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478B1 - 봉상물 조출용기 - Google Patents

봉상물 조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478B1
KR101540478B1 KR1020090020640A KR20090020640A KR101540478B1 KR 101540478 B1 KR101540478 B1 KR 101540478B1 KR 1020090020640 A KR1020090020640 A KR 1020090020640A KR 20090020640 A KR20090020640 A KR 20090020640A KR 101540478 B1 KR101540478 B1 KR 101540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tick
receiving portion
shaped materia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643A (ko
Inventor
노구치 요시오
사이토우 주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20090102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tur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봉상물에 손을 대지 않고 그 봉상물의 잔부를 봉상물 받침대로부터 제거한다. 봉상물 조출용기(10)는, 내면에 일단에 개방된 개방 나선홈(11a)을 가진 통모양 캡(11)에 축방향으로 뻗은 슬릿(12a)을 가진 내통(12)을 축방향 이동할 수 없고 자유로이 회전은 할 수 있게 끼우고, 슬릿을 통해 개방 나선홈에 걸려지게 하는 돌출부(23)를 가진 봉상물 받침대(16)를 내통에 삽입하고, 내통에 삽입된 봉상물(14)의 단부를 봉상물 받침대에 형성된 받침부(17a)에 설치한다. 봉상물 받침대는, 일단에 받침부가 형성되고서 봉상물(14)에 연통하는 관통구멍(17b)이 축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제1 슬라이더(17)와, 제1 슬라이더(17)의 타단 측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제2 슬라이더(18)와, 관통구멍(17b)에 삽통되어 제2 슬라이더(18)에 설치되고서 제2 슬라이더(18)가 받침부(17a)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봉상물(14)의 단부 가장자리에 선단이 닿는 돌출 핀(19)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봉상물 조출용기{Rod article feeding-out mechanism}
본 발명은, 봉상(棒狀)의 지우개고무, 립스틱, 수정봉, 필기구 심, 형광필심, 봉상의 풀, 파스류 같은 봉상물을 회전조작으로 출몰시키는 봉상물 조출용기(棒狀物 繰出容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 같은 봉상물 조출용기로서, 끼움 홈을 가진 샤프펜슬을 본체 하부에 갖고서, 내면에 나선홈을 가진 샤프펜슬 본체 상부를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또 샤프펜슬 본체의 상, 하부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두부(頭部) 측에 개방된 개방 슬릿을 가진 심관(芯管)을 그 볼록부가 끼움 홈에 끼워지도록 끼우고, 나선홈 및 개방 슬릿에 돌출부를 걸려지게 한 지우개고무 받침을 심관 내에 설치하고서, 지우개고무 받침에 봉상의 지우개고무를 끼우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봉상물 조출용기에서는, 본체 상부를 회전조작함으로써 두부로부터 봉상의 지우개고무를 조출할 수가 있으나, 지우개고무 받침의 돌출부가 나선홈의 상단에 도달해서 정지하게 되어, 지우개고무의 조출이 되지 않아 지우개고무를 사용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 지우개고무 받침에 지우개고무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지우개고무 받침 내의 지우개고무 잔부(殘部)를 제거하기가 대단히 곤란한 불편이 있었다.
이 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내면에 일단(一端)에 개방된 개방 나선홈을 가진 통모양 캡(cap)에, 두부 측에 개방된 개방 슬릿을 가진 내통을 축방향 이동할 수 없고 자유로이 회전은 할 수 있게 끼우고, 개방 슬릿 및 개방 나선홈에 각각 협지편(挾持片) 및 돌출부를 걸려지게 한 봉상물 받침대를 내통 내에 설치하여, 협지편에 봉상물이 협지되도록 구성된 봉상물 조출용기를 제안한바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이와 같은 구성의 봉상물 조출용기에서는, 통모양 캡 또는 내통에 대해 내통 또는 통모양 캡을 회전시키면, 봉상물 받침대의 협지편 및 돌출부가 각각 내통의 개방 슬릿 및 통모양 캡의 개방 나선홈에 걸어 맞춰져 있기 때문에, 봉상물 받침대가 개방 나선홈을 따르면서 개방 슬릿에 안내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봉상물 받침대의 협지편에 협지된 봉상물이 회전방향에 대응해서 통모양 캡의 선단으로부터 출몰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봉상물 조출용기에서는, 봉상물이 사용에 의해 소비되어 잔부로 되었을 때에도, 봉상물 받침대의 협지편이 통모양 캡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협지편에 협지된 봉상물 잔부를 극히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실개소 57-132598호 공보(제1도)
특허문헌 2 :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49741호(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 도 1)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봉상물 조출용기에서는, 봉상물 받침대의 협지편을 내통의 개방 슬릿에 걸려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그 협지편의 수 및 크기는 개방 슬릿의 수나 폭의 치수에 의해 제한이 되어, 설계자유도가 제한되는 불편이 잔존하고 있다. 또, 봉상물이 사용에 의해 소비되어 사용할 수가 없게 되었을 때에는, 그 봉상물에 접촉하지 않고 봉상물의 잔부를 끄집어낼 수 있으면 편리하다. 또, 이 봉상물 조출용기는, 돌출부를 가진 봉상물 받침대를 내통 내에 설치한 후, 그의 내통을 통모양 캡에 축방향 이동할 수 없고 자유로이 회전은 할 수 있게 끼우도록 된 것이라 하더라도, 종래의 봉상물 조출용기에서는, 봉상물 받침대를 내통 내에 설치할 때에 돌출부를 슬릿에 삽통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그 조립이 비교적 곤란하다고 하는 불편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봉상물이 사용에 의해 소비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 그 봉상물에 손을 대지 않고 봉상물의 잔부를 봉상물 받침대로부터 끄집어낼 수 있음과 더불어, 조립이 비교적 용이한 봉상물 조출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단이 개방된 개방 나선홈을 가진 통모양 캡에 축방향으로 뻗은 슬릿을 가진 내통을 축방향 이동할 수 없고 자유로이 회전은 할 수 있게 끼우고, 슬릿을 통해 개방 나선홈에 걸려지게 하는 돌출부를 가진 봉상물 받침대를 내통에 삽입하고, 내통에 삽입된 봉상물의 단부가 봉상물 받침대에 형성된 받침부에 부착되어 있는 봉상물 조출용기를 개량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봉상물 받침대의 구조가, 일단 측에 받침부가 형성되고서 그 받침부에 설치된 봉상물에 연통하는 관통구멍이 축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제1 슬라이더와, 제1 슬라이더의 타단 측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서 돌출부가 형성된 제2 슬라이더와, 제2 슬라이더가 받침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받침부에 설치된 봉상물의 단부에 선단이 닿고 또한 관통구멍에 삽통되는 돌출 핀을 구비한 점에 있다.
또, 본 발명은, 제1 슬라이더가 닿을 수 있는 플랜지부가 내통의 일단에 형성되고, 슬릿을 통해 개방 나선홈에 걸려지는 보조돌출부가 제1 슬라이더에 형성되고, 제1 슬라이더가 플랜지부에 닿을 때 보조돌출부의 개방 나선홈에의 걸림을 해제하는 공회전부가 통모양 캡의 내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봉상물 받침대가 플랜지부에 닿고 또한 제2 슬라이더가 받침부에 가까워져 돌출 핀이 봉상물을 밀어내면 공회전부가 돌출부의 나선홈에 걸려져 있던 상태로부터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내통에 1쌍의 슬릿이 대향해서 형성되고, 내통의 타단 측으로부터 1쌍의 슬릿에 연통하는 절결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제2 슬라이더를 받침부로부터 떨어지도록 밀어붙이는 부세수 단(付勢手段)과, 제2 슬라이더가 받침부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상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간방지수단(離間防止手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부세수단이, 제1 슬라이더에 형성되어 제2 슬라이더를 향해 앞이 가는(細) 원추체와, 원추체를 선단이 협지하도록 제2 슬라이더에 입설(立設)된 1쌍의 대향편으로 이루어지되, 1쌍의 대향편이 받침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벌려져 떨어져 있던 제2 슬라이더가 받침부에 가까워졌을 때 선단이 원추체에 의해 넓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부세수단이, 제1 슬라이더와 제2 슬라이더 사이의 돌출 핀의 주위에 나선모양으로 감겨진 코일스프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120°로 교차하는 2개의 협지면(挾持面)을 각각 가진 6개의 돌기에 의해 받침부가 구성되고서, 6개의 돌기는 각각 2개의 협지면에 의해 6각별이 형성되도록 2개의 협지면의 꼭지각을 중심으로 해서 동일 원주상에 등각도로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이 개방된 개방 나선홈을 가진 통모양 캡에 축방향으로 뻗은 슬릿을 가진 내통을 축방향 이동할 수 없고 자유로이 회전은 할 수 있게 끼우고, 슬릿을 통해 개방 나선홈에 걸려지게 하는 돌출부를 가진 봉상물 받침대를 내통에 삽입하고, 내통에 삽입된 봉상물의 단부가 봉상물 받침대에 형성된 받침부에 부착되어 있는 봉상물 조출용기를 개량한 것이다.
즉, 슬릿이 내통에 대향하도록 1쌍이 형성되고, 내통의 타단 측으로부터 1쌍의 슬릿에 각각 연통해서 슬릿의 폭을 넓히도록 한 타단 측을 넓힐 수 있도록 하는 1쌍의 절결(切缺)이 내통의 타단 측에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봉상물 조출용기에서는, 받침부에 설치된 봉상물에 연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제1 슬라이더와, 제1 슬라이더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제2 슬라이더와, 관통구멍에 삽통되어 제2 슬라이더에 설치된 돌출 핀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받침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제2 슬라이더가 받침부에 가까워지면, 돌출 핀이 봉상물을 밀어내어 받침부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므로, 봉상물이 사용에 의해 소비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는, 제2 슬라이더를 받침부에 접근시켜 주게 됨으로써, 그 봉상물에 손을 대지 않고서도 그 봉상물의 잔부를 봉상물 받침대로부터 이탈시킬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슬라이더가 닿을 수 있는 플랜지부를 내통의 일단에 형성하고, 슬릿을 통해 개방 나선홈에 걸려지게 하는 보조돌출부를 제1 슬라이더에 형성하게 되면, 제2 슬라이더와 제1 슬라이더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가 있어서, 통상의 사용상태에서 돌출 핀이 봉상물을 밀어내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1 슬라이더가 플랜지부에 닿았을 때 보조돌출부의 개방 나선홈에의 걸림을 공회전부(空回轉部)에 의해 해제되도록 하면, 봉상물이 사용에 의해 소비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는, 통모양 캡 또는 내통을 회전시키는 것만의 비교적 단순한 작업으로 제2 슬라이더를 받침부에 접근시킬 수가 있고, 이에 의해 돌출 핀으로 봉상물을 밀어낼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봉상물 조출용기는, 봉상물 받침대를 내통에 삽입할 때, 돌출부를 슬릿에 삽통(揷通)시킬 필요가 있다면, 내통에 대향하도록 슬릿이 1쌍 형성되고, 내통 타단 측으로부터 1쌍의 슬릿에 연통하는 1쌍의 절결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1쌍의 절결의 폭을 넓히면, 1쌍의 절결이 연통하는 부분의 슬릿의 폭이 넓혀져, 그의 내통 타단 측이 벌려지게 된다. 이 때문에, 내통의 타단 측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봉상물 받침대를 내통에 삽입할 수 있게 되어, 돌출부를 슬릿에 비교적 용이하게 삽통시킬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돌출부가 슬릿에 삽통된 상태에서 그 절결을 닫으면, 봉상물 받침대가 내통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아, 그 후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그 후, 내통을 통모양 캡에 축방향 이동할 수 없고 자유로이 회전은 할 수 있게 끼우면, 내통 타단 측의 개방이 통모양 캡에 의해 방지되어, 내통에 삽입된 봉상물 받침대가 내통에서 이탈하게 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가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도면에 기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봉상물 조출용기(10)는, 일단이 개방된 개방 나선홈(11a)을 가진 단면 원형인 통모양 캡(11)과, 이 통모양 캡(11)에 끼워진 내통(12)을 갖고 있다. 이들 통모양 캡(11) 및 내통(12)은 각각 수지 성형품으로 된 것으로, 개방 나선홈(11a)은 통모양 캡(11)을 성형할 때에 통모양 캡(11)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내통(12)에는 그 일단에 이 내통(12)보다 큰 직경을 가진 플랜지부(13)가 형성되고, 또 이 내통(12)에는 축방향으로 뻗은 1쌍의 슬릿(12a)이 대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통(12)의 타단 측에는, 그 단부로부터 상기 1쌍의 슬릿(12a)에 연통해서, 내통(12)에서의 타단 측이 도 5에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어진 것과 같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절결(1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통(12)에는, 이 내통(12)에 일단 측에서 삽입된 봉상물(14)의 단부가 설치되는 봉상물 받침대(16)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된다. 도 6에 상세히 나타내어져 있듯이, 본 발명의 봉상물 받침대(16)는, 봉상물(14)의 단부가 설치되어 있는 받침부(17a)가 일단 측에 형성되고, 봉상물(14)로 연통하는 관통구멍(17b)이 축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제1 슬라이더(17)와, 이 제1 슬라이더(17)의 타단 측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제2 슬라이더(18)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슬라이더(17)는 내통(12)에 삽통할 수 있는 원주상의 수지성형품으로서, 관통구멍(17b)은 그 축심(軸芯)을 따라 형성된다. 받침부(17a)는 제1 슬라이더(17)의 일단 측에 그 양 벽이 세워짐으로써 형성된 1쌍의 협지편으로 이루어지되, 이 1쌍의 협지편은 제1 슬라이더(17)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내통(12)에 삽입된 봉상물(14)의 단부를 1쌍의 협지편으로 협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도 1).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의 봉상물(14)로는, 봉상의 지우개고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제2 슬라이더(18)에는, 관통구멍(17b)에 삽통하는 돌출 핀(19)이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슬라이더(18)가 받침부(17a)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돌출 핀(19)의 선단이 제1 슬라이더(17)의 일단 측과 면 일치로 되어, 봉상물(14)의 단부(端部)에 앞 끝이 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받침부(17a)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제2 슬라이더(18)가 그 받침부(17a)에 가까워지도록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관통구멍(17b)에 삽통된 돌출 핀(19)도 제2 슬라이더(18)와 함께 이동해서, 돌출 핀(19)이 봉상물(14)을 밀어내어 받침부(17a)로부터 이탈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봉상물 받침대(16)에는, 제2 슬라이더(18)를 받침부(17a)로부터 떨어지도록 밀어붙이는 부세수단(21)과, 제2 슬라이더(18)가 받침부(17a)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상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간방지수단(2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의 부세수단(21)은, 제1 슬라이더(17)에 형성된 제2 슬라이더(18)를 향해 앞이 가는 원추체(21a)와, 이 원추체(21a)를 선단이 협지되도록 제2 슬라이더(18)에 입설된 1쌍의 대향편(21b)으로 이루어지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1쌍의 대향편(21b)은 제2 슬라이더(18)가 받침부(17a)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벌려 떨어졌을 때에 상호 평행하게 되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받침부(17a)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벌려 떨어진 제2 슬라이더(18)가 그 받침부(17a)에 가까워졌을 때에는 원추체(21a)에 의해 선단이 넓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선단이 벌려진 1쌍의 대향편(21b)은, 그 탄성에 의해 벌려진 선단을 닫으려고 하고, 그 닫으려고 하는 힘은 1쌍의 대향편(21b)의 선단으로부터 원추체(21a)를 압출하는 힘으로 전환되어, 이에 의해 이 부세수단(21)이, 제2 슬라이더(18)를 받침부(17a)로부터 떨어지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간방지수단(22)은, 도 6 ~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슬라이 더(18)에 형성된 훅(22a)과, 제2 슬라이더(18)가 받침부(17a)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훅(22a)의 선단 걸림부(22c)가 걸려지도록 하는, 제1 슬라이더(17)의 측벽에 형성된 걸림 개구부(22b)로 이루어져 있다. 이 걸림 개구부(22b)는, 선단 걸림부(22c)가 걸려진 상태에서 그 선단 걸림부(22c)의 전후방향 이동을 허용하도록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훅(22a)은, 그 선단 걸림부(22c)가 걸림 개구부(22b)에 걸려진 상태로부터,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선단 걸림부(22c)가 걸림 개구부(22b)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게 된다. 이 훅(22a)은 제2 슬라이더(18)와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받침부(17a)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제2 슬라이더(18)가 받침부(17a)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봉상물 받침대(16)에는, 내통(12)에서의 슬릿(12a)을 통해 개방 나선홈(11a)에 걸려지는 돌출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의 돌출부(23)는 제2 슬라이더(18)에 형성되고, 제1 슬라이더(17)에 형성된 보조돌출부(24)는, 슬릿(12a)을 관통하도록 축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관통부(24a)와, 그 관통부(24a)에 형성되어 개방 나선홈(11a)에 실제로 걸려지게 하는 보조걸림부(24b)를 갖고, 이 보조걸림부(24b)에 인접해서는 개방된 절결부(17c)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3)는, 그 절결부(17c)에 삽통되어 내통(12)에서의 슬릿(12a)을 관통하는 삽통부(23a)와, 개방 나선홈(11a)에 실제로 걸려지는 걸림부(23b)를 갖고 있다. 삽통부(23a)는 절결부(17c)에 삽통된 상태에서 관통부(24a)와 함께 슬릿(12a) 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슬라이더(18)가 받침부(17a)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돌출부(23)는 절결부(17c)의 타단 측에 위치하게 되고, 보조돌출부(24)에서의 보조걸림부(24b)와 돌출부(23)에서의 걸림부(23b)의 축방향으로의 거리인 피치(pitch)를 개방 나선홈(11a)의 축방향 피치의 정수 배(도 1에서는 2배)로 해서, 보조걸림부(24b)와 걸림부(23b)의 쌍방을 개방 나선홈(11a)에 걸려지게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슬라이더(18)가 받침부(17a)에 가까워진 상태, 즉 돌출 핀(19)이 봉상물(14)을 밀어낸 상태에서, 돌출부(23)가 절결(17c)의 일단 측으로 이동해서, 걸림부(23b)와 보조걸림부(24b)가 접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통(12)은, 통모양 캡(11)에 축방향 이동할 수 없고 자유로이 회전은 할 수 있게 끼워지게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통모양 캡(11)의 일단 내주면에 환상 철조(凸條; 11b)가 형성되고, 이 통모양 캡(11)의 내주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내통(12)의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환상 철조(11b)가 끼워지는 환상 요조(凹條; 12c)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모양 캡(11)의 환상 철조(11b)를 내통(12)의 환상 요조(12c)에 끼워 장착시킨다. 이에 의해, 환상 철조(11b)가 환상 요조(12c)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저지되어, 내통(12)은 통모양 캡(11)에 축방향 이동할 수 없다 하더라도, 내통(12)의 통모양 캡(11)에 대한 회전은 허용되어 자유로이 회전할 수가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통(12)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부(13)는, 제1 슬라이더(17)가 닿아 그 이상 봉상물(14)을 돌출시킬 수 없도록 하게 된다. 이 플랜지부(13)는 링 모양의 부재로서 내통(12)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서, 그 외주의 일부에는 통모양 캡(11)에 대한 회전조작시에 손으로 잡기 쉽도록 하기 위한 파지돌기(13a; 도 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파지돌기(13a)는, 사용하지 않을 때의 봉상물 조출용기 전체의 회전 방지수단으로도 된다. 또, 이 플랜지부(13)에는, 단면이 원형인 캡 받침부(13b)와 포위부(13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13)는, 봉상물 받침대(16)를 구성하는 제1 슬라이더(17)의 받침부(17a) 선단이 포위부(13c)의 안쪽에 닿도록 되어 있다.
제1 슬라이더(17)에서의 받침부(17a)가 플랜지부(13)에 닿을 때, 보조돌출부(24)의 보조걸림부(24b)에의 걸림을 해제하는 공회전부(11c)가, 통모양 캡(11)의 일단 측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공회전부(11c)는 통모양 캡(11)의 개구단부의 환상 철조(11b)에 연속하는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공회전부(11c)의 축방향의 폭은, 돌출 핀(19)이 봉상물(14)을 밀어 상호 접근하게 된 걸림부(23b)와 보조걸림부(24b)의 쌍방이 공회전부(11c)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여기서, 도 1에 나타나 있는 부호 26은, 플랜지부(13)의 캡 받침부(13b)에 나사결합되어 봉상물(14)의 단부를 보호하는 보호 캡(26)이다.
다음에는, 이 봉상물 조출용기(10)의 조립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가장 먼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봉상물 받침대(16)를 조립한다. 이 조립에 있어서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슬라이더(17)의 관통구멍(17b)에 돌출 핀(19)을 삽입하고, 또 돌출부(23)에서의 삽통부(23a)를 절결부(17c)에 삽 통시키고, 제2 슬라이더(18)를 제1 슬라이더의 타단 측에 중합(重合)시켜, 도 6의 1점 쇄선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제2 슬라이더(18)에 형성된 훅(22a)의 선단 걸림부(22c)를 제1 슬라이더(17)의 측벽에 형성된 걸림 개구부(22b)에 걸려지도록 한다. 그러면, 이간방지수단(22)에 의해 제2 슬라이더(18)가 받침부(17a)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상 떨어지게 되는 것이 방지되어, 양자가 일체로 된 봉상물 받침대(16)가 얻어지게 된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봉상물 받침대(16)를 내통(12)에 삽입한다. 이때에 돌출부(23)와 보조돌출부(24) 쌍방을 슬릿(12a)에 삽통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봉상물 조출용기(10)에서는, 내통(12)에 대향하도록 슬릿(12a, 12a)이 1쌍 형성되고, 내통(12)의 타단 측에서 1쌍의 슬릿(12a)에 연통하는 1쌍의 절결(12b, 1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1쌍의 절결(12b)의 폭을 넓히면, 그 1쌍의 절결(12b)이 연통하는 부분의 슬릿(12a)의 폭이 넓혀져, 내통(12)의 타단 측이 넓혀지게 된다. 따라서, 도 5의 파선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내통(12)의 타단 측을 개방시킨 상태로 봉상물 받침대(16)를 내통(12)에 삽입할 수 있어서,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통모양 캡(11)에 내통(12)을 조립하면, 내통(12)의 타단부의 개방이 통모양 캡(11)에 의해 방지된다. 도 4에 상세히 나타내어져 있듯이, 통모양 캡(11)의 일단 측 개방 단부로부터 내통(12)을 삽입하고서, 도면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통모양 캡(11)을 회전시켜 개방 나선홈(11a)에 돌출부(23)와 보조돌출부(24)의 쌍방이 걸려지게 하면서 통모양 캡(11)에 내통(12)을 삽입한다. 여기서, 돌출부(23) 및 보조돌출부(24)의 쌍방을 개방 나선홈(11a)에 각각 걸려지게 할 때에는, 부세수단(21)에 의한 밀어붙이는 힘을 이간방지수단(22)에 의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제2 슬라이더(18)와 받침부(17a)를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통모양 캡(11)을 회전시키기만 하는 비교적 단순한 작업으로 개방 나선홈(11a)에 돌출부(23)와 보조돌출부(24) 쌍방을 확실하게 걸려지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도 1 ~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통모양 캡(11)의 환상 철조(11b)를 내통(12)의 환상 요조(12c)에 끼워 장착시킨다. 이에 의해, 환상 철조(11b)가 환상 요조(12c)를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어 내통(12)이 통모양 캡(11)에 대해 축방향 이동은 할 수 없다 하더라도, 내통(12)의 통모양 캡(11)에 대한 회전은 허용하게 된다.
이어, 봉상물(14)을 플랜지부(13)의 포위부(13c)로부터 내통(12)에 삽입하고, 그의 단부를 받침부(17a)에 협지시켜 봉상물 받침대(16)에 설치한다. 그리고, 통모양 캡(11)에 대해 내통(12)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내통(12)에 대해 통모양 캡(11)을 회전시켜, 봉상물 받침대(16)를 내통(12)의 타단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봉상물(14)을 내통(12) 내에 몰입(沒入)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봉상물 조출용기(10)에서는, 보호 캡(26)을 캡 받침부(13b)로부터 떼어내고서, 통모양 캡(11)에 대해 내통(12)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내통(12)에 대해 통모양 캡(11)을 회전시키면, 봉상물 받침대(16)의 돌출부(23) 및 보조돌출부(24)가 내통(12)의 슬릿(12a) 및 통모양 캡(11)의 개방 나선홈(11a)에 각각 걸려지기 때문에, 봉상물 받침대(16)가 개방 나선홈(11a)을 따르면서 슬 릿(12a)에 안내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해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봉상물 받침대(16)의 받침부(17a)에 협지되어 설치된 봉상물(14)인 봉상의 지우개고무가 회전방향에 대응해서 통모양 캡(11)의 일단으로부터 출몰하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봉상물(14)인 봉상의 지우개고무는 사용에 의해 소비되어, 봉상물 받침대(16)가 플랜지부(13)에 닿아 그 이상 봉상물(14)을 돌출시킬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여기서, 이 플랜지부(13)에는, 봉상물 받침대(16)의 제1 슬라이더(17)에 형성된 받침부(17a)가 가장 먼저 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슬라이더(17)가 그 이상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더라도, 제1 슬라이더(17)에 형성된 보조돌출부(24)의 보조걸림부(24b)가 공회전부(11c)에 위치하기 때문에, 통모양 캡(11)에 대한 내통(12)의 회전 또는 내통(12)에 대한 통모양 캡(11)의 회전은 허용되게 된다.
플랜지부(13)에 제1 슬라이더(17)가 닿은 도 2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통모양 캡(11)에 대한 내통(12)의 회전 또는 내통(12)에 대한 통모양 캡(11)의 회전을 속행하면, 제2 슬라이더(18)에 형성된 돌출부(23)는 아직 개방 나선홈(11a)에 걸려져 있기 때문에, 제2 슬라이더(18)가 돌출부(23)와 함께 개방 나선홈(11a)을 따르면서 슬릿(12a)에 안내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해서, 받침부(17a)에 가까워지게 된다. 그러면, 제2 슬라이더(18)에 형성된 돌출 핀(19)도 제2 슬라이더(18)와 함께 이동해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봉상물(14)을 밀어내어 받침부(17a)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봉상물(14)이 사용에 의해 소비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 그 봉상물(14)에 손을 대지 않고 봉상물(14)의 잔부를 봉상물 받침대(16)로부 터 제거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제1 슬라이더(17)가 플랜지부(13)에 닿고 또한 제2 슬라이더(18)가 받침부(17a)에 가까워져 돌출 핀(19)이 봉상물(14)을 밀어낸 상태에서, 공회전부(11c)의 존재에 의해 돌출부(23)의 걸림부(23b)의 개방 나선홈(11a)에의 걸림도 해소되기 때문에, 통모양 캡(11) 또는 내통(12)의 회전이 허용되어, 그 회전이 제한되는 경우에 생기는 부하를 없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돌출 핀(19)이 봉상물(14)을 밀어낸 상태로부터 통모양 캡(11) 또는 내통(12)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즉 봉상물(14)을 몰입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부세수단(21)에 의해 제2 슬라이더(18)가 받침부(17a)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그 제2 슬라이더(18)에 형성된 돌출부(23)는 공회전부(11c)로부터 개방 나선홈(11a)으로 신속히 이동하게 된다. 이 때문에, 공회전부(11c)에 돌출부(23) 및 보조돌출부(24)가 잔존하도록 하는 사태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 봉상물(14)인 봉상의 지우개고무는 내통(12)에 그 전체 길이에 걸쳐 포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시에 덜거덕거리지 않고, 더구나 부러질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봉상물 조출용기(10)로서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도시되지 않은 필기구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원추체(21a)와 1쌍의 대향편(21b)으로 이루어진 부세수단(21)을 설명하였으나, 도 9 및 도 1 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부세수단(21)을 제1 슬라이더(17)와 제2 슬라이더(18) 사이의 돌출 핀(19)의 주위에 나선모양으로 감겨지는 코일스프링(31)으로 하여도 좋다. 이 부세수단에서는, 코일스 프링(31)의 신장(伸長)되려고 하는 힘에 의해 제2 슬라이더(18)를 받침부(17a)에서 떨어지게 밀어붙이도록, 코일스프링(31)을 돌출 핀(19)의 주위에 둘려지도록 함으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받침부(17a)가 1쌍의 협지편으로 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도 11 ~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120°로 교차하는 2개의 협지면(挾持面)을 각각 가진 6개의 돌기(32)에 의해 받침부를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6개의 돌기(32)는 각각의 2개의 협지면에 의해 6각별이 형성되도록 2개의 협지면의 꼭지각을 중심으로 향해 동일 원주상에 등각도(等角度)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받침부에서는, 단면형상이 복수 종류의 봉상물(14)을 단일의 봉상물 받침대(16)에 의해 협지 또는 파지할 수가 있어서, 부품 종류를 감소시켜 관리 부담을 경감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도 12는 단면이 삼각형인 봉상물(14)을 6개의 돌기(32)가 주위로부터 파지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13은 단면이 원형인 봉상물(14)을 6개의 돌기(32)가 주위로부터 파지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14는 단면이 사각형인 봉상물(14)을 6개의 돌기(32)가 주위로부터 파지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 내통(12)을 통모양 캡(11)에 축방향 이동할 수 없고 자유로이 회전은 할 수 있게 끼울 수 있는 한, 통모양 캡(11)의 일단의 내주면에 환상 요조를 형성하고, 내통(12)의 일단측 외주에 그 환상 요조에 끼워지는 환상 철조를 형성하여도 좋고, 한쪽만을 환상 요조 또는 철조로 형성하고 다른 쪽을 환상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곳 이상 설치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하여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형태의 봉상물이 몰입된 봉상물 조출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봉상물이 돌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1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봉상물을 돌출 핀이 밀어낸 상태를 나타낸 도면 1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통모양 캡에 내통을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1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그 봉상물 조출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봉상물 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조립된 봉상물 받침대의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돌출 핀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7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스프링을 가진 다른 봉상물 받침대를 나타낸 도면 7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봉상물 받침대에서의 돌출 핀이 봉상물을 밀어내는 상태를 나타낸 도 9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6개의 돌기로 이루어진 받침부를 가진 또 다른 봉상물 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6개의 돌기로 이루어진 받침부가 단면 삼각형인 봉상물을 파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6개의 돌기로 이루어진 받침부가 단면 원형의 봉상물을 파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4는, 6개의 돌기로 이루어진 받침부가 단면 사각형인 봉상물을 파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 - 봉상물 조출용기
11 - - - 통모양 캡
11a - - - 개방 나선홈
11c - - - 공회전부
12 - - - 내통
12a - - - 슬릿
12b - - - 절결
13 - - - 플랜지부
14 - - - 봉상물
16 - - - 봉상물 받침대
17 - - - 제1 슬라이더
17a - - - 받침부
17b - - - 관통구멍
18 - - - 제2 슬라이더
19 - - - 돌출 핀
21 - - - 부세수단
21a - - - 원추체
21b - - - 대향편
22 - - - 이간방지수단
23 - - - 돌출부
24 - - - 보조돌출부
31 - - - 코일스프링(부세수단)
32 - - - 돌기

Claims (9)

  1. 일단이 개방된 개방 나선홈을 가진 통모양 캡에, 축방향으로 뻗은 슬릿을 가진 내통을 축방향 이동할 수 없고 자유로이 회전은 할 수 있게 끼우고,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개방 나선홈에 걸려지게 하는 돌출부를 가진 봉상물 받침대를 상기 내통에 삽입하고, 상기 내통에 삽입된 봉상물의 단부가 상기 봉상물 받침대에 형성된 받침부에 설치되는 봉상물 조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봉상물 받침대는, 일단 측에 상기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봉상물에 연통하는 관통구멍이 축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1 슬라이더의 타단 측에 축방향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제2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가 상기 받침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에 설치된 상기 봉상물의 단부에 선단이 닿도록 설치되고서, 상기 관통구멍에 삽통되는 돌출 핀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슬라이더가 닿을 수 있는 플랜지부가 상기 내통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개방 나선홈에 걸려지는 보조돌출부가 상기 제1 슬라이더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가 상기 플랜지부에 닿을 때 상기 보조돌출부의 상기 개방 나선홈에의 걸림을 해제하는 공회전부가 상기 통모양 캡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가 상기 플랜지부에 닿고 상기 제2 슬라이더가 상기 받침부에 접근해서 상기 돌출 핀이 상기 봉상물을 밀어내면, 상기 공회전부가 상기 제2 슬라이더에 형성된 돌출부의 상기 개방 나선홈에의 걸림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 조출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에 1쌍의 상기 슬릿이 대향해서 형성되고, 상기 내통의 타단 측으로부터 상기 1쌍의 슬릿에 연통하는 절결이 각각 형성된 봉상물 조출용기.
  5. 삭제
  6. 일단이 개방된 개방 나선홈을 가진 통모양 캡에, 축방향으로 뻗은 슬릿을 가진 내통을 축방향 이동할 수 없고 자유로이 회전은 할 수 있게 끼우고,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개방 나선홈에 걸려지게 하는 돌출부를 가진 봉상물 받침대를 상기 내통에 삽입하고, 상기 내통에 삽입된 봉상물의 단부가 상기 봉상물 받침대에 형성된 받침부에 설치되는 봉상물 조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봉상물 받침대는, 일단 측에 상기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봉상물에 연통하는 관통구멍이 축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1 슬라이더의 타단 측에 축방향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제2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가 상기 받침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에 설치된 상기 봉상물의 단부에 선단이 닿도록 설치되고서, 상기 관통구멍에 삽통되는 돌출 핀을 구비하되,
    상기 제2 슬라이더를 상기 받침부로부터 떨어지도록 밀어붙이는 부세수단과, 상기 제2 슬라이더가 상기 받침부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상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간방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부세수단이, 상기 제1 슬라이더에 형성되고서 상기 제2 슬라이더를 향해 앞이 가는 원추체와, 상기 원추체를 선단이 협지하도록 상기 제2 슬라이더에 입설된 1쌍의 대향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1쌍의 대향편은 상기 받침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벌려 떨어진 상기 제2 슬라이더가 상기 받침부에 가까워졌을 때 상기 1쌍의 대향편의 선단이 상기 원추체에 의해 넓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 조출용기.
  7. 일단이 개방된 개방 나선홈을 가진 통모양 캡에, 축방향으로 뻗은 슬릿을 가진 내통을 축방향 이동할 수 없고 자유로이 회전은 할 수 있게 끼우고,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개방 나선홈에 걸려지게 하는 돌출부를 가진 봉상물 받침대를 상기 내통에 삽입하고, 상기 내통에 삽입된 봉상물의 단부가 상기 봉상물 받침대에 형성된 받침부에 설치되는 봉상물 조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봉상물 받침대는, 일단 측에 상기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봉상물에 연통하는 관통구멍이 축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1 슬라이더의 타단 측에 축방향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제2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가 상기 받침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에 설치된 상기 봉상물의 단부에 선단이 닿도록 설치되고서, 상기 관통구멍에 삽통되는 돌출 핀을 구비하되,
    상기 제2 슬라이더를 상기 받침부로부터 떨어지도록 밀어붙이는 부세수단과, 상기 제2 슬라이더가 상기 받침부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상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간방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부세수단이,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사이의 상기 돌출 핀 주위에 나선모양으로 감겨진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 조출용기.
  8. 제1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20°로 교차하는 2개의 협지면을 각각 가진 6개의 돌기에 의해 상기 받침부가 구성되고, 상기 6개의 돌기는 각각의 상기 2개의 협지면에 의해 6각별이 형성되도록 상기 2개의 협지면의 꼭지각을 중심으로 향해 동일 원주상에 등각도로 배치된 봉상물 조출용기.
  9. 삭제
KR1020090020640A 2008-03-25 2009-03-11 봉상물 조출용기 KR101540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78975 2008-03-25
JP2008078975A JP5137650B2 (ja) 2008-03-25 2008-03-25 棒状物繰り出し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643A KR20090102643A (ko) 2009-09-30
KR101540478B1 true KR101540478B1 (ko) 2015-07-29

Family

ID=4115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640A KR101540478B1 (ko) 2008-03-25 2009-03-11 봉상물 조출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37650B2 (ko)
KR (1) KR101540478B1 (ko)
CN (1) CN1015496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2490A (zh) * 2010-10-13 2012-05-09 赖元东 环保美瓶子
GB201306560D0 (en) * 2013-04-11 2013-05-22 Woolman Daniel Lint removing device
CN103754019B (zh) * 2013-12-25 2015-12-30 宁波江北瑞臣工艺品设计有限公司 防止儿童开启的安全笔
CN105270062B (zh) * 2014-10-30 2017-01-04 海门江海建设投资有限公司 一种具有防尘功效的黑板擦
CN106313947B (zh) * 2016-08-29 2017-11-14 彭展忠 带有加湿装置的环保无尘教具
CN106218272B (zh) * 2016-08-29 2017-12-22 彭展忠 教学用收尘装置
CN109228737A (zh) * 2018-09-11 2019-01-18 安徽潜源教学设备有限公司 一种教学用粉笔夹
CN109177611A (zh) * 2018-09-18 2019-01-11 徐州东宁胶业有限公司 一种带写字笔的固体胶棒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187U (ja) * 1993-12-28 1995-07-18 株式会社壽 棒状物繰り出し具
JP2001270284A (ja) * 2000-03-27 2001-10-02 Pilot Precision Co Ltd 棒状部材繰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7212078U (zh) * 1987-08-19 1988-06-08 罗锡朋 粉笔笔套
JP2540978Y2 (ja) * 1991-12-27 1997-07-09 株式会社壽 棒状物繰出し装置
CN2115897U (zh) * 1992-01-02 1992-09-16 株式会社寿 旋转式笔具
JPH0825878A (ja) * 1994-07-20 1996-01-30 Kotobuki:Kk 棒状物繰り出し具
JPH0995087A (ja) * 1995-09-28 1997-04-08 Kotobuki:Kk 棒状物回転繰り出し具
JP4476696B2 (ja) * 2004-05-25 2010-06-09 株式会社壽 複合筆記具
CN200976929Y (zh) * 2006-07-01 2007-11-21 朱升尧 一种螺旋唇膏管
JP2008173912A (ja) * 2007-01-22 2008-07-31 Pilot Corporation ノック式筆記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187U (ja) * 1993-12-28 1995-07-18 株式会社壽 棒状物繰り出し具
JP2001270284A (ja) * 2000-03-27 2001-10-02 Pilot Precision Co Ltd 棒状部材繰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49608A (zh) 2009-10-07
CN101549608B (zh) 2013-04-17
JP2009233862A (ja) 2009-10-15
JP5137650B2 (ja) 2013-02-06
KR20090102643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478B1 (ko) 봉상물 조출용기
US9539848B2 (en) Writing instrument having a movable protective sleeve
WO2020135024A1 (zh) 一种自扭转延伸卡扣笔
JPH02104369A (ja) 複合シリンジ−針シールド装置
KR101881665B1 (ko) 조출 펜슬
WO2007111544A1 (en) End plug for a paper roll
JPH0675784U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
US5879093A (en) Mechanism for feeding stick type cosmetic materials, container employing the same and cartridge employed therein
KR20170063381A (ko) 조출 펜슬
US4218154A (en) Writing instrument with self-closure
US6264389B1 (en) Convertible writing instrument
KR100767530B1 (ko) 봉상물 조출용기
US4678356A (en) Extendable writing instrument
AU760880B2 (en) Positive engagement-disengagement catheter sleeve
US20070204416A1 (en) Particulate remover with rotating barrel and cover
RU22500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бора крови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 убираемой канюлей
US20150003887A1 (en) Upper pen tube structure for pen
US2782762A (en) Snap-action cap for fountain pen or the like
JP2014223273A (ja) オブチュレーター
JP4427678B2 (ja) 化粧品収納容器
EP2191740B1 (en) Container for propelling cosmetic pencils, process for assembling such container and propelling cosmetic pencil
JP2010104337A (ja) 釣竿ケース
JP2019202497A (ja) 回転式繰り出し機構
US5890827A (en) Bar extruding implement with ejector
JP3895591B2 (ja) 釣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