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009B1 - 신선 공기 시스템의 흡입 모듈 - Google Patents

신선 공기 시스템의 흡입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009B1
KR101880009B1 KR1020177025596A KR20177025596A KR101880009B1 KR 101880009 B1 KR101880009 B1 KR 101880009B1 KR 1020177025596 A KR1020177025596 A KR 1020177025596A KR 20177025596 A KR20177025596 A KR 20177025596A KR 101880009 B1 KR101880009 B1 KR 101880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section
positioning
control shaf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6920A (ko
Inventor
마르코 데트링거
마티아스 엔드레스
볼프강 괴트
Original Assignee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126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26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generating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68Valves
    • F02B27/0273Flap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31/04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by means within the induction channel, e.g. deflectors
    • F02B31/06Movable means, e.g. 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7Manufacturing or mounting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9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having two or more flaps
    • F02D9/1095Rotating on a common axis, e.g. having a common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14Materials for intak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4Manufacturing and assembling intake systems
    • F02M35/10354Joining multiple sections tog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14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1)을 위한 신선 공기 시스템(5)의 흡입 모듈(7)에 관한 것으로, 신선 공기를 위한 유입 개구(16) 및 신선 공기를 위한 복수의 배출 개구(17)를 가진 플랜지 섹션(19)을 구비한 하우징(14) 및 흐름이 발생할 수 있는 개구(17)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20)를 포함하되, 제어 디바이스(20)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샤프트(21) 및 각각의 배출 개구(17)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제어 샤프트(21)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22)를 구비하고, 제어 샤프트(21)는 회전 축(24)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브래킷(23)에 의해 하우징(14) 상에 장착되고, 하우징(14)은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23)을 수용하며 플랜지 섹션(19)의 접속 면(26) 상에 삽입 개구(27)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수용부(25)를 포함하고,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23)은 삽입방향(28)으로 각각의 삽입 개구(27)를 통해 연관된 베어링 수용부(25) 내로 삽입된다. 향상된 제어 디바이스 기능은 베어링 브래킷(23)이 제1 베어링 부분(43) 및 제2 베어링 부분(44)을 포함할 때 획득되고, 제1 베어링 부분(43)의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표면(50)은 제2 베어링 부분(44)의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표면(50)에 대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신선 공기 시스템의 흡입 모듈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내의 내연기관을 위한 신선 공기 시스템의 흡입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흡입 모듈은 일반적으로 하우징을 내연기관에 고정 또는 접속하기 위한 신선 공기를 위한 유입 개구 및 플랜지 섹션이 장착된 하우징을 구비한다. 플랜지 섹션 내에는 신선 공기를 위한 복수의 배출 개구가 제공된다. 배분기 챔버는 일반적으로 하우징 내에 형성되며, 이것으로부터 유입 개구를 통해서 공급된 신선 공기가 내연기관의 동작 동안 배출 개구에 분배된다. 이러한 경우에, 내연기관의 연소 챔버마다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배출 개구가 제공된다. 이러한 흡입 모듈은 충전 내연기관의 충전된 내연기관의 경우 및 비충전된 내연기관의 경우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흐름이 발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의 단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를 이러한 흡입 모듈에 장착하는 것 또한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제어 가능한 배출 개구는 각 연소 챔버에 할당된다. 두 개의 배출 개구가 내연기관의 각 연소 챔버에 할당되도록 추가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의 각각은 제어되어 그에 따라 흐름이 발생할 수 있는 자신의 단면과 관련하여 변경될 수 있는 반면, 각각의 다른 배출 개구는 제어되지 않고, 즉 영구적으로 완전히 개방된다. 이러한 제어 디바이스의 도움으로, 신선 공기 공급은 내연기관의 현재 동작 상태에 따라 최적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디바이스에는 제어 샤프트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은 개별 배출 개구에 대해 제어 샤프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를 구비한다. 그에 따라 개별 제어 밸브의 도움으로, 개별 배출 개구는 흐름이 발생할 수 있는 자신의 단면과 관련하여 제어될 수 있다. 특히 개별 배출 개구는 부속 제어 밸브의 도움으로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임의의 중간 위치가 기본적으로 또한 고안 가능하다. 제어 밸브의 기능에 따라서, 이것은 또한 텀블 밸브 또는 소용돌이 플랩(swirl flap)으로도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 모듈이 가능한 한 저렴하게 대량 생산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어 샤프트를 하우징 상에 장착할 때 추가적인 문제가 획득된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는 하우징은 생산으로 인해 틀어질 수 있으며, 이것은 최소의 마찰을 가진 제어 샤프트의 장착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제어 샤프트의 기능적 신뢰 가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하우징 상의 기능적으로 신뢰 가능하게 제어 샤프트의 장착을 획득하기 위한 노력은 따라서 상당히 높다. 예를 들어 하우징 내의 제어 샤프트의 후속하는 설치 동안, 예를 들어 설치가 하우징을 내연기관에 접속하기 위해 제공된 플랜지 섹션의 접속 측 상에서 수행되어야만 한다면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우징의 틀어짐은 상당히 높은 제조 오차를 발생시키며, 이것은 제어 샤프트의 기능적으로 신뢰 가능한 조립을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는 제어 가능한 배출 개구를 가진 흡입 모듈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 가능한 개구가 제공된 하우징 내의 또는 하우징 상의 모든 흡입 모듈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어 가능한 배출 개구를 포함하는 흡입 모듈로 제한되지 않으며, 제어 가능한 개구를 구비하거나 포함하는 모든 흡입 모듈과 관련된다. 따라서 이것은 흡입 튜브 길이를 전환하기 위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는 우회 개구를 자신의 내부에 구비하는 흡입 모듈과도 관련된다. 이를 위해서, 흐름이 발생할 수 있는 이러한 우회 개구의 단면을 제어하도록 제어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신선 공기를 위한 복수의 배출 개구를 가진 플랜지 섹션 및 신선 공기를 위한 유입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이 제공된 내연기관의 신선 공기 시스템을 위한 흡입 모듈이 DE 44 99 626 T1로부터 알려졌다. 알려진 흡입 모듈은 우회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함으로써 전환되는 효율적인 전환 가능한 흡입 튜브 길이를 가진다. 이를 위해서, 흡입 모듈에는 추가로 흐름이 발생할 수 있는 이러한 우회 개구의 단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가 장착된다. 제어 디바이스는 제어 샤프트 및 제어 샤프트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배치된 우회 개구에 대한 복수의 제어 밸브를 구비한다. 제어 샤프트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브래킷에 의해 하우징 상에서 회전 축 둘레에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하우징은 삽입 개구를 구비하는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수용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은 회전축에 직교하게 배향된 삽입방향에서 각각의 삽입 개구를 통해 부속 베어링 수용부 내로 삽입된다.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은 두 개의 베어링 부분, 즉 제1 베어링 부분 및 제2 베어링 부분을 구비한다. 두 베어링 부분은 각각 가로방향에 직교하게 연장하는 삽입방향에 직교하고 회전 축에 대해 직교하게 배향되는 가로방향에 대해 서로 마주하며 평평한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인접하는 내부 표면을 구비한다. 알려진 흡입 모듈에서 베어링 부분은 각각이 베어링 영역을 구비한다. 두 개의 베어링 영역은 제어 샤프트에 대한 직선이고 방사상인 프리스트레스된 접촉이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복수의 점들에서 획득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특히 생산 노력의 감소로 특징지어지는 전술된 유형의 흡입 모듈에 대해 개선된 실시예를 제공하는 문제와 관련된다. 추가로, 제어 샤프트의 개선된 장착 및/또는 제어 디바이스의 향상된 기능적 신뢰 가능성이 추가로 요구된다.
본 발명은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서로 결합될 수도 있는 서로 독립적인 두 개의 기본적인 양태와 관련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일 양태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실시예들과 임의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를 형성하는 문제는 전술된 양태에 의해서, 그러나 특히 독립 청구항의 주제사항에 의해서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특히 종속 청구항으로부터 획득된다.
본 발명은 하우징에 대해 그리고 제어 샤프트에 대해 별개인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브래킷을 제공하며, 제어 샤프트를 장착하기 위해 제어 샤프트에 동심으로 이어지는 회전축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 샤프트가 장착되는 일반적인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에 있어서, 하우징은 베어링 브래킷을 수용하기 위한 베어링 수용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에, 베어링 수용부는 플랜지 섹션의 접속 면 상에서 개방되고, 그에 따라 베어링 브래킷은 접속 면 상에 제공된 삽입 개구를 통해 각각의 베어링 수용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은 삽입방향에서 각각의 삽입 개구를 통해서 부속 베어링 수용부 내로 삽입되며, 이때 이러한 삽입방향은 실질적으로 회전축에 직교하게 배향된다. 이러한 별개의 베어링 브래킷을 사용함으로써, 장착 기능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다. 특히, 이러한 베어링 브래킷은 비교적 큰 하우징보다 뚜렷하게 더 좁은 제조 오차를 가지고 생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샤프트의 장착은 이러한 별개의 베어링 브래킷의 도움으로 개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베어링 브래킷, 즉 둘 이상의 베어링 브래킷이 사용되며, 이들은 각각의 경우에 자신의 베어링 수용부 내로 삽입된다. 제어 샤프트는 예를 들어 금속 로드(rod)에 의해 형성된 연속적인 한 부분의 샤프트 바디를 구비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제어 밸브가 그 위에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복수의 로드 형태의 섹션으로부터 이루어진 제어 샤프트에 대해 여러 부분의 샤프트 바디를 제공하는 것이 고안될 수 있다. 개별적인 샤프트 바디 섹션은 예를 들어 사출 성형된 제어 밸브에 의해 서로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 전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에는 베어링 브래킷이 베어링 수용부 내에 삽입될 때 베어링 브래킷을 정렬하기 위해 부속 베어링 브래킷 내에 형성된 상보적인 가이드 윤곽과 협력하는 적어도 두 개의 위치 블록이 제공되도록 준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샤프트에 대해 최적으로 정렬되는 장착이 획득될 수 있다. 특히 제어 샤프트에 대해 낮은 마찰을 갖는 장착이 획득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어 샤프트에 대해 상당히 높은 기능적 신뢰 가능성이 특히 획득될 수 있다.
상세하게,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의 외부에 회전 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삽입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이어지는 가로방향에 대해 서로 마주하지 않는 두 개의 외부 표면을 장착하며, 각각의 경우에 자신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블록을 구비하는 것이 제1 양태에 따라 제안된다. 자신의 내부 면 상에, 각각의 베어링 수용부는 회전 축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길이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베어링 브래킷을 정렬하기 위한 각각의 위치 블록에 대해, 베어링 수용부에 상보적인 가이드 윤곽을 가진다.
각각의 위치 블록은 베어링 브래킷에 일체형으로 부속식으로 형성되고, 즉 동일한 재료로 생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위치 블록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며 길이방향에 직교한, 길이방향에 대해 서로 마주하지 않는 두 개의 평평한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을 가진다. 각각의 베어링 블록에 대한 자신의 내부 면 상에서, 상응하는 베어링 수용부는 길이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며 서로 평행하고 길이방향에 직교하게 연장하며 각각의 위치 블록의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 중 하나가 각각의 경우에 평평한 방식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평평한 길이방향 가이드 표면을 구비한다. 이러한 방법은 길이방향에서 각각의 배열이 브래킷의 특히 효율적이고 신뢰 가능한 정렬을 발생시킨다. 다시 말하면,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에서 정의된 회전축은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 및 길이방향 가이드 표면의 도움으로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서, 각각의 위치 블록은 가로방향에 직교하게 연장하는 평평한 가로방향 포지셔닝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자신의 내부에서, 부속 베어링 수용부가 그 결과 편의상 가로방향에 직교하게 연장하고 각각의 위치 블록의 가로방향 포지셔닝 표면이 평평한 방식으로 인접하는, 각각의 위치 블록을 위한 평평한 가로방향 가이드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가로방향에 대한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의 최적화된 정렬을 발생시킨다. 다시 말하면,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에 의해 정의된 회전축은 가로방향 가이드 표면과 협력하는 가로방향 포지셔닝 표면에 의해 중심화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은, 자신의 각각의 외부 표면상에서 삽입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위치 블록을 구비할 수 있다. 이것은 각각의 베어링 수용부 내의 베어링 브래킷의 특히 효율적인 정렬을 발생시킨다.
각각의 외부 표면상에서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위치 블록이 삽입방향에서 서로 정렬되게 배치되는 추가의 발전에 따라 추가의 개선이 획득된다. 이것은 베어링 수용부 내의 부속 가이드 윤곽의 구성을 단순화한다.
추가로, 편의상 삽입방향으로 이어지는 위치 블록보다 더 삽입방향에서 선행하는 위치 블록이 더 작은 크기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위치 블록은 그에 따라 베어링 브래킷의 신뢰 가능한 정렬을 향상시키는 부속 가이드 윤곽과 별개로 협력한다.
특히, 더 작은 크기의 선단 또는 선행 위치 블록의 경우에서,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측정된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의 공간이 이어지는 더 큰 후단 위치 블록보다 더 작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선행하는 더 작은 크기의 위치 블록의 가로방향에 평행하게 측정된 베어링 브래킷의 각각의 외부 면으로부터 가로방향 포지셔닝 브래킷의 거리는 이어지는 더 큰 크기의 위치 블록보다 더 작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위치 블록은 삽입방향에서 제어 샤프트와 다른 위치 블록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의 도움으로, 제어 샤프트는 플랜지 섹션 내에 비교적 깊숙이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특히 더 큰 제어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서 삽입방향에 대해 두 개의 위치 블록들 사이에 제어 샤프트를 배치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특히 제어 샤프트의 안전한 정렬이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양쪽 외부 표면상의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은 길이방향에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위치 블록을 구비할 수 있다. 오직 하나의 위치 블록의 경우에 베어링 브래킷 전체가 길이방향에서 비교적 작거나 조밀한 구성을 가질 수 있지만,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위치 블록의 공급은 길이방향에 대해 비교적 넓거나 큰 베어링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길이방향에서 베어링 브래킷이 더 클수록, 베어링 샤프트의 정렬은 더욱 효율적이다. 또한, 더 큰 베어링 힘이 넓은 베어링 콘솔 내에서 지원받을 수 있다. 편의상, 각각의 외부 표면상의 두 개의 위치 블록이 길이방향에서 서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위치 블록은, 각 외부 표면에서 삽입방향으로 이어지고 삽입방향에 직교하게 연장하며 각각의 베어링 수용부의 내부 윤곽 상에 구성되는 평평한 접합 정지 표면에 대해 평평하게 인접하는 선행하는 정지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베어링 브래킷의 삽입 깊이는 각각의 정지 표면과 부속 접합 정지 표면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각각 사전결정된 삽입 깊이로 정의 또는 제한된다. 결과적으로, 베어링 브래킷은 삽입방향에 대해 이러한 수단에 의해서 정렬된다. 다시 말하면, 정지 표면과 접합 정지 표면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베어링 콘솔의 도움으로 정의된 회전 축이 삽입방향에 대해 중심화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기본적인 문제가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베어링 브래킷이 적어도 두 개의 베어링 부분으로 분할된다는 점에서 해결될 수 있다.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은 따라서 제1 베어링 부분 및 제2 베어링 부분을 가진다. 베어링 브래킷은 바람직하게는 오직 두 개의 베어링 부분만을 가지며, 그에 따라 두 부분으로 설계된다. 분할된 베어링 브래킷의 적어도 두 개의 베어링 부분은 이것에 의해 별개의 구성요소들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예를 들어 필름 힌지(hinge)를 통해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서로에 접속될 수도 있다. 분할된 베어링 브래킷의 베어링 부분들은 공통의 사출 성형 도구에서 한 조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즉 동일한 재료에 의해 결합된다. 적어도 서로에 대한 베어링 브래킷의 조립을 위해서 제1 베어링 부분이 제2 베어링 부분에 대해 이동 가능함이 중요하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두 개의 베어링 부분이 평평한 포지셔닝 표면에서 서로에 대해 평평하게 지지하며 이것에 의해 서로에 대한 두 베어링 부분의 사전결정된 정렬이 비교적 정확하게 획득될 수 있다는 일반적인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서, 제어 샤프트는 베어링 브래킷 내에 신뢰 가능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적절하게 정렬되지 않은 베어링 부분들의 경우에서 쉽게 발생할 수 있는, 베어링 브래킷 내의 제어 샤프트의 용인할 수 없게 높은 방사상 압축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 양태는 또한 단순화된 구조 및 특히 증가된 기능적 신뢰 가능성을 갖는 향상된 샤프트 장착으로 이어진다.
상세하게, 제2 양태는 제1 원주 섹션을 정의하고 제어 샤프트가 평평한 방식으로 인접하는 제1 베어링 섹션을 제1 베어링 부분에 제공하는 것을 제안하는 한편, 제2 베어링 부분은 제1 원주 섹션에 대향하고 제어 샤프트가 평평한 방식으로 인접하는 제2 원주 섹션을 정의하며 제1 베어링 섹션에 대향하는 제2 베어링 섹션을 가진다. 또한, 두 개의 베어링 부분은 제1 양태에 관련하여 전술되었으며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삽입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이어지는 가로방향에 대해 서로 마주하며 각각의 경우에서 가로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포지션이 표면을 갖는 내부 표면을 각각 구비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베어링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포지셔닝 표면은 제2 베어링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포지셔닝 표면에 대해 평평하게 인접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전술된 특성 및 제2 양태와 관련한 실시예는 아래에서 논의될 것이며, 이들은 전술된 제1 양태의 실시예 및 제1 양태의 특성들과 임의로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포지셔닝 표면은 각각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으며, 즉 가로방향에서 그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결과로서, 따라서 내부 표면들이 서로 마주하는 영역에서 두 개의 베어링 부분이 오직 포지셔닝 표면에서만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두 개의 베어링 부분이 예를 들어 필름 힌지를 통해 서로에 접속되고/되거나 이론적으로 베어링 섹션들의 영역 내에서 서로 인접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거하지 않는다.
내부 표면의 영역 내의 베어링 섹션 밖의 두 베어링 부분이 오로지 가로방향에서 포지셔닝 표면을 통해서 서로 접촉하는 실시예가 따라서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포지셔닝 표면 밖의 내부 표면들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 간격이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의 간격이 각각의 경우에서 내부 표면들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포지셔닝 표면의 양 측면 상에서 삽입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두 베어링 부분을 서로의 위에 위치시키는 것은 비교적 좁은 오차를 가지고 제조될 수 있는 평평한 포지셔닝 표면에서의 직접 접촉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추가의 발전에 따르면, 각각의 간격이 회전 축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길이방향에서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을 침투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포지셔닝 표면 밖의 베어링 부분의 접촉에 의한 가로방향에서의 동요 상호작용이 제거된다.
선택적으로 포지셔닝 표면을 마주하지 않는 제어 샤프트의 측면 상에서 두 베어링 부분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동요 상호작용이 또한 이 영역에서 제거된다.
바람직하게는 두 베어링 부분이 분리 에지, 특히 포지셔닝 표면을 마주하지 않는 제어 샤프트의 측면 상의 티어-오프(tear-off) 에지를 각각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에지는 접속, 특히 필름 힌지의 잔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은 화합하는 베어링 부분의 제조 중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은 예를 들어 절단 또는 절개에 의해서 베어링 브래킷을 형성하도록 두 베어링 부분을 결합하기 전에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은 베어링 브래킷을 형성하도록 두 베어링 부분들의 결합 중에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 힌지는 베어링 부분이 베어링 브래킷을 형성하도록 제어 샤프트 둘레에서 폐쇄될 때 자신의 어코드(accord)를 절개한다. 따라서 적어도 베어링 브래킷이 베어링 수용부 내에 삽입될 때 두 베어링 부분이 분리되는 실시예가 편리하다. 분리된 베어링 부분들이 포지셔닝 표면에 의해서 방해를 받지 않고 서로에 대해 위치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서로에 대한 두 베어링 부분들의 최적의 정렬을 개선하는,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포지셔닝 표면이 각각의 내부 표면상의 두 베어링 부분에서 각각의 경우에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편의상, 각각의 베어링 부분의 두 개의 포지셔닝 표면은 삽입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두 개의 포지셔닝 표면을 각각의 내부 표면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제공하는 것이 고안될 수 있다. 유사하게 두 개보다 많은, 예를 들어 세 개 또는 네 개 이상의 이러한 포지셔닝 표면이 각각의 내부 표면상에 제공되는 것이 고안될 수 있으며, 특히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포지셔닝 표면이 삽입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제공되며 두 개의 이러한 포지셔닝 표면이 길이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길이방향에서의 간격은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이 길이방향에서 비교적 크거나 넓게 구성되어야 할 때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베어링 부분은 자신의 내부 표면 상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을 가질 수 있는 반면 제2 베어링 부분은 자신의 내부 표면 상에서 가로방향으로 배향되고 부속 가이드 핀에 상보적이며 부속 가이드 부분이 가로방향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개구를 구비한다. 각각의 개구와 협력하는 가이드 핀의 결과로서, 서로에 대한 두 개의 베어링 부분의 사전결정된 정렬이 획득된다. 또한 가이드 핀 및 바람직하게는 프레스 피트(press fit)를 포함하는 적절한 핏을 갖는 가이드 개구는 서로에 대한 두 베어링 부분의 충분한 고정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핀은 바람직하게는 각 베어링 부분 상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즉 동일한 재료로 생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추가의 발전에 따르면, 각각의 가이드 핀은 각각의 포지셔닝 표면에 의해 경계 지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각각의 가이드 핀은 각각의 베어링 부분으로부터 포지셔닝 표면 내로 돌출한다. 유사하게, 각각의 가이드 개구는 각각의 포지셔닝 표면에 의해 경계 지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포지셔닝 표면 내의 가이드 개구는 각각의 베어링 부분 내로 도입된다. 이것은 베어링 브래킷에 대해 특히 조밀한 설계을 발생시킨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베어링 부분은 삽입방향 및/또는 길이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가이드 핀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핀에 상보적으로, 제2 베어링 부분은 역시 삽입방향 및/또는 길이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가이드 개구를 구비한다. 이러한 방법은 역시 서로에 대한 두 개의 베어링 부분의 정렬의 개선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서 길이방향에서 큰 크기를 갖는 베어링 브래킷이 또한 획득될 수 있다.
추가로 제1 베어링 부분 상에 형성된 가이드 개구 내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을 또한 갖도록 제2 베어링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핀은 바람직하게는 제1 베어링 부분 상에만 형성되는 반면 가이드 개구는 제2 베어링 부분 상에만 형성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원주 섹션 또는 제2 원주 섹션이 180°보다 클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부속 베어링 섹션으로 삽입된 베어링 샤프트가 그 안에서 쥐어진다. 편의상 제1 베어링 부분 상에 형성된 제1 베어링 섹션은 제1 원주 섹션이 180°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더 넓은 원주 섹션은 예를 들어 최대 240°에 걸쳐 연장하며 예를 들어 대략 200°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제1 베어링 섹션과 제2 베어링 섹션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각각 하나의 간격이 제공되는 경우에 획득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서 서로에 대한 두 베어링 섹션의 정렬은 따라서 서로에 대한 포지셔닝 표면들의 접촉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베어링 부분들이 베어링 섹션의 영역 내에서 접촉하지 않는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서로에 인접하는 포지셔닝 표면의 협력을 통해 서로에 대한 베어링 섹션들의 최적의 정렬을 발생시킨다. 포지셔닝 표면이 베어링 섹션을 서로에 대해 정렬시키는 한편 베어링 섹션들은 제어 샤프트의 장착을 실현하기 때문에, 베어링 브래킷 내의 기능적 분리가 그 결과로서 또한 획득된다.
다른 실시예는 동일하지 않은 크기를 가진 두 개의 베어링 섹션을 제공하고, 따라서 서로 다른 크기의 원주 섹션을 정의한다. 자신의 내부 표면상에서 횡방향으로, 더욱 큰 베어링 섹션을 포함하는 베어링 부분은 원주방향에서 베어링 섹션을 증가시키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자신의 내부 표면상에서 횡방향으로, 더 작은 베어링 섹션을 포함하는 베어링 부분은 원주방향에서 베어링 섹션을 감소시키며 돌출부와 결합하는 리세스를 구비한다. 이것은 특히 조밀한 설계를 발생시킨다.
바람직한 추가의 발전에 따르면, 두 베어링 부분이 리세스 및 돌출부의 영역 내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또한 포지셔닝 표면이 서로에 대해 기댈 때 서로에 대한 두 베어링 섹션의 정렬을 단순화한다.
회전축이 놓인 위치 평면 내에서 포지셔닝 표면들이 서로에 대해 인접하는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회전축은 그에 따라 인접하는 위치 표면의 도움으로 중심화될 수 있다.
전술된 제1 양태의 특성 및 이것의 실시예와 임의로 결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술된 제2 양태의 특성 및 이것의 실시예와 임의로 결합될 수 있는 관련 추가의 발전을 가진 후속하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기술될 것이다.
추가의 실시예는, 자신의 접속 면 상에서 플랜지 섹션에 하우징이 내연기관에 접속된 상태에서 내연기관에 밀봉식으로 인접하는 실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홈이 장착된다는 사실로부터 시작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베어링 수용부는 밀봉 홈을 이러한 베어링 수용부의 영역 내에 홈 개구를 갖는 방식으로 밀봉 홈의 섹션 내에 배치하는 것이 제안된다.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베어링 브래킷이 전술된 밀봉 홈의 영역 내에 홈 개구의 영역 내의 밀봉 홈을 완성하는 홈 섹션을 갖는 것이 추가로 제안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 상에 형성된 홈 섹션은 인접한 밀봉 홈을 말하자면 방해가 없고 바람직하게는 이렇게 수평을 이루게 완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삽입된 밀봉은 장착된 상태에서 방해가 없이 가이드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길이방향으로 특히 인접한 배출 개구 사이에서 거리가 특히 작게 선택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제어 샤프트는 특히 이러한 베어링 수용부를 통해 밀봉의 영역 내에도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추가의 장점은 베어링 수용부 내로 삽입되는 베어링 브래킷이 홈 섹션을 통해 가이드되는 실의 도움으로, 즉 밀봉 섹션을 통해 플랜지 섹션 상에 고정된다는 점에서 보여진다. 그 결과로서, 흡입 모듈은 내연기관 상의 자신의 장착을 단순화하는 조립체로서 매우 완성도 있게 준비될 수 있다. 부착된 상태에서, 실의 압축은 또한 하우징에 대해 베어링 브래킷의 안전한 포지셔닝을 지지하는 베어링 수용부 내로 삽입방향에서 베어링 브래킷을 구동하는 프리텐션 힘을 발생시킨다.
바람직한 추가의 발전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위치 블록은 제어 샤프트를 마주하지 않으며 홈 섹션의 홈 베이스에 수평을 이루는 방식으로 인접하는 유지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위치 블록은 자신의 홀딩 표면을 이용하여 밀봉 홈의 홈 베이스의 섹션을 또한 형성하며, 이것은 플랜지 섹션 내의 베어링 브래킷의 단순화된 조립체 또는 향상된 포지셔닝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베어링 브래킷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분으로서 구성된다. 사출 성형 도구로부터 완성된 플라스틱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일반적인 디몰딩 기울기가 일반적으로 포지셔닝에 대해서 제공되지 않은 외부 표면상에 배치된다. 흡입 모듈 내의 또는 두 개의 베어링 부분 상의 베어링 브래킷의 포지셔닝을 위해 요구되는 포지셔닝 표면 또는 가이드 핀 상에는 디몰딩 기울기가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표면은 따라서 매우 정확하게 생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매우 정확한 포지셔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포지셔닝 표면의 백분율은 전체 구성요소 표면의 20% 미만이고, 특히 10% 미만이다. 총 표면에 대한 작은 비율의 결과로서, 도구로부터 주입된 사출 성형된 베어링 브래킷을 문제없이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두 개의 전술된 양태들에 대해서, 하우징은 신선 공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입 개구 및 신선 공기를 위한 배출 개구를 형성하는 제어 가능한 개구를 가진 플랜지 섹션을 구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적으로, 베어링 수용부는 내연기관으로의 하우징의 접속을 위해 제공된 플랜지 섹션의 접속 면 상에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중요한 특성 및 장점은 종속 청구항, 도면 및 도면을 참조하면 부분들의 관련 설명으로부터 획득될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특성 및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될 특성은 각각 주어진 조합으로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조합으로 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었고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또는 기능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한다.
각각의 도면이 다음과 같이 도시되었다:
도 1은 흡입 모듈을 구비한 신선 공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매우 단순화된 회로도와 같은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아래로부터의 흡입 모듈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열린 상태에 있는 베어링 브래킷의 등축도,
도 6 및 7은 각각 도 4 및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힌 상태에 있는 베어링 브래킷의 등축도,
도 8은 흡입 모듈의 하우징이 단면으로 도시되고 베어링 브래킷은 측면에서 복사된 베어링 브래킷의 영역에서의 흡입 모듈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에 따르면, 내연기관(1)은 내연기관(1)의 연소 챔버(4)가 각각의 경우에 포함되는 복수의 실린더(3)를 구비하는 엔진 블록(2)을 포함한다. 네 개의 실린더는 여기에서 단지 예시적인 방식으로 그리고 보편성을 제한하지 않고 도시되었다. 피스톤 엔진으로 구성된 내연기관(1)의 경우에서,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은 피스톤은 스트로크 조정 가능한 방식으로 각 실린더(3) 내에 배치된다. 신선 공기는 신선 공기 시스템(5)을 통해 연소 챔버(4)로 공급된다. 상응하는 신선 공기 흐름(6)은 화살표에 의해 표시되었다. 신선 공기 시스템(5)은 내연기관(1) 또는 엔진 블록(2)에 접속되거나, 또는 흡입 모듈(7)을 통해서 그에 고정된다. 추가로 연소 배기가스가 연소 챔버(4)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배기가스 시스템(8)이 제공된다. 상응하는 배기가스 흐름(9)은 화살표에 의해 표시되었다.
도 1의 도시된 예에서, 내연기관(1)에 예로서 아래에서 참조번호(10)로도 지정될 수 있는 배기가스 터보차저(turbocharger)를 포함하는 충전 디바이스(10)가 장착되기 때문에, 내연기관(1)은 충전식 내연기관(1)을 포함한다. 배기가스 터보차저(10)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신선 공기 시스템(5) 내에 설치된 압축기(11) 뿐 아니라, 배기가스 시스템(8) 내에 설치된 터빈(12)을 포함한다. 압축기(11) 및 터빈(12)은 예로서 공통의 드라이브 샤프트(13)에 의해 서로에 드라이브-접속된다. 대안에서, 내연기관(1)은 또한 비충전식 내연기관(1)으로서 동작될 수 있고, 즉 흡입 엔진으로서 또한 설계될 수 있다.
도 1 및 2에 따르면, 흡입 모듈(7)은 분배기 챔버(15)를 감싸는 하우징(14)을 구비한다. 하우징(2)은 유입 개구(16)와 함께 복수의 배출 개구(17)를 구비한다. 신선 공기 흐름(6)은 유입 개구(16)를 통해서 분배기 챔버(15) 내로 진입할 수 있다. 신선 공기 흐름(6)은 배출 개구(17)를 통해 분배기 챔버(15)로부터 나갈 수 있으며 엔진 블록(2) 내에 형성된 상응하는 신선 공기 채널(18)을 통해 각각의 연소 챔버(4) 내로 흐를 수 있다. 기체 변경 프로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기체 변경 밸브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았다.
하우징(14)은 플랜지 섹션(19)을 구비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하우징(14) 또는 흡입 모듈(7)이 엔진 블록(2)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내연기관(1)으로 접속될 수 있다. 편의상, 플랜지 섹션(19)이 하우징(14) 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즉 동일한 재료로 제작된다.
도 2에 따르면, 흡입 모듈(7)에는 추가로 제어 디바이스(20)가 장착되고, 이것의 도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17)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는 단면이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흐름이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개구의 단면이 흐름 디바이스(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음이 명백하며, 따라서 아래의 설명이 다른 제어 가능한 개구를 가진 흡입 모듈(7)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두 개의 배출 개구(17)는 각각의 실린더(3) 또는 각각의 연소 챔버(4)로 각각 할당되고, 이러한 두 개의 배출 개구(17) 중 오직 하나만이 각각의 경우에서 제어 디바이스(20)의 도움으로 제어될 수 있는 반면, 각각의 다른 배출 개구(17)는 제어되지 않고, 즉 영구적으로 개방된다. 제어되지 않는 배출 개구(17)는 또한 도 2에서 참조번호(17a)로 지정된다. 제어 디바이스(20)의 도움으로 제어될 수 있거나 또는 제어되는 배출 개구(17)는 또한 도 2에서 참조번호(17b)로 지정된다. 제어 디바이스(20)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된 배출 개구(17b)에 대한 제어 밸브(22)를 지지하며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제어 샤프트(21)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샤프트(21)를 구비한다. 상응하는 조정 디바이스(68)가 제어 샤프트(21)의 회전 구동을 위해서 제공된다. 도 2의 예에서, 모든 제어 가능한 배출 개구(17b)에는 각각의 경우에 모든 제어 가능한 배출 개구(17b)에 대해 지지 밸브(22)를 지지하는 단일의 공통 제어 샤프트(21)가 제공된다. 반면에 제어 샤프트(21)는 편의상 금속을 제조되고, 제어 밸브(22)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이때 제어 밸브(22)는 제어 샤프트(21) 상에 직접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어 샤프트(21)는 하우징(14) 상의 복수의 베어링 브래킷(23)에 의해서 회전 축(24)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어 샤프트(21)는 편의상 직선이며 그에 따라 회전 축(24)은 제어 샤프트(21)에 대해 동심으로 연장한다.
도 8은 회전 축(24)에 대해 직교하는 플랜지 섹션(19)의 영역, 즉 이러한 베어링 브래킷(23)의 영역 내에서 하우징(14)을 통한 흡입 모듈(7)의 단순화된 단면을 도시하며, 베어링 브래킷(23) 자신은 단면이 아닌 회전 축(24)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방향으로 바라본 측면으로 도시되었다.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23)에 대한 플랜지 섹션(19)의 영역 내에서 하우징(14)이 부속 베어링 수용부(25)를 구비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각각의 베어링 수용부(25)는 플랜지 섹션(19)의 접속 면(26) 상에서 각각의 베어링 수용부(25)가 접속 면(26) 상에 개방되도록 삽입 개구(27)를 구비한다. 접속 면(26)은 내연기관(1) 또는 그의 엔진 블록(2)에 하우징(14)을 접속시키도록 사용되며, 이때 접속 면(26)은 하우징(14)을 마주하지 않는 접속 플랜지(19)의 면 상에 배치된다.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23)은 삽입 개구(27)를 통해서 화살표에 의해 표시되는 삽입방향(28)으로 베어링 수용부(25) 내에 도입된다. 삽입방향(28)은 그에 따라 회전 축(24)에 직교하게 배향된다.
도 6 내지 8에 따르면,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23)은 자신의 외부 면 상에 두 개의 외부 표면(29)을 가지며, 이들은 도 6 내지 8에서 이중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가로방향(30)에 대해 서로를 마주하지 않는다. 가로방향(30)은 회전축(24)에 직교하고 삽입방향(28)에 직교하게 이어진다. 이러한 두 외부 표면(29)의 각각에서, 각각의 경우에 베어링 브래킷(23)은 각각의 외부 표면(29)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블록(31)을 구비한다. 위치 블록(31)에 상보적으로, 베어링 수용부(25)는 자신의 내부(32) 상에서 가로방향(30)에 대해 그리고 길이방향(34)에 대해 베어링 브래킷(23)을 정렬시키기 위한 가이드 윤곽(33)을 구비하며, 이것은 각각의 경우에 도 6 및 7에서 이중 화살표에 의해 표시되었으며 회전 축(24)에 평행하게 이어진다. 각각의 위치 블록(31)은 두 개의 평평한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35)을 구비하고, 이것은 길이방향(34)에 대해 서로 마주하지 않으며 길이방향(34)에 직교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관찰자를 마주하는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35)만이 그에 따라 도 6 내지 8의 경우에서 식별될 수 있다. 관찰자를 마주하지 않는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35)은 도 7의 점선 기준선으로 표시된다.
내부 상에(32), 베어링 수용부(25) 또는 각각의 가이드 윤곽(33)이 각각 도 2에서만 볼 수 있는 각각의 위치 블록(31)에 대한 두 개의 평평한 길이방향 가이드 표면(36)을 구비한다. 길이방향 가이드 표면(36)은 길이방향(34)에 대해 서로 마주하며 길이방향(34)에 직교할 뿐 아니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설치 상태에서, 각각의 위치 블록(31)의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35)은 평평한 방식으로 각각의 길이방향 가이드 표면(36)에 대해 평평하게 인접한다.
또한, 각각의 위치 블록(31)에는 여기에서 평평한 가로방향 포지셔닝 표면(37)이 장착되며, 이것은 가로방향(30)에 대해 직교하게 연장하고 그에 따라 가로방향(30)에 대해 남아있는 베어링 브래킷(23)을 마주하지 않는다. 가로방향 포지션이 표면(37)에 대해 상보적으로, 베어링 수용부(25)는 자신의 내부 면(32) 또는 자신의 가이드 윤곽(33) 상에 각각의 위치 블록(31)에 대해서 평평한 가로방향 가이드 표면(38)을 구비하며, 이것은 가로방향(30)에 직교하게 연장하고 평평한 방식으로 각각의 위치 블록(31)의 각각의 가로방향 포지셔닝 표면(37)에 대해 인접한다. 전술된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35)이 길이방향(34)에 대한 베어링 브래킷(23)의 길이방향 가이드 표면(36)과의 정렬을 실행하는 한편, 가로방향 가이드 표면(38)과 결합된 가로방향 포지셔닝 표면(37)은 가로방향(30)에 대한 베어링 브래킷(23)의 정렬을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 나타내어진 예에서,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23)은 자신의 두 외부 표면(29) 상에서, 삽입방향(28)에서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위치 블록(31)을 구비한다. 따라서 두 개의 위치 블록(31)을 차별화하기 위해서, 베어링 수용부(25) 내로의 베어링 브래킷(23)의 삽입 중에 선행하는 위치 블록(31)은 아래에서 선단 또는 선행 위치 블록(31a)으로 지정될 수 있는 반면, 삽입 중에 끌려가는 위치 블록(31)은 아래에서 후행 위치 블록(31b)으로서 지정될 수 있다. 편의상, 두 개의 위치 블록(31a, 31b)은 삽입방향(28)으로 각각의 외부 표면(29) 상에서 서로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선행 위치 블록(31a)은 그에 따라 후행 위치 블록(31b)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진다. 편의상, 더 작은 선행 위치 블록(31a)은 길이방향(34) 및 가로방향(30) 모두에서 더 큰 후행 위치 블록(31b)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진다. 예를 들어, 도 6에 따르면, 각각의 위치 블록(31)의 두 개의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35)이 서로로부터 갖는 길이방향 공간(39)은 후행 위치 블록(31b)의 경우에서보다 선행 위치 블록(31a)에 대해 더 작다. 또한, 각각의 위치 블록(31)이 돌출하는 부속 외부 표면(29)으로부터 가로방향(30)에 평행하게 측정된 각각의 가로방향 포지셔닝 표면(37)의 가로방향 공간(40)은 후행 위치 블록(31b)에 대한 것보다 선행 위치 블록(31a)에 대해서 더 작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서, 선행 위치 블록(31a)은 삽입방향(28)에 대해 제어 샤프트(21)와 후행 위치 블록(31b) 사이에 배치되며, 이것에 의해 제어 샤프트(21)는 큰 침투 깊이와 일치하는 접속 면(26)으로부터의 특히 큰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이것은 비교적 큰 제어 밸브(22)를 획득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베어링 브래킷(23)의 실시예가 각 외면(29) 상에 오직 두 개의 위치 블록(31)만을 구비하는 반면, 네 개의 이러한 위치 블록(31)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서 각 외부 면(29) 상에 제공된다.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위치 블록(31)은 따라서 각각의 외부 표면(29)에서 길이방향(34)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상세하게, 길이방향(34)에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더 작은 선행 위치 블록(31a) 및 더 큰 후행 위치 블록(31b)이 제공된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 도시된 베어링 브래킷(23)에서, 적어도 위치 블록(31) 중 하나의 경우에서, 즉 각각의 선행 위치 블록(31a)의 경우에서, 삽입방향(28)으로 이어지고 삽입방향(28)에 직교하게 연장하는 선행하는 평평한 정지 표면(41)이 형성되도록 추가로 제공된다. 이것에 상보적으로, 각각의 위치 블록(31)에 대해, 여기서는 각각의 선행하는 위치 블록(31a)에 대해 자신의 내부 면(32) 상에 베어링 수용부(25)가 평평한 접합 정지 표면(42)을 구비하며, 베어링 브래킷(23)이 베어링 수용부(25) 내의 사전결정된 삽입 깊이를 획득하자마자 정지 표면(41)이 평평하게 이러한 평평한 대응 정지 표면(42)에 인접한다.
전술된 특성들에 더하여 또는 대안적으로,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23)은 두 개의 베어링 부분, 즉 제1 베어링 부분(43) 및 제2 베어링 부분(44)을 구비한다. 제1 베어링 부분(43)은 제어 샤프트(27)가 제1 원주 섹션(46)과 인접하는 제1 베어링 섹션(45)을 구비한다. 제2 베어링 부분(44)은 제1 베어링 섹션(45)에 대향하게 위치되며 제어 샤프트(21)가 제1 원주 섹션(46)에 대향하게 놓인 제2 원주 섹션(48)에 인접하는 제2 베어링 섹션(47)을 구비한다. 각각의 베어링 섹션(45, 47)에 횡방향으로 인접하여, 두 베어링 부분(43, 44)은 각각의 횡방향으로 가로방향(30)에 대해 서로 마주하는 내부 표면(49)을 가진다. 각각의 내부 표면(49) 상에서, 각각의 경우에 가로방향(30)에 직교하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포지셔닝 표면(50)이 각각의 경우에 형성된다. 도 6 내지 8의 접힌 상태 또는 도 8의 설치된 상태 각각에서, 제1 베어링 부분(43)의 각각의 포지셔닝 표면(50)은 제2 베어링 부분(44)의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표면(50)에 평평하게 인접한다. 결과로서, 두 개의 베어링 부분(43, 44)은 그에 따라 가로방향(30)에 대해서 서로 최적으로 정렬된다.
두 베어링 부분(43, 44)의 포지셔닝 표면(50)은 위치 평면(58) 내에서 서로 인접한다. 편의상, 이것에 의해 포지셔닝 표면(50)은 베어링 브래킷(43)에 의해 정의된 회전 축(24)이 포지셔닝 평면(58) 내에 위치되도록 베어링 부분(43, 44) 상에 놓인다.
도 8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예시에서 내부 표면(49)의 영역 내의 베어링 섹션(45, 47) 밖의 두 베어링 부분(43, 44)이 가로방향(30)에서 포지션이 표면(50)을 통해 서로에 독점적으로 접촉하도록 추가로 제공된다. 순차적으로, 간격(69)은 포지셔닝 표면(50) 밖의 내부 표면들(49) 사이에서 가로방향(30)으로 형성된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포지셔닝 표면들(50)의 양 측면들 상에서 삽입방향(28)으로, 즉 도 8에서 포지셔닝 표면(50)의 위아래에 내부 표면들(49) 사이의 가로방향(30)에서 각각의 경우에 이러한 간격(69)이 형성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34)에서 각각의 간격(69)이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23)을 완전히 통과하여 침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포지셔닝 표면(50)은 제어 샤프트(21)에 대해 베어링 부분(43, 44)의 일 측면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측면은 제어 샤프트(21) 아래에 도 8에 위치된다. 또한, 포지셔닝 표면(50)을 마주하지 않는 제어 샤프트의 측면 상에, 즉 도 8의 제어 샤프트(21) 위의 두 개의 베어링 부분(43, 44)이 접촉하지 않도록 제공됨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추가로 기술된 방사상 간격(54)은 삽입방향(28)에서 베어링 브래킷(23)의 선행 단부까지 연속된다. 이러한 선행 단부에서 두 베어링 부분(43, 44) 각각이 포지셔닝 표면(50)을 마주하지 않는 제어 샤프트(21)의 측면 상의 분리 또는 티어-오프 에지(70)를 갖는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베어링 수용부(25) 내에 삽입된 베어링 브래킷(23) 내에서 두 개의 베어링 부분(43, 44)은 별개의 구성요소들이다.
도 3 내지 5에 따르면, 제1 베어링 부분(43)은 자신의 내부 표면(49) 상에서 가로방향(30) 내에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51)을 구비한다. 도 6 내지 8의 접힌 상태에서, 이러한 가이드 핀(51)을 볼 수 없다. 도 3 내지 5에 따른 각각의 제2 베어링 부분(43)은 자신의 내부 표면(49) 상에서 부속 가이드 핀(51)에 상보적으로 형성되고 가로방향(30)으로 배향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개구(52)를 구비한다. 도 6 내지 8의 접힌 상태에서, 각각의 가이드 핀(51)은 가로방향(30)에서 부속 가이드 개구(52) 내로 삽입된다. 또한 가이드 개구(52)는 도 6 내지 8에서 볼 수 없다.
편의상 각각의 포지셔닝 표면(50) 상의 각각의 가이드 핀(51)은 이것이 경계가 지어지도록 획득되고 특히 그에 대해 중심화되도록 각각의 내부 표면(49) 상에 체계적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제2 베어링 부분(44) 상의 포지셔닝 개구(52) 또한 각각의 포지셔닝 표면(50)에 의해 상응하게 경계가 지어지며 특히 그에 대해 중심화된다. 도 3 내지 5 및 8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포지셔닝 표면(50)은 부속 내부 표면(49)으로부터 상승되고, 즉 가로방향(30)에서 그로부터 이격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서, 삽입방향(28) 및/또는 길이방향(34)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포지셔닝 표면(50)이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내부 표면(49) 상의 두 베어링 부분(43, 44) 상에 구현된다. 도 3은 각각의 베어링 부분(43, 44)이 길이방향(34)에서 서로 이격되며 또한 길이방향(34)에 대해 서로 정렬되도록 배치된 정확히 두 개의 포지셔닝 표면(50)을 갖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경우에 두 베어링 부분(43, 44) 상에는 오직 두 포지셔닝 표면(50)만이 제공되지만, 이 경우에 이들은 삽입방향(28)에서 서로 이격되고 또한 삽입방향(28)에서 서로에 대해 정렬되어 배치된다. 반면에, 도 5는 각각의 베어링 부분(43, 44)이 각각의 경우에 4개의 포지셔닝 표면(50)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며, 두 개는 각각 삽입방향(28)에서 두 개는 각각 길이방향(34)에서 서로 이격되며 서로에 대해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도 3 내지 5의 예시의 경우에서, 각각의 경우에 정확히 두 개의 가이드 핀(51) 및 정확히 두 개의 가이드 개구(52)가 제공된다.
도 8로부터 특히 명백하게 추론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도시된 베어링 브래킷(23)의 실시예의 경우에서 제1 베어링 부분(43)의 제1 베어링 섹션(45)에 의해 정의된 제1 원주 섹션(46)은 각각의 경우에 180°보다 크며 예시에서 대략 225°이다. 다른 한 편으로, 제2 베어링 부분(44)의 제2 베어링 섹션(47)에 의해 정의된 제2 원주 섹션(48)은 180°보다 작고 도시된 예에서 대략 120°이다. 그 결과, 제어 샤프트(21)는 제1 베어링 섹션(45)으로 클립될 수 있는 반면, 베어링 브래킷(23)의 함께 접힌 상태에서의 제2 베어링 섹션(47)은 제1 베어링 섹션(45)에서의 제어 샤프트(21)를 보장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예시의 경우에서, 추가로 제1 원주 섹션(46)과 제2 원주 섹션(48)의 합이 360°보다 더 작도록 제공된다. 추가로, 도 8의 이중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제어 샤프트(21)의 원주 방향(53)에서 베어링 부분(43, 44)이 베어링 섹션(45, 47)의 영역 내에서 터치하지 않도록 제1 베어링 섹션(45)과 제2 베어링 섹션(47) 사이에 각각의 경우에 간격(54)이 형성되도록 두 개의 베어링 섹션(45, 47)이 서로에 대해 위치된다. 원주 방향(53)에서 제1 베어링 섹션(45)을 확장하는 돌출부(55)는 제1 베어링 섹션(45)의 영역 내에서 제1 베어링 부분(53) 상에 형성되며, 그에 따라 돌출부(55)는 제1 원주 섹션(46)의 부분을 커버 또는 정의한다. 제2 베어링 섹션(47)의 영역 내에서, 제2 베어링 부분(44)은 리세스(56), 즉 압입자국 또는 디프레션을 소유한다. 리세스(56)는 제2 원주 섹션(48)의 감소를 발생시킨다. 또한 돌출부(55)는 이러한 리세스(56)와 결합한다. 리세스(56) 내의 돌출부(55)의 포지셔닝은 두 베어링 부분(43, 44) 또한 돌출부(55) 및 리세스(56)의 영역 내에서 터치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반면에, 간격(57)은 또한 돌출부(55)와 리세스(56) 사이의 위치에 형성된다.
도 2에 따르면, 플랜지 섹션(19)에는 관찰자를 마주하는 자신의 접속 면(56) 상에 실(59)이 장착되며, 이것의 도움으로 플랜지 섹션(19) 또는 하우징(14)이 연소 챔버(4)에 공급되는 신선 공기가 주변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착된 상태에서 엔진 블록(2)에 대해 밀봉된다. 실(59)을 수용하기 위해서, 실(59)에 상보적으로 형성되며 이것의 단면을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밀봉 홈(60)이 플랜지 섹션(19)의 접속 면(26) 내로 포함된다. 편의상 밀봉 홈(60)이 이러한 베어링 수용부(25)의 영역 내에서 홈 개구(61)를 갖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베어링 수용부(25)가 밀봉 홈(60)의 단면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베어링 수용부(25) 내로 삽입되는 베어링 브래킷(23)은 이제 홈 개구(61)의 영역 내의 밀봉 홈(60)을 완성하는 밀봉 홈(60)의 영역 내에서 이것이 홈 섹션(62)을 갖도록 구성된다. 편의상 베어링 브래킷(23) 상에 제공된 홈 단면(62)은 홈 개구(61)의 영역 내의 밀봉 홈(60)을 완전히 완성하며, 그에 따라 실(59)은 솔기 없이 밀봉 홈(60)의 홈 베이스(63)에 인접할 수 있다. 도 8의 예시에서 두 개의 이어지는 위치 블록(31b)이 각각 평면을 이루는 방식으로 홈 섹션(60)의 홈 베이스(53)에 인접하는 제어 샤프트(21)를 마주하지 않는 유지 표면(64)을 구비하고 그에 따라 스스로 밀봉 홈(60)의 홈 베이스(63)의 단면을 형성하도록 제공된다. 그 결과, 홈 개구(61)의 영역 내에 실(59)과 연속적인 접촉을 이루는 것이 기본적으로 가능하다. 도 2에 따른 실(59)은 모든 배출 개구(17) 및 모든 베어링 수용부(25)를 둘러서 가이드되며 따라서 이것의 경계를 짓거나 감싸는 원형 섹션(65)을 가진다. 이러한 원형 섹션(65) 내에, 실(59)은 홈 개구(61)를 통해서, 즉 베어링 수용부(25)를 통해서 복수의 웹(66)을 구비하며 부속 베어링 브래킷(23)과 접촉한다. 이러한 경우에, 이러한 웹(66)은 플랜지 섹션(19) 상의 베어링 수용부(25) 내에 삽입된 베어링 브래킷(23)을 고정하도록 흡입 모듈(7)의 사전조립 중에 사용된다. 흡입 모듈(7)의 부착 상태에서, 웹(66)은 삽입방향(28)에서 베어링 브래킷(23)의 프리-텐셔닝을 실행하며, 그 결과 특히 베어링 브래킷(23)이 자신의 정지 표면(41)과 프리-텐셔닝 방식으로 접합 정지 표면(42)에 인접하게 된다.
도 3 내지 5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베어링 부분(43, 44)은 바람직하게는 접합 사출 성형 도구에서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두 베어링 부분(43, 33)은 이것에 의해 한 조각으로, 그러나 서로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생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예를 들어 필름 힌지(67)가 두 베어링 부분(43, 44) 사이의 전이부에서 구성될 수 있다. 두 베어링 부분(43, 44)의 한 조각 제조는 동일한 재료로 제작되고 동일한 제조 조건하에서 제적된 이러한 베어링 부분들(43, 44)이 항상 베어링 브래킷(23)을 형성하도록 조립됨을 보장한다. 필름 힌지(67)는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23)을 형성하기 위해서 또는 베어링 브래킷(23)의 접힌 상태를 생성하기 위해서, 각각 필름 힌지(67)에 의해 정의되고 회전 축(24)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회전 축 둘레에서 서로에 대해 두 베어링 부분(43, 44)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20)의 장착을 위해서, 요구된 베어링 브래킷(23)은 그에 따라 상응하는 위치에서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제어 샤프트(21) 상으로 자신의 제1 베어링 부분(43)과 클립될 수 있다. 베어링 브래킷(23)은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함께 접힌 상태로 전이될 수 있으며, 포지셔닝 표면(50)이 서로 인접할 때까지 각각의 제2 베어링 부분(44)이 필름 힌지(67) 또는 이것의 회전 축 둘레에서 회전된다. 이때, 가이드 핀(51)은 또한 가이드 개구(52) 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경우, 베어링 브래킷(23)을 형성하기 위한 두 베어링 부분(43, 44)의 조립 동안에(함께 접힌 상태) 두 베어링 부분(43, 44)을 조립 후에 또는 함께 접은 후에 필름 힌지(67)를 통해 베어링 브래킷(23)이 더는 상호 접속되지 않도록 파괴되도록 필름 힌지(67)의 크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 내지 8은 베어링 브래킷(23)을 함께 접은 후에 필름 힌지(67)가 파괴되거나 더는 존재하지 않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필름 힌지(67)는 베어링 브래킷(23)의 조립을 위한 베어링 부분들(43, 44)이 제어 샤프트(21) 상의 서로 직접 위치에 있다면 파열된다. 이때, 위에서 추가로 언급되고 도 6 내지 8에서 식별될 수 있는 분리 또는 티어-오프 에지(70)가 생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필름 힌지(67)는 베어링 브래킷(23)을 함께 접음으로써 이것이 파괴되지 않지만 두 베어링 부분(43, 44) 사이의 내구성 접속을 생성하며 그에 따라 베어링 부분(43, 44) 및 필름 힌지(67)를 함께 접는 것이 서로에 대한 두 베어링 섹션(45, 47)의 정렬을 방해하지 않을 때 베어링 섹션(45, 47)이 서로에 대해 조정 가능하게 하는 치수를 가질 수 있다.

Claims (25)

  1. 내연기관(1)을 위한 신선 공기 시스템(5)의 흡입 모듈로서,
    신선 공기가 통과해 흐를 수 있는 복수의 개구(17)를 구비하는 하우징(14),
    흐름이 발생할 수 있는 상기 개구(17)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2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디바이스(20)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샤프트(21) 및 각각의 상기 개구(17)에 대해 상기 제어 샤프트(21)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2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샤프트(21)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브래킷(23)에 의해 상기 하우징(14) 상의 회전 축(24)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4)은 삽입 개구(27)를 구비한, 각각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수용부(25)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은 상기 각각의 삽입 개구(27)를 통해 상기 회전 축(24)에 직교하게 배향된 삽입방향(28)에서 상기 베어링 수용부(25) 내로 삽입되고,
    각각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은 두 개의 베어링 부분, 즉 제1 베어링 부분(43) 및 제2 베어링 부분(44)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베어링 부분(43)은 상기 제어 샤프트(21)가 제1 원주 섹션(46)과 함께 있는 제1 베어링 섹션(45)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베어링 부분(44)은 상기 제어 샤프트(21)가 상기 제1 원주 섹션(46)과 대향하는 제2 원주 섹션(48)과 함께 있는, 상기 제1 베어링 섹션(45)과 대향하는 제2 베어링 섹션(47)을 구비하고,
    상기 두 개의 베어링 부분(43, 44)은 각각이 상기 회전 축(24)에 직교하고 상기 삽입방향(28)에 직교하게 배향된 가로방향(30)에 대해 서로 마주하는 내부 표면(49)을 구비하고, 각각이 상기 가로방향(30)에 직교하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포지셔닝 표면(50)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베어링 부분(43)의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표면(50)은 상기 제2 베어링 부분(44)의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표면(50)에 대해 평평하게 놓이되,
    각각의 상기 포지셔닝 표면(50)은 각각의 상기 내부 표면(49)으로부터 상승되며,
    상기 포지셔닝 표면(50) 밖에 있는 각각의 상기 내부 표면(49)들 사이에 상기 가로방향(30)으로 간격(69)이 형성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표면(49)의 영역 내의 상기 베어링 섹션(45, 47) 밖에 있는 상기 두 개의 베어링 부분(43, 44)은 상기 가로방향(30)에서 오직 상기 포지셔닝 표면(50)을 통해서만 서로 접촉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내부 표면(49)들 사이에서 상기 가로방향(30)으로 서로에 인접하는 상기 포지셔닝 표면(50)의 양 측면들 상에 상기 삽입방향(28)으로 하나의 간격(69)이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간격(69)은 상기 회전 축(24)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길이방향(34)에서 각각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을 완전히 관통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베어링 부분(43, 44)은 상기 포지셔닝 표면(50)을 마주하지 않는 상기 제어 샤프트(21)의 측면 상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베어링 부분(43, 44)은 상기 포지셔닝 표면(50)을 마주하지 않는 상기 제어 샤프트(21)의 상기 측면 상에 티어-오프(tear-off) 에지(70)를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베어링 부분(43, 44)은 적어도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이 상기 베어링 수용부(25) 내에 삽입될 때 별개의 모듈인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상기 포지셔닝 표면(50)은 각각의 상기 내부 표면(49) 상의 상기 두 개의 베어링 부분(43, 44)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포지셔닝 표면(50)은 상기 삽입방향(28)에서 서로 이격되고, 그에 따라 상기 두 개의 포지셔닝 표면(50) 사이에 상기 삽입방향(28)으로 간격(69)이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 부분(43)은 자신의 내부 표면(49) 상에 상기 가로방향(30)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51)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베어링 부분(44)은 자신의 내부 표면(49) 상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개구(52)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개구(52)는 상기 가로방향(30)으로 배향된 상기 가이드 핀(51)에 상보적이고, 상기 가이드 핀(51)이 상기 가로방향(30)에서 상기 가이드 개구(52)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가이드 핀(51)은 각각의 상기 포지셔닝 표면(50)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고,
    각각의 상기 가이드 개구(52)는 각각의 상기 포지셔닝 표면(50)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 부분(43)은 상기 삽입방향(28) 및/또는 상기 회전 축(24)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길이방향(34)에서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 핀(51)을 구비하고/하거나,
    상기 제2 베어링 부분(44)은 상기 삽입방향(28) 및/또는 상기 길이방향(34)에서 서로 이격되고 상기 가이드 핀(51)에 대해 상보적인 두 개의 가이드 개구(52)를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어링 부분(44)은 상기 제1 베어링 부분(43) 상에 형성된 가이드 개구(52) 내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51)을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주 섹션(46) 또는 상기 제2 원주 섹션(48)은 180°보다 큰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 섹션(45)과 상기 제2 베어링 섹션(47) 사이에서 상기 제어 샤프트(21)의 원주방향(53)으로 각각 하나의 간격(54)이 제공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분(43, 44)은 상기 베어링 섹션(45, 47)의 영역 내에서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베어링 섹션(45, 47)은 동일한 크기를 갖지 않고,
    크기가 더 큰 상기 베어링 섹션(45)을 가진 상기 베어링 부분(43)은 상기 제어 샤프트(21)의 원주 방향(53)에서 상기 베어링 섹션(45)을 증가시키는 돌출부(55)를 구비하고,
    크기가 더 작은 상기 베어링 섹션(47)을 가진 상기 베어링 부분(44)은 상기 원주 방향(53)에서 상기 베어링 섹션(47)을 감소시키며 상기 돌출부(55)가 결합하는 리세스(56)를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베어링 부분(43, 44)은 상기 돌출부(55) 및 상기 리세스(56)의 영역 내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표면(50)은 상기 회전 축(24)이 놓이는 위치 평면(58) 내에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베어링 브래킷(23)은 자신의 외부 면 상에 두 개의 외부 표면(29)을 구비하고, 이것은 상기 회전 축(24)에 직교하고 상기 삽입방향(28)에 직교하게 이어지는 가로방향(30)에서 서로 마주하지 않으며, 각각이 자신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블록(31)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베어링 수용부(25)는 자신의 내부 면(32) 상에, 각각의 상기 위치 블록(31)에 대해서 상기 회전 축(24)에 평행한 길이방향(34) 및 상기 가로방향(30)으로의 상기 베어링 브래킷(23)의 정렬을 위해 상보적인 가이드 윤곽(33)을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21. 제 20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위치 블록(31)은 상기 길이방향(34)에 대해 서로 마주하지 않으며 서로 평행하고 상기 길이방향(34)에 직교하게 연장하는 두 개의 평평한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35)을 가지고,
    자신의 내부 면(32) 상에서, 각각의 상기 위치 블록(31)에 대해 각각의 상기 베어링 수용부(25)가 두 개의 평평한 길이방향 가이드 표면(36)을 구비하되, 이것은 상기 길이방향(34)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고, 서로 평행하고 상기 길이방향(34)에 직교하게 연장하며, 각각의 상기 위치 블록(31)의 상기 길이방향 포지셔닝 표면(35)의 각각이 상기 가이드 표면(36)에 대해 평평한 방식으로 인접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22. 제 20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위치 블록(31)은 상기 가로방향(30)에 직교하게 연장하는 평평한 가로방향 포지셔닝 표면(37)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베어링 수용부(25)는 자신의 내부 면(32) 상에서 각각의 상기 위치 블록(31)에 대해 평평한 가로방향 가이드 표면(38)을 구비하되, 이것은 상기 가로방향(30)에 직교하게 연장하고 각각의 상기 위치 블록(31)의 상기 가로방향 포지셔닝 표면(37)이 평평한 방식으로 인접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23. 제 20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위치 블록(31)은 각각의 외부 표면(29) 상에 상기 삽입방향(28)에서 선행하는 평평한 정지 표면(41)을 구비하고, 이것은 상기 삽입방향(28)에 직교하게 연장하고 평평한 접합 정지 표면(42)에 대해 평평하게 인접하며, 상기 접합 정지 표면(42)은 각각의 상기 베어링 수용부(25)의 상기 내부 면(32) 상에 구성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2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4)은 신선 공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입 개구(16) 및 신선 공기를 위한 배출 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개구(17)를 구비한 플랜지 섹션(19)을 구비하고/하거나,
    상기 베어링 수용부(25)는 상기 내연기관(1)으로의 상기 하우징(14)의 접속을 위해 제공된 상기 플랜지 섹션(19)의 접속 면(26)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흡입 모듈.
  25. 삭제
KR1020177025596A 2015-03-13 2016-03-07 신선 공기 시스템의 흡입 모듈 KR101880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04605.2A DE102015204605B4 (de) 2015-03-13 2015-03-13 Saugmodul einer Frischluftanlage
DE102015204605.2 2015-03-13
PCT/EP2016/054782 WO2016146417A1 (de) 2015-03-13 2016-03-07 Saugmodul einer frischluft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920A KR20170126920A (ko) 2017-11-20
KR101880009B1 true KR101880009B1 (ko) 2018-07-18

Family

ID=55524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596A KR101880009B1 (ko) 2015-03-13 2016-03-07 신선 공기 시스템의 흡입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07238B2 (ko)
EP (1) EP3268591A1 (ko)
JP (1) JP6317530B2 (ko)
KR (1) KR101880009B1 (ko)
CN (1) CN107407189B (ko)
DE (1) DE102015204605B4 (ko)
WO (1) WO201614641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6713B2 (en) * 2007-05-02 2011-02-15 Mann + Hummel Gmbh Lower intake manifold with charge motion control valve
JP2011106450A (ja) * 2009-11-12 2011-06-02 Mark Iv Systemes Moteurs 吸気マニホルドおよび対応するマニホルドの製造工程
US8015958B2 (en) * 2009-01-28 2011-09-13 Mann + Hummel Gmbh Active intake manifold flap cartridg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7547A (en) * 1989-02-21 1990-03-13 Siemens-Bendix Automotive Electronics L.P. One-piece wave deflector for I.C. engine intake system
JPH07158457A (ja) * 1993-12-10 1995-06-20 Mitsubishi Motors Corp 多気筒内燃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US5813380A (en) 1993-12-10 1998-09-29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Suction control device for multiple 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228296A1 (en) * 1999-11-12 2002-08-07 Siemens Canada limited Integrated swirl control valve
JP4273703B2 (ja) * 2002-05-09 2009-06-03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ブッシュ軸受
JP4054991B2 (ja) * 2003-03-20 2008-03-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吸気装置
JP2004291133A (ja) * 2003-03-26 2004-10-21 Daido Kako Kk 錠剤切断具
CA2470599C (en) * 2003-06-13 2010-08-03 Honda Motor Co., Ltd. Dual port intake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JP3822880B2 (ja) * 2004-04-19 2006-09-20 徹彦 青木 鋼管構造物の補強部材集合体
DE102004021125A1 (de) * 2004-04-29 2005-12-01 Mann + Hummel Gmbh Klappenanordnung im Flanschbereich eines Ansaugsystems einer Brennkraftmaschine
JP2006161885A (ja) * 2004-12-03 2006-06-22 Mikuni Corp 軸受構造及び吸気装置
DE202006019638U1 (de) 2006-12-22 2008-04-30 Mann + Hummel Gmbh Lageranordnung zur Lagerung einer Welle in einer Brennkraftmaschine
FR2905159B1 (fr) 2007-09-14 2012-04-27 Mark Iv Systemes Moteurs Sa Dispositif de regulation a clapet et collecteur d'admission comprenant au moins un tel dispositif.
DE102009054184A1 (de) * 2009-11-23 2011-05-26 Mahle International Gmbh Klappenvorrichtung und Sauganlage
WO2011152469A1 (ja) * 2010-06-02 2011-12-08 株式会社ミクニ アクセル装置
JP5810809B2 (ja) * 2011-10-04 2015-11-11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吸気装置
DE102011087234A1 (de) 2011-11-28 2013-05-29 Mahle International Gmbh Frischluftzuführeinrichtung
JP5917908B2 (ja) * 2011-12-27 2016-05-18 株式会社マーレ フィルターシステムズ 吸気流制御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6713B2 (en) * 2007-05-02 2011-02-15 Mann + Hummel Gmbh Lower intake manifold with charge motion control valve
US8015958B2 (en) * 2009-01-28 2011-09-13 Mann + Hummel Gmbh Active intake manifold flap cartridge and method
JP2011106450A (ja) * 2009-11-12 2011-06-02 Mark Iv Systemes Moteurs 吸気マニホルドおよび対応するマニホルドの製造工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66616A1 (en) 2018-03-08
DE102015204605A1 (de) 2016-09-15
US10107238B2 (en) 2018-10-23
CN107407189B (zh) 2018-09-21
KR20170126920A (ko) 2017-11-20
DE102015204605B4 (de) 2019-07-18
EP3268591A1 (de) 2018-01-17
JP6317530B2 (ja) 2018-04-25
WO2016146417A1 (de) 2016-09-22
JP2018505989A (ja) 2018-03-01
CN107407189A (zh)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6622B2 (en) Intake control device
US8551205B2 (en) Gas filter insert
CA2752459C (en) Rotary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20060788A1 (en) Cylinder for a combustion engine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880009B1 (ko) 신선 공기 시스템의 흡입 모듈
US789708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valve unit
EP2835525A1 (en) Intake device and intake control valve
KR101879149B1 (ko) 신선 공기 시스템의 흡입 모듈
CN104704239B (zh) 可变容量型叶片泵
JP2002106370A (ja) エンジンの吸気マニホールド
US10138856B2 (en) Alignment element for an injector
US9004040B2 (en) Timing cover assembly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123362B2 (ja) 吸気装置および吸気制御弁
JP2015090128A (ja) 吸気制御弁およびその組付方法
US20140305523A1 (en) Intake pipe for ga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 flap unit
JP6558156B2 (ja) 吸気装置および吸気制御弁
JP2017150341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KR20100090022A (ko)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JP2013050170A (ja) 流体制御弁
JP2005307854A (ja) ベーンポンプ
JP2020105977A (ja) エンジンのシール構造
KR100201497B1 (ko) 자동차의 연료 필라 리드의 힌지 고정구조
CN103270333A (zh) 汽车用空气阻尼器
JP5911048B2 (ja) 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KR20100048226A (ko) 인테이크 매니폴드의 스월 컨트롤밸브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