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743B1 - 모터구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모터구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743B1
KR100424743B1 KR1019970004070A KR19970004070A KR100424743B1 KR 100424743 B1 KR100424743 B1 KR 100424743B1 KR 1019970004070 A KR1019970004070 A KR 1019970004070A KR 19970004070 A KR19970004070 A KR 19970004070A KR 100424743 B1 KR100424743 B1 KR 100424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signal
motor
pulse
lifted
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891A (ko
Inventor
가쓰히데 구마가이
간이치 다나카
요우스케 오바타
시게지 이토
노보루 미즈카미
오사무 이나가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970063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9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increase beyond, or decrease below, a predetermined level of rotational spe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1Detection by monitoring transmitted force or torque; Safety couplings with activation dependent upon torque or force, e.g. slip coup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5Control circui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5Details with means for increasing reliability, e.g. redundanc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 H02H7/085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for motors actuating a movable member between two end positions, e.g. detecting an end position or obstruction by overload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Protection Of Generators And Motor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스 인코더에 고장이 발생한 상태에서 도어 유리창이 상승하도록 지시된 경우에 도어 유리창이 상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도어 유리창을 하강시키라는 지시가 있는 상태에서 펄스 인코더에서 발생한 펄스신호의 라이징 엣지 및 펄링 엣지로 스타트하여 타이머 카운터값(T)이 T ≥2ㆍt0(t0 : 펄스폭의 이동평균치)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T ≥2ㆍt0의 경우에는 펄스 결여가 생긴 것으로 하여 플래그(F)를 1로 세트한다. 그 후에 도어 유리창이 상승하도록 지시된 경우에 도어 유리창이 상승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모터구동 제어장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모터구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승강부재가 상승 및 하강하라는 지시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여 피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모터구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로부터 모터구동 제어장치는, 예를 들어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파워윈도우 제어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모터구동 제어장치가 파워윈도우 제어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모터가 사용되어 도어 유리창의 상승 및 하강을 지시하는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켜 도어 유리창을 상승 및 하강시킨다. 또 이 파워윈도우 제어 장치에서는 도어 유리창과 창틀과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검지(檢知)하기 위하여 모터의 회전과 동기하여 펄스(pulse) 신호를 발생시키는 펄스 인코더(pulse incoder)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펄스 인코더에서 발생된 펄스신호의 주기(周期) 변화량(變化量)을 구함과 아울러 구해진 변화량이 임계치보다 큰가 아닌가를 판단함으로써 도어 유리창과 창틀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또 이물질의 끼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모터의 구동을 일정량 반전(도어 유리창을 하강)시키고 정지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이물질이 끼어 있는가 아닌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펄스 인코더에서 모터의 회전에 동기하는 펄프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전제로 되어 있다. 또한 파워윈도우 제어장치에서는 펄스 인코더에 고장이 발생하였는가를 판정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펄스 인코더가 고장이 나서, 모터의 회전과 비동기의 펄스신호가 발생한 경우나 모터가 회전하여도 펄스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들이 펄스 인코더의 고장으로 인한 것인지, 이물질이 끼어있는 것이 원인인지를 구별할 수 없다.
따라서 펄스 인코더에 고장이 발생하고 또한 도어 유리창이 상승하도록 지시된 경우에도 펄스 인코더의 고장이라고 판정하지 않으므로 도어 유리창의 동작상태를 통상의 상승동작과 다르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모터의 회전에 동기하여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생수단에 고장이 발생한 상태에서 피승강부재가 상승하도록 지시되는 경우, 피승강부재가 통상의 상승동작을 하지 않는 모터구동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1의 발명은, 피승강부재를 상승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하여 상기 피승강부재가 상승 및 하강하도록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상기 모터의 회전과 동기하에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생수단과, 상기 펄스신호와 상기 모터의 회전과 동기하여 발생하는 정규의 펄스신호와의 사이에 소정의 차이가 있는 경우에 상기 발생수단이 고장이라고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하여 상기 발생수단이 고장이라고 판정되고 또한 상기 지시 수단에 의하여 상기 피승강부재가 상승하도록 지시된 경우에 상기 피승강부재의 동작상태가 통상의 승강동작과 다르게 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추고 있다.
청구항2의 발명은,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발생 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펄스신호가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와 동기하고 있지 않은 경우 및 상기 발생수단에서 펄스신호가 발생되고 있지 않은 경우 중의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소정의 차이가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의 발명은,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발생 수단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가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의 상태반전(狀態 反轉)시에 상태가 반전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와 동기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의 발명은,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발생 수단에서 발생한 펄스신호의 펄스폭이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의 펄스폭 보다 긴 경우에 상기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가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의 상태반전시에 상태가 반전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5의 발명은,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발생 수단에서 발생한 펄스신호의 펄스폭이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의 펄스폭 보다 짧은 경우에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와 동기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6의 발명은,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펄스 신호의 라이징 엣지 및 펄링 엣지 중에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시간을 구함으로써 상기 펄스폭을 구함과 아울러 소정의 시간보다 짧은 상기 시간을 제거하고 상기 펄스폭을 구하여 상기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의 펄스폭이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의 펄스폭보다 짧은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7의 발명은,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지시 수단의 지시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가 그 지시와 상반되게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함과 아울러 그 제어시의 상기 펄스신호의 상태가 그 제어전의 상태에서 변화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가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와 동기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8의 발명은,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모터 구동시에 상기 펄스신호가 발생하고 있지 않는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9의 발명은, 청구항1 내지 청구항8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수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과 동기하고 상호 같은 주기이며 위상(位相)이 어긋나는 펄스신호를 각각 발생시키는 복수의 펄스 신호발생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0의 발명은, 청구항9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펄스신호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복수의 펄스신호에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의 주기와 다른 주기의 펄스신호가 있는 경우에 상기 소정의 차이가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1의 발명은, 청구항9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펄스신호 발생수단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펄스신호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소정의 차이가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2의 발명은, 청구항1항 내지 청구항11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지시수단에 의하여 피승강부재가 상승하도록 지시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에 상기 피승강부재의 상승이 정지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청구항1의 발명에 관한 모터는 피승강부재를 상승시킨다. 지시수단으로부터는 모터에 의하여 피승강부재가 상승 및 하강하도록 지시된다. 그리고 발생수단으로부터는 모터의 회전과 동기하여 펄스신호가 발생된다.
판정수단은, 펄스신호와, 모터의 회전과 동기하여 발생하는 정규의 펄스신호와의 사이에 소정의 차이가 있는 경우에 발생수단이 고장이라고 판정한다.
제어수단은, 판정수단에 의하여 발생수단이 고장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 지시수단에 의한 상기 지시에 따라 피승강부재가 통상의 승강동작을 하도록 모터를 제어한다. 또한 통상의 승강동작은, 예를 들어 지시수단으로부터 피승강부재가 상승하도록 지시되는 경우에는 피승강부재가 정지 지시가 있을 때까지 상승하도록 모터가 제어되고, 지시수단으로부터 피승강부재가 하강하도록 지시되는 경우에는 피승강부재가 정지 지시가 있을 때까지 하강하도록 모터가 제어된다. 또한 피승강부재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한 때 및 지시수단에 의한 지시가 없어진 때에 정지지시되어 피승강부재의 승강이 정지된다.
한편 판정수단에 의하여 발생수단이 고장이라고 판정되고 또한 지시수단에 의하여 피승강부재가 상승하도록 지시된 경우에, 제어수단은 피승강부재의 동작상태가 통상의 승강동작과 다르게 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한다.
여기서 통상의 승강동작과 다른 피승강부재의 동작상태로서는, 예를 들어 청구항12의 발명과 같이 지시수단에 의하여 피승강부재가 상승하도록 지시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에 피승강부재의 상승이 정지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판정수단에 의하여 발생수단이 고장이라고 판정되고 또한 지시수단에 의하여 피승강부재가 상승하도록 지시된 경우에, 지시수단에 의하여 피승강부재가 상승하도록 지시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에 피승강부재의 상승이 정지되도록 하면 모터가 계속하여 구동되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이물질이 끼여도 당해 이물질에 계속하여 하중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승강동작과 다른 피승강부재의 동작상태에는, 그 밖에 지시수단에 의하여 피승강 부재가 상승하도록 지시되어도 피승강부재가 상승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고, 피승강부재를 간헐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통상의 상승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상승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펄스신호와 모터의 회전과 동기하여 발생되는 정규의 펄스신호의 사이에 소정의 차이가 있는 경우에 발생수단이 고장이라고 판정하기 때문에, 발생수단이 고장이라고 판정되고 또한 지시수단에 의하여 피승강부재가 상승하도록 지시된 경우에 피승강부재의 동작상태를 통상의 승강동작과 다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청구항2의 발명과 같이, 판정수단은, 발생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펄스신호가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와 동기하고 있지 않은 경우(제1태양) 및 발생수단에서 펄스신호가 발생되고 있지 않은 경우(제2태양) 중의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소정의 차이가 있다고 판정한다.
제1태양이 발생하는 때에는 예를 들어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가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의 상태반전(狀態反轉)시에 상태가 반전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청구항3의 발명과 같이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가 정규의 펄스신호의 상태반전(狀態反轉)시에 상태가 반전하고 있지 않은, 소위 펄스 결여가 생기는 경우에 발생수단에서 발생하는 펄스신호가 정규의 펄스신호와 동기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가 정규의 펄스신호의 상태반전시에 상태가 반전하지 않으면 발생수단에서 발생한 펄스신호의 펄스 폭이 정규의 펄스신호의 펄스폭보다 길게 된다. 여기서 청구항4의 발명과 같이 발생수단에서 발생한 펄스신호의 펄스폭이 정규의 펄스신호의 펄스폭보다 길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가 정규의 펄스신호의 상태반전시에 상태가 반전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여도 좋다.
또 제1태양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의 펄스폭이 정규의 펄스신호의 펄스폭보다 짧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청구항5의 발명과 같이 발생수단에서 발생한 펄스신호의 펄스폭이 정규의 펄스신호의 펄스폭보다 짧은, 소위 채터링이 발생하는 경우에 펄스신호가 정규의 펄스신호와 동기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여도 좋다.
그러나 상기 펄스폭은, 펄스신호의 라이징 엣지 및 펄링 엣지 중에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시간을 구할 수 있다. 또 펄스 신호의 라이징 엣지 또는 펄링 엣지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시간은 펄스신호의 1 주기이고, 펄스신호의 라이징 엣지 및 펄링 엣지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시간은 펄스신호의 반주기(半周期)이다.
이와 같이 펄스신호의 라이징 엣지 및 펄링 엣지 중에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시간을 구함으로써 상기 펄스폭을 구하면, 예를 들어 모터구동 제어장치의 진동 등에 의하여 발생수단이 고장이 아니더라도 펄스신호의 라이징 엣지 및 펄링 엣지가 생기는 경우가 있고 이로 인하여 발생수단이 고장이라고 잘못 판정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청구항6의 발명과 같이 소정의 시간 즉 라이징 엣지 및 펄링 엣지가 발생하여도 발생수단이 고장이 아니라고 판정할 수 있는 펄스 폭에 대응하는 시간보다 짧은 시간을 제거하고 펄스폭을 구하여 발생 수단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의 펄스폭이 정규의 펄스신호의 펄스폭보다 짧은가 아닌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1태양이 발생하는 때에는, 지시수단의 상기 지시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가 그 지시와 상반되는 경우에 펄스신호의 상태가 상기 지시에 따라 구동되는 때의 상태에서 변화하지 않는, 소위 펄스신호의 상태 비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여기서, 청구항7의 발명과 같이 지시수단의 상기 지시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가 그 지시와 상반되게 구동되도록 모터를 제어함과 아울러 그 제어시의 펄스신호의 상태가 그 제어전의 상태에서 변화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가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와 동기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제2태양이 발생하는 때에는 모터의 구동시에 펄스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소위 펄스신호의 비발생이 일어날 수 있다. 여기서 청구항8의 발명과 같이 모터 구동시에 펄스신호가 발생하고 있지 않는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모터의 전류가 흐르고 또한 모터의 전압이 환경조건(예를 들어 30℃의 상태)에 관계없이 모터가 구동되는 전압 이상의 경우에 모터가 구동되고 있다고 즉 모터 구동시라고 판정하여도 좋다.
여기서 이상 설명한 발명에 관한 발생수단은, 모터의 회전과 동기하여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하나의 펄스신호 발생수단으로 구성하여도 좋고, 청구항9의 발명과 같이 모터의 회전과 동기하고 상호 같은 주기이며 위상(位相)이 어긋나는 펄스신호를 각각 발생시키는 복수의 펄스신호 발생수단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발생수단을 복수의 펄스신호발생수단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펄스신호 발생수단의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펄스 결여, 채터링, 펄스신호의 상태 비변화 및 펄스신호의 비발생의 적어도 하나를 판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청구항10의 발명과 같이 판정수단으로 복수의 펄스신호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복수의 펄스신호에 정규의 펄스신호의 주기와 다른 주기의 펄스신호가 있는, 소위 펄스 결여가 생기는 경우에 소정의 차이가 있다고 판정하여도 좋고, 또 청구항11의 발명과 같이 판정수단으로 복수의 펄스신호 발생수단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펄스신호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소위 펄스신호의 비발생이 발생한 경우에 소정의 차이가 있다고 판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형태의 모터구동 제어장치는, 도1과 같이 모터(22)를 갖추고 있다. 모터(22)에는 윈도우 레귤레이터(16)가 연결되어 있다. 윈도우 레귤레이터(16)는 본 실시형태에서 소위 와이어식으로 되어 있어 모터(22)의 구동축에 부착되는 회전판(22A)에 와이어가 감겨져 있다. 이 와이어의 단부는 도어 유리창(2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유지채널(24)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유지채널(24)은 메인 가이드(26)상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터(22)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회전 구동력이 와이어를 통하여 전달되어 도어 유리창(20)이 유리창가이드(18)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윈도우 레귤레이터(16)의 구성은 이와 같은 와이어식에 한정되지 않고 X아암식이나 모터 자체가 랙을 따라 이동하는 소위 모터 자주식(自走式)을 사용하여도 좋다.
모터(22)에 의하여 도어 유리창(20)이 상승하면 도어 유리창(20)의 가장자리가 도어(12)의 도어 프레임(12A)내의 고무로 만든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도시생략)에 맞물려 도어 프레임(12A)의 개구(開口)가 닺힌다. 또 모터(22)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도어 유리창(20)이 하강이동되면 도어(12)의 도어 프레임(12A)의 개구가 열린다.
한편 모터(22)는 오토/매뉴얼 스위치(34)에 의하여 조작된다. 오토/매뉴얼 스위치(34)는, 예를 들어 양 방향으로 각각 2단조작할 수 있는 것이 적용되어, 1단조작시에는 조작중에만 도어(12)의 모터(22)가 구동하고(매뉴얼 조작) 2단조작함으로써 스위치에서 손을 떼어도 도어유리창(20)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상승 및 하강 록정지할 때까지) 모터(22)가 구동된다(오토 조작). 또 모터(22)는 회전판(22A)을 정/역방향의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어 유리창(20)을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
도2와 같이 모터구동 제어장치(10)는 상기 모터(22)의 구동을 오토/매뉴얼 스위치(34)의 조작에 의하여 제어하기 위한 파워윈도우 제어부(50)를 갖추고 있다. 또한 파워윈도우 제어부(50)는 1칩(chip)의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고, 마이크로컴퓨터는 도시하지 않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입출력 포트, 아나로그-디지탈(A/D) 변환기 및E2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이들은 버스에 의하여 상호 접속되어 있다. 또 E2PROM에는 후술하는 이동평균치(移動平均値)가 기억되어 있다.
모터구동 제어장치(10)는 배터리(60)의 플러스 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또 배터리(60)의 마이너스 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파워윈도우 제어부(50)는 오토/매뉴얼 스위치(34)의 각 스위치로부터의 신호선(52)이 접속되어 있다.
파워윈도우 제어부(50)에는 도어 유리창 개폐용의 제1 및 제2 릴레이 코일(110, 112) 각각의 양단이 접속되어 있어 상기 오토/매뉴얼 스위치(34)의 조작에 따라 파워윈도우 제어부(50)는 어느 하나의 릴레이 코일(110, 112)을 지화(磁化)시킨다.
제1릴레이 코일(11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1릴레이 스위치(108)가 배치되어 있다. 제1릴레이 스위치(108)의 공통단자(108A)는 상기 모터(22)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1접점(108B)은 배터리(60)의 플러스 단자에 접속되고, 제2접점(108C)은 접지되어 있다. 또 제1릴레이 코일(110)이 비자화된 경우, 제1릴레이 스위치(108)는 제2접점(108C)으로 전환된다.
한편, 제2릴레이 코일(11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릴레이 스위치(109)가 배치되어 있다. 제2릴레이 스위치(109)의 공통단자(109A)는 상기 모터(22)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1접점(109B)은 배터리(60)의 플러스 단자에 접속되고, 제2접점(109C)은 접지되어 있다. 또 제2릴레이 코일(112)이 비자화된 경우, 제2릴레이스위치(109)는 제2접점(109C)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제1릴레이 코일(110)이 자화되면 제1릴레이 스위치(108)는 제1 접점(108B)으로 전환되고 모터(22)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전류가 흘러 모터(22)가 정회전하여 도어 유리창은 폐(閉)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제2릴레이 코일(112)이 자화되면 제2릴레이 스위치(109)는 제1접점(109B)으로 전환되고 모터(22)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전류가 흘러 모터(22)가 역회전하여 도어 유리창은 개(開)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모터(22)에는 펄스 인코더(62)가 부착되어 있다. 펄스 인코더(62)는 도17(a)와 같이 모터(22) 회전축(22G)의 회전에 따라 축(62G)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판(62A)을 갖추고 있다. 회전판(62A)에는 축(62G)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同心圓)(실선으로 표시되어 있음)(62NS1) 상에 N극(62N), S극(62S)이 교대로 복수 배열되도록 자석이 다수 배치되어 있다. 도17(a)의 I-I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17(b)와 같이 동심원(62NS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파워윈도우 제어부(50)에 접속되고 홀소자(Hall Device) 등으로 구성되는 자력선을 검출하는 센서(62K1)(실선으로 표시되어 있음)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센서(62K1)가 자력선을 검출하면 그 검출신호가 신호선(64)을 통하여 파워윈도우 제어부(50)에 입력된다. 이 때문에 파워 윈도우 제어부(50)에서는 모터(22)의 회전속도를 펄스 인코더(62)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에 의거하여 구할 수 있다. 또 이 펄스 인코더(62)에서의 펄스신호를 카운트(count)함으로써 어느 정도 도어 유리창(2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펄스 인코더(62)의 고장검출 처리루틴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본 실시형태에서는 펄스 인코더(62)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와 정규의 펄스신호 사이에, 펄스 결여의 발생에 기인하는 차이가 있는 경우에 펄스 인코더(62)가 고장이라고 판정한다. 또 본 루틴에서는 오토/매뉴얼 스위치(34)의 조작에 의하여 도어 유리창(20)을 하강시키라는 지시가 있는 상태에서 펄스 인코더(62)에서 발생한 펄스신호의 라이징 엣지(rising edge) 및 펄링 엣지(falling edge)에서 후술하는 메인루틴(도5 참조)에 인터럽트를 걸어 스타트하여 스텝36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운트되는 타이머 카운터값(T)이 T ≥2ㆍt0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단 t0는 펄스폭(펄스신호의 라이징 엣지 및 펄링 엣지 사이의 시간)의 이동평균치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루틴과는 별도의 루틴으로 펄스폭의 이동평균치(t0)를 연산하고 있다. 즉 펄스폭을 연산함과 아울러 예를 들어 16(1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개의 펄스폭의 이동평균치를 t0로 하여 기억한다.
T ≥2ㆍt0 이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38에서 타이머 카운터값(T) 및 플래그(F)를 리세트하고, T ≥2ㆍt0인 경우에는 스텝40에서 플래그(F)에 1을 세트함과 아울러 타이머 카운터값(T)을 리세트한다.
여기서 펄스 인코더(62)가 고장이지 않은 경우에는 도14(a)와 같이 모터(22)의 회전과 동기하는 펄스신호(정규의 펄스신호)(P1, P2', P3', P4, . . .)가 출력된다. 이 경우, t0는 라이징 엣지(P1u) 및 펄링 엣지(P1d) 사이의 시간, 펄링 엣지(P1d) 및 라이징 엣지(P2u) 사이의 시간, 라이징 엣지(P2u) 및 펄링 엣지(P2d') 사이의 시간, 펄링 엣지(P2d') 및 라이징 엣지(P3u') 사이의 시간, . . . 의 이동평균치이다. 이와 같이 모터(22)의 회전과 동기하에 적정하게 펄스신호(정규의 펄스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타이머 카운터값(T)은 펄스폭에 대응하기 때문에 2ㆍt0이상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N극(62N), S극(62S) 등의 자극(磁極)에 먼지 등이 부착한 경우, 센서(62K1)는 먼지 등이 부착된 자극으로부터의 자력선을 검출할 수 없으므로 본래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펄스신호(정규의 펄스신호)(P2', P3')의 상태반전시에 펄스신호의 상태가 반전하지 않는 소위 펄스 결여가 발생한다. 즉 펄스신호(P2')가 떨어지지 않고 또 펄스신호(P3')가 올라가지 않는다. 이와 같이 펄스신호의 상태가 반전하지 않으면 본 루틴이 스타트하지 않으므로 타이머 카운터값(T)이 0으로 리세트되지 않고 카운트업(count-up)이 계속되어 그 결과, 타이머 카운터값(T)이 대략 3ㆍt0 로 된다.
따라서 타이머 카운터값(T)이 T ≥2ㆍt0 인가 아닌가를 판단함으로써 본래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펄스신호(P2', P3')의 상태반전시에 펄스신호의 상태가 반전하여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에 타이머 카운터값(T)의 카운트업 처리루틴을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루틴은 오토/매뉴얼 스위치(34)의 조작에 의하여 도어 유리창(20)을 하강시키라는 지시가 있는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시간마다 발진(發振)되는 펄스를 입력할 때마다 스타트하여 스텝42에서 타이머 카운터값(T)을 증가분 1을 더하고 본 루틴을 종료한다.
또한 펄스 인코더(62)의 고장검출 처리루틴(도3) 및 타이머카운터값(T)의 카운트업 처리루틴(도4)이 도어유리창(20)을 하강시키라는 지시가 있는 경우에 스타트하는 것은, 이들 루틴을 도어 유리창(20)의 상승중에 실행하면 도어 유리창(20)의 상승 중에 이물질이 끼는 경우에 펄스 신호의 펄스폭이 길게 되어 타이머 카운터값(T)이 T ≥2ㆍt0로 되어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하였는가 이물질이 끼었는가를 구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음에 오토/매뉴얼 스위치(34)가 온(ON)된 경우에 실행되는 도어 유리창승강 처리루틴(메인루틴)을 도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오토/매뉴얼 스위치(34)중에 도어 유리창(20)을 상승시키도록 자동 조작되는 경우에만 이물질이 끼었는가를 검출한다.
스텝66에서 오토/매뉴얼 스위치(34)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도어 유리창(20)을 상승(단, 자동조작)시키는 지시가 입력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상승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단계68에서 플래그(F)가 리세트 된 상태인가 아닌가를 판단함으로써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하였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또한 스텝66의 판단이 부정적인 경우 즉 도어 유리창(20)을 하강시키라는 지시가 있었던 경우나 매뉴얼 조작에 의하여 도어 유리창(20)을 상승시키라는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는 스텝 76에서 기타의 처리 즉 오토/매뉴얼 스위치(34)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는 도어 유리창(20)의 통상의 하강처리, 도어유리창(20)의 상승처리(단, 매뉴얼 조작)를 실행한다.
플래그(F)가 리세트된 경우에는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것이므로 스텝70에서 도어 유리창을 상승시키고 스텝72에서 상승 정지가 지시되는 때까지 기다린다. 즉 매뉴얼 조작되어 본 루틴이 스타트한 경우에는 오토/매뉴얼 스위치(34)의 조작이 종료하는가를 기다리는 한편, 오토조작되어 본 루틴이 스타트한 경우에는 상승록정지할 때까지 기다린다. 이와 같이 상승정지가 지시된 경우에는 스텝74에서 도어 유리창(20)의 상승을 정지시켜 본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플래그(F)가 1로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한 것이므로 본 루틴은 종료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한 상태에서 도어 유리창(20)을 상승시키라는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 도어 유리창(20)이 상승하지 않는, 즉 통상의 동작과는 다른 동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타이머 카운터값(T)이 펄스폭의 이동평균치(t0)의 2배 이상인 경우에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플래그(F)를 1로 세트함과 아울러 이 상태에서 도어 유리창(20)을 상승시키라는 지시가 입력된 경우, 도어 유리창(20)이 상승하려고 하지 않으므로 도어 유리창(20)을 하강시키라는 지시가 입력되지 않아도 모터가 계속하여 구동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어 유리창(20)와 도어 프레임(12A) 사이의 위치에 이물질이 위치하여도 도어 유리창(20)이 상승하지 않으므로 그 이물질에 계속하여 하중이 걸리는 일이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성을 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도6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파워윈도우 제어부(50)에는, 모터 전류를 검출하는 수단이 접속되어 있다. 즉 릴레이 스위치(108, 109) 각각의 제2접점(108C, 109C)은 모두 미소한 저항치(약 10mΩ)의 션트 저항(120)을 통하여 접지되어 있다.
션트 저항(120)의 고전위측에서는 신호선(122)이 분기되어 있다. 이 신호선(122)은 저항(124), 저항(128)을 통하여 OP앰프(132)의 비반전 입력 단자(130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저항(124)와 저항(128)의 사이에는 일단이 접지되는 전해 콘덴서(126)의 타단이 접속되어 필터를 구성하고 있다. OP앰프(132)의 반전 입력단자(130B)는 저항(134)을 통하여 접지되어 있다. 또 OP앰프(132)의 출력단자(130C)는 피드백 저항(136)을 통하여 반전 입력단자(130B)에 접속되어 증폭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OP앰프(132)의 출력단자(130C)는 파워윈도우 제어부(50)의 A/D변환기에 접속되어, 파워원도우 제어부(50)는 모터 전류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파워원도우 제어부(50)에는 모터 전압을 검출하는 수단이 접속되어 있다. 즉 제1접점(108B) 및 배터리(60)의 플러스 측 단자간에는 선(30)의 일단이 접속되고, 선(30)의 타단은 파워윈도우 제어부(50)의 상기한 아나로그-디지탈(A/D)변환기에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파워윈도우 제어부(50)는 모터(22)에 인가되는 전압(모터 전압이라고 한다)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파워윈도우 제어부(50)에는 도어유리창(20)이 전폐위치(全閉位置 ; 도어 유리창이 거의 다 닫히는 위치) 근방에 위치한 때에 파워윈도우 제에부(50)에 신호를 출력하는 리미트 스위치(54)가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와 펄스 인코더(62)의 고장검출 처리루틴이 다르므로, 이하 고장검출 처리루틴을 도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펄스 인코더(62)로부터의 펄스신호와 정규의 펄스신호의 사이에 펄스신호의 비발생에 기인하는 차이가 있는 경우에 펄스 인코더(62)가 고장이라고 판정한다.
본 루틴은, 오토/매뉴얼 스위치(34)중에 도어 유리창(20)을 하강시키는 스위치가 온(ON)된 경우 및 소정의 시간마다 스타트하여, 스텝78에서 리미트 스위치(54)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었는가 즉 도어 유리창(20)이 전폐위치 근방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어 유리창(20)이 상승록정지한 뒤에 도어 유리창(20)을 하강시키는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본 루틴이 스타트하였는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그 판단이 부정판정의 경우에는 본 루틴은 종료하고, 그 판단이 긍정판정의 경우에는 스텝80에서 모터 전류가 흐르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그 판단이 부정판정인 경우에는 본 루틴은 종료하고, 그 판단이 긍정판정인 경우에는 스텝82에서 모터 전압 Vm이 Vm ≥VO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단 VO는 예를 들어 -30℃의 경우에도 모터(22)가 구동되는 모터 전압이다. 그 판단이 부정판정인 경우에는 본 루틴은 종료하고, 그 판단이 긍정판정인 경우에는 스텝84로 간다.
이와 같이 스텝84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모터(22)가 구동되어 있는 즉 펄스 인코더(62)가 고장인가 아닌가를 적절하게 판정할 수 있다. 즉 모터 전류가 흐르고 있으면 모터(22)와 배터리(60)가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할 수 있고, 모터 전압 Vm이 전압 VO 이상이라면 환경조건에 의존하지 않고 모터(22)가 확실히 구동한다고 판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텝84에서는 펄스신호의 라이징 엣지 및 펄링 엣지를 검출할 수 있는 소정의 시간내에 펄스신호가 검출되지 않았던가를 판단한다. 그 판단이 긍정판정인 경우에는 모터(22)가 구동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펄스 인코더(62)로부터의 펄스신호가 출력되고 있지 않다고(펄스신호의 비발생) 판정할 수 있다. 즉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할 수 있으므로 스텝86에서 플래그(F)를 1로 세트하고 본 루틴은 종료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하는 데에 도어 유리창(20)이 전폐위치 근방에 있는 것이 전제조건으로 되어 있는 것은, 본 루틴은 도어 유리창(20)을 하강시키는 스위치가 온되는 경우에 스타트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펄스신호가 검출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기 때문에 도어 유리창(20)이 하강하고 하강록정지하여 펄스 인코더(62)로부터의 펄스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와,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하여 펄스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를 구별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텝78 대신에 본 루틴이 실행되는 사이에 도어 유리창(20)의 하강이 하강록정지하지 않은 위치인가 아닌가를 판단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루틴이 도어 유리창(20)을 하강시키는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스타트하도록 한 것은, 도어 유리창(20)을 상승시키는 스위치가 온되고 도어 유리창(20)이 상승하여 이물질이 끼여 펄스 인코더(62)로부터의 펄스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와,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하여 펄스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를 구별하기 위함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성을 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도8과 같이 펄스 인코더(62)와 파워 윈도우 제어부(50) 사이에는 콘덴서(46)의 일단이 접속되고 콘덴서(46)의 타단은 접지되어 있다. 이 콘덴서(46)에 의하여 펄스 인코더(62)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후술하는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와 펄스 인코더(62)의 고장검출 처리루틴이 다르기 때문에 이하 고장검출 처리루틴을 도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고장검출 처리루틴(도9 참조)은 제1실시형태의 고장검출 처리루틴(도3 참조)과 동일한 부분이 있으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는 펄스 인코더(62)로부터의 펄스신호와 정규의 펄스신호 사이에 채터링(chattering)의 발생에 기인하는 차이가 있는 경우에 펄스 인코더(62)가 고장이라고 판정한다.
본 루틴(도9 참조)은 오토/매뉴얼 스위치(34)에 의하여 도어 유리창(20)이 하강하도록 지시된 상태에서 펄스 인코더(62)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라이징 엣지 및 펄링 엣지를 검출할 때마다 또한 소정의 시간마다 스타트하여 스텝88에서 타이머 카운터값(T)이 T < t0/2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14(b)와 같이 모터(22)의 회전과 동기하는 펄스신호(정규의 펄스신호)(P5, P6', P7, P8, . . .)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모터(22)의 회전과 동기하여 적정하게 펄스신호(정규의 펄스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타이머 카운터값(T)은 t0/2보다 작게 되지 않는다.
그러나 N극(62N), S극(62S) 등의 자극에 먼지 등이 부착한 경우에센서(62K1)는 먼지 등이 부착한 부분의 자극으로부터의 자력선을 검출할 수 없으므로, 예를 들어 본래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펄스신호(P6')의 하이(high)상태중에 펄스신호의 펄링 엣지(P6d') 및 라이징 엣지(P6u')가 발생하는 소위 채터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소위 채터링이 발생하면 펄스신호의 라이징 엣지 및 펄링 엣지가 검출되어 본 루틴이 스타트하여 스텝88에서 판단되는 타이머카운터값(T)이 t0/2 보다 작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타이머 카운터값(T)이 T < t0/2인가 아닌가를 판단함으로써 채터링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터링이 발생한 경우에는 펄스 인코더(62)가 고장이라고 판정할 수 있어서 스텝40으로 진행하고, 채터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펄스 인코더(62)가 고장이 아니라고 판정하여 스텝38로 간다.
또 도14(b)의 펄스신호(P5)의 상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구동 제어장치(10)가 진동 등을 하기 때문에 미세한 채터링이 발생하여 펄링 엣지(P5d') 및 라이징 엣지(P5u')가 고주파로 출력되는 경우가 있으나 전술한 콘덴서(46)에 의하여 이 고주파 성분은 제거된다. 또한 타이머 카운터값(T)이, 채터링으로서 허용되는 펄스폭(예를 들어, 펄링 엣지(P5d') 및 라이징 엣지(P5u') 사이의 시간)을 무시하고 펄스폭(예를 들어 펄스신호(P5)의 라이징 엣지 및 펄링 엣지 사이의 시간)을 검출하여 카운트됨으로써 콘덴서(46)를 생략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와 펄스인코더(62)의 고장검출 처리루틴이 다르기 때문에 이하 고장검출 처리루틴을 도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는 펄스 인코더(62)로부터의 펄스신호와 정규의 펄스신호 사이에 펄스신호의 상태 비변화에 기인하는 차이가 있는 경우에 펄스 인코더(62)가 고장이라고 판정한다.
본 루틴은 하강록정지한 때에 스타트하여 스텝186에서 도어 유리창을 상승시키고 스텝188에서 펄스신호의 상태가 도어 유리창을 하강시킨 때의 상태에서 변화하였는가 안하였는가를 판단한다. 이 때에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펄스신호의 상태는 도어 유리창을 하강시킨 때의 상태에서 변화하는 것이 정상이므로, 펄스신호의 상태가 도어 유리창을 하강시킨 때의 상태에서 변화하였다면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하여 스텝192에서 도어 유리창의 상승을 정지시키고 본 루틴은 종료한다. 한편 하강록정지하여 도어 유리창을 상승시키는 경우에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하였다면 펄스신호의 상태가 도어 유리창을 하강시킨 때의 상태에서 변화하지 않으므로 이 경우(펄스신호의 상태 비변화)에는 스텝190에서 플래그(F)를 1로 세트하고 스텝192로 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강록정지한 후에 도어유리창을 상승시키는 경우에 펄스신호의 비변화가 있었는가 없었는가를 판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승록정지한 뒤에 도어 유리창을 하강시키는 경우에 펄스신호의 비변화가 있었는가 없었는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고, 하강록정지한 뒤에 도어 유리창을 상승시키는 경우 및 상승록정지한 뒤에 도어유리창을 하강시키는 경우에 펄스신호의 비변화가 있었는가 없었는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와 대략 같으나, 펄스 인코더(62)가 2펄스식이라는 점이 다르다. 즉 펄스 인코더(62)는 도17(a)와 같이 축(62G)을 중심으로 각각 반경(半徑)이 다른 2개의 동심원(62NS1, 62NS2)상에 N극(62N), S극(62S)이 교대로 배열되도록 자석이 다수 배치되어 있다. 또 도17(b)와 같이 동심원(62NS1, 62NS2)의 N극(62N), S극(62S)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파워윈도우 제어부(50)에 접속되고 홀소자 등으로 구성되는 자극(N극 또는 S극)을 검출하는 센서(62K1, 62K2)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17(a)와 같이 동심원(62NS1, 62NS2)상으로 배열된 각각의 N극(62N), S극(62S)은 서로 소정의 각도로 어긋나 있다. 이 때문에 센서(62K1, 62K2)의 각각에서는 모터(22)의 회전과 동기하여 서로 같은 주기이고 위상이 어긋나는 펄스신호가 출력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토/매뉴얼 스위치(34)에 의하여 도어 유리창(20)이 상승하도록 지시되는 경우에는 도15(a)와 같이 센서(62K1)로부터는 펄스신호(A)가, 센서(62K2)로부터는 펄스신호(B)가 출력된다. 한편 도어 유리창(20)이 하강하도록 지시되는 경우에는 도15(b)와 같이 펄스신호(A), 펄스신호(B)가 출력된다. 또한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펄스 신호(A)(정규의 펄스신호)의 라이징 엣지 및 펄링 엣지시의 펄스신호(B)(정규의 펄스신호)의 도어 유리창(20)의 하강시 및 상승시의 각각의 상태는 표1에, 펄스신호(B)(정규의 펄스신호)의 라이징 엣지 및 펄링 엣지시의 펄스신호(A)(정규의 펄스신호)의 도어유리창(20)의 하강시 및 상승시의 각각의 상태는 표2에 나타낸다. 표1, 표2의 「L」은 펄스신호가 로(low)상태, 「H」는 펄스신호가 하이(high)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와 펄스 인코더(62)의 고장검출 처리루틴이 다르기 때문에 이하 고장검출 처리루틴을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펄스 인코더(62)로부터의 펄스신호와 정규의 펄스신호 사이에 펄스 결여에 기인하는 차이가 있는 경우에 펄스 인코더(62)가 고장이라고 판정한다.
본 루틴(도11 참조)은 오토/매뉴얼 스위치(34)가 온되어 오토/매뉴얼 스위치(34)로부터의 신호를 입력시키는 때마다 또한 소정의 시간마다 스타트하여, 스텝140에서 오토/매뉴얼 스위치(3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도어 유리창이 상승중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도어 유리창이 상승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텝142에서 펄스신호(A)의 엣지(펄스 신호의 라이징 엣지, 펄링 엣지)가 검출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펄스신호(A)의 엣지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144에서 펄스신호(B)의 엣지가 검출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펄스신호(B)의 엣지가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본 루틴은 종료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펄스신호(A, B) 엣지는 어느 것이라도 검출된다.
펄스신호(A)의 엣지가 검출된 경우(스텝142에서 Y)에는 스텝146에서 펄스신호(A)의 라이징 엣지가 검출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펄스신호(A)의 라이징 엣지가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148에서 펄스신호(B)가 로(「L」)상태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도어 유리창(20)의 상승중에 펄스신호(A)의 라이징 엣지가 검출된 경우에는 도15(a)및 표1과 같이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펄스신호(B)가 로(「L」)상태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본 루틴은 종료한다. 한편 도15(a)에 있어서 점선으로 나타내는 소위 펄스 결여가 발생한 경우에는 펄스신호(A)의 라이징 엣지 검출시에 펄스신호(B)가 하이(「H」)상태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하여 스텝158에서 플래그(F)를 1로 세트하고 본 루틴은 종료한다.
이에 반하여 도어 유리창(20)의 상승중에 펄스신호(A)의 펄링 엣지가 검출된 경우(스텝146에서 N)에는 도15(a) 및 표1과 같이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펄스신호(B)가 하이(「H」)상태이다.
따라서 이 경우(스텝150에서 Y)에는 본 루틴은 종료한다. 한편, 소위 펄스 결여가 생겨 펄스신호(A)의 펄링엣지가 검출되고 또한 펄스신호(B)가 로(「L」)상태인 경우에는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하여 스텝158에서 플래그(F)를 1로 세트하고 본 루틴은 종료한다.
또 펄스신호(B)의 엣지가 검출된 경우(스텝142에서 N)에는 스텝144~스텝156을 실행하게 되나, 스텝144 ~스텝156은 전술한 스텝146 ~스텝150과 동일한 처리를 한다. 즉 소위 펄스 결여가 생겨 펄스신호(B)의 라이징 엣지시에 펄스신호(A)가 로(「L」)상태인 경우(스텝154에서 N) 및 도15(a)에서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펄스신호(B)의 펄링 엣지시에 펄스신호(A)가 하이(「H」)상태인 경우(스텝156에서 N)에 스텝158에서 플래그(F)를 1로 세트하고 본 루틴은 종료한다.
또한 스텝140에서 도어 유리창(20)이 상승중이 아니라고 판정되어 도어 유리창이 하강중이라고 판정되는 경우(스텝160에서 Y)에는 도12에 나타내는 스텝162 ~ 스텝176을 실행하게 되나, 스텝162 ~ 스텝176과 스텝142 ~ 스텝156은 대략 동일하고 스텝142 ~ 스텝156의 펄스신호(A) 대신에 펄스신호(B)를, 펄스신호(B) 대신에 펄스신호(A)를 각각 사용하여 스텝162 ~ 스텝176을 실행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한 제2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성을 하고 있고 또한 펄스 인코더(62)가 전술한 제4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은 전술한 제2실시형태와 대략 같다. 즉 도7의 고장검출 처리루틴과 본 실시형태의 고장검출 처리루틴(도13 참조)은 일부만이 다르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펄스 인코더(62)로부터의 펄스신호와 정규의 펄스신호의 사이에 펄스신호의 비발생에 기인하는 차이가 있는 경우에 펄스 인코더(62)가 고장이라고 판정한다.
본 루틴(도13 참조)은 도7의 고장검출 처리루틴과 마찬가지로, 오토/매뉴얼 스위치(34)중에 도어 유리창(20)을 하강시키는 스위치가 온(ON)된 경우 및 소정의 시간마다 스타트하여, 스텝84, 78, 80, 82, 86의 순서대로 실행되어, 스텝84에서 소정의 시간내에 펄스신호(A, B)가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180에서 펄스신호(A, B)중의 어느 일방만이 검출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펄스신호(A, B)의 어느 일방만이 검출된 경우에는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하고 이 경우에는 스텝86으로 간다. 또한 스텝180에서의 판단이 부정판단인 경우에는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하고 이 경우에는 본 루틴은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제1 내지 제6의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장검출 처리루틴을 실행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펄스 결여, 펄스신호의 비발생, 채터링 및 펄스신호의 상태 비변화 중에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경우에 펄스 인코더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하여도 좋다.
즉 모터구동 제어장치(10)를 전술한 제2 실시형태(도6 참조)와 같이 구성함과 아울러 제3실시형태의 콘덴서(46)(도8 참조)를 갖추고 펄스 결여(도3 참조), 펄스신호의 비발생(도7 참조), 채터링(도9 참조) 및 펄스신호의 상태 비변화(도10 참조) 중의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경우에 펄스 인코더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하여도 좋다. 또 펄스 인코더를 2펄스식으로 구성하여 펄스 결여(도11, 도12 참조) 및 펄스신호의 비발생(도13 참조)중의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경우에 펄스 인코더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하여도 좋고, 펄스 결여(도3, 도11, 도12 참조), 펄스신호의 비발생(도7 참조, 도13 참조), 채터링(도9 참조) 및 펄스신호의 상태 비변화(도10 참조) 중에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경우에 펄스 인코더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하여도 좋다.
또 전술한 제1내지 제6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펄스 인코더(62)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정되고 또한 도어 유리창(20)을 상승시키라는 지시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도어 유리창(20)이 상승하려고 하지 않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토조작 및 매뉴얼 조작에 의하여 도어 유리창(20)이 상승하고 있는 때에 이물질이 낀 것을 검출함과 아울러 스텝68의 판정이 부정판정의 경우에 도16(a)에 나타내는 도어 유리창(20)을 상승시키는 오토조작 및 매뉴얼 조작되고 있는 시간(J)보다 짧은 시간(j)(도16(b) 참조)만 도어 유리창(20)을 상승시켜도 좋고, 또한 그 오토조작 및 매뉴얼 조작되고 있는 시간(J)의 도어 유리창(20)의 상승속도를 작게 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제1 내지 제6 실시형태에서는 지극을 검출하는 펄스 인코더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터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또한 교대로 배열된 도체(導體) 및 비도체 각각의 접점과 접촉하는 슬라이딩식의 펄스 인코더를 사용하여도 좋다. 즉 펄스 인코더(62)는 도18과 같이 모터축(22G)에 모터축(22G)의 회전과 동기하여 회전하는 회전부(210)를 갖추고 있다. 회전부(210)에는, 원주면의 반(半)이 도체로 구성된 도체부(202) 및 다른 반이 비도체로 구성된 비도체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210)에는 도체부(202) 및 비도체부(204)와 접촉하도록 제1펄스 전극단자(206)(슬라이딩 접점)및 제2펄스 전극단자(208)(슬라이딩 접점)가 형성되어 있다. 제1펄스 전극단자(206)에는 배터리(60)가 접속되고, 제2펄스 전극단자(208)에는 파워윈도우 제어부(50)가 접속되어 있다. 또 제1펄스 전극단자(206) 및 제2펄스 전극단자(208)를 각각 2개씩 형성하여 2펄스식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일방의 제1펄스 전극단자(206) 및 제2펄스 전극단자(208)가 접촉하는 도체부(202) 및 비도체부(204)와 타방의 제1펄스 전극단자(206) 및 제2펄스 전극단자(208)가 접촉하는 도체부(202) 및 비도체부(204)는, 모터축(22G)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어긋나도록 배치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운전석측 도어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제1실시형태의 모터구동 제어장치의 회로도,
도3은 제1실시형태의 고장검출 처리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4는 타이머 카운터(T)의 카운트업 처리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5는 메인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6은 제2실시형태의 모터구동 제어장치의 회로도,
도7은 제2실시형태의 고장검출 처리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8은 제3실시형태의 모터구동 제어장치의 회로도,
도9는 제3실시형태의 고장검출 처리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10은 제4실시형태의 고장검출 처리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11은 제5실시형태의 고장검출 처리루틴의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12는 제5실시형태의 고장검출 처리루틴의 나머지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13은 제6실시형태의 고장검출 처리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14는 펄스신호와 정규의 펄프신호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15는 2펄스식의 펄스 인코더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16은 도어 유리창을 상승시키는 스위치의 온시간과 모터의 상승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17은 펄스 인코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18은 다른 펄스 인코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모터구동 제어장치(motor驅動 制御裝置)
22 : 모터
50 : 파워윈도우 제어부(power window 制御部)
62 : 펄스 인코더(pulse encod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생수단으로부터의 펄스신호와 모터의 회전과 동기하여 발생하는 정규의 펄스신호의 사이에 소정의 차이가 있는 경우에 발생수단이 고장이라고 판정함으로써 발생수단이 고장이라고 판정되고 또한 지시수단으로 피승강부재가 상승하도록 지시되는 경우에 피승강부재의 동작상태가 통상의 상승동작과 다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피승강부재를 상승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하여 상기 피승강부재가 상승 및 하강하도록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지시수단에 의하여 피승강부재가 하강하도록 지시된 때에, 상기 모터의 회전과 동기하여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생수단과,
    상기 펄스신호와, 상기 모터의 회전과 동기하여 발생하는 정규의 펄스신호와의 사이에 소정의 차이가 있는 경우에 상기 발생수단이 고장이라고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발생수단이 고장이라고 판정되고 또한 상기 지시수단에 의하여 상기 피승강부재가 상승하도록 지시된 경우에 상기 피승강부재의 통상의 승강동작이 정지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춘 모터구동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발생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펄스신호가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와 동기하고 있지 않은 경우 및 상기 발생 수단에서 펄스신호가 발생되고 있지 않은 경우 중의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소정의 차이가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가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의 상태반전(狀態反轉)시에 상태가 반전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와 동기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발생수단에서 발생한 펄스신호의 펄스폭이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의 펄스폭보다 긴 경우에 상기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가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의 상태반전시에 상태가 반전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제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발생수단에서 발생한 펄스신호의 펄스폭이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의 펄스폭보다 짧은 경우에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와 동기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펄스신호의 라이징 엣지 및 펄링 엣지 중에 적어도하나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시간을 구함으로써 상기 펄스폭을 구함과 아울러 소정의 시간보다 짧은 상기 시간을 제거하고 상기 펄스폭을 구하여 상기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의 펄스폭이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의 펄스폭보다 짧은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 제어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지시수단의 지시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가 그 지시와 상반되게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함과 아울러 그 제어시의 상기 펄스신호의 상태가 그 제어전의 상태에서 변화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가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와 동기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 제어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모터 구동시에 상기 펄스신호가 발생하고 있지 않는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 제어장치.
  9. 피승강부재를 상승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하여 상기 피승강부재가 상승 및 하강하도록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상기 모터의 회전과 동기하여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생수단과,
    상기 펄스신호와, 상기 모터의 회전과 동기하여 발생하는 정규의 펄스신호와의 사이에 소정의 차이가 있는 경우에 상기 발생수단이 고장이라고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발생수단이 고장이라고 판정되고 또한 상기 지시수단에 의하여 상기 피승강부재가 상승하도록 지시된 경우에 상기 피승강부재의 통상의 승강동작이 정지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모터구동 제어장치로서,
    상기 발생수단은, 각각 반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동심원상으로 자석이 배치된 펄스 엔코더와, 자극을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모터의 회전과 동기하고 상호 같은 주기이며 위상(位相)이 어긋나는 펄스신호를 각각 발생시키는 복수의 펄스신호발생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펄스신호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복수의 펄스신호에 상기 정규의 펄스신호의 주기와 다른 주기의 펄스신호가 있는 경우에 상기 소정의 차이가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 제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펄스신호 발생수단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펄스신호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소정의 차이가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 제어장치.
  12. 제1항내지 제8항, 제10항 또는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지시수단에 의하여 피승강부재가 상승하도록 지시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에 상기 피승강부재의 상승이 정지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 제어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지시수단에 의하여 피승강부재가 상승하도록 지시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에 상기 피승강부재의 상승이 정지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 제어장치.
KR1019970004070A 1996-02-29 1997-02-12 모터구동제어장치 KR100424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43457 1996-02-29
JP8043457A JPH09235942A (ja) 1996-02-29 1996-02-29 モータ駆動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891A KR970063891A (ko) 1997-09-12
KR100424743B1 true KR100424743B1 (ko) 2004-06-30

Family

ID=12664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070A KR100424743B1 (ko) 1996-02-29 1997-02-12 모터구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17299A (ko)
JP (1) JPH09235942A (ko)
KR (1) KR100424743B1 (ko)
DE (1) DE19708250C2 (ko)
GB (1) GB23107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5632B2 (ja) * 1998-03-23 2005-07-2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パワーウインド装置の挟み込み検知方法
JP4802381B2 (ja) * 2000-08-30 2011-10-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開閉体の挟み込み検知装置
JP4752095B2 (ja) * 2000-09-18 2011-08-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開口覆材の開閉制御装置
US6713980B2 (en) * 2001-07-30 2004-03-30 Asmo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ving member
US6822410B2 (en) * 2002-05-31 2004-11-23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Motor speed-based anti-pin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4344569B2 (ja) * 2003-09-08 2009-10-14 矢崎総業株式会社 パワーウインドの駆動装置
JP4716158B2 (ja) * 2004-03-24 2011-07-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7465A (en) * 1979-07-04 1982-08-31 Itt Industries, Inc. Circuit arrangement for power windows
JPH06217571A (ja) * 1993-01-18 1994-08-05 Tokai Rika Co Ltd パワーウインドウ駆動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473U (ko) * 1985-07-18 1987-02-02
GB2198860B (en) * 1986-10-03 1990-12-12 Jidosha Denki Kogyo Kk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window
JPH0650954B2 (ja) * 1987-05-26 1994-06-29 株式会社東芝 無整流子電動機制御装置
US4864284A (en) * 1987-12-08 1989-09-05 Caterpillar Inc. Apparatus for sensing a failed position and velocity sensor
JP2691190B2 (ja) * 1988-02-05 1997-12-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
KR930003193B1 (ko) * 1991-01-25 1993-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이상 회전 방지회로
US5351439A (en) * 1992-04-21 1994-10-04 Koito Manufacturing Co., Ltd. Power window apparatus having improved safety device
JP3158306B2 (ja) * 1992-04-22 2001-04-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US5422551A (en) * 1992-05-23 1995-06-06 Koito Manufacturing Co., Ltd. Safety device and method for power window
GB2291225B (en) * 1992-06-26 1996-04-10 Koito Mfg Co Ltd Power window apparatus with safety device
JP2861680B2 (ja) * 1992-10-13 1999-0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自動車用故障検出法及びそれを用いたフェールセイフ制御方法
US5412295A (en) * 1992-10-23 1995-05-02 Konica Corporation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for a motor for use in a copier
EP0645029A4 (en) * 1993-03-12 1996-01-03 Prospects Corp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VEHICLES.
DE4331640C1 (de) * 1993-09-17 1995-03-09 Webasto Karosseriesystem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schalten oder Umsteuern einer Antriebsanordnung für ein verstellbares Kraftfahrzeugteil
JP2891869B2 (ja) * 1994-03-31 1999-05-17 株式会社大井製作所 開閉体の駆動制御装置
JPH07286477A (ja) * 1994-04-18 1995-10-31 Nippon Cable Syst Inc 開閉機構における挟み込み検出装置および挟み込み防止装置
US5483135A (en) * 1994-06-06 1996-01-09 Ford Motor Company Adaptiv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window operation
GB9418135D0 (en) * 1994-09-08 1994-10-26 Lucas Ind Plc Control system
JPH08140202A (ja) * 1994-11-07 1996-05-31 Hitachi Ltd 電気車用保護装置及び保護方法
US5670854A (en) * 1994-12-14 1997-09-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rol system for an induction mo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7465A (en) * 1979-07-04 1982-08-31 Itt Industries, Inc. Circuit arrangement for power windows
JPH06217571A (ja) * 1993-01-18 1994-08-05 Tokai Rika Co Ltd パワーウインドウ駆動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703885D0 (en) 1997-04-16
US5917299A (en) 1999-06-29
GB2310732A (en) 1997-09-03
GB2310732B (en) 1998-11-11
DE19708250C2 (de) 2001-04-12
KR970063891A (ko) 1997-09-12
DE19708250A1 (de) 1997-09-04
JPH09235942A (ja) 1997-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1439A (en) Power window apparatus having improved safety device
KR100424743B1 (ko) 모터구동제어장치
EP1840685A1 (en) Motor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tor
JPH0893323A (ja) 開閉体の駆動制御装置
JP2930136B2 (ja) 可動構成ユニット用の駆動装置
JP4358024B2 (ja) パワーウィンド用安全装置
JPH07224576A (ja) パワーウインドウ駆動制御装置
JP3722675B2 (ja) パワーウインド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510409B2 (ja) ウインドウガラスの挟持有無検出装置
EP2309088A2 (en) Power window switch circuit
GB2289351A (en) Power window apparatus having improved safety device
JP3621494B2 (ja) モータ駆動制御装置
JPH0799796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駆動装置
EP0275238A2 (en) Circuit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motors used for raising and lowering glasses in motor vehicles and the like
JPH07274571A (ja) 回転センサー付直流モータ
JP2001349136A (ja) パワーウインド装置
JPH09224388A (ja) モータ駆動制御装置
JPH07113375A (ja) パワーウィンドウ駆動制御装置
KR950005357B1 (ko) 리플감지에 의해 제어되는 원터치 파워윈도우
JPH08260811A (ja) 移動体の位置検出装置
JPH07310473A (ja) パワーウィンドウ駆動制御装置
JP4884856B2 (ja) 開閉部材制御装置
JPH0633665A (ja) パワーウインドウ駆動制御装置
JPH11262291A (ja) 車両の窓ガラス昇降装置
JPH07166762A (ja) パワーウィンドウ駆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