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6173A - 승객 컨베이어의 콤 - Google Patents

승객 컨베이어의 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6173A
KR20170026173A KR1020160106809A KR20160106809A KR20170026173A KR 20170026173 A KR20170026173 A KR 20170026173A KR 1020160106809 A KR1020160106809 A KR 1020160106809A KR 20160106809 A KR20160106809 A KR 20160106809A KR 20170026173 A KR20170026173 A KR 20170026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cleat
plate
facing surfac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사 오다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2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responsive to, or preventing, jamming by foreign objects
    • B66B29/06Comb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과제] 콤 베이스부와 답단과의 사이에 진입한 이물(異物)을 보다 용이하게 빼낼 수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콤을 얻는다.
[해결 수단] 콤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콤 베이스부와, 콤 베이스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콤 베이스부에 대해서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 내측에 서로 이웃하는 답단의 답판에 형성된 복수의 클리트 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콤 티스를 구비하며, 콤 베이스부에서의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대한 답단측의 단부로서 서로 이웃하는 콤 티스의 사이에 배치된 부분인 콤 티스간 단부는, 답단의 클리트의 상면에 대향하는 클리트 대향면과, 윗방향을 향하는 상향면과, 클리트 대향면과 상향면에 걸쳐서 마련되며, 콤 플레이트로부터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는 만곡면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승객 컨베이어의 콤{COMB OF PASSENGER CONVEYOR}
본 발명은, 답단(踏段)의 답판에 형성된 클리트(cleat) 홈에 삽입되는 승객 컨베이어의 콤(comb)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콤 플레이트(comb plate)에 장착되는 콤 베이스부와, 콤 베이스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답단의 답판(踏板)에 형성된 클리트 홈에 삽입되는 콤 티스(teeth)를 구비한 에스컬레이터의 콤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13-180847호 공보
그렇지만, 콤 베이스부에서의 답단측의 단부로서 서로 이웃하는 콤 티스의 사이에 배치된 부분인 콤 티스간(間) 단부에는, 답단의 클리트의 상면에 대향하는 클리트 대향면과 클리트 대향면에 대해서 예각으로 세워진 선단면에 의해서 구성되는 예각의 각부(角部)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콤 베이스부와 답단과의 사이에 원기둥 형상의 신발끈 단부 등의 이물이 진입한 경우에, 이물이 콤 티스간 단부의 각부(角部)에 걸려 버려, 콤 베이스부와 답단과의 사이부터 이물을 빼내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콤 베이스부와 답단과의 사이에 진입한 이물을 보다 용이하게 빼낼 수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승객 컨베이어의 콤(comb)은, 콤 플레이트(comb plate)에 마련되는 콤 베이스부와, 콤 베이스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콤 베이스부에 대해서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 내측에 서로 이웃하는 답단(踏段)의 답판(踏板)에 형성된 복수의 클리트(cleat) 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콤 티스(teeth)를 구비하며, 콤 베이스부에서의 길이 방향에 대한 답단측의 단부로서 서로 이웃하는 콤 티스의 사이에 배치된 부분인 콤 티스간(間) 단부는, 답단의 클리트의 상면에 대향하는 클리트 대향면과, 윗방향을 향하는 상향면과, 클리트 대향면과 상향면에 걸쳐서 마련되며, 콤 플레이트로부터 길이 방향에 대해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만곡(灣曲)하는 만곡면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승객 컨베이어의 콤에 의하면, 콤 티스간 단부는, 답단의 클리트의 상면에 대향하는 클리트 대향면과, 윗방향을 향하는 상향면과, 클리트 대향면과 상향면에 걸쳐서 마련되며, 콤 플레이트로부터 길이 방향에 대해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하는 만곡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콤 베이스부와 답단과의 사이에 원기둥 형상의 신발끈 단부 등의 이물이 진입한 후, 콤 베이스부와 답단과의 사이로부터 이물을 빼내는 경우에, 이물이 콤 티스간 단부에 걸리는 것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콤 베이스부와 답단과의 사이에 진입한 이물을 보다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콤 플레이트, 콤 및 답단(踏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콤 플레이트, 콤 및 답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콤 베이스부와 답단과의 사이에 신발끈 단부가 진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여기에서는, 승객 컨베이어로서, 에스컬레이터를 예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상층측 바닥(100)과 하층측 바닥(101)에 걸쳐서, 메인 프레임(1)이 걸쳐 놓여져 있다. 메인 프레임(1)은, 상층측 수평부(11)와, 하층측 수평부(12)와, 상층측 수평부(11)와 하층측 수평부(12)와의 사이에 마련된 경사부(13)를 가지고 있다. 메인 프레임(1)의 상부에는, 메인 프레임(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난간 장치(2)가 마련되어 있다. 난간 장치(2)에는, 승강구(乘降口) 사이에 걸쳐 순환 이동하는 이동 난간(3)이 마련되어 있다.
상층측 수평부(11)에는, 승강구 판(4)이 마련되어 있다. 하층측 수평부(12)에는, 승강구 판(5)이 마련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1)에는, 승강구 판(4)과 승강구 판(5)과의 사이에 걸쳐 순환 이동하는 복수의 답단(踏段)(6)이 마련되어 있다.
승강구 판(板)(4)은, 랜딩 플레이트(landing plate)(41)와, 랜딩 플레이트(41)에 대해서 메인 프레임(1)의 길이 방향 내측에 서로 이웃하도록 마련된 콤 플레이트(comb plate)(42)와, 콤 플레이트(42)에 마련되는 콤(승객 컨베이어의 콤)(43)을 가지고 있다.
승강구 판(5)은, 랜딩 플레이트(51)와, 랜딩 플레이트(51)에 대해서 메인 프레임(1)의 길이 방향 내측에 서로 이웃하도록 마련된 콤 플레이트(52)와, 콤 플레이트(52)에 마련되는 콤(승객 컨베이어의 콤)(53)을 가지고 있다.
도 2는 도 1의 콤 플레이트(42), 콤(43) 및 답단(6)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콤 플레이트(42), 콤(43) 및 답단(6)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답단(6)은, 상면에 복수의 클리트(cleat) 홈(611)이 형성된 답판(踏板)(61)을 가지고 있다. 클리트 홈(611)은, 답판(61)의 디딤면을 상부로부터 본 경우에, 답단(6)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답판(61)은, 복수의 클리트 홈(611)에 의해서 형성되는 복수의 클리트(612)를 가지고 있다.
콤(43)은, 콤 플레이트(42)에 마련되는 콤 베이스부(431)와, 콤 베이스부(431)에 일체로 형성되며, 콤 베이스부(431)에 대해서 메인 프레임(1)의 길이 방향 내측에 서로 이웃하는 답단(6)의 답판(61)에 형성된 복수의 클리트 홈(611)에 삽입되는 복수의 콤 티스(teeth)(432)를 구비하고 있다. 콤(43)은, 볼트(44)를 이용하여 콤 플레이트(42)에 장착되어 있다.
콤 베이스부(431)에서의 메인 프레임(1)의 길이 방향에 대한 답단(6)측의 단부로서 서로 이웃하는 콤 티스(432)의 사이에 배치된 부분인 콤 티스간 단부(433)는, 답단(6)의 클리트(612)의 상면에 대향하는 클리트 대향면(434)과, 윗방향을 향하는 상향면(435)과, 클리트 대향면(434)과 상향면(435)에 걸쳐서 마련되며, 콤 플레이트(42)로부터 메인 프레임(1)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만곡(灣曲)되는 만곡면(436)을 가지고 있다. 만곡면(436)은,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콤 티스간 단부(433)가 만곡면(436)을 가지는 것에 의해서, 콤 티스간 단부(433)와 클리트(612)와의 사이의 치수는, 종래의 콤와 비교하여 크게 된다.
콤 티스간 단부(433)는, 폭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선단부가 하단부 보다도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콤 티스간 단부(433)는, 상부로부터 본 경우에 폭방향 중간부가 콤 플레이트(42)에 가장 가까워지도록 움푹 패인 매끄러운 오목면으로 되어 있다. 콤(53)은, 콤(43)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콤 플레이트(42)와 클리트(612)와의 사이의 간극(A 치수)의 기준치는, 5.0mm~9.0mm로 되어 있다. 콤 플레이트(42)와 클리트(612)와의 사이의 간극은, 콤 플레이트(42) 및 클리트(612)를 폭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의 콤 플레이트(42)와 클리트(612)와의 사이의 간극의 높이 방향의 치수이다.
콤 티스(432)와 답단(6)과의 파고든 부분(B 치수)의 기준치는, 5.0mm~9.0mm로 되어 있다. 콤 티스(432)와 답단(6)과의 파고든 부분은, 콤 티스(432) 및 클리트(612)를 폭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의 콤 티스(432)와 클리트(612)가 서로 겹치는 영역에서의 높이 방향의 치수이다.
다음으로, 콤 베이스부(431)와 답단(6)과의 사이에 신발끈(7)에서의 원기둥 형상의 신발끈 단부(이물(異物))(71)가 진입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콤 베이스부(431)와 답단(6)과의 사이에 신발끈 단부(71)가 진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신발끈 단부(71)가 클리트 홈(611)에 진입한 상태에서, 클리트 홈(611)에 신발끈 단부(71)가 진입한 답단(6)이 콤(43)에 대해서 메인 프레임(1)의 길이 방향 내측에 서로 이웃하는 위치로 이동하면, 신발끈 단부(71)가 콤 베이스부(431)와 답단(6)과의 사이로 진입한다. 신발끈 단부(71)의 상부가 콤 티스간 단부(433)에 닿는 경우라도, 콤 티스간 단부(433)는, 답단(6)의 클리트(612)의 상면에 대향하는 클리트 대향면(434)과, 윗방향을 향하는 상향면(435)과, 클리트 대향면(434)과 상향면(435)에 걸쳐서 마련되며, 콤 플레이트(42)로부터 메인 프레임(1)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만곡(灣曲)하는 만곡면(436)을 가지고 있으므로, 콤 베이스부(431)와 답단(6)과의 사이부터 신발끈 단부(71)를 빼내는 경우에, 신발끈 단부(71)가 콤 티스간 단부(433)에 걸리는 것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신발끈 단부(71)가 스무스하게 상부로 빼내어진다.
실제, 본원 출원인은, 기설(旣設)의 콤(43)을 가공하여 실험을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기설의 콤(43)에서의 3개소의 콤 티스간 단부(433)를 줄(file)에 의해 깍아내어, 각각의 콤 티스간 단부(433)에 만곡면(436)을 형성하며, 신발끈 단부(71)가 각각의 콤 티스간 단부(433)에 걸리는 것이 억제되는지 아닌지에 대한 실험을 행했다. 3개소의 콤 티스간 단부(433)에서의 깎아냄 치수 b는, 소(小)(실시예 1), 중(中)(실시예 2), 대(大)(실시예 3)로 했다. 가공전의 콤(43)에서의 콤 티스간 단부(433)와 클리트(612)와의 사이의 간극의 치수는, 5.3mm 이며, 가공후의 콤(43)에서의 3개소의 콤 티스간 단부(433)와 클리트(612)와의 사이의 간극의 치수 a는,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의 순서로, 6.2mm(+0.9mm), 6.5mm(+1.2mm), 6.5mm(+1.2mm)이다. 도 2에서는, 가공전의 기설의 콤(43)의 콤 티스간 단부(433)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공후의 3개소의 콤 티스간 단부(433) 중 어느 것이라도, 신발끈 단부(71)가 콤 티스간 단부(433)에 걸리는 것이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콤 티스간 단부(433)와 클리트(612)와의 사이의 간극의 치수 a는, 6.2mm 이상이면, 신발끈 단부(71)가 콤 티스간 단부(433)에 걸리는 것이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콤(43)에 의하면, 콤 티스간 단부(433)는, 답단(6)의 클리트(612)의 상면에 대향하는 클리트 대향면(434)과, 윗방향을 향하는 상향면(435)과, 클리트 대향면(434)과 상향면(435)에 걸쳐서 마련되며, 콤 플레이트(42)로부터 메인 프레임(1)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만곡되는 만곡면(436)을 가지고 있으므로, 콤 베이스부(431)와 답단(6)과의 사이에 원기둥 형상의 신발끈 단부(71)가 진입한 후, 콤 베이스부(431)와 답단(6)과의 사이부터 신발끈 단부(71)를 빼내는 경우에, 신발끈 단부(71)가 콤 티스간 단부(433)에 걸리는 것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콤 베이스부(431)와 답단(6)과의 사이에 진입한 신발끈 단부(71)를 보다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또, 콤 티스간 단부(433)는, 폭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선단부가 하단부 보다도 상부에 위치하므로, 콤 베이스부(431)와 답단(6)과의 사이에 원기둥 형상의 신발끈 단부(71)가 진입한 후, 콤 베이스부(431)와 답단(6)과의 사이로부터 신발끈 단부(71)를 빼내는 경우에, 신발끈 단부(71)가 콤 티스간 단부(433)에 걸리는 것이 억제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승객 컨베이어의 콤으로서, 에스컬레이터의 콤을 예로 설명했지만, 움직이는 보도의 콤이라도 괜찮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이물로서, 신발끈 단부(71)를 예로 설명했지만, 신발끈 단부(71) 이외의 이물이라도 괜찮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콤(43)과 답단(6)과의 사이에 신발끈(7)에서의 원기둥 형상의 신발끈 단부(71)가 진입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콤(53)과 답단(6)과의 사이에 신발끈(7)에서의 원기둥 형상의 신발끈 단부(71)가 진입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콤 티스간 단부(433)가, 클리트 대향면(434)과, 상향면(435)과, 만곡면(436)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콤 티스간 단부(433)는, 클리트 대향면(434)과, 상향면(435)과, 클리트 대향면(434)과 상향면(435)에 걸쳐서 마련되며, 클리트 대향면(434)과의 사이의 이루는 각도가 둔각이 되는 둔각면을 가지는 구성이라도 괜찮다. 즉, 콤 티스간 단부(433)에는, 클리트 대향면(434)과 클리트 대향면(434)에 대해서 둔각으로 세워진 선단면에 의해서 구성되는 둔각의 각부(角部)가 형성된 구성이라도 괜찮다. 이 경우라도, 콤 티스간 단부(433)는, 폭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선단부가 하단부 보다도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1 : 메인 프레임 2 : 난간 장치
3 : 이동 난간 4 : 승강구 판
5 : 승강구 판 6 : 답단
7 : 신발끈 11 : 상층측 수평부
12 : 하층측 수평부 13 : 경사부
41 : 랜딩 플레이트 42 : 콤 플레이트
43 : 콤(승객 컨베이어의 콤) 44 : 볼트
51 : 랜딩 플레이트 52 : 콤 플레이트
53 : 콤(승객 컨베이어의 콤) 61 : 답판
71 : 신발끈 단부 100 : 상층측 바닥
101 : 하층측 바닥 431 : 콤 베이스부
432 : 콤 티스 433 : 콤 티스간 단부
434 : 클리트 대향면 435 : 상향면
436 : 만곡면 611 : 클리트 홈
612 : 클리트

Claims (2)

  1. 콤 플레이트(comb plate)에 마련되는 콤 베이스부와,
    상기 콤 베이스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콤 베이스부에 대해서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 내측에 서로 이웃하는 답단(踏段)의 답판(踏板)에 형성된 복수의 클리트(cleat) 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콤 티스(comb teeth)를 구비하며,
    상기 콤 베이스부에서의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답단측의 단부로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콤 티스의 사이에 배치된 부분인 콤 티스간(間) 단부는, 상기 답단의 클리트의 상면에 대향하는 클리트 대향면과, 윗방향을 향하는 상향면과, 상기 클리트 대향면과 상기 상향면에 걸쳐서 마련되며, 상기 콤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만곡(灣曲)되는 만곡면 또는 상기 클리트 대향면과의 사이의 이루는 각도가 둔각(鈍角)이 되는 둔각면을 가지고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콤(comb).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콤 티스간 단부는, 폭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선단부가 하단부 보다도 상부에 위치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콤.
KR1020160106809A 2015-08-31 2016-08-23 승객 컨베이어의 콤 KR201700261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70539 2015-08-31
JP2015170539A JP2017047984A (ja) 2015-08-31 2015-08-31 乗客コンベヤのく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173A true KR20170026173A (ko) 2017-03-08

Family

ID=58273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809A KR20170026173A (ko) 2015-08-31 2016-08-23 승객 컨베이어의 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7047984A (ko)
KR (1) KR20170026173A (ko)
CN (1) CN106477446A (ko)
TW (1) TW2017119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400A (ko) 2017-12-27 2019-07-05 한국승강기안전공단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의 완충형 콤플레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60130B (zh) * 2021-10-14 2024-06-04 巨人通力电梯有限公司 一种梳齿支撑板连接定位***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0847A (ja) 2012-03-01 2013-09-12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365A (ja) * 1996-06-20 1998-01-13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乗客コンベアの櫛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0847A (ja) 2012-03-01 2013-09-12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400A (ko) 2017-12-27 2019-07-05 한국승강기안전공단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의 완충형 콤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77446A (zh) 2017-03-08
TW201711946A (zh) 2017-04-01
JP2017047984A (ja)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4024B2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KR20170026173A (ko) 승객 컨베이어의 콤
CN203451022U (zh) 乘客输送机的梯级
KR102407557B1 (ko) 승객 컨베이어의 언더플로어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플로어 커버 배열체
CN102530696B (zh) 乘客传送设备
JP2008100834A (ja) 乗客コンベアのスカートガード安全装置
RU2723694C2 (ru) Ступень для эскалатора или движущейся дорожки
JP5951692B2 (ja) 乗客コンベアの踏段とその製造方法
JP2009084013A (ja) 乗客コンベア
JP2007297158A (ja) エスカレータのステップ
JP4975309B2 (ja) マンコンベアの踏板
JP7089465B2 (ja) 乗客コンベア
JP7039187B2 (ja) 乗客コンベア装置
CN102530697B (zh) 乘客传送设备及其梯级
JP2015054765A (ja) 乗客コンベアのステップ及び乗客コンベア
JP2001199667A (ja) 取り外し可能な境界画定インサートを有するエスカレータ踏段
JP6410666B2 (ja) 乗客コンベア
JP2014172698A (ja) 乗客運搬装置
JP4321249B2 (ja) 踏板、乗客コンベア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204076A (ja) 乗客コンベアの踏段
JP5634884B2 (ja) 乗客コンベヤの乗降口装置
JP2010189099A (ja) エスカレータ
JP6618383B2 (ja) スカートガード取付構造
JP6068567B1 (ja) エスカレータ
JP2005022801A (ja) エスカレーターの踏段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