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3557B1 - 전기면도기 - Google Patents

전기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3557B1
KR100543557B1 KR1019980040359A KR19980040359A KR100543557B1 KR 100543557 B1 KR100543557 B1 KR 100543557B1 KR 1019980040359 A KR1019980040359 A KR 1019980040359A KR 19980040359 A KR19980040359 A KR 19980040359A KR 100543557 B1 KR100543557 B1 KR 100543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outer blade
inner blade
electric shaver
recipro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693A (ko
Inventor
요시타카 테즈카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9908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285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30104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28565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36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28Drive layout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providing for electromotive driv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면도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날과 이 외부날의 내측에서 왕복운동하는 내부날과 이 내부날을 왕복운동시키는 구동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구는 선단에 내부날을 연결시켜 왕복운동시키는 진동로드와 이 진동로드를 연결시키는 동시에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진동대와 이 진동대를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진동로드는 선단을 내부날에 형성된 구동공에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삽입시켜 내부날에 연결시킨다. 게다가 진동로드는 내부날을 외부날에 탄성적으로 왕복운동시키는 날압스프링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날압스프링에 의해 내부날이 외부날에 압압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면도기
본 발명은 외부날의 내측에서 내부날을 왕복운동시키는 전기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왕복운동하는 내부날을 갖는 종래의 전기면도기의 분해사시도를 도1 및 도2에 나타내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전기면도기는 내부날(130)을 외부날(128)의 상하로드(131)에 연결하고 있다. 내부날베이스(128)는 양단에 설치된 탄성암(134)을 갖으며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브레이드홀더(132)에 장착되어 있다. 브레이드홀더(132)는 외부날틀(107)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외부날틀(107)을 갖는 면도기본체(127)에 장착된다. 면도기본체(127)에 장착된 상태에서 내부날베이스(128)는 면도기본체(127)에 내장되어 있는 진동대(117)에 연결되어 왕복운동된다. 즉, 이러한 구조의 전기면도기는 모터(118)에서 진동대(117)를 왕복운동시키고 진동대(117)에서 내부날베이스(128)를 왕복운동시키며 내부날베이스(128)에서 내부날(130)을 왕복운동시킨다. 즉, 모터(118)에서 왕복운동되는 진동대(117)는 내부날베이스(128)를 갖는 내부날(130)을 왕복운동시킨다.
내부날(130)은 외부날(129)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압압된 상태에서 왕복운동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외부날(129)의 면도공에서 내면으로 돌출되는 수염을 왕복운동하는 내부날(130)이 확실하게 커트하기 위해서 이다. 내부날(130)을 외부날(129)의 내면에서 왕복운동시키기 위해서 내부날베이스(128)에 상하로드(131)가 설치되어 있다. 상하로드(131)은 도3의 분해사시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내장된 압압스프링(133)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압압스프링(133)은 상하로드(131)의 내부에 압입되어 상하로드(131)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하방향이란 도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전기면도기를 수직으로 세운 자세를 특정한다.
상하로드(131)를 내부날(130)에 연결하기 위해 내부날(130)은 내부날홀더(130A)의 내측을 상하로드(131)에 연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4의 사시도에서 나타낸 내부날(130)은 플라스틱제의 내부날홀더(130A)의 내면에 연결지주(130B)를 일체로 성형하여 설치되어 있다. 연결지주(130B)는 상하로드(131)의 내측에 삽입되어 연결되기 때문에 외측의 폭을 상하로드(131)의 내측폭과 거의 같게 설계하였다.
게다가 내부날홀더(130A)는 상하로드(13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되기 위해서 내부날홀더(130A)의 내면에 돌출된 걸림턱(130C)을 형성시켰다. 이 걸림턱(130C)은 평행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날홀더(130A)의 중앙에 위치하여 그 하단부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30C)은 내부날(130)의 상하로드(131)에 연결될 때 상하로드(131)의 걸림홀(131A)로 안내되어 내부날(130)이 상하로드(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내부날(130)의 연결지주(130B)를 상하로드(131)에 삽입시켜 연결시킬 때는 평행판의 형상으로 성형된 내부날홀더(130A)가 탄성적으로 벌어져 걸림턱(130C)이 상하로드(131)의 걸림홀(131A)로 안내된다. 걸림턱(130C)이 걸림홀(131A)에 안내되면 내부날홀더(130A)의 간격이 좁아져서 걸림턱(130C)이 걸림홀로 삽입된다.
내부날베이스는 도4 및 도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면도기본체의 진동대에 연결하기 위해 하방에 구동핀(128A)이 돌출되어 있다. 이 구동핀(128A)은 진동대의 중심에 설계된 축공에 밀착삽입되어 진동대에 연결된다. 축공은 상부를 데이퍼상으로 형성시켜 구동핀(128A)을 중심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전기면도기는 내부날을 내부날베이스의 상하로드에 연결하고 상하로드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한다. 이 구조의 전기면도기는 내부날을 상하로드와 내부날베이스의 두 개의 연결부를 개재시켜 진동대에 연결할 필요가 있다. 이와 동시에 내부날과 상하로드, 상하로드와 내부날베이스, 내부날베이스와 진동대의 틈새가 내부날을 왕복운동시키는 스트로크를 적게하고 게다가 이 틈새에 의해 불쾌한 굉음과 덜컹거림의 원인이 된다.
게다가 이 구조는 내부날을 진동대에 연결시키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있으며 다수의 연결부를 필요로 한다. 그래도 각각의 연결부 가동성이 떨어지면 틈새가 생겨 전술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연결부는 정밀하게 형성될 필요가 요구되고 부품비가 상승하며 조립시간이 많이 걸려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이 구조의 전기면도기는 상하로드를 상하로 스트로크시키기 때문에 상하로드의 스트로크량을 크게 하기가 어렵게 된다. 게다가 상하로드의 스트로크를 크게 하면 이 부분이 높게되어 전기면도기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날을 왕복운동 시키는 구동기구를 간소화시키고 저가로 다량생산이 가능하며 왕복운동 하는 내부날을 구동시키는 기구의 덜컹거림이나 굉음을 줄 일수 있는 전기면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기구로 내부날의 스트로크를 크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면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게다가 상기의 구조를 하고 있는 종래의 전기면도기는 내부날(130)을 내부날베이스(128)와 브레이드홀더(132)를 갖는 면도기본체(127)에 연결하고 외부날(129)을 외부날케이스(106)를 갖는 외부날틀(107)에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이 전기면도기는 외부날케이스(106)를 외부날틀(107)로부터 분리시키면 내부날(130)이 외부날틀(107)의 브레이드홀더(132)의 내부날베이스(128)에 연결된 상태로 남는다. 그렇기 때문에 외부날(129)과 내부날(130)을 일제히 떼어내어 세정액에 침적시켜 깨끗하게 세정할 수가 없다. 외부날케이스(106)를 외부날틀(107)에서 떼어내어 내부날(130)을 내부날베이스(128)에서 분리시키고 세정액에 침적시켜 세정시킬 필요가 있으나 세정액에 침적시켜 세정시키는 데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게다가 작은 내부날(130)을 떼어내어 세정액에 침적시켜 세정하거나 또는 손으로 세정시킬 경우에 분실의 우려가 있다. 또 외부날케이스(106)를 분리시키면 극도로 얇은 금속판을 다수개 고정시킨 내부날(130)이 노출되기 때문에 안전하게 금속날을 세정시키지 못할 수도 있다. 또 얇은 금속날이 변형되어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문제점들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극히 간단한 구조로 내부날을 외부날과 연결시키고 내부날과 외부날의 양방을 간단,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안전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면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날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일이 없이 청소가능한 전기면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기면도기는 외부날과 이 외부날의 내측에서 왕복운동하는 내부날과 이 내부날을 왕복운동 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 전기면도기의 구동기구는 선단에 내부날을 연결시켜 왕복운동 시키는 진동로드와 이 진동로드를 연결시키는 동시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진동대와 이 진동대를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진동로드는 그 선단을 내부날의 구동홀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시켜 내부날에 연결시킨다. 게다가 진동로드는 내부날을 외부날로 탄성적으로 왕복운동시키는 날압스프링이 삽입되어 있다. 이 날압스프링은 내부날을 외부날에 탄성적으로 압압시키는 동시에 진동로드의 선단에서 내부날을 왕복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전기면도기는 진동로드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내부날을 연결시키고 있다. 이와 동시에 종래와 같이 내부날을 구동시키는 부재를 상하로드처럼 상하로 이동가능 하도록 한 구조로 할 필요는 없다. 게다가 진동로드에 날압스프링을 설치하고 이 날압스프링으로 내부날을 외부날로 압압시킨다. 날압스프링은 진동로드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내부날을 탄성적으로 외부날의 내면에 압압시킨다. 이에따라 날압스프링을 간단한 구조로 장착시킬 수 있고 진동로드와 날압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간단한 구조로 내부날을 강한 스트로크로 외부날에 압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전기면도기는 내부날을 왕복운동시키는 구동기구를 간소화시키고 저가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동시에 왕복운동하는 내부날을 구동시키는 구조로서 덜컹거림 및 굉음이 적게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전기면도기의 구동기구가 선단에 내부날을 연결시켜 왕복운동시키는 진동로드와 이 진동로드를 연결시키는 동시에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에 장착시키는 진동대와 이 진동대를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기구를 구비하고 진동로드의 선단을 내부날의 구동홀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시켜 내부날에 연결시켰기 때문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전기면도기는 진동로드에 날압스프링을 삽입시키고 이 날압스프링으로 내부날을 외부날로 탄성적으로 압압시키는 동시에 진동로드의 선단에서 내부날을 왕복운동 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렇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내부날을 구동시키는 부재를 상하로드와 같이 상하에 이동가능 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기면도기는 내부날을 왕복운동 시키는 기구를 간단하게 하고 굉음 및 덜컹거림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내부날을 진동대에 연결시키기 위해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적은 부품수로 조립을 간소화시키며 제조비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진동로드와 날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기구로서 내부날을 강한 스트로크로 외부날에 압압시킬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내부날과 외부날을 간단히 청소할 수 있는 전기면도기는 외부날의 내측에 왕복운동 가능한 내부날이 설치되어 있다. 외부날은 다수의 면도공을 형성하고 있는 금속판을 아차형상으로 만곡시킨 망날(網刃)과 이 망날을 고정시키고 있는 외부날홀더를 구비한다. 외부날홀더는 대향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상부에 망날을 고정시키는 대향플레이트를 갖는다. 대향플레이트의 내면에는 외부날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스톱퍼가 설치되어 있다. 이탈방지스톱퍼에 의해 내부날은 외부날과 일체로 착탈된다.
이러한 구조의 전기면도기는 극히 간단한 구조로서 내부날을 외부날에 연결시켜 내부날과 외부날의 양방을 간단하고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전기면도기가 외부날홀더의 대향플레이트에 이탈방지스톱퍼를 설치하고 이 이탈방지스톱퍼로 내부날이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시켰기 때문이다. 예를들면 이탈방지스톱퍼는 대향플레이트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대향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설치할 수가 있다. 이렇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전기면도기는 극히 간단하게 제조가 가능하고 내부날을 외부날에 연결시켜 이 외부날과 일체로 착탈되도록 할 수 있다.
외부날과 같이 분리되는 내부날은 내부날과 외부날이 연결된 상태에서, 예를들면 내부날과 외부날을 같이 분리시키는 전기면도기는 외부날과 내부날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양방을 동시에 세정액에 침적시켜 간단하게 그리고 깨끗하게 세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 세정되는 내부날은 분리된 상태에서 금속날이 표출되지 않는 상태로 안전하게 세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내부날의 얇은 금속판은 변형하기 쉽지만 이것을 외부날에 집어넣은 상태로 세정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전기면도기는 내부날의 금속날 변형 및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6 및 도7의 분해사시도에서 나타낸 전기면도기는 면도기본체(27)와 외부날과 내부날을 연결하고 있는 외부날케이스(6)와 이 외부날케이스(6)를 착탈가능하게 장착시키는 동시에 면도기본체(27)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외부날틀(7)과 내부날을 왕복운동시키는 구동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도6의 전기면도기는 외부날틀(7)이 착탈가능하도록 면도기본체(27)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외부날틀은 착탈이 불가능하게 면도기본체에 고정되거나 또는 이것을 면도기본체와 일체로 구성시킬 수 있다.
외부날케이스(6)는 4연(連)의 외부날을 평행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4연의 외부날은 2연의 아치형외부날(1)과 이 아치형외부날(1)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슬릿외부날(2)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날케이스(6)는 4연의 외부날 양면에 각각 내부날을 내장시키고 있다. 아치형외부날(1)에는 아치형내부날(3)을, 슬릿외부날(2)에는 슬릿내부날(5)를 내장시키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전기면도기는 외부날에 내부날을 내장시키고 내부날을 외부날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외부날을 떼어낼 수 있다. 단지 상기 전기면도기는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외부날과 내부날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는 반드시 모든 내부날을 외부날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고는 특정되어 있지 않다. 예를들어 4연의 외부날을 갖는 전기면도기에 있어서는 2연의 외부날에는 내부날을 내장시키는 상태로 분리시키고 그 외 2연의 내부날을 외부날로 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다만 모든 내부날을 외부날에 연결한 상태에서 외부날케이스를 떼어내는 구조의 전기면도기는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의 전기면도기는 4연의 내부날을 외부날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단지 슬릿내부날은 다른 구조로 슬릿외부날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슬릿내부날도 아치형내부날과 같은 구조로 슬릿내부날에 수납되고 분리시킬 수도 있다.
아치형외부날(1)은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플라스틱제의 외부날홀더(1B)에 망날(1A)를 아치형상으로 만곡시켜 고정시키고 있다. 망날(1A)는 무수히 많은 면도공을 형성하고 있다. 외부날홀더(1B)는 플라스틱을 각통상(角筒狀)으로 성형시키고 상부에 망날(1A)을 고정시키고 있다. 각통상의 외부날홀더(1B)는 상호 대향하여 설치되는 대향플레이트를 양단에 연결한 형상이다.
슬릿외부날(2)은 플라스틱제의 외부날홀더(2B)에 슬릿외부날판(2A)을 고정시킨 것이다. 슬릿외부날판(2A)은 금속판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평행슬릿(2a)을 개방시킨 것이다. 슬릿외부날판(2A)은 상면을 평면상으로 하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상면과 외측 코너부에서 외측의 수직부까지 연장하여 평행슬릿(2a)을 형성하고 있다.
이하 실시예의 전기면도기는 외부날케이스(6)를 내부날과 외부날의 양방을 연결한 상태로 외부날틀(7)에서 분리시키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에따라 외부날케이스(6)에 장착되는 외부날은 양면에 연해서 슬라이딩되며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내부날을 내장하고 있다. 내부날은 외부날케이스(6)를 분리시킬 때 외부날케이스(6)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외부날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전기면도기는 외부날과 내부날을 외부날케이스에 장착시키기 때문에 분리된 외부날케이스를 세정액에 침적시켜 매우 간단하게 세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치형내부날(3)은 도9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복수개의 아치형금속날(3A)을 평행하게 배열한 플라스틱제의 내부날홀더(3B)에 인써트시켜 제조한 것이다. 아치형금속날(3A)은 금속판에서 아치형상으로 만곡된 아치형외부날(1)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게 상단이 만곡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아치형내부날(3)의 내부날홀더(3B)는 하방으로 돌출된 八자상의 연결부(3C)를 갖고 있다. 八자상으로 형성된 연결부(3C)는 하방으로 향하여 폭이 넓게되고 테이퍼진 형상을 하고 있다. 연결부(3C)의 중심에는 아치형내부날(3)을 왕복운동시키는 진동로드(19)의 칼날부(19A)를 삽입시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동공(驅動孔)(3D)을 수직으로 형성시킨다.
이러한 구조의 전기면도기는 내부날의 내부날홀더를 이탈방지스톱퍼 보다도 상방으로 위치시켜 내부날을 외부날에 수납시키기 때문에 내부날을 외부날의 내면에 압압시켜 왕복운동시킬 때 내부날을 이탈방지스톱퍼에 접촉되지 않도록 부드럽게 왕복운동 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아치내부날(3)은 도10 내지 도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아치형외부날(1)에 집어넣어 연결시킨다. 이렇게 도시되어 있는 아치형외부날(1)은 외부날홀더(1B)의 내면에 돌출해서 내장되어 있는 아치형내부날(3)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스톱퍼(1a)를 갖고 이 이탈방지스톱퍼(1a)에 의해 아치형내부날(3)을 아치형외부날(1)과 같이 착탈될 수 있게 외부날케이스(6)에 연결되어 있다. 도10 내지 도12에 나타낸 아치형외부날(1)은 대향플레이트(1C)의 내면에서 돌출되도록 돌부를 일체로 형성시켜 이탈방지스톱퍼(1a)라 칭한다. 이 이탈방지스톱퍼(1a)는 대향플레이트(1C)의 양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있다. 이탈방지스톱퍼(1a)는 아치형내부날(3)을 아치형외부날(1)에 집어넣은 상태로 아치형내부날(3)의 내부날홀더(3B) 보다도 다소 하방에 위치한다. 다시말해서 아치형내부날(3)의 내부날홀더(3B)를 이탈방지스톱퍼(1a) 보다도 상방에 위치시켜서 아치형내부날(3)을 아치형외부날(1)의 내면에 압압시켜 왕복운동시킬 때 이탈방지스톱퍼(1a)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이탈방지스톱퍼(1a)는 외부날케이스(6)를 외부날틀(7)에 착탈시킬 때에 아치형내부날(3)을 아치형외부날(1)에 연결시킨 상태이다. 아치형내부날(3)은 필요한 때에는 도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순히 아치형외부날(1)에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아치형내부날(3)을 아치형외부날(1)에 착탈할 때에는 대향플레이트(1C)가 탄성변형하고 도10에 나타낸 대향하는 대향플레이트(1C)에 설치된 이탈방지스톱퍼(1a)의 간격(d)이 넓어지고 이 넓어진 이탈방지스톱퍼(1a)의 사이를 아치형내부날(3)이 통과한다.
이러한 구조의 전기면도기는 대향플레이트를 탄성변형가능하게 플라스틱제로 하였기 때문에 대향플레이트를 탄성변형시켜 간단하게 내부날을 외부날홀더에 착탈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탈방지스톱퍼(1a)의 높이를 낮게하면 아치형내부날(3)은 아치형외부날(1)에서 이탈되기 쉽다. 단지 이탈방지스톱퍼가 너무 낮아서 대향되어 설치되는 대향플레이트에 설치된 이탈방지스토퍼의 간격이 내부날의 폭보다도 넓게되면 외부날케이스를 외부날틀에서 분리시킬 때 아치형내부날이 아치형외부날에서 낙하된다. 반대로 이탈방지스톱퍼가 너무 높으면 아치형내부날을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없다. 대향플레이트를 크게 변형시키기 때문이다. 이탈방지스톱퍼(1a)는 외부날케이스(6)를 외부날틀(7)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도 아치형내부날(3)이 낙하되지 않고 부드럽게 아치형내부날(3)을 착탈시킬 수 있는 높이로 한다.
슬릿내부날(5)은 도1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슬릿을 설치한 슬릿금속날(5A)을 구비한다. 슬릿금속날(5A)의 상면은 슬릿외부날판(2A)의 내면을 슬라이딩하여 슬릿외부날판(2A)의 평행슬릿(2a)으로 유도되는 수염을 커트한다. 슬릿내부날(5)은 슬릿외부날(2)의 내부에 장착되고 지동대(17)에서 왕복운동한다.
슬릿내부날(5)은 예를들면 도14의 분해사시도에서 나타낸 구성으로 슬릿외부날(2)에 연결할 수가 있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슬릿내부날(5)은 슬릿금속날(5A)과 플라스틱제의 내부날홀더(5B)와 판스프링인 날압탄력부(24)를 구비한다. 슬릿금속날(5A)과 날압탄력부(24)는 내부날홀더(5B)에 적층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내부날홀더(5B)는 전체의 형상을 T자상으로 형성하고 상부측면의 정위치에 슬릿금속날(5A)과 날압탄력부(24)를 연결하는 복수의 돌기(5D)를 갖는다. 슬릿금속날(5A)은 내부날홀더(5B)의 돌부(5D)를 삽입하는 위치에 연결공(5E)을 갖는다.
날압탄력부(24)는 얇은 탄성금속판(6B)을 프레스 성형한 것으로 내부날홀더(5B)의 돌기(5D)를 삽입하는 위치에 연결공(24A)을 형성시키고 양측에는 八자형상의 탄성편(24B)을 돌출시키고 있다. 탄성편(24B)은 슬릿외부날(2)의 외부날홀더(2B)의 상면을 압압시켜 슬릿금속날(5A)을 슬릿외부날(2)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압압시킨다.
도면에 나타낸 슬릿내부날(5)은 내부날홀더(5B)의 상부에 슬릿금속날(5A)과 날압탄력부(24)의 연결공(5E, 24A)을 돌기(5D)에 삽입시켜 간단하게 정확한 위치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부날홀더(5B)의 돌기(5D)의 선단을 가열하여 융착시키면 슬릿금속날(5A)와 날압탄력부(24)는 보다 확실하게 내부날홀더(5B)에 연결된다. 슬릿금속날(5A)와 날압탄력부(24)를 연결시킨 T자형의 내부날홀더(5B)는 하방으로 연장된 로드부(5F)를 슬릿외부날(2)의 외부날홀더(2B)에 삽입시켜 슬릿외부날(2)에 연결시킨다.
내부날홀더(5B)가 외부날홀더(2B)에 삽입된 후 외부날홀더(2B)에 역 디긋자형상으로 절곡된 슬릿외부날판(2A)을 연결하고 슬릿내부날(5)을 슬릿외부날(2)의 정위치에 위치시킨다. 슬릿금속날(5A)과 날압탄력부(24)를 연결시키는 내부날홀더(5B)는 전체의 두께를 슬릿외부날판(2A)의 내폭과 거의 같게 하고 슬릿 외부날(2)의 내부에서 경사지지 않도록 정위치에 위치시킨다.
아치형외부날(1)과 슬릿외부날(2)은 각각 독립하여 탄성적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외부날케이스(6)에 장착되어 있다. 외부날케이스(6)는 아치형외부날(1)을 장착하는 서브케이스를 갖고 있다.
2연(連)의 아치형외부날(1)과 2연의 슬릿외부날(2)은 도 1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각각 독립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즉, 출입될 수 있게 외부날케이스(6)에 장착된다. 4연의 외부날은 도15의 분해사시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외부날케이스(6)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2연의 아치형외부날(1)과 2연의 슬릿외부날(2)은 외부날홀더(1B, 2B)의 양단면에 상하슬릿(36)를 갖는다. 상하슬릿(36)은 외부날케이스(6)의 내면에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돌기(37)를 안내한다.
4연의 외부날은 상하슬릿(36)과 가이드돌기(37)을 갖고 상하로 이동가능 하도록 외부날케이스(6)에 장착되어 있다. 4연의 외부날은 각각 독립하여 상하로 이동될 때 상하슬릿(36)은 가이드돌기(37)에 연해서 상하로 이동된다.
도8에서 나타낸 외부날은 도면에 있어서 전방의 아치형외부날(1)보다도 후방에 위치한 아치형외부날(1)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의 아치형외부날(1)의 상하슬릿(36)을 전방의 아치형외부날(1)의 상하슬릿(36) 보다도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길다란 상하슬릿(36)의 아치형외부날(1)은 출입스프링(38)에 의해 탄력적으로 눌려져 전방의 아치형외부날 보다도 높게 돌출된다.
4연의 외부날은 상하슬릿(36)의 하단을 가이드돌기(37)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돌출스프링(38)에 의해 탄성적으로 밀려난다. 다시말해서 상하슬릿(36)과 가이드돌기(37)의 상대위치에서 아치형외부날(1)과 슬릿외부날(2)의 돌출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외부날케이스(6)는 내면에 서브케이스(6a)를 장착하고 있다. 서브케이스(6a)는 외부날케이스(6)의 내측에 깊게 부착고정되어 있다. 서브케이스(6a)는 도1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양단에 위치하는 탄성플레이트(61a)와 이 탄성플레이트(61a)를 연결하는 연결로드(62a)로 이루어지고 전체를 플라스틱제로 일체 성형시켰다. 탄성플레이트(61a)는 아치형외부날(1)을 연결하는 가이드돌기(37)를 내측에 설치한다.
탄성플레이트(61a)는 외측의 형상이 외부날케이스(6)의 양단 내면에 깊게 부착시킨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탄성플레이트(61a)의 하단은 외부날케이스(6)의 걸림돌부(39)를 안내하고 서브케이스(6a)가 외부날케이스(6)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관통공(40)을 형성하고 있다. 게다가 탄성플레이트(61a)의 상면에는 아치형외부날(1)을 밀어내는 출입스프링(38)을 삽입시키는 연결핀(41)이 돌출되어 있다. 연결로드(62a)는 얇은 판상으로 성형되고 2연의 아치형외부날(1)의 사이에 배치되며 탄성플레이트(61a)의 상면을 연결하고 있다.
외부날케이스(6)은 양단에 위치하는 단부플레이트(61)와 이 단부플레이트(61)의 양단을 연결하고 있는 측면플레이트(62)로 이루어져 있다. 단부플레이트(61)와 측면플레이트(62)로 이루어진 외부날케이스(6)은 플라스틱으로 일체형성되어있다. 외부날케이스(6)는 내측에 서브케이스(6a)를 깊이 부착시킬 수 있는 형상이다. 측면플레이트(62)는 상면에 빗형상부(4)를 갖는다.
외부날케이스(6)은 도8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외부날틀(7)의 상단개구부인개구창(7C)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외부날케이스(6)는 외부날틀(7)의 정위치에 장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되어 있다. 외부날케이스(6)의 외부날틀(7)에서의 이탈은 외부날케이스(6)의 걸림편(6A)과 외부날틀(7)의 걸림부(7A)에 의해 방지된다. 걸림편(6A)은 도8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단부플레이트(61)에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7A)는 외부날케이스(6)를 외부날틀(7)의 정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걸림편(6A)을 안내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의 걸림부(7A)는 외부날틀(7)의 내면에서 돌출된 두 개의 돌부(7a)이다. 외부날케이스(6)이 외부날틀(7)의 정위치에 장착되면 걸림편(6A)은 외부날틀(7)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는 돌부(7a)인 걸림부(7A)에 걸리게 된다.
걸림편(6A)은 외부날케이스(6)의 양단면에서 돌출되어 하방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림편(6A)은 탄성변형하여 외부날틀(7)의 걸림부(7A)에 집어넣어진다. 걸림편은 외부날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부날케이스를 성형하고 있는 플라스틱의 탄성에 의해 걸림부에 밀어넣을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16의 단면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면에 탄성금속판(6B)을 설치한다. 이 탄성금속판(6B)은 걸림편(6A)을 탄성적으로 압압하여 걸림부(7A)에 삽입시킨다.
걸리편(6A)은 상단의 폭을 넓게 한 T자형상이다. T자형상의 양단부(6C)가 외부날틀(7)의 걸림부(7A)인 돌부(7a)에 걸려서 외부날케이스(6)은 외부날틀(7)에 연결된다.
외부날케이스(6)를 외부날틀(7)에 간단히 삽입하여 연결하기 위해서 외부날케이스(6)의 양단면과 외부날케이스(6)의 단면에 대향하는 외부날틀(7)의 내면에는 외부날케이스(6)를 탈착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다.
도8의 외부날케이스(6)와 외부날틀(7)의 가이드작용은 외부날케이스(6)의 단면에 형성된 가이드홀(8)과 외부날틀(7)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홀(8)에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돌부(9)로 이루어진다.
가이드홀(8)은 외부날케이스(6)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편(6A)의 중앙에 상하로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홀(8)은 가이드돌부(9)를 부드럽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단부를 테이퍼형상으로 폭넓게 하고 있다.
가이드돌부(9)는 외부날틀(7)의 양단면 내측에 상하로 연장되어 외부날틀(7)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외부날틀(7)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돌부(9)는 걸림부(7A)에서 상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게다가 도8에 나타낸 외부날케이스(6)는 4연 외부날을 비대칭으로 설치하고 있다. 이런 형상의 외부날케이스(6)는 정해진 형상으로 외부날틀(7)에 연결될 필요가 있다. 외부날케이스(6)를 외부날틀(7)에 역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톱퍼기구가 외부날케이스(6)와 외부날틀(7)에 설치되어 있다.
스톱퍼기구는 외부날케이스(6)에 설치된 스톱퍼링(10)과 외부날틀(7)에 설치된 스톱퍼돌부(11)로 형성되어 있다. 스톱퍼링(10)은 외부날케이스(6)의 단면 모퉁이부의 내면에 돌출시켜 외부날케이스(6)를 외부날틀(7)에 역방향으로 삽입시킬 때 스톱퍼링(10)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외부날케이스(6)를 도8에 나타낸 형상으로 외부날틀(7)에 삽입시킬 때 즉, 외부날케이스(6)를 정확한 자세로 외부날틀(7)에 삽입시킬 때 스톱퍼링(10)은 스톱퍼돌부에 충돌되지 않고 외부날케이스(6)를 외부날틀에 삽입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8에 나타낸 반대의 자세, 즉 외부날케이스(6)를 수평면내에서 180°회전시킨 자세로 외부날틀(7)에 삽입시키려고 하면 스톱퍼링(10)이 스톱퍼돌부에 충돌된다. 이 때문에 외부날케이스(6)는 역방향의 자세로는 외부날틀(7)에 삽입되지 않는다.
외부날케이스(6)를 외부날틀(7)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외부날틀(7)에 착탈손잡이(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착탈손잡이를 누르면 외부날케이스(6)는 외부날틀(7)에서 분리된다. 착탈손잡이(12)는 외부날틀(7)을 면도기본체(27)에서 분리시키는 착탈보턴(13)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착탈손잡이(12)와 착탈보턴(13)은 단일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착탈손잡이(12)와 착탈보턴(13)은 탄성변형하는 플라스틱제 또는 금속제의 탄성편(14)이고 이 탄성편(14)의 중간을 외부날틀(7)에 연결하여 상단을 착탈손잡이(12), 하단을 착탈보턴(13)으로 사용하고 있다.
탄성편(14)은 전체의 형상이 판형으로 상부의 착탈손잡이(12)와 하부의 착탈보턴(13)을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중간이 외부날틀(7)에 고정되어 있다. 탄성편(14)의 상부인 착탈손잡이(12)의 상단부는 T자형상인 걸림편(6A)의 양단을 압압하는 압압로드(12A)가 상하로 연장하여 일체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착탈손잡이(12)는 외부날틀(7)의 외부에 돌출된 외부날보턴(12B)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외부날보턴(12B)은 외부날틀(7)의 관통공(7B)에 출입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외부날케이스(6)를 외부날틀(7)에서 분리시킬 때 도16 및 도17의 화살표 A로 나타낸 것 같이 외부날보턴(12B)를 누른다. 외부날보턴(12B)이 눌러지면 압압로드(12A)가 걸림편(6A)을 걸림부(7A)에서 밀어내고 외부날케이스(6)와 외부날틀(7)의 걸려있는 상태를 해제하여 외부날케이스(6)를 외부날틀(7)로부터 분리시킨다.
착탈보턴(13)은 면도기본체(27)에서 돌출되어 있는 탄성돌부(16)를 밀어누르는 압압플레이트(13A)와 외부날틀(7)의 외부에 돌출된 틀보턴(13B)가 구비되어 있다. 탄성돌부(16)는 면도기본체(27)에서 탄성적으로 밀려나고 이것이 외부날틀(7)의 내면에 설치된 걸림요부(7D)에 걸려 외부날틀(7)이 면도기본체(27)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되어 있다. 틀보턴(13B)은 외부날틀(7)의 관통공(7E)에 출입가능하게 삽입되고 외부날틀(7)의 외부로 표출된다.
외부날틀(7)을 면도기본체(27)에서 분리시킬 때 도16 및 도18의 화살표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틀보턴(13B)을 누른다. 틀보턴(13B)이 눌려지면 압압플레이트(13A)가 탄성돌부(16)를 걸림요부(7D)에서 밀어내고 탄성돌부(16)는 외부날틀(7)의 걸림요부(7D)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이 상태에서 외부날틀(7)은 면도기본체에서 분리된다.
외부날케이스(6)에 장착된 아치형내부날(3)은 면도기본체(27)의 상단에 돌출되어 있는 진동로드(19)에 연결되어 왕복운동을 한다. 2개의 진동로드(19)는 면도기본체(27)의 본체케이스(15)에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진동대(17)에 고정되어 왕복운동된다. 진동대(17)는 양단에 설치된 탄성암(17A)을 갖고 본체케이스(15)에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진동대(17)는 모터(18)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는 캠축(22)에 의해 왕복운동된다. 진동대(17)는 캠축(22)을 연결하는 연결슬릿(17B)의 진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회전하는 캠축(22)은 연결슬릿(17B)을 슬라이딩시켜 진동대(17)를 왕복운동시킨다. 2연의 진동대(17)는 180°위상이 다른 캠축(22)에 연결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왕복운동된다.
진동로드(19)는 진동대(17)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연결되고 면도기본체(27)에서 돌출되어 있다. 진동로드(19)는 본체케이스(15)의 상단에 설치된 개구창(7C)에서 외부로 표출되어 있다. 개구창(7C)은 잘려진 수염이 본체케이스(15)에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패킹고무(23)로 폐쇄된다. 패킹고무(23)는 외주를 개구창(7C)의 내주에 연결시키고 내주를 진동로드(19)의 외주에 밀착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패킹고무(23)는 자유롭게 변형되는 유연한 고무형상의 탄성체로서 진동로드(19)를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는 상태로 진동로드(19)와 개구창(7C)의 사이 간격을 폐쇄하고 있다.
진동로드(19)는 금속로드이고 도19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진동대(17)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진동로드(19)는 선단을 두껍게 형성한 칼날부(19A)를 설치하고 날압스프링(25)이 이탈되지 않도록 집어넣어져 있다. 날압스프링(25)의 선단에는 플라스틱제의 이탈방지링(26)이 마련되어 있다. 이탈방지링(26)은 칼날부(19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이탈방지링(26)에서 날압스프링(25)이 진동로드(19)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탈방지링(26)은 도20의 사시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중심공을 가늘게 하는 방향에 탄성변형하는 탄성협착편(26A)을 갖는다. 이 이탈방지링(26)은 진동로드(19)에 삽입될 경우에 탄성협착편(26A)이 진동로드(19)의 칼날부(19A)에서 걸려 진동로드(19)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이탈방지링(26)은 플라스틱으로 전체를 일체화시킨 것이고 하부의 링부(26B)와 링부(26B)의 주연부에 이 링부(26B)에서 상방으로 연장해서 설치된 복수의 탄성협착편(26A)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탈방지링(26)을 진동로드(19)에 삽입하기 위해서 링부(26B)의 내부형상을 칼날부(19A)의 외부형상보다 크게 하고 있다. 게다가 진동로드(19)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복수의 탄성협착편(26A)으로 형성된 중심공의 내부형상은 칼날부(19A)의 외형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이탈방지링(26)은 링부(26B)에서 전방의 진동로드(19)에 삽입될 때 칼날부(19A)에서 탄성협착편(26A)을 확개시켜 간단하게 진동로드(19)에 삽입시킬 수 있다. 삽입된 상태에는 탄성협착편(26A)이 칼날부(19A)에 걸려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는 간단한 구조로서 진동로드에 삽입된 날압스프링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진동로드의 선단을 두껍게 하여 칼날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진동로드의 선단에 이탈방지링을 삽입하여 날압스프링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는 날압스프링이 이탈되는 것을 이탈방지링이 저지하고 또 이탈방지링이 이탈되는 것을 칼날부에서 저지하는 극히 간단한 구조로서 날압스프링이 진동로드에서 이탈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구조의 전기면도기는 날압스프링에 의해 압압된 이탈방지에 의해 내부날이 외부날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압압되어 있다. 그리고 날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부재인 이탈방지링을 내부날을 외부날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압압시키는 부재로 병용시켜 내부날의 연결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또 이러한 구조의 전기면도기는 이탈방지링이 진동로드에서 이탈되는 것을 유효하게 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이탈방지링이 중심공을 좁게하는 방향에 탄성변형하는 탄성협착편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 이탈방지링은 탄성협착편을 넓게 하여 진동로드에 삽입시킬 수 있는 동시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탄성협착편이 칼날부에 걸려서 진동로드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이탈방지로드는 이탈되지 않도록 확실히 진동로드에 연결된다.
게다가 이러한 구조의 전기면도기는 이탈방지링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진동로드에 삽입시켜 연결시킬 수 있는 것과 관계없이 이탈방지링이 진동로드에서 이탈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이탈방지링이 하부의 링부와 링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탄성협착편을 구비하는 동시에 링부의 내형을 칼날부의 외형보다도 크게하고 복수의 탄성협착편에 형성된 중심공의 내형을 칼날부의 외형보다 작게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의 이탈방지링은 칼날부의 외형보다 큰 내경의 링부에서 이탈방지링을 간단하게 진동로드에 삽입시킬 수 있고 칼날부의 외형보다 작은 내형을 형성시킨 복수개의 탄성협착편으로 방지링이 이탈되는 것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진동로드(19)는 선단을 아치형내부날(3)의 내부날홀더(3B)에 삽입시켜 내부날홀더(3B)를 왕복운동시킨다. 진동로드(19)는 선단의 칼날부(19A)를 아치형내부날(3)의 내부날홀더(3B)의 연결부(3C)에 형성된 구동공(3D)에 삽입시켜 아치형 내부날(3)을 왕복시킨다.
게다가 이탈방지링(26)은 도12와 도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八자형상의 연결부(3C)의 테이퍼면을 밀어올려서 아치형내부날(3)을 아치형외부날(1)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압압시킨다. 연결부(3C)의 테이퍼면은 이탈방지링(26)을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중앙부에 안내한다. 이러한 구조는 진동로드(19)의 칼날부(19A)를 구동공(3D)에 삽입시켜 칼날부(19A)와 구동공(3D)에 의해 내부날을 왕복운동시키고 게다가 이탈방지링(26)을 테이퍼면에 압압시켜 이탈방지링(26)과 연결부(3C)에 의해 내부날을 외부날에 압압시킨다. 그리고 이 구조의 진동로드(19)는 아치형 내부날(3)을 아치형외부날(1)의 내면에 가볍게 밀어붙이면서 진동로드(19)로 내부날을 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이러한 구조는 내부날의 내부날홀더에 진동로드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하방으로 향하여 폭넓게 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시켰기 때문에 내부날에 연결된 구동로드가 다소 위치가 벗어난 상태에서 삽입되어도 확실히 진동로드를 내부날의 구동공에 안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이 연결부는 테이퍼부에 의해 이탈방지링도 중앙부로 안내시켜 이상적인 상태로 내부날을 외부날의 내면에 압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내부날을 외부날의 내면에 압압시키는 부재로 병용되기 때문에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게다가 진동대(17)는 슬릿내부날(5)을 왕복운동시키는 진동암(20)을 플라스틱으로 일체형성하고 있다. 진동암(20)은 슬릿내부날(5)의 내부날홀더(5B)의 하단에 설치된 구동슬릿(5G)에 삽입되는 구동로드(21)를 수평으로 설치시키고 있다. 구동로드(21)는 슬릿내부날(5)의 내부날홀더(5B)의 구동슬릿(5G)에 삽입되어 슬릿내부날(5)을 왕복운동시킨다.
상기 이외에도 본 발명은 요지가 변경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면도기는 내부날을 왕복운동시키는 구동기구를 간소화시키고 저가로 다량생산이 가능하며 왕복운동하는 내부날을 구동시키는 기구의 털컹거림이나 굉음을 줄일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 본 발명은 간단한 기구로 내부날의 스트로크를 크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 본 발명은 극히 간단한 구조로 내부날을 외부날과 연결시키고 내부날과 외부날의 양방을 간단,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안전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내부날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일이 없이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전기면도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의 전기면도기의 면도기본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3은 도1의 전기면도기의 내부날베이스와 상하로드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4는 도1의 전기면도기의 내부날과 상하로드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5는 도3에 나타낸 브레이드홀더의 분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전기면도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7은 도6에서 나타낸 전기면도기의 면도기본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8은 도6에서 나타낸 전기면도기의 내부날틀과 외부날케이스의 확대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치형내부날의 사시도
도10은 아치형내부날과 아치형외부날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11은 도10에서 나타낸 아치형외부날의 저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기면도기의 요부확대횡단면도
도13은 도10에서 나타낸 아치형외부날에서 아치형내부날을 착탈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14는 도8에서 나타낸 슬릿내부날의 분해사시도
도15는 도8에서 나타낸 외부날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16은 도12에서 나타낸 전기면도기의 종단면도
도17은 외부날틀에서 외부날케이스를 떼어내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18은 면도기본체에서 외부날틀을 분리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19는 도7에서 나타낸 진동대의 일부측단면도
도20은 도19에서 나타낸 이탈방지링의 일부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치형외부날 2 : 슬릿외부날
3 : 아치형내부날 4 : 빗형상부
5 : 슬릿내부날 6 : 외부날케이스
7 : 외부날틀 8 : 가이드홈
9 : 가이드돌기 10 : 스톱퍼링
11 : 스톱퍼돌부 12 : 착탈손잡이
13 : 착탈보턴 14 : 탄성편
15 : 본체케이스 16 : 탄성돌부
17 : 진동대 18 : 모터
19 : 진동로드 20 : 진동암
21 : 구동로드 22 : 암축
23 : 파킹고무 24 : 날압탄력부
25 : 날압스프링 26 : 이탈방지링
27 : 면도기본체 28 : 내부날베이스
29 : 외부날 30 : 내부날
31 : 상하로드 32 : 브레이드홀더
33 : 압압스프링 34 : 탄성암
35 : 플레이트부 36 : 상하슬릿
37 : 가이드돌기 38 : 출입스프링
39 : 걸림돌부 40 : 관통공
41 : 연결핀

Claims (11)

  1. 외부날과, 이 외부날의 내측에서 왕복운동하는 내부날과, 내부날을 왕복운동시키는 동시에 선단에 내부날을 연결시켜 왕복운동시키는 진동로드와, 이 진동로드를 연결시키는 동시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진동대와, 진동대를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기구를 갖는 구동기구가 구비되며 상기 진동로드는 그 선단을 내부날에 형성된 구동공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시켜 내부날을 연결시키고, 상기 진동로드는 내부날을 외부날에 탄성적으로 압압시키는 날압스프링을 삽입시켜 이 날압스프링에 의해 내부날을 외부날에 압압시킴과 동시에 진동로드의 선단에서 내부날을 왕복운동시키며, 상기 진동로드는 선단을 두껍게하는 칼날부를 설치하고 이 칼날부를 내부날의 구동공에 삽입시켜 내부날을 왕복 운동시키는 전기면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로드의 선단으로 이탈방지링을 덮어씌우고 이 이탈방지링이 칼날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전기면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링은 진동로드에 삽입되는 전기면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링은 개재된 날압스프링이 내부날을 탄성적으로 압압시켜 내부날이 외부날의 내면에 압압되도록 하는 전기면도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링은 중심공을 좁게하는 방향에 탄성변형되는 탄성협착편을 갖고 이 탄성협착편을 벌려서 이탈방지링을 진동로드에 삽입시키는 전기면도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링의 탄성협착편은 진동로드의 칼날부에 걸 려서 이탈방지링이 진동로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되는 전기면도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링은 하부에 형성된 링부와 이 링부의 주연 에 링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탄성협착편을 구비하고, 상기 링부의 내형을 칼날부의 외형보다도 크게하며, 복수의 탄성협착편으로 형성되는 중심공의 내형이 칼날부의 외형보다도 작게 형성되는 전기면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날은 내부날홀더를 갖고 이 내부날홀더는 진동로드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으며 이 연결부는 하방을 향하여 폭넓게 형성된 테이퍼상으로 형성되는 전기면도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로드의 칼날부를 내부날홀더의 연결부에 삽입시키고 이 진동로드를 내부날에 연결시키는 전기면도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날은 아치형외부날과 슬릿외부날을 갖으며 내부날이 아치형외부날의 내면에서 왕복운동하는 아치형내부날과 슬릿내부날의 내면에서 왕복운동하는 슬릿내부날을 갖는 전기면도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진동대는 슬릿내부날을 왕복운동시키는 진동암을 플라스 틱으로 일체성형시킨 전기면도기.
KR1019980040359A 1997-10-30 1998-09-28 전기면도기 KR100543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99087 1997-10-30
JP29908797A JPH11128562A (ja) 1997-10-30 1997-10-30 電気かみそり
JP30104297A JPH11128565A (ja) 1997-10-31 1997-10-31 電気かみそり
JP1997-301042 1997-10-31
JP97-301042 1997-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693A KR19990036693A (ko) 1999-05-25
KR100543557B1 true KR100543557B1 (ko) 2007-04-25

Family

ID=2656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359A KR100543557B1 (ko) 1997-10-30 1998-09-28 전기면도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82005A (ko)
KR (1) KR100543557B1 (ko)
DE (1) DE1984953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22094C2 (de) * 1998-05-16 2000-03-02 Braun Gmbh Trockenrasierapparat
CA2348631A1 (en) * 2000-10-30 2002-04-30 Conair Corporation Hair clipper with pivoting clipper head assembly
JP2005040358A (ja) * 2003-07-22 2005-02-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ェーバー
US6826835B1 (en) 2003-09-05 2004-12-07 Raymond Electric (China) Ltd. Electric shaver
JP4576919B2 (ja) * 2004-07-30 2010-11-1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
DE102005010244A1 (de) * 2005-03-05 2006-09-07 Braun Gmbh Schersystem für ein elektrisches Haarschneidegerät
KR200409341Y1 (ko) * 2005-12-02 2006-02-22 오태준 헤드무빙 전기면도기
JP4912074B2 (ja) * 2006-08-11 2012-04-04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ロック装置
JP4462261B2 (ja) * 2006-12-08 2010-05-1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265666B2 (ja) * 2007-02-23 2009-05-2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脱毛装置
JP2012016492A (ja) * 2010-07-08 2012-01-2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往復式電気かみそり
EP2425938B1 (en) * 2010-09-03 2014-02-26 Braun GmbH Shaving head with multiple shaving units
WO2013025768A1 (en) 2011-08-15 2013-0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applicators
JP6376427B2 (ja) * 2012-12-27 2018-08-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リット刃ブロックおよびスリット刃ブロックを有する電気かみそり
USD779123S1 (en) 2014-11-12 2017-02-14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head
US9713877B2 (en) 2014-11-12 2017-07-25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head with drag reduction
USD795497S1 (en) 2016-01-15 2017-08-22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USD794871S1 (en) 2016-01-15 2017-08-15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CN108712947B (zh) * 2016-03-08 2021-04-06 皇家飞利浦有限公司 刀片组制造方法、刀片组和毛发切割器具
USD802216S1 (en) 2016-06-10 2017-11-07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head
USD802215S1 (en) 2016-06-10 2017-11-07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head
USD802217S1 (en) 2016-06-10 2017-11-07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head
USD802214S1 (en) 2016-06-10 2017-11-07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head
IT201900011250A1 (it) * 2019-07-09 2021-01-09 Gamma Piu S R L Tagliacapelli elettric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1284U (ko) * 1975-10-07 1977-04-12
JPH01136685A (ja) * 1987-11-24 1989-05-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往復式電気かみそり
US5201781A (en) * 1989-08-16 1993-04-13 Braun Aktiengesellschaft Coupling for the cutter assembly of twin-head shavers
JPH0639153A (ja) * 1992-07-28 1994-02-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かみそり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10045B (de) * 1960-01-30 1961-06-29 Max Braun Fa Scherkopf fuer Trockenrasierapparate mit loesbarem Messerblock
US3858314A (en) * 1973-06-20 1975-01-07 Schick Inc Drive assembly for an electric shaver
JPS5336380B2 (ko) * 1974-07-31 1978-10-02
US4219930A (en) * 1978-07-07 1980-09-02 Remington Products, Inc. Cutter head assembly for an electric dry shaver
DE8404174U1 (de) * 1984-02-11 1984-05-10 Braun Ag, 6000 Frankfurt Schwingbruecke
JPS60175361A (ja) * 1984-02-20 1985-09-09 Sanyo Electric Co Ltd 防水式電池機器
US4805300A (en) * 1986-09-17 1989-02-21 Remington Products, Inc. Electric dry shaver having an improved drive arrangement
DE4128219A1 (de) * 1991-08-26 1993-03-04 Braun Ag Rasierapparat
JP3632240B2 (ja) * 1995-05-26 2005-03-23 松下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
TW353631B (en) * 1995-09-29 1999-03-01 Sanyo Electric Co Electric raz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1284U (ko) * 1975-10-07 1977-04-12
JPH01136685A (ja) * 1987-11-24 1989-05-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往復式電気かみそり
US5201781A (en) * 1989-08-16 1993-04-13 Braun Aktiengesellschaft Coupling for the cutter assembly of twin-head shavers
JPH0639153A (ja) * 1992-07-28 1994-02-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かみそ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693A (ko) 1999-05-25
DE19849537B4 (de) 2005-06-02
US6082005A (en) 2000-07-04
DE19849537A1 (de)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557B1 (ko) 전기면도기
EP1212175B1 (en) Disposable cutting head for clippers
KR100447912B1 (ko) 전기면도기와외부날의제조방법
KR970073897A (ko) 전기 면도기
JP7266211B2 (ja) スリット刃ブロック及び電気かみそり
KR100635590B1 (ko) 전기 면도기
KR100498722B1 (ko) 전기면도기
JPH11128565A (ja) 電気かみそり
JPH10328435A (ja) 電気かみそり
KR200489940Y1 (ko) 헤어 클리퍼용 범용 가이드 날
JP4479988B2 (ja) 電気かみそり
JPH11128562A (ja) 電気かみそり
JP3609553B2 (ja) 電気かみそり
JPH10328436A (ja) 電気かみそり
JP3802385B2 (ja) 電気かみそり
JP3639409B2 (ja) 電気かみそり
JP3992118B2 (ja) 電気かみそり
JPH1080583A (ja) 電気かみそり
JP3540507B2 (ja) 電気かみそり
CN217664908U (zh) 箱体组件及水洗净化装置
CN213215711U (zh) 一种向上制动中段开关
KR100503638B1 (ko) 전기면도기
JP3338208B2 (ja) 三連シェーバー
JPH08126779A (ja) 電気かみそり
AU782424B2 (en) Disposable cutting head for clipp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