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598A -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598A
KR20190039598A KR1020197008638A KR20197008638A KR20190039598A KR 20190039598 A KR20190039598 A KR 20190039598A KR 1020197008638 A KR1020197008638 A KR 1020197008638A KR 20197008638 A KR20197008638 A KR 20197008638A KR 20190039598 A KR20190039598 A KR 20190039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oner
coupling
cartridge
vibration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노부 히라야마
타카히토 우에노
토시아키 타케우치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9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4Arrangements for purging used developer from the develop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카트리지는, 감광체와, 감광체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장치 본체에 설치된 풀기 부재를 향해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출구와, 풀기 부재에 진동을 가하도록 구성된 진동 부여 부재를 가진다. 진동 부여 부재는, 풀기 부재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제1 위치와, 제1 위치로부터 퇴피한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에 관련되는 회전체로서의 감광체 드럼이나 현상 롤러 등의 요소를 카트리지로서 일체화하여,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유지 관리가 필요한 부재의 유지 관리를 필요로 한다. 이 각종 프로세스 수단의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감광체 드럼, 대전 수단, 현상 수단, 클리닝 수단 등을 프레임 내에 정리하여 카트리지화한다. 그리고, 이 카트리지를 화상형성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지 관리가 용이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 방식의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 시의 클리닝 공정에서 발생하는 전사 잔류 토너(이하, 폐토너라고 한다)를, 카트리지 내에 유지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특개2014-52475호 공보에는, 화상 형성 시의 클리닝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토너를 장치 본체에 설치된 폐토너 수용부까지 반송하는 구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대표적인 구성은, 현상제를 풀기 위한 풀기 부재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상기 풀기 부재를 향해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출구와, 상기 풀기 부재에 진동을 가하도록 구성된 진동 부여 부재를 갖고,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상기 풀기 부재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퇴피한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카트리지이다.
상술한 종래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
도 1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폐토너 배출부의 본체부와의 결합을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의 폐토너의 흐름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거 토너의 반송 경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반송 스크류의 단면 위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반송 스크류와 커플링의 결합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폐토너 배출부의 구성 설명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폐토너 배출부 단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폐토너 연결 부재의 조립 설명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폐토너 배출부의 구동 연결 구성을 설명하는 부품도이다.
도 13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화상형성장치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다른 구성의 커플링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진동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폐토너 배출부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폐토너 배출구의 셔터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장치 본체 장착 시의 폐토너 배출부의 셔터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장치 본체의 프론트 도어를 연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장치 본체의 카트리지 하가이드의 형상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치 본체 장착 궤적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 안쪽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장치 본체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 안쪽 구성을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4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장치 본체 안쪽의 삽입 완료까지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움직임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5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암과 프론트 도어의 링크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26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장착 방향 안쪽의 프론트 도어 링크 부품의 지지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장착 방향 안쪽의 프론트 도어 링크 부품의 지지 구성을 설명하는 다른 방향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실시예와 관련되기 프론트 도어를 여는 때의 장착 방향 앞쪽의 프론트 도어 링크 부품의 지지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다른 구성에서의 현상 롤러로부터 폐토너 배출부로의 구동 연결 구성을 설명하는 부품도이다.
도 30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2 커플링 부재로부터 진동 부재로의 진동 전달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31은 실시예 2와 관련되는 폐토너 배출부를 셔터로 닫은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2는 실시예 2와 관련되는 셔터와 탄성 시일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3은 실시예 2와 관련되는 셔터가 폐토너 배출부를 닫을 때의 관계를 설명하는 셔터측에서 본 개략 모식도이다.
도 34는 실시예 3과 관련되는 장치 본체 장착 시의 폐토너 배출부의 셔터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5는 실시예 3과 관련되는 폐토너 연결 부재와 셔터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6은 실시예 3과 관련되는 폐토너 연결 부재의 벽부와 셔터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7은 실시예 3과 관련되는 본체 구성을 도시한 외관도.
도 38은 실시예 3과 관련되는 본체와 카트리지의 결합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39는 실시예 3과 관련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 동작을 도시한 장착도.
도 40은 실시예 3과 관련되는 스프링 누름으로부터 본체 수입 시일 부재 및 세로 시일을 떼어낸 본체 폐토너 수취구의 외관도.
도 41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진동 부재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2는 실시예 4와 관련되는 반송 스크류로부터 제1 커플링으로의 구동 전달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43은 실시예 5와 관련되는 폐토너 연결부의 부품 구성을 설명하는 분해도.
도 44는 실시예 5와 관련되는 본구성의 폐토너 연결부의 부품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45는 실시예 5와 관련되는 폐토너 연결부의 장치 본체와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는 카트리지 장착도.
도 46은 실시예 6과 관련되는 각 부품을 설명하는 분해도.
도 47은 실시예 6과 관련되는 폐토너 연결부의 장치 본체와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는 장착 단면도.
도 48은 실시예 7과 관련되는 폐토너 연결부와 그 외의 부품의 설치를 설명하는 분해도.
도 49는 실시예 7과 관련되는 제2 커플링의 형상을 설명하는 외관도, 도 50은 본 실시예의 장치 본체(100)와의 연결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50은 실시예 7과 관련되는 장치 본체(100)와의 연결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51은 실시예 8과 관련되는 폐토너 연결부와 그 외의 부품의 설치를 설명하는 분해도.
도 52는 실시예 8과 관련되는 제2 커플링의 형상을 설명하는 외관도.
도 53은 실시예 8과 관련되는 연결 동작부의 형상을 설명하는 외관도.
도 54는 실시예 8과 관련되는 폐토너 배출구 부근의 본체 접속 전후의 카트리지 단면도.
도 55는 실시예 8과 관련되는 폐토너 배출구 부근의 본체 접속 전후의 카트리지 측면도.
도 56은 실시예 8과 관련되는 장치 본체에의 토너 배출구의 결합을 설명하는 외관도.
도 57은 실시예 8과 관련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토너 배출구로부터의 토너 배출 경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58은 실시예 8과 관련되는 실시예 8과 관련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치 본체와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59는 실시예 8과 관련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치 본체와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 개략도.
도 60은 실시예 1과 관련되는 다른 형상에서의, 제2 커플링 부재로부터 진동 부재로의 진동 전달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61은 실시예에 관련되는 진동 부재의 형상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2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진동 부재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3은 변형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4는 실시예 9와 관련되는 설명도이다.
도 65는 실시예 9와 관련되는 설명도이다.
도 66은 실시예 9와 관련되는 설명도이다.
도 67은 실시예 9와 관련되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1>
이하,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 및 카트리지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란, 예를 들면, 전자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전자사진 복사기, 전자사진 프린터(예를 들면, LED 프린터, 레이저 빔 프린터 등), 전자사진 팩시밀리 장치 등이 포함된다. 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장치 본체,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이 가능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의 일례로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 대해 설명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감광체 및 감광체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부재(프로세스 수단)를 가진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한 풀 컬러 화상형성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마찬가지로,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하는 각 구성에 대하여, 특히 한정적인 기재를 하지 않는 한, 재질, 배치, 치수, 그 밖의 수치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히 명기하지 않는 한, 상방이란 화상형성장치를 설치했을 때의 중력 방향 상방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설명]
이하,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형성에 관한 동작과, 폐토너의 반송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대하여)
우선,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전체 구성에 대해 도 2, 도 3, 도 4,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주단면도이다. 도 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폐토너 배출 구성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장치 본체(100)의 폐토너의 반송 경로를 도시한 배면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는 복수의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색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제2, 제3, 제4 화상 형성부(SY, SM, SC, SK)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부(SY, SM, SC, SK)는,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부의 구성 및 동작은, 형성하는 화상의 색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특히 구별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는, Y, M, C, K는 생략하고, 총괄적으로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는, 4개의 감광체 드럼(1)(1Y, 1M, 1C, 1K)을 가진다. 감광체 드럼(1)은, 도시한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한다. 감광체 드럼(1)의 주위에는 대전 롤러(2) 및 스캐너 유닛(노광 장치)(3)이 배치되고 있다.
여기서, 대전 롤러(2)는, 감광체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수단이다. 그리고, 스캐너 유닛(3)은,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를 조사하여 감광체 드럼(1) 상에 정전 상(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수단이다. 또한, 감광체 드럼(1)의 주위에는, 현상 장치(이하, 현상 유닛)(4)(4Y, 4M, 4C, 4K) 및 클리닝 수단(클리닝 부재)으로서의 클리닝 블레이드(6)(6Y, 6M, 6C, 6K)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4개의 감광체 드럼(1)에 대향하여, 감광체 드럼(1) 상의 토너상을 기록재(12)에 전사하기 위한 중간 전사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5)가 배치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4)은, 현상제로서 비자성 일성분 현상제, 즉, 토너(T)를 사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4)은,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17)을 감광체 드럼(1)에 대해 접촉시켜 접촉 현상을 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리닝 유닛(13)은, 감광체 드럼(1)과, 대전 롤러(2), 클리닝 부재로서의 클리닝 블레이드(6)을 가진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6)에 의해 제거된 감광체 드럼(1) 상에 잔류하고 있던 전사 잔류 토너(폐토너)를 수용하는 수납부로서의 폐토너 수용부(14a)(14aY, 14aM, 14aC, 14aK)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4) 및 클리닝 유닛(13)을,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7)을 형성하고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장착 가이드, 위치 결정 부재 등의 장착 수단(가이드, 안내 기구)을 거쳐, 화상형성장치(100)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색용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모두 동일 형상을 가지고 있다. 각 색용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 내에는,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색의 토너(T)(TY, TM, TC, TK)가 수용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5)는, 모든 감광체 드럼(1)에 접촉하여, 도시한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한다. 중간 전사 벨트(5)는, 복수의 지지 부재(구동 롤러(87), 2차 전사 대향 롤러(88), 종동 롤러(89))에 걸쳐 있다.
중간 전사 벨트(5)의 내주면 측에는, 각 감광체 드럼(1)에 대향하도록, 1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4개의 1차 전사 롤러(8)(8Y, 8M, 8C, 8K)가 병설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5)의 외주면 측에서 2차 전사 대향 롤러(88)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2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2차 전사 롤러(9)가 배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시에는, 우선, 감광체 드럼(1)의 표면이 대전 롤러(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이어서, 스캐너 유닛(3)으로부터 나온 화상 정보에 따른 레이저광에 의해, 대전한 감광체 드럼(1)의 표면이 주사 노광된다. 이에 의해, 감광체 드럼(1) 상에 화상 정보에 따른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어서, 감광체 드럼(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유닛(4)에 의해 토너상으로서 현상된다. 즉, 감광체 드럼(1)은, 그 표면에 토너로 형성된 상(토너상)을 담지하는 회전체(상 담지체)이다. 감광체 드럼(1) 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1차 전사 롤러(8)의 작용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5) 상으로 전사(1차 전사)된다.
예를 들면, 풀 컬러 화상의 형성 시에는, 상술한 프로세스가,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부(SY, SM, SC, SK)에서 순차로 행해진다. 각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상은, 중간 전사 벨트(5) 상에 순차로 겹쳐져 1차 전사된다. 그 후, 중간 전사 벨트(5)의 이동과 동기하여 기록재(12)가 2차 전사부로 반송된다. 그리고, 기록재(12)를 거쳐 중간 전사 벨트(5)에 접촉되어 있는 2차 전사 롤러(9)의 작용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5) 상의 4색 토너상은, 일괄하여 기록재(12) 상으로 2차 전사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재(12)는, 정착 수단으로서의 정착 장치(10)에 반송된다. 정착 장치(10)에서 기록재(12)에 열 및 압력을 가함으로써, 기록재(12)에 토너상이 정착된다. 또한, 1차 전사 공정 후에 감광체 드럼(1) 상에 잔류한 1차 전사 잔류 토너는, 클리닝 부재로서의 클리닝 블레이드(6)에 의해 제거되어 회수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카트리지와 같이 착탈 자유롭게 설치된 유닛을 제외한 부위를 화상형성장치 본체(장치 본체)라고 칭하여, 화상형성장치와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인쇄 중의 폐토너 반송에 대하여)
이하, 회수된 폐토너의 반송에 대해 설명한다. 클리닝 블레이드에 의해 상 담지체(감광체 드럼(1)) 상으로부터 회수된 폐토너는, 수납부로서의 폐토너 수용부(14a)(14aY, 14aM, 14aC, 14aK)에 수용된다. 폐토너 수용부(14a)는 카트리지 측에서 일시적으로 폐토너를 수용하는 수용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폐토너 수용부(14a)의 제1 반송로(51)(51Y, 51M, 51C, 51K) 내에 반송 부재(카트리지측 반송 부재)로서의 반송 스크류(26)(도 3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폐토너 수용부(14a)에 회수된 폐토너는 카트리지측 반송 부재로서의 반송 스크류(26)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긴 길이 방향 일단 측으로 반송된다. 여기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긴 길이 방향은 감광체 드럼(1)의 회전축선이나, 반송 스크류(26)의 회전축선과 대략 평행한 방향이다. 따라서, 특히 달리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긴 길이 방향과, 감광체 드럼(1)의 회전축선 방향과, 반송 스크류(26)의 회전축선 방향을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회전축선 방향(축선 방향)이란, 회전체의 회전축선 및 그 회전축선에 평행한 직선이 연장되고 있는 방향이다.
반송된 폐토너는 제2 반송로(61)(도 4 참조)를 통해, 장치 본체의 폐토너 수취구(토너 수취구)(80d)로 반송된다. 또한, 제2 반송로(61)는 배출구(폐토너 배출부)(32d)를 향해 토너를 이동시키는 배출로이다. 배출구(32d)로부터 배출된 토너가 폐토너 수취구(80d)에 진입한다.
제2 반송로(61)는, 감광체 드럼(1)의 회전축선 방향에서, 카트리지의 일단 측에 배치되고 있다. 제2 반송로(61)는, 축선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축선 방향과 거의 직행하는 방향)으로 토너를 이동시킨다.
제2 반송로(61)에는, 제1 커플링 부재(29), 커플링 스프링(31), 제2 커플링 부재(30), 폐토너 연결 부재(32)가 설치되고 있다. 이 때,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 대해 중심선(61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제2 반송로(61)의 종단을 구성하는 부재이며, 토너를 카트리지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2d)를 가진다. 또한,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폐토너 연통 부재(32)는, 배출구(32)를,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토너 수취구(80d)에 접속, 연결시키도록 이동하는 연결부이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이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화상형성장치로의 장착 동작에 따라 이동한다. 적어도 화상 형성을 행할 때에,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본체 폐토너 수취구(80d)와 연결된 상태가 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한 상태에서 제2 반송로(61)는, 그 내부를 통과하는 토너가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것과 같은 각도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력 방향에 대해 제2 반송로(61)의 중심선(61a)이 약 19도 경사지도록 카트리지(7)의 자세가 정해져 있다.
폐토너는 폐토너 수취구(80d)로부터 진동 부재(44)를 통과하여, 장치 본체의 제2 반송로(80b)로 보내진다.
그 후, 제2 반송로(80b) 내에 설치된 본체 반송 스크류(85)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측 토너 수납부로서의 폐토너 박스(86)(도 5 참조)로 배출, 수용된다.
또한, 2차 전사 공정 후에 중간 전사 벨트(5) 상에 잔류한 2차 전사 잔류 토너는,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장치(11)(도 2 참조)에 의해 제거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원하는 단독 또는 몇 개(모두는 아님)의 화상 형성부만을 이용하여, 단색 또는 멀티 칼라의 화상을 형성할 수도 있도록 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하여]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전체 구성에 대해 도 3,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현상 유닛(4)과 클리닝 유닛(13)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현상 장치(4), 클리닝 유닛(13)이 일체로 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유닛(4)은, 베어링 부재(19R, 19L)에 설치된 구멍(19Ra, 19La)을 구비한다. 또한, 클리닝 유닛(13)은, 클리닝 유닛(13)의 프레임에 설치된 구멍(13a)(13aR, 13aL, 도 6 참조)을 구비한다. 그리고, 현상 유닛(4)과 클리닝 유닛(13)은, 구멍(19Ra, 19La)과 구멍(13aR, 13aL)에 감합하는 축(24)(24R, 24L)을 중심으로 회동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현상 유닛(4)은, 가압 스프링(25)에 의해 가압되고 있다. 이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화상 형성 시에는, 현상 유닛(4)은 축(24)을 중심으로 도 3에 도시한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하여, 감광체 드럼(1)과 현상 롤러(17)는 접촉한다. 현상 롤러(17)는, 그 표면에 토너(현상제)를 담지하여 회전하는 회전체(현상제 담지체, 현상 부재)이다. 현상 롤러(17)는, 감광체 드럼(1)에 토너를 공급함으로써, 감광체 드럼(1)의 잠상을 현상한다.
(현상 유닛에 대하여)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와 관련되는 현상 장치(4)에 대하여 도 3,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유닛(4)은, 현상 유닛(4) 내의 각종 요소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18)을 갖는다. 현상 유닛(4)에는, 감광체 드럼(1)과 접촉하여 도시한 화살표 D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17)가 설치되어 있다. 현상 롤러(17)는, 그 긴 길이 방향(회전축선 방향)의 양 단부에서, 현상 베어링(19)(19R, 19L)을 거쳐, 회전 가능하게 현상 프레임(18)에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현상 베어링(19)(19R, 19L)은, 현상 프레임(18)의 양 측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한, 현상 유닛(4)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수납실(이하, 토너 수납실)(18a)과 현상 롤러(17)가 배치된 현상실(18b)를 가진다.
현상실(18b)에는, 현상 롤러(17)에 접촉해 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제 공급 부재로서의 토너 공급 롤러(20)와, 현상 롤러(17)의 토너층을 규제하기 위한 현상제 규제 부재로서의 현상 블레이드(21)가 배치되어 있다. 토너 공급 롤러(20)는 현상 롤러(17)에 토너를 공급하는 롤러이다. 토너 공급 롤러(20)는 그 표면에 토너를 담지하여 회전하는 회전체이며, 토너 공급 부재이다. 현상 블레이드(21)는, 지지 부재(22)에 대해, 예를 들면 용접되어 일체화되고 있다. 또한, 현상 프레임(18)의 토너 수납실(18a)에는, 수용된 토너를 교반함과 함께 상기 토너 공급 롤러(20)에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교반 부재(23)가 설치되고 있다.
(클리닝 유닛에 대하여)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와 관련되는 클리닝 유닛(13)에 대하여 도 3,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클리닝 유닛(13)은, 클리닝 유닛(13) 내의 각종 요소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의 클리닝 프레임(14)을 가진다. 클리닝 프레임(14)에는, 베어링 부재(27)(27R 및 27L, 도 6 참조)를 거쳐 감광체 드럼(1)이 도 3에 도시한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있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전사 후에 감광체 드럼(1)의 표면에 남은 전사 잔류 토너(폐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탄성 부재(6a)와, 탄성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6b)가 일체로 형성되고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6)는, 감광체 드럼(1)의 긴 길이 방향의 양 단부를 클리닝 프레임(14)에 비스 등의 수단으로 고정하고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6)에 의해 감광체 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6)와 클리닝 프레임(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중력 방향으로 낙하하여, 폐토너 수용부(14a) 내에 일시적으로 수용된다. 또한, 클리닝 프레임(14)에는, 대전 롤러 베어링(15)이, 대전 롤러(2)의 회전 중심과 감광체 드럼(1)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선을 따라 장착되고 있다.
여기서, 대전 롤러 베어링(15)은, 도 3에 도시한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있다. 대전 롤러(2)의 회전축(2a)은, 대전 롤러 베어링(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있다. 그리고, 대전 롤러 베어링(15)은, 가압 수단으로서의 대전 롤러 가압 스프링(16)에 의해 감광체 드럼(1)을 향해 가압된다.
[폐토너 반송부에 대하여]
이하, 폐토너를 반송하는 반송부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폐토너를 반송하는 폐토너 반송 장치가 화상형성장치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카트리지의 토너 배출구를 본체측 후측판의 안까지 삽입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카트리지의 일부를 후측판의 안까지 삽입하기 위한 돌기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지 않을 수 없다. 바꾸어 말하면, 전술한 구성에서는, 카트리지의 긴 길이 방향의 폭을 짧게 하는 것이 어렵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폐토너 반송 장치를 화상형성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장착하는 스페이스에 배치하였다. 이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긴 길이 방향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폐토너 반송부의 개요에 대하여)
다음으로, 클리닝 유닛(13)에 설치된 폐토너 배출부(40)의 배치 위치에 관해 도 4,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토너 배출부(40)는, 감광체 드럼 축선 방향에서, 장착 부딪힘 위치(7m)보다 내측(영역 AA)에 배치되고 있다. 이에 의해, 장치 본체(100)의 후측판(98)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 측에서 폐토너를 배출하는 구성이 된다. 바꾸어 말하면, 화상형성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 중, 후측판의 근방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로부터 폐토너가 본체 측으로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계속하여, 폐토너 배출부(40)의 구성에 대해 도 3,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감광체 드럼(1)은, 장치 본체(100)로부터의 구동을 받아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한다. 감광체 드럼(1)의 회전은, 후술하는 기어열을 거쳐, 카트리지측 반송 부재측으로서의 폐토너 반송 스크류(26)로 전달된다. 폐토너 반송 스크류(26)는, 클리닝 프레임(14)의 폐토너 수용부(14a)에 배치되어 있고,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한다. 반송 스크류(26)는, 감광체 드럼(1)의 축선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반송로(51) 내의 폐토너를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긴 길이 방향의 일단 방향(도 4 화살표 H 방향)으로 반송한다.
반송된 폐토너는, 제1 반송로(51)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제2 반송로(61)를 거쳐, 폐토너 연결 부재(32)에 설치된 개구부인 폐토너 배출부(배출구)(32d)로부터 장치 본체(100)의 도시하지 않은 폐토너 수취구(80d)로 배출된다. 여기서, 폐토너 반송 스크류(26)는,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 형상이지만, 반송력을 갖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형상이나, 불연속인 날개 형상을 갖는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반송로의 배치와 그 단면에 대하여)
다음으로, 폐토너 반송 구성의 배치에 대해 도 3, 도 4, 도 7, 도 8,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반송 스크류(26)와 배출구(32d)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8은 프로세스 카트리지(7) 내에서의 반송 스크류(26)와 제1 커플링 부재(29)와의 결합을 중심선(61a) 방향으로부터 본 개략도이다.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의 회전축선 방향을 따라 카트리지를 보았을 때, 제2 반송로(61)의 중심선(61a)이 폐토너 반송 스크류(26)의 축중심과 감광체 드럼(1)의 축중심(1a)과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제2 반송로(61)를 배치하였다. 즉 중심선(61a)에 대해 감광체 드럼(1)의 회전 중심(1a)과 제1 반송 부재(26)의 회전 중심은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한다.
또한, 중심선(61a)는, 제2 커플링 부재(30)의 회전축선과 거의 동일한 직선이다. 즉, 감광체 드럼(1)의 회전 중심(1a)과 폐토너 반송 스크류(26)의 회전 중심은 제2 커플링 부재(30)의 회전축선(축선(61a))에 대해 서로 반대 측에 있다.
상기와 같은 배치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감광체 드럼(1)이나 폐토너 반송 스크류(26), 제2 반송로(배출로)(61)를 작은 스페이스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클리닝 프레임(14)의 외형선(L)(도 3 참조)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줄이거나 또는 없앨 수 있다. 이 때문에, 감광체 드럼(1)의 축선 방향에서부터 보았을 때의 클리닝 유닛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반송로(61)의 중심선(61a) 방향으로부터 보아, 제2 반송로(61)의 개구부(61b)는, 반송 스크류(26)의 회전 시에 역스크류부(26e)가 취할 수 있는 영역과 범위 K에서 오버랩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개구부(61b)는, 제1 반송로(51)와 제2 반송로(61)가 연통하는 연통부이다. 또한, 중심선(61a) 방향이란, 반송 스크류(26)의 축선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이다. 즉, 반송 스크류(26)를 그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보면, 역스크류부(26e)가 개구부(61b)에 겹쳐지게 된다.
이에 의해, 반송 스크류(26)의 반송력에 의해, 제1 반송로(51)로부터 제2 반송로(61)로 폐토너를 부드럽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의 긴 길이 방향(도 7(a)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에서 제1 반송로(51)와 제2 반송로(61)가 오버랩한다. 이에 의해, 폐토너의 반송에 필요한 반송로의 직경을 확보하면서, 클리닝 유닛(13)의 긴 길이 방향의 폭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역스크류부(26e)는, 반송 스크류(26)의 제2 반송부로 간주할 수도 있다. 즉, 반송 스크류(26)는,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주요부인 제1 반송부(반송 스크류부(26a))와, 그 제1 반송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토너를 반송하는 제2 반송부(역스크류부(26e))를 가진다(도 4 참조).
반송 스크류(26)의 반송 스크류부(26a)는, 개구부(61b)를 향해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부분이다. 한편, 제2 반송부(역스크류(26e))는, 반송 스크류부(26a)의 토너 반송 방향에 있어서, 반송 스크류부(26a)보다 하류 측에 배치되고 있는 부분이다. 제2 반송부인 역스크류(26e)는 개구부(61b)의 근방에 배치되고 있고, 역스크류(26e)의 길이는 제1 반송부에 비해 짧다.
또한, 도 4,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 부재(27)에는, 폐토너 배출부(40)로서, 제1 반송로(51)와 연통하고, 감광체 드럼(1)의 축선과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반송로(61)가 배치되고 있다. 제2 반송로(61)에는 배출구(32d)가 설치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부재(29)는, 제2 반송로(61)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커플링 부재(29)는 중심선(61a)을 중심으로 하여, 커플링 수용부(28)의 지지부(28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부재(29)에는 구동 핀(29b)이 복수 설치되고, 반송 스크류(26)에 설치된 구동 전달 날개(26g)와 순차로 결합한다. 이 때문에, 반송 스크류(26)로부터 제1 커플링 부재(29)로 구동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감광체 드럼(1)의 회전 구동이, 감광체 드럼(1)의 축선과 직교 방향(제2 반송로(61)의 중심선(61a)) 중심의 회전으로 변환되어 제1 커플링 부재(29)로 전달된다. 구동 전달 날개(26g)는 상술한 역스크류(26e)를 구성하는 날개(나선부)이며, 제1 커플링 부재(29)는 역스크류부(26e)로부터 구동력(회전력)이 전달되는 구성이다.
(폐토너 배출구 부근의 상세 구성에 대하여)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제1 커플링 부재(29)로부터 배출구(32d)까지의 폐토너 반송부의 구성(폐토너 반송부(40))에 대하여, 도 9,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폐토너 배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분해 개략도이다. 또한, 도 10은 커플링 수용부(28)로의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30)의 장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벗겨내진 전사 잔류 토너인 폐토너는, 제1 커플링 부재(29), 커플링 스프링(31), 제2 커플링 부재(30), 폐토너 연결 부재(32)를 거쳐 본체 수취구(80d)로 반송된다. 또한,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본체 수취구(80d)와 연결 및 연결 해제가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30), 커플링 스프링(31), 커플링 수용부(28)와,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중심선(61a)을 따라 대략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고 있다. 또한, 제1 커플링 부재(29)와 제2 커플링 부재(30)는 커플링 스프링(31)으로 연결되어 있다.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커플링 수용부(28)에 대해, 제2 커플링 부재(30)와 함께, 커플링 스프링(3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도 10의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치 본체(100)와의 연결 시에는,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도 10의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하여 연결한다.
다음으로, 폐토너 반송부(40)의 장착에 관하여 도 7, 도 9, 도 10,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폐토너 연결 부재의 조립을 도시한 합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반송로(61)는, 폐토너 배출부(40) 내에 형성된 토너 반송로이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토너 배출부(40)는, 커플링 수용부(28),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30), 커플링 스프링(31), 폐토너 연결 부재(32)로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부재(29)는, 전술한 반송 스크류(26)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돌기 형상의 구동 핀(결합부, 돌기부)(29b)를 복수 구비한다. 복수의 구동 핀(29b)은, 제1 커플링 부재(29)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동심원 형상으로 거의 균등하게 배열되어 있다. 구동 핀(29b)은, 제1 커플링 부재(29)의 축선 방향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또한, 제1 커플링 부재(29)는 제2 커플링 부재(30)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2개의 돌기 형상의 구동 갈퀴(29c)을 구비한다.
즉, 제1 커플링 부재(29)는, 반송 스크류(26)의 구동력(회전력)을 제2 커플링 부재(30)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 전달부이다. 제1 커플링 부재(29)의 회전축선은 반송 스크류(26)의 회전축선과 교차(거의 직교)하고 있다. 즉, 제1 커플링 부재(29)는 회전력을 전달할 때, 그 회전 방향을 바꾸고 있다. 또한, 제1 커플링 부재(29)는 토너의 반송로 중에 배치되고 있다.
제1 커플링 부재(29)는, 구동 갈퀴(29c)이 커플링 수용부(28)의 원통부(28a) 내경부에 감합되고, 제1 커플링 부재(29)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구동 갈퀴(29c)은, 원통 형상의 일부를 절결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30)에는, 제1 커플링 부재(29)의 구동 갈퀴(29c)으로부터 회전 구동을 받는 구동 갈퀴(30f)이 2개소 설치되어 있다. 제2 커플링 부재(30)는, 구동 갈퀴(30f)의 대향 방향으로 오목부(30h), 스프링 걸림홈부(30c)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갈퀴(30f)도, 원통 형상의 일부를 절결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갈퀴(30f)의 외경 치수는 구동 갈퀴(29c)과 대략 동일하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갈퀴(30f)이 제1 커플링 부재(29)의 구동 갈퀴(29c)과 대향하도록, 제2 커플링 부재(30)는 커플링 수용부(28)의 원통부(28a)에 삽입된다.
구동 갈퀴(29c, 30f)은 원통의 일부가 절결되어 돌기 형상이라 표현할 수 있고, 구동 전달면을 구비하는 굽은 판 모양의 형상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 외형은 한변이 경사지고, 대향하는 타변은 회전축과 평행한 사다리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형상은 서로 구동력을 전달하면서도, 위상 어긋남에 대해 허용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되고, 본 실시예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가압 부재로서의 커플링 스프링(31)은, 선단에 절곡 형상(31a), 대향 방향으로 바퀴 형상(31b)을 갖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다. 커플링 스프링(31)은 제2 커플링 부재(30)에, 화살표 I 방향으로 삽입되어, 절곡 형상(31a)이 스프링 걸림홈(30c)에 끼워져 들어간다(도 9 참조).
또한, 커플링 스프링(31)의 원 형상(31b)이 제1 커플링 부재(29)의 홈부(29f)에 결합(감합)한다. 이 때, 커플링 스프링(31)은, 자유길이에 대해 당겨 늘려진 상태가 된다. 바꾸어 말하면, 커플링 스프링(31)은 수축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주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제1 커플링 부재(29)와 제2 커플링 부재(30)가 서로 당기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가압력에 의해, 제1 커플링 부재(29)의 지지부(29d)는, 커플링 수용부(28)의 지지부(28b)와 부딪친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30)는, 커플링 수용부(28)의 원통 형상(28a)의 선단부에 설치된 지지부(28c)와 구동 갈퀴(30f)에 설치된 돌기부(30d)가 부딪친다. 그리고, 커플링 스프링(31)의 가압력을 받은 상태에서 중심선(61a)의 회전 방향 T 방향에서 위치 결정 지지된다.
커플링 스프링(31)에 가압된 상태로, 제1 커플링 부재(29)와 제2 커플링 부재(30)는, 커플링 수용부(28)의 원통부(28a) 내주에 구동 갈퀴(29c, 30f)을 거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30)는, 중심선(61a)의 화살표 T 방향으로, 결합부(29e), 결합부(30g)가 결합하여, 일체로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커플링 수용부의 장착에 대하여)
커플링 수용부(28)의 용착부(28e)는,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30), 커플링 스프링(31)이 장착된 상태에서, 베어링 부재(27R)에 대해, 용착, 접착 등으로 장착되고 있다. 이에 의해, 폐토너의 외부로의 누설을 저감시키고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토너 연결 부재(32)에는, 제2 커플링 부재(30)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지지부(32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수용부(28)에는, 폐토너 연결 부재(32)를 축회전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회전 멈춤 리브(28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폐토너 연결 부재(32)에는, 원주 방향의 일부에 오목 형상의 회전위치결정홈(32i)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30)에는, 압축 갈퀴(30e)이 원통 대향 방향으로 2개소 설치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수용부(28)에는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30), 커플링 스프링(31)이 장착되고 있다. 이 커플링 수용부(28)에 대해, 화살표 I 방향에서부터, 폐토너 연결 부재(32)가 동축 상으로 끼워 넣어지도록 장착된다. 폐토너 연결 부재(32)를 화살표 I 방향으로 끼워 넣어 가면,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홈(32i)에, 커플링 수용부(28)의 회전 멈춤 리브(28d)가 결합한다(도 9 참조). 이와 같이 하여, 커플링 수용부(28)와 폐토너 연결 부재(32)와의 축선(61a)에 대한 회전 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폐토너 연결 부재(32)를 커플링 수용부(28)에 더 끼워 넣어 가면, 지지부(32a)가 커플링 수용부(28)에 지지된 제2 커플링 부재(30)의 압축 갈퀴(30e)를 내경 방향으로 휘게 하여 침입한다.
더욱 더 폐토너 연결 부재(32)를 밀어 넣음으로써, 지지부(32a)는 제2 커플링 부재(30)의 압축 갈퀴(30e)을 완전히 넘고,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지지부(32a)에서 제2 커플링 부재(30)의 압축 갈퀴(30e)에 의해 연직 방향으로 지지된다(도 11(b)).
(폐토너 반송부의 긴 길이 방향의 구성)
다음으로, 폐토너 반송부(40)의 긴 길이 방향의 구성에 대해 도 4, 도 12, 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폐토너 배출부(40)로의 구동 연결 구성을 설명하는 부품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반송로(51) 내에는 반송 스크류(26)가 배치되고 있다. 반송 스크류(26)의 양 단부에 설치된 지지부(26b, 26c)가, 베어링 부재(27L, 27R)에 설치된 구멍(27La, 27Ra)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감광체 드럼(1)도, 베어링 부재(2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의 일단에는, 장치 본체(100)로부터의 구동을 받는 커플링부(1c)가 배치되고 있다. 또한,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폐토너 반송 스크류(26)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감광체 드럼 기어(1b)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유닛(13)에 감광체 드럼 기어(1b), 베어링 부재(2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아이들 기어(52) 및 반송 스크류 기어(53)가 감광체 드럼(1)의 축선 방향의 일단 측으로 배치된다.
반송 스크류 기어(53)는 반송 스크류(26)에 구동 전달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 드럼 입력 커플링(81)(도 23)으로부터 클리닝 유닛(13) 일단의 커플링부(1c)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전달된 회전 구동력은, 감광체 드럼 기어(1b), 아이들 기어(52), 반송 스크류 기어(53)가 순차 맞물림으로써,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반송 스크류(26)로 전달된다. 폐토너 수용실(14a)에 수용된 폐토너는, 반송 스크류(26)가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반송 스크류부(26a)에 의해 화살표 H 방향(반송 스크류(26)의 축선 방향)으로 반송된다.
여기서, 반송 스크류(26)의 폐토너 반송방향 하류측 단부에는, 역스크류부(26e)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역스크류부(26e)에는 스크류 형상으로서의 구동 전달 날개(26g)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 스크류(26)은 감광체 드럼(1)의 회전에 의해, 구동이 전달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현상 롤러(17)의 회전에 연동하여 반송 스크류(26)가 구동하는 구성이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를 도 29에 나타낸다. 도 29는, 반송 스크류(26)가, 현상 롤러(17)로부터의 구동을 받는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9의 구성에서는, 토너 공급 롤러(20)의 일단에는, 장치 본체(100)로부터의 구동을 받는 커플링부(57)가 배치되고 있다. 또한,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폐토너 반송 스크류(26)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토너 공급 롤러 기어(58)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장치(4)에는, 토너 공급 롤러 기어(58), 현상 롤러 기어(5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드럼 베어링(27)에는, 아이들 기어(52), 반송 스크류 기어(53)가 배치된다.
반송 스크류 기어(53)는 반송 스크류(26)에 구동 전달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 현상 입력 커플링(82)으로부터 현상 장치(4) 일단의 커플링부(57)에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전달된 회전 구동력은, 토너 공급 롤러 기어(58), 현상 롤러 기어(59), 아이들 기어(52), 반송 스크류 기어(53)가 순차로 맞물림으로써, 토너 공급 롤러(20)로부터, 현상 롤러(17)를 거쳐, 반송 스크류(26)로 전달된다. 폐토너 수용실(14a)에 수용된 폐토너는, 반송 스크류(26)가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반송 스크류부(26a)에 의해 화살표 H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2 커플링 부재(30)는, 토너 공급 롤러(20)나 현상 롤러(17)에 연동해 회전한다. 현상 롤러 기어(59), 현상 롤러 기어(59), 아이들 기어(52), 반송 스크류 기어(53), 반송 스크류(26), 제1 커플링(29)은, 토너 공급 롤러(20)로부터, 제2 커플링 부재(3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전달부이다.
(반송 경로의 긴 길이 방향 위치에 관한 설명)
도 13은, 장치 본체(100)의 폐토너 반송의 긴 길이 방향 위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반송부(80)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착 방향 부딪힘부를 갖는 후측판(98)보다, 장착 방향 앞쪽에 배치되고 있다. 이 때문에, 후측판(98)의 장착 방향(화살표 J 방향) 안쪽에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폐토너 배출부 등을 위해 절결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 때문에, 절결을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후측판(98)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폐토너를 반송하는 부분에만 주목하여 생각한 경우, 제2 반송로(80b)를 제1 반송로(80a)의 바로 아래에 가져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체 제2 반송로(80b)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Y, 7M, 7C, 7K)에 걸쳐서 설치된다. 그 때문에, 본체 반송로(2)를 본체 반송로(1) 바로 아래에 배치했을 경우에는 장착 방향 앞쪽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 방향으로 침입해 오게 된다.
이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토너 충전 용적 확보를 위해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반송로(80b)를 제1 반송로(80a)의 바로 아래에 가져오는 것은 어렵다. 바꾸어 말하면, 제2 반송로(80b)를 제1 반송로(80a)의 바로 아래로 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토너 충전 용량을 적게 하지 않을 수 없다. 나아가, 본체 제2 반송로(80b)를 장착 방향 안쪽으로 가지고 가기 위해서는, 후측판(98)을 크게 절결할 필요가 있다. 큰 절결을 설치하면 후측판(98)의 강도가 저하해 버린다. 이 후측판(98)은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부재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 제2 반송로(80b)는 도 13과 같이 후측판에 가능한 한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체 제1 반송로(80a)와, 본체 제2 반송로(80b)는 도면 중의 AB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선이 긴 길이 방향으로 어긋난 접속 형상으로 되고 있다.
[신축 기구에 관한 설명]
이하에, 토너 반송로를 신축시키는 신축 기구, 신축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신축 동작에 대해 도 1, 도 7, 도 10을 이용하여 말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30), 커플링 수용부(28)을 거쳐 드럼 베어링(27)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 지지되고 있다.
또한,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30)는, 커플링 스프링(31)에 의해 화살표 I 방향으로 가압되어 연결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제2 커플링 부재(30)에 지지된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커플링 수용부(28)의 원통부(28a)와 결합 가능한 범위에서, 커플링 스프링(31)의 화살표 I 방향의 가압력에 거역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제2 커플링 부재(30)와 함께,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 대해,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도 1(b), 도 10(b)).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부재(29)의 구동 갈퀴(29c)과 제2 커플링 부재(30)의 구동 갈퀴(30f)은, 커플링 수용부(28)의 원통부(28)의 내경부에서 회전 화살표 T 방향으로 결합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결합부(29e, 30g)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볼록 형상이다. 이 때문에, 제1 커플링 부재(29)에 대해, 제2 커플링 부재(30)가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도 1(b), 도 10(b))에서도, 결합부(29e, 30g)는 회전 화살표 T방향으로 구동 전달 가능하다. 여기서 도 1(b),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가 본체 내에 장착되어 인쇄 동작을 행하고 있을 때는,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제1 커플링 부재(29)에 대해, 제2 커플링 부재(30)가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구동 전달 위치)가 된다. 이에 의해,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선단의 폐토너 배출부(32d)는 장치 본체(100)의 수취구(80d)에 대해 소정량 침입하여 토너의 누설을 억제하고 있다. 이 때의 폐토너의 반송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한편, 프로세스 카트리지(7) 단체(單體)일 때(퇴피 위치, 도 1(a), 도 10(a)), 커플링 스프링(31)의 작용에 의해, 제1 커플링 부재(29)와 제2 커플링 부재(30)가 서로 당긴다. 이에 동반하여 폐토너 연결 부재(32)가 화살표 I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선단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외형(도 7의 외형선(L)) 내로 들어간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폐토너 배출부의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30)는 본체 접속 상태(구동 연결 위치, 도 1(b)), 본체 퇴피 상태(퇴피 위치, 도 1(a))의 어느 상태에서도 결합하여 회전을 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단품 상태에서도, 감광체 드럼(1)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커플링 부재와 제2 커플링 부재의 결합을 검사할 수 있다.
[카트리지 내의 구동 구성에 대하여]
이하, 본체 측에 설치된 모터로부터 카트리지가 수취한 구동력을, 카트리지 내에서 구동하는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 연결 기구에 대하여)
우선, 본 실시예의 반송 스크류(26)로부터 제1 커플링 부재(29)로의 구동 전달 방법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구동 전달 날개(26g)와 제1 커플링 부재(29)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토너 스크류(26)가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 전달 날개(26g)는 화살표 S 방향으로 이동한다. 화살표 S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 전달 날개(26g)와, 제1 커플링 부재(29) 상의 복수의 구동 핀(29b)의 하나(29b1)가 결합하여, 화살표 S 방향으로 밀려난다. 이 힘에 의해 제1 커플링 부재(29)는, 중심선(61a)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여기서, 구동 핀(29b)는, 커플링(29)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된 원통 볼록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60도마다 합계 6개의 직경 1.8 mm의 구동 핀(29b)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커플링 부재(29)가,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 구동 스크류(26)의 축선에 대해, 구동 전달 날개(26g)와 접촉 가능한 범위에 구동 핀(29b)이 2개(29b1, 29b2) 존재하는 위상으로 이동한다.
또한, 반송 스크류(26)의 축선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제1 커플링 부재(29) 중심으로 연결한 선(X)을 중심으로 한다. 이 때, 선(X)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동일 각도 Y로 구동 핀(29b)이 2개 존재한다. 이 때, 반송 스크류(26)의 축선 방향에서 구동 핀(29b1)과 구동 핀(29b2)이 가장 떨어진 위치가 된다(도 8(a)).
구동 전달 날개(26)는, 구동 핀(29b)의 회전 방향 T 하류측에서 구동 핀(29b1)을 T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킨다. 구동 핀(29b1)이 구동 전달 날개(26g)의 구동 전달 범위로부터 벗어나면, 계속하여 구동 전달 핀(29b1)보다 회전 방향 상류 측에 있는 구동 전달 핀(29b2)이 구동 전달 날개(26g)에 접촉될 때까지, 제1 커플링 부재(29)는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반송 스크류(26)가, 더 회전하면, 다음으로 화살표 S 방향으로 이동하여 온 구동 전달 날개(26g)와 구동 전달 핀(29b)이 다시 접촉한다(도 8(b)). 구동 전달 날개(26g)가 더 화살표 S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제1 커플링 부재(29)의 구동 전달 핀(29b2)이 화살표 S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커플링 부재(29)는 화살표 T 방향으로 다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상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제1 커플링 부재(29)는, 반송 스크류(26)의 회전에 의해 회전 이동을 계속하게 된다.
여기서, 폐토너 스크류(26)의 축선 방향을 따라 길이를 측정하면, 구동 핀(29g) 간 거리 Z에 대하여, 구동 전달 날개(26g)의 피치는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동 전달 날개(26g)와 구동 핀(29b)이 결합하여 구동 핀(29b)을 연속하여 계속 누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동 핀(29b)의 반송 스크류(26) 축선 방향에서의 피치와 반송 스크류(26)의 피치가 가까울수록, 제1 커플링 부재(29)는 연속적으로 (매끄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 핀 형상에 대하여)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 핀(29b)은 원통 형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구동 전달 가능한 임의의 형상이면 된다. 예를 들면, 반송 스크류(26)에 대응한 날개 형상이나, 기어 등의 볼록 형상에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4는 구동 핀(29b)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부재(129)의 구동 핀(129b)에, 토너 가이드면(129f)이 합체하여 설치되어 있다. 구동 핀(129)에 설치된 토너 가이드면(129f)은, 구멍부(129a)보다 원주 방향 외측에 설치된다.
토너 가이드면(129f)은, 가이드면 외주측(129g)과 가이드면 내주측(129h)을 잇는 면으로서 형성된다. 외주측(129g)은, 제1 커플링 부재(129)의 회전 방향 T(시계 방향)의 하류로 돌출하고, 내주측(129h)은 회전 방향 T의 상류가 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커플링 부재(129)의 회전에 수반하여, 토너 가이드면(129f)은, 토너를 회전 방향 내측방향으로 폐토너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토너 가이드면(129f)은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토너 반송부로서 기능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1 커플링 부재(129)를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구멍부(129a)로 폐토너를 끌어들일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멍부(129a)에 적극적으로 폐토너를 보내는 효과를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멍부(129a)는, 제2 반송로(61)를 향해 토너가 이동하기 위한 통로이다.
(폐토너 구동 연결 구성에 대하여)
다음으로 폐토너 배출부의 장치 본체(100)와의 구동 연결에 대하여 도 1,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폐토너 배출부(23d)와 본체 폐토너 수취구(80d)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6은 폐토너 접속부(32)의 접속 방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0)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로부터의 배출 토너를 받아들이는 폐토너 수취구(80d)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폐토너 수취구(80d)에는, 예를 들면 고무 스펀지와 같은 탄성을 갖는 시일 부재(47)가 설치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폐토너 연결 부재(32)가 눌려 내려지면, 배출 토너 수취구(80d)에 설치된 본체 수취구 시일 부재(47)와 압입 상태로 침입한다(도 1(b) 참조). 이 때문에, 폐토너 연결 부재(32)와 배출 토너 수취구(80d)와의 틈새부는 본체 수취구 시일 부재(47)에 의해 밀폐 상태가 되어, 폐토너의 누설을 억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수취구 시일 부재(47)는 내경 Φ10.4 mm로 만들어지고,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Φ11.4 mm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수취구 시일 부재(47)에는 슬릿(47a)이 복수 설치되어 있고, 폐토너 연결 부재(32)를 끌어들이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폐토너 연결 부재(32)에는 테이퍼 형상(32k)이 설치되어 있어, 폐토너 연결 부재(32)와 폐토너 수취구(80d)의 축선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폐토너 연결 부재(32)에는 리브 형상(321)이 설치되어 있어, 폐토너 수취구(80d)에 장착되었을 때에 틈새를 막는 뚜껑의 역할을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폐토너 반송부(80)는, 폐토너 수취구(80d)를 갖는 본체 제1 반송로(80a), 폐토너를 장치 본체(100)의 폐토너 용기(86)로 내보내기 위한 제2 반송로(80b)가 설치되고 있다.
본체 제1 반송로(80a)에는, 스프링 누름(43)이 수취구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 제1 반송로(80a) 내부의 탄성력을 갖는 진동 부재(44)는, 스프링부(44a)에서 스프링 누름(43)과 부딪힘으로써 지지되고 있다.
장치 본체(100)의 프론트 도어(91)(도 19 참조)의 닫힘 동작에 수반하여,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암(42)에 의해 화살표 N 방향으로 가압되어, 폐토너 수취구(80d)에 침입한다. 이 침입(진입)으로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진동 부재(44)의 반력에 대항하여, 진동 부재(44)를 화살표 N 방향(폐토너 연결구 침입 방향)으로 누른다.
또한, 진동 부재(44)는 폐토너 연결 부재(32) 내의 제2 커플링 부재(30)으로 가압력을 가지고 부딪친다. 부딪친 제2 커플링 부재(30)는, 감광체 드럼(1)의 회전에 연동해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2 커플링 부재(30)의 오목부(30h)로 진동 부재(44)의 부딪힘부(44b)가 부딪쳐, 진동 부재(44)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여기서, 스프링 커플링(44)은 선경 Φ0.6 mm, 내경 Φ12.3 mm 정도의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 커플링(44)은 스프링 누름(43)에 부딪친 상태(커플링 비연결 상태)에서는 약 33gf, 제2 커플링 부재(30)의 연결 상태에서는 약 50gf의 가압력을 가지고 있다.
즉, 암(42)는, 도 16(b)의 상태에서는, 윗방향으로 커플링 스프링 반력과 폐토너 연결구의 상측 가압력과의 합계 약 120gf의 반력을 이겨내고 화살표 M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이상에 의해, 폐토너 반송부의 구동 전달 경로는 이하와 같이 된다.
인쇄 동작에 수반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감광체 드럼(1)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면, 드럼 기어(1b), 아이들 기어(52), 반송 스크류 기어(53), 반송 스크류(26)로 구동 전달이 행해진다. 또한, 반송 스크류(26)로부터,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30)의 순서로 구동 전달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폐토너가 프로세스 카트리지(7)로부터 장치 본체(100)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나아가, 제2 커플링 부재(3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장치 본체(100)의 진동 부재(44)가 진동한다. 진동 부재(44)로 내보내진 폐토너는, 본체 반송부(80) 내의 진동 부재(44)의 진동에 의해 풀어져, 본체 반송 스크류(85)로 보내지고, 본체 반송 스크류(85)의 반송력으로 폐토너 박스(86)로 보내진다.
[화상 형성에 따른 폐토너의 흐름]
이하, 화상 형성에 의해 생기는 폐토너가 어떻게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폐토너 박스로 반송되는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폐토너 박스로의 폐토너의 흐름)
다음으로, 폐토너의 발생으로부터 장치 본체(100)로의 전체의 폐토너의 흐름을 도 1, 도 4,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이 인쇄 동작에 수반하여 회전하면, 클리닝 블레이드(6)에 의해 폐토너가 제거된다. 제거된 폐토너는 반송 스크류(26)에 의해 제1 커플링 부재(29)까지 반송된다. 폐토너 수용부(14a)의 반송로(51) 내에서, 폐토너는 화살표 H 방향으로 반송된다.
반송된 폐토너는, 역스크류부(26e)에서 화살표 H의 반대 방향으로의 반송력이 더해진다. 이 때문에, 화살표 H 방향으로 반송되는 폐토너와 역스크류부(26e)에서 역류 한 폐토너는, 반송 스크류부(26a)와 역스크류부(26e)의 사이에서 충돌(체류)한다.
여기서, 도 3,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스크류(26)와 감광체 드럼(1)의 사이에는 폐토너 수용부(14a)가 있다. 이 폐토너 수용부(14a) 내에 제1 커플링 부재(29)가 설치되어 있다. 체류한 토너는, 제1 커플링 부재(29)의 축중심 방향으로 흐른다. 그리고, 제1 커플링 부재(29)의 회전축선 상에 설치된 구멍부(29a)(도 7(a), 도 9 참조)로 반송된다. 구멍부(29a)는 토너의 이동을 허용하는 통로이다. 이 구멍부(29a)를 통과한 토너는, 제2 반송로(61)로 이동한다. 나아가, 폐토너는 후술하는 제1 커플링 부재(29)의 하부에 설치된 배출부(32d)로부터 배출된다.
이 때, 화살표 H 방향으로 흘러나온 폐토너는, 역스크류부(26e)에 의해, 역방향으로 반송력을 받는다. 이에 의해, 폐토너가 구동 전달 날개(26g)와 구동 핀(29b)의 접촉 위치 V(도 7 참조)에 침입하는 것이 방해된다. 접촉 위치 V에 폐토너가 침입하기 어려워짐으로써, 구동 전달 날개(26g)와 구동 핀(29b)의 접촉부는, 폐토너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된다. 그 때문에, 구동 전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폐토너 배출부의 토너의 흐름에 관한 설명)
전술한 바와 같이, 폐토너 배출부(40)에 있어서, 폐토너는 폐토너 스크류(26)에 의해 감광체 드럼(1)의 축선 방향을 따라 카트리지의 일단측(도 4 화살표 H 방향)을 향해 반송된다. 이 반송된 폐토너는, 반송 스크류부(26a)와 역스크류부(26e)의 사이에서 충돌하여, 제1 커플링 부재(29)의 구멍부(29a)로 보내진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스크류(26)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1 커플링 부재(29)는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7,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부재(29)에는 구멍부(개구)(29a)가 설치되고 있다. 이 구멍부(29a)를 통과한 폐토너는, 제1 커플링 부재(29)에 장착된 커플링 스프링(31)의 내경으로 이동한다. 또한, 폐토너는 제1 커플링 부재(29)와 결합하는 제2 커플링 부재(30)의 구멍부(30a)로 이동한다. 동시에, 제1 커플링 부재(29)의 회전에 수반해, 결합부(29e)로부터 제2 커플링 부재(30)의 결합부(30g)로 구동이 전달된다. 이에 의해, 제2 커플링 부재(30)와 커플링 스프링(31)이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커플링 스프링(31)(도 9 참조)은, 제1 커플링 부재(29)와 제2 커플링 부재(30)와 함께 일체로 회전할 때에, 폐토너를 도 1, 도 7의 화살표 N 방향으로 반송하는 방향으로 감겨지고 있다. 이 때문에, 폐토너는, 화살표 N 방향으로, 자유 낙하함과 함께, 반송력을 갖고 화살표 N 방향으로 적극적으로 반송된다. 커플링 스프링(31)이 제2 반송 경로(61) 내에서 더 회전함으로써, 폐토너를 푸는 효과도 발생한다. 이 때문에, 폐토너의 반송(이동)을 보다 부드럽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제2 커플링 부재(30)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커플링 스프링(31))는, 토너를 반송하는 반송부 및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부를 가지게 된다.
커플링 스프링(31), 제2 커플링 부재(30)의 구멍부(30a)를 통과한 폐토너는, 제2 커플링 부재(30)에 화살표 N 방향으로 지지된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폐토너 배출부(32d)로부터 배출된다. 이상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 내에서의 폐토너의 배출까지의 움직임이다.
(폐토너 배출부 하류측에서의 폐토너의 흐름)
도 1, 도 4,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토너 배출부(32d)로부터 배출된 폐토너는, 폐토너 배출부(32d) 하부에 배치된 화상형성장치 본체(100)가 구비하는 폐토너 수취구(80d)로부터 반송로(80b)로 들어간다. 그 후, 반송로(80b)에 들어간 폐토너는, 메인 반송로인 본체 제2 반송부(80b) 내의 반송 부재로서의 본체 반송 스크류(85)에 의해 폐토너 박스(본체측 토너 수납부)(86)에 배출된다.
이상의 폐토너의 반송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폐토너 배출구(32d)로부터 제1 반송로(80a) 내로 반송된 폐토너는, 본체 제1 반송로(80d) 내로 자유낙하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제1 반송로(80d) 하단에는, 대략 직교하는 본체 제2 반송로(80b)가 연결부(80f)에서 접속되고 있다. 낙하 방향으로 반송된 폐토너는, 본체 제2 반송부(80b)로 반송된다.
여기서, 제1 반송로(80a)와 제2 반송로(80b)는 대략 직교 위치에 중심축을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고 있어, 접속부(80f)에서의 폐토너의 막힘이 염려된다. 이에 대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진동 부재(44)가 프로세스 카트리지(7)로부터의 작용을 받아 진동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폐토너를 풀어, 연결부(80f)에서의 토너 막힘을 방지하고, 안정되게 폐토너를 반송하고 있다. 본체 제2 반송부(80d)로 반송된 폐토너는, 도 5에서 도시한 반송 부재로서의 본체 반송 스크류(85)의 반송력을 받아, 화살표 R 방향으로 반송되고, 폐토너 박스(86)로 반송·회수된다.
여기서, 본체 제2 반송로(80b)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 횡방향으로 각 색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걸쳐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폐토너 박스(86)는, 교환 가능한 상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플링의 형상 및 배치에 관한 기재)
여기서,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30)의 구멍부 및 커플링 스프링(31)의 내경은, 폐토너를 안정되게 배출 가능한 직경으로 하였다.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30)을 내부에 갖는 커플링 수용부(28)의 외측에 장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커플링 수용부(28)의 원통 형상(28a)의 외경을 Φ9.2mm 정도,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외경을 Φ11.4mm 정도로 하였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장치 본체(100)의 폐토너 수취구(80d)에 침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폐토너 수취구(80d)의 내경 Φ10.4 mm이며,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본체 수취구 시일 부재(47)를 찌그러뜨리면서 침입하여, 틈새를 막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폐토너가 통과하는 제1 커플링 부재(29)의 구멍부(29a) 및 제2 커플링 부재(30)의 구멍부(30a)는 모두 그 내경을 Φ5.4mm 정도로 하였다. 이에 수반하여, 커플링 스프링(31)의 내경을 Φ4.5mm 정도로 하였다. 또한, 폐토너 배출부(32)를 Φ8.4 mm 정도, 나아가 본체 수취구(80d)를 전술한 바와 같이 Φ10.4mm 정도로 하였다. 이와 같이, 폐토너 반송의 하류측으로 감에 따라, 반송로의 직경이 크게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로부터, 본체 반송부(80)까지의 폐토너 반송 경로 중에서의 토너 막힘을 방지하고, 안정된 토너 배출이 가능해지고 있다.
(폐토너 막힘에 관한 설명)
도 7(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0) 내에서는, 폐토너 반송 방향인 화살표 N 방향은 폐토너의 자유낙하 방향에 대하여 약 19도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100) 내에서, 폐토너 연결 부재(32)와 제2 커플링 부재(30)는, 커플링 스프링(3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구동 전달 위치)로 사용된다.
또한, 제1 커플링 부재(29)와 제2 커플링 부재(30)는, 축선 방향인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결합부(29e, 30g)에 있어서 회전 방향으로 결합 가능한 상태가 되고 있다.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부재(29)의 구멍부(29a)로 반송된 폐토너는, 제2 커플링 부재(30), 커플링 스프링(31) 및 폐토너 연결 부재(32)를 통과하여, 화살표 N을 따라 반송된다.
이 때, 폐토너가 자유낙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중력 방향 단부(U)로 모아져 간다.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전술한 제2 커플링 부재에 지지되는 볼록 형상의 지지부(32a)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폐토너는 볼록 형상인 지지부(32a)로 모이면서, 폐토너 배출구(32)로 보내진다. 이 때, 폐토너 연결 부재(32)와 제2 커플링 부재(30)는 폐토너 배출부(32)의 U부에 모여 있던 폐토너를 동반하여, 제1 커플링 부재(29)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U부에 모인 폐토너는, 커플링 수용부(28)의 원통 선단부(28c)의 테이퍼부(28f)에 화살표 N 방향으로 밀어내어진다. 그 후, 폐토너는, 도 11에 도시한 폐토너 배출부(32)의 지지부(32a)에 설치된 복수의 슬릿부(32j)로부터 유출되어, 폐토너 배출부(32d)로 보내진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폐토너 연결 부재(32)와 제2 커플링 부재(30)가, 제1 커플링 부재(29)로부터 떨어진 상태로부터, 위치 결정 위치로 돌아가는 경우에 폐토너의 막힘을 저감할 수 있다.
[셔터의 구성에 대하여]
다음으로, 폐토너 연결 부재(32)에 설치된 셔터(개폐 부재)(34)의 장착 시의 움직임에 대해,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셔터 지지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착 방향(화살표 J 방향) 안쪽에는, 전술한 폐토너 배출구인 폐토너 연결 부재(32)가 설치되고 있다.
여기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토너 연결 부재(32)에는, 축선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의 가이드부(32b, 32c)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셔터(34)에는, 홈부(34a, 34b)가 단면 방향 양단에 배치되고 있다.
셔터(34)는 홈부(34a, 34b)를 볼록 형상의 가이드부(32b, 32c)에 가이드되는 상태로 결합하여 장착 방향(화살표 J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폐토너 배출부(32d)를 봉지하고 있다.
또한, 셔터(34)는, 폐토너 배출부(32d)를 봉지하기 위한 탄성 시일 부재(35)를 구비한다. 셔터(34)는, 탄성 시일 부재(35)가 배출구(32d)에 눌려 찌그러지는 상태로 지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배출구(32d)는,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시일 부재(35)에 의해 틈새없이 막혀, 폐토너의 봉지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34)는 클리닝 프레임(14)에 설치된 가압 부재(36)에 의해, 장착 방향 안쪽(화살표 J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셔터(34)는, 가압 부재(36)에 의해, 배출구 부딪힘부(34d)가, 폐토너 접속부(32)가 부딪힘부(32e)에 부딪친다. 이와 같이 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7) 상에서, 셔터(34)는, 폐토너 연결 부재(32)에 의해 위치결정 지지된다.
또한, 클리닝 프레임(14)에는, 셔터(34)를 장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셔터 가이드부(14b)가,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가이드부(32b)와 단면 방향 동일 위치에, 장착 방향(화살표 J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34)의 셔터 결합부(34a, 34b)는, 폐토너 연결 부재(32)가 부딪힘부(32e)에 부딪친 상태에서, 클리닝 프레임(14)의 셔터 가이드부(14b)에 일부 결합 지지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셔터(34)는, 폐토너 연결 부재(32)와 클리닝 프레임(14)의 양쪽 모두에 결합 지지되고 있다.
또한, 도 1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34)는 장치 본체(100)로의 장착 시에, 프로세스 카트리지(7) 내에서 삽입 방향과 반대측(화살표 J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셔터(34)는 폐토너를 배출하는 개구(배출구(32d))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다.
셔터(34)는 화살표 J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셔터 가이드부(32b, 32c)와의 결합이 완전하게 벗어난다. 그리고, 셔터(34)는 클리닝 프레임(14)의 가이드부(14b)에만 결합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장치 본체(100)로의 장착 상태에서는, 셔터(34)는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단면 방향(화살표 N 방향)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다.
그 반대로, 셔터(34)가 배출구(32d)를 닫고 있을 때는,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이동이 잠기고 있다. 셔터(34)는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화살표 N 방향으로의 이동을 잠그는 잠금 부재이기도 하다.
[장치 본체로의 카트리지의 장착 동작에 대하여]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치 본체(100)로의 장착에 관해, 도 4, 도 19, 도 20, 도 21, 도 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장착 동작의 개요에 대하여)
도 19는 장치 본체(100)의 프론트 도어(91)을 연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카트리지 하가이드(94)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치 본체(100)에의 장착 과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우선,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화상형성장치 본체(100)로의 장착 동작에 관해,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장치 본체(100)에 대해, 화살표 J 방향으로 착탈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 장착 방향 안쪽에는 폐토너 반송부(40)가 설치되고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로부터 장치 본체(100)의 도시하지 않은 수취구로, 화상 형성 중에 발생하는 폐토너가 반송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0)의 프론트 도어(91)를 열고 화살표 J 방향으로 삽입된다. 그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화살표 J 방향으로 장착되어 가고, 장치 본체 안쪽의 도시하지 않은 후측판에 부딪쳐 삽입이 완료된다. 그 후, 장치 본체(100)의 프론트 도어(91)를 닫음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장치 본체 내에서 도시하지 않은 위치결정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폐토너 접속부가 장치 본체(100)와 연결되어, 장착 동작이 완료한다. 다음으로, 단계별로, 장착 동작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긴 길이 방향 삽입 동작에 대하여)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는, 장착 시에 장치 본체(100)에 가이드되는 하가이드(7a, 7b)가 장착되는 카트리지의 긴 길이 방향을 따라 양단에 배치되고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는, 장착 시에 장치 본체(100)에 가이드되는 상가이드(7c, 7d)가, 그 긴 길이 방향을 따라 양단에 배치되고 있다.
장치 본체(100)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긴 길이 방향 단면 방향을 장착 입구에서 규제하기 위한, 앞커버(92)(도 19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100)의 카트리지 장착부(93) 내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하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카트리지 하가이드(94)와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상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카트리지 상가이드(95)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가이드(94)에는, 장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장착 방향 대략 수직 방향 상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구(96, 97)가 설치되고 있다. 이 가압구(96, 97)는,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을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앞쪽과 안쪽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가이드(94)는 장착 방향 J 안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방에 올라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착 방향 상방에 위치하는 중간 전사 벨트(5)와의 접촉을 피하는 위치에서 삽입할 수 있다.
도 2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프론트 도어 하가이드(91a)에 가이드된 상태로 카트리지 장착부(93)로 삽입된다. 장착부(93)로 이동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도 19에 도시한 앞커버(92)의 장착 러프 가이드부(92a)에 의해 단면 방향에 관한 위치가 규제된다.
이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카트리지 장착부(93)에 단면 방향의 자세가 규제된 상태로 장착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앞커버(92)를 통과하는 위치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5)와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 있다. 나아가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측으로 침입하면, 하가이드(7a)의 볼록 형상이, 카트리지 하가이드(94)의 오목 형상에 끼워지는 형태로 가이드된다.
(올라타는 동작에 대하여)
계속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하가이드(7a)가 가이드된 상태인 채로, 상가이드부(7c)의 볼록 형상이, 카트리지 상가이드(95)의 오목 형상에 끼워지는 형태로 가이드된다.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하가이드(7a), 상가이드(7c)로 단면 방향이 규제된 상태로, 카트리지 하가이드(94) 위를 화살표 J 방향으로 이동한다.
카트리지 하가이드(94)는, 장착 방향 안쪽에 장착됨에 따라 중력 방향 상방향으로 조금씩 올라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카트리지 하가이드(94)의 형상에 맞추어, 상방향으로 뛰어오르면서 장치 본체(100) 내에 삽입되어 간다.
다음으로, 하가이드(7a)는 카트리지 하가이드(94)의 경사부(94a)에 올라타, 장착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들어 올려진다. 그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착 방향(화살표 J 방향)으로 삽입됨에 따라, 하가이드(7b)가 프론트 도어 하가이드(91a) 위에 올라탄다. 그 후, 카트리지를 계속 삽입하면, 하가이드(7b)는, 하가이드(7a)와 마찬가지로, 카트리지 하가이드(94), 가압구(96)의 순으로 올라탄다.
다음으로, 장치 본체(100)에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부딪치는 부위의 구성에 대해, 도 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착 방향 안쪽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는, 장치 본체(100)에의 단면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위치결정축(7g)이, 긴 길이 방향 장착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착 방향 안쪽에는, 장착 도중에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대략 연직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상가이드 부딪힘부(7e), 연직 부딪힘부(7f)가 장착 방향 안쪽에 각각 설치되고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는, 장치 본체(100)로부터의 빠짐 방지로서의 빠짐 방지홈(7h)이 설치되어 있다. 빠짐 방지홈(7h)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 안쪽에 오목 형상으로서 설치되고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감광체 드럼(1)에는, 장치 본체(100)로부터의 구동 입력부로서의 커플링부(1c)가, 장착 방향 안쪽에 설치되고 있다. 또한, 토너 공급 롤러(20)(도 3 참조)에는, 장치 본체(100)의 입력부로서의 커플링부(57)가 설치되고 있다.
(부딪힘부 주변의 구성에 대하여)
다음으로 장치 본체(100)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부딪힘부 주변의 구성에 대해, 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장치 본체(100)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 장착 방향 안쪽 구성을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0)에는, 전술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착 시의 긴 길이 방향 부딪힘부로서의 부딪힘부(98a)가, 후측판(98) 상에 설치되고 있다.
또한, 후측판(98)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단면 방향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V자 홈부(98b), 위치결정 긴 구멍부(98c)가 단면 방향의 위쪽, 하방에 각각 설치되고 있다. 또한, 감광체 드럼(1)에 구동을 입력하기 위한 드럼 구동 입력 커플링(81)이, 후측판(98)의 장착 방향 안쪽부에 설치되고 있다. 드럼 구동 입력 커플링(81)은,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해, 화살표 J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압 지지되고 있다. 또한, 장치 본체(100)의 장착 방향 안쪽에는 커플링부(57)에 구동 입력을 하기 위한 현상 구동 입력 커플링(8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현상 구동 입력 커플링(82)은 장치 본체(100)의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으로부터의 입력을 받아 회전 구동된다.
또한, 장치 본체(100)의 장착 방향 안쪽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 인가 부재(83)가 설치되고 있다. 여기서, 전압 인가 부재(83)는 예를 들면 압축 코일 스프링과 같이, 탄성을 갖는 부재가 화살표 J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설치되고 있다.
또한, 장치 본체(100)의 안쪽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기억 소자로서의 칩(33)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 단자(84)가 설치되고 있다. 기록 단자(84)는, 탄성을 갖는 돌출부(84a, 84b)가 장착 방향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있고, 후측판(98)에 대략 연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또한, 장치 본체(100)의 카트리지 상가이드(95)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상가이드 부딪힘부(7e)와 접촉하여, 지지하기 위한 상가이드 레일 부딪힘부(95a)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후측판(98) 상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연직 부딪힘부(7f)를 접촉 지지하기 위한 규제부(98d)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후측판(98)에는, 폐토너 연결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암(42)이 암 회전축(42c)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고 있다. 즉, 암(42)의 암 회전축(42c)이, 후측판(98)의 암 지지부(98e, 98f)(도 26 참조)에 의해 그 양단을 지지되고 있다. 암 지지부(98e)는, 암 지지부(98f)와 동일 형상이다. 암(42)은 도시하지 않은 링크 기구에 의해, 카트리지 하가이드(94)로부터, 회전 방향에서 위치 결정 지지되고 있다.
(올라타기에서부터 본체 접촉까지의 동작에 대하여)
더 장착을 계속해 가면, 도 2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상가이드(7c), 하가이드(7a, 7b)가 카트리지 상가이드(95), 카트리지 하가이드(94)에 지지된 상태로, 장치 본체 안쪽으로 삽입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하가이드(7a)는, 카트리지 하가이드(94) 상에 설치된 가압구(97)의 테이퍼부(97a)에 올라탄다. 이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단면 위치 결정축(7j)은, 중간 전사 벨트(5)를 장착 방향으로 통과한 위치이다. 이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상방 방향으로 돌출한 단면 위치 결정축(7j)을, 중간 전사 벨트(5)에 접촉시키지 않고, 장치 본체(100)에 장착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카트리지 하가이드(94)의 장착 방향의 앞쪽부와, 튀어오른 장착 안쪽부의 2개소에서 지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2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장치 본체(100) 내에서 장착 방향 안쪽을 들어올린 경사(약 0.6도) 상태로 장착되어 간다.
가압구(97)에 올라탄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가압구(97)로부터의 연직 상방측으로의 가압력을 받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가압구(97)에 상방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가이드 부딪힘부(7e)가, 카트리지 상가이드(95)의 부딪힘부(95a)에 부딪친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가압구(97)에 올라탄 상태로부터의 장착 상태를 도 21, 도 2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장치 본체 안쪽의 삽입 완료까지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움직임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상가이드 부딪힘부(7e)가 카트리지 상가이드(95)의 접촉면(95a)에 부딪친 상태인 채로 삽입된다. 도 2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연직 부딪힘부(7f)가 본체 후측판(98)의 상방 규제부(98d)에 부딪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상가이드 부딪힘부(7e), 연직 부딪힘부(7f)가 부딪친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을 더 안쪽으로 이동하는 상황을 상정한다. 이 상황에서는, 연직 부딪힘부(7e)는, 카트리지 상가이드(95)의 부딪힘부(95a)와의 부딪힘부로부터 벗어난다. 그리고, 도 2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직 부딪힘부(7f)만이 상방 규제부(98d)와 부딪친 상태로 이동한다.
이 때, 카트리지 상가이드(95)의 장착 방향 안쪽에 설치된 구멍부(95b)에 상가이드 부딪힘부(7e)가 관통해, 단면 방향(좌우 방향)만을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단면 위치 결정축(7g)이, 장치 본체(100)의 후측판(98)의 긴 구멍부(98c)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볼록 형상의 벽부인 암 접촉부(32f, 32g)가, 후측판(98)에서 지지된 암(42)의 접촉부(42a, 42b)의 하방으로 삽입되어 간다(도 24(c) 참조).
암(42)의 접촉부(42a, 42b) 선단에는, 테이퍼(42e, 42f)가 각각 설치되고 있어,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암 접촉부(32f, 32g)를 확실히 불러들이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착 도중 및 장착 완료 시에는, 암(42)과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틈새를 두고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더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에 삽입되면, 현상 커플링(37)이, 본체 현상 입력 커플링(82)과 결합하기 시작한다. 장착을 더 계속하면, 연직 부딪힘부(7f)는 부딪힘부(98d)로부터 벗어나, 가압구(97)의 가압력에 의해 대략 연직 방향으로 상승한다. 동시에, 가압구(97)의 가압력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단면 위치 결정축(7j)과 후측판(98)에 설치된 V자 홈부(98b)가 상방 방향으로 부딪친다.
그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접점부(7i)(도 22 참조)는, 탄성 도전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전압 인가 부재(83)와 부딪친다. 또한, 장치 본체(100)의 기록 단자(84)가,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기억소자로서의 칩(33)과 접촉한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드럼 커플링(1c)이 장치 본체(100)의 드럼 입력 커플링(81)과 접촉하여, 드럼 입력 커플링의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의 힘에 반하여, 화살표 J 방향으로 밀어 낸다.
그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긴 길이 방향 부딪힘부(7m)가 장치 본체의 후측판(98)의 부딪힘부(98a)와 부딪쳐, 장착 방향으로의 이동은 완료한다. 이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장착 방향 안쪽에서는, 가압구(97)에 가압되고, 장착 방향 앞쪽에서는, 가압구(96)에 가압부(7b)가 탄 상태(도 21(d), 도 24(d))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가이드(94)는 삽입 안쪽으로 감에 따라, 대략 연직 방향으로 올라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2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삽입 완료 상태(부딪힘 상태)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장착 방향 안쪽을 위로 하여 경사진 (약 0.6도) 상태로 되고 있다.
(장착 시의 셔터 동작에 대하여)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부딪힘까지의 셔터(34)의 장착 시 움직임에 대해 도 18, 도 2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체 장착 시의 셔터(34)의 움직임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가이드 부딪힘부(7e)가, 카트리지 상가이드(95)의 부딪힘부(95a)에 부딪친 상태에서 더 이동하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34)가 장치 본체(100)의 셔터 접촉부(43a) 위를 통과한다.
도 18(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34) 하부에는, 볼록 형상의 본체 접촉부(34c)가 설치되어 있다. 셔터(34)가 셔터 접촉부(43a)를 타넘은 후, 본체 접촉부(34c)가 셔터 접촉부(43a)와 접촉한다. 그 후, 셔터(34)는, 장착이 진행됨에 따라, 클리닝 프레임에 설치된 셔터 가압 부재(36)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7) 내에서 상대적으로 장착 방향 J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나아가 후술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치 본체 부딪힘 위치까지 이동하면,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토너 배출부(32d)를 완전하게 해방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7) 내에서의 상대 이동을 완료한다.
여기서, 셔터(34)는 본체 접촉부(34c)가 셔터 접촉부(43a)에 접촉함으로써, 장치 본체(100)로의 장착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 내에서 장착 방향(화살표 J 방향) 앞쪽으로 이동한다. 본체 접촉부(34c)는 폐토너 배출구(32d)에 대해 장착 방향 상류 측에 배치되고 있다. 이 때문에, 셔터(34)가 셔터 접촉부(43a)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서 이동하기 시작할 때에는, 폐토너 셔터(34)의 하부의 일부에는, 셔터 접촉부(34)를 갖는 스프링 누름(43)이 존재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2 반송로(61) 내에 폐토너가 존재하는 상태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착된 경우에는, 셔터(34)가, 폐토너 배출구(32d)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하면, 제거 토너가 배출구(32d)로부터 유출된다. 이 때, 유출된 폐토너는 스프링 누름(43)으로 자유낙하하게 된다. 스프링 누름(43)에는, 자유낙하한 폐토너를 장치 본체(100) 내로 낙하시키지 않기 위한 낙하 방지벽(43b)(도 23 참조)이 스프링 누름(43)의 중력 낙하 방향에 배치되어 있어, 장치 본체(100) 내로의 폐토너의 낙하를 억제하고 있다. 이에 의해, 폐토너의 장치 본체(100) 내의 비산을 저감하고 있다.
(프론트 도어 개폐와 카트리지 승강에 대하여)
계속하여, 도 21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프론트 도어(91)의 개폐와 연동해 동작하는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공간을 그 내부에 가진다. 유저는, 화상형성장치의 외장의 일부인 프론트 도어(91)를 여는 것으로써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공간(수용부)에 액세스할 수 있다.
장치 본체(100)의 프론트 도어(91)를 닫으면, 카트리지 하가이드(94)는, 프론트 도어 하가이드(91a)의 이동에 수반하여, 도시하지 않은 링크 기구에 의해, 상방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21(e)).
그러면, 카트리지 하가이드(94)의 이동에 수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가압구(96, 97)로부터 상방 방향의 가압력을 받는다. 이와 같이 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안쪽 단면 위치 결정축(7j)이, 장치 본체(100)의 후측판(98) 상의 단면 방향 부딪힘 위치인 V자 홈부(98b)에 부딪치는 가압력이 증가된다. 또한, 장착 방향 앞쪽의 가압구(96)의 가압력으로, 앞쪽 부딪힘축(7k)이, 전측판(99) 상의 단면 방향 부딪힘부인 V자 홈부(99a)에 가압력을 갖고 부딪친다(도 21(e)).
이상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장치 본체(100)에 대하여, V자 홈부(98b), 긴 구멍부(98c), V자 홈부(99a)에서 단면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 프론트 도어(91)를 닫음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링크 기구에 의해, 드럼 구동 입력 커플링(81)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 측의 결합 가능 위치로 이동한다.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드럼 구동 입력 커플링(81)을 회전 구동하면, 드럼 구동 입력 커플링(81)의 홈부(81a)는 감광체 드럼(1)의 커플링부(1c)와 회전 방향에서 연결된다. 또한, 본체 프론트 도어(91)를 닫음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링크 기구에 의해, 장치 본체 안쪽에 설치된 카트리지 빠짐 방지부(46)가 상승한다(도 21(e)).
상승한 빠짐 방지부(46)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빠짐 방지부(7h)의 홈 형상으로 들어간다. 이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착 방향 앞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폐토너 연결 부재의 동작에 대하여)
다음으로 장치 본체(100)의 프론트 도어(91)을 닫았을 때의 폐토너 연결 부재의 움직임을,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프론트 도어 개폐시의 폐토너 연결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착 방향 안쪽에는, 본체 프론트 도어(91)와 도시하지 않은 링크 기구로 회전 이동하는 암(42)이 설치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폐토너 연결 부재(32)에는, 장치 본체(100)의 암에 접촉하는 암 접촉부(32f, 32g)가 단면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의 후측판(98)에 부딪친 상태에서, 암 접촉부(32f, 32g)는, 암(42)의 접촉부(42a, 42b)의 하방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착 방향 부딪힘 시에는, 암(42)의 접촉부(42a, 42b)가,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암 접촉부(32f, 32g)에 장착 방향으로 약 4 mm 오버랩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암(42)은 암 회전축(42c)을, 후측판(98)의 지지 구멍(98e, 98f)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장치 본체(100)의 프론트 도어 닫힘 동작에 수반하여, 암(42)은 도시하지 않은 카트리지 하가이드(94)에 연결된 링크 기구에 의해 암 회전축(42c)을 중심으로 화살표 M 방향으로 약 42도 회전된다.
암(42)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암(42)은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암 접촉면(32f, 32g)에 부딪친다. 그리고,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본체 토너 수취구(80d)측(화살표 N 방향)의 연결 위치(제1 위치)로 이동한다. 여기서,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본 실시예에서는, 암(42)의 회전 동작에 의해 화살표 N 방향으로 약 7.7mm의 거리를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암(42)에 의해 눌려 내려진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장치 본체(100)의 폐토너 수취구(80d)로 약 4mm 침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커플링 스프링(31)에 의해, 대략 상방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부재로서의 스프링부(31)는, 선경 Φ0.3mm, 외경 Φ5.1mm 정도의 인장 스프링을 이용하였다. 또한, 장치 본체(100)와 비연결 상태에서는 약 30gf, 본체 폐토너 수취구(80d)와 연결된 상태에서는 약 70gf의 가압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암(42)은, 본체 프론트 도어(91)의 닫힘 상태에서는 대략 중력 방향 상방향으로 약 70gf의 힘을 받게 된다.
[폐토너 배출부의 구동 연결에 대하여]
다음으로 폐토너 배출부의 구동 연결에 대해 도 1, 도 5, 도 7, 도 15,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폐토너 배출부(23d)와 본체 폐토너 수취구(80d)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구동 연결 동작에 대하여)
장치 본체(100)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로부터의 배출 토너를 받아들이는 폐토너 수취구(80d)가 설치되어 있다. 장치 본체(100)의 프론트 도어의 닫힘 동작에 수반해, 폐토너 수취구(80d)로 폐토너 연결 부재(32)가 침입한다(도 16 참조).
폐토너 연결부(32)가 장치 본체에 침입한다. 이에 의해, 폐토너 연결부(32)에 설치된 제2 커플링 부재(30)가, 장치 본체(100)에 설치된 본체 반송부(80)의 본체 제1 반송로(80a) 내의 진동 부재(44)를 하방향(폐토너 연결구 침입 방향, 화살표 N 방향)으로 누른다.
여기서, 진동 부재(44)는, 제2 커플링 부재(30)와 가압력을 가지고 부딪친다. 부딪친 제2 커플링 부재(30)는, 감광체 드럼(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제2 커플링 부재(30)의 홈 형상의 오목부(30h)가 진동 부재(44)의 피작용부(44b)와 부딪친다. 오목부(30h)는, 피작용부(44b)에 작용하기 위한 작용부의 일부이다. 오목부(30h)의 면이 피작용부(44b)에 접촉함으로써, 진동 부재(44)가 진동한다.
이 때의 동작을 도 15, 도 30, 도 62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는 제2 커플링 부재(30)의 작용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0은, 제2 커플링 부재(30), 진동 부재(44)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61은 진동 부재(44)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우선, 제2 커플링 부재(30)의 작용부의 설명을, 도 1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2 커플링 부재(30)의 선단은, 원환 형상(링 형상)의 가장자리로 되어 있고, 이 가장자리 부분이 진동 부재(44)에 작용하는 작용부로 되고 있다.
제2 커플링 부재(30)에는, 배출구 방향(화살표 N 방향)에 평면부인 부딪힘면(제1 작용부, 제1 부분 , 가압부, 압압부, 돌출부)(30k)가 원통축(30l)의 대칭 위치에 2개소 설치되어 있다. 이 부딪힘면(30k)은 작용부의 일부(제1 부분, 제1 작용부)이다. 부딪힘면(30k)은, 진동 부재(44)를 압압하도록 힘을 가하여, 진동 부재(44)를 제2 커플링 부재(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축시키도록 변형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부딪힘면(30k)을 절결하도록 오목부(홈)(30h)가 원통축(30l)의 대칭 위치에 2개소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30h)는 2개소의 경사면부인 경사면부(30i), 역경사면부(30j)로 형성되는 V자의 오목 형상이며, 제2 커플링 부재(30)의 선단으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다.
오목부(30h)의 V자 가장 안쪽부에는, 스프링부(31)와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 걸림홈(30c)이 원통축(30l)의 대칭 위치에 2개소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2 커플링 부재(30)에 의한 진동 부재(44)로의 작용(진동 전달) 방법에 대해, 도 3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폐토너 연결부(32)가, 본체 수취구(80d)에 삽입됨으로써, 제2 커플링 부재(30)는, 장치 본체(100)의 진동 부재(44)에 작용 가능한 위치로 이동된다. 작용 가능한 위치로 이동한 제2 커플링 부재(30)는, 부딪힘면(30k) 또는 오목부(30h)의 일부가, 진동 부재(44)의 피작용부(44b)와 화살표 N 방향으로 부딪친다. 이 때, 진동 부재(44)는 제2 커플링 부재(30)가 화살표 N 방향으로 침입해 옴으로써, 자신의 스프링압으로 제2 커플링 부재(30)에 부딪치는 상태가 된다.
도 30(a)은 장착 시의 일례로서, 피작용부(44b)가 부딪힘면(30k)과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커플링 부재(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의 회전에 연동하여, 축선(61a)을 중심으로,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커플링 부재(30)가 화살표 T 방향에 회전하면, 진동 부재(44)의 피작용부(44b)가 홈 형상의 오목부(30h)의 경사면부(경사부)(30i)에, 자신의 스프링압을 가지고 부딪친다(도 30(b)).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30h)는, 제2 커플링 부재(30)의 축선(30l)에 대해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 구멍부(오목부)이다. 이 때문에, 도 3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30l)에 대해 서로 대칭인 위치에 배치된 2개의 경사면부(30i)에, 피작용부(44b)는 동시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피작용부(44b)는, 제2 커플링 부재(30)의 회전에 수반하여, 크게 쓰러지지 않고, 그 대신에 화살표 N 반대 방향으로 진동 부재(44)의 스프링압으로 이동한다.
더욱 제2 커플링 부재(30)가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피작용부(44b)는, 오목부(30h)에 진입한다. 피작용부(44b)는 경사면부(30i)을 따라 오목부(30h)의 바닥으로 자신의 스프링압으로 이동한다.
2개의 경사부(30i, 30j)로 생긴 V자의 바닥에 자신의 스프링압으로 부딪친 시점에서, 화살표 N 반대 방향으로 가장 이동한 상태가 된다(도 30(c)). 제2 커플링 부재(30)가 더욱 회전함으로써, 피작용부(44b)는 역경사면부(30j)에 진동 부재(44)의 스프링압으로 부딪치고(도 30(d)), 그 후, 부딪힘면(30k)과 부딪쳐, 화살표 N 방향으로의 이동을 완료한다(도 30(a) 참조). 즉, 화살표 N 방향으로, 가장 눌려 내려진 상태가 된다.
이상의 동작을 반복하여 피작용부(44b)는, 진동 부재(44)의 스프링압을 갖고, 제2 커플링 부재(30)에 부딪침으로써, 화살표 N 방향으로 왕복 운동(진동)을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진동 부재(44)는, 제2 커플링 부재(30)의 화살표 T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N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또한, 부딪힘면(30k)도 축선(30l)에 대해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있다. 즉, 제2 커플링 부재(30)의 선단(작용부)은, 축선(30l)에 대해 대칭인 형태이다. 그 때문에, 피작용부(44b)가 제2 커플링 부재(30)의 선단(작용부)에 접촉하고 있을 때는, 피작용부(44b)의 양단은, 작용부의 같은 형상의 부분에 동시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피작용부(44b)의 일단이 부딪힘면(30k)에 접촉하고 있을 때는, 피작용부(44b)의 타단도 부딪힘면(30k)에 접촉하고 있다. 피작용부(44b)가 경사면부(30i)나 경사면부(30j)와 접촉할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피작용부(44b)가 오목부(30h)의 안으로 진입했을 때, 피작용부(44b)는 경사면부(30i), 경사면부(30j)를 따라 이동하므로, 진동 부재(44)의 이동은 부드럽게게 된다. 특히, 역경사면부(30j)는, 피작용부(44b)가 오목부(30h)에 걸려 진동 부재(44)가 쓰러지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즉, 역경사면부(30j)가 있음으로써, 피작용부(44b)는 역경사면부(30j)를 따라 부드럽게 오목부(30h)로부터 빠져나가, 부딪힘면(30k)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커플링 부재(30)의 구성에 대해 더 설명한다.
제2 커플링 부재(30)의 선단이, 진동 부재(44)에 작용하기 위한 작용부이다. 제2 커플링 부재(30)의 선단의 평면 형상의 부분(부딪힘면(30k))이 작용부의 제1 부분(제1 작용부)이다. 그리고, 부딪힘면(30k)으로부터 우묵하게 된 오목부(30h)가, 작용부의 제2 부분(제2 작용부)을 구성한다.
즉, 제2 커플링 부재(30)의 선단(작용부)은, 축선 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1 부분(부딪힘면(30k))과 제2 부분(오목부(30h))을 가지게 된다. 오목부(30h)(작용부의 제2 부분)는, 부딪힘면(30k)(작용부의 제 1 부분 )에 대해, 제2 커플링 부재(30)의 축선 방향에서 보다 내측(후단측)에 배치되고 있다. 반대로 말하면, 부딪힘면(30k)(작용부의 제1 부분)은, 제2 커플링 부재(30)의 축선 방향에서 오목부(30h)(작용부의 제2 부분)보다 외측(선단측)에 배치되고 있다.
경사면부(30i)와 역경사면부(30j)는 각각 작용부의 제2 부분(오목부(30h))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그와 동시에, 경사면부(30i)와 역경사면부(30j)는, 작용부의 제2 부분(오목부(30h))을 작용부의 제1 부분(부딪힘면(30k))에 연결하기 위한 접속부(경계부)라고도 할 수 있다.
즉, 오목부(30h)의 바닥측의 일부를 특히 작용부의 제2 부분으로 정의하면, 이 작용부의 제2 부분(오목부(30h)의 바닥측)으로부터, 작용부의 제1 부분(부딪힘면(30k))까지는, 경사면부(30i) 또는 역경사면부(30j)에 의해 접속되고 있다. 이들 경사면부(30i)와 역경사면부(30j)는 제2 커플링 부재(30)의 축선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이다. 경사부(경사면부(30i)와 역경사면부(30j))는, 작용부의 제2 부분(오목부(30h))을 형성하는 부분임과 동시에, 작용부의 제2 부분(오목부(30h)의 바닥측 부분)을 제1 부분(부딪힘면(30k))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이기도 하다. 또한, 경사부(경사면부(30i)와 역경사면부(30j))는, 작용부의 제2 부분(오목부(30h)의 바닥측 부분)과 제1 부분 (부딪힘면(30k))의 경계에 배치되는 경계부이기도 하다.
또한, 오목부(30h)의 가장 안쪽부에는, 커플링 스프링과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 걸림홈(30c)이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 스프링 걸림홈(30c)은 진동 부재(44)에 작용하는 부분은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오목부(30h)에 스프링 걸림홈(30c)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오목부(30h)와는 다른 부분에 커플링 스프링이 장착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2 커플링 부재(30)는 진동 부재(44)를 쓰러지지 않게 하고 진동시켰다. 그러나 제2 커플링 부재(30)가 진동 부재(44)를 굳이 쓰러지게 하여 진동시키는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60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진동 부재(44)의 형상을, 도 6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진동 부재(44)에는, 폐토너를 푸는 목적으로 연장 설치된 풀기부(44c)가 피작용부(44b)와 인접하여, 스프링부(44a)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풀기부(44c)는,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반송로(80a)와 제2 반송로(80b)의 연결부인 반송 연결부(80f)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작용부(44b)가 화살표 N 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일체가 되어 형성되고 있는 풀기부(44c)가 화살표 N 방향으로 진동한다. 풀기부(44c)가 화살표 N 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스프링부(44a) 내부로 침입하여 온 토너를 긁어 푼다.
이와 같이 하여, 반송 연결부(80f)에서의 폐토너의 막힘이 억제되고, 본체 제1 반송로(80a)로부터 본체 제2 반송로(80b)로, 폐토너를 안정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진동 부재(44)는, 토너를 교반함(푼다)으로써, 본체 반송 스크류(85)를 향해 반송하는 교반 부재(반송 부재, 풀기 부재)이다. 또한, 진동 부재(44)는 탄성 변형함으로써, 진동, 즉, 왕복 이동을 행하는 이동 부재이며 탄성 부재이기도 하다. 또한, 진동 부재(44)는 제2 커플링(30)으로부터 작용을 받는 피작용 부재이기도 하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30)는, 제1 커플링 부재(29)로부터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부재임과 동시에, 진동 부재(44)에 작용하여 진동시키기 위한 작용 부재(진동 부여 부재)이기도 하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30)는, 진동 부재(44)에 힘(구동력)을 가하여 탄성 변형시키는 힘 전달 부재(구동력 전달 부재, 힘 부여 부재, 압압 부재)이기도 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커플링 부재(30)의 작용부가, 홈 형상(오목 형상)의 오목부(30h)를 갖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작용부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62에 도시한 것 같은, 볼록부(230m)를, 축선(230l)에 대해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2개 갖는 구성에서도, 오목부(30h)와 마찬가지로, 진동 부재(44)를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볼록부(230m)는 제2 커플링 부재(230)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돌기이다. 볼록부(230m)의 선단측이, 작용부의 제1 부분(제1 작용부)을 구성한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30)의 선단(가장자리) 중에서 볼록부(230m)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평면 형상의 부딪힘면)은, 작용부의 제2 부분(제2 작용부)에 상당한다. 제1 부분(볼록부(230m)의 선단)은 제2 부분(부딪힘면)보다, 제2 커플링 부재(230)의 선단 측에 배치되고 있다.
또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연결하기 위해 경사부가 볼록부(230m)의 양단 측에 배치되고 있다.
또한,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볼록부(돌기)(130m)를 제2 커플링 부재(130)의 선단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커플링 부재(130) 중에서 볼록부(130m)의 선단측이 작용부의 제1 부분(제1 작용부)에 상당한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130)의 선단 중에서 볼록부(130m)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부딪힘면(130k))이 제2 부분(제2 작용부)에 상당한다.
작용부의 제1 부분인 볼록부(130m)는, 제2 부분인 부딪힘면(130k)보다 제2 커플링 부재(130)의 선단 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130)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볼록부(130)의 하류 측에는 경사면부(경사부)(130n)가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작용부는, 진동 부재(44)의 풀기부(44b)를 좌우 방향으로 밀어 쓰러뜨리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상하 방향(화살표 N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진동 부재(44)를 쓰러뜨리는 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움직임을, 도 6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0은, 제2 커플링(130)이 진동 부재(44)에 작용(진동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전술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제2 커플링 부재(130)는, 폐토너 연결부(32)가, 본체 수취구(80d)에 삽입됨으로써, 장치 본체(100)의 진동 부재(44)에 작용 가능한 위치로 이동된다.
작용 가능한 위치로 이동한 제2 커플링 부재(130)는, 부딪힘면(130k), 또는 볼록부(130m)의 일부가, 진동 부재(44)의 피작용부(44b)와 화살표 N 방향으로 부딪친다. 이 때, 진동 부재(44)는 제2 커플링(130)이 화살표 N 방향으로 침입해 옴으로써, 자신의 스프링압으로 제2 커플링(130)에 부딪치는 상태가 된다.
도 60(a)은 장착 시의 일례로서 피작용부(44b)가, 부딪힘면(130k)과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제2 커플링 부재(30)와 마찬가지로, 제2 커플링(130)은, 감광체 드럼(1)의 회전에 연동하여, 축선(61a)을 중심으로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커플링(130)이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하면, 진동 부재(44)의 피작용부(44b)는, 피작용부(130m)의 경사면부(130n)와 자신의 스프링압을 가지고 부딪친다.
여기서, 도 30 등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술한 제2 커플링 부재(30)는, 축선(30l)에 대해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동일 형상의 오목부(30h)를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피작용부(44b)는, 화살표 N 방향에 대해, 축선(30l)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칭인 위치에 있는 2개소를 동시에 눌러 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피작용부(44b)는, 경사면부(30i, 30j)와 부딪칠 때에는, 축선(30l)의 직교 방향(도 30의 좌우 방향)으로 힘을 받지만, 축선(30l)의 대칭 위치에 대칭 형상의 경사면부를 갖기 때문에, 도 30의 좌우 방향에서의 힘을 서로 상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진동 부재(44)의 피작용부(44b)는,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진동)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제2 커플링 부재(130)의 볼록부(제1 작용부)(130m)는,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딪힘면(130k) 상에 한 곳에서만 배치되고 있다. 이 때문에, 진동 부재(44)의 피작용부(44b)는, 자신의 스프링압으로 경사면부(130n)에 부딪치는 힘으로, 축선(61a)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거의 직교하는 방향, 좌우 방향)으로 쓰러져 간다(도 61(b)).
또한, 진동 부재(44)의 피작용부(44b)는, 제2 커플링(130)이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경사면부(130n)에 의해 최대한 쓰러진 상태가 된다(도 61(c)). 더욱 제2 커플링(130)이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피작용부(44b)는, 볼록부(130m)와의 부딪침이 해제되고, 다시 부딪힘면(130k)에 부딪친다(도 60(d)).
이상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진동 부재(44)는 제2 커플링(130)의 축선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진동하게 된다. 즉, 진동 부재(44)의 피작용부(44b)가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도면 중, 좌우 방향, 제2 커플링(130)의 축선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또한, 진동 부재(44)는 경사면부(130n)를 따라 쓰러지므로, 진동 부재(44)의 진동은 원활하게 행해진다.
전술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도 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 부재(44)에는, 폐토너를 푸는 목적으로 연장 설치된, 풀기부(44c)가 피작용부(44b)와 인접하여, 스프링부(44a)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풀기부(44c)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반송로(80a)와 제2 반송로(80b)의 연결부인 반송 연결부(80f)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작용부(44b)가 화살표 N과 직교 방향(도 60의 좌우 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일체로 되어 형성되고 있는 풀기부(44c)가 진동하여, 스프링부(44a) 내부로 침입하여 온 토너를 긁어 푼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3에 도시한 반송 연결부(80f)에서의 폐토너의 막힘이 억제되고, 본체 제1 반송로(80a)로부터 본체 제2 반송로(80b)로 폐토너를 안정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구성으로, 진동 부재(44)는 장치 본체(100)의 반송 경로(80a) 내에서 진동한다.
진동 부재(44)에 의해 풀어져 제2 반송로(80b)로 배출된 폐토너는, 본체 반송 스크류(85)의 반송력을 받아 화살표 R 방향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폐토너는 폐토너 박스(86)로 반송·회수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폐토너부의 막힘을 억제하면서, 폐토너 반송을 행하고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토너 접속부(32)의 본체 폐토너 수취구(80d)로의 이동 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7) 장착 시의 올라타는 방향과 반대 방향인 화살표 N 방향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단면 방향으로의 튀어나옴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은 장치 본체(100)의 안쪽에서 본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단면 방향 이동 범위와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이동 방향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올라타는 방향은,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장치 본체(100) 내에는 간섭을 피하기 위해 통로가 확보되고 있다.
이 때문에, 올라타는 방향에서 폐토너 연결 부재(32)가 이동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쉽다. 한편, 올라타는 방향과 단면에서 직교하는 방향에서는, 인접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있기 때문에, 폐토너 연결 부재(32)를 이동시키는 것은 어렵다. 이 때문에, 장치 본체(100) 전체의 소형화를 행하기 위해서는, 폐토너 연결부(3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올라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폐토너 연결부(32)를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올라타는 방향(카트리지의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켰다.
다음으로, 도 25, 도 26, 도 27, 도 28을 사용하여 암(42)의 프론트 도어(91)와의 개폐 동작 연동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은, 암(42)과 프론트 도어(91)의 연동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5(a)는 프론트 도어를 열 때의 상태, 도 25(b)는 프론트 도어를 닫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6은 장착 방향 안쪽의 프론트 도어 링크 부품의 지지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7은 장착 방향 안쪽의 프론트 도어 링크 부품의 지지 구성을 설명하는 다른 방향에서부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8은 프론트 도어를 열 때의 장착 방향 앞쪽의 프론트 도어 링크 부품의 지지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42)의 암 회전축(42c)은, 후측판(98)의 암 지지구멍(98e, 98f)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또한, 후측판(98)에는, 링크 회전 부재(48)의 결합축(48a)을 지지하기 위한 결합구멍(98g)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측판(98)에는 링크 회전 부재(48)의 결합축(48a)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39)가 비스 등을 이용하여 후측판(98)에 장착되고 있다. 지지 부재(39)에는, 링크 회전 부재(48)의 결합축(48b)을 지지하기 위한 결합구멍(39c)이 설치되고 있다.
링크 회전 부재(48)는 결합축(48a, 48b)을 결합구멍(98g), 결합구멍(39c)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또한,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0)의 장착 방향 앞쪽에는, 프론트 도어(91)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축(49), 회전축(49)과 결합하여 이동하는 지지 부재(54)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54)는 결합부(54a)에서 회전축(49)과 결합하여, 동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지지되고 있다. 카트리지 하가이드(94)는, 장착 방향 안쪽에서는, 회전 부재(48)의 결합구멍(48c, 48d)에서 결합축(94c, 94d)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또한, 장착 방향 앞쪽에서는, 지지 부재(54)의 결합구멍(54b)에서 결합축(94e)을 지지되고 있다.
또한, 회전 부재(48)에는 레버 결합구멍(48e)가 설치되어 있어, 암 링크 레버(38)의 지지부 결합축(38c)를 결합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암 링크 레버(38)는 굽힘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다. 동시에, 암 링크 레버(38)는 굽힘 방향으로의 변형은 가능하지만, 늘림 방향으로의 변형은 적게 구성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 링크 레버(38)는 일단을 회전 부재(48)에 지지된 상태로 후측판(98)의 관통 구멍부(98h)를 통과하여, 제2 후측판(51)에 장착 방향으로 규제부(38d)가 규제된 상태로 설치된다.
도 2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42)의 암 결합축(42g)은, 암 링크 레버(38)의 구멍부(38a)에 결합되어, 회전축(42c)의 회전 방향(화살표 M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프론트 도어와 연동한 링크 기구에 대하여)
다음으로 프론트 도어(91)를 닫은 상태에 대해, 도 25(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프론트 도어(91)를 화살표 AB 방향으로 약 90도 회전함으로써, 프론트 도어(91)와 연동 회전하는 회전축(49)은, 화살표 AB 방향으로 90도 회전한다. 회전축(49)의 회전으로, 회전축(49)과 결합하고 있는 지지 부재(54)가 화살표 AB 방향으로 회전축(49)을 중심으로 일체 회전한다. 지지부(54)가 회전함으로써, 지지부(54)에 결합된 카트리지 하가이드(94)의 결합축(94e)은 화살표 AC 방향(도면 중 우측 경사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 이동에 수반해, 링크 회전 부재(48)에 지지된 카트리지 하가이드(94)의 안쪽 결합축(94c)도 링크 회전 부재(48)의 결합부(48a)를 중심으로 화살표 AC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 하가이드 전체가 화살표 AC 방향으로 이동한다. 카트리지 하가이드(94)의 AC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해 회전한 링크 회전 부재(48)는, 결합구멍(48b, 48c)에서 지지되고 있는 암 링크 레버(38)를 화살표 AD 방향(도 25(a) 참조)로 민다. 화살표 AD 방향으로 밀고 들어간 암 링크 레버(38)는, 암(42)의 암 결합축(42g)과 결합한 결합 구멍부(38a)에서, 화살표 AD 방향으로 이동한다. 암(42)는 암 결합부(42g)가 밀어 올려짐으로써 화살표 M 방향으로 약 42도 회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암(42)은 프론트 도어(91)의 개폐와 연동하여 암(42)을 회전시킨다.
상기 구성으로, 암 링크 레버(38)의 구멍부(38a)의 이동 방향은 암(42)의 암 회전축(42c)의 축선 수직 방향이 되고 있다. 그 때문에, 구멍부(38a)는 암 링크 레버(38)의 이동에 의한 암의 회전 운동을 안정되게 받을 수 있다. 또한, 암 링크 레버(38)의 이동은 링크 회전 부재(48)의 회전축(48a) 수직 방향으로 되고 있다. 그 때문에, 링크 회전 부재(48)의 회전축(48a)의 회전 방향의 이동을 안정되게 받을 수 있다.
또한, 링크 회전 부재(48)는 카트리지 하가이드(94)의 화살표 AC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암(42)의 회전 운동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암(42)의 회전 축선 방향은 카트리지 하가이드(94)의 이동 방향 화살표 AC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카트리지 하가이드(94)의 이동 방향과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이동 방향은 대략 동일 방향으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트리지 하가이드(9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화살표 AD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가압구에 의해 가압한다. 여기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로의 장치 본체(100)로부터의 가압 방향과,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이동 방향은 대략 동일하게 하였다. 그 때문에, 폐토너 연결 부재(32)를 안정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토너를 다 사용하면 교환을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장치 본체(100)로부터 꺼내진다.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암(42)에 의해, 본체 프론트 도어(91)의 닫힘 동작과 연동해 회전하고, 눌러 내려지고 있다(도 16(b) 참조). 즉, 암에 의해 눌러 내려진 위치를 연결 위치(제1 위치)라고 부른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꺼내기 위해, 본체 프론트 도어(91)를 열면, 암부(42)는 프론트 도어의 움직임에 연동해 화살표 P 방향(도 25(b) 참조)으로 회전된다. 화살표 P 방향으로 회전한 암(42)은,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제2 접촉부(32h)와 밀어 올림부(42d)가 접촉하고,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상방의 비연결 위치(퇴피 위치, 제2 위치) 방향으로 밀어 올려진다. 그 후, 폐토너 연결 부재(32)와 암(42)의 밀어 올림부(42d)는 접촉이 벗어나고,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전술한 커플링 스프링(31)의 가압력을 제2 커플링 부재(30)를 통해 받아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 후,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상승하여, 퇴피 위치(비연결 위치, 제2 위치)까지 이동한다. 비연결 위치(제2 위치)는, 연결 위치(제1 위치)보다 감광체 드럼(1)의 축선에 가까워진 위치이다. 또한, 연결 위치와 퇴피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은, 카트리지 장착 방향과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프론트 도어와 연동한 카트리지 하가이드(94)는, 본체 프론트 도어(91)에 연동하여 하부로 이동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삽입 안쪽을 위쪽으로 하여 약 0.6도 경사진 상태가 된다.
그 후는, 전술한 장착의 지지 순서와 반대 순서로 지지되어 가고, 장치 본체(100)로부터 꺼내어진다. 이상의 구성을 취함으로써, 폐토너 배출부(40)의 단면, 긴 길이 방향 구성으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배출구 접속부가 긴 길이 방향으로 튀어나오지 않는 것에 의해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폐토너 배출구와 본체 배출 용기가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토너 막힘을 일으키지 않고 폐토너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진동 부재(44)가 프로세스 카트리지(7)로부터 진동됨으로써, 장치 본체 내의 토너 반송로 내에서 폐토너를 풀어,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교환품인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 비해 수명이 긴 장치 본체(100) 내에서, 토너가 개재하는 위치에서의 작용(진동 전달)을 없애어, 토너 개재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진동 전달에 의한 닳음 등을 저감하여, 안정되게 폐토너를 반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7)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을 갖고,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클리닝 블레이드(6))를 더 갖는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블레이드(6)에 의해 제거된 토너는, 카트리지측 반송 부재인 반송 스크류(26)에 의해 제1 반송로(51)를 반송되어, 제2 반송로(61)로 이동한다.
또한, 카트리지(7)는, 도 1,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2)를 가진다. 연결 부재(32)에는 폐토너 배출부(배출구)(32d)가 설치된다. 연결 부재(32)는, 배출구(32d)를 장치 본체에 설치된 토너 수취구(80d)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이며, 이동 가능하다.
즉,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연 상태(카트리지(7)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결 부재(32)는, 토너 수취구(80d)에 접속하지 않는 비연결 위치에 있다. 한편, 연결 부재(32)에 설치된 이동력 수용부(암 접촉부(32f, 32g))가 장치 본체의 암(42)으로부터 힘을 받으면, 연결 부재(32)는 도 1(b)에 도시한 연결 위치로 이동한다. 그 결과, 배출구(32d)를 토너 수취구(80d)에 연결한다.
도 1(a), (b)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2)는 이동함으로써, 토너의 배출로(제2 반송로(61))를 변형시키고 있다. 즉, 연결 부재(32)가 이동함으로써, 토너의 배출로는 신축하듯이 변형한다. 연결 부재(32)가 연결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배출로는 늘어나고(도 1(b)), 비연결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배출로는 줄어든다(도 1(a)).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플링 부재(30)가 토너 배출로(제2 반송로(61))의 종단 측에 배치되고 있다.
제2 커플링 부재(30)는 카트리지(7)의 내부에서 외부로 진동을 전달하는 부재이다. 즉, 제2 커플링 부재(30)는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피작용 부재(피구동 부재, 풀기 부재)인 진동 부재(44)(도 13 참조)에 진동을 전달한다.
여기서, 연결 부재(32)의 이동에 수반해 제2 커플링 부재(30)는 이동한다. 즉, 연결 부재(32)가 연결 위치에 위치할 때(도 1(b) 참조), 제2 커플링 부재(30)는, 암 접촉부(32f, 32g)가 장치 본체의 암(42)으로부터 받은 힘에 의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위치(전달 위치, 접속 위치)로 이동한다. 이 제1 위치에 있는 제2 커플링 부재(30)는, 진동 부재(44)에 작용하여, 진동 부재(44)를 진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2 커플링 부재(30)는, 암 접촉부(32f, 32g)가 힘을 받고 있지 않을 때(자연 상태를 취할 때)에는, 제2 위치(비전달 위치, 비접속 위치, 퇴피 위치)로 퇴피하고 있다(도 1(a) 참조). 이 때, 제2 커플링 부재는 진동 부재(44)와의 접속을 해소하고 있다.
제2 커플링 부재(30)는 토너의 배출구(32d)(도 1 참조)의 근방에 배치되고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배출구(32d)의 근방이란, 제2 커플링 부재(30)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했을 때, 진동 부재(44)와 접촉 가능한 범위의 위치에 있다는 의미이다. 즉, 진동 부재(44)는, 토너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토너의 수취구의 근방에 배치되고 있다. 그러한 진동 부재(44)와 작용가능한 위치에, 제2 커플링 부재(30)가 배치되고 있으면 된다.
본 실시예에 관하여 말하자면, 제2 커플링 부재는, 제2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그 일부가, 제2 반송로(61) 및 연결 부재(32)에 의해 형성되는 토너의 배출로 중에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제2 커플링 부재(30)는, 제2 위치를 향해 가압 부재(커플링 스프링(31):도 9 참조)에 가압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제2 커플링 부재(30)는, 암 접촉부(32f, 32g)가 장치 본체의 암(42)으로부터 힘을 받았을 때에만, 커플링 스프링(31)의 힘에 대항하여 제1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30)는, 감광체 드럼(1)이나, 반송 스크류(26)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제2 커플링 부재(30)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감광체 드럼(1)의 축선으로부터 멀어진다(축선과의 거리를 넓힘). 마찬가지로, 제2 커플링 부재(30)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반송 스크류(26)의 축선으로부터 멀어진다(축선과의 거리를 넓힘).
제2 커플링 부재(3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하는 방향은, 감광체 드럼(1)이나 반송 스크류(26)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도 7의 화살표 I, N 방향)이다.
보다 상세히 말하자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커플링 부재(30)는 축선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달리 말하면, 제2 커플링 부재(30)는, 제2 커플링 부재(30) 자신의 축선 방향(도 7의 중심선(61a))을 따라 이동한다. 즉, 제2 커플링 부재(30)는 제2 커플링 부재(30)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이동한다.
또한, 커플링 부재(30)의 이동 방향은, 장치 본체에 대한 카트리지(7)의 장착 방향(삽입 방향:도 6의 화살표 J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플링 부재(30)는 장착 방향으로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과정에서는, 제2 커플링 부재(30)는 장치 본체와 부딪치지 않는 위치(제2 위치)로 퇴피할 수 있다. 한편, 카트리지(7)의 장착이 완료한 후는, 제2 커플링 부재(30)는 장치 본체의 본체측 반송 부재와 접속 가능한 제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30)는 토너의 유로 상에 있으므로, 제2 커플링 부재(30)의 이동 기구, 및 진동 전달 기구가 토너에 의해 경시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제2 커플링 부재(30)는 카트리지(7)에 설치되고 있어, 카트리지(7)의 교환에 따라 제2 커플링 부재(30)도 새로운 것으로 교환된다. 따라서, 제2 커플링 부재(30)가 가사 토너의 영향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제2 커플링 부재(30)는 카트리지(7)의 수명 기간 내에 이용 가능하면 되고, 이 때문에 필요한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다.
제2 커플링 부재(30)는, 카트리지(7)의 사용 초기부터 말기에 이르기까지, 안정되게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고, 제2 커플링 부재(30)로부터 진동 부재(44)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달리 표현하자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플링 부재(30)는, 제2 반송로(61)를 따른 방향(제2 반송로(61)를 통과하는 토너의 이동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커플링부(1c)가 받은 구동력(회전력)이, 감광체 드럼(1)이나 반송 스크류(26)를 거쳐 제2 커플링 부재(30)에 전달되는 구성이다. 그 때문에, 감광체 드럼(1)이나 반송 스크류(26)에 연동하여, 제2 커플링 부재(30)는 회전한다.
제2 커플링 부재(30)는 2개의 오목부(30h)를 가진다. 2개의 오목부(30h)는 제2 커플링 부재(30)의 축선(회전축선)에 대해 서로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또한, 오목부(30h)의 각각은 경사면(30i, 30j)을 갖는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30)는, 2개의 오목부(30h)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된, 2개의 부딪힘면(힘부여면, 제1 작용부, 제1 부분)(30k)를 갖는다.
제2 커플링 부재(30)의 축선 방향에서 오목부(30h)의 바닥(제2 작용부, 제1 부분)은, 부딪힘면(힘부여면)(30k)보다, 제2 커플링 부재(30)의 후단 측을 향해 우묵하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부딪힘면(30k)은, 오목부(30h)보다 제2 커플링 부재(30)의 선단측(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배치된다.
부딪힘면에 제2 작용부(제2 부분)로서의 오목부(30h)를 형성하는 대신, 부딪힘면에 돌기(볼록부(230m))를 형성해도 좋다(도 62 참조). 도 62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볼록부(230m)의 선단측이 제1 작용부(제1 부분)에 상당하고, 부딪힘면이 제2 작용부에 상당한다. 즉, 제1 작용부를 형성하는 볼록부(230m)가, 제2 작용부로서의 부딪힘면보다 제2 커플링 부재(230)의 선단 측에 배치된다.
제2 커플링 부재(30)가 진동 부재(44)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 구동하면, 제2 커플링 부재(30)로부터 진동 부재(44)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가 주기적으로 변화하여, 진동 부재(44)가 주기적으로 탄성변형한다. 즉, 제2 커플링 부재(30)의 부딪힘면(30k)이 진동 부재(44)에 접촉할 때에는, 진동 부재(44)에 가해지는 힘이 커져 진동 부재(44)는 크게 탄성변형한다. 그 결과, 진동 부재(44)는 수취구(80d)의 안쪽(내부측)을 향해 수축된다. 한편, 제2 커플링 부재(30)의 오목부(30h)에 진동 부재(44)가 진입할 때에는, 진동 부재(44)에 가해지는 힘이 작아져, 진동 부재(44)의 탄성변형이 일부 해소된다. 즉, 진동 부재(44)의 탄성변형의 정도가 작아짐으로써, 진동 부재(44)는 수취구(80d)의 외부를 향해 신장한다. 또한, 오목부(30h)를 보다 깊게 우묵하게 하여, 오목부(30h)에 진동 부재(44)가 진입했을 때, 오목부(30h)가 진동 부재(44)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진동 부재(44)가 신장 축소를 반복함으로써, 제2 커플링 부재(30)가 180도 회전할 때마다, 진동 부재(44)가 1회 왕복 이동한다. 즉, 제2 커플링 부재(30)는, 오목부(30h)와 부딪힘면(30k)을 각각 2개씩 갖고 있기 때문에, 진동 부재(44)는, 제2 커플링 부재(30)의 회전 주기의 반의 주기로 진동한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30)가 회전하더라도, 진동 부재(44) 자신이 회전하는 일은 없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30)의 오목부(30h)는, 제2 커플링 부재(30)의 축선 방향에 대해 경사진 2개의 경사부(경사면(30i), 역경사면(30j))를 갖고, 이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고 있다. 그리고, 진동 부재(44)는, 경사면(30i)을 따라 수축되고, 역경사면(30j)을 따라 신장될 수 있다(도 30 참조). 이 결과, 진동 부재(44)의 진동(왕복 이동)이 매끄럽게 된다. 경사부(30i, 30j)는, 제1 작용부(부딪힘면(30k))와 제2 작용부(오목부(30h))를 연결하는 접속부(연결부)이다.
제1 경사부로서의 경사면(30i)은, 제2 커플링 부재(30)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부딪힘면(30k)의 상류측과 오목부(30h)의 하류측을 연결하고 있다. 경사면(30i)은, 제2 커플링 부재(30)의 회전 방향 하류 측을 향함에 따라서, 제2 커플링 부재(30)의 선단 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고 있다.
한편, 제2 경사부로서의 역경사면(30j)은, 오목부(30h)의 상류측과 부딪힘면(30k)의 하류측을 연결하고 있다. 역경사면(30j)은, 제2 커플링 부재(30)의 회전 방향 상류 측을 향함에 따라서, 제2 커플링 부재(30)의 선단 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고 있다.
제1 경사부 및 제2 경사부는, 제2 커플링 부재(30)의 선단 측에 면하고 있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30)에 있어서, 경사부(30i, 30j)는 오목부(30h)에 설치되고 있었으나, 경사부가 볼록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62에서는 제1 작용부(제1 부분)에 상당하는 볼록부(230m)의 양측면을 경사부로 하고 있다. 즉, 볼록부(230m)는 경사부에 의해 부딪힘면에 연결되고 있다.
또한, 제1 작용부와 제2 작용부의 사이의 경계부가 반드시 경사부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도 60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제1 작용부(볼록부(130m))의 하류측 측면이, 제2 커플링 부재(30)의 축선 방향에 대해 거의 평행한 면이다. 즉, 볼록부(130m)(제1 작용부)의 상류측과 부딪힘면(130k)(제2 작용부)의 하류측은, 경사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7)는, 감광체 및 감광체의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현상 롤러)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카트리지(7)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63에는 카트리지(7)가 2개로 나누어져 있는 변형예를 도시하였다. 감광체를 갖는 클리닝 유닛(13)과, 현상 롤러를 갖는 현상 유닛(4)이 각각 카트리지(1013), 카트리지(1014)로서, 각각 독립하여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커플링(30)이나 폐토너 연결부(32) 등은, 감광체 드럼이 설치된 카트리지(1013)에 구비되게 된다.
<실시예 2>
셔터 구성에 관한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셔터의 구성과 셔터의 개폐 동작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여기에서는, 셔터의 시일 구성에 대하여, 도 31, 도 32, 도 3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1(a),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134)에 의해 폐토너 연결 부재(32)의 폐토너 배출부(32d)를 닫은 상태에서, 셔터(134)는 폐토너 배출부(배출구)(32d)에 대향한 위치에 구멍(134e)을 갖는다.
셔터(134)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탄성 시일 부재(시일 부재)(35)가 설치된다. 탄성 시일 부재(35)는 셔터(134)가 닫혀졌을 때에 배출구(32d)의 가장자리에 접촉해 배출구(32d)를 봉지(시일)하는 시일부이다.
또한, 탄성 시일 부재(35)와 셔터(134)를 총칭하여 셔터 부재(개폐 부재)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는, 특히 셔터(134)를 탄성 시일 부재(35)를 지지하기 위한 시일 지지부라고 부른다.
구멍(134e)은, 셔터(134)에 형성된 개구 또는 절결이다. 셔터(134)가 탄성 시일 부재(35)와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된 비접촉부가 구멍(134e)이다.
탄성 시일 부재(35)는 탄성을 가지므로 변형 가능하다. 셔터(134)가 닫혀졌을 때에는, 탄성 시일 부재(35)는 배출구(32d)의 가장자리와 셔터(134)에 의해 끼워져 변형된다. 즉, 탄성 시일 부재(35)는 셔터(134)에 의해 가압되고 압축된 상태로 배출구(32d)의 가장자리에 밀착하므로, 배출구(32d)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탄성 시일 부재(35)가 압축된 상태로 배출구(32d)의 가장자리에 밀착하기 때문에 탄성 시일 부재(35)와 배출구(32d)의 사이에는 일정한 마찰력이 생길 수 있다. 그 마찰력만큼 셔터(134)를 개폐하기 위해 필요한 힘이 커진다.
이에 셔터(134)에 구멍(134e)을 설치함으로써, 셔터(134)가 개폐할 때, 구멍(134e)이 배치된 영역에서는 탄성 시일 부재(35)와 배출구(32d)의 가장자리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을 저감시키고 있다.
탄성 시일 부재(35)는, 구멍(134e)에 대향하는 부분에 있어서 셔터(134)로부터 압압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탄성 시일 부재(35)가 배출구(32d)의 가장자리와 셔터(134)로 끼워져 일정량 압축되었을 때라 하더라도, 구멍(134e)이 배치된 부분에서는, 탄성 시일 부재(35)의 반발력이 저감된다.
이 결과, 구멍(134e)이 배치된 영역에서는, 탄성 시일 부재(35)가 배출구(32d)의 가장자리와 접촉하더라도 마찰력은 작아진다. 셔터(134)를 개폐하는데 필요한 힘(부하)이 저감되어, 셔터(134)를 보다 가벼운 힘으로 개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저가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부하가 저감되거나, 셔터(134)를 닫기 위해 설치하는 가압 부재(스프링 등)의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33을 이용하여, 셔터(134)가 폐토너 배출부(배출구)(32d)를 닫을(Q 방향으로 이동) 때의 상태를 설명한다.
도 33(a)은, 셔터(134)가 폐토너 배출부(32d)를 닫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3(b)은, 셔터(134)가 폐토너 배출부(32d)를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3(c)은, 셔터(134)가 폐토너 배출부(32d)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셔터(134)에는 구멍(134e)이 설치되고 있고, 그 구멍(134e)을 탄성 시일 부재(35)가 덮고 있다.
도 3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134)가 Q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구멍(134e)이 폐토너 배출부(32d)를 통과한다. 이 때, 폐토너 배출부(배출구)(32d)의 가장자리(점선부)가, 탄성 시일 부재(35)를 압축하고 있는 영역이 된다.
한편, 셔터(134)에 구멍(134e)가 설치된 범위 내에서는, 탄성 시일 부재(35)의 반발력이 저감한다. 즉, 셔터(34)의 구멍(134e)이 폐토너 배출부(32d)의 가장자리를 통과할 때에는, 탄성 시일 부재(35)와 폐토너 배출부(32d)의 가장자리와의 마찰력이 저감한다. 그 결과, 셔터(134)를 닫기 위한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셔터(134)가 닫은 상태로부터 여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셔터(134)의 개폐가 원활히 되어 개폐 동작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구멍(134e)은 폐토너 배출부(32d)의 크기보다 작고, 그리고 구멍(134e)은 폐토너 배출부(32d)의 내측에 들어가도록 배치된다.
즉, 셔터(134)가 닫혀져 있을 때, 폐토너 배출구(32d)를 셔터(134)에 투영하면, 배출구(32)의 투영 영역의 내부에 구멍(134e)의 전체가 배치된다. 셔터(134)가 닫혀져 있을 때에는 폐토너 배출부(32d)의 투영 영역의 가장자리에 구멍(134e)은 겹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셔터(134)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폐토너 배출부(배출구)(32d)의 가장자리와 탄성 시일 부재(35)의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어, 탄성 시일 부재(35)의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셔터(134)가 닫혀져 있을 때, 폐토너 배출부(32d)의 가장자리가 배치된 부분에는 구멍(134e)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 폐토너 배출부(32d)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탄성 시일 부재(35)는 셔터(134)로부터 압압된다. 즉, 탄성 시일 부재(35)는 셔터(134)에 의해 폐토너 배출부(32d)의 가장자리를 향해 눌려지고, 폐토너 배출부(32d)의 가장자리에 밀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셔터(134)의 이동 시에는, 폐토너 배출부(32d)의 가장자리와 탄성 시일 부재(35)의 마찰력을 저감하면서, 셔터(134)가 닫혀진 때에는 폐토너 배출부(32d)의 가장자리와 탄성 시일 부재(35)의 밀착성을 담보하기 쉽다. 본 실시예는, 시일성을 확보하면서, 셔터의 개폐 동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멍(134e)와 같은 크기, 위치 관계이면, 구멍(134e) 대신에 도 31(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오목부(134f)를 셔터(134)에 설치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오목부(134f)는, 시일 부재(35)로부터 멀어지도록 우묵하게 되어 있다. 도 31(b)에서는 오목부(134f)와 탄성 시일 부재(35)와의 사이에 공극(공간, 클리어런스)이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오목부(134f)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령 오목부(134f)의 바닥과 탄성 시일 부재(35)가 접촉하고 있어도 일정한 효과가 있다. 즉 오목부(134f)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셔터(134)와 탄성 시일 부재(35)의 사이에 생기는 접촉압이 저감되면, 셔터(134)를 원활히 개폐시키는데 일정한 효과가 있다.
이상 정리하면, 셔터(134)에 구멍(134e) 혹은 오목부(134f)를 설치한 경우에는, 이들이 설치된 영역에서는 시일 부재(35)가 셔터(134)로부터 받는 힘이 저감된다. 셔터(134)가 개폐될 때, 구멍(134e)이나 오목부(134f)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시일 부재(35)와 폐토너 배출부(32d)의 가장자리와의 마찰력이 저감된다. 그 결과, 셔터(134)를 원활히 개폐할 수 있다. 구멍(134e) 및 오목부(134f)는, 시일 부재(35)와 셔터(134)의 접촉압을 그 외의 영역보다 저감시키는 저압부이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히 다시 기재하지 않는 한, 재질, 형상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들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형태를 도 34, 도 35 및 도 3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34는 본체 장착 시의 셔터(234)의 움직임을 도시한 모식도이며, 도 35는 셔터와 폐토너 연결 부재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6은 폐토너 연결 부재(232)와 셔터(234)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토너 연결 부재(232)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화살표 J 방향)에 있어서 배출구(232d)의 하류 측에 볼록 형상으로 이루어진 벽부(232m)가 설치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셔터(234)가 닫히는 닫힘 방향에 있어서 배출구(232d)의 하류 측에 벽부(232m)가 설치되고 있다. 셔터(234)는 닫고 있을 때, 셔터(234)의 선단(부딪힘부(234d))이 벽부(232m)에 접촉하고 있다.
벽부(232m)는 셔터(234)의 닫힘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돌출부, 커버부)이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벽부(232m)는, 배출구(232d)로부터 토너가 배출되는 배출 방향의 하류 측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또한, 벽부(232m)는, 셔터(234)의 본체 접촉부(피압압부)(234c)보다 화살표 J 방향(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 셔터(234)의 닫힘 방향)의 하류 측에 설치되고 있다.
폐토너 연결 부재(232)에는, 벽부(232m)의 배출구(232d)측의 측면에 부딪힘부(232e)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화살표 J 방향(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 셔터 닫힘 방향)에 있어서의 셔터(234)의 하류측의 측면에는, 배출구 부딪힘부(234d)가 설치되고 있다. 도 35와 같이, 셔터(234)는 클리닝 프레임(14)에 설치된 가압 부재(36)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화살표 J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도 3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34)의 배출구 부딪힘부(234d)가 폐토너 연결 부재(232)의 부딪힘부(232e)에 부딪친다. 이에 의해, 셔터(234)가 배출구(232d)를 닫은 상태에서, 셔터(234)의 위치가 결정된다.
도 36은, 셔터(234)의 열림 방향(도 35 화살표 BA 방향)의 하류측에서부터 셔터(234)나 폐토너 연결 부재(232)를 본 측면도이다.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토너 연결 부재(232)의 벽부(232m)는, 셔터(234)의 일부와 영역 BB에 있어서 겹치도록 배치되고 있다. 즉, 셔터(234)의 닫힘 방향을 따라 셔터(234)를 벽부(232m)를 향해 투영하면, 셔터(234)의 투영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BB)이 벽부(232m)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진다.
바꾸어 말하면, 셔터(234)의 열림 방향을 따라 벽부(232m)를 보면, 벽부(232m)는 셔터(234)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고 있다. 즉, 셔터(234)의 열림 방향을 따라 벽부(232m)를 보면, 벽부(232m)는 셔터(234)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다.
셔터(234)에 대해 벽부(232m)를 상기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유저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취급할 때, 셔터(234)를 건드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유저가 셔터(234)를 여는 방향으로 누르려고 하면, 유저의 손은 셔터(234)와 접촉하기 전에 벽부(232m)와 접촉한다. 그 때문에, 셔터(234)가 의도하지 않게 열리는 것이 억제되어, 배출구(232d)로부터의 폐토너 유출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벽부(볼록부, 돌기부, 커버부)(232m)는, 셔터(234)의 오동작을 억제하는 오동작 규제부이다. 오동작 규제부의 형상은, 벽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벽부 대신에, 봉 형상의 볼록부(돌기부)를 복수 배열하는 등으로 하여도 된다. 즉, 유저가 셔터(234)를 잘못하여 이동시켜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면 오동작 규제부의 형상은 다양한 것이 선택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오동작 규제부를 벽 형상의 볼록부(벽부)로 해두면, 이하와 같은 효과도 아울러 얻을 수 있다. 즉, 오동작 규제부가 벽부(232m)이면, 셔터(234)가 닫혀질 때, 그 기세(풍압, 진동) 등으로 토너가 비산하더라도, 벽부(232m)에 의해 토너의 이동을 차단하기 쉽다. 즉, 벽부(232m)는 셔터(234) 폐쇄 시, 배출구 주위에서 토너가 비산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다.
토너가 비산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영역 BB(도 36 참조:오동작 규제부에 의해 덮이는 셔터(234)의 영역)의 폭(긴 길이 방향의 치수)이, 일정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영역 BB의 폭이 배출구(232d)의 폭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실시예 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와 장치 본체(100)의 접속부의 형상에 대해, 도 37, 도 38, 도 3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7은, 본 실시예의 본체 구성을 설명하는 외관도이다.
또한, 도 38은 본 실시예의 본체와 카트리지의 결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39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 동작을 도시한 장착도이다.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폐토너 연결부(23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벽부(232m)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의 수취구(280d)에는, 카트리지 장착 시에 벽부(232m)를 맞아들이기 위한 슬릿부(280g)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본체 폐토너 수취구(280d)에는, 본체 수취구 시일 부재(247)가 본체 폐토너 수취구(280d)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수취구 시일 부재(247)의 근방에는, 본체 수취구 시일 부재(247)와 대략 직교하는 세로 시일 부재(248)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 수취구 시일 부재(247), 세로 시일 부재(248)는,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누름(243) 상에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장착된 가요성을 갖는 시일 부재이다.
또한, 도 37,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0)의 제1 반송로(280a)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진동 부재(44)가 설치되고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치 본체(100)로의 장착과, 연결부의 접속에 대해 도 3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장치 본체(100)에 화살표 J 방향으로 삽입된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셔터(234) 하부에는, 볼록 형상의 본체 접촉부(234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누름(243)에는 본체 접촉부(234c)와 결합하는 볼록 형상의 셔터 접촉부(243a)가 화살표 J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화살표 J 방향에 장착해가면, 셔터(234)의 부딪힘부(234d)가 셔터 접촉부(243a)를 타고넘는다. 그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장치 본체(100)에 더 삽입해 나가면, 본체 접촉부(234c)가 셔터 접촉부(243a)와 접촉한다. 그 후, 셔터(234)는, 장착이 진행됨에 따라, 클리닝 프레임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셔터 가압 부재(36)(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7) 내에서 상대적으로 장착 방향(화살표 J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치 본체 부딪힘 위치까지 이동하면(도 39(b)), 폐토너 배출부(232d)를 완전히 해방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7) 내에서의 상대 이동을 완료한다.
여기서, 장치 본체(100)로의 장착 시, 셔터(234)는 본체 접촉부(234c)가, 셔터 접촉부(243a)에 접촉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7) 내에서 장착 방향(화살표 J 방향) 반대 측으로 이동한다. 본체 접촉부(234c)는 폐토너 배출구(232d)에 대해 장착 방향 상류 측에 배치되고 있다. 이 때문에, 셔터(234)가 셔터 접촉부(243a)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서 이동하기 시작할 때에는, 폐토너 셔터(234)의 하부의 일부에는, 셔터 접촉부(234)를 갖는 스프링 누름(243)이 존재하게 된다.
이 때문에, 폐토너 연결부(232) 내에 폐토너가 존재하는 상태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착된 경우에는, 셔터(234)가, 폐토너 배출구(232d)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하고, 제거 토너가 배출구(232d)로부터 유출된다. 이 때, 유출된 폐토너는 스프링 누름(243)에 자유낙하하게 된다. 스프링 누름(243)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유낙하한 폐토너를 장치 본체(100) 내로 낙하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세로 시일 부재(248)가 스프링 누름(243)의 중력 낙하 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삽입 시, 폐토너 연결부(232)는 장치 본체(100)의 세로 시일 부재(248)에 접촉하면서 장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로 시일 부재(248)는 탄성을 가지는 부재이기 때문에, 폐토너 연결부(232)는 세로 시일 부재(248)를 변형시키면서 장착된다. 이 때문에, 폐토너 배출구(232d)의 보다 근방에 폐토너의 낙하 방향을 억제하는 벽(세로 시일 부재(248))의 배치가 가능해지고, 스프링 누름(243)보다 외측의 장치 본체(100) 내로의 폐토너 낙하를 억제하는 효과를 얻기 쉽다. 이에 의해, 폐토너의 장치 본체(100) 내의 비산을 저감하고 있다.
그 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장치 본체(100)의 도시하지 않은 프론트 도어를 닫음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폐토너 연결부(232)는, 도시하지 않은 암(42)에 의해 본체 폐토너 수취구(280d)에 화살표 N 방향으로 삽입된다(도 39(c)).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 폐토너 수취구(280d)에는, 슬릿부(280g)가 설치되어 있다.
슬릿부(280g)는, 폐토너 연결부(232)가 장치 본체의 수취구(280d)와 접속될 때에, 폐토너 연결부(232)에 설치된 벽(232m)이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이 때문에, 폐토너 연결부(232)의 벽부(232m)가, 본체 폐토너 수취구(280d)에 간섭하는 일 없이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진동 부재(44)의 지지 구성 및 본체 폐토너 수취구(280d)의 슬릿부(280g)의 형상에 대해 도 4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0은 스프링 누름(243)으로부터 본체 수취 시일 부재(247) 및 세로 시일(248)을 떼어낸 본체 폐토너 수취구(280d)의 외관도이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본체 제1 반송로(280a) 내부의 탄성력을 갖는 진동 부재(44)는, 스프링부(44a)에서, 스프링 누름(243)의 규제면(243c)과 부딪침으로써 화살표 N 방향으로 지지되고 있다.
스프링 접촉부(243c)에는,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부(44a)의 원주 상의 일부에 벽부(232m)를 맞아들이기 위한 슬릿부(280g)가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슬릿부(280g)는, 규제면(243c)의 일부를 절결하여, 스프링 커플링(244)의 축지름 방향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형성되고 있다. 이 때문에, 규제면(243c)은, 진동 부재(44)의 스프링부(44a)의 전 주위를 덮을 수 없게 된다.
그러나, 규제면(243c)은, 스프링부(44a)를 직경 방향으로 규제하는 범위를 충분히 크게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외경 Φ15.3 mm에 대해, 규제면(480h)은 Φ10mm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부재(44)의 결합 시의 쓰러짐 및 규제면(243c)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고 있다. 이 규제면(243c)의 필요량은, 스프링의 선경, 외경, 권수, 스프링압에 따라 달라지는데, 진동 부재(44)를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규제할 만큼의 크기이면 된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와 장치 본체(100)의 폐토너 연결부에서의 구동 연결 구성에 대해 도 3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폐토너 연결부(232)는 화살표 N 방향에 이동되어, 장치 본체(100)의 수취구(280d)에 삽입된다. 그리고, 폐토너 연결부(232)의 벽부(232m)는 본체 폐토너 수취구(280d)로 삽입된다.
이 때, 장치 본체(100)의 진동 부재(44)는 폐토너 연결 부재(232) 내의 제2 커플링 부재(230)와 가압력을 갖고 부딪친다. 부딪친 제2 커플링 부재(23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감광체 드럼(1)의 회전에 연동해 회전한다. 이에 의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진동 부재(44)가 진동한다.
여기서, 진동 부재(44)는 선경 Φ0.6mm, 내경 Φ12.3mm 정도의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동 부재(44)는 스프링 누름(243)에 부딪친 상태(커플링 비연결 상태)에서는 약 33gf, 제2 커플링 부재(230)의 연결 상태에서는 약 50gf의 가압력을 가지고 있다.
이상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로부터 장치 본체(100)로의 구동 전달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피작용부(44b)의 축방향(261a) 길이는, 적어도 벽부(232m)의 선단부(232n)로부터, 오목부(30h)까지의 거리 l보다 길게 취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폐토너 연결부(232)가 수취구(280d)와 접속하고 있는 상태에서, 진동 부재(44)의 스프링부(44a)가 벽부(232m)와 간섭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거리 l는 3.25mm, 제2 커플링 부재(230)의 결합부의 높이는 약 4.7mm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커플링 부재(230)와의 결합량을 유지하면서, 폐토너 연결부(232)의 벽부(232m)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실시예 3에 도시한 폐토너 연결부(232)를 갖는 구성에서도, 장치 본체와의 안정된 구동 연결 구성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다른 부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히 다시 기재하지 않는 한, 재질, 형상 등은 전술한 실시예 1과 같다. 그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구성의 구동 전달 구성에 대해 도 12, 도 23, 도 4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2는 본 실시예의 반송 스크류로부터 제1 커플링으로의 구동 전달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401)의 일단에는, 장치 본체(100)로부터의 구동을 받는 커플링부(401c)가 배치되고 있다. 또한,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폐토너 반송 스크류(426)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감광체 드럼 기어(401b)(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드럼 베어링(27L)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아이들 기어(52) 및 반송 스크류 기어(53)가 감광체 드럼(401)의 축선 방향의 일단 측에 배치되고 있다(도 12 참조).
반송 스크류 기어(53)는 반송 스크류(26)에 구동 전달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 드럼 입력 커플링(81)(도 23)으로부터 클리닝 유닛(13) 일단의 커플링부(401c)에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전달된 회전 구동력은, 감광체 드럼 기어(401b), 아이들 기어(52), 반송 스크류 기어(53)가 차례차례 맞물림으로써, 감광체 드럼(401)으로부터 반송 스크류(426)로 전달된다. 폐토너 수용실(14a)에 수용된 폐토너는, 반송 스크류(426)가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반송 스크류부(426a)에 의해 화살표 H 방향으로 반송된다.
여기서, 반송 스크류(426)의 폐토너 반송 방향 하류측 단부에는, 역스크류부(426e)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역스크류부(426e)에는 날개(426g)(구동 전달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 스크류(426)는 감광체 드럼(401)의 회전에 의해, 구동이 전달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실시예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공급 롤러(20)의 회전에 연동하여 반송 스크류(426)가 구동하는 구성이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401)의 커플링부(401c) 근방에는, 제2 감광체 드럼 기어(401d)가 배치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드럼 베어링(27R)에는, 커플링 아이들 기어(402)가 축선(402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커플링 아이들 기어(402)에는, 제2 감광체 드럼 기어(401d)와 구동 전달 가능한 위치에 드럼 아이들 기어(402a), 드럼 아이들 기어(402a)와 축선(402c)의 동축 상에 웜 기어(402b)가 설치되어 있다.
커플링 아이들 기어(402)는 도시하지 않은 드럼 베어링(27R)으로 축선(402c)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반송 스크류(426)의 역스크류부(426e) 근방에는 제1 커플링 부재(429)가, 축선(461a)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커플링 부재(429)의 지지 방법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제1 커플링 부재(429)에는 지지부(429d)의 외주 상에 기어부(429g)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부(429g)는, 커플링 아이들 기어(402)의 웜 기어(402b)와 결합하여, 구동 연결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커플링 부재(429)는, 감광체 드럼(401)으로부터 구동력을 제2 커플링 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 전달부이다. 마찬가지로, 커플링 아이들 기어(402)도 감광체 드럼(401)으로부터 구동력(회전력)을 제2 커플링 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 전달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전달부가 제1 커플링 부재(429)와 커플링 아이들 기어(402)의 2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1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들 구동 전달부의 적어도 일부가 토너의 배출 경로의 밖에 설치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구동 전달부의 일부(제1 커플링 부재(429))가 토너의 반송로 중에 배치되고, 그 밖의 부분(커플링 아이들 기어(402))이 토너의 반송로 밖에 배치되고 있는 등의 구성이어도 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 드럼 입력 커플링(81)(도 23)으로부터 클리닝 유닛(13) 일단의 커플링(401c)에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면, 감광체 드럼(401)의 회전에 수반해 제2 감광체 드럼 기어(401d)가 회전한다. 그리고, 제2 감광체 드럼 기어(401d)로부터 커플링 아이들 기어(402)의 드럼 아이들 기어(402a)로 구동이 전달되어, 동축 상의 웜 기어(402b)가 회전한다. 웜 기어(402b)의 회전은 제1 커플링 부재(429)의 기어부(429g)로 전달되고, 제1 커플링 부재(429)는 축선(461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상의 구성을 취함으로써, 제1 커플링 부재(429)가 반송 스크류(426)로부터의 구동을 받지 않고, 장치 본체로 구동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반송 스크류(426)를 제1 커플링 부재(429)와 결합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반송 스크류(426)의 반송량을 보다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역스크류부(426e)를, 폐토너의 반송성에 맞추어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 드럼(401)으로부터, 제1 커플링 부재(429)으로의 구동 전달을 웜 기어(402)를 이용하여 행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베벨 기어 형상을 갖는 구동 전달 방법, 구동 전달 벨트를 이용한 구동 전달 방법 등으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예 3과 다른 부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히 다시 기재하지 않는 한, 재질, 형상 등은 전술한 실시예 3과 같다. 그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도 43, 도 4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3은 본 구성의 폐토너 연결부의 부품 구성을 설명하는 분해도이고, 도 44는 본 구성의 폐토너 연결부의 부품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구성의 폐토너 연결부(532)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2 커플링 부재(30)를 폐토너 연결부(532)의 지지부(532a)에 있어서, 축선(6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3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압축 갈퀴(30e)를 휘게 하여 폐토너 연결부(532)의 지지부(532a)를 타고넘어 장착된다. 이 때, 제2 커플링 부재(30)는 본 구성에서는, 자중 방향(대략 화살표 N 방향)에서는, 돌기부(30d)로 폐토너 연결부(532)의 돌기 수용부(532j)에 지지되어, 탈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도 44 참조).
즉,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플링 부재(30)은 자중 방향(화살표 N 방향)에서는 돌기부(30d)가 돌기 수용부(532j)에 지지되고, 자중 반대 방향(화살표 N 반대 방향)에서는 압축 갈퀴(30e)이 지지부(532a)에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제2 커플링 부재(30)는 폐토너 연결부(532)의 지지부(532a)와 돌기 수용부(532j)의 사이를 덜걱거리는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압축 스프링(531)은, 커플링 수용부(528)의 원통부(528a)에는 끼워 넣어지고, 스프링 수용부(528i)와 폐토너 연결부(532)의 스프링 수용부(532b)의 사이에서, 화살표 N 방향으로 압축되면서 지지되고 있다.
커플링 수용부(528)의 원통부(528a)의 선단 근방(화살표 N 방향 선단)에는, 폐토너 연결부(532)와 결합하기 위한 갈퀴부(528g)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폐토너 연결부(532)에는 스프링 수용부(532b) 근방의 일부에, 오목 형상의 홈부(532i)가 설치되어 있다.
폐토너 연결부(532)는 화살표 N 방향으로 압축 스프링(531)의 가압력을 받은 상태로, 커플링 수용부(528)의 갈퀴부(528g)와 오목 형상의 홈부(532i)와 결합함으로써, 화살표 N 방향으로 커플링 수용부(528)에 지지된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장치 본체(100)에 장착할 때의 폐토너 연결부(532)의 움직임을 도 43, 도 44, 도 4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5는 폐토너 연결부(532)의 장치 본체(100)와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는 카트리지 장착도이다.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토너 연결부(532)에는, 장치 본체(100)와 결합하여 폐토너 연결부를 화살표 N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리브(532f)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동 리브(532f)에는, 화살표 J 방향의 양단부에, 장착 시 테이퍼(532g), 발취(拔取) 시 테이퍼(532h)가 각각 설치되고 있다.
또한,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0)의 스프링 누름(543)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착 시에, 이동 리브(532f)와 결합해, 폐토너 연결부(532)를 화살표 N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결합벽(543d)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결합벽(543d)에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화살표 J 방향)의 양단에, 장착 시 결합 테이퍼(543e), 발취 시 결합 테이퍼(543f)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4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화살표 J 방향으로 장착되어 가면, 폐토너 연결부(532)의 장착 시 테이퍼(532g)가, 스프링 누름(543)의 장착 시 결합 테이퍼(543e)와 부딪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장치 본체로 더 장착해 나가면, 폐토너 연결부(532)는, 장착 시 테이퍼(532g)가, 스프링 누름(543)의 장착 시 결합 테이퍼(543e)에 올라타고, 압축 스프링(53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화살표 N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45(b)).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살표 J 방향으로 더 장착해 나가면, 폐토너 연결부(532)의 발취 시 테이퍼가 스프링 누름(543)의 발취 시 결합 테이퍼(543f)와 결합하기 시작하고, 압축 스프링(531)의 가압력에 의해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살표 J 방향으로 더 장착해 나가면, 폐토너 연결부(532)는 원래의 위치까지 내려가고(도 45(a)와 화살표 N 방향에서 동일 위치), 장착이 완료된다(도 45(c)).
이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커플링 부재(30)는, 장치 본체(100)의 진동 부재(44)에 작용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장치 본체(100)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발취할(뽑아낼) 때(화살표 J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전술한 순서와 반대로 폐토너 연결부(532)를 이동시킴으로써 뽑아 내기가 완료된다.
다음으로, 본 구성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로부터, 장치 본체(100)로의 진동 전달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을 화살표 J 방향으로 장착함으로써, 폐토너 연결 부재(532)는, 폐토너 수취구(80d)에 침입한다.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이 침입(진입)으로, 폐토너 연결 부재(532)는 진동 부재(44)의 반력에 대항하여 진동 부재(44)를 화살표 N 방향으로 누른다.
또한, 진동 부재(44)는 폐토너 연결 부재(532) 내의 제2 커플링 부재(30)와 가압력을 가지고 부딪친다. 부딪친 제2 커플링 부재(3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감광체 드럼(1)의 회전에 연동해 회전한다. 이에 의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2 커플링 부재(30)의 오목부(30h), 부딪힘부(30k)가 교대로 진동 부재(44)의 피작용부(44b)와 부딪침으로써, 진동 부재(44)는 화살표 N 방향으로 진동한다.
여기서, 진동 부재(44)는 선경 Φ0.6mm, 내경 Φ12.3mm 정도의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동 부재(44)는 스프링 누름(343)에 부딪친 상태(커플링 비연결 상태)에서는 약 33gf, 제2 커플링 부재(30)의 연결 상태에서는 약 50gf의 가압력을 가지고 있다.
상기 구성을 취함으로써, 실시예 1에 도시한 장치 본체(100)의 암(42)으로부터의 동작을 받지 않고, 폐토너 연결부(532)의 장치 본체와의 결합 및 진동 부재(44)를 진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커플링 부재(30)는 가압 부재(압축 스프링(531))에 의해, 제1 위치를 향해 가압되고 있다(도 44 참조). 즉, 자연 상태에서는, 도 4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플링 부재(30)는, 진동 부재(44)와 작용 가능한 제1 위치에 위치한다. 그러나, 카트리지(7)를 장치 본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이동력 수용부(이동 리브(532f))가 결합벽(543d)으로부터 받은 힘에 의해, 제2 커플링 부재(30)는, 제2 위치로 이동한다(도 45(b)). 카트리지(7)의 삽입 동작이 더 진행되면, 이동 리브(532f)가 결합벽(543d)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제2 커플링 부재(30)는 가압 부재(압축 스프링(531))의 힘에 의해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즉, 제2 커플링 부재(3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왕복 운동하게 된다.
<실시예 6>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다른 부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히 다시 기재하지 않는 한, 재질, 형상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그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제2 커플링이 카트리지의 외부에 작용하기 위한 작용 부재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커플링 부재(629)가 카트리지의 외부에 작용하기 위한 작용 부재로 되고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도 46, 도 4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6은 본 구성의 각 부품을 설명하는 분해도, 도 47은 폐토너 연결부의 장치 본체와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는 장착 단면도이다.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수용부(628)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드럼 베어링(27)에 설치되고 있다. 커플링 수용부(628)에는, 화살표 N 방향으로 폐토너 배출구(628g)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1 커플링 부재(629)는, 지지부(629d)로 커플링 수용부(628)의 커플링 수용부(628d)에 자중 방향(대략 화살표 N 방향)으로 지지되고 있다.
또한, 제1 커플링 부재(629)는 원통부(629e)로, 커플링 수용부(628)의 원통부 내경(628h)에 끼워져, 축선(6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커플링 수용부(628)의 원통부(628a) 및 제1 커플링 부재(629)의 원통부(629e)는, 예를 들면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 가요성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고무, 불소 수지 등의 탄성이 높은 수지 재질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제1 커플링 부재(629)의 화살표 N측 단부에는, 실시예 1의 제2 커플링 부재(30)의 오목부(30h), 부딪힘면(30k)과 마찬가지 형상의, 오목부(629h), 부딪힘면(630k)이 설치되고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장치 본체(100)의 제1 반송로(80a) 내에는, 진동 부재(4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0)의 스프링 수용부(643)에는, 폐토너 연결부(632)와 결합하는 벽부(643e)가 설치되고 있다. 벽부(643e)는, 폐토너 수취구(680d) 근방에 설치되고, 진동 부재(44)보다 화살표 N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여 배치되고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착에 대해 설명한다.
도 4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을 장치 본체(100)에 대해, 화살표 J 방향으로 장착해 나가면, 커플링 수용부(628)의 원통부(628a)는 장치 본체(100)의 벽부(643e)와 부딪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을 화살표 J 방향으로 더 장착해 나가면, 가요성을 갖는 커플링 수용부(628)는 벽부(643e)에 눌려져 화살표 J 방향 반대 방향으로 휜다. 여기서, 커플링 수용부(628) 내부에 설치된 제1 커플링 부재(629)도, 커플링 수용부(628)와 마찬가지로 탄성을 갖기 때문에, 커플링 수용부(628)의 휨에 따라 변형한다(도 47(b)). 이는, 제1 커플링 부재(629)가 제2 위치로 퇴피한 상태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을 화살표 J 방향으로 더 장착해 나가면, 커플링 수용부(628)는 벽부(643e)를 타고넘고, 휨이 해소되어 초기 상태로 돌아온다. 이는 제1 커플링 부재(629)가 제1 위치로 돌아간 상태이다. 즉, 제1 커플링 부재(629)는, 커플링 수용부의 원통부(이동력 수용부)(628a)가 장치 본체로부터 받은 힘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다. 그 후, 제1 커플링 부재(629)와 커플링 수용부(628)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커플링 부재(629)는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커플링 수용부(628)가 초기 위치로 돌아옴으로써, 커플링 수용부(628)의 선단 및 제1 커플링 부재(629)의 선단은, 장치 본체(100)의 연결부인 본체 토너 수취구(80d)로 침입한다.
이 때, 장치 본체(100)의 진동 부재(44)는 제1 커플링 부재(629)와 가압력을 가지고 부딪친다. 부딪친 제1 커플링 부재(629)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감광체 드럼(1)의 회전에 연동해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1 커플링 부재(629)의 오목부(629h), 부딪힘부(629k)가 교대로 진동 부재(44)의 피작용부(44b)와 부딪침으로써, 진동 부재(44)는 진동한다.
여기서, 진동 부재(44)는 선경 Φ0.6mm, 내경 Φ12.3mm 정도의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동 부재(44)는 스프링 누름(643)에 부딪친 상태(커플링 비연결 상태)에서는 약 33gf, 제2 커플링 부재(30)의 연결 상태에서는 약 50gf의 가압력을 가지고 있다.
이상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로부터, 장치 본체(100)에의 구동 전달이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을 취함으로써, 실시예 1에서 도시한 장치 본체(100)로부터의 동작을 받지 않고, 폐토너 제1 커플링 부재(629)의 장치 본체와의 접속 및 진동 전달이 가능해진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와 장치 본체(100)의 연결부인 커플링 수용부(628) 및 제1 커플링 부재(629)를 프로세스 카트리지(7) 내에서 이동시키지 않고, 장치 본체와의 진동 전달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상태로, 폐토너 배출부인 배출구(628g)가 탄성을 갖기 때문에, 봉지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벽부(643e)에서 변형한 제1 커플링 부재(629)가, 진동 부재(44)와 결합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려면, 벽부(643e)와 부딪침으로써 발생한 휨을 해소하는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장치 본체(100) 측에 시일 부재를 배치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토너의 봉지성을 확보하는 데는, 실시예 1 등의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구성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제1 커플링 부재(629)가 카트리지의 외부에 진동을 전달한다. 또한, 이 제1 커플링 부재(629)는, 토너를 통과하는 반송로의 일부를 구성한다. 즉, 제1 커플링(629)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2 반송로(61)(토너의 배출로:도 1(a))에 상당하는 부분을 구성한다.
또한, 제1 커플링(629)은 탄성 변형하는 탄성 변형부이다. 제1 커플링(629)이 탄성 변형함으로써, 배출로도 변형하고, 이에 따라, 제2 커플링(629)이 제1 위치(도 47(c))와 제2 위치(도 47(b))의 사이를 이동하는 구성이다.
또한, 제2 커플링(629)의 이동 방향은,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도 47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에 대해 교차하고 있다. 즉, 제2 커플링(629)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제2 커플링 부재(629)의 선단이 좌상을 향하도록 이동한다.
즉, 제1 커플링(629)의 이동 방향으로 좌우 방향의 성분과 상하 방향의 성분이 있다. 따라서, 제1 커플링 부재(629)는,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에 수직인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양쪽 모두로 이동하는 구성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제1 커플링 부재(629)의 이동 방향에 대해, 바꾸어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커플링(629)이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제1 커플링(629)의 축선 방향을 기준 방향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47(c)에 있어서의 중심선(61a)이 연장되는 방향이 기준 방향이며, 또 기준 방향은 연직 방향이다. 제1 커플링 부재(629)는 적어도 이 기준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이동한다. 즉, 제1 커플링 부재(629)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적어도 상향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기준 방향(연직 방향)에 있어서 변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카트리지의 외부로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작용 부재는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토너의 배출구의 근방에 배치되고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커플링 부재(629)는, 도 47이나 도 46에서 알 수 있듯이, 토너의 배출구를 형성하는 부품이다. 제1 커플링 부재(629)를 통과한 토너는, 직접, 장치 본체의 토너 수취구로 이동한다.
즉, 작용 부재를 토너의 배출구의 근방에 배치시키는 구성에는, 본 실시예와 같이 커플링 부재 자신이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구성이 포함된다. 또한, 제1 커플링 부재(629)는 자연 상태에서 제1 위치에 있다. 또한, 제1 커플링 부재(629)는 자기 자신의 탄성력(가압력)으로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구성이다.
즉, 제1 커플링 부재(629)는, 카트리지의 외부로 진동을 전달하는 작용 부재이며, 또한, 토너의 배출로 및 배출구를 형성하는 부재이며, 또한 작용 부재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가압 부재이기도 하다. 또한, 제1 커플링 부재(629)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토너 수취구에 접속되는 구성이다. 그 때문에 제1 커플링 부재(629)는 배출구를 수취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이기도 하다. 또한, 제1 커플링 부재는 토너의 반송 스크류로부터 진동 부재(44)에 진동 전달하기 위한 회전력을 받는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부재로 나누어져 있던 것을 일체화한 것이 제1 커플링 부재(629)이다.
또한, 제1 커플링 부재(629)가 제1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커플링 수용부(628)의 원통부(628a)의 탄성력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원통부(628a)도, 커플링 부재(629)를 제1 위치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라고 말할 수 있다.
<실시예 7>
다음으로, 폐토너 연결부의 다른 형상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다른 부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히 재차 기재하지 않는 한, 재질, 형상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그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카트리지의 외부에 작용(진동)을 전달하는 커플링 부재(제2 커플링 부재(730)) 자신이, 토너의 배출구(730d)를 형성한다.
도 48은, 본 실시예의 폐토너 연결부와, 그 밖의 부품의 설치를 설명하는 분해도, 도 49는, 본 실시예의 제2 커플링의 형상을 설명하는 외관도, 도 50은 본 실시예의 장치 본체(100)와의 연결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커플링 수용부(28)에는, 연결 동작부(732),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730), 커플링 스프링(31), 커플링 시일(700)이 설치되어 있다.
커플링 수용부(28)로의 제1 커플링 부재(29)의 설치 방법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연결 동작부(732)는, 실시예 1의 폐토너 연결부(32)의 배출구(32d) 측을 잘라낸 형상을 하고 있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커플링 수용부(28)의 원통부(28a) 및 회전 멈춤 리브(28d)로,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자세한 것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또한, 연결 동작부(732)의 화살표 N 방향에는, 가요성의 원통 시일(700), 제2 커플링 부재(73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부재(29), 제2 커플링 부재(730), 커플링 스프링(31), 커플링 수용부(28), 원통 시일(700), 연결 동작 부재(732)는 중심선(61a)을 따라 대략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고 있다. 또한, 제1 커플링 부재(29)와 제2 커플링 부재(73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커플링 스프링(31)으로 연결되고 있다. 연결 동작 부재(732)는, 커플링 수용부(28)에 대해, 제2 커플링 부재(730)와 함께, 커플링 스프링(3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치 본체(100)와의 연결 시에는, 연결 동작 부재(732)는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해 연결한다.
여기서,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플링(730)에는, 실시예 1의 제2 커플링 부재(30)과 마찬가지로, 오목부(730h)를 갖는다. 또한, 실시예 1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폐토너 배출구로서의 배출부(32d)를 대신하여, 제2 커플링(730)에는 구멍 형상의 배출구(730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730)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커플링 스프링(31)을 장착하기 위한 오목 형상의 스프링 걸림홈(730c)이 오목부(730h) 상에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가압 부재로서의 커플링 스프링(31)은, 선단에 절곡 형상(31a), 대향 방향으로 바퀴 형상(31b)를 갖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다. 커플링 스프링(31)은 제2 커플링 부재(730)에, 화살표 J 반대 방향으로 삽입되어, 절곡 형상(31a)이 스프링 걸림홈(730c)으로 들어간다.
또한,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플링 부재(730)와 연결 동작부(732)의 사이에는, 가요성의 원통 시일(700)이 설치되어 있다. 원통 시일(700)은, 제2 커플링 부재(730)의 구동 갈퀴(730f)의 외주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제2 커플링 부재(730)이 커플링 스프링(31)의 가압력에 의해, 화살표 N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면, 원통 시일(700)은 제2 커플링 부재(730)와 연결 동작부(732)의 사이에서 커플링 스프링(31)의 가압력을 받아 압축된다. 이 원통 시일(700)의 찌그러짐(변형)에 의해, 연결 동작부(732)와 제2 커플링 부재(730)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음으로, 장치 본체로의 구동 전달에 대해, 도 5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0은 구동 연결 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와 장치 본체(100)의 단면도이다.
연결 동작부(732)에는, 실시예 1의 폐토너 연결부(32)의 암 접촉부(32f, 32g)와 마찬가지의 암 접촉부(732f, 732g)가 설치되어 있다.
장치 본체(100)로의 장착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에 장착된 후, 장치 본체(100)의 프론트 도어의 닫힘 동작에 연동해 도시하지 않은 본체 암(42)이 동작하고, 연결 동작부(732)는 화살표 N 방향으로 압압된다.
연결 동작부(732)가 화살표 N 방향에 이동함으로써, 원통 시일부(700), 제2 커플링 부재(730)는,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원통 시일부(700)는 압압에 의해 찌그러지면서 제2 커플링 부재(730)을 화살표 N 방향으로 압압한다.
제2 커플링 부재(730)는 원통 시일부(700)을 통해 연결 동작부(732)에 밀려 장치 본체(100)의 폐토너 수취구(80d)로 침입한다.
제2 커플링 부재(730)은 장치 본체(100)의 폐토너 수취구(80d)에 침입했을 때에, 커플링 수용부(28)의 원통부(28a)의 내주에서, 구동 갈퀴(730f)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고 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장치 본체(100)의 본체 제1 반송로(80a)에는 진동 부재(44)가 중심선(61a)를 중심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커플링 부재(730)은 폐토너 수취구(80d)로 침입해, 진동 부재(44)의 반력에 대항하여, 진동 부재(44)를 화살표 N 방향으로 누른다.
이 때문에, 진동 부재(44)는 제2 커플링 부재(730)와 가압력을 가지고 부딪친다. 부딪친 제2 커플링 부재(73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감광체 드럼(1)의 회전에 연동해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2 커플링 부재(730)의 오목부(730h), 부딪힘면(730k)이 교대로 진동 부재(44)의 피작용부(44b)와 부딪침으로써, 진동 부재(44)는 화살표 N 방향으로 진동한다.
여기서, 진동 부재(44)는 선경 Φ0.6mm, 내경 Φ12.3mm 정도의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동 부재(44)는 스프링 누름(43)에 부딪친 상태(커플링 비연결 상태)에서는 약 33gf, 제2 커플링 부재(730)의 연결 상태에서는 약 50gf의 가압력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제2 커플링 부재(730)가 배출구(730d)를 갖는 구성으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8>
다음으로, 폐토너 연결부가 다른 형상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다른 부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히 재차 기재하지 않는 한, 재질, 형상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그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본 실시예의 부품 구성에 대해 도 51, 도 52, 도 53, 도 54, 도 5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1은,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폐토너 연결부와 그 외의 부품의 설치를 설명하는 분해도, 도 52는,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2 커플링(830)의 형상을 설명하는 외관도, 도 53은 연결 동작부(832)의 형상을 설명하는 외관도이다. 또한, 도 54는 본 실시예의 폐토너 배출구 부근의 본체 접속 전후의 단면도, 도 55는 본 실시예의 폐토너 배출구 부근의 본체 접속 전후의 측면도이다.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수용부(828)에는, 제1 커플링 부재(29), 연결 동작부(832), 인장 스프링(831), 연결 동작 스프링(800), 제2 커플링 수용부(801), 제2 커플링 부재(830)가 대략 동일 직선 상에 설치되어 있다. 즉, 이들이 중심선(861a) 상에 배치된다.
연결 동작부(832)에는 화살표 N 반대 방향으로 제2 커플링부(83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52,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플링 부재(830)에는, 원통 형상의 압입부(830j)가 장착되고 있다. 또한,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동작부(832)에는, 압입부(830)와 결합하는 볼록부(832q)가 원통 형상 내부에 설치되고 있다. 제2 커플링 부재(830)가 연결 동작부(832)에 대해 화살표 N 반대 방향으로 삽입되면, 압입부(830j)는 볼록부(832q)와 부딪친다. 더욱 연결 동작부(832)에 대해 제2 커플링 부재(830)를 밀고 넣음으로써, 압입부(830j)가 볼록부(832q)를 타고넘는다. 이와 같이 하여, 도 5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플링(830)은 연결 동작부(832)에 대해, 화살표 N 방향에서는, 압입부(830j)가 볼록부(832q)에 부딪쳐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도 5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N 반대 방향에서는, 제2 커플링부(830)에 설치된 볼록부(830i)와 연결 동작부(832)의 선단부(832r)가 접촉해 이동이 제한된다. 이 때문에, 제2 커플링(830)은 연결 동작부(832)에 대해, 화살표 N 방향으로 덜걱거리는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규제된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830)는 연결 동작부(832)에 대해 중심선(861a)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동작부(832)에는, 동일 직선 상으로 연결 동작 스프링(800), 제2 커플링 수용부(80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 동작부(832)에는, 제2 커플링 수용부(801)이 화살표 N 반대 방향 측으로부터 연결 동작 스프링(800)의 외경을 덮도록 동일 직선 상으로 장착된다.
또한, 도 5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플링 수용부(801)의 설치 반대 측에는, 제2 커플링(830)의 원통부(830k)와 대략 틈새없이 결합하는 구멍부(801c)가 설치되고 있다.
제2 커플링 수용부(801)를 화살표 N 반대 방향으로 연결 동작부(832)로 장착해 나가면, 제2 커플링 수용부(801)의 2개소의 갈퀴부(801a)가 연결 동작부(832)의 2개소의 구멍부(832m)로 삽입된다(도 55(a)). 여기서, 갈퀴부(801a)는 제2 커플링 수용부(801)의 외주의 일부에 화살표 N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있고, 선단(화살표 N 반대 방향)에는, 외주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부(801b)를 갖는다.
연결 동작부(832)에 장착된 제2 커플링 수용부(801)는 연결 동작 스프링(800)에 의해 화살표 N 방향으로 가압된다. 가압력을 받아 연결 동작부(832)에 대해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한 제2 커플링 수용부(801)는, 갈퀴부(801a)의 걸림부(801b)가 연결 동작부(832)에 설치된 구멍부(832m)에 걸리도록 결합하여, 이동을 정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커플링 수용부(801)는, 연결 동작 스프링(800)에 가압력을 받은 상태로, 갈퀴부(801a)가 걸리는 범위 내에서 연결 동작부(832)에 대해 화살표 N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도 55(a)).
또한, 갈퀴부(801a)가 구멍부(832m)와 결합하여, 화살표 N 방향으로 지지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2 커플링(830)의 원통부(830k)가 제2 커플링 수용부(801)의 구멍부(801c)와 대략 틈새없이 결합한 상태가 된다(도 54(a)).
다음으로, 연결 동작부(832)는 커플링 수용부(828)에 장착된다.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동작부(832)는 원통형의 형상을 하고 있고, 그 내경부가 커플링 수용부(828)의 원통부(828a)에 끼워진다. 또한, 이 때, 연결 동작부(832)의 회전 위치 결정홈(832i)이 회전 멈춤 리브(828d)와 결합해, 회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동작부(832)에는, 스프링 걸림 볼록부(832j)가, 외주 측으로 돌출하여 축대칭으로 2개소 설치되고 있다. 또한,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 수용부(828)에는, 화살표 N 측에, 2개소의 스프링 걸림부(828g)가 돌출하여 설치되고 있다.
연결 동작부(832)가, 커플링 수용부(828)에 화살표 N 반대 방향으로 끼워진 후, 2개의 인장 스프링(831)이 장착된다. 인장 스프링(831)은 바퀴 형상(831a, 831b)을 양단에 갖고 있고, 각각, 스프링 걸림 볼록부(832j), 스프링 걸림부(828g)에 장착된다. 이 때, 연결 동작부(832)는, 인장 스프링(831)의 가압력에 의해, 커플링 수용부(828)의 선단부(828e)에 내벽(832s)이 부딪쳐 위치 결정된다(도 54(a) 참조).
이와 같이 하여, 연결 동작부(832)는 커플링 수용부(828)에 대해 장착된다. 또한, 커플링 수용부(828)로의 제1 커플링(29)의 장착 및 커플링 수용부(828)의 베어링(27R)로의 장착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폐토너 배출부의 동작을, 도 55, 도 56, 도 5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6은,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측면측에서 본 장치 본체(100)로의 토너 배출부의 결합을 설명하는 외관도, 도 58은 본 실시예의 토너 배출부의 장치 본체(100)와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동작부(832)는 인장 스프링(831)의 가압력을 받아 커플링 수용부(828)측으로 부딪치고 있다. 또한, 제2 커플링 수용부(801)는, 연결 동작 스프링(800)으로부터의 가압력을 받은 상태로, 연결 동작부(832)에 부딪쳐 지지되고 있다.
도 5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을 장치 본체(100)로 장착해 나가면, 연결 동작부(832)는 장치 본체(100)의 암(42)과 결합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착 완료 후, 장치 본체(100)의 프론트 도어(91)(도 25(a), (b) 참조)를 닫는 동작에 연동해, 연결 동작부(832)는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연결 동작부(832)는, 프론트 도어에 연동하는 암(42)에 의해 화살표 N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도 56(b)).
이 때, 제2 커플링 수용부(801)는, 장치 본체(100)의 본체 수취구 시일 부재(47)(실시예 1과 마찬가지. 도 26 참조)에 접촉하므로 화살표 N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 결과, 제2 커플링 수용부(801)는 연결 동작 스프링(800)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연결 동작부(832)에 대해 연결 동작부(832)의 방향(화살표 N 반대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830)는, 화살표 N 방향으로 돌기부(830i)가 연결 동작부(832)의 선단부(832r)와 부딪쳐 지지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체 수취구 시일 부재(47) 및 폐토너 수취구(80d)로 침입한다(도 58(b)).
따라서, 제2 커플링 수용부(801)은 제2 커플링(830)에 대해, 화살표 N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58(b)).
이상의 동작에 의해 제2 커플링(830)과 제2 커플링 수용부(801)의 사이에 틈새(802)(폐토너 배출구)가 발생한다(도 55(b)).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로부터 장치 본체(100)로의 폐토너를 배출하는 구성에 대해 도 5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7은 본 실시예의 폐토너 V의 체류 위치와, 토너 배출 경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치 본체(100)로의 장착 전에는, 제2 커플링(830)의 원통부(830k)는, 제2 커플링 수용부(801)의 원통부(801c)와 결합하여, 틈새없이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폐토너 V는 제2 커플링(830)과 제2 커플링 수용부(801)의 사이로부터 새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장치 본체(100)에 장착한 후, 제2 커플링 수용부(801)가 제2 커플링(830)에 대해, 화살표 N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틈새(802)가 발생한다. 틈새(802)는 폐토너 V를 배출하는데 충분한 크기를 가지고 있어 프로세스 카트리지(7)로부터의 폐토너 V의 배출이 가능해진다(도 57(b)).
다음으로 장치 본체(100)와의 구동 연결 구성에 관해, 도 58, 도 5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9는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치 본체 장착 완료 시의 장치 본체(100)와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 개략도이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은 화살표 J 방향으로 장착된다.
이 때, 도 56에 도시한 장치 본체(100)의 암(42)과, 연결 동작부(832)의 암 접촉부(832f, 832g)가 결합한 상태가 된다. 장착이 완료하고, 도시하지 않은 장치 본체의 프론트 도어가 닫혀짐으로써,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암(42)이 회전 이동하고, 연결 동작부(832)의 암 접촉부(832f, 832g)가 결합하여, 연결 동작부(832)는 화살표 N 방향으로 눌려 내려진다(도 56(b), 도 58(b)).
이와 같이 하여, 연결 동작부(832)에 장착된 제2 커플링 수용부(801) 및 제2 커플링부(830)는, 장치 본체(100)의 본체 수취구 시일 부재(47)(실시예 1과 마찬가지. 도 26 참조)에 접촉한다. 또한, 연결 동작부(832)는 암(42)에 의해 화살표 N 방향으로 눌려 내려지면, 제2 커플링 수용부(801)가 연결 동작 스프링(800)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화살표 N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2 커플링 부재(8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살표 N 방향에서 볼록부(830i)가, 연결 동작부(832)의 선단부(832r)와 접촉하여 이동이 제한된다. 이 때문에, 연결 동작부(832)의 화살표 N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제2 커플링 부재(830)만이 본체 수취구 시일 부재 및 폐토너 수취구(80d)로 침입한다(도 58(b)).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의 본체 제1 반송로(80a) 내에는 진동 부재(44)가 중심선(861a)을 중심으로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장치 본체(100)와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진동 전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플링(830)은 장치 본체(100)의 본체 수취구(80d)로 침입(진입)한다. 이 때, 제2 커플링(830)은, 진동 부재(44)의 반력에 대항하여, 진동 부재(44)를 화살표 N 방향으로 누른다.
부딪친 제2 커플링 부재(83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감광체 드럼(1)의 회전에 연동해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2 커플링 부재(830)의 오목부(830h), 부딪힘부(830m)가 교대로 진동 부재(44)의 피작용부(44b)와 부딪침으로써, 진동 부재(44)는 화살표 N 방향으로 진동한다.
여기서, 진동 부재(44)는 선경 Φ0.6mm, 내경 Φ12.3mm 정도의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 커플링(44)는 스프링 누름(43)에 부딪친 상태(커플링 비연결 상태)에서는 약 33gf, 제2 커플링 부재(830)의 연결 상태에서는 약 50gf의 가압력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장치 본체(100)로의 폐토너의 반송에 대해 도 57, 도 5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플링 부재(830)가 본체 수취구(80d)로 침입했을 때, 제2 커플링 부재(830)와 제2 커플링 수용부(801)의 사이에, 원통 방향으로 틈새(802)가 발생한다(도 57(b)). 이 틈새(802)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서 발생한 폐토너를 장치 본체(100)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틈새(802)는, 장치 본체와 접속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2 커플링 부재(830)가 제2 커플링 수용부(801)에 대략 틈새없이 끼워짐으로써, 폐토너의 유출을 억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장치 본체로의 유출구가 중심선(861a) 상에 없는 경우에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 단체인 상태로, 예를 들면, 실시예 1의 셔터(34)와 같은 봉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폐토너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구성을 간단히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도 5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2 커플링 부재(830)는 토너의 배출구(802)를 일부 형성하는 부재이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830)는, 제2 위치(도 55(a))로부터 제1 위치(도 55(b))로 이동함으로써, 토너의 배출구(802)를 열고, 반대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에 이동함으로써 토너의 배출구(802)를 닫는 구성이다. 제2 커플링 부재(830)의 이동에 의해 배출구(802)가 개폐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 중 대표적인 구성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또한, 각 구성예에 포함되는 요소에 부호가 붙여져 있는 것이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요소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다만, 이 대응 관계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다. 이하의 각 요소의 구성을, 상기 각 실시예의 요소의 구성으로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다.
<실시예 9>
본 실시예를 도 64 ~ 도 6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다른 부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히 재차 기재하지 않는 한, 재질, 형상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그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예 1에서는, 진동 부재(44)에 작용하여 진동 부재(44)를 진동시키는 작용 부재(진동 부여 부재)는, 회전 구동하는 제2 커플링(30)이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 부재(44)에 작용하는 작용 부재(진동 부여 부재)(430)가, 회전하지 않고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실시예 1의 카트리지(7)은, 토너 배출구(32d)의 근방에 배치된 구동 부재로서 제2 커플링 부재(30)을 갖고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너 배출구(32d)의 근방에 배치된 구동 부재가, 제2 커플링 부재(330) 및 작용 부재(430)의 2개의 부재로 나누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히 재차 기재하지 않는 한, 재질, 형상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그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9의 형태를 도 64 ~ 도 6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64는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폐토너 배출부의 구성 설명도(실시예 1의 도 9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65는 본 실시예의 제2 커플링의 형상을 설명하는 외관도이다. 또한, 도 66은,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폐토너 배출구 부근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7은,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장치 본체의 피작용부인 진동 부재(44)에의 작용 전달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1 커플링 부재(329), 제2 커플링 부재(330), 커플링 스프링(31), 커플링 수용부(28), 작용 부재(430)와, 폐토너 연결 부재(332)는 중심선(61a)을 따라 배치되고 있다. 즉, 이들이 대략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 부재(430)는, 진퇴 이동 가능한 진퇴 부재이며, 진동 부재(44)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 부여 부재이며, 또한, 자신이 진동하는 진동 부재(카트리지측 진동 부재)이기도 하다. 작용 부재(430)는, 진동함으로써 진동 부재(44)에 주기적인 힘을 가하는 힘 부여 부재이기도 하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330)는, 작용 부재(430)을 진동시키는 진동 부여 부재(제2 진동 부여 부재)이며, 작용 부재(430)에 작용하도록 구성된 제2 작용 부재이기도 하다.
또한, 제1 커플링 부재(329)와 제2 커플링 부재(330)는 커플링 스프링(31)으로 연결되고 있다. 폐토너 연결 부재(332)는, 커플링 수용부(28)에 대해, 제2 커플링 부재(330)과 함께, 커플링 스프링(3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있다. 그리고,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치 본체(100)와의 연결 시에는, 폐토너 연결 부재(32)는 화살표 N 방향으로 이동해 연결한다.
여기서, 작용 부재(430)의 지지 방법에 대해, 도 64, 도 65, 도 6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용 부재(430)에는, 갈퀴부(돌기부, 결합부)(430m)가, 축선(61a)을 축으로 한 원통부(430a)의 외주 방향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고 있다.
또한, 폐토너 연결부(332)에는,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32)의 원통부의 일부에, 절결부(구멍부, 결합부)(332p)가 설치되고 있다. 작용 부재(430)의 갈퀴부(430m)가 절결부(332p)와 결합함으로써, 작용 부재(430)는 연결 부재(332)의 원통부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절결부(332p)의 쪽이 갈퀴부(430m)보다 크기 때문에, 작용 부재(430)는 연결 부재(332)에 대해 중심선(61a)을 따라 일정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다.
실시예 1에서는, 연결 부재(332)의 비연결 위치(제2 위치:도 1(a) 참조)로부터 연결 위치(제1 위치:도 1(b) 참조)로의 이동에 수반해, 제2 커플링 부재(30)가 제2 위치(도 1(a) 참조)로부터 제1 위치(도 1(b))로 이동하는 구성이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부재(332)에는 제2 커플링(330)에 더해 작용 부재(430)도 지지되고 있다. 그 때문에 연결 부재(332)의 이동에 수반해 제2 커플링(330) 및 작용 부재(430)가 일체가 되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이다.
다음으로, 제2 커플링 부재(330)에 대해 도 64, 도 6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2 커플링 부재(33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오목부(330h)를 갖는다. 오목부(330h)의 안쪽에는 스프링 걸림홈부(30c)가 더 형성되고, 이 스프링 걸림홈부(30c)에 커플링 스프링(코일 스프링)(31)이 결합하고 있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33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오목부(330h)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부(경사면부(330i)와 역경사면부(330j))를 갖는다. 이들 경사부(경사면부(330i)와 역경사면부(330j))는, 오목부(330h)를 부딪힘면(330k)과 접속하기 위한 면이기도 하다.
실시예 1의 제2 커플링 부재(30)에서는, 제2 커플링 부재(30)에 설치된 오목부(30h)와 부딪힘면(30k)이 직접, 진동 부재(44)에 접촉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커플링 부재(330)의 오목부(330h)와 부딪힘면(330k)은, 진동 부재(44)에는 접촉하지 않고, 작용 부재(430)와 접촉하게 된다.
작용 부재(440)에는, 제2 커플링 부재의 오목부(330h)와 대응하는 위치에 볼록부(430h)가 형성되고 있다. 볼록부(430h)는, 경사면(430i), 역경사면(430j), 정점부(430k)를 가진다. 경사면(430i)은 경사면(330i)에 대응하는 경사부이다. 역경사면(430j)은 역경사면(330j)에 대응하는 경사부이다.
즉, 작용 부재(440) 및 제2 커플링 부재(330)는 캠 기구를 구성한다. 즉, 제2 커플링 부재(330)은, 자신이 회전함으로써 작용 부재(440)을 진동(진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캠 부재(구동측 캠 부재, 제1 캠 부재, 회전 캠 부재)이다. 작용 부재(440)는 제2 커플링 부재(330)로부터 힘을 받아 구동하는 종동측(피구동측)의 캠 부재(제2 캠 부재, 피구동측 캠 부재, 왕복 캠 부재, 진퇴 캠 부재, 진동 캠 부재)이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제2 커플링 부재(330)에 설치된 오목부(330h)와 작용 부재(440)에 설치된 볼록부(430h)가, 결합하고 있는 상태와, 결합이 해소되고 있는 상태로 전환하는, 작용 부재(440)가 진퇴(진동) 한다. 오목부(330h)와 볼록부(430h)의 각각은, 제2 커플링 부재(330)와 작용 부재(440)의 사이에 배치되는 캠 부이다.
이 작용 부재(430)와 제2 커플링 부재(330)의 구동 모습에 대하여, 도 66, 6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1 커플링(329)은, 도시하지 않은 반송 스크류(26)와 결합해 축선(61a)을 중심으로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한 제1 커플링(329)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2 커플링(330)에 회전을 전달하고, 제2 커플링(330)은 축선(61a)을 중심으로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제2 커플링(330)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폐토너 연결 부재(332)에, 축선(61a)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커플링(330)은, 폐토너 연결 부재(332)에 화살표 N 방향으로 고정되어 지지되고 있다. 또한, 폐토너 연결 부재(332)에는 작용 부재(430)가 화살표 N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진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폐토너 연결 부재(332)는, 제2 커플링(330)이나 작용 부재(43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부재이다.
폐토너 연결 부재(332)가 비연결 위치(제2 위치:도 66(a), 도 1(a) 참조)로부터 연결 위치(제1 위치:도 66(b), 도 1(b) 참조)로 이동한다. 이에 연동해, 제2 커플링 부재(330) 및 작용 부재(430)도 제2 위치(도 66(a))로부터 제1 위치(도 66(b))로 이동한다. 즉, 폐토너 연결 부재(332)나, 제2 커플링 부재(330), 작용 부재(430)는 동시에 감광체 드럼의 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이 때, 작용 부재(430)는, 도 6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 부재(44)에 접촉함으로써 진동 부재(44)로부터 탄성력을 받는다. 그러면, 작용 부재(440)은 도 6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I 방향(상방)으로 이동해 제2 커플링 부재(330)에 접촉한다.
이 상태로, 제2 커플링(330)이 회전하고 있으면, 제2 커플링 부재(330)에 설치된 역경사면(330j)과 작용 부재(430)에 설치된 역경사면(430j)을 따라, 작용 부재(440)는 화살표 N 방향(하부)으로 이동한다. 이것이 도 67(c)에 도시한 상태이다.
더 제2 커플링 부재(330)가 회전하면, 도 6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플링 부재의 부딪힘면(330k)에, 작용 부재(430)의 정점(430k)(부딪힘부)가 접촉한다. 이 상태는, 제2 커플링 부재(330)의 구동 시에, 제2 커플링 부재(330)와 작용 부재(430)가 가장 떨어져 있는 상태이다. 즉, 제2 커플링 부재(330)가 작용 부재(430)를 화살표 N 방향(토너의 배출 방향)으로 가장 이동시킨 상태이다.
더 제2 커플링 부재(330)가 회전하면, 도 6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플링 부재(330)에 설치된 경사면(330i)과 작용 부재(430)에 설치된 경사면(430i)을 따라, 작용 부재(430)가 제2 커플링 부재(330)에 가까워진다. 즉, 진동 부재(44)의 탄성력에 의해 작용 부재(430)가 토너의 배출 방향의 이동 방향 상류 측을 향해 퇴피를 시작한다.
한층 더 제2 커플링 부재가 회전하면, 제2 커플링 부재(330)에 작용 부재(430)가 가장 가까워진 도 67(f)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제2 커플링 부재(330)와 작용 부재(430)의 서로의 캠 부가 맞물림으로써, 작용 부재(430)는 토너의 배출 방향의 상류 측으로 가장 퇴피한 상태가 된다. 즉, 제2 커플링 부재(330)는, 작용 부재(440)가 진동 부재(44)의 가압력(탄성력)에 의해 퇴피하는 것을 허용한 상태가 되고 있다.
도 67(b)에서부터 도 67(e)까지 제2 커플링 부재(330)는 반원주(180도) 회전하고, 작용 부재(430)는 1회 진동(왕복 이동)하고 있게 된다.
즉, 제2 커플링 부재(330)가 1회전할 때 마다, 작용 부재(430)가 복수 회 진동(본 실시예에서는 2회 진동)하게 된다.
또한 작용 부재(430)가 1회 진동(진퇴)하면, 진동 부재(44)도 1회 진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작용 부재(430)의 선단에 설치된 원환 형상의 평면부는 진동 부재(44)에 접촉해 진동 부재(44)에 작용하는 작용부가 되고 있다. 작용 부재(430)가 도 67(b)에서부터 도 67(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진퇴 이동하면, 진동 부재(44)가 작용 부재(430)로부터 받는 힘도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그 결과, 진동 부재(44)는 주기적으로 탄성 변형한다. 도 67(d)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작용 부재(430)로부터 진동 부재(44)에 비교적 큰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진동 부재(44)는 하부(화살표 N 방향)으로 밀린다. 한편, 도 67(f)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작용 부재(430)로부터 진동 부재(44)에 가해지는 힘이 감소하므로 진동 부재(44)는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화살표 I 방향)으로 돌출 이동(진출 이동)한다.
이상, 본 실시예의 구성을 정리한다. 본 실시예의 작용 부재(430) 및 제2 커플링 부재(330)는, 배출구(32d)의 근방에 배치된 각각 구동 부재이다. 또한, 제2 커플링 부재(330) 및 작용 부재(430)는 캠 기구를 구성한다. 이 캠 기구는 운동 방향을 바꾸기 위한 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캠 기구에서, 제2 커플링 부재(330)의 회전 운동을, 작용 부재(430)의 진퇴 운동(직선적인 왕복 운동)으로 바꿀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부재(330, 430) 중 작용 부재(430)는 자신이 진동함으로써, 진동 부재(44)를 진동시키는 진동 부여 부재이다.
한편, 제2 커플링 부재(330)는 회전 구동함으로써 작용 부재(430)을 진동시키는 회전 부재이다. 제2 커플링 부재(330)가 회전하면, 제2 커플링 부재(330)가 갖는 오목부(330h)(제1 캠 부)가, 작용 부재(430)에 설치된 볼록부(430)(제2 캠 부)와 결합 및 결합 해제를 반복한다. 이에 의해, 작용 부재(430)는 진퇴(진동)한다. 즉, 제2 커플링 부재(330)는 캠 기구의 일부이며, 자신의 회전운동에 의해 작용 부재(430)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제2 커플링 부재(330)는, 작용 부재(430)에 가하는 힘을 주기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작용 부재(430)를 주기적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제2 커플링 부재(330)가 작용 부재(430)를 비교적 강한 힘으로 가압할 때(도 67(d))는, 작용 부재(430)가 진동 부재(44)를 향해 이동하여, 작용 부재(430)가 진동 부재(44)를 밀어 넣는다. 한편, 제2 커플링 부재(330)가 작용 부재(430)에 가하는 힘이 비교적 작게 될 때(도 67(f))는, 작용 부재(430)가 진동 부재(44)의 탄성력에 의해 진동 부재(4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퇴피한다.
또한, 작용 부재(440)는 하부(화살표 N 방향)로 이동할 때에는, 제2 커플링 부재(330)의 오목부(330h)로부터 받은 힘을 이용하고 있다. 한편, 작용 부재(440)는 상방(화살표 I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진동 부재(44)의 탄성력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제2 커플링 부재(330)와 작용 부재(440)의 사이에 양자를 서로 끌어 당기는 가압 부재(예를 들어, 인장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작용 부재(440)가 상방(화살표 I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진동 부재(44)의 탄성력을 이용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다. 즉, 제2 커플링 부재(330)와 작용 부재(440)를 서로 끌어 당기는 가압 부재의 가압력(탄성력)을 이용함으로써, 작용 부재(440)가 상방으로 이동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 작용 부재(440)을 장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작용 부재(440)을 장착하는 등의 구성을 취하여도 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현상제를 풀기 위한 풀기 부재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1: 감광체 드럼
4: 현상 장치
6: 클리닝 블레이드
7: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감광체 유닛
14: 클리닝 프레임
14a: 폐토너 수용부
14b: 셔터 가이드부
17: 현상 롤러
18: 현상 프레임
26: 반송 스크류
26a: 반송 스크류부
26b: 지지부
26c: 지지부
26d: 반송 날개
26e: 역스크류부
26f: 스크류 중심선
26g: 구동 전달날개
27: 드럼 베어링
28: 커플링 수용부
28a: 원통부
28b: 지지부
28c: 지지부
28d: 회전 멈춤 리브
28e: 용착부
28f: 원통 선단 테이퍼부
29: 제1 커플링 부재
29a: 구멍부
29b: 구동 핀
29c: 구동갈퀴
29d: 지지부
29e: 결합부
29f: 스프링 걸림홈
30: 제2 커플링 부재
30a: 구멍부
30b: 홈부
30c: 스프링 걸림홈
30d: 돌기부
30e: 압축갈퀴
30f: 구동갈퀴
30g: 결합부
30h: 오목부
30i: 경사면부
30j: 역경사면부
30k: 부딪힘면
31: 커플링 스프링
31a: 절곡 형상
31b: 바퀴 형상
32: 폐토너 연결부
34: 셔터
35: 탄성 시일 부재
36: 셔터 가압 부재
38: 암 링크 레버
38a: 구멍부
38b: 결합 구멍부
38c: 지지부 결합축
38d: 규제부
39: 지지 부재
39a: 결합구멍
39b: 레버 결합구멍
40: 폐토너 배출부
41: 압축 스프링(드럼 커플링 가압)
42: 암
43: 스프링 누름
43a: 셔터 접촉부
43b: 낙하 방지벽
44: 스프링 커플링
44a: 스프링부
44b: 커플링부
45: 반송 핀
45a: 회전축
45b: 반송부
45c: 긁어냄부
46: 카트리지 빠짐 방지부
47: 본체 수취구 시일 부재
48: 링크 회전 부재
49: 회전축
50: 제1 반송 부재
51: 제1 반송로
52: 아이들 기어
53: 반송 스크류 기어
54: 지지 부재
54a: 결합부
54b, c: 결합구멍
55: 제2 후측판
56: 현상 아이들 기어
57: 커플링부
58: 토너 공급 롤러 기어
59: 현상 롤러 기어
61: 제2 반송로
61a: 중심선
80: 본체 반송부
80a: 본체 제1 반송로
80b: 본체 제2 반송로
80d: 폐토너 수취구
80e: 핀 베어링부
80f: 반송 연결부
81: 드럼 구동 입력 커플링
82: 현상 구동 입력 커플링
83: 전압 인가 부재
84: 기록 단자
85: 본체 반송 스크류
86: 폐토너 박스
87: 구동 롤러
88: 2차 전사 대향 롤러
89: 종동롤러
91: 본체 프론트 도어
92: 앞커버
93: 카트리지 장착부
94: 카트리지 하가이드
95: 카트리지 상가이드
98: 후측판
99: 전측판
100: 화상형성장치
134: 셔터

Claims (111)

  1. 현상제를 풀기 위한 풀기 부재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상기 풀기 부재를 향해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출구와,
    상기 풀기 부재에 진동을 가하도록 구성된 진동 부여 부재를 갖고,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상기 풀기 부재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퇴피한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풀기 부재를 진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1회전할 때마다 상기 풀기 부재를 복수 회 진동시키는 카트리지.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상기 풀기 부재를 진동시키기 위한 작용부를 갖는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보다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갖는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우묵하게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경사부를 갖는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축선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카트리지.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선단 측에 면하고 있는 카트리지.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적어도 상기 경사부를 2개 갖고, 2개의 상기 경사부는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축선에 대해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회전 방향 하류 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선단 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카트리지.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회전 방향에서 상기 제1 부분의 상류측과 상기 제2 부분의 하류측을 연결하는 카트리지.
  15.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회전 방향 하류 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선단 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카트리지.
  16. 제9항 내지 제12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회전 방향에서 상기 제2 부분의 상류측과 상기 제1 부분의 하류측을 연결하는 카트리지.
  17.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상기 경사부로서,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회전 방향에서 상기 제1 부분의 상류측과 상기 제2 부분의 하류측을 연결하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회전 방향에서 상기 제2 부분의 상류측과 상기 제1 부분의 하류측을 연결하는 제2 경사부를 갖고,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는,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축선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카트리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회전 방향 하류 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선단 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고,
    상기 제2 경사부는,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회전 방향 상류 측을 향함에 것에 따라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선단 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카트리지.
  19. 제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 부재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축선에 대해 대칭인 위치에 각각 제1 부분이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20. 제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 부재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축선에 대해 대칭인 위치에 각각 제2 부분이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21.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축선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를 갖는 카트리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풀기 부재를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23. 제4항, 제5항, 제21항 및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돌기를 갖는 카트리지.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상기 돌기를 적어도 2개 갖고, 2개의 상기 돌기가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축선에 대해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축선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를 갖는 카트리지.
  26. 제4항, 제5항,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오목부를 갖는 카트리지.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상기 오목부를 적어도 2개 갖고, 2개의 상기 오목부가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축선에 대해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축선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를 갖는 카트리지.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진동함으로써, 상기 풀기 부재를 진동시키는 카트리지.
  30. 제29항에 있어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진동 부여 부재를 진동시키기 위한 회전 부재를 갖는 카트리지.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 및 상기 진동 부여 부재를 구비한 캠 기구를 갖는 카트리지.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진동 부여 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위상과,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위상을 취할 수 있는 카트리지.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와 상기 감광체의 회전축선과의 거리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감광체의 회전축선과의 거리보다 짧은 카트리지.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 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상기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받는 이동력 수용부를 갖는 카트리지.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상기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받기 위한 이동력 수용부를 갖는 카트리지.
  36.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현상제의 수취구에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부로서, 상기 배출구를 상기 수취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위치와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퇴피한 비연결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연결부를 갖는 카트리지.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상기 연결부가 연결 위치와 상기 비연결 위치의 사이를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비연결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카트리지.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상기 풀기 부재에 가하는 힘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카트리지.
  40.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풀기 부재가 적어도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축선 방향으로 진퇴하도록,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상기 풀기 부재를 진동시키는 카트리지.
  41.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축선 방향에 대해 상기 풀기 부재가 경사지도록,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상기 풀기 부재를 진동시키는 카트리지.
  42.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감광체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를 갖는 카트리지.
  43.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감광체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부재를 갖는 카트리지.
  44. 현상제를 풀기 위한 풀기 부재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상기 풀기 부재를 향해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출구와,
    상기 풀기 부재에 진동을 가하도록 구성된 진동 부여 부재와,
    상기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현상제의 수취구에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부로서, 상기 배출구를 상기 수취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위치와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퇴피한 비연결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연결부를 갖고,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연결 위치와 상기 비연결 위치의 사이를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상기 풀기 부재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퇴피한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연결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제1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비연결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카트리지.
  46.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풀기 부재를 진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1회전할 때마다 상기 풀기 부재를 복수 회 진동시키는 카트리지.
  48.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상기 풀기 부재를 진동시키기 위한 작용부를 갖는 카트리지.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50.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보다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갖는 카트리지.
  51.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 부재는 진동함으로써 상기 풀기 부재를 진동시키는 카트리지.
  52. 제51항에 있어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진동 부여 부재를 진동시키기 위한 회전 부재를 갖는 카트리지.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 및 상기 진동 부여 부재를 구비한 캠 기구를 갖는 카트리지.
  54. 제52항 또는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진동 부여 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위상과,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는 위상을 취할 수 있는 카트리지.
  55. 현상제를 풀기 위한 풀기 부재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상기 풀기 부재를 향해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출구와,
    상기 풀기 부재에 가하는 힘을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상기 풀기 부재를 주기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힘 부여 부재를 갖고,
    상기 힘 부여 부재는, 상기 풀기 부재에 주기적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퇴피한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카트리지.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힘 부여 부재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풀기 부재에 가하는 힘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힘 부여 부재는, 상기 풀기 부재에 힘을 가하기 위한 작용부를 갖는 카트리지.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축선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를 갖는 카트리지.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풀기 부재를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60. 제57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돌기를 갖는 카트리지.
  61. 제57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오목부를 갖는 카트리지.
  62. 제57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보다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갖는 카트리지.
  63.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힘 부여 부재는 진동함으로써 상기 풀기 부재에 가하는 힘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64. 제63항에 있어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힘 부여 부재에 주기적으로 힘을 가하는 회전 부재를 갖는 카트리지.
  65.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의 근방에 배치되어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부재로서,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에 작용하기 위한 작용부를 갖는 구동 부재를 갖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감광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작용부는 상기 구동 부재의 축선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를 갖는 카트리지.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감광체의 축선에 가까워진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
  67. 제65항 또는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보다 상기 구동 부재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카트리지.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구동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69. 제67항 또는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구동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우묵하게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70. 제67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카트리지.
  71. 제65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구동 부재의 선단 측에 면하고 있는 카트리지.
  72. 제65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적어도 상기 경사부를 2개 갖고, 2개의 상기 경사부는 상기 구동 부재의 축선에 대해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73. 제65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구동 부재의 회전 방향 하류 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구동 부재의 선단 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카트리지.
  74. 제65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구동 부재의 회전 방향 하류 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구동 부재의 선단 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카트리지.
  75. 제65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배출구를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갖고,
    상기 연결부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구동 부재도 이동하는 카트리지.
  76. 제65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배출구를 향해 현상제가 이동하기 위한 배출로를 갖는 카트리지.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배출로의 변형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카트리지.
  78. 제76항 또는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배출로의 종단 측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79. 제76항 내지 제7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출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80. 제65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81. 제65항 내지 제8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82.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1) 감광체와,
    (2) 상기 감광체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3) 상기 배출구의 근방에 배치되고 진동 가능하게 지지된 진동 부재와,
    (4) 상기 진동 부재에 작용하도록 구성된 캠 부재를 갖고,
    상기 캠 부재는, 상기 감광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감광체의 축선에 가까워진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
  84. 제82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진동 부여 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위상과, 상기 진동 부여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위상을 취할 수 있는 카트리지.
  85. 제82항 내지 제8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배출구를 향해 현상제가 이동하기 위한 배출로를 갖는 카트리지.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상기 배출로의 변형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카트리지.
  87. 제85항 또는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는, 상기 배출로의 종단 측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88. 제82항 내지 제8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출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89. 제82항 내지 제8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는, 상기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90. 제82항 내지 제8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91.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1) 감광체와,
    (2) 상기 감광체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를 향해 이동시키기 위한 배출로로서, 변형 가능한 배출로와,
    (3) 현상제가 배출되는 배출구의 근방에 진동 가능하게 지지된 진동 부재로서, 상기 배출로의 변형에 수반하여 이동 가능한 진동 부재를 갖는 카트리지.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는 신축하도록 변형되는 카트리지.
  93. 제91항 또는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는 탄성 변형하는 카트리지.
  94. 제91항 내지 제9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감광체의 축선에 가까워진 제2 위치의 사이를 상기 배출로의 변형에 수반하여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
  95. 제91항 내지 제9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진동 부재를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작용 부재를 더 갖는 카트리지.
  96.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 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회전 부재인 카트리지.
  97. 제95항 또는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 부재는 캠 부재인 카트리지.
  98.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1) 감광체와,
    (2) 상기 감광체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3) 상기 배출구의 근방에 배치되고 진동 가능하게 지지된 진동 부재와,
    (4) 상기 진동 부재를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상기 감광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지지 부재를 갖는 카트리지.
  99.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감광체의 축선에 가까워진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
  10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진동 부재에 작용하기 위한 작용 부재를 더 갖는 카트리지.
  101.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 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회전 부재인 카트리지.
  102.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 부재는 캠 부재인 카트리지.
  103. 제98항 내지 제10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카트리지.
  104. 제98항 내지 제1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배출구를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인 카트리지.
  105. 제98항 내지 제10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배출구를 향해 현상제가 이동하기 위한 배출로를 갖는 카트리지.
  106. 제10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배출로가 변형되는 카트리지.
  107. 제105항 또는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는, 상기 배출로의 종단 측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108. 제106항 내지 제10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출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109. 제98항 내지 제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는, 상기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110. 제98항 내지 제10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111. 상기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본체와,
    제1항 내지 제1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트리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KR1020197008638A 2016-08-26 2016-08-26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 KR201900395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5737 WO2018037574A1 (ja) 2016-08-26 2016-08-26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598A true KR20190039598A (ko) 2019-04-12

Family

ID=61244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638A KR20190039598A (ko) 2016-08-26 2016-08-26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10558165B2 (ko)
EP (1) EP3506021A4 (ko)
JP (1) JPWO2018037574A1 (ko)
KR (1) KR20190039598A (ko)
CN (1) CN109716240A (ko)
AU (2) AU2016420646B2 (ko)
BR (1) BR112019002403A2 (ko)
CA (2) CA3084125A1 (ko)
CL (1) CL2019000464A1 (ko)
CO (1) CO2019002091A2 (ko)
DE (1) DE112016007182T5 (ko)
GB (1) GB2567779B (ko)
MX (1) MX2019002147A (ko)
PH (1) PH12019500390A1 (ko)
RU (1) RU2019108101A (ko)
SG (1) SG11201901179RA (ko)
WO (1) WO2018037574A1 (ko)
ZA (1) ZA2019005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6240A (zh) * 2016-08-26 2019-05-03 佳能株式会社 盒和成像装置
CN116184785A (zh) 2017-12-13 2023-05-30 佳能株式会社 盒与图像形成装置
US10928751B2 (en) 2018-08-29 2021-02-23 Canon Kabushiki Kaisha Remanufacturing method for developing apparatus and cartridge
US10983475B2 (en) 2019-02-25 2021-04-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unit
WO2022124422A1 (ja) 2020-12-07 2022-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容器、画像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928U (ja) 1982-07-02 1984-01-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窓用空調機のドレン排水構造
JPS60117321U (ja) * 1984-01-18 1985-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粉体詰り防止装置
JP3285417B2 (ja) 1993-04-28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1066545C (zh) 1993-12-28 2001-05-30 佳能株式会社 显影剂盒及其再制造方法
JPH08114985A (ja) * 1994-10-17 1996-05-07 Purintonikusu:Kk 現像装置
JPH1130936A (ja) * 1997-07-14 1999-02-02 Canon Inc トナー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119619A (ja) * 1997-10-17 1999-04-30 Canon Inc トナー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133828A (ja) * 1997-10-29 1999-05-21 Hitachi Ltd 印字装置
JP3592506B2 (ja) * 1997-11-18 2004-11-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971869B2 (ja) * 1999-07-26 2007-09-0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679665B2 (ja) 1999-11-19 200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間隙保証部材および現像装置および帯電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478797B2 (ja) 1999-12-28 2003-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829455B2 (en) 2000-10-20 2004-12-07 Canon Kabushiki Kaisha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such a mechanism, and process unit of such an apparatus
JP3432218B2 (ja) 2000-10-31 2003-08-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負荷発生部材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244382A (ja) 2000-12-13 2002-08-3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気接点部材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162203A (ja) 2001-09-13 2003-06-06 Canon Inc ユニット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53571B2 (ja) * 2001-11-05 2003-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の清掃方法及び清掃装置、並びに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の清掃方法
JP2003215917A (ja) 2002-01-24 2003-07-30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072362B2 (ja) 2002-03-14 2008-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01690A (ja) 2002-09-06 2004-04-02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44045B2 (ja) 2002-09-30 2007-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供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13153B2 (ja) 2002-09-30 2007-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接点部材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314006B2 (ja) 2002-09-30 2009-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4151563A (ja) 2002-10-31 2004-05-2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2004361564A (ja) * 2003-06-03 2004-12-2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3885062B2 (ja) 2004-03-30 2007-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164875B2 (en) 2004-03-30 2007-01-16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for detachably mounting a plurality process cartridges
JP4110128B2 (ja) 2004-04-26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軸受部材
US7158749B2 (en) 2004-04-26 2007-01-02 Canon Kabushiki Kaisha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cleaning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840232B2 (ja) 2004-05-0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885074B2 (ja) 2004-05-11 2007-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26148B2 (ja) 2004-08-26 2006-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886182B2 (ja) 2004-09-27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794892B2 (ja) 2005-04-11 2011-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27626B2 (ja) 2005-05-09 2009-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容器の製造方法
JP4681946B2 (ja) 2005-05-27 2011-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80770B2 (ja) 2006-01-11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15457B2 (ja) * 2006-02-28 2011-01-19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65768B2 (ja) 2006-05-24 2011-09-0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
JP5147371B2 (ja) 2006-12-11 201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948382B2 (ja) 2006-12-22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ドラム取り付け用カップリング部材
JP4498407B2 (ja)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5311854B2 (ja) 2007-03-23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US8229320B2 (en) 2007-05-15 2012-07-24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cartridge, and cartridge holding member with lock and lock releasing members for releasably locking cartridge to the cartridge holding member
US8034525B2 (en) 2007-07-31 2011-10-1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5183409B2 (ja) * 2007-11-30 2013-04-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452920B1 (en) 2007-12-31 2013-05-28 Synopsy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US8187782B2 (en) 2008-05-22 2012-05-2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Full color image formation process
JP5328230B2 (ja) 2008-06-10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306050B2 (ja) 2008-06-20 201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付け方法、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外し方法
JP2010008606A (ja) * 2008-06-25 2010-01-14 Fuji Xerox Co Ltd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71627B2 (ja) 2008-08-27 2013-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424749B2 (ja) 2008-09-01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419584B2 (ja) 2008-09-01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335329B2 (ja) 2008-09-01 2013-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2333620A1 (en) 2008-09-01 2011-06-1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5147607B2 (ja) 2008-09-01 201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11033759A1 (ja) 2009-09-16 2011-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ローラ、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430349B2 (ja) 2009-10-30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5554963B2 (ja) 2009-10-30 2014-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836736B2 (ja) 2010-09-29 2015-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現像剤補給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5737611B2 (ja) * 2011-02-23 2015-06-17 株式会社リコー 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688017B2 (en) 2011-03-11 2014-04-01 Oki Data Corporation Image formation unit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JP5487163B2 (ja) 2011-06-24 2014-05-07 株式会社沖データ 回転伝達構造、交換ユニット、現像剤収容体及び画像形成装置
US8867970B2 (en) 2011-12-30 2014-10-2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s having positional control features
JP5959924B2 (ja) 2012-04-26 2016-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948660B2 (en) 2012-04-30 2015-02-03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engagement features to actuate a developer unit shutter
JP6024312B2 (ja) 2012-09-06 2016-11-16 カシオ電子工業株式会社 トナー搬送装置、及び印刷装置
JP6066841B2 (ja) 2012-09-10 2017-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053428B2 (ja) 2012-09-27 201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40962B2 (ja) 2012-09-27 2017-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98524B2 (ja) 2012-09-27 2017-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を備え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5975823B2 (ja) 2012-09-28 2016-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245932B2 (ja) 2012-11-06 2017-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033103B2 (ja) 2013-01-25 2016-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370039B2 (ja) 2013-01-31 2018-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収納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9182733B2 (en) 2013-02-07 2015-11-10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289172B2 (ja) 2013-05-23 2018-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12974B2 (ja) 2013-05-31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20694B2 (ja) 2013-06-24 2017-04-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73069B2 (ja) 2013-06-27 2017-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376749B2 (ja) 2013-12-06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5132770A (ja) * 2014-01-15 2015-07-2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88667B2 (ja) 2014-11-21 2017-08-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2129342B1 (ko) 2015-02-27 2020-07-0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카트리지
JP6512864B2 (ja) 2015-02-27 2019-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CN109716240A (zh) * 2016-08-26 2019-05-03 佳能株式会社 盒和成像装置
JP6957205B2 (ja) 2017-05-31 202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9500390A1 (en) 2019-05-27
MX2019002147A (es) 2019-07-18
US10558165B2 (en) 2020-02-11
CA3034221A1 (en) 2018-03-01
GB2567779A (en) 2019-04-24
GB2567779B (en) 2021-08-18
EP3506021A1 (en) 2019-07-03
CL2019000464A1 (es) 2019-07-12
DE112016007182T5 (de) 2019-07-04
RU2019108101A3 (ko) 2020-09-28
US20190179256A1 (en) 2019-06-13
CO2019002091A2 (es) 2019-03-08
CN109716240A (zh) 2019-05-03
JPWO2018037574A1 (ja) 2019-06-20
ZA201900598B (en) 2020-06-24
SG11201901179RA (en) 2019-03-28
GB201902642D0 (en) 2019-04-10
AU2020203965A1 (en) 2020-07-02
US10831150B2 (en) 2020-11-10
CA3084125A1 (en) 2018-03-01
RU2019108101A (ru) 2020-09-28
WO2018037574A1 (ja) 2018-03-01
AU2016420646B2 (en) 2020-07-16
EP3506021A4 (en) 2020-05-06
AU2016420646A1 (en) 2019-02-21
BR112019002403A2 (pt) 2019-06-04
US20200150582A1 (en)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9598A (ko)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
JP7297728B2 (ja) カートリッジ
KR101784850B1 (ko) 화상 형성 장치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정보 저장 시스템, 탈착 장치 및 토너 용기
CN108983575B (zh) 盒与成像装置
KR101897431B1 (ko) 노즐 수용체,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US11982952B2 (en) Toner cartridge having feeding member and pump for discharging pump
JP7190106B2 (ja) 粉体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TWI640847B (zh) 卡匣及影像形成裝置
JP7272495B2 (ja)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TW201835694A (zh) 卡匣及影像形成裝置
JP5594408B1 (ja)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