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832B1 - 렌지후드팬 - Google Patents

렌지후드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832B1
KR100496832B1 KR10-2002-0057256A KR20020057256A KR100496832B1 KR 100496832 B1 KR100496832 B1 KR 100496832B1 KR 20020057256 A KR20020057256 A KR 20020057256A KR 100496832 B1 KR100496832 B1 KR 100496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flow
vortex
rectifying plate
hood body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5880A (ko
Inventor
도쿠카와긴
하야마야스유키
Original Assignee
후지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89126A external-priority patent/JP39433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33144A external-priority patent/JP3906093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지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25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가열조리기구가 전자유도가열식 쿠킹히터라 해도, 상승기류의 포집(捕集)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렌지후드팬을 제공한다. 정류판(a2)을 수용하는 후드체(a1)의 좌우측판(a1b)(a1b)과 그 정류판(a2)의 사이에 간극(S)(S)을 확보하고, 동 정류판(a2)의 배후에 그 간극(S)(S)으로부터 상승기류(B)를 흡인하여 배기하는 배기장치(a4)를 설치하고, 상기 정류판(a2)을, 상승기류(B)가 충돌하는 부위를 포함하여 형성된 아랫쪽으로의 가이드면(a2a)과, 그 가이드면(a2a)에 연속하여 전방을 향하여 원호형상으로 만곡형성된 컬 형상면(a2b)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커버(a5)에 생성되는 와류(渦流)(Q)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경사 상향으로 와세력 증강용의 제어류(F)를 분출하는 제어류 분출부(21)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 가이드면(a2a)에서 하향으로 안내되는 상승기류(B)를, 원호형상으로 만곡형성한 컬 형상면(a2b)로 안내하는 그 부압작용으로 와류(Q)를 발생시키고, 그 와류(Q)에 와세력증강용의 제어류(F)를 작용시켜, 상승기류(B)의 상승을 저해하지 않고 소요세력의 와류(Q)를 안정적으로 생성한다.

Description

렌지후드팬{RANGE HOOD FAN}
본 발명은 가스곤로, 전기곤로 및 전자유도가열식 쿠킹히터(IH히터)용으로서도 적합한 렌지후드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렌지후드팬은 평형, 부트(boot)형 등이라 호칭되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필터배후에 배기장치를, 필터전방과 후드체와의 사이에 상승기류의 포집공간을 각각 구비하고, 그 포집공간에서 상승기류의 실내에의 누기(漏氣)를 저지하면서, 그 필터로 상승기류에 포함된 유지분을 제거하고, 배기장치로 옥외로 배기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또, 필터의 전방에 후드체의 천판(天板), 좌우측판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어 정류판(整流板)이라고 호칭되는 면판을 배치하고, 그 간극으로부터 정류판에서 안내되는 상승기류를, 풍속을 높여서 배기장치에서 흡인하는 구성으로 하여, 후드체 밖으로의 상승기류의 누기를 방지하는 타입의 렌지후드팬도 존재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가열조리기구로서 보급되고 있는 것은, 도시가스, LP가스등을 연료로 하는 가스곤로나 전기곤로이지만, 오늘날에는 전자유도가열식 쿠킹히터(IH히터)의 요구가 높아져 가고 있고, 그 전자유도가열식 쿠킹히터용 렌지후드팬의 제공도 급선무로 되고 있다.
또, 가스곤로는 조리하는 남비등으로부터의 수증기와 함께 이산화탄소나 경우에 따라서는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물질을 포함한 연소가스로 된 비교적 강한 상승기류를 발생시킨다.
전기곤로는, 가스곤로보다 강한 것은 아니지만, 조리시에 상승기류를 발생시킨다.
한편, 전자유도가열식 쿠킹히터는, 조리시에 약한 상승기류(수증기를 포함한 조리냄새)를 발생시키는데 그친다.
그 때문에, 특히 상기 전자유도가열식 쿠킹히터에서는, 종래의 렌지후드팬을 사용하여도 상승기류가 약하기 때문에, 조리시에 발생하는 그 상승기류를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배기하기에는 불충분한 것이며, 상승기류(수증기를 포함한 조리냄새)가 포집되지 않고, 사방으로 확산되어 주방의 천정등을 더럽혀 버리는 문제 외에, 상승기류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수증기가 후드체나 내부의 구성부재에 부착하여 조리용기나 조리중의 요리를 더럽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가열조리기구가 전자유도가열식 쿠킹히터라 해도, 상승기류의 포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렌지후드팬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상기 상승기류의 포집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생성되는 와류(渦流)를 향하여 분출되는 제어류용의 실내 도입에어에 상승기류가 흡기되지 않고, 동 상승기류의 상승을 저해하는 일이 없는 렌지후드팬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상기 상승기류의 포집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생성되는 와류를 향하여 분출되는 제어류로서 배기수단을 송풍원으로 하는 배기류를 유효하게 이용하는 렌지후드팬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구한 기술적수단은, 청구항 1에서는 후드체와, 후드체내에 있어서 가열조리기구 윗쪽에 설치되어 상승기류를 하향으로 안내하여 코안다효과(Coanda effect)로 와류를 생성하는 와류생성체와, 상기 후드체의 필터배후 또는 후드체 밖에 설치되어 상기 와류생성체에서 생성된 와류를 흡인하여 배기하는 배기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청구항 2와 같이, 가열조리기구 윗쪽에 후드체의 좌우측판과의 사이 및 천판과의 사이에 간극을 확보하여 설치된 정류판으로 상기 와류생성체를 구성하고, 그 정류판은 상승기류가 충돌하는 부위를 포함하여 형성된 아랫쪽으로의 가이드면과, 그 가이드면에 연속하여 전방을 향하여 원호형상으로 만곡형성된 컬 형상면을 갖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와류생성체에 부딪치는 상승기류를 하향으로 안내하여 코안다효과로 와류를 발생시킨다. 이 코안다효과는 벽면을 따라 흐르는 상승기류가 그 벽면을 따라 안내될때, 부압작용을 낳고, 그것에 의해 와류를 발생시키는 유체현상이다. 이 와류에 의해 매우 약한 상승기류를 그 세력으로 말려 들어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유도가열식 쿠킹히터(IH히터)를 가열조리기구로 하는 것이라도, 그 약한 상승기류를 후드체 밖으로 확산시키는 일이 없이 재빨리 끌어 당겨 포집하여 배기함으로써 포집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와류생성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생성되는 와류에 그 접선방향을 향하여 동 와류의 세력을 증강시키는 제어류 분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소요 세력의 와류를 안정생성하여 상승기류의 포집효율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대단히 유효한 것이 된다.
더욱이, 상기 제어류 분출부로부터 분출하는 그 제어류를 실내로부터 도입하고, 그 공기의 도입부를 조리에 수반한 상승기류가 임하지 않는 부분에 설치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청구항 4 기재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직각 삼각형상을 나타내는 후드체의 전방 개방부의 하부를 커버로 폐쇄하고, 그 상부에 후드체의 좌우측판과의 사이에 간극을 통하여 정류판을 배치함과 동시에, 그 정류판의 배후에 필터를 배치하고, 그 필터의 배후 또는 후드체 밖에 배기장치를 구비하고, 그 정류판을, 상승기류가 충돌하는 부위를 포함하여 형성된 아랫쪽으로의 안내면과, 그 안내면에 연속하여 전방을 향하여 원호형상으로 만곡형성된 컬 형상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커버에, 생성되는 와류의 접선방향으로 설치하여 아랫쪽으로부터 경사 상향으로 와류세력증강용의 제어류를 분출하는 제어류 분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류 분출부로부터 분출하는 제어류용의 실내공기의 도입부를 상기 상승기류가 임하지 않는 부분에 설치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류 분출부에의 실내공기의 도입부는 상승기류가 임하지 않는 양측판, 천판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 사이드에 월 캐비닛이 인접하여 설치되는 주방의 경우에는 천판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생성되는 와류를 향하여 아랫쪽의 제어류 분출부로부터 제어류를 분출하여 소요세력의 와류를 안정생성하여 상승기류의 포집효율을 향상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류 분출부에의 공기의 도입방식이 접속덕트를 통한 옥외도입방식이라면, 상승기류를 흡기하는 일은 없지만, 배관공사를 번잡하게만 할 뿐 아니라, 공사비용을 고등(高騰)시키고, 더욱이 제어된 실내온도를 불규칙하게 만든다.
여기에서, 청구항 1, 4 등에서는 실내순환방식으로 하고 있다. 단순히 실내공기의 도입부를 설치한 것만으로는, 상승기류를 흡기하여 포집효율을 저하시킨다. 그 때문에, 상기 제어류 분출부로부터 분출하는 제어류의 실내공기의 도입부를 상기 상승기류가 임하지 않는 부분에 설치하여, 상승기류가 제어류용의 에어로서 도입되지 않도록 하여, 상승기류의 상승세력을 방해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또, 청구항 2에 있어서는, 상기 도입부와 제어류 분출부를 도중에 배기장치의 구동원을 냉각하는 냉각부를 갖는 로드(Road)로 연락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실내공기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배기장치의 구동원을 냉각하고 있다.
또, 청구항 3에 있어서는, 제어류 분출부는 정류판의 아랫쪽에 있어서의 후드체의 폭방향 중앙에 설치한 조명을 끼고 좌우로 설치되며, 양 제어류 분출부의 조명측 부분을 윗쪽으로 연장했을때 교차하도록 정면에서 볼때 상향 경사상으로 설치하여 와류생성체로 생성되는 와류를 와류생성체의 폭방향 전장에 걸쳐 균일하게 발생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렌지후드팬에서는, 조리상태 등을 보기 위해 조명이 폭방향의 중간부위에 장착 설치되어 있다. 후드체의 중앙부위에 설치하는 경우, 후드체의 천판측에 설치하면 정류판과 동 천판과의 사이에 확보되어 있는 간극을 그 조명이 가리고, 배기상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이 청구항 6에서는 정류판의 아랫쪽에 있어서의 후드체의 폭방향 중앙에 조명을 장착 설치하고, 그 조명을 끼고 좌우에 제어류 분출부를 설치하고 있다. 그 결과, 제어류가 다른 정면에서 볼때 상향인 분출에서는 조명 바로 위의 영역부분에서의 와류의 안정생성을 할 수 없게 한다. 그 때문에, 조명 바로 위의 영역에도 제어류가 작용하는 구성을 채용하여, 와류생성체의 폭방향 전장에 걸쳐 균일하게 제어류를 작용시켜 소요세력의 와류를 동 와류생성체의 전체폭에서 안정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그 제어류는 청구항 5, 6에 기재한 바와 같이, 배기장치를 송풍원으로 하는 배기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제어류 공급용의 송풍원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류를 제어류로서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 제어류는 탈취수단을 거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청구항 7, 8). 그 탈취수단으로서는, 가스곤로, 전기곤로, 전자유도가열식 쿠킹히터 각각에서 발생하는 가스류의 성분을 효과적으로 흡착제거하거나 분해제거하는 적합한 수단을 가열조리기구별로 선택사용한다. 그리고 이 탈취수단은, 새것과 교환가능하게 하거나, 청소를 위해 탈착가능하게 하는 것이 자유로운 것이다.
또, 상기 제어류의 풍속을 배기장치의 배기량에 관계없이 소정으로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좋은 것이다.(청구항 9, 10). 상기와 같이 상승기류를 하향으로 안내하여 코안다효과로 생성되는 와류를 안정적으로 얻는데는 소정 풍속에서의 제어류에 의한 보조가 가장 적합하다. 배기장치의 배기량이 감소하면, 제어류의 분출풍속도 스스로 감소하여 와류를 안정적으로 생성하는데 필요한 제어류의 공급량을 행할 수 없게 한다. 반대로 배기장치의 배기량이 증대하면, 제어류의 분출풍속이 증대하여 상승기류의 상승을 방해하여 후드체측으로 확산시키고, 와류의 안정생성을 저해한다. 이 때문에, 배기장치의 배기량(「강」,「중」,「약」으로의 전환)의 다소에 관계없이 상승기류를 날려버리지 못하고, 더욱이 와류를 안정생성하는 소요의 풍속의 소정풍속에서의 제어류를 가동(稼動)중에는 항시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그 제어류의 풍속은 2~3m/sec가 적합하다(청구항 11, 12, 13). 2m/sec미만이면, 코안다효과로 생성되는 와류를 안정적으로 생성하기에는 약하고, 3m/sec를 넘으면, 와류의 안정적인 생성을 저해하는 난류를 만들게 된다.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렌지후드팬의 실시형태를 설명하면, 도 1~4는 전자유도가열식 쿠킹히터(IH히터)를 가열조리기구로 하는 렌지후드팬의 제1실시형태를, 도 5~도 18은 동 제2실시형태를, 도 19는 동 제3실시형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렌지후드팬(A)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체(a1), 그 후드체(a1)내에 설치한 와류생성체(a2), 그 와류생성체(a2)의 배후에 배치한 필터(a3)와, 필터(a3)의 배후공간에 설치한 배기장치(a4)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후드체(a1)는, 도 2, 도 3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판(a1a), 좌우측판(a1b)(a1b), 배면판(a1c)으로 된 측면에서 볼때 직각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경사면에 상당하는 전방을 개방시키고 있다.
와류생성체(a2)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류판(후술에서는 부호 a2를 붙여 설명한다)이라고 호칭되는 면판이고, 도 2, 도 3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체(a1)에 있어서의 전방개방부의 하반부를 커버(a5)로 폐쇄함으로써 남겨진 그 상반부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정류판(a2)은, 동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체(a1)내에 수용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수증기를 포함한 조리냄새(상승기류)(B)가 정확히 충돌하는 부위를 포함하여 전체폭에 걸쳐 형성된 아랫쪽으로의 가이드면(a2a)과, 그 가이드면(a2a)의 하위(下位)에 동 가이드면(a2a)에 연속하여 전방을 향하여 전체 폭에 걸쳐 원호형상으로 만곡형성된 컬 형상면(a2b)으로 되어 있다.
이 컬 형상면(a2b)은, 상세하게는 가장 배면판(a1c)측 근처의 중도부보다도 최하단을 전방에 위치시킨 원호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정류판(a2)은, 동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드체(a1)내의 일단(一段) 안쪽으로 뻗은 위치에 설치된 필터(a3)의 지지판(a3a)에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판(a3a)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 웅덩이 형상을 나타내고, 후드체(a1)의 천판(a1a) 전측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절곡형성된 조작부용의 부착면(a1d)하단과, 상기 커버(a5)의 상단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정류판(a2)을 수용하고, 또한, 그 정류판(a2) 배후의 바닥부분에 필터(a3)를 계탈(係脫)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지지판(a3a)의 좌우측 가장자리는, 후드체(a1)의 좌우측판(a1b)(a1b)내면에 맞접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정류판(a2)은, 동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가장자리와 상기 지지판(a3a)의 상측 편부(a3a-1)와의 사이 및 좌우측 가장자리와 후드체(a1)의 좌우측판(a1b)(a1b)과의 사이에 흡인용의 간격(S)이 형성되도록 필터(a3)의 전방으로 후드체(a1)에 수용상으로 설치된다.
또, 이 정류판(a2)은, 상단 근방부분을 적절한 수단으로 지지판(a3a)에 지지하고, 하단부분을 동 지지판(a3a)의 하단부분에 부착하고 있다.
상기 지지판(a3a)의 배후공간에는, 옥외로 배기하는 시로코 팬으로 된 배기장치(a4)가 수용되며, 그 배기장치(a4)와 상기 커버(a5)와의 사이에는, 동 커버(a5)에 임하여 소형인 시로코 팬으로 된 송풍기(4)(4)를 수용하는 수용실(4a)(4a)을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수용실(4a)의 표면부를 구성하는 커버(a5)부분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소형인 송풍기(4)(4)의 제어류 분출부(21)(21)가 개구되어 있다(도 2, 도 3, 도 4 참조).
상기 제어류 분출부(2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a5)의 상부측에 커버(a5)를 따라 경사 상향으로 에어류를 분출하도록 후드체(a1)의 폭방향을 간격을 두고 슬릿상으로 개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커버(a5)의 상부측을 슬릿상으로 개구한 후, 그 개구 상측 가장자리측의 커버(a5)부분을 수용실(4a)내측을 향하여 경사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커버(a5)를 따라 경사 상향으로 에어류가 분출하도록 개구된다. 이것에 의해, 이 제어류 분출부(21)로부터의 에어류가, 후술되는 와류(Q)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경사 상향으로 분출하는 와세력 증강용의 제어류(F)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컬 형상면(a2b)의 곡률을 ψ90mm로 하고, 그 컬 형상면(a2b)의 최하단측 가장자리와 지지판(a3a) 하측 가장자리와의 연설(連設)곡률을 ψ10mm하고 있다.
또, 상기한 가이드면(a2a)으로서는, 대략 수평상, 완만 경사상, 완만 만곡형상 등, 하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형상을 채용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렌지후드팬은, 조리에 수반되어 발생하는 수증기를 포함한 조리냄새(상승기류)(B)를, 정류판(a2)의 가이드면(a2a)에 충돌시켜 하향으로 안내하고, 그 가이드면(a2a)에 연속하여 전방을 향하여 원호형상으로 만곡형성한 컬 형상면(a2b)에서 다시 안내할때 부압작용을 낳고, 그것에 의해 와류(Q)를 생성한다.
그 와류(Q)에, 상승기류(B)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와류(Q)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경사 상향으로 와세력 증강용의 제어류(F)를 제어류 분출부(21)로부터 커버(a5) 상부를 따라 경사 상향으로 분출하고, 그것에 의해 상승기류(B)를 재빨리 도입하는 소요 세력의 와류(Q)를 더욱 안정시켜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도 2, 도 3, 도 4 참조).
이 와류(Q)를 후드체(a1)의 좌우측판(a1b)(a1b)과 정류판(a2)과의 사이에 확보된 좌우의 간극(S)(S)으로부터 분담하여 필터(a3)를 거쳐 배기장치(a4)로 흡인하고, 옥외로 배기한다(도 3, 도 4 참조).
이것에 의해, 후드체(a1) 밖으로 확산하는 일 없이, 상승기류(B)를 고효율로 포집하여 배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면(a2a)에 충돌했을때, 하향으로 안내되지 않는 상승기류(B)도 존재하지만, 상기 지지판(a3a)의 상측 편부(a3a-1)와 정류판(a2)의 상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간극(S)으로부터 흡인된다.
(실시예)
전폭 750mm, 안길이 630mm, 전체높이 450mm의 후드체(a1)에 상기와 같이 상승기류(B)가 정확히 충돌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형성한 완만한 경사상의 가이드면(a1a)의 하위에 연속하여 ψ90mm의 컬 형상면(a1b)을 전향(前向) 원호형상으로 만곡형성하고, 또 상기 지지판(a3a)의 상측편부(a3a-1)와 정류판(a2) 상측 가장자리와의 간극(S)으로부터의 흡인풍속을 2~3m/sec, 후드체(a1)의 좌우측판(a1b)(a1b)과 정류판(a2) 좌우측 가장자리와의 간극(S)으로부터의 흡인풍속을 0.5~2m/sec로 각각 설정하고, 38도의 경사각도(앙각(仰角))로써 제어류 분출부(21) 각각으로부터 소정 풍속 2~3m/sec으로 제어류(F)를 분출하였다.
이것에 의하면, 목시(目視)이지만, 수증기를 포함한 조리냄새(상승기류)(B)는, 생성되는 와류(Q)에 끌어 당겨져 말려 들어가서 후드체(a1)로부터 누기되는 일 없이 포집하여 배기되는 것이었다.
다음에, 도 5~도 18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하면, 이 렌지후드팬은, 도 5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체(a1), 후드체(a1)내에 설치한 와류생성체(a2), 그 와류생성체(a2)의 배후에 설치한 필터(a3) 및 그 지지판(a3a), 지지판(a3a) 하위레벨에 가로로 설치된 결로수 안내판(a6), 필터(a3)의 배후공간에 설치한 배기장치(a4), 상기 와류생성체(a2)의 아랫쪽에 설치된 조명(1), 조명(1)을 끼고 좌우로 배치되어 생성된 와세력을 증강시키는 제어류 분출부(21)(21), 양 제어류 분출부(21)(21)간에 배치된 폐기용 액체용기(2)등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후드체(a1), 와류생성체(정류판)(a2)는, 상기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 부호를 붙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 정류판(a2)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체(a1)내의 일단 안쪽으로 뻗은 위치에 설치된 지지판(a3a)에 상반부(절반부)측을, 또 하반부(다른 절반부)측을 결로수 안내판(a6)에 각각 계탈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상기 결로수 안내판(a6)은, 동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길이방향 중도부를 최하단으로 하는 편평한 V자 형상을 나타내고, 좌우단을 후드체(A1)의 좌우측판(a1b)(a1b)에 지지시켜 배기장치(a4)의 하측 공간을 횡단하도록 횡설하여 이루어지고, 후단을 후술하는 냉각부(13)의 하단 개방부에 지지시키고, 그 최하단부위인 첨두부(尖頭部)에 결로수의 낙하구멍(a6a)에 구멍을 개방시키고 있다(도 11, 도 12, 도 13, 도 15 참조).
상기 지지판(a3a)은, 동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 웅덩이 형상을 나타내고, 후드체(a1)의 천판(a1a) 전측 가장자리에 하향으로 절곡형성된 조작부용의 부착면(a1d), 결로수안내판(a6)에 있어서의 정류판(a2)보다 약간 후방의 전반(前半部) 부분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정류판(a2) 배후의 바닥부분에 필터(a3)를 계탈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정류판(a2)은, 동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가장자리와 상기 지지판(a3a)의 상측편부(a3a-1)와의 사이 및 좌우측 가장자리와 후드체(a1)의 좌우측판(a1b)(a1b)과의 사이에 흡입용의 간극(S)(S)이 형성되도록 필터(a3)의 전방에 수용상으로 설치되고, 부착수단을 통하여 지지판(a3a)에 계탈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상기 지지판(a3a)과 결로수 안내판(a6)으로 구획된 배후공간에는, 동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덕트(D)에 접속하여 옥외에 배기하는 시로코 팬으로 된 배기장치(a4)가 수용되고, 그 결로수 안내판(a6)의 하위공간에는, 도 6~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형상의 커버(a5)에 임하여 소형인 시로코 팬으로 된 송풍기(4)(4)가 조명(1)을 끼고 좌우로 설치되며, 그 송풍기(4)(4)에 연락(連絡)하는 제어류 분출부(21)(21)를, 양 송풍기(4)(4)간에 설치한 조명(1) 바로 위의 폐기용 액체용기(결로수 용기)(2)를 끼고 그 양 사이드의 만곡형상의 커버(a5)부분에 길이방향 거의 전장에 걸쳐 설치하고 있다.
또, 이 제2실시형태에서는, 조리시에 발생하여 상승하는 상승기류가 임하지 않는 부분, 즉, 후드체(a1)의 천판(a1a)부분 후단부분에, 도 5,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실내공기의 도입부(5)…를 개공(開孔)하고, 그 도입부(5)…와 상기 제어류 분출부(21)(21)를 도중에 배기장치(a4)의 구동원(a4a)을 냉각하는 냉각부(13)를 갖는 길(3)로 연결시키고 있다.
상기 길(3)은, 후드체(a1)의 배면판(a1c)을 하나의 구성부재로서 상단, 하단 쌍방을 개방하는 에어 챔버(3a)와, 그 에어 챔버(3a)의 하단개방부에 연통하는 상기 결로수 안내판 하공간(3b)으로 되고, 그 결로수 안내판 하공간(3b)에 상기한대로 송풍기(4)(4)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에어챔버(3a)내에 구동원(모터)(a4a)의 후반부를 배치하여 냉각부(13)로서, 후드체(a1)의 천판(a1a)에 개공되어 있는 도입부(5)로부터 흡기되는 실내공기가 배기장치(a4a)의 구동원(모터)(a4a)을 냉각시키면서 결로수 안내판 하공간(3b)을 경유하여 2개의 송풍기(4)(4)에서 흡기되는 경로를 거쳐 제어류 분출부(21)(21)로부터 실내를 향하여 분출되도록 되어 있다(도 7~도 10 참조).
상기 제어류 분출부(21)(21)는, 상기 2개의 송풍기(4)(4)의 토출구에 각각 개별적으로 접속된 박스상 유로(211)(211)와, 상기 만곡형상의 커버(a5)에 개공된 분출공(212)…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박스상 유로(211)(211) 각각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방향 중앙의 조명(1)을 끼우는 양 옆의 공간부보다도 약간 폭이 좁은 내부 중공으로 한 횡장체(鐄長體)로 된 박스체이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길이방향 전장에 걸쳐 방해판(211a)을 횡설하고, 그 박스체의 출구에 분출노즐(211b)을 폭방향 전장에 걸쳐 돌출상으로 연이어 설치하고, 그 분출노즐(211b)의 출구에 임하는 만곡형상의 커버(a5)부분의 평단면(a5a)에 열상(列狀)으로 간격을 두고 개공되어 있는 분출구멍(212)군으로부터, 후술되는 와류(Q)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아랫쪽으로부터 경사 상향으로 제어류(F)를 분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만곡형상 커버(a5)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평단면(a5a)으로부터 바로 상위의 부분에 와류(Q)의 접선방향을 향하는 직선상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 그 박스상 유로(211)의 분출노즐(211b)은, 조명측 부분(상세하게는 좌우 쌍방의 절반부 부분)을 윗쪽으로 연장했을때 교차하도록 정면에서 볼때 상향 경사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조명측 부분(상세하게는 좌우쌍방의 절반부 부분)내에, 그 전체 높이에 걸친 길이를 갖는 파형재(211c)를 정면에서 볼때 경사상으로 내설(內設)하고, 조명(1) 전방을 상승하는 상승기류(B)도 양호하게 정류판(a2)에 중앙부에 확실하게 안내하도록 제어류(F)를 분출하여 와류(Q)를 동 정류판(a2)의 폭방향 전장에 걸쳐 균일하게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
조명(1)은, 상기 결로수 안내판 하공간(3b)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송풍기(4)(4)사이에 수용상으로 설치되며 도 11, 도 12, 도 15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매의 반사판(11)으로 된 수용부(11)내에 조명기구(31)를 착탈가능하게 수용함과 동시에, 커버(a5)에 개구한 수용부(11)의 전방 개방부를 조명판넬(41)로 계탈가능하게 덮고 하조명(下照明)하도록 되어 있다.
또, 그 조명(1)의 바로 위에는, 도 11, 도 12, 도 15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a5)에 인출구(a5b)를 개구하고, 그 인출구(a5b)를 전단(前端)에 가지고 상기 결로수 안내판 하공간(3b)에 확보된 용기인출부(51)에 레일상의 용기 지지부(61)를 설치하여, 그 용기지지부(61)에서 폐기용 액체용기(2)인 결로수트레이를 용기 인출부(51)에 출납가능하게 지지되어 하고 있다.
이 폐기용 액체용기(2)는, 커버(a5)에 대략 동일 면상(面狀)을 따른 그 프론트부(12)에 투명한 창부(22)를 설치함과 동시에, 해당 폐기용 액체용기(2)의 프론트부(12)를 푸쉬(fush)할때마다 용기인출부(51)로의 동 폐기용 액체용기(2)의 수용상태에서의 지지와 동부(同部)로부터의 실내로의 압출을 교호로 반복하는 마그넷 캐치수단(6)을 통하여 용기인출부(51)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폐기용 액체용기(2)는, 정류판(a2), 필터(a3)를 지지하는 지지판(a3a)에 부착하여 아랫쪽으로 흐르는 결로수를 결로수 안내판(a6)으로 모아서, 그 결로수 안내판(a6)의 낙하구멍(a6a)으로부터 낙하하는 그 결로수를 받는다.
또, 상기 조명(1)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의 상측 반사판(111)에 광 누설부로서 구멍(111a)을 개공하고, 그 구멍(111a)으로부터 세어 나오는 빛을 용기인출부(51)에 수용상태로 되어 있는 폐기용 액체용기(2)내에 광안내부(71)를 통하여 안내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광 안내부(7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1매~복수매의 반사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광안내부(71)와, 조명기구의 수용부(11)에 형성되어 있는 광누설부(111a)와, 폐기용 액체용기(2)를 추두식(抽斗式)으로 출납가능하게 하는 용기 인출부(51)로 광의 도입수단을 구성하여, 광누설부(111a)인 구멍으로부터 세어나오는 광을 결로수트레이인 폐기용 액체용기(2)내에 안내하고, 동 용기(2)내를 밝게 하여 창부(22)로부터 저액위(貯液位)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도 15 참조).
정류판(a2)의 부착수단(7)은, 도 16~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a3a)의 상반부(절반부에 상당) 복수 개소에 가동돌기(17)를 설치함과 동시에, 정류판(a2)의 이면에 가동돌기(17)를 교차상으로 계지하는 피계지체(27)를 설치하고, 정류판(a2)의 하반부(다른 절반부에 상당)를 계지부(37)로 결로수 안내판(a6)에 계탈가능하게 계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동돌기(17)는, 정류판(a2)의 절반부, 상세하게는 정류판(a2)의 상측코너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돌기(17)는, 지지판(a3a)에 설치한 지지다리(171)에 압축탄기(壓縮彈機)(172)를 수용한 스프링수용부(173)를 부착하고, 압축탄기(172)로 앞이 가늘은 형상의 확대두부(174a)를 구비한 축부(174)를 지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제2실시형태에서는, 확대두부(174a)를 원추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원추대(圓錐臺) 형상등, 소위 앞이 가늘은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의 것이라도 자유로운 것이다.
한편, 피계지체(27)는, 상기 가동돌기(17)의 확대두부(174a)에 대응하여 정류판(a2)의 이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확대두부(174a)를 압축탄기(172)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압동(壓動)하는 외향경사부(271)를 그 앞부에 형성함과 동시에, 중앙부에 확대두부(174a)보다도 대형인 공간부(272)를 설치하고, 그 공간부(272)의 상위측에 동 공간부(272)와 연동하여 축부(174)의 받이부(272a)를 형성시켜, 공간부(272)와 받이부(272a)로 소위 오똑이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또, 계지부(37)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판(a2)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설된 계지편부(371)와, 그 계지편부(371)를 계탈가능하게 계지하는 계지구멍(372)으로 되고, 그 계지구멍(372)은 상기 결로수 안내판(a6)에 개공되어 있다.
그리고, 계지편부(371)를 계지구멍(372)에 계지하면서, 좌우 2쌍의 피계지체(27), 가동돌기(17)를 대응시킨 도 17a, 도 17b의 상태에서 피계지체(27) 앞부의 외향경사부(271)에서 가동돌기(17)의 확대두부(174a)를 압축탄기(172)의 탈발력에 저항하여 줄어들도록 정류판(a2)을 후드체(a1)의 전방측으로부터 안으로 넣어 동 피계지체(27)의 공간부(272)에 확대두부(174a)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정류판(a2)을 아랫쪽으로 내려서 축부(174)를 받이부(272a)에 계지하여 동 정류판(a2)을 지지판(a3a)과 평행상으로 부착한다(도 17c, 도 17d, 도 17e, 도 17f).
그리고, 정류판(a2)을 약간 올려서 공간부(272)에 확대두부(174a)를 위치시키고 난 후 확대두부(174a)를 압축탄기(172)가 줄어들도록 손가락으로 푸쉬한 상태에서 정류판(a2)을 자기 앞으로 당김으로써 확대두부(174a)의 앞이 가늘은 형상의 형상성으로 계지를 해제하고, 계지편부(371)를 계지구멍(372)으로부터 빼냄으로써, 예를 들면, 필터(a3)를 청소할때 등에 정류판(a2)을 빼낼 수 있다(도 18).
이 제2실시형태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지만, 상기 지지판(a3a)의 양 절반부(한쪽 절반부, 하반부에 상당) 복수개소에 가동돌기(17) 혹은 피계지체(27)를 설치하고, 그 가동돌기(17)에 대한 피계지체(27)의 계탈가능한 계지구성으로 정류판(a2)의 부착수단(7)을 구성하는 것도 자유로운 것이다.
이 경우의 가동돌기(17), 피계지체(27)의 레이아웃은, 지지판(a3a)에 정류판(a2)의 상하 양 코너에 대응하여 상기 가동돌기(17)를 설치하는 한편, 정류판(a2)에 그 가동돌기(17)와 대응하여 피계지체(27)를 설치하는 것을 그 일례(一例)로서 제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렌지후드팬은, 상기 제1실시형태와 같이 조리에 수반되어 발생하는 수증기를 포함한 조리냄새(수증기를 포함한 상승기류)(B)를, 정류판(a2)의 가이드면(a2a)에 충돌시켜 하향으로 안내하고, 그 가이드면(a2a)에 연속하여 전방을 향하여 원호형상으로 만곡형성한 컬 형상면(a2b)에서 다시 안내할때 부압작용을 낳고, 그것에 의해 와류(Q)를 생성하고, 그 와류(Q)에, 상승기류(B)의 상승세력을 방해하는 일 없이 후드체(a1)의 천판(a1a)으로부터 들어온 실내공기를 와세력증강용의 제어류(F)로서, 2개의 제어류 분출부(21)(21)로부터 직선상 경사면을 가이드면으로서 와류(Q)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아랫쪽으로부터 경사 상향으로 커버(a5)의 직선상 경사면을 따라 분출하고, 그것에 의해 상승기류(B)를 재빨리 도입하는 소요세력의 와류(Q)를 더욱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도 5~도 7 참조).
상기 실시예와 동일조건으로 실험한 바, 상승하는 수증기를 포함한 조리냄새(상승기류)(B)는 실내공기의 도입부(5)에 흡인되는 일이 없고, 또 분출되는 제어류(F)로 방해를 받는 일도 없으며, 정류판(a2)의 전체폭에 걸쳐 생성된 와류(Q)에 끌어당겨져 말려들어가서 후드체(a1)로부터 누기되는 일이 없이 포집하여, 좌우의 간극(S)(S)으로부터 분담하여 흡인되는 것이었다.
더욱이, 도 19에 나타낸 제3실시형태를 설명하면, 이 실시형태는 배기장치를 송풍원으로 하여 그 배기류를 상기 제어류로서 사용하도록 한 예이다.
이 제어류의 공급수단은, 배기장치(a4), 그 배기장치(a4)에 연통하는 분류박스(8), 제어유로(9)로 되어 있다.
상기 제어유로(9)는, 후드체(a1)의 배면판(a1c)을 1구성부재로서 상단, 하단 쌍방을 개방하는 에어챔버(19)의 그 하단개방부를 상기 결로수 안내판 하공간(3b)에 연통시켜서 되고, 그 에어챔버(19)내에 배기장치(a4)의 구동원(a4a)의 후반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어유로(9)의 상단개방부는, 후드체(a1)의 천판(a1)에서 개방하고, 후술하는 분류박스(8)에 연통시키고 있다.
상기 분류박스(8)는, 후드체(a1)의 천판(a1a)상에 배치된 내부중공상의 박스체이며, 배기장치(시로코팬(siroco fan))(a4)의 배기구에 연통하여 입구를 개구함과 동시에, 배면벽부(18)측의 부분으로부터 동 배면벽부(18)와 평행으로 상벽부(28)까지는 이르지 않는 소요 높이의 격벽부(38)를 입설하여 그 격벽부(38)와 배면벽부(18)와의 사이에 상기 제어유로(9)에의 연결로(48)를 형성하고, 그 격벽부(38)와는 상기 입구를 사이에 두고 격벽부(38)와 동등 높이를 가지고 역방향 L형상의 입벽부(58)를 입설하여, 그 입벽부(58)와 격벽부(38)와의 사이의 탈취수단(100)을 수용하고, 동 분류박스(8)의 전면벽부를 형성하는 막판(68)에 있어서 입벽부(58)의 수평부에 내부공간에 임하는 범위에는 그릴(78)이 설치되어 있다.
또, 그 분류박스(8)내에는, 제어류(F)의 풍속을 배기장치(a4)의 배기량에 관계없이 소정으로 제어하기 위해 전동식 분류댐퍼(88)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전동식 분류댐퍼(88)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류박스(8)의 배면벽부(18) 상부측에 그 모터(881)를 설치하고, 모터(881)에서 댐퍼체(882)의 회동각도를 제어하여 상기 격벽부(38)의 상단에의 접근량을 가변하여 연결로(48)에의 분류개방도를 조정하는 구성이며, 제어부를 통하여 배기장치(a4)의 구동원(a4a) 및 전환스위치에 연계되어 있고, 배기장치(a4)의 「강」,「중」,「약」의 각 배기량과 관계없이 소정의 풍속(후술하는 실험예에서 설명)을 가지고 상기 제어류 분출부(21)(21)로부터 제어류가 분출되도록 댐퍼체(882)에서의 분류개방도가 자동조정되도록 「강」,「중」,「약」의 각 전환스위치의 운전신호에 자동적으로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무단변속으로 회전수가 가변가능하게 되어 있는 배기장치에 있어서는, 그 배기량에 관계없이 소정의 풍속을 가지고 제어류 분출부로부터 제어류가 분출되도록 댐퍼체에서의 분류개방도를 제어부를 통하여 자동조정하도록 구성한다.
다른 구성에 있어서, 제어류 압송용의 송풍기, 박스상 유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제2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동일부호를 붙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조명(1), 폐기용 액체용기(2)가 설치되는 공간에는, 그 배기류로 되는 제어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조명(1), 폐기용 액체용기(2)의 양 사이드를 구분하는 칸막이벽(29)(29)을 제어유로(9)의 상단까지 연장함과 동시에, 그 상단개방부를 폐쇄하여, 조명(1), 폐기용 액체용기(2)의 양 사이드에만 제어류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류 분출부(21)(21)는, 만곡형상의 커버(a5)의 상부측에 동 커버(a5)를 따라 경사 상향으로 에어류를 분출하도록 조명(1)의 양 사이드부분에 후드체(1)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슬릿상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조명(1)측 부분(상세하게는 좌우 쌍방의 절반부 부분)을 윗쪽으로 연장했을때 교차하도록 정면에서 볼때 상향 경사상으로 개구하여, 조명(1)의 전방을 상승하는 상승기류도 양호하게 정류판(a2)의 중앙부에 확실하게 안내하여 와류를 동 정류판(a2)의 폭방향 전장에 걸쳐 균일하게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렌지후드팬은, 조리에 수반되어 발생하는 수증기를 포함한 조리냄새(수증기를 포함한 상승기류)를, 정류판(a2)의 가이드면(a2a)에 충돌시켜 하향으로 안내하여, 그 가이드면(a2a)에 연속하여 전방을 향하여 원호형상으로 만곡 형성한 컬 형상면(a2b)에서 다시 안내할때 부압작용을 낳고, 그것에 의해 와류(Q)를 생성하고, 그 와류(Q)에, 상승기류(B)의 상승세력을 방해하는 일이 없이 배기장치(a4)의 구동원(a4a)을 송풍원으로 한 배기류를 와세력 생성용의 제어류(F)로서 제어류 분출부(21)(21)로부터 와류(Q)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아랫쪽으로부터 경사 상향으로 만곡형상 커버(a5)로부터 분출하고, 그것에 의해 상승기류(B)를 재빨리 도입하는 소요 세력의 와류를 더욱 안정적으로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어류(F)로서 사용되지 않는 배기류는, 제어류(F)와 같이 탈취수단(100)을 거친 후, 실내로에 순환된다.
상기 제2실시형태에서의 실시예와 동일조건으로 실험한 바, 그 크기의 후드체(a1)에 있어서는, 풍속 2m/sec로 제어류 분출부(21)(21)로부터 분출되는 제어류(F)가 가장 상승기류(B)의 배기효율이 높은 것이었다.
당연하지만, 본 발명의 렌지후드팬은 가스곤로, 전기곤로 등의 가열조리기구에 동등하게 사용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류로서 사용하지 않는 배기류를 실내순환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어류로서 사용하지 않는 배기류를 옥외배기하는 구성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상승기류를 하향으로 안내하여 코안다효과로 와류를 생성하는 와류생성체를 후드체에 설치하고, 그 후드체의 필터 배후 또는 후드체 밖에 설치되어 상기 와류생성체로 생성된 와류를 배기장치에서 흡인하여 배기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와류의 말려 들어가는 작용으로, 전자유도가열식 쿠킹히터를 가열조리기구로서 사용하는 것이라도, 극히 약한 상승기류(수증기를 포함하는 조리냄새)를 후드체 밖으로 확산하는 일이 없이 재빨리 끌어 당겨서 포집하여 배기하고, 높은 포집효율을 약속할 수 있다.
더욱이, 그 와류로 상승기류가 가속되어 배기되므로, 와류생성체는 물론이고, 배후의 필터등에의 접촉시간도 짧아지며, 전자유도가열식 쿠킹히터 특유의 수증기의 부착을 가급적 방지하고, 조리중에 적하하여 조리용기나 조리중의 요리를 더럽히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또, 가열조리기구 윗쪽에 정류판을 설치하고, 그 정류판과 후드체와의 사이의 간극을 거쳐 정류판 배후의 배기장치에서 흡인하여 배기하는 렌지후드팬에 있어서, 상기 정류판을, 상승기류를 하향으로 안내하여 코안다효과로 와류를 생성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정류판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와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되어 비용이 고등하는 일도 없게 된다.
더욱이, 와세력 증강용의 제어류를 생성된 와류를 그 접선방향을 향하여 분출하는 제어류 분출부를 와류생성체의 아랫쪽에 설치한 렌지후드팬에 있어서는, 그 와류를 더욱 안정적으로 발생시킴과 동시에 와세력을 증강할 수 있고, 새로운 상승기류의 포집효율의 향상이 도모되며, 약한 상승기류를 발생시키는 전자유도가열식 쿠킹히터를 가열조리기구로 하는 경우에 최적인 것이다.
또, 청구항 4과 같이, 측면에서 볼때 대략 직각 삼각형상을 나타내는 후드체의 전방개방부의 하반부를 커버로 폐쇄하고, 상반부에 후드체의 좌우측판과의 사이에 간극을 통하여 정류판을 배치함과 동시에 그 정류판의 배후에 필터를 설치하고, 그 필터의 배후 또는 후드체 밖에 배기장치를 구비하고, 그 정류판을, 상승기류가 충돌하는 부위를 포함하여 형성된 아랫쪽에의 가이드면과, 그 가이드면에 연속하여 전방을 향하여 원호형상으로 만곡형성된 컬 형상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커버에 생성되는 와류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경사 상향으로 와세력 증강용의 제어류를 분출하는 제어류 분출부를 설치하는 구성의 렌지후드팬에 있어서는, 와류에 경사 하방으로부터 제어류를 분출하여 상승기류를 말려 들어가는 안정된 세력의 와류를 항시 생성하여 포집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데다, 상승기류의 상승이 그 제어류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이, 후드체로부터 외부로 확산하여 주방의 천정등을 더럽히는 부적절함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청구항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제어류의 도입부를 상기 상승기류가 임하지 않는 부분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유도가열식 쿠킹히터를 가열조리기구로서 사용하는 것이라도, 세력을 증강시킴으로써 와류를 안정적으로 발생시켜서 그 와류의 말려 들어가는 작용으로 극히 약한 상승기류(수증기를 포함한 조리냄새)라도 재빨리 끌어 당겨 후드체 밖으로 확산되는 일이 없이 포집하여 배기하고, 높은 포집효율을 약속할 수 있고, 그 와류증강을 깨끗한 실내공기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 더욱이, 청구항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입부와 제어류 분출부를 도중에 배기장치의 구동원을 냉각하는 냉각부를 갖는 길로 연락하고 있으면, 배기장치의 구동원의 가열에 의한 내구성의 저하방지책을 전용수단으로 대처할 필요가 없게 되고, 구동원의 가열을 방지할때, 구조적으로 간소화하고, 염가로 제공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또, 청구항 3과 같이, 정류판의 아랫쪽에 있어서의 후드체의 폭방향 중앙에 설치된 조명을 끼고 좌우로 제어류 분출부를 설치하고, 양 제어류 분출부의 조명측 부분의 윗쪽으로 연장했을때 교차하도록 정면에서 볼때 상향 경사상으로 설치한 경우에는 조명을 설치했음에도 불구하고, 와류생성체의 폭방향 전장에 걸쳐 균일하게 제어류를 작용시켜 소요세력의 와류를 안정생성하여, 와세력을 더욱 증강하고, 높은 포집효율을 확약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 6과 같이, 제어류를 배기장치를 풍속원으로 한 배기류를 유효 이용하도록 한 경우에는, 제어류를 송풍하기 위한 전용의 송풍기를 조립할 필요가 없고, 설비코스트를 대폭 저감할 수 있고, 청구항 7, 8과 같이 제어류에 포함되는 가스류는 탈취수단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주방내를 조리냄새를 포함한 가스류가 순환될 우려가 없고, 주방내를 불쾌하게 하는 요인으로는 되지 않는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의 렌지후드팬의 사용상태의 개략을 나타내는 측면도로,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동 렌지후드팬의 확대측면도로,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동 랜지후드팬의 경사 하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승기류, 생성되는 와류, 제어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지후드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제2실시형태의 렌지후드팬의 확대측면도로,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동 렌지후드팬의 경사 하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승기류, 생성되는 와류, 제어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지후드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8)-(8)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송풍기에 접속되는 박스상 유로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10)-(10)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폐기용 액체용기, 조명부분의 측면도로, 확대하여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12)-(12)선 확대단면도이다.
도 13은 폐기용 액체용기, 조명부분의 측면도로, 확대하여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폐기용 액체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조명의 광을 일부 도입하여 폐기용 액체용기내를 비추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확대하여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정류판을 후드에 계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측면도로,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가동돌기와 피계지체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피계지체를 가동돌기에 계지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 피계지체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b는 도 17a의 측면도이다.
도 17c는 피계지체의 외향 경사부가 가동돌기의 확대두부를 압동(壓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 피계지체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d는 동 확대두부를 압동하면서 피계지체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 피계지체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e는 확대두부가 공간부로부터 돌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 피계지체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f는 받이부에 축부를 계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확대두부를, 압축탄기를 줄이는 것과 같이 인위적으로 압동하여 가동돌기에 대한 피계지체의 계지를 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정면도로, 일부 절단한 도면이다.
도 19는 제3실시형태의 렌지후드팬의 확대측면도로,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1 : 후드체 a2 : 와류생성체(정류판)
a4 : 배기장치 21 : 제어류 분출부
a1b : 좌우측판 a1a : 천판
100 : 탈취수단 a2a : 가이드면
a2b : 컬 형상면 a5 : 커버(만곡형상의 커버)
Q : 와류 F : 제어류
B : 상승기류 5 : 공기의 도입부
13 : 냉각부 3 : 길
1 : 조명 2 : 폐기용 액체용기
12 : 프론트부 31 : 조명기구
6 : 마그넷캐취수단 272a : 받이부
37 : 계지부 11 : 수용부
111a : 광누설부 71 : 광안내부
17 : 가동돌기 174a : 확대두부
27 : 피계지체 172 : 압축탄기
174 : 축부 272 : 공간부
271 : 외향경사부 51 : 용기인출부
a3 : 필터 a6 : 결로수 안내판

Claims (16)

  1. 후드체와, 후드체내에 있어서 가열조리기구 윗쪽에 설치되고 상승기류를 하향으로 안내하여 코안다 효과로 와류를 생성하는 와류생성체와, 상기 후드체의 필터배후 또는 후드체 밖에 설치되고 상기 와류생성체에서 생성된 와류를 흡인하여 배기하는 배기장치와, 상기 와류생성체에서 생성된 와류에 그 세력을 증강시키는 제어류를 분출하는 제어류 분출부를 구비한 렌지후드에 있어서,
    상기 와류생성체는, 가열조리기구 윗쪽에 후드체의 좌우측판과의 사이 및 천판과의 사이에 간극을 확보하여 설치된 정류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정류판은 상승기류가 충돌하는 부위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승기류를 코안다 효과로 아랫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면과, 그 가이면에 연속하여 전방을 향하여 원호형상으로 만곡형성되며 상기 코안다 효과로 하향으로 안내되는 상승기류를 원호형상으로 안내하여 와류를 생성하는 컬 형상면을 구비하며,
    상기 정류판의 아래쪽에 정류판에서 생성된 와류에 그 접선 방향을 향하여 제어류를 분출하여 상기 와류의 세력을 증강시키는 제어류 분출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류 분출부로부터 분출하는 상기 제어류를 실내로부터 도입하고, 그 공기의 도입부를 조리에 수반되는 상승기류가 임하지 않는 부분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와 제어류 분출부를 중도에 배기장치의 구동원을 냉각하는 냉각부를 갖는 길로 연락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류 분출부는 정류판의 아랫쪽에 있어서의 후드체의 폭방향 중앙에 설치된 조명을 끼고 좌우로 설치되며, 양 제어류 분출부의 조명측 부분을 윗쪽으로 연장했을때 교차하도록 정면에서 볼때 경사상으로 설치하여 와류생성체에서 생성되는 와류를 와류생성체의 폭방향 전장에 걸쳐 균일하게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팬.
  4. 측면에서 볼때 대략 직각 삼각형상을 나타내는 후드체의 전방 개방부의 하부를 커버로 폐쇄하고, 그 상부에 후드체의 좌우측판과의 사이에 간극을 통하여 정류판을 배치함과 동시에 그 정류판의 배후에 필터를 설치하고, 그 필터의 배후 또는 후드체 밖에 배기장치를 구비하고,
    그 정류판을, 상승기류가 충돌하는 부위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승기류를 코안다 효과로 아랫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면과, 상기 가이드면에 연속하여 전방을 향하여 원호형상으로 만곡형성되어 상기 코안다 효과로 아랫쪽으로 안내되는 상승기류를 원호형상으로 가이드하여 와류를 생성하는 컬 형상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커버에, 정류판에서 생성된 와류의 접선방향으로 설치하여 아랫쪽으로부터 경사 상향으로 와류세력증강용의 제어류를 분출하는 제어류 분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류 분출부로부터 분출하는 제어류용의 실내공기의 도입부를 상기 상승기류가 임하지 않는 부분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장치를 송풍원으로 하여 그 배기류를 상기 제어류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팬.
  6. 측면에서 볼때 대략 직각 삼각형상을 나타내는 후드체의 전방 개방부의 하부를 커버로 폐쇄하고, 그 상부에 후드체의 좌우측판과의 사이에 간극을 통하여 정류판을 배치함과 동시에 그 정류판의 배후에 필터를 설치하고, 그 필터의 배후 또는 후드체 밖에 배기장치를 구비하고,
    그 정류판을, 상승기류가 충돌하는 부위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승기류를 코안다 효과로 아랫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면과, 상기 가이드면에 연속하여 전방을 향하여 원호형상으로 만곡형성되어 상기 코안다 효과로 아랫쪽으로 안내되는 상승기류를 원호상으로 가이드하여 와류를 생성하는 컬 형상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커버에, 정류판에서 생성된 와류의 접선방향으로 설치하여 아랫쪽으로부터 경사 상향으로 와류세력증강용의 제어류를 분출하는 제어류 분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배기장치를 송풍원으로 하여 그 배기류를 상기 제어류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류를 탈취수단을 거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류를 탈취수단을 거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류의 풍속을 배기장치의 배기량에 관계없이 소정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류의 풍속을 배기장치의 배기량에 관계없이 소정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류의 풍속이 2~3m/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팬.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류의 풍속이 2~3m/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팬.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류의 풍속이 2~3m/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조리기구가 전자유도가열식 쿠킹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팬.
  15. 삭제
  16. 삭제
KR10-2002-0057256A 2001-09-21 2002-09-19 렌지후드팬 KR100496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89126A JP3943358B2 (ja) 2001-09-21 2001-09-21 レンジフードファン
JPJP-P-2001-00289126 2001-09-21
JP2002033144A JP3906093B2 (ja) 2002-02-08 2002-02-08 レンジフードファン
JPJP-P-2002-00033144 2002-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880A KR20030025880A (ko) 2003-03-29
KR100496832B1 true KR100496832B1 (ko) 2005-06-22

Family

ID=2662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256A KR100496832B1 (ko) 2001-09-21 2002-09-19 렌지후드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96832B1 (ko)
CN (1) CN1245595C (ko)
TW (1) TW57796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1760A1 (ko) * 2009-08-21 2011-02-24 유한회사 대동 스월러를 이용한 레인지 후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18067B (zh) * 2006-08-01 2011-04-27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抽油烟机
CN106678918A (zh) * 2017-03-02 2017-05-17 郭宝龙 一种机械式油烟机
CN110234937B (zh) * 2017-03-31 2022-04-26 富士工业株式会社 排油烟机
CN110186082B (zh) * 2019-05-07 2024-01-23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侧吸式吸油烟机
CN110375349B (zh) * 2019-06-27 2021-05-1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侧吸式吸油烟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5736A (en) * 1975-10-01 1978-04-25 Vent-Cair, Inc. Grease-hood apparatus
JPH04110332U (ja) * 1991-03-04 1992-09-24 積水ハウス株式会社 渦流を利用した厨房排気装置
KR19980021357U (ko) * 1996-10-19 1998-07-15 김병덕 공기막을 이용한 배기장치
JP2000175772A (ja) * 1998-12-16 2000-06-27 Tornex Inc 竜巻式排気清浄装置を備えた椅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5736A (en) * 1975-10-01 1978-04-25 Vent-Cair, Inc. Grease-hood apparatus
JPH04110332U (ja) * 1991-03-04 1992-09-24 積水ハウス株式会社 渦流を利用した厨房排気装置
KR19980021357U (ko) * 1996-10-19 1998-07-15 김병덕 공기막을 이용한 배기장치
JP2000175772A (ja) * 1998-12-16 2000-06-27 Tornex Inc 竜巻式排気清浄装置を備えた椅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1760A1 (ko) * 2009-08-21 2011-02-24 유한회사 대동 스월러를 이용한 레인지 후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5595C (zh) 2006-03-15
KR20030025880A (ko) 2003-03-29
TW577967B (en) 2004-03-01
CN1409050A (zh) 2003-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5339B2 (en) Induction ventilation system for air supply and exhaust
US4153044A (en) Backshelf ventilating hood
CN100380051C (zh) 加热烹调器
US4011802A (en) Makeup air device for grease extraction ventilator
US36642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fumes from the space above a cooking appliance
EP2240726B1 (en) Exhaust hood with an exhaust enhancement apparatus
FI82206B (fi) Avluftshuva.
US546776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fumes from the space above a cooking appliance
KR100496832B1 (ko) 렌지후드팬
US4892083A (en) Baking oven
US20210396394A1 (en) Kitchen exhaust recovery system
US4700688A (en) Ventilating hood
KR100519857B1 (ko) 슬라이드타입 레인지후드
WO2015057072A1 (en) Kitchen air extraction canopy having a cavity with air guiding and directing delimiting wall
CN111492181B (zh) 具有强制空气喷射的排气罩
JP3906093B2 (ja) レンジフードファン
JP3943358B2 (ja) レンジフードファン
JP2004077073A (ja) レンジフードファン
JP2002168496A (ja)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排気装置
JP2007192483A (ja) レンジフード
JP2003240300A (ja) レンジフードファン
JP3852559B2 (ja) 換気装置
US20230175702A1 (en) Extractor apparatus, and kitchen arrangement having a hob and an extractor apparatus
KR102624361B1 (ko) 재순환 급배기 환기 시스템
JP3906094B2 (ja) レンジフードファンにおける廃棄用液体容器の貯液位確認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