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872A - 탄소 - 셀레늄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탄소 - 셀레늄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872A
KR20190121872A KR1020197030772A KR20197030772A KR20190121872A KR 20190121872 A KR20190121872 A KR 20190121872A KR 1020197030772 A KR1020197030772 A KR 1020197030772A KR 20197030772 A KR20197030772 A KR 20197030772A KR 20190121872 A KR20190121872 A KR 20190121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nium
lithium
carbon
carbon composite
composi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6145B1 (ko
Inventor
유-구오 구오
슈에이펑 장
야시아 인
Original Assignee
인스티튜트 오브 케미스트리, 차이니즈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시즈
투-식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스티튜트 오브 케미스트리, 차이니즈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시즈, 투-식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인스티튜트 오브 케미스트리, 차이니즈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시즈
Priority to KR102020703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594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05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carbon not covered by groups C01B32/15, C01B32/20, C01B32/25, C01B32/30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on, e.g. graphite
    • C04B35/52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on, e.g. graphite obtained from carbonaceous particles with or without other non-organ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C04B35/6303In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C04B35/632Organic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5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01P2002/52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 C01P2002/54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one element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80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1Chalcogenides or intercalation compound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29Natural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레늄 탄소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셀레늄 이차 전지의 캐소드에서 셀레늄 탄소 복합 재료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셀레늄 탄소 복합 재료의 캐소드로 형성된 전지는 고에너지 밀도 및 안정적인 전기화학적 성능을 갖는다. 개시된 셀레늄 탄소 복합 재료는 전지의 충전 및 방전시 리튬 이온의 이동 거리를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탄소 및 셀레늄을 배합한 후 셀레늄의 전도성 및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개시된 셀레늄 탄소 복합체의 캐소드로 형성된 다수의 전지는 안정적인 전기화학적 성능 및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리튬 셀레늄 파우치-셀 전지로 조립될 수 있다.

Description

탄소 - 셀레늄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용도{METHOD OF PREPARING AND APPLICATION OF CARBON-SELENIUM COMPOSITE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5년 9월 22일자로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510608018호 및 2016년 9월 1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15/262,407 호에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들의 개시 내용은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본 발명은 고 에너지 밀도의 리튬 이차 전지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소-셀레늄 나노 복합체의 신규한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에너지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리튬-황 전지 및 리튬-셀레늄 전지와 같이 고에너지 밀도 및 고 체적 에너지 밀도를 갖는 이차 전지가 광범위한 관심을 받아왔다. 황 및 셀레늄과 같은 주기율표의 6A 족 원소는 리튬과의 전기화학적 반응 과정에서 2-전자 반응 메커니즘을 보여 주었다. 단위 질량당 이론적인 에너지 용량(675 mAh/g)이 황의 경우(1675 mAh/g)에 비해 낮음에도 불구하고, 셀레늄은 황(2.07 g/cm3)보다 높은 밀도(4.82 g/cm3)를 갖는다; 따라서 셀레늄의 이론적인 체적 에너지 밀도(3253 mAh/cm3)는 황의 이론적인 체적 에너지 밀도(3467 mAh/cm3)에 가깝다. 동시에, 전기 절연체에 가까운 황과 비교하여, 셀레늄은 전기적으로 반도전성이며 더 나은 전기전도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셀레늄은 황과 비교하여 더 높은 부하 수준에서도 더 높은 수준의 활성 및 더 나은 이용 효율을 보여줄 수 있어, 결국 단위면적당 고밀도의 전지 시스템에 이르게 된다. 게다가, 셀레늄-탄소 복합체는 황-탄소 복합체 이상으로 추가적인 전기 전도성 향상이 가능하여, 고활성 전극 재료를 얻을 수 있다. 중국 특허 제104393304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셀렌화 수소를 그래핀 분산 용액에 통과시킴으로써, 용매 열은 그래핀 산화물을 그래핀으로 환원시키면서 셀렌화 수소를 셀레늄으로 산화시킨다. 이와 같이 제조된 셀레늄 그래핀 전극 재료는 1.5M 리튬 비-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폰이미드(LiTFSI)/1,3-디옥솔란(DOL) + 디메틸 에테르(DME) (부피비 1 : 1)인 에테르 전해질 시스템과 짝지워지고, 충전 비용량은 제1 사이클에서 640 mAh/g(셀레늄 이론적인 비용량에 근접함)에 도달한다. 그러나 충-방전 과정에서, 폴리셀레나이드 이온은 전해질에 용해되어 상당한 양의 셔틀 효과(shuttling effect)를 나타내어 후속 용량 감소를 야기한다. 동시에, 이 공정에서 사용되는 그래핀 산화물 원료를 제조하는 절차는 복잡하고 산업적 생산에 적합하지 않다. 중국 특허 제 104201389호에는 셀레늄과 결합된 질소-함유 층상 다공성 탄소 복합체 집전체를 사용하는 리튬-셀레늄 전지 캐소드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질소-함유 층상 다공성 탄소 복합체 집전체의 제조에 있어서, 먼저 종이 조각의 표면에 질소-함유 전도성 고분자를 부착 또는 성장시킨 후, 알칼리 활성화 및 고온 탄화시켜, 자기 지지되는 네트워크 구조로서 탄소 섬유를 가지는 질소-함유 층상 다공성 탄소 복합체 집전체를 생성하고; 이후, 이러한 질소-함유 층상 다공성 탄소 복합체 집전체는 셀레늄과 추가로 결합된다. 전도성 고분자를 제조하기 위한 부착 방법은 복잡하고, 막 형성 또는 성장 공정을 제어하기가 어렵다. 그 제조 과정은 복잡하며, 이는 바람직하지 않게 높은 비용과 결부된다.
본 발명은 고도의 흑연화도를 갖는 2차원 탄소 나노재료를 제조하며, 단일 단계 공정을 이용하여, 2차원 탄소 나노재료는 셀레늄과 배합되어, 리튬을 함유하는 애노드 재료와 쌍을 이루는 캐소드 재료로 사용되는 탄소-셀레늄 복합 재료를 수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고에너지 밀도와 안정적인 전기화학적 성능을 갖는 리튬-셀레늄 전지를 이룬다. 유사한 절차를 사용하여 파우치 셀을 추가로 조립하였으며, 이는 또한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실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원료 및 간단한 제조 절차로 셀레늄-탄소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기술된 셀레늄-탄소 복합 재료는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으로부터 수득된다:
(1) 알칼리 금속 유기 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유기 염을 고온에서 탄화시키고, 희석된 염산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2차원 탄소 재료를 수득하는 단계;
(2) 단계 (1)에서 수득한 2차원 탄소 재료를 셀레늄 유기 용액과 혼합하고, 가열하여 유기 용매를 증발시킨 다음, 다단계 가열 승온(multistage heat ramping) 및 침지(soaking) 절차를 통해 2차원 탄소 재료와 셀레늄을 배합하여 탄소-셀레늄 복합체를 수득하는 단계.
단계 (1)에서, 알칼리 금속 유기 염은 시트르산 칼륨, 글루콘산 칼륨 및 수크로스산 나트륨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알칼리 토금속 유기 염은 글루콘산 칼슘 및 수크로스산 칼슘 중 하나 또는 둘 다로부터 선택된다. 고온 탄화는 60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900℃에서 수행되고; 탄화 시간은 1 내지 10 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시간이다.
단계 (2)에서, 유기 용매는 에탄올, 디메틸설폭시드(DMSO), 톨루엔, 아세토니트릴,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사염화탄소, 디에틸 에테르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다단계 가열 승온 및 침지 부분은 승온 속도 2 내지 10℃/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분으로 20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280℃의 온도까지 승온하고, 이어서 상기 온도에서 3 내지 10 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 시간 동안 침지하며, 이후 계속해서 400℃ 내지 600℃, 바람직하게는 430℃ 내지 460℃까지 승온하고, 이어서 10 내지 30 시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시간 동안 침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소-셀레늄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리튬-셀레늄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셀레늄 리튬 이차 전지는 리튬-함유 애노드,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을 더 포함한다.
이 중, 리튬-함유 애노드는 리튬 금속, 리튬화 흑연 애노드, 리튬화 규소 탄소 애노드 재료(흑연 및 규소-탄소 애노드 재료 및 리튬 애노드를 반전지로 조립하고, 방전시켜 리튬화 흑연 애노드 및 리튬화 규소 탄소 애노드 재료를 제조함)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세퍼레이터(막)는 상용 셀가드 막(Celgard membrane), 와트만 막(Whatman membrane), 셀룰로오스 막, 고분자 막 중 하나이다. 전해질은 탄산염 전해질, 에테르 전해질 및 이온성 액체 중 하나 이상이다. 탄산염 전해질은 디에틸 카보네이트 에스테르(DEC),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EMC)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용질은 리튬 헥사플루오로 포스페이트(LiPF6),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LiTFSI), 과염소산 리튬(LiClO4) 및 리튬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LiFSI)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에테르 전해질 용액에서, 용매는 1,3-디옥솔란 (DOL),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DME) 및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TEGDME)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며; 용질은 리튬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LiPF6),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LiTFSI), 과염소산 리튬(LiClO4) 및 리튬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LiFSI)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이온성 액체는 실온 이온성 액체 [EMIm] NTf2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비스 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폰이미드 염), [Py13] NTf2 (N-프로필-N-메틸피롤리딘 비스 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폰이미드 염), [PP13] NTf2 (N-프로필-메틸피페리딘 알콕시-N-비스 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폰이미드 염)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용질은 리튬 헥사 플루오로포스페이트(LiPF6),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LiTFSI), 과염소산 리튬(LiClO4) 및 리튬 비스 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LiFSI)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소 셀레늄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파우치-셀 리튬-셀레늄 전지를 제공한다.
선행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셀레늄 탄소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2차원 탄소 재료는 원료의 입수가 용이하고 저가이며, 제조 방법이 간단하고, 매우 실용적이며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는 장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수득되는 셀레늄 탄소 복합 재료가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탄소 재료에 대한 50,000배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리튬 셀레늄 전지의 0.1C 충전 및 방전 곡선이다.
도 3은 비교예 2에서 리튬 셀레늄 전지의 0.1C 충전 및 방전 곡선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 파우치-셀 전지 케이스의 광학 이미지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 파우치-셀 전지 케이스의 0.05C 충전 및 방전 곡선이다.
구체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이하에서 추가로 기술될 것이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하기 실시예에서의 실험 방법은 모두 통상적이며; 시약 및 재료는 모두 상업적인 공급원으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실시예 1:
(A) 셀레늄 탄소 복합 재료의 제조
그라인딩(grinding) 및 밀링(milling) 후, 불활성 대기 하에서 800℃에서 5 시간 동안 소정량의 시트르산 칼륨을 소성시키고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희석된 염산으로 중성 pH까지 세척하고; 여과 및 건조하여 2차원 탄소 나노재료를 수득하고(도 1); 50:50의 질량비에 따라, 2차원 탄소 재료 및 셀레늄을 칭량한 후, 셀레늄의 에탄올 용액과 균일하게 교반 및 혼합하고; 용매 증발 후, 혼합물을 건조 오븐에서 건조시키고; 건조한 혼합물을 5℃/분으로 240℃까지 가열하고 3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계속해서 5℃/분으로 450℃까지 가열하고; 20 시간 동안 침지시키고; 실온으로 냉각시켜 셀레늄 탄소 복합 재료를 생성하였다.
(B) 캐소드 탭의 제조
상기 제조된 셀레늄 탄소 복합체를 소정 비율로 물과 함께 카본블랙인 수퍼-P 및 바인더인 CMC/SBR(1 : 1)과 혼합하고, 펄프화, 코팅, 건조 및 기타 절차에 의해 셀레늄 탄소 복합체 캐소드를 수득한다.
(C) 리튬-셀레늄 전지의 조립
상기 제조된 셀레늄 탄소 복합 캐소드, 애노드로서의 리튬 포일, 세퍼레이터로서의 셀가드 다이어프램 및 전해질로서의 EC/DMC 중 1M LiPF6를, 리튬 셀레늄 버튼 셀 전지 및 리튬 셀레늄 파우치-셀 전지로 조립하였다 (도 4).
(D) 리튬-셀레늄 전지 시험
상기 리튬-셀레늄 버튼 셀 전지 및 리튬 셀레늄 파우치-셀 전지에 대해 충전-방전 장치를 사용하여 정전류 충전-방전 시험을 실시한다. 시험 전압 범위는 1.0 내지 3.0 V이며 시험 온도는 25℃이다. 방전 비용량 및 충전-방전 전류 수준은 셀레늄 질량을 기준으로 표준으로 계산된다. 충전-방전 전류는 0.1C 또는 0.05C이다. 리튬 셀레늄 버튼 코인 전지의 충전 및 방전 곡선이 도 2에 나타나 있으며, 구체적인 시험 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리튬 셀레늄 파우치-셀 전지 시험 결과는 도 5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2:
2차원 탄소를 위해 탄화된 원료가 시트르산 나트륨인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실험 조건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전지 시험 결과는 아래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실시예 3:
2차원 탄소를 위해 탄화된 원료가 글루콘산 칼륨인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실험 조건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전지 시험 결과는 아래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실시예 4:
탄소 재료를 위한 고온 탄화 온도는 650℃인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실험 조건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전지 시험 결과는 아래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실시예 5:
건조된 혼합물을 5℃/분으로 300℃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3 시간 동안 침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실험 조건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전지 시험 결과는 아래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실시예 6:
건조된 혼합물을 5℃/분으로 240℃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3 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계속해서 600℃까지 가열하고 이 일정 온도에서 20 시간 동안 침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실험 조건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전지 시험 결과는 아래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실시예 7:
리튬-셀레늄 전지가 리튬 애노드 시트 대신에 리튬화된 흑연 애노드로 구성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실험 조건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전지 시험 결과는 아래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실시예 8:
리튬-셀레늄 전지가 리튬 애노드 시트 대신에 리튬화된 규소 탄소 애노드로 구성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실험 조건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전지 시험 결과는 아래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비교예 1: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원료로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실험 조건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전지 시험 결과는 아래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비교예 2:
단일 단계 배합 방법을 사용하여 셀레늄 및 탄소 복합체를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실험 조건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건조된 셀레늄 탄소 혼합물을 5℃/분으로 500℃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23 시간 동안 침지하여 셀레늄 탄소 복합 재료를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셀레늄 탄소 복합 재료로 제조된 전지의 충전-방전 곡선이 도 3에 나타나 있고, 전지 시험 결과는 아래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표 1은 전지 시험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번호 제1 사이클 방전 용량 (MAh/g) 제1 사이클 쿨롱 효율(%) 50 랩 사이클 후 용량(MAh/g)
실시예 1 1,050 78.1 756
실시예 2 940 74.6 672
실시예 3 962 75.3 683
실시예 4 987 72.1 680
실시예 5 936 73.2 653
실시예 6 972 70 661
실시예 7 836 72.5 580
실시예 8 910 73 600
비교예 1 635 55 350
비교예 2 980 40.8 386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 실시형태의 실례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어떠한 형태로서도 결코 사용되지 않는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밝혀졌지만, 본 발명을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측면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공개된 기술적 내용을 약간 변형 또는 대체하여 본 발명의 균등한 예를 도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본질에 기초하여 임의의 상기 실시형태를 간단히 수정하거나 또는 동등하게 변형 및 수정하여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예들은, 기술적 해법으로서의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8)

  1. (a) 소성된 유기 염(calcined organic salt), 셀레늄, 및 용매의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a) 단계에 이어, 상기 혼합물로부터 상기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 및
    (c) (b) 단계에 이어, 상기 (b) 단계의 용매 증발된 혼합물에 다단계 가열 승온(multistage heat ramping) 및 침지(soaking) 공정을 수행하여 셀레늄 탄소 복합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된 유기 염은 pH 중성(pH neutral)인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된 유기 염은 소성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유기 염인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유기 염은 pH 중성인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유기 용매인 방법.
  6. 제 1항의 셀레늄 탄소 복합 재료;
    리튬-함유 애노드;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7. 제 6항에 있어서,
    0.1C 충방전 전류에 대해, 비용량(specific capacity) ≥ 500mAh/g인 배터리 셀.
  8. 제 7항에 있어서,
    1.8V 이상의 전압에서, 비용량 ≥ 500mAh/g인 배터리 셀.
KR1020197030772A 2015-09-22 2016-09-14 탄소 - 셀레늄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2176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7031615A KR102407594B1 (ko) 2015-09-22 2016-09-14 탄소 - 셀레늄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608018.4A CN105070892B (zh) 2015-09-22 2015-09-22 一种硒碳复合物的制备方法及应用
CN201510608018.4 2015-09-22
US15/262,407 2016-09-12
US15/262,407 US10340507B2 (en) 2015-09-22 2016-09-12 Method of preparing and application of carbon selenium composites
PCT/US2016/051653 WO2017053144A1 (en) 2015-09-22 2016-09-14 Method of preparing and application of carbon-selenium composit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061A Division KR102043435B1 (ko) 2015-09-22 2016-09-14 탄소 - 셀레늄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615A Division KR102407594B1 (ko) 2015-09-22 2016-09-14 탄소 - 셀레늄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872A true KR20190121872A (ko) 2019-10-28
KR102176145B1 KR102176145B1 (ko) 2020-11-10

Family

ID=5450021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097A KR20220084182A (ko) 2015-09-22 2016-09-14 탄소 - 셀레늄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20187010061A KR102043435B1 (ko) 2015-09-22 2016-09-14 탄소 - 셀레늄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20207031615A KR102407594B1 (ko) 2015-09-22 2016-09-14 탄소 - 셀레늄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20197030772A KR102176145B1 (ko) 2015-09-22 2016-09-14 탄소 - 셀레늄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097A KR20220084182A (ko) 2015-09-22 2016-09-14 탄소 - 셀레늄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20187010061A KR102043435B1 (ko) 2015-09-22 2016-09-14 탄소 - 셀레늄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20207031615A KR102407594B1 (ko) 2015-09-22 2016-09-14 탄소 - 셀레늄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340507B2 (ko)
EP (2) EP3353841B1 (ko)
JP (1) JP6675000B2 (ko)
KR (4) KR20220084182A (ko)
CN (1) CN105070892B (ko)
CA (3) CA3080584C (ko)
WO (1) WO20170531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4638B2 (en) 2015-09-22 2020-08-04 Ii-Vi Delaware, Inc. Immobilized selenium, a method of making, and uses of immobilized selenium in a rechargeable battery
US11784303B2 (en) 2015-09-22 2023-10-10 Ii-Vi Delaware, Inc. Immobilized chalcogen and use thereof in a rechargeable battery
US11588149B2 (en) 2015-09-22 2023-02-21 Ii-Vi Delaware, Inc. Immobilized selenium in a porous carbon with the presence of oxygen, a method of making, and uses of immobilized selenium in a rechargeable battery
CA3012863C (en) * 2016-02-17 2023-05-23 Ii-Vi Incorporated Immobilized selenium, a method of making, and uses of immobilized selenium in a rechargeable battery
KR102172848B1 (ko) * 2017-02-07 2020-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수명에 적합한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US11870059B2 (en) 2017-02-16 2024-01-09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Csic) Immobilized selenium in a porous carbon with the presence of oxygen, a method of making, and uses of immobilized selenium in a rechargeable battery
CN109103500B (zh) * 2017-06-20 2020-05-26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聚合物锂硒电池及其制备方法
CN109360959B (zh) * 2018-10-12 2021-07-27 中南大学 一种碳硒材料及其制备方法和在储能器件中的应用
CN109485867A (zh) * 2018-11-23 2019-03-19 重庆文理学院 一种金属有机骨架化合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11384368A (zh) * 2018-12-28 2020-07-07 湖南农业大学 一种碳硒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在锂硒电池中的应用
CN109817881B (zh) * 2019-01-22 2021-08-17 陕西科技大学 一种铜箔负载钠离子电池负极材料的制备方法以及应用
DE112020000025T5 (de) * 2019-02-08 2021-01-28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Csic) Immobilisiertes selen in einem porösen kohlenstoff mit der anwesenheit von sauerstoff und verwendungen in einer wiederaufladbaren batterie
CN110416495A (zh) * 2019-06-26 2019-11-05 广东工业大学 一种cnf-金属化合物独立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492170A (zh) * 2019-08-30 2019-11-22 电子科技大学 一种高离子电导率复合固体电解质及其制备方法
CA3107294A1 (en) * 2020-02-07 2021-08-07 Ii-Vi Delaware, Inc. Immobilized selenium in a porous carbon with the presence of oxygen, a method of making, and uses of immobilized selenium in a rechargeable battery
CN111834625B (zh) * 2020-08-25 2021-09-03 中南大学 一种硒复合正极材料、其制备方法及其全固态锂硒电池
CN113121286B (zh) * 2021-05-13 2024-02-23 扬州盈稼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富硒液肥和富硒大米的种植方法
CN113809292B (zh) * 2021-08-25 2022-12-27 福建师范大学 一种硒化锡-掺硒聚丙烯腈复合物钾离子电池负极材料的制备方法和应用
CN114050266B (zh) * 2021-11-23 2023-06-23 珠海鹏辉能源有限公司 二硫化硒复合氮掺杂还原氧化石墨烯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锂-二硫化硒电池和涉电设备
CN114873632B (zh) * 2022-04-24 2023-09-22 湖北大学 一种双三氟甲磺酰亚胺锂/沸石咪唑酯骨架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864904B (zh) * 2022-05-27 2024-01-12 山东海科创新研究院有限公司 一种硒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锂硒电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7559A (zh) * 2013-03-04 2013-07-03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硒-微孔载体复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CN103332688A (zh) * 2013-07-16 2013-10-02 中国科学院山西煤炭化学研究所 一种由有机酸金属盐合成石墨烯的方法
CN104201349A (zh) * 2014-08-13 2014-12-10 东南大学 一种具有多孔结构的硒碳电极材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US20150064575A1 (en) * 2013-09-03 2015-03-05 Hui He Lithium-Selenium secondary batteries having non-flammable electrolyte
KR20150104314A (ko) * 2014-03-05 2015-09-1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셀레늄으로 도핑된 그래핀 나노시트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8055A (en) 1943-01-05 1947-09-30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Composite selenium electrode
US20110223487A1 (en) * 2007-08-29 2011-09-15 Excellatron Solid State Llc Electrochemical cell with sintered cathode and both solid and liquid electrolyte
CN101939862B (zh) * 2008-01-08 2014-03-12 赛昂能源有限公司 多孔电极以及相关联的方法
CN101740231B (zh) * 2010-01-12 2012-01-11 山东理工大学 一种超级电容器用介孔炭电极材料的制备方法
US20110250506A1 (en) * 2010-04-09 2011-10-13 Panasonic Corporatio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5589821B2 (ja) * 2010-12-20 2014-09-17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蓄電デバイス及び電極活物質の製造方法
CN102078816A (zh) * 2010-12-23 2011-06-01 西北师范大学 硒/碳复合材料及制备和在制备燃料电池催化剂中的应用
US9005808B2 (en) * 2011-03-01 2015-04-14 Uchicago Argonne, Llc Electrode materials for rechargeable batteries
JP6004274B2 (ja) * 2012-03-19 2016-10-05 国立大学法人横浜国立大学 アルカリ金属−硫黄系二次電池
CN103178246B (zh) * 2013-03-04 2015-05-06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硒-介孔载体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3700820B (zh) * 2014-01-07 2016-06-22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长寿命锂离子硒电池
US10084204B2 (en) 2014-07-21 2018-09-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olyte solution and sulfur-based or selenium-based batteries including the electrolyte solution
CN104201389B (zh) 2014-08-20 2016-07-06 中南大学 一种锂硒电池正极的制备方法
CN104393304B (zh) 2014-11-13 2017-08-25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锂硒电池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以及锂硒电池
CN104617299A (zh) 2014-12-31 2015-05-13 山东玉皇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二次电池正极硫硒二元材料及制备方法
CN104733677A (zh) 2015-03-25 2015-06-24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锂-硒电池及其制备技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7559A (zh) * 2013-03-04 2013-07-03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硒-微孔载体复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CN103332688A (zh) * 2013-07-16 2013-10-02 中国科学院山西煤炭化学研究所 一种由有机酸金属盐合成石墨烯的方法
US20150064575A1 (en) * 2013-09-03 2015-03-05 Hui He Lithium-Selenium secondary batteries having non-flammable electrolyte
KR20150104314A (ko) * 2014-03-05 2015-09-1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셀레늄으로 도핑된 그래핀 나노시트
CN104201349A (zh) * 2014-08-13 2014-12-10 东南大学 一种具有多孔结构的硒碳电极材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34727A (ja) 2018-11-22
US20170084908A1 (en) 2017-03-23
CA3080584A1 (en) 2017-03-30
EP4040556A1 (en) 2022-08-10
US20190280285A1 (en) 2019-09-12
US10340507B2 (en) 2019-07-02
KR102043435B1 (ko) 2019-11-12
CN105070892B (zh) 2018-03-06
CA3081045A1 (en) 2017-03-30
KR20200130471A (ko) 2020-11-18
CA2999468A1 (en) 2017-03-30
KR20180045025A (ko) 2018-05-03
EP3353841A4 (en) 2019-06-05
EP4040556B1 (en) 2024-03-20
WO2017053144A1 (en) 2017-03-30
CN105070892A (zh) 2015-11-18
CA3080584C (en) 2023-10-31
EP3353841A1 (en) 2018-08-01
JP6675000B2 (ja) 2020-04-01
EP3353841B1 (en) 2022-05-18
KR102407594B1 (ko) 2022-06-10
KR20220084182A (ko) 2022-06-21
US11843109B2 (en) 2023-12-12
KR102176145B1 (ko) 2020-11-10
CA2999468C (en)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6145B1 (ko) 탄소 - 셀레늄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1982790B1 (ko) 다층 구조의 리튬 금속 산화물들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양극
KR101666871B1 (ko)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09704302B (zh) 一种磷掺杂多孔碳材料及其制备和在锂硫电池用涂层隔膜中的应用
US20180034029A1 (en) Composite separat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lithium-ion battery
CN113659146B (zh) 钾镧硅三元共掺杂磷酸钒钠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835104A (zh) 氮掺杂碳纳米片的制备方法和负极活性材料及双离子电池
KR20140070259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416064B1 (ko) 음극 활물질, 그를 갖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0611084A (zh) 一种具有长循环寿命和100%库伦效率的锂硫二次电池
RU2454755C1 (ru) Катодная смесь с улучшенной эффективностью и удельной энергией электрода
KR101841113B1 (ko) 표면에 이온화된 금속이 코팅되어 있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66872B1 (ko)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11384368A (zh) 一种碳硒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在锂硒电池中的应用
KR101957233B1 (ko)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101614986B1 (ko) 리튬 공기 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및 리튬 공기 전지용 양극
CN117510762A (zh) 一种共价有机框架材料及应用和锂金属负极的保护方法及锂负极和锂电池
CN112397771A (zh) 一种固态电解质膜及其制备方法和在固态锂硫电池中的应用
CN117174836A (zh) 一种锂离子电池氧化亚硅负极的预镁化中间缓冲层
KR20140102918A (ko)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이것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JP2007165285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それを備えたリチウム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