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3750A -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750A
KR20220143750A KR1020227032660A KR20227032660A KR20220143750A KR 20220143750 A KR20220143750 A KR 20220143750A KR 1020227032660 A KR1020227032660 A KR 1020227032660A KR 20227032660 A KR20227032660 A KR 20227032660A KR 20220143750 A KR20220143750 A KR 20220143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door
control device
elevator control
ca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2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루 야마구치
마사유키 스가하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43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8Ganged elevator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도어의 개폐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수평 투영면 상에 있어서 중첩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동작시에 있어서의 모터의 속도 또는 전류에 기초하여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제어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개폐 지령 판정부를 구비한다. 해당 구성에 의하면,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수평 투영면 상에 있어서 중첩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동작시에 있어서의 모터의 속도 또는 전류에 기초하여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제어 파라미터를 변경한다. 이 때문에, 도어의 개폐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본 개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개시한다. 해당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16-124682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에 있어서, 도어의 개폐 지령을 공유할 뿐이다. 이 때문에, 도어의 개폐 시간을 단축시킬 수 없다.
본 개시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개시의 목적은, 도어의 개폐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수평 투영면 상에 있어서 중첩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동작시에 있어서의 모터의 속도 또는 전류에 기초하여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제어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개폐 지령 판정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수평 투영면 상에 있어서 중첩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동작시에 있어서의 모터의 속도 또는 전류에 기초하여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제어 파라미터를 변경한다. 이 때문에, 도어의 개폐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와 승강장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등과 승강장 도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의 학습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에 의한 도어의 개폐의 학습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의 학습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에 의한 도어의 개폐의 학습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의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의 진단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다. 해당 부분의 중복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1)는, 도시되지 않은 건축물에 마련된다. 승강로(1)는 건축물의 각 층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승강장 각각은, 건축물의 각 층에 마련된다. 복수의 승강장 각각은, 승강로(1)에 대향한다.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승강장의 출입구는, 복수의 승강장 각각에 형성된다. 복수의 승강장 도어(A) 각각은, 복수의 승강장 출입구 각각에 마련된다.
제1 엘리베이터 칸(2a)과 제2 엘리베이터 칸(2b)은, 승강로(1)의 내부에 마련된다. 제1 엘리베이터 칸(2a)과 제2 엘리베이터 칸(2b)은, 하나의 승강로(1)에 있어서 수평 투영면 상에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도시되지 않은 제1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는, 제1 엘리베이터 칸(2a)에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제2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는, 제2 엘리베이터 칸(2b)에 형성된다.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에 마련된다.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3b)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에 마련된다.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4)는 제1 엘리베이터 칸(2a)에 접속된다.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4)는 제1 엘리베이터 칸 틈새 거리 측정부(4a)와 제1 엘리베이터 칸 토크 제한부(4b)와 제1 엘리베이터 칸 전류·속도 측정부(4c)를 구비한다.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는 제2 엘리베이터 칸(2b)에 접속된다.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는 제2 엘리베이터 칸 틈새 거리 측정부(5a)와 제2 엘리베이터 칸 토크 제한부(5b)와 제2 엘리베이터 칸 전류·속도 측정부(5c)를 구비한다.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4)와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에 접속된다.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틈새 거리 기억부(6a)와 토크 제한 설정 기억부(6b)와 전류·속도 기억부(6c)와 개폐 지령 판정부(6d)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와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3b)와 승강장 도어(A)를 설명한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와 승강장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지는 바와 같이,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는 한 쪽 열림식(a side operation type)의 도어이다.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에 있어서,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7)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한다.
제1 세트의 슈(shoe, 8)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7) 중 한쪽 하단에 마련된다. 제1 세트의 슈(8)는, 도시되지 않은 문턱의 홈의 내부를 이동함으로써,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7) 중 한쪽에 있어서의 수평 이동을 안내한다. 제2 세트의 슈(8)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7) 중 다른 쪽 하단에 마련된다. 제2 세트의 슈(8)는, 도시되지 않은 문턱의 홈의 내부를 이동함으로써,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7) 중 다른 쪽에 있어서의 수평 이동을 안내한다.
한 쌍의 행거(9)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7)의 상단에 각각 마련된다. 거더(girder, 10)는 길이 방향이 수평 방향이 되도록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 상측 가장자리부에 마련된다. 안내 레일(11)은 길이 방향이 수평 방향이 되도록 거더(10)에 마련된다.
제1 세트의 행거 롤러(12)는, 한 쌍의 행거(9)의 한쪽에 마련된다. 제1 세트의 행거 롤러(12)는, 안내 레일(11)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한 쌍의 행거(9)의 한쪽의 수평 이동을 안내한다. 제2 세트의 행거 롤러(12)는, 한 쌍의 행거(9)의 다른 쪽에 마련된다. 제2 세트의 행거 롤러(12)는, 안내 레일(11)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한 쌍의 행거(9)의 다른 쪽의 수평 이동을 안내한다.
제1 세트의 업 스러스트(upthrust) 롤러(13)는, 한 쌍의 행거(9)의 한쪽에 마련된다. 제1 세트의 업 스러스트 롤러(13)는, 안내 레일(11)의 하방에 배치된다. 제1 세트의 업 스러스트 롤러(13)는, 제1 세트의 행거 롤러(12)가 안내 레일(11)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시킨다. 제2 세트의 업 스러스트 롤러(13)는, 한 쌍의 행거(9)의 다른 쪽에 마련된다. 제2 세트의 업 스러스트 롤러(13)는, 안내 레일(11)의 하방에 배치된다. 제2 세트의 업 스러스트 롤러(13)는, 제2 세트의 행거 롤러(12)가 안내 레일(11)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시킨다.
한 쌍의 풀리(pulley, 14)는, 거더(10)에 있어서 떨어져 마련된다. 벨트(15)는 무단(無端) 모양으로 형성된다. 벨트(15)는 한 쌍의 풀리(14)에 감겨 걸려져 있다. 한 쌍의 풀리(14) 각각의 외주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홈이 형성된다.
벨트(15)는 전도 벨트이다. 벨트(15)는 한 쌍의 풀리(14) 각각의 홈의 형상에 따라서 설정된다. 예를 들면, 벨트(15)는 톱니 벨트 혹은 V 벨트이다. 벨트(15)의 장력은, 한 쌍의 풀리(14)의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조정된다.
벨트 홀더(16)의 상단은, 벨트(15)에 연결된다.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베인(vane)(17)은, 벨트 홀더(16)의 하단에 연결된다. 모터(18)는 한 쌍의 풀리(14) 중 한쪽을 구동시킨다.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4)에 의해 모터(18)가 활성화되면, 한 쌍의 풀리(14) 중 한쪽이 회전한다. 벨트(15)는 한 쌍의 풀리(14) 중 한쪽의 회전에 추종하여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칸 베인(17)은 벨트 홀더(16)를 매개로 하여 벨트 홀더(16)를 추종하여 이동한다.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7) 중 한쪽은, 엘리베이터 칸 베인(17)과 연결된다.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7) 중 다른 쪽은, 벨트(15)를 매개로 하여 구동력을 받는다. 그 결과, 한 쌍의 도어 패널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에 있어서는, 도시되지 않은 기계적인 도어 폐쇄력 발생 기구와 도어 개방력 발생 기구가 설치된다. 도어 폐쇄력 발생 기구는 제1 엘리베이터 칸(2a)의 내부에서 갇힘이 발생하고, 모터(18)의 전기적 구동력이 상실된 경우라도, 어린 아이가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를 억지로 열어 승강로(1)로 낙하하지 않게 한다. 도어 개방력 발생 기구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의 전개(全開)시에 모터(18)의 구동력이 없는 경우 또는 모터(18)의 구동력이 작은 경우라도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의 전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3b)의 구성도,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승강장 도어(A)의 구성도, 구동계를 제외하고,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한 쌍의 승강장 도어 패널(19)은, 승강장 출입구에 마련된다. 승강장 롤러(20)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 패널(19) 중 한쪽에 마련된다.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또는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3b)와 승강장 도어(A)의 높이가 대체로 일치하고 있을 때, 모터(18)가 활성화되면, 승강장 롤러(20)가 엘리베이터 칸 베인(17)과 접촉함으로써,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또는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3b)의 구동력이 승강장 도어(A)로 전달된다. 그 결과, 한 쌍의 승강장 도어 패널(19)이 열린다.
승강장 도어(A)에 있어서는, 도시되지 않은 도어 폐쇄력 발생 기구가 장착된다. 도어 폐쇄력 발생 기구는 추, 스프링 등으로 형성된다. 도어 폐쇄력 발생 기구는 제1 엘리베이터 칸(2a) 또는 제2 엘리베이터 칸(2b)이 착상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승강장 도어(A)가 열린 경우라도 자동으로 전폐(全閉)하도록 기계적 외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양쪽 열림 도어에 있어서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7)이 벨트(15)를 매개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이용하여,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과 승강장 도어(A)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등과 승강장 도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지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 베인(17)은 승강로(1)의 내부를 이동한다. 한편, 승강장 롤러(20)는 승강로(1)로 돌출된다. 승강장 롤러(20)는 제1 엘리베이터 칸(2a) 또는 제2 엘리베이터 칸(2b)이 승강할 때에 제1 엘리베이터 칸(2a) 또는 제2 엘리베이터 칸(2b)의 기기와 접촉했을 때에 손상된다. 특히, 승강장 롤러(20)와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베인(17)이 접촉하면, 양자가 손상된다.
이 때문에, 제1 엘리베이터 칸(2a) 또는 제2 엘리베이터 칸(2b)의 승강시의 도어 전폐 상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베인(17)과 승강장 롤러(20) 사이의 틈새 거리(X)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기계 시스템의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틈새 거리가 짧으면, 설치시의 설정 미스, 경년 변화에 의한 형상 변화,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와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3b)와 승강장 도어(A) 중 어느 것의 변형이 발생했을 때에, 기기가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도 3의 (A)에 나타내지는 바와 같이,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의 전폐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베인(17)은, 승강장 롤러(20)와는, 틈새 거리(X)분만큼 떨어진다. 도어 개방 지령에 의해 모터(18)가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의 개방 동작을 개시하면, 엘리베이터 칸 베인(17)이 도어 개방 방향으로 구동된다. 도 3의 (B)에 나타내지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 베인(17)은 틈새 거리(X)분의 거리를 도어 개방 방향으로 이동한 시점에서 승강장 롤러(20)에 접촉한다. 그 후, 도 3의 (C)에 나타내지는 바와 같이, 도어 개방 중에 있어서,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베인(17)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파지한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 도어와 승강장 도어(A)를 연결한다. 이것과 동시에,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베인(17)은, 승강장 롤러(20)을 완전히 끼워 넣어 구동한다.
도 3의 틈새 거리(X)는, 전폐측의 엘리베이터 칸 베인(17)과 승강장 롤러(20)의 거리이다. 전개측의 엘리베이터 칸 베인(17)과 승강장 롤러(20)의 거리는, 한 쌍의 맞물림 베인 사이의 거리가 기지(旣知)이면, 틈새 거리(X)와 승강장 롤러(20)의 치수로부터 산출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이용하여,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의 학습 기능을 설명한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의 학습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의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4)에 있어서, 속도 지령 생성부(21a)는 개폐 동작의 목표가 되는 속도 지령을 출력한다. 실제의 구동 장치에는, 쓰레기 막힘 등의 주행 저항, 도어 패널의 변형에 의한 마찰 로스, 도어 패널의 구동 중의 물체와의 접촉과 같은 외란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실속도와의 속도 오차를 속도 제어부(21b)에 의해 보정할 필요가 있다. 일정 시간 간격으로 목표로 하는 속도 지령값 V*에 실속도 V가 추종하도록 모터(18)의 구동이 제어된다.
예를 들면, 속도 제어부(21b)는 전달 함수 Cb(s)=Ksp+Ksi/s로 나타내지는 피드백 제어기이다. 여기서, Ksp는 비례 게인이다. Ksi는 적분 게인이다.
토크 제한부(21c)는 속도 제어부(21b)의 출력인 토크를 입력으로 한다. 토크 제한부(21c)는 모터(18) 전류 지령값을 출력한다. 개폐 중의 도어 패널과 인체의 접촉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실속도 V와 속도 지령값 V*에 차가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인체에 주는 에너지를 과잉되게 하지 않게, 토크 제한부(21c)는 토크에 제한을 건다.
전류 제어부(21d)는, 모터(18) 전류 지령값에 기초하여 모터(18)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서, 전류 검출기에 의한 검출 전류값을 피드백하여 모터(18)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제어한다. 전류 제어부(21d)의 출력은, PWM 인버터를 통해서 모터(18)에 입력된다. 그 결과, 도어의 개폐를 행하기 위한 구동력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센서(E)는 인코더, 리졸버이다. 센서(E)는 모터(18)의 회전을 검출한다. 센서(E)는 모터(18)의 회전 위치를 출력한다.
속도 연산부(21e)는, 입력된 회전 위치를 일정 시간마다 샘플링함으로써, 회전 속도를 연산한 다음에 출력한다.
센서(E) 대신에 검출 전류값을 이용하여 모터(18)의 회전 위치 혹은 회전 속도를 추정해도 된다.
틈새 거리 측정부(21f)는 토크 제한부(21c)의 출력인 모터(18)의 전류 지령값 혹은 속도 연산부(21e)의 출력인 모터(18)의 회전 속도인 실속도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맞물림 베인과 승강장 도어(A)의 승강장 롤러(20)의 접촉을 검출한다. 틈새 거리 측정부(21f)는 검출시의 모터(18)의 회전 위치를 출력한다. 이때, 측정한 틈새 거리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에 통신된다.
전류 측정부(21g)는 토크 제한부(21c)의 출력인 모터(18)의 전류 지령값을 보존한다. 속도 측정부(21h)는 속도 연산부(21e)의 출력인 실속도를 보존한다.
외란 보상부(21i)는, 승강장 도어(A)의 도어 폐쇄력 발생 기구에 의한 기계적 외력,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기계적인 도어 개폐력 발생 기구에 의한 기지의 외력을 미리 보상한다. 기계적 외력 이외에도 패널의 변형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도어 또는 승강장 도어(A)에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외란 보상부(21i)는 학습한 외력을 미리 보상해 둠으로써 속도 지령값 V*에 대한 실속도 V의 추종성을 향상시킨다.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의 구성도,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4)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에 있어서, 틈새 거리 기억부(6a)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4)와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의 틈새 거리 측정부(21f)의 측정 결과를 기억한다.
제1 엘리베이터 칸(2a)과 제2 엘리베이터 칸(2b)에 이용자에 의한 편하중, 기계 시스템의 이상에 의한 기울어짐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설치 직후부터의 틈새 거리의 변동은, 승강장 롤러(20)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것이 된다.
개폐 지령 판정부(6d)는, 이번 회에 있어서 제1 엘리베이터 칸(2a)이 도어를 개폐하여 측정한 틈새 거리에 대해서, 동일 층에서 제1 엘리베이터 칸(2a)이 전회 착상하여 측정한 틈새 거리의 변동분이 승강장 롤러(20)의 위치 어긋남이 된다고 판정한다. 개폐 지령 판정부(6d)는 제2 엘리베이터 칸(2b)이 동일 층에서 전회 착상하여 도어를 개폐하여 측정한 틈새 거리에 대해서 변동분을 더하여, 제2 엘리베이터 칸(2b)이 다음에 개폐하기 위한 틈새 거리를 갱신한다. 개폐 지령 판정부(6d)는 갱신된 틈새 거리를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의 속도 지령 생성부(21a)에 송신한다.
제1 엘리베이터 칸(2a)과 제2 엘리베이터 칸(2b)에 이용자에 의한 편하중, 기계 시스템의 이상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기울어짐이 발생한 경우, 가속도 센서 등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기울어짐을 계측할 수 있으면, 엘리베이터 칸의 기울어짐에 의한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직접 센서로 계측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용자가 없는 보수 모드에 있어서, 동일 층상에 있어서의 제1 엘리베이터 칸(2a)과 제2 엘리베이터 칸(2b)의 기울어짐에 기인하는 틈새 거리의 차를 기억하면 된다. 이 경우, 개폐 지령 판정부(6d)는, 제1 엘리베이터 칸(2a)에서 측정한 틈새 거리에 대해서 상술한 차를 가감산함으로써, 제2 엘리베이터 칸(2b)의 동일 층에 있어서의 틈새 거리를 판정한다.
또한, 이용자에 의한 편하중의 영향에 관하여, 정원으로부터 상정되는 엘리베이터 칸의 기울어짐을 추정해도 된다. 이용자의 유무는, 이용자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의 하중 변동을 계측하는 장치,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의 저울 장치로 검출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이용하여, 도어의 개폐의 학습을 설명한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에 의한 도어의 개폐의 학습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엘리베이터가 전폐에서 도어 개방할 때,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만이 동작한다. 그 후,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의 맞물림 베인과 승강장 롤러(20)가 접촉함으로써,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과 승강장 도어(A)가 연결된다. 해당 연결 전에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이 고속도로 도어 개방하면, 엘리베이터 칸 베인(17)과 승강장 롤러(20)의 접촉에 의한 충격음이 증가된다. 충격의 영향으로 안내 레일(11)에 매달려 있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의 패널 또는 승강장 도어(A)의 패널이 흔들림으로써 외관이 악화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은, 엘리베이터 칸 베인(17)과 승강장 롤러(20)가 접촉할 때까지 저속으로 동작한다. 그 후,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은, 승강장 도어(A)와 연결된 후에 재가속된다. 이때, 맞물림되는 승강장 도어(A)의 위치가 불분명할 때에는, 재가속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의 위치를 틈새 거리에서 상정되는 최대값을 설정함으로써 충격음을 저감시키고, 충격에 의한 도어 패널의 흔들림도 저감시킬 수 있다. 다만, 도어 개방 시간이 길어진다.
이것에 대해,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제1 엘리베이터 칸(2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2b) 중 한쪽에서 측정된 틈새 거리의 변동으로부터 다음에 착상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2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2b) 중 다른 쪽의 틈새 거리를 추정한다. 이 때문에, 이용자 또는 대차(台車)가 승강장 도어 패널(19)에 접촉함으로써 승강장 롤러(20)의 위치가 어긋났을 경우,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의 저속 동작 구간은, 항상 최단으로 된다. 또한,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의 개폐 시간은 단축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이용하여,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스텝 S1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제1 엘리베이터 칸(2a)이 N층에 착상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에서 제1 엘리베이터 칸(2a)이 N층에 착상하고 있지 않은 경우,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2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2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제2 엘리베이터 칸(2b)이 N층에 착상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에서 제2 엘리베이터 칸(2b)이 N층에 착상하고 있지 않은 경우,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1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1에서 제1 엘리베이터 칸(2a)이 N층에 착상했을 경우,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3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3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N층의 틈새 거리가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에서 N층의 틈새 거리가 갱신되었을 경우,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4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4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의 재가속 위치를 설정한다.
스텝 S3에서 N층의 틈새 거리가 갱신되지 않는 경우 또는 스텝 S4 후,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5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5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개폐시킴으로써 틈새 거리를 측정한다.
그 후,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6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6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틈새 거리가 변동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6에서 틈새 거리가 변동되었을 경우,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7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7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N층의 거리 변동량을 송신한다.
스텝 S6에서 틈새 거리가 변동되지 않는 경우 또는 스텝 S7 후,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동작을 종료한다.
스텝 S2에서 제2 엘리베이터 칸(2b)이 N층에 착상했을 경우,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8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8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N층의 틈새 거리가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8에서 N층의 틈새 거리가 갱신되었을 경우,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9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9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3b)의 재가속 위치를 설정한다.
스텝 S8에서 N층의 틈새 거리가 갱신되지 않는 경우 또는 스텝 S9 후,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10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10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개폐시킴으로써 틈새 거리를 측정한다.
그 후,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11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11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틈새 거리가 변동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에서 틈새 거리가 변동되었을 경우,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7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11에서 틈새 거리가 변동되지 않는 경우,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동작을 종료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특정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동작시에 있어서의 모터의 속도 또는 전류에 기초하여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제어 파라미터를 변경한다. 이 때문에, 도어의 개폐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각 층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와 승강장 도어의 틈새 거리를 상기 제어 파라미터로 하여,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서 추정한 틈새 거리로부터, 같은 층상에 착상하는 다른 쪽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도어 개방 재가속 위치를 변경한다. 이 때문에, 도어의 개폐 시간을 보다 확실히 단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이용하여,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의 예를 설명한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의 각 기능은, 처리 회로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a)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00b)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처리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전용 하드웨어(200)를 구비한다.
처리 회로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a)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00b)를 구비하는 경우,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의 각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펌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된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중 적어도 한쪽은, 프로그램으로서 기술된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중 적어도 한쪽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00b)에 격납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a)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00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의 각 기능을 실현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a)는, 중앙 처리 장치,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DSP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00b)는, RAM, ROM, 플래시 메모리, EPROM, EEPROM 등의, 불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DVD 등이다.
처리 회로가 적어도 하나의 전용 하드웨어(200)를 구비하는 경우, 처리 회로는, 예를 들면,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들 조합으로 실현된다. 예를 들면,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의 각 기능은, 각각 처리 회로로 실현된다. 예를 들면,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의 각 기능은, 통합해서 처리 회로로 실현된다.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의 각 기능에 대해서, 일부를 전용 하드웨어(200)로 실현하고, 다른 부분을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실현해도 된다. 예를 들어, 개폐 지령 판정부(6d)의 기능에 대해서는 전용 하드웨어(200)로서의 처리 회로로 실현하고, 개폐 지령 판정부(6d)의 기능 이외의 기능에 대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a)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00b)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이와 같이, 처리 회로는 하드웨어(200),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 조합으로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의 각 기능을 실현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4)의 각 기능도,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의 각 기능을 실현하는 처리 회로와 동등한 처리 회로로 실현된다.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3b) 제어 장치의 각 기능도,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의 각 기능을 실현하는 처리 회로와 동등한 처리 회로로 실현된다.
실시 형태 2.
도 8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의 학습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의 부분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된다. 해당 부분의 설명은 생략된다.
도 8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 또는 승강장 도어(A)의 패널이 이용자 또는 대차와 충돌함으로써 변형되었을 때, 속도 지령값대로의 실속도가 유지되면, 토크를 증대시킴으로써,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행거 롤러(12)와 안내 레일(11)의 사이에 이물이 혼입되었을 때, 속도 지령값대로의 실속도가 유지되면, 토크를 증대시킴으로써,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8)와 문턱의 홈 사이에 이물이 혼입되었을 때, 속도 지령값대로의 실속도가 유지되면, 토크를 증대시킴으로써,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을 개폐할 수 있다.
증대된 토크가 미리 설정된 제한값에 도달했을 경우, 이미 정해진 제한값의 설정대로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이 움직이지 않으면,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은, 반전 동작을 함으로써 도어 개방 혹은 도어 폐쇄 동작을 리트라이 한다.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이 반전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 인체와의 접촉이 원인이면, 토크 제한값을 변경해서는 안 된다. 한편, 패널 변형, 이물 혼입이 원인이면, 토크 제한값을 올림으로써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을 개폐하여 이용자에게 계속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인체와의 접촉은, 도어에 장착된 광 센서, 음파 센서, 기계적인 스위치 동작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한편, 패널 변형, 이물 혼입은, 광 센서 등으로 검출할 수 없다. 인체와의 접촉이 원인인지 여부는 구분된다.
인체와의 접촉이 아닌 경우, 토크 제한부(21c)는 패널 변형, 이물 혼입에 의한 로스가 증대되었다고 판정한다.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3b) 제어 장치는, 특정 층에 착상하여 전개 혹은 전폐까지 도어를 개폐할 수 있었던 제2 엘리베이터 칸(2b)의 토크 제한값을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에 송신한다. 전회에 제2 엘리베이터 칸(2b)이 동일 층에서 개폐했을 때의 설정과 토크 제한값이 변경되어 있었을 경우,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토크 제한값을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4)에 송신한다.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4)는 토크 제한값의 변경량을 다음에 동일 층에 착상하여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를 개폐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2a)의 토크 제한값에 반영시킨다.
다음으로, 도 9를 이용하여, 토크 제한값의 변경을 설명한다.
도 9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에 의한 도어의 개폐의 학습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내지는 바와 같이, 인체와의 접촉이 아닌 경우, 토크 제한부(21c)는 패널 변형, 이물 혼입에 의한 로스가 증대되었다고 판정한다. 이때, 토크 제한부(21c)는, 해당 위치에 있어서, 토크 제한값을 올린다. 그 결과, 이물 혼입에 의한 로스가 증대되어 있는 경우라도, 제1 엘리베이터 칸(2a) 등은, 도어 개방시에 전개 위치까지 도달한다. 제1 엘리베이터 칸(2a) 등은, 도어 폐쇄시에 전폐까지 도달한다.
다음으로, 도 10을 이용하여,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스텝 S21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제1 엘리베이터 칸(2a)이 N층에 착상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1에서 제1 엘리베이터 칸(2a)이 N층에 착상하고 있지 않은 경우,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22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22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제2 엘리베이터 칸(2b)이 N층에 착상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2에서 제2 엘리베이터 칸(2b)이 N층에 착상하고 있지 않은 경우,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21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21에서 제1 엘리베이터 칸(2a)이 N층에 착상했을 경우,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23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23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N층의 토크 제한값이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3에서 N층의 토크 제한값이 갱신되었을 경우,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24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24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의 토크 제한값을 설정한다.
스텝 S23에서 N층의 토크 제한값이 갱신되지 않는 경우 또는 스텝 S24 후,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25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25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개폐시킴으로써 토크 제한값을 학습한다.
그 후,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26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26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토크 제한값이 변동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6에서 토크 제한값이 변동되었을 경우,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27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27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N층의 거리 변동량을 송신한다.
스텝 S26에서 토크 제한값이 변동되지 않는 경우 또는 스텝 S27 후,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동작을 종료한다.
스텝 S22에서 제2 엘리베이터 칸(2b)이 N층에 착상했을 경우,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28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28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N층의 토크 제한값이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8에서 N층의 토크 제한값이 갱신되었을 경우,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29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29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3b)의 토크 설정값을 설정한다.
스텝 S28에서 N층의 토크 제한값이 갱신되지 않는 경우 또는 스텝 S29 후,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30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30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개폐시킴으로써 토크 제한값을 학습한다.
그 후,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31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31에서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토크 제한값이 변동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1에서 토크 제한값이 변동되었을 경우,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스텝 S27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31에서 토크 제한값이 변동되지 않는 경우,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동작을 종료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제2 엘리베이터 칸(2b)의 토크 제한값의 변경량이 제1 엘리베이터 칸(2a)에 반영된다. 이 때문에, 패널의 변형, 이물 혼입에 의해 로스가 증대되어도, 제1 엘리베이터 칸(2a)에서 학습하는 쓸데없는 시간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패널 변형, 이물 혼입에 의해 로스가 증대되어, 토크 제한부(21c)를 변경함으로써 도어를 개폐하는 경우, 속도 지령값과 실속도의 속도 오차는, 속도 제어부(21b)에 의해 보정된다. 이때, 로스의 증대에 의해, 속도 지령값에 대해서, 실속도에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1 엘리베이터 칸(2a) 등에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외란 보상부(21i)에 있어서, 학습한 외력을 미리 보상해 두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외란 보상부(21i)에 있어서, 전폐 혹은 전개로부터의 제1 도어 등의 위치, 혹은 개폐 지령이 입력되고 나서의 시각에 따라서 다른 엘리베이터 칸에서 계측된 토크의 변동을 반영시키면 된다. 이 경우, 속도 지령값 V*에 대한 추종성이 높은 실속도 V가 실현된다. 이 때문에, 속도 지령값으로 정해진 시간으로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을 개폐할 수 있다. 그 결과, 이용자에 대해서 안정된 시간에서의 제1 도어 등의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11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의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의 진단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의 부분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된다. 해당 부분의 설명은 생략된다.
도 11의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4)에 있어서, 전류 측정부(21g)는 어느 층에서 도어를 개폐한 제1 엘리베이터 칸(2a)에 있어서의 토크 제한부(21c)의 출력인 모터(18)의 전류 지령값을 보존한다. 전류 지령값이 아니라, 전류 검출기에 의한 검출 전류값이어도 된다. 전류 측정부(21g)는 전폐 혹은 전개로부터의 도어 위치, 혹은 개폐 지령이 입력되고 나서의 시각에 따라서 모터(18)의 전류 지령값의 정보를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의 전류 기억부에 송신한다.
속도 측정부(21h)는 속도 연산부(21e)의 출력인 실속도를 보존한다. 속도 측정부(21h)는 전폐 혹은 전개로부터의 도어 위치, 혹은 개폐 지령이 입력되고 나서의 시각에 따라서 실속도의 정보를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의 속도 기억부에 송신한다.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3b) 제어 장치도,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4)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 상태 판정부(6e)는, 동일 층에서 개폐한 제1 엘리베이터 칸(2a)과 제2 엘리베이터 칸(2b)의 전류와 속도를 기억함으로써,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의 이상을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전류로부터 추정할 수 있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의 주행 로스가 제2 엘리베이터 칸(2b)보다도 큰 경우, 엘리베이터 칸 도어 상태 판정부(6e)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의 주행 로스가 증대되는 경향에 있다고 판정한다.
3개 이상의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이 존재하는 경우, 주행 로스가 가장 작은 엘리베이터 칸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엘리베이터 칸을 판정해도 된다. 대부분의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로스가 유사한 경우, 주행 로스가 극단적으로 크거나 혹은 작은 엘리베이터 칸을 이상이라고 판정하면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6)는, 동일 층에서 개폐한 제1 엘리베이터 칸(2a)과 제2 엘리베이터 칸(2b)의 전류 또는 속도에 기초하여,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의 이상의 상태를 판정한다. 이 때문에, 보수원에 의한 작업의 대상을 한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의 이상시의 보수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설치 직후에 각 층에서 개폐한 제1 엘리베이터 칸(2a)과 제2 엘리베이터 칸(2b)의 전류 또는 속도를 설치시의 데이터로서 기억해 두면, 제1 엘리베이터 칸(2a)과 제2 엘리베이터 칸(2b)에 대해서 설치 후에 측정한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토크 변동으로 특정 층에 있어서의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과 승강장 도어(A)를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층에 있어서,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의 설치 직후로부터의 토크 변동이 큰 것만으로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와 승강장 도어 중 어느 것의 이상인지 여부는 판단할 수 없다. 이 상태에 있어서, 동일 층에 있어서 측정한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3b)의 설치 직후에서의 토크 변동도 크면, 승강장 도어(A)의 이상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동일 층에 있어서 측정한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3b)의 설치 직후에서의 토크 변동도 크지 않으면, 제1 엘리베이터 칸(2a)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이상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의 설치 직후에서의 데이터가 아니어도, 이번 회 측정한 데이터보다도 과거의 데이터이면, 마찬가지의 비교에 의해,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의 이상을 판정할 수 있다.
이때,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전류 또는 속도의 트랜드를 파악하면,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향을 파악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3a) 등의 진단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인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의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1 : 승강로 2a : 제1 엘리베이터 칸
2b : 제2 엘리베이터 칸 3a :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3b :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
4 : 제1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
4a : 제1 엘리베이터 칸 틈새 거리 측정부
4b : 제1 엘리베이터 칸 토크 제한부
4c : 제1 엘리베이터 칸 전류·속도 측정부
5 : 제2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5)
5a : 제2 엘리베이터 칸 틈새 거리 측정부
5b : 제2 엘리베이터 칸 토크 제한부
5c : 제2 엘리베이터 칸 전류·속도 측정부
6 :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6a : 틈새 거리 기억부 6b : 토크 제한 설정 기억부
6c : 전류·속도 기억부 6d : 개폐 지령 판정부
6e : 엘리베이터 칸 도어 상태 판정부
7 : 엘리베이터 칸 도어 패널 8 : 슈
9 : 행거 10 : 거더
11 : 안내 레일 12 : 행거 롤러
13 : 업 스러스트 롤러 14 : 풀리
15 : 벨트 16 : 벨트 홀더
17 : 엘리베이터 칸 베인 18 : 모터
19 : 승강장 도어 패널 20 : 승강장 롤러
21a : 속도 지령 생성부 21b : 속도 제어부
21c : 토크 제한부 21d : 전류 제어부
21e : 속도 연산부 21f : 틈새 거리 측정부
21g : 전류 측정부 21h : 속도 측정부
21i : 외란 보상부 100a : 프로세서
100b : 메모리 200 : 하드웨어

Claims (6)

  1. 수평 투영면 상에 있어서 중첩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동작시에 있어서의 모터의 속도 또는 전류에 기초하여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제어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개폐 지령 판정부를 구비한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 지령 판정부는, 각 층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와 승강장 도어의 틈새 거리를 상기 제어 파라미터로 하여,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서 추정한 틈새 거리로부터, 같은 층상에 착상하는 다른 쪽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도어 개방 재가속 위치를 변경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 지령 판정부는, 각 층에 있어서의 토크 제한값을 상기 제어 파라미터로 하여,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서 설정된 토크 제한값으로부터, 같은 층상에 착상하는 다른 쪽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토크 제한값을 변경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정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동작시에 있어서의 모터의 속도 또는 전류에 기초하여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상태를 판정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상태 판정부를 구비한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 상태 판정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설치시에 학습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동작시에 있어서의 모터의 속도 또는 전류를 기준으로 하여, 이번 회 측정된 모터의 속도 또는 전류와 비교함으로써 도어의 상태를 판정하는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6. 수평 투영면 상에 있어서 중첩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동작시에 있어서의 모터의 속도 또는 전류에 기초하여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상태를 판정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상태 판정부를 구비한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1020227032660A 2020-03-31 2020-03-31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202201437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14935 WO2021199344A1 (ja) 2020-03-31 2020-03-31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750A true KR20220143750A (ko) 2022-10-25

Family

ID=7792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660A KR20220143750A (ko) 2020-03-31 2020-03-31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73673A1 (ko)
JP (1) JP7347654B2 (ko)
KR (1) KR20220143750A (ko)
CN (1) CN115362118B (ko)
DE (1) DE112020007011T5 (ko)
WO (1) WO202119934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4682A (ja) 2015-01-06 2016-07-11 三菱電機株式会社 ワンシャフト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マルチ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2379A (en) * 1979-12-27 1982-08-03 Otis Elevator Company Time controlled elevator door motion
JP2004010174A (ja) * 2002-06-03 2004-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相互間隔可変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JP4799024B2 (ja) * 2005-03-29 2011-10-1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JP2008114931A (ja) * 2006-10-31 2008-05-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KR101115482B1 (ko) * 2006-12-22 2012-03-05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단일 승강로 내에 다수의 차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JP2015093744A (ja) * 2013-11-11 2015-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FI125875B (fi) * 2014-08-22 2016-03-15 Kone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hissin ovien sulkemiseksi
KR101963997B1 (ko) * 2015-05-18 2019-03-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DE102015212882A1 (de) * 2015-07-09 2017-01-12 Thyssenkrupp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sanlage, Steuerungssystem und Aufzugsanlage
JP6611875B1 (ja) * 2018-07-19 2019-11-2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ドア点検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4682A (ja) 2015-01-06 2016-07-11 三菱電機株式会社 ワンシャフト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マルチ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99344A1 (ja) 2021-10-07
JPWO2021199344A1 (ko) 2021-10-07
DE112020007011T5 (de) 2023-01-19
US20230073673A1 (en) 2023-03-09
JP7347654B2 (ja) 2023-09-20
CN115362118B (zh) 2024-07-02
CN115362118A (zh)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93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7614412B (zh) 电梯的门装置
JP4937163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2007210720A (ja) エレベータ
CN109071150B (zh) 电梯***
KR101700554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JPWO2011027450A1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2009051615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23355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635257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WO2017013709A1 (ja) 油圧式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および油圧式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異常検出方法
JP5195766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着床位置検出装置
KR102045773B1 (ko) 로프형 스크린 도어
JP2005194066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20220143750A (ko)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JP6095011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03387177B (zh) 乘客运输机的运转控制***和运转控制方法
JP6279072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及びドア制御方法
JP7090529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制御装置、及びドア制御方法
JP6811165B2 (ja) エレベーター
JP2004168530A (ja) 可動式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自動階床学習装置および自動階床学習方法
JP200902955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並びに既設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2006306581A (ja) エレベーターの主ロープ滑り量検出装置
JP2005082272A (ja) 乗り場扉とエレベータ装置
CN103287959A (zh) 乘客传送设备以及乘客传送设备的梯级的停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