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851B1 -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의 접기 방법 - Google Patents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의 접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851B1
KR101659851B1 KR1020157023366A KR20157023366A KR101659851B1 KR 101659851 B1 KR101659851 B1 KR 101659851B1 KR 1020157023366 A KR1020157023366 A KR 1020157023366A KR 20157023366 A KR20157023366 A KR 20157023366A KR 101659851 B1 KR101659851 B1 KR 101659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folding
expansion
vehicl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015A (ko
Inventor
고지 가와무라
다이조 스에미츠
아츠시 가시오
미츠히로 하마다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50112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1Belt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B60R16/0233Vehicle tilting, overturning or roll 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팽창용 가스의 유입시, 수납 부위(SP)로부터 하방으로 전개하면서, 차내측 벽부(22a)와 차외측 벽부(22b)를 떼어놓도록 팽창하는 에어백(20)을 구비한다. 에어백은, 창문(W1)의 차내측(I)을 덮는 앞쪽 팽창 차폐부(27)를 구비한다. 앞쪽 팽창 차폐부는, 주팽창부의 전측에 배치되어, 주팽창부에 늦게 팽창하는 부팽창부(29)를 구비한다. 부팽창부는, 팽창 완료시의 하단(29b)에, 벨트 라인(BL)의 하방의 차체측 부재(DT)에 지지되는 지지 팽창부(30)를 구비한다. 에어백은,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의 하부 가장자리(20b)측을 상부 가장자리(20a)측에 접근시키는 상하 치수 축소 접기의 전에, 부팽창부의 앞쪽 아래 모퉁이부(31)를, 에어백의 앞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가장자리(20b)를 향하는 비스듬히 뒤쪽 아래 방향의 접힘금(70)을 내는 안쪽 접기를 하여 수납 부위에 수납된다.

Description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의 접기 방법{HEAD-PROTECTING AIRBAG DEVICE AND METHOD OF FOLDING AIRBAG THEREOF}
본 발명은, 차내측의 창문의 상부 가장자리측에 접혀서 수납되어, 팽창용 가스의 유입시에, 창문을 덮도록 전개 팽창하는 에어백을 구비하고, 팽창한 에어백이, 차량의 롤오버시에 탑승자의 차외 방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탑승자를 막아내어 차내측에 구속하는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와 그 에어백의 접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차량의 롤오버시에 탑승자를 차내측에 구속 가능한 에어백을 구비한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에서는, 에어백이 주팽창부와, 주팽창부의 팽창 완료 후에 팽창을 완료시키도록 주팽창부에 연통하는 부팽창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었다. 부팽창부는, 팽창 완료시의 하단(下端)에, 창문의 벨트 라인의 하방에 있어서의 차체측 부재의 차내측에 지지되는 지지 팽창부를 구비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에서는, 지지 팽창부가 벨트 라인 하방의 차체측 부재에 지지되어, 에어백이 차외측으로 이동하기 어려워, 차량의 롤오버시, 탑승자를 차내측에 구속하기 쉽다.
또한, 다른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에서는, 에어백의 부팽창부의 하단측이, 에어백의 차내측 벽부의 차내측으로 접혀, 그 후, 에어백의 전체가 롤 접기 등 되어, 창문의 상부 가장자리측의 수납 부위에 수납되는 것도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2-201312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7-161167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에서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에도 에어백을 팽창시킨다. 그러나 그때, 벨트 라인 하방의 차체측 부재가 차내측에 밀려들어가면, 에어백의 부팽창부의 하단측이 차체측 부재의 상부 가장자리에 놓여 차내측에 배치되지 않고, 에어백이 구부러지는 사태를 초래하여, 창문을 원활히 덮을 수 없게 되어버린다.
한편, 특허문헌 2의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에서는, 에어백의 접기 당초, 부팽창부가 차내측 벽부의 측으로 되접어져 있기 때문에, 차량의 측면 충돌시에 따라 차체측 부재가 차내측으로 밀려들어가도, 부팽창부가, 전개 팽창시에 차체측 부재의 차내측에 포개지도록 전개하여 팽창하기 때문에, 차체측 부재의 상부 가장자리에 놓여 에어백이 구부러진다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에어백에서는, 접기 당초, 부팽창부의 하부 가장자리 전체가, 차내측 벽부의 측으로 되접어져 있어, 롤오버 대응시보다 탑승자를 막아내는 타이밍을 빨리 하는 측면 충돌 대응시에, 탑승자 두부가 창문에 접근하여 있으면, 전개 팽창시의 부팽창부 부근이 탑승자 두부와 창문의 사이에 진입하기 어려워져, 에어백에 있어서의 탑승자 두부와 창문의 사이에 진입하는 끼어들기 성능을 악화시켜버린다.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롤오버시의 에어백의 양호한 탑승자 구속 성능과 에어백의 양호한 끼어들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의 접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이, 인플레이터로부터의 팽창용 가스의 유입시, 차량의 앞좌석 측방의 창문의 상부 가장자리측의 수납 부위로부터 하방으로 전개하면서, 차내측 벽부와 차외측 벽부를 떼어놓도록 팽창하여, 상기 창문의 차내측을 덮는 앞쪽 팽창 차폐부를 구비하고,
당해 앞쪽 팽창 차폐부가, 주팽창부와, 당해 주팽창부의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주팽창부의 팽창 완료 후에 팽창을 완료시키도록 상기 주팽창부와 연통하는 부팽창부를 구비하며,
상기 부팽창부가, 팽창 완료시의 하단에, 상기 창문의 벨트 라인의 하방에 있어서의 차체측 부재의 차내측에 지지되는 지지 팽창부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이,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의 하부 가장자리측을 상부 가장자리측에 접근시키는 상하 치수 축소 접기에 의해 접혀, 상기 수납 부위에 수납되는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로서,
상기 에어백이, 상기 상하 치수 축소 접기의 전에,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의 상기 부팽창부의 앞쪽 아래 모퉁이부를, 상기 에어백의 앞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가장자리에 걸치는 비스듬히 뒤쪽 아래 방향을 따르는 접힘금을 내어, 상기 차내측 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벨트 라인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상방의 차내측에 배치시키는 안쪽 접기를 행하여, 상기 수납 부위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에서는, 에어백이 팽창용 가스를 유입시키면, 접기 순서와 반대의 양태로 접기를 해소하면서, 에어백은 수납 부위로부터 전개 팽창한다. 그리고, 에어백의 앞쪽 팽창 차폐부에서는, 접기의 해소의 최종 단계에서, 안쪽 접기한 부팽창부의 앞쪽 아래 모퉁이부가, 창문의 벨트 라인의 하방의 차체측 부재의 차내측에 포개지도록 전개하면서 팽창한다. 그 때문에, 차체측 부재가 차내측에 밀려들어가 있어도, 원활히, 부팽창부는, 하단의 지지 팽창부를 포함하여, 벨트 라인 하방의 차체측 부재의 차내측에 전개하고, 그리고, 두께를 늘리도록 팽창할 수 있어, 에어백의 앞쪽 팽창 차폐부는 차외측으로 이동하기 어렵고, 차량의 롤오버시, 탑승자를 차내측에 적확하게 구속할 수 있어, 소정의 탑승자 구속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 두부가 창문에 접근하여 있어도, 에어백의 접기 당초에 차내측으로 되접어지는 부위가, 앞쪽 팽창 차폐부의 주팽창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부팽창부의 앞쪽 아래 모퉁이부이고, 바꿔 말하면, 차량의 측면 충돌시에 팽창하는 주팽창부의 전방측의 앞 가장자리측이다. 그 때문에, 측면 충돌 대응시의 팽창 당초에, 탑승자 두부가 창문에 접근하여 있어도, 되접은 부팽창부의 앞쪽 아래 모퉁이부 부근은 탑승자 두부와 접촉하기 어렵고, 접촉하였다고 해도 되접은 후부측의 작은 삼각 부위로서, 그 삼각 부위는, 탑승자 두부와 창문의 사이에 용이하게 진입한다. 그 결과, 에어백은 앞쪽 팽창 차폐부의 하부 가장자리까지의 전역을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양호한 끼어들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련된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에서는, 차량의 롤오버시의 에어백의 양호한 탑승자 구속 성능과 에어백의 양호한 끼어들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에서, 상기 상하 치수 축소 접기가, 상기 에어백의 하부 가장자리측을 상기 차외측 벽부의 측으로 감는 바깥쪽 롤 접기를 주체로 하여, 상기 에어백을 접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하 치수 축소 접기에 의해 에어백이 접혀 있으면, 전개 팽창시에 있어서의 상하 치수 축소 접기의 해소시, 에어백은 창문을 따라 전개하기 쉬워, 안정된 끼어들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에서는, 상기 에어백이, 상부 가장자리측에, 상기 창문의 상부 가장자리측의 차체측에 장착하는 복수의 장착부를 구비함과 함께,
전단(前端)의 상기 장착부가, 상기 에어백의 앞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으면,
상기 안쪽 접기의 접힘금은,
상단(上端)을 상기 에어백의 전단의 상기 장착부의 바로 아래 부근에 배치하고, 하단을 상기 부팽창부의 하단의 뒤쪽 아래 모퉁이부를 넘은 후방측에 배치시켜,
전단의 상기 장착부의 바로 아래로부터 상기 뒤쪽 아래 모퉁이부를 지나는 직선으로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안쪽 접기로 하여, 주팽창부를 접지 않고 부팽창부의 영역 내에서의 안쪽 접기한 부위의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측면 충돌시의 차체측 부재의 차내측으로의 이동량이 크더라도 용이하게 대처하여, 부팽창부가 지지 팽창부를 차체측 부재의 차내측에 배치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관련된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에서는, 상기 에어백의 안쪽 접기의 접힘금은, 상기 에어백의 앞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가장자리를 향해, 비스듬히 뒤쪽 아래 방향의 45°의 경사 각도로 하여, 하단을 부팽창부의 전후 방향의 중간 부근에 배치시키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에서는, 상기 상하 치수 축소 접기에 있어서의 바깥쪽 롤 접기의 전에, 상기 안쪽 접기 후의 상기 에어백의 하부 가장자리측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접힘금을 내어 차외측으로 바깥쪽 접기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바깥쪽 롤 접기하는 접기 지그(구체적으로는, 바깥쪽 접기한 접힘금 부근의 전역을 흡인하여 감는 접기 지그)를 그 접힘금의 직선에 맞추어 원활히 배치할 수 있어, 바깥쪽 롤 접기가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에서는, 상기 에어백이,
상기 앞쪽 팽창 차폐부의 차량 후방측에 뒤쪽 팽창 차폐부를 구비함과 함께,
팽창 완료시의 전후 방향의 중앙 부근의 상부 가장자리측에, 상기 앞쪽 팽창 차폐부와 상기 뒤쪽 팽창 차폐부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상기 연통부의 상하 방향의 상측 절반의 영역을,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접힘금을 낸 벨로즈(bellows) 접기하여,
상기 수납 부위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에어백에 팽창용 가스가 공급되어 연통부가 접기를 해소할 때, 벨로즈 접기의 접기의 해소가, 바깥쪽 롤 접기보다 재빠르게 행하여지는 점으로부터, 앞쪽 팽창 차폐부와 뒤쪽 팽창 차폐부가 신속하게 연통하여 팽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에어백의 접기 방법에서는, 에어백이,
인플레이터로부터의 팽창용 가스의 유입시, 차량의 앞좌석과 뒷좌석의 측방의 창문의 상부 가장자리측의 수납 부위로부터 하방으로 전개하면서, 차내측 벽부와 차외측 벽부를 떼어놓도록 팽창하여, 상기 앞좌석과 상기 뒷좌석의 측방의 상기 창문의 차내측을 덮는 앞쪽 팽창 차폐부 및 뒤쪽 팽창 차폐부와,
상기 에어백의 팽창 완료시의 전후 방향의 중앙 부근의 상부 가장자리측에 배치되어, 상기 앞쪽 팽창 차폐부와 상기 뒤쪽 팽창 차폐부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앞쪽 팽창 차폐부가, 주팽창부와, 당해 주팽창부의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주팽창부의 팽창 완료 후에 팽창을 완료시키도록 상기 주팽창부와 연통하는 부팽창부를 구비하며,
상기 부팽창부가, 팽창 완료시의 하단에, 상기 창문의 벨트 라인의 하방에 있어서의 차체측 부재의 차내측에 지지되는 지지 팽창부를 구비하여,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에 사용되는 구성으로 하여,
상기 수납 부위에 수납 가능하게 접는 에어백의 접기 방법으로서,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의 하부 가장자리측을 상부 가장자리측에 접근시키는 상하 치수 축소 접기 공정과,
당해 상하 치수 축소 접기 공정의 전에,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의 상기 부팽창부의 앞쪽 아래 모퉁이부를, 상기 에어백의 앞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가장자리에 걸치는 비스듬히 뒤쪽 아래 방향을 따르는 접힘금을 내어, 상기 차내측 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벨트 라인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상방의 차내측에 배치시키는 안쪽 접기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접기 방법에서는, 접혀서 수납 부위에 수납된 에어백이 팽창용 가스를 유입시키면, 접기 순서와 반대의 양태로 접기를 해소하면서, 에어백은 수납 부위로부터 전개 팽창한다. 그리고, 에어백의 앞쪽 팽창 차폐부에서는, 접기의 해소의 최종 단계에서, 안쪽 접기한 부팽창부의 앞쪽 아래 모퉁이부가, 창문의 벨트 라인의 하방의 차체측 부재의 차내측에 포개지도록 전개하면서 팽창한다. 그 때문에, 차체측 부재가 차내측에 밀려들어가 있어도, 원활히, 부팽창부는, 하단의 지지 팽창부를 포함하여, 벨트 라인 하방의 차체측 부재의 차내측에 전개하고, 그리고, 두께를 늘리도록 팽창할 수 있어, 에어백의 앞쪽 팽창 차폐부는 차외측으로 이동하기 어렵고, 차량의 롤오버시, 탑승자를 차내측에 적확하게 구속할 수 있어, 소정의 탑승자 구속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 두부가 창문에 접근하여 있어도, 에어백의 접기 당초에 차내측으로 되접어지는 부위가, 앞쪽 팽창 차폐부의 주팽창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부팽창부의 앞쪽 아래 모퉁이부이고, 바꿔 말하면, 차량의 측면 충돌시에 팽창하는 주팽창부의 전방측의 앞 가장자리측이다. 그 때문에, 측면 충돌 대응시의 팽창 당초에, 탑승자 두부가 창문에 접근하여 있어도, 되접은 부팽창부의 앞쪽 아래 모퉁이부 부근은 탑승자 두부와 접촉하기 어렵고, 접촉하였다고 해도 되접은 후부측의 작은 삼각 부위로서, 그 삼각 부위는 탑승자 두부와 창문의 사이에 용이하게 진입한다. 그 결과, 에어백은 앞쪽 팽창 차폐부의 하부 가장자리까지의 전역을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양호한 끼어들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련된 에어백의 접기 방법에서는, 차량의 롤오버시의 에어백의 양호한 탑승자 구속 성능과 에어백의 양호한 끼어들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에어백을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에어백의 접기 방법에서는, 상기 상하 치수 축소 접기 공정이, 상기 에어백의 하부 가장자리측을 상기 차외측 벽부의 측으로 감는 바깥쪽 롤 접기 공정을 주체로 하여, 상기 에어백을 접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하 치수 축소 접기 공정에 의해 에어백이 접혀 있으면, 전개 팽창시에 있어서의 상하 치수 축소 접기의 해소시, 에어백은 창문을 따라 전개하기 쉬워, 안정된 끼어들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에어백의 접기 방법에서는, 상기 바깥쪽 롤 접기 공정이, 상기 에어백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연통부의 상하 방향의 폭치수의 중앙 부근까지의 영역을 바깥쪽 롤 접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에어백의 전역, 즉, 에어백의 상부 가장자리측의 연통부의 상하 방향의 중앙 부근으로부터 하방의 전역이 바깥쪽 롤 접기되는 점으로부터, 한층 더 창문을 따라 전개하기 쉬워, 안정된 끼어들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에어백의 접기 방법에서는, 상기 상하 치수 축소 접기 공정은, 상기 바깥쪽 롤 접기 공정의 전에, 상기 안쪽 접기 공정 후의 상기 에어백의 하부 가장자리측을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접힘금을 내어 차외측으로 바깥쪽 접기하는 하부 가장자리 바깥쪽 접기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바깥쪽 롤 접기하는 접기 지그(구체적으로는, 바깥쪽 접기한 접힘금 부근의 전역을 흡인하여 감는 접기 지그)를 그 접힘금의 직선에 맞추어 원활히 배치할 수 있어, 바깥쪽 롤 접기 공정이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에어백의 접기 방법에서는, 상기 상하 치수 축소 접기 공정이, 상기 연통부의 상하 방향의 상측 절반의 영역을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접힘금을 낸 벨로즈 접기하는 벨로즈 접기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에어백에 팽창용 가스가 공급되면, 연통부가 접기를 해소할 때, 벨로즈 접기의 접기의 해소가 바깥쪽 롤 접기보다 재빠르게 행하여지는 점으로부터, 앞쪽 팽창 차폐부와 뒤쪽 팽창 차폐부가 신속하게 연통하여 팽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 1 실시형태의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의 탑재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의 차내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에 사용하는 에어백을 평평하게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의 에어백의 접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안쪽 접기의 공정을 나타낸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에어백의 접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상하 치수 축소 접기의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의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의 작동시를 설명하는 개략 종단면도이며, 작동 초기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의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의 작동시를 설명하는 개략 종단면도이며, 도 5의 나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의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의 작동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차내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실시형태의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S)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백(20), 에어백(20)에 팽창용 가스를 유입시키는 인플레이터(16), 에어백 커버(11), 브래킷(13, 17) 및 볼트(14, 18)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에어백(20)은, 차량(V)의 차내측에 있어서의 앞좌석이나 뒷좌석의 측방에서 전후에 병설되는 창문(사이드 윈도)(W1, W2)의 상부 가장자리(WU)측을 수납 부위(SP)로 하여, 프런트 필러부(FP)의 하부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중간 필러부(CP)의 상방을 거쳐, 리어 필러부(RP)의 상방까지의 범위에, 접혀서 수납되어 있다.
인플레이터(16)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기둥 형상의 실린더 타입으로서, 에어백(20)에 있어서의 팽창용 가스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부(24)에 삽입되고, 에어백(20)과 연결되어 있다. 이 인플레이터(16)는, 브래킷(17)에 의해 유지되고, 브래킷(17)이 볼트(18) 고정됨으로써, 중간 필러부(CP)의 상방 부근에 있어서의 루프 사이드 레일부(RR)의 이너패널(2)에 대해, 루프 헤드 라이닝(5)의 하부 가장자리(5a)에 덮여, 장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너패널(2)은 차량(V)의 바디(차체)(1)측의 부재이다.
또한, 인플레이터(16)는, 차량(V)의 롤오버나 측면 충돌(side impact)을 검지한 소정의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고, 그 출력은, 에어백(20)의 용량에 대응하며, 에어백(20)의 후술하는 보호 팽창부(26)가 차량(V)의 측면 충돌시부터 롤오버시에 걸쳐 소정의 내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각 브래킷(13)은, 볼트(14)에 의해 에어백(20)의 후술하는 장착부(54)를 이너패널(2)에 장착 고정하고 있다. 또한, 각 볼트(14)는 이너패널(2)에 너트 등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나사 구멍에 체결된다.
에어백 커버(1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런트 필러부(FP)에 배치되는 프런트 필러 가니쉬(4)의 하부 가장자리(4a)측과, 루프 사이드 레일부(RR)에 배치되는 루프 헤드 라이닝(5)의 하부 가장자리(5a)측으로 이루어지고, 수납 부위(SP)에 접혀서 수납되어 있는 에어백(20)의 차내측(I)을 덮고 있다. 에어백(20)의 수납 부위(SP)는 프런트 필러부(FP)와 루프 사이드 레일부(RR)의 이너패널(2)에 설치되어 있다.
에어백(20)은 접기 가능한 가요성을 가지고 있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에어백용 기포(base cloth)(80)로 이루어지는 차내측 벽부(22a)와 차외측 벽부(22b)를 봉제하여 형성한 봉제 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에어백(20)의 차내측 벽부(22a)와 차외측 벽부(22b)를 봉제한 결합부(51)에는 기밀성을 양호하게 하도록 시일재가 도포되어 있다.
에어백(20)은, 도 1,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16)로부터의 팽창용 가스를 유입시켜, 접기 상태로부터 전개하여, 창문(W1, W2), 중간 필러부(CP) 및 리어 필러부(RP)의 차내측(I)을 덮도록 전개 팽창한다. 또한, 에어백(20)은 팽창 완료시, 하부 가장자리(20b)를 창문(W1, W2)의 차내측에 있어서의 하부 가장자리측의 벨트 라인(BL)의 차체측 부재(도면 예에서는 도어 트림)(DT)에 지지된다.
또한, 에어백(20)은 도 2,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창용 가스(G)를 유입시켜 차내측 벽부(22a)와 차외측 벽부(22b)를 떼어놓도록 팽창하는 가스 유입부(22)와, 차내측 벽부(22a)와 차외측 벽부(22b)를 결합시킨 것 같은 상태로 하여 팽창용 가스(G)를 유입시키지 않는 비유입부(5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비유입부(50)는 결합부(51), 결합부(51)의 주위의 주연부(周緣部)(52), 및 주연부(52)의 상부 가장자리(52a)측의 장착부(54)로 이루어진다. 주연부(52)는 가스 유입부(2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54)는, 에어백(20)의 상부 가장자리(20a)측에 있어서의 주연부(52)의 상부 가장자리(52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복수(실시형태에서는 6개) 형성되어 있다. 각 장착부(54)에는 볼트(14)를 삽통(揷通)시키는 장착 구멍(54a)이 형성되어 있다. 각 장착부(54)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1)측의 이너패널(2)에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13)이 고착되고, 그리고, 각 장착 구멍(54a)을 삽통하는 볼트(14)가 이너패널(2)의 각 나사 구멍에 체결됨으로써, 각 장착부(54)가 이너패널(2)에 고정된다. 전단의 장착부(54F)는 에어백(20)의 앞 가장자리(20c)의 주연부(52)에 대해, 폴리아미드 등의 직포로 형성된 별체의 직물재를 봉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장착부(54F)는 프런트 필러부(FP)의 하부 부근에 고정되어, 에어백(20)의 팽창 완료시, 에어백(20)의 하부 가장자리(20b)측, 구체적으로는, 장착부(54F)와 프런트 필러부(FP)로부터 떨어진 최후단의 장착부(54(54B))를 연결하는 라인 상에, 강한 장력을 발휘시켜, 에어백(20)에 있어서의 탑승자(M)의 실내측으로의 구속성을 양호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7 참조).
결합부(51)는, 가스 유입부(22)의 주위를 구획함과 함께, 가스 유입부(22) 내를 구획하거나, 또한, 두께를 규제하도록 가스 유입부(22)의 영역에 진입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다양한 구획부(55, 59, 62, 64), 두께 규제부(58, 60, 63)를 구비하고 있다.
중앙 구획부(55)는, 보호 팽창부(26)의 후술하는 전후의 앞쪽 팽창 차폐부(27)와 뒤쪽 팽창 차폐부(35)를 구획하는 것이고, 대략 T자 형상의 가로 구획부(56)와 세로 구획부(5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가로 구획부(56)와 주연부(52)의 상부 가장자리(52a)의 사이는, 전후의 앞쪽 팽창 차폐부(27)와 뒤쪽 팽창 차폐부(35)를 연통시키는 연통부(33)로 하고 있다. 또, 세로 구획부(57)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앞쪽 돌출부(57a)를 구비하고 있다.
전측 구획부(59)는, 앞쪽 팽창 차폐부(27)의 후술하는 주팽창부(28)와 부팽창부(29)를 구획하도록, 앞쪽 팽창 차폐부(27)의 하부 가장자리(20b)측의 결합부(5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후측 구획부(62)는, 뒤쪽 팽창 차폐부(35)의 후술하는 주팽창부(36)와 부팽창부(37)를 구획하도록, 에어백(20)의 뒤 가장자리(20d)측의 결합부(5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분할 구획부(64)는, 뒤쪽 팽창 차폐부(35)의 부팽창부(37)를 전후로 분할하도록, 에어백(20)의 하부 가장자리(20b)측의 결합부(5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아래쪽 두께 규제부(58)와 앞쪽 두께 규제부(60)는 앞쪽 팽창 차폐부(27)의 두께를 규제하는 것이고, 아래쪽 두께 규제부(58)가, 앞쪽 팽창 차폐부(27)의 하부 가장자리(20b)측의 결합부(5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앞쪽 두께 규제부(60)가, 앞쪽 팽창 차폐부(27)의 영역 내에서, 주연부(52)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경우, 앞쪽 두께 규제부(60)는 연통부(33)의 전단(33a)으로부터 전방에 흐르는 팽창용 가스(G)가, 후술하는 입구(29a)를 거쳐 즉시 부팽창부(29)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입구(29a)와 연통부(33)의 전단(33a)의 사이에 있어서의 입구(29a)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뒤쪽 두께 규제부(63)는 뒤쪽 팽창 차폐부(35)의 두께를 규제하는 것이고, 뒤쪽 팽창 차폐부(35)의 영역 내에서, 주연부(52)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가스 유입부(22)는 인플레이터(16)와 접속되는 유입구부(24), 연통부(33) 및 보호 팽창부(2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유입구부(24) 내에는 내열성을 높이기 위하여 이너튜브(68)가 배치되어 있다.
연통부(33)는 유입구부(24)의 하부와 연통하여, 에어백(20)의 팽창 완료시의 전후 방향의 중앙 부근의 상부 가장자리(20a)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호 팽창부(26)는, 가스 유입부(22)의 유입구부(24)와 연통부(33) 부근을 제외한 부위로서, 앞쪽 팽창 차폐부(27)와 뒤쪽 팽창 차폐부(3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앞쪽 팽창 차폐부(27)와 뒤쪽 팽창 차폐부(35)는, 이미 서술한 중앙 구획부(55)에 의해 전후로 구획되고, 앞쪽 팽창 차폐부(27)는 팽창 완료시, 차량(V)의 앞좌석 측방의 창문(프런트 사이드 윈도)(W1)과 중간 필러부(CP)의 일부의 차내측을 덮고, 뒤쪽 팽창 차폐부(35)는 팽창 완료시, 뒷좌석 측방의 창문(리어 사이드 윈도)(W2)과 리어 필러부(RP)의 차내측을 덮는다(도 1, 7 참조).
또한, 앞쪽 팽창 차폐부(27)는 전측 구획부(59)로 구획되어, 전후에 병설되는 주팽창부(28)와 부팽창부(29)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주팽창부(28)는, 부팽창부(29)보다 팽창용 가스(G)의 상류측으로 하여, 측면 충돌시의 앞좌석의 탑승자(M)의 두부(H)를 보호 가능하게, 부팽창부(29)보다 먼저 팽창하도록, 연통부(33)의 전단(33a)과 연통하여, 부팽창부(29)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부팽창부(29)는, 차량(V)의 롤오버시에 대응하도록, 주팽창부(28)와 전후 방향에서 나란히 주팽창부(28)의 전방측에서 팽창한다.
실시형태의 부팽창부(29)는, 에어백(20)의 상부 가장자리(20a)로부터 하부 가장자리(20b)까지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세로 셀로서,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팽창한다. 또, 부팽창부(29)는, 전측 구획부(59)의 상단과 에어백(20)의 상부 가장자리(20a)측의 결합부(51)의 사이의 입구(29a)로부터 팽창용 가스(G)를 유입시키고, 하단(29b)은, 팽창 완료시에, 창문(W1)의 벨트 라인(BL)의 하방에 있어서의 차체측 부재(도어 트림)(DT)의 차내측(I)에 지지되는 지지 팽창부(30)로 하고 있다.
뒤쪽 팽창 차폐부(35)는, 후측 구획부(62)와 가로 구획부(56)의 후단(後端)(56a) 부근으로 구획되어, 전후에 병설되는 주팽창부(36)와 부팽창부(3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주팽창부(36)는, 부팽창부(37)보다 팽창용 가스(G)의 상류측으로 하여, 측면 충돌시의 뒷좌석의 탑승자(M)의 두부(H)를 보호 가능하게, 부팽창부(37)보다 먼저 팽창하도록, 연통부(33)의 후단(33b)과 연통하여, 부팽창부(37)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부팽창부(37)는, 차량(V)의 롤오버시에 대응하도록, 주팽창부(36)와 전후 방향에서 나란히 주팽창부(36)의 전방측에서 팽창한다. 또한, 부팽창부(37)는, 분할 구획부(64)에 의해 전후 2실의 전실(38)과 후실(39)로 분할되고, 후실(39)이, 하부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팽창 부위(39a)를 구비하여, 주팽창부(36)와 연통하고 있다.
부팽창부(37)는, 팽창 부위(39a)의 상부 가장자리측에 위치한 후측 구획부(62)의 전단과 가로 구획부(56)의 후단(56a)의 사이의 입구(37a)로부터 팽창용 가스(G)를 유입시키고, 팽창 완료시, 팽창 부위(39a)가, 창문(W2)의 벨트 라인(BL)의 하방에 있어서의 차체측 부재(도어 트림)(DT)의 차내측(I)에 지지되는 지지 팽창부(40)가 된다.
그리고, 인플레이터(16)가 작동하여 에어백(20) 내에 팽창용 가스(G)가 유입할 때, 유입구부(24)와 연통부(33)를 거쳐, 먼저 인플레이터(16)가 작동한 20∼30ms 후에, 1차 팽창부로서의 주팽창부(28, 36)가 팽창을 완료하게 한다. 이어서, 인플레이터(16)가 작동한 70∼80ms 후에, 주팽창부(28, 36)로부터의 팽창용 가스(G)를 입구(29a, 37a)로부터 유입시켜, 2차 팽창부로서의 부팽창부(29, 37)가 팽창을 완료하게 한다. 그 후, 에어백(20)은, 인플레이터(16)의 작동 후의 6s 정도까지 전체의 팽창 완료 상태를 유지하여 차량(V)의 롤오버에 대응하게 된다.
실시형태의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S)의 차량(V)에의 탑재는, 먼저 에어백(20)을 접는다. 에어백(20)의 접기 공정은 안쪽 접기 공정과 상하 방향 축소 접기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하 방향 축소 접기 공정은 하부 가장자리 바깥쪽 접기 공정, 바깥쪽 롤 접기 공정 및 벨로즈 접기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안쪽 접기 공정에서는, 도 3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평평하게 펼친 상태)의 부팽창부(29)의 앞쪽 아래 모퉁이부(31)측의 안쪽 접음부(72)를, 에어백(20)의 앞 가장자리(20c)로부터 하부 가장자리(20b)에 걸치는 비스듬히 뒤쪽 아래 방향을 따르는 접힘금(70)을 내어, 차내측 벽부(22a)의 측에 접어 포갠다. 이때, 부팽창부(29)의 앞쪽 아래 모퉁이부(31)는,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의 에어백(20)에 있어서의 벨트 라인(BL)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상방에 배치시키도록 안쪽 접기하고, 안쪽 접음부(72)를 부팽창부(29)의 상부측의 피(被)포개짐부(73)의 차내측(I)에 포갠다.
또한, 실시형태의 경우, 접힘금(70)은, 상단(70a)을 전단의 장착부(54F)의 바로 아래 부근에 배치하고, 하단(70b)을 부팽창부(29)의 하단(29b)의 뒤쪽 아래 모퉁이부(29bb)를 넘은 후방측에 배치시켜, 전단의 장착부(54F)의 바로 아래로부터 뒤쪽 아래 모퉁이부(29bb)를 지나는 직선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실시형태의 접힘금(70)은, 앞쪽 아래 모퉁이부(31)를 벨트 라인(BL)과 에어백(20)의 상부 가장자리(20a)의 중간 부근에 배치시키면서, 부팽창부(29)의 영역 내에서의 안쪽 접음부(72)의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하 치수 축소 접기 공정의 하부 가장자리 바깥쪽 접기 공정에서는, 도 3의 B 내지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백(20)의 하부 가장자리(20b)측의 하부 가장자리 바깥쪽 접음부(75)를,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접힘금(74)을 내어, 차외측(O)으로 바깥쪽 접기한다.
바깥쪽 롤 접기 공정에서는,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가장자리 바깥쪽 접기 공정 후의 에어백(20)의 하부 가장자리측, 즉, 하부 가장자리 바깥쪽 접음부(75)의 하부 가장자리(75a)를, 차외측 벽부(22b)의 측으로 감아 바깥쪽 롤 접기한다. 또한, 바깥쪽 롤 접기의 영역은, 하부 가장자리(75a)로부터 연통부(33)의 상하 방향의 폭치수의 중간 부근까지의 에어백(20)의 부위(76)이다.
벨로즈 접기 공정에서는,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통부(33)의 상측 절반의 영역에 있어서의 에어백(20)의 부위(78)를,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접힘금을 내어 접어 포개도록 벨로즈 접기한다. 또한, 연통부(33)가 벨로즈 접기되면, 팽창용 가스(G)를 유입시켜 접기를 해소할 때, 바깥쪽 롤 접기보다 신속하게 접기를 해소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접기를 해소한 연통부(33)에 의해 앞쪽 팽창 차폐부(27)와 뒤쪽 팽창 차폐부(35)를 재빠르게 연통시켜 신속하게 팽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백(20)의 접기가 완료하면, 파단 가능한 도시하지 않은 접기 붕괴 방지용의 래핑재에 의해 에어백(20)을 감고, 그리고,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17)을 장착한 인플레이터(16)를 에어백(20)의 유입구부(23)와 접속시키고, 또, 에어백(20)의 각 장착부(54)에 브래킷(13)을 장착하여 에어백 조립체를 형성한다.
그 후, 브래킷(13)을 맞붙인 각 장착부(54)를 바디(1)측의 이너패널(2)의 대응하는 수납 부위(SP)에 배치시키고, 각 장착 구멍(54a)에 삽통시키는 등 하여, 볼트(14)를 장착 구멍에 체결하고, 또한, 브래킷(17)을 볼트(18) 고정하고, 인플레이터(16)를 이너패널(2)에 고정하여, 에어백 조립체를 바디(1)에 장착한다.
이어서, 인플레이터(16)에, 소정의 인플레이터 작동용의 제어장치로부터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을 결선하여, 프런트 필러 가니쉬(4)나 루프 헤드 라이닝(5)을 바디(1)에 장착하고, 또한, 중간 필러 가니쉬(7)나 리어 필러 가니쉬(8)를 바디(1)에 장착하면,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S)를 차량(V)에 탑재할 수 있다.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S)의 차량(V)에의 탑재 후에 있어서의 차량(V)의 측면 충돌시 또는 롤오버시에, 인플레이터(16)가 작동하여 팽창용 가스(G)를 토출시키면, 팽창용 가스(G)가 도 2의 2점 쇄선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흐른다. 그 때문에, 에어백(20)은, 가스 유입부(22)의 연통부(33)나 보호 팽창부(26)를 부풀어 오르게 하고, 에어백 커버(11)를 밀어 열여, 창문(W1, W2)을 덮도록 상부 가장자리(WU)로부터 하방으로 전개 팽창한다.
그때, 에어백(20)이 팽창용 가스(G)를 유입시키면, 접기 공정의 반대의 양태로 접기를 해소하면서, 에어백(20)은 수납 부위(SP)로부터 전개 팽창한다. 즉, 에어백(20)은, 벨로즈 접기를 해소하여 바깥쪽 롤 접기를 해소하고, 또한, 하부 가장자리 바깥쪽 접기를 해소하게 된다.
이때, 에어백(20)의 앞쪽 팽창 차폐부(27)에서는, 도 5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로즈 접기를 해소하여 바깥쪽 롤 접기를 해소하고, 또한, 하부 가장자리 바깥쪽 접기를 해소하여, 접기의 해소의 최종 단계에서, 도 6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 접기한 부팽창부(29)의 안쪽 접음부(72)가, 창문(W1)의 벨트 라인(BL)의 하방의 차체측 부재(DT)의 차내측(I)에 포개지도록 전개하면서 팽창한다.
그 때문에, 도 5의 B의 2점 쇄선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측 부재(DT)가 차내측(I)에 밀려들어가 있어도, 접힘금(70)보다 상방의 피포개짐부(73)가 벨트 라인(BL)의 상방에서 전개하고, 그리고, 도 6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 접음부(72)가, 접힘금(70)을 연장시키도록 차체측 부재(DT)의 차내측(I)에 전개하여 팽창한다. 이때, 부분적으로 접힘금(70) 부근이 차체측 부재(DT)의 위에 놓여도, 그 부위보다 전방측의 부위, 즉, 에어백(20)의 앞 가장자리(20c)측에서는, 접힘금(70)과 함께 안쪽 접음부(72) 자체가 확실하게 벨트 라인(BL)의 상방 위치에 있다. 그 때문에, 그 벨트 라인(BL)의 상방 위치의 안쪽 접음부(72)에 있어서의 차체측 부재(DT)의 차내측(I)에의 전개에 의해, 차체측 부재(DT)의 위에 놓여 있는 부위로부터 연장되는 안쪽 접음부(72)가 차체측 부재(DT)의 차내측(I)에 끌려, 차체측 부재(DT)의 차내측(I)에 배치되어 팽창하게 된다.
그 결과, 부팽창부(29)는, 하단(29b)의 지지 팽창부(30)를 포함하여, 벨트 라인(BL) 하방의 차체측 부재(DT)의 차내측(I)에 전개하고, 그리고, 두께를 늘리도록 팽창할 수 있어, 에어백(20)의 앞쪽 팽창 차폐부(27)는 차외측(O)으로 이동하기 어렵고, 차량(V)의 롤오버시, 탑승자(M)를 차내측(I)에 적확하게 구속할 수 있어, 소정의 탑승자 구속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M)의 두부(H)가 창문(W1)에 접근하여 있어도, 에어백(20)의 접기 당초에 차내측(I)으로 되접어지는 부위가, 앞쪽 팽창 차폐부(27)의 주팽창부(28)의 전방에 배치되는 부팽창부(29)의 앞쪽 아래 모퉁이부(31)이고, 바꿔 말하면, 차량(V)의 측면 충돌시에 팽창하는 주팽창부(28)의 전방측의 앞 가장자리(20c)측이다. 그 때문에, 측면 충돌 대응시의 팽창 당초에, 탑승자(M)의 두부(H)가 창문(W1)에 접근하여 있어도, 되접은 부팽창부(29)의 앞쪽 아래 모퉁이부(31) 부근은 탑승자(M)의 두부(H)와 접촉하기 어렵고, 접촉하였다고 해도 되접은 안쪽 접음부(72)에 있어서의 후부측의 작은 삼각 부위(32)(도 3의 B 참조)로서, 삼각 부위(32)가 탑승자(M)의 두부(H)와 창문(W1)의 사이에 용이하게 진입한다. 그 결과, 에어백(20)은 앞쪽 팽창 차폐부(27)의 하부 가장자리(20b)까지의 전역을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양호한 끼어들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의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S)와 에어백(20)의 접기 방법에서는, 에어백(20)의 앞쪽 팽창 차폐부(27)가 차량(V)의 롤오버시의 양호한 탑승자 구속 성능과 양호한 끼어들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치수 축소 접기 공정이 바깥쪽 롤 접기를 주체로 하고 있고, 바꿔 말하면, 에어백(20)의 하부 가장자리(20b)측의 대부분의 부위(76)를, 차외측 벽부(22b)의 측으로 감는 바깥쪽 롤 접기하고 있다.
그 때문에,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상하 치수 축소 접기 공정에 의해 에어백(20)이 접혀 있으면, 전개 팽창시에 있어서의 상하 치수 축소 접기의 해소시, 에어백(20)은 창문(W1, W2)을 따라 전개하기 쉬워, 안정된 끼어들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바깥쪽 롤 접기의 전에,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접힘금(74)을 내어, 하부 가장자리 바깥쪽 접음부(75)를 차외측 벽부(22b)의 측으로 접고 있고, 바깥쪽 롤 접기하는 하부 가장자리(75a)가, 전후 방향을 따르는 직선 형상의 접힘금(74)의 부위가 되어, 바깥쪽 롤 접기하는 접기 지그(구체적으로는, 접힘금(74) 부근의 전역을 흡인하여 감는 접기 지그)를 접힘금(74)의 직선에 맞추어 원활히 배치할 수 있어, 바깥쪽 롤 접기 공정이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안쪽 접기의 접힘금(70)으로서, 상단(70a)을 전단의 장착부(54F)의 바로 아래 부근에 배치하고, 하단(70b)을 부팽창부(29)의 하단(29b)의 뒤쪽 아래 모퉁이부(29bb)를 넘은 후방측에 배치시켜, 전단의 장착부(54F)의 바로 아래로부터 뒤쪽 아래 모퉁이부(29bb)를 지나는 직선으로 하여, 앞쪽 아래 모퉁이부(31)를 벨트 라인(BL)과 에어백(20)의 상부 가장자리(20a)의 중간 부근에 배치시키면서, 부팽창부(29)의 영역 내에서의 안쪽 접음부(72)의 면적을 넓게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이 안쪽 접기는, 접기의 해소시에 안쪽 접음부(72)가 차체측 부재(DT)의 차내측(I)에 전개할 수 있도록, 부팽창부(29)의 앞쪽 아래 모퉁이부(31)가,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의 에어백(20)에 있어서의 벨트 라인(BL)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상방에 배치하게 하면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접힘금(70)은, 에어백(20)의 앞 가장자리(20c)로부터 하부 가장자리(20b)를 향해 비스듬히 뒤쪽 아래 방향의 45°의 경사 각도로 하여, 하단(70b)을 부팽창부(29)의 전후 방향의 중간 부근에 배치 시키도록 해도 된다.
단, 실시형태와 같이, 전단의 장착부(54F)의 바로 아래로부터 뒤쪽 아래 모퉁이부(29bb)를 지나는 직선으로 하여, 주팽창부(28)를 접지 않고 부팽창부(29)의 영역 내에서의 안쪽 접음부(72)의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면, 측면 충돌시의 차체측 부재(DT)의 차내측(I)에의 이동량이 크더라도 용이하게 대처하여, 부팽창부(29)는 지지 팽창부(30)를 차체측 부재(DT)의 차내측(I)에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에어백(20)으로서 봉제 백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자루 짜기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백을 사용하여도 된다.
1 : (차체)바디
20 : 에어백
20b : 하부 가장자리
20c : 앞 가장자리
22a : 차내측 벽부
22b : 차외측 벽부
27 : 앞쪽 팽창 차폐부
28 : 주팽창부(1차 팽창부)
29 : 부팽창부(2차 팽창부)
29b : 하단
30 : 지지 팽창부
31 : 앞쪽 아래 모퉁이부
70 : 접힘금
72 : 안쪽 접음부
76 : 바깥쪽 롤 접음부
V : 차량
W1 : 창문(사이드 윈도)
WU : 상부 가장자리
SP : 수납 부위
BL : 벨트 라인
DT : 도어 트림(차체측 부재)
I : 차내측
O : 차외측
G : 팽창용 가스
M : 탑승자
H : 두부
S :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

Claims (11)

  1. 에어백이, 인플레이터로부터의 팽창용 가스의 유입시, 차량의 앞좌석 측방의 창문의 상부 가장자리측의 수납 부위로부터 하방으로 전개하면서, 차내측 벽부와 차외측 벽부를 떼어놓도록 팽창하여, 상기 창문의 차내측을 덮는 앞쪽 팽창 차폐부를 구비하고,
    당해 앞쪽 팽창 차폐부가, 주팽창부와, 당해 주팽창부의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주팽창부의 팽창 완료 후에 팽창을 완료시키도록 상기 주팽창부와 연통하는 부팽창부를 구비하며,
    상기 부팽창부가, 팽창 완료시의 하단에, 상기 창문의 벨트 라인의 하방에 있어서의 차체측 부재의 차내측에 지지되는 지지 팽창부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이,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의 하부 가장자리측을 상부 가장자리측에 접근시키는 상하 치수 축소 접기에 의해 접혀, 상기 수납 부위에 수납되는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로서,
    상기 에어백이, 상기 상하 치수 축소 접기의 전에,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의 상기 부팽창부의 앞쪽 아래 모퉁이부를, 상기 에어백의 앞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가장자리에 걸치는 비스듬히 뒤쪽 아래 방향을 따르는 접힘금을 내어, 상기 차내측 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벨트 라인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상방의 차내측에 배치시키는 안쪽 접기를 행하여, 상기 수납 부위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치수 축소 접기가, 상기 에어백의 하부 가장자리측을 상기 차외측 벽부의 측으로 감는 바깥쪽 롤 접기를 주체로 하여, 상기 에어백을 접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이, 상부 가장자리측에, 상기 창문의 상부 가장자리측의 차체측에 장착하는 복수의 장착부를 구비함과 함께,
    전단의 상기 장착부가, 상기 에어백의 앞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안쪽 접기의 접힘금이,
    상단을 상기 에어백의 전단의 상기 장착부의 바로 아래 부근에 배치하고, 하단을 상기 부팽창부의 하단의 뒤쪽 아래 모퉁이부를 넘은 후방측에 배치시켜,
    전단의 상기 장착부의 바로 아래로부터 상기 뒤쪽 아래 모퉁이부를 지나는 직선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접기의 접힘금이, 상기 에어백의 앞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가장자리를 향해, 비스듬히 뒤쪽 아래 방향의 45°의 경사 각도로 하여, 하단을 부팽창부의 전후 방향의 중간 부근에 배치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치수 축소 접기에 있어서의 바깥쪽 롤 접기의 전에, 상기 안쪽 접기 후의 상기 에어백의 하부 가장자리측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접힘금을 내어 차외측으로 바깥쪽 접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이,
    상기 앞쪽 팽창 차폐부의 차량 후방측에 뒤쪽 팽창 차폐부를 구비함과 함께,
    팽창 완료시의 전후 방향의 중앙 부근의 상부 가장자리측에, 상기 앞쪽 팽창 차폐부와 상기 뒤쪽 팽창 차폐부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부의 상하 방향의 상측 절반의 영역을,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접힘금을 낸 벨로즈 접기하여,
    상기 수납 부위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
  7. 에어백이,
    인플레이터로부터의 팽창용 가스의 유입시, 차량의 앞좌석과 뒷좌석의 측방의 창문의 상부 가장자리측의 수납 부위로부터 하방으로 전개하면서, 차내측 벽부와 차외측 벽부를 떼어놓도록 팽창하여, 상기 앞좌석과 상기 뒷좌석의 측방의 상기 창문의 차내측을 덮는 앞쪽 팽창 차폐부 및 뒤쪽 팽창 차폐부와,
    상기 에어백의 팽창 완료시의 전후 방향의 중앙 부근의 상부 가장자리측에 배치되어, 상기 앞쪽 팽창 차폐부와 상기 뒤쪽 팽창 차폐부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앞쪽 팽창 차폐부가, 주팽창부와, 당해 주팽창부의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주팽창부의 팽창 완료 후에 팽창을 완료시키도록 상기 주팽창부와 연통하는 부팽창부를 구비하며,
    상기 부팽창부가, 팽창 완료시의 하단에, 상기 창문의 벨트 라인의 하방에 있어서의 차체측 부재의 차내측에 지지되는 지지 팽창부를 구비하여,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에 사용되는 구성으로 하여,
    상기 수납 부위에 수납 가능하게 접는 에어백의 접기 방법으로서,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의 하부 가장자리측을 상부 가장자리측에 접근시키는 상하 치수 축소 접기 공정과,
    당해 상하 치수 축소 접기 공정의 전에, 평평하게 전개한 상태의 상기 부팽창부의 앞쪽 아래 모퉁이부를, 상기 에어백의 앞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가장자리에 걸치는 비스듬히 뒤쪽 아래 방향을 따르는 접힘금을 내어, 상기 차내측 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벨트 라인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상방의 차내측에 배치시키는 안쪽 접기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접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치수 축소 접기 공정이, 상기 에어백의 하부 가장자리측을 상기 차외측 벽부의 측으로 감는 바깥쪽 롤 접기 공정을 주체로 하여, 상기 에어백을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접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롤 접기 공정이, 상기 에어백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연통부의 상하 방향의 폭치수의 중앙 부근까지의 영역을 바깥쪽 롤 접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접기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치수 축소 접기 공정은, 상기 바깥쪽 롤 접기 공정의 전에, 상기 안쪽 접기 공정 후의 상기 에어백의 하부 가장자리측을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접힘금을 내어 차외측으로 바깥쪽 접기하는 하부 가장자리 바깥쪽 접기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접기 방법.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치수 축소 접기 공정이, 상기 연통부의 상하 방향의 상측 절반의 영역을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접힘금을 낸 벨로즈 접기하는 벨로즈 접기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접기 방법.
KR1020157023366A 2013-02-28 2013-12-02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의 접기 방법 KR101659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39158 2013-02-28
JPJP-P-2013-039158 2013-02-28
PCT/JP2013/082374 WO2014132513A1 (ja) 2013-02-28 2013-12-02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015A KR20150112015A (ko) 2015-10-06
KR101659851B1 true KR101659851B1 (ko) 2016-09-26

Family

ID=5142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366A KR101659851B1 (ko) 2013-02-28 2013-12-02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의 접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87178B2 (ko)
JP (1) JP5951880B2 (ko)
KR (1) KR101659851B1 (ko)
CN (1) CN105026219B (ko)
CA (1) CA2901740C (ko)
WO (1) WO2014132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69663B1 (en) * 2013-03-13 2018-08-2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and method for placing an inflatable curtain in a stored condition
DE102014212238B4 (de) * 2014-06-25 2019-07-18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assack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und Verfahren zum Falten eines Gassacks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JP6102857B2 (ja) * 2014-08-01 2017-03-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CN107635833B (zh) * 2015-06-05 2019-09-13 奥托立夫开发公司 帘式气囊装置
JP6583095B2 (ja) * 2016-03-29 2019-10-02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の折り完了体
JP6460070B2 (ja) * 2016-09-14 2019-0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6831271B2 (ja) * 2017-03-08 2021-02-17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6836186B2 (ja) * 2017-08-24 2021-02-24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の折り完了体
JP6836187B2 (ja) * 2017-08-24 2021-02-24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の折畳収納体
JP6836188B2 (ja) * 2017-08-24 2021-02-24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の折り完了体
US10836342B2 (en) * 2017-10-31 2020-11-17 Toyoda Gosei Co., Ltd. Airbag for head protection
JP6885324B2 (ja) * 2017-12-25 2021-06-16 豊田合成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6864643B2 (ja) * 2018-03-27 2021-04-2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6950630B2 (ja) * 2018-06-25 2021-10-13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7070302B2 (ja) 2018-10-03 2022-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CN113474223B (zh) * 2018-12-20 2023-07-14 奥托立夫开发公司 帘式气囊以及其制作方法
DE102019118975A1 (de) * 2019-07-12 2021-01-14 Dalphi Metal Espana, S.A. Verfahren zum zusammenlegen eines gassacks
KR20210037252A (ko) * 2019-09-27 2021-04-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폴딩 방법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7312669B2 (ja) * 2019-10-29 2023-07-21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6805A (ja) 2008-08-07 2010-02-18 Toyoda Gosei Co Ltd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12091650A (ja) 2010-10-26 2012-05-17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2106669A (ja) 2010-11-18 2012-06-07 Toyota Motor Corp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5244776B2 (ja) 2009-12-24 2013-07-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12615D0 (en) * 1996-06-17 1996-08-21 Airbags In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US6565118B2 (en) * 2000-05-23 2003-05-2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Folded inflatable curtain
JP4572485B2 (ja) 2001-05-09 2010-11-04 タカタ株式会社 自動車乗員頭部の保護バッグ
JP2003341464A (ja) 2002-05-24 2003-12-03 Takata Corp カーテンエアバッグ
JP4070096B2 (ja) 2002-08-06 2008-04-02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05186654A (ja) * 2003-12-24 2005-07-14 Takata Corp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4432699B2 (ja) 2004-09-24 2010-03-17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20070138778A1 (en) 2005-12-15 2007-06-21 Honda Motor Co., Ltd.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JP4550729B2 (ja) * 2005-12-15 2010-09-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US8136838B2 (en) * 2007-09-04 2012-03-20 Tk Holdings Inc. Airbag
JP5302049B2 (ja) * 2009-03-02 2013-10-02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102009017919A1 (de) * 2009-04-16 2010-10-21 Takata-Petri Ag Gassackanordnung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Gassackanordnung
DE102010021823B4 (de) * 2010-05-28 2014-02-13 Autoliv Development Ab Packverfahren für einen Vorhangairbag und eine Vorrichtung zum Falten oder Aufrollen eines Vorhangairbags
DE102010062422B4 (de) * 2010-12-03 2015-01-29 TAKATA Aktiengesellschaft Seitengassackanordnung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DE102010056342A1 (de) * 2010-12-29 2012-07-05 Autoliv Development Ab Vorhanggassack für ein Fahrzeug
JP5229347B2 (ja) * 2011-03-28 2013-07-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2012218618A (ja) 2011-04-11 2012-11-12 Toyota Motor Corp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5751587B2 (ja) * 2011-06-24 2015-07-22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13203127A (ja) * 2012-03-27 2013-10-07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の収納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6805A (ja) 2008-08-07 2010-02-18 Toyoda Gosei Co Ltd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5244776B2 (ja) 2009-12-24 2013-07-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12091650A (ja) 2010-10-26 2012-05-17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2106669A (ja) 2010-11-18 2012-06-07 Toyota Motor Corp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26219B (zh) 2017-03-29
WO2014132513A1 (ja) 2014-09-04
US20150336531A1 (en) 2015-11-26
KR20150112015A (ko) 2015-10-06
CN105026219A (zh) 2015-11-04
JPWO2014132513A1 (ja) 2017-02-02
CA2901740C (en) 2017-01-03
JP5951880B2 (ja) 2016-07-13
CA2901740A1 (en) 2014-09-04
US9487178B2 (en)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851B1 (ko) 두부 보호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의 접기 방법
US7264269B2 (en) Head-protecting airbag and head-protecting airbag device
JP6614047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583095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の折り完了体
US20060197319A1 (en) Airbag and airbag device
JP5783818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267876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CN111615473B (zh) 乘员保护装置
JP6278025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US8523222B2 (en) Curtain airbag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CN109963754B (zh) 侧气囊装置
JP2008254504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6060913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17065398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5201089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5366774B2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JP5478219B2 (ja) エアバッグ
JP4909556B2 (ja) エアバッグ
JP6544263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561223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19038366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の折り完了体
JP2012111359A (ja) エアバッグ装置
JP7298528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19038368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の折り完了体
JP2019010940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