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717B1 -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717B1
KR100439717B1 KR10-2001-0043437A KR20010043437A KR100439717B1 KR 100439717 B1 KR100439717 B1 KR 100439717B1 KR 20010043437 A KR20010043437 A KR 20010043437A KR 100439717 B1 KR100439717 B1 KR 100439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control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valve t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4848A (ko
Inventor
다카하시다쓰히코
하시모토아쓰코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4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01L1/047Camshafts
    • F01L1/053Camshafts overhead type
    • F01L2001/0537Double overhead camshafts [DOH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44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hydraulic chambers with variable volume to transmit the rotating force
    • F01L2001/34423Details relating to the hydraulic feeding circuit
    • F01L2001/34426Oil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00/00Methods of operation using a variable valve timing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275/00Other engines, componen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02B2275/18DOHC [Double overhead cam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실제로 장착된 유압제어밸브 특성에 맞는 보정제어를 함으로써, 응답성이 우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를 얻는다.
내연기관(1)의 크랭크축(1a)에 구동되고, 흡기밸브를 개폐하는 캠과 배기밸브를 개폐하는 캠과, 이 양 캠의 적어도 한쪽의 캠의 크랭크축(1a)에 대한 회전위상을 변경하는 액추에이터와, 이 액추에이터에 유압을 가하는 유압제어밸브(16)와, 이 유압제어밸브(16)의 전자솔레노이드의 전류치를 제어해서 유압제어밸브(16)의 출력유압을 제어해서 밸브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7)을 구비하고, 이 제어수단(17)이 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키기 위해 전자솔레노이드에 가하는 전류치를 내연기관(1)의 다른 운전상태에서 검지하고, 이 다른 운전상태에서의 전류치의 차에 의해 유압제어밸브(16)의 특성을 검지하는 하는 동시에 제어전류치를 결정하도록 한것이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VALVE TIMING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흡기밸브 및 배기밸브의 동작타이밍을 제어하는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은 운전상태에 의해 요구되는 흡기 및 배기의 밸브타이밍이 변화하는 것이나, 종래 대부분의 내연기관에서는 캠샤프트는 크랭크샤프트에서 타이밍벨트 등에 의해 구동되고, 흡기 및 배기밸브의 개폐타이밍은 크랭크샤프트의 회전각에 대해 고정적으로 결정 되었었다. 그러나, 근년 내연기관의 출력향상이나 배기가스와 연비의 저감을 위하여 가변 밸브타이밍시스템이 시스템이 채용되도록 되고, 밸브타이밍의 제어에 관한 기술이 여러종류 개시되도록 되어 왔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9-256878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도 그 한 예이고, 이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내연기관의 출력축의 회전위상을 변위시켜서 캠축을 구동하고, 흡기밸브와 배기밸브와의 적어도 한쪽의 밸브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에 있어서 내연기관의 출력축과 캠축과의 위상차로부터 밸브타이밍을 검출하고,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로부터 설저안 목표 밸브타이밍과의 위상이 일치하도록 밸브타이밍 조정수단의 제어게인을 설정하는 동시에 실 밸브타이밍의 추이로부터 캠축 회전위상의 변위속도를 구하고, 이 회전위상을 변위속도를 규범치와 비교해서 양자의 속도차가 시정되도록 제어게인을 보정하도록 한 것으로 이것에 의해 변위속도의 흐트러짐을 흡수하고, 응답성과 수렴성을 향상하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밸브타이밍의 조정은 실 밸브타이밍과 목표 밸브타이밍과에 편차가 생기면, 이 편차에 의해 연산한 비례치와 미분치를 기초로 응답지연 보상분의 듀티비를 유압제어밸브에 출력하고, 계속해서 어느 시점에서의 비례치와 미분치를 같은 식으로 구한 듀티비를 유압제어밸브에 출력해서 목표 밸브타이밍과 실 밸브타이밍과의 편차가 소정치 이하가 될 때까지 그 듀티비를 보존하도록 하고, 이 듀티비를 보존하고 있는 동안의 2점간의 실 밸브타이밍의 변화와 이 변화에 요하는 소요시간으로부터 회전위상의 변위속도를 구하고, 이 변위속도와 규범치의 속도를 비교해서 변위속도가 규범치보다 빠른 경우에는 응답지연 보상듀티비를 작게 설정하고, 늦은 경우에는 응답지연 보상듀티비를 크게 설정하는 것이다.
또, 일본국 특개평 9-217609호 공보에는 내연기관의 출력축과 출력축에서 구동되는 캠축과의 어느 것인가에 소정각도 범위에서 상대회전하는 밸브타이밍 제어기구를 설치하고, 출력축과 캠축과의 상대회전각의 실측치와 목표치와의 차에 의해 밸브타이밍 제어기구를 동작시켜서 상대회전각이 목표치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에 있어서, 실측치와 목표치와의 편차가 변화하지 않을 때는 편차가 작아지는 방향에 밸브타이밍 제어기구에 대한 보정치를 설정함으로써 제조상의 흐트러짐 등에 영향받지 않고, 밸브타이밍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에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9-256878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내용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위상의 변위속도를 검출하는데 어느 시점에서 구한 듀티비를 유압제어밸브에 출력해서 이것을 보존하기 위해 통상의 밸브타이밍 마다의 목표 밸브타이밍과 실 밸브타이밍과의 편차로부터 연산한 비례치와 미분치에서 구한 듀티비에 의한 제어에 대해 응답성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 검출한 회전위상의 변위속도와 규범치를 비교해서 그 차에 따라 듀티비를 보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목표 밸브타이밍과 실 밸브타이밍과의 편차가 생긴 최초의 응답지연에 대해서만 보정이 실시하게 되고, 보정이 충분하다고는 볼 수 없으며, 충분한 응답성이 얻을 수 없을 때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게 된 것으로 실제로 장착된 유압제어밸브의 특성에 맞는 보정을 함으로써 유량특성에 제조상의 흐트러짐이 있어도 안정된 응답성이 얻어지는 동시에 유량특성의 흐트러짐을 제어에 의해 보상하는 것이 가능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는 내연기관의 크랭크축에 의해 구동되고, 흡기밸브를 개폐하는 캠과 내연기관의 크랭크축에 의해 구동되며, 배기밸브를 개폐하는 캠과, 이들의 양 캠의 적어도 한쪽의 캠과 크랭크축과의 사이의 회전전달경로에 개재해서 캠의 크랭크축에 대한 회전위상을 변경하는 밸브타이밍 가변수단과, 이 밸브타이밍 가변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이 구동수단에 대한 제어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이 제어수단이 내연기관의 어느 운전상태량이 제1치로 된 경우에서의 구동수단의 보존전류치에 대응하는 제1보존전류치와 운전상태량이 제2치로 된 경우에서의 구동수단의 보존전류치에 대응하는 제2보존전류치와의 차이에 상당하는 편차량을 기억하고 있으며, 이 편차량에 따라 구동수단에 대한 제어량을 결정하도록 한 것이다. 또, 제어수단이 제1보존전류치와 제2보존전류치를 학습치로 하여 기억하며, 이들의 차에 상당하는 편차량을 연산하고 기억하는 것이다.
또, 제어수단이 구동수단에 대한 복수의 다른 특성맵을 미리 기억하고 있으며, 편차량에 따라 이 복수의 다른 특성맵중의 하나를 보간참조하고, 구동수단에 대한 제어량을 연산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밸브타이밍을 설명하는 특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유압제어밸브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유압제어밸브의 유량특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제어기구의 응답성을 설명하는 특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유압제어밸브의 유량특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제어기구의 응답성을 설명하는 특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대비용으로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대비용으로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대비용으로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대비용으로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연기관, 1a : 크랭크축,
1b : 캠축, 1c : 캠,
3 : 흡기통로, 5 : 스로틀밸브,
6 : 스로틀개도센서, 7 : 인젝터,
9 : O2센서, 10 : 배기통로,
12,14 : 센서플레이트, 13 : 크랭크각 센서,
15 : 캠각세서, 16 : 유압제어밸브(구동수단),
17 : 제어수단, 19 : 하우징,
19a ~ 19d : 포트, 20 : 전자솔레노이드,
21 : 스풀, 21a : 랜드부,
22 : 스프링.
실시의 형태 1.
도 1 내지 도 15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1은 내연기관에 장착된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밸브타이밍을 설명하는 특성도, 도 3은 유압제어밸브의 구성과 동작의 설명도, 도 4와 도 6은 유압제어밸브의 유량특성도, 도 5와 도 7은 밸브타이밍 제어기구의 응답성을 설명하는 특성도, 도 8 내지 도 11은 대비용으로 설명하는 본 발명에 의하지 않는 제어의 플로차트,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도 1에 의해 밸브타이밍 제어장치를 탑재한 내연기관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1은 내연기관, 2는 내연기관(1)의 흡기통로(3)에 설치된 에어클리너, 4는 내연기관(1)의 흡기량을 계량하는 에어플로센서, 5는 흡기량을 조절해서 내연기관(1)의 출력을 제어하는 스로틀밸브, 6은 스로틀밸브(5)의 개도를 검출하는 스로틀 개도센서, 7은 흡기량에 맞는 연료를 공급하는 인젝터, 8은 내연기관(1)의 연소실내의 혼합가스를 점화하는 점화플래그, 9는 내연기관(1)의 배기통로(10)에 설치되고, 배기가스중의 잔존 산소량을 검출하는 O2센서, 11은 배기가스 점화용의 3원촉매이다.
12는 내연기관(1)의 크랭크축(1a)에 설치된 크랭크각 검출용의 센서플레이트로 크랭크각 센서(13)와 함께 크랭크축(1a)의 회전위치(크랭크각)를 검출한다. 14는 내연기관(1)의 캠(1c)에 설치된 캠각 검출용의 센서플레이트로 캠각 센서(15)와 함께 캠(1c)의 회전각(캠각)을 검출한다. 16은 구동수단으로 후술하는 유압제어밸브(이하, OCV라 칭함)이고, 내연기관(1)의 캠축(1b)에 부착된 밸브타이밍 가변수단으로서의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에 대한 공급유압과 공급유량을 제어함으로써 크랭크축(1a)에서 구동되는 캠축(1b)에 설치된 캠(1c)의 크랭크축(1a)에 대한 상대위치를 제어하고, 소정의 범위내에서 크랭크축(1a)에 대한 캠(1c)의 회전각(캠위상)을 제어하는 것이다. 17은 제어수단이고, 내연기관(1)의 운전상태에 따라 캠위상의 제어를 하는 동시에 내연기관(1)의 여러가지 제어를 한다.
또, 18은 점화플래그(8)에 점화전압을 공급하는 점화장치이다.
이 같은 구성을 갖는 내연기관(1)에서 크랭크축(1a)의 회전은 타이밍 밸트, 또는 체인 등에 의해 캠축(1b)에 전달되나, 예를들면 캠축(1b)의 도시하지 않은 스프로켓, 또는 풀리에는 액추에이터가 설치되고, 캠축(1b)과 캠(1c)과의 상대회전위치가 소정범위내에서 가변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1 : 2의 회전비로 회전하는 크랭크축(1a)과 캠(1c)과의 상댕회전위치도 소정범위내에서 가변으로 되어 있고, 크랭크각에 대해 흡기밸브와 배기밸브의 적어도 한쪽의 밸브타이밍이 제어가능하게 구성되며, 이 밸브타이밍은 OCV(16)로부터의 공급유압 및 공급유량에 의해 제어된다.
도 2는 배기밸브가 고정이고, 흡기밸브가 가변인 경우의 크랭크축(1a)의 회전각에 대한 밸브의 리프트량을 표시하는 것으로, 흡기밸브는 실선에서 파선사이에서 타이밍의 변화가 가능하게 되어 있고, 실선은 배기밸브에 대한 밸브오버랩이 최소가 되는 최지각위치이며, 파선은 오버랩이 최대가 되는 최진각위치이다. 따라서, 밸브타이밍을 진각시키는 것은 밸브오버랩량이 커지는 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이고, 지각시키는 것은 밸브오버랩량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또, 밸브타이밍은 최지각위치에서 최진각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임의의 위치에서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구동수단으로서의 OCV(16)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 OCV(16)는 다수의 포트(19a ~ 19d)를 갖는 하우징(19)과, 하우징(19)의 일단에 설치된 전자솔레노이드(20)와 하우징(19)의 내경을 전자솔레노이드(20)에 조작되어 이동하는 스풀(21)과, 스풀(21)을 한 방향으로 작동하는 스프링(22)으로 구성되고, 스풀(21)이 이동해서 랜드부(21a)가 포트(19a ~ 19d)를 폐쇄, 또는 개구함으로써 액추에이터에 대한 유압의 제어를 하며, 개구위치 및 개구면적에 의해 유량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19a는 밸브타이밍을 지각시키는 방향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포트, 19b는 진각시키는 방향에 공급하는 포트, 19c는 드레인을 배출하는 포트, 19d는 유압을 공급하는 포트이다.
도 4는 이 OCV(16)의 유량특성을 표시하는 것으로, 포트(19a),(19b)로부터 공급되는 유량을 전자솔레노이드(20)의 전류치에 대한 유량으로 표시한 것이다. 스풀(21)이 도 3의 (a)의 위치에 있을 때가 도 4의 (a)점에 표시하는 유량이고, 도 3의 (b)의 위치에 있을 때가 도 4의 (b)점의 유량이며, 도 3의 (c)위치에 있을 때가 도 4의 (c)점의 유량이 된다. 또, 도 3의 (a)는 전자솔레노이드(20)의 전류가 최소의 경우이고, 스풀(21)은 스프링(22)의 힘에 의해 전자솔레노이드(20)측으로 이행하고 있으며, 포트(19A)와 포트(19d)가 연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의 지각실에 오일이 공급되고, 밸브타이밍은 도 2의 흡기밸브 최지각위치(실선)가 된다.
역으로, 도 3의 (c)는 전자솔레노이드(20)의 전류가 최대가 된 경우이고, 스풀(21)은 스프링(22)에 이겨내서 스프링(22)측으로 이행하며, 포트(19b)와 포트 (19d)가 연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의 진각실에 오일이 공급되고, 밸브타이밍은 도 2의 흡기밸브 최진각위치(파선)가 된다. 도 3의 (b)는 전자솔레노이드 (20)의 전류가 중간치의 경우이고, 포트(19a),(19b)가 함께 폐쇄상태가 되어 액추에이터에 대한 오일의 공급도, 오일의 배출도 되지 않으며, 밸브타이밍은 최지각위치와 최진각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보존된다.
전자솔레노이드(20)의 전류치를 소정치로 보존하면, 포트(19a) 또는 포트 (19b)가 소정의 개도가 되도록 스풀(21)의 위치제어가 되고, 액추에이터로의 오일의 공급량이 제어될 수 있다. 전자솔레노이드(20)의 전류치를 변화시켰을 때의 액추에이터의 위치변화를 밸브타이밍으로서의 캠각 센서(15)에 의해 검출하고, 동작상태에서의 소정의 2점간의 위치변화를 속도로서 구하며, 전자솔레노이드(20)의 전류치에 대한 응답속도로서 표시되면 도 5와 같이되고 밸브타이밍 시스템으로서의 전류치에 대한 응답속도의 특성이 표시된다. 여기서, 도 5의 (a),(b),(c)는 도 3 및 도 5의 (a),(b),(c)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내연기관(1)에 구동되고, OCV(16)를 경유해서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에 유압을 공급하는 도시하지 않은 오일펌프의 토출량이 증가하면 유압이 상승되고, OCV(16)의 유량특성은 예를들면 도 4의 실선의 특성에서 파선의 특성으로 변화한다. 이 유압의 상승은 액추에이터의 응답속도도 변화시키고, 도 5의 실선의 특성에서 파선의 특성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내연기관(1)의 회전속도가 상승한 경우에는 오일펌프의 토출량이 증가하므로 액추에이터의 응답속도특성이 변화하게 된다.
또, 제어수단(17)은 크랭크각 센서(13)의 출력과 캠각 센서(15)의 출력에 의해 밸브타이밍, 즉 실 진각량을 검출하는 동시에 내연기관(1)의 회전속도나 충전효율 등의 운전상태를 입력해서 목표 진각량을 연산한다. 그리고, 이 실 진각량과 목표 진각량이 일치하도록 OCV(16)의 전류치를 제어해서 밸브타이밍을 제어하고, 실 진각량과 목표 진각량이 일치한 전류치를 보존 잔류학습치로서 학습하며, 보존 전류 학습치를 기준치로 해서 기준치에 대한 편차에 의해 밸브타이밍의 제어를 한다.
이 보존 전류 학습치는 정적으로는 도 5에서의 응답속도가 0일 때의 전류치와 일치하나, 밸브타이밍은 예를들어 흡기밸브가 밸브스프링에 의해 캠에 압압되어 있으므로 캠이 밸브와 슬라이드할 때의 마찰력에 의해 지작측으로의 구동력을 받는다. 이 때문에 실 진각량을 목표 진각량에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진각측에 약간의 오일을 공급하고, 밸브와의 슬라이드 마찰력과 밸런스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 밸런스를 얻는 유량을 공급할 때의 전류치가 실제의 동적인 보존 전류 학습치가 된다. 따라서, 내연기관(1)의 회전속도의 변화에 의해 보존 전류 학습치는 변화하게 되어, 도 4와 도 5에 표시하는 A가 정적인 전류치와 동적인 전류치와의 차이며, 이 A의 값이 회전속도에 의해 변화하게 된다.
또, OCV(16)는 제조상의 흐트러짐 등에 의해서도 특성이 변화한다. 예를들면 유량특성은 도 4에 표시한 특성이 도 6의 경우와 같이 변하고, 전류변화에 대한 유량변화의 경사가 다른 것으로 된다.
또, 유량특성이 변하면 도 5에 표시한 응답성의 특성도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변화한다. 이와 같이 유량특성이나 응답성의 특성의 기울기가 변화하면 회전수의 차이에 의해 보존 전류 학습치도 변화해서 도 4와 도 5에 표시한 A의 값은 도 6과 도 7에서는 B와 같이 되어 A<B의 관계가 되고, 따라서 회전속도의 변화에 의한 B의 값의 변화도 A의 값의 변화보다 커진다. 이 발명은 이 같은 제품간의 특성차에 의한 보존 전류 학습치의 변화에 대응해서 전자솔레노이드(20)에 대한 전류치를 결정함으로써 제품간의 특성차인 흐트러짐을 흡수해서 안정된 제어가 되도록 하는 것이고, 이후의 설명에서는 이 발명은 가미하지 않은 경우의 제어와 본 발명을 가미한 경우의 제어를 대비해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한다.
도 8, 도 9, 도 10, 도 11은 본 발명을 가미하지 않은 경우의 제어의 플로차트이고, 각각의 처리는 제어수단(17)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마다에 실시되는 것이다. 도 8은 모드판정을 하는 처리이고, 스텝(80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내연기관(1)의 운전상태에 의해 제어수단(17)이 목표 진각량 Pt를 연산하는 동시에 크랭크각 센서(13)와 캠각 센서(15)의 양 검출치에서 실 진각량 Pd를 연산해서 양자의 편차 △P를 산출하고, 스텝(802)에서는 이 편차 △P가 소정치 PK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편차 △P가 소정치 PK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803)으로 진행하고, 비례ㆍ미분(PD)제어모드라고 판정하며, 편차 △P가 소정치 PK 미만인 경우에는 스텝(804)로 진행하여 보존모드라고 판정한다. 여기에 소정치 PK는 예를들면 밸브타이밍이 변동하여도 드라이버빌리티나 에미숀 등에 영향이 없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크랭크축(1a)의 회전각으로 1도 정도이다.
도 9는 보존전류의 학습을 하는 처리이고, 스텝(901)에서보존 잔류학습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예를들면 실 진각량이 목표 진각량에 일치한 상태인 보존모드에 있고, 후술하는 제어의 적분치가 안정된 상태인지 아닌지에 의해 판정한다. 학습조건이 성립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스텝(902)에서 그 시점에서의 전류치 Ad를 보존 전류 학습치 AL로서 기억한다. 스텝(901)에서 학습조건이 성립되어 있지 않으면 루틴을 종료해서 리턴한다. 보존 전류 학습치 AL은 제어수단(17)의 백업 RAM에 기억되고, 배터리가 이탈되어도 백업전원이 차단되지 않는한 기억보존된다.
도 10은 도 8의 플로차트에서 비례ㆍ미분(PD)제어모드라고 판정된 경우의 처리이다. 스텝(1001)에서는 목표 진각량과 실 진각량과의 편차 △P와 게인 Pgain을 승산해서 비례치 Vp를 구한다. 여기서, 비례게인 Pgain은 미리 설정된 값을 제어수단(17)의 ROM에 기억하고 있는 것이다. 스텝(1002)에서는 목표 진각량과 실 진각량과의 편차 △P와 편차의 전회치(△P(i-1))와의 차와 미분게인 Dgain을 승산해서 미분치 Vd를 구한다.
편차의 전회치(△P (i-1))는 소정 타이밍마다에 연산되는 편차 △P의 1연산타이밍 전의 값이다. 미분게인 Dgain은 비례게인과 같이 미리 설정된 값을 제어수단(17)의 ROM에 기억하고 있는 것이다.
스텝(1003)에서는 비례치 Vp와 미분치 Vd를 가산한 값을 기초로 전류치 대 진각속도 특성맵을 보간참조하고, 목표 전류편차 Apd를 구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전류치 대 진각속도 특성맵은 도 5,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전류치에 대한 응답속도가 보존 전류 학습치로부터의 편차치로 설정되어 있고, OCV(16)의 특성 중앙품 상당의 값 또는 중앙치를 사용해서 밸브타이밍 제어의 응답성을 만족하는 값이 설정되고 기억되어 있는 것이다. 스텝(1004)에서는 OCV(16)에 출력하는 전류치로서, 목표 전류편차 Apd에 스텝(902)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치 AL을 가산하고, 목표 전류치 OApd로서 스텝(1005)에서 이 목표 전류치를 출력한다.
도 11은 도 8의 플로차트에서 보존모드라고 판정되었을 때의 처리이고, 스텝(1101)에서는 목표 진각량과 실 진각량과의 편차 △P가 0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0이면 그 전류치에서 목표 진각량과 실 진각량이 일치되어 있는 상태이고, 전류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적분치 AI는 갱신할 필요가 없다.
일치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1102)에서 편차 △P가 0보다 큰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크면 스텝(1103)에서 적분치 AL로부터 적분량 I를 감산한다. 스텝(1102)에서 편차 △P가 0보다 작은 경우에는 스텝(1104)로 진행하고, 적분치 AI에 적분량 I를 가산한다. 스텝(1105)에서는 적분치 AI에 보존 전류 학습치 AL을 가산해서 목표 전류치 OAI를 구하고, 스텝(1106)에서 OCV(16)로 출력한다.
도 10의 제어에서 사용하는 전류치 대 진각속도 특성맵은 상기와 같이 OCV(16)의 중앙품 상당의 값(도 5와 도 7에 실선특성으로 표시한 특성의 양자의 중앙치), 또는 특성중앙품을 사용해서 밸브타이밍 제어의 응답성을 만족하는 값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장착되어 있는 OCV(16)가 도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특성의 경사가 크나, 예를들면 상한품의 것이면 연산한 목표 전류치를 출력하면 실제의 응답속도가 제어수단(17)으로 연산한 응답속도보다도 빠르므로, 오버슈트나 언더슈트가 커진다. 또,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특성의 경사가 작은 것, 예를들면 하한품이면 연산한 목표 전류치를 출력하면 실제의 응답속도가 제어수단(17)에서 연산한 응답속도보다도 늦으므로 응답시간이 저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가미하지 않은 제어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갖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어를 한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을 가미한 경우의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고, 상기한 도 8 내지 도 11로 설명한 제어와 동일 제어의 스텝에는 동일 스텝번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도 12는 보존 전류 학습처리이고, 상기한 도 9에 대해 이 발명을 가미한 것이다. 도 12에서 스텝(901)에서 보존 전류 학습조건이 성립하고, 스텝(902)에서 보존 전류의 학습을 실시한 후, 스텝(1201)에서는 내연기관(1)의 회전속도 Ne가 제 1의 소정회전속도 N1과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 1의 소정회전속도는 예를들면, 유압이 낮고 밸브타이밍 제어를 개시하는 회전속도인 1500r/m정도로 설정한다. 회전속도가 제 1의 소정회전속도 N1과 일치하면, 스텝(1202)에서 여기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치를 제 1의 소정회전속도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치 AL1으로하여 학습하고, 동시에 학습을 실시한 것을 식별하는 플래그 F1에 1을 설정한다.
스텝(1203)에서는 내연기관(1)의 회전속도 Ne가 제 2의 소정회전속도 N2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 2의 소정회전속도는 예를들면, 유압이 거의 포화되는 상용 회전영역인 3000r/m 정도로 설정된다. 회전속도가 제 2의 소정회전속도 N2와 일치하면, 스텝 (1204)에서 여기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치를 제 2의 소정회전속도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치 AL2로서 학습하고, 동시에 학습을 실시한 것을 식별하는 플래그 F2에 1을 설정한다. 스텝(1205)에서는 제 1의 소정회전속도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치 AL1과 제 2의 소정회전속도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치 AL2와의 차를 보존 전류 학습치 편차 ALsa로 해서 구한다.
제 1의 소정회전속도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치 AL1과 식별플래그 F1과, 제 2의 소정회전속도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치 AL2와, 식별플래그 F2와, 보존 전류 학습치 편차 ALsa는 제어수단(17)의 백업 RAM에 보존되고, 배터리가 이탈되지 않는 한 기억된다. 또, 식별플래그 F1과, F2는 배터리가 이탈된 직후에만 0이 세트된다.
도 13은 상기한 도 8의 처리에서 비례ㆍ미분(PD)제어모드라고 판정되었을 때의 처리이고, 상기한 도 10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우선, 스텝(1001)과 스텝(1002)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비례치, 미분치를 산출한 후 스텝(1301)에서 제 1과 제 2의 소정회전속도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치의 학습이 완료되어 있는지의 여부 즉 F1 = 1이고, F2 = 1로 되어 있는지를 판정하고, 학습이 완료되어 있으면 스텝(1302)에서 보존 전류 학습치 편차 ALsa가 소정 전류치 SK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전류치 SK는 예를들면, 상한품 OCV와 하한품 OCV의 분간이 되는 전류 편차치에 설정되고, 통산은 20mA 정도이다.
보존 전류 학습치 ALsa가 소정전류치 SK 이상인 경우, 스텝(1303)에서 비례치 Vp와 미분치 Vd를 가산한 값을 기준으로 하한품 OCV의 전류치 대 진각속도 특성맵을 보간참조하고, 목표 전류편차 Apd를 산출한다.
스텝(1302)에서 보전 전류 학습편차 ALsa가 소정전류치 SK미만인 경우, 스텝 (1304)로 진행하고, 비례치 Vp와 미분치 Vd의 가산치를 기준으로 상한품 OCV의 전류치 대 진각속도 특성맵을 보간참조하고, 목표 전류편차 Apd를 산출한다. 스텝(1004)에서는 목표 전류편차 Apd에 보존 전류 학습치 AL을 가산해서 목표 전류치 OApd를 구하고, 스텝(1005)에서 이것을 OCV로 출력한다.
스텝(1303)에서 보간참조되는 하한품 OCV의 맵은 도 7의 실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은 특성, 스텝(1304)에서 보간참조되는 상한품 OCV맵은 도 5의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특성이고, 하한품 맵쪽이 상한품 맵보다도 전류변화에 대한 속도변화의 비율(경사)이 작다. 스텝(1301)에서 제 1과 제 2의 소정회전수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이 완료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1304)에서 상한 상당의 맵을 참조하도록 하고 있는 것은 OCV의 특성이 불명한 시점에서는 안전성을 중시해서 출력전류를 제한하기 위해서 이고, 이로 인해 응답성은 잠정적으로 낮게 제어된다.
또, 이 도 13의 목표 전류치의 연산에서는 전류치 대 진각속도 특성맵을 보존 전류 학습치 편차 ALsa에 의해 전환되도록 하였으나, 도 14와 같이 비례게인 또는 미분게인을 보존 전류 학습치 편차 ALsa에 의해 전환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즉, 도 14에서 스텝(1301)에서 제 1과 제 2의 소정회전속도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이 완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스텝(1302)에서 보존 전류 학습치 편차 ALsa가 소정치 SK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1401)과 스텝(1402)로 하한의 OCV용으로 설정하며, 기억시킨 비례게인 PLgain과 미분게인 DLgain에서 각각 비례치 Vp와 미분치 Vd를 산출한다.
또, 스텝(1302)에서 보존 전류 학습치 편차 ALsa가 소정치 SK미만 이라고 판정된 경우와, 스텝(1301)에서 보전 전류 학습이 완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1403)과 스텝(1404)로 진행하고, 각각에서 상한의 OCV용에 설정된 비례게인 PUgain과 미분게인 DUgain으로부터 각각 비례치 Vp와 미분치 Vd를 산출한다. 계속해서 스텝(1003)에서 비례치 Vp와 미분치 Vd의 가산치를 기준으로 전류치 대 진각속도 특성맵을 보간참조하고, 목표 전류편차 Apd를 구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전류치 대 진각속도 특성맵은 도 10의 스텝(1003)일때와 같이, OCV(16)의 특성 중앙품 상당의 값, 또는 특성중앙치를 사용해서 밸브타이밍 제어의 응답성을 만족하는 값이 설정되어 있다.
스텝(1004)에서는 목표 전류치 OApd를 산출하고, 스텝(1005)에서 이를 출력한다. 여기서, 비례게인과 미분게인은 하한품 OCV용 게인 PLgain과 DLgain쪽이 상한품 OCV용 게인 PUgain과 DUgain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보존 전류 학습치 편차 ALsa와 소정치 SK와의 관계에 의해 선택하는 게인은 비례게인만으로 하고, 미분게인은 동일치로 할 수도 있으며, 선택하는 게인을 미분게인만으로 해서 비례게인은 동일치로 할 수도 있다. 또, 스텝(1301)에서 제 1과 제 2의 소정 회전수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이 미완료인 경우에 상한의 OCV용으로 설정된 비례게인과 미분게인으로 연산하는 것은 OCV의 특성이 불명한 시점에서는 안전성을 중시해서 출력전류를 제한하고, 응답성을 잠정적으로 낮게 제어하기 때문이다.
도 15는 상기한 도 11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이 처리에서는 우선 스텝(1101)에서 목표 진각량과 실 진각량과의 편차 △P가 0이 아니고, 스텝(1102)에서 이 편차 △P가 0보다 크고, 스텝(1301a)에서 제 1과 제 2의 소정회전수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이 완료되어 있으며, 스텝(1302a)에서 보존 전류 학습치 편차 ALsa가 소정치 SK 이상인 경우, 스텝(1501)에서 적분치 AI보다 하한품 OCV상당의 적분량 IL을 감산한다. 또, 스텝(1302a)에서 보존 전류 학습치 편차 ALsa가 소정치 SK보다 작은 경우, 또는 스텝(1301a)에서 보존 전류 학습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1502)에서 적분치 AI보다 상한품 OCV상당의 적분량 IU를 감산한다.
또, 스텝(1102)에서 목표 진각량과 실 진각량과의 편차 △P가 0보다 작고, 스텝(1301b)에서 제 1과 제 2의 소정회전수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이 완료되어 있고, 스텝(1302b)에서 보존 전류 학습치 편차 ALsa가 소정치 SK이상의 경우에는 스텝(1503)에서 적분치 AI가 하한품 OCV상당의 적분량 IL을 가산한다. 스텝(1302b)에서 보존 전류 학습치 편차 ALsa가 소정치 SK보다 작은 경우, 또는 (1301b)에서 보존 전류 학습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1504)에서 적분치 AI에 상한품 OCV상당의 적분량 IU를 가산한다.
여기서는 하한품의 OCV상당의 적분량 IL쪽이 상한품 OCV상당의 적분량 IU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스텝(1301a)와 스텝(1301b)에서 제 1과 제 2의 소정회전수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한 상당의 적분치를 가감산하는 것은 OCV의 특성이 불명한 시점에서는 안전성을 증시해서 출력전류를 제한하고, 응답성을 잠정적으로 낮게 제어하기 때문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에 의하면 다른 내연기관의 운전상태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치의 편차를 구하고, 이 편차에 의해 PD모드로 연산실행하는 PD제어의 전류치 대 진각속도 특성맵을 선택하도록 하였으므로, 또 보존 전류 학습치의 편차에 의해 비례게인과 미분게인의 값을 전환해서 전류치 대 진각속도 특성맵을 보간참조하고, 목표 전류편차를 구하도록 하였으므로 사용하고 있는 OCV의 특성에 따른 제어를 하게 되어, 응답성에 흐트러짐이 있어도 이를 저감할 수가 있고, 안정된 응답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보존 전류 학습치의 편차에 의해 보존모드에서 연산실행하는 적분제어의 적분량을 전환하도록 하였으므로 OCV의 특성차에 의한 밸브타이밍 제어의 흐트러짐을 저감시킬 수 있고, 안정되게 제어할 수가 있는 것이다.
실시의 형태 2.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제어내용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고, 이 실시의 형태 2는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제어의 내용을 변경하고, 보존 전류 학습치 비율을 사용해서 밸브타이밍 제어를 위한 전류치를 결정하도록 한 것이다. 또,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제어와 동일 제어의 스텝에는 동일 스텝번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우선, 도 16은 보존 전류 학습처리이고,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도 12의 제어내용을 변경한 것으로 도 12에 대해 스텝(1601)을 추가하도록 한 것이다. 도 16에서 스텝(901)에서 스텝(1205)까지는 실시의 형태 1의 도 12와 동일 처리이고, 스텝(1201)에서 스텝(1204)까지의 각 스텝에서 제 1의 소정회전속도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치 AL1과 제 2의 소정회전속도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치 AL2를 학습하고, 스텝(1205)에서 양자의 차를 보존 전류 학습치 편차 ALsa로 해서 학습처리 한 후, 스텝(1601)에서 보존 전류 학습치 편차 ALsa와 미리 ROM에 기억되어 있는 하한품 OCV상당의 보존 전류 편차 AL1과 상한품 OCV상당의 보존 전류편차 ALu에 의해 보존 전류 학습치 비율 KAL을 연산한다.
도 17은 PD모드시에 실행되는 비례ㆍ미분제어이고, 실시의 형태 1의 도 13의 제어내용을 변경하는 것이다. 스텝(1001)과 스텝(1002)로 비례치 Vp와 미분치 Vd를 연산한 후, 이 Vp와 Vd의 가산치를 기초로 스텝(1701)과 스텝(1702)로 각각 상한과 하한의 전류치 대 진각속도 특성맵으로 부터 목표 전류편차 Aupd와 ALpd를 구한다. 계속해서, 스텝(1301)에서 제 1과 제 2의 소정회전속도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이 완료되어 있는 경우, 스텝(1703)에서 상기한 스텝(1601)에서 얻은 보존 전류 학습치 비율 KAL과 스텝(1710)에서 얻은 상한 목표 전류 편차 AUpd와 스텝(1702)에서 얻은 하한 목표 전류 편차 ALpd에 의해 목표 전류 편차 Apd를 산출한다.
스텝(1301)에서 보존 전류 학습이 완료되어 있지 않을 때는 스텝(1704)으로 진행해 상한 목표 전류 편차 AUpd와 하한 전류 편차 ALpd와의 중간치를 목표 전류 편차 Apd로 한다.
다음에, 스텝(1004)에서 목표 전류치 OApd를 산출하고, 스텝(1005)에서 OCV로 출력한다. 여기서, 스텝(1301)에서 보존 전류 학습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 스텝(1704)에서 중간치를 목표 전류 편차 Apd로 한 것은, OCV의 특성이 잘 규명되지 않고, 특성이 불명한 상태이라도 중간치 상당으로 함으로써, 이 제어를 도입하지 않은 경우의 응답성과 같은 정도의 응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 이 도 17의 처리대신에 도 18에 표시하는 처리로 할 수도 있다.
즉, 도 18에서 스텝(1301)에서 제 1과 제 2의 소정회전속도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이 완료되어 있을 경우, 스텝(1801)에서 보존 전류 학습치 비율 KAL과, 상한품 OCV용 비례게인 PUgain과, 하한품 OOCV용 비례게인 PLgain으로부터 비례치 Vp를 구하고, 스위치(1802)에서 보존 전류 학습치 비율 KAL과, 상한품 OCV용 미분게인 DUgain과, 하한품 OCV용 미분게인 DLgain에서 미분치 Vd를 구한다. 또, 스텝(1301)에서 학습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1803)에서 비례치 Vp는 상한품 OCV용 비례게인 PUgain과 하한품 OCV용 비례게인 PLgain과의 중간치로 한다. 마찬가지로 스텝(1804)에서 미분치 Vd도 상한품 OCV용 미분게인 DUgain과 하한품 OCV용 미분게인 DLgain과의 중간치를 사용한다.
계속해, 스텝(1003)에서 비례치 Vp와 미분치 Vd와의 가산치를 기준으로 전류치 대 진각속도 특성맵을 보간참조해서 목표 전류 편차 Apd를 구하나, 여기서의 전류치 대 진각속도 맵은 상기한 도 10의 스텝(1003)과 같이 센터품 OCV상당의 특성치가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스텝(1004)에서 이 목표 전류 편차 Apd에 보존 전류 학습치 AL을 가산해서 목표 전류치 OApd로 하고, 스텝(1005)에서 OCV로의 출력을 한다.
또, 스텝(1301)에서 보존 전류 학습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스텝(1803)과 스텝(1804)로 비례치와 미분치의 연산을 상한품 OCV용과 하한품 OCV용의 비례게인과 미분게인의 중간치로 하는 것은 OCV의 특성이 확인되지 않고, 특성이 불명한 상태라도 중간치 상당으로 함으로써, 이 제어를 도입하지 않는 경우의 응답성과 같은 정도의 응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도 19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도 15의 제어내용을 변경한 것이다. 도 19에서 스텝(1101)에서 목표 진각량과 실 진각량과의 편차 △P가 0이 아니고, 스텝(1102)에서 목표 진각량과 실 진각량의 편차 △P가 0보다 크며, 스텝(1301a)에서 제 1과 제 2의 소정회전수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이 완료되어 있을 때, 스텝(1901)에서 보존 전류 학습치 비율 KAL과, 상한적분량 IU와, 하한적분량 IL로부터 구한 적분량을 적분치 AI에서 감산한다. 스텝(1301a)에서 학습이 완료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1902)에서 상한적분량 IU와 하한적분량 IL의 중간치를 적분량으로 하고, 적분치 AI에서 감산한다.
또, 스텝(1102)에서 목표 진각량과 실 진각량과의 편차 △P가 0보다 작고, 스텝(1301b)에서 제 1과 제 2의 소정회전속도에서의 보존 전류 학습이 완료되어 있는 경우, 스텝(1903)에서 보존 전류 학습치 비율 KAL과 상한적분량 IU와 하한적분량 IL에서 구한 적분량을 적분치 AI에 가산한다.
스텝(1301b)에서 학습이 완료해 있지 않을 때는 스텝(1904)에서 상한적분량 IU와 하한적분량 IL과의 중간치를 적분량으로 하고, 적분치 AI에 가산한다. 이들의 경로에서 적분치 AI를 얻은 후, 스텝(1105)로 진행해서 적분치 AI에 보존 전류 학습치 AL을 가산해서 목표 전류치 OAI로 하고, 스텝(1106)에서 출력한다.
이 처리에서 스텝(1301a)와 스텝(1301b)로 보존 전류 학습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스텝(1902)와 스텝(1904)로 적분치의 연산을 상한품 OCV용과 하한품 OCV용의 적분량의 중간치를 사용하도록 한 것은 OCV의 특성이 확인되어 있지 않고, 특성이 불명한 상태라도 중간치 상당으로 함으로써, 이 제어를 도입하지 않는 경우의 응답성과 같은 정도의 응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에 의하면 보존 전류 학습치의 편차에 의해 비례ㆍ미분(PD)모드로 연산하는 PD제어의 전류치 대 진각속도 특성맵, 또는 제어게인을 보존 전류 학습치 비율에 의해 구하도록 하였으므로, 또 보존 전류 학습치의 편차에 의해 보존모드로 연산하는 적분치를 보존 전류 학습치 비율에 의해 구하도록 하였으므로, OCV(16)의 특성 여하에 불구하고,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OCV의 특성에 맞는 제어전류치로 할 수가 있고, 실시의 형태 1 보다도 더욱 안정된 응답성과 제어성을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상기한 설명에서는 실시의 형태 1 및 실시의 형태 2 모두 흡기밸브의 타이밍 제어를 한 예로 해서 설명하였으나, 배기밸브의 타이밍 제어에 적용해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의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내연기관의 크랭크축에 구동되고, 흡기밸브를 개폐하는 캠과 배기밸브를 개폐하는 캠과, 이 양캠의 적어도 한쪽의 캠의 크랭크축에 대한 회전위상을 변경하는 밸브타이밍 가변수단과, 이 밸브타이밍 가변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이 구동수단에 대한 제어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이 제어수단이 내연기관의 다른 운정상태에서 밸브타이밍 가변수단의 소정의 동작을 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에의 제어량의 차를 검지하고, 이 제어량의 차에 따라 구동수단에 대한 제어량을 결정하도록 하였으므로, 장비되어 있는 구동수단인 OCV의 응답특성을 검지하고, 이 응답특성에 따라 제어할 수가 있어, 안정된 응답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제어수단이 내연기관의 다른 운전상태에서의 제어량을 학습하고, 이 학습치의 차로부터 구동수단에 대한 제어량을 결정하도록 하였으므로 비례ㆍ미분제어나 적분제어에 대해서도 장비하고 있는 구동수단의 응답특성에 따른 제어량을 정확하게 구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내연기관의 크랭크축에 의해 구동되고, 흡기밸브를 개폐하는 캠, 상기 내연기관의 크랭크축에 의해 구동되고, 배기밸브를 개폐하는 캠, 이들의 양 캠의 적어도 한쪽의 캠과 상기 크랭크축과의 회전전달경로에 개재해서 상기 적어도 한쪽의 캠의 상기 크랭크축에 대한 회전위상을 변경하는 밸브타이밍 가변수단, 이 밸브타이밍 가변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 이 구동수단에 대한 제어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이 제어수단이 상기 내연기관의 어느 운전상태량이 제1치로 된 경우에서의 상기 구동수단의 보존전류치에 대응하는 제1보존전류치와, 상기 운전상 태량이 제2치로 된 경우에서의 상기 구동수단의 보존전류치에 대응하는 제2보존전류치와의 차에 상당하는 편차량을 기억하고 있으며, 이 편차량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에 대한 제어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제1보존전류치와 제2보존전류치를 학습치로 하여 기억하며, 이들의 차에 상당하는 상기 편차량을 연산하고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구동수단에 대한 복수의 다른 특성맵을 미리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편차량에 따라 이 복수의 다른 특성맵중의 하나를 보간참조하고, 상기 구동수단에 대한 제어량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
KR10-2001-0043437A 2000-11-02 2001-07-19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 KR100439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36470A JP3703709B2 (ja) 2000-11-02 2000-11-02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JP-P-2000-00336470 2000-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848A KR20020034848A (ko) 2002-05-09
KR100439717B1 true KR100439717B1 (ko) 2004-07-12

Family

ID=1881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437A KR100439717B1 (ko) 2000-11-02 2001-07-19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12459B1 (ko)
JP (1) JP3703709B2 (ko)
KR (1) KR100439717B1 (ko)
DE (1) DE10128735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38200A1 (ja) 2002-10-25 2004-05-06 Denso Corporation 内燃機関の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4089594B2 (ja) 2003-11-11 2008-05-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可変動弁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4269169B2 (ja) 2004-08-31 2009-05-27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回転状態検出装置
DE102004047180B4 (de) * 2004-09-29 2014-07-17 Robert Bosch Gmbh Aufladeeinrichtung mit Laststeuerung an Verbrennungskraftmaschinen
DE102005049777B4 (de) * 2005-10-18 2018-05-3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JP4767299B2 (ja) * 2008-09-26 2011-09-07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特性制御装置
US20120001105A1 (en) * 2010-06-30 2012-01-05 Denso Corporation Valve control apparatus and electric driving apparatus
JP6267553B2 (ja) 2014-03-20 2018-01-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可変動弁機構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7255428B2 (ja) * 2019-09-04 2023-04-11 株式会社デンソー 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876A (ja) * 1993-04-14 1994-10-25 Nippondenso Co Ltd 内燃機関用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KR20000053558A (ko) * 1999-01-28 2000-08-2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3875B2 (ja) * 1986-11-21 1997-05-28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3776463B2 (ja) * 1992-11-30 2006-05-17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における弁動作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H0777073A (ja) * 1993-09-09 1995-03-20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3039331B2 (ja) * 1995-03-27 2000-05-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H09217609A (ja) 1996-02-14 1997-08-19 Denso Corp 内燃機関用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3134763B2 (ja) 1996-03-22 2001-0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US6047674A (en) * 1997-09-12 2000-04-11 Denso Corporation Valve timing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068806B2 (ja) * 1997-12-15 2000-07-24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3290422B2 (ja) * 1999-04-26 2002-06-10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3477128B2 (ja) * 1999-11-30 2003-12-10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876A (ja) * 1993-04-14 1994-10-25 Nippondenso Co Ltd 内燃機関用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KR20000053558A (ko) * 1999-01-28 2000-08-2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03709B2 (ja) 2005-10-05
US20020050256A1 (en) 2002-05-02
DE10128735A1 (de) 2002-05-29
KR20020034848A (ko) 2002-05-09
DE10128735B4 (de) 2006-03-30
US6412459B1 (en) 2002-07-02
JP2002138865A (ja) 200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1304A (en) Valve timing control mechanis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0446065B1 (en) Method of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748357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a variable valve timing mechanism
KR0127285B1 (ko) 휴통 엔진의 아이들 제어 장치
US8015957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variable valve device
US20080029050A1 (en) Variable valve timing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143037A (en) Variable cam engine
US20100241322A1 (en) Vehicle control device
KR100439717B1 (ko)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
CN101874154A (zh) 用于可变气门操作机构的控制装置和控制方法
US5046461A (en) Valve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694912A (en) Fuel injection amount control apparatus for engine
US4938188A (en) Engine control apparatus
KR900001624B1 (ko) 압력응동식 작동자의 제어장치 및 엔진의 배기가스 재순환 제어장치
KR20020064635A (ko)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
JP5614141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US6325029B1 (en) Valve timing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473096B1 (ko)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
US6655361B2 (en) Fuel injection control apparatus of engine
JPS6166843A (ja) 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付エンジン
KR100343763B1 (ko)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JP2001254639A (ja) 内燃機関のバルブ特性制御装置
JP4720766B2 (ja) バルブタイミング可変装置及び油圧アクチュエータ制御装置
JP2002054465A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4905384B2 (ja) 油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