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004A -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및 내시경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및 내시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004A
KR20160138004A KR1020167025227A KR20167025227A KR20160138004A KR 20160138004 A KR20160138004 A KR 20160138004A KR 1020167025227 A KR1020167025227 A KR 1020167025227A KR 20167025227 A KR20167025227 A KR 20167025227A KR 20160138004 A KR20160138004 A KR 20160138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guide catheter
pusher
catheter
dist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히로 야마가타
히로미치 미야노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8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6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3Drive units for endoscopic tools inserted through or with the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4Stents retaining their form, i.e. not being deformable, after placement in the predetermined pl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9Three-dimensional shapes cylindric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이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50)은, 가이드 카테터(60)와, 가이드 카테터(60)가 삽통 가능한 스텐트(70)와, 가이드 카테터(60)가 삽통 가능하고 스텐트(70)보다도 기단부측에 배치된 푸셔 카테터(80)를 구비한다. 가이드 카테터(60)는, 스텐트(70) 및 푸셔 카테터(80)의 관로에 삽통했을 때 스텐트(70)보다도 선단부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와, 스텐트(70) 및 푸셔 카테터(80)의 관로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가이드 카테터 본체(62)를 갖는다. 스텐트(70)의 굽힘 강성은 가이드 카테터 본체(62)의 굽힘 강성 이하이고, 스텐트 탑재 영역(Z2)의 굽힘 강성은 푸셔 탑재 영역(Z3)의 굽힘 강성 이하이다.

Description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및 내시경 시스템 {STENT DELIVERY SYSTEM AND ENDOSCOPE SYSTEM}
본 발명은,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및 내시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4년 3월 26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063516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 혈관, 소화관, 담관, 췌장관, 요관 등의 생체 내 관강에 형성된 협착부에 대하여, 이 협착부를 확장하여, 개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의료용 스텐트(이하, 「스텐트」라고도 약칭함)의 유치가 행해지고 있다. 스텐트를 협착부에 딜리버리(유치)하기 위해서는, 공지된 가이드 카테터 및 푸셔 카테터가 사용되고 있다. 스텐트, 가이드 카테터, 및 푸셔 카테터로,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이하, 「딜리버리 시스템」이라고도 약칭함)을 구성한다. 이러한 종류의 딜리버리 시스템으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딜리버리 시스템은, 가이드 카테터와, 가이드 카테터의 외주에 끼워진 스텐트와, 가이드 카테터의 외주에 끼워짐과 함께 스텐트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푸셔 카테터를 구비하고 있다.
딜리버리 시스템은, 이하와 같이 사용된다. 가이드 와이어를 내시경의 채널을 통하여 담관 내에 도입하고, 그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부가 협착부를 넘는 위치까지 삽입시킨다. 다음으로, 가이드 와이어에, 그 전방측으로부터 가이드 카테터에 스텐트, 및 스텐트의 기단부측에 배치된 푸셔 카테터가 끼워진 딜리버리 시스템을 씌우고, 그 가이드 와이어를 가이드로 하여 스텐트를 담관 내에 밀어 전진시킨다. 계속해서, 가이드 카테터와 푸셔 카테터의 기단부측의 구금의 고정을 해제하고, 가이드 카테터 및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 위치를 유지한 채, 푸셔 카테터로 스텐트를 밀어 넣는다. 이때, 스텐트 후단부측의 플랩이 십이지장 유두에 닿기까지 스텐트를 삽입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스텐트는 협착부에 배치된다. 이는, 미리 증례에 적합한 스텐트 길이를 의료 종사자가 선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푸셔 카테터를 스텐트에 접촉시켜 스텐트를 지지하여, 스텐트를 움직이게 하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가이드 카테터만을 전방측으로 복귀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스텐트는 협착부의 적소에 위치 결정 고정된 채로 남고, 유치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04476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딜리버리 시스템에서 스텐트를 담관 내에 유치할 때, 이하의 문제가 있다. 내시경의 채널의 선단부의 개구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카테터의 선단부는 담관 내에 있으며, 내시경의 채널의 선단부의 개구로부터 푸셔 카테터의 선단부가 돌출되어 있고, 스텐트의 기단부는 십이지장 내에 있는 상태로 설명한다. 이 상태로부터, 가이드 카테터에 대하여 푸셔 카테터를 선단부측으로 이동시켜(밀어 넣어) 가면, 스텐트와 푸셔 카테터가 길이 방향으로 늘어서는 부분이 "V자형"으로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굴곡된다. 이러한 이유 중 하나는, 십이지장 내에서, 채널의 선단부의 개구와 십이지장 유두 사이에, 딜리버리 시스템이 변형되기 쉬운 공간인 자유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유 중 다른 하나는, 딜리버리 시스템의 구성상, 스텐트와 푸셔 카테터가 늘어서는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기 쉽기 때문이다. 그 결과, 푸셔 카테터를 밀어넣는 힘이 선단부측에 전달되기 어려워져, 스텐트를 적정한 위치까지 밀어넣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스텐트와 푸셔 카테터가 늘어서는 부분이 굴곡된 상태에서, 푸셔 카테터를 무리하게 압입하면, 스텐트와 푸셔 카테터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에 가까워져, 푸셔 카테터를 밀어 넣음에 따라 관강 내에 삽입된 가이드 카테터 및 가이드 와이어가 십이지장 내로 빠져나와 버린다. 이것에 의하여, 담관에 다시 어프로치할 필요가 있어, 시술자 및 환자의 부담으로 된다.
딜리버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스텐트와 푸셔 카테터가 늘어서는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아, 이 부분이 비교적 큰 곡률 반경으로 "U자형"으로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딜리버리 시스템에서는, 작은 곡률 반경으로 "V자형"으로 굴곡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딜리버리 시스템은, 푸셔 카테터를 밀어넣는 힘이 선단부측에 전달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이하와 같은 문제도 있다. 내시경은 환자의 체강 내에서 만곡되어 있다. 그 결과, 내시경의 채널과 딜리버리 시스템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한다. 딜리버리 시스템은, 채널의 기단부의 개구측으로부터 시술자가 밀어 넣어 가기 때문에, 마찰이 발생하면, 시술자가 밀어넣는 역량(힘)이 커진다. 종래의 딜리버리 시스템은, 저마찰의 재질을 사용하여 마찰 저항을 저감시키고 있지만, 코어로 되는 가이드 카테터의 굽힘 강성이 낮기(부드럽기) 때문에, 압입 역량을 가하기 어렵다. 그 결과, 시술자는 내시경에 있어서의 채널의 기단부의 개구측에서, 잘못해서 딜리버리 시스템을 좌굴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한번 좌굴된 딜리버리 시스템은, 좌굴 시에 굴곡된 형상으로 되려는 성질을 띠고 만다. 딜리버리 시스템의 선단부측이 좌굴되었을 경우, 압입 역량이 전달되는 방향이 변화되어, 스텐트를 유치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시술자뿐만 아니라 환자에게도 부담으로 된다. 또한, 딜리버리 시스템의 기단부측이 좌굴되었을 경우, 스텐트를 유치할 때, 가이드 카테터를 복귀시키는 큰 힘이 필요해지거나, 또는 스텐트를 유치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스텐트와 푸셔 카테터가 늘어서는 부분이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굴곡되는 것을 억제한 딜리버리 시스템, 및 이 딜리버리 시스템을 구비하는 내시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하면,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은, 내시경의 채널에 삽통 가능한 가이드 카테터와, 관형으로 형성되고, 자신에 형성된 제1 관로에 상기 가이드 카테터가 삽통 가능한 스텐트와, 관형으로 형성되고, 자신에 형성된 제2 관로에 상기 가이드 카테터가 삽통 가능함과 함께, 상기 스텐트보다도 기단부측에 배치된 푸셔 카테터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카테터는, 상기 가이드 카테터가 상기 스텐트 및 상기 푸셔 카테터에 삽통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보다도 선단부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와, 상기 스텐트 및 상기 푸셔 카테터 내에 배치되는 가이드 카테터 본체를 갖는다. 상기 스텐트에 상기 가이드 카테터가 삽통된 영역을 스텐트 탑재 영역으로 규정하고, 상기 푸셔 카테터에 상기 가이드 카테터가 삽통된 영역을 푸셔 탑재 영역으로 규정했을 때, 상기 스텐트의 굽힘 강성은 상기 가이드 카테터 본체의 굽힘 강성 이하이고, 상기 스텐트 탑재 영역의 굽힘 강성은 상기 푸셔 탑재 영역의 굽힘 강성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형태에 따른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의 굽힘 강성은 상기 스텐트의 상기 굽힘 강성보다도 작아도 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 형태에 따른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의 상기 굽힘 강성은 상기 가이드 카테터 본체의 상기 굽힘 강성보다도 작아도 된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 형태에 따른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푸셔 카테터는, 푸셔 선단부와, 상기 푸셔 선단부의 기단부측에 위치하는 푸셔 본체를 가져도 된다. 상기 푸셔 선단부의 굽힘 강성은, 상기 푸셔 본체의 굽힘 강성보다도 작아도 된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 형태에 따른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의 외경과, 상기 푸셔 카테터의 선단부의 외경이 같아도 된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4 형태에 따른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카테터가 상기 스텐트 및 상기 푸셔 카테터에 삽통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측이 상기 스텐트보다도 선단부측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6 형태에 따른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 카테터 본체의 외경보다도 작아도 된다.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의하면, 내시경 시스템은, 선단부에 개구를 갖는 채널이 형성된 삽입부를 갖고, 상기 삽입부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보다도 기단부측에는 만곡 조작 가능한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내시경과, 상기 채널에 삽통 가능한, 상기 제4 형태에 따른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을 구비해도 된다. 상기 채널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스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었을 때, 상기 삽입부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푸셔 선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만곡부 내에 위치해도 된다.
상기 각 형태에 따른 딜리버리 시스템 및 내시경 시스템에 의하면, 스텐트와 푸셔 카테터가 늘어서는 부분이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굴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2는 상기 내시경 시스템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내시경 시스템의 딜리버리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3점 굽힘 시험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딜리버리 시스템의 기단부측의 측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내시경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내시경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딜리버리 시스템에서 스텐트를 유치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딜리버리 시스템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딜리버리 시스템 및 내시경의 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딜리버리 시스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딜리버리 시스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푸셔 카테터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딜리버리 시스템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의 제1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시스템(1)은, 긴 삽입부(20)를 갖는 내시경(10)과, 삽입부(20)에 형성된 채널(26)에 삽통 가능한 딜리버리 시스템(50)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후술하는 조작부(30)에 대한 삽입부(20)측을 선단부측, 삽입부(20)에 대한 조작부(30)측을 기단부측이라 각각 칭한다.
내시경(10)은, 소위 연성의 측시형의 내시경이다. 내시경(10)은, 상술한 삽입부(20)와, 이 삽입부(20)의 기단부에 설치된 조작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부(20)는, 선단부에 설치된 선단 경질부(21)와, 선단 경질부(21)의 기단부측에 설치된 만곡 조작 가능한 만곡부(22)와, 만곡부(22)의 기단부측에 설치된 가요관부(23)를 갖고 있다. 선단 경질부(21)의 측면에는, 라이트 가이드(24)의 선단부, 및 도시하지 않은 CCD를 갖는 촬상 유닛(25)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삽입부(20)에는, 상술한 채널(26)이 삽입부(20)의 축선 C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채널(26)의 선단부는, 선단 경질부(21)의 상술한 측면에 개구되어 있다.
채널(26)의 선단 경질부(2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 2에 도시하는 기상대(起上臺)(27)가 설치되어 있다. 기상대(27)의 주변의 채널(26)의 형상은, 절곡되어 있다. 기상대(27)에 고정된 도시하지 않은 기상대 조작 와이어는, 삽입부(20) 내를 통하여 기단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만곡부(22)에는, 삽입부(20)의 축선 C 방향으로 늘어서서 배치됨과 함께 서로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복수의 만곡 피스(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다. 이들 만곡 피스 중 가장 선단부측에 배치된 것에, 도시하지 않은 만곡 피스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만곡부(22)는, 채널(26)의 선단부측의 개구(26a)보다도 기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만곡 피스 조작 와이어는, 삽입부(20) 내를 통하여 기단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30)를 구성하는 조작부 본체(31)의 선단부측에는, 겸자구(32)가 형성되어 있다. 채널(26)의 기단부는, 겸자구(32)로 개구되어 있다. 조작부 본체(31)의 기단부측에는, 상술한 만곡 피스 조작 와이어를 조작하기 위한 노브(33), 및 기상대 조작 와이어를 조작하기 위한 레버(35)가 설치되어 있다. 노브(33)를 조작함으로써, 만곡부(22)를 원하는 방향으로 만곡시킬 수 있다. 레버(35)를 조작함으로써, 기상대(27)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딜리버리 시스템(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딜리버리 시스템(50)은, 내시경(10)의 채널(26)에 삽통 가능한 가이드 카테터(60)와, 관형으로 형성되고, 자신에 형성된 관로(제1 관로)에 가이드 카테터(60)가 삽통 가능한 스텐트(70)와, 관형으로 형성되고, 자신에 형성된 관로(제2 관로)에 가이드 카테터(60)가 삽통 가능함과 함께 스텐트(70)보다도 기단부측에 배치된 푸셔 카테터(80)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카테터(60)에 대하여 스텐트(70) 및 푸셔 카테터(80)는, 가이드 카테터(6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미끄럼 이동하면서 가이드 카테터(60)의 길이 방향 X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카테터(60)에 대한 스텐트(70) 및 푸셔 카테터(80)의 목표 배치 상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텐트(70)보다도 선단부측에 후술하는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의 전체, 및 가이드 카테터 본체(62)의 선단부측이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서 규정된다. 또한, 딜리버리 시스템(50)에서는, 스텐트(70) 및 푸셔 카테터(80)의 두께가 비교적 얇게 되어 있다. 가이드 카테터(60)와, 스텐트(70) 및 푸셔 카테터(80)의 간극(클리어런스)이 비교적 작게 되어 있다. 가이드 카테터(60)의 외경이 크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두께」란, 관형으로 형성된 구조물에 있어서의 관벽의 직경 방향의 치수이다.
여기서, 길이 방향 X에 있어서, 스텐트(70)보다도 선단부측에 가이드 카테터(60)가 돌출되어 있는 영역을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 영역 Z1, 스텐트(70)의 관로에 가이드 카테터(60)가 삽통된 영역을 스텐트 탑재 영역 Z2, 푸셔 카테터(80)의 선단부(81)의 관로에 가이드 카테터(60)가 삽통된 영역을 푸셔 탑재 영역 Z3으로 각각 규정한다. 여기서 말하는 푸셔 카테터(80)의 선단부(81)란, 후술하는 스텐트(70)를 유치하는 처치에 있어서, 푸셔 카테터(80) 중 내시경(10)의 채널(26)의 개구(26a)로부터 돌출된 부분으로부터 내시경(10)의 만곡부(22)에 걸리는 부분까지를 의미한다.
여기서, 딜리버리 시스템(50)의 각 구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굽힘 강성을 측정하기 위한 3점 굽힘 시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쌍의 지지대 R1, R2를, 수평면을 따라 서로 이격한 상태로 배치한다. 지지대 R1, R2사이의 거리 L1은, 30㎜로 한다. 후술하는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 가이드 카테터 본체(62), 스텐트(70), 및 푸셔 카테터(80) 등인 샘플 S1을, 예를 들어, 약 80㎜의 길이 L2로 준비한다. 또한, 예를 들어 스텐트(70)의 길이가 80㎜ 미만인 경우에는, 스텐트(70)와 동일한 외경, 내경, 및 재질로 길이가 80㎜인 샘플 S1을 사용한다. 샘플 S1의 길이 L2는, 샘플 S1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가 압입되어 만곡된 후에, 지지대 R1, R2로부터 샘플 S1이 이탈하지 않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샘플 S1은, 지지대 R1, R2 상에, 지지대 R1로부터 샘플 S1의 단부가 돌출된 길이와 지지대 R2로부터 샘플 S1의 단부가 돌출된 길이가 같아지도록 배치한다.
샘플 S1을 하방으로 밀어넣는 압자 R4의 샘플 S1에 접촉하는 접촉면 R5는, 샘플 S1에 작용시키는 하중이 1점에 집중되지 않도록, 반경 L3이 5㎜인 곡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샘플 S1 및 시험 지그인 지지대 R1, R2, 및 압자 R4는, JIS K7171 플라스틱-굽힘 특성을 구하는 방식에 준거하고 있다. 샘플 S1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의 상면에 압자 R4의 접촉면 R5가 접촉하도록, 압자 R4를 세트한다. 압입 속도 5㎜/min(분)으로, 샘플 S1에 압자 R4가 접촉하고 난 후 하방으로 압입 거리 L4까지 밀어 내리는 동안 받는 최대 반력을 측정하여, 샘플 S1의 굽힘 강성으로 한다. 또한, 압입 거리 L4는 5㎜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굽힘 강성은, 이3점 굽힘 시험에서 측정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카테터(60)는, 스텐트(70)의 관로 및 푸셔 카테터(80)의 관로에 가이드 카테터(60)를 삽통한 목표 배치 상태에 있어서 스텐트(70)보다도 선단부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와, 스텐트(70)의 관로 및 푸셔 카테터의 관로에 배치되는 가이드 카테터 본체(62)를 갖고 있다. 즉, 가이드 카테터(60)의 선단부가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로 구성되고, 가이드 카테터(60)에 있어서의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보다도 기단부측이 가이드 카테터 본체(62)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의 외경은, 가이드 카테터 본체(62)의 외경보다도 작다.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는, 가이드 카테터 본체(62)를 형성하는 관형 재료를 절삭하거나, 열로 연신(드로잉)하거나 함으로써 박육화(薄肉化)·세경화(細徑化)되어 구성된다. 이것에 의하여,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로서 최적의 굽힘 강성이 얻어진다.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는, 가이드 카테터 본체(62)와의 접속부로부터 선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외경이 완만히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됨과 함께, 굽힘 강성이 완만히 작아지게 되어 있다. 가이드 카테터(60)의 외경을 크게 하여 굽힘 강성을 크게 하면, 가이드 카테터(60)의 선단부가 딱딱해진다. 이것에 의하여, 가이드 카테터(60)의 가이드 와이어에의 추종성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십이지장 유두에 어프로치할 때 인체에 부하를 주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를 테이퍼형으로 형성하여, 이들 문제나 부하를 방지하고 있다.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의 선단부측에는, 통형 X선 불투과 마커(64)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카테터 본체(62)의 외경, 내경, 및 굽힘 강성은, 길이 방향 X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 및 가이드 카테터 본체(62)는, 예를 들어, FEP(4불화에틸렌·6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나 PFA(4불화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수지), PVDF(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의, 굽힘 강성이 크고 생체 적합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관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FEP, PFA 및 PVDF는, 굽힘 강성이 크고 미끄럼 이동 저항도 작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스텐트(70)는, 관형으로 형성된 스텐트 본체(71)와, 스텐트 본체(71)의 선단부 및 기단부에 각각 형성된 플랩(72, 73)을 갖고 있다. 플랩(72)은, 기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플랩(73)은, 선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관형 부재의 기단부측과 기단부측을 잘라 일으켜세움으로써, 스텐트 본체(71), 플랩(72, 7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텐트(70)의 굽힘 강성은 가이드 카테터 본체(62)의 굽힘 강성 이하이다.
스텐트(70)의 두께는,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카테터(60)와, 스텐트(70) 및 푸셔 카테터(80)의 간극이 작아지고, 가이드 카테터(60)의 외경이 커짐으로써, 가이드 카테터(60)의 굽힘 강성을 최적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텐트는, 생체 내의 담관의 굴곡 형상이나 생체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위한 굴곡 용이성, 즉, 유연성과, 스텐트가 구부러졌을 때 찌부러지지 않고 자신의 내강(관로)의 크기를 유지하는 경도(내강 유지성)라는, 상반되는 특성이 요구된다. 스텐트가 생체 내에서 구부러졌을 때 내강이 찌부러지고, 내강이 좁아짐으로써, 담즙 등이 통과하기 어려워지는 것은 큰 문제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내강이 넓은 스텐트 쪽이 내강이 좁은 스텐트에 비하여 폐색되기 어렵기 때문에, 스텐트의 내강은 넓은 편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본 특허 제498199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층과 외부층 사이에 코일을 설치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두께가 얇고 내강이 넓은 스텐트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푸셔 카테터(80)는, 길이 방향 X의 위치에 관계없이, 외경, 내경, 및 재질이 일정한 단층 튜브로 형성되어 있다. 즉, 푸셔 카테터(80)의 굽힘 강성은, 길이 방향 X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길이 방향 X에 있어서, 푸셔 카테터(80)와 가이드 카테터(60)가 접촉하고 있는 길이는, 스텐트(70)와 가이드 카테터(60)가 접촉하고 있는 길이에 비하여 길기 때문에, 푸셔 카테터(80)와 가이드 카테터(60) 사이에 작용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가이드 카테터(60)가 불소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푸셔 카테터(80)를 형성하는 재료는 불소 수지와는 상이한 재질, 예를 들어, PE(폴리에틸렌)나 PP(폴리프로필렌), 올레핀이나 아미드 등의 엘라스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카테터(60)뿐만 아니라, 스텐트(70) 및 푸셔 카테터(80)도, 내시경(10)의 채널(26)에 삽통 가능한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텐트 탑재 영역 Z2의 굽힘 강성은, 푸셔 탑재 영역 Z3의 굽힘 강성 이하이다. 굽힘 강성을 이와 같이 조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스텐트(70) 및 푸셔 카테터(80)의 각각 단체의 굽힘 강성을 조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즉, 스텐트(70) 및 푸셔 카테터(80)의 소재나 구성(2층 구성으로 하거나, 2층 사이에 보강층을 형성하거나 하는 것) 등을 변경하여 조정한다. 또한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스텐트(70) 및 푸셔 카테터(80)의 각각의 내경이나 두께를 변경하여 굽힘 강성을 조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목표 배치 상태의 딜리버리 시스템(50)은, 기단부측을 향하여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 영역 Z1, 스텐트 탑재 영역 Z2, 푸셔 탑재 영역 Z3으로 이행함에 따라, 굽힘 강성이 작아지지 않고, 굽힘 강성이 그대로이거나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푸셔 카테터(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간극을 저감시킨 만큼, 두께가 얇아진다. 푸셔 카테터(80)는, 내시경(10)의 겸자구(32)측으로부터 압입하기 때문에, 밀어 넣은 힘을 효율적으로 선단부측에 전달시키기 위하여 굽힘 강성은 큰 편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시경(10)의 만곡된 채널(26) 내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푸셔 카테터(80)의 굽힘 강성은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텐트(70)의 외경 L6과, 푸셔 카테터(80)의 선단부(81)의 외경 L7이 같다(대략 같은 것도 포함함). 스텐트(70) 및 푸셔 카테터(80)는, 가이드 카테터(6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길이 방향 X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텐트(70)의 기단부가 푸셔 카테터(80)의 선단부(81)에 맞닿음으로써, 푸셔 카테터(80)는 스텐트(70)의 기단부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셔 카테터(80)의 기단부에는, 푸셔 구금(91)이 설치되어 있다. 푸셔 구금(91)의 기단부에는, 수나사부(91a)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카테터(60)의 가이드 카테터 본체(62)의 기단부에는, 구금(92)이 설치되어 있다. 구금(92)의 선단부에는, 수나사부(91a)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92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내시경 시스템(1)의 작용에 대하여, 스텐트(70)를 담관 내에 유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내시경(10)의 광원을 동작시키면, 광원으로부터 발해진 조명 광은 라이트 가이드(24)에 유도되어 삽입부(20)의 선단 경질부(21)의 주변을 조명한다. 촬상 유닛(25)에서 취득된 선단 경질부(21)의 주변 화상은, 모니터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모니터에 표시된 화상을 확인하면서, 입 등의 자연 개구로부터 환자의 체강 내에 내시경(10)의 삽입부(20)를 삽입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노브(33)를 조작하여 만곡부(22)를 만곡시킨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20)의 선단부를, 십이지장 P1을 통하여 십이지장 유두 P2 부근까지 나아가게 한다. 채널(26)의 선단부측의 개구(26a)를, 십이지장 유두 P2에 대향시킨다. 내시경(10)의 겸자구(32)로부터 가이드 와이어(100)를 삽입한다. 채널(26)의 개구(26a)로부터 돌출시킨 가이드 와이어(100)를 담관 P3의 협착부 P4에 삽통시킨다.
다음으로, 내시경(10)의 기상대(27)를 최대 UP 상태로 한다. 가이드 와이어(100)의 전방측으로부터, 가이드 카테터(60)에 스텐트(70), 및 스텐트(70)의 기단부측에 배치된 푸셔 카테터(80)가 끼워진 딜리버리 시스템(50)을 씌우고, 가이드 카테터(60)의 선단부를 내시경(10)의 겸자구(32)에 삽입한다. 내시경(10)의 기상대(27)에 가이드 카테터(60)의 선단부가 가로막히면, 기상대(27)를 down 상태로 하고, 가이드 와이어(100)를 가이드로 하여 딜리버리 시스템(50)을 담관 P3 내로 나아가게 한다. 이때, 적절히 레버(35)에 의한 기상대(27)의 조작이나 노브(33)에 의한 만곡부(22)의 조작과, 내시경(10)의 겸자구(32)측으로부터의 딜리버리 시스템(50)의 압입의 교대의 협조 조작의 반복에 의하여, 담관 P3의 협착부 P4 내에 딜리버리 시스템(50)을 삽입한다. 다음으로, 가이드 카테터(60)의 기단부측의 구금(92)과 푸셔 카테터(80)의 기단부측의 푸셔 구금(91)의 고정을 해제한다. 가이드 카테터(60) 및 가이드 와이어(100)의 선단 위치를 유지한 채, 푸셔 카테터(80)로써 스텐트(70)를 밀어 넣는다. 이 때, 스텐트(70)의 기단부에 설치된 플랩(73)이 십이지장 유두 P2에 닿기까지, 스텐트(70)를 밀어 전진시킨다.
이때, X선 투시 하에서, X선 불투과 마커(64)의 위치를 확인하여 가이드 카테터(60)의 선단 위치를 확인하면서, 이 작업을 행해도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카테터(60) 및 가이드 와이어(100)의 선단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스텐트(70)를 원하는 위치까지 삽입한다. 이때, 가이드 카테터 본체(62)의 선단부가 협착부 P4보다도 안쪽까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텐트(70)의 외경 L6과 푸셔 카테터(80)의 선단부(81)의 외경 L7이 같기 때문에, 푸셔 카테터(80)에 작용시킨 힘이 스텐트(70)에 확실히 전달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금(92)을 푸셔 구금(91)에 대하여 회전시켜 구금(92)을 푸셔 구금(91)으로부터 떼어 낸다. 푸셔 구금(91)을 파지하면서, 구금(92)을 잡아당겨 가이드 카테터(60)의 선단부가 내시경(10)의 기상대(27)를 지나는 부근까지 인출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텐트(70)가 담관 P3 내에 유치된다. 마지막으로, 푸셔 카테터(80)의 기단부측을 파지하여, 내시경(10)의 겸자구(32)로부터 스텐트(70) 이외의 딜리버리 시스템(50)을 인출한다.
상술한 작업에 의하여, 협착부 P4, 십이지장 유두 P2에 스텐트(70)의 플랩(72, 73)이 각각 걸림 지지되는 위치까지 스텐트(70)를 삽입한다. 이때, 스텐트(70)보다도 선단부측으로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의 전체, 및 가이드 카테터 본체(62)의 선단부측이 돌출되고, 가이드 카테터(60)에 대한 스텐트(70) 및 푸셔 카테터(80)의 목표 배치 상태로 되어,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 영역 Z1, 스텐트 탑재 영역 Z2 및 푸셔 탑재 영역 Z3이 형성된다.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 영역 Z1, 스텐트 탑재 영역 Z2, 푸셔 탑재 영역 Z3으로 이행함에 따라, 굽힘 강성이 작아지지 않고, 굽힘 강성이 그대로이거나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자신의 굽힘 강성에 비하여, 선단부측의 굽힘 강성 및 기단부측의 굽힘 강성이 모두 커진다는, 소위 굽힘 강성의 골 부분의 형성이 억제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카테터(60)에 대하여 푸셔 카테터(80)를 선단부측으로 이동시켰을(밀어 넣었을) 때 딜리버리 시스템(50)이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굴곡되지 않고, 비교적 큰 곡률 반경으로 "U자형"으로 만곡된다. 즉, 스텐트(70)와 푸셔 카테터(80)가 길이 방향 X로 늘어서는 부분에, 작용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푸셔 카테터(80)를 밀어 넣는 힘이 스텐트(70)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그 후에, 가이드 카테터(60), 푸셔 카테터(80), 가이드 와이어(100)를 다 함께 담관 P3 내로부터 인발하여 내시경(10)의 채널(26)로부터 취출함으로써, 스텐트(70)를 담관 P3 내에 유치(릴리즈)한다.
도 9에, 종래의 딜리버리 시스템(200)을 내시경(10)의 채널(26)에 삽통시켜 담관 P3 내에 유치시킬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 딜리버리 시스템(200)은, 가이드 카테터(210), 스텐트(220), 및 푸셔 카테터(230)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카테터(210), 스텐트(220), 및 푸셔 카테터(230)는, 각각 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텐트(220)에는, 플랩(221, 222)이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가이드 카테터(210)는, 길이 방향의 위치에 관계없이 굽힘 강성이 일정하다. 가이드 카테터(210)의 굽힘 강성보다도 스텐트(220)의 굽힘 강성 쪽이 크다. 스텐트(220)의 굽힘 강성은, 푸셔 카테터(230)의 굽힘 강성 이하이다. 가이드 카테터(210)는, 스텐트(220) 및 푸셔 카테터(230)의 관로에 배치되기 때문에, 스텐트(220)나 푸셔 카테터(230)의 외경에 비하여 가이드 카테터(210)의 외경이 작아진다. 스텐트(220)나 푸셔 카테터(230)의 굽힘 강성에 비하여, 가이드 카테터(210)의 굽힘 강성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가이드 카테터(210)의 선단부는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담관 내에 삽입되므로, 환자에게 주는 부담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가이드 카테터(210)의 굽힘 강성이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카테터(210), 스텐트(220), 및 푸셔 카테터(230)의 굽힘 강성이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 스텐트(220)와 푸셔 카테터(230)가 늘어서는 부분에서는, 굽힘 강성이 작은 가이드 카테터(210)를 스텐트(220)가 덮고 있는 영역 Z6과, 굽힘 강성이 작은 가이드 카테터(210)를 굽힘 강성이 큰 푸셔 카테터(230)가 덮고 있는 영역 Z7이 형성된다. 즉, 길이 방향에 있어서 영역 Z6과 영역 Z7 사이에 굽힘 강성의 골 부분(굽힘 강성이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이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카테터(210)에 대하여 푸셔 카테터(230)를 압입했을 때, 채널(26)의 개구(26a)와 십이지장 유두 P2 사이의 자유 공간 V에서, 가이드 카테터(210) 단체의 부분이 작은 곡률 반경으로 "V자형"으로 굴곡된다. 이 때문에, 푸셔 카테터(230)를 밀어 넣는 힘이 스텐트(220)에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딜리버리 시스템(50)에 의하면, 스텐트(70)의 굽힘 강성은 가이드 카테터 본체(62)의 굽힘 강성 이하이고, 스텐트 탑재 영역 Z2의 굽힘 강성은 푸셔 탑재 영역 Z3의 굽힘 강성 이하이다. 이 때문에, 목표 배치 상태의 딜리버리 시스템(50)은, 기단부측을 향하여, 굽힘 강성이 작아지지 않고, 굽힘 강성이 그대로이거나 커진다. 스텐트(70)와 푸셔 카테터(80)가 길이 방향 X로 늘어서는 부분에 굽힘 강성의 골 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여, 이 부분이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굴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종래에 비하여 보다 작은 힘으로 원하는 위치에 스텐트(70)를 용이하게 삽입·유치할 수 있어, 시술자 부담·환자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푸셔 카테터(80)를 밀어 넣는 데 필요한 힘을 종래에 비하여 경감하여, 외경이 보다 큰 스텐트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스텐트(70)의 외경 L6과 푸셔 카테터(80)의 선단부(81)의 외경 L7이 같기 때문에, 푸셔 카테터(80)에 작용시킨 힘이 스텐트(70)에 확실히 전달되어, 푸셔 카테터(80)로 스텐트(70)를 확실히 압입할 수 있다. 목표 배치 상태에서는, 스텐트(70)보다도 선단부측으로 가이드 카테터 본체(62)의 선단부측이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 카테터(60)에 대한 스텐트(70)의 배치 위치가 다소 선단부측으로 어긋났을 경우에도, 딜리버리 시스템(50)의 굽힘 강성이 기단부측을 향하여 그대로이거나 커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의 외경은 가이드 카테터 본체(62)의 외경보다도 작기 때문에, 담관 P3 내에 가이드 카테터(60)의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를 용이하게 삽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의 굽힘 강성은 스텐트(70)의 굽힘 강성보다도 작아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텐트(70)의 굽힘 강성은, 가이드 카테터 본체(62)의 굽힘 강성과 같지 않고 가이드 카테터 본체(62)의 굽힘 강성보다도 작아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스텐트 탑재 영역 Z2 및 푸셔 탑재 영역 Z3에 있어서 굽힘 강성이 기단부측을 향하여 커져, 스텐트(70)와 푸셔 카테터(80)가 늘어서는 부분이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굴곡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가이드 카테터(60)에 대한 푸셔 카테터(80)의 목표 배치 상태에 있어서, 스텐트(70)보다도 선단부측에 가이드 카테터 본체(62)의 선단부측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목표 배치 상태에서는, 스텐트(70)보다도 선단부측으로 가이드 카테터 본체(62)가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는데,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텐트(70)의 외경이 11.5Fr 정도(여기서, 1Fr은 1/3㎜임)인 경우에는, 가이드 카테터(60)의 외경이 커져 가이드 카테터(60)의 굽힘 강성이 지나치게 커져 버린다. 그 대책으로서, 가이드 카테터를, 관형으로 형성된 내부층 및 외부층을 직경 방향으로 적층시킨 다층 튜브로 구성하여, 가이드 카테터의 굽힘 강성을 작게 해도 된다. 내부층과 외부층은, 예를 들어, 양 단부에서만 접합되어 있다. 이 경우, 내부층과 외부층 사이의 간극에 보강층을 형성하여 굽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이드 카테터도 스텐트와 마찬가지로, 생체 내의 담관의 굴곡 형상에 추종하기 위한 굴곡 용이성, 즉 유연성과, 가이드 카테터가 구부러졌을 때 찌부러지지 않고 자신의 내강(관로)의 크기를 유지하여, 외층에 주름 등이 지지 않기 위한 경도(내강 유지성)라는, 상반되는 특성이 요구된다. 가이드 카테터가 스텐트의 삽입 중에 구부러졌을 때 가이드 카테터의 내강이 찌부러져, 외층에 주름 등이 발생하면, 스텐트를 밀어 전진시킬 때나 가이드 카테터를 인입할 때 역량이 커지거나, 스텐트의 내강이 손상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0에 도시하는 본 실시 형태의 딜리버리 시스템(110)은, 제1 실시 형태의 딜리버리 시스템(50)의 가이드 카테터(60) 및 푸셔 카테터(80) 대신, 가이드 카테터(120) 및 푸셔 카테터(130)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카테터(120)의 가이드 카테터 본체(121)는, 관형으로 형성된 내부층(122) 및 외부층(123)과, 이 내부층(122)과 외부층(123) 사이에 배치된 보강층(124)을 갖고 있다. 내부층(122)은, 외부층(123)의 관로 내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 내부층(122), 및 외부층(123)은, 가이드 카테터(60)와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보강층(124)은, 코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강층(124)은, 코일 이외에도, 금속이나 수지의 소선으로 망형으로 형성된 블레이드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내부층(122), 외부층(123), 및 보강층(124)은, 서로의 중심 축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보강층(124)의 기단부는, 후술하는 푸셔 선단부(131)의 기단부보다도 기단부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푸셔 카테터(130)는, 푸셔 선단부(131)와, 푸셔 선단부(131)의 기단부측에 위치하는 푸셔 본체(132)를 갖고 있다. 즉, 푸셔 카테터(130)의 선단부가 푸셔 선단부(131)로 구성되며, 푸셔 카테터(130)에 있어서의 푸셔 선단부(131)보다도 기단부측이 푸셔 본체(132)로 구성되어 있다. 푸셔 선단부(131)의 굽힘 강성은, 푸셔 본체(132)의 굽힘 강성보다도 작다. 푸셔 선단부(131) 및 푸셔 본체(132)의 굽힘 강성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푸셔 선단부(131)를 비교적 부드러운 폴리아미드엘라스토머로 형성함과 함께, 푸셔 본체(132)를 비교적 딱딱한 폴리아미드로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푸셔 선단부(131) 및 푸셔 본체(132)를 유사한 재료로 형성함과 함께, 푸셔 선단부(131)의 두께를 푸셔 본체(132)의 두께보다도 얇게 해도 된다. 푸셔 선단부(131) 및 푸셔 본체(132)는, 굽힘 강성이 서로 상이한 2개의 튜브를 열 용착에 의하여 접합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경이 10Fr 상당 이상의 딜리버리 시스템의 푸셔 카테터(130)에서는, 굽힘 강성이 서로 상이한 푸셔 선단부(131) 및 푸셔 본체(132)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경이 작아질수록 굽힘 강성은 작아진다. 이 때문에, 푸셔 카테터의 외경이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에는, 굽힘 강성이 서로 상이한 2개의 튜브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스텐트와 푸셔 카테터가 길이 방향으로 늘어서는 부분에 응력은 집중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스텐트(70)의 관로에 가이드 카테터(120)가 삽통된 영역인 스텐트 탑재 영역 Z12, 및 푸셔 카테터(130)의 푸셔 선단부(131)의 관로에 가이드 카테터(120)가 삽통된 영역인 푸셔 탑재 영역 Z13이 설정된다. 가이드 카테터(120), 스텐트(70), 및 푸셔 카테터(130)의 굽힘 강성을 조절함으로써, 스텐트(70)의 굽힘 강성은 가이드 카테터 본체(121)의 굽힘 강성 이하이고, 스텐트 탑재 영역 Z12의 굽힘 강성은 푸셔 탑재 영역 Z13의 굽힘 강성 이하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딜리버리 시스템(1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카테터(120)에 대하여 푸셔 카테터(130)가 압입되었을 때, 채널(26)의 개구(26a)로부터 스텐트(70)의 선단부가 돌출된다. 이때, 삽입부(20)의 축선 C 방향에 있어서, 푸셔 선단부(131)의 적어도 일부가 만곡부(22) 내에 위치한다. 푸셔 선단부(131)의 굽힘 강성은 푸셔 본체(132)의 굽힘 강성보다도 작기 때문에, 만곡부(22)에 형성된 채널(26) 내에 푸셔 카테터(130)가 배치되어 있더라도, 비교적 용이하게 만곡부(22)를 만곡 조작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딜리버리 시스템(110) 및 내시경 시스템에 의하면, 스텐트(70)와 푸셔 카테터(130)가 늘어서는 부분이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굴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채널(26)의 개구(26a)로부터 스텐트(70)의 전체가 외부에 돌출되었을 때, 축선 C 방향에 있어서 푸셔 선단부(131)의 일부와 만곡부(22)의 일부가 중첩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더라도,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딜리버리 시스템(110A)과 같이, 보강층(124)의 기단부가, 푸셔 선단부(131)의 길이 방향 중간부까지 연장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푸셔 카테터(130A)와 같이, 푸셔 선단부(131)의 선단부측에 경질부(133)를 형성해도 된다. 경질부(133)의 굽힘 강성은 푸셔 선단부(131)의 굽힘 강성보다도 크다. 경질부(133)의 굽힘 강성은, 푸셔 본체(132)의 굽힘 강성과 동일한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푸셔 카테터(130A)의 선단부에 경질부(133)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스텐트(70)의 기단부를 푸셔 카테터(130A)의 선단부로 밀어 넣을 때, 경질부(133)의 외경이 커져 경질부(133)의 관로 내에 스텐트(70)의 기단부가 들어가 끼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4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는데,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하며,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본 실시 형태의 딜리버리 시스템(140)은, 제2 실시 형태의 딜리버리 시스템(110)의 가이드 카테터(120) 대신, 가이드 카테터(150)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카테터(150)는,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와 가이드 카테터 본체(151)를 갖고 있다. 가이드 카테터 본체(151)는,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카테터 본체(62)와 마찬가지로, 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카테터 본체(151)는, 제2 실시 형태의 가이드 카테터(120)와는 달리, 내부에 보강층을 갖고 있지 않다.
가이드 카테터(150)의 각 부의 굽힘 강성은, 가이드 카테터(150)의 각 부분(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 가이드 카테터 본체(151) 등)의 두께나 외경 등의 형상을 조정하거나, 굽힘 강성이 상이한 이종 재료의 조합에 의하여 가이드 카테터(150)를 구성하거나 함으로써,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카테터(150)의 각 부분을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 각 부분의 두께나 외경 등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가이드 카테터(150)의 굽힘 강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굽힘 강성이 상이한 이종 재료의 조합에 의하여 가이드 카테터(150)를 구성하는 경우, 예를 들어,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를 폴리아미드엘라스토머로 형성하고, 가이드 카테터 본체(151)를 폴리아미드로 형성한다. 그리고,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와 가이드 카테터 본체(151)를 열 용착에 의하여 접합함으로써, 원하는 굽힘 강성을 갖는 가이드 카테터(150)가 얻어진다. 또한, 폴리아미드엘라스토머의 엘라스토머의 배합량의 차이에 의하여, 가이드 카테터(150)의 굽힘 강성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를, 가이드 카테터 본체(151)를 형성하는 폴리아미드엘라스토머보다도 엘라스토머의 배합량이 많은 폴리아미드엘라스토머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와 가이드 카테터 본체(151)를 접합함으로써, 원하는 굽힘 강성을 갖는 가이드 카테터(150)가 얻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스텐트(70)의 관로에 가이드 카테터(150)가 삽통된 영역인 스텐트 탑재 영역 Z22, 및 푸셔 카테터(130)의 푸셔 선단부(131)의 관로에 가이드 카테터(150)가 삽통된 영역인 푸셔 탑재 영역 Z23이 각각 설정된다. 가이드 카테터(150), 스텐트(70), 및 푸셔 카테터(130)의 굽힘 강성을 조절함으로써, 스텐트(70)의 굽힘 강성은 가이드 카테터 본체(151)의 굽힘 강성 이하로 되고, 스텐트 탑재 영역 Z22의 굽힘 강성은 푸셔 탑재 영역 Z23의 굽힘 강성 이하로 되도록 각각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딜리버리 시스템(140)의 작용은, 제2 실시 형태의 딜리버리 시스템(110)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딜리버리 시스템(140) 및 내시경 시스템 의하면,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텐트(70)와 푸셔 카테터(130)가 늘어서는 부분이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굴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61), 내부층(122) 및 외부층(123)은, 가이드 카테터(60)와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3 실시 형태의 가이드 카테터(150)와 마찬가지로, 이종 재료의 조합에 의하여 제2 실시 형태의 가이드 카테터(120)를 구성해도 된다. 즉, 내부층(122)과 외부층(123) 사이에 배치된 보강층(124)을 갖는 가이드 카테터(120)에 대해서도, 이종 재료의 조합에 의하여 가이드 카테터(120)의 굽힘 강성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구성의 변경, 조합, 삭제 등도 포함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구성의 각각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부기 1)
본 출원에 있어서의 가이드 카테터, 스텐트, 및 푸셔 카테터에 관련된 굽힘 강성은, 이하의 관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는 스텐트에 가이드 카테터가 삽통된 영역을 스텐트 탑재 영역으로, 푸셔 카테터에 가이드 카테터가 삽통된 영역을 푸셔 탑재 영역으로 각각 규정한다. 이하의 등식, 부등식에서는, 예를 들어 「스텐트」는 「스텐트의 굽힘 강성」을 약기한 것이다.
·스텐트≤가이드 카테터 본체
·스텐트 탑재 영역≤푸셔 탑재 영역
(부기 2)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관계로 된다.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스텐트
(부기 3)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관계로 된다.
·스텐트<가이드 카테터 본체
(부기 4)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관계로 된다.
·푸셔 선단부<푸셔 본체
상기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딜리버리 시스템 및 내시경 시스템에 의하면, 스텐트와 푸셔 카테터가 늘어서는 부분이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굴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 내시경 시스템
10: 내시경
20: 삽입부
22: 만곡부
26: 채널
26a: 개구
50, 110, 110A, 140: 딜리버리 시스템(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60, 120, 150: 가이드 카테터
61: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
62, 121, 151: 가이드 카테터 본체
70: 스텐트
80, 130, 130A: 푸셔 카테터
131: 푸셔 선단부
132: 푸셔 본체
C: 축선
X: 길이 방향
Z2, Z12, Z22: 스텐트 탑재 영역
Z3, Z13, Z23: 푸셔 탑재 영역

Claims (8)

  1. 내시경의 채널에 삽통 가능한 가이드 카테터와,
    관형으로 형성되고, 자신에 형성된 제1 관로에 상기 가이드 카테터가 삽통 가능한 스텐트와,
    관형으로 형성되고, 자신에 형성된 제2 관로에 상기 가이드 카테터가 삽통 가능함과 함께, 상기 스텐트보다도 기단부측에 배치된 푸셔 카테터
    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카테터는, 상기 가이드 카테터가 상기 스텐트 및 상기 푸셔 카테터에 삽통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보다도 선단부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와,
    상기 스텐트 및 상기 푸셔 카테터 내에 배치되는 가이드 카테터 본체
    를 가지며,
    상기 스텐트에 상기 가이드 카테터가 삽통된 영역을 스텐트 탑재 영역으로 규정하고, 상기 푸셔 카테터에 상기 가이드 카테터가 삽통된 영역을 푸셔 탑재 영역으로 규정했을 때,
    상기 스텐트의 굽힘 강성은 상기 가이드 카테터 본체의 굽힘 강성 이하이고,
    상기 스텐트 탑재 영역의 굽힘 강성은 상기 푸셔 탑재 영역의 굽힘 강성 이하인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의 굽힘 강성은 상기 스텐트의 상기 굽힘 강성보다도 작은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의 상기 굽힘 강성은 상기 가이드 카테터 본체의 상기 굽힘 강성보다도 작은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카테터는,
    푸셔 선단부와,
    상기 푸셔 선단부의 기단부측에 위치하는 푸셔 본체
    를 갖고,
    상기 푸셔 선단부의 굽힘 강성은, 상기 푸셔 본체의 굽힘 강성보다도 작은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의 외경과, 상기 푸셔 카테터의 선단부의 외경이 같은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카테터가 상기 스텐트 및 상기 푸셔 카테터에 삽통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측이 상기 스텐트보다도 선단부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카테터 선단부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 카테터 본체의 외경보다도 작은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8. 선단부에 개구를 갖는 채널이 형성된 삽입부를 갖고, 상기 삽입부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보다도 기단부측에는 만곡 조작 가능한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내시경과,
    상기 채널에 삽통 가능한, 제4항에 기재된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을 구비하고,
    상기 채널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스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었을 때, 상기 삽입부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푸셔 선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만곡부 내에 위치하는
    내시경 시스템.
KR1020167025227A 2014-03-26 2015-02-09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및 내시경 시스템 KR201601380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63516 2014-03-26
JP2014063516 2014-03-26
PCT/JP2015/053531 WO2015146321A1 (ja) 2014-03-26 2015-02-09 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及び内視鏡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004A true KR20160138004A (ko) 2016-12-02

Family

ID=54194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227A KR20160138004A (ko) 2014-03-26 2015-02-09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및 내시경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000311A1 (ko)
JP (1) JP6415541B2 (ko)
KR (1) KR20160138004A (ko)
CN (1) CN106102663B (ko)
DE (1) DE112015000997T5 (ko)
WO (1) WO20151463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3139A1 (ja) * 2016-06-08 2017-12-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ガイドカテーテル
US10940030B2 (en) 2017-03-10 2021-03-09 Serenity Medical, Inc.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a self-expanding stent to the venous sinuses
CN113164273B (zh) * 2018-11-27 2024-04-26 奥林巴斯株式会社 支架输送装置
JP6937042B2 (ja) * 2019-09-03 2021-09-22 シルックス株式会社 チューブ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JP6988028B2 (ja) * 2019-09-03 2022-01-05 シルックス株式会社 チューブ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476A (ja) 2005-01-27 2006-08-10 Olympus Corp 内視鏡用処置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19792C1 (de) * 1994-06-06 1996-02-01 Alfons Prof Dr Med Hofstetter Endoskop
JP2000152985A (ja) * 1998-11-20 2000-06-06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処置具
JPWO2003092783A1 (ja) * 2002-05-01 2005-09-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留置チューブガイド装置
US20050085892A1 (en) * 2002-05-01 2005-04-21 Olympus Corporation Stent delivery device
JP3626488B1 (ja) * 2004-03-15 2005-03-09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
US8267985B2 (en) * 2005-05-25 2012-09-18 Tyco Healthcare Group Lp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nd deploying an occluding device within a vessel
EP1973495B1 (en) * 2006-01-18 2012-09-12 William A. Cook Australia Pty. Ltd. Endoluminal delivery device
US8298276B2 (en) * 2007-12-03 2012-10-30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Stent delivery system, stent placement method, and stent attachment method
JP4743800B2 (ja) * 2008-10-11 2011-08-10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2012085816A (ja) * 2010-10-19 2012-05-10 Asahi Intecc Co Ltd カテーテル組立体
GB2485563B (en) * 2010-11-18 2013-01-30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Introducer assembly and sheath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476A (ja) 2005-01-27 2006-08-10 Olympus Corp 内視鏡用処置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5000997T5 (de) 2016-12-01
US20170000311A1 (en) 2017-01-05
CN106102663B (zh) 2017-11-10
WO2015146321A1 (ja) 2015-10-01
JP6415541B2 (ja) 2018-10-31
JPWO2015146321A1 (ja) 2017-04-13
CN106102663A (zh)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9526B2 (en) Torqueable soft tip medical device and method of usage
KR20160138004A (ko)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및 내시경 시스템
US20090264865A1 (en) Insertion assisting tool for catheter, catheter assembly, and catheter set
US20050085892A1 (en) Stent delivery device
EP2782490B1 (en) Endoscope stablization system
WO2012141213A1 (ja) 内視鏡用処置具
US20220378593A1 (en) Stent delivery system, endoscope system, and stent indwelling method
KR20160137997A (ko)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JP5409363B2 (ja) ループ先端ワイヤガイド
US20210085930A1 (en) Guide wire holder
JP6037946B2 (ja) ステント留置装置
WO2016152192A1 (ja) 生検システムおよび処置具
JP7295868B2 (ja) 医療用管状体搬送装置
WO2016103897A1 (ja) 医療器具
US20220000647A1 (en) Stent delivery apparatus
WO2020195719A1 (ja) 医療用管状体搬送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0195720A1 (ja) 医療用管状体搬送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85128B1 (ja) 生検システムおよび処置具
US20220387202A1 (en) Stent delivery system, endoscope system, and stent indwelling method
JP2008264558A (ja) 外側シースを有するガイドワイヤ
JP4786807B2 (ja) 内視鏡用チューブ状処置具
US20240041626A1 (en) Delivery device and endoscope system
JP7289936B2 (ja) ステントデリバリー装置およびガイドカテーテル
US20210275338A1 (en) Stent delivery device
US20240189125A1 (en) Stent device and stent delive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