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299A -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 및 피복 입상 비료 - Google Patents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 및 피복 입상 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299A
KR20230115299A KR1020237018868A KR20237018868A KR20230115299A KR 20230115299 A KR20230115299 A KR 20230115299A KR 1020237018868 A KR1020237018868 A KR 1020237018868A KR 20237018868 A KR20237018868 A KR 20237018868A KR 20230115299 A KR20230115299 A KR 20230115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ular fertilizer
component
polyol
polyol component
polyisocya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8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히로 사사카와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15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29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30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05G3/4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for affecting fertiliser dosage or release rate; for affecting solu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10Solid or semi-solid fertilisers, e.g. powders
    • C05G5/12Granules or flak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6Hydroxylated esters of higher 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수지 피복의 균질성이 우수한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 및 그 피복 입상 비료를 제공하는 것. 입상 비료와, 당해 입상 비료를 피복하는 우레탄 수지 피막을 구비하는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으로서, 전동 상태에 있는 상기 입상 비료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폴리올 성분, 및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첨가하는 공정 ; 및, 그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그 폴리올 성분을 중부가시켜, 상기 입상 비료의 표면에 상기 우레탄 수지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 ; 그리고, 수지 피복의 균질성이 우수한, 그 피복 입상 비료.

Description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 및 피복 입상 비료
본 특허출원은, 일본 특허출원 2020-206637호 (2020년 12월 14일 출원) 에 기초하는 파리 조약상의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는 것으로, 여기에 인용함으로써, 상기 출원에 기재된 내용의 전체가 본 명세서 중에 편입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 및 피복 입상 비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 농업 취로자의 고연령화, 취로자수의 감소, 겸업 농가의 증가로부터, 보다 생력형의 비료로서, 식물의 성장에 맞추어 소정의 시기에 비료 성분을 용출시키는 기능을 갖는 여러 가지 비효 (肥效) 조정형 피복 비료가 제안되어 있다. 옛날에는 입상 비료를 수지나 왁스, 혹은 황 등으로 피복, 캡슐화하여 비료 성분의 용출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수지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으로는, 입상 비료의 표면을 우레탄 수지로 피복하기 위해, 전동 상태에 제공된 입상 비료에 촉매를 포함하는 미경화 우레탄을 첨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들 방법에 있어서는, 입상 비료끼리의 고착, 혹은, 입상 비료의 전동 장치에 대한 부착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수지 피복 입상 비료의 피복의 균질성이나 제조의 효율성은,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수지를 피복하기 전에 입상 우레아의 표면에 유동 파라핀 등을 첨가함으로써, 입자간의 응집 및 전동 장치에 대한 입자의 부착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이 방법에 있어서도 입자간의 응집 및 전동 장치에 대한 입자의 부착 등의 발생의 억제에는,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0268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6685호
본 발명은, 수지 피복의 균질성이 우수한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수지 피복 입상 비료의 우수한 제조 방법을 알아내기 위해 검토를 실시한 결과,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피막의 형성시에 촉매로서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사용함으로써, 입자간의 응집 및 전동 장치에 대한 입자의 부착 등의 발생이 억제된, 피복 입상 비료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이란, 다음과 같다.
[1] 입상 비료와, 당해 입상 비료를 피복하는 우레탄 수지 피막을 구비하는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으로서,
전동 상태에 있는 상기 입상 비료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폴리올 성분, 및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첨가하는 공정 ; 및, 그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그 폴리올 성분을 중부가 (重付加) 시켜, 상기 입상 비료의 표면에 상기 우레탄 수지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
[2]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의 첨가량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폴리올 성분의 합계량에 대해 0.01 ∼ 2 중량% 인, [1] 에 기재된 제조 방법.
[3]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폴리올 성분, 및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공정,
(b) 전동 상태에 있는 입상 비료에 상기 공정 (a) 에서 얻은 혼합물을 첨가하는 공정, 및
(c) 그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를 유지하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중부가시켜, 입상 비료의 표면에 수지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
[4]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공정,
(b) 전동 상태에 있는 입상 비료에 상기 공정 (a) 에서 얻은 혼합물과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따로 첨가하는 공정, 및
(c) 그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를 유지하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중부가시켜, 입상 비료의 표면에 수지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
[5]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a) 폴리올 성분과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공정,
(b) 전동 상태에 있는 입상 비료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상기 공정 (a) 에서 얻은 혼합물을 따로 첨가하는 공정, 및
(c) 그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를 유지하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중부가시켜, 입상 비료의 표면에 수지 피복을 형성하는 공정.
[6]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제조 방법 :
(a) 전동 상태에 있는 입상 비료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폴리올 성분, 및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따로 첨가하는 공정, 및
(b) 그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를 유지하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중부가시켜, 입상 비료의 표면에 수지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
[7]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이,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8] 상기 폴리올 성분이, 피마자유 변성 디올을 포함하는,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9] 상기 폴리올 성분이, 피마자유 변성 디올, 탄소수 2 ∼ 8 의 알킬렌디올, 및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 개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10] 상기 폴리올 성분이, 피마자유 변성 디올, 탄소수 2 ∼ 8 의 알킬렌디올, 및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11] 입상 비료와, 당해 입상 비료를 피복하는 수지 피막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 피막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의 중부가물인 우레탄 수지와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포함하는, 피복 입상 비료 (이하,「본 발명의 피복 입상 비료」라고 칭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상 비료에 대한 수지 피복시의 입자간의 응집 및 전동 장치에 대한 입자의 부착 등의 발생이 억제되어, 각각의 입자에 보다 균질하게 수지 피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입자마다의 용출 패턴의 편차가 억제된 피복 입상 비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 (이후,「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기재한다.) 은, 전동 상태에 있는 입상 비료의 표면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폴리올 성분, 및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첨가하는 공정 ; 및,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를 유지하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중부가시켜, 입상 비료의 표면에 우레탄 수지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입상 비료는, 비료 성분을 포함하는 입상물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입상 비료는, 예를 들어, 비료 성분이 단독으로 조립된 입상물이어도 되고, 혹은 비료 성분 및 비료 성분을 유지하는 담체를 포함하는 입상물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료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피복 입상 비료의 용도 및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비료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우레아, 질산암모늄, 질산고토암모늄, 염화암모늄, 황산암모늄, 인산암모늄, 질산소다, 질산칼슘, 질산칼륨, 석회질소, 포름알데히드 가공 우레아 (UF), 아세트알데히드 가공 우레아 (CDU), 이소부틸알데히드 가공 우레아 (IBDU), 구아닐우레아 (GU) 등의 질소질 비료 성분 ; 과인산석회, 중과인산석회, 용성 인, 부식산 인, 소성 인, 중소 인, 고토과인산, 폴리인산암모늄, 메타인산칼륨, 메타인산칼슘, 고토인산, 황인안, 인질안칼륨, 염인안 등의 인산질 비료 성분 ; 및, 염화칼륨, 황산칼륨, 황산칼리소다, 황산칼리고토, 중탄산칼륨, 인산칼륨 등의 칼륨질 비료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비료 성분은,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혹은 2 종 이상의 비료 성분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료 성분을 유지하는 담체는, 비료 성분의 종류, 피복 입상 비료의 용도 및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담체는, 예를 들어, 카올리나이트 등의 카올린 광물, 몬모릴로나이트, 스멕타이트, 탤크, 납석, 실리카, 제올라이트, 산성 백토 등의 광물질 ; 셀룰로오스, 왕겨, 전분, 대두분 등의 식물질 ; 유당, 자당, 덱스트린, 식염, 트리폴리인산나트륨 등의 수용성 물질 등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담체는, 이들 성분 중 1 종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고, 혹은 복수종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입상 비료는, 1 종의 담체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고, 혹은 2 종 이상의 담체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상 비료는, 비료 성분 및 담체 이외의 다른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입상 비료는, 예를 들어, 비료 성분을 단독으로 조립하는 방법, 비료 성분과 담체 (필요에 따라 추가로 다른 성분) 를 혼합하여 조립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조립 방법은, 통상적인 입상물의 조립 방법이어도 된다. 이러한 조립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압출 조립법, 유동층식 조립법, 전동 조립법, 압축 조립법, 팬 조립법, 피복 조립법 및 흡착 조립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입상 비료의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비료 성분 및 담체의 종류, 피복 입상 비료의 용도 및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상 비료의 평균 입경은, 0.1 ∼ 15 ㎜ 여도 되고, 1 ∼ 10 ㎜ 여도 되고, 또는 1 ∼ 5 ㎜ 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입상 비료를 얻은 후, 적절한 개구 직경의 체를 사용하여 분급함으로써 임의의 입경을 갖는 입상 비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 입상 비료의 평균 입경은, 투영 면적 원 상당 직경의 산술 평균값 (또는 상가 평균값이라고도 칭한다) 으로 정의되고, 현미경법 (예를 들어, 전자 현미경, 또는 광학 현미경) 등으로 측정된다. 측정법은, 측정 대상인 입상 비료의 입경의 크기 등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입상 비료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비료 성분 및 담체의 종류, 수지 피복 입상 비료의 용도 및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입상 비료의 형상은, 예를 들어, 구상, 다면체상, 원기둥상, 및 부정 형상 등이어도 되고, 구상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이란, 1,5-디아자비시클로(4.3.0)노넨-5 나 DBN 이라고도 불리며, 이하의 식 (I) 의 구조식으로 나타내어진다.
[화학식 1]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디아자비시클로노넨으로는, 예를 들어, DBN (산아프로 주식회사 제조) 을 들 수 있다. 본 제조 방법에 있어서,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폴리올 성분의 합계량에 대해, 촉매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 ∼ 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1 중량% 의 비율로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 0.07 중량% 의 비율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반응시킴으로써 3 차원 가교시킨 수지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의 혼합물 (「미경화 우레탄」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이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이 전혀 반응하고 있지 않거나, 혹은 3 차원 가교하지 않는 정도로 미리 일부를 반응시킨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혼합물의 형태로는 무용제형, 용액형, 수계 에멀션형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무용제형이고, 또한, 입상 비료에 첨가하는 공정에 있어서 액상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란,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그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서방 성능 (완효성이라고도 칭한다) 의 관점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란, 방향 고리 및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분자 내에 방향 고리를 1 개 갖는 화합물이어도 되고, 혹은 복수의 방향 고리를 갖는 화합물이어도 된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갖는 이소시아네이트기는, 방향 고리에 직접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 고리는 벤젠 고리여도 된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구체예로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MDI),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TDI),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XDI), 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TODI), 나프탈렌-1,5-디이소시아네이트 (NDI), 테트라메틸렌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TMXDI), 및 폴리메틸렌폴리페닐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릭 MDI), 및 이들의 유도체 (예를 들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뷰렛체, 우레트디온체 등의 변성물) 를 들 수 있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이들의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서방 성능의 관점에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벤젠 고리를 2 이상 갖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여도 된다. 이와 같은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있어서, 각 벤젠 고리에 직접 결합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수는 1 개여도 되고, 혹은 2 개 이상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어, MDI, TDI, TODI, 및 이들로부터 유도되는 올리고머체 (예를 들어, 폴리메릭 MDI 등) 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란, 지방 사슬 및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DI), 다이머산디이소시아네이트 (DDI), 및 노르보르넨·디이소시아네이트 (NBDI) 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란, 방향족성을 갖지 않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소 고리, 및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어,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MDI), 및 수소 첨가 XDI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리신트리이소시아네이트나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등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뷰렛체, 및 우레트디온체 등의 변성물을 들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이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에서 차지하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비율은, 서방 성능의 관점에서는, 30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50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혹은 100 중량% 여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올 성분이란, 1 분자당 수산기수가 2 이상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폴리올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2 ∼ 8 의 알킬렌디올,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산기를 2 이상 갖는 식물유, 및 그들의 변성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테르폴리올은, 분자 내에 2 이상의 에테르 결합 및 2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폴리에테르폴리올은, 예를 들어, 다가 알코올, 아미노알코올, 아민을 개시제로서 사용하고, 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중부가시켜 얻어진다. 폴리에테르폴리올의 구체예로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중합시켜 얻어지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분자 내에 2 이상의 에스테르 결합 및 2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예를 들어, 다가 알코올과 폴리에테르폴리올과 카르복실산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또, 예를 들어, 다가 알코올을 개시제로 하고, 고리형 에스테르 화합물을 개환 중합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얻어진다.
수산기를 2 이상 갖는 식물유로는, 예를 들어, 피마자유, 대두유, 및 면실유를 들 수 있다. 수산기를 2 이상 갖는 식물유의 변성물로는, 예를 들어, 피마자유 변성 디올, 및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피마자유 변성 폴리올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서방 성능의 관점에서, 폴리올 성분이, 피마자유 변성 디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서방 성능의 관점에서, 폴리올 성분이, 피마자유 변성 디올, 탄소수 2 ∼ 8 의 알킬렌디올, 및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 개 이상 (즉, 2 개 또는 3 개) 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마자유 변성 디올이란, 피마자유로부터 화학 반응에 의해 유도될 수 있는 화합물로서, 수산기를 2 개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피마자유 변성 디올은, 피마자유로부터 유도된 것이어도 되고, 혹은 피마자유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화합물로서 피마자유 이외의 원료로 제조된 화합물이어도 된다. 피마자유는, 리시놀레산의 글리세리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지방유이고, 피마자유 변성 디올은, 예를 들어 리시놀레산 변성 디올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피마자유 변성 디올로서,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URIC H-62 (수산기가 : 245 ∼ 275, 이토 제유 주식회사 제조), URIC Y-202 (수산기가 : 110 ∼ 120, 이토 제유 주식회사 제조), URIC Y-403 (수산기가 : 150 ∼ 170, 이토 제유 주식회사 제조), URIC Y-332 (수산기가 : 113 ∼ 133, 이토 제유 주식회사 제조), URIC AC-005 (수산기가 : 194 ∼ 214, 이토 제유 주식회사 제조), URIC AC-006 (수산기가 : 168 ∼ 187, 이토 제유 주식회사 제조), URIC PH-5001 (수산기가 : 45, 이토 제유 주식회사 제조), URIC PH-5002 (수산기가 : 43, 이토 제유 주식회사 제조), HS 2G-120 (수산기가 : 122, 호코쿠 제유 주식회사 제조), HS 2G-160R (수산기가 : 121, 호코쿠 제유 주식회사 제조), HS 2G-270B (수산기가 : 261, 호코쿠 제유 주식회사 제조), HS 2B-5500 (수산기가 : 178, 호코쿠 제유 주식회사 제조), 및 HS KA-001 (수산기가 : 224, 호코쿠 제유 주식회사 제조) 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수산기가」란, 일본 공업 규격 (JIS) 의 폴리우레탄용 폴리에테르 시험 방법 (K 1557)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료 1 g 중의 수산기에 상당하는 수산화칼륨의 mg 수를 의미한다. 실제로는, 피험 시료를 무수 프탈산의 피리딘 용액으로 에스테르화하고, 그 과잉의 시약을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적정함으로써 산출되는 값이다.
폴리올 성분이 피마자유 변성 디올을 포함하는 경우, 폴리올 성분에 있어서의 피마자유 변성 디올의 함유량은, 서방 성능의 관점에서, 폴리올 성분의 전체량 기준으로, 6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8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10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30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50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혹은 65 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또, 피마자유 변성 디올의 함유량은, 서방 성능의 관점에서, 폴리올 성분의 전체량 기준으로, 93 중량% 이하여도 되고, 90 중량% 이하여도 되고, 혹은 85 중량%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서방 성능의 관점에서, 폴리올 성분으로서, 탄소수 2 ∼ 8 의 알킬렌디올 (이하, 간단히「알킬렌디올」이라고도 칭한다.) 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알킬렌디올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7 이하, 혹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이다.
알킬렌디올은, 직사슬형 또는 분기 사슬형이어도 된다. 직사슬형의 알킬렌디올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및 1,8-옥탄디올 등을 들 수 있다. 분기 사슬형의 알킬렌디올로는, 예를 들어, 2-메틸-1,3-프로판디올, 2-메틸-1,4-부탄디올, 및 2,3-디메틸-1,4-부탄디올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 성분에 알킬렌디올이 포함되는 경우, 폴리올 성분에 있어서의 알킬렌디올의 함유량은, 서방 성능의 관점에서, 폴리올 성분의 전체량 기준으로, 4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6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8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혹은 10 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또, 알킬렌디올의 함유량은, 서방 성능의 관점에서, 폴리올 성분의 전체량 기준으로, 25 중량% 이하여도 되고, 혹은 21 중량% 이하여도 되고, 20 중량% 이하여도 되고, 18 중량% 이하여도 되고, 혹은 15 중량%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서방 성능의 관점에서, 폴리올 성분으로서,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화합물이란, 1 분자당 갖는 수산기의 수가 3 이상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화합물은, 1 분자당 갖는 수산기의 수는, 3 ∼ 8 이어도 되고, 혹은 3 ∼ 6 이어도 된다.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폴리에테르폴리올, 피마자유,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피마자유 변성 폴리올 (예를 들어, 피마자유 변성 트리올),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폴리(메트)아크릴산폴리올,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축합계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및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락톤계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화합물로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화합물로는, 시판품에 포함되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화합물로는, 서방 성능의 관점에서,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피마자유 변성 폴리올, 및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이 바람직하다.
폴리올 성분에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화합물이 포함되는 경우, 폴리올 성분에 있어서의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화합물의 함유량은, 서방 성능의 관점에서는, 폴리올 성분의 전체량 기준으로, 2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3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혹은 8 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수산기를 3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의 함유량은, 서방 성능의 관점에서는, 폴리올 성분의 전체량 기준으로, 87 중량% 이하여도 되고, 80 중량% 이하여도 되고, 76 중량% 이하여도 되고, 60 중량% 이하여도 되고, 40 중량% 이하여도 되고, 혹은 20 중량% 이하여도 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폴리올 성분은, 피마자유 변성 디올과, 탄소수 2 ∼ 8 의 알킬렌디올과,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화합물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이 양태에 있어서, 폴리올 성분의 전체량에 대한 피마자유 변성 디올의 양은, 서방 성능의 관점에서는, 7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1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혹은, 30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50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또는 65 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피마자유 변성 디올의 양은, 서방 성능의 관점에서는, 93 중량% 이하여도 되고, 혹은 8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양태에 있어서, 폴리올 성분의 전체량에 대한 탄소수 2 ∼ 8 의 알킬렌디올의 양은, 서방 성능의 관점에서는, 4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6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8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혹은 10 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탄소수 2 ∼ 8 의 알킬렌디올의 양은, 서방 성능의 관점에서는, 25 중량% 이하여도 되고, 21 중량% 이하여도 되고, 20 중량% 이하여도 되고, 18 중량% 이하여도 되고, 혹은 15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양태에 있어서, 폴리올 성분의 전체량에 대한 1 분자당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화합물의 양은, 서방 성능의 관점에서는, 2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8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1 분자당 수산기수가 2 보다 큰 폴리올의 양은, 서방 성능의 관점에서는, 87 중량% 이하여도 되고, 78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중량% 이하여도 되고, 40 중량% 이하여도 되고, 혹은 20 중량% 이하여도 된다.
또,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피마자유 변성 디올, 탄소수 2 ∼ 8 의 알킬렌디올, 및 폴리에테르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의 중부가물이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피마자유 변성 디올, 탄소수 2 ∼ 8 의 알킬렌디올 및 폴리에테르폴리올의 함유량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의 합계량에 대해, 각각, 30 ∼ 60 중량%, 30 ∼ 60 중량%, 3 ∼ 10 중량%, 혹은 2 ∼ 20 중량% 여도 된다.
또,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피마자유 변성 디올, 탄소수 2 ∼ 8 의 알킬렌디올 및 피마자유 변성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의 중부가물이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피마자유 변성 디올, 탄소수 2 ∼ 8 의 알킬렌디올 및 피마자유 변성 폴리올의 함유량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의 합계량에 대해, 각각, 30 ∼ 60 중량%, 5 ∼ 60 중량%, 3 ∼ 10 중량%, 혹은 5 ∼ 50 중량% 여도 된다.
또,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피마자유를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의 중부가물이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피마자유의 함유량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의 합계량에 대해, 각각, 30 ∼ 60 중량%, 5 ∼ 60 중량%, 혹은 5 ∼ 30 중량% 여도 된다.
또,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에테르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의 중부가물이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에테르폴리올의 함유량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의 합계량에 대해, 각각, 30 ∼ 60 중량%, 혹은 30 ∼ 60 중량% 여도 된다.
또,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에테르디올 및 폴리에테르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의 중부가물이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테르디올 및 폴리에테르폴리올의 함유량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의 합계량에 대해, 각각, 30 ∼ 60 중량%, 5 ∼ 30 중량%, 혹은 5 ∼ 60 중량% 여도 된다.
또,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는,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에테르디올 및 폴리에테르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의 중부가물이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테르디올 및 폴리에테르폴리올의 함유량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의 합계량에 대해, 각각, 30 ∼ 60 중량%, 5 ∼ 30 중량%, 혹은 5 ∼ 60 중량% 여도 된다.
또,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피마자유 변성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의 중부가물이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피마자유 변성 폴리올의 함유량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의 합계량에 대해, 각각, 20 ∼ 70 중량%, 혹은 20 ∼ 70 중량% 여도 된다.
또,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피마자유 변성 디올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의 중부가물이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피마자유 변성 디올의 함유량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의 합계량에 대해, 각각, 20 ∼ 70 중량%, 혹은 20 ∼ 70 중량% 여도 된다.
또,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는, 30 ∼ 60 중량부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30 ∼ 60 중량부의 피마자유 변성 디올, 3 ∼ 10 중량부의 탄소수 2 ∼ 8 의 알킬렌디올 및 2 ∼ 20 중량부의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중부가물이어도 된다.
또,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는, 30 ∼ 60 중량부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5 ∼ 60 중량부의 피마자유 변성 디올, 3 ∼ 10 중량부의 탄소수 2 ∼ 8 의 알킬렌디올 및 5 ∼ 50 중량부의 피마자유 변성 폴리올의 중부가물이어도 된다.
또,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는, 30 ∼ 60 중량부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5 ∼ 60 중량부의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5 ∼ 30 중량부의 피마자유의 중부가물이어도 된다.
또,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는, 30 ∼ 60 중량부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30 ∼ 60 중량부의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중부가물이어도 된다.
또,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는, 30 ∼ 60 중량부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5 ∼ 30 중량부의 폴리에테르디올 및 5 ∼ 60 중량부의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중부가물이어도 된다.
또,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는, 30 ∼ 60 중량부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5 ∼ 30 중량부의 폴리에테르디올 및 5 ∼ 60 중량부의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중부가물이어도 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이 갖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수 M1 에 대한, 폴리올 성분이 갖는 수산기의 몰수 M2 의 비 M2/M1 은, 0.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9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 M2/M1 이 상기 범위인 경우, 우수한 서방 성능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피복 입상 비료는, 우레탄 수지 피막 이외의 수지 피막을 갖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 수지 피막 전체에 있어서의 우레탄 수지의 함유량은, 수지 피막의 전체량 기준으로 80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90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100 중량% 여도 된다.
피복 입상 비료에 있어서의 우레탄 수지의 함유량은, 입상 비료 100 질량부에 대해, 1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우레탄 수지의 함유량은, 입상 비료 100 질량부에 대해, 2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혹은 16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폴리올 성분, 및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사용한다. 그들 성분을 사용하는 공정으로는,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고, 본 발명의 수지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은, 이들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폴리올 성분, 및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공정 (A-1), 전동 상태에 있는 입상 비료에 공정 A-1 에서 얻은 혼합물을 첨가하는 공정 (A-2),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중부가시켜, 입상 비료의 표면에 우레탄 수지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 (A-3) (이하, 공정 A-1 ∼ A-3 을 합쳐서「공정 A」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어도 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공정 (B-1), 전동 상태에 있는 입상 비료에 공정 B-1 에서 얻은 혼합물과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따로 첨가하는 공정 (B-2),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중부가시켜, 입상 비료의 표면에 우레탄 수지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 (B-3) (이하, 공정 B-1 ∼ B-3 을 합쳐서「공정 B」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어도 된다.
폴리올 성분과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공정 (C-1), 전동 상태에 있는 입상 비료에 공정 C-1 에서 얻은 혼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따로 첨가하는 공정 (C-2),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중부가시켜, 입상 비료의 표면에 우레탄 수지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 (C-3) (이하, 공정 C-1 ∼ C-3 을 합쳐서「공정 C」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어도 된다.
전동 상태에 있는 입상 비료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폴리올 성분, 및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따로 첨가하는 공정 (D-1),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중부가시켜 입상 비료의 표면에 우레탄 수지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 (D-2) (이하, 공정 D-1 ∼ D-2 를 합쳐서「공정 D」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어도 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폴리올 성분,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따로 첨가하는 경우, 그 첨가 순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폴리올 성분, 및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의 순서, 폴리올 성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의 순서, 폴리올 성분, 디아자비시클로노넨,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디아자비시클로노넨, 및 폴리올 성분의 순서, 디아자비시클로노넨,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폴리올 성분의 순서, 혹은 디아자비시클로노넨, 폴리올 성분,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순서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공정 A 를 실시할 때의 온도는, 사용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폴리올 성분의 종류나 입상 비료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지만, 입상 비료를 전동 상태로 하는 회전조 내의 온도로서, 통상적으로 40 ∼ 100 ℃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55 ∼ 75 ℃ 의 범위이다. 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 및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의 혼합물의 첨가 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의 중부가가 진행되어 우레탄이 경화되고, 수지 피복 입상물끼리의 부착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정도까지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는 유지되는데, 전동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은 통상적으로 1 ∼ 30 분간 정도, 제조 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20 분간 정도이다.
공정 B 를 실시할 때의 온도는, 사용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폴리올 성분의 종류나 입상 비료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지만, 입상 비료를 전동 상태로 하는 회전조 내의 온도로서, 통상적으로 40 ∼ 100 ℃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55 ∼ 75 ℃ 의 범위이다. 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의 혼합물과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의 첨가 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의 중부가가 진행되어 우레탄이 경화되고, 수지 피복 입상물끼리의 부착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정도까지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는 유지되는데, 전동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은 통상적으로 2 ∼ 40 분간 정도, 제조 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 ∼ 30 분간 정도이다.
공정 C 를 실시할 때의 온도는, 사용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폴리올 성분의 종류나 입상 비료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지만, 입상 비료를 전동 상태로 하는 회전조 내의 온도로서, 통상적으로 40 ∼ 100 ℃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55 ∼ 75 ℃ 의 범위이다. 또, 폴리올 성분과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의 혼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첨가 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의 중부가가 진행되어 우레탄이 경화되고, 수지 피복 입상물끼리의 부착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정도까지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는 유지되는데, 전동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은 통상적으로는 2 ∼ 40 분간 정도, 제조 효율의 점에서는 2 ∼ 30 분간 정도이다.
공정 D 를 실시할 때의 온도는, 사용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폴리올 성분의 종류나 입상 비료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지만, 입상 비료를 전동 상태로 하는 회전조 내의 온도로서, 통상적으로 40 ∼ 100 ℃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55 ∼ 75 ℃ 의 범위이다. 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폴리올 성분 및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의 첨가 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과의 중부가가 진행되어 우레탄이 경화되고, 수지 피복 입상물끼리의 부착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정도까지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는 유지되는데, 전동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은 통상적으로는 2 ∼ 40 분간 정도, 제조 효율의 점에서는 2 ∼ 30 분간 정도이다.
본 발명의 피복 입상 비료는, 상기 공정 A ∼ D 중 어느 것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지만, 수지 피막의 균질성의 관점에서는, 공정 A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공정 A ∼ D 중 어느 것을 1 회만 실시해도 된다. 또, 상기 공정 A ∼ D 중 어느 것에 의해 얻어지는 수지 피복 입상물에, 상기 공정 A ∼ D 중 어느 것을 추가로 1 회 이상 반복해도 된다 (이하,「공정 E」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반복하여 추가하는 공정 A ∼ D 는, 앞서 실시한 1 회 또는 복수회의 공정 A ∼ D 와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또는 상이해도 된다. 공정 E 를 실시하는 횟수를 조정함으로써, 수지 피막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공정 E 는, 그 이전의 공정에 있어서의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를 유지한 채, 이어서 실시해도 된다. 공정 E 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폴리올 성분은, 그 이전의 공정에서 사용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폴리올 성분과 동종이어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제조 효율의 점에서, 통상적으로는 동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폴리올 성분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수지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폴리올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합계량은, 사용되는 입상 비료의 크기, 형상 및 제조되는 수지 피복 입상 비료에 요구되는 용출 제어의 정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지만, 공정 A ∼ 공정 D, 및, 필요에 따라 실시되는 공정 E 에서 사용되는 폴리올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합계량으로, 입상 비료 100 중량부에 대해 통상적으로 2 ∼ 30 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4 ∼ 18 중량부 정도이다.
입상 비료를 전동 상태로 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장치에 제한은 없고 공지, 관용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로는, 예를 들어, 콘크리트 믹서, 및 드럼 믹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 중, 가온 설비를 구비한 장치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고정밀화나 가공 시간의 조정이 가능한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피복 입상 비료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의 중부가물인 우레탄 수지와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포함하는 수지 피막 이외의 수지 피막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수지 피막으로는, 예를 들어, 임의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임의의 폴리올 성분의 중부가물인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고,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포함하지 않는 피막을 들 수 있다.
수지 피막은, 우레탄 수지와 디아자비시클로노넨 이외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유기 용매, 물 등의 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이들은 우레탄 수지의 제조시에 사용된 용제여도 된다. 또, 수지 피막은, 안료, 염료, 항균제, 방부제, 가소제, 분해 촉진제 및 상기한 담체 등을 목적에 따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복 입상 비료는, 입상 비료 및 수지 피막 이외의 다른 성분 (예를 들어, 부상 방지재, 고결 방지재, 농약 유효 성분 및 WAX 류 등) 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복 입상 비료는, 비점이 100 ℃ 이상인 소수성 액상 화합물 (이하,「본 소수성 액상 화합물」이라고도 칭한다.) 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소수성 액상 화합물이란, 20 ℃ 에 있어서 유동성을 갖고, 20 ℃ 에 있어서의 물 용해도가 10 ppm 이하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소수성 액상 화합물은, 입상 비료 중에 함유되어 있어도 되고, 입상 비료를 피복하는 피막으로서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본 소수성 액상 화합물이 피막으로서 존재하는 경우, 당해 피막은, 입상 비료의 표면에 직접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입상 비료를 피복하는 수지 피막 상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소수성 액상 화합물은, 예를 들어, 입상 비료를 전동 상태로 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수지 피복 입상 비료를 제조할 때에 배합된다. 본 소수성 액상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페닐자일릴에탄, 알킬벤젠 (구체적으로는, Solvesso150, 엑슨모빌 케미컬 제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피복 입상 비료에 있어서의 소수성 액상 화합물의 함유량은, 입상 비료 100 질량부에 대해, 0.1 ∼ 5 질량부여도 된다.
수지 피막은 입상 비료의 표면에 직접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 피막 이외의 피막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소수성 액상 화합물의 피막) 이 입상 비료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피막 상에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 피막은, 입상 비료의 표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입상 비료의 표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 피막의 두께는, 수지 피복 입상 비료의 용도 및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수지 피막의 두께는, 예를 들어 8 ㎛ 이상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어도 된다. 또, 수지 피막의 두께는, 예를 들어 400 ㎛ 이하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여도 된다. 어느 실시양태에 의하면, 수지 피막의 두께는, 8 ㎛ 이상, 또한 4200 ㎛ 이하이고, 8 ㎛ 이상, 또한 200 ㎛ 이하이고, 10 ㎛ 이상, 또한 400 ㎛ 이하이고, 혹은, 10 ㎛ 이상, 또한 200 ㎛ 이하이다. 또한, 본 명세서 중, 수지 피막의 두께는, 수지 피복 입상 비료의 단면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관찰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나타낸다. 수지 피막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개 지점의 두께의 측정값의 평균값으로서 나타낼 수도 있다. 수지 피막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어 비료 성분의 용출량 및 용출 곡선의 형태를 조정할 수 있다.
피복 입상 비료의 입경은, 피복 입상 비료의 용도 및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복 입경 비료의 평균 입경은, 0.1 ∼ 15 ㎜ 여도 되고, 혹은 1 ∼ 5 ㎜ 여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피복 입상 비료의 평균 입경은, 투영 면적 원 상당 직경의 산술 평균값으로 정의되고, 현미경법 등으로 측정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제조예 등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피마자유 변성 디올 (이토 제유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URIC H-62, 1 분자당 수산기수 : 2, 수산기가 : 274), 피마자유 변성 폴리올 (이토 제유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URIC H-73X, 1 분자당 수산기수 : 3, 수산기가 : 270), 1,4-부탄디올 (BASF 이데미츠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1,4-BDO) 을 67.8 : 20.8 : 11.4 의 중량비로 임의의 양으로 실온에서 혼합하여, 폴리올 혼합물 A 를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폴리올 혼합물 A 2677.08 g, 및 디아자비시클로노넨 (산아프로 주식회사, 상품명 : DBN) 2.50 g 을 실온에서 혼합하여, 폴리올 혼합물 I 을 얻었다.
입상 우레아 (대립 (大粒) 우레아, 입경 약 3 ㎜, 구상, 1 g 당 입수 (粒數) 약 60 개) 50,000 g 을 콘크리트 믹서에 투입하고, 전동 상태로 하였다. 전동 상태의 그 입상 우레아를 열풍 발생 장치의 열풍을 맞게 함으로써 약 66 ℃ 까지 가열한 후, 유동 파라핀 (마츠무라 석유 연구소 제조, 상품명 : 모레스코 화이트 P-350P, 37.78 ℃ 에 있어서의 동점도 : 76 ㎟/S) 500 g 을 첨가하고, 3 분간 전동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어서, 50 ℃ 로 가온한 상기 폴리올 혼합물 I 267.96 g 과, 50 ℃ 로 가온한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스미카 바이엘 우레탄 제조, 상품명 : SBU 이소시아네이트 J243) 232.29 g 을 재빠르게 교반 혼합하여 얻은 혼합물을, 전동 상태의 입상 우레아에 첨가하고, 7 분간 이상 열풍 발생 장치의 열풍을 맞게 하면서 전동 상태를 유지하였다. 폴리올 혼합물 I 과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의 총 첨가량이 5,002.5 g 이 될 때까지, 상기 조작 (폴리올 혼합물 I 과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교반 혼합, 전동 상태의 입상 우레아에 대한 혼합물의 첨가, 및, 전동 상태의 유지) 을 반복하여, 본 발명의 피복 입상 비료를 얻었다.
상기 제조 공정에 있어서, 입상물끼리의 현저한 응집 및 콘크리트 믹서 내벽에 대한 입상물의 부착은 관찰되지 않아, 콘크리트 믹서 내에서의 입상물의 전동 상태는 양호하였다. 또, 상기 제조 공정에 의해 얻어진 피복 입상 비료를 육안 관찰한 결과, 피복 상태는 균일하였다.
제조예 2
입상 우레아 (대립 우레아, 입경 약 3 ㎜, 구상, 1 g 당 입수 약 60 개) 50,000 g 을 콘크리트 믹서에 투입하고, 전동 상태로 하였다. 전동 상태의 그 입상 우레아를 열풍 발생 장치의 열풍을 맞게 함으로써 약 66 ℃ 까지 가열한 후, 유동 파라핀 (마츠무라 석유 연구소 제조, 상품명 : 모레스코 화이트 P-350P, 37.78 ℃ 에 있어서의 동점도 : 76 ㎟/S) 500 g 을 첨가하고, 3 분간 전동 상태를 계속하였다. 이어서, 50 ℃ 로 가온한 상기 폴리올 혼합물 I 200.97 g 과, 50 ℃ 로 가온한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스미카 바이엘 우레탄 제조, 상품명 : SBU 이소시아네이트 J243) 174.22 g 을 재빠르게 교반 혼합하여 얻은 혼합물을, 전동 상태의 입상 우레아에 첨가하고, 6 분간 이상 열풍 발생 장치의 열풍을 맞게 하면서 전동 상태를 유지하였다. 폴리올 혼합물 I 과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의 총 첨가량이 4,877.47 g 이 될 때까지, 상기 조작 (폴리올 혼합물 I 과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교반 혼합, 전동 상태의 입상 우레아에 대한 혼합물의 첨가, 및, 전동 상태의 유지) 을 반복하여, 본 발명의 피복 입상 비료를 얻었다.
상기 제조 공정을 통하여, 입상물끼리의 현저한 응집 및 콘크리트 믹서 내벽에 대한 입상물의 부착은 관찰되지 않아, 콘크리트 믹서 내에서의 입상물의 전동 상태는 양호하였다. 또, 상기 제조 공정에 의해 얻어진 피복 입상 비료를 육안 관찰한 결과, 피복 상태는 균일하였다.
제조예 3
폴리올 혼합물 A 2677.08 g, 및 디아자비시클로노넨 (산아프로 주식회사, 상품명 : DBN) 3.50 g 을 실온에서 혼합하여, 폴리올 혼합물 II 를 얻었다.
입상 우레아 (대립 우레아, 입경 약 3 ㎜, 구상, 1 g 당 입수 약 60 개) 50,000 g 을 콘크리트 믹서에 투입하고, 전동 상태로 하였다. 전동 상태의 그 입상 우레아를 열풍 발생 장치의 열풍을 맞게 함으로써 약 66 ℃ 까지 가열한 후, 유동 파라핀 (마츠무라 석유 연구소 제조, 상품명 : 모레스코 화이트 P-350P, 37.78 ℃ 에 있어서의 동점도 : 76 ㎟/S) 500 g 을 첨가하고, 3 분간 전동 상태를 계속하였다. 이어서, 50 ℃ 로 가온한 상기 폴리올 혼합물 II 268.06 g 과, 50 ℃ 로 가온한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스미카 바이엘 우레탄 제조, 상품명 : SBU 이소시아네이트 J243) 232.29 g 을 재빠르게 교반 혼합하여 얻은 혼합물을, 전동 상태의 입상 우레아에 첨가하고, 7 분간 이상 열풍 발생 장치의 열풍을 맞게 하면서 전동 상태를 유지하였다. 폴리올 혼합물 II 및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의 총 첨가량이 5,003.5 g 이 될 때까지, 상기 조작 (폴리올 혼합물 II 와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교반 혼합, 전동 상태의 입상 우레아에 대한 혼합물의 첨가, 및, 전동 상태의 유지) 을 반복하여, 본 발명의 피복 입상 비료를 얻었다.
상기 제조 공정을 통하여, 입상물끼리의 현저한 응집 및 콘크리트 믹서 내벽에 대한 입상물의 부착은 관찰되지 않아, 콘크리트 믹서 내에서의 입상물의 전동 상태는 양호하였다. 또, 상기 제조 공정에 의해 얻어진 피복 입상 비료를 육안 관찰한 결과, 피복 상태는 균일하였다.
비교 제조예 1
입상 우레아 (대립 우레아, 입경 약 3 ㎜, 구상, 1 g 당 입수 약 60 개) 50,000 g 을 콘크리트 믹서에 투입하고, 전동 상태로 하였다. 전동 상태의 그 입상 우레아를 열풍 발생 장치의 열풍을 맞게 함으로써 약 66 ℃ 까지 가열한 후, 유동 파라핀 (마츠무라 석유 연구소 제조, 상품명 : 모레스코 화이트 P-350P, 37.78 ℃ 에 있어서의 동점도 : 76 ㎟/S) 500 g 을 첨가하고, 3 분간 전동 상태를 계속하였다. 이어서, 50 ℃ 로 가온한 상기 폴리올 혼합물 A 267.71 g 과, 50 ℃ 로 가온한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스미카 바이엘 우레탄 제조, 상품명 : SBU 이소시아네이트 J243) 232.29 g 을 재빠르게 교반 혼합하여 얻은 혼합물을, 전동 상태의 입상 우레아에 첨가하고, 9 분간 이상 열풍 발생 장치의 열풍을 맞게 하면서 전동 상태를 유지하였다. 폴리올 혼합물 A 와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의 총 첨가량이 5,000.0 g 이 될 때까지, 상기 조작 (폴리올 혼합물 A 와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교반 혼합, 전동 상태의 입상 우레아에 대한 혼합물의 첨가, 및, 전동 상태의 유지) 을 반복하여, 비교용의 피복 입상 비료를 얻었다.
상기 제조 공정에 있어서, 입상물끼리가 응집된 괴상물이 일부에서 보여, 콘크리트 믹서 내에서의 입상물의 전동 상태는 충분하지 않았다.
비교 제조예 2
폴리올 혼합물 A 2677.08 g, 및 에틸렌아민 유도품 (토소 주식회사, 상품명 : TOYOCAT-DB30) 2.50 g 을 실온에서 혼합하여 폴리올 혼합물 III 을 얻었다.
폴리올 혼합물 I 대신에, 폴리올 혼합물 III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비교용의 피복 입상 비료를 얻었다.
상기 제조 공정에 있어서, 입상물끼리가 응집된 괴상물이 일부에서 보여, 콘크리트 믹서 내에서의 입상물의 전동 상태는 충분하지 않았다.
비교 제조예 3
폴리올 혼합물 A 2677.08 g, 및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센-7 (산아프로 주식회사, 상품명 : DBU (등록상표)) 2.50 g 을 실온에서 혼합하여 폴리올 혼합물 IV 를 얻었다.
폴리올 혼합물 I 대신에, 폴리올 혼합물 IV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비교용의 피복 입상 비료를 얻었다.
상기 제조 공정에 있어서, 입상물끼리가 응집된 괴상물이 일부에서 보여, 콘크리트 믹서 내에서의 입상물의 전동 상태는 충분하지 않았다.
비교 제조예 4
폴리올 혼합물 A 2677.08 g, 및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센-7 (산아프로 주식회사, 상품명 : DBU (등록상표)) 3.50 g 을 실온에서 혼합하여 폴리올 혼합물 V 를 얻었다.
폴리올 혼합물 II 대신에, 폴리올 혼합물 V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3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비교용의 피복 입상 비료를 얻었다.
상기 제조 공정에 있어서, 입상물끼리가 응집된 괴상물이 일부에서 보여, 콘크리트 믹서 내에서의 입상물의 전동 상태는 충분하지 않았다.
비교 제조예 5
폴리올 혼합물 A 2677.08 g, 및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센-7 의 페놀염 (산아프로 주식회사, 상품명 : U-CAT (등록상표) SA-1) 2.50 g 을 실온에서 혼합하여 폴리올 혼합물 VI 을 얻었다.
폴리올 혼합물 I 대신에, 폴리올 혼합물 VI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비교용의 피복 입상 비료를 얻었다.
상기 제조 공정에 있어서, 입상물끼리가 응집된 괴상물이 일부에서 보여, 콘크리트 믹서 내에서의 입상물의 전동 상태는 충분하지 않았다.
비교 제조예 6
폴리올 혼합물 A 2677.08 g, 및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카야쿠 아크조 주식회사, 상품명 : TAP) 25.0 g 을 실온에서 혼합하여, 폴리올 혼합물 VII 을 얻었다.
입상 우레아 (대립 우레아, 입경 약 3 ㎜, 구상, 1 g 당 입수 약 60 개) 50,000 g 을 콘크리트 믹서에 투입하고, 전동 상태로 하였다. 전동 상태의 그 입상 우레아를 열풍 발생 장치의 열풍을 맞게 함으로써 약 66 ℃ 까지 가열한 후, 유동 파라핀 (마츠무라 석유 연구소 제조, 상품명 : 모레스코 화이트 P-350P, 37.78 ℃ 에 있어서의 동점도 : 76 ㎟/S) 500 g 을 첨가하고, 3 분간 전동 상태를 계속하였다. 이어서, 50 ℃ 로 가온한 상기 폴리올 혼합물 VII 270.21 g 과, 50 ℃ 로 가온한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스미카 바이엘 우레탄 제조, 상품명 : SBU 이소시아네이트 J243) 232.29 g 을 재빠르게 교반 혼합하여 얻은 혼합물을, 전동 상태의 입상 우레아에 첨가하고, 10 분간 이상 열풍 발생 장치의 열풍을 맞게 하면서 전동 상태를 유지하였다. 폴리올 혼합물 VII 및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의 총 첨가량이 5025.0 g 이 될 때까지, 상기 조작 (폴리올 혼합물 VII 과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교반 혼합, 전동 상태의 입상 우레아에 대한 혼합물의 첨가, 및, 전동 상태의 유지) 을 반복하여, 비교용의 피복 입상 비료를 얻었다.
상기 제조 공정에 있어서, 입상물끼리가 응집된 괴상물이 일부에서 보여, 콘크리트 믹서 내에서의 입상물의 전동 상태는 충분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입자간의 응집 및 전동 장치에 대한 입자의 부착 등의 발생이 억제된, 피복 입상 비료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입상 비료와, 당해 입상 비료를 피복하는 우레탄 수지 피막을 구비하는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으로서,
    전동 상태에 있는 상기 입상 비료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폴리올 성분, 및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첨가하는 공정 ; 및, 그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그 폴리올 성분을 중부가시켜, 상기 입상 비료의 표면에 상기 우레탄 수지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의 첨가량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폴리올 성분의 합계량에 대해 0.01 ∼ 2 중량% 인,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폴리올 성분, 및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공정,
    (b) 전동 상태에 있는 입상 비료에 상기 공정 (a) 에서 얻은 혼합물을 첨가하는 공정, 및
    (c) 그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를 유지하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중부가시켜, 입상 비료의 표면에 수지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공정,
    (b) 전동 상태에 있는 입상 비료에 상기 공정 (a) 에서 얻은 혼합물과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따로 첨가하는 공정, 및
    (c) 그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를 유지하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중부가시켜, 입상 비료의 표면에 수지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
    (a) 폴리올 성분과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공정,
    (b) 전동 상태에 있는 입상 비료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상기 공정 (a) 에서 얻은 혼합물을 따로 첨가하는 공정, 및
    (c) 그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를 유지하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중부가시켜, 입상 비료의 표면에 수지 피복을 형성하는 공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
    (a) 전동 상태에 있는 입상 비료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폴리올 성분, 및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따로 첨가하는 공정, 및
    (b) 그 입상 비료의 전동 상태를 유지하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중부가시켜, 입상 비료의 표면에 수지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이,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성분이, 피마자유 변성 디올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성분이, 피마자유 변성 디올, 탄소수 2 ∼ 8 의 알킬렌디올, 및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 개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성분이, 피마자유 변성 디올, 탄소수 2 ∼ 8 의 알킬렌디올, 및 수산기를 3 이상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1. 입상 비료와, 당해 입상 비료를 피복하는 수지 피막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 피막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의 중부가물인 우레탄 수지와 디아자비시클로노넨을 포함하는, 피복 입상 비료.
KR1020237018868A 2020-12-14 2021-12-13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 및 피복 입상 비료 KR202301152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06637 2020-12-14
JPJP-P-2020-206637 2020-12-14
PCT/JP2021/045850 WO2022131217A1 (ja) 2020-12-14 2021-12-13 被覆粒状肥料の製造方法及び被覆粒状肥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299A true KR20230115299A (ko) 2023-08-02

Family

ID=8205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868A KR20230115299A (ko) 2020-12-14 2021-12-13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 및 피복 입상 비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2131217A1 (ko)
KR (1) KR20230115299A (ko)
CO (1) CO2023007286A2 (ko)
WO (1) WO202213121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2683A (ja) 1996-01-23 1997-08-05 Sumitomo Chem Co Ltd 被覆肥料の製造方法
JP2011016685A (ja) 2009-07-09 2011-01-27 Sumitomo Chemical Co Ltd 樹脂被覆粒状肥料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7736A (ja) * 2003-04-10 2004-11-04 Sumitomo Chem Co Ltd 粒状肥料被覆用プレポリマーの製造法
EP3479693A1 (en) * 2017-11-01 2019-05-08 Everris International B.V. Sulfide containing polyester coatings for agrochemical composition
MX2021014743A (es) * 2019-06-05 2022-02-11 Oms Invest Inc Composiciones de fertilizantes de liberación controlada.
WO2020247688A1 (en) * 2019-06-05 2020-12-10 Oms Investments, Inc. Controlled-release fertilizer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2683A (ja) 1996-01-23 1997-08-05 Sumitomo Chem Co Ltd 被覆肥料の製造方法
JP2011016685A (ja) 2009-07-09 2011-01-27 Sumitomo Chemical Co Ltd 樹脂被覆粒状肥料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O2023007286A2 (es) 2023-06-20
WO2022131217A1 (ja) 2022-06-23
JPWO2022131217A1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8296B1 (en) Slow-release polyurethane encapsulated fertilizer using oleo polyols
JP2001213685A (ja) 改善された徐放性を有するポリウレタンカプセル化肥料
US11001539B2 (en) Coated granular fertilizer, method for producing coated granular fertilizer, and fertilizer compostion
EP2554528B1 (en) Coated granular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coated granular material
CA2927761A1 (en) Fertilizer granules having polymeric coating formed with a diol
CN101679588B (zh) 涂有聚氨酯树脂的颗粒
CN111019078B (zh) 一种水性聚氨酯固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660891A (zh) 形成包封肥料的方法
EP0948473A1 (en)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biodegradable encapsulated fertilizers and the biodegradable encapsulated fertilizers produced by this process
KR20230115299A (ko) 피복 입상 비료의 제조 방법 및 피복 입상 비료
JP5028848B2 (ja) 樹脂被覆粒状肥料の製造方法
JP5002909B2 (ja) ポリウレタン被覆粒状肥料
JP5604819B2 (ja) 樹脂被覆粒状肥料の製造方法
JP3496798B2 (ja) 被覆粒状肥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20785A (ja) 被覆粒状肥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67904A (ja) 被覆粒状肥料及び被覆粒状肥料の製造方法
CN110540468A (zh) 笼型倍半硅氧烷改性原位反应成膜型包膜控释肥及其制备方法
KR20110098656A (ko) 피복 입상 비료
JP2005001957A (ja) 粒状被覆肥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OA18699A (en) Coated granular fertilizer, method for producing coated granular fertilizer, and fertilizer composition
JP2003277178A (ja) 被覆粒状肥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03667A (ja) 粒状被覆肥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89439B2 (ja) 被覆粒状肥料
JP2009215129A (ja) 樹脂被覆粒状肥料の製造方法
JP2012046382A (ja) 樹脂被覆粒状肥料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