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2014A -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용의 잔존 형틀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용의 잔존 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2014A
KR20210072014A KR1020217012481A KR20217012481A KR20210072014A KR 20210072014 A KR20210072014 A KR 20210072014A KR 1020217012481 A KR1020217012481 A KR 1020217012481A KR 20217012481 A KR20217012481 A KR 20217012481A KR 20210072014 A KR20210072014 A KR 20210072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late
side wall
concret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이치로 다카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Publication of KR2021007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Foundation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측벽 (11) 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잔존 형틀 (13) 은, 측벽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측 형틀 (14) 과, 측벽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측 형틀 (16) 과, 내측 형틀과 외측 형틀의 사이에 배치 형성되고 또한 외측 형틀 또는 외측 형틀 및 내측 형틀을 유지하는 복수의 세로 철근 (17) 을 구비한다. 외측 형틀 및 내측 형틀은, 플라스틱에 의해 정방형 판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종횡으로 밀착하여 나열된 복수의 기판 (18) 과, 기판과 대략 동일 크기의 정방형 판상으로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고 이웃하는 4 매의 기판을 결합하고 또한 종횡으로 밀착하여 나열된 복수의 중앙부 보강판 (19) 과, 플라스틱에 의해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되고 종횡으로 밀착하여 나열된 복수의 중앙부 보강판의 외주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또한 이웃하는 기판을 결합하여 사각 프레임상으로 나열된 복수의 단부 보강판 (21) 을 갖는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용의 잔존 형틀
본 발명은, 건물의 기초 부분이나 지하 부분을 지탱하는 콘크리트제 지중보나, 빗물 등을 저류하는 저류조의 콘크리트제 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형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보나 측벽의 표면에 잔존하는 잔존 형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국제 출원은, 2018년 10월 9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제190711호 (일본 특허출원 2018-190711) 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일본 특허출원 2018-190711 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 출원에 원용한다.
종래, 지중 (地中) 에 파인 구멍의 저부에 부설된 콘크리트제 저반 (底盤) 과, 이 저반 상에 형성되고 상기 구멍 내에 수용된 저류 복합체와, 저반 상에 저류 복합체를 둘러싸서 형성된 콘크리트제 사각 통상 (筒狀) 의 측벽과, 이 측벽을 사각 프레임상으로 형성하기 위한 측벽 형성 부재를 구비한 저류조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청구항 1, 청구항 5, 단락 [0019], [0023], 도 1, 도 3 ∼ 도 5) 참조.). 이 저류조에서는, 저류 복합체가, 하면에 적어도 1 개의 원통 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또한 상면에 적어도 1 개의 원통 리브가 돌출 형성된 정방형 판상의 복수의 칸막이판과, 이 칸막이판의 하면 또는 상면의 어느 일방 또는 쌍방에 원통 리브에 끼워 맞춰 접속되는 통상의 스페이서와, 저류 복합체의 가장 외측에 칸막이판 및 스페이서를 연직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함으로써 형성된 최외층부를 갖는다. 또, 측벽 형성 부재가, 최외층부를 구성하고 또한 연직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배치 형성된 복수 단 (段) 의 칸막이판 사이의 각 단마다 최외층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페이서 중 최외층부의 외면을 형성하는 부분에 접촉하도록 복수의 제 1 판재를 배치 형성함으로써 사각 통상으로 형성된 복수 단의 내측 형틀과, 최외층부를 구성하고 연직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배치 형성된 복수 단의 칸막이판에 복수의 제 1 판재보다 외방에 위치하도록 삽입 통과된 복수의 세로 철근과, 최외층부를 구성하고 연직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배치 형성된 복수 단의 칸막이판보다 외방에 배치 형성된 복수의 제 2 판재를 복수의 세퍼레이터에 의해 세로 철근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유지함으로써 사각 통상으로 형성된 단일 단의 외측 형틀을 갖는다. 또한, 제 1 판재가 플라스틱 골판지재이며, 제 2 판재가 라스(lath)망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저류조에서는, 내측 형틀과 외측 형틀의 사이에 생콘크리트를 흘려 넣어 경화시킴으로써, 측벽을 저반의 상면에 형성할 수 있어, 저류 복합체의 구축 작업과, 측벽 형성 부재의 구축 작업 및 측벽 형성 작업을 거의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콘크리트제 측벽을 비교적 간편한 방법으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어도, 비교적 단시간에 형성할 수 있다. 또, 저류조의 외주면에 토압 중 비교적 큰 수평 방향의 분압이 작용해도, 구조적으로 강고한 콘크리트제 측벽이 상기 분압을 받으므로, 저류 복합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제 측벽이 저류조 내의 저류 복합체에 의해 지지되므로, 측벽의 두께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판재로서 비교적 경량이고 비교적 강도가 높은 플라스틱 골판지재를 사용하고, 제 2 판재로서 비교적 경량이고 비교적 강도가 높은 라스망을 사용하였으므로, 제 1 판재 및 제 2 판재의 반송 및 설치를 비교적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국제 공개공보 WO2017/073546호
상기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저류조에서는, 라스망이 변형하기 쉽고 자립성이 없기 때문에, 이 라스망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세퍼레이터로 유지하는 데에 많은 공정수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저류조에서는, 이 저류조를 모두 지상에 설치하거나, 혹은 저류조의 하부를 지하에 매설하고 또한 상부를 지상에 노출시키면, 저류조의 외주면의 외양을 손상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벽돌을 쌓아 외측 형틀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이 방법에서는, 쌓아 올린 벽돌이 세퍼레이터에 의해 지탱되어 있지 않고 자립 구조이기 때문에, 생콘크리트를 내측 형틀 및 외측 형틀 사이에 한 번에 대량으로 흘려 넣으면, 벽돌제 외측 형틀이 무너져 버린다. 이 때문에, 생콘크리트를 내측 형틀 및 외측 형틀 사이에 조금 흘려 넣어 경화시키고 다시 조금 흘려 넣어 경화시킨다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자립성을 갖고 또한 강고한 외측 형틀 또는 외측 형틀 및 내측 형틀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용의 잔존 형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저류조를 모두 지상에 설치하거나 혹은 저류조의 하부를 지중에 매몰시키고 또한 상부를 지상에 돌출하도록 설치하는 경우, 저류조의 외면의 외양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용의 잔존 형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외측 형틀 또는 외측 형틀 및 내측 형틀을 구성하는 기판, 중앙부 보강판 및 단부 (端部) 보강판 등을 용이하게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용의 잔존 형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외측 형틀 또는 외측 형틀 및 내측 형틀을 매우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생콘크리트를 내측 형틀 및 외측 형틀 사이에 한 번에 흘려 넣어도, 외측 형틀 및 내측 형틀의 변형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용의 잔존 형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은, 도 1 ∼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중에 파인 구멍의 저부 또는 지상에 부설된 콘크리트제 저반 (12) 상에 세워져 형성되는 콘크리트제 측벽 (11) 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서 형성되고 또한 측벽 (11) 의 표면에 잔존하는 잔존 형틀 (13) 로서, 측벽 (11) 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측 형틀 (14) 과, 측벽 (11) 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측 형틀 (16) 과, 내측 형틀 (14) 과 외측 형틀 (16) 의 사이에 배치 형성되고 또한 외측 형틀 또는 외측 형틀 (16) 및 내측 형틀 (14) 을 유지하는 복수의 세로 철근 (17) 을 구비하고, 외측 형틀 또는 외측 형틀 (16) 및 내측 형틀 (14) 이, 플라스틱에 의해 정방형 판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종횡으로 밀착하여 나열된 복수의 기판 (18) 과, 기판 (18) 과 대략 동일 크기의 정방형 판상으로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고 이웃하는 4 매의 기판 (18) 을 결합하고 또한 종횡으로 밀착하여 나열된 복수의 중앙부 보강판 (19) 과, 플라스틱에 의해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되고 종횡으로 밀착하여 나열된 복수의 중앙부 보강판 (19) 의 외주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또한 이웃하는 기판 (18) 을 결합하여 사각 프레임상으로 나열된 복수의 단부 보강판 (21)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은, 제 1 관점에 기초하는 발명으로서, 또한 도 3(b)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중앙부 보강판 (19) 의 표면에 플라스틱제 화장판 (34) 이 각각 부착되고, 이 화장판 (34) 의 표면에 모양 (34b) 이 돌출 형성 또는 오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은, 제 1 또는 제 2 관점에 기초하는 발명으로서, 또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 (11) 이, 건물을 지탱하기 위해서 지중에 매설되고 또한 저반 (12) 상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제 지중보이고, 이 지중보 (11) 의 외면이 상기 외측 형틀 (16) 에 의해 형성되고, 지중보 (11) 의 내면이 상기 내측 형틀 (14) 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은, 제 1 또는 제 2 관점에 기초하는 발명으로서, 또한 도 10 ∼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 (51) 이, 저류조 (50) 를 형성하기 위해서 저반 (52) 상에 직방체상의 저류 복합체 (55) 를 둘러싸서 형성되는 콘크리트제 사각 통상의 측벽이며, 이 측벽 (51) 의 외면이 상기 외측 형틀 (16) 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의 잔존 형틀에서는, 기판, 중앙부 보강판 및 단부 보강판을 종횡으로 결합함으로써 외측 형틀 또는 외측 형틀 및 내측 형틀을 형성하고, 내측 형틀과 외측 형틀의 사이에 복수의 세로 철근을 배치 형성하고, 이들 세로 철근에 의해 외측 형틀 또는 외측 형틀 및 내측 형틀을 유지하므로, 자립성을 갖고 또한 강고한 외측 형틀 또는 외측 형틀 및 내측 형틀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 결과, 내측 형틀 및 외측 형틀 사이에 생콘크리트를 한 번에 대량으로 흘려 넣어도, 외측 형틀 또는 외측 형틀 및 내측 형틀이 변형되지 않아, 소정 형상의 콘크리트제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 기판, 중앙부 보강판 및 단부 보강판을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하였으므로, 외측 형틀 또는 외측 형틀 및 내측 형틀을 구성하는 기판, 중앙부 보강판 및 단부 보강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기판, 중앙부 보강판 및 단부 보강판을 형성하면, 외측 형틀 또는 외측 형틀 및 내측 형틀을 구성하는 기판, 중앙부 보강판 및 단부 보강판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의 잔존 형틀에서는, 복수의 중앙부 보강판의 표면에 플라스틱제 화장판을 각각 부착하고, 이 화장판의 표면에 모양을 돌출 형성 또는 오목 형성하였으므로, 측벽을 지상에 형성했을 때에, 표면에 모양이 돌출 형성 또는 오목 형성된 화장판이 노출된다. 이 결과, 측벽의 표면의 외양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의 잔존 형틀에서는, 측벽이, 건물을 지탱하기 위해서 지중에 매설되고 또한 저반 상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제 지중보이고, 이 지중보의 외면을 외측 형틀에 의해 형성하고, 지중보의 내면을 내측 형틀에 의해 형성하였으므로, 기판, 중앙부 보강판 및 단부 보강판을 종횡으로 결합함으로써 외측 형틀 및 내측 형틀을 형성하고, 내측 형틀과 외측 형틀의 사이에 복수의 세로 철근을 배치 형성하고, 이들 세로 철근에 의해 외측 형틀 및 내측 형틀을 유지한다. 이 결과, 자립성을 갖고 또한 강고한 외측 형틀 및 내측 형틀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 내측 형틀 및 외측 형틀 사이에 생콘크리트를 한 번에 대량으로 흘려 넣어도, 외측 형틀 및 내측 형틀이 변형되지 않아, 소정 형상의 콘크리트제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의 잔존 형틀에서는, 측벽이, 저류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저반 상에 직방체상의 저류 복합체를 둘러싸서 형성되는 콘크리트제 사각 통상의 측벽이고, 이 측벽의 외면을 외측 형틀에 의해 형성하였으므로, 기판, 중앙부 보강판 및 단부 보강판을 종횡으로 결합함으로써 외측 형틀을 형성하고, 내측 형틀과 외측 형틀의 사이에 복수의 세로 철근을 배치 형성하고, 이들 세로 철근에 의해 외측 형틀을 유지한다. 이 결과, 자립성을 갖고 또한 강고한 외측 형틀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내측 형틀은, 저반 상에 조립된 저류 복합체의 외주면에 조립된다. 또, 외측 형틀로서 라스망이나 벽돌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외측 형틀의 조립 작업을 대폭 단축할 수 있음과 함께, 내측 형틀 및 외측 형틀 사이에 생콘크리트를 한 번에 대량으로 흘려 넣어도, 외측 형틀이 변형되지 않아, 소정 형상의 콘크리트제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저류조를 모두 지상에 설치하거나 혹은 저류조의 하부를 지중에 매몰시키고 또한 상부를 지상에 돌출하도록 설치하는 경우, 지상에 돌출하는 외측 형틀의 중앙부 보강판의 표면에 화장판을 부착하면, 저류조의 표면의 외양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 제 1 실시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용의 잔존 형틀을 사용하여 지중보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a) 는 잔존 형틀의 외측 형틀 또는 내측 형틀의 기판의 기본적인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b) 는 이웃하는 기판을 중앙부 보강판에 의해 결합하는 기본적인 순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a) 는 이웃하는 기판을 결합한 중앙부 보강판의 외주 가장자리에 단부 보강판을 위치시키고 또한 단부 보강판에 의해 이웃하는 기판을 결합하는 기본적인 순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b) 는 중앙부 보강판의 표면에 화장판을 부착하는 기본적인 순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 는, 기판, 중앙부 보강판 및 단부 보강판을 사용하여 지중보의 외측 형틀 또는 내측 형틀을 조립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 는, 외측 형틀끼리가 직교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외측 형틀끼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 횡단면도이다.
도 6(a) 는 기판을 표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b) 는 기판을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a) 는 중앙부 보강판을 표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b) 는 중앙부 보강판을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a) 는 단부 보강판을 표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b) 는 단부 보강판을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a) 는 화장판을 표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b) 는 화장판을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 제 2 실시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용의 잔존 형틀을 사용하여 지중에 매설된 저류조의 측벽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13 의 A 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13 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12 는, 기판, 중앙부 보강판 및 단부 보강판을 사용하여 저류조의 외측 형틀을 조립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 은, 그 저류조를 포함하는 저류 설비의 종단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 제 3 실시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용의 잔존 형틀을 사용하여 하부를 지중에 매몰시키고 또한 상부를 지상에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저류조의 상반분의 측벽에 화장판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벽 형틀의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콘크리트제 측벽 (11) 은, 건물의 기초 부분이나 지하 부분을 지탱하는 콘크리트제 지중보이고, 이 지중보 (11) 는, 지중에 파인 구멍의 저부에 부설된 콘크리트제 사각 판상의 저반 (12) 상에 사각 프레임상으로 세워져 형성된다. 상기 지중보 (11) 는, 이 지중보 (11) 의 표면, 즉 지중보 (11) 의 외면 및 내면에 잔존하는 잔존 형틀 (13) 에 의해 형성된다. 이 잔존 형틀 (13) 은, 지중보 (11) 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측 형틀 (14) 과, 지중보 (11) 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측 형틀 (16) 과, 내측 형틀 (14) 과 외측 형틀 (16) 의 사이에 배치 형성되고 또한 외측 형틀 (16) 및 내측 형틀 (14) 을 유지하는 복수의 세로 철근 (17) 을 구비한다.
상기 외측 형틀 (16) 과 내측 형틀 (14) 은, 동일 부품에 의해 면대칭으로 형성된다 (도 1). 외측 형틀 (16) 및 내측 형틀 (14) 은, 플라스틱에 의해 정방형 판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종횡으로 밀착하여 나열된 복수의 기판 (18) 과, 기판 (18) 과 대략 동일 크기의 정방형 판상으로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고 이웃하는 4 매의 기판 (18) 을 결합하고 또한 종횡으로 밀착하여 나열된 복수의 중앙부 보강판 (19) 과, 플라스틱에 의해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되고 종횡으로 밀착하여 나열된 복수의 중앙부 보강판 (19) 의 외주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또한 이웃하는 기판 (18) 을 결합하여 사각 프레임상으로 나열된 복수의 단부 보강판 (21) 을 각각 갖는다 (도 1 ∼ 도 4). 기판 (18), 중앙부 보강판 (19) 및 단부 보강판 (21) 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염화비닐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다.
기판 (18) 은, 한 변이 20 ㎝ ∼ 80 ㎝ 이고 또한 두께가 4 ㎝ ∼ 8 ㎝ 인 정방형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판 (18) 은, 정방형 판상으로 형성된 기판 본체 (18a) 와, 이 기판 본체 (18a) 를 4 개의 정방형 판상으로 구획했을 때에 이들 구획된 정방형 판의 대략 중앙에 각각 형성된 4 개의 기판 결합공 (18b) 과, 기판 본체 (18a) 의 양면 중 중앙부 보강판 (19) 또는 단부 보강판 (21) 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4 개의 기판 결합공 (18b) 의 주위를 각각 둘러싸는 4 개의 원통 리브 (18c) 와, 기판 본체 (18a) 의 양면 중 중앙부 보강판 (19) 또는 단부 보강판 (21) 에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에 돌출 형성되고 또한 기판 본체 (18a) 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사각 프레임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상 돌기 (18d) 를 갖는다 (도 1 및 도 6). 또, 기판 (18) 의 외주면, 즉 프레임상 돌기 (18d) 의 외면에는, 4 개의 변의 각 변마다, 기판 (18) 의 두께 방향으로 2 열 또한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4 열의 오목부 (18e) 및 볼록부 (18f) 가 각각 번갈아 바둑판 무늬 형상 (체크 무늬 형상) 으로 형성된다 (도 6). 원통 리브 (18c) 의 높이는, 후술하는 외측 각부 (角部) 연결판 (22) (도 5) 및 내측 각부 연결판 (도시하지 않음) 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기판 (18) 이 동일 연직면 내에서 종횡으로 밀착하여 나열된다 (도 2 ∼ 도 4). 이 때 기판 (18) 의 프레임상 돌기 (18d) 의 외면에 형성된 오목부 (18e) 및 볼록부 (18f) 가, 이웃 기판 (18) 의 프레임상 돌기 (18d) 의 외면에 형성된 볼록부 (18f) 및 오목부 (18e) 에 각각 유삽 (遊揷) 및 유감 (遊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 (18) 및 상기 이웃 기판 (18) 이 이들이 접하는 면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 (18) 및 상기 이웃 기판 (18) 이 그들의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기판 (18) 의 프레임상 돌기 (18d) 의 외면에 형성된 오목부 (18e) 및 볼록부 (18f) 가, 상측 또는 하측의 기판 (18) 의 프레임상 돌기 (18d) 의 외면에 형성된 볼록부 (18f) 및 오목부 (18e) 에 각각 유삽 및 유감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기판 (18) 및 상기 상측 또는 하측의 기판 (18) 이 이들이 접하는 면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6(b) 중의 부호 18g 는, 프레임상 돌기 (18d) 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수평 보강 리브이고, 도 6(b) 중의 부호 18h 는, 프레임상 돌기 (18d) 내에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직 보강 리브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수평 보강 리브 (18g) 와, 기판 (18) 의 프레임상 돌기 (18d) 의 4 변 중 상하 2 변에는,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복수의 걸림 구멍 (18i) 이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외측 세퍼레이터 (24) 의 일단이 세로 철근 (17) 의 외측 세로 철근 (17a) 에 걸리고 또한 타단이 외측 형틀 (16) 을 형성하는 기판 (18) 의 걸림 구멍 (18i) 에 걸리고, 후술하는 내측 세퍼레이터 (26) 의 일단이 세로 철근 (17) 의 내측 세로 철근 (17b) 에 걸리고 또한 타단이 내측 형틀 (14) 을 형성하는 기판 (18) 의 걸림 구멍 (18i) 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평 보강 리브 및 연직 보강 리브에 걸림 구멍을 형성하고, 프레임상 돌기의 4 변 모두에 걸림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기판의 상하 좌우의 구별이 없어져, 기판의 시공 작업이 용이해진다.
중앙부 보강판 (19) 은, 한 변이 20 ㎝ ∼ 80 ㎝ 이고 또한 두께가 3 ㎝ ∼ 6 ㎝ 인 정방형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7). 또, 중앙부 보강판 (19) 은, 정방형 판상으로 형성된 중앙부 보강판 본체 (19a) 와, 중앙부 보강판 본체 (19a) 의 양면 중 기판 (18) 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4 개의 중앙 결합핀 (19b) 과, 중앙부 보강판 본체 (19a) 의 양면 중 기판 (18) 에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중앙에 형성된 정방형상의 화장판 수용 오목부 (19c) 를 갖는다. 또, 4 개의 중앙 결합핀 (19b) 은, 중앙부 보강판 본체 (19a) 를 4 개의 정방형 판상으로 구획했을 때에 이들 구획된 정방형 판의 대략 중앙에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종횡으로 인접하는 4 매의 기판 (18) 을 밀착하여 나열한 상태에서 (도 2), 중앙부 보강판 (19) 이 4 매의 기판 (18) 의 중앙에 위치하고 또한 4 매의 기판 (18) 의 한 귀퉁이와 겹치도록, 중앙부 보강판 (19) 의 4 개의 중앙 결합핀을 4 매의 기판의 기판 결합공 (18b) 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4 매의 기판 (18) 이 중앙부 보강판 (19) 에 의해 결합된다 (도 2(b) 및 도 3(a)). 여기서, 중앙 결합핀 (19b) 은 기판 결합공 (18b) 에 압입 (壓入) 또는 타입 (打入) 되어, 진동 등에 의해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7(b) 중의 부호 19d 는, 중앙부 보강판 본체 (19a) 의 양면 중 기판 (18) 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경량화 오목부이고, 부호 19e 는, 경량화 오목부 (19d) 내에 종횡으로 돌출 형성된 보강 리브이다. 또, 도 2(b), 도 3, 도 4 및 도 7 중의 부호 19f 는, 화장판 (34) 을 부착하기 위한 4 개의 투공 (透孔) 이다. 또한, 중앙부 보강판 (19) 의 외주면에는, 기판 (18) 의 외주면, 즉 프레임상 돌기 (18d) 의 외주면에 형성된 바둑판 무늬 형상 (체크 무늬 형상) 의 오목부 및 볼록부는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단부 보강판 (21) 은, 장변이 중앙부 보강판 (19) 의 1.5 배 길이를 갖고 단변이 중앙부 보강판 (19) 의 0.5 배 길이를 갖고 또한 두께가 중앙부 보강판 (19) 의 두께와 동일한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된다 (도 1, 도 3, 도 4 및 도 8). 또, 단부 보강판 (21) 은,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된 단부 보강판 본체 (21a) 와, 단부 보강판 본체 (21a) 의 양면 중 기판 (18) 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3 개의 단부 결합핀 (21b) 을 갖는다 (도 1, 도 5 및 도 8(b)). 또, 3 개의 단부 결합핀 (21b) 은, 단부 보강판 본체 (21a) 를 그 단변을 한 변으로 하는 정방형 판상으로 구획했을 때에 이들 구획된 정방형 판의 대략 중앙에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1 매의 중앙부 보강판 (19) 에 의해 4 매의 기판 (18) 을 결합한 상태에서, 1 매의 단부 보강판 (21) 이 1 매의 중앙부 보강판 (19) 의 외주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단부 보강판 (21) 의 3 개의 단부 결합핀 (21b) 중 2 개의 단부 결합핀 (21b) 을 1 매의 기판 (18) 의 기판 결합공 (18b) 에 각각 삽입하고 또한 나머지 1 개의 단부 결합핀 (21b) 을 이 기판 (18) 의 이웃 기판 (18) 의 기판 결합공 (18b) 에 삽입함으로써, 1 매의 단부 보강판 (21) 이 2 매의 기판 (18) 에 걸쳐 겹쳐진 상태에서 2 매의 기판 (18) 을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도 3(a)). 상기와 동일한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3 매의 단부 보강판이 1 매의 중앙부 보강판의 외주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또한 이웃하는 기판을 결합하여 사각 프레임상으로 나열된다 (도 3(b)).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단부 보강판 (21) 이, 서로 밀착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중앙부 보강판 (19) 의 외주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또한 이웃하는 기판 (18) 을 결합하여 사각 프레임상으로 나열된다. 여기서, 단부 결합핀 (21b) 은 기판 결합공 (18b) 에 압입 또는 타입되어, 진동 등에 의해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8(a) 중의 부호 21c 는, 단부 보강판 본체 (21a) 의 한 쌍의 단변 중 일방의 단변에 돌출 형성된 걸어맞춤 볼록조이고, 도 8(b) 중의 부호 21d 는, 단부 보강판 본체 (21a) 의 한 쌍의 단변 중 타방의 단변에 오목 형성된 단변측 걸어맞춤 오목조이다. 또, 도 8 중의 부호 21e 는, 단부 보강판 본체 (21a) 의 한 쌍의 장변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장변측 걸어맞춤 오목조이다. 상기 걸어맞춤 볼록조 (21c) 가 단변측 걸어맞춤 오목조 (21d) 또는 장변측 결합 오목조 (21e) 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단부 보강판 (21, 21) 끼리의 두께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8(b) 중의 부호 21f 는, 단부 보강판 본체 (21a) 의 양면 중 기판 (18) 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경량화 오목부이고, 도 8(a) 중의 부호 21g 는, 단부 보강판 본체 (21a) 의 양면 중 기판 (18) 에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경량화 오목부이다.
한편, 복수의 세로 철근 (17) 은, 외측 형틀 (16) 을 외측 세퍼레이터 (24) 에 의해 유지하고 외측 형틀 (16) 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세워져 형성된 복수의 외측 세로 철근 (17a) 과, 내측 형틀 (14) 을 내측 세퍼레이터 (26) 에 의해 유지하고 내측 형틀 (14) 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세워져 형성된 복수의 내측 세로 철근 (17b) 을 갖는다 (도 1). 외측 세퍼레이터 (24) 와 내측 세퍼레이터 (26) 는 동형동대 (同形同大) 로 형성된다. 복수의 외측 세로 철근 (17a) 과 복수의 외측 가로 철근 (27) 을 격자상으로 결속선 또는 용접으로 결합함으로써, 외측 격자 철근 (28) 이 조립되고, 복수의 내측 세로 철근 (17b) 을 복수의 내측 가로 철근 (29) 과 격자상으로 결속선 또는 용접으로 조립함으로써, 내측 격자 철근 (31) 이 조립된다. 복수의 외측 세로 철근 (17a) 과 복수의 내측 세로 철근 (17b) 의 사이, 즉 외측 격자 철근 (28) 과 격자 철근 (31) 의 사이에는, 이들 세로 철근 (28, 31) 보다 가는 복수의 철근을 세로, 가로 및 높이로 교차시켜 결속선 또는 용접으로 조립한 철근 임시 조립체 (32) 가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외측 격자 철근 (28) 을 철근 임시 조립체 (32) 의 외면에 결속선 또는 용접으로 결합하고, 복수의 내측 격자 철근 (31) 을 철근 임시 조립체 (32) 의 내면에 결속선 또는 용접으로 결합함으로써, 철근 조립체 (33) 가 제조된다. 이 철근 조립체 (33) 의 하부는, 콘크리트제 저반 (12) 에 매설된다. 또, 외측 세퍼레이터 (24) 및 내측 세퍼레이터 (26) 는, 철사 등의 금속선을 시공 현장에서 절곡하여 형성되거나, 혹은 미리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된 탄소강 등의 금속 봉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직각으로 부딪치는 외측 형틀 (16, 16) 끼리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L 자 형상의 외측 각부 연결판 (22) 에 의해 연결된다. 이 외측 각부 연결판 (22) 의 일방의 평판부 (22a) 는 일방의 외측 형틀 (16) 의 단부를 구성하는 기판 (18) 및 단부 보강판 (21) 의 사이에 삽입되고, 타방의 평판부 (22b) 는 타방의 외측 형틀 (16) 의 단부를 구성하는 기판 (18) 및 단부 보강판 (21) 의 사이에 삽입된다. 또, 서로 직각으로 부딪치는 내측 형틀 (14, 14) 끼리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L 자 형상의 내측 각부 연결판 (도시하지 않음) 에 의해 연결된다. 이 내측 각부 연결판의 일방의 평판부 (도시하지 않음) 는 일방의 내측 형틀 (14) 의 단부를 구성하는 기판 (18) 및 단부 보강판 (21) 의 사이에 삽입되고, 타방의 평판부 (도시하지 않음) 는 타방의 내측 형틀 (14) 의 단부를 구성하는 기판 (18) 및 단부 보강판 (21) 의 사이에 삽입된다. 또,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 보강판 (19) 의 표면에는, 플라스틱제 화장판 (34) 을 부착해도 된다. 화장판 (34) 은, 이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정방형 판상으로 형성된 화장판 본체 (34a) 와, 이 화장판 본체 (34a) 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고 후지산 및 태양으로 이루어지는 모양 (34b) 과, 화장판 본체 (34a) 의 이면에 돌출 형성되고 중앙부 보강판 (19) 의 4 개의 투공 (19f) 에 삽입되는 4 개의 부착핀 (34c) 을 갖는다 (도 3(b) 및 도 9). 이 화장판 (34) 은, 지중보 (11) 가 지표에 노출되는 경우에, 외측 형틀 (16) 의 중앙부 보강판 (19) 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지중보 (11) 의 외양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부착핀 (34c) 은 투공 (19f) 에 압입 또는 타입되어, 진동 등에 의해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측 각부 연결판 (22), 내측 각부 연결판 및 화장판 (34) 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염화비닐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 외측 각부 연결판 (22) 및 내측 각부 연결판의 두께는 1 ㎝ ∼ 2 ㎝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장판 (34) 의 두께는 0.4 ㎝ ∼ 1.2 ㎝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중보 (11) 의 조립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지중에 저반 (12) 보다 넓은 저부를 갖는 구멍을 파고, 이 구멍의 저부에 사각 프레임상으로 철근 조립체 (33) 를 둔다. 이어서, 상기 구멍의 저부에 생콘크리트를 흘려 넣어, 구멍의 저부에 콘크리트제 사각 판상의 저반 (12) 을 형성한다. 이 때, 철근 조립체 (33) 의 하부는 저반 (12) 중에 매설된다. 다음으로, 저반 (12) 상에서, 기판 (18), 중앙부 보강판 (19) 및 단부 보강판 (21) 을 도 1 ∼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횡으로 결합함으로써 외측 형틀 (16) 을 형성하고, 기판 (18), 중앙부 보강판 (19) 및 단부 보강판 (21) 을 도 1 ∼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횡으로 결합함으로써 내측 형틀 (14) 을 형성한다. 그리고, 외측 형틀 (16) 을 철근 조립체 (33) 의 외방에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위치시키고, 외측 세퍼레이터 (24) 의 일단을 외측 격자 철근 (28) 의 외측 가로 철근 (27) 에 걸고 또한 외측 세퍼레이터 (24) 의 타단을 외측 형틀 (16) 의 기판 (18) 의 걸림 구멍 (18i) 에 건다 (도 1). 이에 따라 외측 형틀 (16) 이 복수의 외측 세퍼레이터 (24) 및 복수의 외측 가로 철근 (27) 을 개재하여 복수의 외측 세로 철근 (17a) 에 의해 유지된다. 또, 내측 형틀 (14) 을 철근 조립체 (33) 의 내방에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위치시키고, 내측 세퍼레이터 (26) 의 일단을 내측 격자 철근 (31) 의 내측 가로 철근 (29) 에 걸고 또한 내측 세퍼레이터 (26) 의 타단을 내측 형틀 (14) 의 기판 (18) 의 걸림 구멍 (18i) 에 건다. 이에 따라 내측 형틀 (14) 이 복수의 내측 세퍼레이터 (26) 및 복수의 내측 가로 철근 (29) 을 개재하여 복수의 내측 세로 철근 (17b) 에 의해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직각으로 부딪치는 외측 형틀 (16, 16) 끼리를 외측 각부 연결판 (22) 에 의해 연결하고, 서로 직각으로 부딪치는 내측 형틀 (14, 14) 끼리를 내측 각부 연결판에 의해 연결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잔존 형틀 (13) 에서는, 라스망 및 베니어판 등을 사용하여 외측 형틀 및 내측 형틀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외측 형틀 (16) 및 내측 형틀 (14) 의 조립 작업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즉, 자립성을 갖고 또한 강고한 외측 형틀 (16) 및 내측 형틀 (14) 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내측 형틀 (14) 과 외측 형틀 (16) 의 사이에 생콘크리트를 흘려 넣어 경화시켜 지중보 (11) 를 형성한다 (도 1). 이 때, 내측 형틀 (14) 및 외측 형틀 (16) 사이에 생콘크리트를 한 번에 대량으로 흘려 넣어도, 외측 세로 철근 (17a) 이 외측 세퍼레이터 (24) 를 개재하여 외측 형틀 (16) 을 유지하고, 내측 세로 철근 (17b) 이 내측 세퍼레이터 (26) 를 개재하여 내측 형틀 (14) 을 유지하므로, 외측 형틀 (16) 및 내측 형틀 (14) 이 변형되지 않아, 소정 형상의 콘크리트제 지중보 (11) 를 형성할 수 있다. 또, 기판 (18), 중앙부 보강판 (19) 및 단부 보강판 (21) 을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하였으므로, 외측 형틀 (16) 및 내측 형틀 (14) 을 구성하는 기판 (18), 중앙부 보강판 (19) 및 단부 보강판 (21) 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기판 (18), 중앙부 보강판 (19) 및 단부 보강판 (21) 을 형성하면, 외측 형틀 (16) 및 내측 형틀 (14) 을 구성하는 기판 (18), 중앙부 보강판 (19) 및 단부 보강판 (21) 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10 ∼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0 ∼ 도 13 에 있어서, 도 1 ∼ 도 8 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 부품을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측벽 (51) 이, 저류조 (50) 를 형성하기 위해서 저반 (52) 상에 직방체상의 저류 복합체 (55) 를 둘러싸서 형성되는 콘크리트제 사각 통상의 측벽이며, 이 측벽 (51) 의 외면이 잔존 형틀 (53) 의 외측 형틀 (56) 에 의해 형성된다. 저반 (52) 은, 지중에 파인 구멍 (59) 의 저부에 부설된다. 측벽 (51) 은, 상기 외측 형틀 (56) 과 내측 형틀 (54) 과 복수의 세로 철근 (57) 을 갖는 잔존 형틀 (53) 에 의해 사각 프레임상으로 형성된다. 저류 복합체 (55) 는,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방형 판상의 복수의 칸막이판 (58) 을 수평면 내에서 나열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되는 복수 단의 수평 연결체 (61 ∼ 64) 와, 복수의 칸막이판 (58) 의 하면 또는 상면의 어느 일방 또는 쌍방에 접속되는 복수의 통상의 스페이서 (66) 와, 저류 복합체 (55) 의 가장 외측에 칸막이판 (58) 및 스페이서 (66) 를 연직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함으로써 형성된 최외층부 (67) 를 갖는다. 또, 칸막이판 (58) 의 하면에는, 적어도 1 개의 원통 리브 (58a, 58b) 가 돌출 형성되고 또한 상면에 적어도 1 개의 원통 리브 (58c, 58d) 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통상의 스페이서 (66) 는, 칸막이판 (58) 의 하면 또는 상면의 어느 일방 또는 쌍방에 원통 리브 (58a ∼ 58d) 에 끼워 맞춰 접속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칸막이판 (58) 의 하면에, 소경의 제 1 원통 리브 (58a) 와 대경의 제 2 원통 리브 (58b) 가 동심상 (同心狀) 으로 2 개 형성되고, 칸막이판 (58) 의 상면에 소경의 제 3 원통 리브 (58c) 와 대경의 제 4 원통 리브 (58d) 가 동심상으로 2 개 형성된다 (도 10). 제 1 원통 리브 (58a) 의 직경과 제 3 원통 리브 (58c) 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 2 원통 리브 (58b) 의 직경과 제 4 원통 리브 (58d) 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 칸막이판 (58) 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주축 파이프 (68) 을 삽입 통과 가능한 삽입 통과공 (58e) 이 형성된다 (도 10 및 도 11). 도 11 중의 부호 58f 는, 칸막이판 (58) 에 복수 형성되어 빗물 (70) (도 13) 이 통과 가능한 유통공이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칸막이판 (58) 의 4 개 코너부에는, 피걸어맞춤 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 피걸어맞춤 구멍에는, 정방형 판상의 제 1 결합편 (71) 의 제 1 걸어맞춤 돌기 (71a) 또는 장방형 판상의 제 2 결합편 (도시하지 않음) 의 제 2 걸어맞춤 돌기 (도시하지 않음) 가 걸어맞춤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동일 수평면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칸막이판 (58) 은, 제 1 결합편 (71) 또는 제 2 결합편에 의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동일 수평면 내에서 인접하는 4 매의 칸막이판 (58) 의 각 코너부가 제 1 결합편 (71) 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동일 수평면 내에서 최외측에 위치하여 인접하는 2 매의 칸막이판 (58) 의 각 코너부는 제 2 결합편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또, 상기 칸막이판 (58), 제 1 결합편 (71) 및 제 2 결합편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염화비닐 수지 등에 의해, 한 변이 20 ㎝ ∼ 40 ㎝ 정도의 정방형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 (66) 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칸막이판 (58) 의 대경의 제 2 원통 리브 (58b) 에 끼워 맞춰지고, 하단이 다른 칸막이판 (58) 의 대경의 제 4 원통부 (58d) 에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된다 (도 10). 또 스페이서 (66) 의 외주면에는, 빗물 (70) (도 13) 이 통과 가능한 복수의 유통공 (66a) 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 (66) 는, 칸막이판 (58) 과 동일한 재질의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칸막이판 (58) 의 외주면에는, 4 개 변의 각 변마다, 칸막이판 (58) 의 두께 방향으로 2 열 또한 칸막이판 (58) 의 길이 방향으로 4 열의 오목부 (58g) 및 볼록부 (58h) 가 각각 번갈아 바둑판 무늬 형상 (체크 무늬 형상) 으로 형성된다 (도 11). 또, 복수의 칸막이판 (58) 을 동일 수평면 내에 나열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수평 연결체 (61 ∼ 64) 가 구성된다. 이 때 칸막이판 (58) 의 오목부 (58g) 및 볼록부 (58h) 가 이웃 칸막이판 (58) 의 볼록부 (58h) 및 오목부 (58g) 에 각각 유삽 및 유감된다. 이에 따라 상기 칸막이판 (58) 및 상기 이웃 칸막이판 (58) 이 이들이 접하는 면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평 연결체 (61 ∼ 64) 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4 단 형성되고, 최하단의 제 1 수평 연결체 (61) 와, 아래로부터 2 단째의 제 2 수평 연결체 (62) 와, 아래로부터 3 단째의 제 3 수평 연결체 (63) 와, 아래로부터 4 단째 (최상단) 의 수평 연결체 (64) 로 이루어진다 (도 13). 제 1, 제 3 및 제 4 수평 연결체 (61, 63, 64) 는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고, 제 2 수평 연결체 (62) 는 사각 프레임상으로 형성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최외층부 (67) 는 저류 복합체 (55) 의 가장 외측에 형성되고, 이 최외층부 (67) 의 내측에 인접하여 내측 외층부 (69) 가 형성된다. 상기 최외층부 (67) 및 내측 외층부 (69) 는, 칸막이판 (58) 및 스페이서 (66) 를 연직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하여 구성된다. 즉, 최외층부 (67) 및 내측 외층부 (69) 는, 최하단의 제 1 수평 연결체 (61) 를 구성하는 칸막이판 (58) 과 최상단의 제 4 수평 연결체 (64) 를 구성하는 칸막이판 (58) 의 사이에 연직 방향으로 겹쳐 쌓인 칸막이판 (58) 및 스페이서 (66) 뿐만 아니라, 제 1 수평 연결체 (61) 를 구성하는 칸막이판 (58) 과 최상단의 제 4 수평 연결체 (64) 를 구성하는 칸막이판 (58) 을 포함한다. 그리고 내측 외층부 (69) 로부터 내측의 칸막이판 (58) 은 연직 방향으로 1 단 띄우고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 2 수평 연결체 (62) 는, 내측 외층부 (69) 보다 내측에 칸막이판 (58) 이 배치 형성되지 않고, 최외층부 (67) 및 내측 외층부 (69) 를 구성하는 칸막이판 (58) 만으로 이루어지는 사각 프레임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잔존 형틀 (53) 의 내측 형틀 (54) 은, 복수의 내측판 (54a) 을 배치 형성함으로써 사각 통상으로 형성되고, 외측 형틀 (56) 은, 제 1 실시형태의 외측 형틀과 동형동대로 형성된다. 또, 세로 철근 (57) 은, 최외층부 (67) 를 구성하고 또한 제 1 ∼ 제 4 수평 연결체 (61 ∼ 64) 의 각 칸막이판 (58) 에 내측 형틀 (54) 보다 외방에 위치하도록 칸막이판 (58) 에 형성된 투공 (도시하지 않음) 에 삽입 통과되는 외측 세로 철근 (57a) 을 갖는다. 또한, 외측 세퍼레이터 (24) 의 일단은 외측 세로 철근 (57a) 과 함께 외측 격자 철근 (28) 을 형성하는 외측 가로 철근 (27) 에 걸고, 타단은 외측 형틀 (56) 의 기판 (18) 의 걸림 구멍 (18i) 에 걸음으로써, 외측 형틀 (56) 은 외측 세퍼레이터 (24) 및 외측 가로 철근 (27) 을 개재하여 외측 세로 철근 (57a) 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내측 형틀 (54) 은, 최외층부 (67) 를 구성하고 또한 연직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배치 형성된 제 1 ∼ 제 4 수평 연결체 (61 ∼ 64) 의 각 단마다, 최외층부 (67) 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페이서 (66) 중 최외층부 (67) 의 외면을 형성하는 부분에 접촉하도록, 즉 최외층부 (67) 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페이서 (66) 전부를 둘러싼 상태에서 그들의 외면에 선 접촉하도록, 내측판 (54a) 을 배치 형성함으로써 사각 통상으로 형성된다 (도 10 및 도 11). 상기 내측판 (54a) 은, 비교적 경량이고 비교적 강도가 높은 폴리프로필렌제 플라스틱 골판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서로 인접하는 내측판 (54a) 은, 일부가 오버랩하여 배치 형성된다 (도 11). 여기서, 최외층부 (67) 를 구성하는 스페이서 (66) 와 함께 내측 형틀 (54) 을 받는 복수의 보조 받이 부재 (72) 가, 최외층부 (67) 를 구성하는 칸막이판 (58) 의 유통공 (58f) 에 삽입 통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조 받이 부재 (72) 는 염화비닐제 관 (管) 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내측 세로 철근, 내측 가로 철근, 내측 격자 철근, 내측 세퍼레이터, 철근 임시 조립체 및 철근 조립체는 사용되지 않지만, 종횡으로 연장되는 철근을 용접하여 형성된 격자상의 보강용 철근 (도시하지 않음) 에 의해, 저류 복합체 (55) 의 외주면과 외측 격자 철근 (28) (복수의 외측 세로 철근 (57a) 및 복수의 외측 가로 철근 (27)) 이 덮인다.
또한, 도 12 중의 부호 19g 는, 외측 형틀 (56) 의 중앙부 보강판 본체 (19) 의 양면 중 기판 (18) 에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 면의 네 귀퉁이에 각각 형성된 4 개의 절결상 오목부이다. 이들 절결상 오목부 (19g) 의 중앙에는, 보강판 연결공 (19h) 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4 매의 중앙부 보강판 (19) 을 종횡으로 밀착하여 나열했을 때에, 이들 중앙부 보강판 (19) 의 중앙에 4 개의 절결상 오목부 (19g) 가 합체하여 정방형 판상의 연결판 (도시하지 않음) 을 수용 가능한 연결판 수용 오목부 (19i) 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판의 이면에는 4 개의 보강판 연결핀 (도시하지 않음) 이 돌출 형성되고, 이들 보강판 연결핀을 4 매의 중앙부 보강판 (19) 의 보강판 연결공 (19h) 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4 매의 중앙부 보강판 (19) 이 연결된다. 여기서, 보강판 연결핀은 보강판 연결공 (19h) 에 압입 또는 타입되어, 진동 등에 의해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축 파이프 (68) 가, 최외층부 (67) 및 내측 외층부 (69) 를 구성하는 칸막이판 (58) 및 스페이서 (66) 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도 10 및 도 11). 또, 주축 파이프 (68) 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주축 파이프 (68)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긴 구멍 (68a) 이 공기 고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도 10). 또한, 주축 파이프 (68) 는, 저류조 (50) 의 저면 (底面) 으로부터 상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 10 및 도 11). 또한, 저류조가 비교적 소형으로, 비교적 작은 강도 밖에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주축 파이프를 생략해도 된다.
내측 외층부 (69) 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또한 제 1 ∼ 제 4 수평 연결체 (61 ∼ 64) 중 최하단의 제 1 수평 연결체 (61) 및 아래로부터 3 단째의 제 3 수평 연결체 (63) 를 구성하는 칸막이판 (58) 은, 스페이서 (66) 보다 길게 형성되고 또한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척 스페이서 (73) 및 연결 어댑터 (74) 에 의해 연결된다 (도 11 및 도 13). 또, 연결 어댑터 (74) 는, 4 개의 칸막이판 (58) 을 동일 평면 상에서 1 개로 결속하는 결속 부재 (75) 와, 이 결속 부재 (75) 와 장척 스페이서 (73) 를 연결시키는 깔때기 모양의 깔때기 부재 (76) 를 갖는다. 최하단의 제 1 수평 연결체 (61) 의 하면에는 정방형 판상의 저판 (77) 이 빈틈없이 깔리고, 최상단의 제 4 수평 연결체 (64) 의 상면에는 정방형 판상의 천판 (78) 이 씌워진다 (도 13). 또한, 천판 (78) 의 상면은 차수 (遮水) 시트 (79) 로 덮인다. 이에 따라 저수조 (50) 내에 오수의 침입이 저지된다.
한편, 저류조 (50) 에는 빗물 도입관 (81) 의 선단이 삽입된다 (도 13). 이 빗물 도입관 (81) 의 기단은 저류조 (50) 보다 높은 위치의 지중에 매설된 제진 (除塵) 관리 통 (82) 에 접속되고, 이 제진 관리 통 (82) 은 빗물 유입관 (83) 을 개재하여 횡단면 대략 U 자 형상의 측홈 (84) 에 접속된다. 상기 제진 관리 통 (82) 은, 상부 측면이 빗물 유입관 (83) 을 개재하여 측홈 (84) 에 접속된 제 1 통 (91) 과, 제 1 통 (91) 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 2 통 (92) 을 갖는다. 제 1 통 (91) 의 연직 방향의 중앙에는, 상면이 점차 내려가는 방향으로 경사진 중저벽 (91a) 이 형성된다. 또, 제 1 통 (91) 의 저부 중앙에는, 직립관 (91b) 이 중저벽 (91a) 을 관통하여 세워져 형성되고, 이 직립관 (91b) 의 상단은 중저벽 (91a) 의 상면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된다. 또한, 직립관 (91b) 의 하부 측면에는 빗물 도입관 (81) 의 기단이 접속된다. 한편, 제 1 통 (91) 및 제 2 통 (92) 이 서로 접하는 측면에는, 가랑비가 올 때에 중저벽 (91a) 상을 유하하는 소량의 빗물을 제 2 통 (92) 내로 유도하는 비교적 작은 유출공 (91c) 및 유입공 (92a) 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저류조 (50) 의 조립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지중에 저반 (52) 보다 넓은 저부를 갖는 구멍 (59) 을 파고, 이 구멍 (59) 의 저부에 콘크리트제 저반 (52) 을 부설한다 (도 13). 다음으로, 정방형 판상의 복수의 칸막이판 (58), 통상의 스페이서 (66), 제 1 결합편 (71), 제 2 결합편, 주축 파이프 (68) 등을 준비하고, 저반 (52) 상에 저류 복합체 (55) 를 구축하여, 이 저류 복합체 (55) 를 상기 구멍 (59) 내에 수용한다. 이 때, 저반 (52) 상에 저류 복합체 (55) 의 최외층부 (67) 를 먼저 구축하고, 그 후, 저류 복합체 (55) 의 내부를 구축하는데, 이 저류 복합체 (55) 의 내부의 구축과 동시에, 잔존 형틀 (53) 을 구축한다.
상기 잔존 형틀의 구축 순서를 도 10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최외층부 (67) 를 구성하는 칸막이판 (58) 의 최외층부 (67) 의 외면을 따르는 유통공 (58f) 에 보조 받이 부재 (72) 를 삽입 통과한다. 이어서, 4 단의 칸막이판 (58) 사이의 각 단마다 최외층부 (67) 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페이서 (66) 중 최외층부 (67) 의 외면을 형성하는 부분에 접촉하도록 복수의 내측판 (54a) 을 배치 형성함으로써 3 단의 내측 형틀 (54) 을 각각 사각 통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최외층부 (67) 를 구성하고 연직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배치 형성된 복수 단의 칸막이판 (58) 의 최외층부 (67) 의 외면을 따르는 투공에 복수의 외측 세로 철근 (57a) 을 복수의 내측판 (54a) 보다 외방에 위치하도록 연직 방향으로 연장하여 삽입 통과한 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가로 철근 (27) 을 외측 세로 철근 (57a) 과 교차시키고 그 교차부를 결속선 (도시하지 않음) 으로 고정시켜, 외측 격자 철근 (28) 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내측 형틀 (54) 과 외측 형틀 (56) 사이의 저반 (52) 상에 수팽창성이 있는 지수재 (도시하지 않음) 를 배치 형성한 후에, 격자상의 보강용 철근 (도시하지 않음) 에 의해 저류 복합체 (55) 의 외주면과 외측 격자 철근 (28) (복수의 외측 세로 철근 (57a) 및 복수의 외측 가로 철근 (27)) 을 덮는다.
그리고, 저반 (52) 상에 외측 형틀 (56) 의 1 단째 및 2 단째의 기판 (18) 을 조립하여, 이들 기판 (18) 을 중앙부 보강판 (19) 에 의해 결합하고, 수평 방향으로 밀착하여 나열된 복수의 중앙부 보강판 (19) 의 하측 가장자리 및 양측 가장자리에 복수의 단부 보강판 (21) 을 위치시키고 또한 이들 단부 보강판 (21) 에 의해 이웃하는 기판 (18) 을 결합하고, 서로 직각으로 부딪치는 외측 형틀 (56, 56) 끼리를 외측 각부 연결판 (22) 으로 연결함으로써, 외측 형틀 (56) 을 외측 세로 철근 (57a) 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사각 프레임상으로 형성한다 (도 11). 이 때, 보강용 철근을 외측 세로 철근 (57a) 과 외측 형틀 (56) 의 사이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외측 세퍼레이터 (24) 의 일단을 외측 가로 철근 (27) 에 걸고 타단을 1 단째의 기판 (18) 의 걸림 구멍 (18i) 에 걸고, 다른 외측 세퍼레이터 (24) 의 일단을 외측 가로 철근 (27) 에 걸고 타단을 2 단째의 기판 (18) 의 걸림 구멍 (18i) 에 건다 (도 10).
또한, 2 단째의 기판 (18) 상에, 3 단째의 기판 (18) 을 쌓아 올려, 이들 기판 (18) 을 중앙부 보강판 (19) 에 의해 결합하고, 수평 방향으로 밀착하여 나열된 복수의 중앙부 보강판 (19) 의 상측 가장자리 및 양측 가장자리에 복수의 단부 보강판 (21) 을 위치시키고 또한 이들 단부 보강판 (21) 에 의해 이웃하는 기판 (18) 을 결합하고, 서로 직각으로 부딪치는 외측 형틀 (56, 56) 끼리를 외측 각부 연결판 (22) 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외측 세퍼레이터 (24) 의 일단을 외측 가로 철근 (27) 에 걸고 타단을 3 단째의 기판 (18) 의 걸림 구멍 (18i) 에 건다. 이에 따라 자립성을 갖고 또한 강고한 외측 형틀 (56) 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 결과, 외측 형틀로서 라스망이나 벽돌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외측 형틀 (56) 의 조립 작업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그 후, 내측 형틀 (54) 과 외측 형틀 (56) 의 사이에 생콘크리트를 흘려 넣어 경화시켜 측벽 (51) 을 형성한다 (도 10, 도 11 및 도 13). 이 때, 최외층부 (67) 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페이서 (66) 와 함께 보조 받이 부재 (72) 가 내측 형틀 (54) 을 받으므로, 내측 형틀 (54) 에 작용하는 생콘크리트의 압력을 스페이서 (66) 및 보조 받이 부재 (72) 가 받는다. 이 결과, 내측 형틀 (54) 과 외측 형틀 (56) 사이로 생콘크리트를 흘려 넣을 때에 있어서의 저류 복합체 (55) 의 변형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내측 형틀 (54) 및 외측 형틀 (56) 사이에 생콘크리트를 한 번에 대량으로 흘려 넣어도, 외측 세로 철근 (57a) 이 외측 세퍼레이터 (24) 를 개재하여 외측 형틀 (56) 을 유지하고, 내측 형틀 (54) 을 최외층부 (67) 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페이서 (66) 와 함께 보조 받이 부재 (72) 가 받으므로, 외측 형틀 (56) 및 내측 형틀 (54) 이 변형되지 않아, 소정 형상의 콘크리트제 측벽 (51) 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외의 동작 및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의 동작 및 효과와 대략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4 에 있어서, 도 1 ∼ 도 9 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부품을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구멍을 얕게 파서 저반을 이 구멍의 저부에 부설하고, 저류조의 하부를 지중에 매몰시키고 또한 상부를 지상에 돌출시키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지상에 돌출한 저류조를 측벽을 형성하는 잔존 형틀 (103) 의 외측 형틀 (106) 의 중앙부 보강판 (19) 의 표면에는, 화장판 (34) 이 부착된다. 이 화장판 (34) 의 표면에는, 후지산 및 태양으로 이루어지는 모양 (34b) 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이외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저류조의 잔존 형틀 (103) 에서는, 지상에 돌출한 중앙부 보강판 (19) 의 표면에 후지산 및 태양으로 이루어지는 모양 (34b) 이 돌출 형성된 화장판 (34) 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저류조 중 지상에 돌출한 부분의 표면의 외양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이외의 동작 및 효과는, 제 2 실시형태의 동작 및 효과와 대략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지중에 파인 구멍의 저부에 부설된 콘크리트제 사각 판상의 저반 상에, 사각 프레임상의 지중보를 세워 형성했지만, 삼각형 판상, 오각형 판상 또는 그 밖의 다각 형상의 저반 상에, 삼각 프레임상, 오각 프레임상 또는 그 밖의 다각 프레임상, 혹은 일직선상의 지중보를 세워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제 1 및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화장판의 표면에 후지산 및 태양으로 이루어지는 모양을 돌출 형성했지만, 화장판의 표면에 비둘기, 벚꽃, 제조업자의 로고 마크 또는 그 밖의 모양을 돌출 형성 또는 오목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저반을 구멍의 저부에 부설하고, 저류조를 모두 지중에 매설하고,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구멍을 얕게 파서 저반을 이 구멍의 저부에 부설하고, 저류조의 하부를 지중에 매몰시키고 또한 상부를 지상에 돌출시키도록 설치했지만, 저반을 지상에 부설하고, 저류조 전부를 지상에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외측 형틀의 중앙부 보강판의 표면에 화장판을 부착하면, 저류조의 표면의 외양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수평 연결체를 3 단 형성하였지만, 수평 연결체를 2 단 또는 4 단 이상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외층부로부터 내측의 칸막이판을 연직 방향으로 1 단 띄우고 배치했지만, 저류조의 상면으로부터의 토압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내측 외층부를 불필요하게 해도 된다, 즉 최외층부로부터 내측의 칸막이판을 연직 방향으로 1 단 띄우고 배치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콘크리트제 저반을 부설한 후에, 저반 상에 콘크리트제 측벽을 형성하였지만, 콘크리트제 저반 및 측벽을 동시에 형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격자상으로 용접된 철근을 주발형상 (椀狀) 으로 성형하여 주발형상 철근을 제조하고, 복수의 주발형상 철근을 엎어 놓은 상태에서 구멍 저부에 나열해 두고, 이들 위에 저류 복합체 중 1 단째의 수평 연결체와 최외층부를 조립하여, 복수의 주발형상 철근을 둘러싸도록 측벽 형성 부재를 조립한 상태에서, 저반이 되는 부분 (구멍의 저부에 나열된 복수의 주발형상 철근을 포함하는 부분) 과, 측벽이 되는 부분 (측벽 형성 부재의 내부) 에, 복수 지점으로부터 생콘크리트를 흘려 넣음으로써, 콘크리트제 저반 및 측벽을 동시에 형성해도 된다.
11 : 지중보 (측벽)
12, 52 : 저반
13, 53, 103 : 잔존 형틀
14 : 내측 형틀
16, 56, 106 : 외측 형틀
17, 57 : 세로 철근
18 : 기판
19 : 중앙부 보강판
21 : 단부 보강판
34 : 화장판
34b : 모양
50 : 저류조
51 : 측벽
55 : 저류 복합체

Claims (4)

  1. 지중 (地中) 에 파인 구멍의 저부 또는 지상에 부설된 콘크리트제 저반 (底盤) 상에 세워져 형성되는 콘크리트제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측벽의 표면에 잔존하는 잔존 형틀로서,
    상기 측벽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측 형틀과, 상기 측벽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측 형틀과, 상기 내측 형틀과 상기 외측 형틀의 사이에 배치 형성되고 또한 상기 외측 형틀 또는 상기 외측 형틀 및 상기 내측 형틀을 유지하는 복수의 세로 철근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 형틀 또는 상기 외측 형틀 및 상기 내측 형틀이, 플라스틱에 의해 정방형 판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종횡으로 밀착하여 나열된 복수의 기판과, 상기 기판과 대략 동일 크기의 정방형 판상으로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고 이웃하는 4 매의 기판을 결합하고 또한 종횡으로 밀착하여 나열된 복수의 중앙부 보강판과, 플라스틱에 의해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종횡으로 밀착하여 나열된 복수의 중앙부 보강판의 외주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또한 이웃하는 기판을 결합하여 사각 프레임상으로 나열된 복수의 단부 (端部) 보강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용의 잔존 형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앙부 보강판의 표면에 플라스틱제 화장판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화장판의 표면에 모양이 돌출 형성 또는 오목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용의 잔존 형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이, 건물을 지탱하기 위해서 지중에 매설되고 또한 상기 저반 상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제 지중보이고, 상기 지중보의 외면이 상기 외측 형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지중보의 내면이 상기 내측 형틀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용의 잔존 형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이, 저류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저반 상에 직방체상의 저류 복합체를 둘러싸서 형성되는 콘크리트제 사각 통상의 측벽이고, 상기 측벽의 외면이 상기 외측 형틀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용의 잔존 형틀.
KR1020217012481A 2018-10-09 2019-09-26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용의 잔존 형틀 KR202100720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90711 2018-10-09
JP2018190711A JP6695399B2 (ja) 2018-10-09 2018-10-09 コンクリート構造物形成用の残存型枠
PCT/JP2019/037732 WO2020075505A1 (ja) 2018-10-09 2019-09-26 コンクリート構造物形成用の残存型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014A true KR20210072014A (ko) 2021-06-16

Family

ID=70164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481A KR20210072014A (ko) 2018-10-09 2019-09-26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용의 잔존 형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10396011A1 (ko)
JP (1) JP6695399B2 (ko)
KR (1) KR20210072014A (ko)
CN (1) CN112840082A (ko)
AU (1) AU2019356706A1 (ko)
BR (1) BR112021006568A2 (ko)
CA (1) CA3113609A1 (ko)
MX (1) MX2021004052A (ko)
SG (1) SG11202103472UA (ko)
WO (1) WO20200755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0835B2 (en) * 2020-07-27 2024-05-14 Foley Products Company, Llc Double-filter basket for stormwater retention system drain
JP7406283B1 (ja) 2023-02-21 2023-12-27 株式会社 野田設計 べた基礎用型枠及び小規模住宅用べた基礎の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546A1 (ja) 2015-10-29 2017-05-04 株式会社 トーテツ 貯留槽及びその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8993U (ko) * 1981-01-19 1982-07-23
CN1183503A (zh) * 1994-09-23 1998-06-03 黄嘉雄 侧壁式锚座及其安装方法
JPH08312131A (ja) * 1995-03-15 1996-11-26 Nsp Corp コンクリート型枠
JPH1046713A (ja) * 1996-07-31 1998-02-17 Tohoku Shizai Kogyo Kk コンクリート壁用または基礎用型枠
JP3683673B2 (ja) * 1997-04-15 2005-08-17 タカムラ総業株式会社 残存型枠
JP2000034735A (ja) * 1998-07-15 2000-02-02 Masahiko Fujita 建築物の布基礎に使用するプラスチック製型枠
US6176059B1 (en) * 1998-11-20 2001-01-23 Robert A. Cantarano Modular concrete building system
JP4122253B2 (ja) * 2002-10-07 2008-07-23 圭司 北村 コンクリート壁面の構築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型枠ユニット
JP2005155137A (ja) * 2003-11-25 2005-06-16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既存建物の耐震補強外フレーム構造及び構築工法
US8720160B1 (en) * 2011-09-14 2014-05-13 Alan Brian Cooper Process for forming concrete walls and other vertically positioned shapes
JP6083603B2 (ja) * 2013-04-22 2017-02-22 藤村ヒューム管株式会社 連結治具及びこの連結治具で連結された連結壁並びに連結治具を用いた鋼矢板の補修工法
JP2017014861A (ja) * 2015-07-06 2017-01-19 海洋土木株式会社 残存型枠施工用治具及びその治具を用いた残存型枠施工方法
JP6655320B2 (ja) * 2015-07-31 2020-02-26 正 斉原 支保部材、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建造方法
JP6238147B2 (ja) * 2016-05-09 2017-11-29 藤村ヒューム管株式会社 パネル連結具及びこの連結具で形成された連結壁
CN106284990A (zh) * 2016-08-05 2017-01-04 王清 一种中心岛受力型空腔楼盖用装配式预制空腔构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546A1 (ja) 2015-10-29 2017-05-04 株式会社 トーテツ 貯留槽及びそ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5505A1 (ja) 2020-04-16
SG11202103472UA (en) 2021-05-28
AU2019356706A1 (en) 2021-05-06
MX2021004052A (es) 2021-06-04
US20210396011A1 (en) 2021-12-23
CA3113609A1 (en) 2020-04-16
JP6695399B2 (ja) 2020-05-20
JP2020060005A (ja) 2020-04-16
BR112021006568A2 (pt) 2021-07-27
CN112840082A (zh)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6276B2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and components and method
KR100956740B1 (ko)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된 측벽과 천정판과 보와 기둥의 조립에 의한 컨테이너 구조물
KR100952605B1 (ko) 우수 저류조
JP3311634B2 (ja) 雨水等の貯留及び浸透施設用充填体
KR20210072014A (ko)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용의 잔존 형틀
KR101013235B1 (ko)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
JP4686655B2 (ja) 構造体
KR102149662B1 (ko) 피씨 슬래브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이층 시공방법
KR102255652B1 (ko)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JP6579917B2 (ja) 貯留槽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70053050A (ko) 양돈장 구조
ES2398821B2 (es) Procedimiento industrializado de construcción de edificaciones y conjuntos prefabricados de uso en dicho procedimiento
JP200316094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貯水槽の構築工法
JP2002339383A (ja) 継手部材および構造体
JP2001355259A (ja) 構造体
JP2002115278A (ja) 水の貯留装置
KR100557330B1 (ko)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JP3129129U (ja) 家屋建築用基礎構造。
JP2003020658A (ja) 構造体
JP2019183557A (ja) 貯留槽
US20060005500A1 (en) Mortar less brick wall construction
JP3677834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地下室構築用ユニットの接続部の構造
JP4452592B2 (ja) 雨水流出抑制施設
KR100605149B1 (ko) 황토/목재 주택 및 그 시공방법
JPH09273205A (ja) 雨水貯溜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