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042B1 - 휴대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042B1
KR100602042B1 KR1020030059499A KR20030059499A KR100602042B1 KR 100602042 B1 KR100602042 B1 KR 100602042B1 KR 1020030059499 A KR1020030059499 A KR 1020030059499A KR 20030059499 A KR20030059499 A KR 20030059499A KR 100602042 B1 KR100602042 B1 KR 100602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ntennas
housing
portable communic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8497A (ko
Inventor
가따기시마꼬또
다까끼다꾸
지바유따까
구메까와마사노부
호시노가즈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7704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2005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1698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53589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028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04B1/3838Arrangements for reducing RF exposure to the user, e.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transceiver while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안테나 특성의 열화를 경감시키도록 구성된 휴대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휴대 디바이스는 개폐가 용이하고 안테나 특성의 안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갖는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가다. 일 실시예에서, 휴대 통신 디바이스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안테나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를 조합하고 처리하도록 구성된 신호 처리 회로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각각에 대하여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각각에서 수신된 신호의 위상을 동위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위상 정합 회로를 포함한다.
휴대 통신 디바이스, 안테나, 안테나 특성, 신호 처리, 위상 정합

Description

휴대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1 실시예의 내부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4 실시예에 따흔 휴대 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휴대 전화의 분해 사시도로서, 전방 커버부를 제거하고 후방 커버부에 장착된 하부 케이스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6의 휴대 전화의 평면도로서, 후방 커버부에 장착된 하부 케이스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 하우징
2 : 제2 하우징
3 : 힌지부
4 : 제1 안테나(선형 안테나)
5 : 제2 안테나(표면 장착 안테나)
6 : 무선부
7 : 신호 처리부
8 : 제어부
12 : 표시부
21 : 조작부
본 발명은 셀룰러 전화 또는 PDA 등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를 손에 쥐거나 주머니에 넣는 등에 관계없이 안테나 이득 또는 방사 효율 등의 안테나 특성을 안정화하는 기술(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보 11-274966호 참조)이 제안되어 왔다. 상기 공보에는 안테나 특성을 안정화하기 위해서 막대형 안테나에 추가하여 내장 안테나를 이용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무선 통화시 사용자가 좌측 또는 우측 손에 휴대 단말기를 쥐고 있을 때에도, 무선 주파수에서의 수신 상태에 기초하여, 막대형 안테나 및 내장 안테나가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가 포함되는 경우, 안테나들이 상호 간섭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배치에 대하여 고려하여야 한다. 특히,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인 경우, 단말기가 닫혀 있는지(접혀 있는지) 또는 열려 있는지(펼쳐져 있는지) 여부에 따라 안테나들간 위치 관계가 변화한다. 따라서, 복수의 안테나가 배치되는 방식은 안테나 특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접혀질 수 있는 형태를 가진 휴대 통신 단말기에 적합한 구성에 대하여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종래의 휴대 전화는 휘프(whip) 안테나 및 휘프 안테나의 선단에 절연 스페이서를 사이에 두고 헬리컬(helical) 안테나를 결합하는 안테나 상부를 포함하는 선형 안테나가 케이싱 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안테나 상부를 잡아당기면 휘프 안테나가 케이싱으로부터 인출되어 휘프 안테나를 통해 전화 무선파를 수신하게 되는 한편, 안테나 상부를 밀어넣으면 휘프 안테나가 케이싱에 수납되어 헬리컬 안테나가 무선파 수신에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선형 안테나를 통해 전화 무선파를 수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안테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선형 안테나의 외형, 즉 안테나 상부의 크기 및 휘프 안테나의 두께와 길이기 커지는 경향이 있어, 보다 소형인 케이싱을 생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일본 특허출원 36317/2001호에는 선형 안테나와 표면 장착 안테나가 인접하게 배치되어, 선형 안테나가 표면 장착 안테나의 전원 전극에 인가되는 전력에 의해 여기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일본 특허출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안테나를 동시에 사용하는 무선 전화는 구조가 간단하고 향상된 안테나 특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 전화는 종래의 휴대 전화들에 비하여 선형 안테나의 크기를 작게할 수 있다. 그러나, 선형 안테나와 표면 장착 안테나가 인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선형 안테나를 케이싱 방향으로 수납시킬 때, 그 상부 및 표면 장 착 안테나를 커버하기 위한 케이싱부가 사용자의 손에 둘러싸여, 요구되는 안테나 특성의 열화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안테나 특성의 열화를 저감하도록 구성된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전화 등의 휴대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휴대 디바이스는 개폐를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갖고 안테나 특성의 안정화가 가능한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르면, 휴대 통신 디바이스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도니 복수의 안테나; 상기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조합 및 처리하도록 구성된 신호 처리 회로; 및 상기 복수의 안테나 각각에 대하여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각각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위상을 동위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위상 정합 회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신호 처리 회로가 CDMA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복수의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결합부를 통해 무선 회로에 접속된다. 결합부는, 한 쌍의 랜드를 포함하고, 복수의 안테나 중 제1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무선 회로에 직접 송신되고 복수의 안테나 중 제2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한 쌍의 랜드를 통해 무선 회로에 송신되어, 제1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와 한 쌍의 랜드에서의 무선 회로 사이의 결합도를 약화시키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안테나는 휘프 안테나; 및 휘프 안테나의 선단에 절연 스페이서를 사이에 두고 접속되며 헬리컬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상부를 포함하 고, 제2 안테나는 표면 장착 안테나를 포함한다.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는 상호 교차하는 연장선을 구비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피봇가능한 접속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접속되어 접을 수 있는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부는 피봇가능한 접속으로부터 대향 배치된 제1 단부면을 포함하고, 제2 하우징부는 피봇가능한 접속으로부터 대향 배치된 제2 단부면을 포함한다. 제1 단부면과 제2 단부면은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의 접힌 위치에서 상호 정합되지 않고; 제1 단부면은 피봇가능한 접속으로부터 제2 단부면을 통과하여 연장하고, 제2 하우징부에 의해 중첩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는 피봇가능한 접속 근처에 배치되고, 복수의 안테나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제1 단부면 근처에 배치된다. 제1 단부면 근처에 배치된 안테나는 접힌 위치에서 제2 하우징부에 의해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피봇가능한 접속 근처에 배치된 안테나는 안테나 하우징인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 중 어느 하나에 넣은 위치(stowed position) 및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넣은 위치에서의 안테나는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가 접힌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피봇가능한 접속을 넘어서 연장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르면, 이동 통신 디바이스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안테나; 상기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CDMA 회로; 및 상기 복수의 안테나 각각에 대하여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각각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위상을 동위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위상 정합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르면, 이동 통신 방법이,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폴더형 셀룰러 전화를 취하는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단말기는 제1 하우징(1)과 제2 하우징(2)을 포함한다. 이들 하우징은 힌지(3)에 의해 결합되어 힌지 상에서 피봇이 가능하다. 제1 하우징(1)은 음성 신호를 송신하는 이어 리시버(11; ear receiver) 및 통신 상황이나 통신 내용이 표시되는 표시부(12)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2)은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작부(21) 및 음성 신호가 수신되는 마이크(22)를 포함한다.
먼저, 하우징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설명될 것이다. 도 1의 (a)는 조작 대상인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1의 (b)는 상기 단말기의 측면도이고, 도 1의 (c)는 상기 단말기가 접힌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의 (c)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포함되는 하우징들의 단부면은, 힌지의 회전축과 거의 평행하고, 단말기가 접힌 상태에서 그들의 위치가 상호 동일 평면이 되지 않도록 상호 부정합된다. 따라서, 하우징이 열리거나 닫힐 때, 힘은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효과적으로 인가된다. 이는 조작성을 향상하게 된다.
다음에, 안테나들간 위치 관계가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은 제1 안테나(4)와 제2 안테나(5)를 구비한다. 제1 안테나(4)는 힌지(3) 근처에 위치되는 한편, 제2 안테나(5)는 졔1 안테나(4)의 힌지(3)와 결합하는 측 반대쪽 하우징 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기를 쥐더라도, 모든 안테나가 차단될 가능성이 최소화될 수 있고, 안테나 이득이나 방사 효율 등의 안테나 특성이 안정화 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안테나가 한 쪽의 하우징에 포함되기 때문에, 안테나들간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하우징의 개폐와 관계없이 일정하다. 따라서, 안테나 특성이 안정화된다. 또한, 안테나(5)는 안테나(5)의 일부 또는 전부가 셀룰러 전화를 접더라도 제1 하우징(1)에 대향하지 않는(즉, 중첩하지 않는) 제2 하우징(2)의 영역 근처에 위치되기 때문에, 안테나(5)는 하우징(1)의 뒷편에 숨겨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접힌 위치에서 상호 대향하는 하우징에 의한 무선파의 차단이 회피될 수 있다. 단말기를 접더라도 안테나 특성은 만족스럽게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들이 제2 하우징(2)에 포함된다. 제2 하우징(2) 대신에 제1 하우징(1)에 동일하게 적용하여도, 동일한 이점이 제공된다.
도 2는 안테나들과 휴대 통신 단말기의 내부 회로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안테나(4 및 5)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부(6)에 접속된다. 무선부(6)는 신호 처리부(7)에 접속된다. 신호 처리부(7)는 수신된 신호를 음성 신호나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또는 수신된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신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 처리부(7)에 의해 생성된 음성 신호는 이어 리시버(11)를 통해 송신된다. 마이크(22)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는 신호 처리부(7)에 의해 송신 신호로 변환된다. 제어부(8)는 무선부(6)와 신호 처리부(7)를 제어한다. 단말기 사용자 또는 단말기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은 조작부(21)를 통해 수신되어, 제어부(8)가 원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8)는 통신 상태 또는 통신 내용을 표시부(12)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들 구성요소는 셀룰러 전화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부(6)와 신호 처리부(7)의 기능이 특정 통신 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포함된 것에 대응하는 안테나(4)가 제2 하우징(2)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안테나(4)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힌지(3) 근처에 위치된다. 따라서, 안테나(4)의 위치는 제2 하우징(2)으로부터 구별된다. 안테나 지향성을 포함하는 성능이 개선된다. 또한, 안테나(4)의 돌출부는 단말기가 접혔을 때 덮혀지는 하우징에 대향하는 면에 하우징을 투영하여 형성되는 최외형(outermost projection)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에 놓인다. 환언하면, 도 3에 도시된 단말기의 경우에, 안테나(4)는 힌지(3)를 넘어서지 않도록(즉, 그 이상으로 연장하지 않도록) 하우징에 유지된다. 따라서, 단말기가 가방 등에 수납될 때 안테나가 걸리거나 얽히는 등의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이는 휴대성을 개선하게 된다. 또한, 돌출부가 한정되기 때문에, 단말기가 디자인의 면에서 정교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4)는 제2 실시예에 포함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제2 하우징(2)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는 부가적인 특징을 갖는다. 안테나(4)는 인출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면 안테나가 하우징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4)가 하우징(2)에 수납될 때, 제2 실시예에 포함된 것과 유사하게 안테나(4)는 단말기가 접혔을 때 하우징에 대향하는 면을 넘어서 수직으로 하우징을 투영하여 형성되는 최외형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에 놓인다. 따라서, 단말기가 가방 등에 수납될 때 안테나가 걸리거나 얽히는 등의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결국, 휴대성이 향상된다. 또한, 돌출부가 한정되기 때문에, 단말기는 디자인의 면에서 정교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지금까지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쪽의 하우징에 안테나들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는 각각의 하우징에 포함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4)는 표시부(12)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1)에 제공되는 한편, 안테나(5)는 제2 하우징(2)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안테나가 각각의 하우징에 포함되기 때문에, 특히 사용자가 화면을 바라보며 단말기를 조작할 때, 안테나의 위치가 상호 분리된다. 이는 안테나들간 간섭을 억제하고 안테나 특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들이 힌지(3)와 결합하는 측의 반대측 하우징 단부면에 위치되기 때문에, 휴대 통신 단말기가 사용을 위해 열려있는 동안, 안테나 특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이 경우, 휴대 통신 단말기가 접히면, 안테나(4 및 5)의 위치는 단말기가 열려있을 때와는 달리 상호 근접하게 된다. 이는 안테나가 상호 간섭하거나 또는 한 쪽의 안테나가 무선파를 흡수한다고 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은 안테나의 편파면(偏波面; the planes of polarization)을 상호 직교하게 하여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4 및 5)는 휴대 통신 단말기가 접혔을 때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무선파의 흡수가 방지되거나 감소될 수 있고, 안테나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안테나(4)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수용하는 위성들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GPS의 기능이 이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화면을 바라보며 단말기를 조작한다. 따라서, 안테나들이 인체로부터 멀리 있는 하우징(1)에 포함되어 인체가 위성으로부터의 무선파를 차단하거나 차폐하지 않으면, 안테나 특성이 향상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를 접었을 때, 하우징들은 서로 어긋나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의 개폐가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한 쪽의 하우징에 2개 이상의 안테나가 포함된다. 안테나 중 하나는 힌지 근처에 배치되고, 다른 안테나는 하우징의 힌지를 결합하는 측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기를 쥐고 있을 때에도, 모든 안테나가 차단될 가능성이 최소화되고, 안테나 특성이 안정화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힌지를 결합하는 측의 반대측에 배치된 안테나는 단말기를 접었을 때에 대향하는 하우징이 없는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대향 하우징에 의 한 안테나의 차단이 회피되고, 단말기를 접었을 때에 안테나 특성이 만족스럽게 유지된다. 또한, 힌지 근처에 배치된 안테나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우, 안테나의 위치가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안테나 지향성이 개선된다. 따라서, 안테나 특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힌지 근처에 배치된 안테나가 인출될 수 있으면, 안테나 특성이 더욱 향상된다. 힌지 근처에 배치된 안테나가 단말기를 접었을 때에 하우징에 대향하는 면을 넘어서 수직으로 하우징을 투영하여 형성되는 최외형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에 놓인다. 이는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디자인을 정교하게 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전화인 휴대 전화의 평면도로서, 리시버부(11)와 액정 표시부 등의 표시부(12)가 제공된 상부 케이스(1); 조작부(21)와 마이크부(22)가 제공된 하부 케이스(2); 및 상부 케이스(1)와 하부 케이스(2)를 폴더형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며 카메라부(40)가 제공된 힌지부(3)를 포함한다. 도 6은 상부 케이스(1)가 개방된 상태의 리시버부(11) 및 액정 표시부(12)를 나타낸다. 이러한 개방 상태는 키 조작부와 같은 조작부(21)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도 7은 도 6에서 하부 케이스(2)의 전방 커버부(2a)를 제거하고 하부 케이스(2) 후방 커버부(2b)의 내부를 나타내고, 후방 커버부(2b)장착된 회로 기판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안테나(4)는 하부 케이스(2)에 제공된 힌지부(3)의 근처에 장착되고, 하부 케이스(2)의 후방 커버부(2b)로부터 인출된다. 표면 장착 안테나(5)는 마이크부(22)의 근처에 배치되 고, 회로 기판(70) 상에 장착된다.
도 8은 하부 케이스의 후방 커버부(2b)에 장착된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선형 안테나(4)에는 휘프 안테나(51); 및 절연 스페이서(52)를 통해 휘프 안테나(51)의 선단에 접속되는 헬리컬 안테나(53)를 내장한 안테나 상부(54)가 제공된다. 선형 안테나(4)는 힌지부(3) 근처에서 도면에서와 같이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금속 부재(55)에 의해 하부 케이스의 후방 커버부(2b)에 장착된다. 표면 장착 안테나(5)는 마이크부(22) 근처에서 도면에서와 같이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회로 기판(70) 상에 장착된다. 따라서, 선형 안테나(4)와 표면 장착 안테나(5)는 그 연장선들이 상호 교차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에 구현되는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 선형 안테나(4)에서 출력된 신호는 위상 정합 회로(71)에 접속되고, 표면 장착 안테나(5)에서 출력된 신호는 위상 정합 회로(72)에 접속된다. 위상 정합 회로(71 및 72)에서 출력된 신호는 결합부(73)에 접속된다. 결합부(73)에서 출력된 신호는 수신 회로(82)와 송신 회로(87)에 접속되는 듀플렉서(81)로 보내진다. 무선부(6)는 위상 정합 회로(71, 72), 결합 회로(73), 한 쌍의 랜드(74), 듀플렉서(81), 수신 회로(82) 및 송신 회로(87)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부(7)는 A/D 변환 회로(83), D/A 변환 회로(84), A/D 변환 회로(85) 및 D/A 변환 회로(86)를 포함한다. D/A 변환 회로(84)는 수신부(11)에 접속되는 한편, A/D 변환 회로(85)는 마이크부(22)에 접속된다. A/D 변환 회로(83), D/A 변환 회로(84), A/D 변환 회로(85) 및 D/A 변환 회로(86)는 CDMA신호 처리 제어부 등의 제어부(8)에 결합된다. 또한, 카메라부(40), 조작부(21), 메모리부(90) 및 표시부(12)가 제어부(8)에 접속된다. 표면 장착 안테나(5), 무선부(6), 신호 처리부(7), 제어부(8) 및 메모리부(9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기판(70) 상에 회로 구성요소로서 장착된다.
위상 정합 회로(71 및 72)는 각각 선형 안테나(4)와 표면 장착 안테나(5)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위상을 동위상으로 조정한다. 본 실시예는 2개의 위상 정합 회로(71 및 72)를 개시하고 있지만, 하나의 위상 정합 회로만이 제공될 수도 있다.
결합부(73)에서, 표면 장착 안테나(5)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듀플렉서(81)로 직접 송신되는 한편, 선형 안테나(4)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선형 안테나(4)에 의해 수신된 신호와 듀플렉서(81) 사이의 결합도를 약화시키기 위해 한 쌍의 랜드(74)를 통해 듀플렉서(81)에 송신된다. 이들 사이의 결합도는 한 쌍의 랜드(74) 사이의 간격을 크게하여 더욱 약화될 수 있다.
조작부(21)를 통해 전화 무선파를 수신하면, 수신된 신호는 듀플렉서(81)를 통해 수신 회로(82)에 보내져서, 후속 A/D 변환 회로(83)에서 디지털화된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는 후속 CDMA 신호 처리 제어부(8)에서 디지털화 처리되고, 후속 D/A 변환 회로(84)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리시버부(11)에서 출력된다.
조작부(21)를 통해 전화 무선파를 송신하면, 마이크부(22)에서 입력된 통화 신호 음성이 A/D 변환 회로(85)에서 디지털화된 신호로 변환되고, 이 신호는 후속 CDMA 신호 처리 제어부(8)에서 디지털화 처리되고, 후속 D/A 변환 회로(86)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아날로그 신호는 후속 송신 회로(87)에서 증폭되어 송신을 위해 듀플렉서(81)를 통해 선형 안테나(4)로 보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형 안테나(4)가 하부 케이스(2)에 제공된 힌지부(3) 근처에 장착되는 한편, 표면 장착 안테가(5)가 마이크부(22) 근처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인해 한 쪽의 안테나만이 사용자의 손에 의해 한 번에 덮혀지기 되어, 요구되는 안테나 특성의 열화를 경감하게 된다.
또한, 선형 안테나(4) 및 표면 장착 안테나(5) 양자 모두가 하부 케이스(2)에 배치된 구성은 상부 케이스(1)가 열리거나 닫힐 때 이들 2개 안테나 사이의 상대적 배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1)가 닫힌 상태에서, 요구되는 안테나 특성의 열화가 경감될 수 있다.
또한, 선형 안테나(4) 및 표면 장착 안테나(5)가 그 연장선들이 상호 직교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구성은 안테나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호 인덕턴스를 경감함으로써, 안테나들 사이의 상호 간섭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안테나(4 및 5)가 그 연장선들이 상호 직교하는 위치에 장착되지 않는 다른 구성에서, 이들 안테나는 그 연장선이 상호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은 이들 안테나 사이의 상호 간섭을 상술된 방식과 유사하게 경감시킬 것이다.
또한, 이들 안테나(4 및 5) 각각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위상을 동위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위상 정합 회로가 이들 사이의 상호 간섭을 경감시킬 것이다.
다른 구성에서, 안테나(4 및 5)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결합부(73)를 경유하여 듀플렉서(81)에 접속된다. 결합부(73)에서, 안테나(5)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듀플렉서(81)에 직접 송신되는 한편, 선형 안테나(4)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한 쌍의 랜드(74)를 경유하여 듀플렉서(81)에 송신되어, 선형 안테나(4)에 의해 수신된 신호와 듀플렉서(81) 사이의 결합도를 한 쌍의 랜드(74)에서 약화시킨다. 이러한 구성은 이들 사이의 상호 간섭을 경감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테나들간 상호 간섭을 경감시키기 위한 상술된 3가지 구성이 동시에 채택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특징들 중 하나 또는 둘을 채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폴더형 휴대 전화 이외에,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케이싱 외형의 2개의 짧은 단면 중 하나의 단면측에 선형 안테나(4)가 배치되고 나머지 단면측에 표면 장착 안테나(5)가 배치되도록 케이싱의 내부측에 선형 안테나(4)와 표면 장착 안테나(5)가 배치된 직선형 또는 비폴더형 휴대 전화를 채택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휴대 전화가 직선형 휴대 전화라고 가정하면, 선형 안테나(4)는 케이싱의 내부측 리시버부(11)의 근처에 장착되는 한편, 표면 장착 안테나(5)는 케이싱의 내부측 마이크부(22) 근처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요구되는 안테나 특성의 열화를 경감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전화를 가능하게 한다. 상술된 실시예는 휴대 전화 뿐만 아니라 PDA 등의 휴대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는 폴더형 셀룰러 전화기를 예를 들어 설명되었다. 본 발명이 동일한 기능을 갖는 통신 단말기에 구현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과 동일한 이점들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설명을 검토한다면 당업자에게는 다수의 실시예가 자명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범위는 상술된 설명을 참조하여 결정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 전체의 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휴대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안테나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를 조합하고 처리하도록 구성된 신호 처리 회로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각각에 대하여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각각에서 수신된 신호의 위상을 동위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위상 정합 회로를 포함하는 휴대 통신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CDMA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휴대 통신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가 상기 결합부를 통해 무선 회로에 접속되는 휴대 통신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한 쌍의 랜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제1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가 상기 무선 회로에 직접 전달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제2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가 상기 한 쌍의 랜드를 통해 상기 무선 회로에 전달되어, 상기 제1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와 상기 무선 회로 사이의 결합도를 상기 한 쌍의 랜드에서 약화시키는 휴대 통신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장측 에지(long side edges) 및 상기 2개의 장측 에지보다 짧은 2개의 단측 에지(short side edges)를 각각 포함하여 접속된 2개의 케이스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제1 안테나는 상기 2개의 케이스 중 하나의 단측 에지들 중 하나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제2 안테나는 상기 하나의 케이스의 단측 에지들 중 나머지 하나에 접속되는 휴대 통신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리시버부와 표시부가 제공된 상부 케이스 및 키 조작부와 마이크부가 제공된 하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에지부에서 폴더형으로 접속시키는 힌지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제1 안테나가 상기 힌지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제2 안테나가 상기 마이크부 근처에 배치된 휴대 통신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휘프 안테나(whip antenna) 및 상기 휘프 안테나의 선단에 절연 스페이서를 사이에 두고 접속되며 헬리컬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상부(antenna top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는 표면 장착 안테나(surface mounted antenna)를 포함하는 휴대 통신 디바이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그 연장선이 상호 교차하는 휴대 통신 디바이스.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그 연장선이 상호 교차하는 휴대 통신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접힘 위치(folded position)에서 접을 수 있도록 피봇가능 접속부(pivotable connection)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휴대 통신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는 상기 피봇가능 접속부로부터 반대편에 배치된 제1 단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피봇가능 접속부로부터 반대편에 배치된 제2 단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면과 상기 제2 단부면은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접힘 위치에서 서로 어긋나 있으며, 상기 제1 단부면은 상기 피봇가능 접속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면을 통과하여 연장하고 상기 제2 하우징부에 의해 중첩되지 않는 휴대 통신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피봇가능 접속부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단부면 근처에 배치되는 휴대 통신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면 근처에 배치된 안테나는 상기 접힘 위치에서 상기 제2 하우징부에 의해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휴대 통신 디바이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가능 접속부 근처에 배치된 안테나는 안테나 하우징인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 중 어느 하나의 수납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수납 위치에서의 안테나는 접힘 위치에서 상기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와의 피봇가능 접속부 너머로 연장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휴대 통신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가능 접속부 근처에 배치된 안테나는 상기 안테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휴대 통신 디바이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가능 접속부 근처에 배치된 안테나는 상기 연장된 위치에서의 상기 안테나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후 그대로 유지되는 휴대 통신 디바이스.
  17. 휴대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안테나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CDMA 회로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각각에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각각에서 수신된 신호의 위상을 동위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위상 정합 회로를 포함하는 휴대 통신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는 상기 결합부를 통해 무선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결합부는 한 쌍의 랜드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제1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는 상기 무선 회로에 직접 전달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제2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는 상기 한 쌍의 랜드를 통해 상기 무선 회로에 전달되어, 상기 제1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와 상기 무선 회로 사이의 결합도를 상기 한 쌍의 랜드에서 약화시키는 휴대 통신 디바이스.
  19. 제17항에 있어서, 접힘 위치에서 접을 수 있도록 피봇가능 접속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하우징부에 배치되고 상기 접힘 위치에서 상기 제2 하우징부에 의해 중첩되지 않는 휴대 통신 디바이스.
  20. 휴대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안테나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를 조합하고 처리하도록 구성된 신호 처리 회로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 각각에서 수신된 신호의 위상을 동위상으로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 통신 디바이스.
  21. 휴대 통신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위상 정합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하나에서 수신된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단계와,
    신호 처리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 정합 회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통신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조합하는 단계는 CDMA 신호 처리에 의해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통신 방법.
KR1020030059499A 2002-09-24 2003-08-27 휴대 통신 단말기 KR100602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77046 2002-09-24
JP2002277046A JP2004120052A (ja) 2002-09-24 2002-09-24 携帯端末および携帯電話
JPJP-P-2002-00316980 2002-10-31
JP2002316980A JP2004153589A (ja) 2002-10-31 2002-10-31 携帯通信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497A KR20040028497A (ko) 2004-04-03
KR100602042B1 true KR100602042B1 (ko) 2006-07-19

Family

ID=32032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499A KR100602042B1 (ko) 2002-09-24 2003-08-27 휴대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39533B2 (ko)
KR (1) KR100602042B1 (ko)
CN (1) CN10043136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1762B2 (en) * 2000-12-28 2006-04-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obile terminal including first and second housings and an antenna
KR100631667B1 (ko) * 2002-12-30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방지용 안테나 구조
JP4689229B2 (ja) * 2004-10-21 2011-05-25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
US20060099993A1 (en) * 2004-11-05 2006-05-11 Nokia Corporation Multiple antenna portable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0703353B1 (ko) * 2005-05-30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7239270B2 (en) 2005-05-31 2007-07-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comprising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tenna and electrically conductive director element therefor
EP1881559A1 (en) * 2005-05-31 2008-01-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comprising a sattelite positioning system antenna and electrically conductive director element therefor
JP4499168B2 (ja) * 2008-04-24 2010-07-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無線機
WO2009130748A1 (ja) * 2008-04-25 2009-10-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無線機
US8106838B2 (en) * 2009-02-05 2012-01-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diversity antenna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102323314B1 (ko) * 2010-01-20 2021-11-0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휴대 전화기
BR202012004685Y1 (pt) 2011-07-13 2019-04-0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Dispositivo eletrônico móvel com construção laminada aprimorada
BR202012004684U8 (pt) * 2011-07-13 2016-11-22 Motorola Mobility Inc Dispositivo eletrônico móvel com um banco melhorado de antenas
BR202012004686Y1 (pt) 2011-07-13 2019-05-1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Dispositivo eletrônico móvel com redução de impacto reforçada.
BR202012004687U8 (pt) 2011-07-13 2016-11-22 Motorola Mobility Inc Dispositivo eletrônico móvel com chassi aperfeiçoado
KR200471325Y1 (ko) 2011-07-13 2014-02-19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강화된 공차 누적기를 구비하는 모바일 전자 장치
JP6155979B2 (ja) 2013-08-29 2017-07-05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KR101724867B1 (ko) 2015-06-16 2017-04-07 김덕중 내구성이 향상된 차량용 공구함
MX2018005926A (es) 2015-11-13 2018-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vo de antena y dispositivo electronico que lo incluye.
KR102164704B1 (ko) 2015-11-13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프레임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396992B1 (ko) * 2015-12-07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446911B2 (en) * 2016-02-08 2019-10-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ver of device acting as antenna of the device
KR102483631B1 (ko) * 2018-06-11 2023-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8987892B (zh) * 2018-07-25 2021-01-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包括天线的终端
CN111384585B (zh) * 2018-12-29 2021-08-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5597A (ja) 1994-10-28 1996-05-17 Fujitsu Ltd スペースダイバーシティ受信装置
CA2186793C (en) * 1995-11-13 2000-12-19 Vijitha Weerackody Method and apparatus to implement antenna diversity for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receivers
GB2309865A (en) * 1996-01-30 1997-08-06 Sony Corp Radio receiver with Doppler frequency shift correction
US5933112A (en) * 1997-05-30 1999-08-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ntenna array receiver and a method of correcting a phase shift amount of a receiving signal
JPH1117596A (ja) * 1997-06-19 1999-01-22 Nec Corp 同相合成スペースダイバーシティ受信装置
JPH11150496A (ja) 1997-11-18 1999-06-02 Sony Corp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機
JP3667517B2 (ja) 1997-12-16 2005-07-06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H11274966A (ja) * 1998-03-19 1999-10-08 Toshiba Corp 携帯無線端末装置
JP2000216717A (ja) 1999-01-22 2000-08-04 Sanyo Electric Co Ltd 携帯無線端末装置
JP3539288B2 (ja) 1999-07-16 2004-07-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構造およびそのアンテナ構造を備えた通信装置
JP2001230709A (ja) 2000-02-17 2001-08-24 Nec Shizuoka Ltd 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
JP3476138B2 (ja) 2000-05-17 2003-12-10 ソニー株式会社 折畳式携帯無線機
JP2001358514A (ja) 2000-06-14 2001-12-26 Sony Corp 無線端末装置
JP2002094317A (ja) 2000-09-12 2002-03-29 Canon Inc 小型携帯端末
JP2002135023A (ja) 2000-10-26 2002-05-10 Sharp Corp 携帯無線機
JP2002171112A (ja) 2000-11-29 2002-06-14 Kyocera Corp 携帯電話機
JP2002171190A (ja) 2000-12-01 2002-06-14 Nec Corp 小型携帯電話機
JP2002217803A (ja) * 2001-01-15 2002-08-02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無線端末装置
JP2002261665A (ja) 2001-02-28 2002-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装置
JP4071452B2 (ja) 2001-04-13 2008-04-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無線機
EP1369954A3 (en) * 2002-06-05 2004-10-20 Fujitsu Limited Adaptive antenna unit for mobile terminal
TW200408163A (en) * 2002-11-07 2004-05-16 High Tech Comp Corp Improved cellular antenna archite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87767A (zh) 2004-04-07
KR20040028497A (ko) 2004-04-03
US20040063476A1 (en) 2004-04-01
CN100431367C (zh) 2008-11-05
US7139533B2 (en) 200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042B1 (ko) 휴대 통신 단말기
US8606195B2 (en) Radio
JP2007088692A (ja) 携帯無線機
JP2003069441A (ja) 折り畳み型携帯無線機
JP3476138B2 (ja) 折畳式携帯無線機
JPWO2009034648A1 (ja) 無線通信装置
WO2005096437A1 (ja) 携帯無線機
JP3528745B2 (ja) 携帯無線機
JP2006270534A (ja) 無線通信装置
JP2006197418A (ja) 携帯通信端末及び通信感度調整方法
JPH11186947A (ja) 携帯型通信端末装置
JP3923984B2 (ja) 無線通信端末
JP2004153589A (ja) 携帯通信端末
EP2086054A1 (en) Cellular phone
JP2010154445A (ja) 携帯型電子装置
WO2006011254A1 (ja) 折畳式携帯無線機
JP2001358802A (ja) 無線端末装置
JP2821638B2 (ja) 携帯無線機
JP2009124635A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JPH06112880A (ja) 携帯無線機
US20040162122A1 (en) Antenna structure for reducing effects on the human body of electromagnetic waves fro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3264414A (ja) 折畳式携帯無線端末
JP2001320459A (ja) 無線通信端末
JP2003046614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2755124B2 (ja) 携帯無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