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982B1 - 자동차의 차체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차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982B1
KR100893982B1 KR1020070091832A KR20070091832A KR100893982B1 KR 100893982 B1 KR100893982 B1 KR 100893982B1 KR 1020070091832 A KR1020070091832 A KR 1020070091832A KR 20070091832 A KR20070091832 A KR 20070091832A KR 100893982 B1 KR100893982 B1 KR 100893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vehicle
door
side door
cross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4073A (ko
Inventor
가라 에비나
고오메이 이와따
겐 고가네자와
다까요시 노무라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4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자동차의 차체 구조에 있어서, 자동차의 장대화를 억제하면서 후면 충돌시의 충돌 하중의 흡수량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리어 사이드 멤버(1)를 연결한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와, 연결 바아(16)를 통해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에 연결된 보디 사이드 바아(10)와, 보디 사이드 바아(10)의 전방에 위치하는 리어 사이드 도어(8)와, 리어 사이드 도어(8)의 전방에 위치하는 센터 필러(9)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차체 구조에 있어서, 리어 사이드 도어(8)에 사이드 도어 바아(20)를 설치하고, 사이드 도어 바아(20)가, 보디 사이드 바아(10)로부터의 차량 전방 방향으로의 하중을, 센터 필러(9)로 전달한다. 따라서, 후면 충돌시에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에 입력된 충돌 하중은,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로부터 리어 사이드 멤버(1)로 전달되는 동시에, 연결 바아(16), 보디 사이드 바아(10) 및 사이드 도어 바아(20)를 통해 센터 필러(9)로도 전달된다.
리어 사이드 멤버, 도어 바아, 보디 사이드 바아, 센터 필러, 연결 바아

Description

자동차의 차체 구조{Structure of a Vehicular Body}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차체로서, 바닥 아래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멤버가 설치되는 동시에, 이들 사이드 멤버의 후단부끼리가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인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구조에서는, 자동차가 후면 충돌한 경우,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에 입력된 충돌 하중이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로부터 사이드 멤버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사이드 멤버가 변형하여 충돌 하중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244963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 큰 충돌 하중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후면 충돌시의 사이드 멤버의 찌부러짐량을 크게 하기 위해 사이드 멤버의 길이를 길게 해야 해, 자동차의 장대화를 초래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 구조에 있어서, 자동차의 장대화를 억제하면서 후면 충돌시의 충돌 하중의 흡수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하부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멤버와,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러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차체 구조에 있어서, 차량 측부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멤버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필러와 접속하는 사이드 보디 바아와, 상기 사이드 멤버와 상기 사이드 보디 바아를 연결한 연결 바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면 충돌시에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에 입력된 충돌 하중은,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로부터 사이드 멤버로 전달되는 동시에, 연결 바아, 보디 사이드 바아 및 사이드 도어 바아를 통해 필러로도 전달되므로, 충돌 하중을 차체 전체에서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자동차의 장대화를 억제하면서 후면 충돌시의 충돌 하중의 흡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1 내지 도5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차실이 차량 후방부까지 형성된 미니밴의 차체에 적용된 자동차의 차체 구조의 예이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의 자동차의 차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보디 사이드 바아와 사이드 도어 바아의 대향 부분을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3은 사이드 도어 바아와 사이드 도어용 힌지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4는 사이드 도어 바아와 힌지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5는 자동차의 차체 구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또한, 도면 중, FR은 차량 전후 방향 전방을, IN은 차폭 방향 차실측을 나타낸다.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차체 구조는 차량 하부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멤버인 리어 사이드 멤버(1)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리어 사이드 멤버(1)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크로스 멤버[2(2A 내지 2D)]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1)의 좌우 측방에는, 차량 측부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보디 사이드 패널(좌측의 보디 사이드 패널은 도시하지 않음)(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차량 후단부에는 백 도어(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리어 사이드 멤버(1)의 상면에는, 차실(R)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플로어 패널(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는 한편, 한 쌍의 보디 사이드 패널(3)의 상단부 사이에는 루프 패널(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1) 사이에는, 스페어 타이어(5)가 옆으로 쓰러진 상태로 수납된다. 상세하게 는, 이 스페어 타이어(5)는 플로어 패널에 형성된 스페어 타이어 수납부(도시하지 않음)에 수납된다.
다음에, 각 크로스 멤버(2)에 대해 설명한다. 크로스 멤버(2) 중 최후방부에 위치하는 크로스 멤버(2)는, 리어 사이드 멤버(1)의 후단부끼리를 연결한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이다.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리어 사이드 멤버(1)의 후단부 상면에 접합되어 있다. 이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는,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의 후방 위치에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어 범퍼 리인포스(6)에, 좌우 한 쌍의 범퍼 스테이(7)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크로스 멤버(2B)는, 스페어 타이어 수납부를 통해 스페어 타이어(5)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멤버이다.
이 크로스 멤버(2B)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크로스 멤버(2)는, 리어 센터 크로스 멤버(2C)이다. 이 리어 센터 크로스 멤버(2C)와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와의 사이에 스페어 타이어(5)가 수납되도록 스페어 타이어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리어 센터 크로스 멤버(2C),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 스페어 타이어 수납부에 수납된 스페어 타이어(5)의 상하 위치는, 일치하고 있다.
리어 센터 크로스 멤버(2C)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크로스 멤버(2D)는,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멤버(1)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이 크로스 멤버(2)의 좌우 양단부는, 후술하는 사이드 실(side sill)(13)에 접합되어 있다.
이 크로스 멤버(2D)와 리어 센터 크로스 멤버(2C)와의 사이에는, 연료 탱크(33)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보디 사이드 패널(3)에 대해 설명한다. 보디 사이드 패널(3)에는, 프론트 도어 개구부(3a)와 리어 도어 개구부(3b)(도2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프론트 도어 개구부(3a), 리어 도어 개구부(3b)에는, 프론트 사이드 도어(도시하지 않음), 사이드 도어인 리어 사이드 도어(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디 사이드 패널(3)에는 프론트 도어 개구부(3a)와 리어 도어 개구부(3b)와의 사이에서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센터 필러(9)와, 리어 도어 개구부(3b)의 후방에 위치하는 보디 사이드 바아(10)와, 이 보디 사이드 바아(10)의 하방에 위치하는 리어 타이어 하우스(11)와, 보디 사이드 패널(3)의 후단부에 위치하여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부 필러(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디 사이드 패널(3)의 상단부에는, 차량 측부의 상단부가 되는 위치에 루프 레일(12)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보디 사이드 패널(3)의 하단부에는 사이드 실(13)이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실(13)에는, 리어 사이드 멤버(1)의 전방부가 연결되어 있다.
보디 사이드 바아(10)는 차량 측부에 있어서 리어 사이드 멤버(1)보다도 상방에 위치 결정되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보디 사이드 바아(10)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 사이드 바아(10)의 전단부에는 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있고, 이 플레이트(14)가 리어 도어 개구부(3b)의 내벽면에 접합되어 있다. 보디 사이드 바아(10)의 후단부는, 후방부 필러(15)에 접합되어 있다.
보디 사이드 바아(10)는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에, 연결 바아(1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우측의 보디 사이드 바아(10)는, 우측의 연결 바아(16)를 통해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의 우측 단부에 연결되고, 좌측의 보디 사이드 바아는 좌측의 연결 바아(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의 좌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보디 사이드 바아(10)는 보디 사이드 패널(3)에도 접합되어 있다.
연결 바아(16)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 바아(16)는, 그 하단부가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의 차폭 방향의 단부에 접합되는 동시에, 그 상단부가 보디 사이드 바아(10)에 접합되어,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 경사져 있다. 여기서, 연결 바아(16)는 리어 타이어 하우스(11)에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경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 바아(16)는 보디 사이드 패널(3)에도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바아(16) 및 보디 사이드 바아(10) 쪽이, 리어 사이드 멤버(1)보다도 취약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리어 사이드 멤버(1)가 배치되는 차체 하부 쪽이, 연결 바아(16) 및 보디 사이드 바아(10)가 배치되는 차체 측부보다도 고강성으로 되어 있다.
리어 사이드 도어(8)는, 센터 필러(9)와 상기 리어 사이드 도어(8)에 걸쳐 설치되는 사이드 도어용 힌지(17)(도3)에 의해, 센터 필러(9)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차량 측부에 위치하고 있다. 리어 사이드 도어(8)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리어 사이드 도어(8)는, 폐쇄 상태에서 센터 필러(9)의 후방에 위치하는 동시에 연결 바아(16) 및 보디 사이드 바아(10)의 전방에 위치한다.
리어 사이드 도어(8)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호 접합된 이너 패널(18)과 아우터 패널(19)에 의해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도어 본체(30)를 갖고 있다. 이 도어 본체(30)의 내부에는, 리어 사이드 도어(8)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사이드 도어 바아(20)가 설치되어 있다.
보디 사이드 바아(10)와 사이드 도어 바아(20)를 총칭하여 사이드 보디 바아라고 한다.
사이드 도어 바아(20)의 후단부에는 플레이트(21)가 설치되고, 이 플레이트(21)가 도어 본체(30)[이너 패널(18)]에 접합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21)는 리어 사이드 도어(8)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보디 사이드 바아(10)의 전단부에 설치된 플레이트(14)와 차량 전후 방향에서 대향한다. 여기서, 사이드 도어 바아(20)와 보디 사이드 바아(10)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대향하는, 도어 본체(30)에 있어서의 대향부(30a)와, 리어 도어 개구부(3b)의 주위면을 구성하는 보디 사이드 패널(3)의 대향부(3c)는,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축선에 대해 대략 수직인 종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어 본체(30)에 있어서의 대향부(30a)는, 이너 패널(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도어 바아(20)의 선단부는, 도3 및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벽측 결합부(23)에 결합 가능한 전단 결합부(20a)로 되어 있다.
사이드 도어용 힌지(17)는, 리어 사이드 도어(8)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사이드 도어 바아(20)의 차량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도어용 힌지(17)는 센터 필러(9)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22)와, 이 고정 부재(22)에 지지축(24)을 통해 축 지지된 회전 부재(25)와, 이 회전 부재(25)에 볼트(26), 너트(27)에 의해 연결된 힌지 플레이트(2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센터 필러(9)의 사이드 도어용 힌지(17)가 설치되는 위치는, 리어 사이드 도어(8)를 지지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보강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회전 부재(25)는 이너 패널(18)의 외면에 배치되어 있는 한편, 힌지 플레이트(28)는 이너 패널(18)의 내면에 배치되어 있다.
힌지 플레이트(28)에는, 원통 형상의 사이드 도어 바아(20)보다도 약간 직경이 큰 원 형상의 결합 구멍(28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 구멍(28a)과, 그 결합 구멍(28a)으로부터 노출되는 도어 본체(30)의 전방벽부 내면(30b)에 의해 벽측 결합부(23)가 구성되고, 결합 구멍(28a)의 내경면과 전방벽부 내면(30b)으로 형성되는 오목부를 이루고 있다. 이 벽측 결합부(23)는 리어 사이드 도어(8)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사이드 도어 바아(20)의 전단 결합부(20a)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사이드 도어 바아(20)가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면, 전단 결합부(20a)가 결합 구멍(28a)의 내경면과 전방벽부 내면(30b)으로 형성되는 오목부에 삽입 관통하여, 전단 결합부(20a)와 벽측 결합부(23)가 결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백 도어(4)에 대해 도1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백 도어(4)는 차량 후단부에 형성된 백 도어 개구부에 배치되어 있다. 백 도어(4)는 백 도어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부 또는 측 모서리부에 설치된 힌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백 도어 개구부는 좌우 한 쌍의 보디 사이드 패널의 후단부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백 도어(4)는 플레이트 부재에 의해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도어 본체(31)를 갖고 있다. 이 도어 본체(31)의 내부에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백 도어 바아(32)가 설치되어 있다. 백 도어 바아(32)는 도어 본체(31)에 고정되어 있다. 백 도어 바아(32)는 백 도어(4)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보다도 상방의 위치에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차폭 방향의 양단부가 연결 바아(16)의 후방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자동차가 후면 충돌하였을 때에 리어 범퍼 리인포스(6)로부터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에 입력된 충돌 하중은,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로부터 리어 사이드 멤버(1)로 전달되고, 리어 사이드 멤버(1)로부터 사이드 실(13)로 전달되는 동시에, 연결 바아(16), 보디 사이드 바아(10) 및 사이드 도어 바아(20)를 통해 센터 필러(9)로도 전달된다. 이에 의해, 리어 사이드 멤버(1), 연결 바아(16), 보디 사이드 바아(10), 및 사이드 도어 바아(20) 등이 변형하여 충격 하중을 흡수한다. 이와 같이,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에 입력되는 충돌 하중을 차체 하부[리어 사이드 멤버(1)]와 차체 측부[연결 바아(16), 보디 사이드 바아(10), 사이드 도어 바아(20), 및 센터 필러(9) 등]로 분산시켜 흡수함으로써, 충돌 하중을 분산시키지 않는 경우에 비해 리어 사이드 멤버(1)에의 충돌 하 중의 입력이 적어지므로, 충돌 하중의 흡수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리어 사이드 멤버(1)의 길이를 길게 하는 일 없이, 후면 충돌시의 충돌 하중의 흡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자동차의 장대화를 억제하면서 후면 충돌시의 충돌 하중의 흡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리어 사이드 멤버(1)에의 충돌 하중의 입력이 경감되므로, 리어 사이드 멤버(1)의 단면을 작게 할 수 있어, 차실(R)을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어 사이드 도어(8)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보디 사이드 바아(10)의 전단부[플레이트(14)]와 사이드 도어 바아(20)의 후단부[플레이트(21)]가 차량 전후 방향에서 대향한다. 따라서, 자동차가 후면 충돌하였을 때에,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에 입력된 충돌 하중은, 연결 바아(16) 및 보디 사이드 바아(10)를 통해 사이드 도어 바아(20) 및 센터 필러(9)에 의해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사이드 도어 바아(20) 및 센터 필러(9)가 충격 하중을 더욱 흡수하므로, 충돌 하중을 차체 구조의 넓은 범위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사이드 도어 바아(20)와 보디 사이드 바아(10)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대향하는, 리어 사이드 도어(8)의 도어 본체(30)에 있어서의 대향부(30a)와, 보디 사이드 패널(3)의 대향부(3c)가,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축선에 대해 대략 수직인 종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보디 사이드 바아(10)로부터 사이드 도어 바아(20)로 더욱 효율적으로 충돌 하중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어 사이드 도어(8)를 센터 필러(9)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사이드 도어용 힌지(17)를, 사이드 도어 바아(20)의 전단부와 차량 전후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후면 충돌시에, 사이드 도어 바아(20)로부터 입력되는 전방에의 충돌 하중을, 센터 필러(9) 중에서도 보강된 사이드 도어용 힌지(17) 주변에서 받을 수 있으므로, 센터 필러(9)의 국소적인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이드 도어 바아(20)의 전단부에 설치된 전단 결합부(20a)와, 리어 사이드 도어(8)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리어 사이드 도어(8)의 전방벽부 내면(30b)의 사이드 도어용 힌지(17)와 차량 전후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전단 결합부(20a)에 결합 가능한 벽측 결합부(23)를 구비한다. 따라서, 후면 충돌시에, 보디 사이드 바아(10)에 의해 전방으로 밀린 사이드 도어 바아(20)의 전단 결합부(20a)가 벽측 결합부(23)와 결합하여, 후면 충돌시의 사이드 도어 바아(20)의 쓰러짐을 억제한다. 따라서, 충돌 하중을 더욱 확실하게 사이드 도어 바아(20)로부터 센터 필러(9)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후방부에 설치된 백 도어(4)와, 백 도어(4)에 설치되고, 백 도어(4)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보다도 상방의 위치에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차폭 방향의 양단부가 연결 바아(16)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 도어 바아(32)를 구비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자동차의 리어 범퍼[리어 범퍼 리인포스(6)]보다도 높은 위치에 범퍼가 있는 충돌 상대 차량의 그 범퍼가 상기 자동차의 후면에 충돌한 경우 등에, 백 도어 바아(32)에 입력된 충돌 하중을, 연결 바아(16)를 통해 보디 사이드 바아(10)로 전달할 수 있고, 보디 사이드 바아(10)로부터 사이드 도어 바아(20)를 경유하여 센터 필러(9)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바아(16)는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 경사져 있음으로써, 후면 충돌시에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에 입력된 충돌 하중을, 연결 바아(16)가 연직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보디 사이드 바아(10)에 더욱 많이 전달할 수 있어, 충돌 하중을 차량 하부와 차량 측부에 더욱 확실하게 분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어 사이드 멤버(1)보다도 연결 바아(16) 및 보디 사이드 바아(10) 쪽이 취약하다. 따라서, 후면 충돌시에, 리어 사이드 멤버(1)보다도 연결 바아(16) 및 보디 사이드 바아(10) 쪽이 찌부러지기 쉬우므로, 충돌 상대 차량을 상방으로 유도할 수 있어, 충돌 하중을 차량 하부와 차량 측부로 더욱 확실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보다도 전방의 위치에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리어 사이드 멤버(1)끼리 연결한 크로스 멤버인 리어 센터 크로스 멤버(2C)를 구비하고, 리어 센터 크로스 멤버(2C)와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와의 사이에 스페어 타이어(5)를 수납한다. 따라서, 후면 충돌시에 리어 사이드 멤버(1)가 변형하여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스페어 타이어(5)를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와 리어 센터 크로스 멤버(2C) 사이에 끼워 넣는다. 이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5)가 변형되어 충돌 하중을 흡수한다. 따라서, 후면 충돌시에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에 입력된 충돌 하중을, 리어 사 이드 멤버(1), 차량 측부[연결 바아(16), 보디 사이드 바아(10), 리어 사이드 도어(8), 센터 필러(9)], 스페어 타이어(5)로 분산시켜 흡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리어 사이드 도어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도시하지 않음)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보디 사이드 바아는 리어 사이드 도어를 차량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인 것이 적합하다.
이 구성에서는, 1개의 부재로 가이드 레일과 보디 사이드 바아를 겸용하므로,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6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어 설명도 생략한다(이후의 실시 형태에서도 마찬가지임). 도6은 본 실시 형태의 보디 사이드 바아와 사이드 도어 바아의 대향 부분을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는, 사이드 도어 바아(20)와 보디 사이드 바아(10)에 결합 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다르다.
사이드 도어 바아(20)의 후단부의 플레이트(121)에는, 후단 결합부인 오목부(121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21a)는 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한편, 보디 사이드 바아(10)의 전단부의 플레이트(114)에는 보디 사이드 바아측 결합부인 핀 형상의 볼록부(114a)가 전방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114a)는 보디 사이드 패널(103)의 대향부(103c)를 관통하고 있다. 이 볼록 부(114a)는 사이드 도어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오목부(121a)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오목부(121a)에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리어 사이드 도어(108)의 도어 본체(130)[이너 패널(118)]의 대향부(118a)에는, 오목부(121a)에 연통하고, 오목부(121a)와 볼록부(114a)의 결합을 허용하는 관통 구멍(118b)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이드 도어 바아(20)의 후단부에 설치된 후단 결합부인 오목부(121a)와, 리어 사이드 도어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오목부(121a)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보디 사이드 바아(10)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오목부(121a)에 결합 가능한 보디 사이드 바아측 결합부인 볼록부(114a)를 구비한다. 따라서, 후면 충돌시에, 후방으로부터 밀린 보디 사이드 바아(10)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볼록부(114a)가 오목부(121a)와 결합한다. 이에 의해, 후면 충돌시의 보디 사이드 바아(10)의 쓰러짐을 억제하여, 충돌 하중을 더욱 확실하게 보디 사이드 바아(10)로부터 사이드 도어 바아(20), 센터 필러(9)로 전달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7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7은 본 실시 형태의 자동차의 차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는, 연결 바아(216)의 상단부가, 루프 레일(12)까지 연장되어 있고, 루프 레일(12)에 연결되어 있는 점이 상술한 실시 형태에 대해 다르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측부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루프 레일(12)을 구비하고, 연결 바아(216)의 상단부는 루프 레 일(12)에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후면 충돌시에,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에 입력된 충돌 하중은, 연결 바아(216)를 통해 루프 레일(12)에도 입력된다. 이에 의해, 루프 레일(12)이 변형하여 충돌 하중을 흡수한다. 따라서, 후면 충돌시에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2A)에 입력된 충돌 하중을, 더욱 분산시켜 흡수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도8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8은 본 실시 형태의 자동차의 차체 구조의 측부의 일부를 차내에서 보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는, 연결 바아(316)와 보디 사이드 바아(310)가 일체 성형되어 있는 점이 상술한 실시 형태에 대해 다르다. 또한, 도8은 본 실시 형태를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 적용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바아(316)와 보디 사이드 바아(310)가 일체 성형되어 있음으로써,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실시 형태를 각종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어 도어 개구부(3b)의 후방 모서리부 부분(도7의 A로 나타내는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러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보디 사이드 바아(10)로부터 상기 필러로도 충돌 하중이 전달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실시예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어떠 한 차량에도 적용 가능하다.
① 필러의 위치와 관련하여,
1매의 사이드 도어의 차에서는, 캐빈 최전방에A필러, 캐빈 최후방부에 후방부 필러가 설치되어 있는 2개의 필러를 갖는 차(예를 들어, 초소형차나 하드톱차)나, 1매 도어의 후단부에 또한 B필러가 설치되어 있는 3개의 필러를 갖는 차.
2매의 사이드 도어의 차에서는,A필러와 B필러(1매째의 도어와 2매째의 도어의 사이)와 후방부 필러의 3개의 필러를 갖는 차 (일반적인 차)나, 2매째의 필러의 후방에 또 다른 하나의 C필러가 설치된 4개의 필러를 갖는 차(대형SUV차).
② 또한, 좌우의 도어의 매수나 사이드 구조가 좌우 대칭이 아닌 차도 생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는 모두 차량의 후방부 구조에 대해 기재하고 있지만, 이는 전방부 구조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자동차의 차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보디 사이드 바아와 사이드 도어 바아의 대향 부분을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사이드 도어 바아와 사이드 도어용 힌지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사이드 도어 바아와 힌지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자동차의 차체 구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배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보디 사이드 바아와 사이드 도어 바아의 대향 부분을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자동차의 차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자동차의 차체 구조의 측부의 일부를 차내에서 보아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어 사이드 멤버(사이드 멤버)
2A :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
2C : 센터 크로스 멤버(크로스 멤버)
4 : 백 도어
5 : 스페어 타이어
8, 108 : 리어 사이드 도어(사이드 도어)
9 : 센터 필러(필러)
10 : 보디 사이드 바아
12 : 루프 레일
16, 216, 316 : 연결 바아
17 : 사이드 도어용 힌지
20 : 사이드 도어 바아
20a : 전단 결합부
23 : 벽측 결합부
30b : 전방벽부 내면
32 : 백 도어 바아
114a : 볼록부(보디 사이드 바아측 결합부)
121a : 오목부(후단 결합부)

Claims (16)

  1. 차량 하부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멤버와,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사이드 멤버의 후방끼리를 연결한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와,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러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차체 구조에 있어서,
    차량 측부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멤버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필러와 접속하는 사이드 보디 바아와,
    상기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와 상기 사이드 보디 바아를 연결한 연결 바아를 갖는 자동차의 차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필러와 상기 사이드 멤버와의 사이에 배치된 사이드 도어를 더 갖고,
    상기 사이드 보디 바아는, 상기 사이드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사이드 도어 바아와,
    상기 사이드 도어 바아와 상기 연결 바아를 연결하는 보디 사이드 바아를 갖는 자동차의 차체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 바아의 단부와 상기 보디 사이드 바아의 단부가 차량 전후 방향에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체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 바아는 차량 전후 방향 단부에 결합부를 더 갖고,
    상기 보디 사이드 바아는, 상기 결합부와 차량 전후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도어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보디 사이드 바아측 결합부를 갖는 자동차의 차체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아와 상기 보디 사이드 바아가 일체 성형되어 있는 자동차의 차체 구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인 한편,
    상기 보디 사이드 바아는 상기 사이드 도어를 차량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인 자동차의 차체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필러와 상기 사이드 멤버와의 사이에 배치된 사이드 도어를 더 갖고,
    상기 사이드 보디 바아는 상기 사이드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도어 바아를 갖는 자동차의 차체 구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를 상기 필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사이드 도어용 힌지를 더 갖고,
    상기 사이드 도어용 힌지는 상기 사이드 도어 바아의 단부와 차량 전후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한 자동차의 차체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 바아는 차량 전후 방향 단부에 설치된 결합부를 더 갖고,
    상기 사이드 도어는, 상기 사이드 도어의 종벽부 내면의 상기 사이드 도어용 힌지와 차량 전후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도어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벽측 결합부를 갖는 자동차의 차체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아는 상기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에 연결된 개소로부터 상기 사이드 보디 바아에 연결된 개소를 향하여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 경사져 있는 자동차의 차체 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멤버보다도 상기 연결 바아 및 상기 사이드 보디 바아 쪽이 취약한 자동차의 차체 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차량 측부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루프 레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연결 바아의 상단부는 상기 루프 레일에 연결되어 있는 자동차의 차체 구조.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보다도 차체 전방의 위치에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 멤버끼리를 연결한 크로스 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크로스 멤버와 상기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와의 사이에 스페어 타이어를 수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자동차의 차체 구조.
  15. 제1항에 있어서, 차량 후방에 설치된 백 도어와,
    상기 백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백 도어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리어 엔드 크로스 멤버보다도 상방의 위치에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차폭 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연결 바아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 도어 바아를 갖는 자동차의 차체 구조.
  16. 삭제
KR1020070091832A 2006-09-12 2007-09-11 자동차의 차체 구조 KR100893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47027A JP4301271B2 (ja) 2006-09-12 2006-09-12 自動車の車体構造
JPJP-P-2006-00247027 2006-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073A KR20080024073A (ko) 2008-03-17
KR100893982B1 true KR100893982B1 (ko) 2009-04-20

Family

ID=3856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832A KR100893982B1 (ko) 2006-09-12 2007-09-11 자동차의 차체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17496B2 (ko)
EP (1) EP1900614B1 (ko)
JP (1) JP4301271B2 (ko)
KR (1) KR100893982B1 (ko)
CN (1) CN100572173C (ko)
DE (1) DE60200700316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7878B2 (ja) * 2008-05-09 2014-02-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車体の後部構造
JP5348547B2 (ja) * 2009-06-10 2013-11-20 スズ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CN103832477B (zh) * 2012-11-21 2017-06-13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后侧围外板
JP6235841B2 (ja) * 2013-09-13 2017-11-2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3625556A (zh) * 2013-12-06 2014-03-12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前门外板窗台加强板及汽车前门
KR101526429B1 (ko) * 2014-04-11 2015-06-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체 전방 구조물의 이중 지지 구조
DE202014004652U1 (de) * 2014-05-31 2015-09-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 Ges. d. Staates Delaware) Heckseitige Verstärkungsstruktur für eineKraftfahrzeugkarosserie
JP6068415B2 (ja) * 2014-10-23 2017-0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テールゲート付き車体構造
CN104816683B (zh) * 2015-04-29 2019-04-30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内板窗台加强板结构及含加强板结构的车门
JP6308190B2 (ja) * 2015-09-14 2018-04-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骨格構造
JP6834855B2 (ja) 2017-09-01 2021-0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DE102017218193B4 (de) * 2017-10-12 2022-03-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eitenwandheckbauteil und Personenkraftwagen
JP7067227B2 (ja) * 2018-04-17 2022-05-16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7125667B2 (ja) * 2018-05-01 2022-08-2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ドア構造
JP7063225B2 (ja) * 2018-10-09 2022-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ンバーチブル車両の車体構造
JP7088077B2 (ja) * 2019-02-27 2022-06-21 マツダ株式会社 車体構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8741A (en) * 1990-09-20 1993-07-20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rear body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6423A (en) * 1956-10-01 1961-05-30 Daimler Benz Ag Motor vehicle frame body construction
JPS531728U (ko) * 1976-06-25 1978-01-10
US4428599A (en) * 1982-02-01 1984-01-31 The Budd Company Front and rear energy absorbing structures for a four passenger vehicle
JPH02256570A (ja) * 1989-03-29 1990-10-17 Mazda Motor Corp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H02143370U (ko) * 1989-05-02 1990-12-05
JPH049323U (ko) * 1990-05-15 1992-01-28
JPH0422378U (ko) * 1990-06-16 1992-02-25
GB9018350D0 (en) * 1990-08-21 1990-10-03 Jaguar Cars Vehicle bodies
DE4206361A1 (de) * 1991-04-19 1992-10-22 Audi Ag Tragstruktur einer karosserie eines personenkraftwagens
KR100194711B1 (ko) * 1995-12-12 1999-06-15 정몽규 차량용 도어의 충격흡수장치
JP3376815B2 (ja) * 1996-04-16 2003-02-10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自動車のサイドパネル補強構造
JP3229213B2 (ja) * 1996-08-05 2001-11-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JP3428347B2 (ja) 1997-03-06 2003-07-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US6099039A (en) * 1997-03-10 2000-08-08 Hine; Alan Frame structure for sport utility vehicle or light truck
JP3975606B2 (ja) * 1999-03-19 2007-09-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側部構造
JP2001106120A (ja) * 1999-10-08 2001-04-17 Mazda Motor Corp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2001206244A (ja) * 2000-01-24 2001-07-31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側部における補強構造
JP2001328430A (ja) * 2000-05-21 2001-11-27 Fujio Inoue 車体構造並びに該構造に用いるドア
TW593005B (en) * 2001-03-13 2004-06-21 Kikuchi Press Industry Co Ltd Door for vehic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2362413A (ja) * 2001-06-04 2002-12-18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構造
JP4385582B2 (ja) * 2002-10-01 2009-12-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サイドドア構造
JP2004155219A (ja) * 2002-11-01 2004-06-03 Fuji Heavy Ind Ltd 自動車の車体後部構造
JP4228735B2 (ja) 2003-03-18 2009-02-25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車両構造
JP2005306192A (ja) * 2004-04-21 2005-11-04 Nissan Motor Co Ltd 車体後部構造
JP4657656B2 (ja) * 2004-09-03 2011-03-2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JP4345689B2 (ja) * 2005-02-24 2009-10-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側部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8741A (en) * 1990-09-20 1993-07-20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rear body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00614A1 (en) 2008-03-19
US7717496B2 (en) 2010-05-18
EP1900614B1 (en) 2009-11-11
US20080061600A1 (en) 2008-03-13
CN101143601A (zh) 2008-03-19
JP4301271B2 (ja) 2009-07-22
JP2008068671A (ja) 2008-03-27
KR20080024073A (ko) 2008-03-17
DE602007003160D1 (de) 2009-12-24
CN100572173C (zh) 200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982B1 (ko) 자동차의 차체 구조
EP1985527B1 (en) Front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US9550462B2 (en) Small overlap frontal impact counter-measure
JP4286884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EP2314500B1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of a vehicle and vehicle provided therewith
JP5029135B2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US9849918B2 (en) Motor vehicle body
US7594691B2 (en) Motor vehicle with side-impact reinforcement
US20140306490A1 (en) Vehicle side body structure
CN104442669A (zh) 用于针对性地导引车轮的装置和为此适配的轮辋
US10960738B2 (en) Arrangement with a crash profile and a load transmission element on a motor vehicle, load transmission element and motor vehicle or vehicle door
JP5369624B2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KR101601521B1 (ko) 차량 도어 보강 삽입체
JP2009255705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US6851740B1 (en) Automotive vehicle with lateral impact seat displacement system
JP4231008B2 (ja) 車両のブリーザパイプ保護構造
CN114684266A (zh) 车身和具有其的车辆
JPH08332975A (ja) 車体の後部構造
CN115123397B (zh) 车身结构
KR100355276B1 (ko) 자동차의 센터 필러 이중 박스 구조
KR20090061895A (ko) 자동차용 센터필러 보강구조
KR0184173B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CN114845927A (zh) 用于车辆的车前端结构
JP4780444B2 (ja) 車両の前部構造
JP2005001406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