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196B1 - 합성 폴리사카라이드,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함유한제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합성 폴리사카라이드,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함유한제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3196B1
KR100513196B1 KR10-2000-7007824A KR20007007824A KR100513196B1 KR 100513196 B1 KR100513196 B1 KR 100513196B1 KR 20007007824 A KR20007007824 A KR 20007007824A KR 100513196 B1 KR100513196 B1 KR 100513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glucopyranosyl
compound
volume
tr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4189A (ko
Inventor
요하네스 바스텐
코넬리아 드리프-트롬프
삐에르-알렉상드르 드리게
필립 뒤쇼쏘이
쟝-마르끄 에르베르
모리스 쁘띠또
콘스탄트 반뵈켈
Original Assignee
사노피-아벤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노피-아벤티스 filed Critical 사노피-아벤티스
Publication of KR20010034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4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4Antihaemorrhagics; Procoagulants; Haemostatic agents; Antifibrinoly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이온 형태가 제1항에 기재된 화학식 (I) 내지 (V)중 하나를 포함하는 산 형태의 합성 폴리사카라이드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사카라이드는 응고 질환에 연관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합성 폴리사카라이드,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함유한 제약 조성물{Synthetic Polysaccharides, Method of Their Produc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본 발명은 헤파린의 항응고성 및 항혈전성 약리 활성을 갖는 신규한 합성 폴리사카라이드에 관한 것이다.
헤파린은 비균질적인 천연 술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들인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GAGs) 족에 속한다.
헤파린 제제는 10 내지 100 또는 그 이상 범위의 다수의 모노사카라이드 단위를 포함하는 사슬들의 혼합물이다. 이 분자 크기의 비균질성은 구성 모노사카라이드들의 특징 및 그들이 가지고 있는 치환기들에 관한 구조적인 비균질성을 수반한다(L. Roden의 문헌["The Biochemistry of Glycoproteins and Glycosaminoglycans", edited by Lennarz W.J., Plenum Press, New York and London, 267-371, 1980]).
일반적으로 각각의 천연 GAGs 족은 일정한 범위의 약리학적 활성을 갖는데, 천연 생성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제제 중에서는 이러한 모든 활성들이 배합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헤파린 및 헤파란 술페이트는 몇몇 응고 인자에 대한 동시 작용과 연관되는 항혈전 활성을 갖는다.
헤파린은 (특히 안티트롬빈 III(AT III)을 통하여) 혈액 응고 과정(cascade)에 관여하는 두 가지 효소(즉, 인자 Xa 및 인자 IIa(또는 트롬빈))의 억제를 촉매한다. 저분자량 헤파린(LMWHs) 제제는 4 내지 30 개의 모노사카라이드로 형성된 사슬을 함유하며 트롬빈보다 인자 Xa에 더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특성을 갖는다.
일정한 합성 올리고사카라이드(특히 EP 84999에 기재된 것들)는 트롬빈상에는 어떠한 활성도 갖지 않으면서 안티트롬빈 III을 통하여 인자 Xa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특성을 갖는다.
인자 Xa의 억제는 헤파린이 안티트롬빈 결합 도메인(antithrombin binding domain; ABD)을 통하여 AT III에 결합할 것을 필요로하고, 인자 IIa(트롬빈)의 억제는 잘 규명되지 않은 결합 도메인(TBD)를 통하여 트롬빈에 결합할 뿐만 아니라 ABD를 통하여 AT III에 결합할 것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헤파린의 ABD에 상응하는 합성 올리고사카라이드가 공지되어 있는데 정맥 혈전증에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낸다. 이들 화합물은 EP 529,715 및 EP 621,282 및 카나다 특허 제2,040,905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올리고사카라이드는 트롬빈을 억제하지 못하기 때문에 동맥 혈전증의 예방에 효과적이지 못했다.
AT III을 활성화시켜 트롬빈을 억제할 수 있는 헤파린-타입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합성이 특허출원 PCT/FR 97/01344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 출원은 신규한 생활성 폴리사카라이드 유도체를 기재하고 있다. 특히, 이 유도체들은 항응고성이며 항혈전성이다. 나아가, 이들 폴리사카라이드는 합성에 의하여 얻어지므로, 그의 구조를 선택적으로 개질할 수 있고, 특히 혈소판의 활성화 동안에 방출되는 혈소판 인자 4(PF4)와 같은 일정한 염기성 단백질과 상호작용에 관여하여 혈병 부위의 헤파린의 상당한 중화를 야기하게 되는, 원하지 않는 술페이트 치환기들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강력한 항혈전 및 항응고제이고 나아가, 특히 트롬빈에 대한 헤파린의 효과를 중화시키는 PF4와 같은 단백질의 작용을 생체내에서 회피할 수 있는 폴리사카라이드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들 술페이트화 및 알킬화 폴리사카라이드는 카르보히드레이트 골격이 갖는 알킬기 및 술페이트기의 배열에 따라 강력한 항혈전 및 항응고제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보다 일반적으로, 폴리사카리드 서열을 제조함으로써 헤파린의 특성을 갖는 매우 활성이 큰 생성물을 얻기 위한 GAG-타입 활성의 정확한 개질이 가능하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특허 출원 PCT/FR 97/01344에 기재된 일정한 생성물은 인간 치료에 사용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이들 생성물이 긴 반감기를 갖는 경우에 어렵다는 것이 증명될 수 있다. 상기 생성물로 혈전증을 억제하거나 치료하는 경우에 있어서, 출혈을 유발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혈액 유동성을 재확립 또는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와 연관된 기능들의 매우 중요한 특성은 이러한 평형을 얻기 위해서는 짧은 반감기를 갖는 화합물(사용하기가 훨씬 용이함)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그 이유로는 어떠한 우연한 원인에 의해서든, 치료중인 환자게에서 출혈이 촉발될 수 있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항혈전 치료중인 환자를 수술하는 것도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이유들 때문에도, 짧은 반감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합성 폴리사카라이드의 반감기는 쥐에서 결정되었는데, 이때 반감기가 분자의 구조 및 특히 ABD, TBD(트롬빈 결합 도메인) 및 스페이서(spacer)의 구조에 영향을 받는다는 예측하지 못했던 사실이 관측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상으로는 특허 출원 PCT/FR 97/01344의 화합물과 유사하지만 특이적 특성을 갖는 신규한 합성 폴리사카라이드에 관한 것이다. 이는 이들 화합물을 쥐의 정맥내에 투여한 후에 항-Xa 활성으로 평가하였을 때 예상치 못한 1시간 30분 미만의 제거 반감기를 갖기 때문이다.
이들 화합물은 하기의 세가지 상이한 서열을 포함하는 헥사데카사카라이드이다: 술페이트화 펜타사카라이드 서열 DEFGH, 비-술페이트화 헵타사카라이드 서열 Z(MN)3 및 술페이트화 테트라사카라이드 서열 VWXY.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산 형태의 합성 폴리사카라이드 및 제약상 허용되는 양이온을 갖는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이며, 그의 음이온 형태는 하기의 화학식 (I), (II), (III), (IV) 및 (V) 중의 하나에 상응한다.
본 발명의 활성 구조
본 발명은 산 형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임의의 염 형태의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한다. 산 형태에서, -COO- 및 -SO3 - 관능기는 각각 -COOH 및 -SO3H의 형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폴리사카라이드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란 표현은 하나 이상의 -COO- 및/또는 -SO3 - 관능기가 제약상 허용되는 금속 양이온에 이온 결합된 폴리사카라이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염은 양이온이 알칼리 금속 양이온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이온이 Na+ 또는 K+인 염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폴리사카라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칙적으로, 이 방법은 이전 문헌에 보고된 바와같이 제조된 디-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 신톤(synthon)을 사용한다. 특히 EP 300,099, EP 529,715, EP 621,282 및 EP 649,854 및 씨. 반 뵈켈(C. van Boeckel), 엠. 페티토우(M. Petitou)의 문헌[Angew. Chem. Int. Ed. Engl., 1993, 32, 1617-1690]을 참고할 수 있다. 이어서, 이들 신톤들이 서로 커플링되어 본 발명에 따른 헥사데카사카라이드의 완전히 보호된 전구체가 생성되고, 이 전구체가 선택적으로 탈보호되고 술페이트화되어 본 발명의 헥사데카사카라이드가 생성된다.
상기에 언급된 커플링 반응에서, 아노머 탄소(anomeric carbon) 상에서 활성화된 "공여체(donor)" 디-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가 유리 히드록실을 함유하는 "수용체(acceptor)" 디-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와 반응한다.
본 발명의 헥사데카사카라이드는 하기 순서의 조작에 따라 합성될 수 있는데, 이 조작들은 상기 화학식 (I)중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카라이드 단위들을 언급한다.
4' 위치에 알코올 관능기를 갖는 GH의 보호된 전구체(pGH) 및 아노머 탄소가 활성화된 EF의 보호된 전구체(pEF)가 첫번째로 제조된다. 중간체 pGH 및 pEF가 서로 반응하여 EFGH가 생성된다. 이어서, 비-환원성 말단 단위의 4 위치가 탈보호되어 전구체 pEFGH가 생성된다.
동시에, 아노머 탄소가 활성화된 YZ(MN)3D 부분의 전구체(pYZ(MN)3D)가 동일한 전략에 따라 제조된다.
이어서, 테트라사카라이드(pEFGH)가 pYZ(MN)3D와 반응하여 YZ(MN)3DEFGH가 생성된다. 비-환원성 말단 단위가 탈보호되어 전구체 pYZ(MN)3DEFGH가 생성된다.
VWX의 전구체(pVWX)가 동시에 제조된다.
따라서, pVWX와 pYZ(MN)3DEFGH가 반응하여 헥사데카사카라이드의 직접적인 전구체가 생성되며, 이것이 탈보호되고 술페이트화되어 기대했던 헥사데카사카라이드가 생성된다.
선택된 수용체 및 공여체에 따라 몇가지 합성 전략이 가능하다는 사실이 본 기술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게 명확하다. 예를 들면, 의도하는 헥사데카사카라이드의 전구체를 얻기 위하여 공여체 VWXYZ(MN)3D를 제조한 후 이를 EFGH와 커플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문헌 및 피. 엠. 콜린스(P. M. Collins) 및 알. 제이. 페리어(R. J. Ferrier)의 문헌[Monosaccharides, Their chemistry and their roles in natural product, J. Wiley & Sons, 1995] 및 쥐. 제이. 분즈(G. J. Boons)의 문헌[Tetrahedron, 1996, 52, 1095-1121]을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생화학 및 약리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이들 화합물이 또한 특허출원 PCT/FR 97/01344에 기재된 생성물의 매우 유리한 특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헤파린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더 큰 친화성을 갖고 AT III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헤파린보다 우월한 항응고 및 항혈전 특성을 갖는다.
화학식 (I) 내지 (V) 생성물의 전체적인 항혈전 활성은, 제이. 레이어(J. Reyer) 등의 문헌[Thrombosis Research, 1980, 18, 669-674]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트롬보플라스틴을 사용하는 정맥의 혈행 및 유발 모델 및 우메쯔(Umetsu) 등의 문헌[Thromb. Haemost., 1978, 39, 74-83]에 기재된 바와 같은 쥐의 경측 동맥 및 경정맥 사이의 이식된 션트(shunt)로 이루어진 동맥의 혈전증 모델을 사용하여, 쥐에서 정맥내 또는 피하 투여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이들 두가지 실험 모델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ED50은 이미 알려진 다른 합성 헤파리노이드의 ED50과 적어도 동일한 차수이거나 또는 이보다 작은 수치이다(1과 50 nmol/kg 사이의 ED50).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특히 유리한 작용 특이성 및 특히 유리한 항응고 활성을 갖는다.
그들의 생화학 및 약리학적 활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은 매우 유리한 약제를 구성한다. 본 발명 화합물들의 독성은 전적으로 이러한 용도와 양립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또한 매우 안정하여 전문 의약품의 활성 성분을 구성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혈전증 과정 동안에 혈소판의 활성화에 의하여 방출되는 PF4와 같은 양이온성 혈소판 단백질의 높은 투여량에 의하여도 중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동맥 또는 정맥에서 발생한 혈전증을 치료하고 예방하는데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특히 심혈관계 및 뇌혈관계 질환, 예를 들면 혈관확장술, 동맥내막절제술 또는 혈관내 인공 삽입물의 장착 후의 재협착증, 불안정 협심증(angina), 졸중과 같은 동맥경화증 및 당뇨병에 연관된 혈전색전증성 질환; 또는 혈전 용해 후 재혈전증, 경색, 허혈에 기인한 치매에 연관된 혈전색전증성 질환, 말초동맥 질환에 연관된 혈전색전증성 질환, 혈액 투석에 연관된 혈전색전증성 질환, 심방세동(auricular fibrillation)에 연관된 혈전색전증성 질환 도중에 또는 대동맥-관상(aorto-coronary) 브릿지 맥관 인공장기의 사용 도중에 발생하는 응고 시스템의 항상성의 변형에 수반되는 다양한 질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성물은 또한 폐 색전증과 같은 정맥에 기인한 혈전색전증성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수술 도중에 발생하는 혈전증성 합병증 또는 암 및 박테리아성 또는 바이러스성 감염과 같은 다른 질환에 연관된 혈전증성 합병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인공 삽입물을 이식하는 도중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삽입물을 덮어서 이 삽입물들이 혈액과 상용성이 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맥관내 인공 삽입물(스텐츠; stents)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EP 649,854에 따라서 기재된 바와 같이 비-환원성 또는 환원성 말단에서 적합한 암(arm)을 도입하여 임의로 화학적으로 개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다공성 풍선으로 수행하는 동맥내막절제술 도중에 보강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매우 안정하기 때문에 약제의 활성 성분을 구성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상기 질환들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합성 폴리사카라이드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활성 성분으로서 산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중의 하나를 1종 이상의 불활성이고 적합한 부형제와 함께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폴리사카라이드는 응고 기능장애와 연관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각 투여량 단위에서, 활성 성분은 예상되는 일일 투여량에 적합한 양으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각 투여량 단위는 예상되는 투여량 및 투여 형태(예를 들면, 정제, 젤라틴 캅셀 등, 싸쉐(sachet), 바이알, 시럽 등, 점적, 경피 또는 경점막 패치)에 따라 0.1 내지 100 m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mg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도록 적절하게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또한 의도하는 치료에 유용한 1종 이상의 다른 활성 성분(예를 들면, 디피리다몰, 아스피린, 티클로피딘, 클로피도그렐 또는 글리코프로테인 IIb/IIIa 복합체의 길항제와 같은 항혈소판 응집제, 항혈전제제, 항응고제)와 조합되어 사용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상기 언급된 질병의 치료를 위하여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 투여용으로 제제화된다.
이렇게 얻은 제약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예를 들면, 주사용 또는 복용 용액제, 당의정, 통상의 정제 또는 젤라틴 캅셀제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얻어진다. 주사용액제가 바람직한 제약 형태이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동맥경화증과 같은 맥관벽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및 예를 들면 종양의 수술 또는 응고 제거 후에 관측되는 박테리아성, 바이러스성 또는 효소성 활성화제에 의하여 유발되는 과응고성 상태의 치료 또는 예방에 특히 유용하다.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체중 및 건강 상태, 병의 특성 및 심각성, 및 투여 경로에 따라 넓은 범위내에서 변화된다. 이러한 투여량은 1일 당 약 0.1 mg 내지 약 100 mg,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50 mg의 투여량을 1회 이상 연속적으로 또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근육내 또는 피하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임의로 또 다른 활성 성분과 조합된 상기 화합물 중의 하나를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이다. 이들 조성물은 소화경로 또는 비경구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도록 제조된다.
경구, 설하, 피하, 근육내, 정맥내, 경피, 경점막, 국소 또는 직장 투여용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에 있어서, 활성 성분은 표준 제약 지지체와 혼합되어 단위 투여 형태로 동물 또는 인간에게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적합한 단위 형태는 정제, 젤라틴 캅셀, 분말제, 과립제 및 경구용 현탁액 또는 용액과 같은 경구용 형태, 설하 및 협측 투여 형태, 피하, 근육내, 정맥내, 비강내 또는 눈 투여(intraocular) 형태 및 직장 투여 형태를 포함한다.
정제 형태의 고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에, 주된 활성 성분은 젤라틴, 전분, 락토오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활석, 아라비아 고무 등과 같은 제약상 담체와 혼합된다. 상기 정제는 수크로오스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코팅되거나, 다른 한편으로 그들이 서방형(sustained) 또는 지방형(delayed) 활성을 가져서 미리 정해진 양의 활성 성분을 계속해서 방출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젤라틴 캅셀로된 제제는 활성 성분을 희석제와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에 붓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다.
수분산성 분제 또는 과립제는 활성 성분이 분산제 또는 습윤제,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현탁제 및 감미제 또는 증향제(flavor enhancer)와 함께 혼합되어 얻어질 수 있다.
직장 투여를 위하여, 직장 온도에서 용융되는 결합제(예를 들면, 코코아 버터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와 함께 제조된 좌약이 사용된다.
비경구, 비강내 또는 눈 투여를 위하여,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부틸렌 글리콜과 같은 제약학적으로 상용성인 습윤제 및/또는 분산제를 함유하는 살균 주사용 용액, 등장성 염수 용액 또는 수성 현탁액이 사용된다.
경점막 투여를 위하여, 활성 성분이 담즙염(bile salt), 친수성 중합체(예를 들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루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루오소, 덱스트란, 폴리비닐피롤리돈, 펙틴, 전분, 젤라틴, 카제인, 아크릴산, 아크릴에스테르 및 그들의 공중합체)와 같은 친수성 중합체, 비닐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비닐 알코올, 알콕시폴리머, 폴리에틸렌 옥시드 중합체, 폴리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혼합물과 같은 프로모터의 존재하에서 제제화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은 임의로 1 종 이상의 지지체 또는 첨가제와 함께 미세캅셀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도 있다.
활성 성분은 또한 예를 들면, α, β 또는 γ시클로덱스트린, 2-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 또는 메틸-β-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시클로덱스트린과의 복합체 형태일 수도 있다.
활성 성분은 그를 함유하는 풍선에 의하여 방출되거나 혈관에 도입된 혈관내 확장체에 의하여 방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활성 성분의 약리학적 효과는 영향받지 않는다.
피하 투여가 바람직한 경로이다.
하기의 방법, 제제 및 도표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사카라이드를 얻기에 유용한 다양한 중간체의 합성을 예시한다.
하기의 약어가 사용된다:
TBDMS: tert-부틸디메틸실릴; Lev: 레불리노일; Bn: 벤질; Bz: 벤조일; TLC: 박막크로마토그래피; Olm: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도일; LSIMS: 액체 제2 이온 질량 분석; ESIMS: 전자 분무 이온화 질량분석: TMS: 트리메틸실릴; TSP: 소듐 트리메틸실릴테트라듀테리오프로피오네이트; Tf: 트리플레이트; MS: 분자 시이브(sieve); PMB: p-메톡시벤질; MP: p-메톡시페닐; TS: 토실; ET: 에틸; Ph: 페닐; Me: 메틸; Ac: 아세틸.
등록상표 Dowex, Sephadex, Chelex 및 Toyopearl이 등록상표로 등록되어 있다.
하기에 기재된 방법, 제제 및 실시예에서, 이미데이트의 촉매성 커플링, 레불린산 에스테르의 절단, 티오글리코시드의 촉매성 커플링, p-메톡시벤질기의 비누화, 메틸화 및 선택적 탈보호, 벤질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의 가수분해에 의한 올리고- 및 폴리사카라이드의 탈보호 및 선택적 술페이트화, 에스테르의 비누화 또는 술페이트화에 관한 일반적인 공정이 적절한 중간체에 하기의 일반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예가 예시적인 목적으로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도표 1 - 펜타사카라이드 9의 합성
제조예 1
에틸 O-(2,3-디-O-벤조일-4,6-O-벤질리덴-α-D-글루코피라노실)-(1→4)-2,3,6-트리-O-벤조일-1-티오-β-D-글루코피라노시드 (2)
벤조일 클로리드(24.5 ml, 211 mmol)을 피리딘(202 ml) 중의 화합물 1(16.7 g, 35.2 mmol; J. Westman 및 M. Nilsson의 문헌[J. Carbohydr. Chem., 1995, 14(7), 949-960])의 냉각된(0 ℃) 용액에 20 분에 걸쳐 점적하여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TLC로 대략 50% 전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물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였다. 추출한 후에, 유기상을 10%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술페이트로 탈수시킨 후 농축시켰다. 잔여물을 상기에 기재된 공정에 따라 벤조일 클로리드로 다시 처리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2 g의 화합물 2를 얻었다.
TLC: Rf = 0.80, 실리카겔, 9/1 부피/부피 톨루엔/에탄올.
제조예 2
O-(2,3-디-O-벤조일-4,6-O-벤질리덴-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벤조일-β-D-글루코피라노실)-(1→4)-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4)
톨루엔(18 ml) 중의 티오글리코시드 2(1.05 g, 1.05 mmol), 화합물 3(200 mg, 1.05 mmol; Jeanloz 등의 문헌[J. Org. Chem., 1961, 26, 3939-3944]) 및 분말 4Å 분자 시이브(1.1 g)의 혼합물을 질소 대기하에서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20℃로 냉각하고 새로 제조한 1/1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디옥산(6 ml) 중의 N-요오도숙신이미드(1.11 mmol)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0.125 mmol)의 용액을 여기에 가하였다. 10 분 경과 후, 상기 적색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여 추출한 후, 10% 소듐 티오술페이트 용액, 10%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물로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킨 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여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25 g의 화합물 4를 얻었다.
TLC: Rf = 0.55, 실리카겔, 4/6 부피/부피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3
O-(4,6-디-O-벤질리덴-α-D-글루코피라노실)-(1→4)-O-(β-D-글루코피라노실)-(1→4)-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5)
1/1 부피/부피 메탄올/디옥산 (7 ml) 중의 화합물 4(1.24 g, 1.11 mmol)의 용액에 포타슘 tert-부톡시드(약 50 mg)을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포타슘 tert-부톡시드 50 mg을 더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60 분 동안 더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등록상표 Dowex 50WX8 H+ 수지로 중화시키고, 여과한 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665 mg의 화합물 5를 오일 형태로 단리하였다.
TLC: Rf = 0.50, 실리카겔, 85/15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제조예 4
O-(4,6-O-벤질리덴-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6)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8 ml) 중의 화합물 5(660 mg, 1.1 mmol)의 냉각(5℃)된 용액에 질소 대기하에서 소듐 히드리드(387 mg, 9.65 mmol)를 가하였다. 메틸 요오디드(0.51 ml, 8.22 mmol)를 점적하여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과량의 소듐 히드리드를 메탄올로 분해시키고 혼합물을 50 ml의 얼음 냉각된 물에 부었다. 에틸 아세테이트(20 ml 3회)로 추출한 후에, 유기상을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킨 후 농축하여 690 mg의 화합물 6을 얻었다.
TLC: Rf = 0.25, 실리카겔, 95/5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제조예 5
O-(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7)
화합물 6(690 mg, 1.03 mmol)을 80% 아세트산(7.3 ml)에 용해시킨 후 40℃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톨루엔과 공비(co-evaporated)시켰다. 8/1/1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중의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569 mg의 화합물 7을 얻었다.
TLC: Rf = 0.40, 실리카겔, 9/1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제조예 6
O-(6-O-벤조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8)
디클로로메탄 중의 화합물 7(560 mg, 0.96 mmol)의 용액에 1-벤질옥시-1H-벤조트리아졸(227 mg, 1.05 mmol) 및 트리에틸아민(1.15 mmol)을 가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한 후 10%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키고, 여과한 후 증류하여 건조시켰다.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600 mg의 화합물 8을 얻었다.
TLC: Rf = 0.50, 실리카겔, 9/1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제조예 7
O-(2,3-디-O-벤조일-4,6-O-벤질리덴-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벤조일-β-D-글루코피라노실)-(1→4)-O-(6-O-벤조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9)
화합물 4의 제조를 위하여 기재된 공정을 따라 화합물 8을 화합물 9로 변환시켰다. 커플링 반응을 5℃에서 수행하였다.
TLC: Rf = 0.50, 실리카겔, 2/8 부피/부피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도표 2 - 헵타사카라이드 14의 합성
제조예 8
O-(4,6-O-벤질리덴-α-D-글루코피라노실)-(1→4)-O-(β-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10)
화합물 5의 제조를 위하여 기재된 공정을 따라 화합물 9를 화합물 10으로 변환시켰다.
TLC: Rf = 0.35, 실리카겔, 9/1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제조예 9
O-(4,6-O-벤질리덴-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11)
화합물 6의 제조를 위하여 기재된 공정을 따라 화합물 10을 화합물 11로 변환시켰다.
TLC: Rf = 0.50, 실리카겔, 9/1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제조예 10
O-(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12)
화합물 7의 제조를 위하여 기재된 공정을 따라 화합물 11을 화합물 12로 변환시켰다.
TLC: Rf = 0.35, 실리카겔, 9/1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제조예 11
O-(6-O-벤조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13)
화합물 8의 제조를 위하여 기재된 공정을 따라 화합물 12를 화합물 13으로 변환시켰다.
TLC: Rf = 0.40, 실리카겔, 7.0/1.5/1.5 부피/부피/부피 톨루엔/에틸아세테이트/에탄올.
제조예 12
O-(2,3-디-O-벤조일-4,6-O-벤질리덴-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벤조일-β-D-글루코피라노실)-(1→4)-O-(6-O-벤조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14)
화합물 9의 제조를 위하여 기재된 공정을 따라 화합물 13과 디사카라이드 2의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여 화합물 14를 얻었다.
TLC: Rf = 0.40, 실리카겔, 7.0/1.5/1.5 부피/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도표 3 - 노나사카라이드 19의 합성
제조예 13
O-(4,6-O-벤질리덴-α-D-글루코피라노실)-(1→4)-O-(β-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15)
화합물 5의 제조를 위하여 기재된 공정을 따라 화합물 14를 화합물 15로 변환시켰다.
TLC: Rf = 0.60, 실리카겔, 9/1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제조예 14
O-(4,6-O-벤질리덴-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2 -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16)
화합물 6의 제조를 위하여 기재된 공정을 따라 화합물 15를 화합물 16으로 변환시켰다.
TLC: Rf = 0.70, 실리카겔, 9/1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제조예 15
O-(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2 -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17)
80% 아세트산(50 ml) 중의 화합물 16(5.05 g, 2.0 mmol)의 용액을 40℃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하고 톨루엔과 함께 공비시켰다.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용해시키고 물로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킨 후, 여과하고 증류하여 건조시켜 2.68 g의 화합물 17을 얻었다.
TLC: Rf = 0.50, 실리카겔, 9/1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제조예 16
O-(6-O-벤조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2 -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18)
화합물 8의 제조를 위하여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합물 17을 화합물 18로 변환시켰다.
TLC: Rf = 0.80, 실리카겔, 7.0/1.5/1.5 부피/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제조예 17
O-(2,3-디-O-벤조일-4,6-O-벤질리덴-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벤조일-β-D-글루코피라노실)-(1→4)-O-(6-O-벤조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2 -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19)
톨루엔(22 ml) 중의 티오글리코시드 2(1.97 g, 2.0 mmol, 3.5 당량), 헵타사카라이드 18(0.86 g, 0.57 mmol) 및 분말 4Å 분자 시이브의 혼합물을 질소 대기하에서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1/1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디옥산(12 ml) 중에 N-요오도숙신이미드(496 mg, 2.2 mmol)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0.808 mmol)을 함유하는 새로이 제조된 용액을 실온에서 점적하여 가하였다. 10 분 경과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여 추출한 후, 10% 소듐 티오술페이트 용액 및 10%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킨 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09 g의 화합물 19를 얻었다.
TLC: Rf = 0.80, 실리카겔, 6/2/2 부피/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도표 4 - 노나사카라이드 25의 합성
제조예 18
O-(4,6-O-벤질리덴-α-D-글루코피라노실)-(1→4)-O-(β-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 2 -(1→4)-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20)
화합물 5의 제조를 위하여 기재된 공정에 따라 화합물 19를 화합물 20으로 변환시켰다.
TLC: Rf = 0.25, 실리카겔, 5.0/2.5/2.5 부피/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제조예 19
O-(4,6-O-벤질리덴-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21)
화합물 6의 제조를 위하여 기재된 공정에 따라 화합물 20를 화합물 21로 변환시켰다.
TLC: Rf = 0.50, 실리카겔, 6/2/2 부피/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제조예 20
O-(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22)
화합물 7의 제조를 위하여 기재된 공정에 따라 화합물 21을 화합물 22로 변환시켰다.
TLC: Rf = 0.20, 실리카겔, 6/2/2 부피/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제조예 21
O-(6-O-벤조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23)
화합물 8의 제조를 위하여 기재된 공정에 따라 화합물 22를 화합물 23으로 변환시켰다.
TLC: Rf = 0.20, 실리카겔, 6/2/2 부피/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제조예 22
O-(6-O-벤조일-4-O-레불리노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1,6-안히드로-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24)
디옥산(1 ml) 중의 화합물 23(320 mg, 0.167 mmol)의 용액에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리드(48 mg, 0.25 mmol), 레불린산(29 mg, 0.25 mmol) 및 디메틸아미노피리딘(4 mg, 0.033 mmol)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대기하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 및 물을 가하고, 추출한 후, 유기상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킨 후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12 mg의 화합물 24를 얻었다.
TLC: Rf = 0.50, 실리카겔, 6/2/2 부피/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제조예 23
O-(6-O-벤조일-4-O-레불리노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1,6-디-O-아세틸-2,3-디-O-메틸-α,β-D-글루코피라노오스 (25)
아세트산 무수물(2.25 ml), 아세트산(50 μ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14 ml)의 혼합물 중의 화합물 24(312 mg, 0.155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톨루엔(10 ml)을 가한 후에, 혼합물을 농축하고 톨루엔(10 ml, 3회)과 함께 공비시켰다.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24 mg의 화합물 25를 단리하였다.
TLC: Rf = 0.65, 실리카겔, 6/2/2 부피/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도표 5 - 노나사카라이드 27의 합성
제조예 24
O-(6-O-벤조일-4-O-레불리노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6-O-아세틸-2,3-디-O-메틸-α,β-D-글루코피라노오스 (26)
톨루엔(2 ml) 중의 화합물 25(324 mg, 0.153 mmol) 및 모르폴린(22.3 μl, 0.256 mmol)의 용액을 35℃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모르폴린(22.3 μl)을 다시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5℃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물로 신속하게 냉각시켰다.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후, 유기상을 0.1 N 염산 및 물로 연속해서 세척한 후, 탈수시키고 증류하여 건조시켰다.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80 g의 화합물 26을 단리하였다.
TLC: Rf = 0.45, 실리카겔, 6/2/2 부피/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제조예 25
O-(6-O-벤조일-4-O-레불리노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6-O-아세틸-2,3-디-O-메틸-α,β-D-글루코피라노오스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데이트 (27)
디클로로메탄(1.5 ml) 중의 화합물 26(138 mg, 0.066 mmol)의 용액에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39 μl, 0.39 mmol) 및 탄산세슘(4.7 mg)을 가하였다.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한 후 잔여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52 mg의 이미데이트 27을 얻었다.
TLC: Rf = 0.35, 실리카겔, 8/1/1 부피/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도표 6 디사카라이드 33의 합성
제조예 26
메틸-O-(4,6-이소프로필리덴-3-O-메틸-α-L-이도피라노실-(1→4)-2,6-디-O-벤질-3-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29)
화합물 28(2.5 g, 3.53 mmol)(M. Petitou등의 문헌[J. Med. Chem. 1997, 40, 1600])을 화합물 5의 합성에서와 같이 처리한 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2/1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화합물 29(2.1 g, 98%)를 얻었다.
TLC: Rf = 0.32, 실리카겔, 2/1 부피/부피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27
메틸-O-(4,6-이소프로필리덴-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1→4)-2,6-디-O-벤질-3-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30)
화합물 29(2.0 g, 3.3 mmol)를 화합물 6의 합성에서와 같이 처리한 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5/1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화합물 30(1.83 g, 89%)을 얻었다.
TLC: Rf = 0.38, 실리카겔, 5/2 부피/부피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28
메틸-O-(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1→4)-2,6-디-O-벤질-3-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31)
디클로로메탄(16 ml) 중의 화합물 30(1.76 g, 2.84 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70% 수용액(3.14 ml)를 가하였다. 50 분 경과후, 반응 매질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한 후 중화될 때까지 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상을 탈수시키고(황산나트륨), 여과한 후 농축시켰다. 잔여물을 실리카 상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31(1.45 g, 88%)을 얻었다.
[α]20 D = +10(c = 1.0, 디클로로메탄)
제조예 29
메틸-O-(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론산)-(1→4)-2,6-디-O-벤질-3-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32)
디클로로메탄(6 ml) 중의 화합물 31(1.16 g)의 용액에 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디닐옥시(3.3 mg), 탄산수소나트륨 용액(4 ml), 브롬화칼륨(22 mg)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리드(29 mg)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4.4 ml),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2.2 ml) 및 소듐 히포클로라이트(1.3 M, 5 ml)의 혼합물을 15 분에 걸쳐 가하였다.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3회). 유기상을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킨 후, 여과하고 증류하여 건조시켜 1.34 g의 조 화합물 32를 얻었다.
Rf = 0.22, 실리카겔, 10/1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제조예 30
메틸-O-(벤질-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론산)-(1→4)-2,6-디-O-벤질-3-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33)
화합물 32를 질소 대기하에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11 ml)에 용해시켰다. 탄산수소칼륨(0.67 g) 및 벤질브로미드(1.07 ml)를 가하고 혼합물을 90 분간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을 가하고, 추출한 후에, 유기상을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99 g의 화합물 33을 얻었다.
TLC: Rf = 0.58, 실리카겔, 1/4 부피/부피 톨루엔/디에틸 에테르
도표 7 테트라사카라이드 36의 합성
제조예 31
메틸-O-(벤질-4-O-레불리노일-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로네이트-(1→4)-O-(3,6-디-O-아세틸-2-O-벤질-α-D-글루코피라노실)-(1→4)-O-(벤질-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로네이트)-(1→4)-2,6-디-O-벤질-3-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35)
톨루엔(10 ml) 중의 화합물 33(200 mg, 0.29 mmol) 및 화합물 34(274 mg, 0.31 mmol)(M. Petitou 등의 문헌[J. Med. Chem., 1997, 40, 1600])를 분자 시이브(220 mg)의 존재하에 처리하고, -20℃에서 tert-부틸디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톨루엔중 1 M 용액 0.15 ml)로 처리하였다. 10 분간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중화시키고(NaHCO3), 여과한 후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35(334 mg, 80%)를 얻었다.
[α]20 D = +31(c = 0.76, 디클로로메탄)
제조예 32
메틸-O-(벤질-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로네이트-(1→4)-O-(3,6-디-O-아세틸-2-O-벤질-α-D-글루코피라노실)-(1→4)-O-(벤질-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로네이트)-(1→4)-2,6-디-O-벤질-3-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36)
화합물 35(308 mg, 0.22 mmol)을 톨루엔/에탄올 혼합물(1/2, 43 ml) 중에 용해시킨 후 히드라진 아세테이트(101 mg, 5 당량)을 가하였다. 45 분간 교반한 후에, 혼합물을 농축한 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36(162 mg, 89%)를 얻었다.
[α]20 D = +29(c = 1.05, 디클로로메탄)
도표 8 - 폴리사카라이드 38의 합성
제조예 33
메틸 O-(6-O-벤조일-4-O-레불리노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O-(6-O-아세틸-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벤질-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로네이트-(1→4)-O-(3,6-디-O-아세틸-2-O-벤질-α-D-글루코피라노실)-(1→4)-O-(벤질-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로네이트)-(1→4)-2,6-디-O-벤질-3-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37)
2/1 디에틸 에테르/디클로로메탄 혼합물(2.8 ml) 중의 이미데이트 27(177 mg, 76.6 μmol) 및 수용체 36(201 mg, 0.15 mmol)을 화합물 35의 합성에서와 같이 tert-부틸디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디클로로메탄중의 1 M 용액 11.5 μl)로 처리하였다. 화합물을 등록상표 Sephadex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1 디클로로메탄/에탄올)로 정제하고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3/0.5/1 톨루엔/아세톤/에탄올)로 정제한 후, 최종적으로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3/2 디이소프로필 에테르/에탄올)로 정제하여 유도체 37(116 mg, 44%)을 얻었다.
TLC: Rf = 0.31, 실리카겔, 3/0.5/0.4 부피/부피/부피 디이소프로필 에테르/아세톤/에탄올
제조예 34
메틸O-(6-O-벤조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O-(6-O-아세틸-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벤질-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로네이트-(1→4)-O-(3,6-디-O-아세틸-2-O-벤질-α-D-글루코피라노실)-(1→4)-O-(벤질-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로네이트)-(1→4)-2,6-디-O-벤질-3-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38)
화합물 36의 제조를 위하여 기재된 공정에 따라 화합물 37(110 mg, 0.032 mmol)을 화합물 38(95 mg, 89%)로 변환시켰다.
TLC: Rf = 0.32, 실리카겔, 1/1 부피/부피 톨루엔/아세톤
도표 9 - 트리사카라이드 43의 합성
제조예 35
O-(2,3,4,6-테트라-O-아세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아세틸-α-D-글루코피라노실)-(1→4)-1,2,3,6-테트라-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오스 (40)
상업적 말토트리오스(7 g, 13.9 mmol)을 155℃에서 아세트산 무수물(70 ml) 중의 소듐 아세테이트(7 g, 85 mmol)의 현탁액에 분획씩 가하였다. 15 분 경과 후에, 상기 용액을 냉각시키고 얼음-냉각된 물(700 ml)에 부었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에, 유기상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키고, 여과한 후 농축하여 13.1 g의 화합물 40을 얻었다.
TLC: Rf = 0.53, 실리카겔, 7/3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36
에틸 O-(2,3,4,6-테트라-O-아세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아세틸-α-D-글루코피라노실)-(1→4)-2,3,6-트리-O-아세틸-1-티오-β-D-글루코피라노시드 (41)
화합물 40(13 g, 13.5 mmol)을 톨루엔(80 ml)에 용해시켰다. 에탄티올(1.97 ml, 26.9 mmol) 및 보론 트리플루오리드 디에틸 에테레이트(톨루엔 중의 1 M 용액 13.7 ml)를 질소 대기하에서 가하였다. 60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상기 혼합물을 물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였다. 추출한 후에, 유기상을 10%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여과한 후에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8.6 g의 화합물 41을 얻었다.
TLC: Rf = 0.60, 실리카겔, 7/3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37
에틸 O-(α-D-글루코피라노실)-(1→4)-O-(α-D-글루코피라노실)-(1→4)-1-티오-β-D-글루코피라노시드 (42)
화합물 5의 제조를 위하여 기재한 공정에 따라 화합물 41을 화합물 42로 변환시켰다.
TLC: Rf = 0.80, 실리카겔, 13/7/1.6/4 부피/부피/부피/부피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제조예 38
에틸 O-(2,3,4,6-테트라-O-벤조일-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벤조일-α-D-글루코피라노실)-(1→4)-2,3,6-트리-O-1-티오-β-D-글루코피라노시드 (43)
화합물 2의 제조를 위하여 기재한 공정에 따라 화합물 42를 화합물 43으로 변환시켰다.
도표 10 폴리사카라이드 46의 제조
제조예 39
메틸 O-(2,3,4,6-테트라-O-벤조일-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벤조일-α-D-글루코피라노실)-(1→4)-(2,3,6-트리-O-벤조일-β-D-글루코피라노실)-(1→4)-O-(6-O-벤조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O-(6-O-아세틸-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벤질-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로네이트-(1→4)-O-(3,6-디-O-아세틸-2-O-벤질-α-D-글루코피라노실)-(1→4)-O-(벤질-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로네이트)-(1→4)-2,6-디-O-벤질-3-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44)
화합물 4에 대하여 기재된 공정에 따라 티오글리코시드 43(170 mg, 106.7 μmol)과 수용체 38(90 mg, 27μmol)을 커플링시켰다. 상기 화합물을 우선 등록상표 Sephadex LH 20상의 크로마토그래피(1/1 디클로로메탄/에탄올)로 정제한 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2/10 부피/부피 시클로헥산/아세톤)로 정제하여 89.5 mg(68%)의 화합물 44를 얻었다.
TLC: Rf = 0.43, 실리카겔, 12/10 부피/부피 시클로헥산/아세톤
제조예 40
메틸 O-(2,3,4,6-테트라-O-벤조일-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벤조일-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벤조일-β-D-글루코피라노실)-(1→4)-O-(6-O-벤조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O-(6-O-아세틸-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론산)-(1→4)-O-(3,6-디-O-아세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론산)-(1→4)-3-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45)
활성탄 상의 10% 팔라듐(160 mg)의 존재하의 수소 압력(10 bar)하에서 아세트산(3 ml) 중의 화합물 44(80 mg, 0.0163 mmol)의 용액을 처리하였다. 여과 후에, 상기 용액을 농축하여 화합물 45를 얻고, 이를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제조예 41
메틸 O-(α-D-글루코피라노실)-(1→4)-O-(α-D-글루코피라노실)-(1→4)-O-(β-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O-(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론산)-(1→4)-O-(α-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론산)-(1→4)-3-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46)
메탄올(2.8 ml) 및 5N 수산화나트륨 용액(0.69 ml)의 혼합물을 화합물 45(72 mg, 0.016 mmol)에 가하였다. 5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메탄올 중의 에스테르 용액(150 ml/mmol)에 가하였다(부가 후의 수산화나트륨의 농도가 0.5 M이 되게 하는 양으로 가함). 2-5 시간 경과 후에, 물을 가하고, 혼합물을 등록상표 Sephadex G-25 겔(1.6 x 115 cm)의 컬럼을 물로 용출시켜 통과시켰다. 용출물을 농축하고 등록상표 Dowex 50H+ 컬럼(2 ml)를 통과시키고 동결건조시켰다. 이 단계에서, 모든 보호기가 제거되었다는 사실을 양성자 NMR로 확인하였다. 필요하다면, 생성물을 다시 수소화 및/또는 비누화시킬 수 있다. 화합물 46(34 mg, 두 단계에서 68%)를 얻었다.
도표 11 - 디사카라이드 54의 제조
제조예 42
메틸 O-4,6-O-벤질리덴-2-O-벤질-α-D-글루코피라노시드 (48)
화합물 47(60 g;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을 벤질 브로미드(50.5 ml)와 함게 N,N-디메틸포름아미드(858 ml)중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10℃로 냉각시키고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였다. 1 시간 경과 후, 반응온도를 20℃로 승온시키고 혼합물을 20 시간 더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액을 물, 얼음, 및 톨루엔의 혼합물에 붓고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농축시키고 조 생성물을 결정화로 정제시켜 30.0 g의 화합물 48(J. M. Kuster 등의 문헌[Justus Liebigs Ann. Chem. 1975, 2179-2189]에 기재되어 있음)을 얻었다.
TLC: Rf = 0.60, 실리카 겔, 7/3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43
메틸 O-4,6-O-벤질리덴-2-O-벤질-3-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49)
화합물 48(26.4 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11 ml)중에 용해시키고 +5℃로 냉각시켰다. 질소 대기하에 소듐 히드리드(3.2 g)를 가하였다. 이어서, 요오도 메탄(11.3 g)을 점적하여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서 희석하고, 물로 2회 세척한 후 농축하여 M. Petitou 등의 문헌 [J. Med. Chem. 1997, 40, 1600-1607]에 기재된 28 g의 조 화합물 49를 얻었다.
TLC: Rf = 0.70, 실리카 겔 (7/3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44
메틸 O-2-O-벤질-3-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50)
화합물 49(28 g)를 메탄올(468 ml) 중에 용해시켰다. p-톨루엔술폰산(1.35 g)을 가하고 혼합물을 20℃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톨루엔으로 희석시키고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1 g의 화합물 50을 얻었다.
TLC: Rf = 0.07, 실리카 겔 (6/4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45
메틸 O-2-O-벤질-3,6-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51)
화합물 50(11.8 g)을 질소 대기하에서 디클로로메탄(160 ml) 중에 용해시켰다. 실온에서 트리메틸옥소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7.0 g) 및 2,6-디-tert-부틸-4-메틸피리딘(10.6 g)을 가하였다. 2 시간 경과 후에, 혼합물을 물과 얼음의 혼합물에 붓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세척한 후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조 생성물을 정제하여 10.1 g의 화합물 51을 얻었다.
TLC: Rf = 0.25, 실리카 겔 (7/3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46
에틸 2,4,6-트리-O-아세틸-3-O-메틸-1-티오-α-L-이도피라노오스 (52)
1,2,4,6-테르라-O-아세틸-3-O-메틸-α-L-이도피라노오스(48.4 g)(벤조일 클로리드를 아세트산 무수물로 대체하여 그의 퍼-벤조일 유사체에 대하여 기재된 대로 제조; Jaurand 등의 문헌[Bio. Med. Chem. Lett, 1992, 2, 897-900])를 톨루엔(175 ml) 중에 용해시켰다. 에탄티올(20 ml) 및 보론 트리플루오리드 에테레이트(톨루엔 중의 1 M, 134 ml)를 질소 대기하에서 가하였다.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400 ml)및 혼합물을 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부었다. 유기상을 물로 2회 세척한 후에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9.6 g의 화합물 52를 얻었다.
TLC: Rf = 0.45, 실리카 겔 (6/4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47
메틸 O-(2,4,6-트리-O-아세틸-3-O-메틸-α-L-이도피라노실)-(1→4)-2-O-벤질-3,6-디-O-메틸-6-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53)
화합물 51(10.1 g) 및 화합물 52(16.0 g)을 질소 대기하에서 톨루엔(304 mg) 중에 용해시켰다. 분말 분자 시이브(4Å)를 가한 후에, 반응 매질을 -20℃로 냉각시켰다. 1/1 부피/부피 디옥산/디클로로메탄 혼합물 중의 N-요오도숙신이미드(10.1 g)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0.80 ml)의 새로이 제조된 0.1 M 용액을 질소 흐름하에 점적하여 가하였다. 10 분 경과 후에, 상기 적색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소듐 티오술페이트 수용액 및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연속해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농축한 후, 잔여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1.1 g의 화합물 53을 얻었다.
TLC: Rf = 0.30, 실리카 겔 (6/4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48
메틸 O-(3-O-메틸-α-L-이도피라노실)-(1→4)-2-O-벤질-3,6-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54)
화합물 53(21.1 g)을 295 ml의 메탄올/디옥산 혼합물(1/1 부피/부피) 중에 용해시킨 후 포타슘 tert-부톡시드를 가하였다. 30 분 경과 후, 혼합물을 H+ 형태의 등록상표 Dowex 50WX8로 중화시킨 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2.7 g의 화합물 54를 얻었다.
TLC: Rf = 0.08, 실리카 겔 (3/7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도표 12 - 테트라사카라이드 62의 제조
제조예 49
메틸 O-(4,6-이소프로필리덴-3-O-메틸-α-L-이도피라노실)-(1→4)-2-O-벤질-3,6-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55)
화합물 54(12.7 g)를 질소 대기하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67 ml) 중에 용해시켰다. 2,2-디메톡시프로판(19 ml) 및 p-톨루엔술폰산을 가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 매질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용매를 증발시켜 얻은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0.4 g의 화합물 55를 얻었다.
TLC: Rf = 0.35, 실리카 겔 (1/1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50
메틸 O-(4,6-이소프로필리덴-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1→4)-2-O-벤질-3,6-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56)
화합물 55(10.4 g)를 테트라히드로푸란(140 ml) 중에 용해시킨 후 10℃로 냉각시켰다. 소듐 히드리드(1.38 g, 오일중에 60% 분산) 및 요오도메탄(1.84 ml)을 질소 대기하에서 가하였다. 4 시간 경과 후에, 과량의 소듐 히드리드를 메탄올로 분해시키고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후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1.1 g의 화합물 56을 얻었다.
TLC: Rf = 0.55, 실리카 겔 (95/5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51
메틸 O-(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1→4)-2-O-벤질-3,6-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57)
화합물 56(11.1 g)을 7/3(부피/부피) 아세트산/물 혼합물 중에 용해시킨 후 철야로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톨루엔 존재하에 2회 증발시키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9.2 g의 화합물 57을 얻었다.
TLC: Rf = 0.09, 실리카 겔 (1/1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52
메틸 O-(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론산)-(1→4)-2-O-벤질-3,6-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58)
디클로로메탄(28 ml) 중의 화합물 57(4.7 g)의 용액에 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디닐옥시(13 mg),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16 ml), 브롬화 칼륨(88 mg)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리드(117 mg)을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17.8 ml),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8.8 ml) 및 소듐 히포클로라이트(1.3 M; 20 ml)의 혼합물을 15 분에 걸쳐 가하였다.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상기 매질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시키고,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에,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키고, 여과한 후 증류하여 건조시켜 3.5 g의 조 화합물 58을 얻었다.
TLC: Rf = 0.14, 실리카 겔 9/1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제조예 53
메틸 O-(벤질-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로네이트)-(1→4)-2-O-벤질-3,6-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59)
화합물 58(3.5 g)을 질소 대기하에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29 ml)에 용해시켰다. 탄산수소칼륨(1.76 g) 및 벤질 브로미드(2.85 ml)를 가한 후,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을 가하고 추출한 후, 유기상을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4 g의 화합물 59를 얻었다.
TLC: Rf = 0.43, 실리카 겔 4/6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54
메틸 O-(벤질-4-O-레불리노일-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로네이트)-(1→4)-O-(3-O-아세틸-2-O-벤질-6-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벤질 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로네이트)-(1→4)-2-O-벤질-3,6-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61)
톨루엔의 존재하에 화합물 59(0.53 g) 및 화합물 60(1.0 g)의 혼합물을 증류하고 질소 대기하에서 디클로로메탄(16.2 ml)에 용해시켰다. 분말 분자 시이브(4 Å)를 가한 후에, 혼합물을 -20℃로 냉각시켰다. 15 분 동안 교반한 후에,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화합물 60에 대하여 15몰%)를 가하였다. 15 분 경과 후에, 혼합물을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처리하였다. 분자 시이브를 여과하여 제거한 후에, 여과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농축한 후에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75 g의 화합물 61을 얻었다.
NMR: Rf = 0.45, 실리카 겔 3/7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55
메틸 O-(벤질-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로네이트)-(1→4)-O-(3-O-아세틸-2-O-벤질-6-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벤질-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로네이트)-(1→4)-2-O-벤질-3,6-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62)
피리딘(3.0 ml)에 화합물 61(0.74 g)을 용해시키고 피리딘(3.0 ml) 중의 아세트산(4.1 ml) 및 히드라진 히드레이트(0.47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9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디클로로메탄 및 물을 가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염산 용액(1.0 N),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물로 연속해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농축하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66 g의 화합물 62를 얻었다.
TLC: Rf = 0.25, 실리카 겔 (98/2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하기의 테트라사카라이드 68을 디사카라이드 55를 출발물질로 하여 하기 도표 13에 따른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도표 13 - 테트라사카라이드 68의 제조
도표 14 - 디사카라이드 75의 제조
제조예 56
메틸 2-O-벤질-4,6-디-O-벤질리덴-3-O-p-메톡시-벤질-α-D-글루코피라노시드 (69)
화합물 48(26.4 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11 ml)에 용해시키고 5℃로 냉각시켰다. 질소 대기하에서 소듐 히드리드(2.5 g)을 가하였다. 이어서, 4-메톡시벤질 클로리드(13.3 g)을 점적하여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2회 세척한 후 농축하여 40.7 g의 화합물 69를 얻었다.
TLC: Rf = 0.80, 실리카 겔, 7/3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57
메틸 2-O-벤질-3-O-p-메톡시벤질-α-D-글루코피라노시드 (70)
화합물 69(34.9 g)를 60% 아세트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60℃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톨루엔으로 희석시키고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6.4 g의 화합물 70을 얻었다.
TLC: Rf = 0.07, 실리카 겔, 7/3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58
메틸 2-O-벤질-3-O-p-메톡시벤질-6-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71)
화합물 70(26.4 g)을 질소 대기하에서 디클로로메탄(263 ml)에 용해시켰다. 트리메틸옥소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11.6 g) 및 2,6-디-tert-부틸-4-메틸피리딘(17.4 g)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4 시간 경과한 후에, 혼합물을 얼음-냉각된 물에 붓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세척한 후에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8.5 g의 화합물 71을 얻었다.
TLC: Rf = 0.25, 실리카 겔, 7/3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59
메틸 O-(2,4,6-트리-O-아세틸-3-O-메틸-α-L-이도피라노실)-(1→4)-2-O-벤질-3-O-p-메톡시벤질-6-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72)
화합물 71(17.5 g) 및 화합물 52(28.2 g)을 질소 대기하에서 톨루엔(525 ml)에 용해시켰다. 4Å 분자 시이브를 가한 후에, 상기 반응물을 -20℃로 냉각시켰다. 1/1 부피/부피 디옥산/디클로로메탄 중의 N-요오도숙신이미드(17.4 g)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1.38 ml)의 새로이 제조한 0.1 M 용액을 연속적인 질소 흐름하에서 점적하여 가하였다. 10 분 경과 후에, 적색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소듐 트리포스페이트 수용액 및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연속해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30.0 g의 화합물 72를 단리하였다.
TLC: Rf = 0.45, 실리카 겔, 8/2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60
메틸 O-(3-O-메틸-α-L-이도피라노실)-(1→4)-2-O-벤질-3-O-p-메톡시벤질-6-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73)
화합물 72(30.0 g)을 1/1 부피/부피 메탄올/디옥산 460 ml에 가한 후 포타슘 tert-부톡시드를 가하였다. 15 분 경과 후에, 혼합물을 등록상표 Dowex 50WX8H+ 수지로 중화시킨 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7.4 g의 화합물 73을 얻었다.
TLC: Rf = 0.25, 실리카 겔, 95/5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제조예 61
메틸 O-(4,6-이소프로필리덴-3-O-메틸-α-L-이도피라노실)-(1→4)-2-O-벤질-3-O-p-메톡시벤질-6-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74)
화합물 73(17.4 g)을 질소 대기하에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77 ml)에 용해시켰다. 2,2-디메톡시프로판(26 ml) 및 p-톨루엔술폰산을 가한 후 혼합물을 30 분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희석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용매를 증류시켜서 19.7 g의 화합물 74를 얻었다.
TLC: Rf = 0.45, 실리카 겔, 95/5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제조예 62
메틸 O-(4,6-이소프로필리덴-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1→4)-2-O-벤질-6-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75)
화합물 74(18.5 g)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24.4 ml)에 용해킨 후 0℃로 냉각시켰다. 소듐 히드리드(1.47 g; 오일중의 60% 분산) 및 요오도메탄(2.36 ml)을 질소 대기하에서 가하였다. 1 시간 경과 후에, 과량의 소듐 히드리드를 메탄올로 분해시키고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후 농축하여 20.0 g의 화합물 75를 얻었다.
TLC: Rf = 0.85, 실리카 겔, 95/5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도표 15 - 디사카라이드 60의 합성
제조예 63
메틸 O-(4,6-이소프로필리덴-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1→4)-2-O-벤질-6-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76)
화합물 75(18.4 g)를 디클로로메탄(838 ml) 및 물(168 ml)에 용해시켰다.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7.1 g)을 가한 후, 혼합물을 4℃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에 붓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농축하여 12.7g의 화합물 76을 얻었다.
TLC: Rf = 0.40, 실리카 겔, 95/5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제조예 64
메틸 O-(4,6-이소프로필리덴-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1→4)-2,3-디-O-벤질-6-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77)
화합물 76(10.5 g)을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178 ml)에 용해시키고 질소 대기하에서 0℃로 냉각시켰다. 소듐 히드리드(1.91 g; 오일중의 60% 분산)를 가한 후 벤질 브로미드(3.3 ml)를 점적하여 가하였다. 30 분 경과 후, 반응을 종료시키고 과량의 소듐 히드리드를 메탄올로 분해시켰다. 물을 가한 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세척하였다. 용매를 증류시켜 13.6 g의 화합물 77을 얻었다.
TLC: Rf = 0.50, 실리카 겔, 1/1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65
메틸 O-(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1→4)-2,3-디-O-벤질-6-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78)
화합물 77을 77/33 (부피/부피) 아세트산/물에 용해시킨 후 철야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톨루엔과 함께 2회 공비시키고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1.5 g의 화합물 78을 얻었다.
TLC: Rf = 0.09, 실리카 겔, 1/1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Rf = 0.68, 실리카 겔, 9/1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제조예 66
메틸 O-(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론산)-(1→4)-2,3-디-O-벤질-6-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79)
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딜옥시(33 mg),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40 ml), 브롬화칼륨(218 mg)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리드(289 mg)을 디클로로메탄(60 ml) 중의 화합물 78(11.6 g)의 용액에 가하였다.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염화나트륨 포화 용액(44 ml),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용액(21. 8 ml) 및 소듐 히포클로라이트(1.3 M, 50 ml)의 혼합물을 15 분에 걸쳐 가하였다.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킨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킨 후, 여과하고 증류하여 건조시켜 13.4 g의 조 화합물 79를 얻었다.
TLC: Rf = 0.14, 실리카 겔, 9/1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제조예 67
메틸 O-(벤질-2,3-디-O-메틸-α-D-이도피라노실우로네이트)-(1→4)-2,3-디-O-벤질-6-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80)
화합물 79를 질소 대기하에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110 ml)에 용해시켰다. 탄산수소칼륨(6.7 g) 및 벤질브로미드(10.7 ml)를 가하고 혼합물을 90 분간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을 가하고 추출한 후에 유기 상을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9.9 g의 화합물 80을 얻었다.
TLC: Rf = 0.43, 실리카 겔, 4/6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68
메틸 O-(벤질 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로네이트)-(1→4)-2,3-디-O-벤질-6-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81)
화합물 80(9.9 g)을 300 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킨 후 질소 대기하에서 환류시켰다. 메탄올(65.2 ml) 중의 1M 소듐 메톡시드를 점적하여 가한 후 혼합물을 교반하고 3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이어서,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1 N 수산화나트륨(22.2 ml)를 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90 분 더 교반하였다. 등록상표 Dowex 50WX8 H+ 수지로 중화시키고 여과한 후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순수한 생성물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192 ml)에 용해시키고 분자 시이브를 질소 대기하에서 가하였다. 탄산수소칼륨(3.2 g) 및 벤질 브로미드(4.8 ml)를 가한 후 혼합물을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을 가한 후에, 2 상을 추출하여 분리하고, 유기상을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6.19 g의 화합물 81 및 1.88 g의 출발물질 80을 얻었다.
TLC: Rf = 0.55, 실리카 겔, 4/6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69
메틸 O-(벤질-4-O-레불리노일-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로네이트)-(1→4)-2,3-디-O-벤질-6-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82)
화합물 81(6.2 g)을 40 ml의 디옥산에 용해시켰다. 레불린산(2.1 g),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3.75 g)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2 g)을 가하고 혼합물을 질소 대기하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에틸 에테르(95 ml)를 가한 후 침전을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황산수소칼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킨 후,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에테르/헵탄에서 결정화시켜서 6.2 g의 화합물 82를 얻었다.
TLC: Rf = 0.26, 실리카 겔, 95/5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아세톤
제조예 70
O-(벤질-4-O-레불리노일-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로네이트)-(1→4)-1,3-디-O-아세틸-2-O-벤질-6-O-메틸-α,β-D-글루코피라노오스 (83)
화합물 82(6.1 g)를 질소 대기하에서 아세트산 무수물(256 ml)에 용해시킨 후 -20℃로 냉각시켰다. 아세트산 무수물(49 ml) 중의 황산(4.9 ml)의 혼합물을 30 분에 걸쳐 점적하였다. 60 분 경과 후에, 아세트산 나트륨을 중성 pH의 혼합물이 얻어질 때까지 가하였다.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을 가한 후에 유기상을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2 g의 화합물 83을 얻었다.
TLC: Rf = 0.24, 실리카 겔, 8/2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71
O-(벤질-4-O-레불리노일-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로네이트)-(1→4)-3-O-아세틸-2-O-벤질-6-O-메틸-α,β-D-글루코피라노오스 (84)
화합물 83(4.2 g)을 테트라히드로푸란(42 ml)에 용해시킨 후, 피페리딘(4.1 ml)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철야로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한 후 혼합물을 0.5 N 염산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농축시킨 후 잔여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2 g의 화합물 84를 얻었다.
TLC: Rf = 0.33, 실리카 겔, 1/1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72
O-(벤질-4-O-레불리노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우로네이트)-(1→4)-3-O-아세틸-2-O-벤질-6-O-메틸-α,β-D-글루코피라노오스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데이트 (60)
화합물 84(1.59 g)를 질소 대기하에서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켰다.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1.1 ml) 및 탄산세슘(72 mg)을 가하고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탄산세슘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액을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57 g의 화합물 60을 얻었다.
TLC: Rf = 0.60, 실리카 겔, 3/7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도표 16 - 테트라사카라이드 86의 합성
제조예 73
메틸 O-(벤질-4-O-레불리노일-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로네이트)-(1→4)-O-(3-O-아세틸-2-O-벤질-6-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벤질-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로네이트)-(1→4)-2,3-디-O-벤질-6-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85)
화합물 80(300 g) 및 화합물 60(455.6 mg)의 혼합물을 톨루엔과 함께 공비시킨 후 질소 대기하에서 디클로로메탄(6 ml) 중에 용해시켰다. 4Å 분자 시이브를 가한 후에, 혼합물을 -20℃로 냉각시켰다. 20 분간 교반한 후에,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화합물 60에 대하여 15 몰%)를 가하였다. 10 분 경과 후, 혼합물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시켰다. 분자 시이브를 여과하여 제거한 후에, 여과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560 mg의 화합물 85를 얻었다.
TLC: Rf = 0.50, 실리카 겔, 3/7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제조예 74
메틸 O-(벤질-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로네이트)-(1→4)-O-(3-O-아세틸-2-O-벤질-6-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벤질-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로네이트)-(1→4)-2,3-디-O-벤질-6-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 (86)
화합물 85(532.6 mg)를 피리딘(1.9 ml)에 용해시킨 후 피리딘(1.9 ml) 중의 아세트산(2.4 ml) 및 히드라진 히드레이트(0.3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9 분 동안 교반한 후에, 디클로로메탄 및 물을 가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0.1 N 염산, 탄산수소나트륨 및 물로 차례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51 mg의 화합물 86을 얻었다.
TLC: Rf = 0.45, 실리카 겔, 3/7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도표 17 - 모노사카라이드 93의 합성
제조예 75
1,6-안히드로-4-O-p-메톡시페닐-2-O-토실-β-D-글루코피라노오스 (88)
에폭시드 87(M. Cerny 등의 문헌[Collect. Czech. Commun, 1961, 26, 1542]) 및 p-메톡시페놀(33.3 g 268 mmol)을 아르곤 하에서 90℃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이 액체로 변해갈 때, AlCl3(0.3 g, 2.35 mmol)을 분획씩 가하고 30 분간 교반한 후에 실온으로 다시 냉각시키고, 반응 매질을 디클로로메탄(600 ml)로 희석시키고, 트리에틸 아민(0.5 ml)로 중화시킨 후, 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20 ml),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3 x 60 ml), 10% 황산수소칼륨 수용액(50 ml) 및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50 ml)으로 순서대로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상을 탈수시키고(황산나트륨), 여과한 후 농축시켰다. 잔여물을 에테르로부터의 침전 및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88(19.4 g, 69%)을 얻었다.
TLC : Rf = 0.37, 실리카겔, 6/1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에틸 에테르
제조예 76
1,6-안히드로-4-O-p-메톡시페닐-3-O-메틸-2-O-토실-β-D-글루코피라노오스 (89)
메틸 요오디드(54 ml, 954 mmol) 및 산화은(18.4 g, 79.5 mmol)을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8 ml) 중의 화합물 88(3.36 g, 7.95 mmol)의 용액에 가하였다. 16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혼합물을 여과하고(Celite), 에틸 아세테이트(300 ml)로 희석히키고, 물로 세척하고(3 x 100 ml), 탈수시키고(황산나트륨), 여과하고, 농축하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유도체 89(3.23 g, 80%)를 얻었다.
TLC : Rf = 0.36, 실리카겔, 2/3 부피/부피 시클로헥산/에틸 에테르
제조예 77
1,6-안히드로-4-O-p-메톡시페닐-3-O-메틸-2-O-벤조일-β-D-만노피라노오스 (90)
화합물 89(27.4 g, 62.7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315 ml)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테트라부틸암모늄 벤조에이트(341 g, 940 mmol)을 가하고 용액을 3 시간 동안에 150℃로 유지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매질을 에틸 아세테이트(300 ml)로 희석시키고, 중화될 때까지 물로 세척한 후, 탈수시키고 농축시켰다. 화합물 90에 상응하는 잔여물을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TLC : Rf = 0.53, 실리카겔, 10/1 부피/부피 디클로로메탄/에틸 에테르
제조예 78
1,6-안히드로-4-O-p-메톡시페닐-3-O-메틸-β-D-만노피라노오스 (91)
소듐 메톡시드(13.5 g, 250 mmol)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540 ml, 1/1) 중의 상기 조 잔여물 90의 용액에 가하였다.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매질을 디클로로메탄(500 ml)으로 희석시킨 후, 3% 염산 수용액 및 물로 세척하였다. 탈수시킨 후, 여과하고 농축한 잔여물을 실리카 상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91(10.5 g, 두 단계에서 59%)을 얻었다.
TLC : Rf = 0.29, 실리카겔, 1/1 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에테르
제조예 79
1,6-안히드로-2-O-벤질-4-O-p-메톡시페닐-3-O-메틸-β-D-만노피라노오스 (92)
0℃에서 벤질 브로미드(6.2 ml, 51.9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180 ml) 중의 화합물 91(9.8 g, 34.6 mmol)의 용액에 가한 후 95% 소듐 히드리드(1.16 g, 48.4 mmol)을 가하였다. 16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메탄올(3 ml)을 0℃에서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0 ml)로 희석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탈수시키고, 여과한 후 농축시켰다. 화합물 92에 상응하는 잔여물을 다음 단계에 정제없이 직접 사용하였다. 그러나,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후에 분석용 분획을 얻었다.
[α]20 D = -49(c = 0.73, 디클로로메탄)
제조예 80
1,6-안히드로-2-O-벤질-3-O-메틸-β-D-만노피라노오스 (93)
THF/물 혼합물(311 ml, 17/1)에 상기 조 화합물 92를 용해시킨 후 암모늄 세륨 나이트레이트(76 g, 138 mmol)을 0℃에서 가하였다. 30 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1 l)로 희석시킨 후 2%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이어서 물로 세척하였다. 탈수시킨 후, 여과하고 농축한 잔여물을 실리카 상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93(6.63 g, 두 단계에 걸쳐 72%)을 얻었다.
[α]20 D = -68(c = 1.02, 디클로로메탄)
하기의 노나사카라이드 94를 모노사카라이드 3으로부터 노나사카라이드 24를 제조하기 위하여 수행한 것과 유사한 반응 순서에 따라 모노사카라이드 93으로부터 제조하였다.
도표 18 - 노나사카라이드 96의 합성
제조예 81
O-(6-O-벤조일-4-O-레불리노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1,6-안히드로-3-O-메틸-β-D-만노피라노오스 (95)
5% Pd/C(109 mg)을 디클로로메탄/t-부탄올 혼합물(3.3 ml, 1/2) 중의 화합물 94(759 mg, 0.36 mmol)의 용액에 가하였다. 55℃ 및 10 bar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화합물 95를 다음 단계에서 정제 또는 특성화 없이 사용하였다.
제조예 82
O-(6-O-벤조일-4-O-레불리노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1,6-안히드로-2-O-벤조일-3-O-메틸-β-D-만노피라노오스 (96)
벤조일 클로리드(62 μl, 0.54 mmol) 및 디메틸아미노피리딘(9 mg, 0.073 mmol)을 무수 피리딘(5.4 ml) 중의 화합물 95(726 mg, 0.36 mmol)의 용액에 가하였다. 6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동일한 양의 벤조일 클로리드를 가하고, 35 분 경과 후에, 용액을 농축시키고,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채운후, 10% 황산수소칼륨 수용액, 2%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물로 차례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키고, 여과한 후 농축시켰다. 이어서, 잔여물을 실리카 상에서 정제하여 화합물 96(684 mg, 두 단계에 걸쳐 90%)을 얻었다.
TLC: Rf = 0.5, 실리카 겔, 1/1 부피/부피 톨루엔/아세톤
도표 19 - 노나사카라이드 99의 합성
제조예 83
O-(6-O-벤조일-4-O-레불리노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1,6-디-O-아세틸-2-O-벤조일-3-O-메틸-α,β-D-만노피라노오스 (97)
화합물 96(657 mg, 0.31 mmol)을 제조예 23에서와 같이 아세트산 무수물(4.5 ml), 아세트산(100 μ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19 ml)의 혼합물로 처리하였다.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97(432 mg, 92%)를 얻었다.
TLC: Rf = 0.53, 실리카 겔, 1/1 부피/부피 톨루엔/아세톤
제조예 84
O-(6-O-벤조일-4-O-레불리노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6-O-아세틸-2-O-벤조일-3-O-메틸-α,β-D-만노피라노오스 (98)
THF(6 ml) 중의 화합물 97(382 mg, 0.17 mmol) 및 벤질아민(736 μl, 6.74 mmol)의 용액을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에틸 에테르로 추출한 후에, 유기상을 3% 염산 및 물로 연속해서 세척하고, 탈수시킨 후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98(241 mg)을 얻었다.
TLC: Rf = 0.37, 실리카 겔, 6/2/2 부피/부피/부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에탄올
제조예 85
O-(6-O-벤조일-4-O-레불리노일-2,3-디-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6-O-아세틸-2-O-벤조일-3-O-메틸-α,β-D-만노피라노오스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데이트 (99)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57 μl, 0.56 mmol) 및 탄산세슘(58 mg)을 디클로로메탄(2.2 ml) 중의 화합물 98(241 mg)의 용액에 가하였다.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혼합물을 여과한 후 농축하고 잔여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이미데이트 99(221 mg, 두 단계에 걸쳐 56%)를 얻었다.
TLC: Rf = 0.19, 실리카 겔, 3/2 부피/부피 시클로헥산/아세톤
실시예 1
메틸 O-(2,3,4,6-테트라-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술포-β-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6-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O-(2,3-디-O-메틸-6-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론산)-(1→4)-O-(2,3,6-트리-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론산)-(1→4)-3-O-메틸-2,6-디-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시드, 나트륨 염 (I)
헥사데카사카라이드 46(34 mg, 11μ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1 ml)에 용해시켰다. 술퍼 트리옥시드/트리에틸아민 복합체(180 mg, 0.89 mmol)를 가하고 혼합물을 55℃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트리에틸아민/술퍼 트리옥시드 복합체(5 mol/mol 히드록실 관능기)를 술페이트화될 화합물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5 mg/ml) 중의 용액에 가하였다. 55℃에서 1일 경과 후, 용액을 등록상표 Sephadex G-25 컬럼(1.6 x 115 cm)의 상부에 거치시키고 0.2 M 염화나트륨으로 용출시켰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농축시키고 동일한 컬럼을 사용하여 물로 용출시켜서 탈염시켰다. 동결-건조시킨 후, 화합물 I(47 mg, 87%)를 분말로 얻었다. [α]20 D = +65(c = 1.0 물).
실시예 2
메틸 O-(2,3,4,6-테트라-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술포-β-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6-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O-(2,3-디-O-메틸-6-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론산)-(1→4)-O-(6-O-메틸-2,3-디-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론산)-(1→4)-3,6-디-O-메틸--2-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시드, 나트륨 염 (II)
실시예 3
메틸 O-(2,3,4,6-테트라-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술포-β-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6-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O-(3-O-메틸-2,6-디-O-술포-α-D-만노피라노실)-(1→4)-O-(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론산)-(1→4)-O-(6-O-메틸-2,3-디-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론산)-(1→4)-6-O-메틸-2,3-디-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시드, 나트륨 염 (III)
실시예 4
메틸 O-(2,3,4,6-테트라-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술포-β-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6-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O-(3-O-메틸-2,6-디-O-술포-α-D-만노피라노실)-(1→4)-O-(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론산)-(1→4)-O-(6-O-메틸-2,3-디-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론산)-(1→4)-3,6-디-O-메틸--2-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시드, 나트륨 염 (IV)
실시예 5
메틸 O-(2,3,4,6-테트라-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술포-β-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6-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 3 -O-(2,3-디-O-메틸-6-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론산)-(1→4)-O-(6-O-메틸-2,3-디-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3-O-메틸-2-O-술포-α-L-이도피라노실우론산)-(1→4)-3,6-디-O-메틸-2-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시드, 나트륨 염 (V)
적절한 테트라사카라이드를 적절한 노나사카라이드와 커플링시킨 후 트리사카라이드 41 또는 43과 커플링(제조예 36 또는 38에 기재된 바와 같이)시킨 후, 통상의 탈보호 및 술페이트화 반응을 통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예 2 내지 5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의 경우에, 사용한 테트라사카라이드는 제조예 55에 기재되어 있는 것(화합물 62)이고, 사용한 노나사카라이드는 제조예 25에 기재되어 있는 것(화합물 27)이다.
실시예 3의 경우, 사용한 테트라사카라이드는 제조예 74에 기재되어 있는 것(화합물 86)이고 사용한 노나사카라이드는 제조예 85에 기재되어 있는 것(화합물 99)이다.
실시예 4의 경우, 사용한 테트라사카라이드는 제조예 55에 기재되어 있는 것(화합물 62)이고 사용한 노나사카라이드는 제조예 85에 기재되어 있는 것(화합물 99)이다.
실시예 5의 경우, 사용한 테트라사카라이드는 화합물 68이고 사용한 노나사카라이드는 제조예 25에 기재되어 있는 것(화합물 27)이다.
단위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1 5.08 4.68 5.07 5.08
2 4.93 5.02 5.02 4.93
3 5.37 5.41 5.43 5.37
5 5.49 5.57 5.48 5.57
6 4.66 4.71 4.65 4.70
7, 9, 11 5.67 5.67 5.68 5.67
4, 8, 10, 12 4.39-4.49 4.39-4.49 4.37-4.47 4.39-4.39
13 5.61 5.61 5.60 5.61
14 4.8 4.94 4.93 4.93
15 5.59 5.59 5.59 5.59
16 5.69 5.69 5.69 5.68
1H-NMR(D2O, 4.80 ppm) H-1 양성자의 δ(ppm):
단위(unit) 1 = 환원성 말단을 갖는 단위
단위 16 = 비-환원성 말단을 갖는 단위
"음이온 전자 분무 이온화"(ESI) 질량 분석 방법
실시예 화학식 계산치 측정치
2 C129H224O128S15 4304.1 4304.5
3 C127H220O134S17 4436.2 4436.2
4 C128H222O131S16 4370.1 4370.4
5 C128H222O131S16 4370.1 4370.5

Claims (11)

  1. 음이온 형태가 하기 화학식 (I) 내지 (V) 중 하나에 상응하는 것인, 산 형태의 합성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
    본 발명의 활성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나트륨 또는 칼륨 염 형태의 폴리사카라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메틸 O-(2,3,4,6-테트라-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술포-β-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6-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α-D-글루코피라노실)-(1→4)-O-(2,3,6-트리-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1→4)]3-O-(2,3-디-O-메틸-6-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β-D-글루코피라노실우론산)-(1→4)-O-(2,3,6-트리-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실)-(1→4)-O-(2,3-디-O-메틸-α-L-이도피라노실우론산)-(1→4)-3-O-메틸-2,6-디-O-술포-α-D-글루코피라노시드, 나트륨 염인 폴리사카라이드.
  4. 활성 성분으로서 제약상 허용되는 염기와의 염 형태 또는 산 형태의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사카라이드를 불활성이고 비독성인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와의 배합물 또는 혼합물로서 포함하는 응고 기능 장애와 관련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적어도 1 종의 제약상 부형제와 혼합되어 있는 투여 단위 형태의 제약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각 투여 단위가 0.1 내지 100 mg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각 투여 단위가 0.5 내지 50 mg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8. 삭제
  9. 심혈관계 및 뇌혈관계 질환; 동맥경화증 및 당뇨병에 연관된 혈전색전증 질환; 또는 혈전 용해 후의 재혈전증, 경색, 허혈에 기인한 치매, 말초동맥 질환, 혈액 투석 또는 심방세동에 연관된 또는 대동맥-관상(aorto-coronary) 브릿지 맥관 인공삽입물의 사용 동안의 혈전색전증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사카라이드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혈전색전증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혈관확장술, 동맥내막절제술 또는 혈관내 인공 삽입물의 장착 후의 재협착증, 불안정 협심증(angina) 또는 졸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KR10-2000-7007824A 1998-01-19 1999-01-13 합성 폴리사카라이드,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함유한제약 조성물 KR100513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0515 1998-01-19
FR9800515A FR2773804B1 (fr) 1998-01-19 1998-01-19 Polysaccharides de synthese,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 conten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4189A KR20010034189A (ko) 2001-04-25
KR100513196B1 true KR100513196B1 (ko) 2005-09-07

Family

ID=9521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824A KR100513196B1 (ko) 1998-01-19 1999-01-13 합성 폴리사카라이드,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함유한제약 조성물

Country Status (41)

Country Link
US (1) US6528497B1 (ko)
EP (1) EP1049721B1 (ko)
JP (1) JP4402835B2 (ko)
KR (1) KR100513196B1 (ko)
CN (1) CN1165550C (ko)
AR (1) AR013019A1 (ko)
AT (1) ATE209219T1 (ko)
AU (1) AU741748B2 (ko)
BR (1) BRPI9907025B8 (ko)
CA (1) CA2317465C (ko)
CO (1) CO4970795A1 (ko)
CZ (1) CZ297815B6 (ko)
DE (1) DE69900718T2 (ko)
DK (1) DK1049721T3 (ko)
DZ (1) DZ2709A1 (ko)
EE (1) EE04157B1 (ko)
EG (1) EG23982A (ko)
ES (1) ES2168000T3 (ko)
FR (1) FR2773804B1 (ko)
GT (1) GT199900003A (ko)
HK (1) HK1030002A1 (ko)
HR (1) HRP20000480B1 (ko)
HU (1) HU228333B1 (ko)
IL (1) IL137241A0 (ko)
MA (1) MA26597A1 (ko)
MY (1) MY119090A (ko)
NO (1) NO329903B1 (ko)
NZ (1) NZ505492A (ko)
PE (1) PE20000269A1 (ko)
PL (1) PL202802B1 (ko)
PT (1) PT1049721E (ko)
RU (1) RU2211224C2 (ko)
SA (1) SA99191113B1 (ko)
SI (1) SI1049721T1 (ko)
SK (1) SK283411B6 (ko)
TR (1) TR200002078T2 (ko)
TW (1) TW548279B (ko)
UA (1) UA60352C2 (ko)
UY (1) UY25356A1 (ko)
WO (1) WO1999036443A1 (ko)
ZA (1) ZA993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4463B1 (fr) * 2000-09-22 2002-11-15 Sanofi Synthelabo Nouveaux polysaccharides a activite antithrombotique comprenant au moins une liaison covalente avec la biotine ou un derive de la biotine
FR2874924B1 (fr) 2004-09-09 2006-12-01 Sanofi Aventis Sa Hexadecasaccharides biotinyles,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therapeutique
TWI403334B (zh) 2004-12-23 2013-08-01 Merck Sharp & Dohme 包含生物素殘基之抗血栓雙重抑制劑
GB0507577D0 (en) 2005-04-14 2005-05-18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IL188647A0 (en) 2008-01-08 2008-11-03 Orina Gribova Adaptable structured drug and supplements administration system (for oral and/or transdermal applications)
WO2009130704A1 (en) * 2008-04-24 2009-10-29 Technion Research And Development Foundation Ltd. Beta-lactoglobulin-polysaccharide nanoparticles for hydrophobic bioactive compounds
KR101529061B1 (ko) 2008-05-30 2015-06-16 모멘타 파머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당류 구조물, 그리고 이러한 구조물의 제조 및 사용 방법
FR2935386B1 (fr) * 2008-08-26 2010-09-10 Sanofi Aventis Nouveaux polysaccharides a activite antithrombotique comprenant une liaion covalente avec une chaine amine
WO2010117803A2 (en) * 2009-03-30 2010-10-14 University Of Georgia Research Foundation, Inc. Heparan sulfate synthesis
EP2451442A4 (en) 2009-07-09 2014-02-12 Oshadi Drug Administration Ltd MATRIX COMPOSITION COMPOSITIONS, METHODS AND USES
US8288515B2 (en) 2009-07-31 2012-10-16 Reliable Biopharmaceutical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Fondaparinux sodium and intermediates useful in the synthesis thereof
FR2949114B1 (fr) 2009-08-14 2011-08-26 Sanofi Aventis OCTASACCHARIDES N-ACYLES ACTIVATEURS DES RECEPTEURS DES FGFs,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FR2949115B1 (fr) 2009-08-14 2012-11-02 Sanofi Aventis OLIGOSACCHARIDES N-SULFATES ACTIVATEURS DES RECEPTEURS DES FGFs,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US8420790B2 (en) 2009-10-30 2013-04-16 Reliable Biopharmaceutical Corporation Efficient and scalable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Fondaparinux sodium
EP2614089A1 (fr) 2010-09-10 2013-07-17 Sanofi-Aventis Polysaccharides biotinyles a activite antithrombotique et presentant une stabilite metabolique amelioree
US9005664B2 (en) 2010-10-17 2015-04-14 Technion Research And Development Foundation Ltd. Denatured lactoglobulin and polyphenol coassemblies
FR2970969B1 (fr) 2011-01-27 2013-10-18 Sanofi Aventis Oligosaccharides 3-o-alkyles activateurs des recepteurs des fgfs,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60933A (en) * 1993-07-16 1996-07-26 Hercules Inc Cation-complexed polysaccharides; use in foods and pharmaceuticals
FR2749849B1 (fr) * 1996-06-14 1998-09-04 Sanofi Sa Polysaccharides synthetiques,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contenant
CZ427499A3 (cs) * 1998-05-29 2000-05-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Jemné topické antimikrobiální přípravk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Z2709A1 (fr) 2003-09-01
ES2168000T3 (es) 2002-05-16
BR9907025B1 (pt) 2013-12-10
NZ505492A (en) 2001-12-21
DE69900718T2 (de) 2002-08-22
FR2773804A1 (fr) 1999-07-23
CN1288470A (zh) 2001-03-21
ATE209219T1 (de) 2001-12-15
ZA99355B (en) 2000-10-11
DK1049721T3 (da) 2002-04-02
TR200002078T2 (tr) 2000-11-21
EE200000429A1 (et) 2003-06-16
PL341875A1 (en) 2001-05-07
CZ20002635A3 (cs) 2000-12-13
EE04157B1 (et) 2003-10-15
SA99191113B1 (ar) 2006-10-11
AR013019A1 (es) 2000-11-22
BR9907025A (pt) 2000-10-17
NO20003662D0 (no) 2000-07-17
PL202802B1 (pl) 2009-07-31
EP1049721B1 (fr) 2001-11-21
CZ297815B6 (cs) 2007-04-04
EP1049721A1 (fr) 2000-11-08
HK1030002A1 (en) 2001-04-20
HRP20000480A2 (en) 2000-12-31
CA2317465C (en) 2008-05-20
NO20003662L (no) 2000-09-14
AU1974599A (en) 1999-08-02
PT1049721E (pt) 2002-05-31
US6528497B1 (en) 2003-03-04
TW548279B (en) 2003-08-21
EE200000429A (et) 2001-12-17
KR20010034189A (ko) 2001-04-25
IL137241A0 (en) 2001-07-24
SI1049721T1 (en) 2002-06-30
EG23982A (en) 2008-02-27
RU2211224C2 (ru) 2003-08-27
WO1999036443A1 (fr) 1999-07-22
UY25356A1 (es) 2000-10-31
NO329903B1 (no) 2011-01-24
PE20000269A1 (es) 2000-06-15
CA2317465A1 (en) 1999-07-22
GT199900003A (es) 2000-07-07
CO4970795A1 (es) 2000-11-07
DE69900718D1 (de) 2002-02-21
FR2773804B1 (fr) 2000-02-18
HRP20000480B1 (en) 2002-04-30
HU228333B1 (en) 2013-03-28
JP4402835B2 (ja) 2010-01-20
MA26597A1 (fr) 2004-12-20
SK10782000A3 (sk) 2001-02-12
SK283411B6 (sk) 2003-07-01
CN1165550C (zh) 2004-09-08
UA60352C2 (uk) 2003-10-15
MY119090A (en) 2005-03-31
HUP0102009A3 (en) 2003-07-28
AU741748B2 (en) 2001-12-06
JP2002509164A (ja) 2002-03-26
BRPI9907025B8 (pt) 2016-09-13
HUP0102009A1 (hu) 200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3196B1 (ko) 합성 폴리사카라이드,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함유한제약 조성물
JP5016778B2 (ja) ビオチンまたはビオチン誘導体との少なくとも一つの共有結合を含み抗血栓活性を有するポリサッカライド
JP3345020B2 (ja) 合成ポリサッカライド、それらの製造法およびそれらを含む医薬組成物
KR100533565B1 (ko) 신규한 오당류,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JP3501813B2 (ja) 合成ポリサッカライド、それらの製造法およびそれらを含む医薬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