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064B1 - 음극 활물질, 그를 갖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음극 활물질, 그를 갖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064B1
KR101416064B1 KR1020130076940A KR20130076940A KR101416064B1 KR 101416064 B1 KR101416064 B1 KR 101416064B1 KR 1020130076940 A KR1020130076940 A KR 1020130076940A KR 20130076940 A KR20130076940 A KR 20130076940A KR 101416064 B1 KR101416064 B1 KR 101416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mmonia
active material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2132A (ko
Inventor
김영준
조용남
박민식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30082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 활물질, 그를 갖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탄소계 재료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하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의 수명특성과 고율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 활물질은 탄소계 재료와,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암모니아계 화합물로 열처리하여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한다. 이때 코팅층은, 탄소계 재료 대비 10 중량% 이하의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이용한 열분해 방식으로 탄소계 재료의 표면을 열처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소계 재료의 표면을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이용하여 열처리함으로써,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서 전해질과의 부반응을 억제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리튬이차전지의 수명특성 및 고율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극 활물질, 그를 갖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Anode active material,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anode activ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 적용되는 탄소계 재료를 암모니아계 화합물의 열분해 방식으로 표면처리를 수행하여 표면에서 전해질과의 부반응을 억제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리튬이차전지의 수명특성 및 고율특성을 향상시킨 암모니아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음극 활물질, 그를 갖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의 소형 전기 전자기기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니켈수소전지나 리튬이차전지라고 하는 신형의 이차전지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중 리튬이차전지는 금속 리튬을 음극 활물질로 하며 비수용매를 전해액으로 사용하는 전지이다. 리튬이 매우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이기 때문에 고전압 발현이 가능하여 에너지 밀도가 높은 전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리튬메탈을 음극 활물질로 하는 리튬이차전지는, 차세대전지로서 장기간에 걸쳐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금속 리튬이 음극 활물질로 적용된 리튬이차전지는 충방전이 반복됨에 따라 음극으로부터 리튬이 dendrite로 성장하여 절연체인 분리막을 관통해 양극과 단락이 일어나 전지가 동작 불능이 되어 사이클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음극의 열화에 의해 사이클 수명이 짧아지는 리튬이차전지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음극 활물질로서 금속리튬이 아니라 리튬 이온을 삽입/탈리할 수 있는 탄소계 재료를 음극 활물질로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탄소계 재료를 이용해 음극을 구성한 리튬이차전지에서는 충방전 시 음극에서의 반응이 리튬 이온이 탄소의 층간으로 탈삽입하는데, 충전 시에는 음극의 탄소질재료에 전자가 이송되어 탄소는 음전하를 띠게 됨으로써, 양극에 삽입되어 있던 리튬이온이 탈리하여 음극의 탄소질재료에 삽입되며, 반대로 방전 시 음극의 탄소계 재료에 삽입되어 있던 리튬 이온이 탈리되어 다시 양극에 삽입된다. 이러한 기구를 이용하는 것으로 음극에서의 금속 리튬의 석출을 막을 수 있어 사이클 수명이 양호한 리튬이차전지를 실현할 수 있었다.
이 탄소계 재료를 음극 활물질로 이용한 리튬이차전지가 실용화되어 이를 리튬이온이차전지라 하며, 휴대용의 전자·통신기기 등의 전원용으로 보급해 오고 있는 것은 알려진 바와 같다. 그러나 탄소계 재료를 음극 활물질로 적용할 경우 리튬의 충방전 전위가 기존 비수계 전해질의 안정한 범위보다 낮아 충방전 시 전해질의 분해반응이 일어나게 되며, 이는 탄소계 재료를 음극에 적용한 현재의 리튬이차전지의 낮은 초기 충방전 효율과 수명특성 열화 그리고 고율특성 저하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탄소질재료를 적용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의 장수명특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VC, FEC 등의 기존 카보네이트계 전해질보다 분해전위가 높은 전해질 첨가제를 이용하여 탄소계 음극 활물질의 표면을 안정화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해질 첨가제는 수명특성은 향상시키지만 고율특성 및 충방전 효율의 저하 문제는 해결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해질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 탄소계 재료의 표면을 개질하며 표면의 반응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 적용 시 충방전 효율 및 고율 특성의 열화 없이 장수명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암모니아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음극 활물질, 그를 갖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탄소계 재료에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열분해 방식으로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탄소계 재료와, 상기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암모니아계 화합물로 열처리하여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암모니아계 화합물은 (NH4)xMyNz의 화학식으로 표시된다. 상기 화학식에서 M은 B, P, Al, N, S, Mo, Mn, Pt 또는 Cr이다. N은 F, O, Cl 또는 I 이다. 그리고 1≤x≤3, 0≤y≤2, 1≤z≤8(x, y, z는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탄소계 재료 대비 10 중량% 이하의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이용한 열분해 방식으로 열처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에 있어서, 상기 암모니아계 화합물은 NH4F, NH4BF4, NH4PF6, NH4AlF6, NH4NO2, NH4NO3, NH4ClO3, NH4ClO4, (NH4)2SO3, (NH4)2SO4, (NH4)2CO3, (NH4)2MoO4, (NH4)2PO4, NH4PO3, NH4MnO4, (NH4)2Cr2O7, NH4SO4, (NH4)2MnSO4, (NH4)2S2O8, NH4Cl, (NH4)PtCl6 또는 NH4I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재료는 인조흑연, 천연흑연, 흑연화탄소 섬유, 흑연화 메조카본마이크로비드, 석유코크스, 수지소성체, 탄소섬유 및 열분해 탄소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된 음극 활물질을 갖는 음극을 포함하는 비수계 리튬이자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탄소계 재료와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준비하는 준비 단계, 및 상기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이용하여 상기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형성 단계는, 상기 탄소계 재료와 상기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을 형성하는 용해 단계, 상기 용액의 탄소계 재료와 상기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혼합 단계, 상기 용액을 진공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 및 상기 건조 단계에서 건조된 건조물을 열분해 방식으로 열처리하여 상기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상기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기반으로 한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형성 단계는, 상기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을 형성하는 용해 단계, 상기 용액을 상기 탄소계 재료에 분사하는 분사 단계, 및 상기 용액이 분사된 상기 탄소계 재료를 열처리하여 상기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상기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기반으로 한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형성 단계는, 상기 탄소계 재료와 상기 암모니아계 화합물의 분말을 혼합하는 혼합 단계, 및 상기 탄소계 재료와 상기 암모니아계 화합물이 혼합된 분말을 열처리하여 상기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상기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기반으로 한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 상기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구성하는 암모니아는 열처리에 의해 제거되고 그 외 무기물이 상기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상기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는 200 내지 3000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탄소계 재료에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열분해 방식으로 표면처리를 수행하여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층에 의해 표면의 부반응이 감소 될 뿐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 활물질은 전해액과의 친화성이 향상되어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의 수명특성과 고율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한 표면처리 공정으로 인하여 음극 활물질의 생산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모니아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음극 활물질의 표면 처리 온도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의 수명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의 의 고율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은 탄소계 재료와,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암모니아계 화합물로 열처리하여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탄소계 재료는 인조흑연, 천연흑연, 흑연화탄소 섬유, 흑연화 메조카본마이크로비드, 석유코크스, 수지소성체, 탄소섬유, 열분해 탄소 등의 비정질 탄소로 이루어진 물질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코팅층은 탄소계 재료 대비 10 중량% 이하의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이용한 열분해 방식으로 탄소계 재료의 표면을 열처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열분해 방식으로 열처리하는 과정에서,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구성하는 암모니아는 제거되고 그 외 무기물이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한다. 이때 암모니아계 화합물은 아래의 화학식1로 표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3059354891-pat00001
화학식1에서 M은 B, P, Al, N, S, Mo, Mn, Pt 또는 Cr이다. N은 F, O, Cl 또는 I 이다. 그리고 1≤x≤3, 0≤y≤2, 1≤z≤8(x, y, z는 정수)이다.
예컨대 암모니아계 화합물은 NH4F, NH4BF4, NH4PF6, NH4AlF6, NH4NO2, NH4NO3, NH4ClO3, NH4ClO4, (NH4)2SO3, (NH4)2SO4, (NH4)2CO3, (NH4)2MoO4, (NH4)2PO4, NH4PO3, NH4MnO4, (NH4)2Cr2O7, NH4SO4, (NH4)2MnSO4, (NH4)2S2O8, NH4Cl, (NH4)PtCl6 또는 NH4I일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코팅층은 열처리되는 암모니아계 화합물의 양에 따라 탄소계 재료의 표면 전체에 균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탄소계 재료의 표면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 활물질은 탄소계 재료의 표면을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이용하여 열처리하여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서 전해질과의 부반응을 억제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본 발명에 따른 음극 활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리튬이차전지의 수명특성 및 고율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암모니아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모니아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은 탄소계 재료와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준비하는 준비 단계(S11)와,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S13~S19)를 포함한다.
먼저 S11단계에서 탄소계 재료와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준비한다. 이때 탄소계 재료로는 평균입자 크기는 15㎛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암모니아계 화합물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사용한다.
다음으로 S13단계에서 탄소계 재료 및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물에 용해시켜 수용액을 형성한다. 이때 용매로는 물을 사용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알코올 등과 같은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S15단계에서 수용액의 탄소계 재료와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때 S15단계에 따른 혼합 단계는 5분 정도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S17단계에서 수용액을 진공 건조시킨다. 예컨대 S17단계에 따른 진공 건조는 120도에서 6~12시간 정도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S17단계에서 건조된 건조물은, S19단계에서 열분해 방식으로 열처리하여 암모니아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탄소계 재료인 본 발명에 따른 음극 활물질을 형성한다. 즉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열분해 방식으로 열처리하는 과정에서,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구성하는 암모니아는 제거되고 그 외 무기물이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한다. 이때 S19단계에 따른 열처리 단계는 200 내지 3000도에서 1시간 이상 비활성 분위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열처리 단계는 승온 온도가 10℃/min, Ar 또는 N2 분위기에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형성 단계(S13~S19)는 탄소계 재료와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수용액 상태로 형성한 다음, 진공 건조를 거쳐 열처리하여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을 형성한 다음, 그 용액을 탄소계 재료에 분사한 후, 용액이 분사된 탄소계 재료를 열처리하여 코팅층을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탄소계 재료와 암모니아계 화합물의 분말을 혼합한 후, 혼합된 분말을 열처리하여 코팅층을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즉 건식 방법으로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며, 이때 열처리는 비활성 분위기에서 진행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진공 분위기 또는 산화성 분위기에서 진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 활물질을 적용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의 수명특성 및 고율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비수계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실시예의 경우, 음극 활물질로 암모니아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탄소계 재료를 사용하였다. 비교예의 경우, 음극 활물질로 암모니아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되지 않은 탄소계 재료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음극 활물질을 제외하면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의 제조는 동일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실시예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음극 활물질 96 wt%와 도전제 Super-P 2 wt%, 결착제 SBR과 증점제 CMC를 2 wt%로 하여, 물을 용매로 슬러리(slurry)를 제조하였다. 이 슬러리를 두께 20㎛의 구리 포일(Cu foil)에 도포하여 건조 후 프레스로 압밀화시켜, 진공상에서 120℃로 16시간 건조해 직경 12 mm의 원판으로 전극을 제조하였다. 상대극으로는 직경 12 mm로 펀칭(punching)을 한 리튬금속박을, 분리막으로는 PP 필름을 사용하였다. 전해액으로는 1M의 LiPF6의 EC/DME를 3:7로 배합한 혼합 용액을 사용하였다. 전해액을 분리막에 함침시킨 후, 이 분리막을 작용극과 상대극 사이에 끼운 후 서스(SUS) 제품의 케이스를 전극 평가용 시험 셀, 즉 비수계 리튬이차전지로 제조하였다.
이때 탄소계 재료는 인조흑연, 천연흑연, 흑연화탄소 섬유, 흑연화 메조카본마이크로비드, 석유코크스, 수지소성체, 탄소섬유, 열분해 탄소 등의 비정질 탄소로 이루어진 물질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암모니아계 화합물은 NH4F, NH4BF4, NH4PF6, NH4AlF6, NH4NO2, NH4NO3, NH4ClO3, NH4ClO4, (NH4)2SO3, (NH4)2SO4, (NH4)2CO3, (NH4)2MoO4, (NH4)2PO4, NH4PO3, NH4MnO4, (NH4)2Cr2O7, NH4SO4, (NH4)2MnSO4, (NH4)2S2O8, NH4Cl, (NH4)PtCl6 또는 NH4I일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암모니아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탄소계 재료는 카보네이트계 전해질을 사용하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암모니아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탄소계 음극 활물질은 0 V ~ 5 V 이하의 전압 영역에서 구동되는 비수계 전해질이 적용된 리튬이차전지에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음극 극판의 제작은 암모니아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음극 활물질의 분말에, 필요에 따라서, 도전제, 결착제, 필러, 분산제, 이온 도전제, 압력 증강제 등과 통상 이용되고 있는 l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 성분을 첨가해, 적당한 용매(유기용매)에 의해 슬러리 내지 페이스트(paste)화 한다. 이렇게 얻은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를 전극 지지 기판에 닥터 플레이드법 등을 이용해 도포 및 건조한 후, 압연 롤 등으로 프레스한 것을 음극 극판으로서 사용한다.
이때 도전제로는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Ketjen Black, 탄소섬유, 금속가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결착제로는 PVdF,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극 지지 기판('집전체'라고도 함)은, 동, 니켈, 스텐레스 강철, 알루미늄 등의 박, 시트 혹은 탄소섬유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음극을 이용하여 리튬이차전지를 제작한다. 리튬이차전지의 형태는 코인, 버튼, 시트, 원통형, 각형 등 어느 것이라도 좋다.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전해질, 분리막 등은 기존 리튬이차전지에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양극 활물질은 리튬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 할 수 있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양극 활물질의 대표적인 예로는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또는 LiNi1-x-yCo xMyO2(0 ≤ x ≤ 1, 0 ≤ y ≤ 1, 0 ≤ x+y ≤ 1, M은 Al, Sr, Mg, La 등의 금속)와 같은 리튬-전이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한 양극 활물질 중 l종 혹은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양극 활물질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해액은 유기용매에 리튬염을 용해시킨 비수계 전해액, 무기 고체 전해질, 무기 고체 전해질의 복합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비수계 전해액의 용매로서는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또는 케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PC),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PC), 메틸에틸 카보네이트(ME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에스테르로는 부티로락톤(BL), 데카놀라이드(decanolide), 발레로락톤(valerolactone), 메발로노락톤(mevalonolactone), 카프로락톤(caprolactone), n-메틸 아세테이트, n-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에테르로는 디부틸 에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케톤으로는 폴리메틸비닐 케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수계 전해액은 비수성 유기용매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수계 전해액의 리튬염의 예로서는, LiPF6, LiBF4, LiSbF6, LiAsF6, LiClO4, LiCF3SO3, LiN(CF3SO2)2, LiN(C2F5SO2)2, LiAlO4, LiAlCl4, LiN(CxF2x+1SO2)(CyF2x+1SO2)(여기서, x 및 y는 자연수임) 및 LiSO3CF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그리고 분리막으로는 PP 또는 PE 등의 폴리올레핀(Polyolefin)으로부터 제조되는 다공성 필름이나, 부직포 등의 다공성재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
비교예에서는,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이용한 표면처리를 하지 않는 탄소계 재료로 평균입자 크기가 15㎛ 이하인 천연흑연을 음극 활물질로 사용했다.
실시예1에서는, NH4F 3wt%를 Ar 분위기, 400℃에서 표면 처리한 균입자 크기가 15 ㎛ 이하인 천연흑연을 음극 활물질로 사용했다.
실시예2에서는, NH4BF4 3wt%를 Ar 분위기, 400℃에서 표면 처리한 균입자 크기가 15 ㎛ 이하인 천연흑연을 음극 활물질로 사용했다.
실시예3에서는, NH4PF6 3wt%를 Ar 분위기, 400℃에서 표면 처리한 균입자 크기가 15 ㎛ 이하인 천연흑연을 음극 활물질로 사용했다.
실시예4에서는, NH4SO4 3wt%를 Ar 분위기, 400℃에서 표면 처리한 균입자 크기가 ~15 ㎛ 인 천연흑연을 음극 활물질로 사용했다.
실시예5에서는, NH4PF6 3wt%를 Ar 분위기, 800℃에서 표면 처리한 균입자 크기가 15 ㎛ 이하인 천연흑연을 음극 활물질로 사용했다.
그리고 실시예6에서는, NH4SO4 3wt%를 Ar 분위기, 800℃에서 표면 처리한 균입자 크기가 15 ㎛ 이하인 천연흑연을 음극 활물질로 사용했다.
비교예 및 실시예1 내지 6에 따른 음극 활물질을 정리하면 표1과 같다.
탄소계 재료 표면처리
소스
표면처리 양
(wt%)
표면처리 온도
(℃)
비교예 천연흑연 (~15㎛) - 0 -
실시예 1 천연흑연 (~15㎛) NH4F 3 300
실시예 2 천연흑연 (~15㎛) NH4BF4 3 400
실시예 3 천연흑연 (~15㎛) NH4PF6 3 400
실시예 4 천연흑연 (~15㎛) NH4SO4 3 400
실시예 5 천연흑연 (~15㎛) NH4PF6 3 800
실시예 6 천연흑연 (~15㎛) NH4SO4 3 800
먼저 사용된 암모니아계 화합물의 종류 및 표면 처리 온도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의 수명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비교예와, 실시예1 내지 6의 음극 활물질이 적용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을 수행하였다. 즉 비교예와, 실시예1 내지 6의 음극 활물질이 적용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를 0.2C(72 mA/g)의 전류로 3 cycle 충방전을 실시하고, 이어서 0.5C (180 mA/g)의 전류로 50 cycle 동안 충방전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 및 도 3과 같다. 도 2 및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암모니아계 화합물이 표면 처리된 실시예1 내지 6이 비교예에 비해 수명특성이 향상되었다.
다음으로 표면처리 온도에 따른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의 수명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도 2 및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표면 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수명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사용된 암모니아계 화합물의 종류에 따른 표면 처리가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의 고율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비교예와, 실시예1 내지 3의 음극 활물질이 적용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을 수행하였다. 즉 비교예와, 실시예1 내지 3의 음극 활물질이 적용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를 0.2C(72 mA/g)의 전류로 1 cycle 충방전을 실시한다. 이어서 충전은 0.5C(180 mA/g)의 전류로 고정하고, 0.2C(72 mA/g), 0.5C(180 mA/g), 1C(360 mA/g), 2C(720 mA/g), 3C(1080 mA/g), 5C(1800 mAh/g)의 전류로 방전을 각각 3 초씩 수행한다. 그리고 다시 0.2C (72 mA/g)의 전류로 각각 2 cycle씩 충방전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4와 같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표면처리 후 고율특성 또한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암모니아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에 의해 형성된 천연흑연 표면에 형성된 코팅층이 전해질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부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천연흑연 표면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암모니아계 화합물로 표면처리 된 음극 활물질이 적용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의 수명특성과 출력 특성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NH4BF4, NH4PF6 및 NH4SO4 중 하나의 암모니아계 화합물과 탄소계 재료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
    상기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상기 암모니아계 화합물로 열처리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는 형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형성 단계는,
    상기 탄소계 재료와 상기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을 형성하는 용해 단계;
    상기 용액의 탄소계 재료와 상기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혼합 단계;
    상기 용액을 진공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
    상기 건조 단계에서 건조된 건조물을 열분해 방식으로 열처리하여 상기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상기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기반으로 한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열처리 단계는 비활성 분위기에서 10℃/min 승온하면서 400℃ 초과, 800℃ 이하의 열처리 온도에서 수행하고, 열처리 온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음극 활물질을 이용한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의 수명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에서
    상기 진공 건조는 120℃에서 6~12시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재료는 인조흑연, 천연흑연, 흑연화탄소 섬유, 흑연화 메조카본마이크로비드, 석유코크스, 수지소성체, 탄소섬유 및 열분해 탄소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균일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
    상기 탄소계 재료 대비 10 중량% 이하의 상기 암모니아계 화합물을 구성하는 암모니아는 열처리에 의해 제거되고, 그 외 무기물이 상기 탄소계 재료의 표면에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11. 삭제
KR1020130076940A 2010-09-16 2013-07-02 음극 활물질, 그를 갖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16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296 2010-09-16
KR20100091296 2010-09-1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711A Division KR20120029314A (ko) 2010-09-16 2011-05-04 음극 활물질, 그를 갖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132A KR20130082132A (ko) 2013-07-18
KR101416064B1 true KR101416064B1 (ko) 2014-07-07

Family

ID=4613383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711A KR20120029314A (ko) 2010-09-16 2011-05-04 음극 활물질, 그를 갖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10077357A KR101316638B1 (ko) 2010-09-16 2011-08-03 음극 활물질, 그를 갖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30076940A KR101416064B1 (ko) 2010-09-16 2013-07-02 음극 활물질, 그를 갖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711A KR20120029314A (ko) 2010-09-16 2011-05-04 음극 활물질, 그를 갖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10077357A KR101316638B1 (ko) 2010-09-16 2011-08-03 음극 활물질, 그를 갖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932763B2 (ko)
KR (3) KR20120029314A (ko)
CN (2) CN1031094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558A (ko) 2015-07-08 2017-01-19 전자부품연구원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77987B1 (ko) * 2015-10-12 2020-11-1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바나듐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용 카본 펠트, 및 그의 제조방법
CN108110232B (zh) * 2017-12-06 2020-05-15 成都新柯力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硬碳负极的表面处理方法
CN110767905A (zh) * 2019-10-21 2020-02-07 大同新成新材料股份有限公司 基于碳基复合材料的电池阳极材料及其智能制备方法
WO2023096052A1 (ko) * 2021-11-26 2023-06-0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3153572A1 (ko) * 2022-02-09 2023-08-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24043374A1 (ko) * 2022-08-26 2024-02-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3602A (ja) * 2000-06-29 2002-03-22 Sony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528019A (ja) * 2000-02-25 2003-09-24 ハイドロ−ケベック 天然グラファイトの表面精製および粉砕および粒度分布に及ぼす不純物の効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33293T2 (de) * 1996-05-27 2006-02-02 Sanyo Electric Co., Ltd., Moriguchi Kohlenstoffelektrode und Batterie mit nichtwässrigen Elektrolyten
CN1526178A (zh) * 2001-05-15 2004-09-01 Fdk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及其正极材料的制造方法
US7455933B2 (en) * 2002-11-06 2008-11-25 Kabushiki Kaisha Toshib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TWI286849B (en) * 2003-03-25 2007-09-11 Nichia Corp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4626141B2 (ja) 2003-10-20 2011-02-02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0540181B1 (ko) * 2004-06-03 2006-01-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차전지의 전극활물질용 탄소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DE102005011940A1 (de) * 2005-03-14 2006-09-21 Deguss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schichteten Kohlenstoffpartikel und deren Verwendung in Anodenmaterialien für Lithium-Ionenbatterien
CN1326267C (zh) * 2005-05-27 2007-07-11 深圳市贝特瑞电子材料有限公司 锂离子电池复合碳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701532B1 (ko) * 2005-06-21 2007-03-29 대정화금주식회사 불소화합물이 첨가된 리튬이차전지 양극 활물질 및 그제조방법
KR100873578B1 (ko) * 2005-12-06 2008-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고용량 음극활물질
KR100989901B1 (ko) * 2007-05-07 2010-10-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이 방법으로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리튬 이차 전지
CN101585528A (zh) * 2008-05-20 2009-11-25 中钢碳素化学股份有限公司 锂离子电池负极材料的制备方法及其产物
JP2010018849A (ja) * 2008-07-10 2010-01-28 Permelec Electrode Ltd 三フッ化窒素の電解合成方法
KR20100007236A (ko) * 2008-07-11 2010-01-22 주식회사 에너세라믹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8019A (ja) * 2000-02-25 2003-09-24 ハイドロ−ケベック 天然グラファイトの表面精製および粉砕および粒度分布に及ぼす不純物の効果
JP2002083602A (ja) * 2000-06-29 2002-03-22 Sony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09403B (zh) 2015-11-25
CN103140968B (zh) 2016-01-20
CN103140968A (zh) 2013-06-05
US8932763B2 (en) 2015-01-13
KR20130082132A (ko) 2013-07-18
KR20120029318A (ko) 2012-03-26
US20130177815A1 (en) 2013-07-11
US20130157139A1 (en) 2013-06-20
KR101316638B1 (ko) 2013-10-18
KR20120029314A (ko) 2012-03-26
CN103109403A (zh)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1918B1 (en) Pre-lithiation method for anode for secondary battery
CN112313819B (zh) 制造用于锂二次电池的负极的方法和制造锂二次电池的方法
KR101416064B1 (ko) 음극 활물질, 그를 갖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66871B1 (ko)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283962B1 (ko)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42649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520138B1 (ko)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
KR20190030345A (ko) 이차전지용 음극의 전리튬화 방법
CN112335073A (zh) 用于锂二次电池的负极、预锂化所述负极的方法和包括所述负极的锂二次电池
KR20190141915A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EP3793009A1 (en) Lithium composit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negative electrode comprising sam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KR20150083382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093242B1 (ko) 리튬 이차전지용 혼합 음극재 및 이를 포함하는 고출력리튬 이차전지
KR100873578B1 (ko) 이차 전지용 고용량 음극활물질
KR20190090723A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KR100635735B1 (ko)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072068B1 (ko) 이차 전지
US20100227210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90037119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활물질 복합체 및 상기 전극 활물질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1115390B1 (ko) 리튬 이차전지용 혼합 음극재 및 이를 포함하는 고출력 리튬 이차전지
EP3121883B1 (en) Electrode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1895902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2036372A2 (ko) 음극 활물질, 그를 갖는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EP354642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egative active material, and negative active material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CN116365011A (zh) 锂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