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124B1 - 보조커버를 가지는 스텐트 - Google Patents

보조커버를 가지는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124B1
KR101287124B1 KR1020100135279A KR20100135279A KR101287124B1 KR 101287124 B1 KR101287124 B1 KR 101287124B1 KR 1020100135279 A KR1020100135279 A KR 1020100135279A KR 20100135279 A KR20100135279 A KR 20100135279A KR 101287124 B1 KR101287124 B1 KR 101287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auxiliary cover
circumference
bent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3496A (ko
Inventor
송호영
이희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00135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124B1/ko
Publication of KR20120073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조커버를 가지는 스텐트는,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어, 표면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 둘레부를 가지며, 상기 둘레부 양측의 일정 부분에는 상기 구멍을 밀폐시키는 피막이 코팅된 몸체 및 상기 둘레부 중 상기 피막이 코팅되지 않은 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둘레부의 외측에 구비된 보조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조커버를 가지는 스텐트{Stent Having Support Cover}
본 발명은 둘레부의 외측에 보조커버가 구비된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보조커버에 의해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 혈관, 식도 등 일정한 내경을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는 기관에 침전물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협착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시술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등의 상황에 있어, 인공적으로 협착 부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스텐트를 삽입한다.
이때, 스텐트는 복수의 와이어를 서로 교차시켜 제조되기 때문에, 표면에는 구멍이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스텐트를 협착 부위에 설치할 경우, 스텐트의 확장에 의한 압력에 의해 협착 부위의 조직이 상기 스텐트 표면의 구멍을 통해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특히, 스텐트를 장기간 설치할 경우 또는 스텐트의 확장에 의한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가해질 경우에는, 상기 협착 부위의 조직이 파괴되거나 괴사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다수 고안되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 스텐트 표면의 구멍을 밀폐시키도록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도 1에는, 이와 같이 몸체의 표면에 피막이 형성된 스텐트(1)의 모습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1)는 복수의 와이어(10)가 서로 교차됨으로써, 사이에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구멍(20)을 형성한다. 또한, 스텐트(1)의 양측에는, 스텐트(1)가 설치 위치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차(35)가 형성되도록 둘레를 확장시킨 확장부(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멍(20)을 통해 설치 부위의 조직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리콘이 전체적으로 코팅되어 구멍(20)을 밀폐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텐트(1)는 설치 부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조직이 스텐트(1)의 내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스텐트(1)는 실리콘에 의해 강한 탄성력을 가지게 되어, 휘어짐에 대한 저항이 심하다는 문제가 있다. 즉, 실리콘이 스텐트(1)의 전체 면적에 도포되므로, 스텐트(1)에 외력을 가해 절곡시킬 경우에도 초기 상태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이 강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텐트(1)가 피시술자의 신체 움직임에 대응되어 원활히 유동되지 못하므로, 피시술자는 고통을 느끼게 되고, 신체 활동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텐트(1)는 협착 부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목적 이외에도, 시술을 목적으로 설치되기도 하는데, 이때 시술 부위를 휘어진 상태로 유지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확장부(30)는 스텐트(1)가 설치 위치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나, 피시술자는 단차(35)에 의해 강한 이물감을 느껴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스텐트(1)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나열한 다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시술자의 움직임에 따라 용이하게 절곡되는 스텐트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설치 시 피시술자의 이물감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절곡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조커버를 가지는 스텐트는,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어, 표면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 둘레부를 가지며, 상기 둘레부 양측의 일정 부분에는 상기 구멍을 밀폐시키는 피막이 코팅된 몸체 및 상기 둘레부 중 상기 피막이 코팅되지 않은 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둘레부의 외측에 구비된 보조커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커버는 상기 몸체가 절곡 시 상기 몸체의 복원력보다 큰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계수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커버의 양측은 상기 둘레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커버는 주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몸체가 절곡 시 상기 둘레부 표면의 확장된 구멍에 삽입되도록 상기 확장된 구멍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삽입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둘레부의 피막이 형성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둘레부의 피막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확장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부는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조커버를 가지는 스텐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보조커버가 설치되므로, 설치 부위가 스텐트 표면의 구멍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피시술자의 움직임에 따라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설치 시 피시술자의 이물감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보조커버의 재료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마찰력을 조절 가능하여 절곡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스텐트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조커버를 가지는 스텐트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조커버를 가지는 스텐트가 절곡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조커버를 가지는 스텐트가 절곡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조커버를 가지는 스텐트에 있어서, 보조커버 및 와이어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보조커버를 가지는 스텐트에 있어서, 보조커버 및 와이어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보조커버를 가지는 스텐트에 있어서, 몸체가 절곡된 상태의 보조커버 및 와이어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00)의 모습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텐트(100)의 몸체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둘레부를 가지고, 상기 둘레부는 복수의 와이어(110)가 교차됨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교차된 와이어(110)의 사이사이에는 복수 개의 구멍(120)이 형성된다.
즉, 스텐트(100) 몸체의 둘레부는 와이어(110)에 의해 형성되므로, 용이하게 압축시키거나 확장시킬 수 있으며, 이후 협착 부위에 설치 시 내벽을 안정적으로 확장시키는 동시에 체액 등이 원활히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 둘레부는 전체적으로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모서리 부분을 없애 설치 부위가 자극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둘레부의 표면에 형성된 구멍(120)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둘레부 양측의 일정 부분에는 상기 구멍을 밀폐시키는 피막이 코팅된다. 상기 피막은 실리콘 등 밀폐성이 있는 물질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피막의 코팅을 위해서는, 액체 상태의 실리콘에 상기 몸체를 노출시켜 함침되도록 하거나, 스프레이로 실리콘을 분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둘레부 양측의 일정 부분에 형성된 구멍(120)은 피막에 의해 밀폐되고, 스텐트(100)를 설치 시 피막에 의해 설치 부위의 조직이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때, 둘레부 양측의 일정 부분에만 피막이 코팅되는 것은, 중앙 부분이 피막에 의해 강한 탄성력을 가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배경기술 부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피막이 코팅된 부분은 휘어짐에 대한 저항이 심해지게 된다. 따라서, 초기 상태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스텐트가 피시술자의 신체 움직임에 대응하여 원활히 유동되지 못하므로, 피시술자는 고통을 느끼게 되고, 신체 활동이 제한된다.
즉, 본 발명의 스텐트(100)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둘레부 양측의 일정 부분에만 피막을 코팅시키고, 나머지 중앙 부분은 피막이 코팅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막이 코팅되지 않은 부분에는, 외측에 보조커버(140)가 구비된다. 여기서, 보조커버(140)는 피막이 코팅되지 않은 부분에만 구비될 수도 있으나, 피막이 코팅된 부분까지도 연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과적으로, 스텐트(100)의 중앙 부분은 보조커버(140)에 의해 설치 부위의 조직이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며,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3에는, 상기와 같이 보조커버(140)가 구비된 스텐트(100)가 절곡된 모습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커버(140) 부분이 자연스럽게 절곡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둘레부의 피막이 형성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둘레부의 피막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확장부(130)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확장부(130)가 형성됨으로 인해 스텐트(100)는 설치 부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확장부(130)는 둘레부의 피막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단차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경우, 제1단차(135a) 및 제2단차(135b)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각 단차는 단차가 한 개 형성될 경우보다 낮은 높이를 가진다. 이로 인해, 스텐트(100) 설치 시 피시술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제1실시예와 달리 상기 단차는 더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단차 없이 빗면에 의해 확장부(130)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와 같은 보조커버(140)는 천, 합성수지 등 그 목적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고무 등과 같이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텐트(100)는 피시술자의 협착 부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목적 외에도, 시술을 목적으로 임시적으로 설치되기도 하는데, 이때 시술 부위를 휘어진 상태로 유지시켜야 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스텐트(100)가 용이하게 절곡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더 나아가 스텐트(100) 자체가 절곡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커버(140)는 상기 몸체가 절곡 시 상기 몸체의 복원력보다 큰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계수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커버(140)의 내면과 몸체를 형성하는 와이어 간의 마찰력이 복원력보다 클 경우, 스텐트(100)는 절곡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커버(140)의 양측은 상기 둘레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조커버(140)가 둘레부 외측에서 일측으로 이동되거나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구멍(120)이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보조커버(140)를 고정시키는 방법은 접착물질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실 등으로 둘레부에 봉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보조커버(140)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들을 통해 보조커버(140)의 다른 형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또한, 이하의 다른 실시예들은 제1실시예와 보조커버(140)의 형태만이 다르므로, 보조커버(140) 외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스텐트(200)의 전체 모습이 도시된다. 제2실시예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커버(240)는 주름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텐트(200)가 큰 각도로 절곡될 경우, 또는 보조커버(240)가 충분한 신축성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절곡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텐트(200)는 주름에 형성된 홈에 의해 절곡 시의 저항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스텐트(300)의 모습이 도시된다. 특히, 도 5의 경우, 스텐트(300)의 전체 모습이 아닌 보조커버(340)의 단면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커버(340)가 둘레부의 와이어(310)에 접촉되는 부분에는, 복수 개의 삽입돌기(346)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즉, 삽입돌기(346)에 의해 보조커버(340)와 와이어(310)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고, 와이어(310)가 각 삽입돌기(346) 사이에 안착될 수 있으므로, 보조커버(340) 및 둘레부 사이에 보다 큰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3실시예의 경우에는, 스텐트(300) 절곡 상태를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는, 제4실시예에 따른 스텐트(400)의 모습이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6에는 스텐트(400)가 절곡되지 않은 상태의 모습이 도시되며, 도 7에는 스텐트(400)가 절곡된 상태의 모습이 도시된다.
제4실시예의 경우, 보조커버(440)가 둘레부의 와이어(410)에 접촉되는 부분에 복수 개의 삽입돌기(446)가 형성되는 것은 제3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나, 삽입돌기(446)의 폭이 각 와이어(410)간의 이격된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다르다. 그리고, 삽입돌기(446)의 폭은 몸체가 절곡 시 둘레부 표면의 확장된 구멍에 삽입되도록 상기 확장된 구멍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즉, 스텐트(400)가 휘어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경우, 삽입돌기(446)는 둘레부 표면의 구멍에 삽입되지 않는다. 반면, 스텐트(400)가 휘어질 경우에는 와이어(410) 간의 이격된 거리가 넓어지므로, 삽입돌기(446)는 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삽입돌기(446)가 구멍에 일단 삽입된 경우에는 고정력을 제공하여 스텐트(400)가 절곡된 상태를 보다 단단히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삽입돌기(446)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하여, 삽입돌기(446)가 구멍에 삽입되는 순간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스텐트(400)의 절곡 각도를 임의적으로 조절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돌기(446)가 이후 필요에 따라 구멍에서 용이하게 빠지도록 하기 위해, 삽입돌기(446)의 측면은 빗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스텐트
110: 와이어
120: 구멍
130: 확장부
135a, 135b: 단차
140: 보조커버

Claims (8)

  1.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어, 표면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 둘레부를 가지며, 상기 둘레부 양측의 일정 부분에는 상기 구멍을 밀폐시키는 피막이 코팅된 몸체; 및
    상기 둘레부 중 상기 피막이 코팅되지 않은 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둘레부의 외측에 구비된 보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둘레부의 피막이 코팅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둘레부의 피막이 코팅되지 않은 부분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확장부로 형성되는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는 상기 몸체가 절곡 시 상기 몸체의 복원력보다 큰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계수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스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의 양측은 상기 둘레부에 고정된 스텐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는 주름지게 형성된 스텐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몸체가 절곡 시 상기 둘레부 표면의 확장된 구멍에 삽입되도록 상기 확장된 구멍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스텐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단차지게 형성된 스텐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복수 개 형성된 스텐트.
KR1020100135279A 2010-12-27 2010-12-27 보조커버를 가지는 스텐트 KR101287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279A KR101287124B1 (ko) 2010-12-27 2010-12-27 보조커버를 가지는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279A KR101287124B1 (ko) 2010-12-27 2010-12-27 보조커버를 가지는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496A KR20120073496A (ko) 2012-07-05
KR101287124B1 true KR101287124B1 (ko) 2013-07-17

Family

ID=4670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279A KR101287124B1 (ko) 2010-12-27 2010-12-27 보조커버를 가지는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1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306A (ko) 2021-10-20 2023-04-27 디더블유이미징스 주식회사 동맥관개존증인 개를 위한 부분 커버 스탠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389B1 (ko) 2014-05-13 2016-03-10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와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1283A (ko) * 1996-02-09 1997-09-12 이재용 인체내의 내강 확장용 스텐트
KR20000002967A (ko) * 1998-06-24 2000-01-15 권병두 내강 확장용 스텐트
US20040024443A1 (en) * 2002-07-30 2004-02-05 Dwyer Clifford J. Abrasion resistant vascular graft
KR100847123B1 (ko) 2006-11-22 2008-07-18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스텐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1283A (ko) * 1996-02-09 1997-09-12 이재용 인체내의 내강 확장용 스텐트
KR20000002967A (ko) * 1998-06-24 2000-01-15 권병두 내강 확장용 스텐트
US20040024443A1 (en) * 2002-07-30 2004-02-05 Dwyer Clifford J. Abrasion resistant vascular graft
KR100847123B1 (ko) 2006-11-22 2008-07-18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스텐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306A (ko) 2021-10-20 2023-04-27 디더블유이미징스 주식회사 동맥관개존증인 개를 위한 부분 커버 스탠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496A (ko)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6224B2 (ja) 通気装置
JP4490099B2 (ja) バルブ付き医療用ステントおよび関連製造方法
KR101287124B1 (ko) 보조커버를 가지는 스텐트
JP6435262B2 (ja) 治療キット、治療デバイス、及びこれらに関する製造方法
JP6496816B2 (ja) 外部流路が形成されたステント
JP2004344634A (ja) 可変状態維持型ステント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可変状態維持型ステント
KR20060101750A (ko) 식도용 스텐트
AU2016345537A1 (en) Elastic ring and associated treatment device for implanting in a conduit for circulation of a body fluid
JPWO2005114011A1 (ja) ホールプラグ
US20150025618A1 (en) Projection-type partially dual-structured stent
US20210186734A1 (en) Stabilizing rod for an orthopaedic aid
KR101772482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이 향상된 스텐트
KR20040095482A (ko) 판륜성형용 고정구
JP4740592B2 (ja) 流体ディスペンサ部材用の留め具要素、および、そうした留め具要素を有する流体ディスペンサ部材
JP7410277B2 (ja) 圧力要素を備えるパッド
ITBO20130113U1 (it) Bottone a pressione perfezionato
JP3228915U (ja) 靴下
US20050211795A1 (en) Delivering device
JP3202532U (ja) テーピングシート
KR20190085574A (ko) 외부유로가 형성된 개량된 스텐트
KR101493485B1 (ko)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6579474B2 (ja) テーピングシート
KR100608162B1 (ko) 밑굽이 확장된 이중종이용기
KR20170014684A (ko) 스텐트
CN114340441A (zh) 改善贴合特性和形状保持特性的人造指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