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248B1 -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 - Google Patents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248B1
KR101121248B1 KR1020107014237A KR20107014237A KR101121248B1 KR 101121248 B1 KR101121248 B1 KR 101121248B1 KR 1020107014237 A KR1020107014237 A KR 1020107014237A KR 20107014237 A KR20107014237 A KR 20107014237A KR 101121248 B1 KR101121248 B1 KR 101121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oil supply
negative pressure
valve
posit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9891A (ko
Inventor
슈우이찌 아소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9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42Mounting of the venting means
    • B60K2015/03547Mounting of the venting means the venting means are integrated in the fuel cap or inlet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2015/0419Self-sealing closure caps, e.g. that don't have to be removed manually
    • B60K2015/0429Self-sealing closure caps, e.g. that don't have to be removed manually actuated by the nozz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급유 건의 삽입으로 급유구를 개방하는 개폐 밸브의 밸브 개방압으로부터 독립하여, 연료 탱크 내부가 부압인 경우에 급유구를 개방하는 부압 밸브의 밸브 개방압을 설정 가능한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얻는다. 필러 파이프(24) 내에는, 연료 탱크 내부가 정압이 되었을 때에 개방되는 정압 밸브(50)와, 급유 건에 의해 밀려 개방되는 플래퍼 밸브(70)가 설치된다. 또한, 플래퍼 밸브(70)와는 별도로, 연료 탱크 내부가 부압이 되었을 때에 개방되는 부압 밸브(60)가 설치된다. 플래퍼 밸브(70)의 밸브 개방압을, 연료 탱크(10) 내부가 부압이 되었을 때의 밸브 개방 동작을 고려하지 않고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STRUCTURE FOR FUEL FILLING SECTION OF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연료 탱크에 급유하기 위한 급유부 구조로서, 특허 문헌 1에는, 평상시에는 폐쇄되고, 급유 건에 의해 밀렸을 때에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개방되는 밸브체(개폐 밸브)를 구비한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이 밸브체는, 탱크 본체 내의 압력이 소정치 이상의 부압으로 된 경우에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약간 개방되어, 탱크 본체 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으로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구조에서는, 탱크 본체 내의 압력이 스프링력으로 설정된 밸브 개방압보다도 높아졌을 때에 개방되는 정압(正壓)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 등의 구조에 있어서, 밸브체(개폐 밸브)를 가압하는 스프링의 가압력은, 밸브체에 의한 밀봉성의 향상이나 덜걱거림의 억제를 위해 높게 설정되므로, 연료 탱크 본체 내에서 발생하는 부압(負壓)의 크기에 따른 가압력, 즉 밸브 개방압의 설정을 할 수 없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8-142694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급유 건의 삽입으로 급유구를 개방하는 개폐 밸브의 밸브 개방압으로부터 독립하여, 연료 탱크 내부가 부압인 경우에 급유구를 개방하는 부압 밸브의 밸브 개방압을 설정 가능한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서는, 연료 탱크로의 급유용 급유 건이 삽입되는 급유구를 구성하는 급유구 부재와, 상기 급유구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급유구를 폐색하고, 삽입된 급유 건에 의해 압박되면 급유구를 개방하는 개폐 밸브와, 상기 급유구를 개방하는 정압 밸브 개방 위치와, 이 정압 밸브 개방 위치보다도 연료 탱크측에서 급유구를 폐색하는 정압 밸브 폐색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정압 밸브 본체와, 상기 정압 밸브 본체를 상기 정압 밸브 폐색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정압 밸브용 스프링과, 상기 정압 밸브용 스프링에 가압된 상기 정압 밸브 본체를 지지하여 상기 정압 밸브 폐색 위치로 유지하는 정압 밸브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연료 탱크의 탱크 내압이 탱크 외압보다도 클 때에 상기 정압 밸브용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정압 밸브 본체가 정압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급유구를 개방하는 정압 밸브와, 상기 정압 밸브 본체보다도 연료 탱크측에 설치되고, 상기 급유구를 개방하는 부압 밸브 개방 위치와, 상기 정압 밸브 본체에 접촉함으로써 급유구를 폐색하는 부압 밸브 폐색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부압 밸브 본체와, 상기 부압 밸브 본체를 상기 부압 밸브 폐색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동시에, 가압력이 상기 정압 밸브용 스프링의 가압력보다도 작게 설정된 부압 밸브용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연료 탱크의 탱크 내압이 탱크 외압보다도 작을 때에 상기 부압 밸브용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부압 밸브 본체가 부압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급유구를 개방하는 부압 밸브를 갖고, 상기 개폐 밸브가 상기 부압 밸브 본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에서는, 통상은 급유구가 개폐 밸브에 의해 폐색되어 있지만, 급유 건이 급유구에 삽입되면, 개폐 밸브가 급유 건에 의해 밀려 급유구를 개방한다.
또한, 이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에서는, 개폐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연료 탱크의 탱크 내압이 탱크 외압보다도 클 때에(즉, 연료 탱크 내부가 정압으로 되어 있을 때에), 정압 밸브용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정압 밸브 본체가 정압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급유구를 개방하는 정압 밸브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연료 탱크의 내압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에서는, 개폐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연료 탱크의 탱크 내압이 탱크 외압보다도 작을 때에(즉, 연료 탱크 내부가 부압으로 되어 있을 때에), 부압 밸브용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부압 밸브 본체가 부압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급유구를 개방하는 부압 밸브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연료 탱크의 내압이 과도하게 저하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 밸브에 더하여, 연료 탱크 내부가 부압이 되었을 때에 급유구를 개방하는 부압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개폐 밸브의 밸브 개방압으로부터 독립하여 부압 밸브의 밸브 개방압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부압 밸브가 상기 개폐 밸브보다도, 상기 연료 탱크의 부압이 작은 상태에서 개방되는 설정이 된다.
이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에서는, 개폐 밸브가 부압 밸브 본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개폐 밸브에 부압 밸브가 설치된 구성과 비교하여, 부압 밸브 본체의 수압 면적이 커진다. 이에 의해, 부압 밸브의 밸브 개방압을 낮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한 형태에서는, 상기 정압 밸브가, 상기 급유구를 개방하는 정압 밸브 개방 위치와, 이 정압 밸브 개방 위치보다도 연료 탱크측에서 급유구를 폐색하는 정압 밸브 폐색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정압 밸브 본체와, 상기 정압 밸브 본체를 상기 정압 밸브 폐색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정압 밸브용 스프링과, 상기 정압 밸브용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 상기 정압 밸브 본체를 지지하여 상기 정압 밸브 폐색 위치로 유지하는 정압 밸브 지지 부재를 갖고, 상기 부압 밸브가, 상기 정압 밸브 본체보다도 연료 탱크측에 설치되고, 상기 급유구를 개방하는 부압 밸브 개방 위치와, 상기 정압 밸브 본체에 접촉함으로써 급유구를 폐색하는 부압 밸브 폐색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부압 밸브 본체와, 상기 부압 밸브 본체를 상기 부압 밸브 폐색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동시에, 가압력이 상기 정압 밸브용 스프링의 가압력보다도 작게 설정된 부압 밸브용 스프링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정압 밸브용 스프링에 의해 정압 밸브 폐색 위치로 가압된 정압 밸브 본체가, 정압 밸브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정압 밸브 폐색 위치로 유지된다. 연료 탱크 내부가 정압이 되면, 정압 밸브용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정압 밸브 본체가 연료 탱크의 외측을 향해, 즉 정압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이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에서는, 부압 밸브용 스프링에 의해 부압 밸브 폐색 위치를 향해 가압된 부압 밸브 본체가, 정압 밸브 본체에 접촉하여 부압 밸브 폐색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연료 탱크 내부가 부압이 되면, 부압 밸브용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부압 밸브 본체가 연료 탱크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여 정압 밸브 본체로부터 이격되어, 부압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부압 밸브 본체를, 정압 밸브 본체에 접촉시켜 부압 밸브 폐색 위치에 지지하고 있다. 즉, 부압 밸브 본체를 부압 밸브 폐색 위치에서 지지하기 위한 부재가 불필요해지므로, 이러한 부재가 필요한 구성과 비교하여,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급유 건의 삽입에 의해 급유구를 개방하는 개폐 밸브의 밸브 개방압으로부터 독립하여, 연료 탱크 내부가 부압인 경우에 급유구를 개방하는 부압 밸브의 밸브 개방압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급유 건이 삽입된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연료 탱크 내부가 정압이 된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연료 탱크 내부가 부압이 된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참고예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참고예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급유 건이 삽입된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참고예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연료 탱크 내부가 정압이 된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참고예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연료 탱크 내부가 부압이 된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참고예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참고예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급유 건이 삽입된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참고예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연료 탱크 내부가 정압이 된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참고예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연료 탱크 내부가 부압이 된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참고예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참고예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급유 건이 삽입된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참고예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연료 탱크 내부가 정압이 된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참고예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를 연료 탱크 내부가 부압이 된 상태에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가 적용된 연료 탱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이하, 단순히「급유부 구조」라 함)(12)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7에는, 이 급유부 구조(12)가 적용된 연료 탱크(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이른바 캡리스로서 구성된 급유부(14)를 들고 있다. 차체의 아우터 패널(16)에는, 국소적으로 내측(도면에서는 하측)으로 움푹 들어간 인렛 박스(18)가 구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장착 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구멍(20)에는, 환상의 장착 링(22)을 통해, 필러 파이프(24)가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필러 파이프(24)는, 아우터 패널(16)측의 아우터 파이프(24A)와, 이 아우터 파이프(24A)에 접속되어 연료 탱크(10)측(도 1에서는 하측)에 위치하는 이너 파이프(24B)로 구성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너 파이프(24B)의 하단부가 연료 탱크(10)에 접속된다. 필러 파이프(24)의 내부가 급유구(26)로 되어 있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유 건(28)을 급유구(26)에 삽입하여 연료 탱크(10)에 급유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아우터 파이프(24A)의 중심선(CL1)과 이너 파이프(24B)의 중심선(CL2)을 오프셋하여 배치함으로써, 급유 건(28)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인렛 박스(18)에는, 아우터 패널(16)의 외면과 동일 높이의 면이 되도록, 리드(30)가 설치되어 있다. 리드(30)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 부재에 의해 아우터 패널(16)에 대해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회전함으로써 아우터 파이프(24A)의 상단부 부분, 즉 급유구(26)를 개폐한다. 단, 급유구(26)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아우터 패널(16)과의 사이에는 근소한 간극이 발생되어 있다. 리드(30)의 아우터 패널(16)과의 대향 부분에는 환상의 필터(32)가 장착되어 있어,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의 이동은 저지하는 동시에, 기체의 이동은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너 파이프(24B)는, 아우터 파이프(24A)와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연료 탱크(10)를 향함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직경 축소되어 있고, 차례로 대직경부(34), 제1 단차부(36), 중간부(38), 제2 단차부(40) 및 소직경부(42)가 구성되어 있다. 대직경부(34)의 외주면에는, 아우터 파이프(24A)의 걸림 구멍(44)에 걸리는 걸림 갈고리(46)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이너 파이프(24B)가 아우터 파이프(24A)에 대해 빠짐 방지되어 접속되어 있다.
대직경부(34)의 내측에는, 정압 밸브(50)가 구비되어 있다. 정압 밸브(50)는, 판상의 판부(52P)와, 판부(52P)로부터 상방으로 세워 설치된 통부(52T)를 구비한 정압 밸브 본체(52)를 갖고 있다. 판부(52P)의 대략 중앙에는 삽입 관통 구멍(54)이 형성되어, 급유 건(28)이 삽입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판부(52P)와 통부(52T) 사이에는, 단면 삼각 형상의 복수의 보강편(52H)이 삽입 관통 구멍(54)을 둘러싸도록 방사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어, 정압 밸브 본체(52)가 보강되어 있다. 또한, 보강편(52H)의 경사변(52S)은 삽입 관통 구멍(54)을 향해 경사져 있어, 급유 건(28)을 삽입 관통 구멍(54)으로 안내하는 작용을 갖고 있다.
판부(52P)의 외측 모서리 근방에는, 제1 단차부(36)와 환상으로 접촉하는 고무 시일(56)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정압 밸브 본체(52)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무 시일(56)이 제1 단차부(36)에 접촉한 폐색 위치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무 시일(56)이 제1 단차부(36)로부터 이격된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개방 위치에서는 고무 시일(56)이 제1 단차부(36)로부터 이격되므로, 이들 사이에서의 기체의 이동이 허용되지만, 폐색 위치에서는 이 기체의 이동이 저지된다.
대직경부(34)와 통부(52T) 사이에는 정압 밸브용 스프링(58)이 수용되어 있다. 정압 밸브용 스프링(58)은, 그 일단부가 대직경부(34)의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 받침편(59)에, 타단부가 판부(52P)의 외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접촉하고 있고, 정압 밸브 본체(52)를 소정의 가압력으로 폐색 위치를 향해(도면에서는 하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통상은 정압 밸브용 스프링(58)의 가압력을 받은 정압 밸브 본체(52)가 제1 단차부(36)에 지지되어 있고, 폐색 위치로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연료 탱크(10)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정압으로 되어) 소정치를 상회하면, 정압 밸브 본체(52)가 정압 밸브용 스프링(5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정압 밸브(50)의 연료 탱크(10)측(도면에서는 하측)에는, 부압 밸브(60)가 배치되어 있다. 부압 밸브(60)는, 판상의 판부(62P)와, 판부(62P)의 외주 근방으로부터 연료 탱크(10)측으로 세워 설치된 장착편(62H)을 구비한 부압 밸브 본체(62)를 갖고 있다. 판부(62P)에는, 정압 밸브 본체(52)의 판부(52P)와 동일한 삽입 관통 구멍(64)이 형성되어 있어, 급유 건(28)이 삽입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판부(62P)의 외주 근방에는, 정압 밸브 본체(52)의 판부(52P)와 환상으로 접촉하는 고무 시일(66)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부압 밸브 본체(6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무 시일(66)이 정압 밸브 본체(52)의 판부(52P)에 접촉한 폐색 위치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무 시일(66)이 판부(52P)로부터 이격된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개방 위치에서는 고무 시일(66)이 판부(52P)로부터 이격되므로, 이들 사이에서의 기체의 이동이 허용되지만, 폐색 위치에서는 이 기체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너 파이프(24B)의 중간부(38)의 내측에는 부압 밸브용 스프링(68)이 수용되어 있다. 부압 밸브용 스프링(68)의 일단부는 제2 단차부(40)에, 타단부는 판부(62P)에 각각 접촉하고 있고, 부압 밸브 본체(62)를 소정의 가압력에 의해 폐색 위치를 향해(도면에서는 상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한, 부압 밸브용 스프링(68)의 가압력은, 정압 밸브용 스프링(58)의 가압력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은 부압 밸브용 스프링(68)의 가압력을 받은 부압 밸브 본체(62)가 정압 밸브 본체(52)의 판부(52P)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폐색 위치로 유지되어 있다. 이때, 부압 밸브용 스프링(68)의 가압력은, 정압 밸브용 스프링(58)의 가압력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정압 밸브 본체(52)가 부주의하게 이동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연료 탱크(10) 내의 압력이 저하되어(부압으로 되어) 소정치를 하회하면, 부압 밸브 본체(62)가 부압 밸브용 스프링(6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부압 밸브(60)의 연료 탱크(10)측에는, 플래퍼 밸브(70)가 배치되어 있다. 플래퍼 밸브(70)는, 삽입 관통 구멍(54, 64)을 폐색 가능한 형상의 플래퍼 밸브 본체(72)와, 이 플래퍼 밸브(70)에 형성된 지지축(74)을 갖고 있다. 지지축(74)은, 부압 밸브 본체(62)의 장착편(62H)에 형성된 축 구멍(도시 생략)에 삽입되어 있고, 플래퍼 밸브 본체(72)는 지지축(7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이른바 외팔보 구조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에 의해, 플래퍼 밸브 본체(7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관통 구멍(54, 64)[즉, 급유구(26)]을 폐색하는 폐색 위치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관통 구멍(54, 64)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여기서,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래퍼 밸브 본체(72)는 폐색 위치에 있을 때, 삽입 관통 구멍(64)의 주위에서 전체 둘레에 걸쳐 부압 밸브 본체(62)의 판부(52P)에 접촉하고 있다.
지지축(74)에는, 플래퍼 밸브용 스프링(78)이 장착되어 있다. 플래퍼 밸브용 스프링(78)의 일단부는 플래퍼 밸브 본체(72)에, 타단부는 장착편(62H)에 접촉되어 있고, 플래퍼 밸브 본체(72)를 소정의 가압력으로 폐색 위치를 향해(도면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플래퍼 밸브용 스프링(78)의 가압력은, 삽입된 급유 건(28)으로부터 작용하는 압박력보다는 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래퍼 밸브용 스프링(78)의 가압력을 받은 플래퍼 밸브 본체(72)는 부압 밸브 본체(62)의 판부(62P)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폐색 위치로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유 건(28)에 의해 압박되면, 플래퍼 밸브 본체(72)는 플래퍼 밸브용 스프링(7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이너 파이프(24B)의 중간부(38)에는, 장착편(62H)과 플래퍼 밸브용 스프링(78)을 수용하는 수용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편(62H)과 수용부(80) 및 제2 단차부(40) 사이에는 간극이 구성되어 있어, 기체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실시 형태의 급유부 구조(12)에서는, 통상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래퍼 밸브 본체(72)가, 플래퍼 밸브용 스프링(78)의 가압력을 받아 폐색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부압 밸브 본체(62)도 부압 밸브용 스프링(68)의 가압력을 받아 폐색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정압 밸브 본체(52)도 정압 밸브용 스프링(58)의 가압력을 받아 폐색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급유구(26)도 폐색되어 있다.
급유시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30)를 개방하고, 급유 건(28)을 급유구(26)[삽입 관통 구멍(54, 64)]에 삽입한다. 플래퍼 밸브용 스프링(78)의 가압력은 급유 건(28)으로부터 작용하는 압박력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어, 급유 건(28)에 의해 밀린 플래퍼 밸브(70)가 개방 위치로 회전하므로, 급유 건(28)을 더욱 안쪽으로 삽입하여 급유를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급유를 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도 1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연료 탱크(10)의 내압이, 외부의 압력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정압이 되는) 경우나, 반대로 낮아지는(부압이 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급유부 구조(12)에서는, 정압 밸브용 스프링(58)이 소정의 가압력으로 정압 밸브 본체(52)를 폐색 위치를 향해(도면에서는 하향으로) 가압하고 있으므로, 연료 탱크(10)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소정치를 상회하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압 밸브 본체(52)가 정압 밸브용 스프링(5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이에 의해, 급유구(26)가 개방되므로, 연료 탱크(10) 내압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부압 밸브 본체(62)도 부압 밸브용 스프링(68)에 의해 가압되어 있으므로, 정압 밸브 본체(52)와 일체로 이동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급유부 구조(12)에서는, 부압 밸브용 스프링(68)이 소정의 가압력으로 부압 밸브 본체 폐색 위치를 향해(도면에서는 상향으로) 가압하고 있으므로, 연료 탱크(10) 내의 압력이 저하되어 소정치를 하회하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압 밸브 본체(62)가 부압 밸브용 스프링(6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이에 의해, 급유구(26)가 개방되므로, 연료 탱크(10) 내압의 과도한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료 탱크(10) 내부가 부압이 되었을 때에 급유구(26)를 개방시키는 동작을, 플래퍼 밸브(70)가 아닌, 이것과는 별도로 설정한 부압 밸브(60)에 의해 행하고 있다. 따라서, 플래퍼 밸브(70)의 밸브 개방압을, 연료 탱크(10) 내부가 부압이 되었을 때의 밸브 개방 동작을 고려하지 않고 설정할 수 있다. 즉, 플래퍼 밸브(70)의 밸브 개방압을, 부압 밸브(60)의 밸브 개방압과 관계없이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 플래퍼 밸브(70)의 밸브 개방압을 높게 설정하여, 플래퍼 밸브 본체(72)가 폐색 위치에 있을 때의 밀봉성을 높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플래퍼 밸브(70)의 밸브 개방압을 높게 설정함으로써, 플래퍼 밸브 본체(72)에 진동 등이 작용한 경우의 덜걱거림도 억제할 수 있어, 폐색 위치(밀봉 상태)를 유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급유부 구조(12)에서는,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래퍼 밸브 본체(72)는 폐색 위치에 있을 때, 삽입 관통 구멍(64)의 주위에서 전체 둘레에 걸쳐 부압 밸브 본체(62)의 판부(52P)에 접촉하고 있다. 이로 인해, 플래퍼 밸브(70)의 밀봉성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또한, 부압 밸브 본체(62)의 수압(受壓) 면적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부압 밸브(60)의 밸브 개방압을 낮게 설정함으로써, 연료 탱크(10) 내부가 부압이 되었을 때에 작용하는 부하를 낮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덧붙여, 이와 같이 부압 밸브(60)의 밸브 개방압을 낮게 설정함으로써, 연료 탱크(10)에 큰 부압이 작용하는 것이 억제되므로, 연료 탱크(10)를 부압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강도로 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급유부 구조(12)에 있어서, 정압 밸브(50)에 관해서는, 정압 밸브용 스프링(58)의 가압력을 받은 정압 밸브 본체(52)가 제1 단차부(36)에 의해 지지되지만, 부압 밸브(60)에 관해서는, 부압 밸브용 스프링(68)의 가압력을 받은 부압 밸브 본체(62)가 정압 밸브 본체(52)[판부(52P)]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부압 밸브 본체(62)에 대해서도, 예를 들어 이너 파이프(24B)에 지지를 위한 부재(예를 들어, 단차부 등)를 설치해도 좋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정압 밸브 본체(52)로 지지함으로써, 이러한 지지를 위한 부재가 불필요해져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 참고예의 급유부 구조(1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1 참고예는, 플래퍼 밸브(70)에 부압 밸브(112)가 설치된 예이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 부재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참고예의 급유부 구조(110)에서는, 플래퍼 밸브(70)의 중앙에, 기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연통 구멍(114)이 형성되는 동시에, 연통 구멍(114)에 대응한 위치에 부압 밸브(1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부압 밸브(112)는, 플래퍼 밸브(70)의 하면[연료 탱크(10)측의 면]에 형성된 지지 통(116)을 갖고 있고, 지지 통(116)의 하단부에는, 플래퍼 밸브와 평행 대향하는 환상의 지지 플랜지(116F)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랜지(116F)의 중앙에도 기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연통 구멍(118)이 설정되어 있다.
지지 통(116) 내에는, 연통 구멍(114)을 폐색 가능한 판상의 부압 밸브 본체(122)가 배치되어 있다. 부압 밸브 본체(122)의 외주 근방에는, 플래퍼 밸브 본체(72)와의 대향면(도면에서는 상면)에, 연통 구멍(114)을 둘러싸는 환상의 고무 시일(124)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부압 밸브 본체(62)는, 고무 시일(124)이 플래퍼 밸브 본체(72)에 접촉한 폐색 위치와, 플래퍼 밸브 본체(72)로부터 이격된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부압 밸브 본체(122)와 지지 플랜지(116F) 사이에는 부압 밸브용 스프링(128)이 배치되어 있어, 부압 밸브 본체(122)를 소정의 가압력으로 폐색 위치를 향해 가압하고 있다.
또한, 제1 참고예에서는, 이와 같이 플래퍼 밸브(70)에 부압 밸브(112)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정압 밸브(50)와 플래퍼 밸브(70) 사이에는, 제1 실시 형태의 부압 밸브(60)(도 1 참조) 대신에, 환상의 지지판(129)이 배치되고, 정압 밸브(50)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판(129)에는, 제1 실시 형태의 장착편(62H)과 동일한 장착편(129H)이 형성되어 있고, 플래퍼 밸브 본체(72)가 폐색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플래퍼 밸브용 스프링(78)에 의해, 플래퍼 밸브 본체(72)가 폐색 위치를 향해 가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제1 참고예의 급유부 구조(110)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급유부 구조(12)와 마찬가지로, 통상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래퍼 밸브 본체(72)가, 플래퍼 밸브용 스프링(78)의 가압력을 받아 폐색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부압 밸브 본체(122)가 부압 밸브용 스프링(128)의 가압력을, 정압 밸브 본체(52)가 정압 밸브용 스프링(58)의 가압력을 각각 받아 폐색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급유구(26)도 폐색되어 있다.
급유시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30)를 개방하고, 급유 건(28)을 급유구(26)[삽입 관통 구멍(54)]에 삽입한다. 급유 건(28)에 의해 밀린 플래퍼 밸브(70)가 개방 위치로 회전하므로, 급유 건(28)을 더욱 안쪽으로 삽입하여 급유를 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참고예에서는, 부압 밸브(112)가 플래퍼 밸브(70)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급유 건(28)의 압박력이 부압 밸브(112)에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급유 건(28)에 의해 밀려 부압 밸브 본체(122)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일도 없다.
연료 탱크(10)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소정치를 상회하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압 밸브 본체(52)가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므로, 급유구(26)가 개방되어, 연료 탱크(10) 내압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연료 탱크(10) 내의 압력이 저하되어 소정치를 하회하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압 밸브 본체(122)가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므로, 급유구(26)가 개방되어, 연료 탱크(10) 내압의 과도한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 참고예의 급유부 구조(130)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참고예는, 플래퍼 밸브(70)에 정압 밸브(132)가 설치된 예이다. 제2 참고예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 또는 제1 참고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 부재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참고예의 급유부 구조(130)에서는, 플래퍼 밸브(70)의 중앙에 제1 참고예와 대략 마찬가지로 연통 구멍(114)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연통 구멍(114)에 대응한 위치에 정압 밸브(132)가 설치되어 있다. 정압 밸브(132)는, 연통 구멍(114)에 삽입 관통되는 원기둥 형상의 슬라이드 축(134)과, 이 슬라이드 축(134)의 상단부[리드(30)측의 단부]에 형성된 원판 형상의 정압 밸브 본체(136) 및 슬라이드 축(134)의 하단부[연료 탱크(10)측의 단부]에 형성된 원판 형상의 지지판(138)을 갖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축(134)의 외경은, 연통 구멍(114)의 내경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어, 슬라이드 축(134)과 연통 구멍(114)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어 있다.
정압 밸브 본체(136)의 외경은, 연통 구멍(114)의 내경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정압 밸브 본체(136)의 외주 근방에는, 플래퍼 밸브 본체(72)와 대향하는 환상의 고무 시일(140)이 장착되어 있다. 정압 밸브 본체(136)는, 고무 시일(140)이 플래퍼 밸브 본체(72)에 접촉한 폐색 위치와, 플래퍼 밸브 본체(72)로부터 이격된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판(138)의 외경은, 연통 구멍(114)의 내경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지지판(138)과 플래퍼 밸브 본체(72) 사이에는 정압 밸브용 스프링(142)이 배치되어 있고, 지지판(138) 및 슬라이드 축(134)을 통해, 정압 밸브 본체(136)를 소정의 가압력으로 폐색 위치를 향해(도면에서는 하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한, 제2 참고예에서는, 이와 같이 플래퍼 밸브(70)에 정압 밸브(132)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제1 실시 형태의 정압 밸브(50)(도 1 참조)는 설치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도 9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너 파이프(24A)의 대직경부(34)의 내측에 직접적으로 보강편(52H)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제2 참고예의 급유부 구조(130)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급유부 구조(12)와 마찬가지로, 통상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래퍼 밸브 본체(72)가, 플래퍼 밸브용 스프링(78)의 가압을 받아 폐색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부압 밸브 본체(62)가 부압 밸브용 스프링(68)의 가압력을, 정압 밸브 본체(136)가 정압 밸브용 스프링(142)의 가압력을 각각 받아 폐색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급유구(26)도 폐색되어 있다.
급유시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30)를 개방하고, 급유 건(28)을 급유구(26)[삽입 관통 구멍(54)]에 삽입한다. 급유 건(28)에 의해 밀린 플래퍼 밸브(70)가 개방 위치로 회전하므로, 급유 건(28)을 더욱 안쪽으로 삽입하여 급유를 행할 수 있다.
연료 탱크(10)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소정치를 상회하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압 밸브 본체(136)가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므로, 급유구(26)가 개방되어, 연료 탱크(10) 내압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연료 탱크(10) 내의 압력이 저하되어 소정치를 하회하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압 밸브 본체(62)가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므로, 급유구(26)가 개방되어, 연료 탱크(10) 내압의 과도한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3 참고예의 급유부 구조(150)가 도시되어 있다. 제3 참고예는, 플래퍼 밸브(70)에 부압 밸브(152)와 정압 밸브(172)의 양쪽이 설치된 예이다. 제3 참고예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2 참고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 부재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참고예의 급유부 구조(150)에서는, 플래퍼 밸브(70)의 중앙에 연통 구멍(114)이 형성되어 있지만, 플래퍼 밸브(70)의 하면[연료 탱크(10)측의 면]의 연통 구멍(114)에 대응한 위치에 부압 밸브(152)가 설치되고, 플래퍼 밸브(70)의 상면[리드(30)측의 면]의 연통 구멍(114)에 대응한 위치에 정압 밸브(172)가 설치되어 있다.
부압 밸브(152)는, 플래퍼 밸브(70)의 하면[연료 탱크(10)측의 면]에 형성된 지지 통(154)을 갖고 있고, 지지 통(154)의 하단부에는, 플래퍼 밸브 본체(72)와 평행하게 대향하는 환상의 지지 플랜지(154F)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랜지(154F)의 중앙에도 기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연통 구멍(15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통(154)의 내경은, 연통 구멍(114)의 내경과 대략 동등하거나, 약간 큰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정압 밸브(172)는, 플래퍼 밸브(70)의 상면[리드(30)측의 면]에 형성된 지지 통(174)을 갖고 있고, 지지 통(174)의 상단부에, 플래퍼 밸브 본체(72)와 평행하게 대향하는 환상의 지지 플랜지(174F)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랜지(174F)의 중앙에도 기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연통 구멍(176)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통(174)의 내경은 연통 구멍(114)의 내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플래퍼 밸브 본체(72)에는 지지 통(174)보다도 내측의 부분이 지지면(72S)으로 되어 있다.
지지 통(174)의 내부에는, 정압 밸브 본체(178)가 배치되어 있다. 정압 밸브 본체(178)는, 연통 구멍(114)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고, 외주 근방에는 연통 구멍(114)을 둘러싸고 플래퍼 밸브 본체(72)와 대향하는 환상의 고무 시일(도시 생략)이 장착되어 있다. 정압 밸브 본체(178)는, 이 고무 시일이 플래퍼 밸브 본체(72)에 접촉한 폐색 위치와, 플래퍼 밸브 본체(72)로부터 이격된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정압 밸브 본체(178)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부압 밸브 본체(158)보다도 소직경의 연통 구멍(184)이 형성되어 있다.
정압 밸브 본체(178)와 지지 플랜지(174F) 사이에는 정압 밸브용 스프링(182)이 수용되어 있고, 그 일단부가 정압 밸브 본체(178)에, 타단부가 지지 플랜지(174F)에 접촉하여, 정압 밸브 본체(178)를 폐색 위치로 가압하고 있다.
이에 대해, 플래퍼 밸브 본체(72)의 하면에 형성된 지지 통(154)의 내부에는, 정압 밸브 본체(178)의 연통 구멍(184)보다도 대직경이고, 플래퍼 밸브 본체(72)의 연통 구멍(114)보다도 소직경인 부압 밸브 본체(158)가 배치되어 있고, 부압 밸브 본체(158)의 외주와 연통 구멍(114)의 내주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어 있다. 부압 밸브 본체(158)의 외주 근방에는, 연통 구멍(184)을 둘러싸고 정압 밸브 본체(178)와 대향하는 고무 시일(160)이 장착되어 있다. 부압 밸브 본체(158)는, 고무 시일(160)이 정압 밸브 본체(178)에 접촉한 폐색 위치와, 정압 밸브 본체(178)로부터 이격된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된다.
부압 밸브 본체(158)와 지지 플랜지(154F) 사이에는 부압 밸브용 스프링(162)이 수용되어 있고, 그 일단부가 부압 밸브 본체(158)에, 타단부가 지지 플랜지(154F)에 접촉하여, 부압 밸브 본체(158)를 폐색 위치로 가압하고 있다. 부압 밸브용 스프링(162)의 가압력은, 정압 밸브용 스프링(182)의 가압력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3 참고예에서는, 이와 같이 플래퍼 밸브(70)에 정압 밸브(172) 및 부압 밸브(152)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제1 실시 형태의 정압 밸브(50)나 부압 밸브(60)(도 1 참조)는 설치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제3 참고예의 급유부 구조(150)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급유부 구조(12)와 마찬가지로, 통상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래퍼 밸브 본체(72)가, 플래퍼 밸브용 스프링(78)의 가압력을 받아 폐색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정압 밸브 본체(178)가 정압 밸브용 스프링(182)의 가압력을, 부압 밸브 본체(158)가 부압 밸브용 스프링(162)의 가압력을 각각 받아 폐색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급유구(26)도 폐색되어 있다. 특히 제3 참고예에서는, 정압 밸브용 스프링(182)의 가압력을 부압 밸브용 스프링(162)의 가압력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정압 밸브 본체(178)가 부압 밸브용 스프링(162)의 가압력에 의해 부주의하게 개방 위치로 이동해 버리는 일은 없다.
급유시에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30)를 개방하고, 급유 건(28)을 급유구(26)에 삽입한다. 급유 건(28)에 의해 밀린 플래퍼 밸브(70)가 개방 위치로 회전하므로, 급유 건(28)을 더욱 안쪽으로 삽입하여 급유를 행할 수 있다.
연료 탱크(10)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소정치를 상회하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압 밸브 본체(136)가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므로, 정압 밸브 본체(178)와 플래퍼 밸브(70) 사이를 기체가 이동 가능해진다. 즉, 급유구(26)가 개방되어, 연료 탱크(10) 내압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부압 밸브용 스프링(162)에 가압된 부압 밸브 본체(158)도 정압 밸브 본체(178)와 함께 이동한다.
또한, 연료 탱크(10) 내의 압력이 저하되어 소정치를 하회하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압 밸브 본체(62)가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므로, 정압 밸브 본체(178)의 연통 구멍(184)을 기체가 이동 가능해진다. 즉, 급유구(26)가 개방되어, 연료 탱크(10) 내압의 과도한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정압 밸브 본체(178)는 플래퍼 밸브 본체(72)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하방[연료 탱크(10)측]으로 이동해 버리는 일은 없다.
이상 설명한 제1 내지 제3 각 참고예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연료 탱크(10) 내부가 부압이 되었을 때에 급유구(26)를 개방시키는 동작을, 플래퍼 밸브(70)와는 별도의 부압 밸브(60)에 의해 행하고 있다. 플래퍼 밸브(70)의 밸브 개방압을, 부압 밸브(60)의 밸브 개방압과 관계없이 독립하여 설정할 수 있으므로, 플래퍼 밸브(70)의 밸브 개방압을 높게 설정하여, 플래퍼 밸브 본체(72)가 폐색 위치에 있을 때의 밀봉성을 높게 확보하거나, 플래퍼 밸브 본체(72)에 진동 등이 작용한 경우의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내지 제3 각 참고예에서는, 정압 밸브와 부압 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플래퍼 밸브(70)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플래퍼 밸브(70)를 이너 파이프(24B)에 조립 장착하는 작업에 의해, 플래퍼 밸브(70)에 장착된 정압 밸브 또는 부압 밸브도 동시에 이너 파이프(24B)에 조립 장착할 수 있어, 조립 장착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예를 들어 제1 참고예에 있어서, 부압 밸브(112)를, 플래퍼 밸브 본체(72)의 상면[리드(30)측의 면]에 설치해도 좋다.
이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플래퍼 밸브(70)와는 별도로 정압 밸브(50)나 부압 밸브(60)를 설치한 구성에서는, 각각의 형상이나 구조 등의 제약이 적어지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상기 실시 형태 및 참고예에서는, 리드(30)를 갖는 급유부에 본 발명의 급유부 구조를 적용한 예를 들었지만, 이러한 리드(30)를 갖지 않는 급유부에 본 발명의 급유부 구조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급유구(26)를 캡에 의해 개폐하는 타입의 급유부에 있어서, 이 캡에 정압 밸브나 부압 밸브(특히, 부압 밸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조의 경우에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6)

  1. 연료 탱크로의 급유용 급유 건이 삽입되는 급유구를 구성하는 급유구 부재와,
    상기 급유구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급유구를 폐색하고, 삽입된 급유 건에 의해 압박되면 급유구를 개방하는 개폐 밸브와,
    상기 급유구를 개방하는 정압 밸브 개방 위치와, 이 정압 밸브 개방 위치보다도 연료 탱크측에서 급유구를 폐색하는 정압 밸브 폐색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정압 밸브 본체와, 상기 정압 밸브 본체를 상기 정압 밸브 폐색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정압 밸브용 스프링과, 상기 정압 밸브용 스프링에 가압된 상기 정압 밸브 본체를 지지하여 상기 정압 밸브 폐색 위치로 유지하는 정압 밸브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연료 탱크의 탱크 내압이 탱크 외압보다도 클 때에 상기 정압 밸브용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정압 밸브 본체가 정압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급유구를 개방하는 정압 밸브와,
    상기 정압 밸브 본체보다도 연료 탱크측에 설치되고, 상기 급유구를 개방하는 부압 밸브 개방 위치와, 상기 정압 밸브 본체에 접촉함으로써 급유구를 폐색하는 부압 밸브 폐색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부압 밸브 본체와, 상기 부압 밸브 본체를 상기 부압 밸브 폐색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동시에, 가압력이 상기 정압 밸브용 스프링의 가압력보다도 작게 설정된 부압 밸브용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연료 탱크의 탱크 내압이 탱크 외압보다도 작을 때에 상기 부압 밸브용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부압 밸브 본체가 부압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급유구를 개방하는 부압 밸브를 갖고,
    상기 개폐 밸브가 상기 부압 밸브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 밸브가 상기 개폐 밸브보다도, 상기 탱크 외압과 상기 탱크 내압의 차가 작은 상태에서 개방되는,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7014237A 2007-11-29 2008-11-26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 KR1011212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09276 2007-11-29
JP2007309276A JP4379518B2 (ja) 2007-11-29 2007-11-29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PCT/JP2008/071405 WO2009069632A1 (ja) 2007-11-29 2008-11-26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891A KR20100089891A (ko) 2010-08-12
KR101121248B1 true KR101121248B1 (ko) 2012-03-22

Family

ID=4067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237A KR101121248B1 (ko) 2007-11-29 2008-11-26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20506B2 (ko)
JP (1) JP4379518B2 (ko)
KR (1) KR101121248B1 (ko)
CN (1) CN101878128B (ko)
DE (1) DE112008003238B8 (ko)
WO (1) WO20090696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6479B2 (en) * 2009-01-30 2014-06-10 Neal L. Keefer Method of closing a fuel tank with a pivotal door and seal
JP5353792B2 (ja) * 2010-03-31 2013-11-27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EP2628622B1 (en) * 2010-10-14 2016-07-13 Honda Motor Co., Ltd. Structure for fuel filler tube opening
JP5633455B2 (ja) * 2011-03-30 2014-12-03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JP5642595B2 (ja) * 2011-03-16 2014-12-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蒸発燃料処理装置
JP5370420B2 (ja) * 2011-06-10 2013-1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US9597955B2 (en) 2012-02-20 2017-03-21 Honda Motor Co., Ltd. Structure for filling section of fuel filler pipe
DE102012022393A1 (de) * 2012-11-16 2014-05-22 Illinois Tool Works Inc. Kraftstoffeinfülleinrichtung
EP2746088B1 (de) 2012-12-18 2015-04-15 SMR Patents S.à.r.l. Abdeckeinrichtung
US9102229B2 (en) * 2013-07-24 2015-08-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Oil filler neck for a cylinder head cover
CA2973861C (en) * 2015-01-30 2021-05-11 Martinrea Industries, Inc. Capless automotive fueling system with miss-fuel inhibitor
JP6426660B2 (ja) * 2016-06-21 2018-1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管の給油部構造
JP6426659B2 (ja) * 2016-06-21 2018-1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管の給油部構造
JP6626236B2 (ja) * 2017-04-19 2019-12-25 八千代工業株式会社 給油口構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941U (ko) 1986-06-10 1988-01-18
JPH0225782U (ko) * 1988-08-06 1990-02-20
JP2001047876A (ja) * 1999-06-30 2001-02-20 Eaton Corp 燃料タンク用フィラーチューブアセンブリ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1018A (en) * 1990-09-10 1991-12-10 Ford Motor Company Capless closure assembly for a fuel filler pipe
US5271438A (en) * 1992-06-22 1993-12-21 Stant Manufacturing Inc. Capless vehicle refueling system with moving fill passageway
US5439129A (en) * 1994-07-06 1995-08-08 Borg-Warner Automotive, Inc. Fuel tank filler pipe arrangement
JPH08142694A (ja) * 1994-11-22 1996-06-04 Toyoda Gosei Co Ltd 燃料タンク
CN2238758Y (zh) * 1995-07-13 1996-10-30 三龙产业股份有限公司 油箱盖
US5730194A (en) * 1996-03-21 1998-03-24 Stant Manufacturing Inc. Capless filler neck closure system
US6230739B1 (en) * 1998-05-07 2001-05-15 Tesma International Inc. Fuel refilling assembly
US6189581B1 (en) 1998-05-08 2001-02-20 Stant Manufacturing Inc. Filler neck closure
US5960839A (en) * 1998-08-05 1999-10-05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Fuel tank system
FR2827818B1 (fr) * 2001-07-25 2003-10-24 Inergy Automotive Systems Man Systeme d'obturation pour tubulure de remplissage de reservoir a carburant et procede pour ouvrir cette tubulure
US6691750B1 (en) * 2002-11-04 2004-02-17 Stant Manufacturing Inc. Floating nozzle collar for capless filler neck
US7077178B2 (en) * 2004-08-11 2006-07-18 Stant Manufacturing Inc. Fuel-dispensing nozzle inhibitor
EP2048017B1 (en) * 2006-07-28 2014-04-23 Toyoda Gosei Co., Ltd. Opening/closing device for tan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941U (ko) 1986-06-10 1988-01-18
JPH0225782U (ko) * 1988-08-06 1990-02-20
JP2001047876A (ja) * 1999-06-30 2001-02-20 Eaton Corp 燃料タンク用フィラーチューブアセンブリ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79518B2 (ja) 2009-12-09
DE112008003238T5 (de) 2010-09-16
US8220506B2 (en) 2012-07-17
JP2009132242A (ja) 2009-06-18
KR20100089891A (ko) 2010-08-12
CN101878128B (zh) 2013-11-20
DE112008003238B4 (de) 2013-02-28
US20100270300A1 (en) 2010-10-28
WO2009069632A1 (ja) 2009-06-04
DE112008003238B8 (de) 2013-05-23
CN101878128A (zh) 201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248B1 (ko)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
JP3931291B2 (ja) 燃料タンクの燃料流出規制装置
CN108215779B (zh) 燃料供给管的供油部构造
JP4017587B2 (ja) チェックバルブ一体型カットバルブ
US20130075395A1 (en) Fuel tank opening-closing device
US8430261B2 (en) Closure cover for tanks under internal pressure, with a safety function, and closure cover for a fuel tank
JP2008515717A (ja) キャップレス自動車用給油システム及び自動車用給油システム
WO2011074478A1 (ja) 燃料タンク用弁装置
JP4888370B2 (ja) 燃料遮断弁
CA2512112A1 (en) Fuel vapor vent valve float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174530B2 (en) Fuel tank opening-closing device
KR20090051248A (ko) 액체 탱크의 통기 회로를 위한 밸브
JP4097559B2 (ja) 燃料タンクの燃料流出規制装置
US6592100B2 (en) Valve mounting structure of fuel tank
US7146729B2 (en) Fuel vapor vent valve and method of attaching same to a tank
WO2018029979A1 (ja) 燃料遮断弁
JP5370068B2 (ja) 燃料タンク
US20060027775A1 (en) Tank cap
JP4854473B2 (ja) 逆止弁
JP2007016923A (ja) フロートバルブの開弁構造
US11885285B2 (en) Fuel vapor switch and ventilation valv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81133Y2 (ja) ロールオーバーバルブ
US20240140193A1 (en) Capless filler
KR100837930B1 (ko) 차량의 연료누유방지용 차단밸브
JP2004300958A (ja) 燃料タンク用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