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126B1 - 액체 재료 토출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재료 토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126B1
KR101395126B1 KR1020097010210A KR20097010210A KR101395126B1 KR 101395126 B1 KR101395126 B1 KR 101395126B1 KR 1020097010210 A KR1020097010210 A KR 1020097010210A KR 20097010210 A KR20097010210 A KR 20097010210A KR 101395126 B1 KR101395126 B1 KR 101395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iquid
main body
screw
liqui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6411A (ko
Inventor
가즈마사 이쿠시마
Original Assignee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6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액부(接液部)만을 본체부로부터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노즐 및 저류 용기가 직접 또는 간접으로 고정 설치된 하우징 및 하우징에 삽입 장착되는 토출용 부재를 가지는 접액부와, 하우징이 장착되는 홀딩부 및 토출용 부재를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지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로서, 토출용 부재와 구동부를 연결 부재에 의해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또한 하우징과 홀딩부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접액부와 본체부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이다.
접액부, 액체 재료, 토출 장치, 하우징, 구동부, 본체부, 홀딩부

Description

액체 재료 토출 장치{LIQUID MATERIAL DELIVERY APPARATUS}
본 발명은, 액체를 정량으로 토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액부(接液部)와 본체부를 분리 또는 결합하는 기구를 가지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토출」이란, 액체 재료가 토출부로부터 배출되기 전에 공작물에 접촉하는 타입의 토출 방식, 및 액체 재료가 토출부로부터 배출된 후에 공작물에 접촉되는 타입의 토출 방식을 포함하는 것이다.
기판 상에 접착제 등의 액체 재료를 토출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봉형체(棒形體) 표면의 축방향으로 나선형으로 날개가 형성된 스크루를 회전시키고, 이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날개가 액체 재료를 반송(搬送)하여 액체를 토출하는 방법이 스크루식으로서 알려져 있고, 특히, 고점성 액체 재료나 필러를 함유하는 액체 재료를 토출하는 것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스크루식의 토출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고점성 유체(流體)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고점성 유체를 토출하는 노즐과, 이들 공급 장치와 토출 노즐 사이에 설치되고,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고점성 유체를 토출 노즐로 보내는 펌프와, 그 펌프를 제어함으로써 토출 노즐로부터의 고점성 유체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펌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가 있다(특허 문헌 1).
보다 구체적으로는, 펌프는 단면 형상이 원형인 스크루 룸을 구비한 스크루 하우징과, 그 스크루 하우징 내에 대략 기밀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루를 포함하고, 펌프 제어 장치는 펌프 하우징과 스크루를 상대 회전시키는 펌프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토출 노즐은 스크루 펌프의 일단으로부터 같은 축으로 연장되게 하고, 공급 장치는 고점성 유체를 가압하여 스크루 펌프에 공급하는 가압식 공급 장치이다.
또한, 본원 출원인이 제안한 토출 장치로서는, 실린더 표면에 선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향해 나선형의 날개를 구비한 스크루와,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액체 재료가 공급되는 액재(液材) 유입구 및 스크루가 관통하는 스크루 관통공 및 스크루의 토출구 측 선단을 덮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본체와, 하우징의 선단에 장착되고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된 노즐로 구성되며,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액재를 토출하는 스크루식 토출 장치에 있어서, 스크루와 하우징 내벽면에 간극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재료의 토출 장치가 있다(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2-23943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2-326715호 공보
액체 재료 토출 장치는, 액체 재료 유로의 일부 내지 전부가 모터 등을 고정시키는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즉, 액체 재료에 직접 접하는 부분(접액부)과 직접 접하지 않는 부분이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으므로, 전자에 대하여 작업을 행할 때, 후자에게까지 작업이 미치는 경우가 있고, 작업에 따른 분해 및 조립에 다수의 공정수가 소요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그런데, 액체 재료 토출 장치는, 공작물에 원하는 패턴을 도포하기 위해, 공작물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기 위한 자동기(XY 로봇)에 장착되는 것이 통상이다. 여기서, 액체 재료나 노즐이라는 소모품의 교환 작업이나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때는, 부품이 낙하되는 사고도 적어지지 않아, 낙하된 유닛만 아니라 도포 대상물이나 구동부에도 손상을 주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접액부만을 본체부로부터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는, 정기적으로 유지보수 작업이 필요한 노즐, 저류 용기 및 토출용 부재를 하우징을 통하여 일체적으로 구성한 접액부를 설치하고, 접액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접액부만을 본체부로부터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즉, 제1 발명은, 노즐 및 저류 용기가 직접 또는 간접으로 고정 설치된 하우징 및 하우징에 삽입 장착되는 토출용 부재를 가지는 접액부와, 하우징이 장착되는 홀딩부 및 토출용 부재를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지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로서, 토출용 부재와 구동부를 연결 부재에 의해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또한 하우징과 홀딩부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접액부와 본체부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이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홀딩부는 하우징이 장착된 상태로 승강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은, 제1 또는 제2의 발명에 있어서, 홀딩부는 복수 개의 가이드 핀을 가지고, 하우징은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구멍을 가지고, 하우징은 홀딩부의 개구부에 수평 이동하여 장착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발명은, 제1 또는 제2의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은 그 측면에 철부(凸部) 또는 요부(凹部)를 가지고, 홀딩부는 하우징이 삽입되는 개구부와, 하우징의 철부 또는 요부와 끼워맞추어지는 요부 또는 철부를 개구부의 내측면에 가지고, 하우징은 홀딩부의 개구부에 수평 이동하여 장착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발명은, 제1 내지 제4의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토출용 부재의 단부는 다각형상이며, 연결용 부재는 토출용 부재의 단부가 끼워맞추어지는 다각형상의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발명은, 제1 내지 제5의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접액부와 본체부를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액부만을 본체부로부터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접액부와 본체부의 결합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커플링과 스크루의 결합 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홀더 부분의 일부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접액부의 분리 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접액부의 분리 시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접액부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접액부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2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서의 접액부와 본체부의 결합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3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3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서의 접액부와 본체부의 결합 부분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4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의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4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서의 접액부와 본체부의 결합 부분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접액부
2: 스크루
3: 하우징
4: 노즐
5: 저류 용기(시린지)
6: 본체부
7: 구동부
8: 컵 링
9: 홀더
10: 베이스
11: 저류 용기 고정구
12: 어댑터 튜브
13: 접액부 고정 나사
14: 모터
15: 플런저
16: 플런저 이동 수단
17: 플런저 고정구
18: 밸브체
19: 척
201: 축단
301: 돌출부
302: 연장부
303: 나사 구멍
304: 후단부
305: 가이드 구멍
801: 접속 구멍
901: 고정부
902: 홀더 상부 내면
903: 홀더 하부 내면
904: 홀더 상면
905: 나사 구멍
906: 가이드 핀
본 발명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는, 정기적으로 유지보수 작업이 필요한 노즐(4), 저류 용기(5) 및 토출용 부재를 하우징(3)을 통하여 일체적으로 구성한 접액부(1)를 설치하고, 토출용 부재와 구동부(7)를 연결 부재에 의해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하고, 본체부(6)와 하우징(3)을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접액부(1)만을 본체부(6)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스크루식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를 구체예로 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하우징(3)은 그 내부에 노즐(4)과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토출용 부재인 스크루(2)가 삽입된다.
하우징(3)은, 연장부(302)를 가지고, 연장부(302)에 저류 용기(5)를 장착할 수 있다. 연장부(302)는 그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3)에 장착된 노즐(4)과 저류 용기(5)를 연통시킨다. 연장부(302)의 형상 등은 설계 사항이며, 토출 장치의 사양에 맞추어 저류 용기(5)를 임의의 장소에 배치하는 데 적절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체부(6)는, 하우징(3)이 장착되는 홀딩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하우징(3)을 홀딩부에 장착할 때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서 장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딩부에 설치한 슬라이드 부재 등에 의해 하우징(3)을 홀딩함으로써, 접액부(1)의 장착 및 분리 시에 접액부(1)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하우징(3)의 측방에 철부 또는 요부를 형성하고, 이와 대향하는 요부 또는 철부를 홀딩부의 개구부에 형성하고, 이들을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토출용 부재(스크루(2))와 구동부(7)를 접속하기 위해, 접액부(1)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는 것이 상정된다. 그 실현 수단으로서는, 하우징(3)을 홀딩부에 장착한 상태로 상하 가동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구동부(7)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전자의 경우, 하우징(3)의 상하 가동을 가이드하는 공간을 홀딩부 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홀딩부는, 장착된 하우징(3)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 구멍(303 및 905)에 의해 하우징(3)을 고정시킨다.
스크루(2)와 모터 등의 구동 수단이 내장된 구동부(7)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는, 나사 수단 등을 사용하지 않고 연결을 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각형의 모따기를 행한 축단(軸端)(201)과, 축단(201)의 모따기를 행한 단면 형상에 맞춘 형상의 접속 구멍(801)을 끼워맞춤으로써, 나사 수단 등을 사용하지 않고 구동부(7)의 구동을 접액부(1)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예에서, 축단(201)과 접속 구멍(801)의 조합은, 육각형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접액부(1)는, 본체부(6)와 적어도 일정 거리 떨어진 2 이상의 부분에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의 구성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는, 저류 용기(5)와 구동부(7)를 저류 용기 고정구(11)로 고정하고, 하우징(3)을 홀딩부인 홀더(9)로 고정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세를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어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실시예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2는 접액부(1)와 본체부(6)의 결합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노즐(4) 측을 아래쪽 방향, 베이스(10) 측을 내측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의 장치는, 스크루식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로서, 접액부(1)와 본체부(6)를 주된 구성 요소로 한다.
접액부(1)는, 봉형체의 표면에 축방향으로 나선형의 날개를 구비하는 스크루(2)와, 내부에 스크루(2)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3)과, 액체 재료를 토출하는 노즐(4)과, 액체 재료를 저류하는 저류 용기(5)로 구성된다.
본체부(6)는, 스크루(2)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4)(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된 구동부(7)와, 구동부(7)의 회전력을 스크루(2)에 전하는 컵 링(8)과, 하우징(3)을 홀딩하는 홀딩부인 홀더(9)와, 구동부(7)와 홀더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장착하는 베이스(10)로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은, 측면의 평행한 2면에 돌출부(301)를 형성하고 있고, 정면으로부터 보면 대략 T자형을 이루고 있다. 하우징(3)의 하면에는 노즐(4)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3)의 후단부(304)에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연장부(302)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연장부(302)에는 저류 용기(5)가 고정 설치된다.
홀더(9)는 하우징(3)이 장착되는 부재이며, 그 내면은 홀더 상부 내면(902)과 홀더 하부 내면(903)으로 구성된다.
홀더 상부 내면(902)은, 내벽면의 위쪽 부분으로서, 내측 부분은 하우징(3)의 돌출부(301)의 외주를 따른 형상이며, 바로 앞 부분에는 철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홀더(9)에 삽입된 하우징(3)은 내측 부분과 내벽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바로 앞 방향으로의 이동은 후단부(304)가 바로 앞 부분의 철부에 의해 제한된다. 홀더 상부 내면(902)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하우징(3)의 돌출부(301)의 상하 방향의 치수(두께)와 같거나 약간 크게 구성되며, 또한 접 속 구멍(801)의 깊이 이상(내지는 축단(201)의 길이 이상)으로 되도록 구성된다.
홀더 하부 내면(903)은, 홀더 상부 내면(902)의 아래쪽에 인접하는 내벽면의 아래쪽 부분으로서, 내측 부분은 홀더 상부 내면(902)과 동일하게 하우징(3)의 돌출부(301)의 외주를 따른 형상이며, 바로 앞 방향은 돌출부(301)와 대략 같은 폭으로 형성된다. 홀더 하부 내면(903)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하우징(3)의 돌출부(301)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커지도록 구성된다.
홀더(9)의 최하단에는 홀더 하부 내면(903)과 인접하는 대략 U자 형상의 철부인 고정부(901)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901)는 홀더(9)에 하우징(3)을 삽입 및 분리할 때의 레일 수단이 되고, 또한 낙하 방지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홀더(9)의 최상단에는 대략 U자 형상의 절입 즉 커트인(cut-in)이 형성된 상면(904)이 형성된다. 상면(904)은, 하우징(3)을 장착할 때의 수직 방향의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루(2)는 나선형의 날개를 가지고, 구동부(7) 측의 단부로부터 일정한 길이에 걸쳐 측면에 모따기를 행하여 형성된 축단(201)을 가진다. 커플링(8)은 축단(201)의 단면 형상에 맞춘 형상의 접속 구멍(801)을 가진다.
축단(201)을 설치함으로써, 접속 구멍(801)에 축단(201)을 끼워넣는 것만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접액부(1)와 본체부(6)를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다.
《분리 수순》
접액부(1)의 분리 수순을,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저류 용기(5)(이하 「시린지(syringe)(5)」라고 함)와 본체부(6)를 접속하는 저류 용기 고정구(11)를 분리한다. 계속하여, 어댑터 튜브(12)를 시린지(5)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에, 접액부(1)와 본체부(6)를 고정하고 있는 홀더(9)의 측면 2개소의 손잡이 부착 나사(13)를 느슨하게 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의 돌출부(301)가 홀더 상부 내면(902)의 부분으로부터 분리되기까지, 접액부(1)를 홀더 상부 내면(902)을 따라 연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홀더 상부 내면(902)의 상하 방향 치수는, 돌출부(301)의 상하 방향 치수와 동등 이상, 또한 접속 구멍(801)의 깊이 이상(내지는 축단(201)의 길이 이상)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홀더 상부 내면(902)으로부터 벗어나기까지 하우징(3)을 이동시키면, 축단(201)이 접속 구멍(801)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게 된다.
여기서, 홀더(9)의 최하부에는 고정부(90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접속 구멍(801)으로부터 축단(201)을 벗겨낼 때 연직 방향으로 힘을 가해도, 고정부(901)에 하우징(3)의 돌출부(301)가 부딪쳐 이동을 제한하므로, 접액부(1)가 낙하될 우려는 없다.
마지막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 하부 내면(903)을 따라 하우징(3)을 정면 개구 측으로 수평 이동함으로써, 본체부(6)로부터 접액부(1)를 분리 해 낼 수 있다.
분리해 낸 접액부(1)는 시린지(5)나 노즐(4)의 보수 점검 등의 작업을 행한 후, 후술하는 장착 순서에 따라 본체부(6)에 장착된다.
《장착 수순》
접액부(1)의 장착 수순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린지(5)가 정면을 향하도록 접액부(1)를 홀딩하고, 하우징(3)의 돌출부(301)의 수평 위치를 홀더 하부 내면(903)의 위치로 하고, 홀더 하부 내면(903)을 따르게 하면서, 닿을 때까지 내측으로 압입한다. 이 동안은, 하우징(3)의 연직 방향의 이동은 고정부(901)에 의해 제한되므로, 접액부(1)가 낙하되지 않는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의 돌출부(301)가 홀더(9)의 상면(904)에 닿을 때까지 접액부(1)를 수직 상승시킨다. 이 때, 축단(201)을 커플링(8)의 접속 구멍(801)에 삽입한다. 삽입할 때, 축단(201)의 형상과 접속 구멍(801)의 형상이 회전 방향에 대하여 맞지 않을 때는, 커플링(8)을 형상에 맞추도록 회전시켜 면을 맞춘다. 그리고, 하우징(3)의 돌출부(301)가 홀더(9)의 상면(904)에 닿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우징(3)의 측면에 형성된 나사 구멍(303)의 위치를, 홀더(9) 측면에 형성된 나사 구멍(905)에 맞추고, 측면 2부분으로부터 손잡이 부착 나사(13)를 체결하여 접액부(1)를 본체부(6)에 고정시킨다.
마지막으로, 시린지(5)에 어댑터 튜브(12)를 장착하고, 시린지(5)를 본체부(6)에 고정시키면, 장착이 완료된다.
접액부(1)를 본체부(6)에 장착함으로써, 토출 작업을 개시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의 장치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 및 홀딩부의 구성이 실시예 1과 다른 스크루식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이다.
본체부(6)는, 구동부(7)와, 구동부(7)의 회전력을 스크루(2)에 전하는 커플링(8)과, 홀딩부인 2개의 가이드 핀(906)과, 구동부(7)를 장착하는 베이스(10)로 구성된다.
베이스(10)에는, 스크루(2)의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2개의 가이드 핀(906)이 설치되고, 그 하부에 하우징(3) 고정용의 나사 구멍(905)이 2군데 형성되어 있다.
접액부(1)는, 봉형체의 표면에 축방향으로 나선형의 날개를 구비하는 스크루(2)와, 내부에 스크루(2)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3)과, 액체 재료를 토출하는 노즐(4)과, 액체 재료를 저류하는 저류 용기(5)로 구성된다.
하우징(3)에는, 2개의 가이드 핀(906)이 삽입되는 긴 구멍형의 가이드 구멍(305)이 2군데 형성되고, 그 하부에 하우징 고정용의 나사 구멍(303)이 동일하게 2개소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의 하면에는 노즐(4)이 고정 설치되고, 그 후단부(304)에는 연장부(302)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연장부(302)에는 저류 용기(5)가 고정 설치된다.
《분리 수순》
접액부(1)를 본체부(6)로부터 분리할 때는, 먼저, 손잡이 부착 나사(13)(도 시하지 않음)를 느슨하게 한다. 그리고, 하우징(3)의 내측 방향의 면이 베이스(10)에 접하고 있는 상태인 채, 가이드 핀(906)이 가이드 구멍(305)의 상단에 닿을 때까지 접액부(1)를 하강시킨다. 다음에, 가이드 핀(906)의 측면(곡면부)이 가이드 구멍(305)의 상단 내면을 따르도록 하면서, 가이드 핀(906)이 가이드 구멍(305)으로부터 빠질 때까지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분리해 낼 수 있다.
가이드 구멍(305)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가이드 핀(906)이 가이드 구멍(305) 내를 이동하는 거리가 접속 구멍(801)의 깊이 이상 내지는 축단(201)의 길이 이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장착 수순》
접액부(1)를 본체부(6)에 장착할 때는, 먼저, 가이드 핀(906)을 가이드 구멍(305)에 삽입하고, 하우징(3)의 내측 방향의 면이 베이스(10)에 닿을 때까지 접액부(1)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가이드 핀(906)의 측면(곡면부)이 가이드 구멍(305)의 상단 내면을 따르도록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하우징(3)의 내측 방향의 면이 베이스(10)에 닿은 상태인 채, 가이드 구멍(305)의 하단에 가이드 핀(906)이 닿을 때까지 접액부(1)를 상승시킨다. 마지막으로, 가이드 핀(906)이 가이드 구멍(305)의 하단에 닿은 상태를 유지한 채, 하우징(3)에 형성된 나사 구멍(303)의 위치와, 베이스(10)에 형성된 나사 구멍(905)의 위치를 맞추어 손잡이 부착 나사(13)(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액부(1)를 고정시킨다.
실시예 3
도 10은 본 실시예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11은 접액부(1) 와 본체부(6)의 결합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장치는, 선단에 노즐(4)를 가지는 저류 용기(5)의 내면에 밀착 슬라이드 이동하는 플런저(15)를 원하는 양 이동시켜 토출하는 플런저식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이며, 실시예 1의 장치와 동일하게, 접액부(1)와 본체부(6)를 주된 요소로 한다.
접액부(1)는, 토출용 부재인 플런저(15)와, 내부에 플런저(15)에 수용하는 저류 용기(5)와, 액체 재료를 토출하는 노즐(4)과, 노즐(4)과 저류 용기(5)가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3)으로 구성된다.
본체부(6)는, 플런저(15)를 진퇴 이동시키는 플런저 이동 수단(16)이 설치된 구동부(7)와, 하우징(3)을 홀딩하는 홀딩부인 홀더(9)로 구성된다.
하우징(3)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면의 평행한 2면에 돌출부(301)를 형성하고 있고, 정면으로부터 보면 대략 T자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홀더(9)의 구성도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즉, 홀더(9)는, 고정부(901)와, 홀더 상부 내면(902)과, 홀더 하부 내면(903)과, 상면(904)으로 구성된다.
분리 수순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먼저, 플런저(15)와 본체부(6)를 접속하는 플런저 고정구(17)를 분리한다. 다음에, 손잡이 부착 나사(13)를 느슨하게 하여, 하우징(3)의 돌출부(301)가 홀더 상부 내면(902) 부분으로부터 벗어나기까지 접액부(1)를 연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홀더 하부 내면(903)을 따라 하우징(3)을 정면 개구 측으로 수평 이동함으로써, 본체부(6)로부터 접액부(1)를 분리해 낼 수 있다.
장착 수순도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하우징(3)의 돌출부(301)의 수평 위치를 홀더 하부 내면(903)의 위치로 하고, 홀더 하부 내면(903)을 따르게 하면서, 닿을 때까지 내측으로 밀어넣고, 접액부(1)를 수직 상승시켜, 하우징(3)의 측면에 형성된 나사 구멍(303)의 위치를 홀더(9) 측면에 형성된 나사 구멍(905)에 맞추어 측면 2개소로부터 손잡이 부착 나사(13)를 체결하여 접액부(1)를 본체부(6)에 고정시킨다.
실시예 4
도 12는 본 실시예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13은 접액부(1)와 본체부(6)의 결합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장치는, 밸브 시트에 밸브체(18)를 충돌시켜 액체 재료를 노즐(4)의 선단으로부터 비상(飛翔) 토출시키는 제트식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이며, 실시예 1의 장치와 동일하게, 접액부(1)와 본체부(6)를 주된 요소로 한다.
접액부(1)는, 토출용 부재인 밸브체(18)와, 내부에 밸브체(18)를 수용하는 하우징(3)과, 액체 재료를 토출하는 노즐(4)과, 액체 재료를 저류하는 저류 용기(5)로 구성된다.
본체부(6)는, 공기실 및 스프링실과 공기실에의 에어 공급을 전환하는 전환 밸브를 가지는 구동부(7)와, 구동부(7)와 밸브체(18)를 연결하는 연결용 부재인 척(19)과, 하우징(3)을 홀딩하는 홀딩부인 홀더(9)와, 구동부(7)와 홀더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장착하는 베이스(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저류 용기 고정구(11)를 설치해도 된다.
밸브체(18)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동부(7) 측의 단부로부터 일정한 길이에 걸쳐 측면에 모따기를 행하여 형성된 축단(201)을 가진다. 척(19)은 축단(201)의 단면 형상에 맞춘 형상의 접속 구멍(801)을 가지고, 끼워맞춘 밸브체(18)를 측면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체(18)의 축단(201)은 곡면인 채로도 좋지만, 고정 강도는 저하되므로, 모따기 등의 가공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3)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면의 평행한 2면에 돌출부(301)를 형성하고 있고, 정면으로부터 보면 대략 T자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홀더(9)의 구성도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즉, 홀더(9)는, 고정부(901)와, 홀더 상부 내면(902)과, 홀더 하부 내면(903)과, 상면(904)으로 구성된다.
분리 수순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먼저, 어댑터 튜브(12)를 저류 용기(5)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에, 손잡이 부착 나사(13)를 느슨하게 하여, 하우징(3)의 돌출부(301)가 홀더 상부 내면(902) 부분으로부터 벗어나기까지 접액부(1)를 연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홀더 하부 내면(903)을 따라 하우징(3)을 정면 개구 측으로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본체부(6)로부터 접액부(1)를 분리해 낼 수 있다.
장착 수순도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하우징(3)의 돌출부(301)의 수평 위치를 홀더 하부 내면(903)의 위치로 하고, 홀더 하부 내면(903)을 따르게 하면서, 닿을 때까지 내측으로 밀어넣고, 접액부(1)를 수직 상승시켜, 하우징(3)의 측면에 형성된 나사 구멍(303)의 위치를 홀더(9) 측면에 형성된 나사 구멍(905)에 맞추고, 측 면 2개소로부터 손잡이 부착 나사(13)를 체결하여 접액부(1)를 본체부(6)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축단(201)을 접속 구멍(801)에 삽입할 때, 축단(201)의 형상과 접속 구멍(801)의 형상이 회전 방향에 대하여 맞지 않을 때는, 척(19)을 형상에 맞추도록 회전시켜 면을 맞추도록 한다.
본 발명은, 액체 재료를 토출하는 각종의 장치에 있어서 실시 가능하다.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크루식, 플런저식, 및 제트식의 토출 장치를 개시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8)

  1. 노즐, 저류(貯留) 용기 및 토출용 부재를 하우징을 통하여 일체적으로 구성한 접액부(接液部)(1)와,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지지 부재를 가지는 홀딩부, 및 상기 토출용 부재를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지는 본체부(6)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용 부재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용 부재에 의해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또한 상기 하우징과 상기 홀딩부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접액부(1)와 상기 본체부(6)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한 액체 재료 토출 장치로서,
    상기 하우징을,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로 수평 이동하여 상기 홀딩부에 장착 및 분리하고, 상기 하우징을 상기 홀딩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하 이동시켜 상기 토출용 부재와 상기 구동부를 장착 및 분리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접액부(1)와 상기 본체부(6)가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한, 액체 재료 토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하우징이 장착된 상태로 승강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을 상기 홀딩부의 개구부 내에서 승강 이동시켜 상기 토출용 부재와 상기 구동부를 장착 및 분리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핀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핀이 삽입되고, 수직 방향으로 긴 구멍형의 가이드 구멍을 복수 개 가지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측면에 철부(凸部) 또는 요부(凹部)를 가지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철부 또는 요부와 끼워맞추어지는 요부 또는 철부인, 액체 재료 토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용 부재의 단부는 다각형상이며,
    상기 연결용 부재는 상기 토출용 부재의 단부가 끼워맞추어지는 다각형상의 구멍을 가지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 용기와 상기 본체부를 고정시키는 고정구(11)를 구비한, 액체 재료 토출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304)에,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저류 용기를 장착 할 수 있는 연장부(302)를 설치한, 액체 재료 토출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측면의 2면에 돌출부(301)를 가지고,
    상기 개구부는, 내측 부분이 돌출부(301)의 외주를 따른 형상이며, 바로 앞 부분이 철부에 형성되는 상부 내면(902)과, 상부 내면(902)의 아래쪽에 인접하고, 내측 부분이 돌출부(301)의 외주를 따른 형상이며, 바로 앞 부분이 돌출부(301)와 같은 폭으로 형성되는 하부 내면(903)과, 하부 내면(903)의 아래쪽에 인접하고, 상기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고정부(901)와, 상기 토출용 부재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커트인(cut-in)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장착할 때의 수직 방향의 위치 결정 수단이 되는 상면(90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KR1020097010210A 2006-12-04 2007-11-13 액체 재료 토출 장치 KR101395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27305 2006-12-04
JP2006327305A JP5089969B2 (ja) 2006-12-04 2006-12-04 液体材料吐出装置
PCT/JP2007/071958 WO2008069000A1 (ja) 2006-12-04 2007-11-13 液体材料吐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411A KR20090086411A (ko) 2009-08-12
KR101395126B1 true KR101395126B1 (ko) 2014-05-15

Family

ID=39491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210A KR101395126B1 (ko) 2006-12-04 2007-11-13 액체 재료 토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089969B2 (ko)
KR (1) KR101395126B1 (ko)
CN (1) CN101583434B (ko)
HK (1) HK1133229A1 (ko)
TW (1) TWI402104B (ko)
WO (1) WO20080690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786A (ko) * 2018-07-23 2020-01-3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시린지 유닛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63103B (zh) 2007-04-10 2014-08-06 武藏工业株式会社 粘性液体材料的排出方法及装置
EP2138239B1 (en) * 2007-04-11 2013-10-16 Musashi Engineering, Inc. Ink-jet head and ink-jet device
JP5578250B2 (ja) * 2013-03-11 2014-08-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ヘッドキャップ、吸引装置および液滴吐出装置
JP6364168B2 (ja) * 2013-09-30 2018-07-25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吐出装置および塗布方法
CN106660063B (zh) * 2014-04-30 2019-06-18 佩纳尔维工业有限公司 用于将液体应用于不同形状的盖子上的可编程同心头
KR101726832B1 (ko) * 2014-06-30 2017-04-14 세메스 주식회사 액 공급 유닛 및 이를 가지는 기판처리장치
JP6452147B2 (ja) * 2015-01-19 2019-01-16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吐出装置
JP2018103139A (ja) * 2016-12-28 2018-07-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流体吐出装置
US11116119B2 (en) * 2017-03-08 2021-09-07 Fuji Corporation Conveyance device and mounting-related device
TWD208385S (zh) 2019-11-14 2020-11-21 日商武藏高科技股份有限公司 液體精密吐出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8602A (ja) * 1995-10-13 1997-04-28 Mitsutsu Kk 着脱式塗布ヘッド装着体および塗布ヘッドを備えたプリント基板加工装置
KR100521607B1 (ko) 2003-10-21 2005-10-12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페이스트 도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054B2 (ja) * 1988-03-29 1997-02-26 三菱鉛筆株式会社 流動体滴下装置
JPH09181434A (ja) * 1995-12-21 1997-07-11 M & M Prod Kk クリーム半田塗布装置
DE29818499U1 (de) * 1998-10-16 2000-03-02 Espe Dental Ag Mischer für Mehrkomponentenpasten
CN1365302A (zh) * 1999-07-29 2002-08-21 中外炉工业株式会社 圆形或环形涂层膜的形成方法
JP2002239435A (ja) * 2001-02-16 2002-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粘性材料塗布装置、及び粘性材料塗布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8602A (ja) * 1995-10-13 1997-04-28 Mitsutsu Kk 着脱式塗布ヘッド装着体および塗布ヘッドを備えたプリント基板加工装置
KR100521607B1 (ko) 2003-10-21 2005-10-12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페이스트 도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786A (ko) * 2018-07-23 2020-01-3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시린지 유닛 장치
KR102116716B1 (ko) * 2018-07-23 2020-05-2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시린지 유닛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33229A1 (en) 2010-03-19
CN101583434A (zh) 2009-11-18
JP2008136970A (ja) 2008-06-19
JP5089969B2 (ja) 2012-12-05
TWI402104B (zh) 2013-07-21
KR20090086411A (ko) 2009-08-12
TW200838620A (en) 2008-10-01
CN101583434B (zh) 2012-11-21
WO2008069000A1 (ja)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126B1 (ko) 액체 재료 토출 장치
KR102389654B1 (ko) 액체 재료 토출 장치
KR102306481B1 (ko) 시린지 착탈 기구 및 상기 기구를 구비하는 장치
KR101643215B1 (ko) 노즐 회전 기구 및 이것을 구비하는 도포 장치
TWI453069B (zh) 於基材上分散黏性材料之方法及設備
EP2823895B1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nd coating apparatus
JP2010036186A (ja) 分配組立体
CN110177694B (zh) 印刷电子印刷设备
KR20100116666A (ko) 액체 재료의 토출 장치, 및 그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JPWO2007097277A1 (ja) 脱泡機構を備える液材吐出装置
KR20190057061A (ko) 액체 재료 토출 장치
EP1439006B1 (en) Liquid material deliver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EP3112070B1 (en) Solder supply device and solder supply method
KR20140081887A (ko) 수제 공급 장치
JP2017527436A (ja) ディスペンサ用の弁座
JP4647229B2 (ja) 液体材料の吐出装置
WO2019181812A1 (ja) 液体材料吐出装置
CN111182977B (zh) 喷嘴连接器、喷嘴连接器组、涂布装置及涂布***
KR20170001354A (ko) 잉크젯 유닛
CN212524757U (zh) 注射器单元
JPH10209632A (ja) 部品実装システムにおけるディスペンサ
KR101695282B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수지도포장치
KR101477070B1 (ko) 점성 액체 재료의 토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