삽입방향(28)에서 서로 이격되고 두 개는 각각의 경우에 길이방향(34)에서 서로 이격되며 서로에 대해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도 3 내지 5의 예시의 경우에서, 각각의 경우에 정확히 두 개의 가이드 핀(51) 및 정확히 두 개의 가이드 개구(52)가 제공된다.
도 8로부터 특히 명백하게 수집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도시된 베어링 브래킷(23)의 실시예의 경우에서 제1 베어링 부분(43)의 제1 베어링 섹션(45)에 의해 정의된 제1 원주 섹션(46)은 각각의 경우에 180°보다 크며 예시에서 대략 225°이다. 반면에, 제2 베어링 부분(44)의 제2 베어링 섹션(47)에 의해 정의된 제2 원주 섹션(48)은 180°보다 작고 도시된 예에서 대략 120°이다. 그에 따라 제어 샤프트(21)는 제1 베어링 섹션(45)으로 클립될 수 있는 반면, 베어링 브래킷(23)의 접힌 상태에서의 제2 베어링 섹션(47)은 제1 베어링 섹션(45)에서의 제어 샤프트(21)를 보장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예시의 경우에서, 추가로 제1 원주 섹션(46)과 제2 원주 섹션(48)의 합이 360°보다 더 작도록 제공된다. 간격(54)이 각각의 경우에 베어링 부분(43, 44)이 베어링 섹션(45, 47)의 영역 내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제1 베어링 섹션(45)과 제2 베어링 섹션(47) 사이의 제어 샤프트(21)의 이중 화살표에 의해 도 8에서 제안된 원주 방향(53)으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두 베어링 섹션(45, 47)이 추가로 서로에 대해 위치된다. 원주 방향(53)에서 제1 베어링 섹션(45)을 확장하는 돌출부(55)는 제1 베어링 섹션(45)의 영역 내에서 제1 베어링 부분(53) 상에 구현되며, 그에 따라 돌출부(55)는 제1 원주 섹션(46)의 부분을 각각 커버 또는 정의한다. 제2 베어링 섹션(47)의 영역 내에서, 제2 베어링 부분(44)은 리세스(56)를 구비하며, 그에 따라 디프레션 또는 리세스를 구비한다. 리세스(56)는 제2 원주 섹션(48)의 감소를 이끈다. 돌출부(55)는 추가로 이러한 리세스(56)와 결합한다. 리세스(56) 내의 돌출부(55)의 포지셔닝은 그에 따라 두 베어링 부분(43, 44) 또한 돌출부(55) 및 리세스(56)의 영역 내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사실, 간격(57)은 또한 돌출부(55)와 리세스(56) 사이의 위치에 구현된다.
도 2에 따르면, 플랜지 섹션(19)에는 관찰자를 마주하는 자신의 접속 면(56) 상에 실(59)이 장착되며, 이것의 도움으로 플랜지 섹션(19) 또는 하우징(14)이 각각 연소 챔버(4)에 공급되는 신선 공기가 환경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립된 상태에서 엔진 블록(2)에 대해 밀봉된다. 실(59)을 수용하기 위해서, 실(59)에 상보적으로 형성되며 이것의 단면을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밀봉 홈(60)이 플랜지 섹션(19)의 접속 면(26) 내로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홈(60)이 이러한 베어링 수용부(25)의 영역 내에서 홈 브레이크(61)를 갖는 방식으로 밀봉 홈(60)의 단면 내에 배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베어링 수용부(25)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 수용부(25) 내로 삽입되는 베어링 브래킷(23)은 이제 밀봉 홈(60)의 영역 내에서 이것이 홈 브레이크(61)의 영역 내의 밀봉 홈(60)을 완성하는 홈 단면(62)을 갖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브래킷(23) 상에 제공된 홈 단면(62)은 홈 브레이크(61)의 영역 내의 밀봉 홈(60)을 완전히 보충하며, 그에 따라 실(59)은 어떠한 간격도 없이 밀봉 홈(60)의 홈 베이스(63) 상에 멈춰설 수 있다.
추가로 도 8의 예시에서 각각의 경우에 두 연속적인 포지셔닝 블록(31b)이 제어 샤프트(21)를 마주하지 않고 홈 단면(60)의 홈 베이스(53)와 평면을 이루며 따라서 밀봉 홈(60)의 홈 베이스(63)의 단면을 형성하는 홀딩 표면(64)을 갖도록 제공된다. 이론적으로, 따라서 홈 브레이크(61)의 영역 내에서 실(59)과 연속적인 접촉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따르면, 실(59)은 모든 배출 개구(17) 및 모든 베어링 수용부(25) 둘레에서 가이드되고 그에 따라 이들을 각각 둘러싸거나 감싸는 서큘레이션(65)을 구비한다. 이러한 서큘레이션(65) 내에, 실(59)은 복수의 웹(66)을 구비하며, 각각의 경우에 이들은 홈 브레이크(61)를 통해서, 그에 따라 베어링 수용부(25)를 통해서 가이드되며 해당 위치에서 상응하는 베어링 브래킷(23)과 접촉한다. 흡입 모듈(7)의 사전조립 동안, 이러한 웹(66)은 플랜지 섹션(19) 상의 베어링 수용부(25) 내로 삽입된 베어링 브래킷(23)을 고정하도록 사용된다. 흡입 시스템(7)의 부착된 상태에서, 이러한 웹(66)은 삽입방향(28)에서 베어링 브래킷(23)의 프리스트레스를 실행하며, 이것에 의해 베어링 브래킷(23)이 특히 프리스트레스된 방식으로 대응 정지 표면(42) 상에서 자신의 정지 표면(41)에 멈춰 선다.
도 3 내지 5로부터 수집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베어링 부분(43, 44)은 바람직하게는 공통의 사출 성형 도구에서 생산될 수 있다. 두 베어링 부분(43, 44)은 이것에 의해 한 조각으로, 그러나 서로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생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예를 들어 일체형 힌지(67)가 두 베어링 부분(43, 44) 사이의 전이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두 베어링 부분(43, 44)의 한 조각 생산은 동일한 재료로 제작되고 동일한 생산 조건하에서 제적된 이러한 베어링 부분들(43, 44)이 항상 베어링 브래킷(23)을 형성하도록 조립됨을 보장한다. 일체형 힌지(67)는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23)을 형성하기 위해서 또는 베어링 브래킷(23)의 접힌 상태를 생성하기 위해서, 각각 일체형 힌지(67)에 의해 정의되고 회전 축(24)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회전 축 둘레에서 서로에 대해 두 베어링 부분(43, 44)의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20)의 조립을 위해서, 요구된 베어링 브래킷(23)은 그에 따라 상응하는 위치에서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된 상태에서의 제어 샤프트(21) 상으로 자신의 제1 베어링 부분(43)과 클립될 수 있다. 베어링 브래킷(23)은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된 상태로 후속하여 전이될 수 있으며, 포지셔닝 표면(50)이 서로에 닿을 때까지 각각의 제2 베어링 부분(44)이 각각 일체형 힌지(67) 또는 이것의 회전 축 둘레에서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핀(51)은 또한 가이드 개구(52) 내로 삽입된다. 그에 따라 두 베어링 부분(43, 44)이 베어링 브래킷(23)의 조립 후에 또는 베어링 브래킷(23)이 붕괴 후에 각각 일체형 힌지(67)를 통해 서로에 더는 접속되지 않도록, 두 베어링 부분(43, 44)을 베어링 브래킷(23) 내에 조립할 때 파괴되는(접히는) 방식으로 일체형 힌지(67)의 치수가 정해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6 내지 8은 베어링 브래킷(23)이 접힌 후에 일체형 힌지(67)가 각각 파괴되거나 또는 더는 존재하지 않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대안에서, 필름 힌지(67)는 또한 베어링 브래킷(23)을 접힘으로써 파괴되지 않고 두 베어링 부분(43, 44) 사이의 스프링-탄성 접속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치수가 정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베어링 섹션(45, 47)이 베어링 부분(43, 44)이 접힐 때 서로에 대해 조정될 수 있으며 서로에 대한 두 베어링 섹션(45, 47)의 정렬은 일체형 힌지(67)에 의해 지연되지 않는다.

Claims (20)

  1. 내연기관(1)을 위한 신선 공기 시스템(fresh air system)(5)의 흡입 모듈(intake module)로서,
    신선 공기가 흘러서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개구(17)를 구비하는 하우징(14),
    흐름이 통과할 수 있는 상기 개구(17)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2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디바이스(20)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샤프트(control shaft)(21) 및 각각의 상기 개구(17)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상기 제어 샤프트(21)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22)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샤프트(21)는 회전 축(24)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브래킷(bearing bracket)(23)에 의해 상기 하우징(14) 상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4)은 각각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수용부(25)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수용부(25)는 삽입 개구(27)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은 각각의 상기 삽입 개구(27)를 통해 상기 회전 축(24)에 직교하게 배향된 삽입방향(28)으로 상기 연관된 베어링 수용부(25) 내로 삽입되고,
    각각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은 자신의 외면 상에 상기 회전 축(24)에 직교하고 상기 삽입방향(28)에 직교하게 이어지는 가로방향(30)에 대해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된 두 개의 외부 표면(29)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은 자신의 외부 표면(29) 상에 자신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블록(positioning block)(31)을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베어링 수용부(25)는 상기 회전 축(24)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길이방향(34) 및 상기 가로방향(30)으로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을 정렬하기 위한 각각의 상기 포지셔닝 블록(31)에 대해서, 자신의 내면(32) 상에 상기 베어링 수용부(25)에 상보적인 가이드 윤곽(33)을 가지며
    각각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은 자신의 각각의 두 외부 표면(29) 상에 상기 삽입방향(28)에서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포지셔닝 블록(31a, 31b)을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은 자신의 외부 표면(29) 상에서 오직 상기 포지셔닝 블록(31)을 통해서만 상기 하우징(14)과 접촉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은 상기 길이방향(34) 또는 상기 삽입방향(30) 또는 상기 가로방향(28)에서 오직 상기 포지셔닝 블록(31)을 통해서만 상기 하우징(14)과 접촉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포지셔닝 블록(31)은 상기 길이방향(34)에 평행하게 측정되며, 상기 길이방향(34)에 평행하게 측정된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포지셔닝 블록(31)은 상기 길이방향(34)에서 서로 이격된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의 두 길이방향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포지셔닝 블록(31)은 큐브 형태로 설계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포지셔닝 블록(31)은 상기 길이방향(34)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지 않으며 서로 평행하고 상기 길이방향(34)에 직교하게 연장하는 두 개의 평평한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35)을 구비하고,
    상응하는 상기 베어링 수용부(25)는 자신의 내면(32) 상에 두 개의 평평한 길이방향 가이드 표면(36)을 구비하되, 이것은 상기 길이방향(34)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고, 서로 평행하고 상기 길이방향(34)에 직교하게 연장하며, 각각의 상기 포지셔닝 블록(31)의 상기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35) 중 하나가 평평하게 인접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포지셔닝 블록(31)은 상기 가로방향(30)에 직교하게 연장하는 평평한 가로방향 포지셔닝 표면(37)을 구비하고,
    상응하는 상기 베어링 수용부(25)가 자신의 내면(32) 상에 각각의 상기 포지셔닝 블록(31)을 위한 평평한 가로방향 가이드 표면(38)을 구비하되, 이것은 상기 가로방향(30)에 직교하게 연장하고, 각각의 상기 포지셔닝 블록(31)의 상기 가로방향 포지셔닝 표면(37)이 평평하게 인접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외부 표면(29) 상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포지셔닝 블록(31a, 31b)은 상기 삽입방향(28)에서 서로에 대해 정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삽입방향(28)에서 선행하는 상기 포지셔닝 블록(31a)은 상기 삽입방향(28)에서 따라가는 상기 포지셔닝 블록(31b)보다 작도록 치수가 정해지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포지셔닝 블록(31a)은 상기 삽입방향(28)에서 상기 제어 샤프트(21)와 상기 다른 포지셔닝 블록(31b)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은 양쪽 외부 표면(29) 상에서 상기 길이방향(34)으로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포지셔닝 블록(31)을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블록(31)은, 각 외부 표면(29)에서 평평한 정지 표면(stop surface)(41)을 구비하되, 이것은 상기 삽입방향(28)으로 이어지고 상기 삽입방향(28)에 직교하게 연장하며 각각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25)의 상기 내부 윤곽(32) 상에 구현되는 평평한 대응 정지 표면(42)에 대해 편평하게 인접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은 두 개의 베어링 부분, 즉 제1 베어링 부분(43) 및 제2 베어링 부분(44)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베어링 부분(43)은 상기 제어 샤프트(21)가 제1 원주 섹션(46)과 인접하는 제1 베어링 섹션(45)을 가지고,
    상기 제2 베어링 부분(44)은 상기 제1 베어링 섹션(45)에 대향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어 샤프트(21)가 상기 제1 원주 섹션(46)에 대향하게 위치된 제2 원주 섹션(48)과 인접하는 제2 베어링 섹션(47)을 가지고,
    상기 두 개의 베어링 부분(43, 44)은 상기 가로방향(30)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고 상기 가로방향(30)에 직교하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포지셔닝 표면(50)을 구비하는 내부 표면(49)을 가지는 것으로 특징지어지고,
    상기 제1 베어링 부분(43)의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표면(50)은 상기 제2 베어링 부분(44)의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표면(50)에 평평하게 인접하는, 흡입 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 부분(43)은 자신의 내부 표면(49) 상에 상기 가로방향(30)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51)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2 베어링 부분(44)은 자신의 내부 표면(49) 상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개구(52)를 구비하며, 이것은 상기 가로방향(30)으로 배향되고 상기 상응하는 가이드 핀(51)에 대해 상보적이며 상기 상응하는 가이드 핀(51)이 상기 가로방향(30)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4)은 신선 공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입 개구(16) 및 해당 위치에서 신선 공기를 위한 배출 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제어 가능한 개구(17)를 구비한 플랜지 섹션(19)을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수용부(25)는 상기 내연기관(1)으로의 상기 하우징(14)의 접속을 위해 제공된 상기 플랜지 섹션(19)의 접속 면(26) 상에 구현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섹션(19)은 자신의 접속 면(26) 상에 상기 하우징(14)이 상기 내연기관(1)에 접속될 때 실(seal)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연기관(1)에 인접하는 실(59)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홈(60)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수용부(25)는 상기 밀봉 홈(60)이 이러한 밀봉 수용부(25)의 영역 내에 홈 브레이크(groove break)(61)를 갖도록 상기 밀봉 홈(60)의 섹션 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은 상기 밀봉 홈(60)의 영역 내에, 상기 홈 브레이크(61)의 영역 내에서 상기 밀봉 홈(60)을 완성하는 홈 섹션(62)을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포지셔닝 블록(31)은 상기 제어 샤프트(21)를 마주하지 않으며 상기 홈 섹션의 홈 베이스(63)에 수평을 이루는 방식으로 결합하는 홀딩 표면(64)을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포지셔닝 블록(31)은 상기 삽입방향(28)에 평행하게 측정되며, 상기 삽입방향(28)에 평행하게 측정된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포지셔닝 블록(31)은 상기 삽입방향(28)에서 서로 이격된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의 두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KR1020177025592A 2015-03-13 2016-03-07 신선 공기 시스템의 흡입 모듈 KR1018791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04604.4 2015-03-13
DE102015204604.4A DE102015204604A1 (de) 2015-03-13 2015-03-13 Saugmodul einer Frischluftanlage
PCT/EP2016/054780 WO2016146416A1 (de) 2015-03-13 2016-03-07 Saugmodul einer frischluft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919A KR20170126919A (ko) 2017-11-20
KR101879149B1 true KR101879149B1 (ko) 2018-07-16

Family

ID=55588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592A KR101879149B1 (ko) 2015-03-13 2016-03-07 신선 공기 시스템의 흡입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96990B2 (ko)
EP (1) EP3268599B1 (ko)
JP (1) JP6283149B1 (ko)
KR (1) KR101879149B1 (ko)
CN (1) CN107429639B (ko)
DE (1) DE102015204604A1 (ko)
WO (1) WO20161464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333B1 (ko) * 2020-12-03 2022-08-18 말레동현필터시스템(주) 흡기 매니폴드용 밸브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458A (ja) * 1993-12-10 1995-06-20 Mitsubishi Motors Corp 多気筒内燃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JPH07158457A (ja) * 1993-12-10 1995-06-20 Mitsubishi Motors Corp 多気筒内燃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JP2010168995A (ja) * 2009-01-22 2010-08-05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バルブ装置
JP2014101800A (ja) * 2012-11-20 2014-06-05 Aisin Seiki Co Ltd 吸気制御弁および吸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4308U (ko) * 1988-02-18 1989-08-24
US4907547A (en) * 1989-02-21 1990-03-13 Siemens-Bendix Automotive Electronics L.P. One-piece wave deflector for I.C. engine intake system
KR100328534B1 (ko) * 1993-12-10 2002-08-13 도쿄 로키 가부시키가이샤 다기통내연엔진의흡기제어장치
JPH08277717A (ja) * 1995-04-06 1996-10-22 Du Pont Kk 吸気制御バルブを備えた樹脂吸気系
FR2797931B1 (fr) * 1999-08-31 2001-10-05 Mark Iv Systemes Moteurs Sa Dispositif de regulation de l'ecoulement dans une portion de conduit ou un passage et collecteur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DE29916333U1 (de) * 1999-09-16 2000-01-13 Montaplast Gmbh Lagervorrichtung
FR2804740B1 (fr) * 2000-02-09 2002-08-02 Mecaplast Sam Systeme d'obturation pour canalisation de fluide
US6763802B1 (en) * 2002-11-25 2004-07-20 Hayes Lemmerz International, Inc. Intake manifold valve system
CA2470599C (en) * 2003-06-13 2010-08-03 Honda Motor Co., Ltd. Dual port intake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JP2005002941A (ja) * 2003-06-13 2005-01-06 Mikuni Corp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JP2005171883A (ja) * 2003-12-11 2005-06-30 Aisan Ind Co Ltd スロットルシャフトの軸受構造及びその軸受構造を備えるスロットルボデーの製造方法
DE102004021125A1 (de) * 2004-04-29 2005-12-01 Mann + Hummel Gmbh Klappenanordnung im Flanschbereich eines Ansaugsystems einer Brennkraftmaschine
US6948468B1 (en) * 2004-05-03 2005-09-27 Decuir Engine Technologies, Llc Desmodromic valve and adjustable cam system
JP2006161885A (ja) * 2004-12-03 2006-06-22 Mikuni Corp 軸受構造及び吸気装置
JP4191721B2 (ja) * 2005-11-07 2008-12-03 株式会社ケーヒン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4434138B2 (ja) * 2005-12-20 2010-03-17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組付方法
JP4556864B2 (ja) * 2005-12-26 2010-10-06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吸気装置
JP4605476B2 (ja) * 2006-09-21 2011-01-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吸気制御装置
PL1908943T3 (pl) * 2006-10-05 2009-06-30 Magneti Marelli Spa Przewód wlotowy rozgałęziony, o zmiennej geometrii dla silnika spalania wewnętrznego
EP1988264A1 (en) * 2007-05-02 2008-11-05 Mann+Hummel Gmbh Air intake manifold including a plenum reducer insert
US8028677B2 (en) * 2008-09-09 2011-10-04 Mark Iv Systemes Moteurs Usa, Inc. Assemb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intake runner
FR2952408B1 (fr) * 2009-11-12 2011-12-30 Mark Iv Systemes Moteurs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 collecteur d'admission et collecteur correspondant
JP2011220143A (ja) * 2010-04-06 2011-11-04 Denso Corp 内燃機関の吸気装置
DE102011116299A1 (de) * 2011-10-18 2013-04-18 Daimler Ag Ansaugmodul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DE102011087234A1 (de) * 2011-11-28 2013-05-29 Mahle International Gmbh Frischluftzuführeinrichtung
DE102012203232A1 (de) * 2012-03-01 2013-09-05 Mahle International Gmbh Brennkraftmaschine mit Frischgasverteiler
JP5969833B2 (ja) * 2012-06-21 2016-08-17 株式会社マーレ フィルターシステムズ 内燃機関の吸気装置
CN102979647B (zh) * 2012-12-14 2014-12-10 青岛华涛汽车模具有限公司 一种进气歧管可变***及可变进气歧管
JP6123362B2 (ja) * 2013-03-08 2017-05-1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吸気装置および吸気制御弁
DE102013206550B4 (de) * 2013-04-12 2022-09-08 Rolls-Royce Solutions GmbH Ventilanordnung
JP6252026B2 (ja) * 2013-08-08 2017-12-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吸気装置および吸気制御弁
JP6281295B2 (ja) * 2014-01-27 2018-02-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気流制御弁構造および吸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458A (ja) * 1993-12-10 1995-06-20 Mitsubishi Motors Corp 多気筒内燃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JPH07158457A (ja) * 1993-12-10 1995-06-20 Mitsubishi Motors Corp 多気筒内燃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JP2010168995A (ja) * 2009-01-22 2010-08-05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バルブ装置
JP2014101800A (ja) * 2012-11-20 2014-06-05 Aisin Seiki Co Ltd 吸気制御弁および吸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83149B1 (ja) 2018-02-21
EP3268599A1 (de) 2018-01-17
KR20170126919A (ko) 2017-11-20
US20180066592A1 (en) 2018-03-08
WO2016146416A1 (de) 2016-09-22
JP2018509553A (ja) 2018-04-05
EP3268599B1 (de) 2019-05-08
CN107429639B (zh) 2019-10-18
DE102015204604A1 (de) 2016-09-15
US10196990B2 (en) 2019-02-05
CN107429639A (zh) 201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6622B2 (en) Intake control device
JP4706775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EP2772623B1 (en) Air intak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171913B2 (en) Intak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20152982A1 (en) Intake manifol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888541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789708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valve unit
KR101879149B1 (ko) 신선 공기 시스템의 흡입 모듈
KR20120082953A (ko) 플랩 디바이스 및 흡기 시스템
CZ2002612A3 (cs) Sací systém spalovacího motoru
KR101296961B1 (ko) 텀블형 vcm 밸브 구조
KR101880009B1 (ko) 신선 공기 시스템의 흡입 모듈
JP6036211B2 (ja) 吸気制御弁および吸気装置
CN110939533A (zh) 空气净化器组件
KR101769233B1 (ko) 흡기 매니폴드
KR101821047B1 (ko) 자동차 흡기매니폴드용 밸브어셈블리
CN110939534A (zh) 空气净化器组件
CN113494398B (zh) 用于车辆的可变进气***
JP2014173480A (ja) 吸気装置および吸気制御弁
JP5633488B2 (ja) 流体制御弁
KR20100090022A (ko)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KR101726956B1 (ko) 흡기 매니폴드
KR101713441B1 (ko) 흡기 매니폴드
KR100836042B1 (ko) 자동차용 가변흡기 시스템
KR20100048226A (ko) 인테이크 매니폴드의 스월 컨트롤밸브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