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445B1 - 촬상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445B1
KR101199445B1 KR20067012932A KR20067012932A KR101199445B1 KR 101199445 B1 KR101199445 B1 KR 101199445B1 KR 20067012932 A KR20067012932 A KR 20067012932A KR 20067012932 A KR20067012932 A KR 20067012932A KR 101199445 B1 KR101199445 B1 KR 101199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corded
recording medium
compression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7012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5043A (ko
Inventor
히사시 오하시
이사오 사사키
다카오 오사와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85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5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상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새롭게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기록 처리의 신속화나 기록 처리시의 동작 상태의 통지를 실현하고, 목적으로 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확실하게 기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어부(100)는, 압축/신장 처리부(40)와 재생 장치부(60)를 제어하고, 카메라부(10)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압축 부호화하여 DV 테이프에 기록하는 경우에, 이미 DV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압축 부호화를 행하여, DV 데이터에 기록하도록 한다. 즉, 새롭게 기록할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처리를 위해, 이미 DV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의 판독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영상 데이터의 DV 테이프로의 기록 개시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한다.
촬상 장치, 기록 제어 방법, 영상 신호, 압축 부호화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 {IMAGING DEVICE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 촬상한 영상 신호를 압축 부호화(데이터 압축)하여 각종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에 이용되는 기록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방식으로서,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포맷 등의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이미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새로운 영상을 연이어 촬영하는 경우에는, 새롭게 기록할 영상이 흐트러지지 않고, 과거에 기록한 영상 데이터 뒤에 스무스하게 연결하여 기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른바 연이어 촬영하는 시켄스(연이은 촬영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연이어 촬영하는 시켄스에 있어서는, 영상 신호는 예측 부호화를 이용한 MPEG 방식의 압축 부호화 처리에 의해 데이터가 압축되므로,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를 그 화상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압축 부호화하는 데는, 이미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소정량 분의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가 필요하였다. 그러므로, 연이어 촬영하는 시켄스에 있어서는, 새롭게 기록할 영상 데이터를 적정하게 압축 부호화하기 위해, 이미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소정량 분의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그러나, 연이어 촬영하는 시켄스에 있어서는,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의 판독 등의 처리를 행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촬영의 개시가 지시되고 나서 실제로 영상 데이터가 기록 매체에 기록되기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 즉, 기록 개시 지시로부터 실제로 기록 매체에 영상 데이터의 기록이 개시되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타임랙이 존재한다.
이 타임랙을 없애기 위해, 후술하는 일본국 특개평 8-306133호 공보에는, 기록 매체 이외의 지연 메모리에 영상(영상 데이터)을 기록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으로, 기록이 지시된 후 실제로 기록 매체에 기록이 개시되기까지의 영상 및 기록이 지시되기 이전의 영상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일본국 특개평 8-306133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기록의 개시가 지시된 직후부터 촬영한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일본국 특개평 8-306133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기억 용량을 가지는 지연 메모리가 필요해지므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비용상승으로 연결되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비용 다운의 요구에 부응할 수 없게 된다.
또, 전술한 일본국 특개평 8-306133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을 채용하지 않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는, 기록의 개시가 지시되고 나서 영상 데이터의 기록 매체로의 실제의 기록이 개시되기까지, 전술한 바와 같이 타임랙이 발생하게 되 지만, 실제로 기록이 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을 사용자에 대하여 명확하게 통지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새롭게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기록 처리의 신속화나 기록 처리시의 동작 상태의 통지를 실현하고, 목적으로 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확실하게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촬상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예측 부호화를 이용한 데이터 압축 방식으로 데이터를 압축하는 압축 처리 수단과,
상기 압축 처리 수단에 있어서 압축된 압축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처리와,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는 처리를 행하기 위한 기록/판독 수단과,
영상 신호의 기록을 개시할 때, 상기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가,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에 이용되지 않도록, 상기 압축 처리 수단과 상기 기록/판독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촬상 장치에 의하면, 제어 수단에 의해, 압축 처리 수단과 기록/판독 수단이 제어되고,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압축 부호화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 이미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압축 부호화를 행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게 된다.
이로써, 기록 매체에 과거에 기록한 압축 데이터에 연이어, 새로운 영상 신호를 데이터를 압축하여 기록하는 경우에,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를 압축 부호화하기 위해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는 처리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촬영의 개시 지시를 받아들이고 나서, 촬영하여 얻은 영상 신호를 데이터를 압축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까지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목적으로 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확실하게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버퍼 메모리 등의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촬상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촬상 장치로서,
영상 신호의 기록을 개시할 때, 상기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가,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에 이용되지 않도록 할 것인지, 상기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여,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에 이용하도록 할 것인지의 선택 입력을 받아들이는 접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여,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에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압축 처리 수단과 상기 기록/판독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을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에 이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촬상 장치에 의하면, 새롭게 영상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가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에 이용되지 않도록 할 것인지,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여,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에 이용하도록 할 것인지의 선택 입력을 접수 수단을 통해서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여,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에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압축 처리 수단과 상기 기록/판독 수단이 제어되고,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가 판독되어, 이것이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에 이용되게 된다.
이로써, 어느 모드를 사용하여 새롭게 취득한 영상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할 것인지는, 접수 수단을 통해서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게 되고, 과거에 기록 매체에 기록한 압축 데이터로 된 영상 신호에 스무스하게 이어지도록 하여, 새롭게 취득한 영상 신호를 압축 부호화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촬상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촬상 장치로서,
사용자로부터의 기록 개시 요구를 받아들이고 나서, 실제로 상기 기록 매체에 압축 데이터의 기록을 개시하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기록 준비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촬상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의 기록 개시 요구를 받아들이고 나서 실제로 상기 기록 매체에 압축 데이터의 기록을 개시하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는, 통지 수단에 의해, 기록 준비 중인 것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이로써, 실제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영상이 어디로부터인지가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통지되고, 이것을 사용자가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촬상 장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촬상 장치로서,
영상 신호의 기록을 개시할 때, 상기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여,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에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로부터의 기록 개시 요구를 받아들이고 나서, 실제로 상기 기록 매체에 압축 데이터의 기록을 개시하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기록 준비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촬상 장치에 의하면, 상기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여,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에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로부터의 기록 개시 요구를 받아들이고 나서 실제로 상기 기록 매체에 압축 데이터의 기록을 개시하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는, 통지 수단에 의해, 기록 준비 중인 것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이로써, 실제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영상이 어디로부터인지가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통지되고, 이것을 사용자가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기록 개시 지시를 받고, 실제로 기록을 개시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결정적 순간의 놓침을 방지할 수 있어, 목적으로 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확실하게 기록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기록 개시 지시를 받고, 실제로 기록 개시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촬영 대상 등에 따라 어느 방법을 이용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촬영 대상에 따른 촬영을 행할 수 있다. 또, 기록 개시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에 의한 영상의 연이어 진 부분을 스무스하게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또,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7, 청구항 8에 기재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기록 개시 지시를 받고, 실제로 기록 개시하기까지의 사이, 기록 준비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재의 시스템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주는 조작상(이용상)의 불안을 적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이 적용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재생 장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연이은 촬영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연이어 찍는 모드와 퀵 녹화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퀵 녹화 모드의 선택/비선택의 설정 입력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A)는, LCD(82)의 표시 화면(82G)에 표시되는 녹화 준비 중임을 나타내는 표시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B)는, LCD(82)의 표시 화면(82G)에 표시되는 녹화 준비 중임을 나타내는 표시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C)는, LCD(82)의 표시 화면(82G)에 표시되는 녹화 준비 중임을 나타내는 표시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 및 방법을,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대하여]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는, 카메라부(10)와, OSD(On Screen Display)부(20), 베이스 밴드 처리부(30), 압축/신장 처리부(40), DV(Digital Video) 처리부(50), 재생 장치부(60), 디지털 인터페이스(이하, 디지털 I/F라고 함)(70)와, 디지털 입출력 단자(71)를 구비한 것이다.
또, 이 실시예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는, 영상의 출력단부로서 D 단자(81), LCD(82), EVF(Electro View Finder)(83), SD 출력 단자(84)와, 영상의 입력 단부로서 SD 입력 단자(91)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들 각 출력단부 및 입력 단부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도 1에 있어서는, 단지 I/F라고 함)(81i, 82i, 83i, 84i, 91i)를 구비한 것이다. 또,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 ROM(Read Only Memory)(102), RAM(Random Access Memory)(103)이 CPU 버스를 통해서 접속되어 구성된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ROM(102)는, 플래시 ROM 또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이며, CPU(101)에 있어서 실행하는 각종의 프로그램이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등이 기록되어 있는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파라미터 등의 설정 정보도 받아들여, 이것을 기억 유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 있어서, ROM(102)은, 플래시 ROM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 RAM(103)은, 처리의 도중 결과를 일시 기억하는 등 주로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제어부(100)에는, 각종의 조작 키, 조작 다이얼 등이 설치된 조작부(110)가 접속되고, 이 조작부(110)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제어부(100)는, 조작부(110)를 통해서 받아들인 사용자로부터의 지시 입력(조작 입력)에 따라 각 부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실시예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카메라부(10)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영상계와 음성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고 있다. 즉, 카메라부(10)의 영상계는, 렌즈, 포커스 기구, 셔터 기구, 조리개(아이리스) 기구 등을 구비한 광학 블록(11)과, CCD(Charge Coupled Device)(12)와, 전(前) 처리 회로(13)로 되어 있고, 음성계는, 마이크로폰(14)과, 입출력 처리부(15)와, A/D(Analog/Digital) 변환 및 D/A(Digital/Analog) 변환을 행하는 변환부(16)와, 음성 출력 단자(17)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카메라부(10)의 영상계는, 피사체의 영상을 아스펙트비가 16:9의 영상으로서 입력하는 HD 모드와, 피사체의 영상을 아스펙트비가 4:3의 영상으로서 입력하는 SD 모드의 2개의 촬영 모드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지시 입력에 따른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어느 촬영 모드로 영상을 촬영할 것인지를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조작부(110)를 통해서 촬영을 행하도록 하는 지시 입력을 받으면, 제어부(100)는, 이 실시예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각 부를 제어하고, 촬영 동작을 개시한다. 이 경우, 광학 블록(11)은, 제어부(10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포커스 기구, 셔터 기구, 조리개 기구가 제어되고, 피사체의 영상을 판독하고, 이것을 CCD(12)에 대하여 제공한다.
CCD(12)는, 광학 블록(11)으로부터의 영상을 광전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며, 광학 블록(11)으로부터의 피사체의 영상을 입력하는 동시에, 판독된 피사체의 영상(화상 정보)을 전기 신호로서 전 처리 회로(13)에 공급한다. 전 처리 회로(13)는, 이것에 공급된 영상 신호에 대하여,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 처리를 행하여, S/N비를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AGC(Automatic Gain Control)처리를 행하여, 이득을 제어하고, 또한 A/D(Analog/Digital) 변환을 행하여, 디지털 신호로 한 영상 데이터 Vd0를 형성하고, 이것을 베이스 밴드 처리부(30)에 공급한다.
한편, 촬영시에 있어서, 마이크로폰(14)을 통해서 집음(集音)된 음성은,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입출력 처리부(15)에 있어서 증폭되는 등의 처리가 행해진 후에 변환부(16)에 공급된다. 변환부(16)는, 입출력 처리부(15)로부터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 변환하여 얻은 음성 데이터 Au0를 베이스 밴드 처리부(30)에 공급한다.
베이스 밴드 처리부(30)는, 제어부(10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OSD부(20)로부터의 촬영 보조 마커 등,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합성해야 할 그래픽스 데이터나 문자 데이터의 공급을 받고, 이것을 카메라부(1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 Vd0에 대하여 합성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여 영상 데이터를 형성하고, 이것을 압축/신장 처리부(40), DV 처리부(50), D 단자(81), LCD(82), EVF(83), SD 출력 단자(84) 등의 각 부에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베이스 밴드 처리부(30)에 있어서 처리된 영상 데이터가, HD모드로 촬영된 아스펙트비가 16:9의 영상 데이터(HD신호)인 경우, 베이스 밴드 처리부(3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HD신호V) d1과 음성 데이터 Au1은, 압축/신장 처리부(40)에 공급된다. 압축/신장 처리부(40)는, 이것에 공급된 영상 데이터 Vd1과 음성 데이터 Au1를, 예를 들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하고(인코드하고), 데이터 압축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다중화한다.
압축/신장 처리부(40)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형성된 다중화 데이터(MPEG 신호)는, 재생 장치부(60)에 공급되고, 이것에 장전되어 있는 DV(Digital Video) 테이프에 기록(녹화)되고, 또, 디지털 I/F(70), 디지털 입출력 단자(71)를 통해서 출력할 수도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디지털 I/F(70), 디지털 입출력 단자(71)는, 예를 들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1394) 규격의 인터페이스이다. 물론, 디지털 I/F(70), 디지털 입출력 단자(71)는, USB(Universal Serial Bus) 규격 등의 다른 규격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베이스 밴드 처리부(30)에 있어서 처리된 영상 데이터가, DV 방식의 신호(DV 신호)인 경우에는, 베이스 밴드 처리부(3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DV 신호) Vd2와 음성 데이터 Au2는, DV 처리부(50)에 공급된다. DV 처리부(50)는, 이것에 공급된 영상 데이터 Vd2와 음성 데이터 Au2를 다중화한다.
DV 처리부(50)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형성된 다중화 데이터는, 재생 장치부(60)에 공급되고, 이것에 장전되어 있는 DV(Digital Video) 테이프에 기록(녹화)되고, 또, 디지털 I/F(70), 디지털 입출력 단자(71)를 통해서 출력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촬영시에 있어서, 베이스 밴드 처리부(30)는, 카메라부(10)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D 단자(81), LCD(82), EVF(83), SD 출력 단자(84)에도 공급한다. D 단자(81)는, 예를 들면, HD 신호를 아날로그 출력하기 위 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이다. 이 실시예의 D 단자는, 480i/480p/1080i/780p에 대응 가능한 D4 단자라는 것이며, 아스펙트비가 16:9의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480i」, 「480p」와 같은 표기에 있어서, 숫자 부분은 유효 주사선수를 나타내고, 숫자 후의 문자 「i」는 인터레이스 주사(비월(飛越) 주사)방식의 영상 신호인 것을 나타내고, 숫자 후의 문자 「p」는 프로그래시브 주사(차례로 주사) 방식의 영상 신호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480i」는, 유효 주사선수 480개의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의 영상 신호이며, 「480p」는, 유효 주사선수 480개의 프로그래시브 주사 방식의 영상 신호인 것을 의미하게 된다.
또, LCD(82), EVF(83)는, 모두 아스펙트비가 16:9의 영상 신호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또, SD 출력 단자(84)는, 아스펙트비가 4:3의 SD 신호인 아날로그 영상 신호용의 출력 단자이다. 그리고, 각 출력단부(81, 82, 83, 84)에 대응하여 설치된 I/F(81i, 82i, 83i, 84i)의 각각은, 베이스 밴드 처리부(3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대응하는 각 영상 출력단부에 공급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또, 디지털 입출력 단자(71), 디지털 I/F(70)를 통해서 MPEG 신호(M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다중화 신호)의 공급을 받았을 경우, 또는 재생 장치부(60)에 장전된 DV 테이프로부터 MPEG 신호가 판독된 경우에는, 이들 MPEG 신호는, 압축/신장 처리부(40)에 공급되고, 여기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분리되는 동시에, 데이터 신장 처리가 행해져, 데이터 압축 처리전 의 원래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복원되고, 복원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베이스 밴드 처리부(30)에 공급된다.
베이스 밴드 처리부(30)는, 압축/신장 처리부(4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의 공급을 받고,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는, D 단자(81), LCD(82), EVF(83), SD 출력 단자(84)에 공급하도록 한다. 또, 음성 데이터는 변환부(16)에 공급되고, 여기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입출력 처리부(15)에 있어서 예를 들면, 신호 형식을 정돈하는 등의 처리가 행해져, 아날로그 음성 출력 단자(17)로부터 출력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디지털 입출력 단자(71), 디지털 I/F(70)를 통해서 DV 신호(DV 방식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형성된 다중화 신호)의 공급을 받았을 경우나 재생 장치부(60)에 장전된 DV 테이프로부터 DV 신호를 판독한 경우에는, DV 신호는, DV 처리부(50)에 공급되고, 여기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분리되고, 이들이 베이스 밴드 처리부(30)에 공급된다.
그리고, 베이스 밴드 처리부(30)에 있어서는, 전술한 MPEG 신호를 재생 처리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DV 처리부(5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와의 공급을 받고,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는, D 단자(81), LCD(82), EVF(83), SD 출력 단자(84)에 공급하도록 한다. 또, 음성 데이터는 변환부(16)에 공급하고, 여기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입출력 처리부(15)에 있어서 예를 들면, 신호 형식을 정돈하는 등의 처리가 행해져, 아날로그 음성 출력 단자(17)으로부터 출력하도록 한다.
또, 디지털 I/F를 통해서 받아들인 MPEG 신호나 DV 신호를 재생 장치부(60)에 장전된 DV 테이프에 기록하거나, SD 입력 단자(91)를 통해서 받아들인 SD 신호를 재생 장치부(60)에 장전된 DV 테이프에 기록하거나 하는 경우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I/F(91i)는, SD 입력 단자(91)를 통해서 받아들인 SD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등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는, 카메라부(10)를 통해서 촬영한 영상 신호와 집음한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하여, 출력하거나, DV 테이프에 기록하거나 할 수 있는 동시에, 입출력 단자나 입력 단자를 통해서 받아들인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DV 테이프에 기록하거나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DV 테이프에 기록한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또는 입출력단이나 입력단을 통해서 받아들인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재생 장치부에 대하여]
다음에, 이 실시예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재생 장치부(6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재생 장치부(60)는, 크게 나누면, DV 테이프(201)가 수납된 DV 테이프 카세트(200)가 장전되는 메카 데크부(61)와, 테이프 모터나 회전 헤드 실린더의 회전 제어를 행하는 등, 메카 데크부(61)의 각 부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서보 회로(62)로 되어 있다. 서보 회로(62)는, 제어부(100)로부터의 제어 신호 CT에 의해, 메카 데크부(61)의 각 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전원을 투입한 후, DV 테이프 카세트(200)를, 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재생 장치부(61)에 장전하면, 재생 장치부(60)의 로딩 메카니즘이 기능하고, DV 테이프 카세트(200) 내의 DV 테이프(자기 테이프)(201)을 꺼내, 미리 설치되어 있는 테이프 주행을 보조하는 몇개의 롤러를 사용하도록 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헤드 실린더(611)에 DV 테이프(201)를 권취한다.
그리고, 카메라부(10)를 통해서 촬영된 영상의 영상 신호를 압축/신장 처리부(40)에 의해 MPEG 포맷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것을 DV 테이프(201)에 기록하도록 하므로, 회전 헤드 실린더(611)가, 서보 회로(62)에 의해 회전 제어되고, 메카 데크부(61)는, DV 테이프(201)를 현재의 테이프 위치로부터 약간 감아 되돌아오도록 하고, 회전 헤드 실린더(611)는, 다음에, 기록 개시했을 때의 영상과 이어 맞추어 촬영하기 위해, 테이프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감아 되돌리기 전의 테이프 위치에 돌아온 후, 기록 대기 상태로 된다.
이 후, 사용자로부터의 기록 개시 지시를 받으면, 제어부(100)는, 서보 회로(62)에 기록 개시 명령 CT를 보내고, 서보 회로(62)는 회전 헤드 실린더(611)가 기록 동작을 하도록 제어한다. 이같이 하여, 촬영하여 얻은 영상 데이터를, 재생 장치부(60)에 장전된 DV 테이프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기록 대기 상태가 규정 시간 경과하면, 회전 헤드 실린더(611)의 보호 및 소비 전력 삭감 등의 목적으로, 제어부(100)는 서보 회로(62)에 회전 헤드 실린더(611)가 정지 동작을 하도록 제어한다. 이 회전 헤드 실린더(611)가 정지 상태일 때에 있어서, 기록 개시 지시를 받으면, 제어부(100)는, 기록 대기 상태로 천이(遷移)할 때의 시켄스를 거쳐, 기록 동작 제어를 행한다.
즉, 서보 회로(62)는, 정지하고 있던 회전 헤드 실린더(611)를 회전시킨 후, 카메라부(10)를 통해서 받아들인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MPEG 포맷의 다중화 데이터(MPEG 신호)로서 기록하기 위해, 현재의 테이프 위치로부터 약간 감아 되돌리고, 다음에, 기록 개시했을 때의 영상과 이어 맞추어 찍기 위해서,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하고, 감아 되돌리기 전의 테이프 위치에 돌아온 후, 회전 헤드 실린더(611)가 기록 동작을 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하는 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다. 즉, 촬영하여 얻은 영상 신호를 예측 부호화를 이용하는 예를 들면, MPEG 방식 등의 압축 부호화 방식으로 재생 영상에 혼란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데이터를 압축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위해서는, 직전에 기록 매체에 기록된 압축 데이터(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고려하여 압축 부호화를 행하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연이어 촬영하는 시켄스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DV 테이프에는 촬영함으로써 얻은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 각각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MPEG 방식의 압축 부호화 처리에 의해 압축 부호화(데이터 압축)되는 동시에, 이들이 다중화되어, 다중화 데이터(MPEG 신호)로서 기록된다. 그러나, 이하에 있어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피사체를 촬영함으로써 얻은 영상 신호만이 압축 부호화되고, 압축 데이터로서 DV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고, 이것에 새롭게 촬 영함으로써 얻은 영상 신호를 압축 부호화하여 기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DV 테이프(201)의 위치 P까지 압축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미 DV 테이프(201)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MPEG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된 것이다. M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영상 데이터는, I픽쳐, B픽쳐, P픽쳐가 소정의 순서로 출현하게 되고, 15픽쳐로 이루어지는 GOP(Group Of Picture)가 1개의 처리 단위로 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GOP에는 1개의 I픽쳐가 포함된다.
DV 테이프(201)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에 계속하여, 재생 영상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새롭게 판독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여 기록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영상 데이터의 기록의 직전에 DV 테이프(201)에 기록되어 있는 1GOP 분의 영상 데이터(압축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을 새롭게 판독하여 기록하는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처리시에 사용한다.
이로써, DV 테이프(201)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도 3에 있어서는 위치 P보다 좌측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에 이어 맞추도록, 새로운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여 DV 테이프(201)에 기록하는 경우에, 위화감이 없는 압축 부호화된 새로운 영상 데이터인 압축 데이터를 형성하고, 이것을 위치 P 이후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미 압축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DV 테이프에 대하여, 새롭게 촬영하여 얻은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여 연이어 촬영하는 경우에 있어서, 회 전 헤드 실린더(611)가 정지 상태로부터 실제로 DV 테이프에 압축 데이터의 기록을 개시하기까지에 걸리는 시간은, DV 테이프에 기록된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는 스텝을 행하는 사정 상, 몇 초 걸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 실시예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는, 이미 압축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DV 테이프에 대하여, 새롭게 촬영하여 얻은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여 기록하는 경우에, DV 테이프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지 않고, 회전 헤드 실린더(611)에 대하여 DV 테이프의 기록 위치를 위치맞춤하였으면 즉시,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여 기록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미 압축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DV 테이프에 대하여, 새롭게 촬영하여 얻은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여 연이어 촬영하는 경우에 있어서,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 중, 최신에 기록된 소정량 분(예를 들면 1GOP분)의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을 새로운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처리에 사용하도록 하는 종래부터의 모드를 연이어 찍는 모드라고 한다.
또, 이미 압축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DV 테이프에 대하여, 새롭게 촬영하여 얻은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여 기록하는 경우에 있어서, DV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지 않고, 즉시 새로운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처리를 행하여 DV 테이프에 기록을 행하도록 하는 모드로서, 이 실시예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이용 가능하게 된 새로운 모드를 퀵 녹화 모드라고 한다.
도 4는, 종래부터의 연이어 찍는 모드와, 새롭게 이용 가능하게 된 퀵 녹화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도 4 (A)는 연이은 촬영 모드를, 도 4 (B)는 퀵 녹화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종래부터의 연이은 촬영 모드에 대하여, 도 4 (A)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전원이 투입되었지만, 사용자로부터는 동작 지시는 없고,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으므로, 도 4 (A)에 있어서 시점 t1의 타이밍에서 제어부(100)가 조작부(110)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의 녹화 지시(녹화 개시 지시)를 받아들인 것으로 한다. 제어부(100)는, 녹화 지시를 인식하고 후, 재생 장치부(60)에 대하여, 녹화 준비를 행하도록 하는 지시를 내린다. 이 녹화 지시를 인식하고 나서 제어부(100)가 재생 장치부(60)에 지시를 내리기까지 약 1프레임(도 4에 있어서는 1Fr이라고 함)분의 매우 짧은 시간이 걸린다.
이에 따라 재생 장치부(61)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재생 장치부(60)에 장전되어 있는 DV 테이프를 다음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처리를 행하므로, 위치 부여가 완료할 때까지 대기 시간으로 된다. 이 DV 테이프의 기록 위치에 회전 헤드 실린더(611)를 위치시키기까지의 기간이, 도 4 (B)에 있어서 「테이프 패스 안정 대기」라고 나타낸 기간이며, 약 2초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테이프 패스가 안정된 시점 t3 이후에 있어서는, DV 테이프를 약간 되감아,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을 압축/신장 처리부(40)에 공급하도록 하는 「녹화된 동영상 데이터(영상 데이터) 입력」이라고 나타낸 기간이며, 약 4초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 녹화된 동영상 데이터 입력 기간의 후에, 제어부(100)는, 압축/신장 처리부(40)나 재생 장치부(60)를 제어하여, 촬영함으로써 새롭게 얻은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고, 이것을 DV 테이프에 기록하도록 한다. 그리고, 녹화된 동영상 데이터 입력 기간의 후에, 실제로 새롭게 판독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여 DV 테이프로의 기록을 개시하도록 제어부(100)가 지시를 내리기까지, 약 1프레임(도 4에 있어서는 1Fr이라고 기재)분의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녹화 지시를 받아들인 시점 t1으로부터 실제로 DV 테이프에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여 기록을 개시한 시점 t5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6초+2프레임분의 시간으로 된다.
이것에 대하여, 도 4 (B)에 나타낸 퀵 녹화 모드의 경우에는, 테이프 패스 안정 대기 상태가 종료될 때까지의 시점 t3까지의 처리는, 도 4 (A)에 나타낸 연이은 촬영 모드시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하게 된다. 즉,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전원이 투입되었지만, 사용자로부터는 동작 지시는 없고,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정지 상태에 있을 때, 도 4 (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점 t1의 타이밍에서 제어부(100)가 조작부(110)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의 녹화 지시(녹화 개시 지시)를 받아들인 것으로 한다.
제어부(100)는, 녹화 지시를 인식한 후, 재생 장치부(60)에 대하여, 녹화 준비를 행하도록 하는 지시를 내린다. 이 녹화 지시를 인식하고 나서 녹화 준비의 지시를 내리기까지, 약 1프레임(도 4에 있어서는 1Fr이라고 함)분의 매우 짧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재생 장치부(6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재생 장치부(60)에 장전되어 있는 DV 테이프를 다음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처리를 행하므로, 위치 부여가 완료할 때까지 대기 시간으로 된다. 이 DV 테이프의 기록 위치에 회전 헤드 실린더(611)를 위치시키기까지의 기간이, 도 4 (B)에 있어서 「테이프 패스 안정 대기」로 나타낸 기간이며, 약 2초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도 4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퀵 녹화 모드의 경우에는,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의 읽어들이기를 행하지 않고, 테이프 패스 안정 대기가 종료한 시점 t3의 직후부터 1프레임(1Fr)분의 시간 후에, 제어부(100)는, 압축/신장 처리부(40), 재생 장치부(60)를 제어하여, 예를 들면, 촬영함으로써 새롭게 얻은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고, 이것이 DV 테이프에 기록되게 된다. 따라서, 녹화 지시를 받아들인 시점 t1으로부터 실제로 DV 테이프에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압축 데이터)의 기록을 개시한 시점 t4x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2초 + 2프레임분의 시간으로 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퀵 녹화 모드의 경우에는, 종래의 연이은 촬영 모드의 경우보다 4초나 빠르고, 촬영하여 얻은 영상 데이터의 DV 테이프로의 기록을 개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연이은 촬영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촬영 찬스를 놓치지 않게 할 수 있고, 목적으로 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확실하게 DV 테이프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퀵 녹화 모드의 경우에는, 새롭게 기록할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 화하는 경우에, DV 테이프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여 이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기록하는 영상 데이터의 최초의 부분의 영상이 약간 흐트러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비교적 오랫동안, 촬영을 속행하게 하는 것은, DV 테이프의 낭비나 배터리의 소모를 초래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녹화 찬스는 놓치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퀵 녹화 모드를 사용하도록 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종래의 연이은 촬영 모드를 사용하도록 하고 싶다는 요구도 있다.
그래서, 이 실시예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는, 종래부터의 연이어 찍는 모드와 새로운 퀵 녹화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이것을 언제라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5는, 퀵 녹화 모드의 선택/비선택의 설정 입력을 행하기 위해, 이 실시예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LCD(82)의 표시 화면(82G)에 표시되는 퀵 녹화 모드의 선택/비선택의 설정 입력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도 5에 나타낸 설정 화면은, 예를 들면, 메뉴 표시 키를 푸시 조작한 경우 등, 소정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LCD(82)의 표시 화면(82G)에 표시되는 메뉴로부터, 선택 항목으로서 준비된 「퀵 녹화」를 키 조작부(110)의 커서 키 등을 조작함으로써 커서를 위치하게 하여 선택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낸 퀵 녹화의 설정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이 도 5에 나타낸 퀵 녹화의 설정 화면에 있어서는, 퀵 녹화를 행할 것인지 여부의 설정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선택 표시 MSG1과, 퀵 녹화를 온(퀵 녹화 온)으로 한 경우에는, 연이은 촬영 녹화는 하지 못하고, 녹화의 최초의 부분의 영상이 어긋나는 등의 경우가 있는 것을 경고하기 위한 표시 MSG2, 이 설정 화면을 종료시 키기 위한 종료 표시 MSG3로 되어 있다.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선택 표시 MSG1에 있어서, 조작부(110)의 커서 키 등을 사용하여, 퀵 녹화 모드를 「오프」로 하기 위해서 선택 항목 「오프」에 커서를 위치시키거나, 퀵 녹화 모드로 영상을 기록하기 위해 선택 항목 「온」에 커서를 위치시켜 소정의 확인 조작 입력을 행함으로써, 퀵 녹화 모드의 「오프」/「온」의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퀵 녹화 모드가 「온」(퀵 녹화 모드 온)의 경우, 영상을 촬영하여 녹화하도록 한 경우에는, 퀵 녹화 모드에 의해, 촬영 영상을 신속히 DV 테이프에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또, 연이은 촬영 모드의 선택 설정도,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퀵 녹화 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연이어 찍는 모드와 퀵 녹화 모드가 모두 「온」으로 되는 것은 아니고, 어느 하나를 「온」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다른 쪽을 「오프」로 해 두지 않으면 않되게 된다.
물론, 퀵 녹화 모드를 「온」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연이은 촬영 모드를 자동적으로 「오프」로 하도록 하거나, 퀵 녹화 모드를 「오프」로 설정한 경우에는, 연이은 촬영 모드를 자동적으로 「온」으로 하도록 하거나 할 수도 있다. 즉, 나중으로의 설정을 유효한 것으로 간주하여, 앞의 설정을 변경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조작부(110)에, 퀵 녹화 모드의 온/오프 키를 설치하고, 이것을 직접 조작함으로써, 녹화의 모드를 간단하게 전환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연이어 찍는 모드와 퀵 녹화 모드를 사용자가 임 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경우라도, 연이은 촬영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도 4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녹화의 개시가 지시되고 나서, 실제로 촬영하도록 한 영상 데이터의 DV 테이프로의 기록이 개시되기까지에 6초 정도의 시간이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녹화의 개시가 지시되고 나서, 실제로 촬영하도록 한 영상 데이터의 DV 테이프로의 기록이 개시되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녹화 준비 중인 취지의 통지를 사용자에 행하고, 실제로 DV 테이프에 기록되는 영상은 어디로부터인지를 명확하게 통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6 (A) 내지 도 6 (C)는, 녹화의 개시가 지시되고 나서, 실제로 촬영하도록 한 영상 데이터의 DV 테이프로의 기록이 개시되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DV 테이프로의 영상 데이터의 기록은 아직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표시로서, LCD(82)의 표시 화면(82G)에 표시되는 녹화 준비 중임을 나타내는 표시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A)의 경우에는, 표시 영상의 대부분을 은폐하지 않고, 또한 비교적 눈에 띄는 위치인 표시 화면(82G)의 상단부에 녹화 준비 중임을 나타내는 모드 표시 Md1를 행하도록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모드 표시 Md1는, 단지 표시하는 것뿐이라도 되지만, 모드 표시 Md1의 표시/비표시를 반복하는 태양, 즉 모드 표시 Md1를 점멸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 도 6 (B)의 경우에는, 녹화 준비 중임을 나타내는 미리 결정된 아이콘 Md2를 표시하도록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아이콘은, 각종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아이콘의 표시/비표시를 반복하도록 한 태양, 즉 점멸 표시하도록 한 태양으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아이콘 표시 Md2만이라도 좋지만, 녹화 준비 중임을 나타내는 모드 표시(도 6 (B)에 있어서는 「스탠바이」의 문자를 포함하는 표시)를 표시 화면(82G)의 상단부에 동시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 도 6 (C)의 경우에는, 녹화 준비 중인 취지를 통지하는 문자 정보 Md3를 표시 화면의 중앙 부분에 표시하도록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도, 문자 정보 Md3를 표시/비표시를 반복하도록 한 태양, 즉 점멸 표시하도록 한 태양으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문자 표시 Md3만이라도 되지만, 녹화 준비 중임을 나타내는 모드 표시(도 6 (C)에 있어서는 「스탠바이」의 문자를 포함하는 표시)를 표시 화면(82G)의 상단부에 동시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 모드 표시 Md1, 아이콘 Md2, 문자 정보 Md3의 표시 위치는, 도 6 (A) 내지 도 6 (C)에 나타낸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화면(82G)의 각종의 위치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또, 모드 표시 Md1, 아이콘 Md2, 문자 정보 Md3 중 임의의 하나만을 표시하도록 해도 되고, 임의로 선택한 2개를 동시에 표시하여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 모드 표시 Md1, 아이콘 Md2, 문자 정보 Md3의 전부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녹화의 개시가 지시되고 나서, 실제로 촬영하도록 한 영상 데이터의 DV 테이프로의 기록이 개시되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녹화 준비 중임을 통지하는 표시를 연구함으로써, 사용자가, 예를 들면 연이은 촬영 모드를 선택한 경우 라도, 곧 기록이 시작되는 것을 사용자에 대하여 명확하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실제로 DV 테이프에 기록된 영상은 어디로부터 인지를 명확하게 알 수 있으므로, 뒤로 되어 목적으로 하는 영상이 기록되어 있지 않았던 것을 알아차리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여기서는, 연이은 촬영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녹화의 개시가 지시되고 나서, 실제로 촬영하도록 한 영상 데이터의 DV 테이프로의 기록이 개시되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DV 테이프로의 영상 데이터의 기록은 아직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퀵 녹화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종래부터의 연이은 촬영 모드의 경우에 비하면, 녹화의 개시가 지시되고 나서, 실제로 촬영하도록 한 영상 데이터의 DV 테이프로의 기록이 개시되기까지의 시간은 약 2초로 연이은 촬영 모드의 경우의 약 3분의 1의 시간으로 단축된다. 그러나, 녹화의 개시가 지시되고 나서, 실제로 촬영하도록 한 영상 데이터의 DV 테이프로의 기록이 개시되기까지에 약간의 시간이 걸리므로, 이 동안에 있어서, 도 6 (A) 내지 도 6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녹화 준비 중임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기록 제어 방법에 대하여]
전술한 이 실시예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설명으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퀵 녹화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로서, 이미 압축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DV 테이프에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여 추가 기록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녹화 스타트(REC 스타트) 조작이 행해지면, 제어부(100)는, 재생 장치부(60)을 제어하여, 회전 헤드 실린더(611)을 회전시키고, 다음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위치에 DV 테이프를 위치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 기간이, 도 4 (B)에 나타낸 테이프 패스 안정 대기로 되는 기간이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테이프 패스가 안정된 후에, 압축/신장 처리부(40)와 재생 장치부(60)를 제어하여, 기록 매체인 DV 테이프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촬영하여 얻은 영상 데이터만을 소정의 방식의 압축 부호화 처리를 행하면서(스텝 1), 압축 부호화한 영상 데이터(압축 데이터)의 DV 테이프로의 기록을 개시한다(스텝 S2). 이와 같이, 퀵 녹화 모드의 경우에는, 기록 매체인 DV 테이프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의 판독은 행해지지 않으므로, 촬영하여 얻은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여 DV 테이프에 기록하는 처리를 신속히 개시할 수 있어 촬영 기회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이 실시예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경우에는, 종래부터의 연이어 찍는 모드와 전술한 퀵 녹화 모드와의 선택이 가능하다. 그리고, 연이은 촬영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녹화 스타트(REC 스타트) 조작이 행해지면 제어부(100)는, 재생 장치부(60)를 제어하여, 회전 헤드 실린더(611)를 회전시키고, 다음에,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위치에 DV 테이프를 위치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 기간이 , 도 4 (A)에 나타낸 테이프 패스 안정 대기로 되는 기간이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테이프 패스가 안정된 후에, 현재의 테이프 위치로 부터 약간 감아 되돌리고, 다음에, 기록 개시했을 때의 영상과 이어 맞추어 찍기 위해, DV 테이프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여, 감아 되돌리기 전의 테이프 위치로 돌아오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1). 이 기록이 완료된 영상 데이터의 판독 기간이, 녹화된 데이터 입력의 기간으로 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압축/신장 처리부(40)와 재생 장치부(60)를 제어하여, 처음에, DV 테이프로부터 판독한 이미 기록되어 있던 압축 데이터도 사용하여, 촬영하여 얻은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방식의 압축 부호화 처리를 행하면서(스텝 2), 압축 부호화한 영상 데이터의 DV 테이프로의 기록을 개시한다(스텝 3).
이와 같이, 이 실시예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는, 퀵 녹화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테이프 패스 안정 대기 후, 과거에 기록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기록 대상의 영상 데이터만의 압축 부호화 처리(스텝 1)→압축 부호화한 영상 데이터의 DV 테이프로의 기록(스텝 2)이라는 2단계의 처리를 행하게 된다.
한편, 연이은 촬영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테이프 패스 안정 대기 후, 녹화 종료 동영상 데이터(기록필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고(스텝 1)→DV 테이프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도 사용하여 기록 대상의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처리를 행하고(스텝 2)→압축 부호화한 영상 데이터의 DV 테이프로의 기록을 행한다(스텝 3)는 3단계의 처리를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퀵 녹화 모드 쪽이, 종래부터의 연이은 촬영 모드의 경우보다, DV 테이프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의 판독을 행하지 않는 만큼, 영상 데 이터의 DV 테이프로의 기록을 신속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연이은 촬영 모드를 탑재하지 않고, 퀵 녹화 모드만을 탑재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경우에는, 예측 부호화를 이용하는 압축 부호화를 행하여 데이터 압축한 영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 이미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직전의 동화상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예비 동작을 행하지 않고, 신속히 촬영하여 얻은 영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또, 연이은 촬영 모드(연이어 촬영하는 시켄스 때문에, 실기록 개시까지의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는 기록 방법)와 퀵 녹화 모드(연결 촬영을 행하지 않는이, 실기록 개시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기록 방법)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촬영 대상 등에 따라 연이어 찍는 모드와 퀵 녹화 모드를 조작부(110)의 소정의 키를 조작함으로써, 임의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 기록 개시 요구로부터 실기록 개시까지, 연이어 촬영하는 시켄스 등 시간이 걸리는 처리를 끼우는 경우에 있어서, 도 6 (A) 내지 도 6 (C)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록 준비 중임을 LCD 등에 표시함으로써, 기록 준비 중임을 사용자에 명확하게 알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는, 촬영함으로써 얻은 영상 데이터는, MPEG 포맷에 따라 압축 부호화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영 상 데이터를 추가 기록하는 경우에 있어서, 예측 부호화를 이용하므로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가 필요한 각종의 압축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메라부(10)를 통해서 촬영함으로써 얻은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퀵 녹화 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SD 입력 단자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신호를 퀵 녹화 모드로 기록하는 것 등도 할 수 있다.
또, 사용하는 기록 매체는, DV 테이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기록 가능한 CD(Compact Disc)나 기록 가능한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광디스크, MD(Mini Disc) 등의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한 이른바 메모리 카드 등, 각종의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새롭게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기록 처리의 신속화나 기록 처리시의 동작 상태의 통지를 실현하고, 목적으로 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확실하게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촬상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8)

  1. 영상 신호를, 예측 부호화를 이용한 데이터 압축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하는 압축 처리 수단과,
    상기 압축 처리 수단에서 압축된 압축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처리와,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는 처리를 행하는 기록/판독 수단과,
    영상 신호의 기록을 개시할 때, 상기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에 이용되지 않도록 할 것인지, 상기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여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에 이용되도록 할 것인지의 선택 입력을 접수하고, 상기 선택 입력에 따라서 상기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에 이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선택된 경우에는, 영상 신호의 기록을 개시할 때, 상기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만을 대상으로서 압축 부호화를 즉석에서 개시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상기 압축 처리 수단과 상기 기록/판독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선택 입력에 따라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여,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에 이용되도록 하는 것이 선택된 경우에는, 영상 신호의 기록을 개시할 때, 상기 압축 처리 수단과 상기 기록/판독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을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에 이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촬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기록 개시 요구를 접수하고나서, 실제로 상기 기록 매체에 압축 데이터의 기록을 개시하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기록 준비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하는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촬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영상 신호의 기록을 개시할 때, 상기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여,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에 이용되도록 하는 것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로부터의 기록 개시 요구를 접수하고나서, 실제로 상기 기록 매체에 압축 데이터의 기록을 개시하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기록 준비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하는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촬상장치.
  4.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여,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에 이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의 선택 입력을 접수한 경우로서,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를, 예측 부호화를 이용한 데이터 압축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하는 경우에, 상기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만을 대상으로서 압축 부호화를 즉석에서 개시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데이터 압축을 행하는 제1 압축 처리 단계와,
    상기 제1 압축 처리 단계에서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1 기록 제어 단계와,
    상기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여,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에 이용되도록 하는 것의 선택 입력을 접수한 경우로서,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를, 예측 부호화를 이용한 데이터 압축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하는 경우에, 상기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제어하는 판독 제어 단계와,
    상기 판독 제어 단계에 의한 제어에 의해 판독된 상기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를 행하는 제2 압축 처리 단계와,
    상기 제2 압축 처리 단계에서 압축 부호화된 압축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2 기록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기록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기록 개시 요구를 접수하고나서, 실제로 상기 기록 매체에 압축 데이터의 기록을 개시하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기록 준비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하는 통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록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영상 신호의 기록을 개시할 때, 상기 기록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여, 새롭게 기록할 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에 이용되도록 하는 것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로부터의 기록 개시 요구를 접수하고나서, 실제로 상기 기록 매체에 압축 데이터의 기록을 개시하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기록 준비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하는 통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록 제어 방법.
  7. 삭제
  8. 삭제
KR20067012932A 2004-11-05 2005-10-24 촬상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 KR101199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321770 2004-11-05
JP2004321770A JP4203756B2 (ja) 2004-11-05 2004-11-05 撮像装置および記録制御方法
PCT/JP2005/019506 WO2006049028A1 (ja) 2004-11-05 2005-10-24 撮像装置および記録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5043A KR20070085043A (ko) 2007-08-27
KR101199445B1 true KR101199445B1 (ko) 2012-11-09

Family

ID=3631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7012932A KR101199445B1 (ko) 2004-11-05 2005-10-24 촬상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86865B2 (ko)
EP (1) EP1696666B1 (ko)
JP (1) JP4203756B2 (ko)
KR (1) KR101199445B1 (ko)
CN (1) CN100574401C (ko)
TW (1) TWI279138B (ko)
WO (1) WO20060490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0766A1 (ja) * 2007-10-18 2009-04-23 Fujitsu Limited 映像圧縮符号化・復元装置、映像圧縮符号化・復元プログラム、及び映像生成・出力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9540A (ja) * 1987-05-22 1988-11-28 Fuji Photo Film Co Ltd ビデオカメラの撮影モ−ド表示方法
JP2000165803A (ja) * 1998-11-26 2000-06-16 Sony Corp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9960A (ja) * 1984-02-24 1985-09-13 Victor Co Of Japan Ltd 磁気記録再生装置のつなぎ撮り装置
US5293236A (en) * 1991-01-11 1994-03-08 Fuji Photo Film Co., Ltd. Electronic still camera including an EEPROM memory card and having a continuous shoot mode
JP3287875B2 (ja) 1992-05-20 2002-06-04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H08149408A (ja) 1994-11-17 1996-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動画編集方法及び装置
JPH08306133A (ja) 1995-04-28 1996-11-22 Sony Corp デジタル記録装置及び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
US5956461A (en) * 1995-10-31 1999-09-21 Hitachi, Ltd. Camcorder and controller
KR100239745B1 (ko) * 1997-04-25 2000-01-15 구자홍 영상프레임 정위치 녹화방법
EP0982950A3 (en) * 1998-08-24 2004-09-29 Sony Corporation Electronic video camera comprising an MPEG encoder
JP2004164731A (ja) * 2002-11-12 2004-06-10 Sony Corp 記録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173069A (ja) 2002-11-21 2004-06-17 Canon Inc 画像データ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4175251B2 (ja) * 2003-12-22 2008-11-05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9540A (ja) * 1987-05-22 1988-11-28 Fuji Photo Film Co Ltd ビデオカメラの撮影モ−ド表示方法
JP2000165803A (ja) * 1998-11-26 2000-06-16 Sony Corp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5043A (ko) 2007-08-27
JP4203756B2 (ja) 2009-01-07
EP1696666A1 (en) 2006-08-30
CN1906935A (zh) 2007-01-31
JP2006135606A (ja) 2006-05-25
EP1696666B1 (en) 2013-10-02
WO2006049028A1 (ja) 2006-05-11
TW200629896A (en) 2006-08-16
EP1696666A4 (en) 2012-02-29
TWI279138B (en) 2007-04-11
US20090226151A1 (en) 2009-09-10
US7986865B2 (en) 2011-07-26
CN100574401C (zh) 200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7667B2 (en) Imaging device with function to image still picture during moving picture imaging
US8422849B2 (en) Image playback apparatus, image recording apparatus, image playback method, and image recording method
US8339478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958758B2 (ja)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081812A1 (en) Camera apparatus having a moving image playback function in multiple image selection screen
JP2006261953A (ja) 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撮像装置
US20020008764A1 (en) Imaging apparatus
JP5118465B2 (ja)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58780B2 (ja) 画像処理装置
KR101199445B1 (ko) 촬상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
JP5089544B2 (ja) 画像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462660B2 (ja) 静止画像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撮像装置
JP4193691B2 (ja) 撮像装置、動画ファイルの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093985A (ja) 撮像装置
JP2000236508A (ja) 画像記録装置
JP4529845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084741B2 (ja) 撮像装置
JP444474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117370A (ja) デジタルカメラ
US7734152B2 (en)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ing motion and still images
US20120069047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editing apparatus, image display program, and image editing program
JP4656395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記録プログラム
JP2012227595A (ja) 撮像装置
JP2021061542A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0093407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