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929B1 - 교량 안전진단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안전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929B1
KR101179929B1 KR1020120034739A KR20120034739A KR101179929B1 KR 101179929 B1 KR101179929 B1 KR 101179929B1 KR 1020120034739 A KR1020120034739 A KR 1020120034739A KR 20120034739 A KR20120034739 A KR 20120034739A KR 101179929 B1 KR101179929 B1 KR 101179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ridge
camera
rotating
p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삼식
Original Assignee
(주) 일신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일신이앤씨 filed Critical (주) 일신이앤씨
Priority to KR1020120034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각의 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교각의 표면을 근접된 거리에서 정밀하게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의 위치를 정확한 좌표로 기록하는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고, 레일이 구비되며 수직판의 상부에는 견인기의 견인로프가 체결되는 견인고리가 구비된 승강부와; 승강부와 교각의 사이에 위치된 간격 유지부와; 승강부의 양측 레일을 따라 전방과 후방에 구비되는 회전롤러와, 회전롤러들이 설치되는 'H'자 형상의 롤러 브라켓과, 롤러 브라켓의 하부에 연장되는 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본체와, 회전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텝모터와, 회전본체의 상부 양측에서 승강부의 레일 저면으로 연장되며 회전본체와는 힌지결합되고 스프링에 의해 상부로 밀착되는 연장프레임과, 연장프레임의 단부에 구비되고 스텝모터의 모터축과 구동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레일의 전면에 밀착되는 구동롤러로 구성된 회전부와; 회전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제어부로 구성된 교량 안전진단장치로 실현 가능하며, 기존보다 교각의 표면을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하나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교각의 전 구간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인해 각각의 카메라를 동기화시키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영상을 편집하는데 필요한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량 안전진단장치{Safety diagnosis device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중 교각의 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교각의 표면을 근접된 거리에서 정밀하게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교량을 정밀하게 측정 및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국가의 주요 교통시설로서, 설치하는데 막대한 비용이 사용되는 고가의 시설물이기도 하지만, 도심 및 도서지역 등을 연결하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주요 교통시설이기도 하다. 이러한 교량은 주기적으로 안전진단을 받아야 하며, 안전진단에는 매년 실시되는 일반 안전진단과 수년 단위로 실시되는 정밀 안전진단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안전진단은 법규로 규정되어 있어 교량을 관리하는 기관에서는 교량의 안전진단 주기에 맞춰 합당한 업체를 선정하여 교량이 안전한가를 점검받게 된다.
이중 매년 진행되는 안전진단은 여러 항목의 진단을 수행하고 이중 교량의 상판과 교각의 외관을 정밀하게 관찰하여 균열이 발생하였는가와 교량에 백화현상 등이 발생되었는가 등을 주로 점검하게 된다.
수년을 주기로 진행하는 정밀안전진단 등에서는 교량의 상판이나 교각 등의 내부까지도 비파괴검사 등을 통해 정밀하게 측정하지만, 이러한 검사를 매년 실시한다면 교량을 관리하는데 필요 이상으로 예산을 집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밀안전진단은 수년을 주기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매년 실시되는 안전진단은 교량의 외관을 검사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고, 매년 실시되는 안전점검에서 이상징후가 발견되면 검사관은 이를 관리기관에 보고하고, 관리기관에서는 합당한 정밀진단 기관을 지정하여 교량의 정밀진단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안전점검과 정밀안전점검을 병행하여 실시하게 된다.
종래의 외관검사는 통상 안전진단을 전문으로 하는 검사관이 교량의 각 부위를 육안으로 검사한 뒤 검사일지에 합격여부를 표시하는 것으로 마무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방법은 검사가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즉, 이를 다시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른 검사관이나 관리관청의 감독관이 동일한 현장에 방문하여 다시 동일한 검사를 반복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감독관이나 다른 검사관이 교량을 점검하다 교각에 발생된 균열을 발견한다 하여도 이 균열이 전에도 있었던 것인지 아니면 검사 뒤 다른 요인에 의해 발생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교각의 표면을 육안으로 검사하는 경우에도 교량의 전 구역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를 보관하는 방법이 제안되었고, 이러한 방법은 검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카메라를 활용해 교각을 촬영하는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85312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 또한, 다수의 카메라가 전 방위에서 교각을 촬영하기는 하나, 고정된 카메라에 의해 교각의 표면이 촬영되므로 카메라와 근접한 곳의 확인은 용이하지만, 카메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지점의 표면은 정밀하게 촬영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수의 카메라가 사용되므로 이들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동기화시켜야 한다는 문제도 있다. 즉, 각각의 영상에 카메라의 방위를 부여해야 하는 과정과 각각의 영상들을 이웃하는 영상과 동일한 높이의 지점으로 동기화시켜야만 이들 영상이미지를 이용해 교각의 측면을 관찰하는 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작업에는 이를 전문으로 하는 영상편집가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이에 합당한 비용이 지출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보다 정밀하게 교각을 촬영할 수 있는 안전진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하나의 카메라로 교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진단시 촬영된 영상을 동기화시키는 과정을 거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고, 이로 인해 안전진단시 촬영된 영상을 편집하는 데 사용되는 경비를 절감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의 교각을 안전진단하는 장치로서, 교각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교각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승강부와, 승강부에 설치되어 교각의 표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승강부를 교각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견인기로 구성된 교량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부의 수평판과 수평판의 양측 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판으로 구성되어 저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이고, 양측 수직판의 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방향으로 수평판과 평행하게 돌출되는 레일이 구비되며, 수직판의 상부에는 견인기의 견인로프가 체결되는 견인고리가 구비된 승강부와; 승강부와 교각의 사이에 위치되며 승강부에 설치되고, 승강부의 측면에 회동되게 설치되는 이격프레임과, 이격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되는 이격롤러와, 승강부의 상부와 이격프레임의 측면 사이에 설치되고 이격프레임을 교각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댐퍼로 구성된 간격 유지부와; 승강부의 양측 레일을 따라 전방과 후방에 구비되는 회전롤러와, 회전롤러들이 설치되는 'H'자 형상의 롤러 브라켓과, 롤러 브라켓의 하부에 연장되는 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본체와, 회전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텝모터와, 회전본체의 상부 양측에서 승강부의 레일 저면으로 연장되며 회전본체와는 힌지결합되고 스프링에 의해 상부로 밀착되는 연장프레임과, 연장프레임의 단부에 구비되고 스텝모터의 모터축과 구동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레일의 전면에 밀착되는 구동롤러로 구성된 회전부와; 회전본체의 측면에서 점검할 교각의 표면을 촬영하도록 설치되는 카메라와; 스텝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고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가 저장되는 메모리가 구비된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안전진단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또한, 승강부의 수직판 중 외부에 구비되는 수직판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사각의 센서공이 형성되고, 회전부의 롤러 브라켓에는 센서공을 통해 외부의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가 구비되며, 제어부는 광센서에서 감지되는 빛의 단속을 통해 승강부에서의 회전본체의 위치를 산출하는 연산모듈과,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에 연산모듈에서 산출된 위치데이터를 합성하는 합성모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안전진단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기존보다 교각의 표면을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교각의 전 구간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인해 각각의 카메라를 동기화시키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영상을 편집하는데 필요한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안전진단장치가 교량의 교각에 설치딘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안전진단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회전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회전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회전부의 내부를 도시한 투영도.
도 6은 도 3내지 도 5에 도시된 연장프레임과 구동롤러 등을 상세히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도 1의 교량 안전장치의 결합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8은 회전부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교량 안전진단장치의 주요 구성품들의 구성 및 신호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안전진단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안전진단장치(10)는 견인기(20)에 의해 교각(2)의 측면에서 승/하강되는 승강부(100)와 승강부(100)의 하부에서 회전되는 회전부(300)와 회전부(300)에 체결되어 회전부(300)와 함께 회전되면서 교각(2)의 측면을 정밀하게 촬영하는 카메라(400) 및 회전부(300)와 카메라(4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견인기(20)와 승강부(100)를 살펴보면, 견인기(20)는 모터(미 도시됨)에 의해 회전되는 권취롤러(미 도시됨)와 권취롤러에 감기는 견인로프(21)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물체를 들어올리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견인기(20)는 교량(1)의 상판(3) 중에서 교각(2)이 위치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양측에 4개 정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견인기(20)들은 동시에 작동되거나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것이 사용되어야 한다.
승강부(100)는 교각(2)의 형상에 따라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직선형상의 것과 곡선 형상의 것으로 구분되어 제작되는 일종의 프레임으로서, 현장에서 교각(2)의 형상을 고려하여 조립할 수 있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승강부(100)는 수직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부에는 수평판(111)이 구비되고, 수평판(111)의 양 측면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수직판(112)이 구비된다. 따라서 하부 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제작된다.
양측 수직판(112)은 하부 단부에 수평판(111)과 평행하게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레일(130)이 구비된다. 수평판(111)은 상부에 교각(2)을 기준으로 전후좌우 방향에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견인고리(140)가 구비되고, 견인고리(140)에는 견인기(20)의 견인로프(21)가 체결된다.
또한, 승강부(100)와 교각(2)의 사이에는 간격 유지부(200)가 더 구비된다. 간격 유지부(200)는 승강부(100)와 교각(2)이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승강부(100)의 내부 중심에 교각(2)이 위치되게 하는 것이고, 이격 프레임(210)과 이격롤러(220) 및 댐퍼(230)로 구성된다.
이격 프레임(210)은 승강부(100)의 측면에 회동되게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것이다. 이격롤러(220)는 이격 프레임(210)의 상부 단부에 설치되어 교각(2)의 측면과 접할 때 회전되어 이격 프레임(210)에 의해 교각(2)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댐퍼(230)는 승강부(100)의 상부와 이격 프레임(210)의 측면 사이에 설치된 뒤 이격 프레임(210)의 단부를 교각(2)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것이고, 통상 실린더(231) 내부에는 스프링과 작동유와 가스가 충전되어 실린더(231)와 피스톤 로드(232)가 내부의 작동유 및 가스에 의해 작동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간격 유지부(200)는 승강부(100)에 균일한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되고, 각각의 간격 유지부(200)는 일정 압력으로 교각(2)에 접촉되므로 승강부(100)가 교각(2)과 충돌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승강부(100)의 하부에는 회전부(300)가 구비되고, 회전부(300)는 롤러 브라켓(310), 회전롤러(320), 지지대(330), 회전본체(340), 스텝모터(350), 연장프레임(360), 구동롤러(390) 등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회전롤러(320)는 승강부(100)의 양측 레일(130)의 상부에서 회전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승강부(100)의 하단부 양측의 레일(130)의 상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롤러(320)는 롤러 브라켓(310)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롤러 브라켓(310)은 이들 회전롤러(320)가 결합되기 용이하게 'H'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330)는 롤러 브라켓(310)의 중심에서 하부를 향해 설치되는 것이고, 하부에는 회전본체(340)의 상부가 결합된다.
회전본체(340)는 롤러 브라켓(310)의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대(330)의 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직육면체의 함으로 구성되고, 상부에는 연장프레임(360)이 회동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스텝모터(350)가 구비된다.
다시 설명하면, 연장프레임(360)은 하단부가 회전본체(340)에 축회전되게 결합되고, 회전본체(340)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370)에 의해 상단이 회동되게 된다. 연장프레임(360)의 상단에는 구동롤러(390)가 구비된다. 따라서 연장프레임(360)의 회동에 의해 연장프레임(360)의 상단에 위치하는 구동롤러(390)는 항시 레일(130)의 저면에 밀착된다.
스텝모터(350)는 회전본체(34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고, 스텝모터(350)의 모터축(351)의 회전력은 구동롤러(390)에 전달되어 구동롤러(390)가 회전되는데 이용된다. 이때, 모터축(351)의 축회전속도와 구동롤러(390)의 축회전속도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텝모터(350)의 모터축(351)의 회전되는 속도를 제어부(500)에서 감지하여 회전부(300)의 이동된 거리 및 속도가 제어되기 때문이다.
스텝모터(350)와 구동롤러(390)의 동력 전달관계를 살펴보면, 스텝모터(350))의 작동으로 모터축(351)이 작동되면 모터축(351)의 회전력은 동력벨트(353)에 의해 동력 분배축(352)에 전달된다. 동력 분배축(352)의 양측 단부에 구비된 풀리(354)와 구동롤러(390)의 배면에 구비된 풀리(394) 간에 결합된 구동벨트(380)에 의해 동력 분배축(352)의 회전력은 양측 연장프레임(360)의 단부에 구비된 구동롤러(390)에 전달된다.
따라서 스텝모터(350)가 작동되면, 스텝모터(350)의 회전력은 모터축(351)과 구동벨트(380) 등에 의해 구동롤러(390)에 전달되어 레일(130)을 기준으로 회전부(300)가 이동하게 되고, 제어부(500)에서는 스텝모터(350)의 모터축(351)의 회전되는 정도만 측정하면, 이를 구동롤러(390)의 외경과 대입할 경우 회전부(300)의 이동된 정도와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카메라(400)는 회전본체(34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점검할 교각(2)의 표면을 촬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근거리에서 촬영할 수 있는 것이면 사용가능하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회전본체(34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스텝모터(350)의 모터축(351)이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이며, 회전부(300)가 이동된 거리를 산출하는 승강부(100)의 레일(130) 상에서의 회전부(300)의 위치를 연산하는 연산모듈(520)과 연산모듈(520)에서 산출된 위치정보를 카메라(400)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에 실시간으로 합성시키는 합성모듈(530) 및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510)로 구성된다.
또한, 승강부(100)의 수직판(112) 중 외부에 구비되는 수직판(11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사각의 센서공(120)이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 회전부(300)의 롤러 브라켓(310)에는 센서공(120)과 수직판(112)에 의해 단속적으로 투영되는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5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광센서(550)는 회전부(300)의 이동에 따라 센서공(120)과 수직판(112)를 통해 통과되는 빛이 단속되는 것을 측정할 수 있고, 광센서(550)를 통해 측정되는 빛이 단속되는 정보는 제어부(500)로 보내진다. 연산모듈(520)은 광센서(550)에서 측정된 신호를 기반으로 회전부(300)의 이동되는 정도를 연산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회전부(3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처럼 연산모듈(520)에서 산출된 회전부(300)의 위치정보는 합성모듈(530)로 보내지고, 합성모듈(530)에서는 실시간으로 전달된 회전부(300)의 위치정보와 카메라(400)에서 전달된 영상이미지를 합성한다. 따라서 합성모듈(530)에서 가공된 영상이미지에는 교각(2)에 대한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영상이미지는 제어부(500)의 메모리(510)에 촬영된 순서에 맞게 연속적으로 저장된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안전진단장치의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장치(10)는 교량(1)의 교각(2)에 한시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교각(2)의 외부를 정밀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연속적으로 편집한 뒤 저장하는 것이며, 안전진단장치(10)에 저장된 영상이미지는 교각(2)의 외관에 이상이 있는지를 살피는데 사용된다.
또한, 촬영된 영상이미지는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관리되는 것으로서, 교량(1)을 관리하는 기관에서는 교각(2)의 안전진단 시 사용된 자료들을 더욱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안전진단장치(10)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교량(1)의 상판(3) 중 교각(2)이 위치되는 지점의 양측 전방과 후방에 견인기(20)를 설치한다. 견인기(20)의 설치가 완료되면 견인기(20)의 권취롤러(미 도시됨)에 감겨있는 견인로프(21)를 풀어 견인로프(21)의 끝단이 교각(2)의 하단에까지 내려지게 한다.
이와 동시에 교각(2)의 하단에서는 승강부(100)를 조립하고, 승강부(100)의 하단인 레일(130)에는 회전부(300)가 설치되게 한다. 승강부(100)의 조립과 회전부(300)의 설치가 완료된 뒤에는 승강부(100)의 상단에 구비된 견인고리(140)에 견인로프(21)를 결합하고 견인기(20)를 작동시켜 승강부(100)가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이것으로 교량 안전진단장치(10)의 설치와 촬영준비가 완료된다.
이때, 회전본체(340)의 상부에 구비된 연장프레임(360)은 회전본체(340)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370)에 의해 상부로 회동 된다. 따라서 연장프레임(360)의 단부에 구비된 구동롤러(390)는 레일(130)의 하부에 밀착되어 레일(130)의 표면과의 사에에서 마찰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텝모터(350)는 제어부(500)에서 모터축(351)의 회전되는 정도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어부(500)는 회전부(300)가 승강부(100)를 기준으로 어느 정도 이동하였는지를 스텝모터(350)의 모터축(351)의 회전된 정도로 감지하게 된다.
또는 승강부(100)의 수직판(112)에 센서공(120)이 형성되고 회전부(300)에 센서공(120)을 통해 빛의 단속을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550)가 구비된 경우에는 광센서(550)의 신호를 기반으로 회전부(300)의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고, 제어부(500)는 연산모듈(520)을 통해 이러한 연산 및 산출작업을 수행한다.
교각(2)을 촬영하는 방법은 견인기(20)를 통해 승강부(100)를 저속으로 상승시키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승강부(100)는 회전부(300)가 승강부(100)를 1회 회전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카메라(400)에서 촬영되는 화각의 범위를 고려하여 일정한 속도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견인기(20)들의 견인로프(21)들은 동일한 속도로 귄취되게 하여 승강부(100)가 최대한 수평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부(300)는 승강부(100)의 레일(130)을 따라 연속적으로 회전되면서 교각(2)의 표면을 정밀하게 촬영하는 것으로서, 카메라(400)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는 제어부(500)의 메모리(510)에 저장되며, 영상이미지는 메모리(510)에 저장되기 전에 제어부(500)의 합성모듈(530)을 통해 연산모듈(520)에서 연산된 위치정보가 합성된다. 즉, 메모리(510)에 저장된 영상이미지는 승강부(100)를 기준으로 한 위치정보가 수록된 상태에서 저장된다.
이처럼 교각(2)을 반복적으로 회전하면서 승강되는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미지는 제어부(500)의 합성모듈(530)에서 위치정보가 합성된 뒤 메모리(510)에 저장되고, 검사관과 감독관은 메모리(510)에 저장된 교각(2)의 이미지를 사무실이나 검사실에 구비된 모니터를 통해 현장에서와 동일한 느낌으로 꼼꼼히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검사관은 교각(2)의 외부 중 의심스러운 부분에 대해서는 수차례에 걸쳐 반복적으로 관찰할 수도 있다. 또한, 모니터를 통해 검사를 하면서 미심적은 부분이 발견되면 해당 전문가에게 이를 검토받기도 용이하다. 따라서 검사관이나 감독관이 현장에서 직접 검사하는 것보다 더욱 정밀하게 교각(2)을 검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대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만 한다.
10: 교량 안전진단장치 20: 견인기
21: 견인로프 100: 승강부
111: 수평판 112: 수직판
120: 센서공 130: 레일
140: 견인고리 200: 간격 유지부
210: 이격 프레임 220: 이격롤러
230: 댐퍼 300: 회전부
310: 롤러 브라켓 320: 회전롤러
330: 지지대 340: 회전본체
350: 스텝모터 351: 모터축
360: 연장프레임 370: 스프링
380: 구동벨트 390: 구동롤러
400: 카메라 500: 제어부
510: 메모리 520: 연산모듈
530: 합성모듈 550: 광센서

Claims (2)

  1. 교량(1)의 교각(2)을 안전진단하는 장치로서, 교각(2)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교각(2)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승강부(100)와, 승강부(100)에 설치되어 교각(2)의 표면을 촬영하는 카메라(400)와, 승강부(100)를 교각(2)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견인기(20)를 포함하는 교량 안전진단장치(10)에 있어서,
    상부의 수평판(111)과 수평판(111)의 양측 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판(112)으로 구성되어 저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이고, 양측 수직판(112)의 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방향으로 수평판(111)과 평행하게 돌출되는 레일(130)이 구비되며, 수직판(112)의 상부에는 견인기(20)의 견인로프(21)가 체결되는 견인고리(140)가 구비된 승강부(100)와;
    승강부(100)와 교각(2)의 사이에 위치되며 승강부(100)에 설치되고, 승강부(100)의 측면에 회동되게 설치되는 이격 프레임(210)과, 이격 프레임(210)의 단부에 설치되는 이격롤러(220)와, 승강부(100)의 상부와 이격 프레임(210)의 측면 사이에 설치되고 이격 프레임(210)을 교각(2)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댐퍼(230)로 구성된 간격 유지부(200)와;
    승강부(100)의 양측 레일(130)을 따라 전방과 후방에 구비되는 회전롤러(320)와, 회전롤러(320)들이 설치되는 'H'자 형상의 롤러 브라켓(310)과, 롤러 브라켓(310)의 하부에 연장되는 지지대(330)의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본체(340)와, 회전본체(34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텝모터(350)와, 회전본체(340)의 상부 양측에서 승강부(100)의 레일(130) 저면으로 연장되며 회전본체(340)와는 힌지결합되고 스프링(370)에 의해 상부로 밀착되는 연장프레임(360)과, 연장프레임(360)의 단부에 구비되고 스텝모터(350)의 모터축(351)의 구동력을 구동벨트(380)로 전달받으며 레일(130)의 전면에 밀착되는 구동롤러(390)로 구성된 회전부(300)와;
    회전본체(340)의 측면에서 점검할 교각(2)의 표면을 촬영하도록 설치되는 카메라(400)와;
    스텝모터(350)의 회전을 제어하고 카메라(400)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가 저장되는 메모리(510)가 구비된 제어부(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안전진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승강부(100)의 수직판(112) 중 외부에 구비되는 수직판(11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사각의 센서공(120)이 형성되고, 회전부(300)의 롤러 브라켓(310)에는 센서공(120)을 통해 외부의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550)가 구비되며,
    제어부(500)는 광센서(550)에서 감지되는 빛의 단속을 통해 승강부(100)에서의 회전본체(340)의 위치를 산출하는 연산모듈(520)과, 카메라(400)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에 연산모듈(520)에서 산출된 위치데이터를 합성하는 합성모듈(5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안전진단장치.
KR1020120034739A 2012-04-04 2012-04-04 교량 안전진단장치 KR101179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739A KR101179929B1 (ko) 2012-04-04 2012-04-04 교량 안전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739A KR101179929B1 (ko) 2012-04-04 2012-04-04 교량 안전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929B1 true KR101179929B1 (ko) 2012-09-07

Family

ID=4707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739A KR101179929B1 (ko) 2012-04-04 2012-04-04 교량 안전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92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564B1 (ko) 2012-10-23 2013-03-19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토목구조물 및 건축물 안전진단시 광학렌즈 및 망원렌즈를 이용한 정밀안전진단 장비
CN106706649A (zh) * 2016-12-31 2017-05-24 上海涂思机电技术有限公司 车辆检测设备及车辆检测方法
KR101834443B1 (ko) * 2016-10-04 2018-03-05 주식회사 한국국토안전연구원 교각 구조물 진단장치
CN109959406A (zh) * 2019-04-17 2019-07-02 福州大学 轮式旋转悬臂水下桥墩检测装置及其工作方法
CN110440101A (zh) * 2019-08-26 2019-11-12 昆明官美科技有限公司 一种桥梁墩柱检测装置
KR20190136635A (ko) * 2018-05-31 2019-12-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교각용 비파괴 검사장치
KR102287738B1 (ko) 2021-01-11 2021-08-11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고정 클램프 조립부재를 이용한 현수식 교각 점검방법
KR102336236B1 (ko) * 2021-04-30 2021-12-08 주식회사 삼형건설 고압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666Y1 (ko) 2004-07-23 2004-10-19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복개 하천 내부에 대한 안전 진단 시스템 구조
KR100885312B1 (ko) 2008-08-07 2009-02-26 (주)이지엔지니어링 고가 구조물 안전진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666Y1 (ko) 2004-07-23 2004-10-19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복개 하천 내부에 대한 안전 진단 시스템 구조
KR100885312B1 (ko) 2008-08-07 2009-02-26 (주)이지엔지니어링 고가 구조물 안전진단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564B1 (ko) 2012-10-23 2013-03-19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토목구조물 및 건축물 안전진단시 광학렌즈 및 망원렌즈를 이용한 정밀안전진단 장비
KR101834443B1 (ko) * 2016-10-04 2018-03-05 주식회사 한국국토안전연구원 교각 구조물 진단장치
CN106706649A (zh) * 2016-12-31 2017-05-24 上海涂思机电技术有限公司 车辆检测设备及车辆检测方法
CN106706649B (zh) * 2016-12-31 2024-01-23 宁波途思机电有限公司 车辆检测设备及车辆检测方法
KR20190136635A (ko) * 2018-05-31 2019-12-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교각용 비파괴 검사장치
KR102108306B1 (ko) * 2018-05-31 2020-06-0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교각용 비파괴 검사장치
CN109959406A (zh) * 2019-04-17 2019-07-02 福州大学 轮式旋转悬臂水下桥墩检测装置及其工作方法
CN109959406B (zh) * 2019-04-17 2024-02-02 福州大学 轮式旋转悬臂水下桥墩检测装置及其工作方法
CN110440101A (zh) * 2019-08-26 2019-11-12 昆明官美科技有限公司 一种桥梁墩柱检测装置
KR102287738B1 (ko) 2021-01-11 2021-08-11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고정 클램프 조립부재를 이용한 현수식 교각 점검방법
KR102336236B1 (ko) * 2021-04-30 2021-12-08 주식회사 삼형건설 고압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929B1 (ko) 교량 안전진단장치
JP5305603B2 (ja) 鉄道レール締結ボルト緩み検査装置
KR101352070B1 (ko) 휴대용 영상 점검 시스템
KR101843923B1 (ko)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터널 라이닝 검사장치
JP5096407B2 (ja) 非破壊検査装備
ES2959933T3 (es) Sistemas y métodos de inspección de contrapeso de ascensor automático
JP6355518B2 (ja) 橋梁検査ロボットシステム
KR101179930B1 (ko) 교량의 수중부 안전진단장치
KR20200105308A (ko) 교량 난간부에서 자율조종 굴절 아암 로봇을 이용한 교량 하부 안전점검 장치
JP6634366B2 (ja) 車両の点検整備用リフト装置
JP2008008705A (ja) 構造物の欠陥検出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欠陥検出機能を備えた荷役機械
CN103481910A (zh) 列车零部件图像采集***及列车零部件异常检测***
KR101520018B1 (ko) 터널점검장치
JP2019124678A (ja) 作業端末、漏油検出装置、及び、漏油検出方法
JPH0256397A (ja) クレーンのワイヤロープ点検装置
CN106855394A (zh) 铁路声风屏障安全监测装置、***及方法
CN105293242B (zh) 一种电梯曳引绳检测装置
CN203320413U (zh) 一种桥梁视频检测***
KR20140059482A (ko) 항만 안벽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항만 안벽 모니터링 방법
KR102287738B1 (ko) 고정 클램프 조립부재를 이용한 현수식 교각 점검방법
JP2003185783A (ja) 炉内目視検査装置
KR20130077848A (ko) 휴대용 영상 점검장치
KR20080058988A (ko) 교량의 안전 점검장치
KR102108306B1 (ko) 교각용 비파괴 검사장치
JP2020011799A (ja) 検査システム及び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