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866B1 - 탄성 단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램프 구조체 - Google Patents

탄성 단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램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866B1
KR102649866B1 KR1020220100711A KR20220100711A KR102649866B1 KR 102649866 B1 KR102649866 B1 KR 102649866B1 KR 1020220100711 A KR1020220100711 A KR 1020220100711A KR 20220100711 A KR20220100711 A KR 20220100711A KR 102649866 B1 KR102649866 B1 KR 102649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elastic
contact
terminal
ultraviole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22253A (ko
Inventor
주윤관
최병노
김건래
김규섭
고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Priority to KR1020220100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866B1/ko
Publication of KR20240022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2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탄성 단자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탄성 단자 모듈은 평면을 이루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1회 절곡 및 연장되어 탄성을 발휘하며 접촉대상물과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탄성접촉단자; 상기 탄성접촉단자를 전기적 접속을 이루며 고정하는 단자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고정부는, 일측단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속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편; 상기 제1편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편; 상기 제1편의 타측단과 상기 제2편의 일측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편과 제2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밴딩부;를 포함하여, 상기 밴딩부가 구부려지면서 상기 제2편이 상기 제1편의 상면에 포개지도록 겹쳐지며, 상기 제1편과 상기 제2편의 사이에 상기 탄성접촉단자의 평면부가 삽입되어 전기적 접촉을 이루며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탄성 단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램프 구조체{Elastic Connector Module and UV Lamp structur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성 단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램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솔더링 같은 납땜 없이 기판과의 전기적 접촉을 이룰 수 있는 탄성 단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램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현장의 세정 또는 일반 가정에서의 살균 등의 목적으로 자외선 조사장치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산업현장에서는 실리콘 웨이퍼나 유리 기판의 표면에 부착된 유기화합물 등의 더러움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엑시머 램프에서 조사되는 엑시머광을 피처리체 표면에 조사하여 드라이 세정하고 있다.
또한, 일반 가정에서도 위생의 목적 및 바이러스 감염 방지 등의 목적으로서,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물체의 표면 또는 실내공간을 살균하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자외선 조사장치에는 자외선 램프가 탑재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램프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전선이 자외선 램프와 기판에 연결되는 부분에 솔더링(납땜)을 실시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그러나, 자외선 램프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오존 등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땜과 부착대상물의 경계부에 기화소실등의 결함이 발생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았음에도 시간에 따라 전기적으로 단락이 발생되어 작동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0971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솔더링을 이용하지 않고 두 전기적 연결 대상물간의 전기적인 접촉을 이룰 수 있는 탄성 단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램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평면을 이루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1회 절곡 및 연장되어 탄성을 발휘하며 접촉대상물과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탄성접촉단자; 상기 탄성접촉단자를 전기적 접속을 이루며 고정하는 단자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고정부는, 일측단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속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편; 상기 제1편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편; 상기 제1편의 타측단과 상기 제2편의 일측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편과 제2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밴딩부;를 포함하여, 상기 밴딩부가 구부려지면서 상기 제2편이 상기 제1편의 상면에 포개지도록 겹쳐지며, 상기 제1편과 상기 제2편의 사이에 상기 탄성접촉단자의 평면부가 삽입되어 전기적 접촉을 이루며 고정되는, 탄성 단자 모듈이 개시된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평면부의 제1방향 끝단에서 상측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만곡된 제1만곡부; 상기 제1만곡부로부터 제1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제1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끝단에서, 상측 및 상기 제1방향을 향하여 만곡된 제2만곡부; 상기 제2만곡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의 끝단은 하측을 항하여 절곡 또는 만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의 폭은 상기 평면부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제2편은 상기 제1편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편은 상기 평면부의 길이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편이 상기 제1편의 상측에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제1편과 상기 제2편의 상기 접속부가 형성된 측 단부에 상기 제1편과 상기 제2편이 접합되는 접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부는, 스팟 용접으로서 접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력 및 신호 인가에 따라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램프 및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자외선 램프에 인가되는 전력 및 신호를 상기 자외선 램프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자외선 램프와 상기 외부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전술한 탄성 단자 모듈;을 포함하는 자외선 램프 구조체가 개시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단자 모듈은 납땜 등의 솔더링 없이 전기적 접촉을 이룰 수 있으므로, 자외선 등에 의한 전기적 접촉부위의 결함발생을 차단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솔더링 작업이 제외되므로 조립 작업이 보다 간편해져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외선 램프와 기판과의 연결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자외선 램프와 기판과의 연결부위의 솔더링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단자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접촉단자의 측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접촉단자의 배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접촉단자와 단자고정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단자 모듈이 기판간에 접촉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단자 모듈이 조립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단자 모듈을 포함하는 자외선 램프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단자 모듈(100)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단자 모듈(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접촉단자(110) 및 단자고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접촉단자(110)는 전기전도성 및 탄성을 가진 재질로서 이루어지고, 적어도 1회 이상 절곡 형성되어 외력에 대한 탄성력을 가지며, 접촉대상물(200)과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자고정부(150)는, 상기 탄성접촉단자(110)를 솔더링 없이 고정하면서 전기적 접촉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접촉단자(110)는, 도 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부(111) 및 탄성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접촉단자(110)는 구리 또는 구리합금(예를 들어 BeCu 등) 또는 스테인레스 등의 전기전도성을 가지며 탄성을 가진 재질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기전도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에 금(Au)이 도금될 수도 있다.
상기 평면부(111)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만곡부(113)는 상기 평면부(111)의 상기 제1방향의 끝단에서 상측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112)는 제1만곡부(113), 경사부(114), 제2만곡부(115) 및 접촉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14)는 상기 제1만곡부(113)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만곡부(115)는 상기 경사부(114)의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끝단에서, 상측 및 상기 제1방향을 향하여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116)는 상기 제2만곡부(115)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전기적 접촉을 이루어야 할 접촉대상물(200)과 면접촉 함으로써 안정적인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평면부(111)가 상기 단자고정부(150)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며, 상기 접촉부(116)가 접촉대상물(200)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는 것이다.
이 때, 상기 평면부(111), 제1만곡부(113), 경사부(114), 제2만곡부(115) 및 접촉부(116)는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접촉단자(110)는 전체적으로 '乙'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부(111)의 끝단에는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 가이드 편(1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편(117)은 상기 탄성접촉단자(110)가 후술하는 단자고정부(15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단자고정부(15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116)의 끝단은 하측으로 향하여 절곡 또는 만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접촉부(116)는 접촉대상물(200)과 물리적 접촉을 이루는데, 상기 접촉부(116)의 끝단이 가공과정 중에 끝단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접촉대상물(200)에 스크래치를 발생시킨다던가 또는 접촉부(116)의 끝단이 상측을 향하여 휘어지거나 절곡되어 상기 접촉부(116)가 접촉대상물(200)에 면접촉을 이루는 것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접촉부(116)의 폭(W2)은 상기 평면부(111)의 폭(W1)보다 좁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부(114)의 폭이 상기 제2만곡부(115)를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구비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제2만곡부(115) 및 상기 접촉부(116)의 폭(W2)이 상기 평면부(111) 및 제1만곡부(113)의 폭(W1)보다 좁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접촉단자(110)가 연이어 복수개 배치될 경우, 양 옆 인근의 탄성접촉단자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탄성접촉단자(110) 접촉부(116)간에 간섭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평면부(111)에는 측면 양측으로 함입된 함입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고정부(150)는, 제1편(151), 제2편(152) 및 밴딩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편은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며, 끝단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속부(153)가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편(152)은 상기 제1편(151)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밴딩부는 상기 제1편(151)의 타측단과 상기 제2편(152)의 일측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편(151)과 제2편(15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편(151)과 제2편(15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단자 모듈(100)이 조립되기 전에는 평평하게 펴진 상태로 제조되며, 상기 탄성 단자 모듈(100)이 조립될 때, 상기 밴딩부(154)를 중심으로 구부려지면서 상기 제2편(152)이 상기 제1편(151)이 상면에 포개지도록 겹쳐질 수 있다.
그리고, 포개지도록 겹쳐진 상기 제1편(151)과 상기 제2편(152)의 사이에 상기 탄성접촉단자(110)의 평면부(111)가 삽입되어 전기적 접촉을 이루며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편(151), 제2편(152) 및 밴딩부(154)는 상기 탄성접촉단자(110)와 유사하게 전기전도성의 금속재질인 구리 또는 구리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조될 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밴딩부(154)는 상기 제2편(152)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편(152)은 상기 제1편(151)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111)의 제1방향 길이보다 같거나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편(151)은 상기 평면부(111)의 제1방향 길이보다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개지도록 겹쳐진 상기 제1편(151)과 상기 제2편(152)의 사이에 상기 탄성접촉단자(110)의 평면부(111)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2편(152)의 양 측으로 상기 제1만곡부(113) 및 가이드 편(117)이 돌출되어 상기 탄성접촉단자(110)가 상기 제1편(151)과 상기 제2편(152)의 사이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포개지도록 겹쳐진 상기 제1편(151)과 상기 제2편(152)의 사이에 복수개의 탄성접촉단자(11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편(151)과 제2편(152)의 상기 접속부(153)가 형성된 측은 스팟 용접등으로 용접된 접합부(155)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접촉단자(110)가 제2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접촉단자(110)의 상측에 위치된 접촉대상물(200)이 하측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탄성접촉단자(110)의 접촉부(116)와 접촉하게 되며, 상기 접촉대상물(200)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탄성접촉단자(110)가 변형을 이루면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안정적인 접촉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접촉대상물(200)에는 상기 탄성접촉단자(110)의 접촉부(116)와 전기적 접속을 이루기 위한 접속패드(미도시)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대상물(200)은 볼트 등의 알려진 결속구(210) 등에 의해 상기 탄성접촉단자(110) 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탄성 단자 모듈(100)을 조립하는 탄성 단자 모듈의 조립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상기 탄성 단자 모듈(100)을 조립하는 방법을 단계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단자고정부(150)가 접히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의 (b)는 상기 단자고정부(150)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의 (c)는 접힌 상태의 단자고정부(150)에 탄성접촉단자(110)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단자 모듈(100) 조립방법은 절곡단계, 결합단계 및 고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단자고정부(150)는 조립되기 전에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편(152)과 상기 제1편(151)이 펼쳐진 상태로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절곡단계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고정부(150)의 제2편(152)이 상기 제1편(151)의 상면에 포개지도록 상기 밴딩부(154)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상기 결합단계는,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편(151)과 제2편(152) 사이에 탄성접촉단자(110)의 평면부(111)가 끼워지도록 상기 탄성접촉단자(110)를 상기 밴딩부(154)가 형성된 편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1편(151)과 상기 제2편(152) 사이로 밀어넣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결합단계에서 하나 또는 복수개의 탄성접촉단자(110)가 상기 제1편(151)과 상기 제2편(152)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단계는, 필요한 수량만큼의 상기 탄성접촉단자(110)의 결합이 완료된 후, 상기 제1편(151)과 제2편(152)의 상기 밴딩부(154)가 형성된 편의 반대편을 접합하여 상기 제1편(151)과 제2편(152)을 고정하는 단계이다.
이 때, 상기 접합부(155)으로서 상기 제1편(151)과 제2편(152)을 스팟 용접할 수도 있고 또는 금속 접착제 등으로서 상기 제1편(151)과 제2편(152)을 접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단계에서 상기 제1편(151)과 제2편(152)의 상기 밴딩부(154)가 형성된 편의 반대편이 접합됨으로써 상기 탄성접촉단자(110)는 상기 제1편(151)과 제2편(152) 사이에서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어 결합 및 고정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탄성접촉단자(110)가 상기 단자고정부(150)에 끼워질 때의 이동방향과 상기 탄성접촉단자(110)가 전기적 접촉을 이룰 때 압력을 받는 방향이 서로 직교되는 방향이므로, 상기 탄성접촉단자(110)에 전기적 접촉을 위한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진다고 하더라도 상기 탄성접촉단자(11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접촉단자(110)의 탄성에 의해 자외선 램프 모듈(200)의 접촉단자(210)와 항시 밀착되어 있으므로, 접촉불량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단자 모듈(100)이 구비된 램프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램프 조립체는 탄성 단자 모듈(100)이 배치되는 베이스(300)와 상기 베이스(300) 상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 단자 모듈(100)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어 전력 및 신호를 공급받는 자외선 램프 모듈(200) 및 상기 자외선 램프 모듈(200)을 상기 베이스(300)에 고정시키는 브라켓(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베이스(300)에는 상기 탄성 단자 모듈(100)이 위치되는 안착실이 형성되며, 테두리의 복수개소에 상기 브라켓(400)이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램프 모듈(200)은 전체적으로 테두리가 둥글게 라운드진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외선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유리 내지는 석영등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램프 모듈(200)의 표면에는 상기 탄성 단자 모듈(100)과 전기적 접촉을 위한 배선(210)들이 프린트 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400)은 상기 자외선 램프 모듈(200)을 상기 베이스(30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하측이 개방된 형태의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00)은 상기 자외선 램프 모듈(200)을 상기 베이스(300)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자외선 램프 모듈(200)을 상기 베이스(300)에 안착된 탄성 단자 모듈(100)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자외선 램프 모듈(200)과 상기 탄성 단자 모듈(100)을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램프 모듈(200)에 전력 또는 신호를 인가하는 구성요소가 상기 탄성 단자 모듈(100)로 구비되며, 상기 탄성 단자 모듈(100)과 자외선 램프 모듈(200)의 전기적 접촉 구조에서 솔더링이 없으므로, 상기 자외선 램프 모듈(200)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기화소실되는 솔더링이 없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탄성 단자 모듈 110: 탄성접촉단자
111: 평면부 112: 탄성부
113: 제1만곡부 114: 경사부
115: 제2만곡부 116: 접촉부
117: 가이드 편 118: 함입부
150: 단자고정부 151: 제1편
152: 제2편 153: 접속부
154: 밴딩부 155: 용접
200: 접촉대상물 210: 결속구
300: 자외선 램프 구조체

Claims (8)

  1. 평면을 이루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1회 절곡 및 연장되어 탄성을 발휘하며 접촉대상물과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탄성접촉단자;
    상기 탄성접촉단자를 전기적 접속을 이루며 고정하는 단자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고정부는,
    일측단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속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편;
    상기 제1편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편;
    상기 제1편의 타측단과 상기 제2편의 일측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편과 제2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밴딩부;
    를 포함하여,
    상기 밴딩부가 구부려지면서 상기 제2편이 상기 제1편의 상면에 포개지도록 겹쳐지며,
    상기 제1편과 상기 제2편의 사이에 상기 탄성접촉단자의 평면부가 삽입되어 전기적 접촉을 이루며 고정되는, 탄성 단자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평면부의 제1방향 끝단에서 상측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만곡된 제1만곡부;
    상기 제1만곡부로부터 제1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제1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끝단에서, 상측 및 상기 제1방향을 향하여 만곡된 제2만곡부;
    상기 제2만곡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탄성 단자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끝단은 하측을 항하여 절곡 또는 만곡되도록 형성되는, 탄성 단자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폭은 상기 평면부의 폭보다 좁은, 탄성 단자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편은 상기 제1편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편은 상기 평면부의 길이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탄성 단자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편이 상기 제1편의 상측에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제1편과 상기 제2편의 상기 접속부가 형성된 측 단부에 상기 제1편과 상기 제2편이 접합되는 접합부가 형성되는, 탄성 단자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스팟 용접으로서 접합되는, 탄성 단자 모듈.
  8. 전력 및 신호 인가에 따라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램프;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자외선 램프에 인가되는 전력 및 신호를 상기 자외선 램프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자외선 램프와 상기 외부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탄성 단자 모듈;
    을 포함하는 자외선 램프 구조체.
KR1020220100711A 2022-08-11 2022-08-11 탄성 단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램프 구조체 KR102649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711A KR102649866B1 (ko) 2022-08-11 2022-08-11 탄성 단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램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711A KR102649866B1 (ko) 2022-08-11 2022-08-11 탄성 단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램프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2253A KR20240022253A (ko) 2024-02-20
KR102649866B1 true KR102649866B1 (ko) 2024-03-21

Family

ID=90057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711A KR102649866B1 (ko) 2022-08-11 2022-08-11 탄성 단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램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8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4530A (ja) 2011-12-19 2012-05-17 Kitagawa Ind Co Ltd 弾性コンタクト
KR101352633B1 (ko) 2013-03-22 2014-01-20 김선기 표면실장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JP2016507147A (ja) 2013-02-13 2016-03-07 ヴァーゴ・フェアヴァルトゥングスゲゼルシャフト・エムベーハー ばね締付接点および電気導体用結合端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5247B2 (ja) * 1994-06-17 1999-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電気接続子における弾性接触片の係止構造
JP5311271B2 (ja) 2008-03-10 2013-10-09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エキシマランプ及び当該エキシマランプの製造方法
KR20120103090A (ko) * 2011-03-09 2012-09-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조인트커넥터
CN102842482A (zh) * 2011-06-22 2012-12-26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对放电灯的供电构造、放电灯单元以及紫外线照射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4530A (ja) 2011-12-19 2012-05-17 Kitagawa Ind Co Ltd 弾性コンタクト
JP2016507147A (ja) 2013-02-13 2016-03-07 ヴァーゴ・フェアヴァルトゥングスゲゼルシャフト・エムベーハー ばね締付接点および電気導体用結合端子
KR101352633B1 (ko) 2013-03-22 2014-01-20 김선기 표면실장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2253A (ko)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2740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4952529A (en) Method of coupling a terminal to a thick film circuit board
US11824298B2 (en) Multi-part contact
US9991431B2 (en) Opto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5441430A (en) Electrical lead for surface mounting of substrates
JP2020102315A (ja) ケーブルアセンブリ、ケーブルホルダ及びケーブル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KR102649866B1 (ko) 탄성 단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램프 구조체
GB2202682A (en) Connection leads for surface mounted components
TWI362739B (en) High-frequency signal transmitting optical module,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and electro-optical device
US5470795A (en) Method of connecting terminals of a plastic-encapsulated power transistor to a printed-circuit board
JP3739091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M352797U (en) Electrical contact
JPH09102338A (ja) プリント回路板と別の電気ユニットとの電気リード線を接続するための接合部品
JPH0652909A (ja) 基板取付型電気コネクタ
EP1928217B1 (en) Element mounting method
JP3321133B2 (ja) 導電部材
JP2002296459A (ja) 光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ケース
JPH05315520A (ja) 表面実装型半導体装置及びそのアウターリードの折り曲げ加工方法
TWM467202U (zh) 電連接器組合
CN212084993U (zh) 外露型连接器及具有该外露型连接器的电子组件
JP4136240B2 (ja) 電子部品の基板への取付構造
JP4176217B2 (ja) 多光軸光電スイッチの回路基板
CN110416176B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半导体组件及金属连接件
CN208272179U (zh) 接线端子
JP2007018886A (ja) 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