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853A - 전기 전도체를 위한 스프링 클램프 접촉부 및 연결 단자 - Google Patents

전기 전도체를 위한 스프링 클램프 접촉부 및 연결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853A
KR20150116853A KR1020157021752A KR20157021752A KR20150116853A KR 20150116853 A KR20150116853 A KR 20150116853A KR 1020157021752 A KR1020157021752 A KR 1020157021752A KR 20157021752 A KR20157021752 A KR 20157021752A KR 20150116853 A KR20150116853 A KR 20150116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contact
current rail
section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5876B1 (ko
Inventor
한스-요제프 쾰만
볼프강 게르베르딩
Original Assignee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116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28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 H01R4/48365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with integral release means
    • H01R4/4836

Landscapes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전도체와 접촉되는 스프링 클램프 접촉부(1)가 기재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클램프 접촉부는, 버스 바(2)와; 각각이 접촉 림(4), 상기 접촉 림(4)에 인접되는 스프링 원호부(5) 그리고 스프링 원호부(5)에 인접되고 자유 단부에서 클램핑 섹션(7)을 갖는 클램핑 림(6)을 보유한 적어도 2개의 클램핑 스프링(3)을 갖는다. 스프링 클램프 접촉부는 버스 바(2)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고 각각이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2개의 측방 연결 피스(9a, 9b), 상기 측방 연결 피스(9a, 9b)를 서로 연결하는 횡단 연결 피스(10, 11) 그리고 측방 연결 피스(9a, 9b) 및 횡단 연결 피스(10, 11)에 의해 형성되는 전도체 관통-개구(12)를 갖는 프레임 부분(8)을 또한 갖는다. 클램핑 스프링(3)은 클램핑 섹션(7)이 클램핑 스프링(3)의 스프링력 하에서 버스 바(2)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방식으로 연결 부분(10, 11)과 접촉되는 클램핑 스프링(3)의 접촉 림(4) 및/또는 버스 바(2)의 보유 요소(26)에 의해 고정된다. 적어도 2개의 클램핑 스프링(3)을 위한 적어도 2개의 프레임 부분(8)은 인접한 프레임 부분(8)의 2개의 이격된 측방 연결 부분(9a, 9b) 사이의 간극(14)에 의해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Description

전기 전도체를 위한 스프링 클램프 접촉부 및 연결 단자{SPRING CLAMP CONTACT AND CONNECTING TERMINAL FOR ELECTRICAL CONDUCTORS}
본 발명은 전기 전도체와 접촉되는 탄성 클램핑 접촉부에 관한 것으로, 상기 탄성 클램핑 접촉부는, 전류 레일(current rail)을 갖고; 각각이 접촉 림(contacting limb), 접촉 림에 인접되는 탄성 벤드(resilient bend) 그리고 탄성 벤드에 인접되고 자유 단부에서 클램핑 섹션을 포함하는 클램핑 림을 보유한 적어도 2개의 탄성 클램핑 요소를 갖고; 전류 레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고 각각의 경우에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2개의 측방 연결 피스 그리고 측방 연결 피스를 서로 연결하는 횡단 연결 피스를 보유하고 전도체 피드스루 개구가 측방 연결 피스 및 횡단 연결 피스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 부분을 갖고, 할당된 탄성 클램핑 요소의 접촉 림은 횡단 연결 피스에 대해 위치되고, 클램핑 섹션은 탄성 클램핑 요소의 탄성력의 영향 하에서 전류 레일의 방향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절연성 재료로부터 실시되는 하우징을 갖고 이러한 형태의 적어도 1개의 탄성 클램핑 접촉부를 갖는 전기 전도체를 위한 연결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탄성 클램핑 접촉부는 연결 클램프에서 특히 전기 전도 가능한 방식으로 다수개의 전기 전도체를 연결하는 소켓 단자에서, 회로 기판 플러그-인 커넥터, 어떤 다른 플러그-인 커넥터 및 시리즈 단자 또는 어떤 다른 전기 장치에서 사용된다.
제DE 10 2007 017 593 B4호는 탄성 강철 판 그리고 중간 평면에 대해 경면-대칭 방식으로 상기 탄성 강철 판으로부터 절결되는 2개의 판 스프링 설부(leaf spring tongue)를 포함하는 연결 클램프를 개시하고 있다. 전류 레일 로드(current rail rod)가 탄성 강철 판의 피스 상의 중간 평면 내에 위치된다.
나아가, 제DE 102 37 701 B4호는 레버-작동식 연결 클램프를 개시하고 있고, 여기에서 케이지 클램프 스프링(cage clamp spring)이 그 접촉 림으로써 케이지 클램프 스프링의 전도체 피드스루 개구를 통해 돌출되는 전류 레일 피스 상에 위치된다. 레버는 위로부터 케이지 클램프 스프링의 작동 섹션 상에 작용하고, 여기에서 전도체 피드스루 개구를 포함하는 클램핑 섹션은 전류 레일 피스에 대해 횡단 방식으로 작동 섹션으로부터 멀어지게 벤딩된다.
나아가, 전류 레일 피스의 전도체 피드스루 개구 내로 U자형 방식으로 벤딩되는 판 스프링을 래칭하는 것이 제DE 196 54 611 B4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전류 레일 피스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판 스프링을 보유하는 데 사용되는 보유 림이 그 후방 표면에서 전도체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횡단 방식으로 배열되고 전기 전도체를 안내하는 관통 개구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접촉 림이 보유 각도의 코너 각도의 정점에 바로 인접되고 그로부터 전도체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코너 각도를 함께 형성하는 보유 림 및 접촉 림을 포함한다.
제DE 10 2010 024 809 A1호는 절연성 재료로부터 실시되는 하우징 그리고 탄성 클램핑 요소 및 전류 레일 섹션을 보유한 탄성 클램핑 유닛을 갖는 레버-작동식 연결 클램프를 개시하고 있다. 탄성 클램핑 요소는 전류 레일 섹션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되고 전도체 피드스루 개구를 포함하는 브래킷 내에 래칭되는 접촉 섹션을 포함한다. 나아가, 탄성 클램핑 요소는 전류 레일 섹션에 대해 전기 전도체를 클램핑하도록 성형되는 클램핑 섹션 그리고 그로부터 돌출되고 클램핑 섹션 상의 탄성 클램핑 요소에 의해 인가되는 탄성력의 방향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작동 섹션을 포함하고, 작동 섹션은 작동 요소가 탄성 클램핑 요소를 개방하도록 탄성력에 대해 작동 요소를 변위시킬 때에 작동 섹션 상에 견인력을 인가하도록 작동 섹션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작동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도록 배열된다.
이것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전도체와 접촉되는 개선된 탄성 클램핑 접촉부를 제공하는 것 그리고 또한 전기 전도체를 위한 개선된 연결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탄성 클램핑 접촉부에 의해 그리고 또한 청구항 7의 특징을 갖는 연결 클램프에 의해 성취된다.
일반적인 형태의 탄성 클램핑 접촉부에 대해 적어도 2개의 탄성 클램핑 요소를 위한 적어도 2개의 프레임 부분이 인접한 프레임 부분의 2개의 인접한 측방 연결 피스 사이의 중간 공간으로써 서로로부터 이격될 것이 제안된다.
인접한 프레임 부분의 2개의 인접한 측방 연결 피스 사이의 이격의 결과로서, 자유 공간이 생성되고,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작동 요소 예컨대 절연성 재료로부터 실시되는 하우징 내에서 피벗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작동 레버를 배열하고 및/또는 상기 자유 공간 내에 하우징 벽을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요구된 공기 경로 및 누출 경로를 유지하면서, 매우 치밀한 설계의 탄성 클램핑 접촉부의 경우에 매우 치밀한 연결 클램프를 성취하는 것이 이러한 방식으로 성취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프레임 부분은 전류 레일과 일편으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도체 피드스루 개구가 측방 연결 피스 및 횡단 연결 피스를 형성하도록 적절하게 전류 레일 금속 판으로부터 스탬핑되고, 상기 전도체 피드스루 개구를 스탬핑하는 단계 전에 또는 그 후에, 측방 연결 피스 그리고 상기 측방 연결 피스를 연결하는 횡단 연결 피스 바꿔 말하면 프레임 부분이 전류 레일의 클램핑 접촉 표면으로부터 예각 또는 둔각으로 멀어지게 벤딩된다. 클램핑 지점이 형성되는 전류 레일 평면과 프레임 부분 사이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60˚ 내지 120˚에 달한다.
그러나, 프레임 부분이 전류 레일과 별개인 프레임 요소 상에 형성되고, 프레임 요소가 전류 레일 내로 래칭되는 실시예가 또한 가능하다. 프레임 요소는 프레임 요소가 바람직하게는 전류 레일 아래에서 결합된다는 점에서 횡단 연결 피스, 프레임 요소의 프레임 부분 그리고 전류 레일 사이에 작용하는 탄성 클램핑 요소의 힘의 결과로서 전류 레일 상에 보유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보유 요소가 보유 돌출부의 형태로 전류 레일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보유 돌출부는 프레임 요소의 횡단 연결 피스에 의해 아래로부터 결합된다. 그러나, 전류 레일은 프레임 요소의 래칭 핑거(latching finger)가 전류 레일에 프레임 요소를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하도록 래칭되는 래칭 개구 또는 래칭 리세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기 전도체를 위한 클램핑 지점을 형성하기 위해, 탄성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전류 레일을 향한 방향으로 멀어지게 또는 하향으로 벤딩되고, 상기 섹션은 탄성 벤드에 인접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기 전도체가 탄성 클램핑 요소에 의해 신뢰 가능하게 클램핑되고, 전기 전도체가 탄성 클램핑 요소의 사전의 작동 없이 클램핑 지점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 동시에 보증된다.
나아가, 클램핑 섹션이 클램핑 림의 잔여 섹션보다 좁은 폭을 가지면 유리하다. 이것은 작동 요소를 사용하여 작동 섹션으로서 클램핑 섹션에 비해 넓은 클램핑 림의 섹션의 적어도 1개의 영역을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고, 상기 영역은 전기 전도체를 위한 클램핑 지점을 개방하도록 클램핑 섹션에 대해 측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클램핑 지점은 탄성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섹션과 전류 레일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 요소는 작동 섹션과 협력하고, 2개의 프레임 부분 사이의 중간 공간 내로 돌출된다.
본 발명은 예시 실시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전류 레일 그리고 서로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3개의 탄성 클램핑 요소를 갖는 탄성 클램핑 접촉부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로부터의 탄성 클램핑 접촉부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1로부터의 탄성 클램핑 접촉부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절연성 재료로부터 실시되는 하우징을 갖고 이러한 경우에 할당된 탄성 클램핑 요소를 위한 작동 레버이고 절연성 재료로부터 실시되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도 1로부터의 탄성 클램핑 접촉부를 갖는 연결 클램프를 통한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개방 위치의 작동 레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폐쇄 위치의 작동 레버를 갖는 도 4로부터의 연결 클램프를 통한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탄성 클램핑 접촉부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도 6으로부터의 탄성 클램핑 접촉부를 통한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탄성 클램핑 접촉부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도 8로부터의 탄성 클램핑 접촉부를 통한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전류 레일(2) 그리고 예컨대 도시된 것과 같은 3개의 다중 탄성 클램핑 요소(3)에 의해 기본적으로 형성되는 탄성 클램핑 접촉부(1)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류 레일(2)은 양호한 전기 전도성 특성을 갖는 재료 예컨대 구리 금속 시트로부터 실시된다. 상기 전류 레일은 탄성 클램핑 요소(3)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횡단 방식으로 그리고 다수개의 탄성 클램핑 요소(3)가 열로 배열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류 레일(2) 상의 클램핑 지점에서 탄성 클램핑 요소(3)에 의해 클램핑되는 전기 전도체가 탄성 클램핑 접촉부(1)의 또 다른 탄성 클램핑 요소(3)에 클램핑되는 추가의 전기 전도체에 전기 전도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탄성 클램핑 요소(3)는 각각의 경우에 접촉 림(4), 접촉 림(4)에 연결되는 탄성 벤드(5) 그리고 탄성 벤드(5)에 연결되는 클램핑 림(6)을 갖는다. 클램핑 림(6)은 각각의 경우에 자유 단부에서 클램핑 섹션(7)을 갖고, 클램핑 모서리가 상기 클램핑 섹션 상에 형성된다. 전류 레일(2)을 사용하여, 각각의 탄성 클램핑 요소(3)에 할당되고 각각이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2개의 측방 연결 피스(9a, 9b) 그리고 자유 단부에서 측방 연결 피스(9a, 9b)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 횡단 연결 피스(10)를 갖는 프레임 부분(8)이 형성된다. 횡단 방식으로 연장되는 전류 레일(2)은 상부 연결 피스(10)에 대향으로 위치되는 추가의 하부 연결 피스(11)를 형성한다. 측방 연결 피스(9a, 9b) 및 상호 대향 횡단 연결 피스(10, 11)는 할당된 탄성 클램핑 요소(3)의 클램핑 섹션(7)의 클램핑 모서리 그리고 전류 레일(2)의 하부 횡단 연결 피스(11) 상에 형성되는 접촉 모서리(13)에 클램핑되는 전기 전도체를 급송하는 전도체 피드스루 개구(12)를 형성한다. 탄성 클램핑 요소(3)의 클램핑 섹션(7)의 클램핑 모서리 그리고 전류 레일(2)의 접촉 모서리(13)는 그에 따라 클램핑될 전기 전도체를 위한 클램핑 지점을 형성한다.
인접한 프레임 부분(8) 사이에 중간 공간(14)을 형성하면서 서로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탄성 클램핑 요소(3)를 위한 프레임 부분(8)은 서로로부터 이격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인접한 프레임 부분(8)의 인접한 측방 연결 피스(9a, 9b)는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적어도 1개의 할당된 탄성 클램핑 요소(3)를 위한 작동 요소(도시되지 않음)의 섹션이 이러한 중간 공간(14) 내에 수용될 수 있고, 그에 의해 탄성 클램핑 요소(3) 사이의 공간 특히 프레임 부분(8) 사이의 공간은 작동 레버의 섹션을 수용하도록 중간 공간(14)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매우 치밀한 연결 클램프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탄성 클램핑 요소(3)의 클램핑 섹션(7)은 클램핑 림(6) 및 탄성 클램핑 요소 벤드(5)의 인접한 다른 섹션보다 좁은 폭을 갖는다는 것이 더욱 명백하다. 이것은 클램핑 섹션(7)에 대해 상대 방식으로 측방으로 돌출되는 클램핑 림(6)의 영역을 제공하고, 작동 레버의 작동 형상부가 클램핑 림(6)의 상기 영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여기에서 작동 형상부는 적어도 폐쇄 상태에서 중간 공간(14) 내로 돌출되는 작동 레버의 측방 벽 섹션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작동 레버(도시되지 않음)의 회전 축은 그 다음에 클램핑 림(6)과 전류 레일(2) 사이의 중간 공간 내에서 클램핑 림(6) 및 탄성 벤드(5) 아래에 위치된다.
접촉 림(4)의 자유 단부가 마찬가지로 탄성 요소 벤드(5)에 인접한 접촉 림(4)의 섹션보다 좁은 폭 그리고 탄성 요소 벤드(5)보다 좁은 폭을 갖는다는 것이 더욱 명백하다. 이러한 접촉 림(4)의 폭 감소는 전도체 피드스루 개구(12) 내로 접촉 림(4)을 래칭하여 상부 횡단 연결 피스(10)와 접촉되는 것을 가능케 하도록 프레임 부분(8)의 전도체 피드스루 개구(12)의 폭에 적합하도록 조정된다.
도 2는 도 1로부터의 탄성 클램핑 접촉부(1)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접촉 림(4)의 후방 자유 단부는 프레임 부분(8)의 전도체 피드스루 개구(12)를 통해 돌출되어 프레임 부분(8) 내로 래칭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프레임 부분(8)은 동일한 시트 금속 부분으로부터 전류 레일(2)과 일체형 방식으로 일편으로서 형성되고, 전류 레일의 평면으로부터 탄성 클램핑 요소(3)의 접촉 림(4)의 방향으로 대략 90˚ 내지 120˚의 각도로 벤딩되고, 상기 평면은 탄성 클램핑 요소(3)의 클램핑 모서리에 인접된다는 것이 더욱 명백하다.
클램핑 림(6)은 전류 레일(2)의 평면의 방향으로 대략 70˚ 내지 120˚의 내각으로 벤딩되고, 이러한 평면에 대해 거의(+/-20˚) 직각으로 배열되고, 상기 평면은 도시된 휴지 상태에서 클램핑 섹션(7)의 클램핑 모서리가 위치되는 평면이라는 것이 더욱 명백하다. 클램핑 섹션(7)은 클램핑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전도체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횡단 방식으로 배열되는 이러한 크게 벤딩된 섹션으로부터 자유 단부를 향해 재차 벤딩되고, 상기 클램핑 섹션은 전류 레일(2)의 이전에 언급된 평면에 대해 예각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 림(4)의 방향으로 상향으로 클램핑 림(6)을 변위시킴으로써 사전의 작동 없이 전도체가 삽입되는 방향 C로 삽입된 다중-스트랜드 전기 전도체의 직접적인 클램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중-스트랜드 전기 전도체가 미리 클램핑 지점을 작동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직접적으로 삽입되면, 전기 전도체의 다중-스트랜드가 분리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스트랜드는 그 다음에 제어 불가능한 방식으로 연결 공간 내에 위치될 것이다.
도 3은 도 1 및 2로부터의 탄성 클램핑 접촉부의 제1 실시예를 통한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벤딩된 단부 섹션(15)을 갖는 접촉 림(4)은 전도체 피드스루 개구(12)를 통해 안내되고, 상부 횡단 연결 피스(10)에 대해 위치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탄성 클램핑 요소(3)는 그에 따라 안정된 위치에서 전류 레일(2) 내로 래칭된다. U자형으로 벤딩된 탄성 클램핑 요소(3)의 대향으로-위치된 단부 바꿔 말하면 접촉 림(4)의 클램핑 섹션(7)은 전류 레일(2)의 섹션의 방향으로 벤딩되고, 상기 섹션은 프레임 부분(8)에 인접되고, 다수개의 탄성 클램핑 요소(3)에 대해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고, 여기에서 클램핑 섹션의 자유 단부는 전류 레일(2)의 횡단 연장 섹션과 예각을 형성한다. 반면에, 클램핑 림(6)의 인접한 섹션은 전도체가 삽입되는 방향 C에 대해 거의 횡단 방식으로 배열되고, 전류 레일(2)의 섹션은 탄성 클램핑 요소(3)의 사전의 작동 없이 다중-와이어 전기 전도체가 직접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류 레일(2)의 횡단 연장 섹션과 둔각을 형성한다.
도 4는 절연성 재료로부터 실시되는 하우징(17)을 갖는 연결 클램프(16)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절연성 재료로부터 실시되는 하우징(17)은 2개의 부분으로 설계되고, 절연성 재료로부터 실시되고 작동 레버(19) 및 탄성 클램핑 접촉부(1)에 힘이 인가된 후에 커버 부분(20)에 의해 폐쇄되는 메인 수납 부분(18)을 갖는다. 메인 수납 부분(18) 및 커버 부분(20)은 이러한 방식으로 절연성 재료로부터 실시되는 하우징(17) 내에 피벗 지지 섹션(21)을 갖는 작동 레버(19)를 장착하도록 적절하게 서로 래칭되고, 상기 피벗 지지 섹션은 세그먼트형 주연부를 갖고, 이러한 세그먼트형 주연부는 세그먼트형 주연부에 적합하도록 조정되는 세그먼트형 지지 형상부(22)를 갖는다. 피벗 지지 섹션(21)은 또한 전류 레일(2)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피벗 지지 섹션(21)은 곡선형 경로를 통해 외주연부 내로 합병되는 V자형 섹션의 형태로 된 작동 형상부(23)를 포함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할당된 탄성 클램핑 요소(3)의 클램핑 림(6)은 클램핑 림(6)이 작동 레버(19)의 도시된 개방 위치에서 전류 레일(2)의 횡단 연장 섹션으로부터 멀어지게 변위되도록 측방 영역에서 이러한 작동 형상부(23) 상에 위치된다.
절연성 재료로부터 실시되는 하우징(17) 내에 제공되고 단부 표면에서 개방되고 탄성 클램핑 접촉부(1)의 연결 공간 내로 이어지는 전도체 삽입 개구(24)를 통해 전기 전도체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기 전도체는 그 다음에 탄성 클램핑 접촉부(1)의 할당된 프레임 부분(8)의 전도체 피드스루 개구(12)를 통해 전류 레일(2)의 섹션을 거쳐 삽입되고, 상기 섹션은 경사 방식으로 배열되고, 탄성 클램핑 요소(3)에 대해 횡단 방식으로 연장된다. 절연성 재료가 박리된 전기 전도체의 자유 단부는 그 다음에 전도체가 삽입되는 방향 C로 바꿔 말하면 전도체 삽입 개구(24)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관찰될 때에 프레임 부분(8)의 전도체 피드스루 개구(12)의 하류에 위치되는 전도체 수용 포켓(25) 내로 진행된다.
도 5는 폐쇄 위치에서의 도 4로부터의 연결 클램프(16)를 도시하고 있다. 작동 레버(19)는 절연성 재료로부터 실시되는 하우징(17)의 방향으로 하향으로 절첩된다. 작동 형상부(23)는 피벗 지지 섹션(21)이 대략 90˚만큼 피벗된 결과로서 회전되었다. 클램핑 림(6)은 탄성 클램핑 요소(3)의 힘의 결과로서 전류 레일(2)의 방향으로 하향으로 접촉 림(4)으로부터 멀어지게 변위된다. 도시된 폐쇄 최종 위치에서, 클램핑 림(6)은 탄성 클램핑 요소(3)가 작동 레버(19)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작동 섹션(23) 상에 더 이상 위치되지 않는다. 결국, 전도체 삽입 개구(24) 내로 삽입되는 전기 전도체(도시되지 않음)가 자유 클램핑 섹션(7) 상의 클램핑 모서리 그리고 전류 레일(2) 상의 접촉 모서리(13)에 의한 탄성 클램핑 요소(3)의 힘의 결과로서 전기 전도 가능하게 그리고 기계 방식으로 견고하게 클램핑되고, 그에 의해 전류가 전기 전도체 및 전류 레일(2)을 통해 인접한 클램핑 접촉부로 유도될 수 있다.
도 6은 탄성 클램핑 접촉부(1)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류 레일(2)이 또한 이러한 도면에서 다수개의 탄성 클램핑 요소(3)가 열로 배열되는 방향에 대해 횡단 방식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탄성 클램핑 요소(3)를 위한 보유 돌출부(26)가 전류 레일(2)로부터 즉 전류 레일(2)의 측방 모서리로부터 전도체가 삽입되는 방향 C로 바꿔 말하면 탄성 클램핑 요소(3)의 접촉 림(4) 및 클램핑 림(6)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 탄성 클램핑 요소(3)의 클램핑 섹션(7)의 자유 단부에서 클램핑 모서리 그리고 할당된 보유 돌출부(26) 상에 제공되는 접촉 모서리(13)에 의해 전기 전도체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지점이 제공된다. 클램핑될 전기 전도체가 결국 대향으로-위치된 보유 돌출부(26) 상의 접촉 모서리(13)에 대해 탄성 클램핑 요소(3)의 클램핑 섹션(7) 상으로 클램핑 모서리에 의해 탄성 클램핑 요소(3)의 힘의 결과로서 압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탄성 클램핑 요소(3)의 힘은 한정된 접촉 감소 영역 상에 집중되고 그에 따라 표면 압력은 최적화된다.
도시된 예시 실시예에서, 프레임 부분(8)은 이제 할당된 탄성 클램핑 요소(3)와 일체형 방식으로 일편으로서 형성된다. 프레임 부분(8)은 접촉 림(4)의 연장부로서 형성되고, 접촉 림(4)으로부터 전류 레일(2)의 대향으로-위치된 횡단 연장 섹션의 방향으로 벤딩된다. 프레임 부분(8)은 결국 측방 연결 피스(9a, 9b) 그리고 측방 연결 피스(9a, 9b)를 서로 연결하고 전류 레일(2) 아래에서 결합되는 자유 단부에서의 횡단 연결 피스(11)를 갖는다. 탄성 클램핑 요소(3)는 이러한 횡단 연결 피스(11)의 도움으로써 전류 레일(2) 내로 래칭되고, 탄성 클램핑 요소의 힘의 결과로서 전류 레일(2)에 대해 클램핑 림(6)을 통해 보유된다.
프레임 부분(8)이 그에 인접한 접촉 림(4) 내로 합병된 결과로서, 횡단 연결 피스(10, 11) 및 측방 연결 피스(9a, 9b)가 전기 전도체를 급송하는 전도체 피드스루 개구(12)를 형성하도록 프레임 부분(8)을 연결하는 상부 횡단 연결 피스(10)가 제공된다.
도 7은 도 6으로부터의 탄성 클램핑 접촉부(1)를 통한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횡단 연결 피스(11)는 프레임 부분(8)의 자유 단부에서 절첩 또는 벤딩되고, 전류 레일(2)의 횡단 연장 섹션 아래에 위치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보유 돌출부(26)는 하부 횡단 연결 피스(11)를 위한 정지부를 형성하도록 예컨대 가압에 의해 전류 레일(2)의 평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변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탄성 클램핑 요소(3)는 전류 레일(2) 상에 로킹된다. 하향 방향으로 보유 돌출부(26)를 변위시킨 결과로서, 접촉 모서리(13)가 전기 전도체를 클램핑하도록 전류 레일(2)의 상부 표면 상에 생성되고, 탄성 클램핑 요소(3)의 클램핑력은 그 상에 집중된다. 클램핑 섹션(7)은 탄성 클램핑 요소(3)의 클램핑 림(6)의 자유 단부에서 하향 방향으로 보유 돌출부(26)를 변위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자유 공간 내로 삽입되고, 상기 클램핑 섹션은 전류 레일(2)의 단부 표면(2) 또는 접촉 모서리(13)에 대해 위치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결국, 자기-지지 시스템이 전류 레일(2) 및 탄성 클램핑 요소(3)로부터 생성되고, 상기 시스템은 이러한 방식으로 사전 조립된 상태로 연결 클램프(16)의 하우징(17)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은 절연성 재료로부터 실시된다.
도 8 및 9는 탄성 클램핑 접촉부(1)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다중 탄성 클램핑 요소(3)가 또한 결국 일렬로 서로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전류 레일(2) 내로 래칭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 프레임 부분(8)이 전류 레일(2) 및 탄성 클램핑 요소(3)와 별개로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시트 금속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전류 레일(2)의 역할은 제1 실시예에 비교될 수 있다. 보유 돌출부(26)가 또한 프레임 부분(8)의 하부 횡단 연결 피스(11)를 위한 정지부를 형성하도록 전류 레일(2)의 하부 표면에 대해 하향 방향으로 변위된다. 그러나, 제2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자유 공간에는 접촉 모서리(13)를 형성하는 견부가 제공되지 않는다. 반대로, 전류 레일은 클램핑 모서리(13)가 전류 레일(2)의 상부 평면과 경사 방식으로 종료되는 단부 사이의 전이부 내에 형성되도록 상부 평면으로부터 경사 방식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해결책의 경우에 제2 실시예로부터의 전류 레일(2)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제3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는 별개의 프레임 부분(8)의 도움으로써 할당된 탄성 클램핑 요소(3)의 접촉 림(4)이 상부 횡단 연결 피스(10) 내로 래칭되고 보유 돌출부(26)의 도움으로써 전류 레일(2)이 하부 횡단 연결 피스(11) 내로 래칭되는 방식으로 조합된다. 프레임 부분(8)은 이러한 경우에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측방 연결 피스(9a, 9b)를 또한 포함하고, 그 사이에 형성되는 전도체 피드스루 개구(12)를 갖는 원주 방향으로 폐쇄된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적절하게 측방 연결 피스(9a, 9b)를 서로 연결하는 횡단 연결 피스(10, 11)를 2개의 대향으로-위치된 단부 상에서 포함한다.
모든 3개의 실시예의 경우에 프레임 부분(8)이 중간 공간(14)으로써 전류 레일(2) 상에 서로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도록 제공된다. 프레임 부분이 전류 레일(2)과 또는 할당된 탄성 클램핑 요소(3)와 일체형 방식으로 일편으로서 또는 전류 레일(2) 및 탄성 클램핑 요소(3)와 별개인 구성 요소로서 형성되는지는 무관하다.
탄성 클램핑 접촉부(1) 그리고 이러한 형태의 탄성 클램핑 접촉부(1)가 구비되는 연결 클램프(16)가 또한 2열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프레임 부분(8)이 반대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연장된다는 점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2개의 평행한 전도체 연결 평면이 제공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 부분(8)을 갖는 이중-층 전류 레일(2)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별개의 프레임 부분이 또한 이중-층 전류 레일 사이의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전도체 커넥터가 전류 레일(2) 상에 일렬로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는 교대형 프레임 부분(8)과 서로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서로에 대해 180˚만큼 벤딩되는 적어도 1개의 탄성 클램핑 요소(3)가 각각의 경우에 전류 레일 위에 그리고 아래에 제공되고 프레임 부분(8)이 또한 전류 레일(2)의 상호 대향 외부 모서리 상에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 부분은 한편으로 전류 레일(2) 위의 공간 내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전류 레일(2) 아래의 공간 내에 배열된다는 사실로 인해, 2열 연결 클램프(16)가 또한 생성될 수 있다.

Claims (9)

  1. 전기 전도체와 접촉되는 탄성 클램핑 접촉부(1)로서, 상기 탄성 클램핑 접촉부는, 전류 레일(2)을 갖고; 각각이 접촉 림(4), 접촉 림(4)에 인접되는 탄성 벤드(5) 그리고 탄성 벤드(5)에 인접되고 자유 단부에서 클램핑 섹션(7)을 포함하는 클램핑 림(6)을 보유한 적어도 2개의 탄성 클램핑 요소(3)를 갖고; 전류 레일(2)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고 각각의 경우에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2개의 측방 연결 피스(9a, 9b), 측방 연결 피스(9a, 9b)를 서로 연결하는 횡단 연결 피스(10, 11) 그리고 측방 연결 피스(9a, 9b) 및 횡단 연결 피스(10, 11)에 의해 형성되는 전도체 피드스루 개구(12)를 보유한 프레임 부분(8)을 갖고, 탄성 클램핑 요소(3)는 클램핑 섹션(7)이 탄성 클램핑 요소(3)의 탄성력의 영향 하에서 전류 레일(2)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방식으로 횡단 연결 피스(10, 11)에 대한 탄성 클램핑 요소(3)의 접촉 림(4) 및/또는 전류 레일(2)의 보유 요소(26)의 접촉에 의해 전류 레일(2)에 체결되는, 탄성 클램핑 접촉부(1)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탄성 클램핑 요소(3)를 위한 적어도 2개의 프레임 부분(8)은 인접한 프레임 부분(8)의 2개의 이격된 측방 연결 피스(9a, 9b) 사이의 중간 공간(14)에 의해 서로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클램핑 접촉부(1).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 부분(8)은 전류 레일(2)과 일편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클램핑 접촉부(1).
  3.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 부분(8)은 전류 레일(2)과 별개인 적어도 1개의 프레임 요소로서 구현되고, 별개의 프레임 요소는 전류 레일(2) 내로 래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클램핑 접촉부(1).
  4. 제3항에 있어서, 전류 레일(2)은 프레임 부분(8)에 대한 보유 요소로서 보유 돌출부(26)를 포함하고, 횡단 연결 피스(11)를 갖는 프레임 부분(8)은 전류 레일(2)의 보유 돌출부(26) 아래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클램핑 접촉부(1).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전류 레일(2)은 래칭 개구 또는 래칭 리세스를 포함하고, 프레임 부분(8)은 할당된 래칭 개구 또는 래칭 리세스 내로 래칭되는 래칭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클램핑 접촉부(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섹션(7)은 클램핑 림(6)의 섹션으로부터 전류 레일(2)을 향한 방향으로 멀어지게 또는 하향으로 벤딩되고, 상기 섹션은 탄성 벤드(5)에 인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클램핑 접촉부(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섹션(7)은 클램핑 림(6)의 잔여 섹션보다 좁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클램핑 접촉부(1).
  8. 제7항에 있어서, 클램핑 섹션(7)에 비해 더 넓은 클램핑 림(6)의 섹션의 적어도 1개의 영역이 작동 섹션으로서 제공되고, 상기 영역은 전기 전도체를 위한 클램핑 지점을 개방하도록 작동 섹션과 협력하는 작동 요소에 의해 클램핑 섹션(7)에 대해 측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클램핑 지점은 탄성 클램핑 요소(3)의 클램핑 섹션(7)과 전류 레일(2)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클램핑 접촉부(1).
  9.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는 하우징(17)을 갖고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것과 같은 적어도 1개의 탄성 클램핑 접촉부(1)를 갖는 전기 전도체를 위한 연결 클램프(16)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작동 요소(19)가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는 하우징(17) 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수용되고, 적어도 1개의 작동 요소(19)는 인접한 프레임 부분(8)의 2개의 인접한 측방 연결 피스(9a, 9b) 사이의 할당된 중간 공간(14) 내로 돌출되고, 탄성 클램핑 요소(3)의 클램핑 섹션과 전류 레일(2) 사이에 형성되는 클램핑 지점을 개방하여 전기 전도체를 클램핑하도록 적어도 1개의 탄성 클램핑 요소(3)에 영향을 미치는 형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클램프(16).
KR1020157021752A 2013-02-13 2014-02-12 전기 전도체를 위한 스프링 클램프 접촉부 및 연결 단자 KR102145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3100635.1 2013-02-13
DE202013100635U DE202013100635U1 (de) 2013-02-13 2013-02-13 Federklemmkontakt und Verbindungsklemme für elektrische Leiter
PCT/EP2014/052719 WO2014124961A1 (de) 2013-02-13 2014-02-12 Federklemmkontakt und verbindungsklemme für elektrische lei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853A true KR20150116853A (ko) 2015-10-16
KR102145876B1 KR102145876B1 (ko) 2020-08-20

Family

ID=4805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752A KR102145876B1 (ko) 2013-02-13 2014-02-12 전기 전도체를 위한 스프링 클램프 접촉부 및 연결 단자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502790B2 (ko)
EP (1) EP2956993B1 (ko)
JP (1) JP6400607B2 (ko)
KR (1) KR102145876B1 (ko)
CN (1) CN104995798B (ko)
DE (1) DE202013100635U1 (ko)
ES (1) ES2871850T3 (ko)
PL (1) PL2956993T3 (ko)
RU (1) RU2597003C1 (ko)
WO (1) WO20141249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371A (ko) * 2016-11-18 2018-05-28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전기 도체의 접촉-연결을 위한 스프링 단자 접촉부, 도체 연결 단자, 및 스프링 단자 접접부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2517B4 (de) 2014-02-26 2021-06-1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Verbindungsklemme und Federkraftklemmkontakt hierzu
DE102014103638B4 (de) * 2014-03-17 2016-05-1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ssklemme
DE102015100823B4 (de) * 2015-01-21 2021-12-0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ssklemme
CN204558667U (zh) * 2015-04-11 2015-08-12 江门市创艺电器有限公司 一种接线端子连接器
DE202015105023U1 (de) * 2015-09-22 2016-12-23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schlussvorrichtung für Leiter
DE102015120002B4 (de) * 2015-11-18 2017-10-19 Lisa Dräxlmaier GmbH Verbindungsvorrichtung und Verbindungsverfahren
JP2017183023A (ja) * 2016-03-29 2017-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端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配線器具
DE102016111536A1 (de) 2016-06-23 2017-12-2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Kontakteinsatz einer Federkraftanschlussklemme sowie damit ausgebildete Federkraftanschlussklemme
DE102016111627A1 (de) 2016-06-24 2017-12-2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102016116966A1 (de) 2016-09-09 2018-03-1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raftklemmanschluss sowie Leiteranschlussklemme
CA3049409A1 (en) 2017-01-06 2018-07-12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wiring devices with screwless connection terminals
JP6527905B2 (ja) * 2017-05-17 2019-06-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リス塗布用接触バネ保持治具
CN107799914B (zh) * 2017-10-12 2023-11-07 东莞市美金兴能源有限公司 一种线夹
CN108429042A (zh) * 2018-03-20 2018-08-21 苏州惠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紧凑型快速接线连接器
BE1026171B1 (de) * 2018-04-03 2019-10-3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einrichtung zum Anschließen eines Schirmleiters einer elektrischen Leitung an einen Erdungsabschnitt
FR3079890B1 (fr) * 2018-04-04 2020-04-03 A. Raymond Et Cie Agrafe de fixation pour chassis photovoltaique a montage par insertion puis coulissement dans une fente d’une paroi de support
CN108899664A (zh) * 2018-07-30 2018-11-27 浙江京红电器有限公司 电线接线夹
DE102019108291A1 (de) * 2019-03-29 2020-10-01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202019105009U1 (de) * 2019-09-11 2020-12-1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102019131653B4 (de) * 2019-11-22 2024-01-1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102020104077A1 (de) * 2020-02-17 2021-08-19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Federkraftklemmanschluss
USD988266S1 (en) * 2020-07-23 2023-06-06 Electro Terminal Gmbh & Co Kg Clamp
US11791573B2 (en) 2021-04-15 2023-10-17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Wire terminals and method of uses
KR102649866B1 (ko) * 2022-08-11 2024-03-21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탄성 단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램프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3243A (ja) * 1996-12-20 1998-09-02 Wago Verwaltungs Gmbh 1線又は多線電気導体用接続端子
KR20070104220A (ko) * 2006-04-21 2007-10-25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전기 연결 클램프
EP2096714A1 (en) * 2008-01-31 2009-09-02 BTICINO S.p.A.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with contact spring operated by a lever having an inlet opening for the end of an electric cable
CN102832465A (zh) * 2012-08-21 2012-12-19 江门市创艺电器有限公司 一种led用一体式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8050A (en) * 1969-05-02 1970-09-08 Holub Ind Inc Push-on type grounding clip
JPS478986U (ko) * 1971-02-23 1972-10-03
JPS60163673U (ja) * 1984-04-06 1985-10-30 日本鋼管株式会社 電気導体の接続端子
US5046965A (en) * 1990-05-04 1991-09-10 Utah Medical Products, Inc. Disposable electrical connector for fetal scalp electrode
GB9013869D0 (en) * 1990-06-21 1990-08-15 Toby Lane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connectors
JP3794514B2 (ja) * 1996-07-31 2006-07-05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電気コネクタ
DE19641206C2 (de) * 1996-09-25 1999-12-23 Wago Verwaltungs Gmbh Anschlußklemme für elektrische Leiter
JPH11307146A (ja) * 1998-04-14 1999-11-05 Whitaker Corp:The 電気コネクタ
DE29915512U1 (de) * 1999-09-03 2001-01-18 Weidmueller Interface Federklemme zum Anschließen elektrischer Leiter
ATE217123T1 (de) * 2000-12-11 2002-05-15 Hager Electro Verbinder mit einer in einem käfig befindlichen klemmfeder und einer auf die klemmfeder bezogenen platte
US6786779B2 (en) * 2002-06-20 2004-09-07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ctrical plug connector with spring tension clamp
DE10237701B4 (de) 2002-08-16 2010-09-16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Verbindungsklemme für ein-, mehrdrähtige, insbesondere feindrähtige, elektrische Leiter
DE10239273A1 (de) * 2002-08-22 2004-03-0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raftklemmanschluß für einen elektrischen Leiter
RU27744U1 (ru) * 2002-10-18 2003-02-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Дальневосточная технология"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US6893286B2 (en) * 2003-09-06 2005-05-17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Connector apparatus adapted for the direct plug-in connection of conductors
DE20313855U1 (de) 2003-09-06 2005-01-05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schlußvorrichtung zum Direktsteckanschluß von Leiterenden
JP4089578B2 (ja) * 2003-09-25 2008-05-28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線器具
DE102004008447A1 (de) * 2004-02-19 2005-09-08 Abb Patent Gmbh Federkraftklemme
JP2005235711A (ja) * 2004-02-23 2005-09-02 Nichifu Co Ltd 電線接続器
DE102004046471B3 (de) * 2004-09-23 2006-02-0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ß- oder Verbindungsklemme
FR2876226B1 (fr) * 2004-10-01 2007-01-19 Abb Entrelec Soc Par Actions S Organe de connexion electrique et mecanique d'un organe de raccordement electrique
DE102005045596B3 (de) * 2005-09-23 2007-06-21 Siemens Ag Feder-Steckklemme
DE102007017593B4 (de) 2006-04-28 2011-07-21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32423 Elektrische Anschluß- und Verbindungsklemme
DE102007024690B4 (de) * 2007-05-25 2009-06-0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ß- oder Verbindungsklemme
US7507106B2 (en) * 2007-06-14 2009-03-24 Ideal Industries, Inc. Push-in wire connector with improved busbar
DE102008024366B4 (de) * 2008-05-20 2010-11-2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Durchführungsklemme
US7618279B1 (en) * 2008-06-26 2009-11-17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One-piece push-in electrical contact terminal
DE102009004513A1 (de) 2009-01-09 2010-07-2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lemmfeder für eine Federkraftklemme
CN102598421B (zh) * 2009-09-29 2015-06-24 理想工业公司 单件式导电夹
CN201639002U (zh) * 2009-12-23 2010-11-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端子
CN201655989U (zh) * 2010-04-12 2010-11-24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导线快速锁紧结构
DE102010024809B4 (de) 2010-06-23 2013-07-1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klemme
DE102010025930B4 (de) 2010-07-02 2019-10-1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klemme
DE102010051899B4 (de) * 2010-11-22 2015-03-26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ktrisches Klemmenbauelement
US8353716B2 (en) * 2010-12-14 2013-01-15 Ideal Industries, Inc. Terminal structures for wiring devices
DE102011011080B4 (de) * 2011-02-11 2013-04-11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lemmanschluss und Leiteranschlusseinheit
RU2467437C1 (ru) * 2011-05-04 2012-11-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зажим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оводников
DE102011108828B4 (de) * 2011-07-29 2013-06-2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ssvorrichtung
DE202011104318U1 (de) 2011-08-15 2012-08-17 Hellermanntyton Gmbh Verbindungsklemme
DE102011054425A1 (de) 2011-10-12 2013-04-1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Federkörper einer Federkraftklemme und Federkraftklemmanordnung
DE102011056410B4 (de) 2011-12-14 2013-06-27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klemme
CN202474257U (zh) * 2011-12-22 2012-10-03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弹性夹持件、接触轨组件及具有该组件的光伏组件接线盒
DE102012005465B3 (de) 2012-03-20 2013-05-08 Wieland Electric Gmbh Federklemme
DE102013101409B4 (de) * 2013-02-13 2022-01-2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3243A (ja) * 1996-12-20 1998-09-02 Wago Verwaltungs Gmbh 1線又は多線電気導体用接続端子
KR20070104220A (ko) * 2006-04-21 2007-10-25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전기 연결 클램프
EP2096714A1 (en) * 2008-01-31 2009-09-02 BTICINO S.p.A.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with contact spring operated by a lever having an inlet opening for the end of an electric cable
CN102832465A (zh) * 2012-08-21 2012-12-19 江门市创艺电器有限公司 一种led用一体式连接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371A (ko) * 2016-11-18 2018-05-28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전기 도체의 접촉-연결을 위한 스프링 단자 접촉부, 도체 연결 단자, 및 스프링 단자 접접부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71850T3 (es) 2021-11-02
CN104995798B (zh) 2017-11-14
JP6400607B2 (ja) 2018-10-03
EP2956993A1 (de) 2015-12-23
EP2956993B1 (de) 2021-04-07
DE202013100635U1 (de) 2013-03-04
US9502790B2 (en) 2016-11-22
RU2597003C1 (ru) 2016-09-10
JP2016507147A (ja) 2016-03-07
WO2014124961A1 (de) 2014-08-21
PL2956993T3 (pl) 2021-10-11
KR102145876B1 (ko) 2020-08-20
CN104995798A (zh) 2015-10-21
US20150372402A1 (en)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876B1 (ko) 전기 전도체를 위한 스프링 클램프 접촉부 및 연결 단자
KR102434680B1 (ko) 전기 도체의 접촉-연결을 위한 스프링 단자 접촉부, 도체 연결 단자, 및 스프링 단자 접접부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CN109524802B (zh) 导体接线夹
US10014596B2 (en) Conductor terminal
US9761964B2 (en) Connection terminal and spring-loaded terminal contact therefor
US9614301B2 (en) Spring force connection terminal and plug connector
JP2022177194A (ja) 導体接続端子
KR102145878B1 (ko) 스프링-작동식 클램핑 요소 및 연결 단자
KR101426092B1 (ko) 터미널 부품
CN108028473B (zh) 接线端子接触元件
US20210143560A1 (en)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US20060194459A1 (en) Terminal block
US9806440B2 (en) Terminal block
CN113270741A (zh) 接线端子
US9515440B2 (en) Multiport terminal with current bars
CN109560436B (zh) 电连接器
US20210242614A1 (en) Contact insert and switch spring
US9735505B2 (en) Housing device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US10720717B2 (en) Conductive terminal and connector
EP3324488B1 (en) Connector arrangement with a conductor press-on member
CN111758187A (zh) 具有至少一个包括底座部分和能与底座部分连接的插接部分的过电压保护器的过电压保护装置
CN117728200A (zh) 插接连接器和用于插接连接器的绝缘材料壳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