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68327A1 -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68327A1
WO2014168327A1 PCT/KR2014/001054 KR2014001054W WO2014168327A1 WO 2014168327 A1 WO2014168327 A1 WO 2014168327A1 KR 2014001054 W KR2014001054 W KR 2014001054W WO 2014168327 A1 WO2014168327 A1 WO 201416832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conductive polymer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105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수민
김은경
김제영
우상욱
김현욱
신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15552595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6504739A/ja
Priority to US14/761,704 priority patent/US9601777B2/en
Priority to EP14782986.5A priority patent/EP2985818B1/en
Priority to CN201480011795.4A priority patent/CN105009331A/zh
Publication of WO201416832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6832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7Electrodes based on electro-active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9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electro-active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conductive polym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negative electrode made of a carbon material or a lithium metal alloy, a positive electrode made of a lithium metal oxide, and an electrolyte in which lithium salt i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nstituting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itially lithium metal was used.
  • lithium has a problem of low reversibility and safety, and carbon materials are mainly used as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arbon materials have a smaller capacity than lithium metal, but have a small volume change, excellent reversibility, and an advantageous price.
  • Such a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has a limited conductivity, and when manufacturing the electrod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ncreases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by forming an empty spac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active material.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129983 discloses a cathode material for improving conductivity using carbon black, but the manufacturing method is complica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ductivity is also not enough.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the deterioration of the conductivity,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carbon-based negative active material, and to provide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at can easily manufacture the negative electrode.
  • It includes a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binder and a conductive polymer, the conductive polymer provides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iber form.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slurry by dispersing the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polymer in a solution in which the binder is dissolved; (B) applying the slurry on th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on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formed; And (C) drying the current collector applied in the step (B), wherein the conductive polymer has a fiber shape.
  • the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PEDOT / PSS as the conductive polym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rop in conductivity,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o easily control the produc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 FIG.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diagram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2 is a graph showing the life and efficiency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3 is a graph of the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binder, and a conductive polymer, and the conductive polymer has a fiber shape.
  • a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nventionally used may be used.
  • a carbonaceous material may be used as the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s the carbonaceous material, both low crystalline carbon and high crystalline carbon may be used.
  • the low crystalline carbon soft carbon and hard carbon are representative, and the high crystalline carbon is natural graphite, Kish graphite, pyrolytic carbon, liquid crystal pitch-based carbon.
  • High-temperature calcined carbon such as fibers (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meso-carbon microbeads, liquid crystal pitch (Mesophase pitches) and petroleum or coal tar pitch derived cokes.
  • the content range of the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generally used, i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20 to 95%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negative electrode.
  • the content ratio of the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atisfies the above range, the conductivity of the battery is excellent.
  • Binders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styrene-butadiene rubber (SBR), nitrile-butadiene rubber, methyl (meth) acrylate-butadiene rubber, chloroprene rubber, carboxy modified styrene-butadiene rubber, carboxy methylcellulose (CMC) and modified polyorgano Any one of the siloxane-based polymers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may be used, preferably styrene-butadiene rubber.
  • SBR styrene-butadiene rubber
  • CMC carboxy methylcellulose
  • the content range of the bind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generally used, but the binder is included in the remaining amount such that the total weight of the entire negative electrode is 100% by weight, and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other components. Can be.
  • PEDOT / PSS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 polystyrenesulfonate
  • the PEDOT / PSS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 polystyrenesulfonate
  • the conductive polym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3% by weight, preferably 0.5 to 2%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0.8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solid content of the negative electrode.
  • the content ratio of the conductive polymer satisfies the above rang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ductivity is prevented from dropping and the prepara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can be easily controlled.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repared by applying and drying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that is, an electrode slurry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binder, and a conductive polymer on a current collector. At this time, a dispersing agent or surfactant may be used as needed.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a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non-carbon lithium secondary battery; A positive electrode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electrolytes.
  • the lithium salt that may be included as an electrolyte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those which are commonly used in a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such as the lithium salt, the anion is F -, Cl -, Br - , I -, NO3 -, N (CN) 2 -, BF 4 -, ClO 4 -, PF 6 -, (CF 3) 2 PF 4 -, (CF 3) 3 PF 3 -, (CF 3) 4 PF 2 -, (CF 3) 5 PF -, (CF 3) 6 P -, CF 3 SO 3 -, CF 3 CF 2 SO 3 -, (CF 3 SO 2) 2N -, (FSO 2) 2 N -, CF 3 CF 2 (CF 3) 2 CO -, (CF 3 SO 2) 2 CH -, (SF 5) 3 C -, (CF 3 SO 2) 3 C -, CF 3 (CF 2) 7 SO 3 - , CF 3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ferably used as a unit cell of a medium-large batter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s well as a battery cell used as a power source for a small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 Applicable medium to large devices include a power tool; Electric vehicles including electric vehicles (EVs),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and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s); Electric motorcycles including electric bicycles (Ebikes) and electric scooters (E-scooters); Electric Golf Carts; Electric trucks; Electric commercial vehicles; And a power storage system.
  •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was prepared using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below using natural graphite as the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tyrene-butadiene rubber as the binder, and PEDOT / PSS as the conductive polymer. Thereafter, the prepared negative electrode mixture was added to N-methylpyrrolidone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which was then coated on a copper foil and dried at about 130 ° C. for 2 hours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 the sheet resistance of the negative electrode manufactured by the composition of Synthesis Examples 1 and 2 was measured by using a surface resistance measuring instrument (4 point probe), which is shown in Table 2 below.
  • a coin-type half cell was manufactured in a helium-filled glove box by using the negative electrode prepared in Synthesis Example 1 prepared above, a lithium counter electrode, a microporous polyethylene separator, and an electrolyte.
  • the electrolyte 1 M LiPF 6 was dissolved in a solvent in which ethylene carbonate and dimethyl carbonate were mixed at a volume ratio of 50:50.
  • a coin-type half cell (2016 R-type half cell)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athode prepared in Synthesis Example 2 was used.
  • Example 1 The half-cells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subjected to 50 cycles of charge / discharge at 0.5 C at 0 V to 1.5 V, and the change in the Coulomb effect and the charging capacity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2 (a) and 2 (b).
  • the battery of Example 1 maintains 98% or more of initial capacity change even after 50 cycles, whereas the variation of charging capacity of the battery of Comparative Example 1 drops to 97% or less. In this respect, it can be seen that the life of the battery of Example 1 is improved.
  • the life characteristics of the lithium ion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uperior to those of the prior art, and can be rapidly charged at a high charge / discharge rate.
  •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was measured while the half cells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subjected to high rate discharge at 5 C at 0 V to 1.5 V. The result is shown in FIG.
  • Example 1 had a resistance characteristic lower than about 8 compared to the battery of Comparative Example 1.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본계 음극 활물질, 바인더 및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화이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에 전도성 고분자로서 화이버 형태의 고분자를 적용함에 따라 카본계 음극 활물질의 단점인 도전성의 저하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고, 음극의 제조를 쉽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는 탄소 재료나 리튬 금속 합금으로 된 음극, 리튬 금속 산화물로 된 양극 및 유기용매에 리튬염을 용해시킨 전해질을 구비하며, 특히,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을 구성하는 음극 활물질로는 초기에는 리튬 금속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리튬은 가역성 및 안전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어, 현재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는 주로 탄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탄소재는 리튬 금속에 비해 용량은 작지만, 부피 변화가 적고 가역성이 뛰어나며 가격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카본계 음극 활물질은 한정된 도전성을 가지며, 전극 제조 시, 활물질간 경계 부분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전극의 저항을 증가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낮은 도전성의 개선을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 2012-0129983호의 경우, 카본 블랙을 이용하여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음극재료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제조 방법이 복잡하고, 전도성 역시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에 전도성 고분자를 적용함에 따라 카본계 음극 활물질의 단점인 도전성의 저하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고, 음극의 제조를 쉽게 할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본계 음극 활물질, 바인더 및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화이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카본계 음극 활물질 및 전도성 고분자를 바인더가 용해된 용액에 분산시켜 슬러리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슬러리를 음극활물질층이 형성된 집전체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도포된 집전체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화이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에 의하면, 전도성 고분자로서 PEDOT/PSS을 적용함에 따라 카본계 음극 활물질의 단점인 도전성의 하락을 방지하고, 음극의 제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전지의 수명 및 효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전지의 저항 특성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은 카본계 음극 활물질, 바인더 및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화이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본계 음극 활물질은 종래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카본계 음극 활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카본계 음극 활물질로 바람직하게는 탄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탄소재로는 저결정 탄소 및 고결정성 탄소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저결정성 탄소로는 연화탄소(soft carbon) 및 경화탄소(hard carbon)가 대표적이며, 고결정성 탄소로는 천연 흑연, 키시흑연(Kish graphite), 열분해 탄소(pyrolytic carbon), 액정 피치계 탄소섬유(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탄소 미소구체(meso-carbon microbeads), 액정피치(Mesophase pitches) 및 석유와 석탄계 코크스petroleum or coal tar pitch derived cokes) 등의 고온 소성탄소가 대표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본계 음극 활물질의 함량범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범위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음극 총중량 대비 20 내지 9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본계 음극 활물질의 함량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전지의 도전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는 종래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수계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바인더로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메트)아크릴산메틸-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카르복시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CMC) 및 변성 폴리오가노실록산계 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의 함량범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범위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상기 바인더는 전체 음극의 총 중량이 10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잔량으로 포함되므로, 다른 구성 성분의 함량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로는 화이버 형태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이버 형태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PEDOT/PSS(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EDOT/PSS(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는 티오펜(thiophene)의 구조에 에틸렌디옥시(ethylenedioxy) 그룹을 고리의 형태로 갖고 있으며, 공기나 열에 대한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종래의 음극 재료에 비하여 경량이므로, 전지를 경량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음극 중의 고형분에 대하여 0.1~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2 중량%로 포함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의 함량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도전성의 하락을 방지하고, 음극의 제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 즉, 음극활물질, 바인더 및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전극 슬러리를 전류 집전체 상에 도포 및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분산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는 비탄소계 리튬 이차 전지용 카본계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및 전해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함유 전이금속산화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Li(NiaCobMnc)O2(0<a<1, 0<b<1, 0<c<1, a+b+c=1), LiNi1-yCoyO2, LiCo1-yMnyO2, LiNi1-yMnyO2(O≤y<1), Li(NiaCobMnc)O4(0<a<2, 0<b<2, 0<c<2, a+b+c=2), LiMn2-zNizO4(0<z<2), LiMn2-zCozO4(0<z<2), LiCoPO4 및 LiFeP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산화물(oxide) 외에 황화물(sulfide), 셀렌화물(selenide) 및 할로겐화물(halide)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해액에 있어서, 전해질로서 포함될 수 있는 리튬염은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리튬염의 음이온으로는 F-, Cl-, Br-, I-, NO3-, N(CN)2 -, BF4 -, ClO4 -, PF6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 CF3CF2SO3 -, (CF3SO2)2N-, (FSO2)2N-, CF3CF2(CF3)2CO-, (CF3SO2)2CH-, (SF5)3C-, (CF3SO2)3C-, CF3(CF2)7SO3 -, CF3CO2 -, CH3CO2 -, SCN- 및 (CF3CF2SO2)2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는 휴대폰과 같은 소형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지셀은 물론, 다수의 전지셀 들을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모듈의 단위셀로도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적용 가능한 중대형 디바이스로는 파워 툴(Power Tool); 전기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를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기 트럭; 전기 상용차; 전력 저장용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하기에 개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 예시로써,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표시되었고, 더욱이 특허 청구범위 기록과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에서 함유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실시예
음극의 제조
카본계 음극 활물질로 천연흑연을, 바인더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및 전도성 고분자로 PEDOT/PSS을 사용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음극 합제를 제조하였다. 이후, 제조된 음극 합제를 N-메틸피롤리돈에 첨가하여 음극 활물질 슬러리로 제조한 후 이를 구리 포일에 도포하고 약 130℃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여 음극을 제조했다.
표 1
천연흑연(중량%) SBR(중량%) PEDOT/PSS (중량%)
합성예 1 93 6 1
합성예 2 92 5 0
PEDOT/PSS: Baytron P
상기 합성예 1 내지 2의 조성으로 제조된 음극의 면저항을 포면 저항 측정 장비(4 point probe)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이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표 2
음극 면저항(mΩ/m2)
합성예 1 46.9
합성예 2 16.1
반쪽 전지의 제조
[실시예 1]
상기 제조된 합성예 1에서 제조된 음극과, 리튬 대극, 미세다공성 폴리에틸렌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을 사용하여 헬륨 충진된 글로브 박스에서 코인 타입의 반쪽 셀(2016 R-type half cell)을 제조하였다. 상기 전해질은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디메틸 카보네이트를 50:50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에 1 M LiPF6를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상기 합성예 2 에서 제조된 음극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 타입의 반쪽 셀(2016 R-type half cell)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전지의 수명 및 효율 특성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반쪽 셀을 0 V 내지 1.5 V에서, 0.5 C로 충방전을 50 사이클을 실시하면서 쿨롱 효과 및 충전 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냈다.
도 2(a)를 살펴보면, 실시예 1의 전지는 비교예 1의 전지에 비하여 안정적으로 높은 쿨롱 효율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b)를 살펴보면, 실시예 1의 전지는 50 싸이클 후에도 초기 용량의 변화가 98% 이상을 유지하는데 반하여, 비교예 1의 전지의 경우, 충전 용량의 변화가 97% 이하로 떨어진다는 점에서, 실시예 1의 전지의 수명이 향상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온 전지의 수명 특성이 종래 기술보다 더 뛰어나며, 높은 충방전 속도에서 급속 충전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전지의 high rate에서 저항 특성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반쪽 셀을 0 V 내지 1.5 V에서, 5 C로 고율(high rate) 방전을 실시하면서 전지의 내부 저항을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냈다.
상기 도 3을 살펴보면, 실시예 1의 전지는 비교예 1의 전지에 비하여 약 8 이상 낮은 저항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3)

  1. 카본계 음극 활물질, 바인더 및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화이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PEDOT/PS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음극 중의 고형분에 대하여 0.1~ 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음극 중의 고형분에 대하여 0.5~ 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음극 중의 고형분에 대하여 0.8~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메트)아크릴산메틸-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카르복시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CMC) 및 변성 폴리오가노실록산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본계 음극 활물질은 연화탄소(soft carbon), 경화탄소(hard carbon), 천연 흑연, 키시흑연(Kish graphite), 열분해 탄소(pyrolytic carbon), 액정 피치계 탄소섬유(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탄소 미소구체(meso-carbon microbeads), 액정피치(Mesophase pitches) 및 석유와 석탄계 코크스(petroleum or coal tar pitch derived cokes)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8. (A) 카본계 음극 활물질 및 전도성 고분자를 바인더가 용해된 용액에 분산시켜 슬러리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슬러리를 음극활물질층이 형성된 집전체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도포된 집전체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 의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PEDOT/PS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음극 중의 고형분에 대하여 0.1~ 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음극 중의 고형분에 대하여 0.5~ 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음극 중의 고형분에 대하여 0.8~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13.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의 음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PCT/KR2014/001054 2013-04-08 2014-02-07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4168327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552595A JP2016504739A (ja) 2013-04-08 2014-02-07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US14/761,704 US9601777B2 (en) 2013-04-08 2014-02-07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EP14782986.5A EP2985818B1 (en) 2013-04-08 2014-02-07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CN201480011795.4A CN105009331A (zh) 2013-04-08 2014-02-07 锂二次电池用负极、其制造方法和包含其的锂二次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169 2013-04-08
KR20130038169A KR20140121953A (ko) 2013-04-08 2013-04-08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68327A1 true WO2014168327A1 (ko) 2014-10-16

Family

ID=51689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1054 WO2014168327A1 (ko) 2013-04-08 2014-02-07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01777B2 (ko)
EP (1) EP2985818B1 (ko)
JP (1) JP2016504739A (ko)
KR (1) KR20140121953A (ko)
CN (1) CN105009331A (ko)
WO (1) WO20141683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8083A (zh) * 2015-12-30 2016-03-23 益阳市万京源电子有限公司 一种具备高导电率高机械强度的电极浆料
CN105633359A (zh) * 2016-03-25 2016-06-01 山东精工电子科技有限公司 具有高倍率放电性能的负极浆料制备方法及其负极极片
KR20170117649A (ko) * 2016-04-14 2017-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전극용 보호막,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극 및 리튬 이차전지
CN106129416A (zh) * 2016-07-28 2016-11-16 华中科技大学 一种用于硅基锂离子电池负极的导电粘结剂及其制备方法
KR102248865B1 (ko) * 2017-04-06 2021-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48864B1 (ko) 2017-04-06 2021-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15399B1 (ko) * 2017-09-28 2021-10-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고분자 재료 및 그 제조방법
US10377849B2 (en) 2017-11-13 2019-08-13 Nissan North America, Inc. Ionic and electronic conducting binder for electrochemical devices
CN111354925B (zh) * 2018-12-21 2021-04-20 浙江伏打科技有限公司 具有碳纤维结构的碳绑定的锂离子导体-碳复合负极材料的合成
CN113372468B (zh) * 2021-07-05 2022-06-14 淄博鲁华泓锦新材料集团股份有限公司 聚异戊二烯胶乳的浓缩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7020A1 (en) * 2007-11-05 2009-05-07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Rapid microwave-solvothermal synthesis and surface modification of nanostructured phospho-olivine cathodes for lithium ion batteries
US20090305135A1 (en) * 2008-06-04 2009-12-10 Jinjun Shi Conductive nanocomposite-based electrodes for lithium batteries
KR20100103426A (ko) * 2009-03-12 2010-09-27 더 스와치 그룹 리서치 앤 디벨롭먼트 엘티디 희생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나노복합체 물질 및 이에 의해 생산된 개방 다공성 나노복합체
JP2011100594A (ja) * 2009-11-05 2011-05-19 Tayca Corp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導電助剤組成物、その製造方法、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極合剤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US20110229759A1 (en) * 2009-12-14 2011-09-22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Electrodes incorporating nanostructured polymer films for electrochemical ion storage
KR20120129983A (ko) 2010-07-02 2012-11-28 썬쩐 비티아르 뉴 에너지 머티어리얼스 아이엔씨이 리튬이온전지 음극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4404B2 (ja) * 2003-03-07 2012-06-27 株式会社デンソー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4752376B2 (ja) 2005-07-28 2011-08-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材料および負極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CN101438446B (zh) * 2006-05-04 2012-09-19 株式会社Lg化学 使用导电性聚合物复合材料的具有高容量和高功率的电化学贮能装置
JP2008016381A (ja) 2006-07-07 2008-01-24 Nissan Motor Co Ltd 電池用電極
EP2237346B1 (en) 2009-04-01 2017-08-09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Electrically conductive nano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sacrificial nanoparticles and open porous nanocomposites produced thereof
CN102522563A (zh) * 2011-12-30 2012-06-27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导电聚合物浸渍包覆的锂离子电池复合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
JP2013196910A (ja) 2012-03-20 2013-09-30 Denso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7020A1 (en) * 2007-11-05 2009-05-07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Rapid microwave-solvothermal synthesis and surface modification of nanostructured phospho-olivine cathodes for lithium ion batteries
US20090305135A1 (en) * 2008-06-04 2009-12-10 Jinjun Shi Conductive nanocomposite-based electrodes for lithium batteries
KR20100103426A (ko) * 2009-03-12 2010-09-27 더 스와치 그룹 리서치 앤 디벨롭먼트 엘티디 희생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나노복합체 물질 및 이에 의해 생산된 개방 다공성 나노복합체
JP2011100594A (ja) * 2009-11-05 2011-05-19 Tayca Corp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導電助剤組成物、その製造方法、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極合剤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US20110229759A1 (en) * 2009-12-14 2011-09-22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Electrodes incorporating nanostructured polymer films for electrochemical ion storage
KR20120129983A (ko) 2010-07-02 2012-11-28 썬쩐 비티아르 뉴 에너지 머티어리얼스 아이엔씨이 리튬이온전지 음극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04739A (ja) 2016-02-12
EP2985818A4 (en) 2016-04-13
KR20140121953A (ko) 2014-10-17
EP2985818A1 (en) 2016-02-17
US9601777B2 (en) 2017-03-21
EP2985818B1 (en) 2017-10-18
CN105009331A (zh) 2015-10-28
US20150364766A1 (en)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68327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6058151B2 (ja) 高容量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添加剤
WO2014189329A1 (ko) 다층의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2044133A2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WO2014204141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상기 음극활물질의 제조방법
WO2011159083A2 (ko) 전기화학소자용 전해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WO2012165758A1 (ko) 리튬 이차전지
WO2011062422A2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합제 및 이를 사용한 리튬 이차전지
WO2013073901A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WO2014182036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2015241A2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함유한 리튬 이차전지
WO2013048112A2 (ko) 안전성 및 수명특성이 향상된 양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6060300A1 (ko) 저온 특성 개선용 첨가제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4098419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13410510A (zh) 一种锂离子电池
WO2014077661A1 (ko)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4081249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4081254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2118338A2 (ko) 일체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CN113193233A (zh) 一种锂离子电池
WO2014081221A1 (ko) 리튬 이차전지
WO2012074299A2 (ko) 리튬 이차전지
CN113234403B (zh) 一种粘结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17061807A1 (ko) 전극조립체를 구성하는 분리막의 기공 내에 겔화 전해액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WO2014116084A1 (ko) 고전압 리튬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829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5259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61704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7829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7829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