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371B1 - 자동변속장치 부설차량의 엔진시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장치 부설차량의 엔진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371B1
KR950002371B1 KR1019910015770A KR910015770A KR950002371B1 KR 950002371 B1 KR950002371 B1 KR 950002371B1 KR 1019910015770 A KR1019910015770 A KR 1019910015770A KR 910015770 A KR910015770 A KR 910015770A KR 950002371 B1 KR950002371 B1 KR 950002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engine
key switch
starting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5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166A (ko
Inventor
마스히로 오오쓰까
히로미 고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젝셀
이다가끼 유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젝셀, 이다가끼 유끼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젝셀
Publication of KR920006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1Stepp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19Propulsion control with control means using analogue circuits, relays or mechanical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02N11/101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ngine starter actuation or engagement
    • F02N11/103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ngine starter actuation or engagement according to the vehicle transmission or clutch st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06Ignition sw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50/00Problems related to engine starting or engine's starting apparatus
    • F02N2250/06Engine stall and related control features, e.g. for automatic rest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변속장치 부설차량의 엔진시동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제 2 도는 마이크로 컴퓨우터를 사용하여 구성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마이크로 컴퓨우터에 있어서 실행하는 제어프로그램을 나타낸 순서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변경하여야 할 구성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블록도.
제 5 도는 제 3 도의 순서도에 기초한 구성과 다른 별도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분만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 : 시동모우터
3 : 클러치 6 : 계전기
7 : 계전스위치 9 : 키이스위치
10 : 전지 12 : 셀렉터
15 : 스위치 16, 16' : 작동기
17 : 제어부 18 : 회전센서
19 : 앤드게이트 20, 20' : 스트로우크센서
30 : 마이크로 컴퓨우터 ST : 스타아트 접점
본 발명은 자동변속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엔진의 시동을 복잡한 조작없이 할 수 있도록 한 자동변속장치 부설차량의 엔진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장치 부설의 차량에 있어서는 셀렉터 레버를 중앙 또는 주차위치에 설정하지 않으면 엔진의 시동을 실행할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컨대 건널목 안에서 엔진고장을 일으켰을 경우라도 일단 셀렉터 레버를 중앙 또는 주차위치에 복귀한 다음 키이스위치를 개시위치로 돌리고, 그런 다음 셀렉터 레버를 구동위치에 복귀시킨다고 하는 복잡한 조작을 운전자에게 강요하는 결과로 되어 건널목안에서 일각이라도 빨리 탈출하지 않으면 아니되는 긴급사태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조작함에 시간이 걸려서 중대한 결과를 초래되는 일도 예상된다.
이과 같은 불합리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국 특개소 60-248443호 공보에는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통상 엔진의 시동을 할 수 없는 셀렉터 레버위치에 있어서도 엔진의 시동을 가능하게 한 구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극히 절박한 긴급상태에 있어서는 운전자는 브레이크를 조작하지 않으면 아니되는 것조차 망각하여 버려서 엔진의 원활한 시동을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충분히 상정할 수 있는 것이며, 긴급한 때를 위하여 보다 간단히 엔진의 시동을 할 수 있는 시동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따라서 특별한 조작을 일체 필요로 함이 없이 엔진의 시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자동변속장치 부설차량의 엔진시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작동기에 의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클러치를 포함한 셀렉터의 조작에 따른 모우드로 작동하는 자동변속장치를 구비하여, 상기한 셀렉터가 일정한 조작상태에 있을 경우에 시동모우터를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의 엔진시동장치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이 키이스위치를 오프로 하는 조작에 의하지 않고 정지한 것을 검출하는 제 1 검출수단과, 제 1 검출수단에 따라 엔진의 회전장치가 검출되었을때에 키이스위치가 개시위치로 전화되었을 경우에 클러치를 오프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작동기에 부여하기 위한 제 1 제어수단과 클러치가 오프로 되었음을 검출하는 제 2 검출수단과 제 1 제어수단과 제 2 검출수단에 응답하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클러치가 오프로 되었고 또한 키이스위치가 개시위치로 전환된 경우에 시동모우터에 작동을 위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수단등을 구비한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작동기로 온/오프 제어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셀렉터의 조작에 따른 모우드로 작동하는 자동변속장치를 구비하고, 상기한 셀렉터가 일정한 조작상태에 있을 경우에 시동모우터를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의 엔진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엔진의 회전이 키이스위치를 오프로 하는 조작에 의하지 않고 정지한 것을 검출하는 제 1 검출수단과 제 1 검출수단에 따라 엔진의 회전정지가 검출되었을때에 키이스위치가 개시위치로 전환되었을 경우에 상기한 클러치를 온으로 하기 위한 클러치 온 신호를 작동기에 부여하기 위한 신호발생수단과 클러치가 온으로 되었음을 검출하는 클러치 온 검출수단과 신호발생수단과 클러치 온 검출수단에 응답하여 클러치 온 신호에 따라서 상기한 클러치가 온으로 되었을 경우에 셀렉터의 조작상태에 불구하고 키이스위치가 개시위치로 전환되었음에 응답하여 상술한 시동모우터에 작동전류를 흐르게 하는 수단등을 구비한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의하면 이른바 엔진고장 상태에서 키이스위치가 개시위치에 전환되면 클러치가 오프상태로 제어된다.
클러치가 오프로 되면 셀렉터의 조작상태레도 불구하고 키이스위치가 개시위치에 있음에 따라 시동모우터에 시동을 위한 작동잔류가 흘러서 엔진을 시동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의하면 엔진 고장상태에서 키이스위치가 개시위치로 전환되었을 경우에 클러치 온 신호가 출력되어 클러치의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클러치가 온으로 되면, 셀렉터의 조작상태에도 불구하고 키이스위치를 개시위치로 함께 따라 시동모우터에 시동하기 위한 작동전류가 흘러서 시동모우터의 힘으로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엔진 시동장치를 구비한 내연기관 차량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1)은 엔진, (2)은 시동모우터, (3)은 마찰식의 클러치, (4)는 기어변속기, (5)는 구동륜이다. 클러치(3)와 기어변속기(4)는 자동변속제어장치(CU)에 연결되어 있고, 이에 따라 공지의 차량용 자동변속시스템(AT)이 구성되어 있다.
시동모우터(2)의 일단은 접지되었고, 타단은 계전기(6)의 계전기 스위치를 개재하여 공지의 구성의 키이스위치(9)의 개시접점(ST)에 접속되어 있고 키이스위치(9)의 가동접점(9a)은 음극이 접지되어 있는 전지(10)의 양극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키이스위치(9)가 개시위치에 전환되어 있을 경우에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여 계전기(6)의 계전기 코일(8)에 여자전류가 부여되면 계전기 스위치(7)를 개재하여 시동모우터(2)에 작동전류가 공급되어 엔진(1)의 시동을 하게 된다.
(11)은 통상 운전 제어시에 있어서의 차량의 시동조건이 갖추어져 있는지 않은지를 판별하기 위한 시동조건 판별부이고, 키이스위치(9)의 개시접점(ST)의 전위가 입력되어 있다.
(12)은 셀렉터(13)의 조작위치가 중앙위치인 경웨 그 출력선(13a)에 「H」레벨의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셀렉터위치 센서이고, 출력선(13a)은 시동조건 판별부(11)에 접속되어 있다.
시동조건 판별부(11)는 출력선(13a)이 「H」레벨으로 되고 또한 개시접점(ST)의 전위가 「H」레벨으로 되었을 경우에 즉 셀렉터(12)가 중앙위치에 들어가 있고 또한 키이스위치(9)가 개시위치에 전환되어 있을 경우에 시동조건이 갖추어졌다고 판단하여, 그 출력선(11a)의 레벨을 「H」로 하는 구성이다. 출력선(11a)은 오리게이트(OR gate) (14)의 한편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오어게이트(14)의 출력은 계전기코일(8)과 전지(10)의 양극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상개 스위치(15)의 개폐제어신호로서 상계스위치(15)에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시동조건 판별부(11)에 있어서 시동조건이 갖추어졌다고 판별되면 오어게이트(14)의 출력레벨이 「H」로 되어 스위치(15)가 닫히고, 이에 따라 계전기 스위치(7)가 닫혀지므로 시동모우터(2)에 작동전류가 흘러서 엔진(1)의 시동조작을 하게 된다.
더우기, 이러한 경우에는 자동변속 제어장치(CU)에 의하여 클러치(3)가 오프가 되도록 클러치(3)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기(16)가 제어되어 엔진(1)의 회전출력이 변속기(4)에 전달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엔진(1)이 일단 시동한 다음, 키이스위치(9)를 오프위치에 복귀하지 않음에 어떤 이유에 따라 회전을 중지하였을 경우, 이른바 엔진 고장상태로 되었을 경우의 엔진(1)의 시동을 위한 제어계통에 대하여 설명한다.
(17)은 엔진(1)이 고장상태로 빠져 들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한 엔진고장 판별부이고, 엔진(1)의 회전속도를 나타낸 회전신호(N)가 회전센서(18)로부터 입력되어 있음과 동시에 키이스위치(9)의 온 접점(ON)의 전위가 부여되어 있다.
엔진 고장판별부(17)는 키이스위치(9)가 온위치에 있는 경우에 엔진(1)의 회전속도가 저하하여 영으로 되었는지 않았는지를 판별함에 따라 엔진 고장상태의 발생을 판별하는 공지된 구성으로 엔진상태의 발생에 따라 그 출력선(17a)의 레벨이 「L」에서 「H」으로 되어 「H」레벨상태로 유지된다.
키이스위치(9)의 개시접점(ST)이 한편의 입력단자와 접속되어 있는 앤드게이트(18)의 다른편의 입력단자에는 출력선(17a)이 접속되어 있고 앤드게이트(18)의 출력선(18a)은 작동기(16) 및 별도의 앤드게이트(19)의 한편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앤드게이트(19)의 다른편의 입력단자에는 클러치(3)와 연결되어 있고 클러치(3)가 오프상태로 되었을 경우에 「H」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스트로우크 센서(20)의 출력선(20a)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출력선(18a)의 레벨이 「H」로 되어 작동기(16)에 의하여 클러치(3)가 오프상태로 되면 앤드게이트(19)의 양 입력레벨 「H」으로 되어, 앤드게이트(19)의 출력선(19a)의 레벨이 「H」으로 되는 구성이다. 앤드게이트(19)의 출력선(19a)은 오어게이트(14)의 다른편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출력선(19a)의 레벨이 「H」으로 됨에 의하여도 스위치(15)가 닫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운전중에 엔진 고장상태가 발생하였을 경우, 운전자가 단순히 키이스위치(9)를 개시위치에 전환되는 것만으로 앤드게이트(18)의 출력선(18a)의 레벨이 「H」으로 된다. 이에 따라, 클러치(3)가 자동적으로 오프상태로 되어 그 오프상태가 스트로우크센서(20)에 따라 확인되었을 경우에 스위치(15)가 닫혀진다.
그 결과, 시동모우터(2)에 전지(10)로부터 작동전류가 키이스위치(9) 및 계전기스위치(7)를 개재하여 흘러서 엔진(1)의 시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운전중에 엔진고장상태로 되었을 경우에는 운전자기 키이스위치(19)를 개시위치에 전환되는 것만으로 시동모우터(2)에 작동전류를 흘려서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으므로 극히 동작이 간단하고, 긴급한 경우에 있어도 신속하게 또는 확실하게 엔진(1)의 시동을 할 수 있다.
제 1 도에 나타낸 장치의 동등한 기능을 지닌 시스템을 마이크로 컴퓨우터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고, 제 2 도에는 그와 같은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 2 도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우터(30)는 공지된 구성의 것으로, (32)는 기어변속기(4)의 기어위치를 검출하는 기어위치센서이다. 그밖의 요소는 제 1 도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제 1 도의 각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 1 도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제 1 도에 나타낸 제어기능과 동등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제 2 도를 나타낸 마이크로 컴퓨우터(30)의 메모리(31)내에는 제 3 도에 나타내는 순서도에 따른 제어프로그램(40)이 일정한 주기로 반복 실행됨에 따라 일정한 시도 제어를 하게 된다.
제 3 도를 참조하면서, 그 제어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프로그램(40)의 실행이 개시되면, 우선 스텝(41)에서 데이터의 입력이 이루어져서 이것들 데이터는 메모리에 기억된다. 다음에 스텝(42)에서 엔진고장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별을 하게 된다. 이 판별은 회전신호(N)와 키이스위치(9)의 조작상태등에 따라서 공지된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다. 엔진고장상태가 아니라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스텝(43)에 들어가서 여기에서 엔진회전수(Ne)가 소정치(K)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게 된다. Ne≤K이면, 스텝(43)의 판단은 그렇다로 되어 스텝(44)에 들어가서 셀렉터(12)가 중앙위치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별을 한다.
스텝(44)의 판별결과가 아니다인 경우에는 이 프로그램의 실행은 종료하게 된다.
스텝(44)가 판별결과가 그렇다로 되면 스텝(45)에 진행하고, 여기에서 기어변속기(4)의 기어가 중앙위치에 시프트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별을 하게 된다. 만약 기어변속기(4)의 기어가 중앙위치에 있으면, 스텝(45)의 판별결과는 그렇다로 되어 스텝(46)에서 계전기(6)의 계전기코일(8)에 여자전류를 주어 계전기스위치(7)를 닫는 제어를 실행한다. 그 결과, 키이스위치(9)를 개시위치로 하면 시동모우터(2)에 작동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다음의 스텝(47)에서는 타이머(T)를 설정하여 이 프로그램의 실행을 종료한다.
기어변속기(4)의 기어가 중앙이외의 위치에 있으면, 스텝(45)의 판별결과는 아니다로 되고, 스텝(48)에서 기어를 중앙위치에 시프트하는 조작을 자동변속제어장치(CU)에 대하여 지령한 다음 스텝(49)에 진행한다. 스텝(49)에서는 클러치(3)가 오프인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클러치(3)가 오프인 경우에는 스텝(46)에 진행한다. 한편 클러치(3)가 온인 경우에는 스텝(50)에서 클러치(3)를 오프이라 한다음 스텝(51)에서 계전기(6)를 비구동상태, 즉 계전기스위치(7)를 폐쇄상태로 하여 이 제어프로그램의 실행을 종료하게 된다.
다음에 스텝(43)에서 Ne〉K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스텝(52)에 들어가고 타이머(T)의 내용인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T=0인 경우에는 스텝(53)에서 계전기(6)를 비구동상태로 한다. 한편 T≠인 경우에는 스텝(54)에서 타이머(T)의 값을 1만큼 감소시키는 조작을 하게 된다.
스텝(53) 또는 (54)가 실행되면 이 제어프로그램의 실행이 중요하게 된다.
스텝(42)에서 엔진고장상태에 있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스텝(55)에서 엔진고장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F)가 설정되어 스텝(56)에서 키이스위치(9)가 개시위치에 있는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키이스위치(9)가 개시위치에 있으면, 스텝(57)에서 클러치(3)를 오프로 하는 제어가 이루어져서 스텝(58)에서 클러치(3)가 오프로 되었음을 확인하였을 경우, 스텝(46)에 들어간다. 스텝(58)에서 클러치(3)가 온이라고 판단되면 이 제어프로그램의 실행은 종료하게 된다. 스텝(56)에서 키이스위치(9)가 개시위치 이외의 위치에 있으면, 스텝(59)에 들어가고, 여기에서 엔진(1)의 회전속도(Ne)가 영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게 된다. Ne=0인 경우에는 스텝(60)에서 클러치(3)가 온으로 되고, Ne≠0인 경우에는 스텝(61)에서 플래그(F)가 지워지게 된다.
스텝(60) 또는 (61)의 실행종료에 따라 제어프로그램의 실행이 종료하게 된다.
상술한 제어프로그램(40)이 소정 시간간격으로 반복 실행됨에 따라 엔진고장상태의 경우에는 키이스위치(9)를 개시위치로 하는 것만으로, 클러치(3)가 오프로 되어(스텝 56, 57) 클러치(3)가 오프로 되면(스텝 58) 계전기(6)가 구동되어 계전기 스위치(7)가 닫혀지므로 시동모우터(2)가 작동하여, 엔진(1)의 시동조작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엔진고장상태인 때에 키이스위치(9)를 개시위치로 전환함에 따라 클러치(3)를 오프로 하는 구성이지만, 클러치(3)는 반드시 오프로 할 필요는 없고, 클러치(3)를 온 상태로 하여 시동모우터(2)를 작동시키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도에 나타낸 구성에서 작동기(16) 및 스트로우크센서(20)의 구성을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하여도 좋다.
즉,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3)에는 출력선(18a)의 레벨이 「H」로 됨에 응답하여 클러치(3)를 온 상태로 하는 작동기(16')를 연결함과 동시에 클러치(3)가 온상태로 되었을 경우에 「H」레벨으로 되는 출력선(a')을 지닌 스트로우크센서(20')를 클러치(3)에 연결하여 출력선(18a) 및 (20a')를 앤드게이트(19)의 각 입력단자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여 출력선(18a)의 레벨이 「H」로 되었을 경우에 변속기(4)의 기어를 제 1 속으로 넣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엔진고장상태로 들어갔을 경우에 키이스위치(9)를 개시위치에 전환하면 출력선(18a)의 레벨이 「H」으로 되어 작동기(16')로 클러치(43)를 접속하는 조작을 하게 된다.
한편, 변속기(4)의 기어가 제 1 속에 시프트된다. 그리고, 클러치(3)가 온상태로 되면, 스트로우크 센서(20)로부터 「H」레벨의 신호가 출력선(20a')으로 출력되어 이에 따라 앤드게이트(19)의 출력이 「H」레벨으로 되어 계전기(6)가 구동된다. 그 결과 시동모우터(2)가 회전하여 엔진(1)을 회전시키켠, 이 회전력은 클러치(3) 및 제 1 속에 시프트되어 있는 변속기(4)를 개재하여 구동륜(5)에 전달되어 시동모우터(2)에 따라 차량의 이동이 가능한 위에 엔진(1)의 시동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차량이 건널목안에서 엔진고장상태로 되었을 경우에는 극히 좋은 형편이다.
제 4 도에 나타내는 구성에 따른 제어를 제 2 도에 나타낸 구성으로 실현하기 위하여는 제 3 도에 나타낸 제어프로그램(40)의 스텝(57), (58)을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70-73)으로 변경하는 것이 좋다. 제 5 도에 나타낸 순서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스텝(56)의 판별결과가 그렇다로 되면, 스텝(70)에서 기어변속기(4)의 기어가 제 1 속위치에 들어와 있는지 아닌지가 판별되어 그 판별결과가 그렇다인 경우에는 스텝(79)에 들어가서 클러치(3)를 온으로 하여 계전기(6)의 구동을 하게 된다. 한편 스텝(70)의 판별결과가 아니다인 경우에는 스텝(72)에서 기어를 제 1 속에 넣는 조작을 한 다음 스텝(71)에서 클러치(3)를 온으로 하여 계전기(6)의 구동을 하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엔진고장시에는 키이스위치(9)가 개시위치에 전환됨에 따라 기어가 제 1 속위치에 있을 경우를 제외하여 기어를 제 1 속위치에 시프트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클러치(3)를 온으로 하여 시동모우터(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른 효과는 제 4 도에 따라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것을 검출하여 키이스위치가 개시위치로 됨에 따라 클러치를 접속하고, 또는 클러치를 떨어지게 하여 시동모우터를 회전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엔진고장시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조작이 극히 간단하게 되어 긴급시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엔진의 시동을 확실하에 실행할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성취하였다.

Claims (2)

  1. 작동기에 의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클러치를 포함한 셀렉터의 조작을 따라 모우드로 작동하는 자동변속장치를 구비하여 셀렉터가 일정한 조작상태에 있을 경우에 시동모우터를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차량의 엔진시동장치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이 키이스위치를 오프로 하는 조작에 의하지 않고 정지한 것을 검출하는 제 1 검출수단과 이 제 1 검출수단에 따라 엔진의 회전장치가 검출되었을 때에 키이스위치가 개시위치에 전환되었을 경우에 클러치를 오프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작동기에 부여하기 위한 제 1 제어수단과 클러치가 오프로 되었음을 검출하는 제 2 검출수단과, 제 1 제어수단과 제 2 검출수단등에 응답하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클러치가 오프로 되어 있으며 또한 키이스위치가 개시위치에 전환되어 있을 경우에 시동모우터에 작동하기 위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수단 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장치 부설차량의 엔진시동장치.
  2. 작동기에 의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클러치를 포함한 셀렉터의 조작에 따른 모우드로 작동하는 자동변속장치를 구비하고 셀렉터가 일정한 조작상태에 있을 경우에 시동모우터를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의 엔진시동장치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이 키이스위치를 오프로 하는 조작에 의하지 않고 정지하였음을 검출하는 제 1 검출수단과, 제 1 검출수단에 따라 엔진의 회전장치가 검출되었을 때에 키이스위치가 개시위치에 전환되었을 경우에 클러치를 온으로 하기 위한 클러치 온 신호를 작동기에 부여하기 위한 신호발생수단과 클러치가 온으로 되었음을 검출하는 클러치 온 검출수단과 신호발생수단과 클러치 온 검출수단등에 응답하여 클러치 온 신호에 따랴서 클러치가 온으로 되었을 경우에 셀렉터의 조작상태에 불구하고 키이스위치가 개시위치에 전환되었음에 응답하여 시동모우터에 작동전류를 흐르게 하는 수단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장치 부설차량의 엔진시동장치.
KR1019910015770A 1990-09-11 1991-09-10 자동변속장치 부설차량의 엔진시동장치 KR950002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240641 1990-09-11
JP2240641A JPH04121457A (ja) 1990-09-11 1990-09-11 自動変速装置付車輛のエンジン始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166A KR920006166A (ko) 1992-04-27
KR950002371B1 true KR950002371B1 (ko) 1995-03-17

Family

ID=1706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770A KR950002371B1 (ko) 1990-09-11 1991-09-10 자동변속장치 부설차량의 엔진시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88070A (ko)
EP (1) EP0475390B1 (ko)
JP (1) JPH04121457A (ko)
KR (1) KR950002371B1 (ko)
CA (1) CA2051084C (ko)
DE (1) DE6910274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18708C1 (ko) * 1992-06-06 1993-08-26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GB9300526D0 (en) * 1993-01-13 1993-03-03 Automotive Products Plc A clutch control system
US5514048A (en) * 1993-10-06 1996-05-07 Case Corporation Interlocked control lever system with engine starting interlock circuit for an off-highway implement
JP3419605B2 (ja) * 1995-09-13 2003-06-23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ギアイン判定装置
FR2748703B1 (fr) * 1996-05-14 2000-12-15 Luk Getriebe Systeme Gmbh Dispositif d'actionnement automatise d'un systeme de transmission de couple
DE19758770B4 (de) * 1996-07-12 2014-11-20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Kraftfahrzeug
NO973523L (no) * 1996-08-06 1998-02-09 Luk Getriebe Systeme Gmbh Motorkjöretöy
DE19715384C1 (de) * 1997-04-14 1998-06-04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nlaßsperr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Automatgetriebe
JP4227211B2 (ja) * 1998-02-26 2009-02-1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電子制御クラッチを備えた車両の始動装置
KR100365212B1 (ko) * 2000-07-15 2002-12-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오토트랜스밋션 자동차의 비상 시동장치 및 그 방법
JP2002098228A (ja) * 2000-09-25 2002-04-05 Aisin Seiki Co Ltd 車両の変速装置
DE10205020B4 (de) * 2002-02-07 2006-07-0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Wiederstart einer Antriebseinheit
JP4054965B2 (ja) * 2002-03-26 2008-03-0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原動機始動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自動変速機
US6752741B2 (en) * 2002-05-31 2004-06-2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ISA engine start-stop strategy
US6800952B2 (en) * 2002-06-18 2004-10-05 Dana Corporation Method of protection and fault detection for starter/alternator operating in the starter mode
JP2008121583A (ja) * 2006-11-13 2008-05-29 Toyota Motor Corp 車両制御装置
EP2899431B1 (en) * 2013-01-25 2018-07-0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JP6148111B2 (ja) * 2013-08-09 2017-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オイルジェッ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5651A (en) * 1952-05-24 1954-08-03 Collins Douglas Starting system
US2757295A (en) * 1955-02-23 1956-07-31 Stephen F Briggs Automatic engine starting circuit
US3574288A (en) * 1969-10-02 1971-04-13 Gen Motors Corp Transmission disabling apparatus
US4454789A (en) * 1980-05-21 1984-06-19 Volkswagenwerk Aktiengesellschaft Drive train for a vehicle
JPS60248443A (ja) * 1984-05-24 1985-12-09 Nippon Denso Co Ltd 自動変速機装着車両のエンジン始動装置
GB8830462D0 (en) * 1988-12-31 1989-03-01 Goodhand Steve B Engine star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51084C (en) 1997-08-26
CA2051084A1 (en) 1992-03-12
EP0475390B1 (en) 1994-07-06
KR920006166A (ko) 1992-04-27
US5188070A (en) 1993-02-23
JPH04121457A (ja) 1992-04-22
DE69102743T2 (de) 1994-11-24
DE69102743D1 (de) 1994-08-11
EP0475390A1 (en) 199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371B1 (ko) 자동변속장치 부설차량의 엔진시동장치
JP4688877B2 (ja) 運転者が不在の場合に車両の熱機関の自動停止指令を禁止する方法
JP2515387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H03219165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指示装置
JPS5815729A (ja) エンジン自動停止始動装置
JP2000515955A (ja) 自動車における制御装置の作動装置
US9156475B2 (en) Actuator control apparatus
JP2006322362A (ja) エンジン自動停止始動制御装置
CN107664208B (zh) 车辆的控制装置
JP2002323127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ンジ切換装置
JP2021131114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2006207388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JPH04358729A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装置
JP5234309B2 (ja) 変速制御装置
JP4144760B2 (ja) 変速機制御装置
JP4412359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02213600A (ja) 自動変速装置におけるフェール制御装置
KR200197093Y1 (ko) 자동차의 발전기 고장 음성 경보기
JPH0650423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S60248443A (ja) 自動変速機装着車両のエンジン始動装置
JP4707894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ンジ切換え制御装置
JPS62122826A (ja) 車両用制御装置
JP2024009484A (ja)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JPS5823253A (ja) 自動車用エンジンの自動始動停止方法
JP6059440B2 (ja) スタータモ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