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1047Y1 - 드로우어웨이 팁 - Google Patents

드로우어웨이 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1047Y1
KR900011047Y1 KR2019860013403U KR860013403U KR900011047Y1 KR 900011047 Y1 KR900011047 Y1 KR 900011047Y1 KR 2019860013403 U KR2019860013403 U KR 2019860013403U KR 860013403 U KR860013403 U KR 860013403U KR 900011047 Y1 KR900011047 Y1 KR 9000110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edge
tip
cutting
drawaway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3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8133U (ko
Inventor
오사무 쓰지무라
료오에이 하세가와
마사유끼 오오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긴소꾸 가부시기가이샤
나가노 다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긴소꾸 가부시기가이샤, 나가노 다께시 filed Critical 미쓰비시 긴소꾸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81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81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10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0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23C5/109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with removable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4Overall shape
    • B23C2200/045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드로우어웨이 팁
제1도―제10도는 본고안의 드로우어웨이 팁의 1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는 정면도
제2도는 측면도.
제3도는 회전중의 드로우어웨이 팁과 피절삭재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도면.
제4도는 상기한 드로우어웨이 팁을 엔드밀 본체에 부착한 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5도는 동축면도.
제6도―제10도는 각각 상기한 드로우어웨이 팁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제11도―제15도는 각각 종래의 드로우어웨이 팁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1도―제13a도, 제14도 및 제15도는 각각 정면도, 제13b도는 동도면 a의 Ⅰ―Ⅰ선에서 본 단면도, 제13c도는 동도면 a의 Ⅱ―Ⅱ선에서 본 단면도.
제16도 및 제17도는 종래의 드로우어웨이 팁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16도는 측면도.
제17도는 동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상면 23 : 하면
24 : 외접원 25 : 절삭날
26 : 전단 27 : 후단
28 : 절결부 31 : 경사면(rake surface)
29, 34 : 벽면 32, 33 : 경사진면
36 : 노즈(nose)
본고안은 특히 볼엔드 밀(Ball-end mill)등의 절삭날로서 사용하기 알맞은 드로우어웨이 팁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공작물에 대한 각종의 절삭가공용 전삭 공구로서 공구본체의 선단부에 초경합금제 등으로된 절삭날이 형성된 1내지 2이상의 드로우어웨이팁이 착탈자재하게 장착되어서 이루어진 드로우어웨이식의 전삭공구가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제16도 및 제17도는, 종래 이 종류의 전삭공구에 장착되는 드로우어웨이 팁의 일예로서, 공개특허공부 소화58년 제81502호에 기재된 것을 표시하는 것이다.
제16도 및 제17도에 있어서, 이 드로우어웨이 팁(1)은, 외주형상의 대략 정삼각형을 이루는 판형상의 것으로서 그 상면(2)각 각 변부(邊部)에 각각 동일한 길이의 볼록 원호형상을 취하는 절삭날(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드로우어웨이 팁(1)의 외주부분의 서로 인접하는 상기한 절삭날(3)(3)의 선단(4)과 후단(5)사이에는 각각 제17도에 표시하는 것처럼 정면에서 보아서 대략 대형상(坮形狀)을 이루는 절결부(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절결부(6)로 구획형성된 절삭날(3)의 선단(4)쪽에 위치하는 벽면(7)은, 선단(4)과 절삭날(3)의 원호중심을 연결하는 직선(8)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벽면(7)에 연결되는 상기한 절삭날(3)의 선단부는, 볼록 곡면(9)에 의하여 형성됨과 아울러, 또한 상기한 상면(2)의 절삭날(3)에 따르는 경상면(rake surface)(10)은 절삭날(3)의 선단(4)에서 후단(5)으로 향하여 그 하면(11)쪽으로 경사된 경사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절삭날(3)의 후단(5)에는 여기에 연이어 제1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절삭날(3)의 후단(5)에 있어서의 접선에 대하여 둔각으로 되는 각도(γ)를 이루는 직선상의 제2절삭날(12)과, 이 절삭날(12)에서 드로우어웨이 팁(2)의 중심쪽으로 연장되어서 상기한 벽면(7)과 대향하고, 상기한 절결부(6)을 구획형성하는 계지벽면(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한 종래의 드로우어웨이 팁(1)은 제16도 및 제17도에 각각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축선 (O)둘레로 회전이 자유자재롭게된 공구본체(엔드밀본체)(15)의 팁 부착시트(16)에 그 하면 (11)을 당점시키고, 절삭에 관여하는 하나의 절삭날(3)을 상기한 공구본체(15)의 외주측에서 선단에 위치시켜서 클램프 나사 (17)에 의하여 착탈자재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절삭날(3)의 후단(6)에 위치하는 제2절삭날(12)은 공구본체(15)를 피절삭재에 대하여 인상시킬 때에 절삭에 관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드로우어웨이 팁(1)은, 상기한공구본체(15)에 형성된 볼록부분(18)과 그 하나의 절결부(6)의 계지벽면(13)을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회전이 저지되게끔 부착되어 있다.
또 이 드로우어웨이 팁은 제1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정각 (正角)의 측경사각이 부여되어서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드로우어웨이 팁(1)에서는 그 외주에 대형 (坮形)의 절결부(6)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6)의 절삭날 (3) 선단 (4)에 연결되는 벽면(7)을 선단(4) 과 절삭날(3)의 원호중심을 연결하는 직선(8)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함과 아울러 절삭날(3)의 선단부분에 볼록 곡면(1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결국 절삭에 관여해야 할 각 절삭날(3)의 유효절삭날의 길이가 짧게 되어 결과적으로 절삭반지름이 작아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절삭날(3)의 선단(4)에 있어서의 정상각(θ)이 90°로 되기 때문에 이 부분의 절삭날 강도가 낮고, 따라서 특히 이 절삭날(3)의 선단부분에 결손이나 칩핑(chipping)이 발생하기 쉬워서 절삭 성능이 떨어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드로우어웨이 팁이 보유하는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드로우어웨이 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시키시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본고안에 관한 드로우어웨이 팁은 외주형상을 대략 정삼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상면의 각 변부에 각각 상기한 정삼각형의 외접원의 반지름보다 큰반지름의 볼록 원호를 갖는 절삭날을 형성함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상기한 절삭날의 선단과 후단과의 사이에 상기한 상면에서 하면에 이르는 V자 형상의 절결부를 형성하고, 또한 각 절결부의 정삭날 선단에서 하면에 이르는 벽면을 상기한 절삭날 선단과 이 절삭날의 원호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인접하는 상기한 절삭날의 후단측으로 향해서 경사시켜 형성하며, 또한 상기한 절삭날 선단에서 상기한 윗면에 이르는 상기한 절삭날에 따르는 경사면(rake surface)을 상기한 윗면에 대하여 각각 다른 각도로서 경사시킨 복수의 연속하는 경사면에 의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하 본고안의 드로우어웨이 팁의 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10도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이 드로우어웨이 팁(21)은 상면(22)과 하면(23)이 평행한 판형상의 것으로서, 그 외주형상은 대략 정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드로우어웨이 팁(21)의 각 변부에는 각각 이 정삼각형의 각 정점을 통하는 외접원(24)의 반지름 보다도 큰반지름의 서로 같은 길이의 볼록 원호로서 이루어진 절삭날(25)…이 형성 되어 있다.
여기서 이들 절삭날 (25)…의 원호의 길이는 각각 이 원호반지름에 의해서 형성되는 전체 원주의 대략 ¼의 길이로 되어 있다.
또 드로우어웨이 팁(21)의 외주의 서로 인접하는 절삭날(25)(25)의 선단(26)과 후단(27)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한 정삼각형의 모서리부에는 각각 상면(2)에서 하면(23)에 이르는 V자형상의 절결부(28)…가 각각 원주방향 3등분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각 절결부(28)의 절삭날(25)의 선단(6)에서 하면(23)에 이르는 벽면(29)은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절삭날(25)의 선단(26)과 절삭날(25)의 원호중심을 연결하는 직선(30)에 대하여 인접하는 상기한 절삭날(25)의 후단(27)으로 향하여 각도(α)경사 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한 절삭날(25)의 선단부분은 그 선단(26)에 있어서의 정상각(θ)이 둔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절삭날(5)의 선단(26)에서 상면(22)에 이르는 상기한 절삭날(25에 따르는 경사면(31)은 상기한 선단(26)에서 상면(22)으로 향하여 각각 그 상기한 상면(22)에 대한 경사각도가 점차로 작게되는 2개의 경사진면(32)(33)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절삭날(25)의 선단(26) 근처의 상기한 경사면(rake surface)(31)의 옆부분에는 상기한 벽면(29)과 아울러 이 절결부(28)를 구획형성하는 다른쪽의 벽면(34)에 연하여 상기한 상면(22)에 이르는 입상면(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경사진면(32) (33)의 사이 및 이들의 경사진면(32) (33)과 상면(22)혹은 벽면(29)과의 사이의 경계부분에서 각각 라운드모양을 이루는 모따기 가동이 실시되어 있다.
또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절삭날(25)의 후단(27)에 있어서의 접선과 상기한 입상면(35)이 이루는 각도(β)는 둔각으로 되며, 또한 상기한 입상면(35)과 상면(22)과의 사이의 변부에 제2절삭날(3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절삭날(38)과 상기한 절삭날(25)의 후단(27)과의 교차부분에는 노즈(nose)(36)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면중 부호 37은, 드로우어웨이팁(21)을 공구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멍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이상의 구성에서 이루어진 상기한 드로우어웨이 팁(21)은, 제3도 내지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축선(O)주위로 회전 자재하게 저지된 공구본체(엔드밀 본체)(41)의 선단부분에 형성된 팁부착시트(42)에 팁의 하면(23)을 당점시키고, 정각의 축경사각을 부여한 상태로서 클램프나사(43)를 개재하여 착탈자재 하게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드러우어웨이 팁(21)은 그 하나의 절결부(28)의 벽면 (34)을 상기의 공구본체(41)의 해당부분에 형성된 볼록부분(44)에 계합시킴으로서 그 회전이 저지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드로우어웨티 팁(21)은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절삭날(25)의 선단(26)과 상기한 축선(O)과의 간격(E)을 약 0내지 0.3mm로 하므로써 상기한 선단(26)이 상기한 축선(O)의 극히 가까운 부분을 통과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경우에 있어서 상기한 드로우어웨이 팁(21)은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절삭시 절삭에 관여하지 않는 인접한 절삭날(25)이 피절삭제(45)와 접촉하지 않도록 팁부착 시트 (42)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공구본체(41)을 인상시켰을 때, 상기한 절삭날(25)의 후단(27)으로 이어진 노즈(36) 및 제2절삭날 (38)이 피절삭날(45)의 절삭에 관여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제6도 내지 제15도에 따라서 상기한 드로우어웨이 팁(21)에 있어서의 작용효과를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드로우어웨이 팁(2)과 대비시키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들의 도면중에서 제6도 내지 제10도는 각각 본 고안의 드로우어웨이 팁(21)을 표시하고, 또 제11도 내지 제15도는 각각 제16도 및 제17도에 표시한 종래의 드로우어웨이 팁(1)을 표시하는 것이다.
(ㄱ)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드로우어웨이팁(1)에 있어서는 절결부(6)의 상기한 벽면(7)을 절삭날(3)의 선단(4)과 이 절삭날(3)의 원호중심을 연결하는 직선(8)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있으므로 드로우어웨이 팁(1)의 상기한 절삭날(3)의 선단(4)에 있어서의 정상각 (θ)이 90°로 된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한 실시예의 드로우어웨이 팁(21)에 있어서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한 벽면ㄹ(29)을 절삭날(25)의 선단(26)과 이 절삭날(25)의 원호중심을 연결하는 직선(30)에 대하여 인접하는 상기한 절삭날(25)의 원호중심을 연결하는 직선(30)에 대하여 인접하는 상기한 절삭날(25)의 후단(27)으로 향하여 각도(α)경사시켜서 형성하고 있으므로 드로우어웨이 팁(21)의 절삭날(25)의 선단(26)에 있어서는 정상각(θ1)을 둔각으로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드로우어웨이 팁(21)에 있어서는, 상기한 종래의 드로우어웨이 팁(1)에 비하여 높은 절삭날 강도를 얻을수가 있으며 따라서 절삭날(25)의 선단부분에 있어서의 결손이나 칩핑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벽면(29)을 상기한 직선(30)에 대하여 경사시켜서 형성한 결과 절결부(28)를 작게 할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한 절삭날(25)의 유효 절삭날 길이를 크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드로우어웨이 팁(21)을 장착한 엔드밀의 절삭반지름을 한층 크게 할 수가 있다.
(ㄴ)제12도 표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드로우어웨이 팁(1)에 있어서는 절삭날(3)에 따르는 경사면(10)을 절삭날(3)의 선단(4)에서 후부(5)로 향하여 그 하면(11)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에 의해서 형성하고 있으므로 공구본체 정각(正角)의 축경사각을 부여하여서 장착한면 도면중(A)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절삭날(3)의 선단(4)에서 후단(5)으로 향하여 이 절삭날(3)의 축선(O)에서 이격량이 크게 되어 버린다.
또한 특히, 절삭날(3)의 후단(5)에 있어서 그 상하면(2)(11)사이의 두께의 칫수가 작게 되기 때문에 그 절삭날의 강도가 뒤떨어진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한 실시예의 드로우어웨이 팁(21)에 있어서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절삭날(3)의 경사면(31)을 그 선단부분 이외에 상면(22)과 균일한 면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드로우어웨이 팁(21)에 있어서는, 공구본체에 정각의 축경사각을 부여해서 부착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는 종래의 드로우어웨이 팁(1)에 비하여 절삭날(25)의 선단(26)에서 후단(27)으로 향해서 절삭날(25)의 상기한 축선(O)에서 이격량이 작기 때문에 그 가공오차가 적고, 따라서 우수한 가공정밀도를 얻을수가 있다.
또 절삭날(25)의 선단(6)에서 후단(27)으로 향하여 그 팁의 두께가 일정하기 때문에, 절삭날(25)전반에 걸쳐 균일하고도 높은 절삭강도를 얻을수가 있다.
(ㄷ)제13도 a, b, c에 표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드로우어웨이 팁(1)에 있어서는, 경사면(10)이 절삭날(3)의 중앙부에 있어서는 동도(b)에 표시한 바와같이 또 절삭날(3)의 후단(5)에 있어서는 동도(c)에 표시한바와 같이 각각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드로우어웨이 팁(1)에 있어서는, 절삭날(3)의 후단(5)에 있어서 경사면(10)의 옆부분에서 상면(22)에 이르는 입상면(1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입상면(10a)이 절삭된 칩배출의 장애가 되어서 절삭된 칩배출성이 뒤떨어짐과 아울러, 진동이나 이상음의 한가지 원인으로도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한 실시예의 드로우어웨이 팁(21)에 있어서는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절삭날(25)에 잇따르는 경사면(31)을 선단부분을 제외하고서 상면(22)과 균일한 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고안에 의한 드로우어웨이 팁(21)에 있어서는, 경사면(31)에 절삭 칩배출을 방해하는 장해물이 없으며, 따라서 절삭칩을 자연스럽게 말아감을 수가 있기 때문에 상기한 종래의 드로우어웨이 팁(1)에 비하여 월등하게 우수한 절삭 칩의 배출성을 얻을수가 있다.
(ㄹ)제1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드로우어웨이팁(1)에 있어서는 절삭날(3)의 후단(5)에 이 후단과의 접선에 대하여 둔각(γ)를 이루는 직선형상의 제2절삭날(1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1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절삭날(3)을 그 선단(4)에서 후단(5)으로 향하여 하면(11)쪽으로 경사시켜서 형성하고 있으므로 예컨대 이것을 부(負)의 축경사각을 부여하여 장착하면 인상 절삭할때에 상기한 제2절삭날(12)에 있어서의 실효 여각이 부족하며, 다라서 소위 2개의 맞닿음이 생겨서 절삭을 행할 수가 없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한 실시예의 드로우어웨이 팁(21)에 있어서는 제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절결부(28)의 상기한 입상면(35)과 상면(22)과의 사이의 면부분에 제2절삭날(38)을 형성하고 이 제2절삭날(38)과 절삭날(25)의 후단(27)에 있어서의 접선과의 이루는 각(β)을 둔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절삭날(25)과 제2절삭날(38)과의 교차부분에 곡면형상의 노즈(36)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한 절삭날(25)을 상면(22)에 잇달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고안의 드로우어웨이 팁(21)에 있어서는 설령 부각(負角)의 축경사각을 부여하여 장착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한 제2절삭날(38)에 있어서의 실효여유각이 부족한 일이 없기 때문에 인상절삭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노즈(36)가 곡면이기 때문에 종래의 드로우어웨이 팁(1)에 비하여 한층 우수한 칩핑방지효과를 얻을수가 있다.
(ㅁ)제1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드로우어웨이 팁(1)에 있어서는 절삭날(3)의 후단(5)에 상기한 벽면(7)에 대향하고, 또한 그 중심으로 향하여 연장된 계지벽면(13)을 형성하며, 이 계지벽면(13)을 공구본체(5)의 볼록부분(8)에 계합시켜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한 실시예의 드로우어웨이 팁(21)에 있어서는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절결부(28)의 양쪽벽면(29)(34)을 V자 형상으로 형상하고 이들 양쪽벽면(29)(34)을 각각 공구본체(41)의 볼록부분(44)에 당접시킴에 의하여 그 회동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둥근모양 또는 둥근모양에 가까운 형상의 드로우어웨이 팁은, 우회전의 공구이면 횡송절삭에 있어서 우회전하기 쉽고 또 종송절삭에 있어서는 좌회전하기 쉽지만 본 고안의 드로우어웨이 팁(21)에 있어서는, 종래의 드로우어웨이 팁(1)에 비하여 팁의 회전 방지효과에 있어서 우수하다.
(ㅂ)또 본 실시예의 드로우어웨이 팁(21)은, 절삭날(25)의 선단부를 두 개의 경사진면(32)(33)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어, 절삭하중이 절삭의 진행에 따라서 점차 증대하기 때문에 절삭날(25)에 한꺼번에 절삭하중이 가중되는 일이 없고 따라서 이 절삭날(25)에 대하여 가해지는 충격력을 대폭 완화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선단부를 곡면으로 형성한 것에 비하여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ㅅ)또한 본 실시예의 드로우어웨이 팁(21)에 있어서는, 상기한 절삭날(25)선단부의 경사진면(32)(33)사이 및 이들 경사진면(32)(33)과 상면(22) 혹은 벽면(29)사이의 경계 부분에 각각 라운드형상을 이루는 모따기가공을 실시하고 있으므로 이 부분의 결손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드로우어웨이 팁(21)을 그 절삭날(25)의 선단(26)이 공구본체(41)의 축신(O)의 부근에 위치시켜서 장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일없이, 상기한 절사날(25)의 선단(26)이 축선(O)부근을 통과하지 않는 통칭 래이더스 형태의 엔드밀에 적용하여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경사면(rake surface)이 되는 측면(38)이 윗면(22)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소위 정각의 형태의 드로우어웨이 팁(21)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측면이 윗면에 대하여 수직한 소위 부각 형태의 것이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고안의 드로우어웨이 팁은, 외주형상을 대략 정삼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윗면의 각 변부에 각각 상기한 삼각형의 외접원 반지름 보다도 큰 반지름의 볼록 원호를 취하는 절삭날을 형성함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상기한 절삭날의 선단과 후단과의 사이에 상기한 상면에서 아래면에 이르는 V자 형상의 절결부를 형성하며, 또한 각 절결부의 절삭날의 선단에서 하면에 이르는 벽면을 상기한 절삭날의 선단과 이 절삭날의 원호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인접하는 상기한 절삭날의 후단으로 향하여 경사시켜 형성하고, 또한 상기한 절삭날의 선단에서 상기한 윗면에 이르는 상기한 절삭날에 따르는 경사면을 상기한 상면에 대하여 각각 다른 각도로서 경사된 복수의 경사면에 의하여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드로우어웨이 팁에 있어서는, 상기한 절결부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그 결과 유효절삭날길이를 길게 할 수가 있고, 따라서 장착한 공구의 절삭반지름을 크게 할 수가 있다.
또 절삭날의 선단에 있어서의 정상각을 둔각으로 할 수가 있으므로 절삭날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이것에 의하여 절삭날의 결손이나 칩핑의 방지효과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경사면을 상면과 균일한 면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절삭칩 배출성을 향상시킬수가 있는등 그 절삭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1)

  1. 외주 형상이 대략 정삼각형의 판형상을 이루고, 그 상면(22)의 각 변부에 각각 상기한 정삼각형의 외접원(24)의 반지름보다도 큰 반지름의 볼록 원호를 취하는 절삭날(25)이 형성되며, 또한 서로 인접하는 상기한 절삭날(25)의 선단(26)과 후단(27)사이의 상기한 상면(22)에서 하면(23)에 이르는 V자 형상의 절결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각 절결부(28)의 상기한 절삭날(25)의 선단에서 상기한 하면(23)에 이르는 벽면(29)이 상기한 절삭날의 선단과 이 절삭날의 원호중심을 연결하는 직선(30)에 대하여 인접하는 상기한 절삭날의 후단측(27)으로 향해서 경사되어 형성되고 또한 상기한 절삭날(25)의 선단에서 상기한 상면(22)에 이르는 상기한 절삭날에 따르는 경사면(rake surface)(31)이 상기한 상면에 대하여 각각 다른 각도로서 경사된 복수의 연속하는 경사진면(32)(33)에 의해서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우어웨이 팁.
KR2019860013403U 1986-05-16 1986-09-01 드로우어웨이 팁 KR90001104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3,506 1986-05-16
JP1986073506U JPH0357382Y2 (ko) 1986-05-16 1986-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133U KR870018133U (ko) 1987-12-22
KR900011047Y1 true KR900011047Y1 (ko) 1990-12-14

Family

ID=30917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3403U KR900011047Y1 (ko) 1986-05-16 1986-09-01 드로우어웨이 팁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57382Y2 (ko)
KR (1) KR9000110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606A (ko) * 2000-08-31 2002-03-07 이형도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링깅제거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2297B2 (en) * 2003-04-15 2010-05-25 Tdy Industries, Inc. Antirotation tool holder and cutting insert
US7220083B2 (en) 2003-10-15 2007-05-22 Tdy Industries, Inc. Cutting insert for high feed face milling
US9586264B2 (en) 2009-04-28 2017-03-07 Kennametal Inc. Double-sided cutting insert for drilling to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606A (ko) * 2000-08-31 2002-03-07 이형도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링깅제거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133U (ko) 1987-12-22
JPS62184912U (ko) 1987-11-25
JPH0357382Y2 (ko) 199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72751B (zh) 切削刀片及可转位刀片式切削工具
JP3196394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2833283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4243087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それを用いた回転工具
JP2003300112A (ja) スクエアエンドミル
KR900011047Y1 (ko) 드로우어웨이 팁
JPS6141683B2 (ko)
JPH0871831A (ja) エンドミル
JPH05116018A (ja) エンドミル
JP5312538B2 (ja) スローアウェイエンドミル
JP2004160606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切削工具
JP3740503B2 (ja) ネジ切り工具
KR900011046Y1 (ko) 정각 드로우 어웨이 팁(positive throw away tip)
JP2557189Y2 (ja) エンドミル
JPH06335816A (ja) 極小径エンドミル
JPH11156625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該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を装着したスローアウェイ式ボールエンドミル
JP2000126920A (ja) 正面フライスカッタ
JP3518315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該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を装着したスローアウェイ式穴明け工具
JPH08141819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KR0137202B1 (ko) 드로우웨이팁
JP2002326113A (ja) バリ取りカッター
JP3161353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ボールエンドミル
JPH02292109A (ja) エンドミル
JPS632248Y2 (ko)
JPH061290Y2 (ja) スロ−アウェイエンドミ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