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962B1 - 인화장치및인화방법 - Google Patents

인화장치및인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962B1
KR100340962B1 KR1019940010856A KR19940010856A KR100340962B1 KR 100340962 B1 KR100340962 B1 KR 100340962B1 KR 1019940010856 A KR1019940010856 A KR 1019940010856A KR 19940010856 A KR19940010856 A KR 19940010856A KR 100340962 B1 KR100340962 B1 KR 100340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bon
gear
cam
cord r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이야스지
마에카와도모히로
가모다히토시
이이마신
븐야다카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9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36Alarms, indicators, or feed-disabling devices responsible to material breakage or exhaus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32Detachable carriers or holders f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mechanism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리본코드링의 읽기시에 잉크리본이 감겨지게 되고, 또한 리본코드링회전을 위한 전용의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인화헤드를 이동동작시키는 모터를 이용하여 리본코드링을 회전동작시킬 수 있는 프린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화동작중 리본도어가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하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는 리본카세트의 한측의 잉크리본의 감기축에 회전자재로 부착된 리본코드링과 이 리본코드링의 정보마크를 읽는 센서를 갖춘 프린터에 있어서, 리본코드링은 인화헤드를 이동동작하는 캠기어의 회전동작에 연동하고, 회전전달수단을 거쳐서 회전동작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린터는 리본코드링의 읽기시, 인화헤드는 초기위치에 정지하고 있고, 이 상태에 있어서 캠기어를 역전동작시키는 것으로 인화헤드는 초기위치대로 움직이지않고, 캠기어의 회전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전달수단이 리본코드링에 맞물리고, 이것에 의해 회전하는 리본코드링의 정보마크를 센서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화장치 및 인화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비디오화상등과 같은 기록화상을 하드카피로서칼라사진형태로 인화하는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히 승화형 열전자식 칼라비디오 프린터용 잉크리본 코드독출기구에 관한 것이다.
칼라비디오 프린터 내의 리본카세트에 저장된 종래의 잉크리본용 리본코드독출 기구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3종류의 리본코드독출기구를 포함한다.
a. 리본카세트의 잉크리본공급스풀의 축에 부착된 리본코드링을 잉크리본 헤드조사시에 잉크리본을 감으면서 잉크리본공급스풀을 회전시키고 센서에 기어를 회전시키고 센서에 의해 리본코드링의 정보마크를 검출하는 리본코드독출기구.
b. 리본코드링을 독출하는데 전용모터가 사용되고, 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진자 기어가 회전되고, 센서에 의해 리본코드가 독출되는 리본코드 독출기구.
c. 인화헤드의 이동동작시에 이 동작과 연동하는 기어로 리본코드링을 회전시키고 센서로 읽는 리본코드독출기구. 일반적인 이 유형의 리본코드독출기구는 미국 특허 번호 5,290,114에 나타나 있다.
리본코드독출기구(a)에서, 잉크리본의 길이가 리본링을 회전시키는 양만큼 길게 필요하게 되고 더구나 리본코드의 읽기의 신뢰성을 올리는 경우에 리본코드링을 회전시키고자 하는 때는 그 만큼 잉크리본이 길게되어 버린다. 또한, 잉크리본의 감기시작과 감기종료에서 리본코드링의 회전수가 변화하고 따라서 이를 위한 검출 정보가 복잡하게 되고 신뢰성이 저하한다.
리본코드독출기구(b)에서, 리본코드링을 회전하는 전용의 모터를 필요로 한다. 모터의 초기화를 위한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프린터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어렵고 프린터의 비용이 증가한다.
리본코드독출기구(c)에서, 리본코드링을 회전시키는 때에 이것에 연동하여 인화헤드가 아래로 이동하기 때문에 잉크리본은 느슨해지고 이완된다. 잉크리본의 이완된 상태에서는 잉크리본을 인화지에서 쉽게 제거할 수 없다. 잉크리본에서 이완을 제거하는 조작은 시간을 요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리본코드링의 독출시에 잉크리본이 감겨지지 않고, 또한 리본코드링회전을 위한 전용의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인화헤드를 이동동작시키는 모터를 이용하여 리본코드링을 회전동작시킬 수 있는 프린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비디오 프린터에서 또 다른 문제는 리본카세트를 프린터에 삽입하거나 꺼내는 리본도어에 있다. 종래의 비디오 프린터는 리본카세트를 미리 정해진 위 치에 유지하는 카세트홀더와 카세트홀더를 닫는 락부재(lock member)가 없는 리본 도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에서, 리본도어는 인화중 임의로 열릴수 있다. 프린터리본 및 다른 프린터소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몇몇 종래의 프린터는 리본도어가 열릴때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리본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스위치의 출력에 따라 자동적으로 인화동작을 정지시키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장치의 리본도어가 인화중 임의로 열리면, 인화가 정지되면 현재인화의 질은 감소된다. 한편, 인화동작이 리본도어가 열린상태에서 정지하지 않으면, 프린터소자의 손상도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화동작중 리본도어가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하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는 리본카세트의 한측의 잉크리본의 감기측에 회전자재로 부착된 리본코드링과 이 리본코드링의 정보마크를 읽는 센서를 갖춘 프린터에 있어서, 리본코드링은 인화헤드를 이동동작하는 캠기어의 회전동작에 연동하고, 모터를 거쳐서 회전동작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설치된 프린터에 있어서, 리본코드링이 독출될 때, 인화헤드는 초기위치에 정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캠기어를 역회전 시킴으로서, 인화헤드는 초기위치에 유지된다. 캠기어의 회전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가 리본 코드링에 맞물리고, 이것에 의해 회전하는 리본코드링의 정보마크를 센서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본카세트의 하나의 잉크리본 감기축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리본코드링과 리본코드링상에 정보마크를 독출하는 센서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는 인화헤드를 움직이는 캠기어의 회전에 관계되는 모터를 통하여 리본코드링이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리본코드링이 모터와 인화헤드를 움직이기 위해 동작되는 캠기어에 의해 회전되기때문에 리본코드링을 회전하기 위한 전용의 모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프린터에서 공간은 감소되고 프린터의 비용은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의 실시예를 승화형 열전사식의 비디오 프린터를 예로 들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의 비디오 프린터의 전체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도는 부호(A)는 비디오 프린터(이하, 간단히 프린터라고 한다)의 전체를 나타낸다. 프린터(A)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상부케이스(701)와 하부케이스(702)로 구성된 하우징(housing)을 갖는다. 프린터(A)의 측부의 뒤측에는 후술하는 잉크리본카세트(이하, 리본카세트라고 한다)를 프린터(A)에 내장하는 잉크리본도어 (420)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A)의 전면측에는 급지트레이(200), 인화지의 배지구(703), 비디오신호의 입력단자(704), 전원스위치(705), 인화할 화면을 결정하고 인화매수등을 지정하는 각종 스위치들(706)이 설치되어 있다.
급지트레이(200)는 하부케이스(702)의 인화지도어(702a)와 상부케이스(701)의 배지 커버(701b)를 개방함으로써 삽입하고 꺼낼 수 있다.
제 2,3,4,5도는 프린터(A)의 절단부의 다른 측단면도이다. U자형으로 구부러진 샤시(401)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판(404)은 샤시(401)의 상부 개구부에 고정되고, 브라켓(100), 배면브라켓(301)이 그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도면에서, 샤시(401)의 측면개구부(401a)를 통하여 리본카세트가 수용되고, 상술한 급지트레이(200)는 정면 개구부(401b)를 통하여 착탈자재로 장착된다.
이 급지트레이(200)의 저면의 장방형 간극으로 급지판(201)과 좌우한쌍의 압착기(pressers)(203)의 핑거(201a,203a)가 삽입된다. 후술하는 캠에 의해 회전되는 급지암(204)(제 4도참조)에 의해 급지판(201) 및 한쌍의 압착기(203)는 회전한다. 각각의 핑거(201a,203a)는 급지트레이(200)내의 인화지(202)의 단부를 급지롤러(21 3)에서 압착하기 위한 지점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급지트레이(200)는 레일(도시생략)에 의해 가이드되어 프린터내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장착된다.
급지동작중은 후술하는 캠의 동작에 의해 체결핑거(lock finger)(209)가 회전하지만, 체결핑거(209)는 급지트레이(200)의 간극(200a)과 결합되어 급지트레이 (200)가 뽑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프린터(A)는 리본카세트(1)내의 잉크리본의 헤드찾기나 인화동작중에 잉크리본의 감기와 재감기 동작을 행하는 DC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잉크리본기구와 트레이(200)내의 인화지를 인화위치로 송급하고 인화처리된 인화지를 배지구(703)에서 취출하는 동작을 행하는 스테핑모터를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인화지급배기구와 라인형의 서멀헤드에 의한 인화처리를 행하는 직류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헤드기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잉크리본기구, 인하지급배기구 및 헤드기구을 계속하여 설명한다.
제 6도 ∼ 제 8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는 리본카세트(1)를 상세히 설명한다. 리본카세트(1)의 카세트본체(2)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하부케이스(3)와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그 중앙부에서 사각형개구를 가지는 상부케이스(4)와 이 개구부(4a)를 통하여 잉크리본(10)중 사용될 잉크리본(10a)을 노출시키는 케이스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하부케이스(3)와 상부케이스(4)로 형성되는 한쌍의 베어링부(5a ,5b)에는 미사용의 잉크리본(l0b)이 감겨져 있는 공급스풀(13)의 일단부(15) 및 축단(17)을 회전자재로 지지하고 있고, 다른 한쌍의 베어링부(6a,6b)는 사용완료의 잉크리본(10c)을 감는 감기스풀(14)의 일단부(16) 및 축단(18)을 회전자재로 지지하고 있다.
상기 공급스풀(13) 및 감기스풀(14)은 각 압축코일스프링(7,8)에 의해 한측의 각 베어링부(5a,6b)측으로 각각 밀려지고 있다. 코드링(21)이 공급스풀(13)과 동축으로 공급스풀(13)에는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코드링(21)은 외주에 기어부(22)와 잉크리본(10)의 종류, 감도, 매수등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코드(23)를 가진다.
공급스풀(13)이 정지상태에 있더라도 코드링(21)은 리본카세트(1)측으로부터 기어부(22)를 구동함으로써 회전가능하다.
코드링(21)이 리본카세트(1)의 외측에서 힘을 받지 않으면, 공급스풀(13)과 코드링(21)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공급스풀(13)의 회전과 동일하게 회전한다. 잉크리본(10)은 폭전체에 걸쳐 연장하는 헤드마크(11)로 인쇄되고, 헤드마크(11)는 잉크리본(10)이 인화시 쓰기정보를 개시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잉크리본(10)이 다색잉크리본이면, 잉크리본(10)의 절반의 폭에 걸쳐 연장된 패치마크(12)로 인쇄되고, 패치마크(12)는 각 색의 잉크리본위치(10d)가 인쇄시 쓰기정보를 개시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잉크리본도어(420):
리본카세트(1)가 프린터에 착탈되는 부분을 제 9도 및 제 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입구가이드(426)가 개구부(401a)에 설치되고, 잉크리본도어(420)가 축(425)을 지점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입구가이드(426)에 부착되어 있다. 잉크리본도어(420)에는 체결핑거(421)가 설치된다. 체결핑거(421)는 리본도어홀더(422)의 간극(422a)과 결합함으로써 잉크리본도어(420)를 닫는다. 스프링(430)에 의해 핑거가 간극사이로 나오지 않도록 밀려지고 있다, 체결핑거(143)의 손잡이(421a)를 내리누름으로써 체결핑거(143)와 간극(422a)과의 결합은 풀리고 잉크리본도어(420)는 열려진다.
리본카세트(1)는 입구가이드(426)에 의해 안내되고 카세트수용부(405)(제 4도참조)에 장착된다. 상기 상태에서 잉크리본도어(420)를 닫으면, 체결핑거(421)에 의해 잉크리본도어(420)는 락되고, 잉크리본도어(420)의 이면측으로 돌출하는 스프링(424)에 의해 밀려지고 있는 리본압착기(423)에 의해 장착된 리본카세트(1)는 프린터내측 방향으로 밀려진다.
잉크리본도어(420)의 체결레버:
인화중에 리본카세트(1)의 배출을 금지하기 위하여 잉크리본도어(420)에 고정된 체결레버(lock lever)(332)가 후술하는 캠의 움직임에 의해 체결핑거(421)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체결핑거(421)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그러므로 인화중에 리본 카세트(1)를 이동하지 않게하여 잉크리본도어(420)를 열 수 없게한다.
잉크리본기구의 구동원으로서 직류모터에 의한 동작을 설명한다.
모터(101)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부분(제 5도참조)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모터(101)는 정역회전가능하고, 진자기어(107)의 움직임에 의해 정회전과 역회전으로 회전의 전달경로를 전환하고, 한편의 회전에 의해 테이크업릴대(111)(이하, 감기릴대(111)라고 한다)를 거쳐서 리본카세트(1)의 감기스풀(14)에 또 한편의 회전으로 인화지의 반송기구의 캠에 회전을 전달한다.
감기스풀(14)로의 회전전달:
모터(101)의 회전은 모터(101)의 축으로 가해진 웜대(103)를 통하여 웜(104)에 전달되고 2단기어(105), 2단기어(106)에 의해 감속된다. 마찰력은 진자기어 (107)와 진자기어암(108)사이에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2단기어(106)가 도면(5)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진자기어암(108)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진자기어(107)는 기어(109)에 맞물려지고, 기어(110)에 회전을 전달한다.(도 11참조) 기어(110)는 감기릴대(111)를 구성하고 기능을 제한하는 토크를 가지는 부품이다.
감기릴대(111)의 단면을 제 11도에 나타낸다. 기어(110)의 각 반대표면측에는 펠트(110a,110b)가 각각 인가되어 있고, 압력판(112)과 함께 속이 빈 축(111c)에 대해서 회전가능하다. 기어부(111a)와 리본카세트(1)의 감기스풀(14)사이의 토크전달부인 결합보스(111b)는 축(111c)으로 가해지므로 기어부(111a), 결합보스 (111b), 축(111c)은 서로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압력판(112)은 결합보스(111b)와 각각의 요철부에서 결합되고, 결합보스(111b)와 동방향으로 회전한다.
압축코일스프링(113)은 결합보스(111b)와 압력판(112)사이에 배치되고, 펠트 (110a)와 압력판(112), 펠트(110b)와 기어부(111a)에 압력을 주고,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기어(110)가 회전하면 마찰력에서 생긴 토크를 결합보스(111b)에 전달한다. 그러나, 마찰력에 의해 발생하는 토크이상의 토크가 발생되는 경우에, 펠트 (110a,110b)는 압력판(112)과 기어(11a)에 대해서 슬립(slip)이 생기기 때문에, 이러한 토크는 결합보스(111b)에 전달되지 않는다.
결합보스(111b)는 감기스풀(14)의 결합부슬리브(14a)의 슬리브에 맞물려진다. 감기스풀(14)이 결합보스(111b)의 톱니(111d)가 결합슬리브(14a)와 결합하도록 회전위치하면, 감기스풀(14)에 회전을 전달한다.
감기릴대(111)의 역회전 방지핑거의 설명:
기어(109)에는 핑거(114)가 기어부(111a)와 동일평면상에 회전자재로 설치된다. 핑거(114)에는 제 12도에 나타낸 것같이 펠트(114a)가 핑거(114)에 인가되고, 기어(109)에 대해서 유지된다. 압축코일스프링(115)은 핑거(114)를 밈으로써 펠트(114a)와 기어(109)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하므로, 기어(109)의 회전방향과 동방향으로 핑거(114)도 회전한다. 2단기어(106)가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진자기어(107)를 통하여 기어(109)는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핑거(114)도 동방향으로 회전한다. 핑거(114)는 브라켓(100)의 간극(100a)에 의해 불필요한 회전을 하지 않는다. 핑거(114)의 기능에 대하여는 뒤에 설명한다.
인화지위치로의 회전의 전달:
2단기어(106)가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진자기어암(108)은 2단기어(106)와 동방향으로 회전하여 진자기어(107)는 기어(116)와 맞물린다.
역회전방지핑거:
프린터의 진동이나 정전기등으로 감기스풀(14)이 역회전하여 리본에 이완이 생기기 시작하면, 감기릴대(111)도 역으로 회전하고, 기어(109)도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핑거(114)도 동일하게 기어(109)와 동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핑거(114)가 감기릴대(111)의 기어부(111a)와 결합하고 감기릴대(111)의 회전을 방지하고 잉크리본의 이완을 방지한다. (진자기어(107)가 기어(109)에 맞물려져 있을때 감기릴대(111)의 역회전은 각 기어에 전달되고 웜(104)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웜(174)은 단일 웜이기때문에 2단기어(105)의 회전에 의해 웜(104)은 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감기릴대(111)는 역으로 회전할 수 없고, 잉크리본의 이완도 생기지 않는다)
인화지위치로의 이동(계속):
기어(116)의 회전은 기어(117)를 통하여 기어(118)에 전달된다. 기어(118)에는 반사실(reflecting seal)(119)이 첩부되고, 반사실(119)과 관련하여 동작하는 2개의 광학식센서(120a, 120b)에 의해 회전위치를 감시하고 있다. 기어(118)와 센서(120a, 120b)의 관계가 제 13도에 도시되어 있다. 반사실(119)는 표면이 광의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판등으로 만들어져 있고, 2개소의 광의 반사율이 낮은 흑색부(119a,119b)가 인쇄되어 있다. 광센서(120a,120b)는 암으로서 암영역(black area)(119a, 119b)을 검출하고, 명으로서 알루미늄표면을 검출한다.
기어(118)는 진자기어(107)의 기능에 의해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고, 광센서(120a)와 광센서(120b)가 암영역과 명영역을 각각 검출한 위치에서 회전을 정지한다. 이 위치를 인화지위치(PO)(이하, PO라고 한다)로 부른다(제13a도 참조).
다음, 기어(118)를 120°회전하고 광센서(127a)와 광센서(120b)가 암영역과 명영역을 각각 검출한 위치에서 회전을 정지한다. 이 위치를 인화지위치(P1)(이하, P1라고 한다)로 부른다(제 13b도). 이어서, 기어(118)를 120°더 회전하고 양 광센서(120a)와 광센서(120b)가 암영역을 검출한 위치에서 회전을 정지한다. 이 위치를 인화지위치(P2)(이하, P2)라고 한다(제 13c도). 기어(118)가 또한 120°회전하면, 센서는 다시 PO위치를 검출한다. 그러므로, 기어(118)는 인화지위치 즉 PO, P1, P2, PO 등을 통해서 각 위치를 순환하고, 임의의 위치로 이동, 정지가 가능하다.
인화지위치의 캠과 상대부품의 이동:
제 14도에 나타낸 것같이 급지캠(416)과 한쌍의 릴리스캠(417)은 샤시(40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418)에 설치한다. (도 2참조) 기어(118)는 급지캠 (416)과 릴리스 캠(417)을 회전하기 위한 샤시(401)의 말단에 설치한다. 급지캠(416)은 압력판(205)을 각을 이루어 이동하는 캠면(416a)과 체결핑거(209)를 각을 이루어 이동하는 캠면(416b)을 갖는다.
급지캠(416)의 동작:
제 14도에 나타낸 것같이, 압력판(205)은 급지암(204)과 체결핑거(209)에 부착된 축(208)에 각을 이루어 이동하게 설치된다. 압력판(205)과 체결핑거(209)는 스프링(207)과 스프링(210)에 의해 급지캠(416)방향으로 밀려지고 있다. 급지암 (204)은 토션코일스프링(206)에 의해 압력판(205)에 가압되고 또한 상대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급지캠(416)의 캠면(416a)에 의해 압력판(205)이 각을 이루어 이동하고, 급지암(204)도 그것과 함께 각을 이루어 이동하면, 급지판(201)을 위로 가져가고 급지트레이(200)내의 인화지(202)를 급지롤러(213)에 접촉하게 된다.
압력판(205)이 회전하면, 급지암(204)의 움직임은 급지롤러(213)에 접촉하고 회전 불가능하게된 급지판(201)에 의해 규제된다. 압력판(205)과 급지암(204)은 서로 상대적으로 각을 이루어 움직이고, 토션코일스프링(206)을 탄력적으로 휘게하고 에너지를 저장한다. 토션코일스프링(206)의 스프링력에 의해 급지암(204)은 급지판 (201)에 압력을 가하고 인화지(202)를 급지롤러(213)에 압착한다.
체결핑거(209)는 급지캠(416)의 캠면(416b)과의 결합에 의해 회전한다. 체결핑거(209)가 캠면(416b)에서 개방된 때 체결핑거(209)는 급지트레이(200)의 구멍(200a)에 결합하여 급지트레이(200)가 뽑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릴리스캠(417)의 동작:
샤시(40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핀치롤러암(413)은 핀치롤러(41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므로, 스프링(414)에 의해 핀치롤러(411)를 캡스턴(capstan)(410)(제 3도 참조)에 압착한다. 릴리스캠(release cam)(417)의 움직임에 의해 핀치롤러암(413)이 회전하고 핀치롤러(411)의 캡스턴(410)과의 압착을 해제한다.
릴리스레버(release lever)(222)는 축(218)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스프링 (223)에 의해 릴리스캠(417)방향으로 밀려지고 있다. 릴리스레버(222)는 릴리스캠 (417)에 의해 회전되고, 분리롤러(21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판(215)을 스프링(217)를 통하여 회전시켜 분리롤러(214)를 급지롤러(212)에 압착하고, 급지롤러(212)의 축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스프링(220)에 의해 닫혀져 있는 셔터(221) (제 4도 참조)를 연다.
스프링(220)은 또한 급지롤러(213)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누름레버(219)를 민다.
가이드(211)에 의해 누름레버(219)의 대기위치를 결정하고 있다. 급지롤러 (212), 급지롤러(213), 분리롤러(214)의 구동처리등에 대하여 뒤에 상세히 설명한다.
인화지급배기구를 구동하는 스테핑모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테핑모터(102)는 제어회로에 의해 모터고유의 스텝각의 배수인 각도를 통해서 정역회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스테핑모터(102)는 후술한 급지캠(416)이나 릴리스캠(417)과의 협동에 의해 인화지(202)를 급지하고, 또한 후술하는 링크(149)등과의 협동에 의해 공급릴대(146)를 회전시킨다.
급지시스템:
스테핑모터(102)의 축으로 가해진 피니온(121)의 회전은 2단기어(122)에 의해 감속되어 기어풀리(123)에 전달된다. 기어풀리(123)에는 진자암(125)을 통하여 진자기어(124)가 연결되어 있다. 진자기어(124)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기어풀러(123)의 회전은 벨트(126)에 의해 기어풀리(127)에 전달된다. 기어풀리(127)는 인화지를 급지하는 캡스턴(410)을 회전시킨다. 캡스턴(410)은 샤시(401)에 베어링(도시생략)에 의해 회전자재로 지지되고 표면에 인화지와의 마찰계수가 크게 되도록 처리되는 홀더를 포함한다.
기어풀리(127)의 회전은 또한 기어(129), 기어(130)를 통하여 2단기어(132)에 전달된다. 2단기어(132)는 단면도를 제 15도에 나타내는 토크제한 기구를 가지는 급지리미터(131)를 구성하는 부품이다. 제 15도에 있어서, 2단기어(132)와 펠트(134a)가 인가된 압력판(134)은 기어(133)의 속이 빈 축(133a)에 설치한다. 축(133a)에 누름판(135)은 압입되고 기어(133)와 누름판(135)은 일체가 되어서 회전된다. 누름판(135)과 압력판(134)은 각각의 요철부 사이의 결합에 의해 동방향으로 회전한다.
압축코일스프링(136)은 압력판(134)과 누름판(135)의 사이에 배치되고, 2단기어(132)와 펠트(134a)에 압력을 주어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2단기어(132)가 회전하면 마찰력에 의해 발생된 토크가 기어(133)에 전달된다. 그러나, 이 마찰력에 의해 발생된 토크이상의 토크가 발생되는 경우에, 2단기어(132)가 펠트(134a)대해서 슬립이 생기기 때문에, 이러한 토크는 기어(133)에 전달될 수 없다.
제 5도에 나타낸 것같이, 2단기어(132)의 회전은 기어(137), 기어(139), 2단기어(140), 기어(141)에 전달된다. 기어(133)의 회전은 기어(138)에 전달된다. 기어(137)의 회전과 기어(138)의 회전과 2단기어(140)의 회전과 기어(141)의 회전은 급지 롤러(212)와 분리롤러(214)와 급지롤러(213)와 배지롤러(225)에 각각 회전을 전달한다.
급지롤러(212), 급지롤러(213), 배지롤러(225)는 베어링를 통하여 가이드 (2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분리롤러(214)는 베어링를 통하여 회전판 (21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잉크리본재감기:
프린터의 중심부가 되는 진자기어(124)의 동작에 대하여 제 24a도∼제 24d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진자기어(124)와 진자암(125)사이에는 스프링등(도시생략)에 의해 마찰력이 발생하고 있다. 2단기어(122)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진자암(125)은 회전하지만, 진자암(125)의 회전범위는 진자암의 축(125a)이 브라켓(100)의 간극(100b)내측에서만 이동가능한 것에 의해 규제되고있다. 2단기어(1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진자암(125)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간극(100b)에 의해 회전을 규제하고, 진자기어(124)는 헛돈다. 2단기어(1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진자암(125)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진자기어(124)는 공급릴대(146)의 기어(145)와 맞물린다.
공급릴대(146):
공급릴대(146)의 단면을 제 1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공급릴대(146)는 토크제한기능을 갖고, 각각의 반대표면에 인가된 펠트(145a,145b)와 함께 기어(145)를 포함한다. 기어(145)는 속이빈 축(146c)에 대해서 압력판(147)과 함께 회전가능하다. 기어부(146a)와 리본카세트(1)의 공급스풀(13)과의 토크전달부인 결합보스(146b)는 축(146c)에 가해져 기어부 (147a), 결합보스(146b), 축(146c)은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압력판(147)은 결합보스(146b)가 요철부와 결합하여 결합보스(146b)가 동방향으로 회전한다. 압축코일스프링(148)은 결합보스(146b)와 압력판(117)사이에 배치되고, 펠트(145a)와 압력판(147), 펠트(145b)와 기어부(146a)에 압력을 주고,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기어(147)가 회전하면 마찰력에서 생긴 토크를 결합부(146b)에 전달한다.
마찰력에 의한 토크이상의 토크를 결합부(146b)에 전달하고자 하여도 펠트(145a), 펠트(145b)와 각 상대부품에는 슬립이 생기므로, 마찰력에 의해 방생하는 토크이상의 토크는 전달할 수 없다. 결합보스(146b)는 공급스풀(13)의 결합슬리브(13a)에 결합된다. 공급스풀(13)이 결합보스(146b)의 톱니가 결합슬리브(13a)의 홈(13b)에 결합하도록 각을 이루어 위치하는 경우에, 회전은 공급스풀(13)에 전달될 수 있다. 결합보스(146b)는 공급스풀(13)의 결합슬리브(13a)에 결합된다. 공급스풀(13)이 결합보스(146b)의 톱니가 결합슬리브(13a)와 홈(13b)에 결합하도록 각을 이루어 위치하는 경우에, 회전은 공급스풀(13)에 전달될 수 있다.
리본 재감기의 설명(계속):
전술한 동작을 통하여 진자기어(124)는 기어(145)에 회전을 주고 공급릴대 (146)를 회전시킨다. 그러므로, 공급스풀(13)을 회전시킴으로써 리본(10)을 공급스풀(13)에 감기하는(재감기)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링크(149)가 이동하고 링크 (149)의 헤드부(149a)가 진자암의 축(125a)의 이동가능범위를 좁히고, 진자기어 (124)를 기어(145)와 맞물림을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진자기어(124)는 공회한다(즉, 아무것도 구동하지 않고 회전한다). 링크(149)의 이동수단에 대하여 후술한다.
헤드기구를 구동하는 직류모터의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정역회전가능한 모터(300)(제 4도 참조)는 브라켓(301)에 부착되고, 감속된 속도로 기어(305)를 회전시킨다.
헤드위치으로의 회전전달의 설명:
모터(300)의 축에 가해진 피니온(300a)은 2단기어(302), 2단기어(303), 2단기어(304)에 의해 감속되고 기어(305)에 회전을 전달한다. 기어(305)에는 반사실 (307)이 첩부되어 있고, 그 각 변위는 반사실(307)에 관련하여 2개의 광학식센서 (306a,306b)에 의해 감시된다. 반사실(307)은 광학적으로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판등으로 형성되고 광학적으로 반사율이 낮은 3개의 흑색영역(307a,307b,307c)이 인쇄되어 있다.
광센서(306a,306b)는 암영역(dark area)으로서 흑색영역(black area)을, 명영역(bright area)으로서 알루미늄판을 검출한다.
제 22도에 나타낸 것같이, 캠기어(308)(이하, 캠(308)이라 한다)와 캠기어 (309)(이하 캠(309)라고 한다)는 축(310)으로 기어(305)에 연결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것처럼, 캠(308)의 내면측에는 한쌍의 헤드암(312)의 한측의 헤드암(312)(제 22도 참조)을 회동시키기위한 캠홈(308a)과 캠(308)의 외측면에 체인지암(142)(제 5도 참조)을 회동시키기 위한 캠홈(308b)을 갖는다. 도 21에 나타낸 것처럼, 캠(309)의 내면측에는 타측의 헤드암(312)을 회동시키기 위한 캠홈(도시생략)과 캠(309)의 외면측에 캠레버(328)를 회동시키기 위한 캠홈(309a)과 2단기어 (329)에 회전을 전하는 기어부(309b)(제 22도 참조)를 가진다. 한쌍의 헤드암(312)을 회동시키는 캠홈(308a)과 도시하지않은 캠홈(309)은 한쌍이 되는 캠홈이고, 동일의 움직임을 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캠홈(308a)만을 설명한다.
헤드위치:
기어(305)는 5개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지될 수 있다. 각 설정위치로의 이동, 이들 위치의 설정처리를 제 17a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기준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기어(305)를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광센서(306a) 및 광센서 (306b)가 암영역, 즉 흑색영역(307a, 307b)을 검출할 때 정지된다. 이 정지위치를 헤드위치(H0a)(이하 H0a라고 한다)라고 하고헤드위치의 기준위치로 지정한다.
인화에 대한 헤드위치의 이동:
H0a위치에서 기어(305)는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광센서(306a)가 명영역을 검출할 때 정지한다. 이 정지위치를 H1a라고 한다. 다음 기어(305)가 H1a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광센서(306a)가 암영역 즉, 흑색영역(307b)을 검출할 때 정지된다. 이 정지위치를 H2a라고 칭한다. 다음 기어(305)를 H2a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광센서(306a)가 명영역을 검출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정지위치를 H3a라고 칭한다. 다음, 기어(305)를 H3a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광센서(306a)가 암영역 즉, 흑색영역(307c)을 검출할 때 정지된다. 이 정지위치를 H4라고 부른다, 다음에 H4에서 기어(30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광센서 (306a)가 명영역을 검출한후, 광센서(306b)가 암영역 즉, 흑색영역(307b)를 검출할 때 기어(305)가 정지된다. 이 정지위치를 H3b라고 부른다. 이어서 기어(305)를 H3b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광센서(306a)가 명영역을 검출할 때 정지된다. 이 정지위치를 H2b라고 부른다. 이어서 기어(305)를 H2b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광센서(306a)가 암영역 즉 흑색영역(307a)을 검출할 때 정지된다. 이 정지위치를 H1b라고 부른다. 이어서 기어(305)를 H1b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광센서(376a)가 암영역을 검출할 때 정지된다. 이 정지위치를 H0b라고 부른다.
제 18a도 내지 제 18d도에 나타낸 것처럼, 위치(H2a와 H2b)상태에서의 기어(305), 광센서(306a) 및 광센서(306b)와의 위치관계와 캠홈(308a)와 헤드암 (312)에 연결되는 폴로워(320)의 핀(320a)의 위치관계와 캠홈(308b)과 체인지암 (142)의 핀(142a)의 위치관계와 캠홈(309b)와 캠레버(328)의 핀(328a)의 위치관계가 각각 제 18a, 18b, 18c, 18d도에 나타낸다.
모터(300)는 H2a 또는 H2b위치를 검출후 바로 정지하므로, 정지위치(H2a와 H2b) 사이에서의 기어(305)의 위치의 차이는 작다. H2a와 H2b를 비교하면, 각핀은 각 캠의 동일반경상의 프로파일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캠의 중심에 관해서는, H2a와 H2b에서 각 핀의 상대위치는 동일하다. 그러므로, H2a와 H2b에서는 캠폴로워 (320)와 캠레버(328)와 체인지암(142)은 동일위치에 있으므로, 프린터의 제어를 고려하여 H2a와 H2b와 동일로 볼 수가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H2a와 H2b를 H2a와 일괄하여 설명한다.
유사하게 H0a와 H0b, H1a와 H1b, H3a와 H3b에서 각 핀의 정지위치를 캠의 동 일반경상의 프로파일내에 정지하도록 설정하고 있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H0a와 H0b를 H0, H1a와 H1b를 H1, H3a와 H3b를 H3로 일괄하여 설명한다. 또한 H4는 기어(305)가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때만 검출된다.
또한 제 17b도는 기어(305)의 각 위치(H0∼H4)에 대응하는 캠홈(308a)과 헤드암(312)에 연결되어 있는 폴로워(320)의 핀(302a)의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제17c도는 기어(305)의 각 위치(H0∼H4)에 대응하는 캠홈(308b)과 체인지암(142)의 핀(142a)의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제 17d도는 기어(305)의 각 위치(H0∼H4)에 대응하는 캠홈(309b)과 캠레버(328)의 핀(328a)의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리본코드를 독출하는 헤드위치로 이동:
기준위치(H0)를 검출한 후, 기어(30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광센서 (306a)가 기준위치(H0)에서의 암영역(307a)을 검출한 후, 명영역을 검출하고, 이후에 기어(305)의 암영역(307b)이 정지된다. 이 정지위치를 H3'라고 부른다. H3'는 H3와 기어(305)의 정지위치로서는 동일하지만, 캠면(308a), 캠면(308b)의 움직임이 H3와는 다르므로 구별한다. H3'의 검출후, 기어(308)를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기준위치(H0)로 돌아간다.
캠(308, 309)의 동작:
각 캠홈(308a,308b,309a)의 형태를 제 19도∼제 2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9도에 나타낸 것처럼, 캠홈(308a)은 캠(308)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으로 설정된 통로(308a0, 308a1, 308a2, 308a3)와 통로(308a0와 308a1), 통로(308a1과 308a2), 통로(308a2와 308a3)를 매끄럽게 곡선의 통로와, 통로(308a3와 308a0)의 도중을 매끄럽게 곡선으로 구성된다, 링크(315)의 핀(318a)은 위치(H0과 H1과 H3')시 통로(308a0)내에서 정지하고, H2의 때 308a1에, H3의 때 308a2에, H4의 때 308a3에 정지한다.
제 20도에 나타낸 것처럼, 캠홈(308b)은 캠(308)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에 설정된 통로(308b0, 308b1, 378b2, 308b3)와 통로(308b0와 308b1),통로(308b1과 308b2), 통로(308b2와 308b3)를 매끄럽게 곡선의 통로와, 통로(308b3와 308b0)의 도중을 매끄럽게 곡선으로 구성된다. 체인지암(142)의 핀(142a)은 위치(H0과 H3')의 때, 통로(308a0)내에 정지하고, H1의 때 309a1에, H2의 때 309a2에, H3와 H4의 때 309a3에 정지한다.
제 21도에 나타낸 것처럼, 캠홈(309b)는 통로(309b0)와 캠(309)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동심원상으로 위치하고 통로(309b0와 309b1)의 양단을 매끄럽게 곡선으로 구성된다. 캠레버(328)의 핀(328a)은 위치(H0)의 때, 통로(309b0)에, H1,H2,H3,H3',H4의 때 통로(309b1)에 정지한다.
헤드위치와 캠의 동작:
초기동작
기준위치(0)를 검출하기 위해 기어(305)가 처음으로 회전하면서, 캠(308)과 캠(309)도 동일하게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통로(308a3)로의 분기점 (308a4)과 통로(308b3)로의 분기점(308b4)이 캠홈(308a)의 통로(308a0)와 캠홈(308b)의 통로(378b0)에 있지만,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각 이들 분기점(308a4, 308b4)에서 핀(312a) 또는 핀(142a)은 각 캠(308, 309)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헤드암(312)의 구조:
제 22도에 나타낸 것같이, 한쌍의 헤드암(312)은 축(31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동일축(319)에 의해 한쌍의 레버(320)와 한쌍의 암(arm)(321)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일부를 커버판(404)에 고정한 한쌍의 고정판(311)(제 3도참조)가 부착되어 있다. 축(319)은 샤시(401)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축(319)상에 한쌍의 폴로워(319a)가 고정되어 있다.
한쌍의 레버(320)의 핀(320a)은 링크(313)에 연결된다. 링크(313)에는 핀(316)에 의해 링크(314)와 링크(315)가 연결된다. 링크(314)의 다른 핀(317)은 암(312)의 슬롯(312a)을 관통하고 있다. 링크(315)의 다른 핀(318)은 축(319)에 캠플로워(319a)에 한정된 간극(319b)을 통하여 캠(308)의 캠홈(308a)과 결합하고 있다, 헤드암(312)은 핀(316)에 의해 서로 연결된 링크(314)와 암(321)사이에 배치된다. 핀(317)은 헤드암(312)의 슬롯(312a)을 통하여 암(321)에 연결되어 있다. 헤드암(312)과 암(321)은 스프링(327)에 의해 서로 밀려져서 서로를 끌여당기고 있지만, 슬롯(312a)에 있는 핀(317)에 의해 축(319)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각각의 이동량을 규제하고 있다.
암(321)은 스프링(327)에 의해 밀려지고, 이 힘에 의해 (319a)는 캠(308, 309)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한다. 헤드암(312)에 히트싱크(322)가 부착되어 있다. 히트싱크(322)에는 헤드(323)와 반사미러를 겸하는 리본가이드(324)가 부착되어 있다.
헤드(323)는 다수의 발열체와 헤드커버(325)와 발열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선부재 등(도시생략)을 갖추고 있다.
헤드(323)의 이동:
헤드의 이동을 제 23A ∼ 23D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헤드(323)는 4개의 정지위치가 주어진다.
제 23a도에 나타낸 것같이 기어(305)가 H0 및 H1에서 정지하고 있으면, 헤드(323)는 대기위치에 있다.
제 23b도에 나타낸 것같이 기어(305)가 H2로 이동하면, 가이드(426)에 부착된 광학식반사형의 리본마크센서(427a,427b)의 전면으로 리본가이드(324)의 평면부 (324a)가 이동하도록 헤드(323)는 이동된다.
이하 잉크리본의 헤더마크(11)와 패치마크(12)의 검출방법을 설명한다.
리본가이드(324)는 스텐레스판을 경면 광학적으로 반사율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져 있다. 잉크리본(10)의 헤더마크(11)와 패치마크(12)는 광의 투과율 및 반사율이 낮은 조각(strip)으로 이루어진다. 잉크리본(10)의 헤더마크(11)와 패치마크 (12)를 제거하는 부분은 광의 투과율이 높으므로, 센서(427a,427b)는 센서와 평면부(324a) 사이에 잉크리본(10)이 있을 때, 리본가이드평면부(324a)를 명으로 검출한다. 센서와 평면부(324a)사이에 상기 마크가 있는 때, 센서는 암으로 검출한다.
헤더마크(11)는 리본폭전역에 스트립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양 센서(427a, 427b)는 암영역으로서 헤드마크(11)를 검출할 수 있다. 반면에, 패치마크(12)는 센서(427a)의 검출범위를 포함하는 잉크리본(10)폭의 약 절반으로 벨트형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센서(427a)와 센서(427b)에서는 암과 명을 각각 검출한다.
다음에 제 23c도에 나타내는 것같이 기어(305)가 H3위치로 이동하면, 헤드(323)와 플레이튼(412)사이에 조금 간극이 있는 위치로 헤드(323)가 이동한다. 헤드(323)의 H3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는 인화지의 반송통로를 변화시킨다. 이것의 상세는 후술한다.
제 23d도에 나타낸 것같이, 기어(305)가 H4위치로 이동한다. 헤드(323)는 플레이튼(412)에 압착된다. 캠(308)에 의해 각 링크는 구동된다. 암(321)은 헤드암 (312)을 플레이튼(412)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래서, 헤드(323)는 플레이튼(412)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그후 암(321)은 캠(308)에 의해 회전하지만, 헤드암(312)은 헤드(323)가 플레이튼(412)에 이미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헤드암(312)은 회전할수 없다. 그러므로, 암(321)과 헤드암(312)은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핀(316)과 헤드암(312)의 슬롯(321a)과의 규제는 풀린다. 그러면, 헤드암(312)은 스프링(327)를 통하여 헤드(323)를 플레이들(412)에 압착한다.
체인지 암(142)의 구조:
캠홈(308b)에 의해 체인지암(142)은 회전하고, 제 24a ∼ 24d에 나타내는 4개의 정지위치가 주어진다. 체인지암(142)은 캠홈(142b)에 의해 브라켓(100)에 지축(142c)을 지점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체결핑거(143)와 브레이크핑거(144)를 구동한다. 체결핑거(143)는 공급릴대(146)의 기어부(146a)에 브레이크핑거(144)는 기어(145)에 맞물려져 각각의 기어의 회전을 억제한다. 또한 체인지암(142)은 축(149c)에 연결된 링크(149)를 구동한다. 링크(149)는 간극부(149b)를 공급릴대 (146)의 회전축(146c)에 가이드되고, 링크(149)의 이동에 의해 링크선단부(149a)는 진자기어(124)와 공급릴대(146)의 기어(145)와 맞물리는 것을 방지 또는 해제한다.
제 24a도는 기어(305)가 H0위치 및 H3'위치로 회전이동되고, H0위치 및 H3'위치에서 체결핑거(143)는 기어부(146a)에 맞물려지고, 브레이크핑거(144)는 풀리게되고, 링크(149)는 진자기어(125)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은 상태이다.
제 24b도는 기어(305)가 H1위치에 위치한 상태이고, 체결핑거(143), 브레이크핑거(144)는 동시에 해제되고, 링크(149)는 진자기어(124)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은 상태이다.
제 24c도는 기어(305)가 H2위치에 위치한 상태이고, 체결핑거(143), 브레이크핑거(144)는 함께 헤체되고, 링크(149)는 진자기어(125)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있는 상태이다.
제 24d도는 기어(305)가 H3 및 H4에 위치한 상태이고, 체결핑거(143)는 풀리게되고, 브레이크핑거(144)는 기어(145)에 맞물리고, 링크(149)는 진자기어(124)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있는 상태이다.
캠레버(328)의 구조:
캠홈(309a)에 의해 캠레버(328)는 지축(328b)을 중심으로서 회전하고, 제 25도에 나타내는 2개의 정지위치가 주어진다. 캠레버(328)의 선단부(326a)는 진자암(331)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또한 홀더(422)(제 9도참조)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된 체결 레버(332)를 캠레버(328)의 핀(328c)의 이동에 따라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진자기어(330)의 구조:
진자기어(330)와 진자암(331)은 스프링(도시생략)등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캠(308)이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때, 캠(309)의 기어부(309b)에서 축(319)의 축단에 회전자재로 설치된 2단기어(329)에 회전이 전달되고 진자암(331)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진자기어(330)는 리본카세트(1)의 코드링(21)의 기어(22)에 맞물리고 코드링(21)을 회전시킨다.
제 25a도는 기어(305)가 H0에 위치한 상태이고, 캠레버(328)에 의해 진자암 (331)은 규제를 받는 진자기어(330)와 기어(22)는 맞물리지 않고, 또한 체결레버 (332)는 후퇴하고 잉크리본도어(420)를 열수있는 상태이다.
제 25b도에서, 기어(305)는 H1,H2,H3,H3',H4위치에 있다. 캠레버(328)는 진자 기어(331)에 한정하지 않고 진자기어(330)가 기어(22)에 맞물리게 한다. 체결핑거(421)는 체결레버(332)에 의해 락되어 잉크리본도어(420)를 개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주요특성이 되는 리본코드링(21)의 회전방법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기어(305)를 H0위치에 위치시킨후, 기어(37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H3'위치로 이동시키고, 다음에 기어(305)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켜 다시 (HO)에 돌린다.
이때 H3'위치에서 H0위치로의 이동중에 진자기어(330)는 제 25b도에 나타낸 것같이 기어(22)에 맞물려 리본코드링(21)을 회전시켜 정보코드(23)를 센서(335)에서 읽는다. 상술한 기어(305)의 반시계방향의 회전과 (H0)에 돌아가는 동작을 2회행함으로써 리본코드링(21)은 2회전한다.
리본코드링(21)의 독출에 대하여 코드링은 1회전정보의 마크에 있어서도 코드링(21)을 2회전시키기위해 어느 위치에 코드링(21)의 헤더마크가 정지하고 있어도 반드시 1회는 코드링(21)의 정보코드(23)를 센서(335)에서 읽을 수 있다.
이 동작중에서, 헤드암(312)의 핀(318)은 캠홈(308a)의 통로(308a0)내를 이동하므로 헤드암(312)은 이동하지 않는다. 동일하게 체인지암(142)의 핀(142a)은 캠홈(308b)의 통로(308b0)내를 이동하므로 체인지암(142)은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린터로서 캠(308b)에서 구동되는 부분만 이동하고 다른 부분은 정지한 그대로이다. 또한 정보마크를 읽기중에 잉크리본도어(420)를 열수없으므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정보마크 읽기오류를 방지한다.
다음에, 인화동작의 일련의 동작을 제 26도∼제 31도를 포함하여 설명한다.
초기화
전원스위치가 턴온된 후 다음의 초기화가 실행된다.
인화지위치의 초기화:
기어(118)가 제 26도에 나타낸 것처럼 인화지위치(P0)에 있는 것을 확인한다. 기어(118)가 인화지위치(P0)에 있지 않으면, 모터(101)를 구동하여 기어(118)를 인화지위치(P0)로 회전한다.
헤드위치와 초기화:
기어(305)가 제 26도 에 나타낸 것처럼 헤드위치(H0)에 있는 것을 확인한다. 기어(305)가 헤드위치가(H0)에 위치하지 않으면, 모터(307)를 구동시켜 기어(305)를 헤드위치(H0)로 회전하도록 한다. P0,H0위치를 확인할 수 없으면, 프린터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잉크리본(10)의 확인 및 리본코드의 독출:
잉크리본도어(420)가 닫혀져 있는 것을 스위치(도시생략)로, 또한 리본카세트(1)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스위치(428)로 확인한다. 확인하였으면 모터(300)를역회전시킴으로서 리본코드링(21)을 회전시킴으로써 캠(309)의 기어부(309b)에서 2단기어(329) 및 진자기어(330)를 거쳐서 리본코드링(21)을 회전시키고, 정보코드 (23)를 센서(335)로 읽는다. 읽혀진 정보코드(23)가 인화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여러가지의 정보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리본카세트(1)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발한다.
프린터가 대기중에 있으면서 잉크리본도어(420)의 스위치(도시생략) 및 리본카세트(1)의 스위치(428)가 ON/OFF로 전환하였으면, 리본카세트(1)가 교환된 것으로 판단하고 정보코드(23)는 다시 읽혀진다.
인화동작:
스위치등을 누름으로 인화동작을 시작한다.
급지트레이(200)와 인화지의 화인:
급지트레이(20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스위치(429)(제 3도참조)로 확인하고 급지 트레이(200)내에 인화지(200)가 있는 것을 센서(430a,430b)로 확인한다. 확인할수 없으면 인화지가 없다고 판단하여 경고를 발한다.
잉크리본(10)의 헤드를 동작위치로 가져옴과 헤드위치의 이동:
기어(305)는 제 26도에 나타낸 헤드위치(H0)에서 제 27도에 나타낸 헤드위치 (H2)로 회전된다. 센서(427a), 센서(427b)가 잉크리본(10)의 헤더마크(11)를 검출하기까지 모터(101)를 회전시켜 감기릴대(111)의 회전에 의해 잉크리본(10)의 헤드를 동작위치로 가져온다. 모터(101)의 회전시간은 미리 설정되어 있기때문에, 모터(101)를 설정시간회전시켜도 헤더마크(11)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는 리본이 충분히 남아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경고를 발한다.
인화지 위치로 이동:
모터(101)를 구동시키고, 인화지위치를 제 28도에 나타낸 인화지위치(P0)에서 인화지위치(P1)로 이동한다. 즉, 모터(101)의 회전에 의해 기어(118)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급지캠(416a)의 회동에 의해 압접판을 거쳐서 급지암(204)이 위로 움직이고 인화지(202)를 밀어올려 급지롤러(213)를 꽉누른다. 이때 체결핑거 (209)는 캠면(416b)의 결합이 해제되고 급지트레이(200)의 구멍(200a)에 결합하고 급지트레이(200)가 락된다. 또한, 이것과 동시에 릴리스캠(417)의 캠면(417b)에 의해 핀치롤 러암(413)을 거쳐서 핀치롤러(411)를 캡스턴(410)에서 분리하고 있다.
이후, 기어(118)의 회전에 의해 릴리스캠(417)의 각각의 캠면(417a)에 의해 릴리스레버(222)가 회전되고 회전판(215)을 거쳐서 분리롤러(214)를 급지롤러(213)에 인접시킨다. 이때, 릴리스레버(222)의 회전에 의해 셔터(227)를 개방한다.
이것에 의해, 인화지(202)는 급지롤러(213)에 의해 끌어들이는 동시에 급지롤러(212)와 분리롤러(214)의 사이에 끼워지고 또한 개방하고 있는 셔터(221)를 통하여 프린터내로 급지된다. 이 인화지(202)의 급지상태에서는 릴리스캠(417)의 캠면(417b)에서 핀치롤러암(413)은 개방되고 있기때문에 핀치롤러(411)는 스프링 (414)의 스프링력에 의해 캡스턴(410)에 압접하고 있다.
인화지의 급지, 급지센서(224)에 의한 검출:
스테핑모터(102)를 회전시키고, 인화지(202)를 급지센서(224)에 검출되기까지 반송한다.(제 3도 및 제 4도 참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스테핑모터(102)를 회전시켜도 급지센서(224)에서 인화지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급지에러로서 경고를 발생케한다.
인화지 위치로 이동:
인화지(202)의 선단이 급지센서(224)에 의해 검출된 기준위치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인화지(202)를 급지하면, 인화지는 캡스턴(410)과 핀치롤러(411)에 유지되어 모터(101)가 회전될때 전진하게 된다. 모터(101)가 회전될때 인화지는 제 28도의 인화지위치(P1)에서 제 29도의 인화지위치(P2)로 이동한다.
인화지의 떨어뜨림과 헤드위치로 이동:
인화지선단이 급지센서(224)에 의해 검출된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소정시간동안 인화지(202)를 급지하면, 인화지선단은 헤드커버(325)의 아래에 위치한다. 인화지의 선단이 헤드커버(325)의 아래에 위치하는 동안 모터(300)를 구동하여 제 23b도, 28도에 나타낸 H2위치에서 제 23C도, 29도에 나타낸 H3위치로 기어(305)를 회전한다. 인화지(202)의 선단은 통로(M)로 떨어진다. 공급릴대(146)의 중심방향으로 계속해서 이동하고 있는 인화지선단은 헤드커버(325)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샤시(401)와 가이드(406)로 형성된 통로(M)방향으로 진행방향을 바꾼다. 또한 인화지(202)를 반송하면, 인화지(202)의 선단은 통로(M)으로 인도된다.
센서(415)에 의한 검출:
또한 인화지(202)를 급지하면 인화지선단은 센서(415)에 의해 검출된다. 인화지를 급지센서(224)에서 미리 정해진시간동안 급지한 후 센서(415)에 인화지 (202)의 선단이 검출되지 않으면, 급지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발한다.
급지센서(224)에 의한 인화지 후단의 검출:
또한 인화지(202)를 급지하면, 인화지의 후단이 급지센서(224)에 의해 검출된다. 급지센서(224)에 의한 인화지선단의 검출에서 인화지후단의 검출까지의 스테핑모터(102)에 의해 취해진 공정수에 기초하여 인화지의 길이(반송방향)를 검출한다. 검출한 인화지(202)의 길이와 미리 정해진 인화지의 종류에 의한 인화지의 길이를 비교함으로써, 인화지의 크기의 종류가 식별된다. 인화지가 규정된 크기와 다른 인화지이거나 판별한 인화지의 종류가 앞서 리본카세트(1)의 정보코드(23)에서 판별한 잉크리본의 종류와 일치하지 않으면, 경고를 발한다.
인화지의 인칭 (Inching)
상기, 급지센서(224)에 의한 상기 인화지후단의 검출후, 인화지는 계속해서 3mm 급지방향으로 급지하고 급지센서(224)에 의해 검출를 행한다. 인화지가 3mm 반송되는 동안 급지센서(224)가 인화지를 다시 검출하면, 앞의 검출는 인화지배면의 인쇄나 오염등에 기초한 것이고, 2차 검출위치를 진짜 인화지 후단에 설정한다.
인화지의 인화위치로의 이동:
인화지(202)의 후단검출위치에서 인화지를 소정거리(수mm)로 급지함으로써 인화지(202)를 인화위치로 이동하고 정지시킨다.
헤드위치의 이동:
모터(300)를 구동시켜 제 23c도 및 제 29도에 나타낸 것에서 제 23d 및 제 30도에 나타낸 것으로 기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헤드(323)를 플레이튼(412)상에압착시킨다.
인화처리
모터(101)가 구동되어 감기릴대(111)의 회전구동에 의해 잉크리본(10)을 감고 동시에 스테핑모터(102)를 역회전시켜 인화지(202)를 캡스턴(410)의 역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반송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헤드(323)에 의해 인화지(202)가 인화된다.
헤드위치의 이동과 잉크리본의 슬랙의 제거:
모터(300)를 구동시켜 제 23도 및 제 30도에 나타낸 H2위치에서 제 23도 및 제 31도에 나타낸 H2위치로 기어(305)를 회전시킨다. 모터(102)를 규정시간동안 역전시켜 피니언(121)과 2단기어(122)가 기어풀리(12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도 24b 참조), 이것에 의해 진자기어(12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공급릴대(146)의 기어(145)에 맞물린다. 이때 체인지암(142)의 핀(142a)은 제 17도의 H1위치의 캠(308)의 캠홈(308b)에 위치하고 있기때문에, 체인지암(142)에 연결된 체결정거 (143) 및 브레이크핑거(144)는 공급릴대(146)의 기어(145) 및 기어부(146a)에서 벗겨지고 공급릴대(146)는 풀리상태가 된다. 따라서, 진자기어(124)의 회전에 의해 공급릴대(146)를 감기방향(재감기방향)으로 회전시켜 잉크리본(10)의 이완을 제거 즉, 탄탄하게 할수 있다.
잉크리본의 헤드를 동작위치로 가져옴과 헤드위치로 이동:
다음의 인화동작에 있어서 센서(427a), 센서(427b)가 잉크리본(10)의 패치마크(12)를 검출하기까지 모터(101)가 구동된다. 감기릴대(111)를 리본감기방향으로회전하여 잉크리본(10)의 헤드를 동작위치로 가져온다. 모터(101)의 회전시간은 미리 설정되어 있기때문에, 모터(101)가 설정시간 회전된후 패치마크(12)가 검출될 수 없으면, 잉크리본의 잔량이 충분히 없고, 리본이 절단등이 것으로 판단된다.
인화지의 떨어뜨림과 헤드위치로 이동:
앞의 인화지(202)의 떨어뜨리는 것과 동일하게, 인화지선단이 급지센서(224)에 의해 검출된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소정시간동안 인화지(202)를 급지하면, 인화지선단을 헤드커버(325)의 하방으로 위치시키고, 인화지(202)의 선단이 헤드커버 (325)아래에 위치된다. 인화지(202)의 선단이 헤드커버(325)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 모터(300)를 구동하여 제 23b도 및 제 28도에 나타낸 H2위치에서 제 23C도 및 제 29도에 나타낸 H3위치로 기어(305)를 회전한다. 인화지(202)의 선단은 통로(M)로 떨어진다.
인화지(202)상의 인화동작에서 칼라인화의 경우는 각색에 대한 인화와 마지막에 표면을 코팅처리하기 위해, 상기 인화처리는 합계 4회 반복된다.
헤드위치이동과 잉크리본의 이완의 제거:
모터(300)는 기어(305)를 제 23d도, 제 30도에 나타낸 위치(H4)에서 제 23b도, 제31도에 나타낸 위치(H2)로 회전하도록 된다. 상술한 잉크리본의 이완동작과 동일하게 모터(101)를 규정시간 역회전시키는 것으로 진자기어(124)를 공급릴대 (146)에 맞물리고, 공급릴대(146)를 감기방향으로 회전시켜 잉크리본(17)의 이완을 제거한다.
인화된 인화지의 배지
인화지로 인화된 후, 스테핑모터(102)의 역전에 의한 캡스턴(410)의 회전구동과 모터(101)의 역전에 의한 배지롤러(225)의 회전구동에 의해 인화지(202)를 배지통로(M0)를 거쳐서 배지구(703)에서 배지한다 배지센서(227)가 인화지의 존재를 검출하면 배지불량으로서 경고를 발한다.
이상, 설명한 것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는 잉크리본(10)의 정보코드(23)의 읽기동작에서는 인화헤드(323)를 초기위치(H0)에 유지한 대로 캠(308)의 역전시만 캠(309)의 기어부(309b)를 거쳐서 동작하는 진자기어(330)를 리본코드링(21)에 맞물리고 리본카세트(1)의 공급스풀(13)과는 관계없이 독자적으로 회전하는 리본코드링의 정보 코드(23)를 센서(335)에 의해 검출하도록 한 것으로 정보코드가 읽혀지면 잉크리본이 동시에 감겨지지 않고 잉크리본포맷에 대해 필요한 길이의 낭비가 없다.
정보코드(23)가 읽혀지면, 리본코드링(21)을 적어도 2회전 시키도록 한다. 그러므로, 정보코드(23)의 헤드비트의 위치에 상관없이 적어도 1회는 정보코드(23)를 독출할 수 있으므로, 그 결과 리본코드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한, 리본코드의 독출시 인화헤드(323)는 초기위치(H0)에 정지한 상태로 있기때문에 인화헤드(323)가 동작하지 않고 따라서 잉크리본이 인화헤드에 눌려져서 이완이 없고, 따라서 정보코드(23)를 읽으면서 잉크리본(10)에서 이완을 제거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리본코드링(21)의 회전동작은 인화헤드(323)를 이동동작하는 구동원이 되는 모터(300) 및 캠(308)의 회전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리본코드링(21)을 회전동작하는 전용의 모터가 사용하지 않게 되고, 프린터장치의 공간이 감소되고 프린터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술된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제 1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의 외관사시도이다.
제 2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의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제 3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의 캠(308)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 4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의 기어(305)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 5도는 감기릴대, 공급릴대 및 체인지암에 대한 전달기구계의 측면도이다.
제 6도는 리본카세트의 사시도이다.
제 7도는 리본카세트의 부분 단면 평면도이다.
제 8도는 잉크리본의 사시도이다.
제 9도는 리본도어와 리본홀더의 사시도이다.
제 10도는 리본도어의 단면도이다.
제 11도는 감기릴대의 상세도이다.
제 12도는 기어(109)의 상세도이다.
제 13A도 ∼ 제 13C도는 센서와 인화지위치와의 관계를 각각의 위상에서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제 14도는 급지캠 및 릴리스캠과 상대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제 15도는 2단기어(132)의 상세도이다.
제 16도는 공급릴대의 상세도이다.
제 17A도 ∼ 제 17D도는 기어(305)의 각 정지위치(H0∼H4)와 캠홈(308a), 캠홈(308b), 캠홈(309a)의 회전위치와의 각각의 관계도이다.
제 18A도 ∼ 제 18D도는 기어(305)의 정지위치(H2a 및 H2b)와 캠홈(308a), 캠홈(308b), 캠홈(309a)의 회전위치와의 각각의 관계도이다.
제 19도는 캠홈(308a)의 상세도이다.
제 20도는 캠홈(308b)의 상세도이다.
제 21도는 캠홈(309a)의 상세도이다.
제 22도는 헤드암을 작동시키는 기구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제 23A도 ∼ 제 23D도는 캠홈(308a)과 헤드(323)의 각 동작상의 위치관계도이다.
제 24A도 ∼ 제 24D도는 체인지암이 동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제 25A도 ∼ 제 25B도는 캠홈(309a)과 진자기어(330) 및 체결레버(332)가 동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제 26도는 헤드위치와(HO)와 인화지위치(PO)에서 프린터가 동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 27도는 헤드위치(H2)와 인화지위치(PO)에서 프린터가 동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 28도는 헤드위치(H2)와 인화지위치(P1)에서 프린터가 동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 29도는 헤드위치(H3)와 인화지위치(P2)에서 프린터가 방법을 나타내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 30도는 헤드위치(H4)와 인화지위치(P2)에서 프린터가 동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 31도는 헤드위치(H2)와 인화지위치(P2)에서 프린터가 동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린터카세트 2 : 카세트본체 3 : 하부케이스
4 : 상부케이스 10 : 잉크리본 11 : 헤더마크
12 : 패치마크 13 : 공급스풀 14 : 감기스풀
21 : 코드링 22 : 기어부 23 : 정보코드
101 : 모터 102 : 스테핑모터 105,106 : 2단기어
107 : 진자기어 108 : 진자기어암 109 : 기어
110 : 기어 111 : 감기릴대 111a : 기어부
111b : 결합부 114 : 핑거 18 : 기어
120a,120b : 센서 123,127 : 기어풀리 124 : 진자기어
126 : 벨트 131 : 급지리미터 132 : 2단기어
133 : 기어 142 : 체인지암 142a : 핀
143 : 체결핑거 144 : 브레이크핑거 145 : 기어
146 : 공급릴대 146a : 기어부 119a,119b : 흑색부
200 : 급지트레이 201 : 급지판 202 : 인화지
204 : 급지암 209 : 체결핑거 212,213 : 급지롤러
214 : 분리롤러 204 : 급지암 205 : 압접판
221 : 셔터 222 : 릴리스레버 224 : 급지센서
225 : 배지롤러 300 : 모터 305 : 기어
306 : 실 306a,306b : 센서 307a,307b,307c : 흑색부
308,309 : 캠 312 : 헤드암 308a,308b,309a : 캠홈
313,314,315 : 링크 318 : 핀 319 : 축
391a : 폴로워 320 : 레버 321 : 암
323 : 헤드 324 : 리본가이드 325 : 헤드커버
328 : 캠레버 328a : 핀 330 : 진자기어
331 : 진자암 332 : 체결레버 335 : 센서
401 : 샤시 404 : 커버판 410 : 캡스턴
411 : 핀치롤러 412 : 플레이튼 413 : 핀치롤러암
415 : 센서 416 : 급지캠 416a,416b : 캠면
417 : 릴리스캠 417a : 캠면 420 : 잉크리본도어
421 : 체결핑거 422 : 리본도어홀더 426 : 가이드
427a,427b : 리본마크센서 429 : 스위치
430a,430b : 센서 703 : 배지구

Claims (11)

  1. 인화장치에 있어서,
    리본카세트와,
    상기 리본카세트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정보마크를 가지는 리본코드링과,
    상기 정보마크를 독출하는 센서와,
    제 1방향으로 회전될 때 다수의 미리 정해진 위치 사이에서 인화헤드를 움직이는 제 1캠기어와,
    상기 제 1캠기어가 상기 제 1방향과 반대의 제 2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리본코드링을 회전하는 상기 제 1캠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절단수단은 상기 제 1캠기어가 상기 제 2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리본코드링과 결합하도록 동작하는 진자기어를 포함하고,
    회전하도록 상기 제 1캠기어에 연결된 제 2캠기어와, 상기 제 2캠기어와 결합되어 동작하는 캠레버를 더 포함하고, 제 2캠기어가 미리 정해진 회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캠레버는 진자기어가 리본코드링과 결합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화장치에서 잉크리본카세트를 삽입하거나 꺼내기 위한 잉크리본도어와 상기 잉크리본도어를 폐쇄위치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캠기어가 상기 미리 정해진 회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잉크리본도어를 풀도록 상기 체결레버가 상기 제 2캠기어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장치.
  4. 인화장치에 있어서,
    리본카세트와,
    상기 리본카세트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정보마크를 가지는 리본코드링을 가지는 리본코드링과,
    상기 정보마크를 독출하는 센서와,
    제 1방향으로 회전될 때 다수의 미리 정해진 위치 사이에서 인화헤드를 움직이는 제 1캠기어와,
    상기 제 1캠기어가 상기 제 1방향과 반대의 제 2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리본코드링을 회전하는 상기 제 1캠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전달수단과,
    상기 인화장치에서 잉크리본카세트를 삽입하거나 꺼내기 위한 잉크리본도어와 상기 잉크리본도어를 폐쇄위치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레버와,
    체결 및 풀려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체결레버를 움직이는 수단을 포함하고,상기 체결레버가 상기 풀려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체결레버를 움직이는 수단은 상기 회전 전달수단이 상기 리본코드링을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수단은 상기 제 1캠기어가 상기 제 2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리본코드링과 결합하도록 동작하는 진자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버가 상기 풀려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체결레버를 움직이는 상기 수단은 상기 진자기어가 리본코드링과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장치.
  7. 인화장치에 있어서,
    리본카세트의 잉크리본 감기축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리본코드링을 가지는 리본카세트를 수용하는 카세트홀더와,
    상기 카세트홀더를 개폐하는 리본도어와,
    상기 리본도어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는 체결핑거와,
    상기 체결핑거의 움직임을 체결하는 체결레버와,
    상기 인하장치가 인화중이 아닐 때 상기 체결레버의 체결을 풀어주는 수단과,
    상기 리본코드링을 회전하는 기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수단은 캠레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풀어주는 수단이 동작될 때 상기 캠레버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기어수단은 진자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진자기어는 상기 체결레버의 이동에 대응하는 상기 리본코드링과 결합 또는 해체 이동가능하며,
    상기 캠레버의 암수단(arm means)은 상기 리본코드링과 상기 진자기어 사이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는 상기 진자기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장치.
  8. 인화장치에 있어서,
    리본카세트의 잉크리본 감기축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리본코드링을 가지는 리본카세트를 수용하는 카세트홀더와,
    상기 카세트홀더를 개폐하는 리본도어와,
    상기 리본도어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는 체결핑거와,
    상기 체결핑거의 움직임을 체결하는 체결레버와,
    상기 인하장치가 인화중이 아닐 때 상기 체결레버의 체결을 풀어주는 수단과,
    상기 리본코드링을 회전하는 기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수단은 캠레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풀어주는 수단이 동작될 때 상기 캠레버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기어수단은 진자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진자기어는 상기 체결레버의 이동에 대응하는 상기 리본코드링과 결합 또는 해체 이동가능하며,
    상기 진자기어는 상기 체결레버가 상기 체결핑거의 움직임을 체결하고 있을 때만 상기 리본코드링과 결합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장치.
  9. 진자기어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된 제 1캠기어를 제 2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와,
    상기 제 1캠기어의 상기 제 2방향으로의 회전시 잉크리본카세트상의 리본코드링과 결합하도록 상기 진자기어를 회전하는 단계와,
    상기 리본코드링이 미리 정해진 양만큼 회전하도록 상기 리본코드링과 결합하면서 진자기어를 회전하는 단계와,
    상기 리본코드링이 미리 정해진 양만큼 회전하면서 상기 리본코드링상에서 정보마크를 읽는 단계와,
    상기 진자기어가 상기 리본코드링과 결합되어 있으면서 리본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인화장치의 리본도어를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 1캠기어의 회전위치에 의거해 리본도어의 체결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마크를 읽은 후에 상기 리본코드링과 결합하지 않는 상기 진자기어를 회전하도록 상기 제 1캠기어가 상기 제 2방향과 반대인 제 1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와,
    상기 제 1캠기어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제 2캠기어로 인화헤드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잉크리본카세트를 인화장치와 일체로 하는 인화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인화헤드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인화헤드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미리 정해진 위치 사이에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제 2캠기어를 회전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캠기어를 회전하면서 상기 인화헤드를 정지위치에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방법.
KR1019940010856A 1993-05-20 1994-05-17 인화장치및인화방법 KR100340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18628A JPH06328807A (ja) 1993-05-20 1993-05-20 プリンタ
JP93-118628 1993-05-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0962B1 true KR100340962B1 (ko) 2002-11-22

Family

ID=14741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856A KR100340962B1 (ko) 1993-05-20 1994-05-17 인화장치및인화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47382A (ko)
EP (1) EP0625426B1 (ko)
JP (1) JPH06328807A (ko)
KR (1) KR100340962B1 (ko)
DE (1) DE6941163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6926A (en) * 1993-09-06 1997-06-1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shaped label producing device
JPH07186476A (ja) * 1993-12-28 1995-07-25 Sony Corp リボンカートリッジ
FR2736864B1 (fr) * 1995-07-21 1997-09-12 Sagem Consommable a ruban pour machine du genre imprimante
FR2736863B1 (fr) * 1995-07-21 1997-09-12 Sagem Consommable a ruban pour machine du genre imprimante
US6457885B1 (en) * 1996-10-31 2002-10-01 Minolta Co., Ltd. Thermal transfer recording apparatus, ink film cassette and ink film reel
USD418860S (en) * 1996-12-30 2000-01-11 Minolta Co., Ltd. Cartridge
DE19881316B4 (de) * 1997-08-29 2006-08-17 Seiko Epson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Metallpulver durch Zerstäubung
JPH11309967A (ja) * 1998-04-27 1999-11-09 Sony Corp カード印刷装置
CA2488589A1 (en) * 2004-03-15 2005-09-1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ribbon cartridge
JP4613678B2 (ja) * 2005-04-19 2011-01-19 船井電機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29295B2 (ja) * 2012-02-21 2016-06-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US10183823B2 (en) 2016-03-18 2019-01-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ft mechanisms
JP6898593B2 (ja) * 2017-10-20 2021-07-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熱転写プリン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5218A (en) * 1984-10-29 1986-11-25 Ricoh Company, Ltd. Drive mechanism for thermal transfer type line recorder
US5079565A (en) * 1988-10-03 1992-01-07 Hitachi, Ltd. Thermal transfer printing apparatus and ink paper cassett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4216A (en) * 1966-12-05 1968-05-21 Friden Inc Resiliently mounted font wheel
US4218151A (en) * 1976-10-14 1980-08-19 Lrc, Inc. Serial impact calculator printer
JPS57201686A (en) * 1981-06-05 1982-12-10 Sony Corp Color printer
JPS6049977A (ja) * 1983-08-31 1985-03-19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S6096480A (ja) * 1983-10-31 1985-05-30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S60172576A (ja) * 1984-02-20 1985-09-06 Canon Electronics Inc プリンタ
JPS6151380A (ja) * 1984-08-20 1986-03-13 Ricoh Co Ltd インク媒体の色数自動判別機構
JPS61184249A (ja) * 1985-02-08 1986-08-16 Ricoh Co Ltd 回転伝達機構
JPS61184248A (ja) * 1985-02-08 1986-08-16 Ricoh Co Ltd 回転伝達機構
JPS61195881A (ja) * 1985-02-27 1986-08-30 Hitachi Ltd 熱転写型プリンタ
GB2195956B (en) * 1986-10-07 1991-02-13 Seiko Epson Corp Thermal transfer printer
JP2607512B2 (ja) * 1987-04-13 1997-05-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インク紙カセツト
US4970531A (en) * 1987-02-13 1990-11-13 Hitachi, Ltd. Thermal transfer printer
JP2557906Y2 (ja) * 1987-08-26 1997-12-17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プリンタ
DE3881156T2 (de) * 1987-11-06 1993-10-07 Victor Company Of Japan Anordnung zur thermischen Aufzeichnung.
JP2535477Y2 (ja) * 1987-11-25 1997-05-14 株式会社リコー 感熱記録装置
US5037218A (en) * 1987-12-14 1991-08-06 Hitachi, Ltd. Thermal transfer printer capable of using and detecting a plurality of multicolor ribbons
JP2514547Y2 (ja) * 1988-02-26 1996-10-23 ミノルタ株式会社 熱転写記録装置
JPH01249477A (ja) * 1988-03-31 1989-10-04 Sony Corp プリンタ
JPH01249486A (ja) * 1988-03-31 1989-10-04 Sony Corp プリンタ
JP2675082B2 (ja) * 1988-07-08 1997-1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熱転写記録装置
US5087137A (en) * 1988-07-19 1992-02-11 Datamax Corporation Ribbon assembly including indicia to identify operating parameters and ribbon depletion
JPH0255179A (ja) * 1988-08-22 1990-02-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クシート搬送装置
US5035325A (en) * 1989-07-18 1991-07-30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Cassette for thermal transfer printing film
JPH03292177A (ja) * 1990-04-11 1991-12-24 Minolta Camera Co Ltd 熱転写記録装置
JP3057532B2 (ja) * 1992-02-14 2000-06-26 ソニー株式会社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5218A (en) * 1984-10-29 1986-11-25 Ricoh Company, Ltd. Drive mechanism for thermal transfer type line recorder
US5079565A (en) * 1988-10-03 1992-01-07 Hitachi, Ltd. Thermal transfer printing apparatus and ink paper casse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47382A (en) 1995-09-05
EP0625426A3 (en) 1995-11-08
JPH06328807A (ja) 1994-11-29
EP0625426B1 (en) 1998-07-15
DE69411631T2 (de) 1998-11-26
DE69411631D1 (de) 1998-08-20
EP0625426A2 (en) 1994-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0962B1 (ko) 인화장치및인화방법
US5743663A (en) Record medium feeding in a color thermal printer
US6232993B1 (en) Tape printers and printing medium containing cassettes
KR100289879B1 (ko) 비디오프린터및인화방법
JPH04351159A (ja) 記録装置
US5544965A (en) Printer
KR0133922B1 (ko) 프린터
US52498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transfer recording and ink paper cassette therefor
US5913623A (en) Recording apparatus
EP0841180A2 (en) Recording apparatus
JP3336676B2 (ja) プリンタ
JP2915710B2 (ja) プリンタ
JPH06328825A (ja) プリンタ
JPH06328806A (ja) プリンタ
JP2570854B2 (ja) 記録装置
JPH06344609A (ja) プリンタ
KR950004921Y1 (ko) 기록장치
JP2679341B2 (ja) 記録装置
JP2000006488A (ja) 熱転写プリンタ用カセット
JP3752813B2 (ja) 給紙装置
EP0841183A1 (en) Recording apparatus
JP2000001013A (ja) 熱転写プリンタ
JP2822390B2 (ja) プリンタ
JP3470202B2 (ja) 熱転写画像形成装置
JPH058858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