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464B1 - 체결 부위의 강도가 보강된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 Google Patents

체결 부위의 강도가 보강된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464B1
KR101784464B1 KR1020170067153A KR20170067153A KR101784464B1 KR 101784464 B1 KR101784464 B1 KR 101784464B1 KR 1020170067153 A KR1020170067153 A KR 1020170067153A KR 20170067153 A KR20170067153 A KR 20170067153A KR 101784464 B1 KR101784464 B1 KR 101784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lange
fixed
pair
flan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목
문상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도산업
Priority to KR1020170067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일면만이 개방되는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수직부재의 한 쌍의 지지축봉 상에 수평부재의 각 결합축봉이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그 결합축봉을 감쌈과 동시에 결합축봉 사이에서 높은 강도를 갖도록 체결 고정됨에 따라 차량 충돌에 따른 파손 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홀더, 연결플랜지, 각각의 결합플랜지를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홀더 하우징; 상기 연결플랜지의 외측면 및 외측에 위치하는 결합플랜지의 외측면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각각 결합돌기; 상기 결합돌기 사이의 연결플랜지와 각 결합플랜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 및 상기 결합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함께 체결 고정되는 고정 블록체;를 포함하는 체결 부위의 강도가 보강된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차량의 충돌에 대한 높은 대응력으로 인한 파손됨을 최소화함에 따라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체결 부위의 강도가 보강된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Reinforcing bracket for lane separation reinforcement with strengthened joint strength}
본 발명은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면만이 개방되는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수직부재의 한 쌍의 지지축봉 상에 수평부재의 각 결합축봉이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그 결합축봉을 감쌈과 동시에 결합축봉 사이에서 높은 강도를 갖도록 체결 고정됨에 따라 차량 충돌에 따른 파손 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체결 부위의 강도가 보강된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분리대는 차량의 통행 방향에 따라 차도를 분리하거나 교통의 흐름을 공간적으로 분리 또는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에 설치되는 시설물 중의 하나이다.
차선분리대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6706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2열로 형성된 수직 지지대와, 고정 브래킷과 탄성 브래킷의 결합 고정에 의해 외부 충격이 발생하거나 장기적인 설치기간에도 차선분리대의 내부 결합구조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5099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탄성 재질의 폐 고무 및 폐타이어 등 플라스틱 등을 이용한 무단횡단 방지턱을 구비하여 차량 충돌에 따른 파손방지는 물론 충격 완충작용을 하여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무단횡단 방지턱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81191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가 도로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지지부재를 도로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차선분리대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209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4'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도로 분리대의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충격의 완충 효과를 향상시킨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748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5'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차량 충돌에 대하여 높은 대응력을 가짐은 물론 충돌에 따른 파손시에도 그 파손된 부분이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6706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509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8119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209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7485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및 4는 한 쌍 형태로 형성된 수직 지지대 상에 양측으로 위치하는 각 수평 지지대의 결합축 사이에는 아무런 연결수단이나 보강수단 등이 마련되지 않아 차량의 충돌에 따른 수평 지지대의 결합축이 쉽게 파손되는 단점을 가진다. 특히, 파손된 후에는 그 파손된 많은 파편이 도로로 비산 되면서 2차적인 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선행기술문헌 2 내지 3은 수직 지지대가 하나로 설치됨에 따라 차량 충돌에 대한 지지력이 취약할 뿐만 아니라 충돌로 인한 파손시 그 파손된 많은 파편이 비산 됨으로써, 2차 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선행기술문헌 5는 한 쌍의 보강 브래킷을 독립적으로 각각 제작해야 함으로 인한 부품 증가는 물론 조립작업의 효율성 또한 저하되는 단점과 함께 연결 부분의 변형과 내부 고정체의 강도 차이로 인해 표면의 외주면이 파손되어 보강재와 분리되어 파손되는 단점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일면만이 개방되는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수직부재의 한 쌍의 지지축봉 상에 수평부재의 각 결합축봉이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그 결합축봉을 감쌈과 동시에 결합축봉 사이에서 높은 강도를 갖도록 체결 고정됨에 따라 차량 충돌에 따른 파손 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체결 부위의 강도가 보강된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체결 부위로의 더욱더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체결 부위에 더욱더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수단은 하부가 도로에 고정되며 상부로 한 쌍의 지지축봉이 형성되는 각각의 수직부재와, 상기 지지축봉 상에 양 끝단으로 형성된 각 결합축봉이 서로 마주보게 결합 고정되는 각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차선분리대에 충돌에 대하여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체결 부위의 강도가 보강된 보강 브래킷으로서, 상기 보강 브래킷은 양측에 상기 각 결합축봉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홀더, 상기 각 홀더 사이에 일측 홀더와 타측 홀더가 연결플랜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플랜지의 반대 측 일측 홀더와 타측 홀더의 각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겹쳐진 후 상기 연결플랜지와 체결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각각의 결합플랜지를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홀더 하우징; 상기 연결플랜지의 외측면 및 외측에 위치하는 결합플랜지의 외측면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각각 결합돌기; 상기 결합돌기 사이의 연결플랜지와 각 결합플랜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 및 상기 결합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함께 체결 고정되는 고정 블록체;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블록체는 결합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각 결합돌기 및 연결플랜지와 각 결합플랜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각 결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블록;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블록 사이로 삽입된 후 고정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각각의 체결공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지지블록의 밑면과 하부 지지블록의 상면에 제1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블록 사이로 삽입되는 각 고정블록에 형성된 삽입부 상면과 밑면에 상기 제1 요철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요철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 블록체는 결합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각 결합돌기 및 연결플랜지와 각 결합플랜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각 결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블록 및 상기 체결블록이 맞닿는 면에 부싱이 삽입되는 각각의 장착홈이 형성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되게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결합공의 일측에서 삽입되어 타측으로 걸려질 수 있는 후크 부재, 상기 후크 부재가 삽입되는 반대 측에서 그 후크 부재를 벌려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쐐기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 부재는 결합공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헤드, 상기 헤드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는 길이를 가지면서 소정의 폭을 갖도록 상기 결합공으로 삽입되는 반대 측으로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대를 포함한다.
상기 각 결합플랜지의 상단과 하단에는 서로 포개져 겹쳐지는 각각의 보조 플랜지를 마련하되, 상기 각 보조 플랜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그 보조 플랜지가 서로 포개져 겹쳐져 가고정되는 각각의 고정돌기와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 플랜지가 형성되는 반대 측의 연결플랜지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 홀더의 상단과 하단이 연결되는 연결 보조플랜지부가 더 형성된다.
본 발명은 일면만이 개방되는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수직부재의 한 쌍의 지지축봉 상에 수평부재의 각 결합축봉이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그 결합축봉을 감쌈과 동시에 결합축봉 사이에서 높은 강도를 갖도록 체결 고정됨에 따라 차량 충돌에 따른 파손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에 대한 높은 대응력으로 인한 파손됨을 최소화함에 따라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체결 부위로의 더욱더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체결 부위에 더욱더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돌에 대한 파손됨을 극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정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정단면도 및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분리대(100)는 차량의 통행 방향에 따라 차도를 분리하거나 교통의 흐름을 공간적으로 분리 또는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에 설치되는 시설물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통상적인 차선분리대는 폴리우레탄, 고무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재질로 제작되어 차량의 충돌시 휘어졌다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기능도 가진다.
통상적인 차선분리대(100)는 하부가 하단에 마련된 고정 플랜지(111)에 의해 도로에 공지된 방식에 의해 고정되며 상부로 한 쌍의 지지축봉(112)이 형성되는 각각의 수직부재(110)와, 상기 지지축봉(112) 상에 복수의 수평대를 포함하여 양 끝단으로 형성된 각 결합축봉(122)이 서로 마주보게 공지된 방식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각 수평부재(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차선분리대와 관련된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선행기술문헌 1에 기재된 것이므로 동일한 기술적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일면만이 개방되는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수직부재의 한 쌍의 지지축봉 상에 수평부재의 각 결합축봉이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그 결합축봉을 감쌈과 동시에 결합축봉 사이에서 높은 강도를 갖도록 체결 고정됨에 따라 차량 충돌에 따른 파손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체결 부위에 강도가 보강된 보강 브래킷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강 브래킷(1)은 양측에 상기 각 결합축봉(122)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홀더(12)와, 상기 각 홀더(12) 사이에 일측 홀더(12)와 타측 홀더(12)가 연결플랜지(14)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플랜지(14)의 반대 측 일측 홀더(12)와 타측 홀더(12)의 각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겹쳐진 후 상기 연결플랜지(14)와 체결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각각의 결합플랜지(16)를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공지된 성형방식에 의해 성형되는 홀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플랜지(14)의 외측면 및 외측에 위치하는 결합플랜지(16)의 외측면 상부와 하부에 통상적인 영문자 알파벳 티("T") 자 형태로 형성되는 각각 결합돌기(20)와; 상기 결합돌기(20) 사이의 연결플랜지(14)와 각 결합플랜지(16)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30); 및 상기 결합공(30)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돌기(20)와 함께 체결 고정되는 고정 블록체(40);를 포함한다.
고정 블록체(40)는 결합공(30)으로 삽입되어 상기 각 결합돌기(20) 및 연결플랜지(14)와 각 결합플랜지(16)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각 결합홈(42A)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블록(42);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블록(42) 사이로 삽입된 후 통상적인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고정부재(50)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각각의 체결공(44A)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블록(4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블록(42)의 밑면과 하부 지지블록(42)의 상면에 제1 요철부(42a)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블록(42) 사이로 삽입되는 각 고정블록(44)에 형성된 삽입부(44B) 상면과 밑면에 상기 제1 요철부(42a)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요철부(44a)를 더 포함함에 따라 지지블록 상으로 고정블록이 유동성 없이 안정적으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보강 브래킷은 먼저 수평부재의 각 결합축봉으로 각 홀더의 단부에 개방 가능하게 형성된 각 결합플랜지를 벌린 후 각 결합축봉을 감싸도록 끼운 다음 각 결합플랜지를 서로 겹쳐지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플랜지와 맞닿게 한다.
그런 다음 결합공으로 각 지지블록을 위치시켜 그 지지블록의 결합홈이 결합돌기와 연결플랜지 및 각 결합플랜지로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지지블록 사이로 고정블록을 삽입시켜 임시로 고정한다. 이때, 지지블록 사이로 삽입되는 고정블록은 서로 대응되게 지지블록 상에 형성된 제1 요철부와 고정블록 상에 형성된 제2 요철부에 의해 유동성 없이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지지 된다.
그리고 나서 고정블록에 형성된 체결공으로 고정부재인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 고정함으로써, 일련의 체결 고정작업이 완료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 중의 하나로 상기 각 결합플랜지와 연결플랜지가 겹쳐지는 체결 부위는 비교적 충돌에 대하여 취약한, 즉 얇은 두께를 가지는 각 결합플랜지와 연결플랜지가 겹쳐진 상태이므로 충돌에 대하여 취약할 수 있으나, 지지블록과 고정블록에 의하여 충돌에 대한 높은 대응력을 가지게 된다.
특히, 지지블록은 결합돌기 및 연결플랜지와 각 결합플랜지로 삽입 지지 된 후 고정블록에 의해 다시 한번 유동성 없이 긴밀하게 밀착되게 고정됨으로써, 충돌에 대하여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그로 인해 보강 브래킷의 체결 부위를 유동성 없이 긴밀하게 체결 고정되는 지지블록과 고정블록에 의해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돌에 대하여 높은 대응력을 가져 파손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보강 브래킷은 공지된 성형방식에 의해 분할된 형태가 아닌 하나의 단품인 일면만이 개방되는 일체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차량 등의 충돌에 대하여 높은 대응력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즉 서로 이어지거나 연결되는 부분을 최소화함에 따라 충돌에 대한 높은 대응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일 예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인 선행기술문헌 5에서와같이 보강 브래킷이 두 개로 분할 형성됨에 따라 그 연결되는 부분은 충돌에 대하여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취약한 단점을 가질 수 있다. 즉,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맞닿아 체결됨에 따라 충돌에 대하여 그 분리되어 연결된 부분은 충돌에 따른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쉽게 찢기거나 파손될 수 있는 취약한 조건을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강 브래킷의 홀더 하우징은 한 쌍의 홀더의 일면은 연결플랜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결합플랜지 또한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연결플랜지와 함께 지지블록 및 고정블록을 고정부재에 의해 긴밀하게 밀착되게 체결 고정됨으로써, 충돌에 대하여 높은 대응력을 가져 파손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보강 브래킷은 분리된 상태가 아니라 하나의 단품으로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분리되어 연결되는 부품에 비하여 충돌에 대하여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 블록체(40)는 상기한 기술적 구성 이외에 더욱더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을 참고하여 연결플랜지(14)와 각 결합플랜지(16)에 형성된 결합공(30)으로 삽입되어 상기 각 결합돌기(20) 및 연결플랜지(14)와 각 결합플랜지(16)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각 결합홈(42a)이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블록(40A) 및 상기 체결블록(40A)이 맞닿는 면에 부싱(B)이 삽입되는 각각의 장착홈(40A')이 형성되어 통상저인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고정부재(50)에 의해 체결 고정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고정 블록체는 전술한 고정 블록체에 비하여 더욱더 간단한 구조는 물론 부품수 또한 줄일 수 있어, 조립의 편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고정블록에 형성된 체결공으로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 고정시 고정력을 높이면서 더욱더 높은 고정력은 물론 충돌에 따라 보다 높은 대응력을 가질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제공한다.
즉, 결합공(30)과 고정부재(30)인 볼트 사이에는 통상적인 부싱(B)를 개재시킴으로써, 볼트와 너트의 체결 고정력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충돌에 대해서도 볼트와 너트만으로 체결 고정되는 것에 비하여 더욱더 높은 대응력을 가져 파손됨을 줄일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고정부재를 볼트와 너트로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더욱더 간단하고 긴밀하게 밀착 고정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한다.
고정부재(50)는 결합공(30)의 일측에서 삽입되어 타측으로 걸려질 수 있는 후크 부재(50A)와, 상기 후크 부재(50A)가 삽입되는 반대 측에서 그 후크 부재(50A)를 벌려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쐐기(50B)를 포함한다.
후크 부재(50A)는 통상적인 볼트 형태로, 상기 결합공(30)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헤드(52)와, 상기 헤드(52)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결합공(30)을 관통하는 길이를 가지면서 소정의 폭을 갖도록 상기 결합공(30)으로 삽입되는 반대 측으로 걸려지는 걸림턱(53)이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대(54)를 포함한다.
쐐기(50B)는 후크 부재(50A)의 한 쌍의 걸림대(54) 사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원활하게 벌려질 수 있도록 삽입되는 측에서 반대 측으로 점점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서로 겹쳐지는 각 결합플랜지와 연결플랜지를 체결 고정 시 후크 부재를 결합공의 일측에서 삽입한 후 반대 측에서 쐐기 부재를 삽입시킴에 따라 걸림대가 쐐기 부재에 의해 벌어짐과 동시에 그 걸림대에 형성된 걸림턱이 후크 부재가 삽입되는 반대 측에서 걸려 지지됨에 따라 간단하고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그로 인해 고정부재를 체결 고정하기 위한 작업이 나사결합방식에 비해 단시간 내에 더욱더 간단하고 편리하면서 긴밀하게 체결 고정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체결 부위의 강도를 더욱더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 고정체 블록을 고정하기 전에 홀더 하우징의 연결플랜지와 각 결합블랜지를 임시로 가고정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도 제공한다.
각 결합플랜지(16, 도 1참고)의 상단과 하단에는 서로 포개져 겹쳐지는 각각의 보조 플랜지(16A)를 마련하되, 상기 각 보조 플랜지(16A)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그 보조 플랜지(16A)가 서로 포개져 겹쳐져 가고정되는 각각의 고정돌기(16a)와 고정홈(16b)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각 홀더를 결합축봉의 외측면을 감싼 후에 상기 각 결합플랜지에 형성된 각 보조 플랜지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고정홈이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각 결합플랜지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에 의해 가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로 인해 각 결합플랜지와 연결플랜지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고정체 블록을 체결 고정하기 전에 각 보조 플랜지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고정홈에 의해 각 결합플랜지가 가고정 됨에 따라 고정체 블록과 고정부재의 체결 고정작업이 더욱더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보조 플랜지(16A)가 형성되는 반대 측의 연결플랜지(14, 도 1 참고)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 홀더(12)의 상단과 하단이 연결되는 연결 보조플랜지부(14A)가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플랜지와 연결 보조플랜지부는 각 홀더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보강 역할도 겸함으로써, 이는 충돌에 대하여 더욱더 높은 대응력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짐에 따라 충돌에 대한 파손됨을 극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1 : 보강 브래킷
10 : 홀더 하우징 12 : 홀더
14 : 연결플랜지 14A : 연결 보조플랜지부
16 : 결합플랜지 16A : 보조 플랜지
16a : 고정돌기 16b : 고정홈
20 : 결합돌기 30 : 결합공
40 : 고정 블록체 40A : 체결블록
40A' : 장착홈 42 : 지지블록
42A : 결합홈 42a : 제1 요철부
44 : 고정블록 44A : 체결공
44B : 삽입부 44a : 제2 요철부
50 : 고정부재
100 : 차선분리대
110 : 수직부재 111 : 고정 플랜지
112 : 지지축봉 120 : 수평부재
122 : 결합축봉

Claims (8)

  1. 하부가 도로에 고정되며 상부로 한 쌍의 지지축봉이 형성되는 각각의 수직부재와, 상기 지지축봉 상에 양 끝단으로 형성된 각 결합축봉이 서로 마주보게 결합 고정되는 각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차선분리대에 충돌에 대하여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체결 부위의 강도가 보강된 보강 브래킷으로서,
    상기 보강 브래킷은 양측에 상기 각 결합축봉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홀더, 상기 각 홀더 사이에 일측 홀더와 타측 홀더가 연결플랜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플랜지의 반대 측 일측 홀더와 타측 홀더의 각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겹쳐진 후 상기 연결플랜지와 체결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각각의 결합플랜지를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홀더 하우징;
    상기 연결플랜지의 외측면 및 외측에 위치하는 결합플랜지의 외측면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각각 결합돌기;
    상기 결합돌기 사이의 연결플랜지와 각 결합플랜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 및
    상기 결합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함께 체결 고정되는 고정 블록체;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블록체는 결합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각 결합돌기 및 연결플랜지와 각 결합플랜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각 결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블록;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블록 사이로 삽입된 후 고정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각각의 체결공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체결 부위의 강도가 보강된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블록의 밑면과 하부 지지블록의 상면에 제1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블록 사이로 삽입되는 각 고정블록에 형성된 삽입부 상면과 밑면에 상기 제1 요철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체결 부위의 강도가 보강된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체는 결합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각 결합돌기 및 연결플랜지와 각 결합플랜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각 결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블록 및 상기 체결블록이 맞닿는 면에 부싱이 삽입되는 각각의 장착홈이 형성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되게 구성되는 체결 부위의 강도가 보강된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결합공의 일측에서 삽입되어 타측으로 걸려질 수 있는 후크 부재, 상기 후크 부재가 삽입되는 반대 측에서 그 후크 부재를 벌려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쐐기를 포함하는 체결 부위의 강도가 보강된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부재는 결합공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헤드, 상기 헤드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는 길이를 가지면서 소정의 폭을 갖도록 상기 결합공으로 삽입되는 반대 측으로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대를 포함하는 체결 부위의 강도가 보강된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7.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결합플랜지의 상단과 하단에는 서로 포개져 겹쳐지는 각각의 보조 플랜지를 마련하되, 상기 각 보조 플랜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그 보조 플랜지가 서로 포개져 겹쳐져 가고정되는 각각의 고정돌기와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체결 부위의 강도가 보강된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플랜지가 형성되는 반대 측의 연결플랜지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 홀더의 상단과 하단이 연결되는 연결 보조플랜지부가 더 형성되는 체결 부위의 강도가 보강된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KR1020170067153A 2017-05-30 2017-05-30 체결 부위의 강도가 보강된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KR101784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153A KR101784464B1 (ko) 2017-05-30 2017-05-30 체결 부위의 강도가 보강된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153A KR101784464B1 (ko) 2017-05-30 2017-05-30 체결 부위의 강도가 보강된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464B1 true KR101784464B1 (ko) 2017-10-10

Family

ID=6019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153A KR101784464B1 (ko) 2017-05-30 2017-05-30 체결 부위의 강도가 보강된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4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706B1 (ko) * 2010-08-31 2011-02-22 주식회사 이도산업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KR101717485B1 (ko) * 2016-09-09 2017-03-17 주식회사 이도산업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706B1 (ko) * 2010-08-31 2011-02-22 주식회사 이도산업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KR101717485B1 (ko) * 2016-09-09 2017-03-17 주식회사 이도산업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3118B1 (ko) 차선분리대의 지주와 횡대의 체결 보강장치
CN208364965U (zh) 用于管路的保持元件
KR101717485B1 (ko)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KR101787014B1 (ko) 차선 분리대
KR101816697B1 (ko)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KR101253076B1 (ko) 가드빔이 결합된 보강가드레일 및 보강가드레일 시공방법
KR101784464B1 (ko) 체결 부위의 강도가 보강된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KR100957513B1 (ko) 볼라드 및 볼라드의 제조금형
CN100392279C (zh) 一种发动机悬置软垫总成
EP3800091B1 (en) Number plate holder
JP2002097607A (ja) 緩衝用チェーン及び桁落下防止装置
KR101886351B1 (ko)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KR101989423B1 (ko) 플라스틱 사출 일체화 성형구조를 갖는 카울크로스맴버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KR20170061324A (ko)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KR20170011466A (ko) 지주용 완충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완충 장치
CN205097931U (zh) 一种筒式***固定装置
KR20120056474A (ko) 완충형 가이드레일
KR101989421B1 (ko) 플라스틱 사출 일체화 성형구조를 갖는 카울크로스맴버
KR100398437B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지지용 브라켓 장착구조
KR101990468B1 (ko) 플라스틱 사출 일체화 성형구조를 갖는 카울크로스맴버
KR101990466B1 (ko) 플라스틱 사출 일체화 성형구조를 갖는 카울크로스맴버
KR200175505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안전방호대
KR102447431B1 (ko) 탄성 기둥의 교체형 하부 고정구조
KR101782562B1 (ko) 차선분리대의 연결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