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470B1 - 접편(接片)을 매설지지시킨 스위치 구조체 - Google Patents

접편(接片)을 매설지지시킨 스위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470B1
KR890001470B1 KR1019840005766A KR840005766A KR890001470B1 KR 890001470 B1 KR890001470 B1 KR 890001470B1 KR 1019840005766 A KR1019840005766 A KR 1019840005766A KR 840005766 A KR840005766 A KR 840005766A KR 890001470 B1 KR890001470 B1 KR 890001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iece
switch structure
pieces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647A (ko
Inventor
도오루 마스다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53211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60846U/ja
Priority claimed from JP183895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74314A/ja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2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3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elastic extensions of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5Switch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접편(接片)을 매설지지시킨 스위치 구조체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의 재크의 종단측면도.
제2도는 동 스위치 구조체의 종단면도.
제3도는 동 접편집합판의 평면도.
제4도는 동 접편을 전개한 상태를 표시한 스위치 구조체의 횡단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한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의 재크의 종단측면도.
제6도는 동 스위치의 구조체의 종단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표시한 스위치 구조체의 요부 종단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표시한 재크의 분해사시도.
제9도는 동 조립전의 상태를 표시한 스위치 구조체의 사시도.
제10도는 동 접편집합판을 매설지지시킨 상태를 표시한 스위치 구조체의 횡단평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표시한 재크의 사시도.
제12도는 동 조립전의 상태를 표시한 재크의 사시도.
제13도는 제12도에서와 다른 각도에서 본 요부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표시한 재크의 사시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표시한 콘텍터의 종단측면도.
제16도는 동 접편집합판을 매설지지시킨 상태를 표시한 스위치 구조체의 횡단평면도.
제17도는 동 접편을 전개시킨 상태를 표시한 스위치 구조체의 일부 절결평면도.
제18도는 동 상기상태에 있어서 스위치 구조체의 종단측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표시한 스위치 구조체의 사시도.
제20도는 동 종단측면도.
제21도는 동 접편집합판의 평면도.
제22도는 동 접편을 전개한 상태를 표시한 스위치 구조체의 횡단평면도.
제23도는 동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크보디 1a : 플러그 삽입통
2 : 스위치 구조체 3 : 접편지지부재
4 5 14 15 : 고정접편 4a 5a 14a 15a : 접점부
6 7a 8a 16a 17a 18a : 접점부
9 : 접편집합판 10 : 플러그
20 : 각 연결편
본 발명은, 복수의 접편을 접편지지부재에 매설지지시켜서 된 것으로서, 그 자체가 단독으로 혹은 재크등에 결합되어서 플러그의 삽탈등에 의해서 소정의 스위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스위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위치 구조체에 있어서는, 각 접편을, 전기절연재로 된 접편지지부재에 형성한 각 결합홈에 소재의 탄성을 이용해서 결합고정시키므로서, 접편지지부재에 지지시키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각 접편의 성형, 접편지지부재의 성형 및 각 접편의 접편지지부재에의 결합을 동일 라인상에서 연속적으로 행하는 것이 곤란하며, 복수의 접편을 지지시킨 접편지지부재의 제조 자동화는, 이것을 쉽게 실현시킬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적어도 각 접편의 접편지지부재에의 결합을 수공업으로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수공업으로 하게되면, 작업자의 숙련도여하에 따라서 정밀도에 불균일이 생기거나, 접편 취급시의 오염으로 인한 접편도금면의 변색, 나아가서는 접점장해등의 불리한 사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또, 접편을 접편고정부재에 결합고정시키고 있는데 불과하기 때문에, 제작오차나 조립오차로 인해서 혹은 장기 사용중에, 접편에 유동이 생기는 등의 염려가 있으며, 정밀도상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편을 금속판으로 타발하는 공정 및 접편을 접편지지부재에 결합하는 공정 즉 접편을 삽입한 상태로 접편지지부재를 성형하는 공정을 동일 라인상에서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게되고, 그 제조의 자동화를 쉽게 실현시킬 수 있는 스위치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의 자동화를 도모하므로서, 수공업에 의한 공정을 배제할 수 있어, 능률좋고 값싸게 제조할 수 있는 스위치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접편을 접편지지부재에 견고하게 지지시켜둘 수 있고, 제조의 자동화로 수공업에 수반하는 접편의 오염등 문제의 해소를 기할 수 있는 것과 아울러 극히 정밀도가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는 스위치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시 다른 목적은 접편의 양도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필요한 은등의값비싼 도금재료의 사용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제조 코스트를 대폭 삭감할 수 있는 스위치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것이 결합되는 재크등의 제조 용이화 및 구조의 간략화를 기할 수 있는 스위치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스위치 구조체를 재크에 결합한 예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표시한 재크는 앞벽에 플러그 삽입통(1a)를 갖춘 상면 개방상자형상의 재크보디(1)와, 보디(1)의 상면개구부에 결합고정된 수위치 구조체(2)로 되어있다. 스위치 구조체(2)는 플러그(10)의 삽탈에 의해서 접리동작되는 두쌍의 고정접편(4) (5) 및 가동접편(6) (7)과, 플러그(10)의 삽탈에 의해서 이것에 직접, 접리동작하는 가동접편(8)과, 이들 접편(4)∼(8)을 매설지지하는 장방형의 판형상의 접편지지부재(3)로 이루어져 있다. 재크보디(1) 및 접편지지부재(3)는, 모두 전기절연성을 가진 수지재로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구조체(2)는, 제1 및 제2고정접편(4) (5) 및 제1, 제2 및 제3가동접편(6) (7) (8) 을 삽입한 상태로 접편지지부재(3)를 일체가 되게 수지성형해서 되어 있는 것이나,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서 제조된다.
즉, 먼저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한장의 금속을 타발해서, 상기 각 접편(4) ∼ (8)이 그 일부에서 서로 연결된 상태로 동일 평면상에서 겹치지 않고 어긋나게 배치된 형상의 접편집합판(9)을 얻는다. 이 경우 접편집합판(9)의 평면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정도로, 필요에 따라서, 비교적 얕은 만곡 또는 돌출가공을 해둔다. 예를들면,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가동접편(6) (7)의 접점부(6a) (7a)의 선단부에 돌출가공을 해서, 아래쪽으로 약간 돌출된 형상의 접점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각 접점(4) ∼ (8)의 양도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접편집합판(9)의 양면에 양도전재막을 형성한다. 예를들면, 접편집합판(9)의 양면에, 은등의 양도전재를 후우프도금한다. 단, 상기 금속판으로서 도금재 혹은 클래드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러한 도금공정은 불필요하다.
그리고, 접편집합판(9)을 각 접편(4) ∼ (8)에 있어서의 접점부(4a) ∼ (8a)와 단자부(4a) ∼ (8b)와의 사이의 각 도통부(4c) ∼ (8c) 및 제1접편(4) (6)과 제2접편(5) (7)과의 접점부 기단간을 연결하는 각 피절단부(9a)를 가진 매설부분을 각각 상하틀(도시하지 않음)사이의 공동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지지시킨 뒤에, 상기 공동내에 수재재를 사출해서 접편지지부재(3)를 성형한다.
그렇게 한 뒤, 접편집합판(9)의 불필요부분(제3도에 쇄선으로 표시한 부분) (9b) …를 절제함과 동시에, 제1접편(4) (6)과 제2접편(5) (7)과의 접점부 선단간의 각 피절단주(9c) 및 상기 각 절단부(9a)를 각각 분리시키므로서 각 접편(4) ∼ (8)이 각각 독립상태로 분리된 상태로 매설지지된 접편지지부재(3)를 얻는다(제4도 참조). 또한, 상기 각 피절단부(9a)는 수지층내에 매설되어 있으나, 그 절단분리는, 각 피절단부(9a)의 상하면쪽의 수지층에 형성한 타발공구 도입용의 관통형상 가공구명(3a) (3b)을 이용해서 타발가공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그리고, 각 접편(4) ∼ (8)의 비매설부분의 일부를 절곡해서, 재크 회로형성을 위한 접점부를 구성한다. 즉, 각 가동접편(6) (7) (8) 의 접점부(6a) (7a) (8a)는 아래쪽으로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각 고정접편(4) (5)의 접점부(4a) (5a)는 이에 대응하는 각 가동접편(6) (7)의 접점부(6a) (7a)밑에 S자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각 가동접편(6) (7) (8)의 굴곡부는 접편지지부재(3)의 하면보다 소정량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있으며, 각 가동접편(6) (7)의 접점부(6a) (7a)는 각 고정접편(4) (5)의 접점부 (4a) (5a)에 탄성접촉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접편(4)∼(8)의 단자부(4b)∼(8b)를 각각 접편지지부재(3)의 좌우측변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뜨린 상태로 절곡시킨다.
이와 같이해서,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각 접편(4)∼(8)을 접편지지부재(3)에 매설지지시킨 스위치구조체(2)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 스위치 구조체(2)는 접편지지부재(3)를, 보디(1)의 상면부에 형성한 결합부(1b) (1c)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각 접편(4)∼(8)의 단자부분(4b)∼(8b)에 형성한 결합요부(4e)∼(8e)를 각각 보디본체(1)의 좌우측면에 형성한 각 결합부(도시하지 않음)에 결합시키므로서, 각 가동접편의 접점부(6a) (7a) (8a)의 굴곡부인 플러그 접촉부가 플러그 삽입로내에 돌출된 상태로 보디(1)의 상면개구부에 결합고정된다. 또한, 각 고정접편(4) (5)의 접점부(4a) (5a)는 보디(1)에 형성된 각 걸림지지부(1d) (1e)에 걸려지지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재크에 있어서는, 플러그 삽입통(1a)으로부터 플러그(10)를 삽입시키면, 플러그(10)의 선단부(10a) 링부(10b) 및 이어드부(10c)에 각각 제1, 제2 및 제3가동접편 (6) (7) (8)의 접점부(6a) (7a) (8a)가 접촉해서, 제1 및 제2가동접편(6) (7)의 접점부(6a) (7a) 가 제1 및 제2고정접편(4) (5)의 접점부(4a) (5a)로부터 위쪽으로 이간되게 되어있다(제1도 참조).
상기 실시예와 같은 구성이면, 한장의 금속판으로부터 접편집합판(9)을 얻는 공정, 접편집합판(9)을 삽입시킨 상태로 접편지지부재(3)를 사출성형하는 공정 및 접편집합판(9)으로부터 소정형상으로 절곡, 분리된 각 접편(4)∼(8)을 얻는 공정을 동일 라인상에서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각 접편(4)∼(8)을 접편지지부재(3)에 매설지지시킨 스위치 구조체(2) 제조의 자동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있어서는, 필요로 하고 있던 수공업이 필요하지 않고, 스위치 구조체(2)의 제조, 나아가서는 재크전체의 제조를 극히 능률좋게 할 수 있어 값싼 재크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우기, 서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수공업을 행함으로 인한 여러가지의 불편도 생기지 않는다.
또, 각 접편(4)∼(8)이 접편지지부재(3)에 매설지지되어 있으므로 종래에서와 같은 각 접편을 결합고정시킨 경우에 비해서 각 접편(4)∼(8)이 극히 견고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각 접편(4)∼(8)이 예기치 않게 유동이 생기게 하는 우려는 없다. 더우기,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접편(4)∼(8)을 접편지지부재(3)에 매설지지시킨 뒤에 절곡되도록하면 각 접편(4)∼(8)의 상대위치 정밀도를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에서와 같이 각 접편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형성해둘 필요가 없으므로, 즉 결합부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지층을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해둘 필요가 없으므로 재크를 보다 소형화, 박형화 할 수 있다. 또, 스위치 구조체(2) 특히 접편지지부재(3)는 재크보디의 상벽으로서도 역활을 하며, 이로인해서 부품 점수의 삭감을 기할 수 있다.
또, 각 접편(4)∼(8)의 단지부(4b)∼(8b)가, 보디(1)의 상면부에 부착한 접편지지부재(3)로부터 늘어뜨러져 있으므로 플럭스의 침입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스위치 구조체(2)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이하에 설명하는 제2 내지 제8의 각 실시예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5도 및 제6도에 표시한 제2실시예에서는 각 고정접편(4) (5)의 접점부(4a) (5a)를 아래쪽으로 "ㄷ"자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접편집합판(9)의 형상등에 대한 기타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하면, 각 고정접편(4) (5)의 접점부(4a) (5a)와 가동접편(6) (7)의 접점부(6a) (7a)와의 접촉면 및 각 가동접편(6) (7) (8)의 플러그(10)에 접촉면이 모두 제3도에 표시한 접편집합판(9)의 한쪽면 즉 하면이 되므로, 각 접편(4)∼(8)의 양도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양도전재막을,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접편집합판(9)의 양면에 형성해둘 필요가 없고, 접편집합판(9) (또는 금속판)의 한쪽면에만 도금등을 하는것만으로 되고, 고가인 은등의 막재료의 양을 가급적 적게할 수 있어, 그 코스트를 대폭 삭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서는 각 고정접편(4) (5)의 접점부(4a) (5a)를 보디(1)에 형성한 각 걸림지지부(1d) (1e)에 걸려지지시킴으로서, 가동접편(6) (7)의 접점부(6a) (7a)의 탄성접촉작용에 의해서 상기 접점부(4a) (5a)가 아래쪽으로 예기치 않게 변위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 도모하고 있으나, 상기 걸림지지부(1d) (1c)를 보디(1)에 형성하지 않고, 이에 상당하는 지지편부(도시하지 않음)를 접편지지부재(3)에 형성토록 해도된다.
또, 제7도에 표시한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고정접편(4) (5)의 접점부(4a) (5a)를 아래쪽으로 "L"자 형상으로 절곡해서, 각 고정접편(4) (5)의 접점부(4a) (5a)가 각 가동접편(6) (7)의 접점부(6a) (7a)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제2고정접편(5)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음). 이와 같이하면, 고정접편(4) (5)의 접점부(4a) (5a)의 강성을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서의 경우에 비해서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걸림지지부(1d) (1e) 혹은 이에 상당하는 지지편부를 보디(1) 혹은 접편지지부재(3)에 항상 형성해둘 필요가 없어지고, 보디(1) 혹은 접편지지부재(3)의 형상을 보다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제8도 내지 제10도에 표시한 제4실시예에서는, 스위치 구조체(12)의 접편지지부재(13)가, 각각 평판형상으로 된, 제1고정접편(14) 및 제1가동접편(16)을 매설지지시킨 제1접편지지부재편(13a)과, 제2고정접편(15) 및 제2가동접편(17)을 매설지지시킨 제2접편고정부재편(13b)과, 양 접편지지부재편(13a)(13b)에 금속제의 연결편(20) (20)…을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으며, 제3가동접편(18)을 매설지지시킨 제3접편지지부재편(13c)등으로 "ㄷ"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구조체(12)는 플러그 삽입통(11a)을 구비한 상면 개방상자형상의 재크보디(11)에, 보디(11)의 좌우측벽(11b) (11c)의 내면에 제1 및 제2접편 지지부재편(13a) (13b)을 각극 중합접촉시킨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연결편(20)은 접편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보디(11)의 좌우측벽(11b) (11c)과 제1 및 제2접편 지지부재편(13a) (13b)이 중합되어 있으므로, 재크보디의 강성이 대폭 향상한다. 또, 접편지지부재(13)는 "ㄷ"자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평판형상으로 성형한 후, 각 연결편(20)을 절곡하므로서 용이하게 "ㄷ"자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구조체(12)의 제조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접편집합판(19)을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타발성형하고, 이 접편집합판(19)의 매설부를 각 공동내에 위치시킨상태에서, 각 접편지지부재편(13a) (13b) (13c)을 사출성형하고, 그 뒤, 각 불필요부분(제9도에 쇄선으로 표시한 부분) (19b)을 절제함과 동시에, 접편간의 각 피절단부(19a) (19c)를 각각 분리한 뒤, 각 접편(14)∼(18)의 접점부(14a)∼(18a) 및 단자부(14b)∼(18b)를 소정형상으로 절곡해서,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전개형상의 스위치 구조체(12)를 제조토록 하고 있다. 이 경우, 각 연결편(20)을 각 접편의 일부로 구성했으나, 이 연결편(20)은 접편과는 별도의 금속편으로 해도 혹은 수지막으로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제4실시예에서는, 보디(11)와 접편지지부재(13)를 별개체로 구성했으나, 제11도 내지 제13도에 표시한 제5실시예에서는, 보디와 접편지지부재를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있다. 즉, 제1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3접편지지부재편(13c)의 앞단에 플러그 삽입통(21a)을 구비한 앞벽체(21)를 늘어뜨린 상태로 일체가 되게 연설한 전개형상으로, 저편지지부재(13) 및 앞벽체(21)를 각 접편(14)∼(18)이 삽입된 상태로 사출 성형하고, 제1 및 제2접편지지부재(13a) (13b)를 각 연결편(20)을 개재해서 아래쪽으로 접고, 제2접편지지부재편(13b)에 형성된 각 결합클릭(13d)을 제1접편지지부재편(13a)에 형성한 각 결합요부(13e)에 결합시키므로서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스위치 구조체(22) 즉, 재크로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점외의 구성은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다. 이와같은 구성일 경우에는, 스위치 구조체 뿐만 아니라, 이것을 결합한 재크전체의 제조 자동화까지도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고, 더우기 재크의 조립을 스위치 구조체(22)의 접기에 의해서 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4 및 제5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가동접편(16) (17) (18)은 각각 플러그(10)의 선단부(10a), 링부(10b) 및 이어드부(10c)에 접촉동작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제5실시예에 있어서, 제3접편 지지부재편(13c)과 앞벽체(21)를 별개체로 구성하고, 양자(13c) (21)간을 연결편으로 연결시키도록 해둘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와 같이 해두면, 각 부재(13) (21를 그 기능에 최적한 재질의 것으로 성형하고, 한편, 접편을 구비한 각 접편 지지부재편(13a) (13b) (13c)은 이들을 내열성에 뛰어난 재질의 것으로 성형해 둔다는 것과 같은 것이다.
또한, 제14도에 표시한 제6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고정접편(54) (55) 및 제1, 제2 및 제3가동접편(56) (57) (58)을 매설지지시킨 접편지지부재(53)의 앞단부에, 플러그 삽입통(51a)을 구비한 앞벽체(51)를 일체적으로 입설하고 재크 그 자체로 기능을 하는 스위치 구조체(52)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하면, 재크를 완성상태로 제조할 수 있고, 극히 값싼 재크를 제공할 수 있다. 각 접편(54)∼(58)의 성형 및 앞벽체(51)를 포함하는 접편지지부재(53)의 성형은,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행할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제1∼제6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 구조체를 재크에 매설하거나 혹은 재크로서 사용하는 예를 표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른 접속기 예를들면 프린트기판 접속용의 콘넥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제15도 내지 제18도에 표시한 제7실시예에 있어서는, 콘넥터가 고정접편(34) 및 이것과 평상시에는 접촉상태에 있는 가동접편(36)을 복수조 병렬상태로 배치해서 매설지지시킨 전기절연제의 접편지지부재(33)로 이루어진 스위치 구조체(32)와,
이 부재(33)와의 사이에서 프린트기판 삽입구멍(31a)을 형성하는 절연재제의 콘넥터보디(31)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구멍(31a)에 프린트기판(40)을 삽입하면,
각 가동접편(36)의 접점부(36a)가 대응하는 각 고정접편(34)의 접점부(34a)로부터 이간되어짐과 동시에 각 가동편(36)의 접점부(36a)가 프린트기판(40)의 각 패턴(40a)과 접촉도통시켜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편지지부재(33)는, 각 접편(34) (36)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지성형된 것이다. 즉, 한장의 금속판을 타발해서, 제1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형상의 접편집합판(39)을 성형하고, 이 접편집합판(39)의 매설부를 공동내에 위치하게 한 상태로 접편지지부재(33)를 사출성형하고, 그뒤 제16도에 쇄선으로 표시한 부분, 즉, 각 고정접편(34)의 접점부(34a)의 선단간을 연결하고 있는 제1피절단부(39a) 및 각 가동접편(36)의 단자부(36b)의 선단간을 연결하고 있는 제2피절단주(39b) 및 각 접편(39c)…을 절제하여, 각 접편(34) (36)을 각각 독립상태로 분리하고(제17도 및 제18도), 그 위에 각 접편(34) (36)의 접점부(34a) 36a) 및 단자부(34b) (36b)를 제1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절곡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제3피절단부(39c)는, 그 상하쪽에 형성된 타발공구 도입용의 관통형상 가공구멍(33a) (33b)을 이용해서 절단제거된다. 이와 같이하면 콘넥터의 제조상 및 정밀도상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올릴 수 있으나, 특히 콘넥터에서는 접편수가 많으므로 그 효과는 보다 현저하게 그런데, 상기 제7실시예에서는, 콘넥터보디(31)를 스위치 구조체(32)와는 별개체로 성형하고, 양자(31) (32)를 성형후 열융착등으로 일체화시켜서 콘넥터를 조립하도록 하였으나, 이 양자(31) (32)를, 상기 제4 혹은 제5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편집합판의 일부등의 연결편을 개재해서 연결된 전개상태로 동시에 성형해두고 이것을 접음으로서 콘넥터를 조립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콘넥터보디(31)까지도 접편지지부재(33)와 마찬가지로 접편을 매설지지 시킨것으로 해두면, 양면에 패턴을 형성한 프린트기판을 사용하는 컨넥터로 할 수 있다. 또, 각 고정접편(34)의 접점부(34a)를 제15도에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절곡시켜두고, 프린트기판(40)을 삽입시킨 경우, 가동접편(36)이 고정접편(34)에 접촉되게 구성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제1 내지 제7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접속기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예를들면 제19도 내지 제23도에 표시한 제8실시예와 같이, 스위치 구조체(42) 그 자체를 스위치로해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해두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9도 및 제20도에 표시한 스위치는, 전기절연재제의 접편지지부재(43)에 가동접편(44), 제1 및 제2고정접편(45) (46)으로 된 스위치기구를 결합해서 구성된 것으로서, 가동접편(44)에 고착된 절연재제의 조작체(47)를 아래쪽으로 압압조작하므로서 가동접편(44)의 제1접점부(44a)가 제1고정접편(45)의 접점부(45a)로부터 이간되어진 다음, 가동접편(44)의 제2접점부(44b)가 제2고정접편(46)의 접점부(46a)에 접촉시켜져서 회로의 절환을 행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 스위치 즉, 스위치 구조체(42)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공정에 의해서 제조된 것이다.
먼저, 제21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각 접편(44) (45) (46)이 상호 연결된 형상의 접편집합판(49)을, 한장의 금속판을 타발해서 성형한다.
이어서, 상기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접편집합판(49)의 상면에만 양도전재막을 형성한다. 이 공정은, 상기 금속판이 도금재 혹은 클래드재인 경우에는 필요없다.
그리고, 접편집합판(49)의 소정부분을 금형내에 삽입시킨 상태로 금형내에 수지재를 사출하여, 접편지지부재(43) 및 이와 별개체의 조작체(47)를 수지성형하고, 연후에, 접편집합판(49)의 불요부분(제21도에 쇄선으로 표시한 부분) (49a)…을 절베함과 동시에, 가동접편(44)과 제1고정접편(45)과의 선단부 사이의 연결부(49b)를 분리하므로서, 제22도 및 제2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각각 독립상태로 분리된 각 접편(44) (45) (46)의 일부를 매설지지시킨 접편고정부재(43)와, 이와는 별개체이고, 가동접편(44)의 선단부쪽에 가까운 장소에 고착된 조작체(47)를 얻게된다.
그리고, 가동접편(44)의 선단부를 하면쪽에 "U"자형상으로 절곡하여, 그 상하부를 제1 및 제2접점부(44a) (44b)에 형성하고, 제1고정접편(45)의 선단부를 위쪽으로 "ㄷ"자형상으로 절곡하여 그 상단부를 접점부(45a)로 형성함과 동시에, 제2고정접편(46)의 선단부를 아래쪽으로 "S"자형상으로 절곡하여, 그 하단부를 접점부(46a)로 형성하고, 또한 가동접편(44)을 위쪽으로 경사상태로 절곡하여 그 제1접점부(44a)를 제1고정접편(45)의 접점부(45a)에 탄성접촉시킨다. 또, 각 접편(44) (45) (46)의 단자부(44c) (45b) (46b)를 각각 아래쪽으로 늘어뜨린 상태로 절곡시킨다. 각 접편(44) (45) (46)의 선단부를 이와 같이 절곡 가공해둠으로서 접편집합판(49)의 한쪽면에만 양도전재막을 형성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대향하는 두쌍의 접점부(44a) (45a) 및 (44b) (46a)가 서로 접촉하는 쪽의 면에는 모두 양도전재막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해서 얻어진 구조체(42)는, 여러가지 전기기기의 스위치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제1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재크 복합판 혹은 사용세트의 캐비닛등에 형성한 플러그삽입체(48)에 부착하므로서, 구조가 간단한 재크장치의 스위치부를 구성할 수 있어, 그 이용가치는 극히 높은 것이다. 또한, 스위치 구조체(42)는, 접편지지부재(43)의 양측면에 형성한 안내돌조부(43a) (43a)를 플러그삽입체(48)의 양측부에 형성한 안내요홈(48a) (48a)에 걸리게 삽입함과 동시에 각 돌조부(43a)에 돌설한 결합돌기(43b)를 플러그삽입체(48)의 결합구멍(48b)에 돌입결합시키므로서, 조작체(47)를 플러그삽입로(48c)안에 돌출시킨상태로 플러그삽입체(48)에 결합고정되게 되어있다.
또, 각 접편의 수 및 배치, 그리고 또, 대향하는 가동접편과 고정접편이 정상상태에서는 접촉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의 설정할 수 있는 것은 말할나위없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금속제의 고정접편과, 적어도 하나의 금속제의 가동접편과, 상기 접편중 적어도 하나의 접편의 비매설부분을 절곡시켜서 접점부를 형성하므로서, 이 접점부를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접편의 비매설부분에 형성된 접점부에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접편의 비매설부분에 형성된 접점부에 상대접리동작 가능케 대향시킨 상태로, 동시에 상기 각 접편을 동일평면상에 전개시켰을때 각 접편이 서로 중합됨이 없이 어긋나게 되게 한 배치상태로, 각 접편의 매설부분을 매설지지시킨 전기절연재제의 접편지지부재를 구비해서 된, 접편을 매설지지시킨 스위치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편이, 상기 접편지지부재에 지지시킨 상태에 있어서 동일평면상에 전개시켰을때의 배치 및 형상으로, 한장의 금속판을 타발해서 형성된 스위치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편이, 각 접편간을 각각 피절단부에서 서로 연결시킨 접편집합판으로부터 각 피절단부를 절단제거하므로서 형성된 스위치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편지지부재에, 상기 각 접편을 매설지지시켰을 때에 상기 각 피절단부중 접편지지부재에 매설되는 것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해서, 그 피절단부를 절단제거시키기 위한 가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절곡에 의해서 접점부를 형성하는 접편의 비매설부분이, 이 접점부와 이것에 상대 접리동작 가능케 대향하는 다른 접편의 접점부와 대향면이 각 접편을 동일평면상에 전개시켰을때에 동일 한쪽에 위치되게 접점부를 형성하도록 절곡되어 있는 스위치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편이, 한쪽면에만 양도전재막을 형성한 금속판 혹은 접편집합판을 사용해서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접편의 접점부가, 이에 접리동작하는 가동접편의 접점부에 대해서 직교되도록 절곡되어 있는 스위치 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편의 접점부가, 상기 접편지지부재에 형성한 지지편부에 걸리게 지지되어 있는 스위치 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편지지부재가 복수의 부분으로 분활되어 있으며, 각 부분 사이가 절곡 가능한 연결편으로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 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이 접편의 일부인 스위치 구조체.
KR1019840005766A 1983-09-30 1984-09-20 접편(接片)을 매설지지시킨 스위치 구조체 KR890001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321183U JPS6060846U (ja) 1983-09-30 1983-09-30 スイツチ機構
JP58-153211 1983-09-30
JP18389583A JPS6074314A (ja) 1983-09-30 1983-09-30 接続器のスイッチ機構
JP58-183895 1983-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647A KR850002647A (ko) 1985-05-15
KR890001470B1 true KR890001470B1 (ko) 1989-05-04

Family

ID=2648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766A KR890001470B1 (ko) 1983-09-30 1984-09-20 접편(接片)을 매설지지시킨 스위치 구조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595805A (ko)
KR (1) KR890001470B1 (ko)
DE (1) DE343582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5989A (en) * 1984-05-11 1987-06-30 Amp Incorporated Method of making an electrical circuit package
JPS62172611A (ja) * 1986-01-25 1987-07-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ツチ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95412B2 (ja) * 1987-05-30 1995-10-11 アンリツ株式会社 接点ブロックの製造方法
DE102007051101A1 (de) * 2007-10-24 2009-10-08 Ims Connector Systems Gmbh Mikroschalter für einen koaxialen Steckverbinder
JP6334456B2 (ja) * 2015-04-30 2018-05-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7202866B2 (ja) * 2018-12-03 2023-01-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向けの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1497A (en) * 1968-07-22 1970-11-17 Hisao Kato Multiple lug terminals
DE2031025A1 (de) * 1970-06-23 1971-12-30 Siemens Ag Kontaktfedersatz
DE2145584A1 (de) * 1971-09-13 1973-03-22 Philips Patentverwaltun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ontaktschalters mit mehreren parallel zueinander angeordneten kontaktfedern
DE7145740U (de) * 1971-12-04 1972-03-23 Swf Spezialfabrik Rau G Gmbh Schaltereinheit, insbesondere Lenkstockschaltereinheit eines Kraftfahrzeuges
US3900709A (en) * 1974-03-25 1975-08-19 Amp Inc Multiple switch assembly having independent operators rotatably cumming discrete leaf spring type contact assemblies
NL7600236A (nl) * 1976-01-12 1977-07-14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elektrisch onderdeel met aansluitlippen, en onderdeel dat volgens deze werkwijze vervaardigd is.
GB1540360A (en) * 1977-01-24 1979-02-14 Amp Inc Printed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US4392703A (en) * 1978-03-27 1983-07-12 The Bendix Corporation Electrical conductor having an integral electrical contact
US4274691A (en) * 1978-12-05 1981-06-23 Amp Incorporated Modular jack
US4273402A (en) * 1979-10-16 1981-06-16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US4269467A (en) * 1979-10-23 1981-05-26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having molded conductors
US4423288A (en) * 1979-10-29 1983-12-27 Northern Telecom Limited Modular telephone jack
US4303297A (en) * 1980-03-26 1981-12-01 Eastman Kodak Company Socket structure for electrical components
DE3015139A1 (de) * 1980-04-19 1981-10-22 Ackermann Albert Gmbh Co Funktionssteckverbinder
US4367907A (en) * 1980-08-04 1983-01-11 Magnetic Controls Company Circuit monitoring jack
US4451106A (en) * 1981-10-07 1984-05-29 Communication Systems, Inc. Snap in communications jack and cover plate assembly
JPS5888783U (ja) * 1981-12-11 1983-06-16 星電器製造株式会社 ジヤツ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435823A1 (de) 1985-05-09
DE3435823C2 (de) 1995-12-14
KR850002647A (ko) 1985-05-15
US4595805A (en) 198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7161B1 (ko) 전기통신케이블용 콘넥터구조
KR890002592B1 (ko) 접편 매설지지형 잭
US9627822B2 (en) Connector
KR860003183Y1 (ko) 멀티콘넥터
KR890001470B1 (ko) 접편(接片)을 매설지지시킨 스위치 구조체
KR101053753B1 (ko) 커넥터
JPS63138678A (ja) 電気コネクタ
JP2507313Y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H07282917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GB2149213A (en) Electrical switch
JPH08288025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02025723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H1032031A (ja) コンタクト
JP2005056669A (ja) コネクタ
JP3934334B2 (ja) プリント回路基板接続用コネクタ
CN220556626U (zh) 电源连接器
JPH10116658A (ja) 基板用コネクタ
CN2383223Y (zh) 卡缘连接器
JPH0218538Y2 (ko)
JP2005050695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3527656B2 (ja)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870001051Y1 (ko) 전자제품용 회로단자와 리이드선의 연결구조
KR840002897Y1 (ko) 재크
KR880000319Y1 (ko) 기판 연결부재
JPH035707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4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