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371A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371A
KR20170058371A KR1020177007363A KR20177007363A KR20170058371A KR 20170058371 A KR20170058371 A KR 20170058371A KR 1020177007363 A KR1020177007363 A KR 1020177007363A KR 20177007363 A KR20177007363 A KR 20177007363A KR 20170058371 A KR20170058371 A KR 20170058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operating
switching
operating member
baby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이치로 우사
나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8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절첩 동작이 규제되게 되는 위치와 절첩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상태 유지 부재(60)가 유모차 본체(11)에 설치되어 있다. 핸들(50)에 동작 가능게 조작 부재(55)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12)에 동작 가능하게 전환 부재(65)가 설치되어 있다. 전환 부재(65)의 동작은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에 전달된다. 조작 부재(55)는 핸들에 대하여 동작함으로써 상태 유지 부재를 가압하여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핸들의 요동에 수반하여 전환 부재를 가압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모차{BABY CARRIAGE}
본 발명은 절첩 가능함과 함께, 핸들이 전방으로 기운 위치와 후방으로 기운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핸들이, 측면에서 볼 때 수직축보다도 후방으로 경사지는 제1 위치(배면 밀기 위치)와, 수직축보다도 전방으로 경사지는 제2 위치(대면 밀기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유모차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유모차의 조작성을 고려하면, 전각 및 후각 모두에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회전체와, 차륜의 회전 축선과 비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를 가진 소위 캐스터로서의 차륜 보유 지지 유닛이 사용되며, 또한, 진행 방향의 전방측 다리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에 있어서의 회전체의 고정체에 대한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진행 방향의 후방측 다리에 설치된 회전체의 고정체에 대한 회전이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JP2008-254693A에 개시된 유모차에서는, 핸들의 위치에 따라서 자동으로, 회전체가 고정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와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JP2008-254693A에 개시된 유모차에서는, 전환 기구는, 후각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끄럼 이동 부재와, 핸들에 설치된 전환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JP2008-254693A에 개시된 유모차에서는, 핸들의 요동에 수반된 전환 부재의 회동 동작이 미끄럼 이동 부재의 미끄럼 이동 동작으로 변환된다. 이 미끄럼 이동 부재의 미끄럼 이동 동작을 차륜 보유 지지 유닛에 전달함으로써, 핸들의 요동에 수반하여, 차륜 보유 지지 유닛의 회전체가 고정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와 회전 불가능한 상태를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환 기구는 매우 유용한 반면, 구성이 복잡하여, 유모차의 대형화, 그 결과로서 유모차의 중량화를 야기해 버린다.
게다가, 최근의 유모차는, 통상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절첩 가능한 유모차에서는, 일반적으로, 유모차를 전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구가, 핸들 및 그 근방에 설치된다. 즉, 유모차를 전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구가, 전환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와 마찬가지의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전환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의 설치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전환 기구의 설계 자유도에도 제약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핸들이 요동 가능하고 또한 유모차 본체가 절첩 가능한 유모차에 있어서, 핸들의 요동에 따라서 차륜 보유 지지 유닛의 상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기구를 소형화 및 경량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모차는,
전각 및 후각를 갖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핸들을 갖는 절첩 가능한 유모차 본체와,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 중 적어도 한쪽의 다리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이며, 차륜과, 상기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체와, 상기 적어도 한쪽의 다리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차륜의 회전 축선과 비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기 고정체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는 비회전 위치와 상기 회전체의 상기 고정체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를 갖는 차륜 보유 지지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유모차 본체의 절첩 동작이 규제되게 되는 규제 위치와, 상기 유모차 본체의 절첩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상태 유지 부재가,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핸들에 대하여 동작 가능한 조작 부재가, 상기 핸들에 설치되고,
상기 핸들의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한 요동에 따라서 상기 로크 부재를 이동시키는 전환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전환 부재와, 상기 전환 부재의 동작을 상기 로크 부재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에 대하여 동작함으로써, 상기 상태 유지 부재를 가압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핸들의 요동에 수반하여, 상기 전환 부재를 가압하여 동작시킨다.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아아암레스트와,
상기 아아암레스트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1 링크를 갖고,
상기 상태 유지 부재는, 상기 제1 링크에 지지되고,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후각에 지지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2 링크와,
상기 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3 링크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3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3 링크는,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조작 위치와 상기 조작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 사이를 상기 핸들 중의 상기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조작 위치의 측으로부터 상기 비조작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으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의 요동에 수반하여, 상기 전환 부재에 하방에서 맞닿아서 당해 전환 부재를 동작시키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조작 위치와 상기 조작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 사이를 상기 핸들 중의 상기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조작 위치의 측으로부터 상기 비조작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으며,
상기 상태 유지 부재는, 상기 비조작 위치로부터 상기 조작 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조작 부재에 가압되며, 상기 규제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상태 유지 부재와 걸림 결합 가능하게 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전환 부재와 걸림 결합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고,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전환 부재로부터 이격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상태 유지 부재와 걸림 결합 가능하게 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전환 부재와 걸림 결합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조작 위치와 상기 조작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 사이를 상기 핸들 중의 상기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조작 위치의 측으로부터 상기 비조작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으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상태 유지 부재에 하방에서 접촉 가능한 접촉면이며, 상기 핸들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전환 부재에 하방에서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한 조작 기부와, 상기 핸들 중의 상기 조작 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또한 상기 접촉면을 포함하는 조작 돌출부를 갖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요동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상기 접촉면은 곡선형으로 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핸들의 요동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상기 핸들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요동에 수반한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며, 상기 요동 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차로 길어져 가는 면을 포함하고 있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접촉면 중 상기 요동 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길어지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상태 유지 부재에 접촉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중 상기 상태 위치 부재에 접촉하게 되는 부분은, 상기 핸들의 요동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상기 핸들 중의 상기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후각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한 전환 기부와, 상기 후각 중 상기 전환 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전환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전환 돌출부는, 상기 핸들의 요동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상기 핸들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요동에 수반한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며, 상기 요동 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차로 길어져 가는 받침면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의 상기 제2 위치로의 요동에 수반하여, 상기 전환 부재의 상기 받침면에 접촉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이 요동 가능하며 또한 유모차 본체가 절첩 가능한 유모차에 있어서, 핸들의 요동에 따라서 차륜 보유 지지 유닛의 상태를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기구를 소형화 및 경량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핸들이 제2 위치(대면 가압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모차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유모차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
도 5는 유모차의 주요부 부분 사시도.
도 6은 유모차의 주요부 부분 사시도.
도 7은 유모차의 주요부 부분 사시도.
도 8은 한쪽의 차륜을 제거한 상태에서 차륜 보유 지지 유닛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도 8의 IX-IX 선을 따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 내지 도 3에는, 유모차의 전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는, 다리(14, 16)를 가진 절첩 가능한 유모차 본체(11)와, 다리(14, 16)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을 갖고 있다. 유모차 본체(11)는, 전각(14) 및 후각(16)을 갖는 본체 프레임(12)과,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도록 본체 프레임(12)에 접속된 핸들(50)을 갖고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유모차 본체(11)에는, 쿠션성의 좌석재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영유아는 이 좌석재 위에 착좌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모차(10)는 널리 보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예를 들어, JP2006-117012A),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유모차(10)에 있어서는, 핸들(50)을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요동시킴으로써, 조작자(보호자)가 영유아의 배면측으로부터 핸들(50)을 파지하여 유모차(10)를 조종하고, 영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유모차(10)를 주행시키는 것, 및, 조작자가 영유아에 대면하는 전각측의 위치에서 핸들(50)을 파지하여 유모차(10)를 조종하고, 유모차(10)의 후각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이 되도록 하여 유모차(10)를 주행시키는 것의 양쪽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 및 그 구성 요소에 대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 및 그 구성 요소에 승차하는 영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후 방향」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 하방과 우측 상방을 연결하는 방향이며, 도 2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우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승차한 영유아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 하방측 및 도 2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이 전방측이 된다. 한편,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함께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접지면이 수평면일 경우, 「상하 방향」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가로 방향」이란 폭 방향이며,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 모두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먼저, 유모차의 전체 구성으로서, 유모차 본체(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른 가로 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1)는 본체 프레임(12) 및 핸들(50)을 갖고 있다. 이 중 본체 프레임(12)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전각(14)과,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후각(16)과,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아아암레스트(19)와,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제1 링크(20)를 갖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각(14)의 상단 부분은,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아아암레스트(19)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각(16)의 상단 부분은,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아암레스트(19)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링크(20)의 상방 부분이,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아암레스트(19)의 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1 링크(20)는 주 링크재(21)와, 주 링크재(21)의 상단부에 고정된 상방 접속재(22)를 갖고 있다. 주 링크재(21)는, 예를 들어 금속제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상방 접속재(22)는, 예를 들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진다. 제1 링크(20)는 상방 접속재(22)에 있어서, 아암레스트(19)의 후단부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2)은 전각(14)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2 링크(25)와, 후각(16)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3 링크(30)를 갖고 있다. 제2 링크(25)는 제1 링크(20) 및 제3 링크(30)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3 링크(30)는 제1 링크(20) 및 제2 링크(25)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2 링크(25)를 이루는 부재로서, 프레임재(26)와, 프레임재(26)에 고정된 전방 접속재(27) 및 후방 접속재(28)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재(26)는, 예를 들어 굽힘 가공한 금속제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전방 접속재(27) 및 후방 접속재(28)는, 예를 들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재(26)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부(26a)와, 한 쌍의 측부(26a) 사이를 전방에서 연결하는 연결부(26b)를 가지며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전방 접속재(27)는, 일단부 부분을 전각(14)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타단부 부분을 측부(26a)의 전방 부분에 고정하고 있다. 후방 접속재(28)는 측부(26a)의 후단부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재(26)의 측부(26a)와, 이 우측의 측부(26a)에 고정된 전방 접속재(27) 및 후방 접속재(28)에 의해, 우측의 제2 링크(25)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재(26)의 측부(26a)와, 이 좌측의 측부(26a)에 고정된 좌측 전방 접속재(27) 및 후방 접속재(28)에 의해, 좌측의 제2 링크(2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3 링크(30)는 후각(16)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주축재(31)와, 주축재(31)의 상단 부분에 고정된 단부 부재(32)를 갖고 있다. 주축재(31)는, 예를 들어 금속제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단부 부재(32)는, 예를 들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진다. 주축재(31)는, 하단 부분에 있어서 후각(16)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단부 부재(32)는 제1 링크(20) 및 제2 링크(25)에 접속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1 링크(20), 제2 링크(25) 및 제3 링크(30)는, 동일한 축 부재(34)를 사용하여, 서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축 부재(34)는, 제1 링크(20)의 주링크재(21), 제3 링크(30)의 단부 부재(32), 및 제2 링크(25)를 이루는 후방 접속재(28)를 관통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링크(20), 제2 링크(25) 및 제3 링크(30)는, 축 부재(34)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동일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2)은, 베이스 프레임(41) 및 상방 프레임(42)과, 베이스 프레임(41)과 상방 프레임(42)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43)을 추가로 갖고 있다. 프레임재(26) 및 베이스 프레임(41)에는, 베이스 포재(도시하지 않음)가 장설된다. 베이스 포재는, 프레임재(26), 베이스 프레임(41), 상방 프레임(42) 및 연결 프레임(43)과 함께, 쿠션성의 좌석재(도시하지 않음)를 지지한다. 베이스 프레임(41) 및 상방 프레임(42)은, 모두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41)은 그 양단부에 있어서, 축 부재(34)에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41)은 프레임재(26)나 기타 구성 요소에 대하여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방 프레임(42)은 그 양단부에 있어서, 아암레스트(19)의 후단부 부분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방 프레임(42)의 아암레스트(19)에 대한 회동 축선은, 제1 링크(20)의 아암레스트(19)에 대한 회동 축선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베이스 프레임(41) 및 상방 프레임(42)의 사이에는, 가로 방향으로 이격하여 한 쌍의 연결 프레임(43)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43)은 그 양단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41) 및 상방 프레임(42)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2)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 요소로서, 한 쌍의 전각(14)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연결재(15)와, 한 쌍의 후각(16)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연결재(17)를 갖고 있다. 전방 연결재(15)는 풋레스트로서 기능한다. 또한, 한 쌍의 후방 접속재(28) 사이에는, 중앙 연결재(29)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 연결재(15), 후방 연결재(17) 및 중앙 연결재(29)에 의해, 유모차(10)의 가로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아암레스트(19) 사이에 가요성을 가진 가드 부재(38)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핸들(50)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핸들(50)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축부(50a)와, 한 쌍의 축부(50a)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부(50b)를 포함하고 있다. 핸들(50)은, 전체적으로 대략 U자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핸들(50)은 U자의 양단부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12)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핸들(50)은 축 부재(34)를 사용하여, 본체 프레임(12)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링크(20), 제2 링크(25), 제3 링크(30), 베이스 프레임(41) 및 핸들(50)은 축 부재(34)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동일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유모차 본체(11)에 있어서, 핸들(50)은 측면에서 볼 때 수직축보다도 후방으로 경사지는 제1 위치(배면 가압 위치)와, 수직축보다도 전방으로 경사지는 제2 위치(대면 가압 위치)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핸들(50)은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핸들(50)은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핸들(50)의 축부(50a)에는, 보유 지지 걸림 결합 부재(51)가 설치되어 있다. 보유 지지 걸림 결합 부재(51)는 축부(50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축부(50a)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본체 프레임(12)에는, 보유 지지 걸림 결합 부재(51)와 걸림 결합 가능한 제1 위치 보유 지지 부재(35)(도 2 참조) 및 제2 위치 보유 지지 부재(36)(도 1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보유 지지 걸림 결합 부재(51)와 제1 위치 보유 지지 부재(35)가 걸림 결합함으로써, 핸들(5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보유 지지 걸림 결합 부재(51)와 제2 위치 보유 지지 부재(36)가 걸림 결합함으로써, 핸들(5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이어서, 유모차 본체(11)의 다리(14, 16)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각(14) 및 후각(16)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은, 모두 소위 캐스터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은, 대응하는 다리(14, 16)에 고정된 고정체(71)와, 고정체(71)에 지지된 회전체(74)와, 차축(77)을 개재하여 회전체(74)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 차륜(78)을 갖고 있다. 차륜(78)은 차축(77)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회전 축선 Ar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차륜(78)이 고정체(71) 및 회전체(74)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단, 도 8에서는, 편측의 차륜(78)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체(71)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기 시작한 캐스터 축 부재(72)를 갖고 있다. 회전체(74)는, 캐스터 축 부재(72)에 의해 관통된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다. 이 결과, 회전체(74)는, 캐스터 축 부재(72)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캐스터 축선 Ac를 중심으로 하여 고정체(7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체(74)의 고정체(71)에 대한 회전 축선이 되는 캐스터 축선 Ac는, 차륜(78)의 회전체(74)에 대한 회전 축선이 되는 회전 축선 Ar과 비평행으로 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캐스터 축선 Ac는 상하 방향과 평행해지고, 회전 축선 Ar은 가로 방향과 평행해진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은 고정체(71) 및 회전체(74)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부재로서의 로크 부재(79)를 추가로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크 부재(79)는 고정체(71)에 지지되어 있다. 로크 부재(79)는 고정체(71)에 대하여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체(71)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고 가늘게 연장되며, 또한 회전체(74)를 향하여 개구된 수용 홈(73)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부재(79)는, 수용 홈(73) 내에 배치되며, 고정체(7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 결과, 로크 부재(79)는, 회전체(74)의 고정체(71)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는 비회전 위치와, 회전체(74)의 고정체(71)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비회전 위치에 배치된 로크 부재(79)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79)가 비회전 위치에 배치되면, 당해 로크 부재(79)는, 고정체(7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다. 회전체(74)에는, 고정체(71)로부터 돌출된 로크 부재(79)를 받치기 위한 받침 오목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즉, 로크 부재(79)가 비회전 위치에 있을 경우, 로크 부재(79)의 선단이 받침 오목부(75) 내에 삽입되고, 고정체(71) 및 회전체(74)의 캐스터 축선 Ac를 중심으로 한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한편, 로크 부재(79)가 회전 위치에 있을 경우, 로크 부재(79)의 전체가 고정체(71)의 내부에 위치하고, 고정체(71) 및 회전체(74)의 캐스터 축선 Ac를 중심으로 한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체(71)의 수용 홈(73)에는, 가압 부재(80)가 수용되어 있다. 가압 부재(80)는,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가압 부재(80)는, 로크 부재(79)를 회전 위치 측으로부터 비회전 위치를 향하여 가압하고 있다. 또한, 로크 부재(79)는, 후술하는 전달 수단(85)의 리드와이어(86)에 접속되어 있다. 로크 부재(79)의 고정체(71)에 대한 상대 위치는, 전달 수단(85)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전각(14)에 설치되는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은, 동일 또는 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전각(16)에 설치되는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은 동일 또는 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각(14)에 설치되는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 및 후각(16)에 설치되는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은, 다리에 대한 설치 부위가 상이할 뿐이며, 그 밖에는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는 대표로 전각(14)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을 도시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10)에서는, 핸들(50)이 제1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을 경우(도 1의 상태), 조작자(보호자)는 영유아의 배면측이 되는 유모차(10)의 후각측의 위치에서 핸들(50)을 파지하고, 영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유모차(10)를 밀고 나가게 할 수 있다. 이때, 유모차(10)의 전각측이, 진행 방향 전방이 된다. 한편, 핸들(50)이 제2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을 경우, 조작자는, 영유아에 대면하는 유모차(10)의 전각측의 위치에서 핸들(50)을 파지하고, 유모차(10)를 밀고 나갈 수 있다. 이때, 유모차(10)의 후각측이, 진행 방향 전방이 된다. 이러한 유모차(10)에서는, 진행 방향의 전방측 다리(14, 16)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에 있어서 회전체(74)의 고정체(71)에 대한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진행 방향의 후방측 다리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에 있어서 회전체(74)의 고정체(71)에 대한 회전이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핸들(50)이 제1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을 경우, 전각(14)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의 로크 부재(79)가 회전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후각(16)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의 로크 부재(79)가 비회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핸들(50)이 제2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을 경우, 전각(14)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의 로크 부재(79)가 비회전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후각(16)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의 로크 부재(79)가 회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유모차(10)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핸들(5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요동에 따라서 로크 부재(79)를 이동시키는 전환 기구(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10)를 전개한 상태에서 절첩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을 가진 유모차(10)는, 각 구성 부재를 상대 회동시킴으로써 절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위치에 배치된 핸들(50)을 일단 후측 상방으로 끌어 올리고, 그 후, 하방으로 눌러 내림으로써, 제3 링크(30)를 후각(16)에 대하여 도 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조작에 수반하여, 아암레스트(19) 및 제2 링크(25)는 제1 링크(20)에 대하여 도 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측면에서 볼 때 핸들(50)과 전각(14)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됨과 함께, 핸들(50)의 배치 위치를 내릴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모차(10)를 절첩할 수 있다. 도 3의 절첩된 상태에서는, 유모차(10)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른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유모차(10)를 절첩 상태로부터 전개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절첩 조작과 반대의 수순을 밟으면 된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유모차(10)에서는, 도 4 내지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로의 유모차(10)의 동작을 규제하는 상태 유지 부재(60)가 본체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있다. 상태 유지 부재(60)는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이 규제되게 되는 규제 위치와,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태 유지 부재(60)는 제1 링크(20)의 주 링크재(21)에 지지되어 있다. 규제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상태 유지 부재(60)의 이동은, 주 링크재(21)의 길이 방향에 따른 이동으로 되어 있다.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태 유지 부재(60)는, 주 링크재(21)에 장착된 본체부(61)와, 본체부(61)로부터 돌출된 규제 걸림 결합 돌기(62) 및 받침판(63)을 갖고 있다. 규제 걸림 결합 돌기(62)는 본체부(61)로부터 가로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제3 링크(30)의 단부 부재(32)에는, 규제 걸림 결합 돌기(62)와 걸림 결합 가능한 규제 걸림 결합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태 유지 부재(60)가 제1 링크(20)에 대하여 하방으로 미끄럼 이동했을 경우, 상태 유지 부재(60)의 규제 걸림 결합 돌기(62)가 제3 링크(30)의 규제 걸림 결합 오목부(33) 내에 수용된다. 도 5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는, 상태 유지 부재(60)를 지지하는 제1 링크(20)와, 상태 유지 부재(60)와 걸림 결합한 제3 링크(30)는 상대 회동할 수 없다. 따라서, 상태 유지 부재(60)의 규제 걸림 결합 돌기(62)와, 제3 링크(30)의 규제 걸림 결합 오목부(33)가 걸림 결합되어 있을 경우, 유모차(10)는 전개된 상태가 유지되어, 유모차(10)를 절첩할 수 없다. 즉, 도 5에 도시된 상태 유지 부재(60)의 위치가, 상태 유지 부재(60)의 규제 위치이다.
한편,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태 유지 부재(60)가 제1 링크(20)에 대하여 상방으로 미끄럼 이동하면, 규제 걸림 결합 돌기(62)는 제3 링크(30)의 규제 걸림 결합 오목부(33)로부터 빠져 나간다. 그리고, 규제 걸림 결합 돌기(62)와 규제 걸림 결합 오목부(33)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면, 제1 링크(20) 및 제3 링크(30)는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고, 유모차(10)를 접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상태 유지 부재(60)의 위치가, 상태 유지 부재(60)의 규제 위치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태 유지 부재(60)의 본체부(61)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해, 해제 위치(도 6 참조)로부터 규제 위치(도 5 참조)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다. 이러한 가압력을 사용함으로써, 적극적으로 외력을 가하고 있지 않는 한,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이 보다 확실하게 규제되게 된다. 즉, 오동작에 의해, 의도치 않게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이 개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태 유지 부재(60)의 설치에 수반하여, 상태 유지 부재(6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55)가 핸들(50)의 축부(50a)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55)는 도 5에 도시된 비조작 위치와 도 6에 도시된 조작 위치의 사이를, 핸들(50) 중의 조작 부재(55)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 부재(55)는 핸들(50)의 축부(50a)에 수용된 가압 부재(59)(도 5 참조)에 의해, 조작 위치의 측으로부터 비조작 위치로 가압되고 있다. 즉, 조작 부재(55)는 외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을 경우, 가압 부재(59)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조작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일례로서, 조작 부재(55)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 전달구(부재)에 의해, 핸들(50)의 중간부(50b)에 설치된 원격 조작 장치(52)(도 1 참조)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원격 조작 장치(52)를 조작함으로써, 조작 부재(55)를 조작 위치로부터 비조작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55)는 핸들(50)에 지지된 조작 기부(56)와, 조작 기부(56)로부터 돌출된 조작 돌출부(57)를 갖고 있다. 조작 기부(56)는 핸들(50)의 축부(50a)에 장착되어 있다. 조작 기부(56)는 핸들(50)의 축부(50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당해 축부(50a)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조작 돌출부(57)는 핸들(50) 중 조작 기부(56)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50a)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해서, 조작 기부(56)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태 유지 부재(60)의 받침판(63)은 본체부(61)로부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그리고, 조작 부재(55)가 비조작 위치로부터 조작 위치로 이동하면, 조작 돌출부(57)는 상태 유지 부재(60)의 받침판(63)에 하방에서 맞닿고, 상태 유지 부재(60)를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향하여 가압한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50)이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조작 부재(55)를 비조작 위치로부터 조작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태 유지 부재(60)를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전환 기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환 기구(100)는 핸들(5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요동에 따라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의 로크 부재(79)를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도 5,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기구(100)는 본체 프레임(12)에 설치된 전환 부재(65)와, 전환 부재(65)의 동작을 로크 부재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85)을 포함하고 있다. 전환 부재(65)는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환 부재(65)는 후각(16)에 지지되어 있다. 전환 부재(65)는 도 5에 도시된 제1 전환 위치와 도 7에 도시된 제2 전환 위치의 사이를, 후각(16) 중 전환 부재(65)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전달 수단(85)은 전환 부재(65)와 로크 부재(79)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달 수단(85)은 리드와이어(86)와, 리드와이어(86)가 삽입 관통하고 있는 통형 부재(87)를 갖고 있다. 리드와이어(86)는 로크 부재(79)와 전환 부재(65)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전달 수단(85)은 일단부를 로크 부재(79)의 근방에 고정하고, 타단부를 전환 부재(65)의 근방에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전환 부재(65)가 제1 전환 위치와 제2 전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면, 리드와이어(86)가 통형 부재(87) 내를 이동하고, 로크 부재(79)가 회전 위치와 비회전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전각(14)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의 로크 부재(79)와, 전환 부재(65)의 사이에, 전각측의 전달 수단(85)이 설치되고, 또한, 후각(16)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의 로크 부재(79)와, 전환 부재(65)의 사이에, 후각측의 전달 수단(85)이 설치되어 있다. 전각측의 전달 수단(85)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각(16) 내부 및 전각(14) 내부를 통과하고, 전환 부재(65)로부터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까지 연장되어 있다. 후각측의 전달 수단(85)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각(16) 내부를 통과하고, 전환 부재(65)로부터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까지 연장되어 있다. 전환 부재(65)가 도 5의 제1 전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전각(14)에 설치된 로크 부재(79)가 비회전 위치로부터 회전 위치로 끌어 올려지고, 또한, 후각(16)에 설치된 로크 부재(79)가 가압 부재(80)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 위치로부터 비회전 위치로 밀려 나간다. 한편, 전환 부재(65)가 도 7의 제2 전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전각(14)에 설치된 로크 부재(79)가 가압 부재(80)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 위치로부터 비회전 위치로 밀려 나가고, 또한, 후각(16)에 설치된 로크 부재(79)가 비회전 위치로부터 회전 위치로 끌어 올려진다.
전환 기구(100)의 전환 부재(65)는, 핸들(50)의 요동 위치에 따라, 제1 전환 위치와 제2 전환 위치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핸들(50)에 장착된 조작 부재(55)가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전환 부재(65)를 가압하여 동작시킨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50)이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조작 부재(55)는 전환 부재(6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단, 조작 부재(55)는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전환 부재(65)에 하방에서 맞닿아서 당해 전환 부재(65)를 동작시킨다. 즉,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50)이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조작 부재(55)가 전환 부재(65)로부터 이격되고, 전환 부재(65)를 제1 전환 위치에 배치한다. 한편,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50)이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전환 부재(65)의 전환 돌출부(67)에 하방에서 맞닿고, 전환 부재(65)를 제2 전환 위치에 배치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각(16) 내에 설치된 가압 부재(69)에 의해, 전환 부재(65)는, 제2 전환 위치의 측으로부터 제1 전환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다. 가압 부재(69)의 가압력은,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 내에 설치된 가압 부재(80)의 가압력보다도 크다. 따라서, 조작 부재(55)에 맞닿아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전환 부재(65)는 제1 전환 위치에 안정되게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해, 핸들(50)의 요동 위치에 따른, 전환 부재(65)의 위치 제어를 안정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부재(65)는 후각(16)에 지지된 전환 기부(66)와, 전환 기부(66)로부터 돌출된 전환 돌출부(67)를 갖고 있다. 전환 기부(66)는, 후각(16)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당해 후각(16)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후각(16)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전환 돌출부(67)는 후각(16) 중 전환 기부(66)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을 향해서, 전환 기부(66)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50)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에 이동하면, 조작 부재(55)의 조작 돌출부(57)는 전환 부재(65)의 전환 돌출부(67)에 하방에서 맞닿고, 전환 부재(65)를 제1 전환 위치로부터 제2 전환 위치를 향하여 가압한다.
즉, 조작 부재(55)의 조작 돌출부(57)는 핸들(50)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요동에 수반하여 전환 부재(65)에 하방에서 접촉하게 되는 접촉면(58)을 갖고 있다. 반대로, 전환 부재(65)는 조작 부재(55)의 접촉면(58)과 접촉하게 되는 받침면(69)을 갖고 있다. 도 4에는, 핸들(50)의 요동 축선 As와 평행한 방향에서의 관찰에 있어서의 접촉면(58)(점선) 및 받침면(69)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또한 도 5로부터도 이해할 수 있듯이, 접촉면(58)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조작 부재(55)에 의해, 전환 부재(65)를 후각(16)에 대하여 매끄럽고 또한 안정되게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핸들(50)의 요동에 따라, 로크 부재(79)를 회전 위치와 비회전 위치 사이에서 보다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면(58)은 핸들(50)의 요동 축선 As와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핸들(50)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요동에 수반한 조작 부재(55)의 이동 경로 tr에 있어서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며, 요동 축선 As로부터의 거리 da가 점차로 길어져 가는 곡면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전환 부재(65)를 후각(16)에 대하여 조금씩 원활하게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핸들(5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요동에 따라, 로크 부재(79)를 회전 위치와 비회전 위치 사이에서 보다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돌출부(67)의 받침면(68)은 핸들(50)의 요동 축선 As와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핸들(50)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요동에 수반한 조작 부재(55)의 이동 경로 tr에 있어서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며, 요동 축선 As로부터의 거리 db가 점차로 길어져 가는 곡면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전환 부재(65)를 후각(16)에 대하여 조금씩 원활하게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핸들(5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요동에 따라, 로크 부재(79)를 회전 위치와 비회전 위치 사이에서 보다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각(16)에는, 후각(16)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긴 유도 구멍(1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유도 구멍(16a)에는, 전환 축 부재(65a)가 삽입되어 있다. 전환 축 부재(65a)는 긴 유도 구멍(16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전환 축 부재(65a)는 전환 부재(65)의 전환 기부(66)에 의해 보유 지지되고, 전환 부재(65)와 함께 후각(16)에 대하여 동작한다. 상술한 전달 수단(85)의 리드와이어(86)는 전환 축 부재(65)의 전환 축 부재(65a) 또는 전환 축 부재(65a)와 고정되어 후각(16) 내를 전환 축 부재(65)와 함께 이동 가능한 연동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55)는 핸들(50)이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상태 유지 부재(60)에 하방에서 접촉하고, 상태 유지 부재(60)를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50)이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조작 부재(55)는 그 접촉면(58) 중 핸들 요동 축선 As로부터의 거리 da(도 5 참조)가 가장 길어지는 정상부(58a)에 있어서, 상태 유지 부재(60)의 받침판(63)에 접한다. 이러한 접촉면(58)은 대형화를 방지하여 콤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즉, 조작 부재(55)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유모차(10)의 간이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면(58)의 정상부(58a)는 핸들(50)의 요동 축선 As와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핸들(50) 중 조작 부재(55)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고 있다. 환언하면, 접촉면(58)의 정상부(58a)는 요동 축선 As와 평행한 방향으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 핸들(50) 중 조작 부재(55)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과 평행 또는, 이 직교하는 방향에 접한다. 이러한 조작 부재(55)에 의하면, 상태 유지 부재(60)와 조작 부재(55)의 안정된 접촉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환 부재(65)의 조작에도 이용되는 조작 부재(55)를 사용하여, 상태 유지 부재(60)를 안정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조작 부재(55)가 핸들(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할 경우에는, 이 조작 부재(55)를 사용하여, 상태 유지 부재(60)를 보다 안정되게 조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부재(55)가 핸들(50)에 대하여 동작함으로써 상태 유지 부재(60)를 가압하여 이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전환 부재(65)를 가압하여 동작시킬 수도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핸들(50)의 요동 시에,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조작 부재(55)에 의해, 전환 부재(65)를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 조작 부재(55)는 조작됨으로써 핸들(50)에 대하여 동작하고, 상태 유지 부재(6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즉, 조작 부재(55)는 유모차(10)의 전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구의 일부분으로서도 기능한다. 이러한 조작 부재(55)를 사용함으로써, 전환 부재(65)를 동작시키기 위한 부재를 조작 부재(55)와는 별도로 설치하는 것과 비교하여, 유모차(10)의 부품 개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부품 개수가 저감되므로, 부품의 설치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모차(10)의 구성을 대폭으로 간략화 및 소형화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며, 동시에, 유모차(10)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부재(55)는 조작 위치와 조작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 사이를 핸들(50) 중의 조작 부재(55)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조작 위치의 측으로부터 비조작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다. 게다가, 조작 부재(55)는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전환 부재(65)에 하방에서 맞닿아서 당해 전환 부재(65)를 동작시킨다. 즉, 조작 부재(55)는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를 향하여 가압됨과 함께, 전환 부재(65)를 하방으로부터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의해, 핸들(50)의 제2 위치로의 요동 시에는, 가압된 위치에 있는 조작 부재(55)가 가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전환 부재(65)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가능 범위의 하한으로 유지된 조작 부재(55)가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전환 부재(65)에 하방에서 접촉하고, 전환 부재(65)를 상방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전환 부재(65)의 안정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부재(55)는 조작 위치와 조작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 사이를 핸들(50) 중 조작 부재(55)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조작 위치의 측으로부터 비조작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다. 게다가, 상태 유지 부재(60)는 조작 위치로부터 비조작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 부재(55)에 가압되며,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즉, 조작 부재(55)는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를 향하여 가압 됨과 함께, 상태 유지 부재(60)를 하방으로부터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의해, 핸들(50)이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압력에 저항하여 조작 위치를 향하여 조작되는 조작 부재(55)에 의해, 상태 유지 부재(60)를 동작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태 유지 부재(60)가 의도치 않게 동작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모차(10)를 전개한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핸들(50)은 조작 부재가 상태 유지 부재(60)와 걸림 결합 가능하게 되는 제1 위치와, 조작 부재(55)가 전환 부재(65)와 걸림 결합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다. 게다가, 핸들(50)이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조작 부재(55)는 전환 부재(6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50)이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유모차(10)를 절첩 상태로부터 전개했을 때, 전환 부재(65)와 조작 부재(55)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게 된다. 이로 인해, 유모차를 전개할 때, 전환 부재(65)와 조작 부재(55) 사이에 의복 등이 끼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부재(55)는 핸들(50)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한 조작 기부(56)와, 핸들(50) 중의 조작 기부(56)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폭 방향)으로 돌출되며 또한 접촉면(58)을 포함하는 조작 돌출부(57)를 갖고 있다. 따라서,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조작 부재(55)와 전환 부재(65)의 접촉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변경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각(14) 및 후각(16)의 양쪽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의 로크 부재(79)가 전환 기구(100)에 의해, 핸들(50)의 요동 위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동작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느 한쪽의 다리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의 로크 부재(79)만이, 전환 기구(100)에 의해, 핸들의 요동 위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동작하도록 해도 된다. 이때, 다른 쪽의 다리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은, 캐스터로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유모차(10) 및 유모차 본체(11)의 전체 구성은, 단순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의 구성은, 단순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특개 2008-254693호 공보에 개시된 캐스터의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 형태에 대한 몇 가지 변형예를 설명해 왔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2)

  1. 전각 및 후각를 갖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핸들을 갖는 절첩 가능한 유모차 본체와,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 중 적어도 한쪽의 다리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이며, 차륜과, 상기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체와, 상기 적어도 한쪽의 다리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차륜의 회전 축선과 비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기 고정체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는 비회전 위치와 상기 회전체의 상기 고정체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를 갖는 차륜 보유 지지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유모차 본체의 절첩 동작이 규제되게 되는 규제 위치와, 상기 유모차 본체의 절첩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상태 유지 부재가,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핸들에 대하여 동작 가능한 조작 부재가, 상기 핸들에 설치되고,
    상기 핸들의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한 요동에 따라서 상기 로크 부재를 이동시키는 전환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전환 부재와, 상기 전환 부재의 동작을 상기 로크 부재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에 대하여 동작함으로써, 상기 상태 유지 부재를 가압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핸들의 요동에 수반하여, 상기 전환 부재를 가압하여 동작시키는,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아암레스트와,
    상기 아암레스트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1 링크를 갖고,
    상기 상태 유지 부재는, 상기 제1 링크에 지지되고,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후각에 지지되어 있는, 유모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조작 위치와 상기 조작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 사이를 상기 핸들 중의 상기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조작 위치의 측으로부터 상기 비조작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으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의 요동에 수반하여, 상기 전환 부재에 하방에서 맞닿아서 당해 전환 부재를 동작시키는, 유모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조작 위치와 상기 조작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 사이를 상기 핸들 중의 상기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조작 위치의 측으로부터 상기 비조작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으며,
    상기 상태 유지 부재는, 상기 비조작 위치로부터 상기 조작 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조작 부재에 가압되며, 상기 규제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유모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상태 유지 부재와 걸림 결합 가능하게 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전환 부재와 걸림 결합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고,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전환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유모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상태 유지 부재와 걸림 결합 가능하게 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전환 부재와 걸림 결합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조작 위치와 상기 조작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 사이를 상기 핸들 중의 상기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조작 위치의 측으로부터 상기 비조작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으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상태 유지 부재에 하방에서 접촉 가능한 접촉면이며, 상기 핸들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전환 부재에 하방에서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유모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한 조작 기부와, 상기 핸들 중의 상기 조작 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또한 상기 접촉면을 포함하는 조작 돌출부를 갖는, 유모차.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요동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상기 접촉면은 곡선형으로 되어 있는, 유모차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핸들의 요동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상기 핸들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요동에 수반한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며, 상기 요동 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차로 길어져 가는 면을 포함하고 있는, 유모차.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접촉면 중 상기 요동 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길어지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상태 유지 부재에 접촉 가능한, 유모차.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중 상기 상태 위치 부재에 접촉하게 되는 부분은, 상기 핸들의 요동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상기 핸들 중의 상기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유모차.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후각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한 전환 기부와, 상기 후각 중 상기 전환 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전환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전환 돌출부는, 상기 핸들의 요동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상기 핸들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요동에 수반한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며, 상기 요동 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차로 길어져 가는 받침면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의 상기 제2 위치로의 요동에 수반하여, 상기 전환 부재의 상기 받침면에 접촉되는, 유모차.
KR1020177007363A 2014-09-22 2015-09-02 유모차 KR201700583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93088A JP6378991B2 (ja) 2014-09-22 2014-09-22 乳母車
JPJP-P-2014-193088 2014-09-22
PCT/JP2015/074989 WO2016047406A1 (ja) 2014-09-22 2015-09-02 乳母車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371A true KR20170058371A (ko) 2017-05-26

Family

ID=55580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363A KR20170058371A (ko) 2014-09-22 2015-09-02 유모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78991B2 (ko)
KR (1) KR20170058371A (ko)
CN (1) CN106687356B (ko)
TW (1) TWI649226B (ko)
WO (1) WO2016047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7918B2 (ja) * 2016-08-31 2020-08-26 ピジョン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2018070123A (ja) * 2016-11-04 2018-05-10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TWI594910B (zh) * 2017-03-23 2017-08-11 Shui-Sheng Bao Wheel lock structure prevents accidental slipping of the cart
CN113501044B (zh) * 2019-04-26 2023-08-04 康贝株式会社 婴儿车
US11993302B2 (en) 2019-06-13 2024-05-28 Wonderland Switzerland Ag Wheeled carrying apparatus
EP4253192A3 (en) * 2019-08-12 2023-12-27 Wonderland Switzerland AG Unlock device and stroller
WO2021124507A1 (ja) 2019-12-19 2021-06-2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7753A (en) * 1992-05-29 1993-03-30 Liu Kun Hei Folding baby buggy frame assembly
US5988670A (en) * 1995-02-15 1999-11-23 Jiangsu Goodbaby Group, Inc. Child carrier
CN200977936Y (zh) * 2006-10-26 2007-11-21 蔚冠五金制品(深圳)有限公司 婴儿车改良结构
TWI547403B (zh) * 2006-11-15 2016-09-01 康貝股份有限公司 嬰兒車
JP4994925B2 (ja) * 2007-04-09 2012-08-08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5436911B2 (ja) * 2009-03-31 2014-03-05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49226B (zh) 2019-02-01
WO2016047406A1 (ja) 2016-03-31
CN106687356B (zh) 2019-05-28
TW201615462A (zh) 2016-05-01
JP6378991B2 (ja) 2018-08-22
JP2016064688A (ja) 2016-04-28
CN106687356A (zh)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8371A (ko) 유모차
US8448976B2 (en) Stroller
US8297643B2 (en) Stroller
KR100852409B1 (ko) 유모차
KR101750774B1 (ko) 유모차
JP5889551B2 (ja) 乳母車
JP4812948B2 (ja) ベビーカー
KR101786779B1 (ko) 접이 가능한 베이비 카
US8215661B2 (en) Stroller
AU2013248806A1 (en) Collapsible stroller having reversible seat
JP5755344B2 (ja) 折り畳み式乳母車
KR20180050207A (ko) 유모차
JP6957051B2 (ja) 乳母車
JP6400913B2 (ja) ベビーカー
KR101973459B1 (ko) 유모차용 제동 기구, 유모차용 차륜 유지 기구, 및 유모차
CN111356624A (zh) 用于运送儿童的装置和儿童座椅
JP6910665B1 (ja) 育児器具およびガード装置
WO2020218304A1 (ja) 乳母車
JP2015145145A (ja) ベビーカ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