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530B1 - 봉상물 조출용기 - Google Patents

봉상물 조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530B1
KR100767530B1 KR1020060109006A KR20060109006A KR100767530B1 KR 100767530 B1 KR100767530 B1 KR 100767530B1 KR 1020060109006 A KR1020060109006 A KR 1020060109006A KR 20060109006 A KR20060109006 A KR 20060109006A KR 100767530 B1 KR100767530 B1 KR 100767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elastic body
outer cylinder
inner cylind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6389A (ko
Inventor
히데헤이 카게야마
타다시 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20070076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8Clips combined with means for propelling, projecting or retracting the wri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3/00Drawing instruments, or writing or drawing appliance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43L19/0068Hand-held holders
    • B43L19/0075Hand-held holders of the pencil type
    • B43L19/0081Hand-held holders of the pencil type of the mechanical pencil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45D2040/207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the relative movement being made by an axial action, e.g. by push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0Casings wherein a spring presses the lipstick or like solid into the position for use or into the retract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Clips For Writ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봉상물을 조출하고 끌어들일 수 있는 봉상물 조출용기에서, 가는 직경으로 할 수 있고, 저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외통(12) 내에 내통(14)이 자유로이 미끄럼이동해서 끼워져, 내통(14)의 선단부에 봉상물(24)을 보유지지하는 척편(18)이 설치되고, 척편(18)과 외통(12) 사이에 척링(20)이 끼워져 있고, 외통(12)의 내주면의 원주방향 일부에 탄성체받침부(12e)가 형성되고, 내통(14)의 외주면의 원주방향 일부에 제2탄성체받침부(14e)가 형성되어, 코일스프링(16)이 탄성체받침부(12e)와 제2탄성체받침부(14e) 사이에서 외통(12) 및 내통(14)의 원주방향 일부에 설치되어, 내통(14)을 외통(12)에 대해 후방으로 밀어붙이게 된다.

Description

봉상물 조출용기 {Rod article feeding-out mechanism}
도 1은, 본 발명의 봉상물 조출용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봉상물 조출용기의 전체 사시도,
도 3의 (a)는 외통의 종단면도이고, (b)는 (a)의 3b선 화살표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c)는 (a)의 3c-3c 선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내통의 뒤쪽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
도 5의 (a)는 내통의 종단면도이고, (b)는 (a)의 5b선 화살표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1의 6-6선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
도 7의 (a)는 척링의 뒤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b)는 척링의 앞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은, 척링의 종단면도,
도 9의 (a)는 도 1의 9-9선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고, (b)는 노크시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10-10선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봉상물 조출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뒷부분 종단면도이고, (b)는 (a)의 화살표 11b를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 - - - - 봉상물 조출용기 12 - - - - 외통
12d - - - - 탄성체수납부 12e - - - - 탄성체받침부
14 - - - - 내통 14b - - - - 클립
14d - - - - 제2탄성체수납부)
14e - - - - 제2탄성체받침부)
16 - - - - 코일스프링 18 - - - - 척편
20 - - - - 척링 24 - - - - 봉상물
본 발명은 봉상(棒狀)의 지우개고무, 연필심, 크레용 심, 파스텔 심, 눈썹연필심 등의 봉상물을 조출 및 끌어들일 수 있는 봉상물 조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봉상물 조출용기로는, 일본국 실공평3-44552호 공보 또는 일본국 실공평5-1426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문헌에 기재된 봉상물 조출용기는, 외통 내에 내통이 자유로이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끼워지고서, 내통과 외통 사이에 내통을 후방으로 밀어붙이는 탄성체가 설치되고, 내통의 선단부에는 봉상물을 보유지지하는 척편이 설치되고, 척편과 외통 사이에는 척링이 끼워져, 내통을 전후로 미끄럼이동시켜줌으로써 봉상물을 조출하거나 끌어들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봉상물 조출용기에서는, 탄성체가 내통의 외주에 감겨진 코일스프링으로 되어 있는바, 코일스프링이, 외통의 내주 상에 형성된 스프링 베어링(spring bearing)과 내통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프링 베어링 사이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봉상물 조출용기에서는, 탄성체가 내통의 외주 바깥쪽을 감고 있기 때문에, 그 탄성체가 점유하는 분만큼 외통의 외경이 커지게 되어, 봉상물 조출용기의 외경을 가늘게 할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봉상물 및 내통의 횡단면 외부형상이 원형인 경우에는, 통상적인 코일스프링을 탄성체로서 사용할 수가 있으나, 봉상물 및 내통의 횡단면 외부형상이 원형이 아닌 경우에는, 내통의 외주 바깥쪽에 스프링이 말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탄성체의 횡단면 형상도 내통의 형상에 맞춰져야만 한다. 그 때문에, 탄성체의 형상이 특별해지게 되어 제조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가는 직경으로 할 수가 있고, 저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는 봉상물 조출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외통 내에 내통이 자유로이 미끄럼이동하도록 끼워지고서, 내통과 외통 사이에 내통을 후방으로 밀어붙이는 탄성체가 설치되고, 내통의 선단부에는 봉상물을 보유지 지하는 척편이 설치되고, 척편과 외통 사이에는 척링이 끼워져, 내통을 전후로 미끄럼이동시켜줌으로써, 봉상물을 조출하거나 끌어들일 수 있는 봉상물 조출용기에서, 상기 탄성체가, 외통 및 내통의 각각 원주방향의 대응하는 일부의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에서, 상기 외통의 주면의 원주방향 일부에 탄성체받침부가 설치되고, 상기 내통의 주면의 원주방향의 일부에 제2탄성체받침부가 설치되되, 탄성체가 상기 탄성체받침부와 제2탄성체받침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것에서, 상기 외통의 주면의 원주방향 일부에 탄성체수납부가 설치되고, 상기 내통의 주면의 원주방향 일부에 제2탄성체수납부가 설치되되, 탄성체가 상기 탄성체수납부와 제2탄성체수납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탄성체가, 봉상물의 횡단면 외부형상보다도 작은 횡단면 외부형상을 가진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탄성체가 봉상물 조출용기의 뒷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내통에 외통의 바깥쪽에서 외통을 따라 뻗은 클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가 이 클립과 대향하는 원주방향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체가 외통 및 내통의 각각의 원주방향의 대응하는 일부의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탄성체가 내통의 외주 바깥쪽의 전체 주위에 걸쳐 설치되는 종래 구성에 비해, 봉상물 조출용기의 외경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또, 탄성체는, 내통 또는 외통의 횡단면 형상과는 무관한 형상으로 할 수가 있기 때문에, 범용의 염가의 형상으로 된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외통의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일부의 위치의 수는 1곳에 한하지 않고, 여러 곳으로 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외통의 탄성체받침부 및 내통의 제2탄성체받침부를 외통 및 내통의 전체 주위에 걸쳐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의 구성과 비교해서 봉상물 조출용기의 외경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외통의 탄성체수납부 및 내통의 제2탄성체수납부를 외통 및 내통의 전체 주위에 걸쳐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 구성과 비교해서 봉상물 조출용기의 외경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탄성체로서 작은 코일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취급이 용이하고 염가로 할 수 있으며, 종래의 구성과 비교해서 봉상물 조출용기의 외경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탄성체가 봉상물 조출용기의 뒷부분에 설치됨으로써, 봉상물 조출용기의 앞부분의 봉상물 보유지지를 위한 부품 등이 설치되는 부분의 공간에 여유를 갖도록 할 수가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탄성체가 점유하는 수납부분을 클립에 의 해 눈에 띄지 않게 할 수가 있다. 또, 탄성체가 외통에 의해 완전히 가려져 있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클립에 의해 덮여져 가려질 수가 있기 때문에,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이용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봉상물 조출용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봉상물 조출용기(10)는 외통(12)과, 이 외통(12) 내에 자유로이 미끄럼이동해서 끼워지는 내통(14)을 구비하고 있다. 외통(12) 및 내통(14)의 각 외주면 및 내주면의 횡단면 형상은, 뒤에 설명되는 봉상물(24)의 횡단면 형상에 맞춰 삼각형으로 되어 있고, 주가 되는 변을 구성하는 3변을 구비하고 있다. 단, 당해 횡단면 형상은 반드시 수학적으로 정확한 3각형이어야 할 필요는 없고, 각 변은 직선이 아닌 곡률이 작은 곡선이어도 좋다.
외통(12)의 선단부의 내주면에는,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횡단면 형상인 삼각형의 변에 대응하는 부분에 빠짐방지용 리브(12a)와 횡단면 형상의 삼각형의 정점에 대응하는 부분에 봉상물끼움용 리브(12b)가 형성되어 있는바, 각 리브(12a, 12b)는 축 중심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외통(12)의 후단부의 상부에는, 도 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단부로부터 뻗은 슬릿(12c)이 형성되어 있고, 슬릿(12c)의 뒷부분의 입구는 협소부로 되어 있다. 또, 도 3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통(12)의 후단부의 하부는 다른 부분 과 비교해서 두껍게 되어 있고, 그 두꺼운 부분에 대략 반원형의 단면형상을 이룬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은, 뒤에 설명되는 탄성체인 코일스프링(16)을 위한 탄성체수납부(12d)를 구성한다. 그리고, 탄성체수납부(12d)의 전단부에 있는 홈 벽면은 탄성체받침부(12e)를 구성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통(14)의 뒷부분의 상부의 주면에는 돌기(14c)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 돌기(14c)는 외통(12)의 상기 슬릿(12c)의 협소부로부터 밀어넣어져 슬릿(12c)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그리고, 내통(14)의 후단부는 외통(12)의 후단으로부터 돌출해 있는바, 이 돌출부분은 노크부(14a)를 구성하고, 노크부(14a)에는 클립(14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클립(14b)은 외통(12)의 바깥쪽을 따라 뻗어 있다.
내통(14)의 뒷부분의 하부는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껍게 되어 있는바, 이 부분은 뒤에 설명되는 탄성체인 코일스프링(16)을 위한 제2탄성체수납부(14d)를 구성한다. 그리고, 제2탄성체수납부(14d)의 후단부에는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탄성체받침부(14e)가 형성되어 있다.
내통(14)의 선단부에는, 3개의 척편(18, 18, 18)이 설치되고, 각 척편(18)의 두부(18a)는 외통(1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척편(18)은 봉상물(24)의 횡단면 삼각형의 변의 중앙부분에 대응해서 배치되어 있다(도 10 참조). 또, 복수의 척편(18)은, 본래 상호 축방향 중심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넓혀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외통(12)의 탄성체수납부(12d)와 내통(14)의 제2탄성체수납부(14d)는, 그 원주방향 위치가 정합(整合)해서 상호 대향하고 있는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들 탄성체수납부(12d)와 제2탄성체수납부(14d)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탄성체인 코일스프링(16)이 배치되어 있다. 코일스프링(16)의 전단은 외통(12)의 탄성체받침부(12e)에 닿게 되고, 코일스프링(16)의 후단은 내통(14)의 제2탄성체받침부(14e)에 닿게 된다. 이렇게 해서 코일스프링(16)은 탄성체받침부(12e)와 제2탄성체받침부(14e) 사이에 끼워져 내통(14)을 외통(12)에 대해 후방으로 항상 밀어붙이고 있다. 코일스프링(16)은 그 횡단면 형상이 원형의 범용의 코일스프링으로 되어 있다.
척편(18)과 외통(12) 사이에는 척링(20)이 끼워지게 된다. 척링(20)의 본체(20a)는, 그 외주면 및 내주면의 각각의 횡단면 형상이 3각형으로서, 봉상물(24)의 횡단면 형상에 맞춰 삼각형으로 되어 있는바, 주된 변을 구성하는 3변을 구비하고 있다. 단, 여기서도 횡단면 형상은 반드시 수학적으로 정확한 3각형으로 될 필요는 없고, 각 변은 직선이 아닌 곡률이 작은 곡선이어도 좋다.
본체(20a)의 일부는 외통(12)의 전방 바깥쪽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본체(20a)의 후단부로부터는 외통(12)에 대해 미끄럼이동가능하고 외통(12)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20b, 20b)가 외통(12) 내로 뻗어 있다. 각 걸림부(20b)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향하는 갈고리 모양의 두부를 가진 1쌍의 훅편(hook;20c, 20c)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20b)의 훅편(20c, 20c)은, 외통(12)의 상기 빠짐방지용 리브(12a)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안내되고, 빠짐방지용 리브(12a)의 확대된 두부에 훅 편(20c, 20c)이 걸려지면, 그 이상의 척링(20)의 전진이 저지되어, 외통(12)이 전방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척링(20)의 본체(20a)의 선단부에는 전방 및 축 중심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 각부(角部;20d, 20d, 20d)가 형성되어 있어서, 통상시에는 인접하는 돌출 각부(20d)의 사이에 척편(18)의 두부(18a)가 끼어들어가 있고, 코일스프링(16)에 의해 후방으로 밀어붙여지는 척편(18)의 두부(18a)는 본체(20a)에 의해 후방변위가 저지됨과 더불어, 축방향 중심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넓혀지는 것이 저지된다.
외통(12) 및 내통(14) 내에는 횡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된 삼각 기둥의 봉상 지우개고무인 봉상물(24)이 수납된다. 따라서, 봉상물(24)의 주면에는 복수의 능선이 형성되어 있다. 봉상물(24)은, 외통(12) 내에서 횡단면 삼각형의 정점에 대응하는 부분이 봉상물끼움용 리브(12b)에 접촉하고 있다(도 10 참조).
이상과 같이 구성된 봉상물 조출용기(10)에서, 통상시에는 척편(18)의 두부(18a)가 척링(20)에 의해 그 넓혀짐이 저지되어 있기 때문에, 각 척편(18)이 봉상물(24) 횡단면인 삼각형상의 변 중앙부분에 닿아, 봉상물(24)을 압압하고 있다. 즉, 척편(18)은 봉상물(24)의 평면부분에 닿아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봉상물(24)을 보유지지할 수가 있고, 그에 따라 봉상물(24)은 그 이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외통(12)을 손으로 잡고서, 척편(18)에 의해 조여진 부분보다 전방에 있는 봉상물(24)의 부분을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봉상물(24)의 선단은 사용에 수반해서 소모되어 둥글게 되어 가지만, 봉상 물(24)의 주면에서는 삼각형의 정점에 대응하는 능선이 있기 때문에, 능선을 이용해서 가는 부분의 소거작업을 실행할 수가 있다.
봉상물(24)을 다시 조출하고 싶을 때에는 노크부(14a)를 노크한다. 이에 의해 척편(18) 및 봉상물(24)이 전진해서, 척편(18)과의 마찰에 의해 척링(20)도 동시에 전진하게 된다. 그러나, 척링(20)은 그 훅편(20c)이 빠짐방지용 리브(12b)의 두부에 닿기까지의 사이밖에 이동할 수 없어서, 두부에 접하면 그 이상은 전진할 수가 없기 때문에 척편(18)만 전진하게 된다. 이때, 척편(18)은 척링(20)의 돌출 각부(20d)의 사이를 통과해 가지만, 인접하는 척편(18)끼리의 간극의 크기가 후방에서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 각부(20d)에 의해 척편(18)이 본래의 상호 축방향 중심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넓혀지도록 강제 당한다. 이에 따라, 봉상물(24)은 척편(18)의 조여짐으로부터 해방된다. 그리고, 노크부(14a)의 노크를 해제하면, 척편(18)은 코일스프링(16)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후퇴해서 초기위치로 되돌려진다. 이때, 척편(18)이 척링(20)에 의해 조이는 힘을 발휘하기까지, 봉상물(24)은 외통(12)의 봉상물끼움용 리브(12b)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전진한 위치에서 보유지지된다. 이 일련의 조작에 의해, 봉상물(24)은 척링(20)의 걸림부(20b)가 외통(12)에 대해 미끄럼이동하는 길이에 대략 대응하는 길이 분만큼 조출된다.
또, 조출된 봉상물(24)을 끌어들이려면, 노크부(14a)를 노크하여, 봉상물(24)을 척편(18)의 조여짐으로부터 해방한 상태로 해서, 봉상물(24)을 후방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실행할 수가 있다.
코일스프링(16)은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되고, 그 직경이 작은 범용의 코일스 프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고 값이 싸다. 그리고, 외통(12) 및 내통(14)의 각각의 원주방향의 대응하는 일부 위치에 코일스프링(16)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봉상물 조출용기(10)의 전체적인 외경을 가는 직경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코일스프링(16)이 봉상물 조출용기(10)의 뒷부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봉상물 조출용기(10) 앞부분의 척편(18)이나 리브(12a, 12b) 등의 부품이 설치되는 부분의 공간에 여유를 갖도록 할 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봉상물의 횡단면 형상이 정삼각형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횡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된 통상적인 봉상물이어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 봉상물의 횡단면 형상이 임의의 삼각형 또는 사각형 이상의 임의의 다각형으로 할 수가 있고, 외통, 내통, 척링 중의 적어도 1개 부재의 형상도 봉상물의 다각형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할 수가 있다. 봉상물(24)의 능선의 수가 증가함으로써 각부의 수가 증가해서, 한층 더 섬세한 작업에 적합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봉상물이 어떠한 형상이어도, 코일스프링(16)은 그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코일스프링(16)의 배치위치가 봉상물 조출용기(10)의 뒷부분으로 되어 있으나, 그에 한하지 않고, 중간부 또는 앞부분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도 1의 예에서는 코일스프링(16)을 내통(14)의 클립(14b)과는 원주방향 반대측 위치에 설치하였으나,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코일스프링(16)의 원주방향 위치를 내통(14)의 클립(14b)의 원주방향 위치와 대략 같은 위치로 해서, 클립(14b)과 대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1의 (b)에 도시된 것과 같 이, 외통(12)의 탄성체수납부(12d)는 도 1의 외통(12)의 슬릿(12c)의 기능을 겸하고, 내통(14)의 제2탄성체받침부(14e)는 도 1의 내통(14)의 돌기(14c)의 기능을 겸할 수가 있다. 외통(12)에는, 탄성체수납부(12d)로부터 뒷부분에 계속되어 폭이 좁혀진 협소부(12f) 및 이 협소부(12f)로부터 후단을 향해 점차 폭이 넓혀진 테이퍼부(12g)가 형성되어 있다. 내통(14)을 외통(12) 내에 삽입할 때에는, 제2탄성체받침부(14e)가 테이퍼부(12g)에서부터 삽입되어, 협소부(12f)를 빠져나가 탄성체수납부(12d) 내로 밀려들어간다. 이에 따라 제2탄성체받침부(14e)가 협소부(12f)로부터 다시 빠져나오기가 곤란해져, 코일스프링(16)도 탄성체수납부(12d) 및 제2탄성체수납부(14d)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보유지지되게 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코일스프링(16)이 외통(12)에 의해 완전히 가려져 있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클립(14b)에 의해 덮여져 가려지기 때문에, 외관을 악화시키지는 않는다. 또, 탄성체수납부(12d) 및 제2탄성체수납부(14d)에 의한 수납부의 두께를 클립(14b)에 의해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코일스프링(16)의 개수가 1개이나, 이에 한하지 않고, 원주방향으로 떨어져 복수의 탄성체수납부(12d, 14d), 탄성체받침부(12e, 14e) 및 스프링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코일스프링(16)의 개수에 대응해서 비용은 상승하지만, 염가의 범용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가 있게 된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코일스프링(16)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범용의 판스프링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외통(12)을 투명한 부재로 해서, 적극적으로 코일스프링(16)을 바깥에서 볼 수 있도록 해서, 코일스프링(16)을 디자인의 일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코일스프링(16)을 임의의 착색된 스프링으로 함으로써, 디자인 상의 변화를 거둘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체가 외통 및 내통의 각각의 원주방향의 대응하는 일부의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탄성체가 내통의 외주 바깥쪽의 전체 주위에 걸쳐 설치되는 종래의 구성에 비해, 봉상물 조출용기의 외경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또, 탄성체는, 내통 또는 외통의 횡단면 형상과는 무관한 형상으로 할 수가 있기 때문에, 범용의 염가의 형상으로 된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외통의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일부의 위치의 수는 1곳에 한하지 않고, 여러 곳으로 할 수가 있다.

Claims (6)

  1. 외통 내에 내통이 자유로이 미끄럼이동하여 끼워지고서, 내통과 외통 사이에 내통을 후방으로 밀어붙이는 탄성체가 설치되고, 내통의 선단부에 봉상물을 보유지지하는 척편이 설치되고, 척편과 외통 사이에 척링이 끼워져, 내통을 전후로 미끄럼이동시켜줌으로써, 봉상물을 조출하고 끌어들일 수 있도록 된 봉상물 조출용기에서,
    상기 탄성체가, 외통 및 내통의 각각의 원주방향의 대응하는 일부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 조출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주면의 원주방향의 일부에 탄성체받침부가 설치되고, 상기 내통의 주면의 원주방향의 일부에 제2탄성체받침부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체가 상기 탄성체받침부와 제2탄성체받침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 조출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주면의 원주방향의 일부에 탄성체수납부가 설치되고, 상기 내통의 주면의 원주방향 일부에 제2탄성체수납부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체가 상기 탄성체수납부와 제2탄성체수납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 조출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가, 봉상물의 횡단면 외부형상보다도 작은 횡단면 외부형상을 가진 코일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 조출용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가 봉상물 조출용기의 뒷부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 조출용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에는 외통의 바깥쪽에서 외통을 따라 뻗은 클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는 이 클립과 대향하는 원주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 조출용기.
KR1020060109006A 2006-01-13 2006-11-06 봉상물 조출용기 KR100767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06532A JP4750560B2 (ja) 2006-01-13 2006-01-13 棒状物繰り出し容器
JPJP-P-2006-00006532 2006-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389A KR20070076389A (ko) 2007-07-24
KR100767530B1 true KR100767530B1 (ko) 2007-10-17

Family

ID=3798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006A KR100767530B1 (ko) 2006-01-13 2006-11-06 봉상물 조출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78726B2 (ko)
EP (1) EP1808308B1 (ko)
JP (1) JP4750560B2 (ko)
KR (1) KR100767530B1 (ko)
CN (1) CN100593986C (ko)
ES (1) ES2690668T3 (ko)
MX (1) MX2007000499A (ko)
TW (1) TWI4011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9931B2 (ja) * 2007-04-03 2012-11-07 株式会社壽 棒状物繰り出し容器
FR3005557B1 (fr) * 2013-05-16 2015-06-05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cosmetique
CN104175750B (zh) * 2014-08-26 2016-08-24 罗雪松 多功能气动粉笔笔
FR3039973A1 (fr) * 2015-08-13 2017-02-17 Axilone Plastique Suretui pour produit cosmetique a poussoir, emballage comprenant un tel suretui et produit emballe dans un tel emballage
FR3039974B1 (fr) * 2015-08-13 2017-09-15 Axilone Plastique Suretui pour produit cosmetique a poussoir, emballage comprenant un tel suretui et produit emballe dans un tel emballage
CN112009144A (zh) * 2020-08-14 2020-12-01 安徽瀚洋旅游用品有限公司 一种文具中的伸缩机构及带有这种机构的文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4982U (ko) 1987-02-23 1988-09-05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7264C (de) * 1921-08-11 1923-12-28 Edmund Moster & Co A G Schreibstift mit unter Federwirkung stehendem, verschiebbarem Minentraeger
CH209366A (de) 1938-05-14 1940-04-15 Koh I Noor Bleistiftfabrik L & Druckfüllbleistift.
US2652029A (en) * 1952-08-29 1953-09-15 Earl H Metealf Refillable eraser device
GB2131355B (en) * 1982-12-08 1986-03-19 Gillette Co Marking instrument
MX168765B (es) 1987-02-23 1993-06-07 Kotobuki & Co Ltd Contenedor de extraccion operativa de articulos en forma de barra
JPH02117198U (ko) * 1989-03-07 1990-09-19
JP2510289B2 (ja) 1989-07-12 1996-06-26 株式会社クボタ マルチチャンネル渦流探傷装置
JPH0323493U (ko) * 1989-07-14 1991-03-12
JP2541897Y2 (ja) * 1990-07-13 1997-07-23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ツク式化粧料容器
JP2524411Y2 (ja) * 1990-11-13 1997-01-29 株式会社壽 棒状物繰り出し容器
JP2868928B2 (ja) 1991-06-24 1999-03-10 日之出水道機器株式会社 地下構造物用蓋受枠の設置用内型枠及び受枠の設置方法
JP2562933Y2 (ja) * 1991-07-23 1998-02-16 株式会社壽 棒状物繰り出し容器
US5362166A (en) * 1993-06-28 1994-11-08 Kotobuki & Co., Ltd. Flat stick-shaped material propelling container
US20040047669A1 (en) * 2002-09-06 2004-03-11 David Lo Side knock or end knock mechanical pencil for thick lead
JP2006056152A (ja) * 2004-08-20 2006-03-02 Liberty Japan Kk 棒状体用のノック繰り出し式ホルダー
TWM275963U (en) * 2005-01-12 2005-09-21 Sense Creative Products Ltd Press and sliding pen recepta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4982U (ko) 1987-02-23 1988-09-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50560B2 (ja) 2011-08-17
EP1808308B1 (en) 2018-08-15
MX2007000499A (es) 2008-11-26
US20070248397A1 (en) 2007-10-25
CN100999170A (zh) 2007-07-18
TW200726660A (en) 2007-07-16
EP1808308A1 (en) 2007-07-18
US7878726B2 (en) 2011-02-01
KR20070076389A (ko) 2007-07-24
TWI401166B (zh) 2013-07-11
JP2007185881A (ja) 2007-07-26
CN100593986C (zh) 2010-03-17
ES2690668T3 (es)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530B1 (ko) 봉상물 조출용기
US4580919A (en) Flexible pen with sliding sleeve
JP4794482B2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
JPH0675784U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
KR100886222B1 (ko) 봉상물 조출용기
JP4580822B2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
JP4853944B2 (ja) 化粧材繰出容器
JP5066030B2 (ja) 多芯筆記具
EP0850784A2 (en) Container with means for selectively extending and retracting a substantially stick-shaped object
US3125993A (en) Writing implement
JP5540488B2 (ja) 筆記具
JP5216474B2 (ja) 多芯筆記具
JP7265938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7195206B2 (ja) 筆記具
JPH07285291A (ja) 芯体繰り出し具
JP2018192677A (ja) 誤動作防止機能付きノック式筆記具
JP2010042641A (ja) 多芯筆記具
JP5154279B2 (ja) 棒状部材繰出容器
KR880003396Y1 (ko) 샤아프 펜슬
JPH04104494U (ja) 棒状物繰り出し装置
JP2000062388A (ja) 多芯筆記具
JP2005067099A (ja) 棒状体繰り出し装置
JP2003246185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H09285654A (ja) カッタ−
JPS60127197A (ja) 自動繰出式シヤ−プペンシ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