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592B1 - 접편 매설지지형 잭 - Google Patents

접편 매설지지형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592B1
KR890002592B1 KR1019840005808A KR840005808A KR890002592B1 KR 890002592 B1 KR890002592 B1 KR 890002592B1 KR 1019840005808 A KR1019840005808 A KR 1019840005808A KR 840005808 A KR840005808 A KR 840005808A KR 890002592 B1 KR890002592 B1 KR 890002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pieces
folding
contact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700A (ko
Inventor
도오루 마스다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818389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7436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55498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62786U/ja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3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elastic extensions of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접편 매설지지형 잭
제 1 도~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1 도는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측면도.
제 2 도는 접편지지부재의 종단면도.
제 3 도는 접편집합판의 평면도.
제 4 도는 각 접편이 전개되어 있고, 그들 각 접편이 접편지지부재에 매설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횡단평면도.
제 5 도 및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5 도는 서로 접리되는 접편의 절곡변형예를 도시한 종단측면도.
제 6 도는 서로 접리되는 한쪽접편이 다른쪽 접편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측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서로 접리되는 접편의 또 다른 절곡병형예를 도시한 요부 종단측면도.
제 8 도~제10도는 접편 및 접편지지부재의 다른 변형으로서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8 도는 접편지지부재로 잭보디에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 9 도는 접편지지부재를 전개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10도는 접편집합판을 접편지지부재에 매설지지시킨 상태를 도시한 횡단평면도.
제11도~제13도는 접편지지부재를 잭보디에 구성한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1도는 잭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12도는 잭의 조립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13도는 제12도와는 각도를 다르게 하여 들여다 본 요부의 사시도.
제14도는 제 6 실시예로서, 접편지지부재를 잭보디에 구성한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5도~제23도는 본 발명의 접편 매설형 잭을 슬라이드 스위치가 붙은 잭에 적용시킨 제 7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5도는 분해사시도.
제16도는 일부를 절결해서 도시한 평면도.
제17도는 종단측면도.
제18도는 종단배면도.
제19도는 정면도.
제20도는 저면도.
제21도는 측면도.
제22도는 접편집합판의 전개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23도는 절곡전의 각 접편을 접편지지부재에 지지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제24도~제26도는 슬라이드 스위치가 붙은 잭에 적용시킨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제 8 실시예로서,
제24도는 분해사시도.
제25도는 일부를 절결해서 도시한 평면도.
제26도는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잭보디 1a : 클러그삽입통
3 : 접편지지부재 4, 5 : 고정접편
6, 7, 8 : 가동접편 4'~8' : 접편상당부분
4a~8a : 접점부 4b~8b : 단자부분
4e~8e : 결합오목부 9 : 접편집합판
10 : 플러그 13 : 접편지지부재
13a : 제1접편지지부재편 13b : 제2접편지지부재편
14, 54 : 제 1 고정접편 15, 55 : 제 2 고정접편
16, 56 : 제 1 가동접편 17, 57 : 제 2 가동접편
18, 58 : 제 3 가동접편 19 : 접편집합판
20 : 연결편 100 : 잭보디
120 : 클립호울더 130 : 접편지지부재
240 : 시일드판
본 발명은, 음향기기, 텔레비젼, 라디오 등에 결합되는 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접편이 전기절연재제의 접편지지부재에 매설지지된 제작이 용이한 잭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잭은, 각 접편을 잭보디의 일부인 전기절연 개재의 접편지지부재에 형성한 각 결합부에 소재의 탄성을 이용해서 결합고정시키므로서, 접편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각 접편의 성형, 접편지지부재의 성형 및 각 접편의 접편지지부재에의 결합을 동일 라인상에서 연속적으로 행하는 것이 곤란하고, 복수의 접편을 지지시킨 접편지지부재의 제조자동화는 이것을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가 없었다. 이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적어도 각 접편의 접편지지부재에의 결합을 수공업으로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수공업에 의존할 때는, 작업자의 숙련도 여하에 따라서, 예를 들면 접편에 변형을 생기게 해서 정밀도가 불일치하거나 접편취급시 오염에 의한 접편 도금면에 변색, 또는 접점장해 등의 불합리한 사태가 생길 염려가 있다.
또, 접편을 접편지지부재에 결합고정시키는 것에 불과하므로, 제작오차나 조립오차에 의해서 혹은 장기사용하는 동안에, 접편에 유동이 생기거나 하는 염려가 있어, 정밀도상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은, 복수의 접편을 갖춘 접편지지부재의 제조자동화를 가능하게 하고, 그에 의해서 제작이 용이한 잭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숙련도 여하에 따라서 예를 들면 접편에 변형을 생기게 하여 정밀도에 불균일을 생기게 하거나, 접편취급시의 오염에 의해서 접편에 접점 장해등을 생기게 하는 일이 없는 즉, 정밀도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잭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편지지부재에 대한 접편의 지지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해도 접편에 유동이 생기는 일이 없는 잭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잭보디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잭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은, 금속판을 타발함으로서, 접편집합판을 형성하고, 접편집합판은 그 각 접편 상당부분을 전개상태에서 판두께방향으로 서로 겹치는 일이 없도록 가로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하고, 그 배치된 각 접편 상당부분을 각각 절곡하므로서 구성한 복수개의 접편과, 이들 접편의 절곡에 앞서서 상기 접편집합판의 각 매설부를 매설지지하므로서 각 접편을 지지시킨 전기절연재의 접편지지부재를 구비한 접편 매설지지형 잭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서로 접리되는 스위치접편을 가진 접편 매설형 잭의 예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에 도시한 잭은, 앞벽에 플러그 삽입통(1a)을 갖춘 상부면이 개방상자형상의 잭보디(1)와, 이 보디(1)의 상부면에 개구부에 결합고정된 복수개의 접편을 가진 접편지지부재(3)로 이루어져 있다. 접편지지부재(3)는, 플러그(10)의 삽탈에 의해서 접리동작되는 두쌍의 고정접편(4)(5) 및 가동접편(6)(7)과, 플러그(10)의 삽탈에 의해서 이것에 직접 접리동작되는 가동접편(8)을 장방향 형상의 부재내에 매설지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 접편지지부재(3)는 잭보디(1)와 함께 전기절연성을 가진 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접편지지부재(3)는, 제 1 및 제 2 고정접편(4)(5) 및 제1, 제2 및 제 3 가동접편(6)(7)(8)을 삽입한 상태로 일체가되게 수지성형해서 된 것이지만,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서 제조된다.
즉, 먼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매의 금속판을 타발해서, 상기 각 접편(4~8)의 접편상당부분(4'~8')이 그 일부에서 서로 연결된 상태로 동일평면상에 서로 겹치지 않게 어긋나게 배설된 형상의 접편집합판(9)을 얻는다. 이 경우 접편집합판(9)의 평면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정도로, 필요에 따라서 비교적 얕은 굴곡 또는 돌출가공을 해둔다. 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의 접점은 제1 및 제 2 가동접편(6)(7)의 접점부(6a)(7a)의 선단부에 돌출가공을 해서 아래쪽으로 약간 돌출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각 접편(4~8)의 양호한 도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접편집합판(9)의 양면에 도전성이 양호한 도전재막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접편집합판(9)의 양면에 은등의 도전성이 양호한 재료로 후우프 도금한다. 단, 상기 금속판으로 도금재 혹은 클래드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도금 공정은 불필요하다.
그리고, 접편집합판(9)을 각 접편 상당부분(4'~8')에서의 접점부(4a~8a)와 단자부(4b~8b)사이의 각 도통부(4c~8c) 및 제 1 접편 상당부분(4')(6')과 제 2 접편 상당부분(5')(7')과의 접전부기단 사이를 연결하는 각피절단부(9a)를 가진 매설부분을 각각 상하금형(도시 하지 않음)사이에 있는 공동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유지시킨후, 상기 공동내에 수지재를 사출해서 접편지지부재(3)를 성형한다.
이렇게 한 다음, 접편집합판(9)의 불필요한 부분(제 3 도에 쇄선으로 표시한 부분)(9b)을 잘라냄과 동시에, 제 1 접편 상당부분(4')(6')과 제 2 접편 상당부분(5')(7')과의 접점부선단 사이의 각 피절단부(9c) 및 상기 각 피절단부(9a)를 각각 분리시키므로서, 각 접편 상당부분(4'~8')이 각각 독립형상으로 분리된 상태로 매설지지된 접편지지부재(3)를 얻는다(제 4 도 참조). 또한 상기 각 피절단부(9a)는 수지층내에 매설되어 있으나, 그 절단분리는 각 피절단부(9a)의 상하면쪽의 수지층에 형성한 타발공구 도입용의 관통형상의 가공구멍(3a)(3b)을 이용해서 타발가공에 의해서 행해진다.
그리고, 각 접편 상당부분(4'~8')의 비매설부분의 일부를 절곡해서, 잭회로 형성을 위한 각 접편(4~8)을 구성한다. 즉, 각 가동접편(6)(7)(8)의 접점부(6a)(7a)(8a)는 아래쪽으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각 고정접편(4)(5)의 접점부(4a)(5a)는 이에 대응하는 각 가동접편(6)(7)의 접점부(6a)(7a)아래로 S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각 가동접편(6)(7)(8)의 굴곡부는 접편지지부재(3)의 하부면보다 소정량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각 가동접편(6)(7)의 접점부(6a)87a)는 각 고정접편(4)(5)의 접점부(4a)(5a)에 탄성접촉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접편 상당부분(4'~8')의 단자부(4b~8b)를, 각각 접편지지부재(3)의 좌우측면에 아래쪽으로 늘어뜨린 형상으로 절곡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 접편(4~8)을 매설지지시킨 접편지지부재(3)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 접편지지부재(3)는 그 자체를 잭보디(1)의 상면부에 형성한 결합부(1b)(1c)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각 접편(4~8)의 단자부분(4b~8b)에 형성한 결합오목부(4e~8e)를 각각 잭보디(1)의 좌우 바깥쪽면에 형성한 각 결합부(도시하지 않음)에 결합시키므로서, 각 가동접편의 접점부(6a)(7a)(8a)의 굴곡부인 플러그 접촉부가 플러그 삽입로내에 돌출된 상태로, 잭보디(1)의 상부면 개구부에 결합고정된다. 또한, 각 고정접편(4)(5)의 접점부(4a)(5a)는 잭보디(1)에 형성된 각 걸림지지부(1d)(1e)에 걸리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잭에 있어서는, 플러그 삽입통(1a)으로부터 플러그(10)를 삽입시키면, 플러그(10)의 선단부(10a), 링부(10b) 및 접지부(10c)에 각각 제1, 제2 및 제 3 가동접편(6)(7)(8)의 접점부(6a)(7a)(8a)가 접촉하고, 제1 및 제 2 가동접편(6)(7)의 접점부(6a)(7a)가 제1 및 제2고정접점편(4)(5)의 접점부(4a)(5a)로부터 위쪽으로 이간되도록 되어 있다(제 1 도 참조).
상기 실시예와 같은 구성이면, 한장의 금속판으로부터 접편집합판(9)을 얻는 공정, 접편집합판(9)을 삽입시킨 상태로 접편지지부재(3)를 사출성형하는 공정 및 접편집합판(9)으로부터 소정형상으로 절곡, 분리된 각 접편(4~8)을 얻는 공정을 동일 라인상에서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각 접편(4~8)을 매설지지시킨 접편지지부재(3)의 제조자동화를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이 접편지지부재(3)를 잭보디(1)에 결합하면 매우 용이하고 능률좋게 잭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문에, 종래에는 필요로 했던 수공업에 의한 각 접편의 잭보디에의 결합작업도 필요하지 않아, 잭 전체의 제조를 매우 능률좋게 행할 수 있어, 값싼 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수공업을 행하므로써 여러가지 불편이 생기는 일도 없다.
또, 각 접편(4~8)이 접편지지부재(3)에 매설지지되어 있으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각 접편을 결합고정시킨 경우에 비해서, 각 접편(4~8)이 매우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각 접편(4~8)이 예기치 않게 유동을 일으키는 것과 같은 염려는 없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간이, 각 접편(4~8)을 접편지지부재(3)에 매설지지 시킨뒤에 절곡하도록 하면, 각 접편(4~8)의 상대위치의 정밀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각 접편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형성해 둘 필요가 없는, 즉 결합부를 확보하기 위해서 수지층을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해둘 필요가 없고, 또한 각 접편(4~8)이 매설된 부분이 수지층에 대해 보강적 역할을 하므로 수지층은 보다 박육화할 수 있다는 것등에 의해 잭을 더욱 소형화, 박형화 할 수 있다.
또, 접편지지부재(3)는 잭보디의 상부벽으로서도 기능을 하므로, 부품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각 접편(4~8)의 단자부(4b~8b)가, 잭보디(1)의 상면부에 부착한 접편지지부재(3)로부터 늘어뜨려져 있으므로 플럭스의 침입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편매설지지형 잭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하는 제2~제 8의 각 실시예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한 제 2 실시예에서는 각 고정접편(4)(5)이 접점부(4a)(5a)가 아래쪽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접편집합판(9)의 형상 등 기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하면, 각 고정접편(4)(5)의 접점부(4a)(5a)와 가동접편(6)(7)의 접점부(6a)(7a)와의 접촉면 및 가동접편(6)(7)(8)의 플러그(10)에의 접촉면이 모두 제 3 도에 도시한 접편집합판(9)의 한쪽면, 즉 하부면이 되므로, 각 접편(4~8)의 양호한 도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도전성이 양호한 막을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접편집합판(9)의 양면에 형성해둘 필요가 없어, 접편집합판(9)의 한쪽면에만 도금등을 해두는 것만으로도 족하여, 값비싼 은등의 재료의 양을 가급적 적게 할 수 있어, 그 생산비를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각 고정접편(4)(5)의 접점부(4a)(5a)를, 잭보디(1) 에 형성한 각 걸림지지부(1d)(1e)에 걸려서 지지됨으로써 가동접편(6)(7)의 접점부(6a)(7a)의 탄성접촉 작용에 의해서 상기 접점부(4a)(5a)가 아래쪽으로 예기치 않게 변위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도모하고 있으나, 상기 걸림지지부(1d)(1e)를 잭보디(1)에 형성하지 않고, 이에 상당하는 지지편부(도시하지 않음)를 접편지지부재(3)에 형성해도 된다.
또, 제 7 도에 도시한 제 3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고정접편(4)(5)의 접점부(4a)(5a)를 아래쪽으로 ㄴ자 형상으로 절곡해서, 각 고정접편(4)(5)의 접점부(4a)(5a)가 각 가동접편(6)(7)의 접점부(6a)(7a)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제 2 고정접편(5)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음]. 이와 같이 하면, 고정접편(4)(5)의 접점부(4a)(5a)의 강성을 상기 제1 및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우에 비해서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걸림지지부(1d)(1e)혹은 이에 상당하는 지지편부를 잭보디(1) 혹은 접편지지부재(3)에 반드시 형성해둘 필요가 없게 되어 잭보디(1) 혹은 접편지지부재(3)의 형상을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제 8 도~제10도에 도시한 제 4 실시예에서는, 접편지지부재(13)가 각각 평판형상으로 된, 제 1 고정접편(14)및 제 1 가동접편(16)을 매설지지시킨 제 1 접편지지부재편(13a)과, 제 2 고정접편(15) 및 제 2 가동접편(17)을 매설지지시킨 제 2 접편지지부재편(13b)과, 양 접편지지부재편(13a)(13b)을 금속제의 연결편(20)(20)…를 개재해서 연결하고, 동시에 제 3 가동접편(18)을 매설지지시킨 제 3 접편지지부재편(13c)등으로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플러그 삽입통(11a)을 갖춘 상부면의 개방된 상자 형상의 잭보디(11)에, 잭보디(11)의 좌우측벽(11b)(11c)의 내면에 제1 및 제 2 접편지지부재편(13a)(13b)을 각각 중첩해서 접촉시킨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각 연결편(20)은 접편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잭보디(11)의 좌우측벽(11b)(11c)과, 제1 및 제 2 접편지지부재편(13a)(13b)이 중첩되어 있으므로, 잭보디의 강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또, 접편지지부재(13)는 ㄷ자 형상으로 되어는 있으나,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평판형상으로 성형한뒤, 각 연결편(20)을 절곡하므로서, 용이하게 ㄷ자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접편지지부재(13)의 제조자동화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잭도 용이하고 능률좋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이 제 4 실시예에서는, 접편집합판(19)을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타발성형하고, 그 접편집합판(19)의 매설부를 각 공동내에 위치시킨 상태로, 각 접편지지부재편(13a)(13b)(13c)을 사출성형하고, 그 뒤, 각 불필요한 부분[제 9 도에 쇄선으로 표시를 한 부분](9b)…을 제거함과 동시에, 접편간의 각 피절단부(19a)(19c)를 각각 분리시킨 뒤, 각 접편 상당부분(14'~18')의 접점부(14a~18a) 및 단자부(14b~18b)를 소정형상으로 절곡하여,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개형상의 각 접편(14~18)을 가진 접편지지부재(13)를 제조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각 연결편(20)을 각 접편의 일부로 구성하였으나, 이 연결편(20)은, 접편과는 별도의 금속편으로 하거나 혹은 수지막으로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제 4 실시예에서는, 잭보디(11)와 접편지지부재(13)를 별개로 구성했으나, 제11도~제13도에 도시한 제 5 실시예에서는, 접편지지부재(13)로 잭보디를 구성하고 있다. 즉,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접편지지부재편(13c)의 앞단부에 플러그 삽입통(21a)을 갖춘 앞벽체(21)를 늘어뜨린 형상으로 일체가 되게 연설한 전개형상으로, 접편지지부재(13) 및 앞벽체(21)에 각 접편(14~18)을 삽입한 상태로 사출성형하고, 제1 및 제 2 접편지지부재(13a)(13b)를 각 연결편(20)을 개재해서 아래쪽으로 접어서 겹치게 하고, 제 2 접편지지부재편(13b)에 형성된 각 결합클릭(13d)은 제 1 접편지지부재편(13a)에 형성한 각 결합오목부(13e)에 결합시키므로서,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잭을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이외의 구성은 제 4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잭 전체의 제조자동화까지도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잭의 조립을 접어서 겹치게 함으로써 매우 용이하게 능률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4 및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 2 및 제3 가동접편(16)(17)(18)은 각가 플러그(10)의 선단부(10a), 링부(10b) 및 접지부(10c)에 접촉해서 동작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제3접편지지부재편(13c)과 앞벽체(21)를 별개로 구성하고, 이들 사이를 연결편으로 연결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와 같이 해두면, 각 부재(13)(21)를 그 기능에 최적한 재질의 것으로 성형해둘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러그(10)가 플러그 삽입통에 삽탈됨으로써 플러그 삽입통 내주면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 앞벽체(21)를 내마모성이 뛰어난 수지재질의 것으로 성형하고, 한편, 접편을 갖춘 각 접편지지부재편(13a)(13b)(13c)은 내열성이 뛰어난 재질의 것으로 형성해두는 것과 같은 것이다.
또한, 제14도에 도시한 제 6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 2 고정접폄(54)(55) 및 제1, 제2 및 제 3 가동접편(56)(57)(58)을 매설지지시킨 접편지지부재(53)의 앞단부에, 플러그 삽입통(51a)을 갖춘 앞벽체(51)를 일체적으로 형성해서 잭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잭을 완성상태로 제조할 수 있어, 매우 값싸고, 제작이 용이한 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접편(54~58)의 성형 및 앞벽체(51)를 포함하는 접편지지부재(53)의 성형은,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제1도~제 6도 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서로 접리되는 스위치 접편을 갖춘 잭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른 잭, 예를 들면 슬라이드 스위치가 붙은 잭에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슬라이드 스위치가 붙은 잭에 구성한 예로서의 제 7 실시예는 제15도~제23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제15도~제23도에 있어서, (100)은 잭 보디, (120)은 클립호울더, (130)은 접편지지부재, (240)은 시일드판이다. 잭 보디(100)는, 상부면을 개방한 상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한쪽측벽 중앙부에 플러그 삽입통(101)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측벽과 인접하는 측벽에, 접편지지부재(130)로부터 늘어뜨린 외부단자(134a)~(134i)를 위치하게하고, 지지시키기 위한 복수쌍의 ㄴ자 형상을 나타내는 결합편(1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스위치 수용부(114)는 그 중앙부가 반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클립호울더(120)의 안내용 홈(116)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내면소정위치에 클립호울더 스톱용의 오목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삽입통(101)의 외주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클립호울더(120)는, 슬라이드 스위치 수용부(114)에 유동됨이 없이 감입 가능한 폭을 가지고 있으며, 부하부면의 소정위치에 상기홈(116)과 결합하는 늘어뜨린 부분(121)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부면에 형성된 긴구멍(122)에 클립, 즉 절환접편(123)이 감입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 안내부(113)의 측단부를 플러그 선단부의 잘록한 부분(161)과 결합하는 지지부(124)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 지지부(124)에 계속 이어지는 부분을 플러그 선단부와 대략 비슷하게 플러그 수용부(125)로 형성하고, 또한 클립호울더(120)의 측벽 소정위치에 상기 오목부(117)와 결합하는 클립호울더 스톱용의 블록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124)에 대해서는, 플러그의 삽탈시에 탄성변형이 가능토록 합성수지등 적당한 재질로 되어 있다.
절편지지부재(180)는, 합성수지등 전기절연재로 되어 있으며, 그 하부면의 소정위치에 상기 오목부(115)와 결합하는 다리부(131)를 형성함과 동시에, 플러그 안내부(113)바로 상기 위치에 절결부(132)를 형성하고, 슬라이드 스위치 수용부(114)바로 상부 위치 및 절환접편(123)의 바로 상부위치에 관통구멍(133)을 형성하고, 또한 복수개의 외부단자(134a~134i)를 측벽으로부터 하부로 늘어뜨려서 지지시키고 있다.
이들 외부단자(134a~134i)와 연결되어 있는 접편[접지스프링 접편(135), 링스프링접편(136), 칩스프링접편(137)] 및 슬라이드 스위치 고정접편(144a~144c)(145a~145c)에 있어서, 외부단자(134a)가 접지스프링접편(135)에 의해서, 외부단자(134b)가 링스프링접편(136)에 의해서 외부단자(134c)가 칩스프링접편(137)에 의해서, 외부단자(134d)(134e)(134f)(134h)(134i)가 각각 슬라이드 스위치의 고정접편(144a)(144b)(144c)(145a)(145b)(145c)에 의해서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접지스프링접편(135)과 링스프링접편(136)은 서로 평행상태로 상기 절결부(132)에 횡가되고 있으며, 또한 중앙부가 하부로 굽혀짐과 동시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칩스프링접편(137)은 상기 관통구멍(133)의 약간 하부로 돌출되고 동시에 선단쪽을 플러그 선단부의 잘록한부분(61)과 결합하는 만곡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의 고정접편(144a~144c)(145a~145c)은 각각 상기 절환접편(123)바로 위의 관통구멍(133)의 하부로 돌출 및 늘어뜨려져 있어 상기 절환접편(123)과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시일드판(240)은, 접편지지부재(130)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는 평판재의 외면에 부착용의 다리부(241)를 늘어뜨려 형성되어 있으며, 다리부(241)의 하부를 안쪽방향으로 굴곡시키므로서 접편지지부재(130)를 끼워넣은 상태로 잭 보디(100)와 결합가능토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접편지지부재(130)의 제조공정을 제22도 및 제 23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즉, 먼저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매의 금속판을 타발해서, 각 접편 상당부분(135'~137')(144'a~144'c)(145'a)(145'c)이 그 일부에서 서로 연결된 상태로 동일평면상에 중첩됨이 없이 어긋나게 배설된 형상의 접편집합판(200)을 형성한다. 이 경우, 접편집합판(200)의 평면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정도로, 필요에 따라서 비교적 얕은 절곡 또는 돌출가공을 해둔다. 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는, 접지 및 링스프링접편 상당부분(135')(136')의 접점부에 돌출가공을 해서, 아래쪽으로 약간 돌출한 형상의 접점부(135a)(136a)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접편집합판(200)의 양면에 은등의 도전성이 양호한 도전재를 후우프 도금한다. 단, 상기 금속판으로 도금재 혹은 클래드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도금공정은 불필요하다.
그리고, 접편집합판(200)을 각각 상하금형(도시하지 않음)사이의 공동내에 위치하게 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지지시킨뒤, 상기 공동내에 수지재를 사출해서 접편지지부재(130)를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한다.
그후, 접편집합판(200)의 불필요한 부분(제22도에 쇄선으로 표시한 부분)(142~145)(150)(151)(151a)(151b)…을 절결하므로서 각 접편 상당부분(135'~137')과 슬라이드 스위치의 고정접편(144'a~144'c)(145'a~145'c)이 각각 독립형상으로 분리된 상태로 매설지지된 접편지지부재(130)를 얻는다(제 9 도 참조).
또한 상기 불필요한 부분중, (142~145)(150)은 수지층내에 매설되어 있으나, 그 절단분리는, 상기 불필요한 부분(142~145)(150)의 상하부면쪽의 수지층에 형성한 타발공구 도입용의 관통구멍(146)…을 이용해서, 타발가공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그리고, 각 접편상당부분(135'~137')(144'a~144'c)(145'a~145'c)의 비매설부의 일부를 절곡해서 잭회로 형성을 위한 접편(135~137)(144a~144c)(145a~145c)을 구성한다.
또한, 각 접편(135~137)(144a~144c)(145a~145c)의 외부단자(134a~134i)를 각각 접편지지부재(130)의 좌우측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뜨린 형상으로 절곡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각 접편(135~137)(144a~1444c)(145a~145c)을 매설지지시킨 접편지지부재(130)를 제조하는 것이다.
다음에, 이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드 스위치가 붙은 잭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러그 삽입통(101)에 플러그(160)을 삽입하면, 플러그 선단부가 클립호울더(120)의 지지부(124)와 당접해서 클립호울더(120)를 슬라이드시키며, 또 지지부(124)를 탄성변형시켜서 플러그 선단부의 잘록한부분(161)과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160)는 접지스프링접편(135), 링스프링접편(136) 및 칩스프링접편(137)과 접속되며, 또한 클립호울더(120)의 절환접편(123)에 의해서, 대응하는 2쌍의 슬라이드 스위치의 고정접편(144b~144c)(145b~145c)끼리가 온상태가 됨과 동시에, 고정접편(144a~144b)(145a~145b)끼리가 오프상태가 된다.
또 플러그(160)를 뽑아내면, 플러그 선단부의 잘록한 부분(161)와 지지부(124)의 결합에 의해서 클립호울더(120)를 슬라이드시키고, 또 지지부(124)를 탄성변형시켜서 플러그 선단부를 뽑아낼 수 있다. 또한, 오목부(117)와 볼록부(126)를 결합시켜서 위치결정을 하므로 클립호울더(120)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 오목부(117)외에 긴홈(118)도 형성함으로써 플러그(160)의 길고 짧음에 기인되는 오차를 효과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다. 단 볼록부(126)의 크리이프변형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면 긴홈(118)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제 7 실시예의 슬라이드 스위치가 붙은 잭에서는, 플러그(160)의 잘록한부분(161)을 클립호울더(120)의 지지부(124)와 결합시키므로서, 이 클립호울더(120)를 플러그를 뽑아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게 하였으나, 이 클립호울더(120)의 지지부(124)대신에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 8 실시예로서 제24~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260)을 배설해서, 플러그를 뽑아낼때, 플러그를 뽑아내는 방향으로 이 코일스프링(260)의 신장력에 의해서 클립호울더(120)를 슬라이드되게 해도 좋다. 또한, 코일스프링(260)을 배설한 경우에, 플러그 삽입시, 제25도,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260)이 압축되어, 플러그(160)를 뽑아내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나, 이 밀어내는 힘은 플러그(160)의 외주면이 받는 접편(135~137)의 측면압보다 작으므로, 플러그(160)가 그 뽑아내는 방향으로 밀리는 일은 없다.
이렇게하여, 상기 제7, 제 8 실시예와 같은 구성이면, 상기 제1~제 6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1매의 금속판으로부터 접편집합판(200)을 얻는 공정, 접편집합판(200)을 삽입시킨 상태로 접편지지부재(130)를 사출성형하는 공정 및 접편집합판(200)으로부터 소정형상으로절곡, 절결된 접편(135~137) 및 고정접편(144a~144c)(145a~145c)을 얻는 공정을 동일 라인상에서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각 접편(135~137)(144a~144c)(145a~145c)을 매설지지시킨 접편지지부재(130)의 자동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접편지지부재(30)의 제조, 또한 슬라이드 스위치가 붙은 잭 전체의 제조를 매우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어 값싼 슬라이드 스위치가 붙은 잭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접편(135~137) 및 슬라이드 스위치를 위한 고정접편(144a~144c)(145a~145c)이 접편지지부재(130)에 매설지지되어 있으므로, 각 접편이 매우 견고하게 지지되어 각 접편이 예기치 않게 유동하지 않는다는 것, 각 접편을 접편지지부재(53)에 매설지지시킨 뒤에 절곡하고 있으므로, 각 접편의 상대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 각 접편을 잭보디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이 잭보디에 결합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잭 보디의 두께를 필요이상으로 두껍게 하지 않아도 되며, 따라서 슬라이드 스위치가 붙은 잭을 더욱 소형화, 박형화 할 수 있는 등 상기 제1~제 6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Claims (15)

  1. 금속판을 타발하여 전개상태에서 판두께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지 않게 가로방향으로 각 접편 상당부분이 형성된 접편집합판과, 상기 각 접편 상당부분을 각각 절곡함으로써 구성되는 복수개의 접편과, 이들 접편의 절곡전에 상기 접편집합판의 각 매설부를 매설지지함으로써 상기 각 접편을 지지시킨 전기절연재로된 접편지지부재를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편매설지지형 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편은 상기 접편지지부재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동일평면상에 전개했을때의 그 배치 및 형상이 1매의 금속판을 타발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편매설지지형 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편은 각 접평 상당부분간을 각각 피절단부에서 서로 연결시킨 접편집합판으로부터 각 피절단부를 절단제거하므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편매설지지형 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편지지부재에, 상기 각 접편상당부분을 매설지지시켰을때, 상기 각 피절단부중 접편지지부재에 매설되는 것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설하고, 그 피절단부분을 절단제거시키기 위한 가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편매설지지형 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편중 적어도 서로 접리동작되는 한쌍의 접편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편매설지지형 잭.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접리동작되는 한쌍의 접편의 접점부의 대향면끼리가 그들 대향면을 동일평면상에 전개시켰을때에 동일한 쪽에 위치되게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편매설지지형 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편은 적어도 그 한쪽면에 도전성이 양호한 도전막이 형성된 접편집합판을 사용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편매설지지형 잭.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편중 적어도 하나의 접편의 접점부가, 이에 접리동작하는 다른 접편의 접접부에 대해서 직교되게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편매설지지형 잭.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편중 적어도 서로 접리되는 한쌍의 접편은 고정접점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한쌍의 접편중 접리되는 쪽의 접편이 상기 접편지지부재에 형성된 지지편부 혹은 잭보디에 형성된 지지편부에 걸리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편매설지지형 잭.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편지지부재가, 잭보디의 측벽으로서 잭보디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편매설지지형 잭.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편지지부재의 앞부분에 플러그 삽입통을 가진 앞벽체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접편지지부재와 앞벽체로 잭보디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편매설지지형 잭.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편지지부재는 복수의 부분으로 분활되어 있고, 각 부분 사이가 절곡 가능한 연결편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편매설지지형 잭.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접편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편매설지지형 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편지지부재의 앞부분에, 플러그 삽입통을 가진 앞벽이 절곡 가능한 연결편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편매설지지형 잭.
  15. 제 1 항에 있어서, 접편지지부재가 내열성을 가진 전기절연재로 형성되고, 상기 앞벽이 내마모성을 가진 전기절연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편매설지지형 잭.
KR1019840005808A 1983-09-30 1984-09-21 접편 매설지지형 잭 KR890002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83894A JPS6074364A (ja) 1983-09-30 1983-09-30 ジャックの製造方法
JP58-155498 1983-09-30
JP58-183894 1983-09-30
JP58-155498[U] 1983-10-05
JP15549883U JPS6062786U (ja) 1983-10-05 1983-10-05 スライドスイツチ付ジヤツ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700A KR850002700A (ko) 1985-05-15
KR890002592B1 true KR890002592B1 (ko) 1989-07-19

Family

ID=26483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808A KR890002592B1 (ko) 1983-09-30 1984-09-21 접편 매설지지형 잭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659167A (ko)
KR (1) KR890002592B1 (ko)
DE (1) DE3435822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18B1 (ko) * 2004-11-22 2007-03-27 유지컴 주식회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4096A (en) * 1989-03-02 1990-09-04 Switchcraft, Inc. Electrical jack with fixed detent
GB2314464B (en) * 1996-06-17 2000-04-19 Cliff Electronics Components L A stackable electrical socket
DE19741466A1 (de) * 1997-09-19 1999-04-15 Framatome Connectors In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in ein Gerätegehäuse eingießbaren Flachsteckerkamms
TW415673U (en) * 1998-10-17 2000-12-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connector
US6062885A (en) * 1999-04-23 2000-05-1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switch assembly
JP2001006830A (ja) * 1999-06-24 2001-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ジャック装置
US6533617B1 (en) 2000-01-07 2003-03-18 J. D'addario & Company, Inc. Electrical plug connectors
US6296525B1 (en) 2000-01-07 2001-10-02 J. D'addario & Company, Inc. Electrical plug and jack connectors
TWM249324U (en) * 2002-04-30 2004-11-01 Hon Hai Prec Ind Co Ltd Audio jack
KR100619969B1 (ko) * 2004-12-13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US7601032B2 (en) * 2005-02-07 2009-10-13 Motorola, Inc. Apparatus for altering poles on an accessory
US20060222050A1 (en) * 2005-03-31 2006-10-05 Robertshaw Controls Company Ceramic receptacle for temperature probes and the like
US20070099517A1 (en) * 2005-11-02 2007-05-03 Huang-Chou Huang Audio socket having a positioning device for positioning an audio terminal extendable into the audio socket
WO2010079385A1 (en) * 2009-01-06 2010-07-15 Fci Insert molded leadframe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s, and electrical connector provided with such an assembly
US8771021B2 (en) * 2010-10-22 2014-07-08 Blackberry Limited Audio jack with ESD protection
JP5683419B2 (ja) * 2011-09-14 2015-03-11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5944188B2 (ja) * 2012-03-12 2016-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基板の製造方法
CN105337090B (zh) * 2014-06-09 2018-03-0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CN105490055B (zh) * 2015-12-29 2017-02-22 昆山联滔电子有限公司 语音插头连接器
US9768541B1 (en) * 2016-08-10 2017-09-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lug receptacle for a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1497A (en) * 1968-07-22 1970-11-17 Hisao Kato Multiple lug terminals
DE2031025A1 (de) * 1970-06-23 1971-12-30 Siemens Ag Kontaktfedersatz
US3900709A (en) * 1974-03-25 1975-08-19 Amp Inc Multiple switch assembly having independent operators rotatably cumming discrete leaf spring type contact assemblies
NL7600236A (nl) * 1976-01-12 1977-07-14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elektrisch onderdeel met aansluitlippen, en onderdeel dat volgens deze werkwijze vervaardigd is.
US4274691A (en) * 1978-12-05 1981-06-23 Amp Incorporated Modular jack
US4273402A (en) * 1979-10-16 1981-06-16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US4269467A (en) * 1979-10-23 1981-05-26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having molded conductors
US4423288A (en) * 1979-10-29 1983-12-27 Northern Telecom Limited Modular telephone jack
US4303297A (en) * 1980-03-26 1981-12-01 Eastman Kodak Company Socket structure for electrical components
US4367907A (en) * 1980-08-04 1983-01-11 Magnetic Controls Company Circuit monitoring jack
US4451106A (en) * 1981-10-07 1984-05-29 Communication Systems, Inc. Snap in communications jack and cover plate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18B1 (ko) * 2004-11-22 2007-03-27 유지컴 주식회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59167A (en) 1987-04-21
DE3435822A1 (de) 1985-04-18
DE3435822C2 (de) 1993-10-07
KR850002700A (ko) 198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592B1 (ko) 접편 매설지지형 잭
KR100491682B1 (ko) 스위치가 붙은 동축 커넥터
US6719577B2 (en) Card connector
US6574855B1 (en) Method of making a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EP1429418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wire release member
JP2002170618A (ja) コネクタ
KR101802731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KR20000076849A (ko) 전기커넥터
US5803242A (en) Switch connecting structure
JPH05190233A (ja) コネクタ
JP7144191B2 (ja) 可動コネクタ
JP3939137B2 (ja) 電気接触子
KR910003912Y1 (ko) 슬라이드스위치부착 코넥터소켓
JP2004273154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端子
KR102059929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JP2022059399A (ja) 平型導体付電気コネクタ、相手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01052791A (ja) 雌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10000499A1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KR890001470B1 (ko) 접편(接片)을 매설지지시킨 스위치 구조체
JP2019129137A (ja) コネクタ、相手方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CN114389107A (zh) 带有扁平导体的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装体
JPH099420A (ja) 電気機器の接続取付構造
JP4326871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0324785B1 (ko) 푸쉬스위치장치
JPH10116659A (ja) シート状導電路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