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560A - 인출형 차단기 - Google Patents

인출형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560A
KR20190131560A KR1020197031988A KR20197031988A KR20190131560A KR 20190131560 A KR20190131560 A KR 20190131560A KR 1020197031988 A KR1020197031988 A KR 1020197031988A KR 20197031988 A KR20197031988 A KR 20197031988A KR 20190131560 A KR20190131560 A KR 20190131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ductor
breaker
insulating base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헤이 구라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1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5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20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02Details
    • H02B11/04Isolating-contacts, e.g. mountings or shie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출형 차단기는, 인출 프레임에 각 상(相) 단위로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 단자 유닛을 구비하며, 이 단자 유닛은, 절연 베이스와, 절연 베이스에 삽입되고, 떼어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인출 프레임측 도체와, 이 인출 프레임측 도체의 절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일단과 걸림과 아울러, 상기 차단기측 도체와 삽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커넥터와, 인출 프레임측 도체의 타단에 단자를 가지며,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각 상(相) 단위로 개별적으로 추가·떼어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인출형 차단기
본 발명은, 차단기와 단자 장치로 이루어지는 인출형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출형 차단기의 단자 장치는, 각 상(相)의 단자와 커넥터를 절연 베이스에 의해 좌우로부터 끼워 넣고, 측판(좌우)과 앵글(angle)(상하)을 조합시킨 상태로 고착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측판과 앵글은, 차단기를 인출, 또는 삽입하는 인출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다.
또, 각 상(相)의 단자 사이의 절연을 확보하도록 탑재된 절연 베이스가, 상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9-55732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평11-250776호 공보
종래의 인출형 차단기의 단자 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조립시, 좌우의 절연 베이스를 조합하고, 또한 측판과 앵글을 조합할 때까지 유지해야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커넥터, 단자, 및 절연 베이스의 메인터넌스, 교환을 실시하는 경우, 인출 프레임을 분해할 필요가 있었다. 게다가, 제품 사양이 다른 경우, 전용의 절연 베이스를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인출형 차단기의 단자 장치에서, 단자 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각 상(相) 단위로 개별적으로 추가·떼어냄을 할 수 있는 인출형 차단기의 단자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인출형 차단기는, 인출 프레임과, 안내 가이드에 의해 이동하고, 인출 프레임에 장착 가능한 차단기 본체와, 이 차단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차단기측 도체와, 인출 프레임에 각 상(相) 단위로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 단자 유닛을 구비하며, 이 단자 유닛은, 절연 베이스와, 절연 베이스에 삽입되고, 떼어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인출 프레임측 도체와, 이 인출 프레임측 도체의 절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일단과 걸림과 아울러, 차단기측 도체와 삽탈(揷脫) 가능하게 접속되는 커넥터와, 인출 프레임측 도체의 타단에 단자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인출형 차단기에 의하면, 단자 유닛의 조립, 메인터넌스, 상(相)수(數)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인출형 차단기의 인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인출형 차단기의 삽입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인출형 차단기의 단자 유닛의 탈착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인출형 차단기의 단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상태의 단자부 상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상태의 단자부 상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자 유닛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단자 유닛의 증설시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인출형 차단기의 단자 도체 변경의 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인출형 차단기의 단자 도체 변경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인출형 차단기의 인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인출형 차단기의 삽입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형 차단기(100)는, 인출형 차단기 본체(10)를 구비하며, 예를 들면, 폐쇄 배전반의 케이스(도시하지 않음) 내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된다. 인출형 차단기(100)의 이면에는, 단자 장치(7)가 장착되어 있다. 또, 인출형 차단기 본체(10)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을 구비하며, 인출형 차단기 본체(10)의 표면측에 마련된 조작 핸들(도시하지 않음)의 조작에 의해,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으로부터 괴리시키는 것에 의해 회로를 차단하고,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회로를 닫는다. 또, 회로에 과전류가 흘렀을 때, 트리핑(tripping) 기구에 의해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으로부터 자동적으로 괴리시켜 회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자 장치(7)는, 상(相)마다 구성된 단자 유닛(71, 72, 73)으로 이루어지며, 도 3과 같이, 인출 프레임(9) 내에 배치할 때, 화살표 A, B방향으로 삽입이 가능하고, 삽입 후, 인출 프레임(9)을 구성하는 측판(9a, 9b)의 사이에 고정된다. 각각의 단자 유닛(71, 72, 73)은, 단자 도체(5)(입력측 단자 도체(5a), 출력측 단자 도체(5b))를 가진다. 입력측 단자 도체(5a)는, 예를 들면, 폐쇄 배전반의 케이스 내에 수납되었을 때, 전원측의 접속 도체(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고, 출력측 단자 도체(5b)는, 부하측의 접속 도체(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인출형 차단기 본체(10)는, 차단기측 도체(11)를 장착하고, 차단기 본체를 빼고 넣는 인출 핸들 및 인출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인출 프레임(9)에 장비된 신축 가능한 안내 가이드(12)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단자 도체(5)와 접속되는 커넥터(4)(도 4 참조)에 차단기측 도체(11)의 빼고 넣기가 이루어져, 인출형 차단기(100)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도 4는, 단자 유닛(71)의 분해 사시도이다. 저부(21a, 21b)로부터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부(2a)가 Y형 형상인 중계(中繼) 단자 도체(2)가, 작은 나사(3)에 의해 절연 베이스(1)의 표면에 마련된 나사 구멍에 나사 고정된다. 그리고, 차단기측 도체(11)가 Z축 방향에서 감합(嵌合)하도록 배치한 커넥터(4)가, 중계 단자 도체(2)에 접속된다. 커넥터(4)와 중계 단자 도체(2)의 접속은, 커넥터(4)의 홈(4a)에 중계 단자 도체(2)의 Y형 형상의 선단부(2a)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행한다. 선단부(2a) 및 홈(4a)을 구성하는 부재는 탄성을 가지며, Y형 형상의 외측의 면과 홈(4a)이 걸리고, 홈(4a)의 내벽면과 Y형 형상의 외측의 면이 서로 압압(押壓)함으로써 걸림을 강고한 것으로 하며, 차단기측 도체(11)를 빼낼 때, 중계 단자 도체(2)와 커넥터(4)가 빠지지 않도록,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 게다가, 차단기측 도체(11)의 삽입시에는 커넥터(4)가 좌우 회전 동작을 행하지만, 선단부(2a)와 홈(4a)과의 걸림면이 이 좌우 회전 동작시의 지점(支点)이 된다.
입력측 단자 도체(5a), 출력측 단자 도체(5b)는, Z-Y평면으로 펼쳐지는 저부(51a, 51b)로부터 X축 방향에서, 상술한 선단부(2a)와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자 부분이 X-Y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저부(51a, 51b)는, 4변의 길이가 동일한 정방형 형상을 하고 있고, 단자 부분은, 정방형 형상의 대향하는 변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을 포함하며, 저부(51a, 51b)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저부(51a, 51b)는, 절연 베이스(1)에 삽입되고, 볼트(6)에 의해 중계 단자 도체(2)의 저부(21a, 21b)에 고착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볼트(6)는 4개이며, 중계 단자 도체(2)와, 입력측 또는 출력측 단자 도체(5a, 5b)를 고정하고 있지만, 볼트의 갯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볼트 이외에도 떼어냄이 가능한 고정 기구라면 그것이라도 괜찮다.
또, 절연 베이스(1)에는, 고정되어 있는 입력측 단자 도체(5a)와 출력측 단자 도체(5b)와의 사이의 중앙부에 도체 사이를 볼 수 있는, 입력측 단자 도체(5a)와 출력측 단자 도체(5b)와 직교하는 홈(8)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차단기측 도체(11)가 Z축 방향에서 커넥터(4)와 감합함으로써, 상하의 차단기측 도체(11)의 사이에서 풍로(風路)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자연 대류에 의해 단자 유닛(71)을 냉각할 수 있다.
단자 유닛(71)과 동일하게 단자 유닛(72, 73)도 구성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중계 단자 도체(2)와 단자 도체(5)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고, 나사 고정되는 것에 의해 인출 프레임측 도체를 형성하고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단자 도체(5)의 사양의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것이면, 일체로 성형되어 절연 베이스(1)에 삽입되고, 고착되어 있어도 괜찮다.
도 5는 인출형 차단기 본체(10)가 인출 프레임(9)으로 삽입된, 도 2의 상태의 단자 장치(7)의 상부 단면도, 도 6은 인출형 차단기 본체(10)가 인출된, 도 1의 상태의 단자 장치(7)의 상부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단자 유닛(71)의 확대도이다.
도 5에서, 인출형 차단기 본체(10)가 인출 프레임(9)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차단기측 도체(11)가 커넥터(4)에 삽입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형 차단기 본체(10)가 인출 프레임(9)로부터 인출되는 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작동하면, 차단기측 도체(11)도 커넥터(4)로부터 인출된다. 이 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4)는 중계 단자 도체(2)의 선단부(2a)의 Y형 형상에 걸리고, 커넥터(4)는 중계 단자 도체(2)에 삽입된 상태에서 차단기측 도체(11)의 걸림이 빠져, 인출형 차단기 본체(10)와 인출 프레임(9)에 장비된 안내 가이드(12)(부재(12a, 12b))에 의해 인출된다(도 1 참조).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D방향으로 1상(相)분(分), 인출 프레임(9)을 넓혀, 단자 유닛(74)을 삽입할 수 있어, 간단하게 증설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 형태 1에서는, 단자 장치(7)를 단자 유닛(71, 72, 73)으로 구성하고, 단자 유닛(71, 72, 73)의 절연 베이스(1)의 표면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서, 단자 도체(5)와 중계 단자 도체(2)로 구성되는 인출 프레임측 도체를 나사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조립시, 좌우의 절연 베이스를 조합하고, 또한 측판과 앵글을 조합할 때까지 유지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게다가, 인출 프레임측 도체의 떼어냄도 나사에 의해 간단하게 할 수 있어, 용이하게 교환 가능하게 했다. 또, 단자 유닛(71, 72, 73)을 인출 프레임(9) 내에 간단하게 삽입, 탈착할 수 있어, 커넥터(4), 중계 단자 도체(2), 단자, 및 절연 베이스의 메인터넌스, 교환을 실시하는 경우, 인출 프레임을 분해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또, 상(相)수(數)에 따라, 용이하게 단자 유닛을 증설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단자부가 상(相)단위의 단자 유닛(71, 72, 73)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립·사양 변경을 간략화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시에는 상(相)마다의 메인터넌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단자 도체(5)가,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X-Y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었지만, 단자 도체(5)의 저부(51a)가 정방형 형상이기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6)를 떼어내고, 단자 도체(5)를 90도 회전시켜, 재차, 볼트(6)에 의해 중계 단자 도체(2)에 고착함으로써 단자 도체(5)의 접속 방향을 X-Z평면에 평행하게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의 (a)는 인출 차단기의 측면도, 도 9의 (b)는 배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도체(50)로 바꾸면 인출형 차단기(100)의 정면으로부터 접속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단자 도체(5)를, 절연 베이스(1)의 외측으로부터 시인(視認)할 수 있는 중계 단자 도체(2)에 볼트에 의해 고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용도에 따른 버스 바(bus bar) 배선을 가능하게 하는 단자 사양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 실시 형태를 자유롭게 조합하거나, 각 실시 형태를 적절히, 변형,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하는 구성, 기능을 가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1 : 절연 베이스 2 : 중계 단자 도체
3 : 작은 나사 4 : 커넥터
5, 50 : 단자 도체 6 : 볼트
7 : 단자 장치 71, 72, 73 : 단자 유닛
8 : 홈 9 : 인출 프레임
10 : 인출형 차단기 본체 11 : 차단기측 도체
12 : 안내 가이드 100 : 인출형 차단기

Claims (5)

  1. 인출 프레임, 안내 가이드에 의해 이동하고, 상기 인출 프레임에 장착 가능한 차단기 본체, 상기 차단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차단기측 도체, 상기 인출 프레임에 각 상(相) 단위로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 단자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단자 유닛은, 절연 베이스와, 상기 절연 베이스에 삽입되고, 떼어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인출 프레임측 도체와, 상기 인출 프레임측 도체의 상기 절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일단과 걸림과 아울러, 상기 차단기측 도체와 삽탈(揷脫) 가능하게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인출 프레임측 도체의 타단에 단자를 가지는 인출형 차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 프레임 도체의 상기 절연 베이스와 걸리는 일단은, 선단이 Y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전원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인 2개의 상기 인출 프레임 도체가 상기 절연 베이스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전원측 단자와 상기 부하측 단자의 사이의 상기 절연 베이스에 풍로(風路)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 프레임측 도체는, 단자가 형성된 단자 도체와 선단부가 Y형 형상인 중계(中繼) 단자 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계 단자 도체의 저부가 상기 절연 베이스에 나사 고정되고, 상기 단자 도체는 상기 중계 단자 도체에 나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자 도체에 나사 고정되는 상기 단자 도체의 저부는 정방형 형상이고, 상기 단자는, 상기 정방형 형상의 대향하는 변(邊)의 중점(中点)을 연결하는 선을 포함하며, 상기 저부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
KR1020197031988A 2017-05-16 2017-05-16 인출형 차단기 KR201901315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8285 WO2018211579A1 (ja) 2017-05-16 2017-05-16 引出形遮断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560A true KR20190131560A (ko) 2019-11-26

Family

ID=6427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988A KR20190131560A (ko) 2017-05-16 2017-05-16 인출형 차단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627640B1 (ko)
JP (1) JP6758489B2 (ko)
KR (1) KR20190131560A (ko)
CN (1) CN110612646A (ko)
TW (1) TWI639174B (ko)
WO (1) WO20182115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83107B2 (ja) * 2019-04-01 2022-12-05 三菱電機株式会社 引出形遮断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0776A (ja) 1997-12-18 1999-09-17 Schneider Electric Sa 回路遮断器用の電気接続機構、該機構を備えた電気接続組立体、回路遮断器および回路遮断器用の外部フレーム
JP2009055732A (ja) 2007-08-28 2009-03-12 Mitsubishi Electric Corp 引出形回路遮断器、引出形回路遮断器の端子装置、及び端子装置の相間絶縁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112U (ja) * 1984-07-12 1986-02-08 株式会社明電舎 配電盤
US5025121A (en) * 1988-12-19 1991-06-18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Circuit breaker contact assembly
JP2900332B2 (ja) * 1991-09-03 1999-06-02 三菱電機株式会社 引出形遮断器
TW214597B (ko) * 1992-02-26 1993-10-11 Mitsubishi Electric Machine
JP2755049B2 (ja) * 1992-06-30 1998-05-20 三菱電機株式会社 引出形遮断器の安全シャッター装置
JP4104996B2 (ja) * 2003-01-22 2008-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遮断器
JP4367407B2 (ja) * 2005-12-16 2009-11-18 三菱電機株式会社 引出形遮断器の制御回路接続装置
KR100924431B1 (ko) * 2007-12-13 2009-10-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크레들
US7764485B2 (en) * 2008-04-15 2010-07-27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al distribution device assembly
CN201298685Y (zh) * 2008-11-05 2009-08-26 江苏凯隆电器有限公司 抽屉式断路器母排***
CN202189738U (zh) 2011-08-31 2012-04-11 浙江福岛科技股份有限公司 抽屉式断路器电气连接装置
US9576751B1 (en) * 2012-09-20 2017-02-21 Becker Mining America, Inc. Motorized vacuum isolation switch
CN205265129U (zh) * 2015-12-02 2016-05-25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万能式断路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0776A (ja) 1997-12-18 1999-09-17 Schneider Electric Sa 回路遮断器用の電気接続機構、該機構を備えた電気接続組立体、回路遮断器および回路遮断器用の外部フレーム
JP2009055732A (ja) 2007-08-28 2009-03-12 Mitsubishi Electric Corp 引出形回路遮断器、引出形回路遮断器の端子装置、及び端子装置の相間絶縁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12646A (zh) 2019-12-24
JP6758489B2 (ja) 2020-09-23
TW201901727A (zh) 2019-01-01
JPWO2018211579A1 (ja) 2019-11-07
EP3627640B1 (en) 2021-11-17
EP3627640A4 (en) 2020-03-25
TWI639174B (zh) 2018-10-21
EP3627640A1 (en) 2020-03-25
WO2018211579A1 (ja)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10107A (zh) 母线***及其母线槽和插接箱
CN101295590B (zh) 电气开关装置及其联锁相位屏障
EP2670006A1 (en) Plug-in type bus bar
US9620940B2 (en) Medium voltage switchgear with front accessibility of current transformers mounted external to a rear of a circuit breaker compartment
EP3367521B1 (en) Output power distribution module and distribution cabinet
CN104979756A (zh) 用于配电盘的机架定位组件、包括其的配电盘及配装方法
JP4925974B2 (ja) 引出形回路遮断器、引出形回路遮断器の端子装置、及び端子装置の相間絶縁板
KR20190131560A (ko) 인출형 차단기
EP2400610B1 (en) Supporting bars and an electrical distribution module comprising said bars.
KR20150059674A (ko) 전동기 제어반
KR20170034123A (ko) 조립블록을 이용한 전원분배장치
KR200450125Y1 (ko) 차단기 직결형 영상변류기
KR20180007715A (ko)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
US9263860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switchgear assembly, and mounting member therefor
WO2019192688A1 (en) Removable module
CN210628853U (zh) 一种配电箱
KR101541294B1 (ko) 전동기 제어반
KR101609852B1 (ko) 배전반 버킷용 부스바 커넥터
JP6433336B2 (ja) 分電盤
EP3375059B1 (en) Modular distribution back support for circuit breakers
JP6628590B2 (ja) スイッチギヤ
JP6287090B2 (ja) 回路遮断器
KR20180000846U (ko) 배전반
KR101689948B1 (ko) 정격식별을 위한 식별볼트를 구비하는 인입출형 진공차단기
JP2017224444A (ja) 切替開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