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16029A1 -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16029A1
WO2014116029A1 PCT/KR2014/000636 KR2014000636W WO2014116029A1 WO 2014116029 A1 WO2014116029 A1 WO 2014116029A1 KR 2014000636 W KR2014000636 W KR 2014000636W WO 2014116029 A1 WO2014116029 A1 WO 201411602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063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안병훈
배준성
구창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0730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6047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14741185.4A priority Critical patent/EP2797142B1/en
Priority to CN201480000767.2A priority patent/CN104126242A/zh
Priority to PL14741185T priority patent/PL2797142T3/pl
Priority to JP2014558703A priority patent/JP6120382B2/ja
Priority to US14/297,756 priority patent/US9583756B2/en
Publication of WO201411602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16029A1/ko
Priority to US15/403,678 priority patent/US1026324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01M4/0435Rolling or calen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a multilayer active material layer having different rolling densities and average particle size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the secondary battery has recently been used as a power source for a device that requires a large amount of power, such as an electric vehicle (EV) or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nd its use area is also expanded to a power auxiliary power supply through gridization. It is becoming.
  • EV electric vehicle
  • HEV hybrid electric vehicle
  • Lithium metal has been used as a negative electrode of a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y, but the reversible intercalation of lithium ions while maintaining structural and electrical properties while being known for a short circuit of the battery due to dendrite formation and the danger of explosion due to this is known ) And replaceable carbon-based compounds.
  • the carbon-based compound has a very low discharge potential of about -3 V relative to the standard hydrogen electrode potential, and exhibits excellent electrode life due to the very reversible charge and discharge behavior due to the uniaxial orientation of the graphite layer. Indicates.
  • the electrode potential during Li ion charging may exhibit a potential similar to that of pure lithium metal as 0 V Li / Li +, there is an advantage that higher energy can be obtained when configuring an oxide-based anode and a battery.
  • the negative electrode for the secondary battery prepares one type of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in which a carbon material, which i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3, and a conductive material and a binder are mixed as necessary, and then the slurry is monolayered on an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 such as copper foil. It is prepared by the method of coating and drying. At this time, during the slurry coating, a pressing process is performed to compress the active material powder onto the current collector and to uniform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see FIG. 1).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gative electrode having improved ion mobility into the electrode by including a multilayer active material layer in the negative electrod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charging and lif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by including the negative electrode.
  •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multilayer active material layer formed o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wherein the multilayer active material layer comprises a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ncluding a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seco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ncluding a seco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er rolling density and a relatively larger average particle size than the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negative electrode is provided.
  • the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ultilayer active material layer including two kinds of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having different rolling densities and average particle size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so that the porosity of the electrode surface after the rolling process ( porosity), and the ion mobility inside the electrode can be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charging characteristics and lifespan characteristics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composed of a conventional single layer active material layer.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consisting of a multilayer active material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graph measuring charging characteristics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2.
  • FIG. 3 is a graph measuring charging characteristics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2.
  • a cath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21, as shown in the schematic diagram shown in FIG. And a multilayer active material layer formed o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wherein the multilayer active material layer includes a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 including a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23; And a seco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B including a seco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24 having a relatively lower rolling density and a relatively larger average particle size than the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A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 B including a seco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24 having a relatively lower rolling density and a relatively larger average particle size than the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the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ultilayer active material layer including two kinds of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having different rolling densities and average particle size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so that the porosity of the electrode surface after the rolling process ( porosity), and the ion mobility inside the electrode can be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charging characteristics and lifespan characteristics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Calcined carbon; Copper; Stainless steel surface-treated with carbon, nickel, titanium or silver; Aluminum-cadmium alloys; Non-conductive polymer surface-tre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And it may be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nductive polymer.
  • the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seco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have a theoretical maximum limit capacity of 372 mAh / g (844 mAh / cc) so as to ensure high energy density.
  • crystalline carbon such as artificial graphite; Amorphous carbon such as soft carbon and hard carbon; Or mixtures thereof.
  • the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seco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be crystalline carbon such as natural graphite and artificial graphite of the same (same type) each having a spherical or pseudo-spherical shape, or may be different.
  • the average particle size ratio of the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seco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be 1: 9 to 5: 5.1, specifically 1: 1.3 to 1: 4 Can be.
  •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be about 20 ⁇ m or less, specifically,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0 ⁇ m to 18 ⁇ m,
  •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easured using, for example, a laser diffraction method.
  • the laser diffraction method can measure the particle diameter of several mm from the submicron region, and high reproducibility and high resolution can be obtained.
  • the average particle size (D 50 )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be defined as the particle size based on 50% of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 the rolling density ratio of the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o the seco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1.1: 1 to 3: 1, preferably 1.1: 1 under a pressure of 12 to 16 MPa. To 1.5: 1.
  • the rolling density of the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seco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rolling density ratio of the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seco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atisfying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 the rolling density of the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referably has a density of 1.4 to 1.85 g / cc at a pressure of 12 to 16 MPa
  • the rolling density of the seco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t a pressure of 12 to 16 MPa. It is preferred to have a density of 1.4 to 1.6 g / cc.
  • the rolling density compares the degree of particle deforma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hen the rolling density is lowered, the lower the rolling density value, the better the compressive strength.
  • Rolling density measurement of the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seco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be measured using, for example, a powder resistance meter MCP-PD51 of Mitsubishi Chemical. In the case of the powder resistance meter, a constant amount of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owder is put in a cylinder type load cell, and a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At this time, the density is measured while the particles are pressed. The greater the particle strength, the less pressed it is at the same pressure, resulting in a lower rolling density.
  • the compressive strength ratio of the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o the seco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2: 8 to 5: 5.1, specifically 2: 8 to under a pressure of 12 to 16 MPa. 4: 7 range.
  • the porosity of the total volume of the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for example, the ratio containing the pore size of 0.1 to 10 ⁇ m is about 10 to 50% by weight, the porosity in the total volume of the second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about 10 To 50% by weight.
  • the pore size and / or porosity of the second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be relatively large or higher than that of the prim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 the size of the gap between the active material of the prim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active material is 0.4 to 3 ⁇ m
  • the pore size between the active material and the active material may be 0.5 to 3.5 ⁇ m.
  •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low rolling density and a larger average particle size on the prim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de of the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having a higher rolling density and a smaller average particle size than the seco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the second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d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By forming the second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d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porosity of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increased, preventing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during the rolling process, and improving the pore structure inside the electrode.
  • the porosity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in the vicinity of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may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ion mobility inside the electrode. This phenomenon may become worse as the electrode thickness of the cathode becomes thicker, or as the density becomes higher.
  •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having a different rolling density and average particle size has a different stress than the prim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 the second or mor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having a high stress in particular, the second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has a low rolling density.
  •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pplied near the surface is excellent, the pressing phenomenon of the electrode surface during rolling may be alleviated. Therefore, since the porosity of the electrode surface, that is, the second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becomes higher than that inside the electrode, that is, the prim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on mobility into the electrode becomes advantageous, and ion mobility can be improved (FIG. 2). Reference).
  • the first and seco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a binder, and the like as necessary.
  • the conductive material may include nickel powder, cobalt oxide, titanium oxide, carbon, and the like.
  • the carbon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Ketjen black, acetylene black, furnace black, graphite, carbon fiber and fullere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 the binder may be any binder resin conventionally used in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idene fluoride, carboxymethyl cellulose, methyl cellulose and sodium polyacrylate. Mixtures of two or more thereof.
  • the method may also apply a seco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before the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is dried. That is, the applying of the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and the seco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may be performed without a drying step, and the drying and rolling of the applied slurry may also be performed at once.
  • the roll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nder the same process conditions as in the conventional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 the pore size inside the prim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before the rolling process is about 1 to 20 ⁇ m, and the porosity in the total volume of the prim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about 50%.
  • the pore size within the prim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about 0.1 to 3 ⁇ m, and the porosity in the total volume of the prim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about 10% to about 50%.
  • the pore size of the inside of the second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before the rolling process is about 1 to 30 ⁇ m, the porosity in the total volume of the second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about 50%.
  • the pore size in the second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about 0.1 to 5 ⁇ m, and the porosity in the total volume of the second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about 10% to 50%.
  • the porosity ratio before rolling may be 5: 5.1 to 4: 6, and the ratio of porosity after rolling may be 5: 5.1 to 2: 8.
  • the pore size and / or porosity in the second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be relatively large or higher than that of the prim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for example, the porosity of the prim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second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 the ratio is 4: 6 (20%: 30%)
  • the pore size of the prim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be 0.4 to 3 ⁇ m
  • the pore size of the second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be 0.5 to 3.5 ⁇ m.
  • pores having a size of 0.1 to 10 ⁇ m serve to improve the rate of moisture in the electrolyte and the rate of delivery of lithium ions.
  • the porosity on the negative electrode after the rolling process for example, the porosity of 5 ⁇ m or more is reduced to 50% or less, thereby increasing the density.
  • the measurement of the porosit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t may be measured by Brunauer-Emmett-Teller (BET) measurement or Hg porosimeter (Hg porosimeter).
  • BET Brunauer-Emmett-Teller
  • Hg porosimeter Hg porosimeter
  • the porosity of the upper part of the negative electrode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lower part of the negative electrode even after the rolling process, so that the density of the upper part of the negative electrode Will be lowered. Therefore, the electrolyte solution can be easily impregnated into the electrode, and ion mo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Furthermore, even during a roll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later,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may be easily broken or pressed to maintain a form of an active material.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pared by encapsulating the negative electrode, the positive electrode, the separator and the electrolyte in a battery case by a general method.
  • the positive electrode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conventional positive electrode used in manufacturing a lithium secondary battery.
  • a slurry of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owder, a binder and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applied to an electrode current collector, dried, and then rolled to form. have.
  •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exampl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Mn 2 O 4 , LiCoO 2 , LiNiO 2 , LiFeO 2, and V 2 O 5 ,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is preferable. Moreover, it is good to use what can occlude and desorb lithium, such as TiS, MoS, an organic disulfide compound, or an organic polysulfide compound.
  • binder examples include polyvinylidene fluoride, carboxymethyl cellulose, methyl cellulose, sodium polyacrylate, and the like, and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acetylene black, furnace black, graphite, carbon fiber, and fullerene may be used as the conductive material. Can be mentioned.
  • any separator can be used as long as it is used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for example, polyethylene, a polypropylene, or these multilayer films, polyvinylidene fluoride, polyamide, glass fiber, etc. are mentioned.
  • dissolved lithium salt in the non-aqueous solvent is mentioned, for example.
  • non-aqueous solvent constituting the organic electrolyte, propylene carbonate, ethylene carbonate, butylene carbonate, benzonitrile, acetonitrile, tetrahydrofuran, 2-methyltetrahydrofuran, gamma butyrolactone, dioxolane, 4-methyldioxane Solan, N, N-dimethylformamide, dimethylacetoamide, dimethyl sulfoxide, dioxane, 1,2-dimethoxyethane, sulfolane, dichloroethane, chlorobenzene, nitrobenzene, dimethyl carbonate, methyl ethyl carbonate, diethyl
  • Non-aqueous solvents such as carbonate, methylpropyl carbonate, methyl isopropyl carbonate, ethylbutyl carbonate, dipropyl carbonate, diisopropyl carbonate, dibutyl carbonate, di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or
  • lithium salt examples include LiCl, LiBr, LiI, LiClO 4 , LiBF 4 , LiB 10 Cl 10 , LiPF 6 , LiCF 3 SO 3 , LiCF 3 CO 2 , LiAsF 6 , LiSbF 6 , LiAlCl 4 , CH 3 SO 3 Li,
  • One or two or more lithium salts selected from CF 3 SO 3 Li, (CF 3 SO 2 ) 2 NLi, chloroborane lithium, lower aliphatic lithium carbonate and lithium 4-phenylborate can be used.
  • th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is a (co) polymer such as polyethylene oxide, polypropylene oxide, polyacetonitril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thacrylate, polymethyl methacrylate, etc., which have excellent swelling property with respect to the organic electrolyte solution and the organic electrolyte solution.
  • a polymer such as polyethylene oxide, polypropylene oxide, polyacetonitril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thacrylate, polymethyl methacrylate, etc.
  • An example is included.
  •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high energy density, high output characteristics, improved safety and stability, it can be particularly preferably used as a constituent battery of a medium-large battery modul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dium-large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econdary battery as a unit cell.
  • the medium-large battery module may be preferably applied to a power source that requires high output and large capacity, such as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electric vehicle, and a power storage device.
  • the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rtificial graphite having a negative electrode density of 1.79 g / cc, 0.7 parts by weight of a conductive material (Super-P), 1.0 part by weight of a thickener (carboxymethyl cellulose) and a binder (at a pressure of 12.3 MPa).
  • Styrenebutadiene rubber 1.0 parts by weight was mixed to prepare a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 the seco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rtificial graphite having a negative electrode density of 1.51 g / cc, 0.7 part by weight of a conductive material (Super-P), 1.0 part by weight of a thickener (carboxymethyl cellulose), and 1.0 weight part of binders (styrene-butadiene rubber) were mixed, and the 2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was prepared.
  • the first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and the seco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were sequentially applied on a copper current collector, and then dried to form a multilayer active material layer in which primary and seconda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s were laminated.
  • the negative electrode in which the said multilayer active material layer was formed was rolled by the roll press. At this time, the cathode density was 1.6 g / cc. Also in the same manner, another negative electrode having a negative electrode density of 1.64 g / cc was obtained.
  •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iCoO 2
  • the binder polyvinylidene fluoride
  • the conductive material Super-P
  • a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by inserting a polyethylene separator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placing the polyethylene separator in a battery case, and then injecting an electrolyte solution.
  • the electrolyte solution was prepared by using a mixed solution of ethylene carbonate / ethyl methyl carbonate and diethyl carbonate (1 / 1/2 volume ratio) in which 1.0M LiPF 6 dissolved.
  •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rtificial graphite
  • a rolling density of 1.51 g / cc 0.7 parts by weight of a conductive material (Super-P)
  • a thickener carboxymethylcellulose
  • a binder styrene butadiene under a pressure of 12.3 MPa Rubber
  •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was coated on a copper current collector, and then dried to form a single layer active material layer. Thereafter, two kinds of negative electrodes and secondary batteries having a negative electrode density of 1.6 g / cc and 1.64 g / cc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a negative electrode having a negative electrode density of 1.6 g / cc and a secondary battery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having a negative electrode density of 1.79 g / cc was used when pressed with a force of 12.3 MPa.
  • Rolling density measurement of the particle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as measured by using a powder resistance meter MCP-PD51 of Mitshbishi chemical.
  • the powder resistance meter In the case of the powder resistance meter, a constant amount of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owder is put into a cylinder type load cell, and a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and the density measured by pressing the particles is measured. Therefore, the greater the strength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articles, the less the pressure at the same pressure, the lower the density appears. At this time, the pressure applied was about 12 to 16 MPa.
  •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as measured using a laser diffraction method.
  • Figure 4 shows the lif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ies having a negative electrode density of 1.6g / cc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 Figure 5 shows a negative electrode density of 1.64 g / cc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The lif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ies are shown.
  • the electrode of Example 1 having the electrode including the multilayer active material layer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roved ion mobility compared to the electrode of Comparative Example 1, thereby improving speed and cycle characteristics.
  • the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ultilayer active material layer including two kinds of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having different rolling densities and average particle size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so that the porosity of the electrode surface after the rolling process ( porosity), thereby improving ion mobility inside the electrode, and thus may be usefully applied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집전체; 및 상기 전극 집전체 상에 형성된 제1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1차 음극 활물질층과, 상기 1차 음극 활물질층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음극 활물질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연 밀도 및 상대적으로 큰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제2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2차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은, 전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의 압연 밀도 및 평균 입자 크기가 다른 두 종류의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다층 활물질층을 포함함으로써, 압연 공정 후에도 전극 표면의 공극률 (porosity)을 향상시켜, 전극 내부로의 이온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리튬 이차 전지의 충전 특성 및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음극 활물질의 압연 밀도 및 평균 입자 크기가 서로 다른 다층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의 고갈에 의한 에너지원의 가격 상승, 환경 오염의 관심이 증폭되면서, 친환경 대체 에너지원이 미래생활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원자력, 태양광, 풍력, 조력 등 자연 에너지를 이용한 다양한 전력 생산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렇게 생산된 에너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력저장장치 또한 지대한 관심이 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친환경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상기 이차 전지는 최근 전기자동차(EV)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 대용량 전력을 필요로 하는 장치의 동력원으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리드(Grid)화를 통한 전력 보조전원 등의 용도로도 사용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상기 대용량 전력을 필요로 하는 장치의 동력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단시간에 큰 출력을 발휘할 수 있는 특성과 더불어, 대전류에 의한 충방전이 단시간에 반복되는 가혹한 조건 하에서도 10년 이상 사용될 수 있어야 하는 등 높은 에너지 밀도와 우수한 안전성 및 장기 수명 특성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종래 이차 전지의 음극으로는 리튬 금속이 사용되었으나, 덴드라이트(dendrite) 형성에 따른 전지 단락과, 이에 의한 폭발의 위험성이 알려지면서, 구조적 및 전기적 성질을 유지하면서, 가역적인 리튬이온의 삽입(intercalation) 및 탈리가 가능한 탄소계 화합물로 대체되고 있다.
상기 탄소계 화합물은 표준 수소 전극 전위에 대해 약 -3V의 매우 낮은 방전 전위를 갖고, 흑연판층(graphene layer)의 일축 배향성으로 인한 매우 가역적인 충방전 거동으로 인해 우수한 전극 수명 특성(cycle life)을 나타낸다. 또한, Li 이온 충전 시 전극전위가 0V Li/Li+ 로서 순수한 리튬 금속과 거의 유사한 전위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산화물계 양극과 전지를 구성할 때, 더 높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이차 전지용 음극은 음극 활물질(13)인 탄소 재료와 필요에 따라 도전재 및 바인더를 혼합한 1종의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한 다음, 이 슬러리를 구리 호일과 같은 전극 집전체(11)에 단층으로 도포하고, 건조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때, 상기 슬러리 도포 시에는 활물질 분말을 집전체에 압착시키고, 전극의 두께를 균일화하기 위하여 압연 (press) 공정이 실시된다 (도 1 참조).
하지만, 종래 전극의 압연 공정시 음극 활물질 내부에 비해 표면의 눌림이 심화되면서, 표면의 공극(pore) 비율이 감소된다.
이러한 현상은 전극 두께가 두꺼울 경우 더욱 심화되어, 전극 내부까지 전해액의 함침이 어렵게 됨에 따라, 이온 이동 통로를 확보할 수 없어 이온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 지지 못하므로, 전지 성능 및 수명 특성 저하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극에 다층 활물질층을 포함함으로써, 전극 내부로의 이온 이동성이 향상된 음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극을 포함함으로써, 전지의 충전 특성 및 수명 특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집전체 ; 및 상기 전극 집전체 상에 형성된 다층 활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다층 활물질층은 제1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1차 음극 활물질층 ; 및 상기 제1 음극 활물질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연 밀도 및 상대적으로 큰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제2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2차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은, 전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의 압연 밀도 및 평균 입자 크기가 다른 두 종류의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다층 활물질층을 포함함으로써, 압연 공정 후에도 전극 표면의 공극률 (porosity)을 향상시켜, 전극 내부로의 이온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리튬 이차 전지의 충전 특성 및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단층 활물질층으로 이루어진 음극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활물질층으로 이루어진 음극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3은 실험예 2에 따라 실시예 1. 및 비교예 1과 2의 리튬 이차 전지의 충전 특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 및 5는 실험예 3에 따라 음극 밀도에 따른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리튬 이차 전지의 수명 특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은, 도 2에 나타낸 모식도에서와 같이, 전극 집전체(21) ; 및 상기 전극 집전체 상에 형성된 다층 활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다층 활물질층은 제1 음극 활물질(23)을 포함하는 1차 음극 활물질층(A); 및 상기 제1 음극 활물질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연 밀도 및 상대적으로 큰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제2 음극 활물질(24)을 포함하는 2차 음극 활물질층(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은, 전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의 압연 밀도 및 평균 입자 크기가 다른 두 종류의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다층 활물질층을 포함함으로써, 압연 공정 후에도 전극 표면의 공극률 (porosity)을 향상시켜, 전극 내부로의 이온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리튬 이차 전지의 충전 특성 및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먼저, 상기 전극 집전체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카본, 니켈, 티탄 또는 은으로 표면 처리된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카드뮴합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및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극에 있어서, 상기 제1 음극 활물질 및 제2 음극 활물질은 높은 에너지 밀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이론적 최대 한계 용량이 372 ㎃h/g (844 mAh/cc)인 천연 흑연(graphite) 및 인조 흑연과 같은 결정질계 탄소; 소프트 카본(soft carbon) 및 하드 카본(hard carbon)과 같은 비정질계 탄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음극 활물질 및 제2 음극 활물질은 각각 구형 또는 유사 구형을 가지는 동일 (동종)의 천연 흑연 및 인조 흑연과 같은 결정계 탄소여도 되고, 다른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에 있어서, 상기 제1 음극 활물질:제2 음극 활물질의 평균 입자 크기비는 1:9 내지 5:5.1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1.3 내지 1:4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제1 음극 활물질의 평균 입자 크기는 약 20 ㎛ 이하,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10 ㎛ 내지 18 ㎛ 범위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극 활물질의 평균 입자 크기는 예를 들어, 레이저 회절법(laser diffraction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회절법은 일반적으로 서브미크론(submicron) 영역에서부터 수 mm 정도의 입경의 측정이 가능하며, 고 재현성 및 고 분해성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음극 활물질의 평균 입자 크기(D50)는 입경 분포의 50% 기준에서의 입경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에 있어서, 상기 제1 음극 활물질:제2 음극 활물질의 압연 밀도비는 12 내지 16 MPa의 압력하에서 1.1:1 내지 3:1, 바람직하게는 1.1:1 내지 1.5:1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음극활물질과 제2 음극활물질의 압연 밀도는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제1 음극 활물질과 제2 음극 활물질의 압연 밀도비를 만족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제1 음극활물질의 압연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6 MPa의 압력하에서 1.4 내지 1.85 g/cc의 밀도를 갖고, 제2 음극 활물질의 압연 밀도는 12 내지 16 MPa의 압력하에서 1.4 내지 1.6 g/cc의 밀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연 밀도는 음극 활물질의 입자 변형이 되는 정도를 비교한 것으로, 동일 압력으로 압연하였을 때 압연 밀도 값이 낮을수록 압축 강도가 우수하다. 상기 제1 음극 활물질 및 제2 음극 활물질의 압연 밀도 측정은 예를 들어, Mitsubishi chemical의 분체저항 측정기 MCP-PD51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분체저항 측정기의 경우 실린더 타입 로드 셀(load cell)에 일정한 양의 음극 활물질 파우더를 넣고 힘을 지속적으로 가하며, 이때 입자가 눌리면서 측정되는 밀도를 측정한 것이다. 입자 강도가 클수록 동일 압력에서 덜 눌리게 되어 압연 밀도가 낮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에 있어서, 상기 제1 음극 활물질:제2 음극 활물질의 압축 강도비는 12 내지 16 MPa의 압력하에서 2:8 내지 5:5.1, 구체적으로 2:8 내지 4:7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음극 활물질층의 전체 부피에 대한 공극률, 예컨대 0.1 내지 10 ㎛ 크기의 공극이 포함된 비율은 약 10 내지 50 중량%이고, 상기 2차 음극 활물질층의 전체 부피 중에 공극률은 약 10 내지 50 중량%이다. 이때, 2차 음극 활물질층 중 공극 크기 및/또는 공극률은 1차 음극 활물질층의 그것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크거나, 높을 수 있다. 예컨대, 1차 음극 활물질층 및 2차 음극 활물질층의 공극률이 27%로 동일한 경우에, 상기 1차 음극 활물질층의 활물질과 활물질간의 공극의 크기는 0.4 내지 3 ㎛ 이며, 2차 음극 활물질층의 활물질과 활물질간의 공극 크기는 0.5 내지 3.5 ㎛ 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음극은 제2 음극 활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연 밀도가 높고 평균 입자 크기가 작은 제1 음극 활물질로 이루어진 1차 음극 활물질층 상에 상대적으로 압연 밀도가 낮고 평균 입자 크기가 큰 제2 음극 활물질로 이루어진 2차 음극 활물질층을 형성함으로써, 음극 활물질층 표면의 공극률을 높여, 압연공정 시 음극 활물질층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전극 내부의 공극 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종래와 같이 단층 활물질층으로 이루어진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 압연 공정 시 소프트 (soft) 하여 응력이 약한 단일 음극 활물질층의 특성으로 인하여 압력을 전극 내부까지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극 표면에 위치한 음극 활물질만 심하게 눌리게 된다. 예컨대, 상기 제2 음극 활물질과 같이 압연 밀도가 낮고 평균 입자 크기가 큰 단층 활물질층만으로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압연 공정 시 응력이 약한 단일 음극 활물질층의 특성으로 인하여 전극 표면에 위치한 음극 활물질만 심하게 눌리게 된다. 그 결과, 전극 표면 부근의 음극 활물질 사이의 공극률이 감소하여 전극 내부로의 이온 이동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음극의 전극 두께가 두꺼워지거나, 밀도가 높아질수록 심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압연 밀도 및 평균 입자 크기가 달라 응력이 높은 이종 이상의 음극 활물질, 특히 2차 음극 활물질층의 압연 밀도가 1차 음극 활물질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음극 활물질을 사용하게 되면, 전극 표면 부근에 도포되는 음극 활물질의 압축 강도가 우수할수록 압연 시 전극 표면의 눌림 현상이 완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내부, 즉 1차 음극 활물질층에 비해 전극 표면, 즉 2차 음극 활물질층의 공극률이 더 높아지게 되므로, 전극 내부로의 이온 이동성이 유리하게 되어, 이온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도 2 참조).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음극 활물질은 필요에 따라 도전재 및 바인더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전재는 니켈 분말, 산화 코발트, 산화 티탄, 카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카본으로는, 케첸 블랙, 아세틸렌 블랙, 퍼니스 블랙, 흑연, 탄소 섬유 및 플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는 종래에 리튬 이차 전지에 사용되는 모든 바인더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및 폴리아크릴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집전체 상에 제1 음극 활물질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건조하여 1차 음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음극 활물질층 상에 제2 음극 활물질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2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건조하여 2차 음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및 2차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된 전극 집전체를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제1 음극 활물질 슬러리가 건조되기 전 제2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도포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음극 활물질 슬러리와 제2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도포하는 단계는 건조단계 없이 연이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포된 슬러리를 건조하고, 압연하는 단계 또한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연 공정은 통상적인 전극 제조 방법과 동일한 공정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연 공정 전 상기 1차 음극 활물질층의 내부의 공극 크기는 약 1 내지 20 ㎛ 이고, 1차 음극 활물질층의 전체 부피 중 공극률은 약 50% 이다. 하지만, 압연 공정 후 1차 음극 활물질층 내부의 공극 크기는 약 0.1 내지 3 ㎛ 이고, 1차 음극 활물질층의 전체 부피 중 공극률은 약 10% 내지 약 50%이다.
또한, 상기 압연 공정 전 상기 2차 음극 활물질층의 내부의 공극 크기는 약 1 내지 30 ㎛ 이고, 2차 음극 활물질층의 전체 부피 중의 공극률은 약 50%이다. 하지만, 압연 공정 후 2차 음극 활물질층 내부의 공극 크기는 약 0.1 내지 5 ㎛ 이고, 2차 음극 활물질층의 전체 부피 중 공극률은 약 10% 내지 50%이다.
상기 1차 음극 활물질층과 2차 음극 활물질층에 있어서, 압연전의 공극률 비는 5:5.1 내지 4:6이고, 압연후의 공극률의 비는 5:5.1 내지 2:8일 수 있다.
또한, 2차 음극 활물질층 중의 공극 크기 및/또는 공극률은 1차 음극 활물질층의 그것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크거나, 높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1차 음극 활물질층 및 2차 음극 활물질층의 공극률의 비가 4:6(20%:30%)인 경우에, 상기 1차 음극 활물질층의 공극의 크기는 0.4 내지 3 ㎛ 이며, 2차 음극 활물질층의 공극 크기는 0.5 내지 3.5 ㎛ 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음극 활물질을 적용한 음극에서는 0.1 내지 10 ㎛의 크기의 공극이 전해액의 함습 속도와 리튬 이온의 전달속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래와 같이 단층 활물질층만으로 이루어진 음극을 이용하게 되면 압연 공정 후 음극 상의 공극률, 예컨대 5 ㎛ 이상의 공극 비율이 50% 이하로 감소되면서, 밀도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 공극률의 측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예를 들어 BET(Brunauer-Emmett-Teller) 측정법 또는 수은 침투법 (Hg porosimeter)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압연 밀도 및 평균 입자 크기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음극 활물질을 이용하는 다층 활물질층으로 이루어진 음극을 제공함으로써, 압연 공정 후에도 음극 상부의 공극률이 음극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음극 상부의 밀도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전극 내부로의 전해액 함침을 용이하게 하고, 이온 이동성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추후 전극 제조를 위한 압연 공정 시에도 전극 표면이 쉽게 부서지거나, 눌리지 않는 활물질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극과, 양극,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을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전지케이스에 봉입하여 제조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양극은 리튬 이차 전지 제조 시 사용되는 통상적인 양극이면 비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양극 활물질 분말, 바인더와 도전재를 혼합한 슬러리를 전극 집전체에 도포, 건조한 후, 압연하여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로는 예를 들면, LiMn2O4, LiCoO2, LiNiO2, LiFeO2 및 V2O5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TiS, MoS, 유기 디설파이드 화합물 또는 유기 폴리설파이드 화합물 등의 리튬을 흡장 및 탈리가 가능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바인더로는 폴리비닐리렌플루오라이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도전재로는 아세틸렌 블랙, 퍼니스 블랙, 흑연, 탄소 섬유, 플러렌 등의 전도성 조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로는 리튬 이차 전지에 사용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다층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아미드, 유리 섬유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리튬 이차 전지의 전해질로는, 예를 들면 비수성 용매에 리튬염이 용해된 유기 전해액 또는 폴리머 전해액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전해액을 구성하는 비수성 용매로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부틸렌 카보네이트, 벤조니트릴,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퓨란, 2-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 감마부티로락톤, 디옥솔란, 4-메틸디옥솔란,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토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 설포란, 디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니트로벤젠, 디메틸카보네이트, 메틸에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메틸프로필카보네이트, 메틸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에틸부틸 카보네이트, 디프로필 카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 카보네이트, 디부틸카보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등의 비수성 용매, 또는 이들 용매 중 두 종류 이상을 혼합한 혼합 용매, 또한 리튬 이차 전지용 용매로서 종래부터 알려진 것을 예로 들 수 있고, 특히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부틸 카보네이트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에 디메틸 카보네이트, 메틸에틸 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중 하나를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튬염으로는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보란리튬, 저급지방족카르본산리튬 및 4-페닐붕산리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리튬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전해액은 상기 유기 전해액과 상기 유기 전해액에 대하여 팽윤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폴리아세토니트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공)중합체가 포함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고에너지 밀도, 고출력 특성, 향상된 안전성 및 안정성을 발휘하므로, 특히 중대형 전지모듈의 구성 전지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이차 전지를 단위 전지로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모듈을 제공한다.
이러한 중대형 전지모듈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전력저장장치 등과 같이 고출력, 대용량이 요구되는 동력원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기재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2.3MPa의 압력을 가했을 때 음극 밀도가 1.79g/cc인 제1 음극 활물질(인조 흑연) 97.3 중량부와 도전재(Super-P) 0.7 중량부, 증점제(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0 중량부 및 바인더(스티렌부타디엔고무)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12.3 MPa의 압력을 가했을 때 음극 밀도가 1.51g/cc인 제2 음극 활물질 (인조 흑연) 97.3 중량부와 도전재(Super-P) 0.7 중량부, 증점제(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0 중량부 및 바인더(스티렌부타디엔고무)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구리 집전체 상에 상기 제1 음극 활물질 슬러리 및 제2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순차적으로 도포한 다음, 이를 건조하여 1차 및 2차 음극 활물질층이 적층된 다층 활물질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롤 프레스로 상기 다층 활물질층이 형성된 음극를 압연하였다. 이때, 음극 밀도는 1.6 g/cc였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음극 밀도가 1.64 g/cc인 또 다른 음극을 얻었다.
이어서, 양극 활물질(LiCoO2) 97.2 중량부, 바인더(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1.5 중량부 및 도전재(Super-P) 1.3중량부를 N-메틸피롤리돈에 분산시켜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슬러리를 알루미늄 집전체 상에 도포한 다음, 롤 프레스로 압연하여 양극 (양극 밀도: 3.4g/cc)을 제조하였다.
상기 음극과 양극 사이에 폴리에틸렌 세퍼레이터를 넣고, 이를 전지 케이스에 넣은 다음 전해액을 주입하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전해액은 1.0M LiPF6가 용해된 에틸렌 카보네이트/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1/2/1 부피비)의 혼합 용액을 사용하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12.3MPa의 압력을 가했을 때 압연 밀도가 1.51g/cc인 음극 활물질(인조 흑연) 97.3 중량부와 도전재(Super-P) 0.7 중량부, 증점제(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0 중량부 및 바인더(스티렌부타디엔고무)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구리 집전체 상에 상기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도포한 다음, 이를 건조하여 단층 활물질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극 밀도가 1.6 g/cc 및 1.64 g/cc인 2종의 음극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12.3MPa의 힘으로 눌렀을 때 음극 밀도가 1.79g/cc인 음극 활물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극 밀도가 1.6 g/cc인 음극 및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압연 밀도 및 평균 입자 크기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과 2에서 제조된 음극 활물질의 입자의 압연 밀도 측정은 Mitshbishi chemical의 분체저항 측정기 MCP-PD51을 사용하여 압연 밀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분체저항 측정기의 경우 실린더 타입 로드 셀(load cell)에 일정한 양의 양극 활물질 파우더를 넣고, 힘을 지속적으로 가하며, 이때 입자가 눌리면서 측정되는 밀도를 측정한 것이다. 따라서, 음극 활물질 입자의 강도가 클수록 동일 압력에서 덜 눌리게 되어 밀도가 낮게 나타나게 된다. 이때 가해지는 압력은 약 12 내지 16 MPa 정도로 나타났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과 2에서 제조된 음극 활물질의 평균 입자 크기는 레이저 회절법(laser diffraction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와 같이 측정된 입자의 압연 밀도 및 평균 입자 크기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압연 밀도(g/cc at MPa) 평균 입자 크기(㎛)
제1 음극 활물질 제2 음극 활물질 제1 음극 활물질 제2 음극 활물질
실시예 1 1.79 g/cc 1.51 g/cc 16 ㎛ 26 ㎛
비교예 1 1.51 g/cc 26 ㎛
비교예 2 1.79 g/cc 16 ㎛
(실험예 2. 충전 특성)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이차 전지의 충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 1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이차 전지를 23℃에서 정전류/정전압(CC/CV) 조건에서 4.2V, 0.05C까지 0.1C로 충전한 다음, 정전류(CC) 조건에서 3V까지 0.1C로 방전하고, 용량을 2회 측정하였다. 이후에는 정전류/정전압(CC/CV) 조건에서 4.2V, 0.05C까지 0.5C로 충전한 다음, 정전류(CC) 조건에서 3V까지 0.2C로 방전하여 0.5C-레이트 충전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즉, 도 3을 살펴보면 0.5C-rate 의 일정한 전류를 충전하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전지에 비하여 실시예 1의 전지의 정전류 충전 시간이 길게 나타났다. 따라서, 단층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을 구비한 비교예 1 및 2의 전지에 비하여 다층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을 구비한 실시예 1의 전지의 충전 특성이 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수명 특성)
상기 실험예 2의 조건으로 수행 한 후, 이후, 정전류/정전압(CC/CV) 조건에서 4.2V, 0.05C 까지 0.2C로 충전한 다음, 정전류(CC) 조건에서 3V까지 0.2C로 방전하였고, 이를 80회 사이클로 반복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수명 특성 결과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이때, 도 4에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과 2의 음극 밀도가 1.6g/cc인 이차 전지들의 수명 특성을 나타내었고, 도 5에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음극 밀도가 1.64 g/cc인 이차 전지들의 수명 특성을 나타내었다.
먼저, 도 4를 살펴보면, 음극 밀도가 1.6 g/cc로 낮을 때에는 단층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을 구비한 비교예 1 및 2의 전지, 및 다층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을 구비한 실시예 1의 전지 모두 유사한 수준의 수명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도 5를 살펴보면, 음극 밀도가 1.64 g/cc로 증가할 때에는 다층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전극을 구비한 실시예 1의 전극의 경우에는 음극 밀도가 높아도 음극 수명 특성은 우수하게 유지되는 반면, 단층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전극을 구비한 비교예 1의 전지의 경우에는 음극 밀도가 높아지면 수명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부터 얻어진 다층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전극을 구비한 실시예 1의 전극이 비교예 1의 전극에 비하여 이온 이동성이 향상되어 속도 및 사이클 특성이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은, 전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의 압연 밀도 및 평균 입자 크기가 다른 두 종류의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다층 활물질층을 포함함으로써, 압연 공정 후에도 전극 표면의 공극률 (porosity)을 향상시켜, 전극 내부로의 이온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리튬 이차 전지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1, 21: 전극 집전체
13: 음극 활물질
23: 제1 음극 활물질
24: 제2 음극 활물질
A: 1차 음극 활물질층
B: 2차 음극 활물질층

Claims (15)

  1. 전극 집전체; 및
    상기 전극 집전체 상에 형성된 다층 활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다층 활물질층은 제1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1차 음극 활물질층; 및
    상기 제1 음극 활물질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연 밀도 및 상대적으로 큰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제2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2차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음극 활물질 및 제2 음극 활물질은 각각 결정질계 탄소, 비정질계 탄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음극 활물질 및 제2 음극 활물질은 각각 구형 또는 유사 구형을 가지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음극 활물질 : 제2 음극 활물질의 평균 입자 크기비는 1:9 내지 5: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음극 활물질 : 제2 음극 활물질의 평균 입자 크기비는 1:1.3 내지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음극 활물질 : 제2 음극 활물질의 압연 밀도비는 12 내지 16 MPa의 압력하에서 1.1:1 내지 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음극 활물질 : 제2 음극 활물질의 압축 강도비는 12 내지 16 MPa의 압력하에서 2:8 내지 5: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 음극 활물질층의 공극률은 1차 음극 활물질층의 공극률에 비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음극 활물질은 각각 도전재 및 바인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10. 전극 집전체 상에 제1 음극 활물질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건조하여 1차 음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음극 활물질층 상에 제2 음극 활물질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2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건조하여 2차 음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및 2차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된 전극 집전체에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의 제조 방법.
  11. 전극 집전체 상에 제1 음극 활물질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 음극 활물질 슬러리 상에 제2 음극 활물질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건조하여 다층 음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층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된 전극 집전체에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의 제조 방법.
  12. 청구항 10 또는 11에 있어서,
    상기 2차 음극 활물질층의 공극률은 1차 음극 활물질층의 공극률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1차 음극 활물질층과 2차 음극 활물질층의 압연전의 공극률 비는 5:5.1 내지 4: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1차 음극 활물질층과 2차 음극 활물질층의 압연후의 공극률 비는 5:5.1 내지 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의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PCT/KR2014/000636 2013-01-25 2014-01-22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4116029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741185.4A EP2797142B1 (en) 2013-01-25 2014-01-22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CN201480000767.2A CN104126242A (zh) 2013-01-25 2014-01-22 锂二次电池用负极及包含该负极的锂二次电池
PL14741185T PL2797142T3 (pl) 2013-01-25 2014-01-22 Anoda do litowej baterii akumulatorowej i litowa bateria akumulatorowa ją obejmująca
JP2014558703A JP6120382B2 (ja) 2013-01-25 2014-01-22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US14/297,756 US9583756B2 (en) 2013-01-25 2014-06-06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5/403,678 US10263242B2 (en) 2013-01-25 2017-01-11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785 2013-01-25
KR20130008785 2013-01-25
KR10-2014-0007308 2014-01-21
KR1020140007308A KR101560471B1 (ko) 2013-01-25 2014-01-21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4/297,756 Continuation US9583756B2 (en) 2013-01-25 2014-06-06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6029A1 true WO2014116029A1 (ko) 2014-07-31

Family

ID=5122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0636 WO2014116029A1 (ko) 2013-01-25 2014-01-22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583756B2 (ko)
EP (1) EP2797142B1 (ko)
PL (1) PL2797142T3 (ko)
WO (1) WO2014116029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2460A (ja) * 2014-08-13 2016-03-31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負極、そしてこれらの製造方法
WO2016175560A1 (ko) * 2015-04-29 2016-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소자용 전극 및 상기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KR20170002302A (ko) 2015-06-29 2017-01-06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부극 및 이차전지
US9806337B2 (en) 2015-01-15 2017-10-31 Nissan North America, Inc. Electrode structure having alternating composite layers
WO2018012940A1 (ko) * 2016-07-15 2018-0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8016785A1 (en) * 2016-07-18 2018-01-25 Lg Chem, Ltd. Method of preparing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pared thereby
CN108352501A (zh) * 2016-07-15 2018-07-31 株式会社Lg化学 负极和包含它的二次电池
CN114709363A (zh) * 2022-04-29 2022-07-05 三一技术装备有限公司 干法极片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373B1 (ko) * 2016-07-04 2019-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음극
US11043692B2 (en) 2016-07-04 2021-06-22 Lg Chem, Ltd. Negative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986626B1 (ko) 2016-08-26 2019-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53063B1 (ko) * 2016-10-12 2019-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각 층의 바인더의 함량과 활물질 입경이 상이한 다층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8093240A2 (ko) 2016-11-21 2018-05-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소자용 전극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365132B1 (ko) 2017-01-20 2022-02-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8179817A1 (ja) * 2017-03-31 2018-10-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WO2018179894A1 (ja) 2017-03-31 2018-10-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10038193B1 (en) 2017-07-28 2018-07-31 EnPower, Inc. Electrode having an interphase structure
KR102557446B1 (ko) 2017-11-07 2023-07-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304736B1 (ko) 2018-03-15 2021-09-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US20190296332A1 (en) * 2018-03-23 2019-09-26 EnPower, Inc. Electrochemical cells having one or more multilayer electrodes
US10790505B2 (en) * 2018-03-23 2020-09-29 EnPower, Inc. Electrochemical cells having improved ionic conductivity
US20190296335A1 (en) * 2018-03-23 2019-09-26 EnPower, Inc. Electrochemical cells having improved ionic conductivity
US10991942B2 (en) * 2018-03-23 2021-04-27 EnPower, Inc. Electrochemical cells having one or more multilayer electrodes
US20210013498A1 (en) * 2018-03-23 2021-01-14 EnPower, Inc. Electrochemical cells having improved ionic conductivity
US10833311B2 (en) 2018-07-03 2020-1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n anode structure containing a porous region
US10777842B2 (en) 2018-07-03 2020-09-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y with an anode structure containing a porous region
US10833357B2 (en) 2018-07-03 2020-1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ttery structure with an anode structure containing a porous region and method of operation
US10833356B2 (en) 2018-07-03 2020-1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Kinetically fast charging lithium-ion battery
CN112385059A (zh) * 2018-07-25 2021-02-19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负极和非水电解质二次电池
CN110867560B (zh) * 2018-08-28 2021-04-0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负极极片及二次电池
US10673093B1 (en) 2018-12-06 2020-06-02 Chongqing Jinkang Energy Vehicle Co., Ltd. Electric vehicle lithium batteries having non-uniform anode layer
KR20200096153A (ko) * 2019-02-01 2020-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WO2020163522A1 (en) * 2019-02-05 2020-08-13 EnPower, Inc. Multilayered electrodes having high charge and discharge rates
CN111668452B (zh) * 2019-03-06 2021-06-0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负极及其锂离子二次电池
US11569550B2 (en) 2019-04-05 2023-01-31 EnPower, Inc. Electrode with integrated ceramic separator
CN111952658B (zh) * 2019-05-15 2024-04-19 Sk新能源株式会社 锂二次电池
US10998553B1 (en) 2019-10-31 2021-05-04 EnPower, Inc. Electrochemical cell with integrated ceramic separator
US20210151761A1 (en) * 2019-11-18 2021-05-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ode and composition having tailored porosity for a lithium-ion electrochemical cell
JPWO2021117748A1 (ko) * 2019-12-13 2021-06-17
PL3958353T3 (pl) * 2020-04-30 2023-10-23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Bateria wtórna, sposób jej wytwarzania i urządzenie zawierające baterię wtórną
US20220149340A1 (en) * 2020-11-12 2022-05-12 EnPower, Inc. Anode having high top layer sphericity
US11594784B2 (en) 2021-07-28 2023-02-28 EnPower, Inc. Integrated fibrous separator
CN115706202A (zh) * 2021-08-06 2023-02-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极、电极的制备方法和电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021A (ko) * 1998-05-13 1999-12-06 손욱 리튬 2차전지
US20070281214A1 (en) * 2006-06-02 2007-12-06 Hidesato Saruwatari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battery pack and rechargeable vacuum cleaner
KR20120020894A (ko) * 2010-08-31 2012-03-08 삼성전기주식회사 리튬 이온 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93487A (ko) * 2011-02-15 2012-08-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구조의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20130022867A1 (en) * 2010-05-12 2013-01-24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Electrode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3925B2 (en) * 2000-02-08 2004-05-11 Shin-Kobe Electric Machinery Co., Ltd.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secondary battery with electrodes having a specific thickness and porosity
JP2003077542A (ja) * 2001-09-05 2003-03-14 Mitsubishi Chemicals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5217095B2 (ja) * 2006-02-10 2013-06-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の製造方法、及び、電極の製造方法
JP2008059999A (ja) 2006-09-01 2008-03-13 Sony Corp 負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4665930B2 (ja) * 2007-03-29 2011-04-06 Tdk株式会社 アノード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4513822B2 (ja) * 2007-03-30 2010-07-28 Tdk株式会社 電極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JP2008277156A (ja) * 2007-04-27 2008-11-13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負極
JP5213015B2 (ja) 2007-09-04 2013-06-19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4505489B2 (ja) 2007-09-10 2010-07-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起動方法
JP5178111B2 (ja) * 2007-09-26 2013-04-10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電池およびパック電池
JP6029200B2 (ja) 2008-10-06 2016-11-24 日本カーボン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の製造方法
KR101105878B1 (ko) 2008-12-02 2012-01-16 주식회사 코캄 리튬 이차전지용 코어-쉘형 음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SG178580A1 (en) * 2009-09-03 2012-03-29 Molecular Nanosystem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aking electrodes having at least one functional gradient therein and devices resulting therefrom
KR101108185B1 (ko) * 2009-12-21 2012-0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US20110168550A1 (en) * 2010-01-13 2011-07-14 Applied Materials, Inc. Graded electrode technologies for high energy lithium-ion batteries
JP5673690B2 (ja) * 2010-12-06 2015-0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CN102263287B (zh) 2011-06-17 2013-05-08 东莞市迈科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多相结构石墨为负极材料的锂离子电池
CN102361069A (zh) 2011-09-30 2012-02-22 深圳市沃特玛电池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负极及其制造方法
JP5652384B2 (ja) * 2011-12-12 2015-01-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発熱定着ベルトに係る電極形成方法、発熱定着ベルトおよび定着装置
JP2014154317A (ja) * 2013-02-07 2014-08-25 Toshiba Corp 電極、非水電解質電池及び電池パッ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021A (ko) * 1998-05-13 1999-12-06 손욱 리튬 2차전지
US20070281214A1 (en) * 2006-06-02 2007-12-06 Hidesato Saruwatari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battery pack and rechargeable vacuum cleaner
US20130022867A1 (en) * 2010-05-12 2013-01-24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Electrode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same
KR20120020894A (ko) * 2010-08-31 2012-03-08 삼성전기주식회사 리튬 이온 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93487A (ko) * 2011-02-15 2012-08-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구조의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2460A (ja) * 2014-08-13 2016-03-31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負極、そしてこれらの製造方法
US9806337B2 (en) 2015-01-15 2017-10-31 Nissan North America, Inc. Electrode structure having alternating composite layers
WO2016175560A1 (ko) * 2015-04-29 2016-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소자용 전극 및 상기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US10644346B2 (en) 2015-04-29 2020-05-05 Lg Chem, Ltd. Electrode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KR20170002302A (ko) 2015-06-29 2017-01-06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부극 및 이차전지
WO2018012940A1 (ko) * 2016-07-15 2018-0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CN108352501A (zh) * 2016-07-15 2018-07-31 株式会社Lg化学 负极和包含它的二次电池
CN108352501B (zh) * 2016-07-15 2021-06-04 株式会社Lg化学 负极和包含它的二次电池
US11094937B2 (en) 2016-07-15 2021-08-17 Lg Chem, Ltd. Negative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WO2018016785A1 (en) * 2016-07-18 2018-01-25 Lg Chem, Ltd. Method of preparing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pared thereby
US11495780B2 (en) 2016-07-18 2022-11-08 Lg Energy Solution, Ltd. Method of preparing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pared thereby
CN114709363A (zh) * 2022-04-29 2022-07-05 三一技术装备有限公司 干法极片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97142A1 (en) 2014-10-29
US10263242B2 (en) 2019-04-16
EP2797142B1 (en) 2018-09-12
US9583756B2 (en) 2017-02-28
US20170125788A1 (en) 2017-05-04
US20140287316A1 (en) 2014-09-25
PL2797142T3 (pl) 2019-07-31
EP2797142A4 (en)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16029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560471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5041450A1 (ko) 다공성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6175560A1 (ko) 전기화학소자용 전극 및 상기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WO2019088672A1 (ko)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활물질, 상기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14119960A1 (ko) 구형 천연 흑연을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4189329A1 (ko) 다층의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5037867A1 (ko) 리튬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4014274A1 (ko) 탄소-실리콘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WO2014123385A1 (ko) 그래핀 리튬 이온 커패시터
WO2012165758A1 (ko) 리튬 이차전지
WO2014182036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7003083A1 (ko) 고출력 에너지 저장 장치용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고출력 에너지 저장 장치
US20140154584A1 (en) Sulfide-based solid battery
WO2014168327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4129720A1 (ko) 실리콘-금속 합금계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15199384A1 (ko) 리튬 이차전지
WO2014168398A1 (ko) 면적이 서로 다른 전극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16209014A1 (ko)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3008866A1 (ko) 다층 구조의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2086098A1 (ko) 그래핀-실리콘 복합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8194345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142261A1 (ko) 음극 제조방법 및 음극
WO2020149618A1 (ko)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WO2017082680A1 (ko)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7411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5870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411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