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691A - 필터 모듈 케이스 - Google Patents

필터 모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691A
KR20220089691A KR1020227005735A KR20227005735A KR20220089691A KR 20220089691 A KR20220089691 A KR 20220089691A KR 1020227005735 A KR1020227005735 A KR 1020227005735A KR 20227005735 A KR20227005735 A KR 20227005735A KR 20220089691 A KR20220089691 A KR 20220089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asing
cap
filter modul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니코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89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4Hollow fibr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hollow fibre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6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2Specific tightening or locking mechanisms
    • B01D2313/025Specific membran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0Specific housing
    • B01D2313/205Specific hou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0Specific housing
    • B01D2313/206Specific hou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0Specific housing
    • B01D2313/206Specific hou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01D2313/2061Organic, e.g. polymeric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필터 모듈 케이스는 케이싱과, 캡과, 제1층과, 제2층을 구비한다. 케이싱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대략 통상이다. 캡은 케이싱의 내외를 연통시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를 획정하는 내벽면과, 통로 내에 케이싱의 단부를 받아들여 케이싱의 단부에 접착 고정되는 제1 단부를 가지며, 대략 통상이다. 제1층은 축 방향 끝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케이싱의 단부의 외측 둘레면 및 제1 단부의 내벽면에 대면한다. 제2층은 제1층의 축 방향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케이싱의 단부의 외측 둘레면 및 제1 단부의 내벽면에 대면한다. 케이싱 및 캡은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제1층은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제1 접착제로 형성되며, 제2층은 난접착성 재료에 대한 친화성을 갖는 동시에, 제1 접착제와 비교하여 탄성이 높은 제2 접착제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필터 모듈 케이스
본 발명은 필터 모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중공사막 모듈을 개시한다. 이 중공사막 모듈에서는 통상의 하우징 케이스의 양단에 개구부를 갖는 캡이 장착되어 있으며, 하우징 케이스의 내부에 단부가 포팅된 중공사막 다발이 수용되어 있다. 중공사막 모듈은 하우징 케이스 내부에서 중공사막 다발을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갖는다. 고정 부재는 금속제 또는 유리제의 환상의 부재이며, 포팅부에 있어서 중공사막을 묶도록 하여, 그 내주 부분이 중공사막 다발의 외주에 맞닿도록 하여 하우징 케이스 내에 배치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9-202112호 공보
특허문헌 1에 의하면, 고정 부재에 의해 포팅부가 접착 고정되기 때문에, 하우징 케이스가 수지제여도, 포팅부에 있어서의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고정 부재만큼 부품 점수가 늘어나는 것으로, 보다 간이하게 구성되는 필터 모듈이 요구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내구성이 높고 간이한 구성의 필터 모듈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필터 모듈 케이스는 케이싱과, 캡과, 제1층과, 제2층을 구비한다. 케이싱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대략 통상이다. 캡은 상기 케이싱의 내외를 연통시켜 상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를 획정하는 내벽면과, 상기 통로 내에 상기 케이싱의 단부를 받아들여 상기 케이싱의 단부에 접착 고정되는 제1 단부를 가지며, 대략 통상이다. 제1층은 상기 축 방향 끝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케이싱의 단부의 외측 둘레면 및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내벽면에 대면한다. 제2층은 상기 제1층의 상기 축 방향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케이싱의 단부의 외측 둘레면 및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내벽면에 대면한다. 상기 케이싱 및 상기 캡은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제1층은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제1 접착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층은 난접착성 재료에 대한 친화성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제1 접착제와 비교하여 탄성이 높은 제2 접착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제1 접착제인 제1층에 의해, 유기용제를 포함한 유체로부터, 제2 접착제인 제2층이 분리된다. 제2 접착제는 난접착성 재료에 대한 친화성을 갖기 때문에,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는 케이싱 및 캡을 확실히 접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착제의 접착 강도가 제2 접착제에 의해 보강된다. 또한, 제2 접착제는 탄성을 갖기 때문에, 유체의 압력에 의해 필터 모듈 케이스에 가해지는 부하를, 탄성에 의해 흡수할 수 있으며, 케이싱 및 캡 사이의 실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필터 모듈 케이스는 케이싱과, 캡과, 제1층과, 제2층을 구비한다. 케이싱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대략 통상이다. 캡은 상기 케이싱의 내외를 연통시켜 상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를 획정하는 내벽면과, 상기 케이싱의 단부에 받아들여져 상기 케이싱의 단부에 접착 고정되는 제1 단부를 가지며, 대략 통상이다. 제1층은 상기 축 방향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케이싱의 단부의 내측 둘레면 및 상기 제1 단부의 외측 둘레면에 대면한다. 제2층은 상기 제1층의 상기 축 방향 끝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케이싱의 단부의 내측 둘레면 및 상기 제1 단부의 외측 둘레면에 대면한다. 상기 케이싱 및 상기 캡은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제1층은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제1 접착제로 형성된다. 상기 제2층은 난접착성 재료에 대한 친화성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제1 접착제와 비교하여 탄성이 높은 제2 접착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제1 접착제인 제1층에 의해, 유기용제를 포함한 유체로부터 제2 접착제인 제2층이 분리된다. 제2 접착제는 난접착성 재료에 대한 친화성을 갖기 때문에,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는 케이싱 및 캡을 확실히 접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착제의 접착 강도가 제2 접착제에 의해 보강된다. 또한, 제2 접착제는 탄성을 갖기 때문에, 유체의 압력에 의해 필터 모듈 케이스에 가해지는 부하를, 탄성에 의해 흡수할 수 있으며, 케이싱 및 캡 사이의 실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필터 모듈 케이스는 제1 관점 또는 제2 관점에 따른 필터 모듈 케이스로서, 상기 케이싱 및 상기 캡을 구성하는 재료는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페닐술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및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조 비용이 비교적 염가이고 취급하기 쉬운 필터 모듈 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필터 모듈 케이스는 제1 관점 내지 제3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필터 모듈 케이스로서, 상기 케이싱은 외부에서 내부를 시인할 수 있을 정도의 투명도를 갖는다.
이 구성에 따르면, 당해 케이스를 사용한 필터 모듈에 있어서, 내부의 모습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의 막힘 및 필터의 파손의 발생 등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으며, 그 발생 개소도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따른 필터 모듈 케이스는 제1 관점 내지 제4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필터 모듈 케이스로서, 상기 제1 접착제는 폴리아미드계 접착제, 폴리에틸렌계 접착제,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 페놀수지계 접착제, 폴리이미드계 접착제, 폴리우레아수지계 접착제, 에폭시수지계 접착제 및 실리콘수지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따른 필터 모듈 케이스는 제1 관점 내지 제5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필터 모듈 케이스로서, 상기 제2 접착제는 실리콘계 접착제, 변성 실리콘계 접착제, 아크릴·변성 실리콘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초산비닐계 접착제, 에폭시·변성 실리콘 접착제 및 스티렌부탄디엔고무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군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제7 관점에 따른 필터 모듈은 제1 관점 내지 제6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필터 모듈 케이스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 및 상기 캡의 상기 내벽면으로 획정되는 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는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는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8 관점에 따른 필터 모듈은 제7 관점에 따른 필터 모듈로서, 상기 필터는 그 길이 방향과 상기 케이싱의 축 방향이 일치하도록 상기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중공사막 다발이며, 상기 캡은 상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있는 제2 단부를 더 가지며,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통로의 단부 개구를 규정하며, 상기 중공사막 다발을 구성하는 개개의 중공사막의 길이 방향의 관통 구멍은 상기 단부 개구를 통해 외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9 관점에 따른 필터 모듈은 제8 관점에 따른 필터 모듈로서, 포팅제와, 제3층을 더 구비한다. 포팅제는 상기 개개의 중공사막의 단부와, 상기 제2 단부의 상기 내벽면과의 극간을 채우는 동시에, 상기 중공사막 다발의 끝면과 상기 제2 단부의 끝면이 대체로 일치하도록 상기 중공사막 다발을 상기 캡에 대해 고정시킨다. 제3층은 상기 포팅제 및 상기 제2 단부의 상기 내벽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포팅제는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다. 상기 제3층은 난접착성 재료에 대한 친화성을 갖는 동시에, 상기 포팅제와 비교하여 탄성이 높은 제3 접착제로 형성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개개의 중공사막이 필터 모듈 케이스에 대해 위치 결정되며, 중공사막 다발의 길이 방향과 지름 방향에 있어서, 분리 전의 유체와 분리 후의 유체를 격리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을 갖는 제3 접착제가,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가해지는 부하를 흡수하여, 포팅제와 캡의 내벽면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10 관점에 따른 필터 모듈은 제9 관점에 따른 필터 모듈로서, 상기 제2 단부의 상기 내벽면 중 상기 포팅제와 맞닿는 개소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캡의 내벽면과 포팅제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포팅제의 정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관점에 따른 필터 모듈은 제9 관점 또는 제10 관점에 따른 필터 모듈로서, 상기 포팅제는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페놀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우레아수지, 에폭시수지 및 실리콘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2 관점에 따른 필터 모듈은 제9 관점 내지 제11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필터 모듈로서, 상기 제3 접착제는 실리콘계 접착제, 변성 실리콘수지계 접착제, 아크릴·변성 실리콘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초산비닐계 접착제, 에폭시·변성 실리콘 접착제 및 스티렌부탄디엔고무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군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제13 관점에 따른 필터 모듈은 제8 관점 내지 제12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필터 모듈로서, 상기 중공사막은 폴리아미드제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염가이고, 또한,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필터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동시에, 내구성이 높은 필터 모듈 케이스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필터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필터 모듈 케이스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필터 모듈의 끝면도(端面圖)이다.
도 4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필터 모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필터 모듈의 제조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착제의 도포 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포팅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변형예에 따른 필터 모듈 케이스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a는 비교예 1에 따른 필터 모듈 케이스의 접착 방법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b는 비교예 2에 따른 필터 모듈 케이스의 접착 방법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험용의 분리 처리용 라인의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모듈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필터 모듈 케이스>
필터 모듈은 예를 들면, 수중의 세균 제거, 식품 가공, 의료용 물의 제조, 배수 처리, 혼합 가스의 분리, 용액의 탈기, 용액의 제조 및 처리 등, 다방면에 걸친 용도로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필터 모듈(1)(이하, 단순히 모듈(1)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은, 특히, 유기용제를 포함한 용액의 처리에 호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모듈(1)은 그 내부를 유체가 통과하도록 분리 처리용 라인에 접속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모듈(1)의 평면도이다. 모듈(1)은 전체로서 대략 원통형의 외견 형상을 갖는 동시에, 모듈(1)의 중심을 지나는 면(P1)(도 1 참조)에 대해서 면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듈(1)은 케이싱(2)과, 캡(3)과, 필터(4)를 구비한다. 케이싱(2), 캡(3) 및 필터(4)는 각각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2) 및 캡(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 접착 고정되어, 필터(4)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필터 모듈 케이스(이하, 단순히 모듈 케이스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구성한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4)는 다수의 중공사막이 묶인 중공사막 다발이다. 이하, 중공사막 다발에도 필터(4)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본 실시 형태의 케이싱(2)은 양단이 개구된 원통상의 외관 형상을 가지며, 중심축(A1)을 갖는다. 이하, 중심축(A1)이 연장되는 방향(도 1의 좌우 방향)을 축 방향이라고 칭한다. 케이싱(2)의 축 방향의 길이, 지름, 및 두께는 모듈 케이스에 수용되는 필터의 종류 및 유체의 압력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케이싱(2)을 구성하는 재료에는,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술폰(PPSU),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ECTFE) 및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재료 중 수지 재료는 가교되지 않은 것이어도 되고, 가교된 것이어도 되지만, 가교되지 않은 재료 쪽이 비용 면에서는 유리하다. 또한, 상술한 수지 재료에는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러가 적절히 첨가되어도 된다. 또한, 케이싱(2)을 구성하는 재료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에 대한 중량 변화율이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PGMEA에 대한 중량 변화율 및 톨루엔에 대한 중량 변화율이 모두 1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GMEA에 대한 재료의 중량 변화율 및 톨루엔에 대한 재료의 중량 변화율은 각각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된다.
PGMEA에 대한 중량 변화율의 측정 방법
재료를 온도 20℃의 PGMEA에 30일간 연속하여 침지했을 때의 중량 변화율을 측정한다.
톨루엔에 대한 중량 변화율의 측정 방법
재료를 온도 20℃의 톨루엔에 30일간 연속하여 침지했을 때의 중량 변화율을 측정한다.
본 실시 형태의 케이싱(2)은 폴리아미드 6(모노머 캐스트 나일론)제이며, 내부를 시인할 수 있을 정도의 투명도를 갖는다. 도 1에는 케이싱(2)의 외부에서, 모듈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중공사막 다발(4)을 시인할 수 있는 모습이 나타내어져 있다. 투명도의 지표로서는, 예를 들면, 전광선 투과율이 60% 이상을 들 수 있으며, 70% 이상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광선 투과율은 JIS K7361-1에 준하여 측정된다.
캡(3)은 모듈(1)이 용액 처리 라인에 도입될 수 있도록, 케이싱(2)의 양단부에 장착되는 부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모듈(1)의 2개의 캡(3)은 각각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하나의 캡을 예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캡(3)은 대략 원통상의 외견 형상을 가지며, 그 중심축이 케이싱(2)의 중심축(A1)과 일치하도록 케이싱(2)에 고정된다. 캡(3)은 제1 단부(30)와 제2 단부(31)를 갖는다. 제1 단부(30)는 케이싱(2)의 단부에 고정되는 부위이다. 제2 단부(31)는 후술하는 통로(S2)를 사이에 두고 제1 단부(30)의 반대측에 있는 단부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2 단부(31)는 플랜지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310)를 가지며, 페룰(ferrule)로서 분리 처리용 라인의 배관에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모듈 케이스의 단부 부근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3)은 내벽면(33)을 갖는다. 내벽면(33)은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S1)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S2)를 각각 획정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듈 케이스에 중공사막 다발(4)이 수용된 상태에서는, 통로(S1)에서 중공사막 다발(4)을 직접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로(S2)의 단부개구는 제2 단부(31)의 끝면에 있어서의 둘레가장자리부(311)에 의해 규정된다.
통로(S1 및 S2)는 모두 케이싱(2)(또는 모듈 케이스)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통로이며, 모듈(1)의 1차측 포트 및 2차측 포트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분리 전의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1차측 포트이고, 분리 후의 유체가 유출되는 것이 2차측 포트이다. 분리의 태양에 따라, 모듈(1)은 2차측 포트를 하나, 또는 복수 가져도 되고, 통로(S1 및 S2) 중 어느 것이나 1차측 포트 또는 2차측 포트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방측(一方側)의 통로(S2)를 1차측 포트로서 이용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방측(他方側)의 통로(S2) 및 2개의 통로(S1)가 2차측 포트로서 이용된다. 또한, 2개의 통로(S1) 중 한쪽은, 통상의 모듈(1)의 사용시에는 2차측 포트로서 이용되지 않고, 폐색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차측 포트인 통로(S2)로부터 유입된 유체 중, 후술하는 중공사막 다발(4)의 세공을 투과한 것은, 2차측 포트인 통로(S1)로부터 유출된다. 유체의 그 이외의 나머지는, 중공사막 다발(4)의 중공 부분(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2차측 포트인 다른 쪽의 통로(S2)로부터 유출된다.
본 실시 형태의 내벽면(33)은 내측 둘레면(33a)과, 내측 둘레면(33a)보다도 작은 지름의 내측 둘레면(33b)을 갖는다. 내측 둘레면(33a)은 제1 단부(30)의 내측의 둘레면이다. 제1 단부(30)에 있어서의 캡(3)의 내경은 케이싱(2)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케이싱(2)의 외경보다 약간 크다. 이에 따라, 내측 둘레면(33a)은 케이싱(2)의 단부를 받아들여, 케이싱(2)의 외측 둘레면(20)을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단부(30) 이외에 있어서의 캡(3)의 내경은 케이싱(2)의 내경과 대체로 동일하며, 캡(3)이 케이싱(2)의 단부를 받아들이면, 케이싱(2)의 내벽면과 내측 둘레면(33b)이 대체로 면이 하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측 둘레면(33a)과 내측 둘레면(33b)이 연속되는 면(33c)은 축 방향과 직교하는 면이며, 받아들여진 케이싱(2)의 끝면이 맞닿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캡(3)은 내측 둘레면(33b)에 형성되는 3개의 홈부(330)를 더 갖는다. 홈부(330)는 제2 단부(31)의 끝면보다 축 방향 중앙측으로서, 통로(S1)보다도 축 방향 끝측의 내측 둘레면(33b)에 형성되어 있다. 홈부(330)는 내측 둘레면(33b)의 표면을 실질적으로 요철상으로 하는 것으로, 내측 둘레면(33b)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후술하는 포팅제(5)와, 내측 둘레면(33b)과의 접착성을 보강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이러한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처리로서는, 홈부(330)를 마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내측 둘레면(33b)의 에칭 처리, 샌드블레스트 처리, 노치 처리 등의 조면화 처리여도 된다.
캡(3)을 구성하는 재료에는,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술폰(PPSU),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ECTFE) 및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재료 중 수지 재료는 가교되지 않은 것이어도 되고, 가교된 것이어도 되지만, 가교되지 않은 재료 쪽이 비용 면에서는 유리하다. 또한, 상술한 수지 재료에는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러가 적절히 첨가되어도 된다. 또한, 캡(3)을 구성하는 재료는 케이싱(2)을 구성하는 재료와 마찬가지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에 대한 중량 변화율이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PGMEA에 대한 중량 변화율 및 톨루엔에 대한 중량 변화율이 모두 1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캡(3)은 폴리아미드 6제이며, 케이싱(2)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캡(3)을 구성하는 재료는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한, 케이싱(2)을 구성하는 재료와는 달라도 된다. 또한, 캡(3)의 두께는 케이싱(2)의 두께와 달라도 되고, 같아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모듈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싱(2)의 외측 둘레면(20)과 제1 단부(30)의 내측 둘레면(33a)은 대향한다. 외측 둘레면(20)과 내측 둘레면(33a) 사이에는, 제1 접착제로 형성되는 제1층(L1)과 제2 접착제로 형성되는 제2층(L2)이 배치되어 있다. 제1층(L1)은 축 방향 끝측에 위치하는 층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싱(2)의 가장자리끝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소정의 폭(W1)을 가지고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층(L2)은 제1층(L1)의 축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1층(L1)에 인접하는 층이며, 축 방향으로 소정의 폭(W2)을 가지고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층(L1) 및 제2층(L2)은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단,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있어서 제1층(L1) 및 제2층(L2)의 지름 방향의 두께는 과장해서 도시되어 있으며, 반드시 실제의 축척을 나타내고 있지는 않다.
제1 접착제는 케이싱(2)과 캡(3)을 서로 접착 고정시키는 동시에, 케이싱(2)과 캡(3) 사이를 실링한다. 제1 접착제는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기 때문에, 유기용제를 포함한 유체에 대한 실링으로서 호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단,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접착제는 경도가 비교적 높은 경우가 많다. 또한, 케이싱(2) 및 캡(3)을 구성하는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재료는 난접착성인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제1층(L1)은 모듈(1)을 투과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한 부하를 받아 박락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제1 접착제에 의한 실링은 제2 접착제에 의해 보강된다.
제2 접착제는 난접착성 재료에 대해 친화성을 갖는 동시에, 제1 접착제보다도 높은 탄성을 갖는다. 즉, 제2 접착제는 난접착성인 재료로 구성되는 케이싱(2) 및 캡(3)을 접착하는 재료로서 호적하게 사용된다. 또한, 제1 접착제보다도 높은 탄성을 갖기 때문에, 유체의 압력 등에 의해 모듈(1)에 가해지는 부하를 흡수하여, 케이싱(2)과 캡(3) 사이의 실링을 유지시킨다.
제1 접착제는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제1 접착제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계 접착제, 폴리에틸렌계 접착제,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 페놀수지계 접착제, 폴리이미드계 접착제, 폴리우레아수지계 접착제, 에폭시수지계 접착제 및 실리콘수지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계 접착제, 폴리에틸렌계 접착제 및 에폭시수지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접착제는 공지의 에폭시수지를 주제로 하며, 상온에서 액상인 에폭시수지계 접착제이다. 제1 접착제의 주성분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에테르, 레조르시놀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트리페닐메탄 및 테트라글리시딜에테르테트라페닐에탄 등의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수지, 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및 다이머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의 글리시딜에스테르형 에폭시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접착제의 경화제는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것이면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액상이다. 경화제의 예로서는, 방향족 아민, 지방족 폴리아민 및 지환식 아민 등의 아민계 경화제, 산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아민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디아미노디페닐메탄, m-페닐렌디아민, 디아미노디페닐술폰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폴리아민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메타크실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아민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아민류는 2종류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산무수물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 헥사하이드로무수프탈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접착제의 경화제로서 방향족 폴리아민이 사용되고 있다.
제1 접착제의 경화 후의 경도로서는, JIS K6253-3:2012에서 규정되는 듀로미터 경도가 A90 이상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D70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제는 케이싱(2)을 구성하는 재료와 마찬가지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에 대한 중량 변화율이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PGMEA에 대한 중량 변화율 및 톨루엔에 대한 중량 변화율이 모두 1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접착제는 난접착성 재료에 대한 친화성을 갖는 동시에, 제1 접착제보다도 높은 탄성을 갖는다. 제2 접착제로서는 공지의 난접착성 재료용의 탄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리콘계 접착제, 변성 실리콘계 접착제, 아크릴·변성 실리콘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초산비닐계 접착제, 에폭시·변성 실리콘 접착제 및 스티렌부탄디엔고무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접착제로서 난접착성 재료 대응의 변성 실리콘계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접착제로서 변성 실리콘수지(실리콘 변성 폴리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폭시·변성 실리콘 접착제에는 경화제를 실리콘 변성 폴리머로 한 에폭시 접착제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난접착성 재료 대응의 변성 실리콘계 접착제에는 시릴기를 함유하는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변성 실리콘계 접착제가 포함된다.
캡(3)의 제2 단부(31)의 내측 둘레면(33b) 상에는 제3 접착제에 의한 제3층(L3)이 더 형성된다. 제3층(L3)은 끝면보다 축 방향 중앙측으로서, 홈부(330)보다도 축 방향 끝측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층(L3)은 후술하는 포팅제(5)와 내측 둘레면(33b)과의 실링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위이며, 모듈 케이스에 중공사막 다발(4)을 수용하기 전에 형성된다. 단,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있어서 제3층(L3)의 지름 방향의 두께는 과장해서 도시되어 있으며, 반드시 실제의 축척을 나타내고 있지는 않다.
제3 접착제는 난접착성 재료에 대한 친화성을 갖는 동시에, 후술하는 포팅제(5)보다도 높은 탄성을 갖는다. 제3 접착제로서는, 제2 접착제로서 든 예와 동일한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제3 접착제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접착제로서, 제2 접착제와 동일한 변성 실리콘계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제3층(L3)은 유체의 압력 등에 의해 모듈(1)에 가해지는 부하를 흡수하여, 캡(3)의 내측 둘레면(33b)으로부터 포팅제(5)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접착제 및 제3 접착제의 경화 후의 경도로서는, JIS K6253-3:2012에서 규정되는 듀로미터 경도가 A80 이하를 들 수 있으며, A10 ~ 80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A10 ~ 40을 보다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2. 필터 모듈>
본 실시 형태의 모듈 케이스에는 다수의 중공사막이 묶여서 구성되는 중공사막 다발(4)이 수용된다. 중공사막 다발(4)을 구성하는 중공사막은,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며, 중공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내측에 무수한 세공을 갖는다. 세공의 지름은 유체로부터 분리시키고 싶은 분자의 지름에 따라 적절히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사막은 정밀 여과막, 한외 여과막, 나노 여과막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차측 포트(한쪽의 통로(S2))를 통해 모듈(1) 내에 유입된 유체는 중공사막 다발(4)을 구성하는 각 중공사막의 길이 방향 관통 구멍(중공 부분)에 유입된다. 유입된 유체 중, 세공을 빠져나올 수 있는 크기의 분자는 중공 부분으로부터 세공을 통해 중공사막을 투과하여, 2차측 포트인 통로(S1)로부터 모듈(1)의 외부로 배출된다. 중공사막의 세공을 빠져나오지 않은 분자는 2차측 포트가 되는 통로(S2)로부터 모듈(1)의 외부로 배출된다.
중공사막을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초산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용제에 보다 우수한 내성을 갖는다는 관점에서, 상기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가 바람직하다. 또한, 분획 분자량을 저감시킨다는 관점에서, 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의 종류는 1종류여도 2종류 이상의 혼합이어도 공중합체여도 상관없지만, 폴리아미드 4,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10,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MXD6, 폴리아미드 4T, 폴리아미드 6T, 폴리아미드 9T, 폴리아미드 10T 등을 들 수 있다.
중공사막의 사이즈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외경은 300μm ~ 2000μm가 바람직하고, 400μm ~ 1500μm가 더 바람직하다. 내경은 100μm ~ 1500μm가 바람직하고, 200μm ~ 1000μm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중공사막의 분획 분자량으로서는, 예를 들면, 200 ~ 200000을 들 수 있으며, 200 ~ 20000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획 분자량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일본 특개 2016-193430호 공보에 규정된 방법이 채용된다. 또한, 중공사막은 케이싱(2)을 구성하는 재료와 마찬가지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에 대한 중량 변화율이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PGMEA에 대한 중량 변화율 및 톨루엔에 대한 중량 변화율이 모두 1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모듈 케이스에 수용되는 중공사막의 충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모듈 케이스 내부의 체적에 대한, 중공 부분의 체적을 포함시킨 중공사막의 체적이 30체적% ~ 90체적%를 들 수 있으며, 35체적% ~ 75체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체적% ~ 65체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3은 모듈(1)의 끝면도이고, 도 4는 모듈(1)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중공사막 다발(4)을 구성하는 각 중공사막은 양측의 끝면이 모듈 케이스의 양측의 끝면에 일치하도록 가지런히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3)의 제2 단부(31)의 끝면에서는 통로(S2)의 개구에서 각 중공사막의 끝면을 시인할 수 있다(단, 도 3은 실제로 수용되는 중공사막의 정확한 갯수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중공사막의 단부는 폐색되어 있지 않으며, 길이 방향의 관통 구멍은 통로(S2)의 개구를 통해 외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각 중공사막의 단부와, 제2 단부(31)의 내측 둘레면(33b)과의 극간은 포팅제(5)로 채워져 있다. 포팅제(5)는 각 중공사막의 끝면으로부터 통로(S1)보다도 축 방향 끝측의 위치까지 배치되어 각 중공사막의 단부를 묶는 동시에, 중공사막 다발(4)과 내측 둘레면(33b) 사이를 실링하여 분리 전의 유체와 분리 후의 유체를 격리시킨다. 한편으로, 포팅제(5)는 각 중공사막의 단부를 폐색시키지 않게 되어 있다.
포팅제(5)는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구성된다. 포팅제(5)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페놀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우레아수지, 에폭시수지 및 실리콘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에폭시수지 및 실리콘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포팅제(5)는 주제로서 제1 접착제와 동일한 에폭시수지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포팅제(5)의 주제는 제1 접착제의 주제와 다른 것이 사용되어도 된다.
포팅제(5)의 경화제에 대해서도, 제1 접착제의 경화제로서 든 재료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화제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포팅제(5)는 경화제로서, 제1 접착제의 경화제와 마찬가지로 방향족 폴리아민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포팅제(5)의 경화제는 제1 접착제의 경화제와 다른 것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포팅제(5)로서 폴리에틸렌을 이용하는 경우, 분자량이 5000 ~ 200000인 저점도 폴리에틸렌(LDPE)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10000 ~ 150000인 LDPE,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30000 ~ 100000인 LDPE를 이용할 수 있다. 포팅제(5)로서 폴리에틸렌을 이용하는 경우, 포팅 처리의 전(前) 처리로서 저점도의 폴리올레핀계 에멀젼으로 디핑(dipping)을 실시하는 것으로, 중공사막 및 내측 둘레면(33b)과의 접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포팅제(5)의 경화 후의 경도로서는, JIS K6253-3:2012에서 규정되는 듀로미터 경도가 A70 이상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D40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포팅제(5)는 케이싱(2)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와 마찬가지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에 대한 중량 변화율이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PGMEA 및 톨루엔에 대한 중량 변화율이 모두 1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포팅제(5)는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기 때문에, 유기용제를 포함한 유체에 대한 실링으로서 호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단, 제1 접착제와 마찬가지로, 포팅제(5)로서 사용되는 수지는 경도가 비교적 높은 경우가 많다. 또한, 케이싱(2) 및 캡(3)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는 난접착성인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포팅제(5)와 캡(3) 사이의 실링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제3 접착제에 의한 제3층(L3)이 포팅 처리 전에 내측 둘레면(33b)에 형성된다. 포팅제(5)는 제3층(L3)이 분리 전의 유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적어도 1차측 포트 측에 있어서 지름 방향 내측으로부터 제3층(L3)을 덮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필터 모듈의 제조 방법>
이하에서는, 본 실시 형태의 모듈(1)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모듈(1)의 제조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제1의 스텝(ST1)에서는, 분리 처리하는 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케이싱(2) 및 캡(3)을 성형한다. 케이싱(2) 및 캡(3)은 압출 성형 및 사출 성형 등, 공지의 방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제2의 스텝(ST2)에서는 제1층(L1)을 형성하기 위해, 케이싱(2)의 외측 둘레면(20) 및 캡(3)의 내측 둘레면(33a) 중 적어도 한쪽에 제1 접착제를 폭(W1)으로 도포한다. 제1 접착제와 제2 접착제와의 혼합을 보다 저감시키는 관점에서는, 캡(3)의 내측 둘레면(33a)에 제1 접착제를 도포하고, 케이싱(2)의 외측 둘레면(20)에는 제1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층(L1)이 면(33c)으로부터 제1 단부(30)측으로 폭(W1)으로 연장되도록 제1 접착제를 내측 둘레면(33a)에 부분적으로 도포하고, 케이싱(2)의 외측 둘레면(20)에 도포된 제2 접착제와 이후에 대면하게 될 내측 둘레면(33a)의 부분에는 이것을 도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케이싱(2) 및 캡(3)의 양쪽에 제1 접착제를 도포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접착제를 도포하는 위치는, 이후의 스텝(ST4)에 있어서 케이싱(2)의 단부에 캡(3)을 장착했을 때 케이싱(2) 및 캡(3)에 도포된 제1 접착제의 축 방향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는 위치일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접착제에 의한 제1층(L1) 및 제2 접착제에 의한 제2층(L2)의 두께가 과장해서 나타내어져 있다.
제3의 스텝(ST3)에서는 제2층(L2)을 형성하기 위해, 케이싱(2)의 외측 둘레면(20) 및 캡(3)의 내측 둘레면(33a) 중 적어도 한쪽에 제2 접착제를 폭(W2)으로 도포한다. 제1 접착제와 제2 접착제와의 혼합을 보다 저감시키는 관점에서는, 케이싱(2)의 외측 둘레면(20)에 제2 접착제를 도포하고, 캡(3)의 내측 둘레면(33a)에는 제2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2)의 끝으로부터 축 방향 중앙측으로 폭(W1)을 비운 위치로부터, 제2층(L2)이 축 방향 중앙측으로 폭(W2)으로 연장되도록, 제2 접착제를 외측 둘레면(20)에 부분적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케이싱(2) 및 캡(3)의 양쪽에 제2 접착제를 도포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접착제를 도포하는 위치는, 이후의 스텝(ST4)에 있어서 케이싱(2)의 단부에 캡(3)을 장착했을 때 케이싱(2) 및 캡(3)에 도포된 제2 접착제의 축 방향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는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제는, 케이싱(2)의 외측 둘레면(20) 및 캡(3)의 내측 둘레면(33a)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제1 접착제와 겹쳐도 된다.
제4의 스텝(ST4)에서는 케이싱(2)의 각각의 단부에 캡(3)을 장착시켜 케이싱(2) 및 캡(3)을 충분히 접착 고정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캡(3)은 케이싱(2)의 끝면이 캡(3)의 면(33c)에 맞닿도록 케이싱(2)에 대해 위치 맞춤되어 장착된다.
제5의 스텝(ST5)에서는 캡(3)의 내측 둘레면(33b)에 제3 접착제를 도포한다. 제3 접착제를 도포하는 축 방향의 위치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단부(31)의 끝면보다 축 방향 중앙측으로, 홈부(330)보다도 축 방향 끝측이다. 제3 접착제는 유동액에 접촉하지 않도록, 통로(S2)로부터 모듈 케이스의 외부로 새어 나와져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6의 스텝(ST6)에서는 복수의 중공사막을, 통로(S2)를 통해 모듈 케이스 내에 수용하여, 복수의 중공사막의 양단부를 열압착 실링으로 서로 고정시키는 동시에, 관통 구멍을 봉지(封止)한다. 이때의 중공사막의 길이는, 모듈 케이스 내에 수용되었을 때, 그 양단이 모듈 케이스의 양단의 통로(S2)의 개구로부터 외측으로 연출(延出)되는 정도의 길이이며, 열압착 실링으로 처리되는 것은 모듈 케이스로부터 연출된 부분이다.
제7의 스텝(ST7)에서는 포팅제(5)를 이용하여 포팅 처리를 실시한다. 포팅 처리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장치(6)를 사용하여, 원심 포팅법에 의해 포팅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장치(6)는 하우징(60)으로 획정되는 공간 내에 회전 구동 장치(61)와, 회전 구동 장치(61)가 출력하는 회전이 전해져 회전하는 회전대(62)를 갖는다. 중공사막이 수용된 모듈 케이스는 중심의 위치가 회전대(62)의 회전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회전대(62)에 올려놓아져 고정구(63)로 회전대(62)에 고정된다. 회전대(62)에 고정된 모듈 케이스는 양단의 캡(3)의 제2 단부(31)에 있어서, 양측의 통로(S2)과 튜브(64)가 각각 액밀(液密, liquid-tight)하게 연통되도록 접속된다. 튜브(64)는 회전대(62)의 회전 중심축 상에 있어서, 액상의 포팅제(5)가 소정의 양만 수용된 시린지(65)의 선단과 연통되어 있다. 회전 구동 장치(61)를 회전시키면, 포팅제(5)가 시린지(65) 내로부터 튜브(64) 내를 유동하여, 모듈 케이스의 양측의 통로(S2)의 개구로부터 캡(3)의 내부에 들어가, 각 중공사막의 극간 및 중공사막과 내측 둘레면(33b)과의 극간을 채운다. 회전 구동 장치(61)의 회전은 소정의 회전 속도로 소정의 시간 연속하여 실시된다.
원심 포팅 처리시에는 하우징(60) 내에서 열풍 건조기(66)의 열풍을 순환시켜, 미리 하우징 내를 가온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8의 스텝(ST8)에서는 장치(6)로부터 모듈(1)을 꺼내, 중공사막의 열압착 실링 부분을, 경화된 포팅제(5)의 부분과 함께 잘라 내어, 캡(3)의 제2 단부(31)의 끝면에 있어서, 중공사막의 관통 구멍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한다.
포팅제(5)의 주제가 에폭시수지인 경우는, 제9의 스텝(ST9)에서 모듈(1)을 더 가온 건조 처리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에폭시수지의 가교가 촉진되어, 포팅제(5)의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이 보다 향상된다.
<4. 특징>
(1)
상기 실시 형태의 모듈(1)에 의하면, 제1 접착제에 의해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실링을 형성하면서, 제2 접착제에 의해 난접착성의 재료로 구성되는 케이싱(2)과 캡(3)을 보다 확실히 고정시켜, 모듈 케이스에 가해지는 부하가 흡수된다. 이에 따라, 케이싱(2), 캡(3) 및 중공사막 다발(4)을 수지 재료로 구성할 수 있으며,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동시에, 비교적 염가의 필터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 형태의 모듈(1)에 의하면, 케이싱(2)과 캡(3) 사이의 실링재로서 별도의 부재를 준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필터 모듈을 부품 점수가 적은 간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 형태의 모듈(1)에 의하면, 케이싱(2) 및 캡(3) 중 적어도 한쪽을 투명한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1)의 내부를 시인할 수 있으며, 필터의 막힘 등이 발생하더라도, 용이하게 그 발생을 확인하여, 발생 개소를 특정할 수 있다.
<5.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하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변형예의 요지는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1)
상기 실시 형태의 모듈(1)은 필터로서 중공사막 다발(4)을 사용했지만, 필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필터여도 된다. 예를 들면, 시트상의 멤브레인 필터, 메쉬상의 금속 필터 등을 사용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의 모듈(1)은 케이싱(2)의 외측 둘레면(20)을 캡(3)의 내측 둘레면(33a)이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고 있었지만,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위치 관계는 반대여도 된다. 즉, 캡(3)의 외측 둘레면(34)을 케이싱(2)의 내측 둘레면(21)이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캡(3)이 케이싱(2)에 고정되어도 된다. 또한, 이 구성에 있어서는, 제1층(L1)과 제2층(L2)과의 축 방향의 위치 관계도 반대로 해도 된다. 즉, 제2층(L2)이 축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제1층(L1)이 축 방향 중앙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의 모듈(1)은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S1)가 캡(3)에 형성되어 있었지만, 통로(S1)는 캡(3)이 아닌, 케이싱(2)의 측둘레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통로(S1)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여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의 모듈(1)은 크로스 플로우(cross flow)형으로, 양단에 통로(S2)를 가지고, 또한, 중공사막의 양단이 개구하고 있었지만, 모듈 케이스의 일단을 폐색시켜, 한쪽의 통로(S2)의 구성을 생략한 데드 엔드(dead end)형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중공사막 다발(4)을 구성하는 중공사막은, 모듈 케이스의 폐색된 측에서 U자형으로 되접어 꺾여, 양단부가 모두 통로(S2)의 개구에 위치하도록 모듈 케이스에 수용되어도 된다. 또한, 중공사막 다발(4)을 구성하는 중공사막은, 관통 구멍의 일단이 열압착 실링으로 봉지되어, 봉지측의 단부가 모듈 케이스의 폐색된 측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모듈 케이스에 수용되어도 된다.
(5)
포팅 처리의 방법은 상기 실시 형태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포팅제(5)로서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묶인 중공사막의 단부와 캡(3)의 내측 둘레면(33b) 사이에 가열 융해시킨 열가소성 수지를 흘려 넣어,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 경화 및 자연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포팅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6)
캡(3)의 제2 단부(31)와 분리 처리 라인과의 접속은, 페룰이 아니어도 된다. 제2 단부(31)는, 모듈(1)이 도입되는 분리 처리 라인의 태양에 따라, 다양한 이음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캡(3)은 양단이 동일한 이음 형상이 아니어도 되고, 각각이 다른 이음 형상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의 케이싱(2)은 원통상(圓筒狀)이었지만, 케이싱(2)은 각통상(角筒狀)이어도 된다.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포팅제(5)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철로서 캡(3)의 내측 둘레면(33b)에 환상의 홈부(330)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요철은 홈부(330)에 의해서가 아닌, 환상의 리브에 의해 형성되어도 되고, 혹은 홈부와 리브를 조합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요철의 형상도 환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9)
상기 실시 형태의 케이싱(2) 및 캡(3)은 수지 재료로 구성되었지만, 케이싱(2) 및 캡(3) 중 적어도 한쪽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당해 금속으로서는, 스테인리스강(SUS) 등을 들 수 있다.
(10)
제2의 스텝(ST2)과 제3의 스텝(ST3)은 순서가 거꾸로 되어도 된다. 즉, 제2 접착제를 케이싱(2) 및 캡(3) 중 적어도 한쪽에 도포한 후에, 제1 접착제를 케이싱(2) 및 캡(3) 중 적어도 한쪽에 도포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과 캡의 접착 방법이 다른 4종류의 모듈 케이스를 준비하여,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로 했다. 실험 1에서는 각각의 모듈 케이스에 공통의 중공사막 다발을 수용하여, 포팅 처리를 실시하여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따른 모듈을 제작한 후, 유동액을 각각의 모듈에 통과시켜, 모듈 케이스의 내구성을 평가했다. 실험 2에서는 각각의 모듈 케이스의 내압 실험을 실시했다.
케이싱 및 캡의 구성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서 공통으로 했다. 케이싱의 내경은 16.5mm, 외경은 20mm, 길이는 250mm였다(도 9a 및 도 9b 참조). 캡의 제1 단부의 내경은 20mm이고, 제1 단부의 내측 둘레면의 축 방향의 길이는 15mm였다(도 9a 및 도 9b 참조). 케이싱 및 캡은 모두 폴리아미드 6(유니티카가부시끼가이샤제 A1030BRT, 상대 점도 3.53)으로 성형되었다. 케이싱은 압출 성형으로 성형되고, 캡은 사출 성형으로 성형되었다. 케이싱 및 캡을 구성하는 재료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에 대한 중량 변화율 및 톨루엔에 대한 중량 변화율이 10질량% 이하였다. 또한, 케이싱의 전광선 투과율은 74%였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제1 접착제로서,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에폭시수지계 접착제(미쓰비시케미컬가부시키가이샤제, 주제: JER604, 경화제: 방향족 폴리아민계 경화제, 에보닉가부시키가이샤제, 안카마인(ANCAMINE) LV)를 사용했다. 제1 접착제의 경화 후의 경도는, JIS K6253-3:2012에서 규정되는 듀로미터 경도가 A90 이상이었다. 또한, 당해 제1 접착제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에 대한 중량 변화율 및 톨루엔에 대한 중량 변화율이 10질량%이하였다.
(1)
실시예 1에서는 제2 접착제로서, 난접착 재질용의 접착제(세메다인가부시키가이샤제 EP001K, 경화제를 실리콘 변성 폴리머로 한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했다. 당해 제2 접착제의 경화 후의 경도는, JIS K6253-3:2012에서 규정되는 듀로미터 경도가, A72였다. 실시예 1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의 제1 단부의 내측 둘레면에 부분적으로 제1 접착제를 도포하고, 케이싱의 외측 둘레면에 부분적으로 제2 접착제를 도포했다. 폭(W1) 및 폭(W2)은 각각 6mm로 했다. 제1 접착제 및 제2 접착제를 각각 도포한 후, 액 흐름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이러한 접착제가 경화된 상태에서, 케이싱에 캡을 장착하여, 양자를 접착시켰다.
(2)
실시예 2에서는 제2 접착제로서, 난접착 재질용의 변성 실리콘계 접착제(쓰리본드(Three Bond)가부시키가이샤제 Three Bond TB1533F)를 사용했다. 당해 제2 접착제의 경화 후의 경도는, JIS K6253-3:2012에서 규정되는 듀로미터 경도가, A25였다. 실시예 2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의 제1 단부의 내측 둘레면에 부분적으로 제1 접착제를 도포하고, 케이싱의 외측 둘레면에 부분적으로 제2 접착제를 도포했다. 폭(W1) 및 폭(W2)은 각각 6mm로 했다. 제1 접착제 및 제2 접착제를 각각 도포한 후, 액 흐름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이러한 접착제가 경화된 상태에서, 케이싱에 캡을 장착하여, 양자를 접착시켰다.
(3)
비교예 1에서는 제2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제1 접착제를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게 도포하고, 또한 실시예 1 및 2에 있어서 제2 접착제를 도포한 부분에도 제1 접착제를 도포했다. 즉,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의 내측 둘레면 뿐만 아니라 케이싱의 외측 둘레면에도 제1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 접착제의 층(L4)이 형성되도록 했다. 폭(W1) 및 층(L4)의 폭(W3)은 모두 6mm로 했다. 단, 도 9a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접착제의 두께가 과장해서 나타내어져 있다. 제1 접착제를 캡 및 케이싱에 도포한 후, 액 흐름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제1 접착제가 경화된 상태에서, 케이싱에 캡을 장착하여, 양자를 접착시켰다.
(4)
비교예 2에서는 제1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제2 접착제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도포하고, 실시예 1 및 2에 있어서 제1 접착제를 도포한 부분에도 당해 제2 접착제를 도포했다. 즉,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의 외측 둘레면 뿐만 아니라 캡의 내측 둘레면에도 당해 제2 접착제를 도포하여, 당해 제2 접착제의 층(L5)이 형성되도록 했다. 폭(W2) 및 층(L5)의 폭(W4)은 모두 6mm로 했다. 단, 도 9b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2 접착제의 두께가 과장해서 나타내어져 있다. 제2 접착제를 캡 및 케이싱에 도포한 후, 액 흐름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제2 접착제가 경화된 상태에서, 케이싱에 캡을 장착하여, 양자를 접착시켰다.
(실험 1)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각각의 모듈 케이스에, 폴리아미드 6제의 중공사막을 200개씩 수용했다. 중공사막의 내경은 500μm, 외경은 800μm, 길이는 300mm이고, 분획 분자량(Mw)은 10000 정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에 대한 중량 변화율 및 톨루엔에 대한 중량 변화율이 10질량% 이하였다. 중공사막이 수용된 모듈 케이스를, 상기 실시 형태의 원심 포팅법으로 포팅했다. 포팅제로서 사용한 것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제1 접착제와 마찬가지로,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에폭시수지계 접착제(미쓰비시케미컬가부시키가이샤제, 주제: JER604, 경화제: 방향족 폴리아민계 경화제, 에보닉가부시키가이샤제, 안카마인(ANCAMINE) LV)였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따른 모듈을 각각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장치(6)에 세팅하여, 미리 70℃의 열풍을 순환시켜 가온된 하우징(60) 내에서 모듈을 30분 회전시켰다. 그 후, 모듈을 하우징(60) 내에서 꺼내, 모듈 양단으로부터 연출(延出)되는 중공사막 다발의 포팅부분을 잘라 내고, 중공사막의 관통 구멍을 외부와 연통시켰다. 그 후, 모듈을 8시간 가온 건조시켰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각각의 모듈을 도 10에 나타내는 내압식 분리 처리 라인에 접속시켜, 송액 순환 펌프(70)로 연속해서 모듈에 유동액을 투과시켜, 소정 시간에 있어서의 모듈의 투수량의 변화를 관찰했다. 각각의 모듈에 있어서, 1차측 압력계(71)에 접속된 통로(S2)를 1차측 포트로 하여, 통로(S1) 및 2차측 압력계(72)에 접속된 통로(S2)를 2차측 포트로 하여, 1차측 압력계(71)의 압력과 2차측 압력계(72)의 압력을 압력 조정 밸브(74)로 조절했다. 모듈 내를 투과하는 액 중, 중공사막의 세공을 투과한 것은, 유동액으로부터 분리된 투과액으로서 통로(S1)를 통해 유출되고, 나머지는 2차측의 통로(S2)를 통해 재차 분리 처리 라인에 순환되었다. 표 1에 나타내는 각각의 소정 시간 경과 후에, 통로(S1)를 통해 유출된 투과액을 받침 접시(73)로 회수하여, 그 질량을 측정하여 투과액 질량(W(kg))으로 하여, 이하의 식에 의해 시간 당의 투과액량(kg/(m2·bar·h))을 산출했다.
투과액량(kg/(m2·bar·h))=W/(A×p×T)
단, 식 중, A(m2)는 중공사막 다발의 유효 여과 면적, p(bar)는 1차측 압력계(71)의 값(bar)과 2차측 압력계(72)의 값(bar)과의 산술 평균값, T(h)는 분리 처리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나타낸다.
유동액은 1% 초산셀룰로오스(Mw12000) 초산에틸 용액이며, p는 3bar로 했다.
(실험 1의 결과)
결과는 표 1와 같이 되었다. 단, 표 1 중의 "I" "II" "-"은 각각 이하의 것을 나타낸다.
I: 투과액량은 전회(前回)와 변화하고 있지 않거나, 대체로 변화하지 않았다.
II: 투과액량에 전회와 큰 변화가 있었다.
-: 측정 불능하게 되었다.
Figure pct00001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모듈은 일주일 경과 후에도 투과액량이 안정되어 있으며, 3bar의 압력하, 장기적인 사용에 견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비교예 1에 따른 모듈은 1주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투과액량이 크게 변화했다. 1개월이 경과한 시점에서는 케이싱과 캡과의 접착이 떨어져, 리크로 인해 투과액량이 측정 불능하게 되었다.
(3)
비교예 2에 따른 모듈에서는 3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투과액량이 크게 변화했다. 1주일이 경과한 시점에서는 접착제가 유동액의 영향을 받아, 리크로 인해 투과액량이 측정 불능하게 되었다.
(실험 2)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각각의 모듈 케이스를 도 10에 나타내는 내압식 분리 처리 라인에 접속시켜, 송액 순환 펌프(70)로 연속해서 모듈 케이스에 순수를 투과시켰다. 모듈 케이스 내에 순수가 충만한 후 2개의 통로(S1)를 봉지하여, 표 2에 나타내는 각각의 소정 압력(bar)에 있어서의 모듈 케이스의 내성을 관찰했다. 각각의 모듈 케이스에 있어서, 1차측 압력계(71)와 2차측 압력계(72)의 압력을 압력 조정 밸브(74)로 컨트롤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1시간 유지시켰을 때에, 케이싱과 캡과의 접착 부분에서의 누수의 유무를 확인했다. 1시간 사이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은 압력 중, 최대의 압력을 모듈 케이스가 견딜 수 있는 압력으로서 평가했다. 또한, 소정의 압력(bar)은, 1차측 압력계(71)의 값과 2차측 압력계(72)의 값과의 산술 평균값으로 했다.
결과는 표 2와 같이 되었다. 단, 표 2 중의 "I" "II" "-"은 각각 이하의 것을 나타낸다.
I: 접착 부분의 누수는 발생하고 있지 않았다.
II: 접착 부분에 누수가 발생했다.
-: 소정의 압력을 유지시키는 것이 불능하게 되었다.
Figure pct00002
(1)
실시예 1에 따른 모듈 케이스는 20bar의 압력하에서의 사용을 견디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2bar에서는 케이싱과 캡과의 접착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했다.
(2)
실시예 2에 따른 모듈 케이스는, 22bar의 압력하에서의 사용을 견디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비교예 1에 따른 모듈 케이스는 15bar의 압력하에서 케이싱과 캡과의 접착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했다. 20bar에서는 케이싱과 캡과의 접착이 떨어져, 소정의 압력을 유지시키는 것이 불능하게 되었다.
(4)
비교예 2에 따른 모듈 케이스는, 22bar의 압력하에서의 사용을 견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용제의 영향을 받지 않는 조건하에서는 제2 접착제의 난접착성 재질에 대한 접착력이 강하고, 압력을 견디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실험 2의 결과에서, 실시예 1 및 2에 따른 모듈 케이스에서는, 제1 접착제의 접착 강도가 제2 접착제에 의해 보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필터 모듈
2 케이싱
3 캡
4 필터(중공사막 다발)
5 포팅제
20 외측 둘레면
21 내측 둘레면
30 제1 단부
31 제2 단부
L1 제1층
L2 제2층
L3 제3층
S1 통로
S2 통로

Claims (13)

  1.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통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외를 연통시켜 상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를 획정하는 내벽면과, 상기 통로 내에 상기 케이싱의 단부를 받아들여 상기 케이싱의 단부에 접착 고정되는 제1 단부를 갖는 대략 통상의 캡과,
    상기 축 방향 끝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케이싱의 단부의 외측 둘레면 및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내벽면에 대면하는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상기 축 방향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케이싱의 단부의 외측 둘레면 및 상기 제1 단부의 상기 내벽면에 대면하는 제2층,
    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 및 상기 캡은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제1층은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제1 접착제로 형성되며,
    상기 제2층은 난접착성 재료에 대한 친화성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제1 접착제와 비교하여 탄성이 높은 제2 접착제로 형성되어 있는,
    필터 모듈 케이스.
  2.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통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외를 연통시켜 상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를 획정하는 내벽면과, 상기 케이싱의 단부에 받아들여져 상기 케이싱의 단부에 접착 고정되는 제1 단부를 갖는 대략 통상의 캡과,
    상기 축 방향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케이싱의 단부의 내측 둘레면 및 상기 제1 단부의 외측 둘레면에 대면하는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상기 축 방향 끝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케이싱의 단부의 내측 둘레면 및 상기 제1 단부의 외측 둘레면에 대면하는 제2층
    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 및 상기 캡은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제1층은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제1 접착제로 형성되며,
    상기 제2층은 난접착성 재료에 대한 친화성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제1 접착제와 비교하여 탄성이 높은 제2 접착제로 형성되어 있는,
    필터 모듈 케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및 상기 캡을 구성하는 재료는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페닐술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및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하는,
    필터 모듈 케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외부에서 내부를 시인(視認)할 수 있을 정도의 투명도를 갖는,
    필터 모듈 케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는 폴리아미드계 접착제, 폴리에틸렌계 접착제,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 페놀수지계 접착제, 폴리이미드계 접착제, 폴리우레아수지계 접착제, 에폭시수지계 접착제 및 실리콘수지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하는,
    필터 모듈 케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제는 실리콘계 접착제, 변성 실리콘계 접착제, 아크릴·변성 실리콘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초산비닐계 접착제, 에폭시·변성 실리콘 접착제 및 스티렌부탄디엔고무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군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되는,
    필터 모듈 케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터 모듈 케이스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 및 상기 캡의 상기 내벽면으로 획정되는 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는 필터
    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는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필터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그 길이 방향과 상기 케이싱의 축 방향이 일치하도록 상기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중공사막 다발이며,
    상기 캡은 상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에 있는 제2 단부를 더 가지며,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통로의 단부 개구를 규정하며,
    상기 중공사막 다발을 구성하는 개개의 중공사막의 길이 방향의 관통 구멍은 상기 단부 개구를 통해 외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는,
    필터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개의 중공사막의 단부와, 상기 제2 단부의 상기 내벽면과의 극간을 채우는 동시에, 상기 중공사막 다발의 끝면과 상기 제2 단부의 끝면이 대체로 일치하도록 상기 중공사막 다발을 상기 캡에 대해 고정시키는 포팅제와,
    상기 포팅제 및 상기 제2 단부의 상기 내벽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3층
    을 더 구비하며,
    상기 포팅제는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며,
    상기 제3층은 난접착성 재료에 대한 친화성을 갖는 동시에, 상기 포팅제와 비교하여 탄성이 높은 제3 접착제로 형성되는,
    필터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의 상기 내벽면 중, 상기 포팅제와 맞닿는 개소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필터 모듈.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포팅제는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페놀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우레아수지, 에폭시수지 및 실리콘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하는,
    필터 모듈.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착제는 실리콘계 접착제, 변성 실리콘계 접착제, 아크릴·변성 실리콘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초산비닐계 접착제, 에폭시·변성 실리콘 접착제 및 스티렌부탄디엔고무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군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되는,
    필터 모듈.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은 폴리아미드제인,
    필터 모듈.
KR1020227005735A 2019-10-31 2020-10-02 필터 모듈 케이스 KR202200896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98181 2019-10-31
JP2019198181 2019-10-31
PCT/JP2020/037652 WO2021085037A1 (ja) 2019-10-31 2020-10-02 フィルタモジュールケー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691A true KR20220089691A (ko) 2022-06-28

Family

ID=75715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735A KR20220089691A (ko) 2019-10-31 2020-10-02 필터 모듈 케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87935A1 (ko)
EP (1) EP4052780A1 (ko)
JP (1) JP6955301B2 (ko)
KR (1) KR20220089691A (ko)
CN (1) CN114269457A (ko)
TW (1) TW202124033A (ko)
WO (1) WO20210850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40207A (zh) * 2021-09-29 2024-04-26 尤尼吉可株式会社 分离膜组件用灌封剂和分离膜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2112A (ja) 2008-02-28 2009-09-10 Mitsubishi Rayon Eng Co Ltd 中空糸膜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7308A (ja) * 1984-12-28 1986-07-17 Daicel Chem Ind Ltd 中空糸型膜モジユ−ル
JPH0630202Y2 (ja) * 1989-10-18 1994-08-17 日機装株式会社 中空糸型血液浄化装置
JP3305768B2 (ja) * 1992-08-21 2002-07-24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50056B1 (ko) * 2008-06-04 2013-04-03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막 외주가 피복된 중공사막 모듈
HUE040459T2 (hu) * 2009-06-05 2019-03-28 Kolon Inc Üreges szálmembrán-modul modulfoglalattal
JPWO2013146080A1 (ja) * 2012-03-30 2015-12-10 東レ株式会社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473211B (zh) * 2013-09-30 2019-04-05 东丽株式会社 筒式中空纤维膜组件及筒式中空纤维膜组件的制造方法
JP6543693B2 (ja) * 2016-01-29 2019-07-10 東レ株式会社 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EP3437723A4 (en) * 2016-03-31 2019-04-17 Asahi Kasei Medical Co., Lt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JP6152193B2 (ja) 2016-05-13 2017-06-21 ユニチカ株式会社 有機溶剤耐性を有するポリアミド限外濾過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013885A (ja) * 2017-07-07 2019-01-31 旭化成株式会社 分離膜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2112A (ja) 2008-02-28 2009-09-10 Mitsubishi Rayon Eng Co Ltd 中空糸膜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085037A1 (ja) 2021-11-25
US20220387935A1 (en) 2022-12-08
TW202124033A (zh) 2021-07-01
JP6955301B2 (ja) 2021-10-27
CN114269457A (zh) 2022-04-01
WO2021085037A1 (ja) 2021-05-06
EP4052780A1 (en) 202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09726B (zh) 分离膜元件、分离膜组件以及制造分离膜元件的方法
KR20160061988A (ko) 카트리지식 중공사막 모듈 및 카트리지식 중공사막 모듈의 제조 방법
JP2008030023A (ja) 膜接触器
JPH09290138A (ja) 中空糸型分離膜モジュール
IL263895B2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epoxy resin used in a hollow fiber membrane and method for production
KR20220089691A (ko) 필터 모듈 케이스
JP2015150545A (ja) スパイラル型流体分離素子
CN110290856B (zh) 中空纤维膜组件及过滤方法
JP6624285B2 (ja) 流体分離素子およびテレスコープ防止板
JP2007167806A (ja) 膜モジュール
WO2023054205A1 (ja) 分離膜モジュール用ポッティング剤及び分離膜モジュール
JPH11300173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H0557152A (ja) 膜分離モジユ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17876B1 (ko) 필터 모듈
WO2021230112A1 (ja) カートリッジ式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6737412B1 (ja) 流体分離素子
US11958017B2 (en) Hollow fibre membrane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ollow fibre membrane module
KR20130118931A (ko) 스파이럴형 분리막 엘리먼트
JP3335520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US20220355252A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15024376A (ja) スパイラル型分離膜流体分離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5385523B2 (ja) 分離膜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0247024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H08323157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製造方法およびそのモジュール
JP2017177021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