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3631B1 - 내부에백이수납된카톤형액체용기 - Google Patents

내부에백이수납된카톤형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631B1
KR100363631B1 KR1019930022586A KR930022586A KR100363631B1 KR 100363631 B1 KR100363631 B1 KR 100363631B1 KR 1019930022586 A KR1019930022586 A KR 1019930022586A KR 930022586 A KR930022586 A KR 930022586A KR 100363631 B1 KR100363631 B1 KR 100363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bag
carton
spout
attached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2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쓰유끼사사끼
다께히코비젠
히로시미야마
다께시모리사코
히로코츄카타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82683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17391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82686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17705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82684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1770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82685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1770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80003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288141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77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a planar surface of the packag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6Linings or internal coatings, e.g. pre-formed trays provided with a blow- or thermoformed layer
    • B65D5/60Loose, or loosely attached, linings
    • B65D5/603Flexible linings loosely glued to the wall of the container
    • B65D5/606Bags or bag-like tubes loosely glued to the wall of a "tubula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5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5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 B65D77/067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combined with a valve, a tap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8Spou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01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the container being a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01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the container being a bag
    • B65D2231/002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the container being a bag comprising strips forming channels or liquid passag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카톤(2)의 앞면에 내부백(3)으로 연통하도록 주출구(5)가 부착되고, 상기 내부백(3)이 상기 주출구(5) 쪽에 전체 면적의 1/2보다 조금 큰 영역만 카톤(2)의 내면에 고정되도록 풀(9)로 붙여져, 내용물이 흡출되어 뽑아내어질 때, 내부백(3)의 상기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가동부분이 카톤(2)의 내면에 고정시켜진 고정부분 속으로 끌려들어가게 됨으로써, 내용물이 뽑아내어짐에 따라 내부백(3)의 내부 용적이 점차 줄어들도록 되어 있음.

Description

내부에 백이 수납된 카톤형 액체용기
본 발명은 카톤(Carton)의 내면에 백(Bag)이 붙여져 이루어진 내부에 백이 수납된 카톤형 액체용기(Bag in Carton , 이하 BIC라 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액체포장용 용기로서 BIC가 사용되고 있는바, 이와 같은 BIC형태의 카톤은 일반적으로 평탄한 바닥면 및 상부면과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4개의 평탄한 측면을 가진 직각입방체형상을 하고서, 내부백이 카톤의 4개의 측벽체 내면에 부착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BIC는 흔히 주스나 술과 같은 점도가 낮은 액체의 포장용 용기로 사용되는 것으로, 내용물을 뽑아낼 때는 내용물의 배출에 수반해서 배출분 만큼의 공기가 BIC내로 들어가게 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BIC형태의 액체용기가 제조비가 저렴하다는 점및 액체가 확실하게 포장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잉크와 같이 점도가 높은 액체의 포장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을 지에 대해 검토를 하게 되었다.
그러나, 점도가 높은 액체에서는 뽑아낼 때 주출구에서 흡인해야 할 필요가 있게 되고, 그렇게 되면 공기를 내부백 내로 들여보내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내부백을 내용물이 빠져나가는 데 대응해서 용적이 줄어들도록 변형시켜야 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이 내부백을 카톤의 4개의 측면 내면에다 붙이는 형식으로 된 BIC는 내용물이 빠져나갈 때 내부백이 변형되지 않게 되어, 결국 그대로는 점도가 높은 액체의 포장으로는 쓸 수가 없었다. 또, 점도가 높은 액체에 한하지 않고 공기에 접하는 것이 좋지 않은 액체를 담을 때도 내용물을 뽑아낼 때 내부백을 변형시켜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역시 종래의 BIC는 사용될 수가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BIC가 갖고 있는 문제들을 감안해서 발명한 것으로, 잉크와 같은 점도가 높은 액체나 용기 내에서 공기에 접하는 것이 좋지 않은 액체를 포장하기에 적합한 BIC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백이 수납된 카톤형 액체 용기(BIC)를 내용물이 충만된 상태로 나타낸 개략단면도,
제1도(B)는, BIC의 내용물이 뽑아내어진 상태의 개략단면도,
제2도는, BIC의 개략사시도,
제3도(A)는, BIC를 제조하기 위한 판지절단체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3도(B)는, 카톤 몸체에 붙여진 필름을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4도(A),(B),(C)는 각각 BIC가 제조되는 공정중의 판지절단체 및 카톤 몸체에 붙여진 필름을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5도는 (A),(B)는, 각각 판지절단체에 대해 풀이 도포되는 위치의 예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BIC의 개략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BIC의 개략단면도,
제8도(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BIC를 길이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절단한 개략단면도로서, 내용물이 충만된 상태로 도시한 개략단면도
제8도(B)는, BIC의 내용물이 빨려나간 상태의 개략단면도,
제9도(A)는, BIC의 중앙부에서 길이방향에 평행한 면으로 절단한 개략단면도로서, 내용물이 충만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제9도(B)는, BIC의 내용물이 빨려나간 상태의 개략단면도,
제10도(A),(B)는, 각각 BIC를 주출구가 설치된 면을 위쪽 및 아래쪽으로 해서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11도(A)는, BIC를 제조하기 위한 판지절단체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11도(B)는, 카톤 몸체에 붙여진 필름을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12도는, 판지절단체에 원통형상 필름이 붙여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13도는, 통형상 필름이 붙여진 판지절단체가 접혀져 붙여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14도(A)는, BIC를 길이방향에 직각되는 면으로 절단한 개략단면도로서, 내용물이 충만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제14도(B)는, BIC의 내용물이 뽑아져나간 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제15도는, BIC를 중앙부에서 길이방향과 평행한 면으로 절단해서 나타낸 개략단면도,
제16도는, BIC를 주출구가 설치된 면을 위로 해서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17도(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BIC를 내용물이 충만된 상태에서 도시한 개략수평단면도,
제17도(B)는, BIC의 내용물이 뽑아져나간 상태를 나타낸 개략수평단면도,
제18도는, BIC의 개략사시도,
제19도는, BIC에 사용되는 주출구를 도시한 부분측단면도,
제20도는, 주출구의 개략저면도,
제21도는, 주출구를 막는 캡의 개략단면도,
제22도(A)는, BIC를 제조하기 위한 판지절단체를 도시한 개략평면도,
제22도(B)는, 카톤 몸체에 붙여진 필름을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23도(A),(B)는, 각각 BIC를 제조하는 공정중의 판지절단체 및 카톤 몸체에 붙여진 필름을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24도는, BIC를 제조하는 공정중의 BIC의 개략사시도,
제25도(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BIC를 내용물이 충만된 상태로 도시한 개략단면도,
제25도(B)는, BIC의 내용물이 뽑아져나간 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제26도는, BIC의 개략사시도,
제27도(A)는, BIC를 제조하기 위한 판지절단체를 도시한 개략평면도,
제27도(B)는, 카톤 몸체에 붙여진 필름을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28도는, 판지절단체에 원형상 필름이 붙여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29도는, 원통형상 필름이 붙여진 판지절단체가 접혀 붙여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30도(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BIC를 내용물이 충만된 상태로 도시한 개략단면도,
제30도(B)는, BIC의 내용물이 뽑아져나간 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제31도(A)는, BIC의 개략사시도,
제31도(B)는, 제31도(A)의 BIC를 저면을 위로 해서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32도(A)는, BIC를 제조하기 위한 판지절단체를 도시한 개략평면도,
제32도(B)는, 카톤몸체에 붙여진 필름을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33도(A)는, BIC를 제조하는 공정 중의 판지절단체 및 카톤 몸체에 붙여진 필름을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33도(B)는, BIC를 제조하는 공정 중에 판지절단체가 접혀져 붙여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34도(A),(B),(C),(D)는 각각 내부백을 밀봉해서 조립하는 상태를 차례로 나타낸 개략사시도,
제35도(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주출구가 부착된 BIC를 내용물이 충만된 상태로 도시한 개략수평단면도,
제35도(B)는, BIC의 개략사시도,
제37도는, BIC에 사용되는 주출구를 도시한 부분측면도,
제38도는, 주출구의 개략저면도,
제39도는, 주출구를 막는 캡의 개략단면도,
제40도(A)는, BIC가 제조하기 위한 판지절단체의 개략평면도,
제40도(B)는, 카톤몸체에 붙여진 필름의 개략평면도,
제41도(A)는, BIC를 제조하고 공정도중에서의 판지절단체 및 이에 붙여진 필름의 개략평면도,
제41도(B)는, BIC가 제조되는 공정중 판지절단체가 접혀 붙여지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42도는, BIC가 제조되는 공정도중의 개략사시도,
제43도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BIC를 제조하기 위한 판지절단체의 개략평면도,
제44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BIC를 제조하기 위한 판지절단체를 도시한 개략평면도,
제45도는, 제44도에 도시된 판지절단체가 조립되어 만들어진 BIC의 개략사시도이다.
1,21,31,101,121,201,301,401,501,651 --- 내부에 백이 수납된 카톤형 액체용기(BIC),
2,22,32,102,122,202,302,402,502,652 --- 카톤,
3,23,33,103,123,203,303,403,503,603 --- 내부백,
4,24,34,104,124,204,304,404,504,604 --- 액체(내용물),
5,25,35,105,125,208,305,405,508,658 --- 주출구,
6,106,126,209,306,406,509 --- 캡,
9,9a,9b,29,39,109,220,309,520,609,670 --- 풀,
2',102',202',302',402',502',602',652'--- 판지절단체 ,
3',103',203',303',403',503'--- 통형상 필름,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백이 수납된 카톤형 액체용기(BIC)의 첫번째 특징은, 밀폐된 상자형상의 카톤과, 이 카톤의 내면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수납하는 가요성을 가진 내부백 및, 상기 카톤에 상기 내부백 을 관통해서 부착되는 주출구를 갖고서, 상기 내부백이 상기 카톤의 내면중 상기 주출구 쪽 부분에 붙여져 고정되고, 상기 내부백의 고정부분(固定部分) 면적이 고정부분 이외의 가동부분(可動部分) 면적보다 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번째 특징으로는, 서로 마주보는 1쌍의 넓은 면적을 가진 편평한 대략직각입방체형상을 한 카톤과, 이 카톤의 내면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수납하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진 내부백 및, 상기 카톤에 상기 내부백을 관통해서 부착된 주출구(注出口)를 갖고서, 상기 내부백이 상기 1쌍의 넓은 면에 붙여져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번째 특징은, 대략 직각입방체형상을 한 카톤과, 이 카톤의 내면에 설치되어 내용물를 수납하는 가요성을 가진 내부백 및, 상기 카톤에 상기 내부백을 관통해서 부착된 주출구를 갖고서, 상기 내부백이 카톤의 마주보는 1쌍의 면 중심선을 따라 소정의 폭으로 뻗은 띠형상영역에 붙여져 고정시켜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네번째 특징은, 대략 직각입방체형상의 카톤과, 이 카톤의 내면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수납하는 가요성을 가진 내부백 및, 상기 카톤에 상기 내부백을 관통해서 부착된 주출구를 갖고서, 상기 내부백이 상기 카톤과 인접된 2개의 면에 붙여져 고정되고, 상기 주출구가 상기 카톤의 내부백이 붙혀지는 2개의 면 중 한쪽 면에 부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번째 특징은, 대략 직각입방체의 카톤과 이 카톤의 내면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수납하는 가요성을 가진 내부백 및, 상기 카톤에 상기 내부백을 관통해서 부착된 주출구를 갖고서, 상기 직각입방체형상 카톤의 인접하는 2개면 사이에 경사면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주출구가 경사면에 부착되고, 상기 내부백이 상기 카톤의 내면 중 상기 주출구쪽 부분에 붙여져 고정되며, 상기 내부백의 고정부분 면적이 고정부분 이외의 가동부분 면적보다 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섯번째 특징은, 대략 직각입방체형상을 한 카톤과, 이 카톤의 내면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수납하는 가요성을 가진 내부백 및, 상기 카톤에 상기 내부백을 관통해서 부착된 주출구를 갖고서, 상기 주출구가 카톤의 한쪽면 끝부분에 부착되면서, 이 주출구 근방으로서 주출구 부착면에 인접하는 카톤의 한 면에 상기 부착면의 끝면을 중심으로 요동(搖動)하게 되는 플랩(flap)이 부착되어, 이 플랩의 내면에 상기 내부백이 붙여져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곱번째 특징은, 대략 직각입방체형상의 카톤과, 이 카톤의 내면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수납하는 가요성을 가진 내부백 및, 상기 카톤에 상기 내부백을 관통해서 부착된 주출구를 갖고서, 상기 내부백이 상기 카톤의 내면중 상기 주출구쪽 부분에 부착되어 고정되면서, 이 내부백의 고정부분 면적이 고정부분 이외의 가동 부분 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고, 상기 내부백이 각통형상으로 된 통형상 필름의 양끝에 밀봉됨과 더불어 통형상 필름의 양끝 양쪽에 형성된 3각플랩의 밑변부분이 밀봉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덟번째 특징은, 가요성을 가진 내부백에 부착되는 주출구가, 내부백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가진 통형상부와, 이 통형상부의 외주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백의 내면에 접합시켜지는 플랜지 및, 이 플랜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백의 내부로 뻗은 통로부재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첫번째 특징을 가진 BIC는, 카톤의 내면에 내부백이 붙여지는 구성으로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BIC와 마찬가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사용할 때는 내부백의 주출구 쪽과 반대되는 쪽인 약 1/2부분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내용물을 주출구로부터 흡인 등으로 뽑아냄에 따라 상기 이동가능부분(이하 가동부분이라 함)이 변형되어져 내부백의 용적이 작아지게 할 수가 있어서, 내부백 내에 공기를 집어넣지 않고서도 내용물을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내부백의 가동부분이 카톤의 내부에 붙어 있는 1/2 부분(이하 고정부분이라 함) 속으로 끌려들어간 상태가 됨으로써 내용물 거의 전부가 쁩아내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내부백의 가동부분이 내부백의 약 1/2부분 보다 작은 영역을 점하고 있기 때문에, 그 가동부분이 카톤의 내면에 붙어있는 고정 부분내에 끌려들어갔을 때, 이동해온 가동부분의 일부가 고정부분에 밀착해서 내용물을 막아 저지하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내용물 거의 전부를 뽑아낼 수가 있게된다.
두번째 특징을 가진 BIC는, 카톤의 내면에 내부백이 붙여진 구조를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BIC와 마찬가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 사용할 때는 주출구로 내부백 내의 내용물을 흡인하면 내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내부백에는 내부백을 오무러들게 하는 방향으로 대기압이 작용하게 된다. 이 내부백은 편편한 카톤의 마주보는 한쌍의 넓은 면에 붙어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그 넓은 한쌍의 면으로 카톤을 밀어 오무러들도록 하는 방향의 외압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그 넓은 한쌍의 면이 만곡되면서 상호 접근하여 내부백의 내부용적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내부백내에다 공기를 들어보내지 않고서도 내용물을 흡인해서 뽑아낼 수가 있고, 또 카톤이 편평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오무러들기가 쉽기 때문에, 내부백의 내부용적이 극히 작아져 내부백 내에 남아 있게 되는 내용물의 잔량이 적어지도록 할 수 가 있게 된다.
세번째 특징을 가진 BIC는, 카톤의 내면에 내부백이 붙여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BIC와 마찬가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사용할 때 주출구로 내부백 내의 내용물을 흡인하면 내압이 감소되기 때문에, 내부백에는 내부백을 오무러들게 하는 방향으로 대기압이 작용하게 된다. 이 내부백은 카톤의 한쌍의 면의 중심선을 따른 띠형상영역에 붙여지도록 되어 있게 때문에, 이 띠형상영역 부분은 구속되게 되지만 나머지 양쪽 부분은 대기압에 의해 안쪽으로 변형되어 내부백의 내부용적이 줄어들게 된다.
이렇게 해서 내부백 내로 공기를 들여보내지 않고서도 내용물을 흡인해서 뽑아낼 수가 있게 되고, 또 내부백이 카톤의 한쌍의 면에서 구속된 부분의 양쪽으로 부터 서서히 안쪽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변형이 안정되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내부백이 불안정하게 변형되어 내용물이 내부백 내의 일부에 갇혀있게 되는 일이 없이 내용물 대부분이 뽑아내어지게 됨으로써 잔량이 적어지도록 할 수가 있게된다.
네번째 특징을 가진 BIC는, 카톤의 내면에 내부백이 붙여진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BIC와 마찬가지로 저렴한 비용으로 수가 있게 된다. 또, 사용할 때는, 내부백의 주출구가 부착된 쪽 약 1/2부분은 카톤의 2개의 면에 붙여져 구속되지만 그 반대쪽 약 1/2부분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을 주출구로 흡인 등의 방법으로 뽑아내면 상기 가동부분이 변형되어 내부백의 용적이 줄여지게 됨으로써, 내부백 내로 공기를 들여보내지 않고서도 내용물을 뽑아낼 수가있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내부백의 가동부분이 카톤의 내면에 붙어 있는 약 1/2부분인 고정부분 속으로 끌려들어간 상태로 되어 거의 전부의 내용물이 뽑아내어 질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주출구의 부착위치를 카톤의 내부백이 붙여진 2개의 면이 교차하는 교차선에 근접한 위치가 되도록 하면, 주출구가 내부백이 카톤의 내면에 구속된 부분의 꼭대기 근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내용물이 뽑아내어짐에 따라 내부백의 가동 부분이 이동할 때 주출구가 있는 곳까지 이동해오는 것이 늦어지게 되고, 그 때문에 주출구가 내부백의 가동부분에 의해 빨리 막히지 않아 내용물이 한층 더 많이 뽑아져나오게 된다.
다섯번째 특징을 가진 BIC는, 카톤의 내면에 내부백이 붙여져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BIC와 마찬가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가 있게된다. 또, 사용할 때에는 내부백의 주출구 쪽과 반대되는 쪽 약 1/2 부분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주출구로터 흡인 등의 방법으로 뽑아내어짐에 따라 그 이동할 수 있는 부분인 가동부분이 변형되어 내부백의 용적이 작아질 수 있게 됨으로써, 내부백 내로 공기를 들여보내지 않고서도 내용물을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가동부분이 카톤의 내면에 붙어 있는 약 1/2부분인 고정부분 속으로 거의 대부분이 끌려들어간 상태로 되어 내용물이 거의 전부 뽑아내어질 수 있게 된다. 또 주출구가 카톤의 경사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의 BIC를 수송하거나 보관하기 위해 겹쳐놓을 때 주출구가 방해가 되지않아 다수의 BIC를 빈틈없이 쌓아놓을 수가 있게 된다.
여섯번째 특징을 가진 BIC는, 카톤의 내면에 내부백이 붙여진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종래의 BIC와 마찬가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 사용할 때는 내부백의 주출구 쪽과 반대되는 쪽 약 1/2부분이 자유로이 이동할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주출구로터 흡인 등의 방법으로 뽑아내어짐에 따라 그 이동할 수 있는 부분인 가동부분이 변형되어 내부백의 내부용적이 작아지게 됨으로써, 내부백 내로 공기를 들여보내지 않고서도 내용물을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내부백의 가동부분이 카톤의 내면에 붙어 있는 약 1/2 부분인 고정부분 속으로 끌려들어간 상태로 되어, 내용물 거의 전부가 뽑아내어질수 있게 된다. 또, 내부백이 측면플랩과 함께 느리게 이동하게 되어 주출구를 내부백이 막는 일이 없게 되고, 그 때문에 내용물의 뽑아내어지는 양이 안정적으로 될 수가 있어서 다수의 BIC에 남게 되는 잔량이 모두 대략 같아질 수 있게 된다.
일곱번째 특징을 가진 BIC는, 내부백의 상하부 양쪽끝의 양쪽에 형성되는 삼각플랩(三角 Flap)의 밑변부분이 밀봉됨으로써, 그 삼각플랩부분에 내용물이 들어가 갇히는 일이 없어 내용물의 잔량을 줄일 수가 있고, 또 이 밀봉부분이 내부백을 거의 직각입방체형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도 하게 되어 내용물을 뽑아낼 때 내부백 전체가 흉하지 않게 변형되도록 하는 바, 이 점에서는 내용물의 잔량을 적게 또 균일하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덟번째 특징을 가진 BIC는, 주출구가 내부백 내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기 때문에, 통로부재를 통형상부에 형성된 액체배출용 구멍에 대해 소정의 위치로 배치할 수가 있어서 통로부재의 부착작업이 쉬워지게 된다.
또 사용할 때는, 주출구로 내부백 내의 내용물을 뽑아내면 내부백의 일부가 통로부재 쪽으로 이동해을 때 통로부재가 내부백을 지지하게 되어 내부백 내의 액체를 통형상부의 구멍으로 유도하는 통로가 확보될 수 있어서, 내부백 내의 내용물이 양호하게 쁩아내지게 됨으로써 잔량이 적어질 수 있게 된다.
( 제1 실시예 )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A) 및 제1도(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BIC를 개략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제1도(A)는 내용물이 충만된 상태를, 제1도(B)는 내용물이 뽑아내어진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고, 제2도는 이 제1 실시예 BIC의 개략사시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전체가 참조부호 1로 나타내어진 BIC는, 외부용기를 이루는 카톤(2)과, 이 카톤(2)의 내부에 수납되는 내부백(3)을 갖추고서, 이 내부백(3)내에 잉크와 같은 액체(4)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카톤(2)은 평탄한 직사각형상의 바닥면부(2a)와, 이 바닥면부(2a)의 주위에서 직립하도록 된 평탄한 전면부(2b), 양쪽의 측면부(2c, 2d), 후면부(2e) 및 평탄한 상부면부(2f)를 가진 직각입방체형상을 하도록 되어 있다.
카톤(2)의 전면부(2b) 하단에는 내부백(3)에 연통하도록 주출구(5)가 부착되어캡(6)에 의해 막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이 주출구(5)는 내부백(3) 내로 뻗은 원통형상부(5a)를 갖추고서, 이 원통형상부(5a)의 측면에 액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홈형상의 통로(5b)가 형성됨으로써, 예컨대 원통형상부(5a)의 앞끝이 내부백(3)에 의해 막히게 되더라도 내용물(4)이 주출구(5)로 흡인될 수가 있게 된다.
내부백(3)은 카톤(2)의 내면에 대해 일부가 붙여져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 되 어 있다. 여기서, 내부백(3)이 카톤(2)에 대해 고정시켜진 부분인 고정부분은, 카톤(2)의 좌우측면부(2c ,2d) 중 제1도(A) 및 제1도(B)에 도시된 2점쇄선(8)으로부터 주출구쪽인 대략 직사각형상을 한 부분에 해당하고, 그 반대쪽 부분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가동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내부백(3)의 고정부분과 가동 부분의 경계를 이루는 2점쇄선(8)의 위치는, 카톤(2)의 좌우측면부(2c, 2d)에서는 공통되고서, 각 측면부(2c, 2d)를 주출구 쪽이 약간 커지도록 둘로 나누는 위치이다. 이 2점쇄선(8)의 위치로서는, 내용물을 뽑아낼 때 가동부분이 고정부분 내에 잘 끌어들여지도록 내부백(3)을 대칭에 가까운 형상으로 나누고, 또 2점쇄선(8)의 하단위치가 상단위치보다 주출구(5)가 부착되어 있는 전면부(2b)로부터 조금 멀도록 정하는 것이 좋은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그와 같이 정해진 것이 나타내어져있다.
즉, 제1도(A)에서의 2점쇄선(8)은, 그 상단과 전면부(2b) 사이의 거리(d1)가 내부백(3)의 폭(d)의 1/2 또는 그 보다 조금 (1∼10mm 정도) 크도록 결정하고, 2점쇄선(8)의 하단과 전면부(2d) 사이의 거리(d2)는 상단쪽의 거리(d1) 보다 조금(1∼15mm 정도) 크도록 결정하게 된다. 한편, 2점쇄선(8)의 위치가, 전면부(2b)로부터의 거리가 내부백(3)의 폭(d)의 1/2과 같거나 그 보다 조금 크게결정된다면, 도시된 방향으로의 경사를 가진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수직으로 되거나 또는 그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는 위치이더라도 좋다.
상기 내부백(3)의 고정부분은, 가동부분과의 경계부근인 2점쇄선(8) 근방 및 영역내의 적어도 일부가 카톤(2)의 전면부(2b) 및 양쪽 측면부(2c,2d)에 붙여지게 됨으로써 카톤(2)의 내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그 때문에 고정부의 면적이 부착되는 면적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게 된다. 제1도(A)와 제1도(B) 및 제2도에서의 참조부호 9는 내부백(3)이 카톤(2)의 내면에 붙여지는 풀이 발려진 위치를 나타낸다. 이렇게 해서, 내부백(3)은, 상기 주출구(5)가 부착된 쪽의 1/2보다 조금 큰 영역이 카톤의 내면에 붙어 구속되는 고정부분을 이루는 한편, 다른쪽 영역은 카톤의 내면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가동부분을 이루도록 되어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BIC(1)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3도에 도시된 형상을 한 판지절단체(2')를 만든다. 이 판지절단체(2')의 내면중 2줄의 2점쇄선(8, 8)으로 경계지어진 내부영역이 내부백이 붙여지는 영역이 된다. 이어, 판지절단체(2')의 카톤(2)의 전면부(2b) 및 한쪽 측면부(2c)를 이루는 영역인 판지면(2b', 2c')에 예컨대 에멀죤과 같은 풀(9)을 도포하는 바, 이 풀(9)의 도포는 판지절단체(2')가 화살표방향으로 반송되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풀(9)이 도시된 것과 같이 직선상으로 발려지게 된다. 또, 경사진 2점쇄선(8)을 따라 풀(9)을 바르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그 대신 2점쇄선(8)의 끝부위 근방에도 짧게 풀(9)을 바르게 된다.
이렇게 풀(9)이 발려진 판지절단체(2')에 대해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름을 이면밀봉으로 통형상으로 말아붙여 소정의 길이로 끊은 통형상필름(3')을 붙이게 되는데, 이 통형상필름(3')은 다음 공정에서 그 상하단이 밀봉되어 내부백을 이루게 되는 바, 그 상태는 제4도(A)에 도시된 상태와 같게 된다. 여기서, 통형상 필름(3')으로서는 제3도(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면밀봉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필름 2매를 겹쳐 그 양쪽을 밀봉시켜 통형상으로 만든 것을 써도 좋다.
다음에는 제4도(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지절단체(2')의 카톤(2)의 다른쪽 측면부(2d)를 이루는 영역(2d')에다 풀(9)을 바르고, 또 판지접착부(2g')의 배면에도 풀을 바른다. 그 다음 제4도(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역(2d')과 영역(2e')을 이루는 판지면을 접어 겹치게 해서 통형상으로 붙인 다음 영역(2d')을 통형상필름(3')에다 붙이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조립되기 전의 편평한 BIC(1')가 형성되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 편평한 BIC(1')가 조립 및 충전공정으로 보내져 거기에서 각 기둥형상으로 세워지게 되고, 이렇게 세워진 상태에서 주출구 부착부분이 뚫어내어진 다음 주출구(5)가 부착되게 된다. 그런 다음 통형상필름(3')의 하단이 밀봉된후 판지절단체(2')의 바닥부가 조립되고, 이어 통형상필름(3')의 상단이 밀봉된 다음 판지절단체(2')의 상부가 조립되게 되면, 카톤(2) 내에 내부백(3)이 수납된 BIC가 조립되게 된다.
한편 이들 공정은, 종래에 행해지던 제조기술을 적용해서 실시되기 때문에, 제조설비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마지막으로 주출구(5)로부터 내부백(3)내에 들어있는 공기를 뽑아낸 다음 잉크와 같은 내용물(4)을 충전하면 제1도(A)에도시된 상태로 된다.
내용물(4)이 충전된 BIC(1)를 사용할 때는, 제1도(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BIC(1)를 거의 직립한 상태로 인쇄기 등에다 세트시키고 주출구(5)를 도시되지 않은 흡인장치에다 접속시켜 주출구(5)로부터 내용물(4)이 흡인되도록 하는 바, 이 때 내부백(3)의 주출구 쪽과 반대되는 쪽 약 1/2부분인 가동부분이 카톤(2)의 내면에 붙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내용물(4)이 흡입되어 나감에 따라 상기 가동부분이 제1도(B)에 2점쇄선(11a, 11b, 11c)으로 나타내어진 것과 같이 차례로 변형되어, 내부백(3) 내로 공기를 들여보내지 않고도 내용물을 뽑아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내부백(3)의 가동부분이 카톤(2)의 내면에 붙어 있는 약 1/2부분인 고정부분 내로 끌려들어간 상태로 되어 거의 전부의 내용물이 뽑아내어지게 된다. 여기서, 내부백(3)의 가동부분이 내부백(3)의 약 1/2보다 작은 영역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가동부분이 카톤(2)의 내면에 붙어 있는 고정부분 내로 끌어들여질 때, 이동되어온 가동부분의 일부가 고정부분에 밀착되어 내용물을 막음으로써 내부에 남겨지게 하는 일이 거의 없게 되고, 그 때문에 내용물의 거의 전부가 뽑아내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내부백(3)의 가동부분과 고정부분의 경계인 2점쇄선(8)으로 나타내어진 위치를 상단 쪽보다 하단쪽이 카톤(2)의 전면부(2b)에서 멀어지도록 조금 경사지도록 하게 되면, 내부백(3)의 가동부분 하단부가 내용물이 흡인되기 시작할 때 주출구(5) 가까이로 이동해서 내용물의 통로를 막는 일이 없게 되어, 내용물이 거의 전부가 양호하게 뽑아내어지게 된다.
한편, 이 경계의 하단위치는 주출구(5)를 막지 않도록 주출구(5)에서 멀리 떨어지는 것이 좋지만, 내용물이 내부백(3)의 저부에 잔류하기 쉬우므로 내부백(3)의 저부면적을 될 수 있으면 작도록 하는 것이 좋고, 이점에서는 이 경계의 하단 위치가 주출구(5)에 가까운 것이 좋다. 도시된 실시예는 이들 양쪽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상태의 위치라 하겠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지절단체(2')의 내면중 2줄의 2점쇄선(8, 8) 사이의 영역이 내부백(3)이 붙여지는 영역으로서, 내부백(3)을 붙이기 위해 직선상으로 풀(9)이 발려지게 된다(제3도(A), (B) 및 제4도(A), (B), (C)참조). 그러나, 풀이 발려지는 위치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의 변경될 수도 있는 바, 예컨대 제5도(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풀(9a)을 적당한 간격을 띄우고 바른다던가, 제5도(B)에서와 같이 풀(9b)이 점형상으로 발려지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출구(5)로서 내부백(3) 내로 뻗은 원통형상부(5a)가 구비된 것이 나타내어져 있으나, 이러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원통형상부를 갖추지 않은 통상적인 것을 써도 좋다. 또, 내부백(3)의 저부에는 내부백(3)의 가동부분이 끌려들어을 때도 내용물이 흐르는 통로가 확실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적당한 통로부재(예를 들어 단면이 H자형상인 봉형상부재)를 삽입해 놓아도 좋다.
또, 제1도(A) 및 제1도(B)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내부백(3)의 가동부분과 고정부분의 경계가 수직에 가깝도록 조금만 경사진 경우가 나타내어져 있으나, 이 경계의 경사를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한 바, 제6도에는 그러한 경우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6도에 도시된 BIC(21)는 직각입방체형상을 한 카톤(22) 내에 내부백(23)이 수납되어 이 내부백(23)에 내용물(24)이 수용되도록 된 것으로, 그 내부백(23)은 카톤 측면의 대각선보다 조금 위쪽의 2점쇄선(28)으로 나타내어진 위치를 경계로 해서, 그 아래쪽 3각형상부분이 카톤(22)의 내면에 의해 구속된 고정부분을 이루는 한편 위쪽부분이 가동부분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 내부백(23)의 2점쇄선(28) 보다 아래쪽인 고정부분을 카톤(22)의 내면에 구속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카톤(22)의 내면에 풀(29)이 다른 높이가 되도록 발려져 내부백(22)이 붙여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6도에는 주출구(25)로서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쓰여진 주출구(5)와는 달리 내부백(23) 내로 뻗는 부분을 갖지 않은 통상적인 것이 사용되는 대신 내부백(23)내에 단면이 H자형상을 한 통로부재(30)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내용물(24)이 뽑아져나감에 따라 내부백(23)의 가동부분이 변형되어 고정부분 내로 끌려들어가, 내용물이 아무 지장 없이 뽑아져나갈 수 있게된다. 이 경우, 통로부재(30)가 이동해오는 가동부분이 내부백의 바닥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배출용 통로가 확보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도 통로부재(30)를 생략하고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쓰여진 것과 같은 주출구를 쓸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7도는 상기 제6도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내부백이 카톤의 내면에 붙여지는 위치가 바뀌어진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실시예의 BIC(31)도 직각입방체 형상의 카톤(32)내에 내부백(33)이 수납되고서, 이 내부백(33)내에 내용물(34)이수용되도록 된 것인 바, 여기서는 상기 내부백(33)이, 카톤 측면의 대각선보다 조금 아래에 2점쇄선(38)으로 나타내어진 위치를 경계로 해서, 그 위쪽의 3각 형상부분이 풀(39)로 카톤의 내면에 붙여져 움직이지 않는 고정부분을 이루는 한편, 아래쪽 부분이 가동부분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주출구(35)로서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쓰여졌던 주출구(5)와 마찬가지로 된 것이 쓰여지고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도 내용물(34)이 뽑아내어짐에 따라 내부백(33)의 가동부분이 변형되어 고정부분내로 끌려들어가게 됨으로써, 내용물이 아무 지장도 없이 뽑아내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각 실시예는 모두 내용물이 뽑아내어질 때는 BIC를 직립상태로 인쇄기계 등에다 세트시켜 전면부 하단에 부착된 주출구로 내용물을 흡인해서 뽑아내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BIC로부터 내용물을 뽑아내는 것이 그러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BIC를 세트시키는 기계에 따라 적의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예컨대 전면부를 아래쪽이 되도록 하여 주출구가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도 좋은바, 이 경우에는 주출구의 부착위치를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면부의 하단에 설치하지 않고 전면부의 어떤 위치에다 설치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두 윗부분이 평탄해지도록 된 카톤으로 하여 도시하였으나, 카톤의 윗부분이 반드 시 평탄해야 할 필요는 없어서 다른 형상으로 되더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1실시예에 따른 BIC는, 판지절단체에다 내부백을 이루는 통형상 필름을 붙이고 나서 판지절단체를 통형상이 되도록 접어 붙인 다음, 통형상 필름의 저부와 상부를 조립함으로써 카톤이 형성시켜지도록 되어 있기때문에, 종래 사용되던 BIC와 마찬가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백과 가톤의 2종구조로 되어 있어서 내용물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카톤내 의 내부백이, 주출구가 부착된 쪽인 1/2보다 큰 부분이 카톤의 내면에 구속되는 고정부분을 이루는 한편, 다른쪽 부분이 자유로이 이동하는 가동부분을 이루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백의 가동부분이 고정부분속으로 끌려 들어가면서 내용물 거의 전부가 주출구로부터 뽑아내어질 수가 있게 됨으로써, 점도가 높은 액체라던가 공기에 접촉하는 것이 좋지 않은 액체를 포장하기에 적합한 포장용기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 제2 실시예 )
제8도(A) 및 제8도(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BIC를 길이 방향과 직각되는 면으로 절단한 개략단면도로서, 제8도(A)는 내용물이 충만된 상태를, 제8도(B)는 내용물이 뽑아내어진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또, 제9도(A) 및 제9도(B)는 각각 BIC를 중앙부에서 길이방향과 평행한 면으로 절단한 개략단면도로서, 제9도(A)는 내용물이 충만된 상태를, 제9도(B)는 그 내용물이 뽑아내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제10도(A) 및 제10도(B)는 BIC의 개략사시도로서, 제10도(A)는 주출구가 설치된 면이 위로 된 상태를, 제10도(B)는 주출구가 설치된 면이 아래로 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의 제8도(A)∼제10도(B)에서 전체가 참조부호(101)로 지시된 BIC는, 외부용기를 이루는 카톤(102)의 내부에 가요성을 가진 내부백(103)이 수납되어, 이 내부백(103)내에 잉크와 같은 액체로 된 내용물(104)이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카톤(102)은 편평한 직각입방체형상을 하고서,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넓은 면(102a,102b) 및 양끝의 가늘고 긴 한쌍의 끝면부(102c, 102d)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넓은 면(102a, 102b) 중 한쪽 면(102a)에는 폭방향 중앙부에 내부백(103)에 연통되는 주출구(105)가 부착되어 캡(106)에 의해 막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주출구(105)는 내부백(103)에 접합되도록 하기 위한 플랜지(105a)와 내부백(103) 내로 뻗은 돌기부(105b)를 갖고서, 이 돌기부(105b)와의 사이에 액체통로(105c)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뒤에 설명되듯이 내용물(104)이 뽑아내어짐에 따라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면(102b)이 주출구(105)로 접근했을 때 상기 돌기부(105b)가 면(102b)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주출구(105)의 액체 통로가 막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출구(105)와 마주보는 면(102b)에는 내용물이 뽑아져나갈 때 그 면(102b)이 쉽게 만곡시켜질 수 있도록 하는 압압성형으로 만들어진 괘선(罫線; 107)이 형성되어 있다(제10도(B) 참조). 한편, 주출구(105)가 배치되어 있는 쪽 면(102a)에는 괘선을 형성시켜도 좋고 형성시키지 않아도 좋다.
여기서,상기 내부백(103)은 카톤(102)의 마주보는 한쌍의 넓은 면(102a, 102b) 거의 전체 영역에서 구속되도록 그들 한쌍의 넓은 면(102a, 102b)에 붙여지도록 되어 있다. 단, 이 경우 상기 넓은 면(102a, 102b)에 구속되는 내부백(103)의 영역은, 반드시 그 전체영역이 면(102a, 102b)에 붙여질 필요는 없고 부분적으로 붙여지더라도 좋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BIC(101)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1(A) 및 제11도(B)에서와 같이, 판지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해서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판지절단체(102')를 준비함과 더불어, 필림을 통형상으로 붙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통형상 필름(103')을 준비한다(이는 다음 공정에서 상하단이 밀봉되어 내부백을 이루게 된다). 한편, 통형상 필름(103')으로서는 도시된 것과 같이 돌려붙여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필름 2매를 겹쳐 그 양끝을 밀봉해서 통형상으로 만든 것을 써도 된다.
다음, 카톤(102)의 넓은 면(102a, 102b)으로 되는 영역인 판지절단체(102')의 판지면(102a', 102b')에다 예컨대 에멀죤과 같은 풀(109)을 바르게 되는데, 이는 판지절단체(102')가 화살표방향으로 반송되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선상으로 발려지게 된다. 또, 이와 동시에 통형상결합부(102g')의 배면에도 발려지게 된다. 여기서, 풀(109)이 발려지는 위치와 칠패턴은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의 변경시킬 수도 있는 바, 예컨대 점형상으로 풀을 칠해도 된다.
이어, 상기 판지절단체(102')의 판지면 영역(102a', 102c')에 통형상 필름(103')을 겹쳐지게 해서 풀(109)로 붙이게 되는데, 이 상태가 제12도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나서 카톤(102)의 면(102, 102d)를 이루는 판지절단체(102')의 판지면 영역(102b', 102d')을 제1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어 겹쳐지게 해서 통형상으로 붙이게 되면 세워져 조립되기 전의 편평형상 BIC(101')가 만들어지게된다.
다음에는 상기 편평형상 BIC(101')가 조립 및 충전공정으로 보내져, 그곳에서 각기둥형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주출구 부착용 구멍이 뚫려진 다음 주출구(105)가 부착시켜지게 된다. 이렇게 해서 주출구(105)가 부착된 다음에는, 통형상 필름(103')의 한쪽 끝이 밀봉되고 나서 판지절단체(102')의 한쪽 끝이 조립되고, 이어 통형상 필름(103')의 다른쪽 끝이 밀봉되고 나서 판지절단체(102')의 다른쪽 끝이 조립되면, 제10도(A) 및 제10도(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톤(102) 내에 내부백(103)이 수납시켜진 구조의 BIC(101)가 만들어지게 된다. 한편, 이상의 공정은 종래에 행해지던 BIC제조기술을 적용해서 실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조설비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마지막으로, 주출구(105)로부터 내부백(103)내의 공기를 뽑아낸 다음 잉크와 같은 내용물(104)을 충전하게 되면 제8도(A) 및 제9도(A)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내용물(104)이 충만된 BIC(101)를 사용할 때는, 제8도(A)∼제9도(B)에 도시된 것과 같이 BIC(101)를 주출구(105)가 밑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인쇄기와 같은 기계에다 세트시켜, 주출구(105)에다 기계 쪽에 설치된 흡인장치의 도시되지 않은 연결구가 접속되도록 해서 주출구(105)로부터 내용물(104)을 흡인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흡인이 이루어지게 되면 내부백(103) 내의 내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내부백(103)에는 내부백을 찌그러뜨려 오무러들게 하는 방향의 대기압이 작용하게 된다. 한편, 이 내부백(103)은 편평한 카톤의 마주보는 한쌍의 넓은 면(102a, 102b)에 붙어 있기 때문에, 결국 이들 넓은 한쌍의 면(102a, 102b)에 카톤을 눌러 찌그러뜨리는 방향의 외압이 작용하게 되어, 강도가 약한 한쌍의 넓은면(102a, 102b)이 2점쇄선(111a, 111b)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만곡시켜지면서 서로 접근하게 됨으로써 내부백(103)의 내부용적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내부백(103)내에 공기를 들여보내지 않고서도 내용물(104)을 흡인해서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면(102b)에는 만곡되기 쉽도록 하는 괘선(10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제10도(A) 및 제10도(B) 참조), 주출구(105)가 설치된 면(102a)에 비해 다른 면(102b) 쪽이 크게 만곡되어 주출구(105)가 설치된 면(102a)의 변형이 적어지게 되는 바, 이는 주출구(105)를 기계의 도시되지 않은 연결구에 연결해서 BIC(101)를 기계에 세트시킬 경우에 유리하다. 한편, 한쌍의 넓은 면(102a, 102b)이 균등하게 만곡되어도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면(102a)에도 괘선을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주출구(105)로부터 내용물(104)이 계속 흡인되게 되면 마주보는 한쌍의 넓은 면(102a, 102b)이 접근해서 드디어 제8도(B) 및 제9도(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자가 극히 근접된 상태로 된다. 또, 내부백(103)의 주위부분(103a)이 안쪽으로 끌어들여지게 됨으로써 내부백(103)의 내부용적이 극히 작아지게 되어 내용물(104)의 거의 전부가 뽑아내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내부백(103)의 주위부분(103a)이 도시된 것과 같이 안쪽으로 끌어들여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넓은 면(102a, 102b)의 가장자리부분에는 내부캡(103)이 접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단, 접착된다 하더라도 그 부분이 떼어내어질 수 있다면 특별한 지장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BIC(101)에서는 내부백(103)이 마주보는넓은 면적부분이 카톤(102)의 마주보는 한쌍의 넓은 면(102a, 102b)에 붙여져 이들 넓은 면(102a, 102b)과 일체로 변형시켜질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이 부분이 내용물이 뽑아내어지는 흡출량에 대응해서 비교적 천천히 안정되게 변형될 수 있게 되고, 그 때문에 내용물이 흡출되기 시작할 때 내부백(103)이 주출구(105)를 막아버린다거나 내용물(104)이 내부백(103)내에 국부적으로 막혀 남아 있게 되는 일이 일어나지 않아 내용물의 흡출(吸出)이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한쌍의 넓은 면(102a, 102b)의 크기는, 카톤(102)을 구성하는 판지의 강도와 내부백(103)으로부터 내용물(104)을 흡인할 때의 흡인력 등을 고려해서 내용물을 흡인하는 데 따라 변형될 수 있도록 설정하면 된다.
또, 이 넓은 면(102a, 102b)이 제8도(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변형되면서 내용물(104)이 양호하게 흡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카톤(102)의 두께(D)에 비해 카톤 (102)의 폭(W)이 조금 크도록 할 필요가 있는 바, 그 비(W/D)는 카톤(102)의 강도 에 따라 다르기는 하나 통상적으로 2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카톤(102)의 구체적인 치수의 한 예로서는, 130mm(W) x 220mm x40mm(D)로 하는 것을 들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출구(105)를 넓은 면(102a)에 배치되도록 하였으나, 그 대신 주위의 좁고 가는 면(102c∼102f)중 어느 한곳에 배치하여도 좋다.
다음에는 본 제2 실시예의 변형례에 대해 설명한다.
제14도(A) 및 14(B)는 제2 실시예의 한 변형례에 따른 BIC를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면으로 절단해서 도시한 개략단면도로서, 제14도(A)는 내용물이 충만된 상태를, 제14도(B)는 내용물이 뽑아내어진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제15도는 이 BIC를 중앙부에서 길이방향과 평행한 면으로 절단한 것을 나타낸 개략단면도이고, 제16도(B)는 이 BIC의 개략사시도이다.
제14도(A)∼제16도에서 전체가 참조부호 121로 지시된 BIC는, 외부용기를 이루는 카톤(122)과, 이 카톤(122)의 내부에 수납된 가요성을 가진 내부백(123)으로 이루어지고서, 이 내부백(123) 내에 잉크와 같은 액체로 된 내용물(124)이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카톤(122)는 제10도(A) 및 제10도(B)에 도시된 카톤(102)에 비해 그렇게 편평하지 않은 직각입방체형을 이루도록 된 것이긴 하지만, 상기 카톤(102)과 마찬가지로 마주보는 한쌍의 면(122a, 122b)과 양쪽의 한쌍의 측면부(122c, 122d) 및 양쪽의 한쌍의 단면부(122e, 122f)로 이루어지고서, 상기 한쌍의 면(122a, 122b)의 한쪽 면 (122a)에는 폭방향 중앙부에 내부백(123)에 연통시켜진 주출구(125)가 부착되어 캡(126)으로 막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주출구(125)는, 내부백(123)에 접합되기 위한 플랜지(125a)와 내부백(123) 내로 뻗은 돌기부(125b)를 갖고서 이 돌기부(125b)와의 사이에 액체통로(125c)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뒤에 설명되듯이, 내용물(124)이 흡출되어 내부백(123)의 가동부분이 주출구(125)로 접근했을 때 이 돌기부(125b)가 내부백(123)을 지지하여 주출구(125)의 통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주출구(125)의 플랜지(125a)에는 단면이 H자형상을 한 통로부재(125d)가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바, 이 통로부재(125d)는 내부백(123) 내에 카톤(122)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내용물(124)이 흡출됨으로써 내부백(123)의 가동부분이 끌어들여질때 이 가동부분을 지지하여 주출구(125)에 이르는 통로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통로부재(125d)를 주출구(125)와 일체로 구성시키는 대신 별개의 부품으로 만들어도 되고, 또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생략하여도 좋다.
내부백(123)은 그 일부가 카톤(122)의 마주보는 한쌍의 면 (122a, 122b)에 붙여져 움직이지 못하게 구속되도록 되어 있는바, 이 내부백(123)의 구속위치는 제 16도에 점선으로 빗금쳐진 영역인 한쌍의 면(122a, 122b)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뻗은 띠형상영역(127a, 127b)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하 이 대상영역에 의해 구속되어져 있는 내부백(123)의 부분(123a, 123b)를 고정부분이라 한다. 한편, 이 내부백(123)을 그 구속영역인 띠형상영역(127a, 127b)에 구속시키기 위해서는 그 전체면에 내부백(123)을 붙일 필요는 없고 부분적으로 붙여지도록 하여도 좋다.
내부백(123)의 고정부분(123a, 123b)의 폭, 즉 띠형상영역(127a, 127b)의 폭(w1, w2)은 카톤(102)의 폭(W)의 약 1/2이 되도록 결정하게 되는데, 바람직스럽기 로는 주출구(125)쪽 고정부분(123a)쪽이 다른쪽 고정부분(123b)보다 크게 되도록 결정하는 것이 좋다.
한편, 내부백(123)의 마주보는 고정부분(123a, 123b)의 양쪽부분(123c, 123d)은 카톤(122)의 내면에 붙여지지 않아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가동부분을 이루 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BIC(121)도 제8도(A)∼제13도로 도시된 실시예의 BIC(101)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조하게 된다.
내용물(124)이 충만된 BIC(121)을 사용할려면, 제14도(A) 및 제14도(B)에 도시된 것과 같이 BIC(121)을 그 주출구(125)가 밑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인쇄기와 같은 기계에다 세트시켜, 주출구(125)를 기계쪽에 설치된 흡인장치의 도시되지 않은 연결구에다 접속시켜 주출구(125)로부터 내용물(124)이 흡인되도록 한다. 이 흡인에 따라 내부백(123)내의 내압이 낮아지게 되고, 그 때문에 내부백(123)에는 내부백을 찌그러뜨리는 방향으로 대기압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 내부백(123)의 마주보는 고정부분(124a, 123b)은 카톤(122) 내면의 띠형상영역(127a, 127b)에 붙여져 구속되어 있으나 그 양쪽 부분(123c)이 가동 부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가동부분(123c)이 대기압에 의해 안쪽으로 오무러들어 내부백(123)의 내부용적이 줄어들게 된다. 이렇게 해서 내부백(123)내로 공기를 들여보내지 않고서도 내용물(124)을 흡인해서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이때, 내부백(123)이 카톤(122)의 내면에 의해 구속되어 있는 고정부분(123a, 123b)의 양쪽으로부터 2점쇄선(131a, 131b)으로 나타내어진 것과 같이 서서히 안쪽으로 변형됨으로써 변형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내부백(123)이 불안정하게 변형되어 내용물이 내부백의 일부에 머물러 막히지가 않아 내용물 대부분이 뽑아내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제14도에 도시 된 것과 같이, 내부백(123)의 양쪽 가동부분(123c)이 고정부분(123a, 123b)에 거의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해서 내부백(123)의 내부용적이 극히 작아지게 될 수 있게 됨으로써 내용물(124)의 잔량이 작아지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내부백(123)을 고정시키기 위한 띠형상영역(127a,127b)이 카톤(121)의 한쌍의 면(122a, 122b)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중심선을 따라 배열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카톤(122)의 한쌍의 면(122a, 122b)의 축방향으로 뻗은 중심선을 따른 띠형상영역에 내부백(123)을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또 주출구(125)의 부착위치도 면(122a)에 한하지 않고 다른 면으로 변경하여도 좋은 바, 어느 경우에도 주출구(125)가 띠형상영역에 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모두 내용물을 뽑아낼 때 BIC(101, 121)를 그 주출구가 밑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기계에 세트시키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BIC(101, 121)의 내용물을 뽑아내는 데에는 이러한 상태에서 행해지는 경우로 한하지 않고 BIC(101)를 세트시키는 기계에 대응해서 적의 변경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8도(A)∼제13도에 도시된 BIC는, 판지절단체에 내부백을 이루는 통형상 필름을 붙임과 더불어 판지절단체를 통형상이 되도록 세워붙인 다음, 상기 통형상 필름을 밀봉하고 나서 판지절단체의 양끝을 조립함으로써 만들어지기 때문에, 종래 사용되고 있던 BIC와 마찬가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백과 카톤의 2중구조가 됨으로써 내용물이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편평한 카톤이 쓰여지면서 그의 한쌍의 넓은 면 대부분에 내부백이 붙여져 구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출구로부터 내용물이 뽑아내어져 흡출됨에 따라 내부백이 카톤의 한쌍의 넓은 면과 함께 안정되게 변형되어 내부백의 내부용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내부백 내에 공기를 들여보내지 않고서도 내용물을 흡인해서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또, 내부백의 변형이 안정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부백의 내부용적이 극히 작아질 수 있게 되어 내용물의 잔량을 작게 할 수가 있어서, 점도가 높은 액체나 공기에 접촉하는 것이 좋지 않은 액체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 제14도(A)∼제16도에 도시된 BIC도, 상기 제1 실시예에서의 BIC와 마찬가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백과 카톤의 2중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내용물이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게 된다. 또, 내부백이 카톤의 마주보는 한쌍의 면 중심선을 따라 뻗은 띠형상영역에 의해 구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주출구로부터 내부백 내의 내용물이 흡인될 때 내부백의 마주보는 띠형상영역에서 구속된 고정부분 양쪽의 가동부분이 안정되게 안쪽으로 변형되어져 그 내부 용적이 줄어들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내부백 내로 공기를 들여보내지 않고서도 내용물을 흡인해서 뽑아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백의 변형이 안정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부백의 내부용적 극히 작아질 수가 있어서 내용물의 잔량이 극히 적어지게 되어, 점도가 높은 액체나 공기에 접촉하는 것이 좋지 않은 액체에 적합한 포장용기로 사용될 수가 있게 된다.
( 제3 실시예 )
제17도(A) 및 제17도(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BIC를 개략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제17도(A)는 내용물이 충만된 상태를, 제17도(B)는 내용물이 뽑아내어진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고, 제18도는 BIC의 개략사시도이다.
제17(A)∼제18도에서 전체가 참조부호 201로 나타내어진 BIC는, 외부용기를 이루는 카톤(202)과, 이 카톤(202)의 내부에 수납된 가요성을 가진 내부백(203)으로 이루어지고서, 이 내부백(203)내에 잉크와 같은 액체로 된 내용물(204)이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톤(202)은 평탄한 직사각형상을 한 6개의 면 즉 4개의 측면부(202a ,202b, 202c, 202d)와 2개의 끝면부(202e, 202f)를 가진 직각입방체형 상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내부백(203)은 카톤(202)의 내면에 대해 일부가 붙여져 움직이지 않게 구속되도록 되어 있는 바, 이렇게 내부백(203)이 카톤(202)에 붙어 구속되는 부분은, 카톤(202)의 인접한 2개의 측면부(202b, 202c)와 마주보는 영역이다. 단, 이 경우 측면부(202b, 202c)의 전체 면에 내부백(203)이 붙여질 필요는 없고, 내부백(203)의 측면부(202b ,202c)와 마주보는 영역 거의 대부분이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될 수만 있다면, 측면부(202b, 202c)의 일부에만 내부백(203)이 붙여져도 된다. 본 제3 실시예에서는 빗금(206)으로 도시된 위치가 붙여지는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내부백(203)의 카톤(202)의 다른 면(202a, 202d, 202e, 202f)과 마주보는 영역은 카톤(202)의 내면에 붙여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내부백(203)을 대각선(X-X)을 따라 측면부(202b, 202e)쪽과 측면부(202a, 202d)쪽으로 나누어 생각한다면, 측면부(202b, 202c) 쪽 약 1/2부분이 카톤(202)의 내면에 구속되어 움직이지 않는 고정부분으로 되고, 반대쪽 부분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가동부분으로 된다. 한편, 내부백(203)의 카톤(202)의 끝면부(202e, 202f)와 마주보는 영역 중 제18도에서의 대각선(X-X)보다 측면부(202b, 202c) 쪽 부분을 필요에 따라 끝면부(202e, 202f)에 붙여 지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카톤(202)의 내부백(203)이 붙여진 2개의 측면부(202b,202c) 중 한쪽측면(202b)에는 내부백(203)에 연통시켜진 주출구(208)가 부착되어 캡(209)으로 막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이 주출구(208)가 부착되는 위치는 특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내부백(203)이 부착된 2개의 측면부(202b,202c)가 교차하는 교차선 근방으로서 하단부에 근접된 위치로 되어 있다.
상기 주출구(208)는 제19도 및 제20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주에 나사산(211a)을 갖고서 안쪽으로 관통시켜진 구멍(211b)을 가진 원통형상부(211)와, 이 원통형상부 (211)의 외주에 형성된 내부백부착용 플랜지(212)를 갖고 있다. 이 원통형상부(211)의 형상은, BIC(201)가 부착될 대상인 인쇄기와 같은 기계에 설치된 연결부(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이 원통형상부(211)에는 두께를 얇게 해서 성형하기 쉽도록 환상의 홈(211c)이 형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 홈(211c)을 형성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 이 주출구(208)는 관통시켜진 구멍(211b)을 에워싸는 한편 플랜지(212)를 지나 내부백(203) 안쪽으로 뻗도록 형성된 원통형상 돌기부(213)를 갖고서, 이돌기부(213)의 측면에 액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홈형상의 통로(214)가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통로(214)를 구비한 돌기부(213)가 형성됨으로써, 내용물이 흡출될 때 내부백(203)의 가동부분이 주출구(208)쪽으로 접근해오더라도 내부백(203)이 돌기부(213)의 앞끝에서 지지되게 됨으로써, 통로(214)를 거쳐구멍(211b)에 이르는 내용물의 흐름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주출구(208)의 플랜지(212)에는 가늘고 긴 통로부재(215)가 일체로 형성되어 방사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바, 이 통로부재(215)는 플랜지(212)의 연장면상에 설치된 제1평판부(215a)와, 대략 그 중앙에 직각으로 설치된 리브(215b)및, 그 앞끝에 상기 제1평판부(215a)에 대해 평행하도록 설치된 제2평판부(215c)를 갖추고 있는바, 이는 대략 H자형상의 단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제17도(A), 제17도(B) 및 제18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출구(208)의 원통형상부(211)를 카톤(202)의 측면부(202b)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서 돌출시켜 플랜지(212)를 카톤(202)의 내면에 붙여져 있는 내부백(203)의 내면에 접착시키면, 주출구(208)를 부착시킬 때 그와 동시에 그의 통로부재(215)가 카톤(202)의 측면부(202b)를 따라 위치되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 통로부재(215)의 단면이 대략 H자형상을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백(203)내의 내용물(204)이 뽑아내어짐에 따라 내부백(203)의 가동부분이 측면부(202b)로 이동해올 때 통로부재(215)의 제2평판부(215c)에 의해 내부백(203)이 지지될 수 있게 되어, 주출구(208)의 구멍(211b)을 향한 통로가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또, 제19도 및 제20도에서의 주출구(208)에는 다시 통로부재(215)로 부터 구멍(211b)을 향한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간격이 벌어진 돌기(216)가 형성되어 있기도 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주출구(208)에 1개의 통로부재(215)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의 통로부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주출구(208)는 캡(209)은 주출구(208)를 막을 수만 있다면 어떤 것이어도 좋은바, 본 실시예에서는 제21도에 도시된 간단한 구조를 한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에 한하지 않고 주출구(208)의 구멍(211b) 내에 삽입되어 이 구멍(211b)를 막는 플러그를 구비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들 주출구(208) 및 캡(209)은 통상적으로 합성수지를 성형해서 만들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BIC(201)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22도(A)에서와 같이 판지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제단)해서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판지절단체(202')를 준비함과 더불어, 필름을 말아붙여 통형상으로 한 다음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통형상 필름(203')을 만든다(이는 다음 공정에서 그 상하단부가 밀봉되어 내부백으로 된다). 한편, 상기 통형상 필름(203')으로서는 도시된 것과 같은 말아붙여진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필름 2매를 겹친 다음 그 양끝을 밀봉시켜 통형상으로 만든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다음, 판지절단체(202)의 카톤(202) 측면부(202b, 202c)로 될 영역인 판지면(202b', 202c')에다 예컨대 에멀죤과 같은 풀(220)을 바르게 되는데, 이 풀칠은 판지절단체(202')가 화살표방향으로 반송되면서 행해지기 때문에 풀(220)이 도시된 것과 같은 직선상으로 발려지게 된다. 또, 그와 동시에 통형상 결합부(202g')의 배면에도 풀을 바른다. 한편, 풀(220)이 발려지는 위치와 칠의 패턴은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의 변경하거나 또는 점형상으로 풀이 발려지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는 상기 판지절단체(202')에다 발려진 풀(220)을 이용해서 통형상 필름(203')을 붙이게 되는데, 그 상태는 제23도(A)에 도시된 상태와 같게 된다. 이어, 카톤 (202)의 측면부(202a, 202d)로 되는 판지절단체(202')의 판지면 영역(202a',202d')을 제23도(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어 겹쳐지도록 해서 원통형상으로 붙이게 되면, 조립되기 전의 편평한 BIC(201')가 만들어지게 된다.
이어, 편평한 BIC(201')가 조립 및 충전공정으로 보내져, 그곳에서 제2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기둥형상으로 세워져 주출구부착용 구멍이 뚫어진 다음 주출구(208)가 부착시켜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출구(208)의 부착은, 주출구(208)의 원통형상부(211)를 통형상 필름(203')의 안쪽에서부터 주출구부착용 구멍에 삽입하고, 이어 플랜지(212)를 통형상 필름(203')의 내면에다 예컨대 초음파밀봉방법으로 접착시킨다. 이렇게 주출구(208)를 부착시킨 다음 통형상 필름(203')의 하단을 밀봉하고 나서 판지절단체(202')의 저부를 조립하고, 이어 통형상 필름(203')의 상단을 밀봉한 후 판지절단체(202')의 상부를 조립하게 되면, 제18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톤(202) 내에 내부백(203)이 수납시켜진 구조의 BIC(201)가 조립되게 된다. 한편, 이들 공정은 종래 행해지고 있던 BIC제조기술을 적용해서 실시되는 것이기 때문에 제조설비 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키로 한다. 마지막으로, 주출구(208)로부터 내부백(205) 내의 공기를 뽑아낸 후 잉크와 같은 내용물(204)을 충전하면 제17도(A)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내용물(204)이 충만되어 있는 BIC(201)를 사용할 때는, 제18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BIC(201)를 거의 직립하도록 세운 상태에서 인쇄기와 같은 기계에 세트시켜놓고서, 주출구(208)에다 기계 쪽에 설치되어 있는 흡인장치의 연결구(도시되지 않음)를 접속시켜 주출구(208)로부터 내용물(204)을 흡인하도록 한다. 이때, 내부백(203)의 대각선(X-X)에 관해 주출구 쪽과 반대되는 쪽 약 1/2부분이 카톤(202)의 내면에 구속되지 않는 가동부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뽑아내어짐에 따라 상기 가동부분이 제17도(B)에 2점쇄선(222a, 222b, 222c)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차례로 변형되게 됨으로써, 내부백(203) 내로 공기를 들여보내지 않고서도 내용물을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내부백(203)의 가동부분이 카톤(202)의 내면에 붙여져 있는 약1/2부분인 고정부분 속으로 끌어들여진 상태로 되어 내용물 거의 전부가 뽑아내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백(203)의 가동부분이 내부백(203)의 약 1/2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가동부분이 카톤의 내면에 구속된 고정부분 내로 끌어들여질 때, 내용물이 흡출되기 시작하자마자 곧 가동부분의 일부가 주출구(208) 근방의 고정부분에 밀착되어 내용물의 흐름을 막아 머무르게 하는 일이 거의 없게 된다. 또, 내부백(203)의 가동부분이 주출구(208)가 있는 곳까지 이동해오는 것이 천천히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거의 전부가 뽑아내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주출구(208)는 복수의 통형상 돌기부(213)가 내부백(203) 내에 돌출되도록 되어 있고, 또 통로부재(215)가 일체로 갖추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뽑아내어짐에 따라 이동해오는 내부백(203)이 상기 돌기부(213) 및 통로부재(215)에 의해 지지되어 액체의 배출통로가 확보될 수 있게 됨으로써, 내용물의 거의 전부가 한층 더 양호하게 뽑아내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내용물이 뽑아내어질 때 BIC(201)를 바로 세운 상태가 되도록 해서 기계에 세트시키고, 측면부(202b)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주출구(208)로부터 내용물(204)를 흡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BIC(201)로부터 내용물을 뽑아내는 것이 이와 같이 흡출되어 이루이지는 것에 한하지 않고, BIC를 세트시킬 기계에 대응해서 적의 변경될 수도 있는바, 예컨대 배출구(208)를 밑을 향하도록 해서 기계에 세트시켜 내용물을 뽑아내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주출구(208)의 부착위치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반드시 측면부(202b)에다 설치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출구(208)로서 통로부재(215)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사용하고 있으나, 그 대신 통로부재를 주출구의 본체부분과는 별개의 부품으로 만들어 각각 별개로 내부백에 부착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그리고, 주출구(208)의 길이가 그렇게 길지 않을 경우에는 통로부재(215)를 생략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BIC는, 판지절단체 내에 내부백을 구성하는 통형상 필름이 붙여진 다음 판지절단체가 통형상으로 접혀 붙여진 후, 통형상 필름의 상하단이 밀봉되고 나서 판지절단체의 상하부가 조립되어 만들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사용되고 있던 BIC와 마찬가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백과 카톤의 2중구조가 됨으로써 내용물이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게 된다. 또, 카톤 내부의 내부백이 카톤의 인접하는 2개의 면에 붙여져 구속되면서 그 한쪽 면에 주출구가 부착되어 있는 쪽 약 1/2부분이 카톤의 내면에 구속된 고정부분을 이루고, 반대쪽 약 1/2부분만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가동부분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내부백의 가동부분이 고정부분내로 끌어들여 지면서 내용물의 거의 전부가 주출구로부터 흡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점도가 높은 액체나 공기에 접촉하는 것이 좋지 않은 액체를 포장하는 포장용기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제4 실시예)
제25도(A) 및 제25도(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BIC를 개략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제25도(A)는 내용물이 충만된 상태를, 제25도(B)는 내용물이 뽑아 내어진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고, 제26도는 그 BIC의 개략사시도이다.
제25도(A), 제25도(B) 및 제26도에서 전체가 참조부호 301로 나타내어진 BIC는, 외부용기를 구성하는 카톤(302)과, 이 카톤(302)의 내부에 수납된 가요성을 가진 내부백(303)으로 이루어져, 이 내부백(303) 내에 잉크와 같은 액체로 된 내용물(304) 이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카톤(302)은 직각입방체의 한쪽 끝면 일부가 경사면을 이룬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카톤(302)이 평탄한 4개의 측 면부(302a, 302b, 302c, 302d)와 양끝의 끝면부(302e, 302f)를 가진 직각입방체의 한쪽 끝면부(302f)의 일부가 경사면(302g; 측면부(302a)와 끝면부(302f) 사이의 경사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 카톤(302)의 상기 경사면(320g)에는 내부백(303)에 연통되도록 주출구(305)가 부착되고서 캡(306)에 의해 막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이 주출구(305)는 내부백(303) 내로 뻗은 복수의 원통형상 돌기부(305a)를 갖고서 이 원통형상 돌기부(305a)의 측면에 액체를 통과시키는 홈형상의 통로(305b)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통로(305b)가 형성되어 있어서 예컨대 돌기부(305a)의 앞끝이내부백(303)에 의해 막혀진다 하더라도 내용물(304)이 주출구(305)로 흡인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출구(305)가 카톤(302)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캡(306)이 부착되는 상태에서 캡(306)이 측면부(302a) 및 끝면부(302f)의 각 연장면으로 에워싸여지는 영역 내에 들도록 정해지게 된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다수의 BIC가 나란히 놓아지거나 높이 쌓여지는데도 지장이 없게 된다.
또, 상기 내부백(303)은 카톤(302)의 내면에 대해 일부가 붙여져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는바, 여기서 내부백(303)의 카톤(302)에 고정시켜진 부분은 제 25도(A) 및 제26도에 도시된 2점쇄선(308) 보다 주출구 쪽의 부분이 되고, 반대쪽 부분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가동부분이 된다. 또한, 내부백(303)의 고정부분과 가동부분을 경계지우는 2점쇄선(308)의 위치는 내부백(303)을 대체로 2등분하는 위치로서, 바람직스럽기는 주출구 쪽인 고정부분 보다 그 반대쪽인 가동부분 쪽이 약간 작아지도록 분할하는 위치로 되면 좋다. 이에 관해 본 제4 실시예에서는 제25도(A) 및 제2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BIC(301)가 주출구(305)를 아래로 해서 놓았을 때, 내부백(303)을 가동부분과 고정부분으로 분할하는 2점쇄선(308)이, 제 26도에서와 같이 측면부(302d; 및 302b)를 대략 중앙에서 좌우로 분할하되 주출구 쪽이 약간 커지도록 하는 위치로서, 상단보다 하단이 측면부(302f)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지도록 하는 위치로 되어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2점쇄선(308)이, 그 상단과 끝면부(302f)의 거리(d1)가 끝면부(302e)와 끝면부(302f)사이의 거리(d)의 1/2 또는 그보다 약간(1∼10mm 정도) 크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내용물이 뽑아내어질 때 내부백(302)의 가동부분이 고정부분속으로 원활히 끌려들어갈 수 있게 되고, 또 초기단계에서는 주출구(305) 가까이로 이동하지 않아 내부백(303) 내의 내용물이 거의 전부 뽑아내어질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내부백(303)의 고정부분은 통상적으로 그 일부가 카톤(302)의 내면에 붙여짐로써 카톤(302)의 내면에 고정시켜지게 되는바, 여기서 내부백(303)이 붙여지는 카톤(302)의 내면은 내부백(303)의 고정부분에 면하는 측면부(302a∼302d)와 끝면부(302f) 및 경사면부(302g) 전부가 될 필요는 없고, 본 실시예에서는 측면부(302a, 302b, 302d)와 경사면부(302g) 만으로 되어 있다. 제26도에서 참조부호 309는 내부백(303)이 카톤(302)의 내면에 붙여지는 풀이 발려지는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렇게 해서 내부백(302)은 주출구가 부착된 쪽 약 1/2이 카톤의 내면에 구속되고, 다른 영역은 카톤의 내면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가동부분을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풀(309)이 발려지는 위치가 복수의 띠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이 띠형상을 한 풀이 발려지는 위치의 위치와 개수는 적의 변경할 수 있고, 또 띠형상 대신 점형상으로 풀이 발려 지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제4 실시예에 따른 BIC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판지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해서 제27도(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카톤을 만들기 위한 판지절단체(302')를 준비한다. 이 판지절단체(302')의 여러 판지면영역(302a', 302b', 320d'; 이는 각기 카톤의 측면부(302a, 302b, 302d)로 되는 영역임)의 내면 중 2점쇄선(308)의 위쪽 영역이 내부백(303)이 붙여지는 영역이다.
또, 상기 판지절단체(302')를 제조하는 것과 병행해서 필름을 원형으로 말아 붙여 소정의 길이로 잘라 통형상 필름(303')를 준비한다(이는 다음 고정에서 상하단이 밀봉되어 내부백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통형상 필름(303')으로서는 도시된 것과 같이 말아붙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2매의 필름을 겹쳐 그 양끝을 밀봉하여 통형상이 되도록 한 것을 써도 좋음은 물론이다.
다음, 판지절단체(302')의 판지면 영역(302b', 302d')과 판지면 영역(302g'; 카톤(302)의 경사면(302g)로 되는 영역) 및 통형성 접합부(302j')에다 예컨대 에멀죤과 같은 풀(309)을 바른다. 풀(309)의 도포는 판지절단체(302')가 화살표방향으로 반송되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풀(309)이 도시된 것과 같이 직선상으로 발려지게 된다. 한편, 판지절단체(302')의 3각형 판지면 영역(302h', 302i')은 카톤이 조립될 때 안쪽으로 접혀들어가는 부분으로서, 그 한쪽에만 풀(309)이 발려지게 된다. 또, 그와 동시에 통형성 접합부 (301j')의 배면에도 풀을 바른다.
이어 제28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판지절단체(302')의 판지면 영역(302a', 302d')에다 풀(309)을 가지고 통형상 필름(303')을 붙이고 나서, 판지절단체(302')의 판지면 영역(302b', 302c')을 제29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어 겹쳐지게 해서 통형상으로 붙임과 더불어, 판지면 영역(302b') 및 통형성 접합부 (302j')를 통형상 필름(303')에다 붙이게 되면 조립되기 전의 편평한 BIC(301')가 만들어지게 된다.
다음, 상기와 같은 편평한 BIC(301')가 조립 및 충전공정으로 보내져, 거기에서 각기둥형상으로 세워져 주출구부착 부분이 뚫어진 다음, 주출구(305)가 부착 시켜지게 된다. 그런 다음, 통형상 필름(303')의 하단이 밀봉되고 나서 판지절단체(302')의 저부가 조립되는 한편, 통형상 필름(303')의 상단이 밀봉되고 나서 판지절단체(302')의 위쪽이 조립되어 카톤(302) 내에 내부백(303)이 수납시켜진 BIC(301)가 조립되게 된다. 한편, 이들 공정은 종래 행해지고 있던 BIC제조기술을 적용한 실시예이기 때문에, 제조설비 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키로 한다. 마지막으로, 주출구(305)로부터 내부백(303) 내로 공기를 뽑아낸 후 잉크와 같은 내용물(304)을 충전하게 되면 제25도(A)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내용물(304)이 충만된 BIC(301)를 사용할 때는, 제25도(A) 및 제25도(B)에 도시된 것과 같이 BIC(301)를 주출구(305)가 아래가 되도록 한 상태로 인쇄기와 같은 기계에다 세트시켜놓고서, 주출구(305)에 기계 쪽에 설치된 흡인장치의 연결구(도시되지 않음)를 접속하여 주출구(305)로부터 내용물(304)이 흡인되어 뽑아내어 지도록 한다. 이때, 내부백(303)의 주출구 쪽과는 반대되는 쪽 약 1/2부분인 가동부분이 카톤(302)의 내면에 붙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내용물이 흡출됨에 따라 상기 가동부분이 제25도(A)에 2점쇄선(311a, 311b) 등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점차 변형되어져, 내부백 내로 공기를 들여보내지 않고서도 내용물을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내부백 (303)의 가동부분이 카톤의 내면에 붙여져 있는 약 1/2부분인 고정부분 내로 끌어들여진 상태로 되어 내부백 내의 내용물 거의 전부가 뽑아내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내부백(303)의 가동부분이 카톤의 내면에 붙어있는 고정부분보다 약간 작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부분이 고정부분 내로 끌어 들여질 때, 이동되어온 가동부분의 일부가 고정부분에 밀착되어 내용물을 막아 잔류하게될 염려가 거의 없게 되고, 그 때문에 내용물의 거의 전부가 뽑아내어질 수 있게 된다. 또, 2점쇄선(308)으로 나타내어진 내부백(302)의 가동부분과 고정부분의 경계를 상단쪽보다 하단쪽이 주출구(305)로부터의 수평거리가 멀어지도록 약간 경사지게 하였기 때문에, 내부백(303)의 가동부분 하단부가 내용물의 흡출이 시작된 초기에 주출구(305) 가까이 이동해서 내용물의 통로를 막게 되는 일이 없어, 내용물의 거의 전부가 양호하게 뽑아내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계의 하단 위치는, 주출구(305)가 내부백(303)의 가동부분에 의해 막혀지지 않도록 하려면 주출구(305)에서 멀리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한편 내용물이 내부백(302)의 저부에 잔류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내부백(303)의 저부면적이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런 점에서는 이 경계의 하단위치가 주출구(305)에 가까운 편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제4 실시예에서는 이들 양쪽 요구를 만족시키기 좋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출구(305)로서 내부백(303) 내로 뻗은 원통형상부(305a)가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그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통형상부를 구비하지 않은 통상적인 것을 써도 된다. 또, 내부백(303)의 저부에다 내부백(303)의 가동부분이 끌어들여졌을 때에도 내용물이 흐르는 통로가 확실하게 형성되도록 적당한 통로부재로서 예컨대 단면이 H자형상을 한 봉형상부재 등을 삽입해 놓아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내용물을 뽑아낼 때 BIC(301)를 주출구(305)가 아래쪽이 되도록 기계에다 세트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BIC(301)에서 내용물을 뽑아내는 것을 이렇게 해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BIC를 세트시킬 기계에 대응해서 주출구(305)가 위쪽이나 옆쪽이 되도록 하는 등의 방법으로 적의 변경할 수도 있다. 특히, BIC(301)를 주출구(305)가 위쪽이 되도록 기계에 세트시키는 경우에는, 주출구(305)로부터 내용물이 흐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4실시예에 따른 BIC는, 판지절단체에다 내부백을 이루는 통형상 필름을 붙이고서 상기 판지절단체를 통형상으로 붙인 다음, 통형상 필름의 상하단을 밀봉하고 나서 판지절단체의 저부 및 상부를 조립해서 만들기 때문에, 종래 사용되고 있는 BIC와 마찬가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가 있을뿐만 아니라, 내부백과 카톤의 2중구조로 이루어져 내용물이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본 실시예에서는, 카톤의 끝면부 일부가 경사면으로 되어 그곳에 주출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나란히 놓는다던가 쌓아올릴 때 주출구가 방해로 되지 않게 됨으로써 다수의 BIC를 콤팩트하게 쌓을 수 있어서 보관이나 수송하기가 쉬워지게 된다.
또한, 카톤 내의 내부백이 주출구가 부착된 쪽 약 1/2부분이 카톤의 내면에 구속되어 고정부분을 이루는 한편, 다른쪽 부분이 자유로이 이동하는 가동부분을이루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을 뽑아낼 때 내부백의 가동부분이 고정부분 속으로 끌어들여지면서 내용물의 거의 전부가 흡출될 수 있게 되고, 그 때문에 점도가 높은 액체나 공기와 접촉하는 것이 좋지 않은 액체를 포장하는데 사용하는 포장 용기로 적합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 제5 실시예 )
제30도(A) 및 제30도(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BIC를 개략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제30도(A)는 내용물이 충만된 상태를, 제30도(B)는 내용물이 뽑아 내어진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고, 제31도(A)는 BIC의 개략사시도, 제31도(B)는 상기 BIC를 바닥면이 위가 되도록 하여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제30도(A), 제30도(B), 제31도(A) 및 제31도(B)에서 전체가 참조부호 401로 지시되고 있는 BIC는, 외부용기를 이루는 카톤(402)과, 이 카톤(402)의 내부에 수납되어 변형될 수 있도록 된 내부백(403)으로 이루어져, 이 내부백(403) 내에 잉크와 같은 액체(404)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카톤(402)은 평탄한 직사각형상의 전면부(402a)와 그 양쪽의 평탄한 측면부(402b, 402c), 그 상하의 평탄한 상면부(402d) 및 바닥면부(402e), 뒤쪽의 배면부(402f)를 가진 직각입방체형상으로 되어 있는바, 이 카톤(402)은 제32도(A) 및 제32도(B)에 도시된 판지절단체(402')로부터 조립되는 것으로, 전면부(402a)와 측면부(402b, 402c), 배면부(402f)가 각각 판지절단체(402')의 판지면 영역(402a',402b', 402c', 402f')으로 되는 한편, 상부면(402d') 및 바닥면부(402e)는 각각 판지절단체 (402')의 주플렙(402d', 402e')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판지절단체(402')는 카톤(402)의 전면부(402a)를 구성하는 판지면 영역(402a')의 상하에 측면플랩(402g, 402h)을 갖도록 되어 있는바, 이들 측면플랩(402g, 402h)은 제30도(A) 및 제30도(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톤(402)의 상면부(402d) 및 바닥면부(402e)의 안쪽에 상면부 및 바닥면부에 대해 접착되지 않고 끼워져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측면플랩(402g, 402h)은 전면부(402a)의 상하단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카톤(402)의 전면부(402a)의 하단에는 내부백(403)에 연통되도록 주출구(405)가 부착되어 캡(406)으로 막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이 주출구(405)에는 내부백(403) 내로 뻗은 원통형상부(405a)가 갖춰지고서 이 원통형상부(405a)의 측면에 액체를 통과시키는 홈형상의 통로(405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형상 통로(405b)가 형성됨으로써 예컨대 원통형상부(405a)의 앞끝이 내부백(403)에 의해 막혀진다 하더라도 내용물(404)이 주출구(405)로 흡인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부백(403)은 카톤(402)의 내면에 대해 일부가 붙여져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바, 여기서 내부백(403)의 카톤(402)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부분인 고정부분이, 제30도(A), 제30도(B), 제31도(A) 및 제31도(B)에 점선을 된 빗금으로 나타내어진 영역에 해당한다. 즉, 내부백(403)이 카톤(402)에 붙어 고정시켜진 고정부분은, 카톤(402)의 전면부(402a) 거의 전체 부분(409a)과, 측면부(402b, 402c)의 전면쪽 가장자리 근방을 바닥면으로 한 대략 중앙에 상부변을 갖는 사다리꼴형상부분(409b, 409c)으로 된다. 그리고, 내부백(403)은주출구(405)에 가까운 쪽 측면플랩(402h)에 면하는 부분의 일부(409d)가 이 측면플랩(402h)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내부백(403)은 부분(409a, 409b, 409c)에서 카톤(402)의 내면에 고정시켜지게 되어 그 부분은 이동하지 않게 되나, 그 나머지 부분(따라서 내부백(403)의 주출구 쪽과는 반대쪽 약 1/2부분)은 이동할 수 있게 되어 가동부분을 이루게 된다. 한편, 내부백(403)의 측면플랩(402h)에 면하는 부분은 측면플랩(402h)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나 측면플랩(402h)는 전면부(402a)의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측면플랩(402h)과 함께 움직일 수가 있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BIC(401)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32도(A) 및 제32도(B)에 도시된 형상을 한 판지절단체(402')를 준비 하고서, 아울러 필름을 통형상으로 말아 붙인 다음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통형상필름(403')를 만든다(다음공정에서 상하단이 밀봉되어져 내부백으로 된다). 한편, 통형상 필름(403')으로는 도시된 것과 같이 통형상으로 말아 붙인 것에 한하지 않고, 2매의 필름을 겹쳐 그 양끝을 밀봉함으로써 통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을 써도 된다.
이어, 상기 판지절단체(402')의 내면중 사선으로 도시된 부분(409a',409b', 409c', 409e')에 예컨대 에멀죤과 같은 풀을 바르고, 이렇게 풀이 발려진 부분(409a', 409b')에다 제3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형상 필름(403')을 붙이고 나서, 제33도(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지면 영역(402c', 402f')을 접어 겹쳐지게 하여 통형상으로 붙이고, 판지면 영역(402c')을 통형상 필름(403')에 붙이게 되면 조립되기 전의 편평한 BIC(401')가 만들어지게 된다.
다음에는 편평한 BIC(401')가 조립 및 충전공정으로 보내져, 그곳에서 각 기둥형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주출구부착 부분이 뚫린 다음 주출구(405)가 부착된다. 그 다음, 통형상 필름(403')의 하단이 밀봉시켜지게 되는바, 이 밀봉동작은 제34도(A)∼제34도(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제34도(A)∼ 제34도(D)에서는 도면을 알기 쉽도록 하기 위해 카톤을 도시하지 않았다). 즉, 제34도(A)에 도시된 것과 같이 4각의 각통형상(角衛形狀)을 하고서 위쪽이 열려진 통형상 필름(403')의 한쪽 끝부분을 제34도(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겹쳐지게 오무러트려 그끝 가장자리부분을 수평방향으로 밀봉하여 제1밀봉부(410)를 형성하고 나서, 이 부분을 제34도(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탄해지도록 눌러 양쪽에 3각플랩(411)이 형성되도록 한 다음, 이 3각플랩(411)의 밑변부분을 밀봉해서 제3플랩(412)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3각플랩(411)을 제34도(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쪽으로 접게 되면 통형상 필름 (403')의 한쪽 끝부분이 밀봉되어 상자형태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3각플랩(411)의 밑변부분에 제2밀봉부(412)가 형성됨으로써 이 3각플랩(411)에 내용물이 들어가 갇혀 잔량이 많아지게 되는 일이 없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은 제2밀봉부(412)는 용기를 보강해주는 효과도 있기 때문에, 내부백(403)을 거의 직각입방체형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도 하게 되어, 내용물이 흡출될 때 내부백 전체가 흉하지 않게 변형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통형상 필름(403')의 한쪽 끝부분으로서 예컨대 그 하단부가 밀봉되어 조립된 다음에는 판지절단체(402')의 바닥부를 조립하게 되는데, 이때 카톤(402)의 바닥면 안쪽에 위치하는 측면플랩(402h)의 부분(409d)에 내부백(402)의 바닥면을 적당한 접착수단으로 붙이게 된다.
그 다음 통형상 필름(403')의 상단부가 하단과 마찬가지 순서로 밀봉된 다음 판지절단체(402')의 상부가 조립되면 카톤(402) 내에 내부백(403)이 수납된 BIC(401)가 만들어지게 된다. 한편, 이들 공정은 종래에 행해지고 있던 BIC제조 기술을 적용해서 실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조설비 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키로 한다. 마지막으로 주출구(405)로부터 내부백(403) 내의 공기를 뽑아낸 다음 잉크와 같은 내용물(404)을 충전시키면 제30도(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로 된다.
내용물(404)이 충만된 BIC(401)를 사용할 때는, 제30도(A) 및 제30도(B)에 도시된 것과 같이 BIC를 거의 바로서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인쇄기와 같은 기계에 세트시켜놓고서 주출구(405)를 흡인장치에 접속시켜 주출구(405)로부터 내용물(404)이 흡인되도록 한다. 이때, 내부백(403)의 주출구 쪽과는 반대되는 쪽 약 1/2부분이 카톤(402)에 구속되지 않은 가동부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흡출됨에 따라 상기 가동부분이 제30도(B)에 2점쇄선(415a ,415b, 415c)으로 나타내어져 있는 것과 같이 점차 변형되어져, 내부백 내로 공기를 들여보내지 않아도 내용물이 뽑아내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내부백(403)의 가동부분이 카톤의 내면에 붙어 있는 약 1/2의 고정부분속으로 끌어들여진 상태로 되어 거의 전부의 내용물이 뽑아내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카톤(402)의 측면부(402b, 402c)에 대해 내부백(403)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부분(409b, 409c)이 전면쪽 가장자리근방을 밑변으로 하는 사다리꼴형상을 이루고서, 그 상하부분(내부벽의 상부면 및 바닥면을 포함한)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있어서, 내용물(404)이 흡인될 때 내부백(403)의 상부면 및 바닥면도 제30도(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쪽으로 경사지도록 이동하여 내부백(403)의 내부용적을 한층 더 적어지게 함으로써 내부백(403)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의 잔량이 적어지게 된다. 특히, 내부백(403)의 바닥면이 들어올려지는 결과로 되어 내부백(403)의 바닥부 잔류하기 쉬운 내용물의 흡출이 양호해져 잔량이 더욱 적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내부백(403)의 바닥면이 측면플랩(402h)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플랩(402h)에 의해 거의 평탄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측면플랩(402h)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이 충분히 흡출되기 전에 내부백(403)의 바닥면부분이 변형됨으로써 주출구(405)를 막는 일이 없어 안정된 내용물의 흡출이 가능해지게 됨으로써 많은 제품에서 잔량에 차이가 나는 것이 줄여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카톤(402)의 측면부(402b, 402c)에 대한 사다리꼴형상의 고정부분(409b ,409c)의 경사진 변의 경사각(α, β)으로는 10 ∼ 20°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위쪽의 경사각(α)은 15 ∼ 20° 정도가, 아래쪽의 경사각(β)은 10∼ 15° 정도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제30도(A), 제30도(B), 제31도(A), 제31도(B) 참조).
본 실시예의 BIC(401)로서 500g의 잉크가 든 다수의 잉크용기에 대해 흡출시험을 한 결과, 그 잔량이 평균 12g정도가 되었고, 많아도 16g이 되어 안정된 흡출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내부백(403)의 바닥면을 측부플렙(402h)에다 부착시키지 않고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한 경우에는 잔량이 평균 15g 정도가 되었고, 더구나 잔량이 극단으로 많은 것(예컨대 70∼80g)이 때때로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 내부백(403)이 카톤(402)의 측면부(402b, 402c)에 대해 사다리꼴형상으로 고정되지 않고 주출구 쪽 1/2부분 전 영역에서 고정된 경우에는 잔량이 20∼30g으로 많아지고, 더구나 극단적으로는 100g까지 되는 때도 가끔 있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잔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그 편차도 적어지게 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내부백(403)이 카톤(402)의 전면부(402a) 거의 전체영역(409a)과 양측면부(402b, 402c)인 사다리꼴부분(409b, 409c)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33도(A) 및 제33도(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부분에 대응하는 판지절단체(402')부분 전체에 풀이 발려져 그 전체 영역에 내부백(403)이 붙여 지도록 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는 그에 한정되지 않고 부분(409a, 409b, 409c)에 대응하는 내부백(403)의 부분이 카톤(402)에 구속되기만 하면 되고, 그 때문에 그 부분(409a, 409b, 409c)의 가장자리부분이 점형상 또는 선형상으로 붙여지는 구성으로 되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출구(405)로서 내부백(403) 내로 뻗은 원통형상부(405a)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그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형상부를 구비하지 않은 통상적인 것을 써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내용물을 뽑아낼 때 BIC를 직립상태로 해서 기계에다 세트시켜 바닥면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주출구로부터 내용물을 뽑아내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BIC로부터 내용물이 뽑아내어지는 것이 이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BIC를 세트시키는 기계에 대응해서 적의 변경할 수도 있다. 즉, 예컨대 전면부를 아래쪽으로 해서 주출구를 밑으로 향하도록 하여 기계에다 세트시켜 내용물을 흡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주출구의 부착위치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면부 하단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전면부위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5실시예에 따른 BIC는, 판지절단체에 내부에 백을 이루는 통형상 필름을 붙이고서 판지절단체를 통형상으로 붙인 다음, 통형상 필름의 상하단을 밀봉하고 나서 판지절단체의 상부와 저부를 조립함으로써 만들어지기 때문에, 종래에 사용되고 있던 BIC와 마찬가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백과 카톤의 2중구조로 되어 내용물이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카톤내의 내부백이 주출구가 부착되어 있는 전면부의 양쪽 측면부에 사다리꼴형상으로 붙여지는 한편 주출구에 가까운 쪽 측면 플랩에도 붙여져 고정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백의 이동할 수 있는 가동부분이 내용물의 흡출에 대응해서 안정되게 변형되면서 내부백의 고정부분 속으로 끌려 들어가게 됨으로써 내용물의 거의 전부가 안정되게 흡출되어 잔량도 적고 균일화될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BIC는 점도가 높은 액체나 공기에 접촉하는 것이 좋지 않은 액체를 포장하는 용기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BIC는 카톤 내에 설치되어 있는 내부벽의 상하 양끝의 양쪽 옆에 형성되어 있는 3각플랩부분에 내용물이 들어가 머무르는 일이 없게되어 내용물의 잔량이 줄여질 수 있게 됨과 더불어, 그의 밀봉부분이 내부에 백을 대략 직각입방체가 되도록 유지시키는 역할도 하게 됨으로써 내용물이 흡출될 때 내부백 전체가 흉하지 않게 변형되어, 내용물의 잔량이 적고 균일해질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른 BIC는 점도가 높은 액체나 공기에 접촉하는 것이 좋지 않은 액체를 포장하는 포장용기로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제6 실시3예)
제35도(A) 및 제35도(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BIC를 개략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제35도(A)는 내용물이 충만된 상태를, 제35도(B)는 내용물이 흡출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고, 제36도는 상기 BIC의 개략사시도이다.
제35도(A), 제36도(B) 및 제36도에서 전체가 참조부호 501로 나타내어진 BIC는, 외부용기를 이루는 카톤(502)과 이 카톤(502)의 내부에 수납된 가요성을 가진 내부백(503)으로 이루어져, 이 내부백(503) 내에 잉크와 같은 액체로 된 내용물(504)이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카톤(502)은 평탄한 직사각형상을 한 6개의 면, 즉 4개의 측면부(502a, 502b, 502c, 502d)와 2개의 끝면부(502e,502f)를 가진 직각입방체형상으로 된 것이다.
내부백(503)은 카톤(502)의 내면에 대해 일부가 붙여져 움직이지 않게 구속 되도록 되어 있는 바, 이렇게 내부백(502)이 카톤(502)에 붙여져 구속되는 부분이 카톤(502)의 인접한 2개의 측면부(502b, 502c)와 마주보는 영역으로 된다. 단, 이 경우 측면부(502b ,502c)의 전체 면에 내부백(503)이 붙여질 필요는 없고, 내부백(503)의 측면부(502b, 502c)와 마주보는 영역 거의 전 영역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구속되기만 한다면 측면부(502b,502c)의 일부만에 내부백(503)이 붙여져도 좋은바, 이 실시예에서는 빗금(506)으로 나타내어진 위치가 붙여지는 위치가 된다. 또, 내부백(503)의 카톤(502)의 다른 면(502a, 502d, 502e, 502f)과 마주보는 영역은 카톤(502)의 내면에 붙여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내부백(503)을 대각선(X-X)에 따라 측면부(502b, 502c) 쪽과 측면부(502a, 502d) 쪽으로 나누어 생각한다면, 측면부(502b, 502c) 쪽 약 1/2부분이 카톤(502)의 내면에 구속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고정부분으로 되는 한편, 반대쪽 부분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가동부분으로 된다. 또한, 내부백(503)의 카톤(502)이 끝면부(502e, 502f)와 마주보는 영역 중 제36도에서 대각선(X-X) 보다 측면부(502b, 502c) 쪽인 부분은 필요에 따라 끝면부(502e, 502f)에 붙여지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카톤(502)의 내부백(503)이 붙여진 2개의 측면부(502b, 502c) 중 한쪽 측면부(502b)에는 내부백(503)에 연통시켜진 주출구(508)가 부착되어 캡(509)으로 막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이 주출구(508)가 부착되는 위치는 특히 제한 되지는 않지만,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내부백(503)이 붙여진 2개의 측면부(502b, 502c)가 교차하는 교차선 근방으로서 하단에 근접된 곳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주출구(508)는 제37도 및 제38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주에 나사산(511a)을 가지고서 안쪽으로 관통시켜진 구멍(511b)을 가진 원통형상부(511)와 이 원통형상부(511)의 외주에 형성된 내부백부착용 플랜지(512)를 갖고 있는바, 상기 원통형상부(511)는 BIC(501)를 부착시킬 인쇄기와 같은 기계에 설치되어 있는연결구(도시되지 않음)를 연결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만들어져 있다. 한편, 상기 원통형상부(511)에는 벽체를 얇게 하여 성형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환형상 홈(511c)이 형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 홈(511c)을 형성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 상기 주출구(508)는 관통시켜진 구멍(511b)을 에워싸면서 플랜지(512)를 지나 내부백(503) 안쪽으로 뻗도록 형성된 원통형상 돌기부(513)가 갖춰지고서, 이 돌기부(513)의 측면에는 액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홈형상 통로(514)가 여러 개 형성 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여러 개의 통로(514)를 갖춘 돌기부(513)가 설치됨으로써, 내용물이 뽑아내어질 때 내부백(503)의 가동부분이 주출구(508) 쪽으로 접근 해오게 되더라도 내부백(503)이 돌기부(513)의 앞끝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통로(514)를 통해 구멍(511b)에 이르는 내용물의 유통로가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주출구(508)의 플랜지(512)에는 가늘고 긴 통로부재(515)가 일체로 방사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바, 이 통로부재(515)는 플랜지(512)의 연장면상에 설치된 제1평평면부(515a)와 그의 대략 중앙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리브(515b) 및 그 끝이 상기 제1평면부(515a)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된 제2평면부(515c)로 이루어져 대략 H자형상 단면을 이루도록 된 것으로써, 이들 제1평면부(515a)와 제2평면부(515c)사이에 내부백(503)으로부터 원통형상부(511)의 구멍(511b)을 향하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제35도(A),제35도(B) 및 제3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출구(508)의 원통형상부(511)가 카톤(502)의 측면부(502b)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으로부터 돌출되어, 플랜지(512)가 카톤(502)의 내면에 붙여져 있는 내부백(503)의내면에 접착되게 되면, 주출구(508)가 부착시켜짐과 동시에 상기 통로부재(515)가 카톤(502)의 측면부(202b)를 따라 위치시켜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통로부재(515)가 단면이 H자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백(503)내의 내용물(504)이 뽑아내어짐에 따라 내부백(503)의 가동부분이 측면부(502b)로 이동해 왔을 때 통로부재(515)의 제2평면부(515c)에서 내부백(503)이 지지될 수 있게 됨으로써 주출구(508)의 구멍(511b)으로 향하는 유통로가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7도 및 제38도에서의 주출구(508)에는 통로부재(515)로부터 구멍(511b)으로 향하는 유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간격을 두고 돌기(516)가 형성되어 있기도 하다. 한편, 본 제6 실시예에서는 주출구(508)에 1개의 통로부재(515)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통로부재를 설치해도 좋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주출구(508)의 캡(509)은 주출구(508)를 막을 수 있기만 하다면 어떤 것이라도 좋은바, 본 실시예에서는 제39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간단한 구조로 된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에 한하지 않고 주출구(508)의 구멍(511b)내로 삽입되어 구멍(511)을 막게 되는 플럭을 갖춘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여기서, 상기 주출구(508) 및 캡(509)는 통상적으로 합성수지를 성형해서 만들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BIC(501)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40도(A)및 제40도(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지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해서 카톤을 이루는 판지절단체(502')를 준비함과 더불어, 필름을 통형상으로 말아 붙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해서 통형상 필름(503')를 준비한다(이는 다음공정에서 상하단이 밀봉되어 내부에 백을 이루게 된다). 한편, 이러한 통형상 필름(503')으로서는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형상으로 말아 붙이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2매의 필름을 겹쳐 그 양끝을 밀봉해서 원통형상으로 만든 것을 써도 된다.
다음, 상기 판지절단체(502')의 판지면 영역(502b', 502c'; 이는 카톤(502)의 측면부(502b, 502c)로 되는 영역)에다 에멀죤과 같은 풀(520)을 바르게 되는데, 이 풀(520)이 발려지는 것은 판지절단체(502')가 화살표방향으로 반송되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풀(520)이 도시된 것과 같이 직선상으로 발려지게 된다. 또, 통형상 접착부(502g')의 배면에도 풀이 발려지게 된다.
이어, 상기 판지절단체(502')에 풀(520)로 통형상 필름(503')가 붙여지게 되는데, 이 상태가 제41도(A)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또, 상기 판지절단체(502')의 판지면 영역(502a', 502d')을 제41도(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어 겹쳐지게 해서 통형상으로 붙이게 되는바, 이렇게 해서 조립되기 전의 편평형태의 BIC(501')가 만들어지게 된다.
다음, 상기 편평한 BIC(501')가 조립 및 충전공정으로 보내져, 여기서 제42도 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기둥형상으로 일으켜 세워져 주출구부착용 구멍이 뚫려진 다음 주출구(508)가 부착되게 된다. 여기서, 주출구(508)의 부착은, 주출구(508)의 원통형상부(511)가 통형상 필름(503')의 안쪽으로부터 주출구부착용 구멍으로 삽입된 다음, 플랜지(512)가 통형상 필름(503')의 내면에, 예컨대 초음파밀봉 방법으로 접착시켜지게 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주출구(508)가 부착된 다음에는 통형상 필름(503')의 하단이 밀봉되고 나서 판지절단체(502')의 바닥부가 조립된 후, 통형상 필름(503')의 상단이 밀봉되고 나서 판지절단체(502')의 상부가 조립되면 제3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카톤(502) 내부에 내부백(503)이 수납된 BIC(501)이 만들어지게 된다.
한편, 이들 공정은 종래 행해지고 있던 BIC제조기술이 적용되어 실시되기 때문에 제조설비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마지막으로 주출구(508)로부터 내부백(503) 내의 공기를 뽑아낸 다음 잉크와 같은 내용물(504)을 충전시키면 제35도(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로 된다.
내용물(504)이 충만된 BIC(501)를 사용할 때는, 제3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BIC(501)을 거의 바로세워진 상태로 인쇄기와 같은 기계에다 세트시켜놓고서 주출구(508)에다 기계 쪽에 설치된 흡인장치의 연결구와 접속되도록 해서 주출구(508)로부터 내용물을 흡인하게 된다. 이때, 내부백(503)의 대각선(X-X)에 대해 주출구쪽과 반대되는 쪽 약 1/2부분이 카톤(502)의 내면에 구속되지 않은 가동부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흡출됨에 따라 이 가동부분이 제35도(B)에 2점쇄선(522a, 522b, 522c)으로 나타내어진 것과 같이 차례로 변형되어져, 내부백 내에 공기를 들여보내지 않고서도 내용물이 뽑아내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내부백(503)의 가동부분이 카톤의 내면에 붙어 있는 약 1/2부분인 고정부분 내로 끌려들어간 상태로 되어 거의 전부의 내용물 거의 전부가 뽑아내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백(503)의 가동부분이 내부백(503)의 약 1/2정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가동부분이 카톤의 내면에 구속된 고정부분 속으로 끌어들여졌을때, 내용물이 뽑아내어지기 시작하자마자 곧 가동부분의 일부가 주출구(508) 근방의 고정부분에 밀착되어 내용물을 막아 내부에 잔류하는 일이 거의 없게 된다. 또, 주출구(508)가 내부백(503)의 고정부분 꼭대기 근방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백(503)의 가동부분이 상기 주출구(508)가 있는 곳까지 이동해오는 것이 아주 느려지기 때문에 내용물의 거의 전부가 뽑아내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주출구(508)는, 원통형상 돌기부(513)가 내부백(503)내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고, 또 통로부재(515)가 일체로 갖춰져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뽑아내어짐에 따라 이동해온 내부백(503)이 이들 돌기부(513) 및 통로부재(515)에 지지되어 액체의 배출통로가 확보될 수 있게 됨으로써, 내용물 거의 대부분이 한층 더 양호하게 뽑아내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내용물을 뽑아낼 때 BIC(501)를 직립된 상태로 기계에다 세트시키고서 측면부(502b)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주출구(508)로부터 내용물을 흡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BIC(501)로부터 내용물을 뽑아내는 것은 이러한 상태에서 행해지도록 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BIC(501)가 세트시켜지는 기계에 대응해서 적의 변경시킬 수도 있다. 즉, 예컨대 주출구(508)를 아래로 향하게 해서 기계에다 세트시켜 내용물이 흡출되도록 하여도 되는바, 이 경우에는 주출구(508)의 부착위치가 도시된 것과 같이 측면부(502b)의 반드시 하단부에 설치될 필요는 없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출구(508)가 카톤(502)의 측면부(502b, 502c)에 부착된 구조를 한 BIC(501)에 쓰여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주출구가 부착될 대상으로 되는 BIC의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적의 변경할 수도 있으며, 또 BIC에 한정되지 않고 백의 내부에 백이 내장된 2중백 구조의 BIB에다 적용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6 실시예의 BIC에 쓰여지는 주출구는, 통로부재가 일체로 갖춰져 있기 때문에 1회의 성형공정으로 주출구와 통로부재를 동시에 성형할 수가 있어서, 종래와 같이 주출구와 통로부재를 별개로 제조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비용이 저렴해지게 되고, 또 백에다 부착시킬 때 단지 주출구를 백에다 부착시키기만 하면 통로부재가 소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할 수가 있게 되어 부착하는 작업이 쉬워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할 때에는 통로부재가 항상 주출구의 액체를 뽑아내기 위한 구멍에 대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게 되므로, 주출구로부터 내부백의 내용물을 흡인함으로써 내부백의 일부가 통로부재 쪽으로 이동해올 때 통로부재에 내부백이 지지되어 내부백 내의 액체가 원통형상부의 구멍으로 유도되는 유통로가 확보될 수 있게 되고, 내부백 내의 내용물이 양호하게 뽑아내어지게 되어 잔량이 적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제7 실시예)
다음에는 제43도∼제45도를 가지고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43도, 제44도 및 제45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BIC에 관한 판지절단체의 개략단면도 및 BIC의 개략사시도이다.
먼저, 제4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판지절단체(602')를 준비한 다음, 각 판지면 영역(602a', 602b', 602c', 602d', 602g')의 상부 1/2부분에 에멀죤과 같은 풀(609)을 바르고, 이 풀이 발려진 부분에다 통형상 필름(3'; 제3도(B) 참조)을 붙여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판지절단체(602')는 BIC의 상자형상 카톤(2)이 되고, 통형상 필름(3')은 BIC의 가요성 내부백(3)으로 된다. 여기서, 주출구(5)의 부착위치는 제43도에 참조부호 610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렇게 제43도에 도시된 판지절단체(602')로 만들어지는 BIC는 내부백(3)이 4개의 판지면 영역(602a', 602b', 602C', 602d')의 각 1/2부분에 붙여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백(3)의 가동부분이 고정부분 쪽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 예컨대 내부백(3)이 3개의 판지면 영역(602a', 602c', 602d')에만 붙여지도록 되어 있는 경우라면, 이들 판지면 영역(602a', 602c', 602d')의 붙여지지 않은 나머지 부분과 전혀 붙여지지 않은 판지면 영역(602b') 쪽의 내부백(3) 전체가 가동 부분으로 되고서, 이 전혀 붙여지지 않은 판지면 영역(602b')이 주출구를 막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다음에는 제44도 및 제45도를 가지고 본 제7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44도 및 제4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BIC(651)는 상자형상의 카톤(652)과, 이 카톤(652)의 내부에 수납되는 가요성을 가진 내부백(3)으로 이루어지고서, 카톤(652)이 각기 평탄한 직사각형인 6개의 면, 즉 4개의 측면부(652a, 652b, 652c, 652d,)와 2개의 끝면부(652e, 652f)를 가진 장방형 입방체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내부백(3)은 카톤(652)의 내면에 대해 일부가 붙여져 움직이지 못하게 구속되도록 되어 있는바, 내부백(3)의 구속부분은 참조부호 656으로 나타내어진 것과 같이, 면(652b)의 전체영역과 면(652c)의 사다리꼴부분 및 면(652a)의 전체 영역으로 되어 있다. 즉, 제4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톤(652)은 판지절단체(652')가 조립되어 만들어지도록 구성되고서, 이 판지절단체(652')에 여러 판지면 영역(652a', 652b', 652c', 652d', 652e', 652f') 및 통형성 접합부(652g')가 갖춰지도록 되어 있는바, 그중 영역(652a')의 거의 전 영역과, 영역(652c')의 사다리꼴부분및 통형성 접합부(652g')에 내부백(3)을 구속하기 위한 풀(670)이 발려지게 됨으로 써, 내부백(3)이 면(652b)의 전체 영역과 면(652a)의 전체 영역에서 구속되게 된다. 한편, 제44도 및 제45도에 있어서 주출구(658)가 영역(652b')의 주출구 부착위치 (660)에 부착되고, 또 주출구(658)에는 통로부재(665)가 장착되어 있다. 참조부호 690은 내부백의 고정부분과 가동부분 사이의 경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제44도 및 제4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부백(3)이 통형성 접합부(652g')의 2개 지점에서 풀(670)로 붙여져 면(652a)의 전체 영역에 의해 구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부백(3)이 면(652a)의 전체 영역에서 구속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BIC를 조립할 때 카톤(652) 뿐만 아니라 내부백(3)도 직각입방체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그 때문에 주출구(658)를 부착시킬 때 내부백(3)이 느슨해져 부착작업에 지장이 생기는 일이 없게 된다. 또, 내용물을 흡출할 때 통형성 접합부(652g')의 2개 지점인 부착부분이 떨어지게 되어 내부백(3)의 가동부분이 원활하게 주출구(658) 쪽으로 이 동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밀폐된 상자형 카톤(2, 22, 122, 202, 302, 402, 502, 652)과, 이 카톤(2 ‥· )의 내면에 설치되어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하는 가요성을 가진 내부백(3, 23, 123, 203, 303, 403, 503) 및, 이 내부백(3 ‥· )을 관통해서 상기 카톤(2 ··· )에 고정되게 부착된 주출구(5, 25, 125, 205, 305, 405, 505)를 갖추어 이루어진 카톤형 액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백(3 ‥· )이 상기 카톤(2 ··· )의 내면 중 상기 주출구(5 ··· )가 위치한 면 및 이 주출구(5 ‥· )가 위치한 면에 인접하는 한쪽 면 또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에 붙여지되,내부백(3 ‥· )이 카톤(2 ··· )의 내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분의 면적이 이 고정부분 이외의 고정되지 않는 가동 부분의 면적보다 커지도록, 이들 고정부분과 가동부분의 경계선이 주출구(5 ··· )가 위치한 쪽에서 더 멀리 떨어지게 붙여짐으로써, 상기 내부백(3 ‥·· )내의 내용물이 뽑아져 상기 가동부분이 상기 고정부분 내로 끌어들여지게 되면 상기 주출구(5 ‥· )의 근방에서 상기 고정부분과 가동부분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백이 수납된 카톤형 액체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백(3)이 상기 카톤(2)의 내면에 부착되는 면 중 상기 주출구(5)가 부착되는 면에 인접하는 2개의 마주보는 면에 대략 직4 각형상으로 붙여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백이 수납된 카톤형 액체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백(3)이 상기 카톤(2)의 내면에 부착되는 면 중 상기 주출구(5)가 부착되는 면에 인접하는 2개의 마주보는 면에 대략 3각 형상으로 붙여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백이 수납된 카톤형 액체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백(123)이 상기 카톤(122)의 주출구(125)가 위치한 면과 이 주출구(125)가 위치한 면에 마주보는 면의 중심선을 따라 소정의 폭을 갖고서 뻗은 띠형상영역(127a, 127b)에 붙여져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백이 수납된 카톤형 액체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125)가 상기 카톤(122) 내면의 상기 띠형상영역(127a)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백이 수납된 카톤형 액체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방체형 카톤(302)의 6개 측면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면 사이에 경사면(302g)이 형성되고서 이 경사면(302g)에 주출구(305)가 부착되는 한편, 이 주출구(305)가 부착된 쪽 부분에 상기 내부백(303)이 부착되어 고정시켜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백이 수납된 카톤형 액체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405)가 상기 입방체형 카톤(402)의 6개 측면중 1개의 측면 한쪽 끝 부분에 부착되는 한편, 이 주출구(405)의 근방으로서 적어도 이 주출구(405)가 부착된 면과 인접한 1개의 면에는 상기 주출구(405)가 부착된 면의 끝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게 되는 측면플랩(402g, 402f)이 부착되어, 이 측면플랩(402g, 402h)의 내면에 상기 내부백(403)이 붙여져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백이 수납된 카톤형 액체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백(403)이, 상기 주출구(405)가 부착되는 면 및 상기 주출구(405)가 부착되는 면에 인접하는 면 중 상기 측면플랩(402g, 402h)이 부착되는 면을 포함하지 않은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에 붙여져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백이 수납된 카톤형 액체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백(403)이 상기 주출구(405)가 부착되지 않은 2개의 면에, 상기 주출구(405)가 부착되는 면쪽의 가장자리를 밑변으로 하고 대략 중앙부를 윗변으로 하는 사다리꼴부분에서 붙여져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백이 수납된 카톤형 액체용기.
KR1019930022586A 1992-10-28 1993-10-28 내부에백이수납된카톤형액체용기 KR100363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12987 1992-10-28
JP31298792 1992-10-28
JP93-82685 1993-03-17
JP08268393A JP3173913B2 (ja) 1993-03-17 1993-03-17 バッグインカートン
JP08268693A JP3177057B2 (ja) 1993-03-17 1993-03-17 バッグインカートン
JP93-82684 1993-03-17
JP08268493A JP3177055B2 (ja) 1993-03-17 1993-03-17 通路部材を備えた注出口
JP08268593A JP3177056B2 (ja) 1993-03-17 1993-03-17 バッグインカートン
JP93-82686 1993-03-17
JP93-82683 1993-03-17
JP18000393A JP3288141B2 (ja) 1993-06-25 1993-06-25 バッグインカートン
JP93-180003 1993-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3631B1 true KR100363631B1 (ko) 2003-07-07

Family

ID=2755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2586A KR100363631B1 (ko) 1992-10-28 1993-10-28 내부에백이수납된카톤형액체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5433345A (ko)
EP (3) EP0867380B1 (ko)
KR (1) KR100363631B1 (ko)
AU (2) AU676852B2 (ko)
CA (1) CA2109374C (ko)
DE (3) DE69333767T2 (ko)
DK (3) DK0598255T3 (ko)
HK (1) HK10110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75151B2 (en) * 1991-03-25 1997-01-23 Kabushiki Kaisha The Box Folding airtight container
GB9415948D0 (en) * 1994-08-06 1994-09-28 Smith David S Packagi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serts for containers
US6228011B1 (en) * 1995-02-15 2001-05-08 Riso Kagaku Corporation Bag-in-carton and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the bag-in-carton
US5829637A (en) * 1995-02-15 1998-11-03 Riso Kagaku Corporation Bag-in-carton and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the bag-in-carton
JP3596933B2 (ja) * 1995-03-27 2004-12-02 東北リコー株式会社 バッグインカートンおよびカートンブランク体
JP3806833B2 (ja) * 2000-12-06 2006-08-09 株式会社尾崎スクリーン 転写シート
US5788120A (en) * 1996-11-14 1998-08-04 Europex Systems, Inc. Spout for a frozen dessert bag
US5934345A (en) * 1998-01-06 1999-08-10 Nalco Chemical Company Outlet fitting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aining a material and draining and filling the same
US6089406A (en) * 1999-06-01 2000-07-18 Server Products Packaged food warmer and dispenser
EP1196335B1 (en) 1999-06-28 2004-03-03 Ronald Archibald Jones Flexible packaging bag and support unit
JP2001199455A (ja) * 2000-01-19 2001-07-24 Riso Kagaku Corp 液体収容容器
US6854710B2 (en) * 2001-10-25 2005-02-15 Illinois Tool Works Inc. Valve assembly
DE20204830U1 (de) * 2002-03-27 2002-09-26 Bischof Und Klein Gmbh & Co Kg Innenverpackung für Außenbehälter
US7077309B2 (en) * 2002-07-24 2006-07-18 J & M Coffee Container Company, Inc. Beverage container
US20040180770A1 (en) * 2003-03-11 2004-09-16 Cook Matthew R. Machine for and method of securing a lining bag at precise locations on the inner surface of a container blank
EP1842791A1 (en) * 2006-04-06 2007-10-10 Amka Tap and liquid dispenser for a bag-in-box
DE102006058372A1 (de) * 2006-12-08 2008-06-12 Drw Ag Gebinde zur Aufnahme von Anstrichmitteln
US8474655B2 (en) * 2008-05-12 2013-07-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ag-in-box container including a pre-positioned, secured dispensing spout
US20090283541A1 (en) * 2008-05-14 2009-11-19 Sealed Air Corpor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pumpable products
US8038039B2 (en) * 2008-05-19 2011-10-18 Millercoors, Llc Regulated fluid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of dispensing a carbonated beverage
US7984845B2 (en) * 2008-05-19 2011-07-26 Millercoors, Llc Regulated fluid dispensing system packaging
US8052012B2 (en) 2008-05-19 2011-11-08 Millercoors, Llc Regulated fluid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of dispensing a carbonated beverage
US8191740B2 (en) * 2008-05-19 2012-06-05 Millercoors, Llc Modular constructed regulated fluid dispensing device
EP2251452B1 (en) 2009-05-13 2018-07-18 SiO2 Medical Products, Inc. Pecvd apparatus for vessel coating
WO2013170052A1 (en) 2012-05-09 2013-11-14 Sio2 Medical Products, Inc. Saccharide protective coating for pharmaceutical package
US9458536B2 (en) 2009-07-02 2016-10-04 Sio2 Medical Products, Inc. PECVD coating methods for capped syringes, cartridges and other articles
US11624115B2 (en) 2010-05-12 2023-04-11 Sio2 Medical Products, Inc. Syringe with PECVD lubrication
US9878101B2 (en) 2010-11-12 2018-01-30 Sio2 Medical Products, Inc. Cyclic olefin polymer vessels and vessel coating methods
US9272095B2 (en) 2011-04-01 2016-03-01 Sio2 Medical Products, Inc. Vessels, contact surfaces, and coating and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s
US20130092706A1 (en) * 2011-10-14 2013-04-18 Grayling Industries, Inc Pressurized liner
EP2776603B1 (en) 2011-11-11 2019-03-06 SiO2 Medical Products, Inc. PASSIVATION, pH PROTECTIVE OR LUBRICITY COATING FOR PHARMACEUTICAL PACKAGE, COATING PROCESS AND APPARATUS
US11116695B2 (en) 2011-11-11 2021-09-14 Sio2 Medical Products, Inc. Blood sample collection tube
CA2872616C (en) 2012-05-17 2018-03-06 Evergreen Packaging, Inc. Container with high moisture barrier properties and a reclosable pour spout
CN104854257B (zh) 2012-11-01 2018-04-13 Sio2医药产品公司 涂层检查方法
EP2920567B1 (en) 2012-11-16 2020-08-19 SiO2 Medical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apid barrier coating integrity characteristics
US9764093B2 (en) 2012-11-30 2017-09-19 Sio2 Medical Products, Inc. Controlling the uniformity of PECVD deposition
EP2925903B1 (en) 2012-11-30 2022-04-13 Si02 Medical Products, Inc. Controlling the uniformity of pecvd deposition on medical syringes, cartridges, and the like
WO2014134577A1 (en) 2013-03-01 2014-09-04 Sio2 Medical Products, Inc. Plasma or cvd pre-treatment for lubricated pharmaceutical package, coating process and apparatus
KR102336796B1 (ko) 2013-03-11 2021-12-10 에스아이오2 메디컬 프로덕츠, 인크. 코팅된 패키징
US9937099B2 (en) 2013-03-11 2018-04-10 Sio2 Medical Products, Inc. Trilayer coated pharmaceutical packaging with low oxygen transmission rate
WO2014144926A1 (en) 2013-03-15 2014-09-18 Sio2 Medical Products, Inc. Coating method
USD723857S1 (en) * 2013-05-15 2015-03-10 S&R Designs, LLC Dispenser for beverage in bag
WO2015148448A1 (en) * 2014-03-24 2015-10-01 Sio2 Medical Products, Inc. Packaging for high purity solvents
EP3122917B1 (en) 2014-03-28 2020-05-06 SiO2 Medical Products, Inc. Antistatic coatings for plastic vessels
USD785448S1 (en) 2015-02-27 2017-05-02 Lbp Manufacturing Llc Beverage container
SG11201706769UA (en) 2015-02-27 2017-09-28 Lbp Mfg Llc Beverage container
USD772054S1 (en) 2015-03-30 2016-11-22 Lbp Manufacturing Llc Beverage container
JP2018523538A (ja) 2015-08-18 2018-08-23 エスアイオーツー・メディカル・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低酸素透過速度を有する薬剤包装及び他の包装
ES2772935T3 (es) * 2016-05-12 2020-07-08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Contenedor de material de construcción
USD813585S1 (en) * 2016-07-12 2018-03-27 Brian Roberts Beverage bladder container
USD826618S1 (en) * 2016-10-31 2018-08-28 Charles Christopher Hare Beverage dispenser
USD827353S1 (en) * 2016-10-31 2018-09-04 Charles Christopher Hare Beverage dispenser
US10960675B2 (en) 2017-05-31 2021-03-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upply retainers with retention clips
USD886503S1 (en) * 2018-03-21 2020-06-09 Grohe Ag Cooler
US10919680B1 (en) 2018-10-08 2021-02-16 Packaging Corporation Of America Liquid beverage container
CN114728816A (zh) 2019-11-20 2022-07-08 利奎-保克斯公司 用于流体包装的过滤配件
WO2021207320A1 (en) * 2020-04-08 2021-10-14 Liqui-Box Corporation System for preventing blockage of evacuation of flexible packaging
FR3111601A1 (fr) * 2020-06-23 2021-12-24 Psa Automobiles Sa Reservoir souple de lave-glace comportant une bouche anti-blocage, systeme de reservoir et vehicule comportant un tel reservoir.
EP4067259A1 (en) * 2021-03-30 2022-10-05 Fameccanica.Data S.p.A. Eco-sustainable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33411A (en) * 1934-02-27 1938-10-18 Zohe Ludwig Alvine Baby nurser
US2052445A (en) * 1935-11-12 1936-08-25 Lee H Burns Dispensing device
CH328287A (de) * 1953-09-25 1958-02-28 Unilever Nv Faltschachtel mit Ausfütterung
US3081911A (en) * 1960-09-29 1963-03-19 Scholle Container Corp Drainage fitting for collapsible container
US3113712A (en) * 1960-11-14 1963-12-10 Bemis Bro Bag Co Transporting and dispensing container
US3138293A (en) * 1961-03-15 1964-06-23 Scholle Container Corp Paperboard dispensing container
US3137433A (en) * 1961-05-15 1964-06-16 Chemical Sales Inc Stable dispenser package
US3297226A (en) * 1964-06-09 1967-01-10 Scholle Container Corp Packaging
GB1104204A (en) * 1966-02-11 1968-02-21 Bowater Packaging Ltd Liquid containers
US3549050A (en) * 1966-05-10 1970-12-22 Sterigard Corp Pressurized dispenser having a valve extension
BE786405A (ko) * 1971-08-03 1973-01-18 Quepor Sa
US3876115A (en) * 1972-04-27 1975-04-08 Plant Ind Inc Double expansible bladder container
US3902652A (en) * 1972-06-26 1975-09-02 James A Malcolm Lined paperboard cartons particularly for reception of pouring spouts
DE3163709D1 (en) * 1980-02-22 1984-06-28 Dainippon Print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fabrication of a bag-in-box package
DE3122399A1 (de) * 1981-06-05 1983-07-21 Instafix AG, 6052 Hergiswil Zweikammer-druckpackung
FR2517634A3 (fr) * 1981-12-05 1983-06-10 Elbatainer Kunststoff Fermeture pour recipient en matiere synthetique a paroi mince
US4475670A (en) * 1982-07-09 1984-10-09 Rutter Christopher C Fluid dispenser
US4673112A (en) * 1983-06-03 1987-06-16 Vincent C. Bonerb Material handling bins with inflatable liners
DE3336269A1 (de) * 1983-10-05 1985-04-18 Carl Edelmann Gmbh, 7920 Heidenheim Innenbeutelpackung mit verschliessbarem ausgiessstutzen
AU573377B2 (en) * 1984-03-22 1988-06-02 Scholle Corporation Flexible container with improved fluid flow guide
US4601410A (en) * 1984-03-29 1986-07-22 Liqui-Box Corporation Collapsed bag with evacuation channel form unit
US4641765A (en) * 1984-10-05 1987-02-10 Diamond George B Expandable pressurized barrier container
ES2023857B3 (es) * 1985-11-19 1992-02-16 Carl Edelmann Verpackungstechnik Gmbh Depositos de transporte y de reserva para las bebidas o semejantes concentrados
KR930001695B1 (ko) * 1987-01-30 1993-03-11 기린 비루 가부시키가이샤 백인복스(bag in box) 및 백인복스용 포대
US4842165A (en) * 1987-08-28 1989-06-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silient squeeze bottle package for dispensing viscous products without belching
JP2708429B2 (ja) * 1987-09-02 1998-02-04 東北リコー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容器
DE3821919A1 (de) * 1988-06-29 1990-01-04 Zewathener Gmbh Systemverpacku Kollabierbarer behaelter fuer fluessigkeiten mit einem einstueckigen entnahmeelement
GB8920336D0 (en) * 1989-09-08 1989-10-25 Reed Packaging Ltd Carton and blank for making the same
JP2636439B2 (ja) * 1989-10-09 1997-07-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免疫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DE9000528U1 (de) * 1990-01-18 1990-03-22 Carl Edelmann Verpackungstechnik GmbH, 7920 Heidenheim Innenbeutelpackung
US5169037A (en) * 1990-01-26 1992-12-08 Ccl Industries Inc. Product bag for dispens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U641001B2 (en) * 1990-04-11 1993-09-09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Liquid container and mouth thereof
US5156295A (en) * 1991-01-28 1992-10-20 International Paper Company Bag lined carton with pour spout
DE69201399T2 (de) * 1991-03-19 1995-07-06 Toppan Printing Co Ltd Flüssigkeitsbehälter.
US5147071A (en) * 1991-04-09 1992-09-15 The Coca-Cola Company Collapsible bag with evacuation passagewa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DE4119922A1 (de) * 1991-06-17 1993-01-07 Gerd Kueppersbusch Tubenverpackung
US5187498A (en) * 1991-07-24 1993-02-16 Xerox Corporation Ink supply container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0598255T3 (da) 1999-06-14
AU676852B2 (en) 1997-03-27
US5769273A (en) 1998-06-23
DE69332695T2 (de) 2003-11-06
AU701422B2 (en) 1999-01-28
EP0867380B1 (en) 2003-02-12
EP0598255A3 (en) 1994-06-29
DK0867380T3 (da) 2003-06-02
HK1011007A1 (en) 1999-07-02
DE69332695D1 (de) 2003-03-20
AU5026993A (en) 1994-05-12
EP0598255B1 (en) 1998-09-16
EP1127807A1 (en) 2001-08-29
AU2364497A (en) 1997-08-28
US5551600A (en) 1996-09-03
EP0598255A2 (en) 1994-05-25
DE69321072D1 (de) 1998-10-22
DE69333767D1 (de) 2005-04-07
EP1127807B1 (en) 2005-03-02
DE69321072T2 (de) 1999-06-02
CA2109374A1 (en) 1994-04-29
CA2109374C (en) 2005-03-29
DK1127807T3 (da) 2005-04-04
DE69333767T2 (de) 2006-01-05
EP0867380A1 (en) 1998-09-30
US5433345A (en) 1995-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3631B1 (ko) 내부에백이수납된카톤형액체용기
KR101494928B1 (ko) 내측 포일 용기를 구비한 카드보드 패키징, 그의 제조를 위한 조립 카톤 유닛, 및 그러한 패키징 카톤의 제조 방법
US11299314B2 (en) Package sleeve,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ckage
US7886958B2 (en) Container having an automatically locking bottom and blanks for making the same
CA2067109A1 (en) Cardboard packaging for liquids
US20060169757A1 (en) Multi-ply collapsible bulk container
EP1750933B1 (en) Folded alcohol beverage bag and method
CA2602987A1 (en) Collapsible bulk bin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the same
CA2890780A1 (en) Folded-cap containers and method for making same
EP0320093A2 (en) Flat end closure arrangement for cartons
CN106113587B (zh) 折叠袋及其制造方法
JP3177055B2 (ja) 通路部材を備えた注出口
JP3285682B2 (ja) バッグインカートン
JP3177056B2 (ja) バッグインカートン
JP3173913B2 (ja) バッグインカートン
JPH06270963A (ja) バッグインカートン
JP2007022593A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の箱
CA3041231A1 (en) Polygonal container and blank for making the same
JP2024044559A (ja) スパウト付き包装容器
JP3640423B2 (ja) バッグインカートン
JP2020015528A (ja) 包装箱
JP3040290U (ja) 内袋つき包装箱
JPH08216300A (ja) バッグインカートンの製造方法
CA2882399A1 (en) Blank and box with muti-layer internal support
JPH08217143A (ja) バッグインカート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