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787B1 - 압축 여과기 - Google Patents

압축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787B1
KR950002787B1 KR1019870009592A KR870009592A KR950002787B1 KR 950002787 B1 KR950002787 B1 KR 950002787B1 KR 1019870009592 A KR1019870009592 A KR 1019870009592A KR 870009592 A KR870009592 A KR 870009592A KR 950002787 B1 KR950002787 B1 KR 950002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rame
filtration
filtrate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656A (ko
Inventor
테츠야 구리다
아츠미 다카시마
가츠타미 시바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리다기카이 세이사쿠쇼
테츠야 구리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20839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625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1000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65917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2753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808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2753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8081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9369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439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3190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0081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8334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48411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리다기카이 세이사쿠쇼, 테츠야 구리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리다기카이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880003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01D25/127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with one or more movable filter bands arranged to be clamped between the press plates or between a plate and a frame during filtration, e.g. zigzag endless filte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01D25/176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attaching the filter element to the filter press plates, e.g. around the central feed hole in th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01D25/21Plate and frame presses
    • B01D25/215Construction of the filter plates,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28Leaching or washing filter cakes in the filter 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 B01D25/282Leaching or washing filter cakes in the filter 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drying
    • B01D25/285Leaching or washing filter cakes in the filter 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drying by compression using inflat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0Feeding devices ;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축 여과기
제1도는 종래의 압축여과판에 대한 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여과판과 여과포의 조립체를 부분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각각 2개의 여과판과 여과포의 조립체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는 상태의 측면도와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간극유지부재를 설치하여 변형시킨 여과판과 여과포의 조립체에 대한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여과판과 여과포의 조립체에 대한 정면도,
제7도는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2개의 조립체가 배열되어 있는 상태의 측면도,
제8도는 제6도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간극유지부재를 갖춘 여과물 회수부재의 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나타낸 여과물회수부재의 측단면도,
제11도는 여과물회수부재에 간극유지부재가 설치되는 상태의 측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여과물회수부재의 정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XIII-XIII선에 따른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여과물회수부재에 간극유지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XV-XV선에 따른 단면도,
제16도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축여과기를 일부절개하여 나타낸 측면도,
제17도 및 제18도는 상기 압축여과기의 압축여과판의 일부가 여과포로 덮혀져 있는 상태의 정면도 및 제17도의 ⅩⅧ-ⅩⅧ선에 따른 압축여과기의 요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
제19도는 상기 실시예를 변형시킨 압축여과기의 요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
제20도는 상기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압축여과기의 여부에 대한 확대 측단면도,
제21도는 본 바령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압축여과기의 부분 측단면도,
제22도 내지 제27도는 각각 여러가지 변형예에 따라 여러개의 여과원액 공급구멍이 구비되어 있는 여과포의 정면도,
제28도는 다른 변형예에 따른 압축여과기의 주요부분의 부분 측단면도,
제29도는 제28도에 나타낸 주여과판과 여과포를 전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30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압축여과기를 부분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31도는 서로 인접하는 압축여과기 사이에 있는 1쌍의 여과포에 여과원액 공급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부분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제32도는 제5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여과포에 여과원액공급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33도 및 제34도는 각각 다른 변형예에 따른 압축여과기를 부분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제35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라 걸림수단이 설치된 여과포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36도는 제35도의 XXXVI-XXXVI선에 따른 단면도,
제37도는 제6실시예의 변형예를 제35도와 동일한 방식으로 나타낸 평면도,
제38도는 제37도의 XXXVIII-XXXVIII에 따른 단면도,
제39도는 제37도와 제38도에 나타낸 여과포를 전개시킨 정면도,
제40도는 제37도 내지 제39도에 나타낸 변형예에 따른 여과포지지 구조의 설명도,
제41도는 제40도의 좌측면도,
제42도는 코일스프링을 브래킷트에 설치할때 사용되어지는 지지금속편의 정면도,
제43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축여과기의 측면도로서 여러개의 여과판이 배열되어 있는 상태도,
제44도는 여과판의 평면도,
제45도는 안내레일에 안내되어 여기이 매달려 있는 여과판의 측면도,
제46도는 여과판의 횡단면도,
제47도는 지지붕과 와이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48도는 제5프레임의 하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49도는 프레임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50도는 제7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여과판의 요부에 대한 정면도,
제51도는 제7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여과판의 요부에 대한 정면도,
제52도 내지 제55도는 각각, 제7실시예의 또따른 변형예에 따른 여과판의 정면도와 측면도 및, 걸림 및 지지프레임의 정면도와 측면도,
제56도는 제7실시예의 또 하나의 다른 변형예에서 프레임의 모서리에 요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여과판과 여과포의 조립체 2 : 프레임
2a : 공간 2b : 브래킷트
2c : 여과물수집구멍 2d : 연결구
2e : 경사면 3 : 여과물회수부재
3a, 3b : 관통홀 4b, 4c : 여과포
5 : 간극유지부재 5a, 5c : 반쪽부재
5b : 돌기 5d : 구멍
6 : 간극유지부재 6a : 돌기
6c : 원판 8 : 여과체입버
9 : 보울트 101 : 앞스탠드
101a : 여과원액공급파이프 101b : 여과물회수파이프
102 : 뒤스탠드 103 : 이동판
104 : 사이드비임 105 : 여과포
105a : 여과원액공급구멍 106 : 여과판
107 : 압축여과판 108 : 프레임
108a : 내부공간 108b : 상부돌출부
108c, 108e : 연결구 108f : 여과물회수구멍
108g : 브래킷트 108f : 돌출부
108i : 노치부 108j : 경사진내표면
109 : 압축다이아프램 109a : 돌출부
109b : 여과원액공급구멍 111 : 여과체임버
201 : 앞스탠드 201a : 여과원액공급파이프
201b : 여과물회수파이프 201 : 뒤스탠드
203 : 이동판 203a : 여과원액공급파이프
203b : 여과물회수파이프 204 : 사이드비임
205 : 여과포 205a : 소통구멍
206 : 여과판 206a : 돌출부
206b : 여과물수집구멍 206c : 소통구멍
본 발명은 압축여과기를 개량시킨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압축여과기는 일반적으로 1쌍의 앞, 뒤스탠드와, 이 스탠드 사이에 배열되는 여러개의 여과판,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여과판 사이에 위치하는 쌍으로된 여과포 및 뒷스탠드의 1쪽 측면에 상기 여과판을 압축시키도록 배열되어 인접하는 여과판을 서로 압축 접촉시키는 이동판으로 이루어져 여과판을 압축시킴에 따라 여과원액이 서로 인접하는 여과판 사이에 형성되는 각각의 여과체임버속으로 압력을 받으면서 주입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압축여과기에 사용되는 여과판으로서 여러가지 형태의 여과판이 알려져 있는바, 예컨대 제1도에서 나타낸 여과판에 있어서는 사각형의 프레임(20a)에 여과층(20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펀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 여과층(20b)의 양쪽면에는 무수히 많은 요철홈(20c)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의 구조로된 여과판에 있어서는, 여과층(20b)이 프레임(20a)에 일체로 고정되어져 있기 때문에 여과판(20)의 전체무게가 무거워져 이 여과판(20)을 조작하기가 어렵게 되고, 또 여과판(20)을 이동시키는데 큰 구동력이 소요되게 되며, 전체 압축여과기의 제조 비용이 증가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여과를 할때 여과층의 양쪽면에 작용하는 여과압력에 차이가 있게 되면, 이 여과층이 프레임에 대해 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더 나아가서는 여과층이 파손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여과판을 프레임만으로 구성시켜 주고 이 프레임 내부에 여과층을 형성시키지 않으므로서 구조상 여과판의 무게를 가볍게할 수가 있고, 여과를 할때 프레임의 앞뒷면 사이에 압력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여과판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1쌍의 앞뒤스탠드와, 이들 스탠드사이에 배열되는 여러개의 여과판, 이들 여과판중의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여과판 사이마다에 위치하는 각각의 여과포 및 뒷스탠드의 1쪽 측면에 상기 여과판을 압축시키도록 설치되어 이 여과판에 압축력을 가하므로써 인접하는 여과판이 서로 접촉되도록 하는 이동판으로 구성된 압축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여과판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된 여과판에 있어서, 여과하고자 하는 인접한 2개의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이웃하는 각각의 여과포쌍 사이에 형성되는 여과체임버에 여과원액이 주입되면, 여과된 여과물은 여과포를 통과하여 프레임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로 들어가게 되고, 여과원액속에 함유되어 있던 여과찌꺼기는 여과체임버속에 남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각 실시예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제2도 내지 제5도에 자세히 나타내어져 있는바, 상기 도면에는 여과판과 여과포의 조립체가 도시되어져 있다.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여과기는 앞·뒤스탠드와, 이들 스탠드사이에 배열되는 여러개의 여과판, 서로 인접하는 여과판 사이사이의 각각에 배열되어 있는 1쌍의 여과포 및, 뒷스탠드의 1쪽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여과판에 압력을 가하여 이들 여과판이 서로 접촉 되도록하는 이동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여과판과 여과포의 조립체(1)는 여과판의 기능을 하는 프레임(2)과 1쌍의 여과포(4b, 4c)로 이루어지고, 이들 여과포 (4b, 4c)는 프레임(2)의 양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2)의 내부에는 공간(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서로 인접하는 여과판(프레임 : 2)과 양쪽의 여과포(4b, 4c)사이에 형성되는 여과체임버(8)속으로 여과원액이 주입되어 여과되어지면, 여과원액속에 함유되어 있던 여과찌꺼기는 여과포(4b, 4c)사이에 형성되는 여과체임버(8)내에 남게되는 한펀, 여과된 여과물은 각각의 여과포(4b, 4c)를 통과하여 각 프레임(2)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2a)속에 모여져 바로 프레임(2)의 아래로 흘러 내려가 포집되어지게 된다.
상기 프레임(2)은 그단면이 5각형으로 된 부재로 되어 길이방향의 중심부에서 각각 양쪽의 바깥쪽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면(2a)을 갖추고 있고, 또 프레임(2)의 양측면에는 브래킷트(2b)가 구비되어 앞·뒤스탠드사이에서 프레임(2)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사이드비임(도시안됨)에 상기 각각의 브래킷트(2b)가 걸려져 이 사이드비임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의 양측면 하단에는 여과물 수집구멍(2c)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가 갖추어져 있고, 이 여과물수집구멍(2c)은 프레임(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2a)과 연결구(2d)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여과포(4b, 4c)는 종래와 같이 여러가지 재질로 만들어질 수가 있으며, 커다란 여과포(4)의 원단을 프레임(2)의 윗쪽에서부터 뒤집어 씌워 프레임(2)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면을 둘러싸도록 하므로써 프레임(2)의 내부에 공간(2a)이 형성되도록 한다. 구리고 여과포(4b, 4c)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여과원액공급구멍(4a)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양쪽의 여과판(4b, 4c)은 상기 공급구멍(4a)의 주변에서 서로 봉합되어 있다.
상기한 바의 구조에 따른 여러개의 여과판과 여과포의 조립체는 앞뒤스탠드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사이드비임에 지지되어 자유로이 앞뒤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지고, 상기 이동판을 앞쪽으로 전진시켜 여과판을 앞스탠드 쪽으로 가압 밀착시킨 다음, 가압하에서 여과원액을 여과포(4b, 4c)의 원액공급구멍(4a)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여과포(4b, 4c)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여과체임버(8)속으로 주입시키면, 상기 원액은 여과포(4b, 4c)를 통과하면서 여과되어 여과물과 찌꺼기로 분리되게 된다. 상기 여과분리된 찌꺼기는 여과체임버(8)속에 남게 되고, 여과된 여과물은 여과포(4b, 4c)를 통과한 다음 프레임(2)의 공간(2a) 속으로 들어가 이여과포(4b, 4c) 자체를 타고 흘러내려가든지 아니면 공간(2a) 속에서 방울져 떨어져서 프레임(2)의 아랫쪽 부분으로 모여져 연결구(2d)를 타고 여과물수집구멍(2c)으로 들어가 포집되게 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르면, 여과판이 여과층을 구비하지 않고 프레임(2)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써 종래의 프레임(2)에 여과층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비해 무게가 가벼울 뿐만아니라 프레임(2)에 여과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서 여과를 할때 여과판의 앞뒷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차이가 나지 않게되어 여과판에 손상을 입히는 경우가 없어지게 된다.
상기 실시예는 여기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한바, 예컨대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여과포(4b, 4c)의 서로 마주보는 면사이에다 간극유지부재(5)를 설치하여 상기 여과포(4b, 4c)사이의 공간(2a)부가 임의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므로써 원액공급구멍(4a)을 통해 상기 여과체임버(8)속으로 여과원액을 용이하게 공급해주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간극유지부재(5)의 두께와, 형상, 갯수 및 위치는 임의의 적당한 수치로 한다.
또한 프레임(2)을 둘러싸고 있는 여과포(4b, 4c)는 1개의 커다란 시이트로 만드는 대신 상부와 하부가 서로 분리된 별개로 만들어 이들을 보울트 등과 같은 수단으로 체결시켜 프레임(2)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여과포(4b, 4c)를 프레임(2)에 매달아 지지시키지 않고 기타 다른 부재로서 대체할 수도 있다. 또 여과포(4b, 4c)에 형성된 원액공급구멍(4a)을 프레임(2)의 공간(2a)에 대향하는 중앙부에다 형성시키지 않고, 예컨대 윗면이나 아랫면에서 여과원액을 공급하도록 하여 여과면의 바깥에 여과원액의 공급구멍을 세팅시킬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2)의 형상을 4각형으로만 하지않고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도 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제6도 내지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제2실시예는 여과된 여과물의 회수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여과판에 여과물회수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바, 즉 제2실시예에 따른 여과판과 여과포의 조립체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둘러싸는 1쌍의 여과포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속에 위치하여 프레임이나 여과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여과물회수부재로 이루어져서, 여과포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여과물이 상기여과물회수부재를 따라 프레임의 아랫쪽으로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제6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면, 여과판과 여과포의 조립체(1)는 프레임(2)과, 이 프레임(2)의 내부에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여과물회수부재(3) 및, 상기 프레임(2)의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프레임(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2a)을 둘러싸도록 된 여과포(4)로 이루어지고, 상기 쌍으로된 여과포(4)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프레임(2) 사이에 삽입설치된다.
따라서 여과원액을 양쪽의 여과포(4) 사이에 형성된 여과체임버(8)속으로 주입시켜 여과시키면 여과포(4)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여과물은 프레임(2)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2a)속으로 모여져 상기 여과물회수부재(3)를 따라 프레임(2)의 바닥으로 내려가 여기서 포집되게 되고, 한편 여과찌꺼기는 여과포(4) 사이에 형성된 여과체임버(8)속에 남게 된다.
상기 프레임(2) 역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5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이의 안쪽에 바깥을 향하여 경사져 있는 경사면(2e)이 갖추어져 있으며, 프레임(2)의 양쪽 측면에는 앞,뒤스탠드 사이에 걸쳐 뻗어있는 사이드비임에 걸려져 지지되도록 하는 브래킷트(2b)가 갖추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2)은 브래킷트(2b)가 상기 스탠드를 따라 자유로이 앞뒤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2)의 측면 아랫쪽에는 여과물수집구멍(2c)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가 갖추어져 있고, 상기 여과물수집구멍(2c)은 연결구(2d)를 통하여 프레임(2)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2a)과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포(4b, 4c)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여러가지중에서 적절한 것으로 선택할 수가 있으며, 그 각각의 여과포는 프레임(2)의 양측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씌워져 프레임(2)의 내부에 공간(2a)을 형성시키도록 되어 있고, 이 여과포(4b, 4c)의 상단과 하단은 보올트(9)에 의해 프레임(2)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2)의 중심부와 일치하는 여과포(4b, 4c)의 중심부에는 원형의 원액공급구멍(4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원액공급구멍(4a)의 주변에서 상기 양쪽의 여과포(4b, 4c)는 함께 봉합되어 있다.
상기 여과물회수부재(3)는 게9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천으로 만들어져 프레임(2)의 내부에 있는 공간(2a)속에 위치하게 되고, 이 여과물회수부재(3)의 중심에는 여과포(4b, 4c)의 원액공급구멍(4a)과 연통하는 관통홀(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홀(3a)의 주변부위가 원액공급구멍(4a)의 주변부와 봉합되어져 여과물회수부재 (3)가 상기 여과포(4b, 4c)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여과포(4b, 4c)와 여과물회수부재(3)가 함께 진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여과포(4b, 4c)에 형성되어 있는 원액공급구멍(4a)의 주변부와 여과물회수부재(3)의 주변부가 서로 봉합되어져 있으므로서, 이 봉합부에서는 여과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물회수부재(3)는 적당한 두께와 강도를 갖추고 있어 이 여과물회수부재(3)가 여과포(4b, 4c)에 의해 지지되지 않더라도 상기 프레임(2)의 공간(2a)속에서 여과포(4b, 4c)와 평행을 이루면서 바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여과물회수부재(3)의 재질은 자연재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등과 같은 임의의 재료로 할 수가 있다. 그러나 가능한 가벼운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을 사용할 때에는 그물모양의 망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한 여과물회수부재(3)는 정면도로 보아 4각형으로 되어있지만 이의 형상을 원형이나 삼각형으로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여과물회수부재(3)와 프레임(2)의 경사면(2e)사이에는 적당한 간격이 주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여과물회수부재(3)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3a)의 주변상단에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간극유지부재(5)가 설치되어 프레임(2)의 내부에서 양쪽 여과포(4b, 4c)사이에 적당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여 여과물이 쉽게 여과포(4)를 관통하여 프레임 (2)의 공간(2a)속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간극유지부재(5)는 제11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2개의 반쪽부재(5a, 5c)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에 의해 여과물회수부재(3)에 설치되고, 상기 반쪽부재중의 한쪽부재(5a)에는 돌기(5b)가 형성되어 이 돌기(5b)가 여과물회수부재(3)에 형성된 관통홀(3b)을 관통하여 나머지 다른쪽부재(5c)의 구멍(5d)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여러개의 조립체(1)가 앞,뒤스탠드 사이에 있는 사이드비임에 걸쳐져 자유로이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에 따라, 이 조립체(1)들을 이동판으로서 앞스탠드쪽으로 압착시킨다음 여과원액을 여과포의 원액공급구멍(4a)을 통해 양쪽 여과포(4b, 4c)사이에 형성되는 여과체임버(8)속으로 주입시키면, 이 여과원액은 여과물과 여과찌꺼기로 분리되어 여과찌꺼기는 상기 여과체임버(8)속에 남게되고, 여과물은 각각의 여과포(4b, 4c)를 관통하여 프레임(2)속으로 들어간 다음 상기 여과물회수부재(3)를 따라 프레임(2)의 아래쪽으로 흘러 내려가서 연결구(2d)와 여과물수집구멍(2c)을 통하여 회수되게 된다.
상기한 제2실시예에 따른 여과판은 여과층이 프레임(2)의 내부에 갖추어져 있는 종래의 여과판보다 훨씬 가볍게 되고, 또한 여과물을 여과물회수부재(3)를 통해 아주 원활하게 회수할 수가 있게 된다. 더구나, 상기 여과물회수부재(3)에 불균일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일지라도 이 여과물회수부재(3)가 여과포(4)와 함께 움직여 불균일한 압력을 흡수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여과물회수부재(3)에는, 어떠한 손상도 가해주지 않게 된다.
상기 제2실시예는 여러가지로 변형이 가능한바, 에컨대 여과물회수부재(3)의 두께를 임의적으로 할 수가 있고, 제13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이의 크기를 프레임(2)의 표면(2e)보다 더 크게 하거나 프레임(2) 자체의 크기보다 더 크게할 수가 있다.
한편, 제6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은 프레임(2)의 표면(2e)과 여과물회수부재(3)의 주변과의 사이의 간격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여과물회수부재(3)의 갯수를 반드시 1개로만 하여야만 하는 것도 아니고 제12도의 측면도로 나타낸 제13도에서와 같이 2개 이상으로도 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여과물회수부재(3)를 2개이상 설치하면 프레임(2)의 공간(2a)속에 위치하는 여과포(4b, 4c)사이에 간격을 훨씬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여과물을 더욱 원활하게 회수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여과물회수부재(3)는 제12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4개의 모서리(A)와 같은 임의의 지점에서 여과포(4)와 봉합시킬 수가 있으며, 여과포(4b, 4c)에 보강패드 같은 것을 덧대어 봉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여과물회수부재(3)가 탄성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이를 여과포(4)나 프레임(2) 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두면 불균일한 압력을 흡수할 수가 있으며, 또 이는 망판이나 망판재질 또는 구멍이 없는 판재로도 만들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전극유지부재(6)는 여과포(4)와 원액의 특성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 간극유지부재(6)의 형태와 갯수 및 위치는 여러가지로 변형이 가능한바, 예컨대 제15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이 간극유지부재(6)로서 1쌍의 원판(6e)을 여과물회수부재(3)에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때 여과물회수부재(3)의 관통홀(3a) 주변에다 보울트(7)로 체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원판(6e)은 C자형판(6c, 6d)이 조합되어 구성되어지고, 이 C자형판의 각각은 원액공급오목홈(6b)를 갖추고서 이들의 표면에 배열되어 있는 물기 (6a)와 서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바, 따라서 여과판이 이동판에 의해 압축여과기의 앞스탠드쪽으르 압착되면 상기 원판(6e)의 돌기(6a)가 서로 접촉하게 되어 이 돌기 (6a)의 부합하는 오목홈(6b)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시키게 되고, 이 간극을 통하여 여과원액이 여과체임버(8)속으로 주입되게 된다.
제 3 실시예
제16도 내지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데네 여기서는 제 1실시예에서 보여준 것과 같은 여과판이 압축여과판과 압력수용판을 구비한 압축여과기에 사용되는 것이다.
제16도 및 제l7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축여과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바, 압력수용판으로서의 기능읕 갖춘 한쌍의 압축여과판(107)이 앞스탠드(101)와 뒤스탠드(102)와의 사이에 배열되어 있고, 각각 프레임 만으로서 구성된 여러개의 여과판(106)들이 압축여과판(107)들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각 압축여과판(107)과 각 여과판(106)은 한쌍의 사이드비임(104)으로부터 앞,뒷쪽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걸려져 지지되어 있고, 또 인접 여과판(106)들 사이 및 여과판(106)과 압축여과판(107) 사이에는 1쌍의 여과포(105)가 배열되어 있다.
이동판(103)은 여과판(106)의 제일 뒷쪽에 위치하여 앞쪽으로 전진 구동되면, 앞쪽에 있는 모든 여과판(106)과 압축여과판(107)들은 앞스탠드쪽으로 강제적으로 압착되게 된다. 그다음, 여과포(105)의 각 쌍들사이에 형성된 여과체임버속으로 여과원액을 주입시키면 압축여과판(107)의 압축 다이아프램(109)은 강제로 확장되게 되고, 이에따라 1쌍의 압축여과판(107)의 양쪽 압축다이아프램(109)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각 여과제임버내의 여과찌꺼기가 압축되면서 여과물이 회수되게 된다. 이다음에는 상기 이동판(103)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여과판(106)과 압축여과판(107)을 개방시키면 양쪽 여과포(105) 사이에 있는 여과찌꺼기를 빼낼수 있게 된다.
제16도에서 참조번호 101a는 앞스탠드(101)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원액공급파이프를 나타내며, 참조번호 101b는 앞스탠드(101)의 측면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여과물회수파이프를 나타낸다.
상기 각 압축여과판(107)은 하나의 프레임(108)만으로 이루어지며, 이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표면에는 압축다이아프램(109)들이 배열되어 있다.
또, 상기 프레임(108)은 5각형 단면으로된 하나의 부재로서 내면에 각각 바깥쪽으로 경사진 경사면(108j)이 형성되어 있고, 각 프레임(108)의 양쪽 측면 중앙부 가까이에는 압축여과기의 앞,뒤스탠드(101, 102) 사이에 설치된 사이드비임(104)에 걸려져 프레임을 지지해주는 하나씩의 브래킷트(108g)가 구비되어 있으며, 프레임(108)의 상부 및 하부 코너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08b)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부 돌출부(108b)중 하나와 양쪽 2개의 하부돌출부(108b)의 각각에는 여과물회수구멍(108f)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회수구멍은 연결구(108e)를 통해 여과포의 뒷표면과 압축다이아프램(109)의 앞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어있는 유격(遊隔)과 소통되며, 상기 연결구(108e)는 압축다이아프램(109)에 뚫린 여과물공급구멍(도시되지않음)과 연통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8)의 다른쪽 상부돌출부(108b)에는 압축유체공급구멍(108d)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은 연결구(108c)를 통해 프레임(108)의 내부공간(108a)과 연통되어 압축다이아프램(109)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108a)과도 연통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각 압축여과판(107)의 프레임(108)의 상부 중앙에는 일체적으로 형성된 돌출부(108h)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는 U자를 꺼꾸로 세워 놓은 것같은 모양으로 상향돌출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는 노치부(108i)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노치부(108i)는 여과원액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원액은 세로 방향으로 통과되어 상기 프레임(108)의 내부공간(108a)에 이르게 된다.
프레임의 앞뒤표면에는 공지의 압축다이아프램(109)이 배열되어 보올트(110)등에 의해 그 상부 및 하부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각 압축다이아프램(109)의 상부 중앙에 는 프레임(108)의 돌출부(108h)와 대향하는 돌출부(109a)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그 일부에는 프레임(108)의 노치부위(108i)와 대향하는 원형의 여과원액공급구멍 (109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여과원액공급구멍(109b)의 사이에는 프레임본체(108)가 끼워져 있고, 상기 공급구멍(109b)의 주변은 서로 긴밀히 봉합되어져 여과원액공급구멍(109b)을 통하여 흐르는 여과원액이 양쪽 압축다이아프램(109)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08a)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압축된 유체가 여과원액공급구멍(109b)의 근방으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압축다이아프램(109)들 사이에 위치하고, 프레임(108) 사이에 있는 압축유체공급공간(108a)을 완전하게 밀봉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여과판(106)은 압축여과판(107)의 프레임(108)과 대체로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여과판(106)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압축여과판(107)의 프레임(108)과 여과판(106) 사이의 한가지 다른점은 즉, 프레임(108)의 다른쪽 상부돌출부(108b)에는 압축유체공급구멍(108d)과 프레임(108)의 내부공간(108a)의 사이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결구(108c)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이에 따라서 압축유체가 여과판(106)의 프레임(108) 속으로 공급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상기 각 여과포(105)는 본발명의 관련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여러가지 재료들중 임의의 하나를 사용하면 되고, 이들 각 여과포(105)는 각 여과판(106)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배열되는바, 즉 프레임(108)의 내부공간(108a)이 상기 각 여과판(106)의 앞뒤에 배열된 한쌍의 여과포(105)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각 여과포의 상부중앙에는 원형의 여과원액공급구멍(105a)이 형성되어 여과판(106)의 노치부(108h)를 대향하고 있으며, 한쌍의 여과포(105)에 형성되어 있는 여과원액공급구멍(105a)의 둘레는 상기 여과포 사이에 끼워져 있는 여과판(106)과 마주대하고 있으며, 이 구멍(105a) 속으로 여과원액을 주입시키게 되는데, 이 원액은 앞스탠드(101)에 있는 여과원액공급파이프(101a)로부터 이송되어와 각 여과판(106)의 노치부(108i)의 내부에 있는 여과포(105)의 여과원액공급구멍(105a)과 압축여과판(107)의 압축다이아프램 (109)의 여과원액공급구멍(109a) 속에 있는 여과포(105)의 여과원액공급구멍(105a)들을 통하여 서로 인접한 2개의 여과판 및, 여과판(106)과 압축여과판(107) 사이에 위치하는 여과포(105)의 각 쌍들 사이에 형성된 여과체임버(111)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여과원액이 여과체임버(111) 속으로 구입되어 여과원액공급과정이 완료되게 되면, 압축된 유체가 각 여과판(106)과 압축여과판(107)에 형성되어 있는 압축유체공급구멍(108d) 속으로 주입되어 각 압축여과판(107)에서 상기 압축유체가 압축유체공급구멍(108d)으로부터 연결구(108c)를 통하여 한쌍의 압축다이아프램(109) 사이에 있는 압축유체공급공간(108a) 속으로 들어가서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압축다이아프램(109)을 강제적으로 확장시키게 된다.
여과체임버속에 있는 여과찌꺼기, 즉 제18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5개의 여과판 (106)들 사이와 여과판(106)과 압축여과판(107) 사이에 형성된 6개의 여과체임버내에 있는 여과찌꺼기들은 두개의 압축다이아프램(109) 사이에서 압축식으로 여과되게 된다. 상기한 여과 및 압축여과에 있어서 여과된 여과물은 압축여과판(107) 및 여과판(106)의 여과물회수구멍(108f)을 통해 수집되는 한편, 여과찌꺼기는 여과포(105)의 각 쌍들사이에 남게 된다.
제1차 압축여과과정을 마친후 이동관(103)을 뒤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모든 압축여과판(107)들과 모든 여과판(106)들을 동시에 개방시키던지 각 여과판(106)과 각 압축여과판(107)을 차례로 개방시켜 상기 각 판(106, 107)들을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킨다. 일단 각 여과판(106)과 각 압축여과판(107)이 개방되면 여과포(105)의 각 쌍들 사이에 잔류되어 있던 여과찌꺼기가 낙하되어 회수되고, 다음의 압축여과를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여과판(106)은 단 하나의 프레임본체(1O8)만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프레임본체(108)에는 한쌍의 여과포(105)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여과포(105)는 여과체임버(111)를 형성시키며, 또한 그 자체가 인접한 여과판(106)의 프레임(108) 내부에 있는 내부공간(108a) 속으로 자유로히 들어갈 수 있게끔 구성되어 있어서, 이에따라 여러개의 여과판(106)이 한쌍의 압축여과판(107)들 사이에 위치할때와 양 압축다이아프램(109)이 강제적으로 확장될때 압축다이아프램(109) 사이에 있는 한쌍의 여과포(105)가 각여과판(106)의 프레임속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양 압축다이아프램(109)이 확장됨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은 여과포 (105)의 각 쌍들의 앞뒤표면상에 가해지게 됨에따라 인접 여과판(106)들의 사이및 압축여과판(107)과 여과판(106)과의 사이에 있는 각 여과체임버(111)내의 여과찌꺼기를 확실하게 압축시킬 수 있게 된다.
압축여과판(107)과 여과판(106)을 교번식으로 배열시킬 필요가 없게 되며, 또 압축여과기 전체에 설치시켜야 하는 압축여과판의 수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가 있으며, 제조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 각 여과판(106)의 프레임(108)의 내부공간 (108a)내에서 여과포(105)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압축다이아프램(109) 사이에 위치한 여러개의 여과체임버(111)를 대체로 동일한 압력으로 압축시킬 수 있게되며, 이에 따라서 여과체임버(111)내에 있는 여과찌꺼기들은 대체로 균일하게 압축되게 된다. 또한 여과판(106)에는 프레임(108)과 여과층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다만 프레임(108)만으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프레임(108)내에 여과층이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압축여과기에서 보다는 여과판을 전체적으로 상당히 가볍게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3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한바, 예를들면 압축여과판(107)들 사이에 위치하는 각 여과판(106)의 프레임의 가로방향의 칫수가 작으면 작을수록 양 압축여과판(107)들 사이에 여과판(106)을 더 많이 배열할 수가 있어서 여과판들 사이에 형성되는 여과체임버(111)의 갯수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따라 여과효율도 개선되는 결과를 가져와서 더욱더 균일한 압축에 의한 여과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한쌍의 압축여과판(107)의 압축다이아프램(109)이 거의 동시에 강제적으로 확장되게 하는 대신에 제19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압축유체를 대용 압축여과판(107) (제19도에서 양쪽끝에 위치하는 압축여과판(107))의 압축유체공급 내부공간(108a) 속으로 주입시켜 압축다이아프램(109)을 강제적으로 확장시킨 다음, 상기 압축유체를 이들 상기 내부공간(108a)으로부터 제거시키는 한편, 이와동시에 그 압축유체를 나머지 압축여과판(107) (제19도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압축여과판(107))의 압축유체공급내부공간(108a) 속으로 주입시키면 압축다이아프램 (109)이 강제적으로 팽창되게 된다. 이렇게 하므로서 팽창되지 않고 다만 압력수용판의 압력수용표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압축다이아프램(109)과 팽창되는 압축다이아프램(109)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여과체임버(111)내에 있는 여과찌꺼기를 압축시키지 않고도 여과작업을 완수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압축여과판(107)은 압축다이아프램(109)으로 덮인 프레임(108)으로 구성된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제20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압축다이아프램(109)을 구비한 종래의 압축여과판(107')으로서 대치할 수도 있는바, 즉 여기서는 프레임(112a)과 거기에 일체로 고정된 여과층(112b)으로 구성된 여과판(112)을 의미한다.
또한 여과판(106)과 압축여과판(107)의 갯수와 두께에 따라 압축여과판(107)은 앞, 뒤스탠드 사이의 중앙에 배열할 수도 있고, 또는 앞스탠드쪽 또는 이동판쪽의 어느한쪽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압축여과판(107)의 압축다이아프램(109)은 압력수용판의 역할을 하는 이동판(103) 쪽으로 강제적으로 팽창되든지 또는 앞스탠드(101)에 고정되어 압력수용판 역할을 하는 첫번째만(113) 쪽으로 강제적으로 팽창되도록 하여 여과체임버(111)의 내부에 있는 여과찌꺼기를 압축시키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여과포(105)는 여과판프레임(108)과 같은 여러가지 공지의 방법으로 걸어 지지시킬 수가 있으며, 이 지지장치는 앞스탠드(101) 및 뒤스탠드(102)의 상부위에 위치하게 되고, 또한 상기 여과포(105)는 여과판에 고정시킬 수도 있고, 각 여과포 (105)에 있는 여과원액공급구멍(105a)은 프레임(108)의 내부에 있는 여과표면 또는 이 여과표면에서 떨어진 프레임(108)의 하부위에 위치시킬 수가 있는데, 즉, 소위 저면 주입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각 여과판(106) 및 압축여과판(107)은 4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등과 같은 임의적인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제 4 실시예
제21도 내지 제29도는 본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이 실시예에 따른 압축여과기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여과판들을 이용하고, 또 여과원액공급 구멍의 갯수와 위치를 여과 조건에 따라 원하는대로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여과원액의 공급압력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제21도 및 제22도를 참조하면, 한쌍의 사이드비임(204)이 앞,뒤스탠드(20l, 202)의 양측면 사이에 배열되어 있고, 이 사이드비임(204)에는 하나의 프레임만으로 구성된 여러개의 여과판(106)들이 앞뒤쪽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걸쳐쳐 있으며, 서로 인접하는 여과판(206)들 사이에는 1쌍의 여과포(20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여과포에는 여러개의 여과원액공급구멍(207)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공급구멍(207)은 그 형상이 여과판(206)의 여과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가장 뒷쪽에 위치하는 여과판(206)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열된 이동판(203)은 도시되지 아니안 임의의 구동시스템에 의해 앞쪽으로 이동되게 되고, 이에따라 모든 여과판(206)들이 앞스탠드쪽으로 압착되게 되고, 이다음 여과원액이 앞스탠드(201)에 있는 여과원액공급파이프(201a)로부터각 여과포(205)의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을 통해 여과포(205)의 각 쌍들 사이에 형성된 여과판체임버(209) 속으로 공급되어 여과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21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201b는 앞스탠드(20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여과물회수파이프이고, 참조부호 203a는 이동판(203)의 중앙부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여과원액공급파이프이며, 참조부호 203b는 이동판(203)의 하부위의 어느 한쪽측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여과물회수파이프이다.
상기 여과판(207)은 하나의 프레임만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프레임은 단면이 5각형으로 된 부재로서 안쪽에는 양쪽으로 경사진 경사면(206j)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프레임(206)의 각 측면부에는 사이드비임(204)에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걸쳐져 지시되는 브래킷트(206d)가 갖추어져 있어 이 상기 사이드비임(204)을 따라 자유로이 앞뒤쪽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여과판(206)과 각 하부코너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돌출부(206a)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돌출부(206a)에는 여과물수집구멍(206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집구멍(206b)은 연결구(206c)를 통하여 여과판(206)에 형성된 공간(206e)과 연결되어 있다. 각 여과판(206)의 앞뒷면에는 여과포(205)가 교체가능하게 배열되어 이 한쌍의 여과포(205)가 여과판(206)을 둘러싸 내부공간(206e)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각 여과포(205)를 교체가능하게 지지하는데에는 여러가지 공지의 종래식 방법이 있는데, 예컨대 핀과 같은 후크부재를 사용하여 여과판(206)의 프레임에 대항되도록 여과포(205)를 지지시키거나 또는 앞뒤스탠드(201, 202) 사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열된 지지장치를 사용하여 여과포(205)를 지지하는 방법, 또는 하나의 큰 여과를 여과판(206)의 위에서부터 덮어서 여과판(206)의 앞뒷면에 상기 여과포가 설치되도록 하는 방법등이 있다.
또한 제22도 내지 제2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여과포(205)에 형성된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은 각 여과판(206)의 공간(206e)에 해당하는 부위에서 여러가지의 상이한 갯수로 여러곳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말하자면, 제22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여과포(251)의 여과부분에 6개의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을 형성시킬때 3개씩의 여과원액공급구멍들로 구성된 2줄의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공급구멍들은 규칙적인 간격으로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여과원액공급구멍(207)에는 원형의 판통구멍이 갖추어져 있는데, 이 구멍은 여과포(251)의 양쪽 표면에 형성된 구멍과 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제23도에 있어서 여과포(252)에 형성된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의 갯수는 6개로서 즉, 제22도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한 갯수이다. 그러나 여기서의 여과원액공급구멍(207)들은 상하 2줄의 구멍이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으며, 여기서 2개의 상부 여과원액공급구멍들 사이의 상부중앙에 위치하는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은 양쪽의 구멍보다 약간 이래로 쳐져 배열되어 있다. 또한 제2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여과포(253)에 5개의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을 형성시킬 때에는 이 구멍들은 여과포(253)의 여과부위에 대해 대체로 균일한 위치로 배열시켜야 하며, 제25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여과포(254)에 4개의 여과원액공급구멍을 형성시킬때에도 이 구멍들이 여과포(254)의 여과부위에 대해 대체로 균일한 위치로 배열시켜야 한다.
또 제2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여과포(255)에 3개의 여과원액공급구멍을 형성시킬때에는 이 구멍들은 역삼각형 형상으로 배열시켜서 여과포(255)의 여과부위에 대해 대체로 균일한 위치로 배열되도록 하여야 하며, 제2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여과포 (256)에 2개의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을 형성시킬때에는 이 포트(207)들을 중앙부에 수직방향의 열로 배열시켜서 여과포(256)의 여과부위에 대해 대체로 균일한 위치로 배열되도록 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의 갯수와 위치는 여과조건에 따라 결정되어지는데, 즉 여과원액의 특성, 여과원액공급압력, 프레임의 여과부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여과원액공급구멍(207)들은 각 여과포(205)의 여과부에 대해 반드시 균일하게 배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의 직경은 예를들면 3mm 내지 30mm의 범위가 좋으며, 여과부위 면적을 감소시키지 않도록 가능한한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5도에 있어서, 상부우측부 및 하부좌측부에 위치하는 두개의 여과원액공급구멍(207')들은 각각 다른 구멍(207)들의 직경보다 그 직경을 더 크게할 수도 있고, 제27도에 있어서, 상부여과원액공급구멍(207')은 하부여과원액공급구멍(207)보다 직경이 약간 더 크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여러가지 갯수의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읕 갖춘 여러개의 여과포(205)들을 앞,뒤스탠드(201, 202)들 사이에 위치시키는바, 예컨대 제21도에서 중앙부에 위치하는 3개의 여과판(206)은 제22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은 6개의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이 형성된 한쌍의 여과포(251)를 중간여과판의 양측방에 배열시키며, 제25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각각 4개의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을 구비한 여과포(254)는 전방 여과판의 양측방에 배열시키고, 제27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은 2개의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을 구비한 한쌍의 여과포(256)는 후방여과판의 양측방에 배열시킨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을 가진 압축여과기에 있어서, 먼저 이동판(203)을 앞쪽으로 구동시켜 모든 여과판(206)들을 앞스탠드쪽으로 압축시키면 여과판(206)들이 서로 밀착되게 되고, 이어 앞스탠드(201)의 여과원액공급파이프(201a)로부터 앞스탠드 (201)의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한쌍의 여과포(205)에 형성된 여과원액공급구멍 (207)을 통해 제1여과체임버(209) 속으로 여과원액을 주입시킨 다음 제1여과체임버(209)가 어느정도 충전되면, 제2의 여과포쌍에 의해 형성된 제2여과체임버(209) 속으로 여과원액이 들어가게 된다. 이어 제2여과체임버(209)내에 여과원액이 어느정도 채워지면, 제3의 여과포(205)쌍에 형성되어 있는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을 통해 제3여과체임버(209)내로 여과원액이 주입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여과원액은 제1여과체임버로부터 마지막 여과체임버까지 순차적으로 주입되어 각 여과체임버에 완전하게 주입되고나면 각여과체임버내에서 여과작업이 시작되게 되는데, 각 여과체임버(209)내에 여과원액이 거의 가득차게 되면, 여과찌꺼기는 각쌍의 여과포(205) 사이에 남아있게 되는 반면, 여과된 여과물은 여과포(205)를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내려가 각 여과판(206)의 여과물수집구멍(206b)으로 들어가 포집되게 된다. 한 싸이클의 여과작업이 끝나면 이동판(203)이 뒷쪽으로 이동되면서 각 여과판(206)을 뒷쪽으로 이동시켜 주어 각 여과체임버에 남아있던 여과찌꺼기가 빠지게 되고, 다음 싸이클의 여과작업을 준비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여과판(206)은 프레임만으로 이루어지며, 여과판(206)의 프레임의 여과부에 해당하는 여과포(205)의 여과부에는 여러개의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각 여과포(205)는 여과판상에 교체가능하게 배열되어 있다. 그러므로 여과원액의 특성, 여과압력등과 같은 여과조건에 따라 여과원액의 공급조건을 변경시키려 할때에는 앞,뒤스탠드(201, 202) 사이에 배열된 여과판(206)을 그대로 두고 여과포(205)만을 다른 여과포(205)로 교체하면 되는데, 이 다른 여과포는 여과원액공급구멍의 형성위치가 다르고 갯수가 다른 것을 뜻한다.
따라서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의 갯수와 위치는 쉽게 조정할 수 있고, 이에따라 여과원액공급압력이 강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여과 효율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프레임의 여과부위에는 여러개의 여과원액공급구멍(207)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과원액이나 여과원액에서 발생한 가스는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을 통해 쉽게 빠져나갈 수가 있으며, 이에따라 여과체임버(209)내에 주입된 여과원액의 공급압력을 모든 여과체임버(209)에 걸쳐 균일하게 할 수가 있으므로 여과체임버의 갯수가 증가되더라도 여과원액공급부에 있는 여과체임버(209)와 그 반대편에 있는 여과체임버(209)와의 사이에서 발생하게 되는 여과원액공급압력의 차이는 감소하게 되며, 이에따라 일정하게 고정된 여과원액공급압력, 즉 고정된 여과압력을 각 여과체임버(209)에 가할 수 있어 여과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장치의 구조에 있어서 침전이 잘되는 입자를 함유하는 여과원액을 여과시킬때에는 여과체임버(209)의 하부에 있는 여과원액공급구멍이 일반적으로 막히기 쉬운데, 여과체임버의 하부에 단 하나만의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이 구멍은 곧 막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는 여과포의 상하부에 여러개의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이 형성되어 있어서, 각 하부여과원액공급구멍 (207)이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상부에 여러개의 여과원액공급구멍 (207)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여과원액의 공급압력, 즉 여과판(206)의 여과부의 여과압력이 대체로 균일하게 된다. 또한 여과판(206)의 프레임에는 여과층이 형성되지 않고, 하나의 프레임만으로 구성되어서 프레임내에 여과층이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여과기에 비해 매우 가벼운 여과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4실시예도 여러가지로 변형이 가능한바,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쌍의 여과포(205)들은 한쌍의 인접한 여과판(206) 사이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데, 이 여과포의 여과원액공급구멍(207)들을 세로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시키면 여과원액이 여과원액공급구멍(207)으로부터 여과체임버(209)내로 정학하게 주입되게 되며, 이러한 원액의 공급은 일정량에 달할때까지, 즉 원액을 공급받는 여과포(205)에 형성된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의 위치에까지 계속 공급되게 된다. 이다음 곧 여과원액은 앞쪽 여과포의 공급구멍(207)을 통하여 다음 여과체임버(209)로 주입되어 그곳을 채우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여과원액을 각 여과체임버(209)에 정확하게 주입시켜 채울 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특기할 것은 종래의 장치의 구조에 있어서는, 각 여과포가 다른 여과포들의 여과원액공급구멍들과의 위치가 일치되게 되는 단 1개만이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여과원액공급압력에 따라 여과원액이 앞쪽 여과체임버(209)에 충분히 주입되기 이전에 다음 여과체임버(209)로 주입되어지게 되어 어떤 여과체임버(209)에는 충분한 원액이 채워지게 되나 또다른 어떤 여과체임버(209)에는 여과원액이 충분히 채워지지 않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므로 여과원액이 균일하게 공급되지 않게되고 각 여과체임버에 균일한 여과원액이 채워지지 않기 때문에 여과효율이 낮아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의 상기 구조에 있어서는 이러한 단점들을 제거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여과원액은 앞스탠드(201)의 여과원액공급파이프(201a)를 통해 주입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이동판(203)의 여과원액공급파이프(203a)로부터 주입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여과원액을 상기양 파이프(201, 203a)로부터 동시에 주입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28도 및 제29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여과원액은 제28도에서 참조부호 261로 나타낸 여과판을 통해 주입시킬 수도 있는바, 이 여과판(261)은 압축여과기의 중앙에 그리고 앞스탠드 및 이동판쪽에 위치하도록 배열된다. 즉 말하자면, 각 여과판 (206)의 상부중앙은 U자를 꺼꾸로 세운 형태로 상향돌출되어 돌출부(206i)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206i)에 여과원액을 공급하기 위한 연통구멍(206f)이 형성되며, 또한 여과원액을 공급할 수 있는 다른 연통구멍(205a)이 각 여과포(205)에 형성되어 상기 연통구멍(206f)과 연통되게 된다. 상기 연통구멍(206f)은 여과판(261)의 돌출부 (206i)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멍(206g)을 통해 내부공간(206e)과 연결되어 원액이 앞스탠드(201)의 여과원액공급파이프(201a)로부터 연통구멍(206f)을 통해 상기한 여과판(261)으로 공급되어, 제28도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공급되게 된다. 그러나 이때 여과판(206)들 사이에 있는 여과체임버에는 여과원액이 공급되지 않게 되는데, 즉 여과원액은 연결구멍(206g)을 통하여 상기 여과판(261)의 좌측 여과체임비(291) 속으로 공급되어 이 여과체임버(291)가 여과원액으로 가득차게 되면 여과원액이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을 통하여 다음의 좌측여과체임버(292)로 주입되게 된다.
반면에, 연통구멍(205a, 206f)을 통하여 여과원액이 상기 여과판(261)의 우측여과체임버(293)에 주입될때에는 여과원액이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을 통해 우측여과체임버(209)로 공급되게 된다.
제28도에서 참조부호 208은 하나의 링을 가리키는데, 이 링은 연통구멍(205a)의 주변부와 연통구멍(206f)의 오목한 원둘레 부위와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연통구멍(206f)은 상기 여과판(261)에 인접해 있는 여과판(206)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이 링에 의해 여과포(205)와 여과판(206) 사이로 여과원액이 새는 것이 방지되고, 또 상기 연통구멍(206f)은 여과판(206)의 하부에 돌출부가 이루어지도록 형성시켜서 상기한 바와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여과원액공급용 연통구멍을 구비한 원형의 여과원액공급판을 여과포(205)의 중앙 여과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 고정시켜서 상기한 바와같은 작용을 발생시켜 여과원액을 공급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의 형상은 원형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들면 6각형, 4각형등의 어떤 모형이든 가능하다.
또한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은 하나의 구멍으로 구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과포(205)의 양면에 원형의 부재를 고정시켜서 형성시키거나, 또는 여과포(205)에 구멍들을 뚫은후에 이 구멍들의 주변을 함께 봉합시켜서 형성시키거나, 또는 여과포 (205)에 패드(pad)를 덧붙여 이 패드와 여과포(205)를 봉합시킴으로써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여과판(206)의 형상은 4각형에 국한되지 않고 원형등과 같은 어떤 원하는 모형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판(206)은 소위 압축여과판도 포함되어질 수 있다.
제 5실시예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축여과기에 따르면, 1개의 프레임만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여과판이 앞뒤스탠드 사이에 배열되고, 각 여과포의 여과부에는 여과원액공급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모든 여과판이 제일 뒷쪽 여과판의 뒤에 위치된 이동판에 의해 앞스탠드쪽으로 압축되게 되며, 여과원액은 여과포상에 설치된 여과원액공급구멍을 통하여 한쌍의 여과포 사이에 형성되는 여과체임버내부로 주입되어 여과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는 여과포가 프레임에 대해 임의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여과원액공급구멍의 원주상에서 지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여과원액공급구멍이 공급되는 여과원액의 압력에 의해 마음대로 이동되게 되는 한편, 상기 여과원액공급구멍은 이들 각각이 동일형상으로 되어 있고, 가로방향으로 서로직접 통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타르상 액체나 점토분이 많이 함유된 슬러리가 여과될때에는 여과압력이 높아지게 됨에 따라 여과포내의 여과원액공급구멍의 원주상에 여과찌꺼기가 응집되게 되고, 또한 여과찌꺼기가 응집된 여과원액공급구멍의 원주부분이 여과원액의 공급압력에 의해 이동하게 되므로 인접한 여과포상에서 상기 여과원액공급구멍이 타르성분 또는 점토성분과 같은 여과찌꺼기성분의 작용에 의해 서로 고착되게 된다. 따라서 여과원액공급구멍이 그 원주상에서 서로 고착됨에 따라 각쌍의 여과포 사이에 형성되는 여과체임버속으로 충분한 여과원액이 공급되지 못하게 되고, 전체 여과면적에 대한 유효여과면적이 감소하게 되어 여과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제30도 내지 제34도에서 나타낸 제5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켜주기 위한 것으로서, 각 여과체임버에 충분한 여과원액을 주입시킬 수가 있도록 되어 슬러리가 타르상의 액체나 점토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더라도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5실시예의 압축여과기는 제3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앞·뒤스탠드 사이의 사이드비임(302)이 설치되고, 이 사이드비임(302)에 1개의 프레임만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여과판(306)이 배열되어 상기 사이드비임(302)상에 걸려 지지된 채로 가로방향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한 여과판(306) 사이에는 한쌍의 여과포(305)가 끼워져 있다. 상기 여과포(305)의 프레임의 여과부에 해당하는 여과부에는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의 위치는 여과포(305)의 각쌍에 의해 결정되게 되고, 모든 여과판(306)은 구동장치 (304)에 의해 제일 뒷쪽에 있는 여과판(306)의 뒤에 실치된 이동판(303)에 의해 밀려져서 앞스탠드쪽으로 압축되게 된다. 이와같이 여과판(306)이 압축된 상태에서 여과원액이 각쌍의 여과포(305) 사이에 형성된 여과체임버(309)로 각 여과포(305)의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을 통해 주입되어서 여과되어져 나오게 된다.
제30도에서의 참조부호 308은 앞스탠드(301) 가까이에 설치되어 여과원액공급구멍 (305a)의 원주를 여과포(351)에 묶어주는 브래킷트(308) 이고, 참조부호 350은 여과원액공급구멍(305a) 이 형성되지 않고, 이동판에 가까이 설치된 여과포이다.
상기 각 여과판(306)은 하나의 프레임만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프레임은 단면이 5각형인 부재로서 그 내측면에 바깥쪽으로 경사진 경사면(306j)이 갖추어져 있는 한편, 프레임의 각 측면에는 사이드비임(302)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걸려지지되는 브래킷트(306d)가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여과판(306)의 하부모서리에는 바깥으로 돌출된 돌출부(306d)가 갖추어져 있으며, 상기 돌출부(306a)에는 여과물수집구멍(306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여과물수집구멍(306b)은 연결구(306c)를 통해 여과판(306)내의 공간(306e)과 연통되어 있다.
상기 각 여과포(305)는 각 여과판(306)의 앞·뒷면에 배치되어 여과판(306)에 공간 (306e)을 형성시키고,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은 각 여과판(306)의 프레임내 여과부에 대응되는 각 여과포(305)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한 여과판(306) 사이에서 여과포(305)를 향하고 있는 상기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은 제3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여과포(351, 352) 사이에 엇갈려 위치하게 되어 참조부호 312로 표시된 위치에서 서로 부분적으로 가려지게 되어 있는 한편, 가려지게 되지 않는 여과포(35l)의 다른 부위는 여과원액의 충돌부(310)보서 인접한 여과포(352) 자체를 향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충돌부(310)는 연통부(312)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데, 왜냐하면 여과포에 인접한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으로부터 공급되는 여과원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여과포(351, 352) 사이의 간격이 넓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각 쌍의 여과포(351, 352)에 형성된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의 원주둘레는 상기 여과포(351, 352)에 각각 밀봉되어 있어 여과원액이 인접한 여과포(351, 352) 사이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은 양쪽의 여과포(351, 352)를 관통하게 되는 관통구멍을 형성시켜주도록 서로 결합되는 한쌍의 고리장치를 이용하여 만들 수도 있다.
따라서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이 여러곳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여과포(305)가 앞ㆍ 뒤스탠드 사이에 설치되게 되는데, 즉 제30도에 도시된 앞스탠드(301)의 측면으로부터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이 앞스탠드(301)의 여과원액공급파이프(30la)의 위치와 동일한 곳에 위치하게 되는 첫번째 여과포(351)는 앞스탠드(301)의 뒷쪽에 설치되게 되고, 뒤따르게 되는 여과포쌍에 형성된 여과원액공급구멍은 첫번째 여과포(351)의 여과원액공급구멍보다 낮게 위치하게 되며, 그 다음 여과포(351)쌍에 형성된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은 상기 설명에서와 같은 여과원액공급파이프(301a)와 같은 높이로 위치하게 된다. 즉, 한쌍의 여과포(351)와 또다른쌍의 여과포(352)는 앞ㆍ뒤스탠드 사이에서 교대로 설치되게 되므로 여과포의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은 각 연통부(312)에서 수평적으로 정렬되게 된다.
상기 제5실시예에 의하면, 여과원액이 여과포(305) 사이의 여과체임버내로 정확하게 공급되게 되는데, 이는 각 여과판(306)이 하나의 프레임만으로 구성되어 있고,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을 통과하는 여과원액이 인접한 여과포(305)내에서 상기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의 원둘레를 압축시켜서 마주보는 여과판(306)의 여과포(305) 사이의 간격을 강제적으로 넓혀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과원액이 여과체임버(309)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가 없게 되므로, 인접한 여과판(306) 사이의 한쌍의 여과포(305)의 여과원액공급구멍의 원둘레는 여과찌꺼기에 의해 서로 고착되지 않게 되고, 여과면적이 감소되지 않아 여과효율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여과원액이 각 여과체임버를 채우게 되어 그 여과원액의 공급압력으로써 마주보는 여과포(305) 사이의 간격을 강제적으로 넓혀주기 때문에 상기 여과원액이 각 여과체임버내로 원활하게 공급되어 각 여과체임버에서 균일한 여과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각 여과체임버에서의 여과효율이 균일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여과판이 그 내부에 빈공간을 갖는 프레임으로만 구성되어 있기때문에 여과층이 갖춰진 종래의 여과판보다 상기 여과판(306)을 훨씬 가볍게 만들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5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는데, 예컨대 인접한 여과판(306) 사이의 한쌍의 여과포(305)내에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이 상하로 엇갈리게 설치되지 않고 제3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엇갈리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제3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여과포(306)중 한쪽은 제30도에 도시된 압축여과기의 압축여과판(311)으로 대체될 수도 있는데, 상기 각 압축여과판(311)은 상기 설명에서의 여과판(306)과 동일한 형상으로 된 압축여과판몸체(311a)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여과판몸체(311a)의 앞ㆍ뒷면은 탄성압축다이아프램(311b)으로 덮어져 있으며, 상기 압축다이아프램(311b)의 임의 점에는 여과원액공급구멍(311c) 이 형성되어 상기 여과포(305)에 형성된 여과원액공급구멍(305a)과 동일한 역할을 하게 할 수도 있다.
각 여과원액공급구멍은 상기 여과원액공급구멍(305a)내에서 연통부(312)를 만들지 않도록 넓게 엇갈려 설치되고, 상기 여과원액은 앞스탠드(301)상의 여과원액공급파이프(301a)로부터로만 공급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동판(303)상에 또다른 여과원액공급파이프가 형성될 수도 있어서, 여과원액은 상기 이동판상의 여과원액공급구멍 또는 상기 양쪽 여과원액공급파이프로부터 공급될 수도 있는 한편, 중심여과판(306)으로부터 앞스탠드(301)와 이동판(303) 양쪽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동판 근처의 인접한 여과판(306) 사이에는 여과포(370, 371)가 끼워져 있고, 각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의 직경은 상기 여과원액공급측으로부터 여과원액이 진행되는 방향, 즉 앞스탠드(301)로부터 이동판(303)쪽으로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어 여과포 (370)내에서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을 관통하여 한쪽 여과체임버(309)로부터 다음 여과포(371)의 다음 여과원액공급구멍쪽으로 통과하게 되는 여과원액의 일부가 앞쪽여과원액공급구멍과 뒷쪽 여과원액공급구멍 사이의 직경차 때문에 여과포(371)내의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의 원둘레에 부딪치게 되어 다른쪽 여과체임버(309)로부터 여과포(370, 371) 사이의 간격을 강제로 넓혀주게 되므로, 여과원액을 정확하게 여과체임버(309)로 공급해주게 된다.
또한, 제34도에는 다른 여과판(306)상에 여과포가 참조부호 372 내지 376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의 위치는 여과포(372)로부터 여과포(374)쪽으로 점점 윗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게 되는 반면에 여과포(375)는 상기 여과포(374)에 비해 아래쪽으로 치우쳐 설치되어 있고, 또 여과포(376)는 상기 여과포(375)에 비해 윗쪽으로 치우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배열에서, 여과원액충돌부(310)는 상기실시예에서의 여과포(372, 373, 374)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게 되나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의 전체공급면적은 비스듬하게 윗쪽으로 향하면서 서로 소통되게 되어 여과원액이 각 여과체임버(309)내로 정확하게 주입되도록 해주게 된다.
제 6 실시예
제35 내지 제4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로서 여과포의 지지구조가 간략화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압축여과기의 여과포는 인접한 여과판 사이에 설치되게 되고, 상기 여과포의 지지구조는 여러형태로 되어 있는데 전형적인 여과포의 지지구조는 여과판의 상하부상 여과포가 설치되는 그 사이에 상하부여과포 걸림로드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하부 여과포 걸림로드는 여과판의 양쪽 바닥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형성된 한쌍의 브래킷트 사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 여과포 걸림로드의 양쪽 끝은 여과포가 길게 뻗을 수 있도록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에 의해 브래킷트와 같은 고정지지부재로부터 매달려 있게 된다. 만일 상부 여과포 걸림로드를 사용하지 않을때엔 여과포의 양쪽 상부끝을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에 연결된 결합수단에 장착시켜주면 된다.
한편,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에 걸려지게 되는 중량에는 여과포 걸림로드 또는 결합부재의 중량이 포함되게 되나, 본래 여과포만은 지지구조내에 지지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볼때 상기와 같은 여과포 걸림로드는 구조를 복잡하게 해주는 악세사리 부품에 지나지 않게 된다.
이에 본 제6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과포 지지구조를 단순화시켜 상기 여과포 지지구조의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도록 된 여과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제6실시예는 여과포의 상부끝 양쪽에 장착된 코오드부재에 의해 형성되게 되는 걸림부재를 갖추고 있는데, 상기 코오드부재는 직물상의 부강물질을 구비한 천, 로우프, 며나, 합성수지나 가죽으로 만들어진 코오드 또는 가는 철사등으로 만들어진 덮개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여과포상 각쌍의 걸림수단 사이에는 보강패드를 봉합시켜주는 것이 좋다.
상기 본 제6실시예에 따른 여과포를 사용하게 되면 여과포 지지구조를 경량화하고 간략화 시킬 수가 있는데, 이는 코오드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수단이 직접 여과포에 장착되게 되므로 여과포 걸림로드와 결합부재가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제39도에 도시된 여과포(401)는 걸림수단의 역할을 하는 테이프부재(403)를 제외하고는 제35도 및 제36도의 실시예에서의 여과포(40l)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여과포(401)는 세로방향의 그 중심부에서 둘로 접혀져서 길이가 긴 모서리가 반쪽으로 나뉘어 접혀지게 되며, 이 여과포(401)는 겹쳐진 부분이 윗쪽으로 향하도록 여과판(도시안됨)의 앞뒤 양쪽에 설치되게 되는 한편, 상기 여과판의 각각의 반쪽의 4개의 모서리에 설치된 구멍(410)는 각각 여과판의 여과부에 대응되는 여과원액공급구멍이 되게 된다.
제35도 및 제36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여과포의 양쪽 상부끝에는 2개의 코오드부재(402)가 각각 둘로 접혀져 있게 되고, 접혀진 부분인 루우프부(404)가 걸림수단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루우프부(404)는 여과포의 양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열되어 코오드부재(402)가 끼워진 여과포상에 보강패드(405)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보강패드(405)와 코오드부재(402)는 여과포(401)에 직집 봉합되게 된다.
제37도 내지 제3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된 실시예에서, 둘로 접혀진 여과포 (401)의 상부끝에는 여과포(401)의 전체 폭보다 넓은 테이프부재(403)가 그 양쪽 끝이 바깥쪽으로 연장형성되도록 여과포(401)상에 봉합되게 되므로, 상기 테이프부재(403)의 양쪽 끝은 걸림수단의 역할을 하는 루우프부(404)를 형성해주도록 접혀지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양쪽 루우프부(404) 사이에서 테이프부재(403)의 일부분도 또한 여과포(401)상에 봉합되게 되어 여과포(401)를 보강해주는 보강패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제35도 및 제36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강패드(405)는 상기 설명에서의 각 패드 사이의 여과포(401)상에 봉합되게 된다.
제40도 및 제41도에는, 여과판과 브래킷트 및 판성수단의 역할을 하는 코일스프링이 점선으로 각각 도시되어 있고, 상기 코일스프링(409)의 한쪽 끝은 여과판(407)의 상부끝에 고정된 브래킷트(408)의 끝으로부터 매달려 있게 되며, 상기 각 코일스프링(409)의 다른쪽 끝은 루우프부(404)에 결합되어 있고, 또한 코일스프링(409)은 브래킷트(408)상에 장착되어 여과포(401)를 윗쪽과 폭방향의 양쪽으로 당겨주게 된다.
제42도에 도시된 지지금속편(411)은 코일스프링(409)을 브래킷트(408)에 장착시켜 주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금속편(411)은 브래킷트(408)상에 쉽게 부착되도록 되어 있는데, 즉 상기 지지금속편(411)은 후크부(412)는 브래킷트(408)내에 형성된 개구부(413)를 관통하여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되고, 브래킷트 걸림부(414)는 브래킷트(408)내에 형성된 지지구멍(415)에 결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금속편 (411)은 손쉽게 제거해 줄 수 있게 되고 일단 코일스프링(409)이 걸리게 되면 상기 지지금속편(411)은 고정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된 여과포(401)는 사용시 여과포 걸림로드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스프링부재상에 신속하게 장착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고, 스프링부재가 지탱하게 되는 중량이 훨씬 가벼워지기 때문에 강력한 스프링이 불필요하며 만일 여과포 (401)를 측방향으로 약간 이동시켜준다면, 상기 여과포(401)를 걸어주기 위한 한쌍의 스프링부재 사이에 코오드부재(402)를 연장형성시켜줄 수도 있게 한다.
제7 실시예
제43도 내지 제56도는 제7실시예로서 개량된 여과판의 지지구조를 나타낸다.
종래의 압축여과기에 따르면 여과판의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브래킷트가 사각형판형상으로 된 여과판의 양쪽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한쌍의 브래킷트는 앞뒤스탠드 사이에 설치된 한쌍의 안내레일에 의해 지지되어 매달려 있게 되고, 각 여과판의 브래킷트는 여과판 구동장치에 의해 안내 레일을 따라 안내되도록 되어 각 여과판을 안내레일을 따라 앞뒤로 이동시켜주도록 되어 있다.
최근, 여과판의 구성재료를 금속으로부터 합성수지로 대체시키는 경향이 있고, 또한 보다 가벼운 여과판을 제작하기 위해 여과판 자체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소형, 경량의 여과판에 있어서는 강도상 각 여과판에 브래킷트를 견고하게 고정시켜줄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제7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겨주기 위한 것으로, 가볍고, 두께가 얇은 여과판일지라도 걸림부재와 지지부재가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 압축여과기의 여과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7실시예는 여과판의 바깥쪽 표면상에 지지봉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봉은 안내레일에 슬라이딩될수 있도록 결합되어 여과기 본체를 걸어 지지해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축여과기의 여과판은 하나의 여과판과, 이 여과판의 바깥면상에 설치되고 안내레일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여과판을 매달고 지지해주게 되는 걸림 및 지지부재와, 상기걸림 및 지지부재를 여과판에 연결시켜주는 연결장치로 구성되어, 안내레일에 걸려 지지된 여과판을 관통하는 연결장치에 의해 여과판을 지지봉에 매달아 지지해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만일, 여과판을 이동시켜주려고 할 때에는 여과판 구동장치가 안내레일을 따라 각 지지봉을 이동시켜줌과 더불어 상기 지지봉에 연결된 여과판을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시켜주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된 여과판은 여과판의 바깥표면에 설치된 걸림 및 지지부재로부터 연결장치에 의해 매달려 지지되어, 상기 걸림 및 지지부재가 안내레일에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결합되므로 상기 여과판은 손이나 여과판 구동장치에 의해 앞뒤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각 여과판은 여과판의 측면을 브래킷트로 고정시켜주지 않아도 안내레일을 따라 앞뒤로 안내되게 된다.
따라서 두께가 두껍고 중량이 무거운 종래의 여과판은 물론,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두께가 얇고 가벼운 여과판의 경우에 있어서도 여과기 본체가 걸림 및 지지부개에 의해 안내레일에 견고하게 매달려 지지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걸림 및 지지부재는 여과판을 수송하는 안내돌기 역할을 하게 되므로 브래킷트를 고정시켜주기 위해 필요하던 강도를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에, 프레임 본체를 가볍게 만들 수 있도록 지시구조의 재료를 경금속과 같은 재료로 폭넓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제43도 및 제4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실시예에 따른 압축여과기는 앞스탠드(501)와 뒷스탠드(502)사이에 설치된 안내레일(504)이 앞스탠드(501)의 양쪽에 하나씩 각각 설치되고, 그 사이에는 다수개의 여과판(506)이 배열되며, 상기 여과판(506)은 안내레일(504)에 매달려 지지된 상태로 앞뒤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상기 인접한 여과판(506) 사이에는 한쌍의 여과포(50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일뒷쪽 끝에 위치한 여과판(506)의 뒤에 설치된 이동판(507)이 구동장치에 의해 앞쪽으로 전진하게 되면 여과판(506) 전체는 앞스탠드(501)쪽을 향하여 강하게 압축되게 된 다음 앞스탠드(501)로부터 여과원액이 공급되어 한쌍의 여과포(505) 사이에 형성된 각 여과체임버(도시안됨)로 주입되게 되어 여과작업이 실시되며, 상기 여과원액은 여과찌꺼기와 여과물로 분리되게 된다. 한편 여과작업이 완료되면 이동판(507)이 뒷쪽으로 후퇴하게 되고 각 여과판(506)은 안내레일(504)에 설치된 여과판 구동장치(503)에 의해 뒷쪽으로 하나씩 후퇴하게 되므로 인접한 여과판(506)이 개방되어 한쌍의 여과포(505) 사이에 남아 있던 여과찌꺼기가 벗겨져 떨어지게 된다.
제44도 내지 제4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여과판(506)은 중심부에서 거의 정사각형의 여과공간을 형성해주게 되는 직사각형의 프레임(506a)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506a)의 상부끝에는 지지봉(508)이 설치되며, 일종의 코오드형상의 부재인 와이어(509)가 상기 지지봉(508)을 프레임(506a)에 연결시켜주기 위한 연결장치로 사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506a)은 그 내면상에 경사면(506c)을 갖추고 있는데, 상기 경사면(506c)은 가로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앞뒷면 양쪽으로 향해서 경사져 있고, 각 프레임(506a)의 바닥과 양쪽면과 바깥쪽 표면상에는 오목홈(506f)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506f)은 각 프레임(506a)의 한쪽면의 상부끝으로부터 바닥을 관통하여 다른쪽 면의 상부끝으로 소통되게 되는 한편, 각 프레임(506a)의 모서리에는 상기 공간(506b)쪽으로 연장형성된 삼각형 모양의 연장부가 설치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여과판에서 가로방향으로 관통하게 되는 여과물수집구멍(506d)과 상기 여과물수집구멍(506d)과 공간(506b) 사이에 소통되게 되는 연결구(506e)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봉(508)은 프레임(506a)보다 두께는 더 얇고, 폭이 더 넓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있으며, 길이방향 즉, 폭방향으로 상기 프레임(506a)과 직각으로 교차되어 설치되는 한편, 상기 프레임(506a)의 상부 바깥면상에는 중간부(508b)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봉(508)의 양쪽은 프레임(506a)의 각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돌출부 (508a)를 형성하게 되며, 각 돌출부(508a)의 아래쪽 면상에는 L자형상의 미끄럼부재(508d)가 고정되고 상기 미끄럼부재(508d)는 각 안내레일(504)상에 설치되어 여과판(506)의 미끄럼 운동을 앞뒤로 안내해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부재(508d)의 돌출부(508f)는 안내레일(504)의 내부표면에 접촉되어 여과판(506)이 안내레일(504)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미끄러져 나가버리게 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되고, 여과판(506)의 지지봉(508)의 측면 사이와 인접한 프레임(506a)의 하부사이에는 공지의 연결링(도시안됨)이 장착되어 여과판 전체가 동시에 개방되도록 해주게 되며, 상기 지지봉(508)은 프레임(506a)의 두께와 동일하게 만들 수도 있다.
또한, 제47도 내지 제4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이나 나일론등으로 만들어진 와이어(509)는 지지봉(508)의 한쪽 돌출부(508a)에 인접한 관통구멍(508c)을 아랫방향으로 관통한 다음, 프레임(506a)의 한쪽측면에 형성된 오목홈(506f)과 바닥의 오목홈(506f)을 차례로 관통하여 지지봉(508)의 다른쪽 돌출부(508a)에 인접한 관통구멍(508c)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봉(508)으로부터 윗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상기 와이어(509)는 대략 U자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봉(508)에 뚫려진 양쪽 관통구멍(508c)으로부터 윗쪽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와이어(509)의 양쪽 끝에는 와이어체결링(510)이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은 와이어(509)에 의해 지지봉(508)에 견고하게 체결되어 상기 지지봉(508)의 프레임 (506a)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지지봉(508)의 각 돌출부(508a)는 안내레일(504)에 매달려 지지되어 상기 안내레일(504)이 프레임(506a)을 매달아 지지해 주게 된다.
한편, 각 여과포(505)는 각 여과판(506)의 앞뒷쪽에서 여과포 걸림로드(513)에 매달려 지지되도록 되어 여과판(506)의 내부공간(506b)이 상기 한쌍의 여과포(505) 사이에서 형성되게 된다.
여과판(506)이 상기와 같은 구조로된 상기 프레임(506a)은 와이어(509)에 의해 지지봉(508)에 견고하게 일체로 체결되게 되고, 상기 와이어(509)의 양쪽 끝은 체결링 (510)에 의해 고정되게 되며, 상기 여과판(506)의 지지봉(508)의 각 돌출부(508a)는 앞뒤스텐드(501, 502) 사이에 설치된 각 안내레일(504)에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여과판(506)이 지지봉(508)의 돌출부(508a)에 매달려 지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된 압축여과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판(503)이 앞쪽으로 전진하게 되면 모든 여과판(506)은 앞스탠드(501)쪽으로 강하게 압축되어 폐쇄되게 된 다음 한쌍의 여과포(505) 사이의 여과체임버내로 여과원액이 주입되게 되면 앞스탠드(501)쪽으로부터 시작해서 인접한 여과판(506) 사이에서 여과작업이 실시되게 되는데, 상기 여과작업은 여과원액을 여과찌꺼기와 여과물로 분리시켜, 상기 여과찌꺼기는 한쌍의 여과포(505) 사이에서 응집되어져 있게 되고, 상기 여과물은 여과포(505)를 따라 아랫쪽으로 흘러 연결구(506e)를 관통한 다음 여과물수집구멍(506d)으로 포집되게 된다. 일단 첫번째 여과작업이 완료되게 되면 이동판(507)은 뒷쪽으로 후퇴하게 되고, 각 안내레일(504)상에 설치된 각 여과판 구동장치(503)가 구동되어 각 여과판(506)의 지지봉(508)의 각 돌출부(508a)를 뒷쪽으로 후퇴시켜주게 되므로 여과판(506)은 하나씩 뒷쪽으로 강제이동하게 되고, 인접한 여과판(506)이 차례로 개방됨으로써 여과판(506) 사이에 설치된 한쌍의 여과포(505)에 응집되어 있던 여과찌꺼기가 회수되게 되면, 다음 여과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게 된다.
여과판(506)이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프레임(506a)은 그 프레임(50a) 상부에 배열된 지지봉(508)에 와이어(509)에 의해 매달려 지지되게 되고, 여과판 구동장치(503)가 지지봉(508)의 각 돌출부(508a)에 힘을 가하여 상기 프레임(506a)을 앞뒤로 이동시켜주게 됨에 따라 각 여과판(506)이 안내레일(504)을 따라 앞뒤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어 프레임(506a)의 측면에 브래킷트를 고정시켜줄 필요가 없고, 합성수지로 만들어져서 두께가 얇고, 훨씬 가벼워진 여과판(506)을 지지봉(508)에 의해 안내레일(504)에 매달아 지지해줄 수 있게 되는 한편, 상기 지지봉(508)의 돌출부(508a)가 여과판(506)을 이송시켜주는 안내돌기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여과판(506)이 안내레일(504)을 따라 견고하게 안내되게 된다.
따라서 브래킷트를 고정시켜주기 위해 필요하던 강도를 고려해주지 않아도 되고, 구성재료 또한 폭넓게 선택할 수 있게 되는데, 즉 프레임(506a)은 경금속과 같은 가벼운 재료로 만들 수 있게 되며, 또한 지지봉(508)의 돌출부(508a)가 프레임(506a)으로부터 옆방향으로 돌출되어 안내레일(504)상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여과판(506)은 여과판 구동장치(503)에 의해 상기 안내레일(504)을 따라 앞뒤방향으로 견고하게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만일 지지봉(508)을 금속관으로 만들어주게 되면 그 두께가 프레임(506a)보다도 얇게 되더러도 상기 지지봉(508)은 적절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여과판(506)을 압축시켜 줄 때 인접한 지지봉(508) 사이에서 보다 넓은 공간을 만를어 줄 수 있게 되므로, 인접한 지지봉(508) 사이 공간에 여과원액공급고리(503a)를 견고하게 끼워 여과판(506)을 하나씩 수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506a)은 와이어(512)를 사용해서 지지봉(508)에 매달려 지지되게 되고, 상기 와이어(512)는 체결링(510)에 의해 지지봉(508)에 팽팽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비록 와이어(512)가 윗쪽으로 당겨져서 늘어나게 되더라도 상기 체결링(510)에 의해 정상적인 장력상태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되어 와이어(512)를 다시 팽팽하게 해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제7실시예는 여러형태로 수정될 수가 있는데 예컨대, 프레임(506a)상에 형성된 오목홈(506f)을 제5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506a)의 바닥과 양쪽 측면에 형성시켜주지 않고 프레임(506a)의 모서리에만 형성시켜줄 수 있으며, 상기 지지봉(508)의 양쪽을 프레임(506a)의 폭보다 길게 돌출되게 하는 대신에, 상기 프레임(506a)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시켜 L자의 반대형상으로 굽혀줄 수도 있고, 안내레일(504)을 상기 프레임(506a) 윗쪽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지지봉(508)의 양쪽 굽혀진 끝을 안내레일(504)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결합시켜 프레임(506a)을 매달라 지지해주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5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508e, 508i)는 지지봉(508)의 앞뒷면과 프레임(506a)의 앞뒷면 위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506a)의 앞뒷면상에 형성된 오목부(508e, 508i)의 하부끝 사이를 소통시켜주는 관통구멍(506j)이 형성되어 프레임(506a)과 지지봉(508)의 각 오목부(508e, 508j)를 따라 와이어(512)가 감겨져서 관통구멍(506j)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프레임(506a)과 지지봉(508)의 뒷면에 형성된 각 오목부(506e, 506i)를 따라 상기 와이어(512)가 감겨져서 프레임(506a)이 지지봉(508)에 매달려 지지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와이어(512)는 길이가 짧아도 되고, 두께가 얇고 강성이 부족한 프레임(506a)은 지지봉(508)에 의해 보강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프레임(506a)의 비틀림이나 기타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연결장치는 코오드형상의 부재에 국한되지 않고 보울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대체시킬 수도 있다.
제52도 내지 제55도에 도시된 걸림지지부재는 거꾸로 된 L자형상의 프레임(515c)과, 그 상부끝이 상기안내레일(504)에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결합된 각각의 도출부 (515a) 및, 프레임(506a)의 바닥의 바깥면과 접촉하게 되는 바닥프레임(515d)을 갖춘 걸림지지프레임(515)에 의해 접촉되게 되며, 상기 걸림지지프레임(515)의 각 프레임(515c, 515d)의 바깥면상에는 오목부(515d)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515b)에는 와이어(509)가 끼워져서 체결부재(514)에 의해 상기 와이어(509)의 양쪽끝이 체결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506a)은 걸림지지프레임(515)에 일체로 연결되게 되며, 상기 체결부재(514)를 회전시켜주게 되면 상기 와이어(509)의 나사가 형성된 양쪽 끝이 서로 이동되어 접근하게 된다. 또한 미끄럼부재(508d)의 끝은 바깥쪽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된 돌출부(508g)는 가로방향의 그 길이가 다른 돌출부보다 짧게 형성되어 여과판 구동장치(503)의 여과원액공급고리(503a)를 상기 연장된 돌출부 (508g)에 결합시켜주거나 해제시켜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는 물론 압축여과판에도 적용시킬 수가 있는데 제5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6a)의 측면이 상부 및 하부 각각의 모서리에 옆으로 돌출된 돌출부(506g)에는 여과물수집구멍(506d)과 연결구(506e)가 각각 형성되며, 한쌍의 상부 돌출부(506g)의 아래쪽면에는 상기 미끄럼부재(508d)와 동일한 역할을 갖는 L자형 미끄럼부재(506k)가 고정되어 상기 각 돌출부(506g)를 상기 미끄럼부재(506k)를 관통하여 안내레일(504)상에 위치시켜줄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지지봉(508)는 프레임(506a)의 꼭대기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506a)은 상기 돌출부(506g)을 프레임(506a)에 연결시켜주는 앞면과 아랫면 및 뒷면상에 각각 형성된 오목부(506i)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오목부(508e)는 지지봉(508)의 앞뒷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편, 와이어(509)가 각 오목부(506h, 508e)를 따라 밀착되게 감겨져서 프레임(506a)을 결합시겨 프레임(506a)을 지지봉(508)에 매달아 지지해주게 된다.
제5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부재(506k)와 끝은 옆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부(511)의 세로방향의 길이가 다른 부위보다 짧게 형성되어 여과판 구동장치(503)의 여과원액공급고리(503a)를 상기 연장부(511)에 결합시켜주거나 해제시켜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Claims (13)

  1. 한쌍의 앞ㆍ뒤스탠드와, 이들 스탠드 사이에 배열된 다수개의 여과판, 이들 여과판 사이에 설치된 한쌍의 여과포, 상기 다수개의 여과판을 압착시켜주고 후퇴시켜주기 위해 뒷쪽 스탠드쪽에 tjf치된 이동판으로 구성된 압축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각 여과판은 그 내부에 공간(2a)이 형성된 프레임(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2. 제1항에 있어서, 각 프레임(2)은 그 양쪽에 설치된 각 여과포(4b, 4c)와의 사이에 간극유지부재(5)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3.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2) 안쪽 공간(2a)에는 판상의 여과물회수부재(3)가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2)의 한쪽과 여과포(4)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여과포 (4)를 통과한 여과물이 상기 여과물회수부재(3)를 따라 프레임(2)의 아래쪽으로 흘려내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물회수부재(3)는 천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5. 제1항에 있어서, 앞뒤스탠드(101, 102) 사이에 1쌍의 압축여과판(107)과 압력수용판(103, 107, 113)이 설치되어 상기 여과판의 일부를 그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여과판(107)은 프레밍(108)의 앞뒤표면을 덮어 주게 되는 압축다이아프램(109)이 설치된 프레임(10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수용판(103)과 압축여과판(107)은 동일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수용판(103)은 이동판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수용판(113)은 상기 앞스탠드(101)에 결합된 첫번째 판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의 공간(2a)에 대응되는 상기 여과포(205)의 여과부에는 다수개의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인접한 여과판(206) 사이 한쌍의 여과포(205)상에 형성된 상기 여과원액공급구멍(207)은 앞뒤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12. 제1항에 있어서, 여과판(306, 311)의 여과부에 대응되는 상기 여과포(305)의 여과부에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이 형성되고, 인접한 여과판(306, 306 및 306, 311) 사이에 있는 여과포(305)에 형성된 상기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이 서로 엇갈리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포(305)쌍에 형성된 각 여과원액공급구멍(305a)의 연통부(312)의 일부는 앞뒤방향으로 바로 소통될 수 있도록 동일한 높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여과기.
KR1019870009592A 1986-09-03 1987-08-31 압축 여과기 KR950002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08390 1986-09-03
JP61208390A JPS6362511A (ja) 1986-09-03 1986-09-03 濾過ユニット
JP208390 1986-09-03
JP210007 1986-09-06
JP61-210007 1986-09-06
JP61210007A JPS6365917A (ja) 1986-09-06 1986-09-06 濾過ユニット
JP61-227536 1986-09-25
JP61227537A JPS6380811A (ja) 1986-09-25 1986-09-25 フイルタプレス
JP227536 1986-09-25
JP227537 1986-09-25
JP61227536A JPS6380810A (ja) 1986-09-25 1986-09-25 フイルタプレス
JP61-227537 1986-09-25
JP293691 1986-12-09
JP61-293691 1986-12-09
JP61293691A JPS63143911A (ja) 1986-12-09 1986-12-09 フイルタプレス
JP62031908A JPS63200810A (ja) 1987-02-14 1987-02-14 フイルタプレスの濾板
JP31908 1987-02-14
JP62-31908 1987-02-14
JP62083344A JPS63248411A (ja) 1987-04-04 1987-04-04 フイルタプレスの濾布
JP83344 1987-04-04
JP62-83344 1987-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656A KR880003656A (ko) 1988-05-28
KR950002787B1 true KR950002787B1 (ko) 1995-03-27

Family

ID=2756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592A KR950002787B1 (ko) 1986-09-03 1987-08-31 압축 여과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83592A (ko)
EP (1) EP0258844B1 (ko)
KR (1) KR950002787B1 (ko)
DE (1) DE378969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2977B (en) * 1993-10-25 1997-04-09 D & C Ltd Filter press apparatus
GB2325867B (en) * 1997-06-02 2001-02-28 D & C Ltd Filter press apparatus
US8480891B2 (en) * 2002-09-30 2013-07-09 Micronics, Inc. Filter assembly
JP7033248B2 (ja) * 2018-11-05 2022-03-10 株式会社石垣 フィルタープレスのろ布洗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481687A (fr) * 1916-05-06 1917-01-05 Wladimir Guerrero Éléments-filtrants pour filtres-presses
US1863071A (en) * 1929-11-15 1932-06-14 Atlantic Refining Co Filter press
BE399333A (ko) * 1932-10-26 1900-01-01
FR85008E (fr) * 1958-10-13 1965-05-28 élément filtrant pour filtres-presses
US3241678A (en) * 1961-12-13 1966-03-22 American Felt Co Fibrous structures
FR1322618A (fr) * 1962-05-16 1963-03-29 Reymersholms Gamla Ind Ab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filtres-presses
AT256886B (de) * 1964-06-19 1967-09-11 Chemokomplex Vegyipari Gep Es Selbsttätige Hochleistungsfilterpresse
AT273169B (de) * 1966-01-08 1969-08-11 Chemokomplex Vegyipari Gep Es Filterpresse und Verfahren zum Filtern mittels dieser Filterpresse
US3620374A (en) * 1967-09-14 1971-11-16 Joseph T Kyerson & Son Inc Reinforced plastic filter plate structure
DE2238323A1 (de) * 1972-08-04 1974-02-21 Degussa Filterpresse
GB1421189A (en) * 1973-04-30 1976-01-14 Johnson Progress Ltd Filter press plates
JPS5092558A (ko) * 1973-12-21 1975-07-24
JPS50107567A (ko) * 1974-01-31 1975-08-25
JPS50110156A (ko) * 1974-02-08 1975-08-29
JPS5139460A (ko) * 1974-09-29 1976-04-02 Nippon Crucible Co
DE2603505C3 (de) * 1976-01-30 1980-09-18 Jenaer Glaswerk Schott & Gen., 6500 Mainz Flachmembranmodul für umgekehrte Osmose und Ultrafiltration
DE2621245A1 (de) * 1976-05-13 1977-11-24 Bayer Ag Filterplatte
JPS52139579A (en) * 1976-05-17 1977-11-21 Kutsuwa Kk Producing method of case and the like
DE2712753A1 (de) * 1977-03-23 1978-09-28 Lenser Kunststoff Press Filterplatte fuer eine filterpresse
JPS603298B2 (ja) * 1978-09-06 1985-01-26 正豊化学股ふん有限公司 1,1’−ジアルキル−4,4’−ビピリジリウムジハライド塩の製造方法
JPS5737369A (en) * 1980-08-16 1982-03-01 Ricoh Co Ltd Moving device for optical system
JPS5758969A (en) * 1980-09-24 1982-04-09 Mitsubishi Heavy Ind Ltd Manufacture of abrasion resistant double rolls
JPS5760883A (en) * 1980-09-29 1982-04-13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 Laser source stabilizing system
JPS582409A (ja) * 1981-06-29 1983-01-08 Suzuki Motor Co Ltd ブロ−バイガス還流装置
JPS5913508A (ja) * 1982-07-16 1984-01-24 Toshiba Corp スタンド間張力によるマスフロ−制御装置
JPS5939445A (ja) * 1982-08-30 1984-03-03 ド−ルトン・インダストリアル・プロダクツ・リミテツド 鋳造用中子および鋳造方法
US4491519A (en) * 1982-11-19 1985-01-01 Kurita Machinery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Filter cloth arrangement for use in fixed filter cloth type filter press
DE3380201D1 (en) * 1982-12-22 1989-08-24 Steetley Refractories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iltering a slurry
JPH0615286B2 (ja) * 1985-01-14 1994-03-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高調整装置
EP0222779B1 (fr) * 1985-06-04 1990-07-25 Alfred Henri Parmentier Perfectionnements et alternatives aux filtres-presses
KR930012028B1 (ko) * 1985-09-06 1993-12-23 가부시키가이샤 쿠리다 기카이 세이사쿠쇼 압축여과기
JPH06122654A (ja) * 1992-10-12 1994-05-06 Japan Energy Corp 高光学純度のβ,β,β−トリフルオロ乳酸エステル化合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58844B1 (en) 1994-04-27
DE3789694D1 (de) 1994-06-01
US4883592A (en) 1989-11-28
EP0258844A2 (en) 1988-03-09
EP0258844A3 (en) 1989-01-11
DE3789694T2 (de) 1994-10-13
KR880003656A (ko) 198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787B1 (ko) 압축 여과기
KR930012028B1 (ko) 압축여과기
EP0456280A2 (en) Filter press
FI87537C (fi) Vakuumfilter med loestagbar fastlaost taetningsremsa
CA1259570A (en) Filter cloth hanging apparatus for filter press
FR2528075A1 (fr) Cadre porte-electrode pour la production ou l'affinage electrolytique des metaux
JP3228149B2 (ja) フィルタプレスのろ過装置ユニット
CN212639393U (zh) 一种具有张紧功能的珍珠棉收卷装置
CA1295263C (en) Filter press
JP3013289B2 (ja) フィルタープレス
CN212423743U (zh) 一种编织袋支撑装置
CN213267059U (zh) 一种熔喷布生产用漂洗装置
CN213441298U (zh) 一种纱线生产原材料压榨装置
CN217989972U (zh) 一种防止飞尘的活性炭筛分装置
CN218902662U (zh) 一种高效除杂的固体消毒剂生产装置
CN212895652U (zh) 一种清洁造纸用纸浆过滤筛选装置
DE2145661C3 (d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Faltschichten und danach hergestellte Faltschicht
CN220318166U (zh) 溢流染色机的染液过滤装置
CN211110212U (zh) 一种用于复合针刺毡滤料的张力架
CN214114541U (zh) 一种用于熔喷布生产的收卷装置
JPS60244310A (ja) 濾過装置
DD211488A1 (de) Taschenfilterelemente mit doppelflaechen
CN208980886U (zh) 弹力网自动编织装置的拉带模组
US2263343A (en) Slat belt for presses and filter presses
JP3576996B2 (ja) 濾材及び濾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2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