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018B1 - 카메라 시스템, 카메라 본체 및 카메라 헤드 - Google Patents

카메라 시스템, 카메라 본체 및 카메라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018B1
KR100710018B1 KR1020050083551A KR20050083551A KR100710018B1 KR 100710018 B1 KR100710018 B1 KR 100710018B1 KR 1020050083551 A KR1020050083551 A KR 1020050083551A KR 20050083551 A KR20050083551 A KR 20050083551A KR 100710018 B1 KR100710018 B1 KR 100710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amera head
main body
head
typ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1097A (ko
Inventor
히로시 다나카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3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interchangeable camera parts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Lens Barrel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본체에 부적합한 카메라 헤드가 장착되는 부적절한 촬영이 행하여지는 것을 방지한 카메라 시스템, 카메라 본체 및 카메라 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카메라 헤드(1a)에 무선 태그(102a)를 마련하고, 카메라 본체(1b)에 그 무선 태그(102a)로부터의 종별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106b)를 마련한다. 카메라 헤드(1a)가 카메라 본체(1b)에 장착되려고 하는 때에 카메라 헤드(1a)로부터 카메라 본체(1b)에 무선으로 송신되어 온 종별 정보로부터 카메라 헤드가 카메라 본체에 적합하다는 판정을 한 때에는 마운트 커버(15b)를 개(開) 상태로 한다.
카메라 헤드, 카메라 본체, 리드/라이터, 무선 태그

Description

카메라 시스템, 카메라 본체 및 카메라 헤드{CAMERA SYSTEM, CAMERA BODY AND CAMERA HEAD}
도 1은 복수 종류의 카메라 헤드와 그 복수 종류의 카메라 헤드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되는 카메라 본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카메라 본체의 외관과 도 1에 나타낸 카메라 헤드 중 하나인 카메라 헤드(1a)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카메라 헤드(1a)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근거리 송신부와, 카메라 본체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근거리 수신부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 커버 개폐 제어부이기도 하고 상기 적부 판정부이기도 한 본체 CPU와의 관련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헤드 내에 배치된 비접촉 근거리 송신부의 일례인 무선 태그(102a)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본체 내에 배치된 비접촉 근거리 수신부(160b)의 일례인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의 내부 구성을 각각 나타낸 도면.
도 5는 카메라 헤드(1a)가 장착되려 하고 있을 때에 본체 CPU(100b)가 행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ID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3에 나타낸 디지털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프로퍼티(property)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프로퍼티 정보 내의 부호의 의미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신호 처리 가능한 프로퍼티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체 CPU(100b)가 행하는 마운트 커버(15b)의 개폐 제어의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메라 시스템
1a : 카메라 헤드
102a : 무선 태그(비접촉 근거리 송신부)
1b : 카메라 본체
15b : 마운트 커버
17b : 드라이버(개폐 구동부)
18b : 액추에이터(개폐 구동부)
10Ob : 본체 CPU (적부 판정부, 개폐 제어부)
140b : 전원 제어부
160b :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reader/writer) (비접촉 근거리 수신부)
161b 근접 센서
본 발명은 촬영 광학계와 촬상 소자를 구비한 카메라 헤드와 카메라 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장착된 카메라 헤드로부터 화상 신호를 수취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는 카메라 본체를 구비한 카메라 시스템, 그 카메라 시스템을 구성하는 카메라 본체 및 카메라 헤드에 관한 것이다.
촬상 소자가 촬영 광학계가 일체적으로 된 플러그인 유닛(plug-in unit)이 카메라 본체에 장착되면, 그 플러그인 유닛의 정보가 카메라 본체측에 전달되고, 그 플러그인 유닛이 구비하는 촬영 광학계에서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카메라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렇게 플러그인 유닛이 카메라 본체에 장착되는 것만으로 촬영 광학계 즉 촬영 렌즈의 교환이 행하여지는 카메라 시스템이 실현되면, 카메라 시스템의 취급이 매우 간단해져,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지 않은 사람에게서도 간단하게 촬영 렌즈의 교환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유사한 것으로, 촬영 광학계와 촬상 소자를 구비한 카메라 헤드와, 카메라 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카메라 헤드로부터 화상 신호를 수취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는 카메라 본체를 구비한 카메라 시스템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한편, 최근 촬상 소자에 다종다양(多種多樣)한 것이 발표되고 있고, 촬상 소자의 특성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다종다양한 촬상 소자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된 카메라 헤드가 카메라 본체에 장착되게 되면, 카메라 본체측은 카메라 헤드가 장착될 때까지 촬상 소자의 특성을 전혀 모르는 상황이 된다.
그래서, 이러한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카메라 헤드가 장착된 후, 카메라 본체가, 장착된 카메라 헤드가 이 카메라 본체에 적합한 것 인지의 여부를 판정해서 적합한 것이 아니다 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촬영에 제한을 가하거나, 경고를 발하거나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 특허문헌 6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3∼6에 기재된 기술을 구사해 보아도 카메라 헤드를 카메라 본체에 장착할 때까지는 그 카메라 헤드가 카메라 본체에 적합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유저는 그 카메라 헤드를 카메라 본체에 장착하기 전에, 그 장착하려고 하는 카메라 헤드가 카메라 본체에 적합한 것 인지의 여부를 일부러 메뉴얼에서 확인하는 경우가 많다. 만일 유저가 이 메뉴얼에서의 확인을 게을리하면, 장착 불가능한 카메라 헤드를 카메라 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기술에 의한 경고를 받았다고 해도, 장착하는 것이 가능했다고 하는 것으로, 유저가 그 경고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있다가, 촬영을 해보고 난 후가 되어서야 촬영의 실패를 알아차리는 바와 같은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 8-17256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 2000-187268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평 11-183785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개 2001-16498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개 2003-228114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국 특개 2003-228115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카메라 본체에 부적합한 카메라 헤드가 장착되어 부적절한 촬영이 행하여지는 것을 방지하는 카메라 시스템, 카메라 본체 및 카메라 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카메라 시스템은 촬영 광학계와 촬상 소자를 구비한 카메라 헤드와, 그 카메라 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카메라 헤드로부터 화상 신호를 수취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는 카메라 본체를 구비한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헤드가,
그 카메라 헤드의 종별(種別)이 특정되는 종별 정보를 기억해 두고 무선으로 송신하는 비접촉 근거리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본체가,
상기 카메라 헤드가 장착되는 마운트부로서, 그 카메라 헤드의 장착을 개(開) 상태에서 가능(可能)으로 하고, 폐(閉) 상태에서 불능(不能)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마운트 커버와, 그 마운트 커버를 개폐시키는 개폐 구동부를 구비한 마운트부와,
상기 비접촉 근거리 송신부로부터 송신되어 온 종별 정보를 수신하는 비접촉 근거리 수신부와,
상기 비접촉 근거리 수신부에 의해 상기 종별 정보가 수신되고, 또한 수신한 종별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종별의 카메라 헤드가 이 카메라 본체에 적합한 카메라 헤드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적부(適否) 판정부와,
상기 적부 판정부에 의한 적합한 카메라 헤드로의 판정을 받아, 상기 개폐 구동부에 상기 마운트 커버를 열도록 지시하는 개폐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카메라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카메라 헤드가 상기 마운트부에 장착되려 하고 있을 때에, 그 카메라 헤드의 상기 비접촉 근거리 송신부로부터 송신되어 온 종별 정보가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비접촉 근거리 수신부에서 수신되어, 상기 적부 판정부에서 이 카메라 본체에 적합한 카메라 헤드 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카메라 본체의 적부 판정부에서 카메라 헤드가 상기 카메라 헤드에 적합하다고 판정된 때에는, 그 판정을 받아 상기 개폐 제어부로부터 상기 개폐 구동부에 마운트 커버를 열도록 지시가 나가고, 마운트 커버가 개(開) 상태가 되어서 카메라 헤드의 장착을 받아들이게 된다. 또 상기 적부 판정부에서 적합하지 않다고 판정된 때에는, 마운트 커버가 폐(閉) 상태인 채로 움직이지 않고, 카메라 헤드의 장착이 거절된다.
이렇게 하여 부적합한 카메라 헤드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장착되어 부적절한 촬영이 행하여지는 것을 방지한 카메라 시스템이 실현된다.
이러한 카메라 시스템을 실현하는 카메라 본체는,
상기 카메라 헤드가 장착되는 마운트부로서, 그 카메라 헤드의 장착을 개(開) 상태에서 가능(可能)으로 하고, 폐(閉) 상태에서 불능(不能)으로 하는 개폐 가 능한 마운트 커버와, 그 마운트 커버를 개폐시키는 개폐 구동부를 구비한 마운트부와,
상기 비접촉 근거리 송신부로부터 송신되어 온 종별 정보를 수신하는 비접촉 근거리 수신부와,
상기 비접촉 근거리 수신부에 의해 상기 종별 정보가 수신되고, 또한, 수신한 종별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종별의 카메라 헤드가 이 카메라 본체에 적합한 카메라 헤드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적부 판정부와,
상기 적부 판정부에 의한 적합한 카메라 헤드로의 판정을 받아 상기 개폐 구동부에 상기 마운트 커버를 열도록 지시하는 개폐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카메라 헤드가 접근해 왔는지의 여부를 항상 모니터하는 근접 센서와,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해 상기 카메라 헤드가 접근해 온 것이 검지된 것을 수취하여, 전원을 투입하는 전원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비접촉 근거리 수신부는 상기 전원 제어부에 의한 전원 투입에 의해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카메라 헤드가 접근해 왔을 때에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해 그 카메라 헤드가 접근해 온 것을 검지하고, 그 검지에 따라 상기 전원 제어부의 전원투입에 의해 상기 비접촉 근거리 수신부가 작동하고, 상기 카메라 헤드의 상기 비접촉 근거리 송신부로부터의 종별 정보가 상기 비접촉 근거리 수신부에서 수신된 다.
그렇게 하면, 상기 카메라 헤드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접근해 왔을 때에 처음으로, 즉 상기 카메라 본체측이 상기 비접촉 근거리 송신부로부터의 종별 정보가 필요할 때에 처음으로 카메라 헤드측의 상기 비접촉 근거리 송신부의 전원이 투입되도록 되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의 전력소비가 억제된다. 또한 카메라 헤드에 전원, 예를 들면 전지가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필요시에 카메라 본체측으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함으로써 카메라 헤드의 비접촉 근거리 송신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별 정보는 상기 카메라 헤드에 고유의 ID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 헤드에 고유의 ID 정보와 상기 카메라 헤드의 종별을 관련시킨 정보가 다수 기억된 기억부를 카메라 본체에 설치해 두면, 상기 카메라 헤드로부터 그 고유의 ID 정보가 송신되어 온 것을 받아, 상기 카메라 본체측의 적부 판정부에 의해 상기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비접촉 근거리 수신부에서 수신된 ID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카메라 헤드의 종별을 간단하게 특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 헤드의 종별이 증가되면, 다수의 종류의 카메라 헤드 중 어느 하나가 카메라 본체에 장착되려 하고 있을 때에, 그 카메라 헤드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ID 정보가 카메라 본체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지 않을 경우도 있다.
그래서, 상기 종별 정보는 상기 카메라 헤드의 특질(特質)을 나타낸 프로퍼티(property)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카메라 본체측의 상기 비접촉 근거리 수신부에 의해, 장착되려 하고 있는 카메라 헤드로부터 송신되어 온 종별 정보인 상기 카메라 헤드의 특질을 나타낸 프로퍼티가 수신되고, 적부 판정부에 의해 그 카메라 헤드의 특질을 나타낸 프로퍼티에 의거하여 카메라 헤드가 카메라 본체에 적합한 것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그 프로퍼티 정보는 촬상 소자의 화소수, 필터 배열 패턴, 화소 배열, A/D변환기의 비트수, 옵티컬블랙(optical black)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카메라 본체 내부의 신호 처리부에서 필요한 파라미터로서 상기의 프로퍼티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있으면, 카메라 본체의 신호 처리에서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적부 판정부에서 판별된다.
또, 상기 카메라 본체에 장착되는 카메라 헤드는,
화상 신호를 수취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는 카메라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에 화상 신호를 송신하는 촬영 광학계와 촬상 소자를 구비한 카메라 헤드로서,
카메라 헤드의 종별이 특정되는 종별 정보를 기억해 두고 무선으로 송신하는 비접촉 근거리 송신부를 구비한 형태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복수 종류의 카메라 헤드와 그 복수 종류의 카메라 헤드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되는 카메라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 헤드가 복수의 종류(1a∼na)의 것을 구비한 것이며, 그 복수의 종류 중 어느 하나의 종류의 카메라 헤드(1a)가 카메라 본체(1b)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어 구성된 것이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복수 종류의 카메라 헤드(1a∼na) 중에서 카메라 헤드(1a)가 선택되어서 카메라 본체(1b)에 장착되려 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카메라 본체의 외관과 도 1에 나타낸 카메라 헤드 중 하나인 카메라 헤드(1a)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에는 카메라 본체(1b)의 외관이 나타나 있고, 도 2의 (b)에는 카메라 헤드(1a)가 카메라 본체(1b)로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려 하고 있을 때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2의 (a)에 나타낸 카메라 본체(1b)는 도 1에 나타낸 다수의 종류의 카메라 헤드 중 어느 하나가 카메라 본체(1b)에 장착되려고 하여 그 카메라 헤드로부터 종별 정보가 무선으로 송신되어 왔을 때에 그 종별 정보에 의거하여 그 카메라 헤드가 이 카메라 본체에 적합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적부 판정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카메라 본체(1b)의 마운트부(10b)에는 마운트 커버(15b)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적부 판정 수단에 의해 장착되려 하고 있는 카메라 헤드가 카메라 본체(1b)에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면 마운트 커버(15b)가 개(開) 상태가 되어서 카메라 헤드의 장착이 받아들여지고, 반대로 카메라 본체(1b)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폐(閉) 상태가 되어서 카메라 헤드의 장착이 거절된다.
도 2의 (b)에는 장착되려 하고 있는 카메라 헤드(1a)가 카메라 본체(1b)에 적합하다 라는 것이 카메라 본체(1b)측의 적부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어서 마운트 커버(15b)가 개(開) 상태가 되어서 카메라 헤드(1a)가 바로 장착되려 하고 있을 때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도 2의 (a) 및 도 2의 (b)를 참조하여 카메라 본체(1b)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1b)의 중앙에는, 카메라 헤드(1a)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도록 다수의 마운트 접점을 잡는 헤드 마운트(1Ob)가 마련되어져 있다. 이 헤드 마운트에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마운트부를 덮도록 마운트 커버(15b)가 설치되어 있고, 카메라 헤드(1a)가 카메라 본체(1b)에 적합한 것으로 상기 적부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때에는,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운트 커버(15b)가 개(開) 상태가 된다.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운트 커버(15b)가 개(開) 상태로 유지되면, 쌍방의 마운트 접점의 위치가 각각 맞도록 도면 중의 일점쇄선에 따라 카메라 헤드(1a)가 카메라 본체(1b)에 근접되어 가고, 카메라 헤드(1a)가 카메라 본체(1b)에 마주치는 곳에서 카메라 본체(1b)에 장착된다. 이렇게 하여 카메라 헤드(1a)가 카메라 본체(1b)에 장착되면, 다수의 마운트 접점끼리가 각각 접속되어서 카메라 헤드(1a)와 카메라 본체(1b)가 전기적으로도 접속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본체(1b)에 배터리가 배치되고, 그 배터리로부터 카메라 헤드(1a) 및 카메라 본체(1b)가 구비하는 다수의 마운트 접점 중의 전력용 접 점을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전력용의 접점을 통하여 카메라 본체(1b)의 배터리의 전력이 카메라 헤드(1a)에 공급되면, 카메라 헤드(1a)와 카메라 본체(1b)의 쌍방이 함께 동작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이 카메라 시스템이 동작 상태가 되어서 모드 다이얼(14b)이 촬영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을 때에 릴리즈(release) 버튼이 조작되면 촬영이 행하여진다. 또 모드 다이얼(mode dial)(14b)이 재생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으면 재생 표시가 행하여진다. 또 도면에 나타나 있진 않지만, 카메라 본체(1b)의 배면측에는 촬영 모드 시에 스루 화상을 표시하거나, 재생 모드 시에 재생 화상을 표시하거나 하는 LCD 패널이나 메뉴 표시를 지시하는 메뉴 키나 그 메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십자 키 등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카메라 헤드(1a)가 카메라 본체(1b)에 장착되려고 하여 가까이 다가왔을 때에,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閉) 상태에 있었던 마운트 커버(15b)가 어떻게 해서 개(開) 상태가 되는지를 설명한다.
도 3은 카메라 헤드(1a)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근거리 송신부와, 카메라 본체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근거리 수신부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 커버 개폐 제어부이기도 하고 상기 적부 판정부이기도 한 본체 CPU와의 관련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3의 상방측에는 카메라 헤드(1a)의 구성이, 또 도 3의 하방측에는 카메라 본체(1b)의 구성이 각각 나타나 있다.
또한 도 4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헤드 내에 배치된 비접촉 근거리 송신부의 일례인 무선 태그(102a)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본체 내에 배치된 비접촉 근거리 수신부(160b)의 일례인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의 내부 구성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카메라 헤드(1a)가 카메라 본체(1b)에 가까이 다가왔을 때에, 카메라 헤드(1a)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되어 오는 종별 정보에 의거하여 어떻게 적부 판정이 행하여지는 지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 헤드(1a)는 카메라 헤드(1a)의 종별이 특정되는 종별 정보를 기억해 두고 무선으로 송신하는 비접촉 근거리 송신부, 여기에서는 무선 태그(102a)를 구비하고 있다. 이 무선 태그(102a) 내에는 미리 카메라 헤드(1a)의 종별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그 카메라 헤드(1a)가 카메라 본체(1b)에 장착되려고 하여 카메라 본체(1b)에 가까이 다가왔을 때에 그 무선 태그(102a)로부터 카메라 본체(1b)측으로 향하여 송신되어 오는 종별 정보가 카메라 본체(1b)측의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160b)에 의해 수신되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해 두면, 카메라 헤드(1a)와 카메라 본체(1b)가 비접촉 상태에 있을 때에 장착되려 하고 있는 카메라 헤드(1a)가 카메라 본체(1b)에 적합한 것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무선 태그(102a)는 무선 리더/라이터(160b)로부터의 전력공급을 받아 동작하는 것이므로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160b)로부터 무선 태그(102b)에 전력을 계속해서 공급해 둠으로써 카메라 헤드(1a)로부터 계속해서 송신되고 있는 종별 정보가 수신 태그 리더/라이터(160b)에 의해 수신되게 되지만, 그러면 전력이 낭비되어 소비되고 만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카메라 본체측에 저소비전력의 근접 센서(161b)를 마련하여 그 근접 센서(1b)만을 항상 작동 상태로 해 두고, 카메라 헤드(1a)가 카메라 본체(1b)에 접근해 온 것을 그 근접 센서(161b)에 의해 검출한 때에 전원 제어부(140b)가 그 검출을 수취하여 배터리(Bt)로부터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160b)에 전력을 공급하고, 또한 그 리드/라이터로부터 고주파 신호에 의해 무선 태그(102a)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되어 있다면, 이 카메라 시스템의 소비전력의 저감(低減)이 도모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태그(102a)와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160b)의 내부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해 둔다. 도 4에는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전력 계통과 통신 계통이 2계통인 것처럼 나타나 있지만, 전원 계통에 있는 송신부(1601b)와 안테나(1600b 및 1023a)는 통신 계통의 것과 겸용되는 것으로서 실제로는 1계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무선 태그(102a)에는 송수신부(1022a)와 제어부(1020a)와 기억부(1021a)가 배치되고 있고, 그 기억부(1021a) 중에 종별 정보로서 ID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이 무선 태그(102a)에 도 4에 나타낸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160b)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오면, 무선 태그(102a) 내의 기억부(1021a)에 기억되어 있는 종별 정보가 제어부(1020a)의 제어에 의거하여 송수신부(1022a)의 송신부를 통해 카메라 본체(1b)로 송신된다. 그 종별 정보가 카메라 본체(1b)에 송신되어 오면, 이번에는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160b)에 의해 그 ID 정보가 수신된다.
이렇게 하여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160b)에 의해 ID 정보가 수신된 후, 본체 CPU(100b)의 제어에 의거하여 그 ID 정보가 본체 CPU(100b) 내의 레지스터에 기입된다.
도 3으로 되돌아와서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160b)와 본체 CPU(100b)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160b)에 의해 수신된 ID 정보가, 본체 CPU(100b)의 제어에 의거하여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160b) 내의 처리부(1602b)(도 4 참조), 또한 버스를 경유해서 본체 CPU(100b) 내의 레지스터에 취입된다. 따라서, 본체 CPU(100b)는 불휘발성 메모리(102b)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레지스터 내에 기입된 ID 정보와, RAM(101b) 상에 전개되어 있는, 장착 가능한 카메라 헤드(1a)의 종별 정보 리스트를 비교하여, 카메라 헤드(1a)측으로부터 취입된 ID 정보가 이 카메라 본체(1b)에 적합한 카메라 헤드(1b)의 종별 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에 의해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면 본체 CPU(100b)는 드라이버(17b)에 지시를 내서 액추에이터(18b)를 드라이버(17b)로 구동시켜, 폐(閉) 상태에 있던 마운트 커버(15b)를 개(開) 상태로 한다. 만약에 카메라 본체(1b)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면, 마운트 커버(15b)는 폐(閉) 상태인 채로 카메라 헤드(1a)의 장착을 거절한다.
이 본체 CPU(100b)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제어부에 해당하고, 드라이버(17b)와 액추에이터(18b)는 마운트 커버(15b)의 개폐 구동부에 해당한다.
이렇게 하여 카메라 헤드(1a)가 카메라 본체(1b)에 장착되려 하고 있을 때에 카메라 헤드(1a)가 카메라 본체(1b)에 적합한지의 여부의 적부 판정이 적부 판정부인 본체 CPU(100b)에 의해 행하여져, 마운트 커버(15b)의 개폐 상태가 개폐 제어부이기도 한 본체 CPU(10Ob)에 의해 제어된다.
도 5는 카메라 헤드(1a)가 장착되려 하고 있을 때에 본체 CPU(100b)가 행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체 CPU(100b)는 카메라 헤드(1a)측의 무선 태그(102a)로 향하여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160b)에 커맨드를 송신시키거나, 그 커맨드에 따라 카메라 헤드(1a)측으로부터 회신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하므로, 쌍방의 교환의 방향성을 나타내기 위해 도 5의 좌측에 카메라 본체(1b)가 도시되고, 도 5의 우측에 카메라 헤드(1a)가 도시되어 있다.
본체 CPU(100b)는 스텝 S501에서 카메라 헤드가 접근하고 있는 것을 근접 센서(161b)에서 검지하면, 버스를 통해서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160b)에 지시를 보내고,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160b)에 응답 요구를 나타내는 고주파 신호를 카메라 헤드(1a)로 향하여 계속해서 송신한다. 이렇게 고주파 신호를 계속해서 공급하면 카메라 헤드(1a)의 무선 태그(102a)가 전력의 공급을 받게 된다. 그 후, 카메라 헤드(1a)로부터 응답 신호가 회신되어 오므로, 그 응답 신호를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160b)에 수신시키고, 그 응답을 받아 이번에는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160b)에 카메라 헤드의 ID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시킨다. 그리고 그 응답으로서 카메라 헤드(1a)로부터 ID 정보가 송신되어 오면, 본체 CPU(160b)는 그 ID 정보를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160b)에 수신시키고, 수신시킨 ID 정보를, 버스를 경유해서 레지스터 내에 취입하고, 장착되려 하고 있는 카메라 헤드가 장착 가능한지의 여부의 판정을 스텝 S502에서 행한다. 여기에서, 장착 가능하다고 판정하면, 가측(可側)으로 진행되어서, 스텝 S503에서 마운트 커버(15b)를 개(開) 상태로 하고, 장착 불 가능하다고 판정하면, 불가측(不可側)으로 진행되어서, 스텝 S504에서 카메라 헤드 장착 불가능한 것을 경고하기 위해서, 마운트 커버(15b)를 폐(閉) 상태인 채로 이 플로우를 종료한다.
여기에서, 도 5의 하방에 나타낸 판정 스텝 S502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체 CPU(100b)는 스텝 S5021에서 장착되려 하고 있는 카메라 헤드(1a)와 카메라 본체(1b)와의 적합성을 판정하는데 있어서, 불휘발성 메모리(102b) 내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장착 가능한 카메라 헤드의 ID 정보의 리스트를 독출하여 RAM(101b)상에 전개해 둔다. 그리고, 다음 스텝 S5022에서, RAM(101b) 상에 전개한 리스트를 참조하여,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160b)에 수신시킨 ID 정보가 그 리스트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스텝 S5022에서 무선 태그 리더/라이터에 의해 독출된, 장착되려 하고 있는 카메라 헤드의 종별을 나타내는 ID 정보가 리스트 상에 있다고 판정하면 Yes측으로 진행되어서 카메라 헤드 장착 가능인 것으로 하고 이 플로우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이 스텝 S5022에서 장착 불능인 것으로 판정하면 NO측으로 진행되어서 카메라 헤드 장착 불가능인 것으로 하고, 이 플로우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 6은 ID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는 3종류의 ID 정보가 나타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KER(메이커), PRODUCT(제품 명), VERSION(버전), SerialNumber(시리얼 넘버)등을 고유의 ID 정보로서 이용하면, 그 ID 정보에 관련 되어진 종별 정보로부터 그 종별 정보를 가지는 카메라 헤드가 카메라 본체(1b)에 적합한 것인지의 여부가 적부 판정부인 본체 CPU(100b)에 의해 판정된다.
이렇게 하여 본체 CPU(100b)에 의해 장착 가능한지 장착 불가능한지가 판정되어 장착 가능인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드라이버(17b)에 지시가 출력되어 마운트 커버(15b)가 개(開) 상태로 되고, 장착 불가능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드라이버(17b)에 지시가 출력되지 않고, 마운트 커버(15b)가 폐(閉) 상태인 채로 되어, 카메라 헤드(1a)의 장착이 거절된다.
이와 같이 하면, 부적합한 카메라 헤드가 장착되지 않고, 적절한 촬영을 행할 수 있는 카메라 시스템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 시스템(1)이 구성되면 촬영을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도 3으로 되돌아와서 이 카메라 시스템(1)의 촬영 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카메라 헤드(1a)측의 촬영 처리에 관한 부분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카메라 시스템(1)을 구성하는 카메라 헤드(1a)에는, 촬영 광학계(11a)와 촬상 소자(여기에서는 CCD 고체 촬상 소자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하 CCD라고 함)(12a)가 구비되어 있다. 그 촬영 광학계(11a) 내에는 촬영 렌즈나 조리개 등이 배치되어 있다. 그 촬영 광학계(11a) 내의 촬영 렌즈에서 피사체를 CCD(12a)에 결상시켜서, CCD(12a)에서 화상 데이터의 생성을 행하게 되어 있다. 이 CCD(12a)에서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3a)에 출력하고 그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3a)에서 노이즈 저감의 처리등을 행한 후, 후단의 A/D부(14a)에서 아날로그 신호의 화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의 화상 신호로 변 환해서 고속 시리얼 드라이버(150a)에 공급하고 있다. 이 고속 시리얼 드라이버(150a)에 의해 구동되는 고속 시리얼 버스에 의해 카메라(1b) 본체측에 디지털 신호가 된 화상 신호가 송신된다. 물론, 이 고속 시리얼 버스를 구동하는 고속 시리얼 드라이버(150b)는 카메라 본체(1b)측에도 배치되어 있어 쌍방의 드라이버에 의해 고속 시리얼 버스가 구동된다. 이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하여 카메라 본체(1b)에 공급되는 화상 신호 중에는, 모드 다이얼(14b)에 의해 어느 하나의 촬영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 있는 때에 촬영 광학계 내의 촬영 렌즈가 포착한 피사체를 LCD 패널(도시되지 않음) 상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신호(이하, 스루 화상 신호(through image signal)라 함)나, 그 촬영 모드 중의 정지 화상 촬영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 있는 때에 릴리즈 버튼(13b)의 조작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이하 정지 화상 신호라 함)나, 그 촬영 모드 중 동화상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 있는 때에 릴리즈 버튼(13b)의 조작에 의해 얻어지는 동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이하 동화상 신호라 함)의 3가지의 화상 신호가 있다. 이들 화상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카메라 본체(1b)측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해 카메라 본체 측으로 송신된다.
한편, A/D부(14a)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화상 신호는 A/D부(14a)의 후단에 마련된 적산 회로(16a)에도 공급되어 있다. 이 적산 회로(16a)는 AF 기능(이하 AF라고 함) 및 AE 기능(이하 AE 라고 함)을 달성하는 것으로서, 이 적산 회로(16a)에 의해 AE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피사계(被寫界) 휘도의 측정이나 AF 기능을 동작 시키기 위한 피사체 거리의 측정이 행해지고 있다. 그 적산 회로(16a)에서 측 정된 피사체거리나 피사계 휘도가 데이터 버스(192a)를 통해 조리개/포커스/줌 제어부(17a)에 공급되어, 그 조리개/포커스/줌 제어부(17a)에 의해 촬영 광학계 내의 조리개의 직경이 조절되거나, 촬영 광학계 내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조절되거나 한다.이렇게 해 두면 이 카메라 헤드(1a)가 구비하는 촬영 광학계 내의 렌즈가 다른 피사체를 향할 때마다 AF나 AE가 동작하고 곧 핀트나 휘도의 조정이 행하여져서 핀트가 맞은 피사체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가 CCD(12a)에서 생성되어 CCD(12a)로부터 출력된다.
이들 CCD(12a),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3a), A/D부(14a), 적산 회로(16a)는 타이밍 발생기(timing generator)(이하 TG이라 함)(18a)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그 TG(18a)의 동작은 헤드 CPU(19a)로 제어되고 있다. 이 헤드 CPU(19a)는 시스템 메모리(190a) 내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순서에 따라 TG(18a)나 조리개/포커스/줌 제어부(17a) 등의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서, 그 시스템 메모리(190a) 내에는, AE나 AF의 처리 순서나 시리얼 버스에서의 통신에 관한 처리 순서 등을 나타내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 중에는 모드 다이얼에 의해 촬영 모드가 선택되고, 또한 정지 화상 촬영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에 기동되는 스루 화상 처리 프로그램이나 정지 화상 처리 프로그램, 또한, 동화상 촬영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에 기동되는 동화상 처리 프로그램 등도 저장되어 있다. 이들의 처리 순서에 따라서, 적산 회로(16a)의 동작이나 TG(18a)의 동작이나 불휘발성 메모리(191a)의 리드 라이트 동작이나 3선 시리얼 드라이버(151a)의 동작이나 고속 시리얼 드라이버(150a)의 동작 등이 전부 헤드 CPU(19a)에 의해 제 어되고 있다.
이상이 카메라 헤드의 구성이다.
다음으로, 카메라 본체(1b)의 구성을 설명한다.
카메라 본체(1b)의 동작은 본체 CPU(100b)에 의해 통괄적으로 제어된다. 이 카메라 본체(1b)측에도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시스템 메모리(101b)이나, 복수의 종류의 카메라 헤드(1b) 각각의 ID 정보를 기입하여 불휘발적으로 기억해 두기 위한 불휘발성 메모리(102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시스템 메모리(101b) 중에는, 이 카메라 시스템의 메인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프로그램이 기술되어 있고, 그 중에는 카메라 헤드(1a)측의 헤드 CPU(19a)와 연휴하여 스루 화상 신호의 처리를 행할 경우의 처리 순서라든가, 정지 화상 신호의 처리를 행할 경우의 처리 순서라든가, 동화상 신호의 처리를 행할 경우의 처리 순서도 기술되어 있다.
그 시스템 메모리(101b)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본체 CPU(100b)에 의해, 3선 시리얼 버스에서의 커맨드의 교환이나 고속 시리얼 버스에서의 화상 신호의 수신 등이 제어된다. 그 3선 시리얼 버스의 구동은 3선 시리얼 드라이버(151b)에 의해, 또 고속 시리얼 버스의 구동은 3선 시리얼 드라이버(150b)에 의해 행하여지고, 그들 드라이버의 동작이 본체 CPU(100b)에 의해 각각 제어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헤드측의 3선 시리얼 드라이버(151a)와 카메라 본체측의 3선 시리얼 드라이버(151b)에 의해 시리얼 버스가 구동되어서 커맨드의 교환이 행하여지고, 카메라 본체(1b)측으로부터 스루 화상의 송신 요구를 나타내는 커맨드가 3선 시리얼 버스를 경유하여 카메라 헤드(1a)로 송신되면, 헤드 CPU(19a) 에 의해 TG(18a)가 제어되어, 스루 화상 신호가 생성되고 그 스루 화상 신호가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해 카메라 본체(1b)로 송신되어 온다.
이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해 카메라 본체(1b)로 송신되어 오는 스루 화상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03b)로 공급되고, 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103b)에서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후, 프레임 메모리(104b)에 기억된다. 이 프레임 메모리(104b)에 기억된 YC 신호가 LCD 제어부(105b)에 공급되고, 그 LCD 제어부(105b)에 의해 LCD(1050b)의 패널 상에 스루 화상이 표시된다.
스루 화상을 보면서 릴리즈 버튼(13b)이 눌렸을 때에는, 본체 CPU(100b) 및 헤드 CPU(19a)와의 쌍방에 인터럽트 신호가 공급되고, 그 스루 화상의 처리가 중단되어서 외부 인터럽트 처리에 의해 시스템 메모리 내에 기술되어 있는 정지 화상 처리 프로그램이 기동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리즈 버튼(13b)이 눌렸을 때에는 본체 CPU(100b), 헤드 CPU(19a)도 외부 인터럽트 입력 핀에 직접 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카메라 헤드(1a)측의 헤드 CPU(19a)는 릴리즈 버튼(13a)이 눌린 때의 인터럽트 타이밍에서 TG(18a)로부터 CCD(12a)로 노광 개시의 신호를 공급하게 하고 CCD(18a)에 노광을 개시하게 한다. 그 후 TG(18a)로부터 CCD(12a)에 노광 종료의 신호를 공급시켜 CCD(12a)에, 전(全)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정지 화상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 처리(13a)에 출력시키고 있다. 그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3a)에 출력시킨 정지 화상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로부터 A/D부(14a), 고속 시리얼 버스(150a)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부(103b)에 공급되고, 또한 그 신호 처리부(103b)에서 JPEG 압축된 JPEG 파일이 카드 I/F(106b)를 통 하여, 메모리 카드 슬롯(107b)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08b)에 기억된다. 모드 다이얼(14b)이 동화상 모드가 된 때에는 릴리즈 버튼(13b)의 조작에 의해 인터럽트가 발생해서 동화상 처리 프로그램이 기동되고, 동화상 신호가 소정의 시간마다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과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부(103b)에 공급되고, 모션 JPEG 또는 MPEG 압축이 행하여져서 메모리 카드(108b)에 기록된다.
본 발명에는 직접 관련은 없지만, 타이머 처리용의 타이머(11Ob)나 카렌다 시계부(111b) 등도 배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LCD 제어부(105b)에 카렌다 시계부로부터 카렌다 데이터가 공급되면, LCD(1050b)의 패널 상에 피사체와 함께 시계나 카렌다가 표시되거나 한다. 또한 카메라 본체(1b)는 USB 커넥터(130b)를 갖고 있고, 그 USB 커넥터(130b)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 등이 접속되면 USB 드라이버(U131b)에 의해 USB가 구동되어서 화상 신호가 퍼스널 컴퓨터로 전송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섬광(閃光) 발광창(12b)으로부터 섬광을 발광하는 섬광 발광부(121b)와 섬광 발광 제어부(120b)로 이루어지는 섬광 발광 장치나 카메라 본체의 배면 측에 있는 스위치/LED(132b) 등이 I/O(133b)를 통해서 본체 CPU(100b)로 제어되어 동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103b)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낸 디지털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103b)에 카메라 헤드로부터 송신되어 온 ID 정보에 의거하여 카메라 헤드의 특질을 나타내는 프로퍼티 정보가 세팅된 후 카메라 헤드측으로부터 고속 시리얼 버스를 통해서 스루 화상 신호, 정지 화상 신호, 동화상 신호가 송신되어 오면, 프로퍼티 정보에 의거한 신호 처리가 스루 화상 신호, 정지 화상 신호, 또는 동화상 신호에 실시된다.
이 도 7에는 릴리즈 버튼(13b)이 눌렸을 때에 정지 화상 신호가 메모리 카드(108b)에 기록될 때까지의 처리 계통이 나타나 있고, LCD(105b)의 패널 상에 스루 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감마 보정부(1035b)에서 감마 보정된 후의 스루 화상 신호가 프레임 메모리(104b)에 소정의 시간마다 공급되어 그 프레임 메모리(104b)에 기억된 스루 화상 신호에 의거하는 화상이 LCD 패널 상에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또한 동화상이 기록될 때에는 JPEG 압축부(1038b)에서, 모션 JPEG 또는 MPEG 처리가 시행된다.
여기에서는 정지 화상 신호의 처리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속 시리얼 버스를 경유하여 정지 화상 신호가 디지털 신호 처리부(103b)로 공급된다. 우선 디지털 신호 처리부(103b)의 초단에 있는 오프셋 보정부(1031b)에서 오프셋 보정이 행하여진다. 이 오프셋 보정부(1031b)에서는, OB 영역의 화상 신호를 기준 레벨(흑(黑) 레벨)로서, OB 영역 이외의 화상 신호를 그 기준 레벨로 클램핑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클램핑 처리가 오프셋 처리에 걸쳐서, 그 오프셋 보정이 행하여진 정지 화상 신호가 다음 단의 WB 게인 승산부(1033b)로 공급되고, 그 WB 게인 승산부(1033b)에서 이번에는 흑 레벨에 대하여 백(白) 레벨의 조정, 즉 화이트 밸런스의 조정이 행하여진다. 이 백색이라는 것은 R, G, B의 가법(加法) 색혼합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서, R, G, B 각각의 출력비가 동등하게 되도록 R, G, B신호 각각의 게인을 조정하지 않으면 순도 가 높은 백색을 얻을 수 없다. 여기에서는 그 순도가 높은 백색을 얻기 위해, AWB 센서(11b)에 의해 검출된 광원 종류에 따른 색온도를 W/B 승산부(1033b)에 설정하고, 또한 전단(前段)의 적산 회로(1032b)에 의해 적산된 적산값에 따라 순도가 높은 백색을 얻을 수 있도록 R, G, B 각각의 게인이 각각 W/B 승산부(1033b)에 세팅되어 있다. 그 W/B 승산부(1033b)의 전단(前段)의 적산 회로(1032b)에서는, 예를 들면 CFA나 컴포넌트(component) 순(順)의 정보에 의거하여 복수인 R 화소 각각에 관한 수광 레벨을 검출하고 그 검출한 수광 레벨마다 도수(度數) 분포를 구하는 처리를 행하고, 또한 그 도수 분포로부터 수광 레벨의 분산을 구해서 그 분산에서 규정되는 범위 내의 예를 들면 최대 수광 레벨을 WB 게인으로서 WB 승산부(1033b)에 설정하는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다. 이 적산 회로(1032b)를 설치해 두면, 다수의 R 화소 각각의 수광 레벨의 편차를 구하여, 그 다수의 R 화소 각각의 수광 레벨의 평균값을 WB 게인으로서 WB 승산부(1033b)에 설정하는 것도, 상술한 바와 같이 최대수광 레벨을 WB 게인으로서 WB 승산부에 설정하는 것도 할 수 있다.
이 R 화소와 동일한 처리가 G 화소, B 화소 각각에 관해서도 행하여져서 R, G, B신호 각각의 게인이 W/B 승산부(1033b)에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R, G, B 각각의 게인 조정이 행하여지면, 다음 단의 리니어 MTX(1034b)에 의해 RGB 신호로부터 YC 신호로의 변환이 행하여진다. 여기에서는 RGB에 예를 들면 3×3의 색 변환행렬이 적용되어 Y 신호, Cr 신호, Cb 신호로의 변환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콘트라스트를 업(up)시키고 싶다면, 3×3의 색 변환행렬의 계수 중, 대각요소의 웨이트를 크게 하여 YC 신호로의 변환을 행하거나 하 면, 콘트란스트가 업된 YC 신호가 생성되거나 한다. 그 후 감마 보정부(1035b)에서 감마 보정이 행하여져서 동시화부(同時化部)(1036b)에서 YC 신호가 동시화되고, Y 신호쪽은 윤곽 보정부(10371b)에 공급되고, C 신호 쪽은 색차 매트릭스부(10372b)에 공급되고, Y신호와 색차 신호(R-Y, B-Y)로 이루어지는 화상 신호가 JPEG 압축부(1038b)에서 압축되고 메모리 카드에 화상 파일로 되어 기록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 본체(1b)에 적합한 카메라 헤드(1a)가 카메라 본체(1b)에 장착되고난 후에 이 카메라 시스템(1)에서 촬영이 행하여지면, 카메라 헤드(1a)의 종별에 따른 촬영 처리가 카메라 본체(1b) 내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적확(的確)하게 행하여져서 메모리 카드에 화상 신호가 기록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에 부적합한 카메라 헤드가 장착되어 부적절한 촬영이 행하여지는 것을 방지한 카메라 시스템, 카메라 본체 및 카메라 헤드가 실현된다.
도 1 ∼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종별 정보로서 ID 정보가 송신되어 왔지만, RAM(101b) 상에 전개된 리스트 내에 그 ID 정보가 없을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도 상정하면, 카메라 헤드(1a)로부터 ID 정보에 부가하여 카메라 헤드의 특질을 나타내는 프로퍼티 정보도 송신되어 오면 좋다. 이 때에는 도 1∼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불휘발성 메모리(102b) 내에 카메라 헤드(1a)의 종별 리스트를 기억해둘 필요가 없게 되고, 신호 처리부에서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는 프로퍼티의 조건을 기억해 두면 좋다.
도 8은 프로퍼티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그 프로퍼티 정보 내의 부 호의 의미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신호 처리 가능한 프로퍼티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프로퍼티 정보로서,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CCD(11a)의 컬러 필터 어레이(이하 CFA라 함)의 배열이나 CCD(11a)의 화소수(정지 화상의 경우, 스루 화상의 경우, 동화상의 경우의 3 종류), 유효 취입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와 화소수, 흑(黑) 레벨의 기준이 되는 옵티컬 블랙(이하 OB라 함)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나, 컴포넌트 순(順), A/D의 비트 깊이, CCD 상(傷) 화소수가 나타나 있다.
이 도 8에 나타낸 프로퍼티 정보 중, 화소수는 세로 화소의 개수(W)와 가로 화소의 개수(H)의 조합(W, H)으로 나타나 있다. 이 (W, H)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방향의 화소수와 세로 방향의 화소수를 나타낸 것이며, 부호 W1에 의해 촬상면의 폭방향의 최대 화소수가, 부호 H1에 의해 촬상면의 높이 방향의 최대 화소수가 각각 나타나 있다. 즉, (W1, H1)의 경우에는, 이 CCD(12a)가 가지는 모든 화소가 사용되어서 정지 화상 신호가 생성되는 것이 프로퍼티 정보의 하나로서 나타나 있다. 또한 스루 화상 신호가 정지 화상 신호의 화소수(W1, H1)보다 적은 화소수(W2, H2)로 생성되는 것이, 동화상 신호도 정지 화상 신호의 화소수(W1, H1)보다 적은 화소수(W3 H3)에 의해 생성된다는 것이 프로퍼티 정보의 하나로서 나타나 있다. 또한 스루 화상 신호, 동화상 신호 등의 유효 취입 위치의 좌표가 (X, Y)로 표시되고, 그 유효 취입 영역(도 9에서의 중점선 (dashed line)으로 나타낸 영역) 내의 화소수가 (W4, H4)의 조합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 CCD(12b)의 촬상면 상에는, 이 CCD(12b)에서 촬상했을 때의 흑색 레벨을 카메라 본체(1b)측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103b)에 알리기 위한 옵티컬 블랙(이하 OB라 함)이라고 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 OB 영역의 시작 좌표(XOB)와 길이(WOB)도 각각 프로퍼티 정보의 하나로서 표시되어 있다.
또한, A/D Bit깊이에서 1 화소가 몇비트의 데이터로 구성되는지도 프로퍼티 정보의 하나로서 나타나 있다. 이 1 화소근처의 비트수는 8비트 ∼ 14비트까지의 것이 있고, 이 비트수가 프로퍼티 정보의 하나로서 나타나 있다. 또한 CCD 결함 위치에 의해 결함 화소의 좌표 위치(X, Y)도 프로퍼티 정보의 하나로서 나타나 있다. 도 8 중에는, (Xt1, Yt1)과 (Xt2, Yt2)와 (Xtn, Ytn)과의 3 장소에 결함 화소가 있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이 결함 화소가 있는 경우에는 그 화소에 인접하고 있는 화소를 이용하여 보간 처리 등이 행하여진다.
이러한 프로퍼티 정보가 도 10에 나타낸 프로퍼티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면, 카메라 본체 내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 가능한 카메라 헤드인 것으로 된다. 도 9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프로퍼티 정보를 가지는 카메라 헤드인 경우에는 카메라 본체(1b)측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103b)에 그 프로퍼티 정보가 세팅되어 고속 시리얼 버스를 경유하여 보내져 온 화상 신호에 카메라 헤드(1a)의 특질에 따른 처리가 실시된다.
카메라 헤드(1a)에 프로퍼티 정보를 갖게 했을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체 CPU(100b)가 행하는 마운트 커버(15b)의 개폐 제어의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카메라 헤드(1a)로부터 카메라 본체를 향해서 프로퍼티 정보를 송신시키고 있는 것 외에, 도 55와 동일한 처리 순서이다.
이와 같이 ID 정보 대신에 프로퍼티 정보를 송신시키도록 하면, 카메라 본체(1b)측에 장착 가능한 카메라 헤드의 리스트를 불휘발 메모리에 기억해 둘 필요가 없어지고, 메모리 용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카메라 본체에 부적합한 카메라 헤드가 장착되어 부적절한 촬영이 행하여지는 것을 방지한 카메라 시스템, 카메라 본체 및 카메라 헤드가 실시될 수 있다.

Claims (7)

  1. 촬영 광학계와 촬상 소자를 구비한 카메라 헤드와, 상기 카메라 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카메라 헤드로부터 화상 신호를 수취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는 카메라 본체를 구비한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헤드가, 상기 카메라 헤드의 종별(種別)이 특정되는 종별 정보를 기억해 두고 무선으로 송신하는 비접촉 근거리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본체가,
    상기 카메라 헤드가 장착되는 마운트부로서, 상기 카메라 헤드의 장착을 개(開) 상태에서 가능(可能)으로 하고, 폐(閉) 상태에서 불능(不能)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마운트 커버와, 상기 마운트 커버를 개폐시키는 개폐 구동부를 구비한 마운트부와,
    상기 비접촉 근거리 송신부로부터 송신되어 온 종별 정보를 수신하는 비접촉 근거리 수신부와,
    상기 비접촉 근거리 수신부에 의해 상기 종별 정보가 수신되고, 또한, 수신한 종별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종별의 카메라 헤드가 이 카메라 본체에 적합한 카메라 헤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적부 판정부와,
    상기 적부 판정부에 의한 적합한 카메라 헤드로의 판정을 받아 상기 개폐 구동부에 상기 마운트 커버를 열도록 지시하는 개폐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2. 촬영 광학계와 촬상 소자를 구비한 카메라 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카메라 헤드로부터 화상 신호를 수취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는 카메라 본체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는,
    상기 카메라 헤드가 장착되는 마운트부로서, 상기 카메라 헤드의 장착을 개(開) 상태에서 가능으로 하고, 폐(閉) 상태에서 불능으로 하는 개폐 가능한 마운트 커버와, 상기 마운트 커버를 개폐시키는 개폐 구동부를 구비한 마운트부와,
    상기 카메라 헤드의 비접촉 근거리 송신부로부터 송신되어 온 종별 정보를 수신하는 비접촉 근거리 수신부와,
    상기 비접촉 근거리 수신부에 의해 상기 종별 정보가 수신되고, 또한, 수신된 종별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종별의 카메라 헤드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적합한 카메라 헤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적부 판정부와,
    상기 적부 판정부에 의한 적합한 카메라 헤드로의 판정을 받아 상기 개폐 구동부에 상기 마운트 커버를 열도록 지시하는 개폐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헤드가 접근해 오는지의 여부를 항상 모니터하는 근접 센서와,상기 근접 센서에 의해 상기 카메라 헤드가 접근해 오는 것이 검지된 것을 받아, 전원을 투입하는 전원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비접촉 근거리 수신부는 전원 제어 부에 의한 전원투입에 의해 작동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별 정보가 상기 카메라 헤드에 고유의 ID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별 정보가 상기 카메라 헤드의 특질을 나타내는 프로퍼티(propert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퍼티 정보는 상기 촬상 소자의 화소수, 필터 배열 패턴, 화소 배열, A/D 변환기의 비트수, 옵티컬 블랙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7. 화상 신호를 수취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는 카메라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카메라 본체에 화상 신호를 송신하는, 촬영 광학계와 촬상 소자를 구비한 카메라 헤드에 있어서,
    카메라 헤드의 종별이 특정되는 종별 정보를 기억해 두고 무선으로 송신하는 비접촉 근거리 송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헤드.
KR1020050083551A 2004-09-09 2005-09-08 카메라 시스템, 카메라 본체 및 카메라 헤드 KR1007100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62197 2004-09-09
JP2004262197A JP2006078738A (ja) 2004-09-09 2004-09-09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本体およびカメラ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097A KR20060051097A (ko) 2006-05-19
KR100710018B1 true KR100710018B1 (ko) 2007-04-23

Family

ID=35414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551A KR100710018B1 (ko) 2004-09-09 2005-09-08 카메라 시스템, 카메라 본체 및 카메라 헤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050170A1 (ko)
EP (1) EP1635556A3 (ko)
JP (1) JP2006078738A (ko)
KR (1) KR100710018B1 (ko)
CN (1) CN100495193C (ko)
TW (1) TWI2890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2189B2 (ja) * 2004-10-25 2010-07-28 Hoya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
EP1860869B1 (en) * 2005-03-18 2013-05-08 Nikon Corporation Digital camera
US20130113981A1 (en) * 2006-12-01 2013-05-09 Lytro, Inc. Light field camera image, file and configuration data, and methods of using, storing and communicating same
US10298834B2 (en) 2006-12-01 2019-05-21 Google Llc Video refocusing
JP4905692B2 (ja) * 2007-03-16 2012-03-28 ペンタックス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交換レンズ
US7969469B2 (en) * 2007-11-30 2011-06-28 Omnivision Technologies, Inc. Multiple image sensor system with shared processing
US7406259B1 (en) * 2008-01-28 2008-07-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ally powering o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amcorder or camera by determining the real-time state of the enclosure for the device
JP2010050953A (ja) * 2008-07-22 2010-03-04 Nikon Corp 撮像装置、再生装置および画像再生プログラム
CN101639603B (zh) * 2008-07-31 2014-03-19 索尼株式会社 光学成像设备、镜头控制方法及装置
JP5397150B2 (ja) * 2009-10-19 2014-01-22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ユニット、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CN103827743B (zh) * 2011-09-12 2017-03-29 株式会社尼康 可换镜头
US9858649B2 (en) 2015-09-30 2018-01-02 Lytro, Inc. Depth-based image blurring
KR101932723B1 (ko) * 2012-12-28 2018-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US10334151B2 (en) 2013-04-22 2019-06-25 Google Llc Phase detection autofocus using subaperture images
JP5541430B1 (ja) 2013-08-19 2014-07-0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ユニット、装着装置
JP5527492B1 (ja) * 2013-08-19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541429B1 (ja) * 2013-08-19 2014-07-0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5541431B1 (ja) 2013-08-19 2014-07-0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6201641B2 (ja) * 2013-10-29 2017-09-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444931B2 (en) 2017-05-09 2019-10-15 Google Llc Vantage generation and interactive playback
US10275898B1 (en) 2015-04-15 2019-04-30 Google Llc Wedge-based light-field video capture
US10419737B2 (en) 2015-04-15 2019-09-17 Google Llc Data structures and delivery methods for expediting virtual reality playback
US10341632B2 (en) 2015-04-15 2019-07-02 Google Llc. Spatial random access enabled video system with a three-dimensional viewing volume
US10567464B2 (en) 2015-04-15 2020-02-18 Google Llc Video compression with adaptive view-dependent lighting removal
US10546424B2 (en) 2015-04-15 2020-01-28 Google Llc Layered content delivery for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US10440407B2 (en) 2017-05-09 2019-10-08 Google Llc Adaptive control for immersive experience delivery
US10469873B2 (en) 2015-04-15 2019-11-05 Google Llc Encoding and decoding virtual reality video
US10540818B2 (en) 2015-04-15 2020-01-21 Google Llc Stereo image generation and interactive playback
US10412373B2 (en) 2015-04-15 2019-09-10 Google Llc Image capture for virtual reality displays
US10565734B2 (en) 2015-04-15 2020-02-18 Google Llc Video capture, processing, calibration, computational fiber artifact removal, and light-field pipeline
US11328446B2 (en) 2015-04-15 2022-05-10 Google Llc Combining light-field data with active depth data for depth map generation
US9979909B2 (en) 2015-07-24 2018-05-22 Lytro, Inc. Automatic lens flare detection and correction for light-field images
US10275892B2 (en) 2016-06-09 2019-04-30 Google Llc Multi-view scene segmentation and propagation
US10679361B2 (en) 2016-12-05 2020-06-09 Google Llc Multi-view rotoscope contour propagation
US10594945B2 (en) 2017-04-03 2020-03-17 Google Llc Generating dolly zoom effect using light field image data
US10474227B2 (en) 2017-05-09 2019-11-12 Google Llc Generation of virtual reality with 6 degrees of freedom from limited viewer data
US10354399B2 (en) 2017-05-25 2019-07-16 Google Llc Multi-view back-projection to a light-field
US10545215B2 (en) 2017-09-13 2020-01-28 Google Llc 4D camera tracking and optical stabilization
US10965862B2 (en) 2018-01-18 2021-03-30 Google Llc Multi-camera navigation interface
CN118057406A (zh) * 2022-11-15 2024-05-21 神基科技股份有限公司 物联网装备管理***及其操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173A (ja) * 1996-07-23 1998-02-13 Canon Inc カメラの制御装置、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撮像方法及び記憶媒体
KR19980014050A (ko) * 1996-08-07 1998-05-15 이대원 렌즈 정보 인식 장치
JP2002118777A (ja) 2000-10-05 2002-04-19 Canon Inc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及びレンズ
JP2003244526A (ja) 2002-02-18 2003-08-29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撮影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9213A (ja) * 1994-10-31 1996-05-21 Nikon Corp レンズ交換式カメラ
JP3602587B2 (ja) * 1994-12-19 2004-12-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本体
US6392698B1 (en) * 1996-12-06 2002-05-21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head-detachable image sen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sensing system constituted therewith
US6128443A (en) * 1996-12-11 2000-10-03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and interchangeable lens
JPH11183785A (ja) 1997-12-18 1999-07-09 Canon Inc ビデオカメラ
JP2000059667A (ja) * 1998-08-07 2000-02-25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及び銀塩カメラ
US6505774B1 (en) * 1998-12-09 2003-01-14 Miti Manufacturing Company Automated fee collection and parking ticket dispensing machine
JP2000187268A (ja) 1998-12-22 2000-07-04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交換式カメラ
JP3750425B2 (ja) 1999-06-28 2006-03-01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本体部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US6638212B1 (en) * 1999-07-27 2003-10-28 Olympus Optical Endoscope system having storage part of endoscope-related-data provided in endoscope
US7039453B2 (en) * 2000-02-08 2006-05-02 Tarun Mullick Miniature ingestible capsule
JP2003228114A (ja) 2002-01-31 2003-08-15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システム及びレンズ鏡筒
JP2003228115A (ja) 2002-01-31 2003-08-15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交換レンズ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4319444B2 (ja) * 2002-07-23 2009-08-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4236052A (ja) * 2003-01-31 2004-08-19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2003209528A1 (en) * 2003-02-27 2004-09-1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bluetooth devices through signaling
JP4477313B2 (ja) * 2003-04-08 2010-06-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レンズ交換式カメラシステム
US20040267883A1 (en) * 2003-06-27 2004-12-30 Nokia Corporation Repository for a mobile telepho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173A (ja) * 1996-07-23 1998-02-13 Canon Inc カメラの制御装置、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撮像方法及び記憶媒体
KR19980014050A (ko) * 1996-08-07 1998-05-15 이대원 렌즈 정보 인식 장치
JP2002118777A (ja) 2000-10-05 2002-04-19 Canon Inc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及びレンズ
JP2003244526A (ja) 2002-02-18 2003-08-29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撮影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89021B (en) 2007-10-21
US20060050170A1 (en) 2006-03-09
CN100495193C (zh) 2009-06-03
KR20060051097A (ko) 2006-05-19
EP1635556A2 (en) 2006-03-15
CN1746763A (zh) 2006-03-15
EP1635556A3 (en) 2009-06-24
TW200621007A (en) 2006-06-16
JP2006078738A (ja)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018B1 (ko) 카메라 시스템, 카메라 본체 및 카메라 헤드
US6774935B1 (en) Digital camera
JP4081541B2 (ja) 撮像通信システム
US7315323B2 (en) Digital camera using an indicating device to indicate a plurality of functions
EP1912433B1 (en) Camera system and camera main body
US20040061796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US7619661B2 (en) Camera system
JPH09307845A (ja) スチルビデオカメラ
JP2006352435A (ja) カメラシステム
US20050212921A1 (en) Camera system
JP2001100868A (ja) 携帯機器
JP2001285703A (ja) 電子カメラ
JP3956431B2 (ja) 合成写真機能付き電子カメラ
JPH10215427A (ja) デジタルカラープリンタ、デジタルカメラ及びこれらを用いたデジタルカラープリントシステム
JP4241458B2 (ja)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本体
KR100261597B1 (ko)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무선 정보 교환 장치
JP4266365B2 (ja)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本体
JP4629321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H11275413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6203452A (ja) 通信システム
JP4188073B2 (ja) カード型カメラ及びカード型カメラのホスト機器
JP2004120303A (ja) 情報記録装置
EP1130901A2 (en) Digital camera with card slot
JP2006098518A (ja) ユニット交換式カメラのユニット識別システム
JP2000115590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