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330B1 -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330B1
KR101805330B1 KR1020167016209A KR20167016209A KR101805330B1 KR 101805330 B1 KR101805330 B1 KR 101805330B1 KR 1020167016209 A KR1020167016209 A KR 1020167016209A KR 20167016209 A KR20167016209 A KR 20167016209A KR 101805330 B1 KR101805330 B1 KR 101805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or
vehicle
hood
pedestrian protection
protection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6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6935A (ko
Inventor
야스히로 하라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60086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과제] 보강 대책에 수반하는 질량 및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고, 후드 상면의 보행자 보호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후드 (14) 의 후단부 (16) 의 차량 하방측이고 또한 팽출부 (24) 의 차량 후방측에는,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28)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모듈 케이스 (30) 내에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및 인플레이터 (34)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인플레이터 (34) 는, 중간부에 잉여 길이부 (52) 가 형성된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36) 에 의해서, 팽출부 (24) 의 바닥벽 (24A) 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전개 반력에 의해서 인플레이터 (34) 가 차량 전방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잉여 길이부 (52) 가 압축되고 변형되어, 당해 전개 반력을 바이패스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VEHICULAR PEDESTRIAN-PROTECTING AIRBA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055569호에는 충돌물 보호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이 충돌물 보호 장치에서는, 카울 내에 에어백 모듈이 배치 형성되어 있고, 보행자와 충돌하면, 리드가 전개되어 후드 에어백이 후드 후단 및 좌우의 프런트 필러를 따라서 팽창 전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68111호에는, 보행자 보호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이 보행자 보호 장치에서는, 에어백 모듈이 후드의 후단부 (後端部) 의 하면측에 배치 형성되어 있고, 보행자와 충돌하면, 처음에 팝업 기구에 의해서 후드의 후단부가 차량 상방측으로 상승되고, 계속해서 리드가 전개되어 후드의 후단부와 윈드 실드 유리의 간극으로부터 후드 에어백이 후드 후단 및 좌우의 프런트 필러를 따라서 팽창 전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055569호에 기재된 선행 기술에 의할 경우, 에어백 모듈을 카울 내에 배치 형성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후드 에어백의 전개 방향이 복잡하게 되어, 후드 에어백의 전개 거동이 안정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 카울을 보강하여 모듈 케이스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질량 및 비용이 증가한다.
한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68111호에 기재된 선행 기술에 의할 경우, 후드 에어백이 팝업된 후드의 후단부와 윈드 실드 유리 사이로부터 팽창 전개되기 때문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055569호에 기재된 선행 기술과 비교하여, 후드 에어백의 전개 방향은 안정된다. 그러나, 후드 에어백의 전개 반력에 견디도록 후드의 후단부의 보강이 필요해져서, 질량 및 비용이 증가하는 점에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055569호에 기재된 선행 기술과 동일한 종류의 과제가 남는다. 또한 후드 후단부의 강성 및 강도가 높아짐으로써, 후드 상면의 강성 및 강도가 높아져, 보행자 보호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보강 대책에 수반되는 질량 및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고, 후드 상면의 보행자 보호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제 1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후단부가 차량 상방측으로 상승 가능하게 된 후드에 있어서의 당해 후단부의 하방측에 배치 형성되고, 작동함으로써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후드의 후단부의 하방측에 절첩된 상태에서 격납되고,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후드의 후단부와 윈드 실드 유리 사이로부터 차량 상면측 또한 차량 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과, 상기 후드의 후단부의 하면측에 고정된 제 1 고정부와, 상기 인플레이터가 고정된 제 2 고정부와,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 사이에 형성됨과 함께 소성 변형되어 늘어나거나 또는 줄어듬으로써 상기 인플레이터가 상기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팽창 전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변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을 갖고 있다.
제 2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은 판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변형부는 상기 판재에 형성된 잉여 길이부로 되어 있으며, 또한 당해 잉여 길이부는 후드 측방에서 보았을 때, 산 형상, 물결 형상, W 자상, V 자상, 가로 방향 S 자상, M 자상, N 자상, 원호상의 어느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은 판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판재에 약화부를 형성함으로써 당해 약화부의 주위에 형성된 신장부로 되어 있다.
제 4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제 1 양태 ∼ 제 3 양태의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양태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인플레이터의 이동 방향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와 간섭함으로써 상기 인플레이터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다.
제 5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제 4 양태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후드의 내측 부재를 구성하는 후드 이너 패널에 고정된 별개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6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제 4 양태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후드의 내측 부재를 구성하는 후드 이너 패널의 후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차량 하방측으로 팽창되는 팽출부의 세로벽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 7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제 1 양태 ∼ 제 6 양태의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양태에 있어서, 추가로 내부에 상기 보행자 보호 에어백을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와, 당해 모듈 케이스의 전벽부에 시일 부재를 개재하여 장착됨과 함께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의 맞닿음 하중이 입력됨으로써 이탈 가능하게 된 인플레이터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제 8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제 1 양태 ∼ 제 6 양태의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양태에 있어서, 추가로 내부에 상기 인플레이터 및 상기 보행자 보호 에어백이 수용된 모듈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당해 모듈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와 대향하는 부위에 당해 인플레이터로부터의 맞닿음 하중이 입력됨으로써 파단되는 파단 예정부가 설정되어 있다.
제 9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제 1 양태 ∼ 제 8 양태의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진직 주상 (眞直柱狀) 으로 형성되며 또한 차량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은, 중앙부에 상기 제 2 고정부가 배치되며 또한 당해 제 2 고정부의 양측에 상기 제 1 고정부가 형성되고, 추가로 각각의 상기 제 1 고정부와 각 제 2 고정부 사이에 상기 변형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0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제 1 양태 ∼ 제 9 양태의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후드 이너 패널에 있어서의 차량 후방측에는 차량 하방측으로 팽창되며 또한 차량 폭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팽출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팽출부는 상기 후드의 후단부보다 차량 전방측으로 옵셋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추가로 후드 이너 패널에 있어서의 당해 팽출부의 차량 후방측에 형성된 수납 스페이스에 상기 인플레이터 및 상기 보행자 보호 에어백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제 11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제 10 양태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을 사용하여 상기 후드 이너 패널의 팽출부의 바닥벽에 장착되어 있다.
제 12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제 1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은, 차량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띠상의 금속제의 판재를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제작되어 있다.
제 13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제 11 양태 또는 제 12 양태에 있어서, 추가로 차량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장척상의 대략 박스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플레이터 및 상기 보행자 에어백을 격납하며 또한 상측 장착벽 및 하측 장착벽을 구비한 모듈 케이스를 갖고 있고,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의 상기 제 1 고정부는 당해 상측 장착벽과 당해 하측 장착벽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드 이너 패널의 상기 팽출부의 바닥벽에 공 (共) 체결되어 있다.
제 14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제 13 양태에 있어서, 상기 모듈 케이스는, 상기 팽출부의 후단벽을 따라서 세워져 형성된 전벽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잉여 길이부는, 당해 전벽부와 차량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1 경사부와, 상기 인플레이터와 차량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2 경사부와, 당해 제 1 경사부와 당해 제 2 경사부를 연결하는 정상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 15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제 13 양태 또는 제 14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는, 당해 모듈 케이스의 전벽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차량 후방측으로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6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제 11 양태 ∼ 제 15 양태의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는, 차량 하방측으로 팽창되는 반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제 2 고정부의 상면에 상기 인플레이터가 고정되어 있다.
제 1 양태에 의하면, 후드의 후단부의 하방측에 배치 형성된 인플레이터가 작동하면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가 분출된다. 이 가스는 후드의 후단부의 하방측에 절첩된 상태에서 격납된 보행자 보호 에어백 내에 공급된다. 이로써, 보행자 보호 에어백이 후드의 후단부와 윈드 실드 유리 사이로부터 차량 상면측 또한 차량 후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제 1 고정부가 후드의 후단부의 하면측에 고정된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의 제 2 고정부에 상기 인플레이터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인플레이터가 작동하여, 보행자 보호 에어백이 팽창 전개되면, 그 때의 전개 반력이 인플레이터에 작용하고, 나아가서는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을 개재하여 후드의 후단부측에 입력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의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 사이에 변형부가 형성되어 있고,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팽창 전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전개 반력이 인플레이터에 작용하면, 당해 변형부가 소성 변형되어 늘어난다 (또는 줄어든다). 이로써, 인플레이터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전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어, 전개 반력을 바이패스할 (다른 곳으로 보낼) 수 있다. 그 결과, 전개 반력을 받아 내기 위해서 후드의 후단부 등을 보강할 필요가 없어지거나, 혹은 보강한다고 해도 보강 정도가 경감된다. 또, 후드의 후단부의 보강이 불필요하게 되거나 또는 보강 정도가 경감됨으로써, 후드 상면의 강성도 변함없거나 약간 높아지는 정도로 끝난다.
제 2 양태에 의하면,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이 판재로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판재에 형성된 잉여 길이부로 변형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또한 당해 잉여 길이부는 후드 측방에서 보았을 때, 산 형상, 물결 형상, W 자상, V 자상, 가로 방향 S 자상, M 자상, N 자상, 원호상의 어느 것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잉여 길이부의 변형에 의해서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전개 반력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제 3 양태에 의하면,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이 판재로 구성되어 있고, 당해 판재에 약화부가 형성됨으로써, 약화부의 주위에 형성된 신장부가 변형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신장부의 신장에 의해서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전개 반력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후드의 후단부측에 입력되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전개 반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점수도 증가되지 않고,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도 대형화하지 않는다.
제 4 양태에 의하면,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전개 반력으로 인플레이터가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팽창 전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또는 인플레이터가 스토퍼에 간섭된다. 이로써, 인플레이터의 이동량이 제한된다. 그 결과, 보행자 보호 에어백이 인플레이터에 의해서 인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 5 양태에 의하면, 스토퍼가 후드 이너 패널에 고정된 별개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드 자체에 변경을 가할 필요가 없고, 또 스토퍼의 형상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제 6 양태에 의하면, 스토퍼가 후드 이너 패널의 후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차량 하방측으로 팽창되는 팽출부의 세로벽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가 증가되지 않는다.
제 7 양태에 의하면,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전개 반력에 의해서 인플레이터가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팽창 전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인플레이터를 수용하고 있는 인플레이터 케이스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인플레이터 케이스가 보행자 보호 에어백을 수용하고 있는 모듈 케이스로부터 이탈된다. 이로써, 인플레이터는 더욱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팽창 전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게다가, 통상시에는, 인플레이터 케이스는 시일 부재를 개재하여 모듈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 침입할 우려도 없다.
제 8 양태에 의하면,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전개 반력에 의해서 인플레이터가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팽창 전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인플레이터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을 수용하고 있는 모듈 케이스의 벽 (인플레이터와의 대향벽) 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모듈 케이스에 설정된 파단 예정부에 인플레이터로부터의 맞닿음 하중이 입력된다. 이로써, 모듈 케이스가 파단 예정부를 따라서 파단되고, 인플레이터는 더욱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팽창 전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게다가, 통상시에는, 인플레이터 케이스는 파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물이 침입할 우려도 없다. 또, 모듈 케이스를 분할하는 구조는 아니기 때문에, 별도 시일 부재를 설정할 필요도 없다.
제 9 양태의 작용은 이하와 같다. 일반적으로, 후드를 차량 폭 방향을 따라서 절단했을 경우, 후드의 단면 형상은 중앙부가 양 단부보다 차량 상방측으로 팽창된 볼록 만곡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진직 주상의 인플레이터를 차량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하면, 인플레이터와 후드 사이에 데드 스페이스가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인플레이터가 차량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도 그것에 맞추어 제 2 고정부의 양측에 제 1 고정부가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데드 스페이스가 삭감된다. 게다가, 각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 사이에 변형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변형부의 부담 비율이 절반이 된다. 따라서, 전개 반력을 동일하게 했을 경우에는, 변형부의 길이를 절반으로 할 수 있고, 변형부의 길이를 절반으로 하지 않는 것이면 2 배의 전개 반력에 대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보강 대책에 수반하는 질량 및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고, 후드 상면의 보행자 보호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 2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질량 및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후드의 후단부에 입력되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전개 반력을 억제할 수 있고, 추가로 인플레이터의 이동에 의한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인입을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 3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질량 및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후드의 후단부에 입력되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전개 반력을 억제할 수 있고, 추가로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의 설치 스페이스를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 4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전개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 5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대대적인 설계 변경이 불필요함과 함께, 인플레이터의 이동량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 6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설치 공정수의 증가에 의한 비용의 증가를 해소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 7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모듈 케이스의 내부에 인플레이터의 이동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여도, 인플레이터를 충분히 이동시켜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전개 반력을 바이패스할 수 있고, 게다가 침수의 우려도 없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 8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모듈 케이스의 내부에 인플레이터의 이동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여도, 인플레이터를 충분히 이동시켜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전개 반력을 바이패스할 수 있고, 게다가 침수의 우려도 없으며, 부품 점수도 증가되지 않는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제 9 양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후드 내의 스페이스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보다 큰 전개 반력에 대응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것으로서, 비작동 상태의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의 주요부를 차량 전후 방향으로 파단하여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가 작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 에 대응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가 후드에 탑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가 작동하여 보행자 보호 에어백이 팽창 전개된 상태를 자동차와의 관계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는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의 비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b 는 도 5a 에 나타내는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a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의 비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b 는 도 6a 에 나타내는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a 에 나타내는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 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의 비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b 는 도 8a 에 나타내는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a 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의 비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b 는 도 9a 에 나타내는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0 은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1a 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의 주요부인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b 는 도 11a 에 나타내는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이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전개 반력에 의해서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a 는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의 인플레이터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b 는 도 12a 의 X - X 선을 따른 후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13 은 제 7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a 는 대비예에 관련된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의 인플레이터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b 는 도 14a 의 Y - Y 선을 따른 후드의 종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도 1 ∼ 도 5b 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적절히 나타내어진 화살표 FR 은 차량 전방측을 나타내고, 또 화살표 UP 는 차량 상방측을 나타낸다. 그리고 화살표 IN 은 차량 폭 방향 내측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차 (차량) (10) 의 엔진 룸 (파워 유닛실) (12) 의 상면측에는 후드 (14) 가 형성되어 있다. 후드 (14) 의 전단부는, 도시되지 않은 후드 로크에 의해서 통상적으로는 로크 상태로 되어 있다. 또, 후드 (14) 의 후단부 (16) 의 차량 폭 방향 양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후드 힌지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후드 힌지는, 차체에 고정되는 힌지 베이스와, 일 단부가 후드에 고정됨과 함께 타 단부가 힌지 베이스에 핀 결합되고, 결합점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된 힌지 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드 (14) 의 후단부의 차량 폭 방향 양측에는, 보행자와의 충돌시에 후드 (14) 의 후단부 (16) 를 상승시키는 팝업 장치 (18)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서는, 팝업 장치 (18) 를 가스 발생 수단이 작동함으로써 상승되는 라드상의 부재에 의해서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링크 기구에 의해서 후드 (14) 의 후단부 (16) 를 팝업시켜도 되고, 여러 가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 도 1 및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 (14) 는, 차량 외측에 배치되어 후드 (14) 의 의장면을 형성하는 후드 아우터 패널 (20) 과, 엔진 룸 (12) 측에 배치되고, 후드 아우터 패널 (20) 을 보강하는 후드 이너 패널 (22)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드 이너 패널 (22) 의 차량 후방측에는, 차량 하방측으로 팽창되며 또한 차량 폭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팽출부 (24) 가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 (24) 는, 후드 (14) 의 후단부 (16) 의 바로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후드 (14) 의 후단부 (16) 보다 차량 전방측으로 옵셋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후드 이너 패널 (22) 에 있어서의 팽출부 (24) 의 차량 후방측에 수납 스페이스 (26) 가 형성되고, 이 수납 스페이스 (26) 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로서의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28)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하,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28) 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28) 는, 차량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길이가 긴 대략 박스상으로 형성된 모듈 케이스 (30) 와, 이 모듈 케이스 (30) 내에 절첩된 상태에서 격납된 보행자 보호 에어백 (후드 에어백) (32) 과, 보행자와의 충돌시에 가스를 분출하여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에 공급하는 인플레이터 (34) 와, 이 인플레이터 (34) 를 후드 (14) 에 고정시키기 위한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36)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모듈 케이스 (30) 는, 후드 이너 패널 (22) 의 팽출부 (24) 의 바닥벽 (24A) 에 맞닿음 상태에서 배치된 상측 장착벽 (30A) 과, 상측 장착벽 (30A) 의 후단부로부터 차량 상방측으로 굴곡되어 팽출부 (24) 의 후단벽 (24B) 을 따라서 수직 형성된 전벽부 (30B) 와, 전벽부 (30B) 의 상단부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연장된 상벽부 (30C) 와, 상벽부 (30C) 의 후단부로부터 차량 하방측으로 굴곡된 후벽부 (30D) 과, 후벽부 (30D) 의 하단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된 하벽부 (30E) 와, 하벽부 (30E) 로부터 그대로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상측 장착벽 (30A) 의 하측에 배치된 하측 장착벽 (30F) 과, 도시되지 않은 좌우의 측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벽부 (30C) 는, 후드 이너 패널 (22) 의 일반 벽 (22A) 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후벽부 (30D) 는 전벽부 (30B) 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또 하벽부 (30E) 는 상벽부 (30C) 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모듈 케이스 (30) 의 차량 후방 상측의 모서리부 (상벽부 (30C) 와, 후벽부 (30D) 가 접속되는 코너부) 에 있어서의 케이스 안쪽측에는, V 자상의 홈이 형성됨으로써 박육화된 티어부 (38) 가 형성되어 있다. 티어부 (38) 는 각 벽의 일반부보다 강도 및 강성이 낮게 되어 있다.
도 1, 도 4 및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행자 보호 에어백 (후드 에어백) (32) 은, 일례로서 2 장의 기포의 외주부를 봉제함으로써 주머니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이 팽창 전개된 상태에서는, 후드 (14) 의 후단부 (16) 를 따라서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백 본체부 (40) 와, 이 백 본체부 (40) 와 연통됨과 함께 좌우 1 쌍의 프런트 필러 (42) 의 전면 (前面) 을 덮는 1 쌍의 백 측부 (44)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백 본체부 (40) 는, 후드 (14) 의 후단부 (16) 의 하면을 따라서 차량 폭 방향으로 팽창되는 백 기부 (40A) 와, 후드 (14) 의 후단부 (16) 와 윈드 실드 유리 (46) 사이로부터 원통상으로 팽창 전개되어 윈드 실드 유리 (46) 의 하단부 (46A) 의 전면을 덮는 백 원통부 (40B) 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은, 벨로스 접기, 롤 접기에 의해서 절첩된 상태에서 모듈 케이스 (30) 내에 격납되어 있다.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내부에는, 좌우 1 쌍의 인플레이터 (34)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인플레이터 (34) 는 금속제로 되어 있으며, 또한 축 방향의 양 단부가 폐지 (閉止) 된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플레이터 (34) 의 축 방향의 일 단부의 축심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스퀴브 (점화 장치)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 인플레이터 (34) 의 내부에는, 연소됨으로써 대량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음과 함께, 발생된 고온의 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란트 및 가스 발생제가 연소되었을 때에 발생되는 파편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등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플레이터 (34) 는 가스 발생제를 사용하는 타입의 인플레이터이지만, 고압 가스가 봉입된 타입의 인플레이터를 사용해도 된다. 또, 인플레이터 (34) 의 둘레 벽부에는, 복수의 가스 분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 (34) 는, 차체 플로어의 중앙부에 배치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러 (에어백 ECU) 와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는, 자동차 (10) 의 전단부에 차량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된 도시되지 않은 프런트 범퍼에 배치 형성된 충돌 검지 센서 (도시 생략) 혹은 충돌 예지 센서 (도시 생략) 와 접속되어 있다. 충돌 검지 센서로는, 예를 들어 프런트 범퍼 리인포스먼트의 전면측에 프런트 범퍼를 따라서 장척상의 압력 튜브 또는 압력 챔버 및 압력 센서를 배치하는 챔버 방식이나 광섬유 방식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충돌 예지 센서로는, 예를 들어 프런트 범퍼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보행자 등의 충돌체와의 충돌을 밀리파 레이더나 스테레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예지하는 프레크레시 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인플레이터 (34) 는,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36) 을 사용하여, 후드 이너 패널 (22) 의 팽출부 (24) 의 바닥벽 (24A) 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36) 은, 차량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띠상의 금속제의 판재를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제작되어 있다. 구조적으로는,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36) 은, 후드 (14) 의 후단부 (16) 의 하면측 (즉, 팽출부 (24) 의 바닥벽 (24A)) 에 고정되는 제 1 고정부 (48) 와, 인플레이터 (34) 가 고정되는 제 2 고정부 (50) 와, 제 1 고정부 (48) 와 제 2 고정부 (50) 사이에 형성된 변형부로서의 잉여 길이부 (52) 를 주요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제 1 고정부 (48) 는, 사각형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상측 장착벽 (30A) 과 하측 장착벽 (30F) 사이에 끼여 있다. 또한, 제 1 고정부 (48) 에는 볼트 삽입 통과공 (54) 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측 장착벽 (30A) 및 하측 장착벽 (30F) 에도 제 1 고정부 (48) 의 볼트 삽입 통과공 (54) 과 동축 상에 볼트 삽입 통과공 (56, 58)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볼트 삽입 통과공 (56, 54, 58) 에 장착 볼트 (60) 가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삽입되어 팽출부 (24) 의 바닥벽 (24A) 의 상면에 형성된 웰드 너트 (62) 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36) 이 모듈 케이스 (30) 와 함께 팽출부 (24) 의 바닥벽 (24A) 에 공체결되어 있다.
또, 제 2 고정부 (50) 는 대략 반원상의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고정부 (50) 는, 차량 하방측으로 팽창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 제 2 고정부 (50) 의 상면에 인플레이터 (34) 가 도시되지 않은 고정 수단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28) 가 후드 (14) 의 후단부 (16) 의 하면측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36) 의 제 2 고정부 (50) 는, 모듈 케이스 (30) 의 전벽부 (30B) 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차량 후방측으로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잉여 길이부 (52) 는, 후드 (14) 의 측방에서 보았을 때, 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벽부 (30B) 와 차량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1 경사부 (52A) 와, 인플레이터 (34) 와 차량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2 경사부 (52B) 와 제 1 경사부 (52A) 와 제 2 경사부 (52B) 를 연결하는 정상부 (52C)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잉여 길이부 (52) 가 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결 형상이어도 되고, W 자상, V 자상, 가로 방향 S 자상, M 자상, N 자상 등 여러 가지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 (34) 의 가스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된 가스를 정류하기 위한 디퓨저를 인플레이터 (34) 의 주위에 형성해도 된다. 일례로서, 디퓨저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 방향의 중간부를 축선측으로 코킹함으로써 인플레이터 (34) 에 일체화되어 있다. 이 경우,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36) 은, 디퓨저의 외주부에 고정시키면 된다. 또, 인플레이터 (34) 의 외주부에 디퓨저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인플레이터 (34) 및 디퓨저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플레이터」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그리고 효과를 설명한다.
보행자와 충돌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도 1 및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팝업 장치 (18) 및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28) 는 비작동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요컨대, 후드 (14) 의 후단부 (16) 는 팝업되지 않고,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도 모듈 케이스 (30) 내에 절첩된 상태에서 격납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보행자와 충돌하면, 프런트 범퍼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충돌 검지 센서에 의해서 보행자와 충돌한 것이 검지된다. 또한, 프레크래시 센서나 스테레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보행자와의 충돌이 예지된 경우도 동일하다. 이로써,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러에 의해서 팝업 장치 (18) 가 작동되고, 후드 (14) 의 후단부 (16) 가 차량 상방측으로 소정 높이까지 상승된다 (팝업된다).
또, 후드 (14) 의 후단부 (16) 의 상승량이 소정량에 이르면,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러에 의해서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28) 의 인플레이터 (34) 가 작동된다. 이 때문에, 인플레이터 (34) 의 가스 분출공으로부터 가스가 분출되고, 가스는 절첩된 상태의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내에 공급된다. 이로써,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이 모듈 케이스 (30) 내에서 팽창하기 시작하고, 모듈 케이스 (30) 의 티어부 (38) 에 가해지는 인장 하중이 증가되어 간다. 그리고, 티어부 (38) 에 가해지는 인장 하중이 소정치에 이르면, 도 2 및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티어부 (38) 가 파단되고, 모듈 케이스 (30) 의 후벽부 (30D) 및 하벽부 (30E) 가 차량 하방측으로 전개된다. 이로써,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은 후드 (14) 의 후단부 (16) 와 윈드 실드 유리 (46) 사이로부터 차량 상면측 또한 차량 후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이 팽창 전개된 상태에서는, 도 4 및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본체부 (40) 의 백 원통부 (40B) 가 후드 (14) 의 후단부 (16) 를 따라서 차량 폭 방향으로 원통상으로 팽창 전개되고, 좌우 1 쌍의 백 측부 (44) 가 프런트 필러 (42) 의 전면을 덮도록 팽창 전개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36) 에 의해서 인플레이터 (34) 가 후드 (14) 의 후단부 (16) 측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36) 의 제 1 고정부 (48) 가 후드 이너 패널 (22) 의 팽출부 (24) 의 바닥벽 (24A) 에 체결 고정되고, 제 2 고정부 (50) 에 인플레이터 (34) 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인플레이터 (34) 가 작동하여,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이 팽창 전개되면, 그 때의 전개 반력이 인플레이터 (34) 에 작용하고, 나아가서는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36) 을 개재하여 후드 (14) 의 후단부 (16) 측에 입력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36) 의 제 1 고정부 (48) 와 제 2 고정부 (50) 사이에 잉여 길이부 (52) 가 형성되어 있고,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팽창 전개 방향 (도 5b 의 화살표 A 방향) 과 반대 방향 (도 5b 의 화살표 B 방향) 으로의 전개 반력이 인플레이터 (34) 에 작용하면, 산 형상으로 형성된 잉여 길이부 (52) 가 압축되고 축소 방향으로 소성 변형되어 소정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진다. 이로써, 인플레이터 (34) 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전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어, 전개 반력을 바이패스할 (다른 곳으로 보낼) 수 있다. 그 결과, 전개 반력을 받아 내기 위해서 후드 (14) 의 후단부 (16) 등을 보강할 필요가 없어지거나, 혹은 보강한다고 해도 보강 정도가 경감된다. 또, 후드 (14) 의 후단부 (16) 의 보강이 불필요해지거나 또는 보강 정도가 경감됨으로써, 후드 (14) 상면의 강성도 변함없거나 극히 약간 높아지는 정도로 끝난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강 대책에 수반하는 질량 및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고, 후드 (14) 상면의 보행자 보호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36) 이 판재로 구성되어 있고, 당해 판재에 형성된 잉여 길이부 (52) 로 변형부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잉여 길이부 (52) 의 변형에 의해서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전개 반력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후드 (14) 의 후단부 (16) 측에 입력되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전개 반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점수도 증가되지 않고, 잉여 길이부 (52) 의 변형량 설정에 의해서 인플레이터 (34) 의 이동 스트로크를 관리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질량 및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후드 (14) 의 후단부 (16) 에 입력되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전개 반력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인플레이터 (34) 의 이동에 의한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인입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하에 도 6a, 도 6b 및 도 7 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a,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로서의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70) 도, 후드 (14) 의 팽출부 (24) 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28) 와 동일하다. 단,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70) 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28) 보다 차량 상하 방향을 따른 높이가 높게 되어 있다 (벌크가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70) 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을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 (72) 와, 당해 모듈 케이스 (72) 에 시일 부재 (74) 를 개재하여 장착된 인플레이터 케이스 (76) 를 구비하고 있다. 그 의미에서는, 모듈 케이스가 2 분할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모듈 케이스 (72) 는, 팽출부 (24) 의 바닥벽 (24A) 의 후단 하방에 배치된 세로벽상의 전벽부 (72A) 와, 전벽부 (72A) 의 상단부에 형성된 갈고랑이상의 단부 (段部) (72B) 와, 단부 (72B) 의 상단으로부터 굴곡되어 차량 후방측으로 연장된 상벽부 (72C) 와, 전벽부 (72A) 의 하단으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연장된 하벽부 (72D) 와, 도시되지 않은 후벽부 및 좌우의 측벽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인플레이터 케이스 (76)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L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세로벽부 (76A) 와 가로벽부 (76B)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모듈 케이스 (72) 의 전벽부 (72A) 및 하벽부 (72D) 에는, 양자에 걸친 개구부 (78)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부 (78) 를 모듈 케이스 (72) 의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인플레이터 케이스 (76) 가 모듈 케이스 (72) 의 전벽부 (72A) 및 하벽부 (72D) 에 시일 부재 (74) 를 개재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시일 부재 (74) 로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해도 되고, 건식의 시일 부재의 양면에 접착층을 형성해도 좋다. 또, 습식의 시일제를 도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시일 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80) 은, 매달기식으로 되어 있고, 팽출부 (24) 의 바닥벽 (24A) 의 하면에 맞닿음 상태에서 배치되는 평판상의 제 1 고정부 (82) 와, 제 1 고정부 (82) 의 차량 후방측의 단부로부터 굴곡되어 아래로 내려진 중간부 (84) 와, 중간부 (84) 의 하단부로부터 측면에서 보았을 때,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고정부 (86)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80) 의 제 1 고정부 (82) 는, 팽출부 (24) 의 바닥벽 (24A) 의 상면에 고착된 웰드 너트 (62) 에 제 1 고정부 (82) 의 하방으로부터 장착 볼트 (60) 가 나사 삽입됨으로써, 팽출부 (24) 의 바닥벽 (24A) 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또,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80) 의 중간부 (84) 는, 모듈 케이스 (72) 의 단부 (72B) 를 관통하여 모듈 케이스 (72) 의 안쪽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80) 의 제 2 고정부 (86) 에는, 인플레이터 (34) 가 도시되지 않은 고정 수단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 중간부 (84) 의 차량 상하 방향 중간부에는, 차량 후방측으로 개방된 원호상의 변형부로서의 잉여 길이부 (88) 가 형성되어 있다.
(작용·효과)
상기 구성의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70) 에서는,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 (34) 가 작동하여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이 팽창 전개되면, 그 때의 전개 반력에 의해서 인플레이터 (34) 는 차량 전방측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이 때문에,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80) 의 중간부 (84) 에 형성된 잉여 길이부 (88) 가 신장되어 소정의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진다. 또,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80) 의 제 2 고정부 (86) 가 인플레이터 케이스 (76) 의 세로벽부 (76A) 를 차량 전방측으로 압압함으로써, 인플레이터 케이스 (76) 의 시일 부재 (74) 를 개재한 모듈 케이스 (72) 에의 장착 상태가 해제되어 인플레이터 케이스 (76) 가 이탈된다. 이로써, 인플레이터 (34) 는 모듈 케이스 (72) 의 전벽부 (72A) 및 하벽부 (72D) 에 형성된 개구부 (78) 로부터 모듈 케이스 (72) 의 외측으로 나와 더욱 차량 전방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통상시에는, 인플레이터 케이스 (76) 는 시일 부재 (74) 를 개재하여 모듈 케이스 (72) 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모듈 케이스 (72) 및 인플레이터 케이스 (76) 내에 물이 침입할 우려도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모듈 케이스 (72) 의 내부에 인플레이터 (34) 의 이동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여도, 인플레이터 (34) 를 충분히 이동시켜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전개 반력을 바이패스할 수 있고, 또한, 침수의 우려도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답습하고 있기 때문에, 이하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도 얻어진다. 즉,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전개 반력을 바이패스할 (다른 곳으로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전개 반력을 받아 내기 위해서 후드 (14) 의 후단부 (16) 등을 보강할 필요가 없어지거나, 혹은 보강한다고 해도 보강 정도가 경감된다. 또, 후드 (14) 의 후단부 (16) 의 보강이 불필요해지거나 또는 보강 정도가 경감됨으로써, 후드 (14) 상면의 강성도 변함없거나 극히 약간 높아지는 정도로 끝난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강 대책에 수반하는 질량 및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고, 후드 (14) 상면의 보행자 보호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점은, 후술하는 제 3 실시형태 이후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80) 이 판재로 구성되어 있고, 당해 판재에 형성된 잉여 길이부 (88) 로 변형부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잉여 길이부 (88) 의 변형에 의해서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전개 반력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후드 (14) 의 후단부 (16) 측에 입력되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전개 반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점수도 증가되지 않고, 잉여 길이부 (88) 의 변형량 설정에 의해서 인플레이터 (34) 의 이동 스트로크를 관리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질량 및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후드 (14) 의 후단부 (16) 에 입력되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전개 반력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인플레이터 (34) 의 이동에 의한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인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점은 후술하는 제 3 실시형태 이후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 3 실시형태]
이하, 도 8a, 도 8b 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 실시형태 등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a,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실시형태의 인플레이터 케이스 (76) 를 형성하는 것은 아니고, 모듈 케이스 (72) 의 전벽부 (72A) 와 하벽부 (72D) 의 접속부의 케이스 안쪽측에 V 홈이 형성됨으로써 얇은 두께로 형성된 파단 예정부로서의 티어부 (90)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티어부 (90) 는 전벽부 (72A) 에 있어서의 인플레이터 (34) 와 차량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티어부 (90) 는 모듈 케이스 (72) 를 차량 후방측에서 보면, 인플레이터 (34) 와 겹치는 영역에서 U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티어부 (90) 는 소정치 이상의 인장 하중이 작용함으로써 파단되도록 되어 있다.
(작용 및 효과)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이 팽창 전개되었을 때의 전개 반력에 의해서 인플레이터 (34) 가 차량 전방측으로 이동하면,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80) 의 제 2 고정부 (86) 가 모듈 케이스 (72) 의 전벽부 (72A) 를 차량 전방측으로 압압한다. 이 때문에, 티어부 (90) 가 차량 전방측에서 보았을 때, U 자상으로 파단되고, 전벽부 (72A) 의 상측 가장자리측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차량 전방측으로 전개된다. 이로써, 인플레이터 (34) 는 모듈 케이스 (72) 의 외측으로 나와 더욱 차량 전방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통상시에는, 인플레이터 케이스 (76) 는 티어부 (90) 가 파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모듈 케이스 (72) 내에 물이 침입할 우려도 없다. 또, 모듈 케이스 (72) 를 분할하는 구조는 아니기 때문에, 별도 시일 부재를 설정할 필요도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모듈 케이스 (72) 의 내부에 인플레이터 (34) 의 이동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여도, 인플레이터 (34) 를 충분히 이동시켜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전개 반력을 바이패스할 수 있고, 또한, 침수의 우려도 없으며, 부품 점수도 증가되지 않는다.
[제 4 실시형태]
이하, 도 9a, 도 9b 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 실시형태 등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a,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실시형태의 모듈 케이스 (72) 의 차량 전방측에 스토퍼 (92) 가 배치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드 이너 패널 (22) 의 팽출부 (24) 의 바닥벽 (24A) 에 있어서의 인플레이터 (34) 의 이동 방향측 (차량 전방측) 에는, 후드 이너 패널 (22) 과는 별개 부품으로 구성된 스토퍼 (92)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92)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하 역방향의 L 자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상부에 배치된 장착부 (92A) 와, 이 장착부 (92A) 의 후단으로부터 굴곡되어 아래로 내려진 본체부 (92B) 를 구비하고 있다. 스토퍼 (92) 의 장착부 (92A) 는, 바닥벽 (24A) 에 웰드 너트 (94) 및 고정 볼트 (96) 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 스토퍼 (92) 의 본체부 (92B) 는 모듈 케이스 (72) 의 전벽부 (72A) 의 차량 전방측이며 또한 인플레이터 (34) 의 이동 궤적과 간섭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토퍼 (92) 의 본체부 (92B) 가 직접적으로는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80) 의 제 2 고정부 (86) 에 맞닿는데, 인플레이터 (34) 가 맞닿는 위치에 스토퍼 (92) 의 본체부 (92B) 를 배치해도 된다.
(작용 및 효과)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이 팽창 전개되었을 때의 전개 반력에 의해서 인플레이터 (34) 가 차량 전방측으로 이동하면,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80) 의 제 2 고정부 (86) 가 모듈 케이스 (72) 의 전벽부 (72A) 를 차량 전방측으로 압압한다. 이 때문에, 티어부 (90) 가 차량 전방측에서 보았을 때, U 자상으로 파단되고, 전벽부 (72A) 의 상측 가장자리측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차량 전방측으로 전개된다. 이로써, 인플레이터 (34) 는 모듈 케이스 (72) 의 외측으로 나와 더욱 차량 전방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 (34) 의 이동 방향측에 스토퍼 (92)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전개 반력에 의해서 인플레이터 (34) 가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팽창 전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80) 의 제 2 고정부 (86) 가 스토퍼 (92) 의 본체부 (92B) 에 간섭된다. 이로써, 인플레이터 (34) 의 이동량이 제한된다. 그 결과,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이 인플레이터 (34) 에 의해서 인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전개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토퍼 (92) 가 후드 이너 패널 (22) 의 팽출부 (24) 의 바닥벽 (24A) 에 고정된 별개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드 (14) 자체에 변경을 가할 필요가 없고, 또 스토퍼 (92) 의 형상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대대적인 설계 변경이 불필요함과 함께, 인플레이터 (34) 의 이동량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이하, 도 10 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 실시형태 등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5 실시형태에서는, 후드 이너 패널 (22) 자체를 사용하여 스토퍼 (100) 를 형성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드 이너 패널 (22) 의 후단측에는, 차량 하방측으로 팽창되는 팽출부 (102)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팽출부 (102) 의 후단벽 (102A) 의 하부에는, 인플레이터 (34) 가 들어갈 수 있는 오목부 (104)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목부 (104) 내에 위치하는 후단벽 (102A) 의 하부의 세로벽에 의해서 스토퍼 (100) 가 구성되어 있다.
(작용 및 효과)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이 팽창 전개되었을 때의 전개 반력에 의해서 인플레이터 (34) 가 차량 전방측으로 이동하면,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80) 의 제 2 고정부 (86) 가 모듈 케이스 (72) 의 전벽부 (72A) 를 차량 전방측으로 압압한다. 이 때문에, 티어부 (90) 가 차량 전방측에서 보았을 때, U 자상으로 파단되고, 전벽부 (72A) 의 상측 가장자리측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차량 전방측으로 전개된다. 이로써, 인플레이터 (34) 는 모듈 케이스 (72) 의 외측으로 나와 더욱 차량 전방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 (34) 의 이동 방향측에 스토퍼 (100)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전개 반력으로 인플레이터 (34) 가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팽창 전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인플레이터 (34) 가 오목부 (104) 내로 들어가고, 또한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80) 의 제 2 고정부 (86) 가 스토퍼 (100) 에 간섭된다. 이로써, 인플레이터 (34) 의 이동량이 제한된다. 그 결과,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이 인플레이터 (34) 에 의해서 인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전개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토퍼 (100) 가 후드 이너 패널 (22) 의 후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차량 하방측으로 팽창되는 팽출부 (102) 의 세로벽 (후단벽 (102A)) 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가 증가되지 않는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설치 공정수의 증가에 의한 비용의 증가를 해소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이하, 도 11a, 도 11b 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의 제 6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 실시형태 등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110) 의 구성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110) 은, 제 2 실시형태의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80) 과 동일하게 제 1 고정부 (82), 중간부 (84), 제 2 고정부 (86) 를 구비하고 있다. 단, 중간부 (84) 에 잉여 길이부 (88) 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중간부 (84) 의 중앙부에는, 약화부로서의 원공 (112) 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중간부 (84) 에 있어서의 원공 (112) 의 좌우 (차량 폭 방향의 양측) 에 위치하는 신장부 및 변형부로서의 주위부 (114) 는, 중간부 (84) 의 다른 부위 (원공 (112) 의 상단보다 차량 상방측의 부위 및 원공 (112) 의 하단으로부터 차량 하방측의 부위) 보다 저강성화되어 있다.
(작용 및 효과)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110) 이 판재로 구성되어 있고, 당해 판재 (중간부 (84)) 에 원공 (112) 이 형성됨으로써 원공 (112) 의 주위부 (114) 가 신장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주위부 (114) 의 신장에 의해서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전개 반력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후드 (14) 의 후단부측에 입력되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전개 반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점수도 증가되지 않고,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110) 도 대형화하지 않는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질량 및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후드 (14) 의 후단부에 입력되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32) 의 전개 반력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110) 의 장착 스페이스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중간부 (84) 에 원공 (112) 을 형성했지만, 약화부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장공이어도 되고, 중간부의 양측에 절결을 형성하는 구성이어도 되며, 중간부의 양측을 원호상으로 잘라내어 중간부의 상하 방향 중간부가 세폭 (細幅) 이 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중간부에 약화부로서의 박육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 7 실시형태]
이하, 도 12a ∼ 도 14 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의 제 7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 실시형태 등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a, 도 1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7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1 쌍의 인플레이터 (34) 가 세로 설치식으로 되어 있다. 즉, 각 인플레이터 (34) 는, 그 축 방향이 차량 전후 방향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인플레이터 (34) 의 세로 설치 배치에 대응하여, 도 13 에 나타내는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120) 을 사용하여 인플레이터 (34) 는 후드 이너 패널 (22) 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120) 은, 중앙부에 배치되고 또한 차량 상방측이 개방된 반원호면상으로 형성된 제 2 고정부 (122) 와, 이 제 2 고정부 (122) 의 양측에 중간부 (124) 를 개재하여 형성된 좌우 1 쌍의 제 1 고정부 (126)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고정부 (126) 는 사각형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중간부 (124)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L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차량 전방측을 향한 세로벽부 (124A) 와 차량 하방측을 향한 가로벽부 (124B) 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세로벽부 (124A) 의 차량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는,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변형부로서의 잉여 길이부 (128) 가 전체 폭에 걸쳐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가로벽부 (124B) 의 대향 변이 제 2 고정부 (122) 의 좌우의 상단과 접속되어 있다.
(작용 및 효과)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하의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도 14a, 도 1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후드 (14) 를 차량 폭 방향을 따라서 절단했을 경우, 후드 (14) 의 단면 (斷面) 형상은 중앙부가 양 단부보다 차량 상방측으로 팽창된 볼록 만곡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진직 주상의 인플레이터 (34) 를, 차량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하면, 인플레이터 (34) 와 후드 이너 패널 (22) 사이에 데드 스페이스 (130) 가 형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a, 도 1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 (34) 가 차량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고, 또한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120) 도 그에 맞추어 제 2 고정부 (122) 의 양측에 제 1 고정부 (126) 가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데드 스페이스 (130) 가 삭감된다. 게다가, 각 제 1 고정부 (126) 와 제 2 고정부 (122) 사이에 변형부로서의 잉여 길이부 (128) 가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잉여 길이부 (128) 의 부담 비율이 절반이 된다. 따라서, 전개 반력을 동일하게 한 경우에는 잉여 길이부 (128) 의 길이를 절반으로 할 수 있고, 잉여 길이부 (128) 의 길이를 절반으로 하지 않는 것이면 2 배의 전개 반력에 대응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후드 (14) 내의 스페이스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보다 큰 전개 반력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보충 설명]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 (34) 는 진직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직 주상이면 되고, 진직 각주상 등이어도 된다.

Claims (16)

  1. 후단부가 차량 상방측으로 상승 가능하게 된 후드에 있어서의 당해 후단부의 하방측에 배치 형성되고, 작동함으로써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후드의 후단부의 하방측에 절첩된 상태에서 격납되고,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후드의 후단부와 윈드 실드 유리 사이로부터 차량 상면측으로 또한 차량 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과,
    상기 후드의 후단부의 하면측에 고정된 제 1 고정부와, 상기 인플레이터가 고정된 제 2 고정부와,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 사이에 형성됨과 함께 소성 변형되어 늘어나거나 또는 줄어듬으로써 상기 인플레이터가 상기 보행자 보호 에어백의 팽창 전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변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을 갖는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은 판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변형부는, 상기 판재에 형성된 잉여 길이부로 되어 있고,
    추가로 당해 잉여 길이부는 후드 측방에서 보았을 때, 산 형상, 물결 형상, W 자상, V 자상, 가로 방향 S 자상, M 자상, N 자상, 원호상의 어느 것으로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은 판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판재에 약화부를 형성함으로써 당해 약화부의 주위에 형성된 신장부로 되어 있는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인플레이터의 이동 방향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 또는 상기 인플레이터와 간섭함으로써 상기 인플레이터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후드의 내측 부재를 구성하는 후드 이너 패널에 고정된 별개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후드의 내측 부재를 구성하는 후드 이너 패널의 후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차량 하방측으로 팽창되는 팽출부의 세로벽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내부에 상기 보행자 보호 에어백을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와, 당해 모듈 케이스의 전벽부에 시일 부재를 개재하여 장착됨과 함께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의 맞닿음 하중이 입력됨으로써 이탈 가능하게 된 인플레이터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내부에 상기 인플레이터 및 상기 보행자 보호 에어백이 수용된 모듈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당해 모듈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와 대향하는 부위에 당해 인플레이터로부터의 맞닿음 하중이 입력됨으로써 파단되는 파단 예정부가 설정되어 있는,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진직 주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차량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은, 중앙부에 상기 제 2 고정부가 배치되며 또한 당해 제 2 고정부의 양측에 상기 제 1 고정부가 형성되고, 추가로 각각의 상기 제 1 고정부와 각 제 2 고정부 사이에 상기 변형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이너 패널에 있어서의 차량 후방측에는 차량 하방측으로 팽창되며 또한 차량 폭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팽출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팽출부는 상기 후드의 후단부보다 차량 전방측으로 옵셋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추가로 후드 이너 패널에 있어서의 당해 팽출부의 차량 후방측에 형성된 수납 스페이스에 상기 인플레이터 및 상기 보행자 보호 에어백이 배치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을 사용하여 상기 후드 이너 패널의 팽출부의 바닥벽에 장착되어 있는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은, 차량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띠상의 금속제의 판재를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제작되어 있는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차량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장척상의 박스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플레이터 및 상기 보행자 보호 에어백을 격납하며 또한 상측 장착벽 및 하측 장착벽을 구비한 모듈 케이스를 갖고 있고,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 브래킷의 상기 제 1 고정부는 당해 상측 장착벽과 당해 하측 장착벽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드 이너 패널의 상기 팽출부의 바닥벽에 공체결되어 있는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케이스는, 상기 팽출부의 후단벽을 따라서 수직 형성된 전벽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잉여 길이부는, 당해 전벽부와 차량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1 경사부와, 상기 인플레이터와 차량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2 경사부와, 당해 제 1 경사부와 당해 제 2 경사부를 연결하는 정상부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는, 당해 모듈 케이스의 전벽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차량 후방측으로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는, 차량 하방측으로 팽창되는 반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제 2 고정부의 상면에 상기 인플레이터가 고정되어 있는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KR1020167016209A 2013-12-24 2014-12-22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KR101805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66060A JP5846192B2 (ja) 2013-12-24 2013-12-24 車両用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JP-P-2013-266060 2013-12-24
PCT/JP2014/083999 WO2015098890A1 (ja) 2013-12-24 2014-12-22 車両用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935A KR20160086935A (ko) 2016-07-20
KR101805330B1 true KR101805330B1 (ko) 2017-12-05

Family

ID=53478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209A KR101805330B1 (ko) 2013-12-24 2014-12-22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34172B2 (ko)
EP (1) EP3088259B1 (ko)
JP (1) JP5846192B2 (ko)
KR (1) KR101805330B1 (ko)
CN (1) CN105829171B (ko)
WO (1) WO20150988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6192B2 (ja) * 2013-12-24 2016-0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6406686B2 (ja) * 2014-02-19 2018-10-17 株式会社Subaru エアバッグ装置
JP5983663B2 (ja) * 2014-03-10 2016-09-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6292098B2 (ja) * 2014-10-24 2018-03-14 豊田合成株式会社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6579518B2 (ja) * 2016-01-06 2019-09-2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DE102016004110A1 (de) * 2016-04-05 2017-10-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 mit Fußgänger-Airbag
JP6365585B2 (ja) * 2016-04-28 2018-08-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前部構造
DE102017004044A1 (de) * 2017-04-26 2018-10-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karosserie mit Airbaganordnung im Bereich eines Windlaufs
GB2562716B (en) * 2017-05-12 2020-02-12 Jaguar Land Rover Ltd A hood for a vehicle
DE102018222480B4 (de) * 2018-12-20 2020-07-02 Psa Automobiles Sa Kraftfahrzeughaube mit Airbaganordnung
JP7284089B2 (ja) * 2019-12-26 2023-05-30 株式会社ダイセル 防護体、防護体における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防護体におけるエアバッグ装置の作動方法
CN111469798A (zh) * 2020-03-20 2020-07-31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车辆的行人下肢保护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5115A1 (en) 2004-06-18 2006-08-10 Mark Howard Device for reducing the impact for pedestrian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4401B2 (ja) 2001-03-27 2005-04-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4656276B2 (ja) * 2001-09-19 2011-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3969121B2 (ja) * 2002-02-26 2007-09-05 豊田合成株式会社 歩行者保護装置
US6923286B2 (en) * 2002-02-26 2005-08-02 Toyoda Gosei Co., Ltd. Pedestrian protecting device
JP2004168111A (ja) 2002-11-18 2004-06-17 Toyoda Gosei Co Ltd 歩行者保護装置
JP4308643B2 (ja) 2003-12-19 2009-08-05 芦森工業株式会社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US7243754B2 (en) * 2004-03-17 2007-07-17 Toyoda Gosei Co., Ltd. Pedestrian airbag system
JP4474682B2 (ja) * 2004-07-30 2010-06-09 マツダ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4589855B2 (ja) 2005-07-26 2010-1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衝突物保護装置
JP4744278B2 (ja) 2005-11-24 2011-08-10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非乗員保護装置
JP4291821B2 (ja) * 2006-01-25 2009-07-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7261510A (ja) * 2006-03-29 2007-10-11 Toyoda Gosei Co Ltd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US7669884B2 (en) * 2006-05-09 2010-03-02 Honda Motor Co., Ltd. Air bag device
JP5342213B2 (ja) * 2007-11-20 2013-11-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CN101468634A (zh) * 2007-12-25 2009-07-01 上海现代摩比斯汽车零部件有限公司 行人与汽车发生碰撞时汽车保护行人的方法及安全装置
JP5987753B2 (ja) * 2013-03-29 2016-09-07 豊田合成株式会社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4208513A (ja) * 2013-03-29 2014-11-06 豊田合成株式会社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GB2516699B (en) * 2013-07-30 2017-05-03 Jaguar Land Rover Ltd Airbag device for a vehicle bonnet
JP2015067182A (ja) * 2013-09-30 2015-04-13 豊田合成株式会社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5846192B2 (ja) * 2013-12-24 2016-0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15140088A (ja) * 2014-01-28 2015-08-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JP5983663B2 (ja) * 2014-03-10 2016-09-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6269524B2 (ja) * 2015-02-10 2018-01-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5115A1 (en) 2004-06-18 2006-08-10 Mark Howard Device for reducing the impact for pedestri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29171A (zh) 2016-08-03
US20160311395A1 (en) 2016-10-27
WO2015098890A1 (ja) 2015-07-02
KR20160086935A (ko) 2016-07-20
CN105829171B (zh) 2017-10-27
EP3088259B1 (en) 2018-01-31
EP3088259A1 (en) 2016-11-02
US9834172B2 (en) 2017-12-05
EP3088259A4 (en) 2017-01-11
JP5846192B2 (ja) 2016-01-20
JP2015120453A (ja)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330B1 (ko)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US10328884B2 (en) Airbag device for front passenger seat
JP5983663B2 (ja)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KR20080081346A (ko) 차량용 후드 에어백 장치
JP2007112183A (ja) 車外用エアバッグ装置
US7938442B2 (en) Steering column mounted knee airbag device
KR20220068734A (ko) 차량용 루프 에어백
EP3056392B1 (en) Pedestrian protection airbag device
JP6194802B2 (ja) フード付け車両用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の搭載構造
US10112568B2 (en) Low mass passenger airbag
JP2000025552A (ja) 衝撃保護装置
JP2002178870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の配設構造
JP6672767B2 (ja)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5983641B2 (ja) フード付け車両用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の搭載構造
JP6107687B2 (ja)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のフード搭載構造
JP2006088923A (ja) エアバッグ及び非乗員保護装置
JP2017077838A (ja)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の支持構造
JP2011020653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JP2010264788A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2007168584A (ja) 車両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7168585A (ja) 車両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JP5218322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100428B2 (ja) 車両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KR20060016405A (ko)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JPH07237522A (ja) エアバッグ装置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